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2350A - 음극선관용 유리조성물 및 이것에 의하여 제조되는 전면유리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용 유리조성물 및 이것에 의하여 제조되는 전면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2350A
KR20060062350A KR1020040101167A KR20040101167A KR20060062350A KR 20060062350 A KR20060062350 A KR 20060062350A KR 1020040101167 A KR1020040101167 A KR 1020040101167A KR 20040101167 A KR20040101167 A KR 20040101167A KR 20060062350 A KR20060062350 A KR 20060062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glass composition
glass
cathode ray
ray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1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길
양재익
Original Assignee
삼성코닝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코닝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코닝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1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62350A/ko
Publication of KR20060062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235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7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 C03C3/095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rare earth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4/00Compositions for glass with speci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4/00Compositions for glass with special properties
    • C03C4/02Compositions for glass with special properties for coloured gla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63Vessels or contain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극선관용 유리조성물 및 이것에 의하여 제조되는 전면유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음극선관용 유리조성물은 0.6Å에서의 X선 흡수계수가 적어도 30cm-1 이상이고, 액상 온도에서의 점도가 적어도 105포이즈 이상이며, Si02 56∼62중량%, Na2O 7.5∼8.5중량%, K2O 6.5∼8.0중량%, BaO 9.5∼12.0중량%, SrO 8.0∼9.5중량%, ZrO2 1.5∼2.5중량%, ZnO 0.8∼1.5중량%, Al203 1.5∼2.5중량%, CeO2 0.2∼0.5중량%, TiO2 0.3∼0.5중량%, Sb2O3 0.2∼0.5중량%로 조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국제전기표준회의의 규정에 따른 방폭특성과 X선 방출량을 만족하면서도 전면유리를 효과적으로 경량화하여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음극선관용 유리조성물 및 이것에 의하여 제조되는 전면유리{GLASS COMPOSITE OF CATHODE RAY TUBE AND PANEL MANUFACTURED THEREBY}
본 발명은 음극선관용 유리조성물 및 이것에 의하여 제조되는 전면유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폭특성과 X선 방출량을 만족하면서도 효과적으로 경량화할 수 있는 음극선관용 유리조성물 및 이것에 의하여 제조되는 전면유리에 관한 것이다.
컬러텔레비전이나 컴퓨터 모니터 등의 제조에 사용되는 음극선관용 유리벌브(Glass bulb)는 기본적으로 세 가지의 구성 요소, 즉 화상이 투시되는 전면유리(Panel)와, 이 전면유리의 후면에 접합되는 원추형의 후면유리(Funnel)와, 후면유리의 꼭지점에 접합되는 관형상의 네크(Neck)로 이루어진다. 전면유리와 후면유리는 유리곱(Glass gob)이라 불리는 용융유리 덩어리를 원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프레스성형에 의하여 제조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음극선관용 전면유리는 화상을 표시하는 페이스부(Face portion)와, 이 페이스부의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실에지(Seal edge)를 갖는 스커트부(Skirt portion)와, 페이스부와 스커트부를 연결하는 블렌드라운드부 (Blend round portion)로 구성되어 있다. 후면유리는 전면유리의 실에지에 접합되는 실에지를 갖는 보디부(Body portion)와, 이 보디부의 후방에 연장되어 있는 요크부(York portion)로 구성되어 있다. 전면유리의 스커트부에는 복수개의 구멍을 갖는 섀도우마스크가 스터드핀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후면유리의 요크부에는 네크가 접합되어 있으며, 네크에는 섀도우마스크의 구멍을 통하여 페이스부의 내면에 도포되어 있는 결상용 형광체로 전자빔을 발사하는 전자총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후면유리의 요크부에는 전자총으로부터 발사되는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편향요크가 설치되어 있다.
음극선관의 내부로부터 공기가 배기되어 진공으로 될 경우에는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에 의하여 정적 응력(Static stress)이 발생되고, 정적 응력에 의하여 음극선관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음극선관은 사용자의 안전도를 보장하기 위한 국제전기표준회의(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의 방폭시험을 만족하도록 제조되어야 한다. 또한, 파장 0.06nm의 X선 방출량이 0.5mR/h를 초과하는 음극선관은 국제전기표준회의의 규정에 위배된다.
