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1692A - 복합 녹화기에서의 복사 녹화 방법 - Google Patents

복합 녹화기에서의 복사 녹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1692A
KR20060061692A KR1020040100502A KR20040100502A KR20060061692A KR 20060061692 A KR20060061692 A KR 20060061692A KR 1020040100502 A KR1020040100502 A KR 1020040100502A KR 20040100502 A KR20040100502 A KR 20040100502A KR 20060061692 A KR20060061692 A KR 20060061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copy
medium
recorder
recording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0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희
김행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40100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61692A/ko
Publication of KR20060061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16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53Monitoring storage devices or syste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5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plurality of recording/reproducing devices, e.g. modular arrangements, arrays of disc driv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20/10833Copying or moving data from one record carrier to an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 녹화기에서의 복사 녹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개시된 복사 녹화 방법은 명령 입력을 대기하는 상태에서 복사 기능 버튼이 입력되어 복사 기능이 선택되면 재생 매체의 선택을 대기하는 단계와, 재생 매체 선택 버튼이 입력되어 재생 매체가 선택되면 재생 매체를 설정한 후 녹화 매체의 선택을 대기하는 단계와, 녹화 매체 선택 버튼이 입력되어 녹화 매체가 선택되면 녹화 매체를 설정하는 단계와, 설정된 재생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복사하여 설정된 녹화 매체에 녹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복합 녹화기에서 어느 하나의 기기(매체)에서 다른 기기로 데이터를 복사하는 다양한 복사 녹화 모드를 지원함에 있어서 특수 복사 기능 버튼을 최소화하면서도 사용자의 버튼 입력에 대한 편리성을 제고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복합 녹화기에서의 복사 녹화 방법{METHOD FOR COPY RECORDING IN COMPLEX RECORDER}
도 1 및 도 2는 일반적인 복합 녹화기의 예를 보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녹화기에서의 복사 녹화 방법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녹화기에서의 복사 녹화 방법의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 복합 녹화기 10 : 디브이디 레코더
20 :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30 : 하드 디스크 레코더
본 발명은 복합 녹화기에서의 복사 녹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브이디 레코더(DVD-RW),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VCR), 하드 디스크 레코더(HDD-R) 등과 같은 서로 다른 복수의 기기들이 일체로 구성된 복합 녹화기에서 어느 하나의 기기(매체)에서 다른 기기로 데이터를 복사 녹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 다.
일반적으로,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장치가 하나의 통합된 시스템으로 연결된 것을 "콤비네이션 시스템(combination system)" 또는 "콤보시스템(combo-system)"이라 하며, 이를 약칭하여 "콤보(combo)"라 칭하기도 한다.
이러한 콤보시스템의 대표적인 예로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기록매체 녹화장치인 디브이디 레코더(DVD-RW)(10)와 자기기록매체 녹화장치인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20)를 하나로 통합한 복합 녹화기(1)가 있다.
복합 녹화기(1)는 자기기록매체에 기록된 영상과 음향 데이터를 재생하는 기능, 외부에서 수신된 신호를 자기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능 등과 같은 일반적인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기능, DVD에 기록된 영상과 음향 데이터를 재생하는 기능, 외부에서 수신된 신호를 광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능 등과 같이 일반적인 디브이디 레코더의 기능을 제공함은 물론이고, 자기기록매체에서 광기록매체로 데이터를 복사 녹화하는 기능, 광기록매체에서 자기기록매체로 데이터를 복사 녹화하는 기능 등과 같은 복합 기능을 제공한다.
그런데, 사용자가 복사 녹화 기능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녹화기기(매체)를 먼저 녹화 대기상태로 설정한 후에 재생기기를 재생 상태로 설정하여야 하는 등의 번거로운 인터페이스 과정을 거쳐야만 한다.
이에 따라, 복합 녹화기(1)의 복사 녹화 기능 중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복사 녹화 모드, 즉 광기록매체에서 자기기록매체로 데이터를 복사 녹화하는 기능을 "큐 복사(Q-COPY)"라 명명하고, 특수 복사 기능 버튼을 배정하기도 한다.
