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4211A - 방화 및 소화 기능을 가진 주방용 모듈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방화 및 소화 기능을 가진 주방용 모듈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4211A
KR20060064211A KR1020040102932A KR20040102932A KR20060064211A KR 20060064211 A KR20060064211 A KR 20060064211A KR 1020040102932 A KR1020040102932 A KR 1020040102932A KR 20040102932 A KR20040102932 A KR 20040102932A KR 20060064211 A KR20060064211 A KR 20060064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kitchen
gas
equipmen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2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수
Original Assignee
박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수 filed Critical 박성수
Priority to KR1020040102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64211A/ko
Publication of KR20060064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42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0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kitchens or stov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Abstract

본 발명은 방화 및 소화 기능을 가진 주방용 모듈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주거생활에서 가장 큰 위험요인인 화재에 속하는 문제를 해결하여 귀중한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며 합리적으로 효율적인 주거공간을 활용하고 쾌적한 주거공간 제공과 위생적인 주방공간을 유지하도록 주방에 사용되는 각종 기기들을 출입수단이 있는 하나의 밀폐된 공간 구조물 안에 설치하고, 이와 같은 공간 구조물의 내부에는 소화기능을 부여하고 벽체에는 방화기능을 부여함과 동시에 공간 구조물의 이동 수단을 구비하여 자유로운 설치가 가능한 모듈형 주방으로 구성하고 이러한 모듈형 주방의 각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외부에 설치한 방화 및 소화 기능을 가진 주방용 모듈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주방공간과 주거공간을 분리하는 방화 및 소화 기능의 주방용 모듈을 제작하고 모듈에 전열기기, 경보기기, 소화기기, 공기조화기기, 주방기기, 단자함을 내재하여 설치된 기기들을 컨트롤패드에서 안전하게 통합관리하는 주방용 모듈 및 그 제어방법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주방용 모듈, 방화, 소화, 일체화된 주방, 주거공간, 공간할용

Description

방화 및 소화 기능을 가진 주방용 모듈 및 그 제어방법{Kitchen module having fire prevention and fire extinguish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발명 구성의 일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방화문 쪽을 보인 일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단자함 쪽을 보인 일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C-C'선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전체 계통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가스 계통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상하수도 계통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온도조절 계통도이다.
본 발명은 방화 및 소화 기능을 가진 주방용 모듈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거공간 내에서의 설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고, 주방에 사용되는 일체의 기기들이 통합적으로 모듈 내에 설치되고, 자체적인 방화 및 소화기능 작동 구성을 가지고, 모든 기기들을 외부에서 제어할 수 있는 것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나 주택에 있어 일반적인 주거공간은 편리성을 위하여 거실과 주방공간이 공존하는 형태로서 주방공간의 활용도에 비하여 공간이 넓어 비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되고 있으며, 요리시 냄새가 주거공간으로 전파되어 유쾌하지 못한 주거환경이 조성되고 해충의 번식이 용이한 반면 박멸이 어려워 주방공간이 비위생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위험한 생활기기들이 흩어져 있어 가스누출 및 화재발생시 확대 방지와 조기 진화가 어려워 대형화 할 수 있는 등 편리성 보다는 취약점이 더 많아 지고 있다.
즉, 상기와 같은 종래의 주방 공간은 개방형 공간이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 할 수단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아파트나 주택에 있어 일반적인 주거공간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① 화재 위험 경보기의 미비
미국과 일본의 통계 자료에 의하면 화재 경보기의 작동은 인명피해를 50%로 낮출 수 있으며 주거지 화재가 전체화재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시간은 오후 10시에서 새벽 6시 사이이고 평균 나이는 미국의 경우 14세이고 일본의 경우 고령자이며 사망자의 대부분이 연기에 질식하여 사망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주택화재 사망자수는 자연재해 사망자수 보다 많게 조사되고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에서는 주거지에서의 화재와 가스누출 경보기 설치의 법제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적합한 설치 위치와 간격에 대하여 실험과 연구를 계속하여 일본의 경우 가스누출과 화재 복합 감지 경보기가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주거공간에는 이와 같은 경보기가 미비되어 있고, 또한 이미 건설된 주거공간에 이와 같은 설비를 추가하고 관리하는데 배선 및 공간활용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다.
