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3182B1 - 분리가능한 포인팅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터 - Google Patents

분리가능한 포인팅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3182B1
KR101373182B1 KR1020070064434A KR20070064434A KR101373182B1 KR 101373182 B1 KR101373182 B1 KR 101373182B1 KR 1020070064434 A KR1020070064434 A KR 1020070064434A KR 20070064434 A KR20070064434 A KR 20070064434A KR 101373182 B1 KR101373182 B1 KR 101373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ing device
lens
portable computer
user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4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0398A (ko
Inventor
추경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4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3182B1/ko
Publication of KR20090000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0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3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3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3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the transmission of signal or power between the different housings, e.g. details of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passage of cab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ending/receiving arrangement to establish a cordless communication link, e.g. radio or infrared link, integrated cellular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가능한 포인팅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컴퓨터는 유무선 신호를 발생시키는 포인팅 장치; 및 상기 포인팅 장치에서 발생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포인팅 장치는 외부 케이스의 일단에 삽입 및 분리되는 착탈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인팅 장치는, 상기 포인팅 장치의 상부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할 수 있는 제1렌즈; 상기 제1렌즈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 상기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제1렌즈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포커싱해주는 제2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가능한 포인팅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터는 휴대용 컴퓨터 내의 포인팅 장치를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휴대성과 편리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 휴대용 컴퓨터의 화면에 표시되는 커서를 포인팅 장치 전체를 움직이지 않고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휴대용 컴퓨터, 포인팅 장치

Description

분리가능한 포인팅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터{A PORTABLE COMPUTER INCLUDING A POINTING DEVICE CAPABLE OF DETACHING}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를 도시한 도면들로서, 도 1은 포인팅 장치가 휴대용 컴퓨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포인팅 장치가 휴대용 컴퓨터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포인팅 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휴대용 컴퓨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리가능한 포인팅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상의 컴퓨터는 서로 분리된 본체, 모니터, 키보드와 이들을 서 로 연결하는 전선 등이 일정 공간에서 배치되기 때문에 공간 이용도가 극히 감소한다. 이에 따라, 협소한 공간에서 작업을 하는 사용자나 실외 또는 이동중에 작업을 하는 사용자에게 편의성과 신속성을 제공하기 위해 휴대용 컴퓨터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 휴대용 컴퓨터는 휴대용이라는 특성상 마우스 대신에 터치패드 또는 트랙볼 등의 포인팅 장치를 내장하고 있다. 이러한 포인팅 장치는 마우스를 이용하는 것보다 포인팅 속도가 느릴뿐만 아니라 정확도가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포인팅 장치는, 마우스의 사용에 익숙한 사용자들에게는 조작의 미숙함으로 인해 사용이 불편하고, 작업 속도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포인팅 장치 대신 별도의 유무선 마우스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나, 휴대용 컴퓨터와 연결되는 유선 마우스는 접속이 불편하고, 공간의 제약이 있으며, 상기 유무선 마우스를 별도로 구비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컴퓨터 내의 포인팅 장치를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휴대성과 편리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휴대용 컴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컴퓨터의 화면에 표시되는 커서를 포인팅 장치 전체를 움직이지 않고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포인팅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는 외부 케이스; 및 유선 또는 무선신호를 발생시키는 포인팅 장치; 및 상기 포인팅 장치에서 발생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포인팅 장치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일단에 삽입 및 분리되는 착탈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인팅 장치는, 상기 포인팅 장치의 상부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할 수 있는 제1렌즈; 상기 제1렌즈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 상기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제1렌즈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포커싱해주는 제2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가능한 포인팅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터는 휴대용 컴퓨터 내의 포인팅 장치를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휴대성과 편리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 휴대용 컴퓨터의 화면에 표시되는 커서를 포인팅 장치 전체를 움직이지 않고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리가능한 포인팅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를 도시한 도면들로서, 도 1은 포인팅 장치가 휴대용 컴퓨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포인팅 장치가 휴대용 컴퓨터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용 컴퓨터(100)는 제어부(110), 키입력부(120), 디스플레이부(130), 수신 장치(140) 및 포인팅(pointing) 장치(150)를 포함한다.
제어부(110)는 휴대용 컴퓨터(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부분으로, 내부적으로 운영 체제(OS)에 의해 동작하며, 키입력부(120), 포인팅 장치(150)의 입력을 받아들여 휴대용 컴퓨터(100)의 프로그램 운영에 사용한다.