그러나, 근래에는 복합 녹화기가 다양화되고 복합 녹화기를 구성하는 기기들의 수가 증가하면서 복사 녹화 모드가 다양화되었으며, 이에 따라 특수 복사 기능 버튼을 배정하는 방식은 리모트 컨트롤러나 조작 패널의 공간 제약 등으로 그 적용에 있어서 어려움이 있다.
도 2는 광기록매체 녹화장치인 디브이디 레코더(10), 자기기록매체 녹화장치인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20), 하드 디스크 드라이버를 녹화 매체로 이용하는 하드 디스크 레코더(HDD-R)(30) 등을 하나로 통합한 복합 녹화기(2)이다.
이러한 복합 녹화기(2)에서 제공하는 복사 녹화 모드를 살펴보면, DVD → VCR, DVD → HDD, VCR → DVD, VCR → HDD, HDD → DVD, HDD → VCR 등과 같이 6개의 복사 녹화 모드를 제공한다.
따라서, 이러한 복합 녹화기(2)에 특수 복사 기능 버튼을 배정하는 방식을 적용할 경우에는 총 6개의 버튼을 배정하여야 하나, 이는 리모트 컨트롤러나 조작 패널의 디자인 룰을 고려하면 그 적용에 있어서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한 것으로, 디브이디 레코더,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하드 디스크 레코더 등과 같은 서로 다른 복수의 기기들이 일체로 구성된 복합 녹화기에서 어느 하나의 기기(매체)에서 다른 기기로 데이터를 복사하는 다양한 복사 녹화 모드를 지원함에 있어서 특수 복사 기능 버튼을 최소화하면서도 사용자의 버튼 입력에 대한 편리성이 제고되도록 한 복 사 녹화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복합 녹화기의 복사 녹화 방법은, 명령 입력을 대기하는 상태에서 복사 기능 버튼이 입력되어 복사 기능이 선택되면 재생 매체의 선택을 대기하는 단계와, 재생 매체 선택 버튼이 입력되어 재생 매체가 선택되면 재생 매체를 설정한 후 녹화 매체의 선택을 대기하는 단계와, 녹화 매체 선택 버튼이 입력되어 녹화 매체가 선택되면 녹화 매체를 설정하는 단계와, 설정된 재생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복사하여 설정된 녹화 매체에 녹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복합 녹화기의 복사 녹화 방법은, 명령 입력을 대기하는 상태에서 복사 기능 버튼이 입력되어 복사 기능이 선택되면 다수의 복사 녹화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복사 녹화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소정의 복사 녹화 모드가 선택되면 해당 선택 정보에 의거하여 재생 매체 및 녹화 매체를 설정하는 단계와, 설정된 재생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복사하여 설정된 녹화 매체에 녹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녹화기에서의 복사 녹화 방법의 흐 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사 녹화 방법은, 명령 입력을 대기하는 상태에서 복사 기능 버튼이 입력되어 복사 기능이 선택되면 재생 매체의 선택을 대기하는 단계(단계 S101∼S105)와, 재생 매체 선택 버튼이 입력되어 재생 매체가 선택되면 재생 매체를 설정한 후 녹화 매체의 선택을 대기하는 단계(단계 S107∼S111)와, 녹화 매체 선택 버튼이 입력되어 녹화 매체가 선택되면 녹화 매체를 설정한 후에 설정된 재생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복사하여 설정된 녹화 매체에 녹화하는 단계(단계 S113∼S117)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복사 녹화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하나의 복사 기능 버튼을 배정하고, 복합 녹화기를 구성하는 녹화기기(매체)의 수와 동일한 수의 매체 선택 버튼을 배정하면 다양한 복사 녹화 모드를 모두 지원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복사 기능 버튼과 매체 선택 버튼은 통상의 리모트 컨트롤러 또는 조작 패널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사 녹화 방법이 도 2의 복합 녹화기(2)에서 수행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먼저, 복합 녹화기(2)는 사용자에 의해 각종 명령이 입력되기를 대기하는 상태(단계 S101)에서 복사 기능 버튼이 조작(단계 S103)되어 복사 기능이 선택되면 복사 녹화 모드에 진입하여 사용자가 재생 매체를 선택하기를 대기한다(단계 S105).
