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0492A - 광모듈 및 이를 이용한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광모듈 및 이를 이용한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0492A
KR20060060492A KR1020040099566A KR20040099566A KR20060060492A KR 20060060492 A KR20060060492 A KR 20060060492A KR 1020040099566 A KR1020040099566 A KR 1020040099566A KR 20040099566 A KR20040099566 A KR 20040099566A KR 20060060492 A KR20060060492 A KR 20060060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circuit board
light
cas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9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0368B1 (ko
Inventor
최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애트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애트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애트랩
Priority to KR1020040099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0368B1/ko
Priority to TW094141847A priority patent/TWI292550B/zh
Priority to US11/290,340 priority patent/US7609250B2/en
Priority to CNB2005101258632A priority patent/CN100421060C/zh
Publication of KR20060060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0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0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0368B1/ko
Priority to US12/559,960 priority patent/US2010000195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06F3/0317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in co-operation with a patterned surface, e.g. absolute position or relative movement detection for an optical mouse or pen positioned with respect to a coded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모듈 및 이를 이용한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광원과 센서가 실장된 회로기판과, 이 회로기판의 일면에 결합되는 렌즈 및 회로기판의 타면에 결합되어 센서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지지브라켓으로 이루어지는 광모듈과,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이 관통공에 광모듈의 렌즈가 인입되는 본체로 구성됨으로써, 렌즈의 높이에 의해 빛이 수광되는 센서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일정한 초점심도를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광마우스, 렌즈

Description

광모듈 및 이를 이용한 입력장치{Optical Module and Input Apparatus using the same}
도 1은 일반적인 광모듈을 이용한 광마우스의 시스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광마우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모듈을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마우스의 구성을 분해한 분해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마우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광모듈
210 : 회로기판
212 : 광원
214 : 센서
216 : 스프링
220 : 렌즈
225 : 고정돌기
230 : 지지브라켓
235 : 제 2걸림턱
260 : 베이스 플레이트
264 : 제 1걸림턱
265 : 관통공
266 : 고정단
270 : 커버
본 발명은 광모듈 및 이를 이용한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입력장치의 본체에 렌즈를 인입시켜 렌즈가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피사체와 직접 접하게 하는 광모듈을 이용한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모듈 입력장치는 실생활에서 셀룰러폰(Cellular phone)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 리모트 컨트롤(Remote control) 및 컴퓨터용 광마우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한편, 광마우스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커서를 이용하여 위치를 지시하는 컴퓨터 주변기기로서, 조사된 빛의 반사량을 이용하여 마우스의 이동상태를 검출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광모듈 입력장치의 시스템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마우스의 시스템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광마우스는 내부에 장착된 광원(12) 예컨대, 발광다이오드에서 조사된 빛의 반사량을 이용하여 마우스의 X, Y축의 이동량을 감지한다. 즉, 광원(12)에서 조사된 빛은 바닥면 즉, 피사체(15)에 의해 반사되고, 피사체(15)에서 반사된 빛은 마우스 내부에 장착된 렌즈(20)에 의해 집광되며, 집광된 빛은 광센서(14)에 수광된다. 이와 같이 빛을 수광하는 센서(14)는 수광량의 변화량을 통해 마우스의 X, Y축의 이동량을 검출하고 그에 따른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여 MCU(40)에 전달하고, 이렇게 출력된 신호는 버튼(45)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와 더불어 컴퓨터(50)로 전송된다.
이러한 광모듈이 실제로 적용되는 광마우스의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홈이 마련된 베이스 플레이트(3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에 형성된 홈 위에 안착되는 렌즈(20)를 구비한다.
