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0235A - 후각 정보 부호화 장치 및 그 방법과 향기 코드 생성 장치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후각 정보 부호화 장치 및 그 방법과 향기 코드 생성 장치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0235A
KR20060060235A KR1020040099165A KR20040099165A KR20060060235A KR 20060060235 A KR20060060235 A KR 20060060235A KR 1020040099165 A KR1020040099165 A KR 1020040099165A KR 20040099165 A KR20040099165 A KR 20040099165A KR 20060060235 A KR20060060235 A KR 20060060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component
chemical components
chemical
data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9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1052B1 (ko
Inventor
정영규
한문성
박준석
한동원
김채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40099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1052B1/ko
Priority to PCT/KR2004/003404 priority patent/WO2006059815A1/en
Priority to JP2007542872A priority patent/JP4468455B2/ja
Publication of KR20060060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0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1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1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CCOMPUTATIONAL CHEMISTRY; CHEMOINFORMATICS; COMPUTATIONAL MATERIALS SCIENCE
    • G16C20/00Chemoinformatics, i.e.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f physicochemical or structural data of chemical particles, elements, compounds or mixtures
    • G16C20/70Machine learning, data mining or chemometric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CCOMPUTATIONAL CHEMISTRY; CHEMOINFORMATICS; COMPUTATIONAL MATERIALS SCIENCE
    • G16C20/00Chemoinformatics, i.e.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f physicochemical or structural data of chemical particles, elements, compounds or mixtures
    • G16C20/80Data visual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iochemist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후각 정보 부호화 장치 및 그 방법과, 향기 코드 생성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 향기의 구성 화학 성분들의 정량적인 분석 값을 상기 구성 화학 성분의 양을 기초로 중심향 성분 및 주변향 성분으로 구분한 향기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다. 향분석부는 소정 물질의 향기를 분석하여 얻은 화학 성분들의 양을 데이터베이스에서 유사도가 높은 향기 데이터를 기초로 정량화한다. 부호화부는 향분석부에서 정량화된 화학 성분들의 양을 기초로 물질의 향기를 구성하는 화학 성분들을 중심향 성분 및 주변향 성분으로 구분하고, 그레이 스케일 값으로 변환한다. 이로써, 후각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가능하며 통신망을 통해 전송가능하다.
향기, 향기 코드, 중심향, 주변향, 그레이 스케일

Description

후각 정보 부호화 장치 및 그 방법과 향기 코드 생성 장치 및 그 방법{Olfactory information encoding apparatus and method, and scent code 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후각 성분 부호화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후각 정보 전송을 위한 패킷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후각 정보 부호화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후각 정보 부호화를 위한 향기 코드 생성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후각 정보 부호화를 위한 향기 코드 생성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생성한 향기 코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후각 정보 부호화 장치 및 그 방법과 향기 코드 생성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시간 향기 분석 결과를 시각적으로 부호화하고 통신망을 통해 전송 가능하게 하는 후각 정보 부호화 장치 및 그 방법과, 후각 정보 부호화를 위해 체계적인 향기 코드를 생성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후각 정보 부호화에 관한 종래 기술로 일본특허공보 제3331371호가 있다. 