② 실내 공기 오염 제거 수단 미비
주거공간의 공기오염에 대하여 대부분의 선진국에서는 실내공기질 관리법등 이와 유사한 법들을 제정하여 규제하고 시행중인 법안의 문제점들을 개선, 보완하고 있으며 미국의 경우 OSHA와 ACGIH에서 환경기준을 규정하고 EPA에서 대기환경을 기준을 담당하고 있으며 ASHRAE에서는 실내공기 환경유지를 위한 환기규정을 제시하고 노르웨이, 덴마크 등은 WHO에서 제정된 실내공기 환기지침서를 근거로 기준을 설정하여 규정하고 있으며 일본의 경우 건축기준법 등에서 실내공기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고 우리나라도 최근에 실내공기질 관리법을 환경부에서 입법 예고한 바가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주거공간에는 이와 같은 실내공기의 오염을 막거나 제거할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고, 또한 이미 건설된 주거공간에 이와 같은 설비를 추가하고 관리하는데 배선 및 공간활용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다.
③ 주거공간 확충의 어려움
최근 주거공간의 확보를 위하여 베란다와 거실의 벽을 제거하여 베란다 면적을 주거공간으로 불법적으로 개조함에 따라 구조물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비 효율적인 주방의 면적을 변형시켜 보고자 하지만 설계시 반영된 주방의 위치로 인해 공간활용도가 효율적이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④ 해충 박멸의 어려움
거실과 주방이 공존하는 상황에서 해충의 서식지는 무궁무진하며 이로 인하여 해충의 박멸 또한 묘연해지고 위생적인 주방보존이 날로 위협받고 있어 소독의 주기가 빨라지고 해충의 약품에 대한 내구성으로 점차로 맹독성 소독이 요구되고 있어 사고의 위험성을 안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⑤ 위험기기들의 분산으로 인한 문제점
현재의 주거공간에서 보면 가스를 사용하는 전열기기의 대표적인 보일러, 렌지 또는 오븐이 별도의 공간에 설치되어 있어 비상시 전기나 가스를 차단하기가 불편하고 초기 조치에 당황하여 때를 놓침으로서 사고가 커지는 경향이 있다는 문제 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주거생활에서 가장큰 위험요인인 화재에 속하는 문제를 해결하여 귀중한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며 합리적으로 효율적인 주거공간을 활용하고 쾌적한 주거공간 제공과 위생적인 주방공간을 유지하도록 주방에 사용되는 각종 기기들을 출입수단이 있는 하나의 밀폐된 공간 구조물 안에 설치하고, 이와 같은 공간 구조물의 내부에는 소화기능을 부여하고 벽체에는 방화기능을 부여함과 동시에 공간 구조물의 이동 수단을 구비하여 자유로운 설치가 가능한 모듈형 주방으로 구성하고 이러한 모듈형 주방의 각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외부에 설치한 방화 및 소화 기능을 가진 주방용 모듈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주방공간과 주거공간을 분리하는 방화 및 소화 기능의 주방용 모듈을 제작하고 모듈에 전열기기, 경보기기, 소화기기, 공기조화기기, 주방기기, 단자함을 내재하여 설치된 기기들을 컨트롤패드에서 안전하게 제어하여 