또한, 센서(14)와 광원(12) 등이 안착된 회로기판(10)이 상기 렌즈(20)의 상면에 결합되어 광모듈의 조립이 완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광마우스에 있어서 센서(14)와 광원(12)이 안착된 회로기판(10)과 렌즈(20) 및 베이스 플레이트(30) 등이 각각 따로 조립되어 이로 인해 형성 되는 조립공차에 의해 각각 생산되는 광마우스는 피사체(15)와 베이스 플레이트(30)에 안착되는 렌즈(20)의 높이와 렌즈(20)에 의해 빛이 수광되는 센서(14)의 높이를 일정하게 맞출 수 없어 각각 생산되는 광마우스마다 데이터가 틀려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는 휴대용 단말기나 리모트 컨트롤 등 광모듈을 사용하는 모든 광모듈 입력장치에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예를 들면, 베이스 플레이트의 높이가 2.4±0.2mm 에서 같은 금형일지라도 열처리나 재질 및 기타 원인 등에 의해 사출물이 눈에 보이지 않게 변형된 베이스 플레이트를 사용할 경우와 센서를 회로기판에 조립하여 베이스 플레이트와 조립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공차가 있어 광센서가 요구하는 평탄도나 일정한 높이를 맞출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광모듈을 설계하는데 있어서, 센서가 정확하게 바닥의 이미지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기구적으로 치수를 일정하게 유지해야 하는 전제 조건들의 유지가 어려워 광모듈 설계의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렌즈를 직접 피사체와 접하게 함으로써, 렌즈에 의해 빛이 수광되는 센서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광모듈 및 이를 이용한 입력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빛이 조사되는 광원과 빛을 수광하는 센서가 실장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의 일면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으 로부터 조사된 빛이 반사되는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빛을 결상하여 상기 센서로 전달하는 렌즈 및 상기 회로기판의 타면에 설치되는 지지브라켓을 포함하는 광모듈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지지브라켓의 사이에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탄성력에 의해 상기 렌즈를 밀어줌으로써, 상기 렌즈 밑면이 피사체와 직접 접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와, 빛이 조사되는 광원과 빛을 수광하는 센서가 실장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의 일면에 설치되어 상기 관통공에 인입되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이 반사되는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빛을 결상하여 상기 센서로 전달하는 렌즈 및 상기 회로기판의 타면에 설치되어 상기 렌즈와 회로기판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브라켓을 포함하는 광모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마우스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렌즈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안,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된 제 1걸림턱과 고정단과, 상기 지지브라켓에 형성된 제 2 걸림턱 및 상기 렌즈에 형성된 고정돌기로 이루어진 고정수단이 더 포함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 1걸림턱과 상기 제 2 걸림턱은 서로 맞물려 상기 렌즈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고정단과 상기 고정돌기는 서로 맞물려 상기 렌즈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안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 다.
그리고, 상기 렌즈의 하부에는 상기 피사체와 상기 렌즈간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미끄럼 풋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된 케이스와, 빛이 조사되는 광원과 빛을 수광하는 센서가 실장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의 일면에 설치되어 상기 관통공에 인입되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이 반사되는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빛을 결상하여 상기 센서로 전달하는 렌즈 및 상기 회로기판의 타면에 설치되어 상기 렌즈와 회로기판이 상기 케이스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브라켓을 포함하는 광모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렌즈가 상기 케이스의 안,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제 1걸림턱과 고정단과, 상기 지지브라켓에 형성된 제 2 걸림턱 및 상기 렌즈에 형성된 고정돌기로 이루어진 고정수단이 더 포함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 1걸림턱과 상기 제 2 걸림턱은 서로 맞물려 상기 렌즈가 상기 케이스 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고정단과 상기 고정돌기는 서로 맞물려 상기 렌즈가 상기 케이스 안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된 케이스와, 빛이 조사되는 광원과 빛을 수광하는 센서가 실장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의 일면에 설치되어 상기 관통공에 인입되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이 반사되는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빛을 결상하여 상기 센서로 전달하는 렌즈 및 상기 회로기판의 타면에 설치되어 상기 렌즈와 회로기판이 상기 케이스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브라켓을 포함하는 광모 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렌즈가 상기 케이스의 안,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제 1걸림턱과 고정단과, 상기 지지브라켓에 형성된 제 2 걸림턱 및 상기 렌즈에 형성된 고정돌기로 이루어진 고정수단이 더 포함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 1걸림턱과 상기 제 2 걸림턱은 서로 맞물려 상기 렌즈가 상기 케이스 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고정단과 상기 고정돌기는 서로 맞물려 상기 렌즈가 상기 케이스 안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광모듈 입력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모듈을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모듈을 살펴보면, 광모듈(100)은 빛이 조사되는 광원(112)과 상기 광원(112)으로부터 조사된 빛이 반사되어 수광되는 센서(114)가 실장되는 회로기판(110)과, 상기 회로기판(110)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광원(112)으로부터 조사된 빛이 반사되는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빛을 결상하여 상기 센서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렌즈(11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로기판(110)의 타면에 설치되어 상기 센서(114)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지지브라켓(130)으로 구성된다.