이는 냄새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대상 냄새를 센싱하기 위한 한 개 내지 복수개의 센서군을 설치하고 그 센서군이 측정한 결과를 디지털 신호로 변화하여 원격지에 냄새를 전송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후각 정보 부호화에 관한 다른 종래기술로 일본특허공보 제3109783호가 있다. 이는 냄새의 기록 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록에 있어서 후각의 특성을 이용한 부호화 방법에 의해 냄새를 기록하고, 냄새의 강도를 자유롭게 조잘하고 불쾌한 냄새 성분을 출력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한 선행 기술들은 송수신 장치간에 디지털 신호를 이용해 냄새를 전달하거나 냄새를 기록 재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냄새를 실시간 분석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하지 못하며, 무수히 많은 향기들에 대해 체계화된 코드를 제시하지 못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후각 정보를 컬러 정보로 부호화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하며 통신망을 통해 원거리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후각 정보 부호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후각 정보 부호화를 위해 소정 도메인의 코퍼스를 통해 체계적인 향기 코드를 생성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후각 정보 부호화 장치의 일 실시예는, 향기의 구성 화학 성분들의 정량적인 분석 값을 상기 구성 화학 성분의 양을 기초로 중심향 성분 및 주변향 성분으로 구분한 향기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소정 물질의 향기를 분석하여 얻은 화학 성분들의 양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유사도가 높은 향기 데이터를 기초로 정량화하는 향분석부; 및 상기 향분석부에서 정량화된 화학 성분들의 양을 기초로 상기 물질의 향기를 구성하는 화학 성분들을 중심향 성분 및 주변향 성분으로 구분하고, 상기 중심향 성분 및 주변향 성분의 화학 성분들을 그레이 스케일 값으로 변환하는 부호화부;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후각 정보 부호화 방법의 일 실시에는, 소정 물질의 향기를 구성하는 화학 성분들의 양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한 화학 성분들의 양을 소정 향기들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 값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정량화하는 단계; 상기 정량화된 화학 성분들을 양을 기초로 중심향 성분 및 주변향 성분으로 구분하는 단계; 및 상기 중심향 성분 및 주변향 성분의 화학 성분들의 양을 그레이 스케일 값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향기 코드 생성 장치의 일 실시예는, 소정의 향기 도메인의 코퍼스에서 형태소 분석 과정을 통해 명사를 추출하는 명사 추출부; 상기 추출된 명사들 중에서 소정의 냄새 사물 명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명사로 이루어진 임시 냄새 사물 명사 리스트를 생성하는 리스트 생성부; 및 상기 임시 냄새 사물 명사 리스트에서 소정 임계치 이상의 빈도를 가지는 명사에 상기 향기 도메인의 향기코드를 부여하는 향기 코드 생성부;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향기 코드 생성 방법의 일 실시예는, 소정의 향기 도메인의 코퍼스에서 형태소 분석 과정을 통해 명사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명사들 중에서 소정의 냄새 사물 명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명사로 이루어진 임시 냄새 사물 명사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임시 냄새 사물 명사 리스트에서 소정 임계치 이상의 빈도를 가지는 명사에 상기 향기 도메인의 향기코드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로써, 후각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가능하며 통신망을 통해 전송가능하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후각 정보 부호화 장치 및 그 방법과 후각 정보 부호화를 위한 향기 코드 생성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후각 정보 부호화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후각 정보 부호화 장치는 데이터베이스부(100), 향분석부 (110) 및 부호화부(120)로 구성된다. 데이터베이스부(100)는 향-화학성분 데이터베이스(102), 화학 성분코드 데이터베이스(104) 및 향기 코드 데이터베이스(106)를 포함하고, 향분석부(110)는 성분 분석부(112) 및 보정부(114)를 포함하며, 부호화부(120)는 중심향 분석부(122), 시각화부(124) 및 패킷 생성부(126)를 포함한다.
향기 물질 내에 향기 성분 함량은 극미량으로 녹차의 경우에는 0.05%, 홍차의 경우에는 0.025%, 생엽의 경우에는 0.02% 정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향기 분석시 전체 향기 물질 내의 전체 구성 성분을 정확히 분석하기는 매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오프라인(offline) 상에서 향기 물질을 대량으로 수집하고, 수집한 향기 물질을 종래의 향-화학성분 분석기로 분석하여 얻은 화학 성분들의 정량적인 값을 기초로 향-화학성분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다. 표 1은 향-화학성분 데이터베이스(102)에 저장되는 향기 데이터의 요소들이다.
