KR20060066455A - 플라즈마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6455A
KR20060066455A KR1020040105055A KR20040105055A KR20060066455A KR 20060066455 A KR20060066455 A KR 20060066455A KR 1020040105055 A KR1020040105055 A KR 1020040105055A KR 20040105055 A KR20040105055 A KR 20040105055A KR 20060066455 A KR20060066455 A KR 20060066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ssis
peripheral end
plasma display
panel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5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9819B1 (ko
Inventor
김석산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5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9819B1/ko
Publication of KR20060066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6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9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9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46Connecting or feeding means, e.g. leading-in conduc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4Display protection
    • G09G2330/045Protection against panel over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판넬의 후방에 샤시가 부착되고, 샤시 후방에 구동회로가 설치되는 플라즈마 표시장치에서 구동회로와 판넬의 주변부에 설치된 전극 단자를 연결하는 신호선이 샤시 주변 단부를 걸쳐 지날 때 날카로운 모서리에 손상되지 않도록 샤시 주변 단부가 보호부재로 감싸지므로 신호선들이 샤시 주변 단부에 닿아도 신호선들이 쉽게 손상되지 않으므로 전체 신호선을 이루는 도선들이 절단되거나 다수가 노출된 상태로 혼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라즈마 표시장치 {Plasma display}
도1 및 도2는 종래의 플라즈마 표시장치들에서 샤시와 판넬이 결합된 상태로 화면을 이루는 판넬을 수직하게 자른 단면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의 부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표시장치 일 실시예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이루는 플라즈마 표시장치에서 샤시 베이스로 이루어지는 샤시 주변 단부와 보호부재인 ㄷ자형 캡이 결합된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5 내지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서 샤시 베이스나 샤시 보강재로 이루어지는 샤시 주변 단부와 보호부재인 캡의 결합 형태만을 신호선과 관련하여 나타내는 개략적 단면도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판넬(PDP:Plasam display panel) 11,13: 기판
20,23,25: 열전도매체 30,30': 샤시 베이스
33,35: 주변 단부 40: 보호 플레이트
50: TCP(Tape Carrier Package) 51: 칩(chip)
21,183,193: 양면테이프 37: 보강재
170,180,190,190',195: 캡 171:돌기
본 발명은 플라즈마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의 열전도 매체에 관한 것이다.
플라즈마 표시장치는 대향하는 두 개의 기판에 각각 전극을 형성하고, 일정 간격을 가지도록 겹쳐 내부에 방전 가스를 주입한 후 밀봉하여 형성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판넬(Plasma Display Panel:PDP, 이하 판넬과 혼용함)을 이용한 평판형 표시장치를 말한다.
플라즈마 표시장치는 많은 용적을 차지하는 브라운관(CRT: Cathode ray tube) 표시장치에 비해 얇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비교적 적은 용적으로 가벼운 대형화면을 구현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플라즈마 표시장치는 LCD 같은 다른 평판형 표시장치에 비해 트랜지스터 같은 능동소자를 형성할 필요가 없고, 시야각이 넓고, 휘도가 높다는 일반적인 특성을 가진다.
플라즈마 표시장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판넬을 형성한 뒤, 판넬의 각 전극과 연결되는 구동 회로 등 화면 구현에 필요한 요소들을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판넬에서 각 화소는 그 화소 구역에서의 방전을 통해 표현된다. 방전은 전극에 걸리는 전압에 의해 화소 공간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며, 그 공간 내에 플라즈마나 여기 상태의 원자를 발생시킨다. 방전에 소요되는 전력은 결국 일부가 빛으로 빠져나가지만 대부분은 판넬에서 열로 변환되어 소모된다. 판넬을 형성하는 형광체 등의 재료는 온도가 높아지면 열화, 변성되기 쉽고, 수명이 단축되므로 문제가 된다. 또한 판넬에서의 과열, 특히 부분적 과열은 판넬의 기재인 유리판의 열팽창 변형과 그에 따른 스트레스를 초래하여 파손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한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판넬의 전극들과 연결되는 구동회로에서도 화면 구현을 위해 많은 전력이 소모된다. 전력의 소모는 결국 열발생을 의미하며, 구동회로가 과열될 경우, 회로 작용에서 오동작을 일으키기 쉽다. 이런 오동작은 가령, 방전되지 않아야 할 화소 부분에서도 방전이 일어나도록 하는 등 화면의 질이 떨어뜨리는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플라즈마 표시장치에서 열이 집중되는 TCP(Tape carrier package)의 칩 부분 기타 구동 회로 등에서 발생하는 열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방출시키는가가 중요한 기술적 과제가 된다.