이때, 지지브라켓(130)과 회로기판(110)의 사이에는 스프링(116)이 설치되어, 이 스프링(116)이 가지는 탄성 지지력에 의해 상기 렌즈(120)를 밀어줌으로써 항상 렌즈(120)의 일면이 피사체와 접하게 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마우스의 구성을 분해한 분해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마우스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광마우스는 일측에 관통공(265)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260)와, 광마우스의 입력수단인 버튼(271)과 휠(272)을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60)와 결합되는 커버(27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260)와 커버(270)가 결합되어 형성된 내부 공간에는 빛이 조사되는 광원(212)과 상기 광원(212)으로부터 조사된 빛이 반사되어 수광되는 센서(214)가 실장되는 회로기판(210)과, 상기 회로기판(210)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광원(212)으로부터 조사된 빛이 반사되는 피사체 즉, 바닥면(미도시)으로부터 반사된 빛을 결상하여 상기 센서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렌즈(212) 및 상기 회로기판(210)의 타면에 설치되어 상기 렌즈(212)와 상기 회로기판(21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브라켓(230)으로 이루어진 광모듈(20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렌즈(220)는 상기 광원(212)으로부터 조사된 빛이 반사되는 바닥면(미도시)과 직접 접하도록 상기 렌즈(220)가 상기 관통공(265)에 인입된 구조를 가진다.
한편, 전술한 광마우스에는 상기 광모듈(200)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60)에 결합 시 상기 지지브라켓(230)과 상기 회로기판(110)의 사이에 스프링(216)이 설치되어, 이 스프링(216)이 가지는 탄성 지지력에 의해 상기 렌즈(220)를 밀어줌으로써 항상 렌즈(220)의 일면이 바닥면과 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광모듈(200)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60)의 안,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수 단을 필요로 한다.
여기에서, 고정수단은 베이스 플레이트(260)의 상면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제 1 걸림턱(264)과 고정단(266) 및 지지브라켓(23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걸림턱(264)과 맞물리는 제 2걸림턱(235)과 렌즈(22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단(266)에 접하는 고정돌기(225)를 지칭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60)에 형성된 제 1걸림턱(264)과 지지브라켓(230)에 형성된 제 2 걸림턱(235)은 서로 맞물려 바닥면과 접한 렌즈(220)가 베이스 플레이트(260)의 내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렌즈(220)에 형성된 고정돌기(225)는 베이스 플레이트(260)에 형성된 고정단(266)에 접함으로써 렌즈(220)가 베이스 플레이트(260)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바닥면과 접하는 상기 렌즈(220)의 밑면에는 바닥면과 상기 렌즈(220) 간의 마찰을 줄이기 위한 미끄럼 풋(Foot)(222)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의 케이스(360)에 장착되는 광모듈(300)은 광마우스의 베이스 플레이트(260)에 설치되는 광모듈(200)과 마찬가지로 케이스(360)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 공간에는 빛이 조사되는 광원(312)과 상기 광원(312)으로부터 조사된 빛이 피사체 즉, 손가락으로부터 반사되어 수광되는 센서(314)를 실장하는 회로기판(310)과, 상기 회로기판(310)의 일면에 결합되는 렌즈(312) 및 상기 회로기판(310)의 타면에 설치되는 지지브라켓(330)으로 이루어진 동일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다.
이때, 휴대용 단말기의 광모듈(300)은 전술한 광마우스의 광모듈(200)과 다르게 케이스(360)의 상면에 인입된 구조로서 설치되어, 광원(312)으로부터 조사된 빛의 반사량을 이용하여 피사체 즉, 손가락(350)의 이동상태를 검출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휴대용 단말기에는 상기 광모듈(300)을 상기 케이스(360)에 결합 시 상기 지지브라켓(330)과 상기 회로기판(310)의 사이에 스프링(316)이 설치되어, 이 스프링(316)이 가지는 탄성 지지력에 의해 상기 렌즈(320)를 밀어줌으로써 항상 렌즈(320)의 일면이 상기 광모듈(300)을 작동시키기 위해 광모듈(300)에 올린 손가락(350)과 접하게 된다.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의 광모듈(300)이 상기 케이스(360)의 안,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필요로 하며, 이 고정수단은 광마우스의 고정수단과 동일 구성요소를 가지며, 동일한 역할을 하여 상기 렌즈(320)가 케이스(360)의 안, 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근래에 데이터 전송기술의 발달이 가속화되면서 영상매체를 이용한 양방향 저송이 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장치에 커서를 이동시키거나 선택을 위한 광모듈을 장착한 리모트 컨트롤에 관한 것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리모트 컨트롤의 케이스(460)에 장착되는 광모듈(400)은 광마우스의 베이스 플레이트(260)에 설치되는 광모듈(200)과 마찬가지로 케이스(460)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 공간에는 빛이 조사되는 광원(412)과 상기 광원(412)으로부터 조사된 빛이 피사체 즉, 손가락으로부터 반사되어 수광되는 센서(414)를 실장하는 회로기판(410)과, 상기 회로기판(410)의 일면에 결합되는 렌즈(412) 및 상기 회로기판(410)의 타면에 설치되는 지지브라켓(430)으로 이루어진 동일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다.