통합관리하는 방화 및 소화 기능을 가진 주방용 모듈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 행하는 본 발명은 수직골조 및 수평골조를 조립 고정하여 다면체의 뼈대를 형성하고, 수직골조 및 수평골조가 이루는 공간부에 방화용 석면 시멘트 보드를 설치 후 수직골조 및 수평골조와 나사결합하고, 보드의 내외면에 시멘트 모르타르 또는 타일로 마감처리하여 일체로 된 모듈을 구성하고, 상기 모듈의 일측 벽면에 모듈 내외부를 사용자가 출입하도록 모듈의 일측 벽면에 방화문을 형성하고, 이와 마주보는 벽면에는 배연창을 구성하며, 또 다른 일측 벽면에는 단자함을 형성하여 그 내부 수납공간에 전기배전판, 누전차단기, 유수감지기, 가스차단기, 상수도밸브, 하수도밸브를 설치구성하고, 모듈의 내부에는 단자함에 수납된 각각의 기기와 연결되는 전열기기, 경보기기, 소화기기, 공기조화기기, 주방기기를 설치구성하고, 벽면의 외부 일측에는 상기 방화문, 단자함, 전열기기, 경보기기, 소화기기, 공기조화기기, 주방기기를 제어하는 컨트롤패드 설치 구성하며, 상기 모듈의 하부 또는 측면에는 모듈을 이동시키는 인양수단 및 이송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 방화 및 소화 기능을 가진 주방용 모듈 및 그 제어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방화 및 소화 기능의 주방용 모듈
① 이동형
바닥과 천장은 가로와 세로, 벽면은 수직과 수평의 주골조와 보조골조로 구성하여 결합하고 조립된 골조에 석면 시멘트 보드를 수직 및 수평 골조에 나사로 체결하여 골조의 내.외측을 봉합하며 봉합된 보드면에 시멘트 모르타르 또는 타일로 마감하되 방화문, 배연창, 냉장고, 단자함의 개구부를 상호 적절한 위치에 형성한다.
상기 바닥 골조는 전체 하중에 충분한 내구성을 가지며 벽면 골조는 내재되는 기기들의 중량과 위치에 맞도록 구성하고, 석면 시멘트 보드와 시멘트 모르타르 그리고 타일의 두께는 적법한 내화성을 유지하여 모듈내.외에 유효한 방화성과 밀폐성을 유지하도록 주방용 모듈을 제작한다.
이후 본 발명 모듈의 방화문, 전열기기, 경보기기, 소화기기, 공기조화기기, 주방기기, 단자함 등을 내재한다.
상기 이동형 구조는 모듈의 이동을 위해 바닥 또는 각 벽면의 하부에 모듈을 들어 올리 수 있는 인양수단과, 인양된 모듈을 움직일 이송 수단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인양수단과 이송수단은 그 종류에 특별한 한정은 없다. 일례를 들자면 인양수단은 유압식, 공압식 및 기계식 잭 등의 인양수단이면 족하고, 이송수단은 바퀴식, 퀘도식, 롤러식 등의 이송 수단이면 족하다.
또한 인양수단이나 이송수단에 인력이 아닌 동력이 필요하면 가정의 전원을 사용하는 모터등을 인양수단이나 이송장치에 연결하여 공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② 고정형
주어진 공간을 이용하여 최소화된 적절한 크기의 주방공간을 설정하여 바닥부터 천장까지 내화벽돌을 쌓아 주거공간과 주방공간을 벽으로 차단하고 내.외벽을 시멘트 모르타르 또는 타일로 마감하되 방화문, 배연창, 냉장고, 단자함의 개구부를 상호 적절한 위치에 형성한다.
벽면의 두께는 기기들의 하중에 충분한 내구성과 유효한 내화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제작하여 방화문, 전열기기, 경보기기, 소화기기, 공기조화기기, 주방기기, 단자함 및 이들을 제어하는 컨트롤패드 등을 설치 구성한다.
