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9561A - 모낭 기관 배양을 위한 고농도 배지 및 배양 방법 - Google Patents

모낭 기관 배양을 위한 고농도 배지 및 배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9561A
KR20060059561A KR1020040098684A KR20040098684A KR20060059561A KR 20060059561 A KR20060059561 A KR 20060059561A KR 1020040098684 A KR1020040098684 A KR 1020040098684A KR 20040098684 A KR20040098684 A KR 20040098684A KR 20060059561 A KR20060059561 A KR 20060059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um
hair follicle
hair
serum
org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8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4118B1 (ko
Inventor
박정극
이두훈
윤희훈
유보영
송계용
Original Assignee
박정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극 filed Critical 박정극
Priority to KR1020040098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4118B1/ko
Publication of KR20060059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9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4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4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25Epidermal cells, skin cells; Cells of the oral mucosa
    • C12N5/0627Hair cells
    • C12N5/0628Hair stem cells; Hair progeni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018Culture media for cell or tissue culture
    • C12N5/0037Serum-free medium, which may still contain naturally-sourced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0/00Specific components of cell culture medium
    • C12N2500/30Organic components
    • C12N2500/32Amino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30Hormones
    • C12N2501/33Insul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ell Bi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낭 기관 배양을 위한 고농도 배지 및 이를 이용한 모낭 기관의 배양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아미노산이 2,000 내지 3,000 ㎎/ℓ의 양으로, 비타민이 40 내지 60 ㎎/ℓ의 양으로 각각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혈청 배지 및 상기 배지에서 모낭 기관을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낭 기관의 배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고농도 배지는 모낭 기관에 포함된 여러 종류의 세포들을 장기간 배양시키고 모낭 기관의 정상적인 표현형 및 모발 생성 능력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모발이식술을 수행하는 동안 모낭 기관의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시켜 생착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무혈청 배지이므로 감염 등의 문제가 없어, 모낭 기관의 저장용 배지로도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낭 기관 배양을 위한 고농도 배지 및 배양 방법 {HIGHLY ENRICHED MEDIUM AND METHOD FOR CULTURE OF HAIR FOLLICLE}
도 1은 기존 배지로서 윌리엄 배지 E (William's E Medium) +ITS +HC 및 IMDM +ITS +HC와 본 발명의 고농도 배지인 DHGM (Dongguk Hair Growth Media) +ITS +HC로 배양한 경우, 시간에 따른 모발의 길이 변화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2a 내지 2c는 윌리엄 배지 E +ITS +HC 및 IMDM +ITS +HC와 본 발명의 고농도 배지인 DHGM + ITS + HC로 배양한 경우, 시간에 따른 모발의 길이 변화를 실제 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이고,
도 3은 IMDM, DMEM, DMEM/F-12, F-12, Mc Coy's 5A, RPMI1640 등 기존의 일반배지에 ITS와 HC를 첨가하여 배양한 경우, 시간에 따른 모발의 길이 변화를 실제 현미경으로 관찰한 그래프이며,
도 4는 필폿 배지 (윌리엄 배지 E +ITS +HC)와 DHGM +ITS +HC로 배양하였을 때, 배양 4일째 및 8일째의 모낭 기관 내 활성 알칼라인포스파테이즈의 양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모낭 기관 배양을 위한 고농도 배지 및 배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미노산이 2,000 내지 3,000 ㎎/ℓ의 양으로, 비타민이 40 내지 60 ㎎/ℓ의 양으로 각각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혈청 배지 및 이 배지를 이용하여 모낭 기관을 배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낭이란 모근을 싸고 있는 주머니 모양의 상피성 조직을 말하며, 모근이란 모발이 피부에 박힌 부분을 말한다.
모발은 모낭 근처에서 세포 분열이 활발히 일어나 생장하게 된다. 만약 이 세포 분열 능력이 저하되면 모낭은 위축하게 되고 피부의 얕은 부위로 이동한다. 정상적으로는 세포 분열 능력을 다시 획득하게 되어 생성된 신생 세포군이 피부의 깊은 곳으로 이동하여 새로운 모낭이 형성되고 모발이 자라나 묵은 모발을 밀어내는데, 이와 같은 '모발의 교환'이 일어나지 않으면 탈모증이 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개발된 탈모의 최적 치료방법은 모발이식이지만, 탈모 초기에는 FDA 승인을 받아 시중에 판매되는 외용제 미녹시딜 (Minoxidil) 이나 경구투여제인 피나스테라이드 (finasteride)를 주성분으로 하는 프로페시아 (Propecia) 등으로도 탈모 진행을 둔화시킬 수 있다(Arca E. et al., Dermatology, 209(2):117-25, 2004).