키 입력부(120)는 휴대용 컴퓨터(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명령, 데이터들을 입력할 수 있는 부분이다.
디스플레이부(130)는 키 입력부(120) 또는 포인팅 장치(150)로부터 입력된 각종 데이터들, 프로그램들을 표시해주는 부분으로, 포인팅 장치(150)의 입력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30)의 커서(cursor)의 위치가 달라진다.
포인팅 장치(150)는 휴대용 컴퓨터(100)의 일단에 착탈되거나, 휴대용 컴퓨터(100)에서 분리가능한 구조로 설계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팅 장치(150)는 휴대용 컴퓨터(100) 일단에 착탈가능하다. 포인팅 장치(150)가 휴대용 컴퓨터(100)에 착탈되면 기존의 휴대용 컴퓨터(100)의 포인팅 장치(150)와 같이 유선으로 신호를 전송하도록 동작한다. 이 경우, 휴대용 컴퓨터(100)의 일단에 마련된 고정버튼(152)에 포인팅 장치(150)가 결합되어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포인팅 장치(150)를 분리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 고정버튼(152)을 누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팅 장치(150)가 휴대용 컴퓨터(100)의 하우징에서 분리된다. 이에 따라, 포인팅 장치(150)는 무선으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무선 마우스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포인팅 장치(150)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무선 주파수(RF)를 이용하거나 적외선을 이용할 수 있으며, 그 외 근거리 통신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포인팅 장치(150)를 통해 송신된 신호는 수신 장치(140)의 근거리 통신 수단과 대응되는 내부 통신 수단을 통해 수신 장치(140)로 전송한다.
수신 장치(140)는 포인팅 장치(150)가 휴대용 컴퓨터(100)에서 분리되어 무선으로 동작할 경우, 포인팅 장치(150)의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해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수신 장치(140)는 무선신호 수신부(148), 수신 장치 제어부(142), 버스 제어부(144) 및 메모리(146)를 포함한다.
무선신호 수신부(148)는 포인팅 장치(150)로부터 패킷 단위로 발생되는 아날로그의 무선신호를 수신한 후 디지탈의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수신 장치 제어부(142)에 전송한다.
수신 장치 제어부(142)는 제어부(110)의 명령을 전송 받아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주로, 무선신호 수신부(148)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탈 무선신호의 오류 여부를 판독한 후 디지탈의 무선신호를 휴대용 컴퓨터용 데이터로 가공한다.
메모리, 예를 들어 CIS(Card Information Structure) 메모리(146)는 수신 장 치(140)에 대한 기능 및 특성 등의 정보를 저장한다.
버스 제어부(144)는 CIS 메모리(146)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 장치 제어부(142)에서 가공된 포인팅 장치(150)의 휴대용 컴퓨터용 데이터가 제어부(110)에 전송되도록 휴대용 컴퓨터(100)의 어드레스 버스(미도시)와 데이타 버스(미도시)를 디코딩(Decording)한다.
포인팅 장치(150)로부터 발생되는 무선신호의 패킷은 포인팅 장치(150)의 이동량, 이동 방향 및 포인팅 장치(150)에 형성된 각 버튼의 눌림 상태 등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포인팅 장치(15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상술한다.
도 4는 도 3의 포인팅 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포인팅 장치(150)는 포인팅 장치 제어부(152), 무선신호 송신부(154), 전원 공급부(156), 렌즈부(160), 광원(170) 및 센서(180)를 포함한다.
또한, 포인팅 장치(150)는 클릭 버튼들과 휠 부분들을 포함함은 물론이다.
포인팅 장치 제어부(152)는 포인팅 장치(150)의 동작 전체를 제어하는 부분으로, 포인팅 장치(150)가 휴대용 컴퓨터(100)에 삽입되었을 경우에는 유선으로 포인팅 장치(150)의 입력신호를 제어부(110)로 전송하고, 포인팅 장치(150)가 휴대용 컴퓨터(100)로부터 분리되었을 경우에는 무선신호 송신부(154)를 통해 무선으로 포 인팅 장치(150)의 입력신호를 제어부(110)로 전송하도록 한다.