2) 설치 기기
상기 본 발명 방화 및 소화 기능의 주방용 모듈에 설치되는 구체적인 기기 구성은 다음과 같이,
모듈 내외를 사용자가 출입하도록 모듈의 일측 벽면에 설치된 방화문(도어록장착)과;
모듈내의 각 기기들에 전기 및 물의 공급 및 배수를 위해 모듈의 일측에 설치되어 전기배전판, 누전차단기, 유수감지기, 가스차단기, 상수도밸브, 하수도밸브를 수납하고 있는 단자함과;
모듈내에 설치된 보일러, 오븐, 렌지, 전등으로 구성된 전열기기와;
모듈내 벽면 및 천장에 설치된 가스/화재 복합 감지경보기, 온도센서, 스프링쿨러로 구성된 경보기기 및 소화기기와;
모듈 내부에 설치된 공기청정기, 렌지후드, 배연창으로 구성된 공기조화기기와;
모듈 내부에 설치된 냉장고(모듈의 내/외측에 문형성, 컨트롤패드 내장), 이 온수기, 세척기, 탈수기, 방충기, 모니터(오디오기능 내장)로 구성된 주방기기로 이루어진다.
3) 운영 시스템
① 연결 계통
전기는 단자함의 배전판과 누전차단기를 통하여 전기기기, 경보기기, 소화기기, 공기조화기기, 주방기기에 연결되고, 이러한 각각의 내재된 기기들은 컨트롤패드와 연결되고,
가스는 단자함의 가스차단기를 통하여 보일러, 렌지, 오븐에 연결되고, 차단기와 가스/화재 복합 감지경보기와 연결되며,
상수도는 단자함의 밸브를 통하여 이온수기, 세척기, 씽크볼 유수감지기에 연결되고, 유수감지기에는 스프링쿨러가 연결되며, 유수감지기와 가스/ 화재 복합 감지경보기와 연결되며, 이온수기, 세척기, 씽크볼 하수구가 바닥하수구관에 연결되어 단자함의 하수밸브와 연결되며,
배연창, 보일러, 온도센서, 가스/화재 복합 감지경보기가 컨트롤패드에 연결되어 온도조절과 비상시 배연창이 상황에 적절하게 작동하게 구성된다.
② 시스템 작동
상기와 같은 본 발명 구성의 작동을 모듈의 외부에 설치 부착된 컨트롤패드의 모드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컨트롤패드 모드는 출입/ 비상/ 작동/ 온도 등의 4가지 모드로 설정되고 이러한 모드에 따른 작동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및 마이콤(도시없음)이 내장되고, 이로한 장치의 작동 수행모드를 입력하는 입력수단으로 컨트롤패드를 사용한다. 상기 프로그램 및 이를 저장한 수단 및 이를 실행하는 마이콤 수단은 통상적인 공지의 기술 수단이라 구체적인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가) 출입모드
- 출입모드(OFF상태) : 퇴실 상태
기기명 ON OFF
전열기기 보일러(겨울) 보일러(여름), 오븐, 렌지, 전등
경보기기 가스/화재 복합 감지경보기, 온도센서
소화기기 가스차단기, 유수감지기, 스프링쿨러
공기조화기기 배연창 공기청정기, 렌지후드
주방기기 냉장고, 방충기 모니터, 이온수기, 세척기, 탈수기
- 출입모드(ON상태) : 입실상태
기기명 ON OFF
전열기기 보일러(겨울), 오븐, 렌지, 전등 보일러(여름)
경보기기 가스/화재 복합 감지경보기, 온도센서
소화기기 가스차단기, 유수감지기, 스프링쿨러
공기조화기기 배연창, 공기청정기, 렌지후드
주방기기 냉장고, 방충기, 모니터, 이온수기, 세척기, 탈수기
(나) 비상모드
- 비상모드(OFF상태) : 선택 모드 상태
- 비상모드(ON상태) : 가스누출, 화재 발생 상태
기기명 ON OFF
전열기기 보일러, 오븐, 렌지, 전등
경보기기 가스/화재 복합 감지경보기, 온도센서
소화기기 가스차단기, 유수감지기, 스프링쿨러
공기조화기기 배연창 공기청정기, 렌지후드
주방기기 모니터, 이온수기, 세척기, 탈수기, 냉장고, 방충기
(다)작동모드
- 작동모드(OFF상태) : 컨트롤패드 기능 중지상태로 초기 설치시 작동을
위한 준비작업
- 작동모드(ON상태) : 컨트롤패드 초기상태로 퇴실모드로 전환
(라) 온도모드
- 온도모드 : 온도조절 스위치 및 숫자 표시판
상기와 같은 모드를 가진 모듈에 가스누출이나 화재 발생시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가스누출시 : 가스/화재 복합 감지경보기가 가스누출을 감지하면 가스경보음과 함께 감지신호를 컨트롤패드에 송신하고, 컨트롤패드는 가스차단기와 배연창 에 작동을 명령하고 외부에 상황을 송신하며, 가스차단기와 배연창은 작동 후 완료신호를 컨트롤패드에 송신하면 컨트롤패드는 가스경보음을 소거하고 가스차단기와 배연창의 작동현황을 컨트롤패드 창에 표기하면, 사용자가 상황에 따라 필요한 모드로 전환하는 절차를 가진다.