SmCode 향기 종류에 대한 코드 값
CentSmCode 중심향 화학성분 코드 값
CentSmCount 중심향 화학성분의 정량적인 값
OtherSmNum 주변향의 수
OtherSmCode 주변향 화학성분 코드 값
OtherSmCount 주변향 화학성분의 정량적인 값
MinOtherCount 주변향 화학성분의 정량적인 기준 값
향-화학성분 데이터베이스(102)는 소정 향기를 분석하여 얻은 화학성분의 정량적인 값들로 이루어진 향기 데이터를 화학 성분의 양을 기초로 중심향 성분 및 주변향 성분으로 구분하여 저장한다. 향-화학성분 데이터베이스(102)는 향기를 구 성하는 화학 성분들 중 가장 많은 양을 포함한 화학 성분을 중심향 성분으로 선택하고, 나머지 화학 성분들을 주변향으로 선택하여 양에 따라 순서대로 나열하여 저장한다.
향-화학성분 데이터베이스(102)는 객관적이고 일반적인 코드 체계를 적용한다. 이를 위하여 데이터베이스부(100)는 향-화학성분 데이터베이스(102) 외에 향기에 대한 코드들을 포함하는 향기 코드 데이터베이스(106) 및 화학 성분들에 대한 코드들을 포함하는 화학성분 코드 데이터베이스(104)를 포함한다.
화학성분 코드 데이터베이스(104)는 각종의 화학 성분들에 부여된 체계적인 코드들을 저장한다. 향기 코드 데이터베이스(106)는 소정 도메인에 속한 향기들에 대해 코드를 체계적으로 부여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향-화학성분 데이터베이스(102)는 소정 도메인의 향기에 대한 구성 화학 성분을 향기 코드 데이터베이스(106)에서 정의된 향기 코드 및 화학성분 코드 데이터베이스(104)에서 정의된 화학 성분 코드를 이용하여 저장한다. 이로써, 소정 향기의 구성 화학성분들을 체계적이고 일관된 코드로 표현할 수 있다. 향기 코드 데이터베이스(106) 생성에 대하여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향 분석부(110)는 소정 물질의 향기를 분석하여 얻은 결과를 데이터베이스부(100)를 이용하여 정량화한다. 일반 물질의 향기 성분의 함량은 매우 미미하므로 미리 향기별로 정량화된 값을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부(100)를 이용하여 실제 측정한 향기의 분석 결과를 보정한다.
구체적으로, 성분 분석부(112)는 소정 물질의 향기를 구성하는 화학 성분들 을 분석하여 각각의 화학성분의 함유량을 파악한다. 그리고, 보정부(114)는 성분 분석부(112)에 의해 분석된 화학성분들과 데이터베이스부(100)의 향기 데이터와의 유사도를 측정하여 분석된 화학성분들과 가장 유사도가 높은 향기 데이터를 검색한다. 그리고, 보정부(114)는 검색된 향기 데이터의 정량화된 값으로 분석된 화학 성분들의 값을 보정한다.
분석된 화학성분들과 데이터베이스의 향기 데이터와의 유사도 비교는 다양한 유사도 측정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일 예로 필터링 알고리즘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분석된 화학성분의 종류와 일정 %이상 일치하는 향기 데이터들을 향-화학성분 데이터베이스(102)에서 추출하는 1차 필터링을 수행한다. 그리고, 추출된 향기 데이터들 중에서 중심향의 성분량을 비교하여 일정 오차범위내에 있는 향기 데이터들을 추출하는 2차 필터링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2차 필터링된 향기 데이터들 중에서 주변향 성분들의 유사도를 비교하여 가장 높은 유사도를 가진 향기 데이터를 선택한다.
즉, 보정부(114)는 분석된 화학성분의 함유량과 유사도가 일정 임계치 이상인 향기 데이터를 향-화학성분 데이터베이스에 추출하고 추출한 향기 데이터의 값으로 분석된 화학성분의 양을 교체한다.