이때, 리모트 컨트롤의 광모듈(400)은 전술한 휴대용 단말기의 광모듈(300)과 마찬가지로 케이스(460)의 상면에 인입된 구조로서 설치되어, 광원(412)으로부터 조사된 빛의 반사량을 이용하여 피사체 즉, 손가락의 이동상태를 검출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리모트 컨트롤에는 상기 광모듈(400)을 상기 케이스(460)에 결합 시 상기 지지브라켓(430)과 상기 회로기판(410)의 사이에 스프링(416)이 설치되어, 이 스프링(416)이 가지는 탄성 지지력에 의해 상기 렌즈(420)를 밀어줌으로써 항상 렌즈(420)의 일면이 상기 광모듈을 작동시키기 위해 광모듈에 올린 손가락과 접하게 된다.
그리고, 리모트 컨트롤의 광모듈(400)이 상기 케이스(460)의 안,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필요로 하며, 이 고정수단은 광마우스의 고 정수단과 동일 구성요소를 가지며, 동일한 역할을 하여 상기 렌즈(420)가 케이스(460)의 안, 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모듈 및 이를 이용한 입력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광마우스에 설치되는 광모듈을 살펴보면, 광원(212)과 센서(214)를 실장한 회로기판(210)의 일면에 렌즈(220)를 결합하고, 회로기판(210)의 타면에는 지지브라켓(230)을 결합한다. 그리고, 회로기판(210)과 지지브라켓(230)의 사이에는 스프링(216)을 설치하여 광마우스용 광모듈(200)을 만든다.
이후, 완성된 광모듈(100)은 본체 즉, 베이스 플레이트(260)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265)에 렌즈(220)를 인입시켜 베이스 플레이트(260)와 결합함으로서 렌즈(220)의 일면은 직접 피사체와 접하게 된다.
따라서, 광원(212)으로부터 조사되어 렌즈(220)를 통해 결상되는 빛이 수광되는 센서(214)의 높이는 고정수단에 의해 광모듈(200)이 베이스 플레이트(260)에서 지지되고, 광모듈(200)의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216)의 탄성력에 의해 상, 하로 렌즈(220)가 움직여 일정 높이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로 인해 다양한 베이스 플레이트(260)를 사용해도 즉, 각각 다른 조립공차를 가지고 있더라도 같은 높이에서 센서(214)를 위치시킴으로써, 일정한 DOF(Depth of Focus;초점심도)값을 유지하여 일정한 데이터를 검출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렌즈를 본체에 형성된 관통공에 인입 시켜 피사체에 직접 렌즈가 밀착되게 함으로써, 피사체와 센서의 높이를 렌즈 자체 높이로 고정하고, 스프링을 이용하여 일정한 높이에서 광모듈을 위치시켜 일정한 초점심도를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와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5)

  1. 빛이 조사되는 광원과 빛을 수광하는 센서가 실장되는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의 일면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이 반사되는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빛을 결상하여 상기 센서로 전달하는 렌즈;
    상기 회로기판의 타면에 설치되는 지지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지지브라켓의 사이에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탄성력에 의해 상기 렌즈를 밀어줌으로써, 상기 렌즈 밑면이 피사체와 직접 접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모듈.
  3.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
    빛이 조사되는 광원과 빛을 수광하는 센서가 실장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의 일면에 설치되어 상기 관통공에 인입되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이 반사되는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빛을 결상하여 상기 센서로 전달하는 렌즈 및 상기 회로기판의 타면에 설치되어 상기 렌즈와 회로기판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브라켓을 포함하는 광모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마우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안,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된 제 1걸림턱과 고정단과, 상기 지지브라켓에 형성된 제 2 걸림턱 및 상기 렌즈에 형성된 고정돌기로 이루어진 고정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마우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걸림턱과 상기 제 2 걸림턱은 서로 맞물려 상기 렌즈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마우스.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과 상기 고정돌기는 서로 맞물려 상기 렌즈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안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마우스.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의 하부에는 상기 피사체와 상기 렌즈간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미끄럼 풋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마우스.