- 화재발생시 : 가스/화재 복합 감지경보기가 화재를 감지하면 화재경보음과 함께 감지신호를 컨트롤패드에 송신하고, 컨트롤패드는 유수감지기와 배연창에 작동을 명령하고 외부에 상황을 송신하며 유수감지기와 배연창은 작동 후 완료신호를 컨트롤패드에 송신하면 컨트롤패드는 화재경보음을 소거하고 유수감지기와 배연창의 작동현황을 컨트롤패드 창에 표기하면, 사용자가 상황에 따라 필요한 모드로 전환하는 절차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발명 구성의 일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방화문 쪽을 보인 일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단자함 쪽을 보인 일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C-C'선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는데, 그 구성을 보면
뼈대를 이루는 수직골조 및 수평골조에 방화용 석면 시멘트 보드가 조립되고 이후 시멘트 모르타르나 타일로 마감되어 완성된 규격화된 다면체 구조의 주방용 모듈 일측 벽면에 모듈 내외부를 사용자가 출입하도록 방화문(도어록장착)을 형성하고, 이와 마주보는 벽면에는 배연창을 구성하였다. 또한 일측면 벽면에는 단자함을 형성하여 그 내부 수납공간에 전기배전판, 누전차단기, 유수감지기, 가스차단기, 상수도밸브, 하수도밸브를 설치구성하였다. 여기에 설치 구성되는 각 구성요소들은 모듈 내부의 각 기기들과 연결됨은 물론 모듈 외부의 가스, 전기, 물 공급원들과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도면상 외부와의 연결 구성은 생략하였다.
평면상에 구성된 도면은 다면체의 상부면 만을 제거한 상태로 천장에 설치된 스프링쿨러 등의 구성요소가 보이도록 평면구성을 도시하였다.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기기들의 위치는 주방에서의 사용자의 동선에 따라 임의의 위치로 변형 설치가 가능한 것으로 도 1의 설치위치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도면에 도시된 모듈 내 기기들을 살펴보면,
모듈내의 각 기기들에 전기 및 물의 공급 및 배수를 위해 모듈의 일측에 설치되어 전기배전판, 누전차단기, 유수감지기, 가스차단기, 상수도밸브, 하수도밸브를 수납하고 있는 단자함과;
모듈내에 설치된 보일러, 오븐, 렌지, 전등으로 구성된 전열기기와;
모듈내 벽면 및 천장에 설치된 가스/화재 복합 감지경보기, 온도센서, 스프링쿨러로 구성된 경보기기 및 소화기기와;
모듈 내부에 설치된 공기청정기, 렌지후드, 배연창으로 구성된 공기조화기기와;
모듈 내부에 설치된 냉장고(모듈의 내/외측에 문 형성, 컨트롤패드 내장), 이온수기, 세척기, 탈수기, 방충기, 모니터(오디오기능 내장)로 구성된 주방기기로 이루어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전체 계통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가스 계통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상하수도 계통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온도조절 계통도를 도시하고 있는데,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주방용 모듈내의 모든 기기들 즉, 전열기기, 경보기기, 소화기기, 공기정화기기, 주방기기 및 단자함과 연결되고, 이러한 각 기기들은 이들을 제어하는 컨트롤패드와 연결 구성되어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전기는 단자함의 배전판과 누전차단기를 통하여 전기기기, 경보기기, 소화기기, 공기조화기기, 주방기기에 연결되고, 이러한 각각의 내재된 기기들은 컨트롤패드와 연결되고,