한편, 음극선관의 전면패널은 국제전기표준회의의 규정을 만족하도록 비교적 두꺼운 두께로 제조하고 있다. 그런데, 전면패널의 두께가 두껍게 되면 성형성과 접합성이 저하되고, 유리벌브의 무게가 증가되며, 생산비가 상승되는 등의 문제를 수반한다.
따라서, 유리벌브 및 음극선관 제조자는 음극선관의 대형화 및 평면화와 병행하여 유리벌브의 두께와 무게를 감소시키기 위한 경량화에 많은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유리벌브의 경량화에 따르는 구조적인 취약성을 보완할 수 있는 경량화 기술의 예로 미국 특허 제544285호, 제6448707호와 일본 특허 제2904067호 등의 많은 문헌에는 전면패널의 정적 응력을 보상하기 위하여 템퍼링(Tempering)에 의하여 전면패널의 표면에 압축응력층을 형성하는 물리적 강화방법(Physical strengthening method)이 개시되어 있다. 경량화 기술의 다른 예로 미국 특허 제4021218호, 제4055703호, 제4164402호, 제4206253호, 제4273832호 등의 많은 문헌에는 이온교환(Ion-exchange)에 의하여 전면패널의 표면에 압축응력층을 형성하는 화학적 강화방법(Chemical strengthening method)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물리적 강화방법과 화학적 강화방법에 의해서는 국제전기표준회의의 방폭특성을 만족하도록 전면유리의 두께를 감소시켜 제조할 수 있으나, 전면유리의 두께의 감소에 따라 필연적으로 증가하는 X선 방출량의 규제로 인하여 전면유리의 두께를 감소시키는데 제약을 크게 받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국제전기표준회의의 규정에 따른 방폭특성과 X선 방출량을 만족하면서도 효과적으로 경량화할 수 있는 음극선관용 유리조성물 및 이것에 의하여 제조되는 전면유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소다 바리아 실리게이트계의 음극선관용 유리조성물에 있어서, 0.6Å에서의 X선 흡수계수가 적어도 30cm-1 이상이고, 액상 온도에서의 점도가 적어도 105포이즈 이상이며, Si02 56∼62중량%, Na2O 7.5∼8.5중량%, K2O 6.5∼8.0중량%, BaO 9.5∼12.0중량%, SrO 8.0∼9.5중량%, ZrO2 1.5∼2.5중량%, ZnO 0.8∼1.5중량%, Al203 1.5∼2.5중량%, CeO2 0.2∼0.5중량%, TiO2 0.3∼0.5중량%, Sb2O3 0.2∼0.5중량%로 조성되어 있는 음극선관용 유리조성물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0.6Å에서의 X선 흡수계수가 적어도 30cm-1 이상이고, 액상 온도에서의 점도가 적어도 105포이즈 이상이며, Si02 56∼62중량%, Na2 O 7.5∼8.5중량%, K2O 6.5∼8.0중량%, BaO 9.5∼12.0중량%, SrO 8.0∼9.5중량%, ZrO2 1.5∼2.5중량%, ZnO 0.8∼1.5중량%, Al203 1.5∼2.5중량%, CeO2 0.2∼0.5중량%, TiO2 0.3∼0.5중량%, Sb2O3 0.2∼0.5중량%의 유리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음극선관용 전면유리에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유리조성물 및 이것에 의하여 제조되는 전면유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음극선관용 유리조성물은 Si02, Na2O, K2O, BaO, SrO, ZrO2, ZnO, Al203, CeO2, TiO2, Sb2O3, MgO, CaO, Li2O로 조성되는 소오다 바라아 실리게이트계 유리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유리조성물은 두께 0.6Å에서 X선 흡수계수가 30cm-1 이상이며, 음극선관용 전면유리의 제조에 적합하다. 유리조성물은 Si02 56∼62중량%, Na2O 7.5∼8.5중량%, K2O 6.5∼8.0중량%, BaO 9.5∼12.0중량%, SrO 8.0∼9.5중량%, ZrO2 1.5∼2.5중량%, ZnO 0.8∼1.5중량%, Al203 1.5∼2.5중량%, CeO2 0.2∼0.5중량%, TiO2 0.3∼0.5중량%, Sb2O3 0.2∼0.5중량%로 조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극선관용 유리조성물은 수학식 1을 만족하도록 조성되어 있다.