도1 및 도2는 종래의 플라즈마 표시장치들에서 샤시와 판넬이 결합된 상태로 화면을 이루는 판넬을 수직하게 자른 단면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의 부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1 및 도2는 판넬을 수직하게 자른 단면의 아래쪽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판넬(10)과 구동회로의 열을 외부로 발산시키기 위해서는 대개 판넬 후면에 부착되는 샤시가 이용된다. 샤시는 통상적으로 판형 샤시 베이스(30)에 보강재(37)를 결합시켜 이루어진다. 샤시 베이스(30)에는 보강을 위한 보강부가 일체로 형성 될 수도 있다. 샤시 후면에는 PDP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가 다수의 기판에 분산 형성되어 전원장치 등과 함께 장착된다.
따라서, 샤시 베이스(30)는 판넬(10)을 지지하여 기계적 강도를 보강함과 아울러 판넬(10)이나 구동회로의 열을 공간으로 방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런 역할을 위해 샤시 베이스(30)는 열전도성이 우수한 알미늄 등의 금속으로 형성된다.
그런데, 샤시 앞쪽에 부착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판넬의 주변에는 다수의 인출 전극이 형성된다. 인출전극은 판넬을 이루는 두 기판(11,13)면 전반에 걸쳐 형성되는 어드레스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 등 다수의 전극을 외부 구동 회로와 연결시키도록 판넬의 주변부인 실링선 외측에 형성된다. 한편, 판넬에 형성된 전극과 연결되어 이들을 구동시키는 구동회로는 대개 회로기판 등에 설치된 상태로 샤시의 뒤쪽에 장착된다.
따라서 구동회로의 전기 신호를 각 인출전극에 전달하기 위해서는 인출전극과 구동회로를 연결시키는 신호전달 수단이 필요하다. 이런 신호전달 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에는 TCP(Tape Carrier Package:50)나 COF(Chip On Film)가 있다. 이들은 자체에 신호처리 칩(51)을 가진 일종의 팩키지로 자체의 단자선이 이들과 연결된 양측의 일단의 단자들을 매개한다. 여기서는 TCP(50) 등에서 칩(51) 양쪽으로 필름에 일군의 도선들이 형성되어 유연하고 길게 형성된 단자선에 중점을 두어 TCP를 일종의 도선 다발로 이루어진 신호선이라고 단순화하여 생각할 수 있다.
이 신호선은 샤시 앞쪽의 판넬에 설치된 인출전극과 샤시 뒤쪽에 설치된 구동회로를 연결하므로 샤시의 주변 단부를 거쳐 지나게 된다.
그런데, 샤시는 대화면 플라즈마 표시장치일수록 대개 프레스 가공을 통해 형성되며 샤시 주변 단부(33,35)는 날카로운 절단 모서리를 가지는 경우가 많다. 플라즈마 표시장치를 조립하여 완성하는 과정에서 도1, 도2의 A,B에 나타난 것과 같이 신호선들은 샤시 주변 단부에 쉽게 닿고 접촉된 상태로 마찰될 수 있다. 이런 마찰에 의해 날카로운 단부 모서리는 신호선을 파손하여 신호선 내의 일부 도선이 절단되거나 노출되게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플라즈마 표시장치에서 판넬의 전극들과 구동회로를 연결하는 신호선들이 샤시 주변 단부에 닿아 손상되는 문제를 완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신호선들이 샤시 주변 단부에 닿아 마찰되는 경우를 줄일 수 있는 구성의 플라즈마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판넬의 전극들과 구동회로를 연결하는 신호선들이 샤시 주변 단부에 닿아도 손상이 쉽게 되지 않도록 샤시 주변 단부가 처리된 플라즈마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결국, 본 발명은 날카로운 샤시 주변 단부에 의한 신호선 손상을 줄여 플라즈마 표시장치의 화면이 정상적으로 구현되도록 하는 플라즈마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판넬의 후방에 샤시가 부착되고, 샤시 후방에 구동회로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회로와 상기 판넬의 주변부에 설치된 전극 단자는 샤시 주변 단부의 접촉 가능한 인근을 지나는 신호선으로 연결되는 플라즈마 표시장치에서, 샤시 주변 단부가 보호부재로 감싸진다.