가스는 단자함의 가스차단기를 통하여 보일러, 렌지, 오븐에 연결되고, 가스차단기 및 가스/화재 복합 감지경보기는 컨트롤패드와 연결되며,
상수도는 단자함의 밸브를 통하여 이온수기, 세척기, 씽크볼 및 유수감지기에 연결되고, 유수감지기에는 스프링쿨러가 연결되며, 또한 유수감지기 및 가스/ 화재 복합 감지경보기는 컨트롤패드와 연결되며, 하수도는 이온수기, 세척기, 씽크볼 하수구가 바닥하수구관에 연결되어 단자함의 하수밸브와 연결되며,
배연창, 보일러, 온도센서, 가스/화재 복합 감지경보기가 컨트롤패드에 연결 되어 온도조절과 비상시 배연창이 상황에 적절하게 작동하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모듈을 실내에서 조립 후 이동하거나 설치할 위치에서 조립 한 후 모듈내의 기기들 장착위치에 해당 기기들을 설치하후, 이러한 기기들이 연결되는 단자함에 전기, 상하수도, 가스를 연결하면 조립이 완성 되고, 이후 컨트롤패널을 사용하여 원하는 모드로 실행하면 컨트롤 패널에 의해 모듈 내의 각 기기들이 자동으로 제어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최소면적의 주방용 모듈의 설치로 주거공간과 주방공간을 분리함으로써 합리적으로 발생되는 여분의 공간을 주거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고, 요리시 냄새를 모듈자체에서 제거하여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하며 모듈내 해충 박멸이 용이하여 위생적인 주방관리가 제공되고 위험한 생활기기들의 통합 설치로 방화 및 소화 기능을 효율적으로 운영 관리함으로서 귀중한 재산과 생명을 보호할 수 있어 안전하고 쾌적한 주거생활을 영위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 유용한 발 명으로 산업상 그 이용이 크게 기대되는 발명이다.

















Claims (3)

  1. 수직골조 및 수평골조를 조립 고정하여 다면체의 뼈대를 형성하고, 수직골조 및 수평골조가 이루는 공간부에 방화용 석면 시멘트 보드를 설치 후 수직골조 및 수평골조와 나사결합하고, 보드의 내외면에 시멘트 모르타르 또는 타일로 마감처리하여 일체로 된 모듈을 구성하고, 상기 모듈의 일측 벽면에 모듈 내외부를 사용자가 출입하도록 모듈의 일측 벽면에 방화문을 형성하고, 이와 마주보는 벽면에는 배연창을 구성하며, 또 다른 일측 벽면에는 단자함을 형성하여 그 내부 수납공간에 전기배전판, 누전차단기, 유수감지기, 가스차단기, 상수도밸브, 하수도밸브를 설치구성하고, 모듈의 내부에는 단자함에 수납된 각각의 기기와 연결되는 전열기기, 경보기기, 소화기기, 공기조화기기, 주방기기를 설치구성하고, 벽면의 외부 일측에는 상기 방화문, 단자함, 전열기기, 경보기기, 소화기기, 공기조화기기, 주방기기를 제어하는 컨트롤패드 설치 구성하며, 상기 모듈의 하부 또는 측면에는 모듈을 이동시키는 인양수단 및 이송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및 소화 기능을 가진 주방용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전기는 단자함의 배전판과 누전차단기를 통하여 전기기기, 경보기기, 소화기기, 공기조화기기, 주방기기에 연결되고, 이러한 각각의 내재된 기기들은 컨트롤패드와 연결되고,
    가스는 단자함의 가스차단기를 통하여 보일러, 렌지, 오븐에 연결되고, 가스차단기 및 가스/화재 복합 감지경보기는 컨트롤패드와 연결되며,
    상수도는 단자함의 밸브를 통하여 이온수기, 세척기, 씽크볼 및 유수감지기에 연결되고, 유수감지기에는 스프링쿨러가 연결되며, 또한 유수감지기 및 가스/ 화재 복합 감지경보기는 컨트롤패드와 연결되며, 하수도는 이온수기, 세척기, 씽크볼 하수구가 바닥하수구관에 연결되어 단자함의 하수밸브와 연결되며,
    배연창, 보일러, 온도센서, 가스/화재 복합 감지경보기가 컨트롤패드에 연결되어 온도조절과 비상시 배연창이 작동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및 소화 기능을 가진 주방용 모듈.