초기 탈모 치료에 유용한 유효물질을 찾아내기 위해, 로(Roh SS et al., J Dermatol Sci., 30(1):43-9, 2002)는 생체 실험의 경우, 쥐를 제모한 후 시료를 등 에 도포한 후 발모현상을 관찰하였으며, 필폿과 이마이 (Philpott MP et al., British Journal of Dermatology, 127: 600-607, 1992, Philpott MP et al., J Invest. Deramtol, 115: 1152-1155, 2000)는 쥐의 콧수염을 이용한 생체 외 기관배양을 통해 IGF (Insulin-like growth factor), EGF (Epidermal growth factor), HGF (Hepatocyte growth factor) 등의 성장인자의 영향을 확인하는 동물 실험을 진행해왔지만 일정한 주기로 털갈이를 하는 설치류와 달리 사람은 모낭마다 별개의 주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성장인자에 대한 경향이 모두 일치하지는 않았다. 반면, 원숭이 모델의 경우 사람과 경향은 유사하지만 시간과 실험비용의 부담이 너무 크다. 또한, 최근 동물 보호 차원에서 동물을 이용한 생체 실험이 사회적으로 비판을 받고 있으며 법적으로도 규제가 되고 있어서, 동물 시험을 대체할 생체 외 독성 검사 모델의 개발이 전 세계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생체 실험과 달리 생체 외 실험의 경우에는, 세포 배양시 혈관을 통한 영양이나 산소 공급이 차단된 상황이므로 장기간의 실험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효능성분의 효과를 확인하기 전에 인공조직의 급속한 세포사로 인해 실험이 종결되는 상황이 생길 수 있으므로 생체 외 실험의 경우 인공조직의 기능을 생체와 유사한 환경으로 조성하여 장기간 유지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모낭 기관 배양을 이용한 체외 모발 성장모델로는 콘도 (Kondo S et al., Arch Dermatol Res. 282(7): 442-5, 1990)가 액침 배양으로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에 혈청을 10 중량% 첨가한 후 유리병 안에서 배양한 연구가 있으며, 진도 등(Jindo T. et al., Dermatol. 20(12):756-62, 1993)은 산소압을 증가시키고 31 ℃에서 RPMI 1640 배지로 배양하는 경우, 일반적인 배양 온도인 37 ℃에서 배양하는 것보다 길이 성장속도와 길이 증가량은 감소되지만 모구의 형태변화는 적게 나타났다고 보고했다.
2000년 이후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모낭 기관 배양을 위한 배지는 필폿(Philpott)이 개발한 것으로, 윌리엄 배지 E (Williams' medium E)에 10 ㎍/㎖ 인슐린 (insulin), 10 ㎍/㎖ 트랜스페린 (transferrin), 10 ㎍/㎖ 소듐 셀레나이트 (sodium selenite) 및 10 ㎍/㎖ 하이드로코티손 (hydrocortisone)이 첨가된 배지 조성을 가진다. 이 밖에도 L-글루타민의 농도를 4 mM로 증가시켜 배양했을 때 모낭 기관 내 세포들의 ATP 합성량 증가를 확인한 연구 (Kealey T. et al., Skin Pharmacol. 7(1-2):41-6, 1994) 및 모낭 기관을 4 ℃에서 저장하였을 때 37 ℃ 보다 생존 기간이 연장된다는 것을 확인한 연구 (Kurata S et al, Dermatol Surg., 25(1): 26-9, 1999)도 있다. 또한, 이미 알려진 배지 조성에 여러 성장 인자를 첨가하여 배지 내에서의 생존 기간을 연장시키려는 연구는 많이 있었으나 아미노산이나 비타민의 양을 증가시킨 모낭 기관 배양용 배지의 조성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는 기존의 모낭 기관 배양용 배지에 아미노산과 비타민의 양을 증가시키고 인슐린, 트랜스페린, 소듐셀레나이트, 하이드로코티손, 알부민, 미량의 구리, 철, 아연 및 망간을 첨가한 무혈청 모낭 기관 배양 배지가 기존 배지보다 긴 시간 동안 세포들을 생존시키고 모낭 기관의 정상적인 표현형을 유지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세포 배양 배지보다 긴 시간 동안 세포들을 정상적인 형태로 배양할 수 있는, 모낭 기관 배양용 고농도 배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배지를 이용하여 모낭 기관을 배양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낭 기관 배양을 위한 배지에 있어서, 아미노산이 2,000 내지 3,000 ㎎/ℓ의 양으로, 비타민이 40 내지 60 ㎎/ℓ의 양으로 각각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혈청 배지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배지에서 모낭 기관을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낭 