그러나, 분석된 화학성분과 유사도가 일정 임계치 이상인 향기 데이터가 향-화학성분 데이터베이스(102)에 존재하지 않는다면 보정부(114)는 분석된 화학성분을 새로운 향기로 인식하고 향-화학성분 데이터베이스(102)에 별도의 표시를 하여 저장하거나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한다. 즉, 향 분석부(110)에 의해 실시간 분석된 화학 성분은 다소 부정확한 정보이므로 향-화학성분 데이터베이스(102)에 정량화되어 저장된 향기 데이터처럼 사용될 수 없으며, 단지 향-화학성분 데이터베이스(102)를 보조하는 역할로 사용된다.
부호화부(120)는 향분석부(110)에 의해 측정되고 정량화된 향기의 구성 화학성분을 중심향 성분 및 주변향 성분으로 분리하고, 중심향 성분 및 주변향 성분의 화학성분들의 양을 그레이 스케일(gray scale)로 변환한다. 그레이 스케일이란 백과 흑 및 그 중간의 회색으로 나타나는 색의 농담 정도를 시각적으로 밝기의 단계에 대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중심향 분석부(122)는 분석된 화학 성분중에서 가장 성분이 많은 화학 성분을 중심향 성분으로 선택하고, 나머지 화학 성분들을 주변향 성분들로 선택한다. 여기서, 중심향 성분이란 향기를 갖는 물질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화학 성분으로 어린옆의 산뜻한 풋냄새의 중심 성분인 청옆알콜, 에스테르류나 장미 향의 제라니올, 쓰고 떫은 냄새의 인돌, 기타 에놀계, 은방울꼿의 가볍고 상쾌한 냄새의 리나톨과 같은 화합물을 말하고, 주변향 성분이란 중심향 성분 이외의 화학성분을 말한다.
시각화부(124)는 중심향 분석부(122)에 선택된 중심향 성분 및 주변향 성분들의 화학 성분들의 개별 양을 그레이 스케일과 같은 컬러 정보로 변환하여 표시한다. 사람은 이러한 시각화된 후각 정보를 기초로 음식이 상했거나 과일이 덜 익었거나 하는 등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인터넷과 같은 공간에서 향기 발생 기가 없더라도 현재 인터넷상에서 조회한 식료품의 향기 상태를 컬러정보를 통해 파악할 수 있다.
패킷 생성부(126)는 향기의 중심향 성분 및 주변향 성분들의 값을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가능한 패킷으로 생성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후각 정보 전송을 위한 패킷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패킷(200)은 SmCode(210), CentSmCode(210), CentGray(230), OtherSmNum(240), MinOtherSmNum(250), OtherSmCode(260) 및 OtherGray(270) 필드를 포함한다. 각 필드의 의미는 표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패킷 구조
SmCode 향기 코드 값 예) 자스민 : 0001
CentSmCode 중심향의 성분 예) 제라니올 : 10002
CentGray 중심향의 양을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한 값
OtherSmNum 주변향의 수
MinOtherSmNum 주변향의 화학성분의 정량적인 기준 값
OtherSmCode 주변향의 성분 코드 값
OtherGray 주변향의 양을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한 값
여기서, SmCode 필드(210)는 향기코드 값을 기록하는 필드로서 향기 코드는 코드의 부호화 및 전송을 위해 객관적이고 일반적인 코드체계로 부여되어야 한다. 도메인에 따른 향기 코드 리스트를 구성하는 방법에 대하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CentSmCode(220)와 OtherSmCode(260) 필드는 화학 성분에 대한 코드 값을 기 록하는 필드로서 CentSmCode(220)와 OtherSmCode(260)는 화학성분 데이터베이스(104)를 이용하여 코드화된다. OtherSmNum 필드(240)는 향기를 분석하여 얻은 화학성분들 중에서 일정 임계치 이상의 양을 가진 주변향의 개수를 기록하는 필드로서 패킷에서 주변향의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만들어야 하는 슬롯(slot)의 개수(260)를 할당할 때 사용된다. MinOtherSmNum필드(250)는 화학성분 분석시 사용한 최소 화학성분 양을 기록하는 필드이다. 그리고, CentGray(230)와 OtherGray(270) 필드는 중심향과 주변향의 화학성분의 정량적인 양을 그레이 스케일로 변화한 값을 저장하는 필드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후각 정보 부호화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향 분석부(110)는 소정 향기 물질을 분석하여 향기를 구성하는 화학 성분들의 함유량을 측정한다(S300). 향-화학성분 데이터베이스(102)에는 분석 장비를 통해 미리 향기들을 분석하여 정량화한 향기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향기 데이터는 중심향 성분 및 주변향 성분으로 분리되어 저장되어 있다.