  3. 제 1항 내지 2항의 방화 및 소화 기능을 가진 주방용 모듈을 구비한 후 이를 출입/ 비상/ 작동/ 온도 등의 4가지 모드에 따라 설정된 프로그램이 내장된 컨트롤패드에서 제어하되, 컨트롤패드에서 각각의 모드에 따른 주방용 모듈 내 기기의 작동은,
    " (가) 출입모드
    - 출입모드(OFF상태) : 퇴실 상태
    기기명 ON OFF 전열기기 보일러(겨울) 보일러(여름), 오븐, 렌지, 전등 경보기기 가스/화재 복합 감지경보기, 온도센서 소화기기 가스차단기, 유수감지기, 스프링쿨러 공기조화기기 배연창 공기청정기, 렌지후드 주방기기 냉장고, 방충기 모니터, 이온수기, 세척기, 탈수기
    - 출입모드(ON상태) : 입실상태
    기기명 ON OFF 전열기기 보일러(겨울), 오븐, 렌지, 전등 보일러(여름) 경보기기 가스/화재 복합 감지경보기, 온도센서 소화기기 가스차단기, 유수감지기, 스프링쿨러 공기조화기기 배연창, 공기청정기, 렌지후드 주방기기 냉장고, 방충기, 모니터, 이온수기, 세척기, 탈수기
    (나) 비상모드
    - 비상모드(OFF상태) : 선택 모드 상태
    - 비상모드(ON상태) : 가스누출, 화재 발생 상태
    기기명 ON OFF 전열기기 보일러, 오븐, 렌지, 전등 경보기기 가스/화재 복합 감지경보기, 온도센서 소화기기 가스차단기, 유수감지기, 스프링쿨러 공기조화기기 배연창 공기청정기, 렌지후드 주방기기 모니터, 이온수기, 세척기, 탈수기, 냉장고, 방충기
    (다)작동모드
    - 작동모드(OFF상태) : 컨트롤패드 기능 중지상태로 초기 설치시 작동을
    위한 준비작업
    - 작동모드(ON상태) : 컨트롤패드 초기상태로 퇴실모드로 전환
    (라) 온도모드
    - 온도모드 : 온도조절 스위치 및 숫자 표시판 표시"
    와 같이 각 기기들의 전원을 제어하며,
    가스 누출시는 가스/화재 복합 감지경보기가 가스누출을 감지하면 가스경보음과 함께 감지신호를 컨트롤패드에 송신하고, 컨트롤패드는 가스차단기와 배연창에 작동을 명령하고 외부에 상황을 송신하며, 가스차단기와 배연창은 작동 후 완료신호를 컨트롤패드에 송신하면 컨트롤패드는 가스경보음을 소거하고 가스차단기와 배연창의 작동현황을 컨트롤패드 창에 표기하면, 사용자가 상황에 따라 필요한 모드로 전환하는 절차를 수행하고,
    화재발생시는 가스/화재 복합 감지경보기가 화재를 감지하면 화재경보음과 함께 감지신호를 컨트롤패드에 송신하고, 컨트롤패드는 유수감지기와 배연창에 작동을 명령하고 외부에 상황을 송신하며 유수감지기와 배연창은 작동 후 완료신호를 컨트롤패드에 송신하면 컨트롤패드는 화재경보음을 소거하고 유수감지기와 배연창의 작동현황을 컨트롤패드 창에 표기하면, 사용자가 상황에 따라 필요한 모드로 전환하는 절차를 수행토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및 소화 기능을 가진 주방용 모듈의 제어방법.