본 발명에서 샤시는 샤시 보강재가 결합된 경우 샤시 보강재까지 포함하는 개념을 생각될 수 있다. 따라서, 샤시 보강재가 샤시의 주변 단부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되어 더 신호선과 닿을 경우, 샤시 보강재의 주변 단부만 보호부재로 감싸지는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샤시의 주변 단부는 샤시 보강재를 포함하여 복수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 주변 단부가 신호선과 닿을 경우, 각 주변 단부가 각각의 위치에서 보호부재로 감싸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보호부재로는 보호 테이프, 보호 캡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보호 테이프는 폴리올레핀 계열 물질 시트의 한 면에 점착제나 접착제를 처리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보호 캡은 탄성이 상대적으로 큰 플라스틱 캡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보호부재가 보호 캡인 경우, 보호 캡은 주변 단부의 길이, 보다 적확하게는 신호선이 지나는 구간의 길이에 맞게 선형으로 길게 형성되며, 그 횡단면이 대략 ㄷ자형, ㄴ자형, 1자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보호부재가 단면이 ㄷ자형인 보호 캡인 경우, ㄷ자형 캡의 열린 부분을 형성하는 두 단부 가운데 적어도 한 단부에는 내측으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는 ㄷ 자형 캡의 두 단부 가운데 적어도 한 단부의 내측면에는 접착제층이나 접착제층 혹은 양면 테이프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보호부재가 단면이 ㄷ자형인 보호 캡인 경우, ㄷ자형의 열린 부분을 이루는 마주보는 두 단부의 길이는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한 단부의내측면에 접착제층, 점착제층 이나 양면 테이프가 설치된다면 한 단부는 상대적으로 긴 단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보호부재는 단면이 ㄴ자형 보호 캡일 수 있다. 이 경우, 절곡된 끝단 부분이 이루는 너비는 보호부재의 절곡된 끝단 부분의 두께가 일반적인 수준에서 샤시 주변 단부의 두께보다 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호부재에서 샤시 주변 단부와 면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는 접착제층, 점착제층 또는 양면 테이프와 같은 결합수단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보호부재가 1자형인 경우, 보호부재는 그 일부가 적어도 샤시 주변 단부보다 연장되도록 형성하며, 샤시 주변 단부와 면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는 접착제층, 점착제층 또는 양면 테이프와 같은 결합수단이 설치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표시장치 일 실시예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플라즈마 표시장치는 두 기판(11,13)을 구비하 여 이루어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판넬과, 판넬 후방에서 판넬을 지지하는 샤시 베이스(20) 및 샤시 베이스 후면에 장착되며 구동 회로가 설치되는 회로기판(113)을 구비한다.
전방 기판(11)에는 수평으로 서로 평행한 직선 형태를 가지는 유지 전극들이 형성되고, 후방 기판(13)에는 수직으로 서로 평행한 직선 형태를 가지는 어드레스 전극들이 형성된다. 어드레스 전극과 평행하게 격벽이 위치하며, 어드레스 전극 위쪽으로 형광체층이 구비된다.