  8.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된 케이스;
    빛이 조사되는 광원과 빛을 수광하는 센서가 실장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의 일면에 설치되어 상기 관통공에 인입되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이 반사되는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빛을 결상하여 상기 센서로 전달하는 렌즈 및 상기 회로기판의 타면에 설치되어 상기 렌즈와 회로기판이 상기 케이스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브라켓을 포함하는 광모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가 상기 케이스의 안,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제 1걸림턱과 고정단과, 상기 지지브라켓에 형성된 제 2 걸림턱 및 상기 렌즈에 형성된 고정돌기로 이루어진 고정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걸림턱과 상기 제 2 걸림턱은 서로 맞물려 상기 렌즈가 상기 케이스 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과 상기 고정돌기는 서로 맞물려 상기 렌즈가 상기 케이스 안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2.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된 케이스;
    빛이 조사되는 광원과 빛을 수광하는 센서가 실장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의 일면에 설치되어 상기 관통공에 인입되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이 반사되는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빛을 결상하여 상기 센서로 전달하는 렌즈 및 상기 회로기판의 타면에 설치되어 상기 렌즈와 회로기판이 상기 케이스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브라켓을 포함하는 광모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가 상기 케이스의 안,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제 1걸림턱과 고정단과, 상기 지지브라켓에 형성된 제 2 걸림턱 및 상기 렌즈에 형성된 고정돌기로 이루어진 고정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걸림턱과 상기 제 2 걸림턱은 서로 맞물려 상기 렌즈가 상기 케이스 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과 상기 고정돌기는 서로 맞물려 상기 렌즈가 상기 케이스 안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
KR1020040099566A 2004-11-30 2004-11-30 광모듈 및 이를 이용한 입력장치 KR100630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9566A KR100630368B1 (ko) 2004-11-30 2004-11-30 광모듈 및 이를 이용한 입력장치
TW094141847A TWI292550B (en) 2004-11-30 2005-11-29 Optical module and input apparatus using the same
US11/290,340 US7609250B2 (en) 2004-11-30 2005-11-30 Optical module and input apparatus using the same
CNB2005101258632A CN100421060C (zh) 2004-11-30 2005-11-30 光学模块及使用该光学模块的输入装置
US12/559,960 US20100001956A1 (en) 2004-11-30 2009-09-15 Handheld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9566A KR100630368B1 (ko) 2004-11-30 2004-11-30 광모듈 및 이를 이용한 입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0492A true KR20060060492A (ko) 2006-06-05
KR100630368B1 KR100630368B1 (ko) 2006-09-29

Family

ID=36566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9566A KR100630368B1 (ko) 2004-11-30 2004-11-30 광모듈 및 이를 이용한 입력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609250B2 (ko)
KR (1) KR100630368B1 (ko)
CN (1) CN100421060C (ko)
TW (1) TWI292550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862B1 (ko) * 2007-03-08 2009-05-29 크루셜텍 (주) 휴대 단말기의 광 포인팅 장치
KR101373182B1 (ko) * 2007-06-28 2014-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분리가능한 포인팅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TO20040848A1 (it) 2004-12-01 2005-03-01 St Microelectronics Srl Dispositivo manuale di puntamento di un sistema a calcolatore con rilevamento inerziale di eventi-click e relativo metodo di rilevamento di eventi-click
TWI275987B (en) * 2005-05-31 2007-03-11 Pixart Imaging Inc Optical input device with a light source die mounted on a detecting die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US20070279383A1 (en) * 2006-06-03 2007-12-06 Mccracken Brian Computer mouse cover
TW200809588A (en) * 2006-08-09 2008-02-16 Kye Systems Corp Pressable touch module and touch input device
TW201015391A (en) * 2008-10-09 2010-04-16 Elan Microelectronics Corp Optical mouse
TWI498774B (zh) * 2008-12-04 2015-09-01 Elan Microelectronics Corp Optical mouse COB module and the optical mouse
US8760403B2 (en) * 2010-04-30 2014-06-24 Pixart Imaging Inc. Hybrid human-interface device
TWI472962B (zh) * 2011-11-17 2015-02-11 Pixart Imaging Inc 輸入裝置