KR1020040102932A 2004-12-08 2004-12-08 방화 및 소화 기능을 가진 주방용 모듈 및 그 제어방법 KR200600642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2932A KR20060064211A (ko) 2004-12-08 2004-12-08 방화 및 소화 기능을 가진 주방용 모듈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2932A KR20060064211A (ko) 2004-12-08 2004-12-08 방화 및 소화 기능을 가진 주방용 모듈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4211A true KR20060064211A (ko) 2006-06-13

Family

ID=37159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2932A KR20060064211A (ko) 2004-12-08 2004-12-08 방화 및 소화 기능을 가진 주방용 모듈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6421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750B1 (ko) * 2007-10-05 2008-03-10 전후식 건축물의 실내소방설비
KR100981725B1 (ko) * 2007-06-04 2010-09-13 김영용 소화 시스템을 구비한 공기조화기
CN108073095A (zh) * 2017-12-29 2018-05-25 湖南湘能电力强弱电实业有限公司 一种配电室用多功能智能机器人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725B1 (ko) * 2007-06-04 2010-09-13 김영용 소화 시스템을 구비한 공기조화기
KR100810750B1 (ko) * 2007-10-05 2008-03-10 전후식 건축물의 실내소방설비
CN108073095A (zh) * 2017-12-29 2018-05-25 湖南湘能电力强弱电实业有限公司 一种配电室用多功能智能机器人
CN108073095B (zh) * 2017-12-29 2023-09-29 湘能楚天电力科技有限公司 一种配电室用多功能智能机器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7891B1 (ko) 수막형성 방화문틀 및 그 시공방법
KR100991361B1 (ko) 화재경보기능 및 가스누설차단기능을 갖는 공기환기순환장치
KR100884890B1 (ko) 화재시 배연의 기능성을 발휘하는 실내 환기시스템
KR200474888Y1 (ko) 다기능 환기 시스템
KR101306151B1 (ko) 고층건물의 화재 대피공간용 화장실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KR102175774B1 (ko) 건축구조물의 재난대피시스템
JP2016144629A (ja) ビル火災救命システムおよびビル火災救命システムの使用方法
CN111735162B (zh) 一种住宅卫生间多用途调风、火灾避难装置
US9682257B2 (en) Life-saving system for fire in multi-storey building
CN201276861Y (zh) 一种安全屋
KR20060064211A (ko) 방화 및 소화 기능을 가진 주방용 모듈 및 그 제어방법
KR102308356B1 (ko) 화재 대피실
KR20100039198A (ko) 소방장비 및 가습기 겸용 통풍장치
KR20170082397A (ko) 욕실을 이용한 화재 대피 시스템
KR20160131512A (ko) 엘리베이터 홀 환기 시스템
KR101597890B1 (ko) 수막형성 방화문틀 및 그 시공방법
JP2019196704A (ja) 建物
KR20200003989A (ko) 소방용 축전식 배연시스템
KR200480677Y1 (ko) 욕실을 이용한 화재 대피 시스템
KR20130104618A (ko) 고층 건물 화장실을 이용한 화재 대피 시스템
JP2012132206A (ja) 建物の防火換気の構造
JP3169363B1 (ja) 中高層共同住宅の換気構造
KR102525871B1 (ko) 고층 건물 화재 대피 장치
JP2008092934A (ja) ペット集合ハウス
WO2016006206A1 (ja) 建物ユニット及び建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