향 분석부(110)는 향기의 화학 성분을 실시간 분석한 후에 분석한 화학 성분과 유사도가 일정 임계치 이상인 향기 데이터를 향-화학성분 데이터베이스(102)에서 검색하고(S305, S310), 검색된 향기 데이터 값으로 분석된 화학 성분의 양을 보정한다(S315). 이로써, 물질내의 향기 성분 향량이 적어 다소 부정확한 분석 결과를 보정할 수 있다.
만약, 분석된 화학 성분과 비교하여 유사도가 일정 임계치 이상인 향기 데이터가 향-화학성분 데이터베이스(102)에 존재하지 않으면(S310), 분석된 화학 성분을 새로운 향기로 하여 향-화학성분 데이터베이스(102) 또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한다(S320). 이 때, 실시간 분석된 화학 성분의 분석 결과는 정확하게 정량화된 결과가 아니므로 향-화학성분 데이터베이스(102)를 보조하는 역할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호화부(120)는 향-화학성분 데이터베이스(102)를 기초로 정량화된 값으로 보정된 화학 성분 값을 중심향 성분 및 주변향 성분으로 구분한다(S325). 중심향 성분 및 주변향 성분은 화학 성분의 양을 기초로 구분된다.
부호화부(120)는 중심향 성분 및 주변향 성분의 화학 성분들의 양을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하여 컬러 정보로 표현한다(S330). 그리고, 부호화부(120)는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된 값을 패킷으로 생성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한다(S335)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후각 정보 부호화를 위한 향기 코드 생성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향기 코드 생성 장치는 명사 추출부(400), 리스트 생성부(410), 향기 코드 생성부(420), 코퍼스(405), 냄새 사물 데이터베이스(415), 향기코드 데이터베이스(425) 및 향-화학성분 데이터베이스(435)로 구성된다.
명사 추출부(400)는 소정의 향기 도메인의 코퍼스(405)에서 형태소 분석 및 tagging 과정을 통해 명사를 추출한다. 코퍼스(405)로는 자연어 처리분야에서 사용되는 대단위 tagged 코퍼스를 사용한다.
리스트 생성부(410)는 명사 추출부(400)에서 추출된 명사들 중에서 다른 도메인의 냄새 사물 명사 데이터베이스(415)에 등록된 명사 및 수동으로 추출한 명사들로 이루어진 임시 냄새 사물 명사 리스트를 생성한다.
그리고, 향기 코드 생성부(420)는 임시 냄새 사물 명사 리스트에서 소정 임계치 이상의 빈도를 가지는 명사를 검색하고 검색된 명사에 대해 향기 도메인의 향기 코드를 부여하여 향기 코드 데이터베이스(106)를 생성한다.
향-화학성분 데이터베이스(435)는 향기의 구성 화학 성분의 분석 결과를 향기 코드 생성부(420)에 의해 생성된 향기 코드 데이터베이스(425)를 이용하여 기록한다. 향기에 대한 체계적인 코드가 부여됨으로써 향기에 대한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원거리에 용이하게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후각 정보 부호화를 위한 향기 코드 생성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명사 추출부(400)는 소정의 향기 도메인의 코퍼스(405)를 수집한 후, 수집한 코퍼스(405)에서 형태소 분석 과정을 통해 명사를 추출한다(S500). 리스트 생성부(410)는 추출된 명사들 중 다른 도메인의 냄새 사물 명사 데이터베이스(415)에 등록된 명사들로 이루어진 임시 냄새 사물 명사 리스트를 생성한다(S505).