Figure 112004057086183-PAT00001
여기서, CNa2O는 Na20의 함량, CK20는 K2O의 함량과 CAl2O3 는 Al2O3의 함량을 나타낸다.
한편, 유리조성물은 X선 흡수계수가 30cm-1 이상이 되도록 BaO와 SrO를 주성분으로 조성하며, 유리조성물의 액상온도를 고려하여 BaO 9.5∼12.0중량%와 SrO 8.0∼9.5중량%로 조성한다. BaO와 SrO 각각이 9.5중량%와 8.0중량% 이하이면 X선 흡수계수가 30cm-1 미만으로 되고, 12중량%와 9.5중량%를 초과하면 액상온도가 상승되어 실투(Devitrification)의 가능성이 커진다. BaO와 SrO는 수학식 2를 만족하도록 조성되는 것이 실투의 발생을 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Figure 112004057086183-PAT00002
여기서, BaO와 SrO의 단위는 중량%이다.
한편, ZrO2와 ZnO는 유리조성물의 액상온도를 낮추고 X선 흡수계수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첨가하며, 유리조성물의 X선 흡수계수, 색조와 액상온도를 고려하여 ZrO2 1.5∼2.5중량%와 ZnO 0.8∼1.5중량%로 조성한다. ZrO2이 1.5중량% 미만이면 X선 흡수계수가 30cm-1 미만으로 되고, 2.5중량%를 초과하면 유리조성물의 용융성이 저하되어 전면패널으로의 프레스성형이 곤란하게 된다.
ZnO는 유리조성물의 색조를 녹색(Green)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성분이다. ZnO가 0.8중량% 미만이면 X선 흡수계수가 30cm-1 미만으로 된다. ZnO가 1.5중량%를 초과하면 전자선 브라우닝(Electron beam browning)을 증가시키는 특성에 의하여 유리조성물의 색조를 조절하기 어렵게 만들고, 전자선 브라우닝에 의한 변색이 발생될 가능성이 크다.
Al2O3는 유리조성물의 액상온도를 낮추면서 점도를 높이고, 화학적 내구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첨가한다. Al203가 1.5중량% 미만이면 유리조성물의 액상온도를 낮추기 어렵고, 점도를 높일 수 없다. Al203가 2.5중량%를 초과하면 유리조성물의 변형점과 융점이 상승된다.
CeO2는 컬러텔레비전이나 모니터 등의 음극선관에서 발생하는 X선, 전자선 등에 의한 전면유리의 변색을 방지하기 위하여 첨가한다. CeO2가 0.2중량% 미만이면 전면유리의 변색을 방지하기 어렵다. CeO2가 0.5중량%를 초과하면 변색의 방지에는 효과적이나 유리조성물의 색조를 조절하기 어렵게 되고, 고가의 CeO2을 많은 양으로 사용하는데 따른 비용이 상승된다.
0.3∼0.5중량%의 TiO2를 첨가하는 것에 의해서는 CeO2만을 첨가하는 것보다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자외선에 의한 유리조성물의 변색을 방지할 수 있다. TiO2가 0.3중량% 미만이면 자외선에 의한 유리조성물의 변색을 방지하는데 충분하지 않고, 0.5중량%를 초과하면 가시부단파장측의 흡수가 커져 유리조성물의 색조를 조절하기 어렵게 된다.