기관 배양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고농도 배지 (이하 DHGM (Dongguk Hair Growth Media)으로 명명)는 기존에 세포 배양용 배지로 사용되고 있는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DMEM/F-12, F-12, Mc Coy's 5A, RPMI1640, 윌리엄 배지 E (Williams' medium E), IMDM (Iscove's Modified Dulbecco's Modification) 등 일반 배지에 비해 2 내지 5배의 고농도 아미노산과 비타민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여러 종류의 많은 세포를 지닌 모낭 기관의 배양시 발생되는 영양분 부족, 산소 결핍의 극복과 배양에 따른 낮은 모낭 기관의 특이 기능들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고농도 DHGM 배지는 아미노산으로서 필수 아미노산 중 L-아르기닌, L-아스파라진, L-아스파르트산, L-시스틴 2HCl, L-이소루이신, L-루이신, 및 L-리신 HCl은 각각 30 내지 200 ㎎/ℓ을, 필수 아미노산 중 방향족 아미노산인 L-페닐알라닌, L-트립토판, 및 L-티로신은 각각 30 내지 210 ㎎/ℓ을, 필수 아미노산 중 나머지는 각각 50 내지 600 ㎎/ℓ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타민으로서 수용성 비타민 B군인 바이오틴, D-Ca 판토테네이트, 및 리보플라빈은 각각 0.02 내지 1 ㎎/ℓ을, 콜린 클로라이드, 엽산, 니아신 아마이드, 피리독신 HCl, 및 티아민 HCl은 각각 3 내지 16 ㎎/ℓ을, i-이노시톨은 10 내지 15 ㎎/ℓ을, 비타민 B12는 0.02 내지 0.03 ㎎/ℓ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배지는 글루타치온을 0.03 내지 0.07 ㎎/ℓ, 글루타민을 400 내지 600 ㎎/ℓ, D-글루코스를 1,500 내지 3,000 ㎎/ℓ 농도로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pH 완충효과를 지니는 중탄산나트륨 (NaHCO3) 3,000 내지 3,500 ㎎/ℓ, 및 헤피스 (HEPES, N-[2-hydroxyethyl] piperazine-N'-[2-ethanesulfonic acid]) 2,000 내지 2,500 ㎎/ℓ, 세포-세포간 부착에 중요한 미네랄 성분인 Ca 및 Mg를 각각 1.0 내지 2.0 mM 및 0.5 내지 1.0 mM의 농도로, 세포 대사활동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다른 미네랄 성분인 Cu, Fe, Mn, 및 Zn을 각각 0.25 내지 0.7 nM의 농도로 함유하고, 삼투압을 280 내지 310 mOsm/㎏으로 맞추기 위하여 염화나트륨을 4,000 내지 5,000 ㎎/ℓ의 농도로 포함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배지는 모낭의 배양기간을 더욱 연장시키기 위해 하이드로코티손 (hydrocortisone; HC), 인슐린 (insulin; I), 트랜스페린 (transferrin; T), 및 소듐셀레나이트 (sodium selenite; S)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하이드로코티손은 10 내지 100 ㎍/ℓ, 인슐린은 5 내지 20 ㎎/ℓ, 트렌스페린은 5 내지 20 ㎎/ℓ, 및 소듐 셀레나이트는 0.005 내지 0.02 ㎎/ℓ의 농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CaCl2 165 ㎎/ℓ, CuSO4·5H2O 0.0001 ㎎/ℓ, Fe(NO 3)·9H2O 0.0001 ㎎/ℓ, KCl 330 ㎎/ℓ, KNO3 0.076 ㎎/ℓ, MgSO4 98㎎/ℓ, MnCl2·4H2O 0.0001 ㎎/ℓ, NaCl 4,800 ㎎/ℓ, NaHCO3 3,360 ㎎/ℓ, Na2HPO4 111 ㎎/ℓ, ZnSO4·7H2O 0.0002 ㎎/ℓ, D-글루코스 2,000 ㎎/ℓ, 소듐 피루베이트 110 ㎎/ℓ, HEPES 2,383 ㎎/ℓ, 페놀 레드 15 ㎎/ℓ, L-알라닌 50 ㎎/ℓ, L-아르기닌 100㎎/ℓ, L-아스파라진 50 ㎎/ℓ, L-아스파르트산 60 ㎎/ℓ, L-시스틴·2HCl 182.4 ㎎/ℓ, L-글루탐산 150 ㎎/ℓ, L-글루타민 584 ㎎/ℓ, L-글리신 60 ㎎/ℓ, L-히스티딘 62.1 ㎎/ℓ, L-이소루이신 210 ㎎/ℓ, L-루이신 210 ㎎/ℓ, L-리신·HCl 292 ㎎/ℓ, L-메티오닌 60 ㎎/ℓ, L-페닐알라닌 132 ㎎/ℓ, L-프롤린 80 ㎎/ℓ, L-세린 84 ㎎/ℓ, L-트레오닌 190 ㎎/ℓ, L-트립토판 32 ㎎/ℓ, L-티로신 208 ㎎/ℓ, L-발린 188 ㎎/ℓ, 바이오틴 0.026 ㎎/ℓ, D-Ca 판토테네이트 0.026 ㎎/ℓ, 콜린 클로라이드 8 ㎎/ℓ, 엽산 16 ㎎/ℓ, i-이노시톨 14.40 ㎎/ℓ, 니아신 아마이드 8 ㎎/ℓ, 피리독신 HCl 8 ㎎/ℓ, 리보플라빈 0.8 ㎎/ℓ, 티아민 HCl 3 ㎎/ℓ, 및 비타민 B12 0.026 ㎎/ℓ로 이루어진 배지가 바람직하다.