사용자는 디브이디 레코더(10),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20), 하드 디스크 레 코더(30) 등과 1:1 대응하게 배정된 매체 선택 버튼 중에서 어느 하나의 매체 선택 버튼을 조작하여 재생 매체를 선택한다(단계 S107).
그러면, 복합 녹화기(2)는 선택된 매체 선택 버튼에 대응하는 녹화기기를 재생 매체로 설정(단계 S109)한 후에 사용자가 녹화 매체를 선택하기를 대기한다(단계 S111). 예로서, 단계 S107에서 재생 매체로서 디브이디 레코더(10)가 선택되면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20)와 하드 디스크 레코더(30) 중에서 어느 하나가 녹화 매체로서 선택되기를 대기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디브이디 레코더(10),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20), 하드 디스크 레코더(30) 등과 1:1 대응하게 배정된 매체 선택 버튼 중에서 단계 S107에서 선택한 버튼을 제외한 나머지 버튼 중 어느 하나의 매체 선택 버튼을 조작하여 녹화 매체를 선택한다(단계 S113).
그러면, 복합 녹화기(2)는 선택된 매체 선택 버튼에 대응하는 녹화기기를 녹화 매체로 설정(단계 S115)한 후에 단계 S109에서 설정된 재생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복사하여 단계 S115에서 설정된 녹화 매체에 데이터를 녹화한다(단계 S117). 예로서, 단계 S109에서 재생 매체로서 디브이디 레코더(10)가 설정되고 단계 S115에서 녹화 매체로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20)가 설정된 경우에, 디브이디 레코더(10)에 삽입된 디브이디로부터 데이터를 복사하여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20)에 삽입된 비디오 카세트에 녹화 기록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녹화기에서의 복사 녹화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사 녹화 방법은, 명령 입력을 대기하는 상태에서 복사 기능 버튼이 입력되어 복사 기능이 선택되면 다수의 복사 녹화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복사 녹화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SD)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단계 S201∼S205)와,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소정의 복사 녹화 모드가 선택되면 해당 선택 정보에 의거하여 재생 매체 및 녹화 매체를 설정하는 단계(단계 S207∼S209)와, 설정된 재생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복사하여 설정된 녹화 매체에 녹화하는 단계(단계 S211)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복사 녹화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하나의 복사 기능 버튼을 배정하고, 공지의 OSD 인터페이스 기술을 적용하면 다양한 복사 녹화 모드를 모두 지원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복사 기능 버튼은 통상의 리모트 컨트롤러 또는 조작 패널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사 녹화 방법이 도 2의 복합 녹화기(2)에서 수행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먼저, 복합 녹화기(2)는 사용자에 의해 각종 명령이 입력되기를 대기하는 상태(단계 S201)에서 복사 기능 버튼이 조작(단계 S203)되어 복사 기능이 선택되면 복사 녹화 모드에 진입한다. 복사 녹화 모드에서는 다수의 복사 녹화 모드, DVD → VCR 모드, DVD → HDD 모드, VCR → DVD 모드, VCR → HDD 모드, HDD → DVD 모드, HDD → VCR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복사 녹화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OSD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한다(단계 S205).
여기서, 사용자는 OSD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수의 복사 녹화 모드 중에서 자 신이 원하는 어느 하나의 복사 녹화 모드를 선택한다(단계 S207).
그러면, 복합 녹화기(2)는 OSD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선택된 소정의 복사 녹화 모드에 의거한 해당 선택 정보에 의거하여 재생 매체 및 녹화 매체를 설정하며(단계 S209), 재생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복사하여 녹화 매체에 데이터를 녹화한다(단계 S211). 예로서, 단계 S205에서 DVD → VCR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디브이디 레코더(10)에 삽입된 디브이디로부터 데이터를 복사하여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20)에 삽입된 비디오 카세트에 녹화 기록하는 것이다.