또한, 알카리 산화물인 Na2O 7.5∼8.5중량%와 K2O 6.5∼8.0중량%를 조절하여 유리조성물의 색조를 원하는 색좌표의 범위로 조절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유리조성물의 열팽창율, 변형점, 서냉점과 연화점을 조절할 수 있다. Na2O와 K2O 각각이 7.5중량%와 6.5중량% 미만이면 유리조성물의 열팽창계수가 낮아져 후면유리의 열팽창계수와 정합되지 않게 된다. Na2O와 K2O 각각이 8.5중량%와 8.0중량%를 초과하면 유리조성물의 점도가 낮아져 프레스성형이 곤란하며, 전기절연성이 저하된다. 특히, Na20, K2O와 Al2O3의 조성비가 수학식 1을 만족하도록 조성함으로써, 유리조성물의 물성을 용해와 프레스성형에 적합하도록 조절하고, 유리조성물의 색조를 일반적인 전면유리의 수준으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NiO, CoO와 Cr2O3 등의 착색제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첨가하여 유리조성물의 색조를 조절한다. 착색제들의 사용에 의하여 색좌표에서 청색(Blue) 방향으로의 조절은 가능하지만 적색(Red) 방향으로의 조절은 어렵다. 따라서, 착색제들을 첨가하기 전에 유리조성물의 기본 색조를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해야 한다. 즉, 유리조성물의 기본 색조를 조절한 후, 200ppm 이하의 착색제들을 첨가하여 일반적인 전면유리의 수준으로 색조를 조절한다. 착색제들이 200ppm을 초과하면 광투과율이 크게 낮아져 음극선관의 대조(Contrast)가 저하된다.
유리조성물은 Si02, Na2O, K2O, BaO, SrO, ZrO2, ZnO, Al2 03, CeO2, TiO2와 Sb2O3로 조성되는 원료와, 이 원료에 첨가되는 NiO, CoO와 Cr2O3의 착색제 이외에도 미량의 불순물, 예를 들어 MgO, CaO, Li2O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불순물은 그 함량이 극히 적어 유리조성물의 물성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는 수준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유리조성물은 이하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에 의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유리조성물에 대한 조성은 표 1에 나타냈으며, 각 성분의 합은 100에 가깝다. 표 1의 각 성분은 각 원료들로부터 계산된 산화물 형태의 무게를 근거로 표시하였고, 각 원료들은 산화물이나 다른 형태의 화합물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용융시 원하는 산화물 형태로 바뀌게 된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유리조성물은 각 원료들을 평량하여 믹서(Mixer) 에 의하여 혼합한 후, 백금도가니에 투입하여 전기로에서 1450℃로 용융 및 재용융 과정을 거쳐 4시간 정도 용융한다. 다음으로, 용융된 유리조성물은 가로×세로×높이가 200×100×10mm의 크기로 제작되어 있는 흑연틀에 의하여 성형한 후, 서냉로에 투입하여 550℃에서 1시간 동안 유지시키고, 서냉로로부터 인출하여 상온으로 냉각하여 전면패널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1은 일반적으로 상용화되어 있는 음극선관용 전면패널이다. 비교예2는 미국특허 제6103640호 유리조성물의 조성이며, 비교예3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206466호 유리조성물의 조성이다. 비교예2와 비교예3의 유리조성물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유리조성물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면패널로 제조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조성 중량%
SiO2 59.8 59.7 58.9 58.3 60.25 57.50 58.5∼60.5
Na2O 7.55 7.82 8.00 7.70 7.90 6.73 6∼7.5
K2O 7.33 7.10 6.90 7.00 7.20 8.04 8∼9.5
BaO 10.6 10.5 10.9 11.5 9.70 12.16 8∼9.5
SrO 8.70 8.60 8.50 8.90 8.70 8.22 8∼9.5
ZrO2 1.90 1.90 2.20 2.20 1.50 3.00 2.5∼3.5
ZnO 1.00 1.00 1.20 1.00 0.50 1.75 1∼2.5
Al2O3 1.90 2.30 2.30 2.30 2.00 1.50 1∼2.5
CeO2 0.27 0.27 0.27 0.27 0.30 0.30 0.1∼0.6
TiO2 0.42 0.42 0.42 0.42 0.40 0.40 0.3∼0.6
Sb2O3 0.30 0.30 0.30 0.30 0.40 0.40 0.2∼0.5
MgO 〈0.1* 〈0.1* 〈0.1* 〈0.1* 〈0.1* 〈0.1* 0∼1
CaO 〈0.2* 〈0.2* 〈0.2* 〈0.2* 〈0.2* 〈0.2* 0∼1
Li2O - - - - - - -
*: 미량
한편,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와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의 전면패널에 대하여 X선 흡수계수와 물성 특성치를 평가하고, 색상의 측정은 스펙트로미터를 사용하 여 400∼700nm 사이를 10nm 마다 전면패널을 통한 빛의 투과를 실측하여 표 2에 나타냈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물성 및 특성치 μ(0.6Å) 30.9 30.6 31.4 32.5 28.9 34.3 32.0
밀도(g/cc) 2.813 2.811 2.830 2.846 2.7750 2.8800 2.85
액상 온도(℃) 898 898 899 900 897 903 910
105포이즈 온도(℃) 909 910 910 912 898 910 912
열팽창계수(×10-7/℃) 98.1 98.1 98.3 98.5 98.3 98.6 98.4
변형점(℃) 476 476 477 479 473 493 481
서냉점(℃) 519 520 520 522 514 532 -
색조 Y 53.5 52.5 52.5 52.5 52.5 51.5 53.5
x 0.2832 0.2836 0.2840 0.2836 0.2835 0.2839 0.842
y 0.3151 0.3150 0.3150 0.3150 0.3154 0.3146 0.3167
유리조성물의 X선 흡수능력(Fx)은 수학식 3에 의하여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04057086183-PAT00003
여기서,
Figure 112004057086183-PAT00004
는 유리조성물의 X선 흡수계수를 나타내고, t는 유리조성물의 두계를 나타낸다.