무선신호 송신부(154)는 렌즈부(160)나 센서(180)와 같은 입력 장치들을 통해 입력된 신호를 수신 장치(140)의 근거리 통신 수단과 대응되는 내부 통신 수단을 통해 수신 장치(140)의 무선신호 수신부(도 3의 148)로 전송한다.
전원 공급부(156)는 포인팅 장치(150)에 전원을 공급하는 부분으로, 배터리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충전가능한 배터리로 구성된다. 포인팅 장치(150)가 휴대용 컴퓨터(100)에 삽입될 경우 충전되도록 설계된다.
도 4,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렌즈부(160)는 포인팅 장치(150)의 상단에 위치한 제1렌즈(162) 및 포인팅 장치(150)의 내부에 제1렌즈(162)에 상응하도록 위치하는 제2렌즈(164)를 포함한다.
광원(170)은 포인팅 장치(150)의 내부에 위치하며 제1렌즈(162)에 빛을 조사해주어, 제1렌즈(162)의 전면을 통해 빛이 입사될 수 있도록 한다. 제1렌즈(162)는 디스플레이부(130)상에 커서의 움직임에 관한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부분이다.
센서(180)는 제2렌즈(164)의 하부에 위치하여 제2렌즈(164)에 의해 포커싱(focusing)된 빛을 감지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포인팅 장치(150)를 사용자가 사용할 경우, 제1렌즈(162)에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접촉한다. 광원(170)에서 제1렌즈(162)의 전면에 조사된 빛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렌즈(162)와 접촉한 사용자의 신체에 부딪혀 반사되고, 반사된 빛은 제2렌즈(164)에 의해 센서(180)로 포커싱된다. 센서(180)는 입사된 빛을 감지하여 디스플레이부(130) 상의 현재 커서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인 식할 수 있다.
계속하여, 제1렌즈(162)에 접촉한 사용자의 신체, 즉 손가락의 위치가 변경될 경우, 센서(180)는 기존 위치와 변화된 위치에 관한 이미지 정보를 비교하여 커서 움직임에 관한 신호를 포인팅 장치 제어부(152)로 전송한다.
포인팅 장치 제어부(152)는 상기 커서 움직임에 관한 신호를 무선신호 송신부(154)를 통해 제어부(110)로 전송하고, 제어부(110)는 상기 커서 움직임에 관한 신호를 인식하여 디스플레이부(130)상에 커서가 해당 위치로 움직이도록 제어한다.
한편, 사용자가 포인팅 장치(15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즉 제1렌즈(162)에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하지 않을 경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170)에서 제1렌즈(162)에 입사한 빛은 제1렌즈(162)를 통과하여 사용자의 신체나 기타 물체에 반사된 후 제2렌즈(164)로 입사한다. 이 때, 제2렌즈(164)는 반사된 빛을 센서(180)로 포커싱하지 못한다. 따라서, 센서(180)는 커서 움직임에 관한 신호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이와 같이, 포인팅 장치(150) 전체를 움직이지 않고도 제1렌즈(162) 상에 접촉하는 위치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커서 움직임에 관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포인팅 장치(150)가 휴대용 컴퓨터(100)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설계하여, 포인팅 장치(150)가 무선 마우스로서 기능할 수 있어 별도로 마우스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는 휴대용 컴퓨터 내의 포인팅 장치를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별도의 마우스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며, 휴대성과 편리성을 증가시킬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는 휴대용 컴퓨터의 화면에 표시되는 커서를 포인팅 장치 전체를 움직이지 않고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외부 케이스; 및
    유선 또는 무선신호를 발생시키는 포인팅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포인팅 장치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일단에 삽입 및 분리되는 착탈식으로 구성되고,
    상기 포인팅 장치는,
    상기 포인팅 장치의 상부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할 수 있는 제1렌즈;
    상기 제1렌즈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
    빛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 및
    상기 제1렌즈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가 상기 제1렌즈에 접촉했을 경우, 상기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상기 센서로 포커싱해주는 제2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팅 장치에서 발생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장치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팅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가 상기 제1렌즈에 접촉하지 않았을 경우, 상기 광원에서 조사된 빛이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의해 반사되고, 상기 반사된 빛은 상기 제2렌즈에서 상기 센서로 포커싱되지 않고,
    상기 센서는 움직임에 관한 신호를 발생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팅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가 상기 제1렌즈에 접촉했을 경우, 상기 광원에서 조사된 빛이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의해 반사되고, 상기 반사된 빛은 상기 제2렌즈에서 포커싱되어 상기 센서로 전달되며,