향기 코드 생성부(420)는 냄새 사물 명사 리스트에서 소정 임계치 이상의 빈도로 나타나는 명사를 검색하여(S510,S515), 소정 임계치 이상의 빈도로 나타나는 명사를 별도의 냄새 사물 명사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한다(S520). 임시 냄새 사물 명사 리스트의 마지막까지 검색이 완료되면(S525), 별도의 냄새 사물 명사 데이터베이스(미도시)를 변환하는 작업을 거쳐 향기 코드를 생성한다(S530).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생성한 향기 코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명사 추출부(400)는 향기 도메인으로 향수(610)를 선택하고, 향수 도메인의 코퍼스(405)를 수집한 후, 코퍼스(405)로부터 명사를 추출한다. 그리고, 리스트 생성부(410)는 다른 도메인의 냄새 사물 명사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임시 냄새 사물 명사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한 임시 냄새 사물 명사 리스트에서 소정 빈도로 나타나는 명사들을 추출한다.
그리고, 향기 코드 생성부(420)는 추출한 명사들(620), 예를 들어 장미, 은방울꽃, 라벤다 등에 체계적으로 코드 번호(630) 00001, 00002, 00003 등을 부여하여 향기 코드 데이터베이스(435, 600)를 생성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간이 느끼는 후각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 가능하며, 후각정보를 정보통신을 통해 원거리 지역의 사용자에게 전송 가능하다. 특히, 인터넷을 통해 과일이나 식료품과 같은 향기를 갖는 물건을 구매할 때 맛을 평가하는 향기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므로 보다 많은 정보로 물건을 구매할 수 있다.

Claims (14)

  1. 향기의 구성 화학 성분들의 정량적인 분석 값을 상기 구성 화학 성분의 양을 기초로 중심향 성분 및 주변향 성분으로 구분한 향기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소정 물질의 향기를 분석하여 얻은 화학 성분들의 양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유사도가 높은 향기 데이터를 기초로 정량화하는 향분석부; 및
    상기 향분석부에서 정량화된 화학 성분들의 양을 기초로 상기 물질의 향기를 구성하는 화학 성분들을 중심향 성분 및 주변향 성분으로 구분하고, 상기 중심향 성분 및 주변향 성분의 화학 성분들을 그레이 스케일 값으로 변환하는 부호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각 정보 부호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화학성분에 대한 제1 코드 값을 저장하는 화학성분 코드 데이터베이스;
    향기에 대한 제2 코드 값을 저장하는 향기 코드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제1 코드 값 및 상기 제2 코드 값을 이용하여 상기 향기의 구성 화학 성분의 정량적인 분석 값을 중심향 성분 및 주변향 성분으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향-화학 성분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각 정보 부호화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향분석부는,
    소정 물질의 향기를 구성하는 화학 성분들의 양을 분석하는 성분 분석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분석된 화학 성분들의 성분 비율과 가장 유사한 향기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향기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성분 분석부에서 분석된 화학 성분의 양을 정량적인 값으로 보정하는 보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각 정보 부호화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향분석부는,
    필터링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유사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각 정보 부호화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부는,
    상기 향분석부에서 정량화된 화학 성분들 중 가장 많은 양의 화학 성분을 중심향 성분으로 선택하고, 나머지 화학 성분들을 주변향 성분들로 선택하는 중심향 분석부; 및
    상기 중심향 성분 및 주변향 성분들의 양을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시각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각 정보 부호화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레이 스케일 값을 네트워크 전송을 위한 패킷으로 생성하는 패킷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각 정보 부호화 장치.
  7. 소정 물질의 향기를 구성하는 화학 성분들의 양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한 화학 성분들의 양을 소정 향기들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 값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정량화하는 단계;
    상기 정량화된 화학 성분들을 양을 기초로 중심향 성분 및 주변향 성분으로 구분하는 단계; 및
    상기 중심향 성분 및 주변향 성분의 화학 성분들의 양을 그레이 스케일 값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각 정보 부호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화 단계는,
    상기 분석한 화학 성분들과 가장 유사도가 높은 향기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필터링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한 향기 데이터의 값으로 상기 화학 성분들의 양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각 정보 부호화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그레이 스케일 값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각 정보 부호화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그레이 스케일 값을 네트워크 전송을 위한 패킷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각 정보 부호화 방법.