수학식 3에 의하여 유리조성물의 X선 흡수계수가 증가할수록 상대적으로 유리조성물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전면패널을 경량화하여 제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의 30.9cm-1 유리조성물은 X선 방출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때, 전면 패널의 두께는 비교예 1의 전면패널 두께에 대하여 7% 정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전면패널의 두께 감소로 성형성을 향상시키고, 제조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유리조성물은 97∼99×10-7/℃이고, 변형점이 479∼490℃이며, 서냉점이 530℃ 이하이고, 점도가 105포이즈(Poise) 이상이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유리조성물에 의해서는 색조를 컬러텔레비전의 전면유리에 요구되는 수준으로 조절하여 제조할 있으며, 생산성이 우수한 경량화된 전면유리를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비교예 1의 유리조성물은 X선 흡수계수 이외의 제반 특성을 만족하지만, 큰 X선 질량흡수계수를 가지는 SrO, BaO, ZnO, ZnO2 등의 성분이 작기 때문에 29cm-1 정도의 X선 흡수계수를 나타낸다. 비교예 2와 비교예 3의 유리조성물은 0.6Å의 X선 파장을 기준으로 하여 32cm-1 이상으로 높은 X선 흡수계수를 갖는다. 그러나 비교예 2와 비교예 3의 유리조성물은 비교적 고가인 ZnO와 ZrO2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제조비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유리조성물의 제조비에 비하여 10% 정도 상승된다.
일반적으로 유리조성물의 액상온도는 유리의 결정화에 의하여 발생하는 결함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생산성에 매우 중요한 요소로 취급되며, 액상온도 자체보다는 점도가 중요한 지표로 작용된다.
유리조성물의 성형공정에서 유리조성물이 장시간 정체되어 있거나 결정성장속도가 빠른 유리조성물의 경우에 있어서는, 유리조성물 자체의 결정화에 의하에 불균질한 유리가 생성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액상온도가 성형온도보다 낮으면서 상응하는 점도를 커야 한다. 전면유리의 성형은 105포이즈 정도의 점도를 가지는 온도에서 이루어지며, 이 온도와 액상온도의 차이가 크지 않으면 성형공정에서 실투가 일어날 가능성이 줄어든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유리조성물의 액상온도에 상응하는 유리조성물의 점도가 평가되어야 한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액상온도는 105포이즈에서의 온도보다 낮으므로, 유리조성물의 액상온도에 상당하는 점도가 105포이즈 이상으로 실투 측면에서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유리조성물에 의하면, 국제전기표준회의의 규정에 따른 방폭특성과 X선 방출량을 만족하면서도 전면유리를 효과적으로 경량화하여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소다 바리아 실리게이트계의 음극선관용 유리조성물에 있어서,
    0.6Å에서의 X선 흡수계수가 적어도 30cm-1 이상이고, 액상 온도에서의 점도가 적어도 105포이즈 이상이며, Si02 56∼62중량%, Na2O 7.5∼8.5중량%, K2O 6.5∼8.0중량%, BaO 9.5∼12.0중량%, SrO 8.0∼9.5중량%, ZrO2 1.5∼2.5중량%, ZnO 0.8∼1.5중량%, Al203 1.5∼2.5중량%, CeO2 0.2∼0.5중량%, TiO2 0.3∼0.5중량%, Sb2O3 0.2∼0.5중량%로 조성되어 있는 음극선관용 유리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조성물은,
    Figure 112004057086183-PAT00005
    Figure 112004057086183-PAT00006
    을 만족하도록 조성되며, 여기서 CNa2O는 Na20의 함량, CK20는 K2O의 함량과 CAl2O3는 Al2O3의 함량을 나타내는 음극선관용 유리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조성물은 열팽창계수가 97∼99×107/℃이며, 서냉점이 510∼530℃이고, 변형점이 470∼490℃인 음극선관용 유리조성물.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조성물은 착색제 CoO, NiO, Cr2O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200ppm 이하로 더 포함하는 음극선관용 유리조성물.