후방 기판(13)의 뒤쪽에는 샤시가 설치된다. 샤시는 플레이트형 샤시 베이스(30)와 샤시의 휨이나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재(37)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샤시 베이스(30)는 후방 기판의 후면에 양면 테이프(21) 등으로 고정된다. 샤시 베이스(30)와 후방 기판(13) 사이에는 양면 테이프(21)와 함께 열전도매체(20)가 개재된다.
샤시 베이스(30) 후방에는 다수의 회로 기판(113) 및 전원 장치 등이 설치된다. 회로 기판에는 판넬 구동에 필요한 구동칩 기타 전기전자 요소 장치들이 설치된다. 회로 기판과 회로 기판은 필요에 따라 신호선들로 연결된다.
샤시 앞쪽에 부착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판넬의 주변에는 다수의 인출 전극이 형성된다. 인출전극은 판넬을 이루는 두 기판면 전반에 걸쳐 형성되는 어드레스 전극과 유지 전극 등 다수의 전극을 구동 회로와 연결시키도록 판넬의 주변부를 따라 실링부 외측에 형성된다. 한편, 판넬에 형성된 전극과 연결되어 이들을 구동시키는 구동회로는 회로 기판(113) 등에 설치된 상태로 샤시의 뒤쪽에 장착된다. 구동회로의 전기 신호를 각 인출전극에 전달하기 위해 인출전극과 구동회로는 TCP(Tape Carrier Package:50)나 기타 신호선으로 연결된다.
TCP와 같은 신호선들은 유연성을 가지도록 이루어지며, 중간 부분이 판넬과 샤시 본체의 주연부 외측으로 여유부분을 가지고 뻗어져 나온 상태로 양단이 샤시에 결합된 회로 기판 및 판넬에 연결된다. 따라서 이 뻗어져 나온 돌출 부분들은 판넬과 샤시를 결합시키는 가공 중에 혹은 결합체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외부 물체와 닿거나, 걸려 손상될 위험이 있다. 이런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판넬의 단부에는 외측에서 신호선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플레이트(40)들이 마련된다. 보호 플레이트들은 샤시 베이스(30)의 단부나 단부 주변의 보강재(37) 등에 나사 같은 고정 수단을 통해 결합된다.
한편, 신호선들은 샤시 베이스의 상하 단부가 직각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마구리 부분을 거쳐 지나며, 특히 마구리 부분의 끝단을 완만하게 주회하며 지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 실시예에서 마구리 부분의 끝단은 전체 구간이 캡(170)으로 덮여 있다. 캡은 단면이 ㄷ자형이며, 신호선들은 판넬 상하변 전체를 따라 고르게 설치되므로 판넬 상하변, 즉, 장변의 길이만큼 길게 형성된다.
TCP(50)의 신호처리 칩(51)은 동작에 따라 많은 열을 방출한다. 그러므로, TCP(50)의 칩(51) 부분이 샤시의 보강재(37)나 샤시 베이스(30)의 절곡된 단부, 보호 플레이트(40) 등에 열적으로 접촉되어 열을 쉽게 방출하도록 형성된다. 칩(51) 부분의 방열을 돕기 위해 칩 부분과 샤시, 보호 플레이트 등이 닿는 곳에는 판상의 열전도매체, 방열 그리스(Thermal grease) 같은 겔상 혹은 액상의 열전도매체가 단 독으로 혹은 조합되어 개재될 수 있다.
플라즈마 표시장치는 스탠드형도 가능하나 벽걸이용으로 적합하므로, 벽에 걸 때 하중이 집중되지 않도록 이루어진 벽걸이용 보스가 샤시에 장착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이루는 플라즈마 표시장치에서 샤시 베이스(30)로 이루어지는 샤시 주변 단부와 보호부재인 ㄷ자형 캡(170)이 결합된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기본적인 판넬(10)과 샤시의 결합 구성은 종래의 도1의 예와 같은 형태를 이루고 있다. 단, 종래의 도1과 같은 실시예에서 문제가 되었던 A부분에 있는 샤시 절곡 단부(33)가 보호 캡(170)으로 씌워져 있다. 따라서, 샤시 절곡 단부에서 TCP(50)와 접하는 모서리 부분이 보호 캡(170)에 의해 커버되어 TCP와 직접 닿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샤시 베이스(30)의 주변 단부가 프레스로 절단된 날카로운 모서리 및 모서리 버(bur)를 가지는 경우에도 이 부분이 TCP의 단자선을 끊거나 단자선 내의 도선들을 커버하는 필름을 손상시켜 도선들이 단선되거나 혼선되는 문제가 없어진다.