  11. 소정의 향기 도메인의 코퍼스에서 형태소 분석 과정을 통해 명사를 추출하는 명사 추출부;
    상기 추출된 명사들 중에서 소정의 냄새 사물 명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명사로 이루어진 임시 냄새 사물 명사 리스트를 생성하는 리스트 생성부; 및
    상기 임시 냄새 사물 명사 리스트에서 소정 임계치 이상의 빈도를 가지는 명사에 상기 향기 도메인의 향기코드를 부여하는 향기 코드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 코드 생성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 도메인에서 향기 코드가 부여된 향기를 구성하는 화학 성분들의 정량적인 분석 값을 상기 화학 성분들의 코드 값과 연계하여 저장하는 향-화학성분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 코드 생성 장치.
  13. 소정의 향기 도메인의 코퍼스에서 형태소 분석 과정을 통해 명사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명사들 중에서 소정의 냄새 사물 명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명사로 이루어진 임시 냄새 사물 명사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임시 냄새 사물 명사 리스트에서 소정 임계치 이상의 빈도를 가지는 명사에 상기 향기 도메인의 향기코드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 코드 생성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 도메인에서 향기 코드가 부여된 향기를 구성하는 화학 성분들의 정량적인 분석 값을 상기 화학 성분들의 코드 값과 연계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 코드 생성 방법.
KR1020040099165A 2004-11-30 2004-11-30 후각 정보 부호화 장치 및 그 방법과 향기 코드 생성 장치및 그 방법 KR100601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9165A KR100601052B1 (ko) 2004-11-30 2004-11-30 후각 정보 부호화 장치 및 그 방법과 향기 코드 생성 장치및 그 방법
PCT/KR2004/003404 WO2006059815A1 (en) 2004-11-30 2004-12-22 Olfactory information encoding apparatus and method, and scent code 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7542872A JP4468455B2 (ja) 2004-11-30 2004-12-22 嗅覚情報符号化装置及びその方法と香りコード生成装置及びその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9165A KR100601052B1 (ko) 2004-11-30 2004-11-30 후각 정보 부호화 장치 및 그 방법과 향기 코드 생성 장치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0235A true KR20060060235A (ko) 2006-06-05
KR100601052B1 KR100601052B1 (ko) 2006-07-19

Family

ID=36565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9165A KR100601052B1 (ko) 2004-11-30 2004-11-30 후각 정보 부호화 장치 및 그 방법과 향기 코드 생성 장치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468455B2 (ko)
KR (1) KR100601052B1 (ko)
WO (1) WO2006059815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31954B2 (en) 2015-05-06 2019-06-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gas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WO2021080246A1 (ko) * 2019-10-22 2021-04-29 주식회사 딥센트 후각 환경 관리 시스템
KR102581502B1 (ko) * 2022-12-01 2023-09-2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후각 정보를 활용하는 이미지 추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79092B2 (en) 2013-05-21 2019-08-13 Alon Daniel GAFSOU System and method for scent perception measurements and for construction of a scent database
CN108032302A (zh) * 2017-12-22 2018-05-15 胡明建 一种机械视觉触觉嗅觉以时间相互映射的设计方法
JPWO2021261124A1 (ko) * 2020-06-22 2021-12-30
JPWO2023008317A1 (ko) * 2021-07-28 2023-02-02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0027A (en) * 1986-03-24 1988-09-13 Katuo Ehara Method of measuring concentrations of odors and a device therefor
JP2741749B2 (ja) * 1996-04-26 1998-04-22 工業技術院長 疑似ニオイ発生方法およびその装置並びに疑似ニオイ発生媒体
US6628204B1 (en) * 1998-06-23 2003-09-30 Ito Engineering Inc. Odor communication system in multimedia
KR100547863B1 (ko) * 1998-08-28 2006-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후각정보송신장치
IL126167A0 (en) * 1998-09-10 1999-05-09 Aromix Technologies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odor transmission
JP3074494U (ja) * 1999-06-01 2001-01-19 株式会社双葉エレクトロニクス 携帯型匂い測定装置
JP4374723B2 (ja) * 2000-04-25 2009-12-02 株式会社島津製作所 におい識別装置
JP3501109B2 (ja) * 2000-07-03 2004-03-02 株式会社島津製作所 におい測定装置