  5. 0.6Å에서의 X선 흡수계수가 적어도 30cm-1 이상이고, 액상 온도에서의 점도가 적어도 105포이즈 이상이며, Si02 56∼62중량%, Na2O 7.5∼8.5중량%, K2O 6.5∼8.0중량%, BaO 9.5∼12.0중량%, SrO 8.0∼9.5중량%, ZrO2 1.5∼2.5중량%, ZnO 0.8∼1.5중량%, Al203 1.5∼2.5중량%, CeO2 0.2∼0.5중량%, TiO2 0.3∼0.5중량%, Sb2O3 0.2∼0.5중량%의 유리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음극선관용 전면유리.
KR1020040101167A 2004-12-03 2004-12-03 음극선관용 유리조성물 및 이것에 의하여 제조되는 전면유리 KR200600623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1167A KR20060062350A (ko) 2004-12-03 2004-12-03 음극선관용 유리조성물 및 이것에 의하여 제조되는 전면유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1167A KR20060062350A (ko) 2004-12-03 2004-12-03 음극선관용 유리조성물 및 이것에 의하여 제조되는 전면유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2350A true KR20060062350A (ko) 2006-06-12

Family

ID=37158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1167A KR20060062350A (ko) 2004-12-03 2004-12-03 음극선관용 유리조성물 및 이것에 의하여 제조되는 전면유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6235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77286A (en) Lead-free glasses of high x-ray absorption for cathode ray tubes
EP0499039B1 (en) Glasses for cathode ray tube faceplates
KR20080033254A (ko) 낮은 적외선 투과율을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용 유리 기판
US3805107A (en) Faceplate for television picture tube
US6790799B2 (en) Glass panel for color cathode ray tube, and cathode ray tube
EP0360965B1 (en) Glass for projection cathode ray tube faceplate
JP2525737B2 (ja) 陰極線管パネルガラス
JP2008305711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ガラス基板
JP2001348248A (ja) 陰極線管用ガラス、その製造方法および陰極線管用ガラスパネル
US6103649A (en) High X-ray absorbing panel glass for cathode ray tubes
JPS5884142A (ja) 陰極線管パネルガラス
KR20060062350A (ko) 음극선관용 유리조성물 및 이것에 의하여 제조되는 전면유리
JPS59107941A (ja) カラ−陰極線管用パネルガラス
US6820443B2 (en) Method of producing CRT funnel glass suitable for glass recycling, and CRT funnel glass
US6642163B2 (en) CRT funnel of a non beam-index type
US20050209086A1 (en) Panel glass for cathode ray tube
KR20000070211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기판 유리
JP3777635B2 (ja) 陰極線管用ガラス組成物
KR100431728B1 (ko) 프라즈마영상표시판넬용기판유리조성물
KR100243063B1 (ko) X선 고흡수 영상표시판넬 유리조성물
CN1298012C (zh) 阴极射线管面板玻璃
KR830002473B1 (ko) 음극 선관
KR20060124403A (ko) 유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음극선관용 펀넬
JP2000159542A (ja) 陰極線管用ネックガラス及びステムベースガラス
JP2003183046A (ja) 非ビームインデックス型陰極線管用ファン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