캡(170)은 ㄷ자형의 단면에서 볼 때, 마주보는 두 변의 열린 쪽 단부에는 내측으로, 즉, 서로 마주보게 돌기(171)가 형성된다. 따라서, 캡(170)을 마구리 부분의 끝단에 설치할 때에는 캡(170)의 열린 부분을 끝단에 대고 밀어 넣으면 된다. 이때, 캡은 탄성에 의해 열린 부분이 더 벌어지면서 돌기(171)의 방해에도 불구하고 샤시 베이스(30) 끝단을 수용하게 된다. 돌기(171)는 캡(170) 내로 삽입된 마구 리 부분의 끝단이 캡(170)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찰력을 크게하는 작용을 한다. 즉, 탄성에 의한 복원력이 캡(170)의 돌기(171)가 샤시 주변 끝단을 압박하고, 이 압박력이 수직 항력으로 작용하여 마찰력은 비례적으로 증가된다.
도5 내지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서 샤시 베이스나 샤시 보강재로 이루어지는 샤시 주변 단부와 보호부재인 캡의 결합 형태만을 신호선과 관련하여 나타내는 개략적 단면도들이다.
도5를 참조하면, 문제가 되는 TCP(50) 신호선과 샤시 주변 단부가 접하는 곳에서 샤시 주변 단부가 보호 캡(180)으로 씌워져 있다. 보호 캡(180)은 도4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단면이 ㄷ자형이지만 ㄷ자형의 마주보는 두 변 가운데 하나가 짧게 형성되어 있다. 길게 형성된 변(185)의 내측에는 양면 테이프(183)가 부착되어 캡(180)이 샤시 주변 단부에 씌워졌을 때 양면 테이프(183)가 캡(180)과 샤시 주변 단부의 결합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하도록 한다.
도6a 및 도6b를 참조하면, 문제가 되는 신호선과 샤시 주변 단부가 접하는 곳에서 샤시 주변 단부(35)가 ㄴ자형 보호 캡(190)으로 씌워져 있다. 절곡된 부분은 샤시 주변 단부(35)를 형성하는 두 모서리 가운데 TCP(50) 신호선에 접한 모서리를 감싸서 신호선을 보호하도록 설치된다. 캡은 샤시 주변 단부와 양면 테이프(193)에 의해 결합된다.
샤시 주변 단부가 신호선과 관련하여 어떤 위치에 있는 가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도6a와 같이 신호선과 샤시 주변 단부(35)가 나란히 가는 경우라면 ㄴ자형 캡(190)의 절곡된 단부의 너비는 샤시 주변 단부(35)의 모서리만을 가려줄 정도면 충분하다.
반면, 도6b와 같이 TCP(50) 신호선이 샤시 주변 단부(33)를 만나 방향이 꺾이는 경우라면, ㄴ자형 캡(190')의 절곡된 단부의 너비는 샤시 주변 단부(33)의 두께 이상으로 형성되어 두 모서리를 모두 보호할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7을 참조하면, 문제가 되는 TCP(50) 신호선과 샤시 주변 단부(35)가 접하는 곳에서 샤시 주변 단부(35)에 1자형 보호 캡(195)이 결합되어 있다. 보호 캡(195)은 그 일부가 적어도 샤시 주변 단부(35)보다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1자형으로도 신호선이 날카로운 샤시 주변 단부(35)와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6a, 도6b, 도7 모두에서 캡이 샤시 주변 단부와 면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는 접착제층, 점착제층 또는 양면 테이프(193)와 같은 결합수단이 설치된다. ㄷ자형 캡과 달리 이들 실시에에서는 결합 수단이 필수적으로 필요하게 된다. 또한, 캡이 신호선과 닿는 절곡부나 단부는 신호선을 손상시키지 않는 형태를 가지도록 하거나, 신호선을 손상시키지 않는 재질로 형성한다.