    상기 사용자의 신체가 상기 제1렌즈 상에서 움직였을 경우, 상기 센서는 상기 센서로 전달되는 빛의 변화를 감지하여 이에 상응하는 위치 변화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팅 장치는,
    상기 포인팅 장치의 작동에 따라 발생하는 무선신호를 상기 수신장치로 전송하는 무선신호 송신부; 및
    상기 포인팅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포인팅 장치가 상기 외부 케이스의 일단에 삽입될 경우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장치는,
    상기 포인팅 장치에서 발생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신호 수신부;
    상기 수신장치의 기능 및 특성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무선신호 수신부에서 전송되는 무선 신호를 상기 휴대용 컴퓨터용 데이터로 변환하는 수신 장치 제어부; 및
    상기 메모리의 데이터를 상기 수신 장치 제어부로 전송하고, 상기 수신 장치 제어부에 전송된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컴퓨터의 제어부에 전송하도록 상기 수신 장치와 상기 제어부를 논리적으로 연결하는 버스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
KR1020070064434A 2007-06-28 2007-06-28 분리가능한 포인팅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터 KR101373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4434A KR101373182B1 (ko) 2007-06-28 2007-06-28 분리가능한 포인팅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4434A KR101373182B1 (ko) 2007-06-28 2007-06-28 분리가능한 포인팅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398A KR20090000398A (ko) 2009-01-07
KR101373182B1 true KR101373182B1 (ko) 2014-03-12

Family

ID=40483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4434A KR101373182B1 (ko) 2007-06-28 2007-06-28 분리가능한 포인팅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318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772A (ko) * 1999-11-02 2000-02-07 이도용 휴대용 컴퓨터의 무선마우스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인터페이스 방법
KR20050034918A (ko) * 2003-10-10 2005-04-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마우스가 구비된 노트북pc
KR20060060492A (ko) * 2004-11-30 2006-06-05 주식회사 애트랩 광모듈 및 이를 이용한 입력장치
KR20060135707A (ko) * 2004-01-15 2006-12-29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다목적 광마우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772A (ko) * 1999-11-02 2000-02-07 이도용 휴대용 컴퓨터의 무선마우스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인터페이스 방법
KR20050034918A (ko) * 2003-10-10 2005-04-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마우스가 구비된 노트북pc
KR20060135707A (ko) * 2004-01-15 2006-12-29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다목적 광마우스
KR20060060492A (ko) * 2004-11-30 2006-06-05 주식회사 애트랩 광모듈 및 이를 이용한 입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398A (ko) 2009-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62958A1 (en) Finger-worn input device and input method applying the same
EP1963948B1 (en) Wireless handheld device and method with gui control
US20110090148A1 (en) Wearable input device
EP1840703B1 (en) Operating body, information inputting device and information terminal device
KR100686563B1 (ko) 플래쉬 메모리가 포함된 무선 마우스 시스템
JP2014509768A (ja) 親指に装着可能なカーソル制御及び入力デバイス
JP2010528397A (ja) フィンガチップマウスおよびベース
US20110128258A1 (en) Mouse Pen
JP2003050668A (ja)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US20060077175A1 (en) Machine-human interface
US20100177043A1 (en) Flip-operation mouse device
TW202107252A (zh) 具有可定製預設的控制器附加裝置
CN113434048B (zh) 多功能输入设备及其工作模式切换方法、切换装置
CN101290706A (zh) 无线遥控系统及其无线遥控装置
KR20190040768A (ko) 웨어러블 인터페이스 장치
KR101373182B1 (ko) 분리가능한 포인팅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터
JP5323201B2 (ja) マウス
CN108733232B (zh) 输入设备及其输入方法
US6803907B2 (en) Wireless beam-pen pointing device
CN110727344A (zh) 虚拟现实系统、交互控制方法
KR100901482B1 (ko) 가상 메뉴 맵을 이용한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92422A (ko) 일체형 포인팅 장치를 내장한 키보드 및 조이스틱
KR200447216Y1 (ko) 다기능 마우스
KR101824964B1 (ko) 마우스 동작 가능한 통신단말 장치
KR101815959B1 (ko) 휴대용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