JP2002245326A (ja) * 2001-02-14 2002-08-30 Denso Corp ニオイデータ送信システム
JP3882720B2 (ja) * 2002-02-19 2007-02-21 株式会社島津製作所 におい測定装置
JP4013705B2 (ja) * 2002-09-02 2007-11-28 株式会社島津製作所 におい測定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31954B2 (en) 2015-05-06 2019-06-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gas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WO2021080246A1 (ko) * 2019-10-22 2021-04-29 주식회사 딥센트 후각 환경 관리 시스템
KR20210047564A (ko) * 2019-10-22 2021-04-30 주식회사 딥센트 후각 환경 관리 시스템
KR102581502B1 (ko) * 2022-12-01 2023-09-2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후각 정보를 활용하는 이미지 추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59815A1 (en) 2006-06-08
JP2008537362A (ja) 2008-09-11
JP4468455B2 (ja) 2010-05-26
KR100601052B1 (ko) 2006-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96520B2 (en) System and method for scent perception measurements and for construction ofa scent database
Dravnieks Odor quality: semantically generated multidimensional profiles are stable
US11674938B2 (en) Utilization of electronic nose-based analysis of odorants
Noble et al. Use of multivariate statistics in understanding wine flavor
Pollien et al. Hyphenated headspace-gas chromatography-sniffing technique: screening of impact odorants and quantitative aromagram comparisons
Kiela et al. Grounding semantics in olfactory perception
Zarzo Hedonic judgments of chemical compounds are correlated with molecular size
Serot et al. Identification of the main odor-active compounds in musts from French and Romanian hybrids by three olfactometric methods
Deuscher et al. Key aroma compounds of dark chocolates differing in organoleptic properties: A GC-O comparative study
Keller et al. Human olfactory psychophysics
Liu et al. Aroma-active compounds in jinhua ham produced with different fermentation periods
Zarzo et al. Identification of latent variables in a semantic odor profile database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KR100601052B1 (ko) 후각 정보 부호화 장치 및 그 방법과 향기 코드 생성 장치및 그 방법
Varming et al. Comparison of isolation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important aroma compounds in black currant (Ribes nigrum L.) juice, using nasal impact frequency profiling
Harel et al. Towards an odor communication system
Han et al. Characterization and discrimination of Chinese marinated pork hocks by volatile compound profiling using solid phase microextraction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olfactometry, electronic nose and chemometrics
Teixeira et al. Perfumery radar 2.0: A step toward fragrance design and classification
Boccorh et al.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for predicting flavour intensity in blackcurrant concentrates
Williams et al. Human odour thresholds are tuned to atmospheric chemical lifetimes
JP2019060870A (ja) 匂い表現予測システム、及び匂い表現予測カテゴライズ方法
Mariotti et al. Volatile olfactory profiles of umbrian extra virgin olive oils and their discrimination through MOX chemical sensors
Ng et al. Profiling of aroma-active compounds in Ylang-Ylang essential oils by aroma extract dilution analysis (AEDA) and chemometric methods
Ojeda et al. Chemical references in sensory analysis of smoke flavourings
Jeltema et al. Evaluation and applications of odor profiling
Lias et al.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electronic nose coupled with DFA and statistical analysis for evalu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ample volumes versus sensor intensity of agarwood essential oils blending rati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