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6201A -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간 대화 장치 - Google Patents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간 대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6201A
KR20060066201A KR1020040104711A KR20040104711A KR20060066201A KR 20060066201 A KR20060066201 A KR 20060066201A KR 1020040104711 A KR1020040104711 A KR 1020040104711A KR 20040104711 A KR20040104711 A KR 20040104711A KR 20060066201 A KR20060066201 A KR 20060066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voice
display screen
text data
i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4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일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4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66201A/ko
Publication of KR20060066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62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occupant comfort, e.g.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ppliances according to personal settings, e.g. seats, mirrors, steering wheel
    • B60R16/0373Voice contro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5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responding to signals from another vehicle, e.g. emergency vehicl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15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information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간 대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운전자가 후방 차량에 전달하고자 하는 음성 메시지를 입력받아 음성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한 후 차량의 후방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출력해준다. 이 때, 디스플레이 화면은 차량의 후방 유리창에 장착하였을 때도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홀로그램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자가 후방 차량에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음성으로 입력하면 이 메시지를 텍스트 데이터로서 후방 차량에게 전달할 수 있으므로, 혼잡한 도로상에서 운전자간 의사소통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하는 감정격화나 교통에 장애를 주는 문제점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구체적인 정보교환을 통해 안전한 주행에 도움을 줄 수 있고, 경적과 같은 소음을 줄여 조용한 도로 환경의 조성에 도움을 줄 수도 있으며, 차량의 고급스러움을 부각할 수 있기 때문에 고가 자동차 산업 정책에 도움을 줄 수도 있다.
차량, 음성인식, 디스플레이, 후방 차량