CN203070234U (zh) * 2013-01-30 2013-07-17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鼠标装置
TWI492029B (zh) * 2013-11-15 2015-07-11 Htc Corp 電子裝置
US9417054B2 (en) 2014-05-15 2016-08-16 Textron Innovations Inc. Digital measurement unit for fish tape device or duct rodding device
CN107389105A (zh) * 2017-08-16 2017-11-24 长江电气集团股份有限公司 传感器模组
US11307680B2 (en) * 2020-02-12 2022-04-19 Smash Engineering Inc. Computer mouse adapter and associate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55620Y (zh) 1993-05-26 1994-02-09 陈道生 薄膜式键盘之机械式按键开关
US5717427A (en) * 1995-07-28 1998-02-10 Sysgration Ltd. Optical-reflecting decoder modular design mechanism of mouse
US6661410B2 (en) * 2001-09-07 2003-12-09 Microsoft Corporation Capacitive sensing and data input device power management
TW549490U (en) 2001-12-28 2003-08-21 Unity Opto Technology Co Ltd Chip set module for integrating type optical mouse
US20030142075A1 (en) * 2002-01-29 2003-07-31 Unity Opto Technology Co., Ltd. Modulated optical mouse for a personal computer
US6788875B1 (en) 2002-04-08 2004-09-07 Logitech Europe S.A. Suspension system for use in an optical displacement detection system
US7131751B1 (en) * 2002-04-12 2006-11-07 Logitech, Inc. Attachment system for use in an optical illumination system
US6967321B2 (en) * 2002-11-01 2005-11-22 Agilent Technologies, Inc. Optical navigation sensor with integrated lens
US20040113886A1 (en) 2002-12-11 2004-06-17 Lee Chia Hsiang Sensing structure for optic input
EP1465048A2 (en) 2003-04-04 2004-10-06 Lin Shuhai An optical mouse and its operation method
TW590285U (en) 2003-04-09 2004-06-01 Unity Opto Technology Co Ltd Improved structure for optical mouse
TW590286U (en) 2003-04-09 2004-06-01 Unity Opto Technology Co Ltd Improved structure for optical mouse
CN2658849Y (zh) * 2003-10-17 2004-11-24 东贝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整合式光学鼠标透镜
US7280099B2 (en) * 2004-01-28 2007-10-09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Regulating a light source in an optical navigation device
US7688309B2 (en) * 2004-07-06 2010-03-30 Logitech Europe S.A. Optical displacement module and method to reduce the size of an optical pointing device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862B1 (ko) * 2007-03-08 2009-05-29 크루셜텍 (주) 휴대 단말기의 광 포인팅 장치
KR101373182B1 (ko) * 2007-06-28 2014-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분리가능한 포인팅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622842A (en) 2006-07-01
KR100630368B1 (ko) 2006-09-29
US20060114232A1 (en) 2006-06-01
TWI292550B (en) 2008-01-11
CN1782969A (zh) 2006-06-07
CN100421060C (zh) 2008-09-24
US7609250B2 (en) 2009-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0368B1 (ko) 광모듈 및 이를 이용한 입력장치
TWI423079B (zh) 輸入裝置、操作方法及光學反射板模組
KR100827621B1 (ko) 입력장치
US8253048B2 (en) Illuminated indicator on an input device
US7786395B2 (en) Illuminated indicator on an input device
CN108347502B (zh) 照明装置和包括其的移动终端
JP2011238579A (ja) 発光キーボード
JP2008104145A (ja) 携帯端末機
KR100789725B1 (ko) 입력장치
JP2007173087A (ja) スイッチ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
US20120154282A1 (en) Optical scrolling module and optical control module
US20060132431A1 (en) Multi-function digital device as a human-input-device for a computer
US20100001956A1 (en) Handheld terminal
JP2006202291A (ja) 光学スライドパッド
CN101183288A (zh) 光学传感器组件
WO2006091050A1 (en) Pointing device using holographic optical element
KR102631112B1 (ko) 회전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102150630B1 (ko) 이동 단말기
KR20060088589A (ko) 렌즈 일체형 조명계 구조를 이용한 광 포인팅 장치 및 개인 휴대 단말기
CN114070342A (zh) 卡托固定装置及其电子设备
KR100399639B1 (ko) 광학식 마우스
KR100508705B1 (ko) 크기가 변화하는 휴대형 전자기기의 광 센서 모듈
KR100650623B1 (ko) 스위치 기능을 갖는 광학식 포인팅 장치
KR20080053026A (ko) 모바일기기의 입력키
US8393754B2 (en) Laser navigation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