지금까지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국한하여 설명하였으나,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이 자명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디브이디 레코더,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하드 디스크 레코더 등과 같은 서로 다른 복수의 기기들이 일체로 구성된 복합 녹화기에서 어느 하나의 기기(매체)에서 다른 기기로 데이터를 복사하는 다양한 복사 녹화 모드를 지원함에 있어서 특수 복사 기능 버튼을 최소화하면서도 사용자의 버튼 입력에 대한 편리성을 제고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명령 입력을 대기하는 상태에서 복사 기능 버튼이 입력되어 복사 기능이 선택되면 재생 매체의 선택을 대기하는 단계와,
    재생 매체 선택 버튼이 입력되어 상기 재생 매체가 선택되면 상기 재생 매체를 설정한 후 녹화 매체의 선택을 대기하는 단계와,
    녹화 매체 선택 버튼이 입력되어 상기 녹화 매체가 선택되면 상기 녹화 매체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재생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복사하여 상기 설정된 녹화 매체에 녹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복합 녹화기에서의 복사 녹화 방법.
  2. 명령 입력을 대기하는 상태에서 복사 기능 버튼이 입력되어 복사 기능이 선택되면 다수의 복사 녹화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복사 녹화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소정의 복사 녹화 모드가 선택되면 해당 선택 정보에 의거하여 재생 매체 및 녹화 매체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재생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복사하여 상기 설정된 녹화 매체에 녹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복합 녹화기에서의 복사 녹화 방법.
KR1020040100502A 2004-12-02 2004-12-02 복합 녹화기에서의 복사 녹화 방법 KR200600616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0502A KR20060061692A (ko) 2004-12-02 2004-12-02 복합 녹화기에서의 복사 녹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0502A KR20060061692A (ko) 2004-12-02 2004-12-02 복합 녹화기에서의 복사 녹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1692A true KR20060061692A (ko) 2006-06-08

Family

ID=37158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0502A KR20060061692A (ko) 2004-12-02 2004-12-02 복합 녹화기에서의 복사 녹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6169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084126A (ja) 自動ビデオマルチプレクサ
WO200805412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eproduction of audio/visual data
JP2006185572A (ja) 映像再生装置および映像再生方法
US8532458B2 (en) Picture search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reproduction
US8155499B2 (en) Screen saving method of image apparatus
JP2002352563A (ja) 記録装置、データ管理装置及びデータ管理方法
KR20060061692A (ko) 복합 녹화기에서의 복사 녹화 방법
JP2003153140A (ja) 情報記録装置
JP2007096724A (ja) 動画再生装置及び動画再生方法
JP2008084172A (ja) 映像記録・再生装置
CN100592769C (zh) 视频装置及其控制方法以及记录视频或视频信号的方法
JP2007164866A (ja) 映像信号再生装置
JP2008112495A (ja) 記録再生装置
KR100536839B1 (ko) 복수 메뉴 디스플레이 영상 기록/재생 장치 및 그 표시방법
JP2008217540A (ja) 映像情報再生装置及びhddレコーダ
JP2008182568A (ja) 記録再生複合機
JP2005223532A (ja) 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映像信号記録再生方法及び映像信号記録再生システム
JP2004095120A (ja) ダビングシステム
JP2006269046A (ja) 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4295450B2 (ja) 多言語対応の情報再生装置
US20060051051A1 (en) Combination recording apparatus for simultaneous recording and method thereof
JP2004133499A (ja) 情報再生装置におけるメニュー表示画面の選択装置
JP3127475U (ja) 情報記録再生装置
KR20070018619A (ko) 광 디스크 시스템의 애니키 실행장치 및 실행방법
KR20070059532A (ko) 복합 녹화기에서의 복사 녹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