Description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간 대화 장치{ Apparatus for inter-vehicle communication using speech recorgnition }
도 1은 본 발명이 사용되는 상태에 관한 개요,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도,
도 3은 저장부에 저장되는 정보의 형태에 관한 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 과정에 관한 예,
도 5는 키 입력부의 설치에 관한 예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차량 12: 디스플레이 화면
13: 운전자 21: 마이크
22: 저장부 23: 음성처리부
24: 출력부 25: 디스플레이 화면
26,51: 키 입력부 50: 운전대
본 발명은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간 대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운전자가 후방 차량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음성 메시지을 인식하여 텍스트로 변환한 후 차량의 후방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해주도록 하여 차량간 의사소통 문제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가구당 한 대 정도의 자가용 차량을 보유하고 있을 만큼 차량이 널리 보급되면서 도로의 복잡함이 점점 더 심해지고 있다. 수많은 차량이 밀집되어 있는 혼잡한 도로에서는 운전자간에 얼굴을 붉힐만큼 감정이 격해지는 상황이 자주 발생하고 있고, 경적으로 인한 소음으로 환경적 피해도 적지 않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점들은 단순히 차량을 줄이는 해결 방법 이외에도 운전자들끼리의 의사 소통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면 상당 부분 줄어들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각종 차량에는 운전자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적용되고 있는데, 특히 음성인식 기술이 자동차의 각종 제어 및 보안 장치에 이용되고 있으며, 홀로그램 기술도 고급스러움을 나타내거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채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들은 대부분 운전자나 차량에 탑승한 인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한 것들이기 때문에 타 차량 운전자와의 의사소통에는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비상등(좌우방향등)은 간단한 경고 수준의 메시지를 표현하는 것이므로 자동차간 의사소통의 수단으로는 부족함이 있다. 그러나 보다 다양한 메시지를 후방 차량에게 전달할 수 있다면 운전자들간의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고, 이에 따라 여러가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운전자가 말하는 음성을 인식하여 텍스트 형태로 차량의 후방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여, 후방 차량 운전자에게 자신의 의사를 보다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해 줄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간 대화 장치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 하나 이상의 음성신호 특징코드별 텍스트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의 특징코드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특징코드와 일치하는 특징코드를 상기 저장부에서 검색하여 그에 대응하는 텍스트 데이터를 추출하는 음성처리부; 디스플레이 화면; 및 상기 음성처리부에서 추출된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간 대화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키는 운전대에 설치하여 사용상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은 차량 운전자의 후방 시야를 확보해 주기 위하여 투명 재질로 구성하거나, 홀로그램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간 대화 장치가 차량에 적용되는 상태를 설명하자면, 차량(11)의 운전자(13)는 "죄송합니다"와 같이 후방 차량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음성으로 입력한다. 그러면, 운전자의 음성은 음성인식 기술을 통해 텍스트 데이터로 자동 변환되고,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화면(12)을 통해 디스플레이되어 후방 차량의 운전자가 볼 수 있게 된다. 즉, 디스플레이 화면(12)은 차량의 후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간 대화 장치를 구성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마이크(21)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구성요소로서, 운전자가 후방 차량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말할 때 운전에 장애를 주어서는 안되므로 고개를 돌리거나 몸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아도 충분히 음성이 입력될 수 있도록 운전자의 정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부(22)는 하나 이상의 음성신호 특징코드별로 텍스트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성요소이다. 도 3에 도시한 예와 같이 저장부(22)에는 하나 이상의 음성신호 특징코드와 각 음성신호 특징코드에 대응하는 "죄송합니다", "양보 고맙습니다" 등의 텍스트 데이터가 저장된다. 이 때, 음성신호 특징코드는 일반인의 평균적인 음성에 대한 특징코드로서, 일반인이 평균적 수준에서 말할 때 음성인식 프로그램이 동일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을 정도의 정확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성처리부(23)는 운전자의 음성이 마이크(21)를 통해 입력되면, 입력되는 음성신호의 특징코드를 분석하고, 분석된 특징코드와 일치하는 특징코드를 저장부 (22)에서 검색한다. 그리고, 해당 특징코드에 대응하여 저장되어 있는 텍스트 데이터를 추출한다.
출력부(24)는 음성처리부(23)에서 추출한 텍스트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화면(25)으로 출력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처리한다.
이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간 대화 장치가 동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운전자가 후방 차량에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마이크(21)에 음성으로 입력하면, 마이크(21)는 운전자의 음성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음성처리부(23)에 전달하고(S41), 음성처리부(23)는 마이크(21)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에서 노이즈(noise)를 제거한 후 이 음성신호의 특징코드를 분석한다(S42,S43). 그리고, 음성처리부(23)는 분석된 특징코드를 저장부(22)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신호 특징코드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것을 찾아내고, 찾아낸 음성신호 특징코드와 대응하여 저장되어 있는 텍스트 데이터를 추출한다(S44).
도 3에 도시한 예로서 설명하자면, 운전자가 "죄송합니다"라고 말했다면, 음성처리부(23)는 이 음성에 대한 특징코드를 분석하여 저장부(22)의 각 음성신호 특징코드와 비교하는데, 음성신호 특징코드 #1과 동일한 것으로 판단될 것으므로 음성신호 특징코드 #1에 대응하여 저장되어 있는 텍스트 데이터 "죄송합니다"를 추출하게 된다.
이제 음성처리부(23)는 단계 S44를 통해 추출된 텍스트 데이터를 출력부(24)로 전해주고(S45), 출력부(24)는 해당 텍스트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화면(25)에 출 력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처리한다(S46). 그러면, 이 차량의 후방에 위치한 차량의 운전자는 그 메시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디스플레이 화면(25)은 텍스트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 하여 후방 차량의 운전자가 해당 메시지를 볼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차량의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디스플레이 화면(25)을 구성하는 하나의 예는 낮에도 후방 운전자가 잘 볼 수 있도록 LED를 사용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디스플레이 화면(25)을 차량의 후방 유리창에 장착하도록 구성하는 또 다른 예를 들자면, 차량의 주행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서는 차량 운전자의 후방 시야를 가리면 안되므로 투명 재질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화면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텍스트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황에서는 차량 운전자의 후방 시야를 어느 정도는 가리겠지만, 텍스트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 화면이 투명하므로 후방 시야를 가리지 않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화면은 홀로그램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간 대화 장치는 사용자가 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여러가지 키를 구비한 키 입력부(26)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키 입력부(26)는 운전자의 편의를 위하여 도 5에 도시한 예와 같이 자동차 핸들(50)의 정면 부분에 위치하도록 하여(51), 운전자가 몸의 자세를 바꾸지 않고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키 입력부(26)에 구비되는 키의 예로는, 장치 전체의 온/오프를 위한 키, 디스플레이 화면만의 온/오프를 위한 키, 마이크의 온/오프를 위한 키, 폰트의 크기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키, 디스플레이 화면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키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각종 키는 사용상의 필요와 편의를 위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
키 입력부(26)에 폰트의 크기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키 또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키를 구비하는 실시예에서, 출력부(24)는 폰트의 크기나 종류가 선택되면 해당 폰트의 크기나 종류에 따른 텍스트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화면(25)에 전달하게 된다. 이 때, 저장부(22)에는 각 텍스트 데이터에 따른 폰트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화면의 밝기 등 디스플레이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각종 키를 구비하는 실시예에서, 출력부(24)는 해당 키로부터 입력되는 키 신호에 따라 해당 제어신호를 디스플레이 화면(25)으로 전달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자가 후방 차량에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음성으로 입력하면 이 메시지를 텍스트 데이터로서 후방 차량에게 전달할 수 있으므로, 혼잡한 도로상에서 운전자간 의사소통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하는 감정격화나 교통에 장애를 주는 문제점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구체적인 정보교환을 통해 안전한 주행에 도움을 줄 수 있고, 경적과 같은 소음을 줄여 조용한 도로 환경의 조성에 도움을 줄 수도 있으며, 차량의 고급스러움을 부각할 수 있기 때문에 고가 자동차 산업 정책에 도움을 줄 수도 있다.