따라서, 샤시 베이스의 주변 단부가 프레스로 절단된 날카로운 모서리 및 모서리 버(bur)를 가지는 경우에도 이 부분이 TCP의 단자선을 끊거나 단자선 내의 도선들을 커버하는 필름을 손상시켜 도선들이 단선되거나 혼선되는 문제가 없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라즈마 표시장치에서 판넬의 전극들과 구동회로를 연결 하는 TCP 등의 신호선들이 날카롭게 형성된 샤시 주변 단부, 샤시 보강재 단부에는 보호 부재가 매개되므로 이들 날카로운 단부가 신호선에 직접 닿아 전체 신호선을 이루는 도선들이 절단되거나 다수가 노출된 상태로 혼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판넬의 전극들과 구동회로를 연결하는 신호선들이 샤시 주변 단부에 닿아도 신호선들이 쉽게 손상되지 않으므로 전체 신호선을 이루는 도선들이 절단되거나 다수가 노출된 상태로 혼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9)

  1.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판넬의 후방에 샤시가 부착되고,
    상기 샤시 후방에 상기 판넬에 대한 구동회로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회로와 상기 판넬의 주변부에 설치된 전극 단자는 상기 샤시 주변 단부의 접촉 가능한 인근을 지나는 신호선으로 연결되는 플라즈마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샤시 주변 단부가 보호 부재로 감싸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샤시 주변 단부는 상기 샤시의 샤시 베이스 주변 단부 또는 샤시 보강재의 주변 단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샤시 보강재의 주변 단부가 상기 샤시 베이스의 주변 단부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신호선과 더 가깝게 존재하며,
    상기 샤시 보강재의 주변 단부에만 보호 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샤시 베이스의 주변 단부 및 상기 샤시 보강재의 주변 단부는 각각 상기 보호 부재로 커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부재는 탄성 있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보호 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는 보호 캡이며 상기 보호 캡의 단면은 ㄷ자형, ㄴ자형, 1자형 가운데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캡은 횡단면이 ㄷ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ㄷ자형에서 마주보는 두 변 가운데 적어도 한 변의 내측에는 상기 샤시 보호 부재와 접촉하는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캡은 상기 ㄷ자형에서 마주보는 두 변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장치.
  9. 제 6 항 있어서,
    상기 보호 캡이 상기 샤시 주변 단부와 접하는 부분에는 점착제층, 접착제층, 양면 테이프 가운데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장치.
KR1020040105055A 2004-12-13 2004-12-13 플라즈마 표시장치 KR100659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5055A KR100659819B1 (ko) 2004-12-13 2004-12-13 플라즈마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5055A KR100659819B1 (ko) 2004-12-13 2004-12-13 플라즈마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6455A true KR20060066455A (ko) 2006-06-16
KR100659819B1 KR100659819B1 (ko) 2006-12-19

Family

ID=37161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5055A KR100659819B1 (ko) 2004-12-13 2004-12-13 플라즈마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98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515B1 (ko) * 2005-04-26 2007-03-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515B1 (ko) * 2005-04-26 2007-03-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9819B1 (ko) 2006-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0770B1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KR10063721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20060132946A1 (en) Plasma display panel (PDP) assembly
KR20060121461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20080284765A1 (en) Plasma display device and signal transmitting unit for plasma display device
KR100659819B1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KR101106418B1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KR100614374B1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KR20060080450A (ko) 열전도매체를 가지는 플라즈마 표시장치
KR100670506B1 (ko) 방열핀을 가지는 플라즈마 표시장치
KR10068368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70505B1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KR100670511B1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KR100749612B1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KR20080024331A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KR100731440B1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KR100731439B1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KR100739977B1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KR20070035196A (ko) 플라즈마 표시 장치
KR10067052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4947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038573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70120306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8368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83661B1 (ko) Tcp의 방열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