Claims (6)

  1.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
    하나 이상의 음성신호 특징코드별 텍스트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의 특징코드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특징코드와 일치하는 특징코드를 상기 저장부에서 검색하여 그에 대응하는 텍스트 데이터를 추출하는 음성처리부;
    디스플레이 화면; 및
    상기 음성처리부에서 추출된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간 대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간 대화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키를 구비하는 키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간 대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부는 차량의 운전대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간 대화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부는 상기 텍스트 데이터에 대한 폰트의 종류, 폰트의 크기, 및 디스플레이 화면 상태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기 위한 키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키에 의한 선택에 따른 형태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간 대화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은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간 대화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은 홀로그램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간 대화 장치.
KR1020040104711A 2004-12-13 2004-12-13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간 대화 장치 KR200600662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4711A KR20060066201A (ko) 2004-12-13 2004-12-13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간 대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4711A KR20060066201A (ko) 2004-12-13 2004-12-13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간 대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6201A true KR20060066201A (ko) 2006-06-16

Family

ID=37161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4711A KR20060066201A (ko) 2004-12-13 2004-12-13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간 대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6620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2190A (ko) * 2014-11-04 2016-05-12 이계정 블루투스를 이용한 차량용 메모장
US10163276B2 (en) 2015-11-09 2018-1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of transmitting messages between vehicles
KR102279991B1 (ko) * 2020-02-06 2021-07-21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형 홀로그램 기반의 인공지능 헬퍼 시스템
KR102301141B1 (ko) 2020-09-14 2021-09-09 김동규 차량에 부착되는 전자 장치 및 차량에 부착되는 전자 장치의 작동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2190A (ko) * 2014-11-04 2016-05-12 이계정 블루투스를 이용한 차량용 메모장
US10163276B2 (en) 2015-11-09 2018-1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of transmitting messages between vehicles
KR102279991B1 (ko) * 2020-02-06 2021-07-21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형 홀로그램 기반의 인공지능 헬퍼 시스템
KR102301141B1 (ko) 2020-09-14 2021-09-09 김동규 차량에 부착되는 전자 장치 및 차량에 부착되는 전자 장치의 작동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09387U (ja) 音声認識による車両運転者の意思表示装置
US20040215464A1 (en) Voice activated-automotive window display unit
KR102554934B1 (ko) 장애인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이 구비된 차량 및 장애인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제어방법
JP6361565B2 (ja) 車載機器の動作制御装置
US10569727B2 (en) Mobile unit control device and mobile unit
CN106143290A (zh) 车载显示装置及显示方法
US20190228767A1 (en) Speech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207584B2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for vehicle
CN113157080A (zh) 用于车辆的指令输入方法、存储介质、系统及车辆
JPH1165587A (ja) 車両用音声入力装置
CN106379262B (zh) 一种带语音识别控制的车载蓝牙麦克风
KR20060066201A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간 대화 장치
KR20180120617A (ko) 후방차량용 알림시스템 및 방법
US20130321137A1 (en) Warn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having at least one electrically movable closing element for a vehicle opening
CN114194122B (zh) 一种安全提示系统及汽车
CN112601933A (zh) 为车辆乘员提供对语音播报的交互式反馈
CN111511599A (zh) 用于运行辅助系统的方法和汽车用辅助系统
JP2000276187A (ja) 音声認識方法及び音声認識装置
JPH1148886A (ja) 車載用緊急車両告知システム
CN111703366A (zh) 车辆用注意提醒装置、车辆用注意提醒方法及记录介质
KR20190071104A (ko) 대화 시스템,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대화 처리 방법
CN112420058B (zh) 人车协同系统及其实施流程
JP7192561B2 (ja) 音声出力装置および音声出力方法
US20230081386A1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6529752A (zh) 用于运行机动车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