상기의 바람직한 고농도 DHGM 배지는 일반 배지인 IMDM에 비해 세포의 대사 작용을 위한 에너지를 공급하고 세포 활성을 유지시키는 아미노산과 비타민의 함량이 2배이고, 젖산으로 대사되기 때문에 생체에서 에너지원으로서의 역할이 적은 D-글루코스의 함유량은 2,000 ㎎/ℓ로 감소되어 있다. 아미노산 중 ATP 합성량에 영향을 미치는 L-글루타민의 농도는 4 mM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미량 원소를 아연 0.7 nM, 철 0.25 nM, 구리 0.4 nM 및 망간 0.5 nM 의 농도로 포함하며, pH 완충효과를 지니는 중탄산나트륨과 HEPES를 각각 40 mM과 10 mM의 농도로 함유한다. 세포간의 부착에 필수적인 미네랄인 칼슘과 마그네슘의 최종 농도는 각각 1.5 mM과 0.8 mM이며, 삼투압을 280 내지 310 mOsm/㎏으로 맞추기 위하여 염화나트륨을 4,500 ㎎/ℓ농도로 함유한다.
아울러, 철 공급원으로서 트랜스페린 10 ㎎/ℓ을 넣고, 무기 염류로서 소듐 셀레나이트 0.01 ㎎/ℓ, 호르몬으로서 하이드로코티손 10 ㎍/ℓ 및 인슐린 10 ㎎/ℓ, 그리고 알부민 0.2 중량%를 추가로 포함한다.
모낭 기관 배양에 혈청이 포함된 배지를 사용하는 경우, 모낭은 초기 성장률이 우수하나 조기 퇴화되는 경향이 있고 감염의 우려가 있어 모낭 기관의 장기간 배양에 부적합하며 (Randall VA. et al., J Investig Dermatol Symp Proc. 8(1):39-45, 2003) 데이터 분석에도 어려움이 있으나, 본 발명의 배지는 혈청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감염 등의 우려가 없어 모낭 기관 배양용 및 저장용 배지로서 유용하다.
또한, 세포 배양에 있어서 중요한 pH는 중탄산염과 최종대사 산물들 간의 완충효과에 의해 일정하게 유지된다. 즉, 본 발명의 배지는 윌리엄 배지 E보다 아미노산의 농도가 높아 대사산물인 암모니아에 의해 pH 상승이 우려될 수 있으나, 중탄산염 완충제 첨가로 인해 pH가 7.2 내지 7.5 사이에서 잘 유지된다.
본 발명의 모낭 기관 배양용 배지에 포함된 황산구리는 모낭 기관 내 존재하는 구리 의존 효소이자 항산화제인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 (Superoxide dismutase; SOD)를 통하여 라디칼 이온에 의한 세포사 (apoptosis)를 억제시키며, 이밖에도 다른 구리 의존 효소들을 통해 모낭 기관 내 5α-환원효소-1과 -2를 모두 억제시켜 천연 성장인자합성을 촉진하고 세포외 기질의 합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아연의 경우는 징크 핑거 (zinc finger) 전사인자(transcription factor)에 필수적인 미네랄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배지를 이용하여 통상적인 세포 배양 조건 하에 모낭 기관을 배양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7 ℃에서, 5% CO2 존재 하에 배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양시에는 48 시간마다 배지를 신선한 배지로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모낭 기관 배양용 배지를 이용하여 모낭 기관을 배양하면 기존 배지보다 모발의 길이를 증가시킬 뿐 아니라, 모낭 기관의 정상적인 표현형 및 모발 생성 능력을 장기간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4 참조).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한정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7: 모낭 기관 배양 및 모발의 길이 측정
쥐 (Spague Dawley rat)의 감각모 (Vibrissa hair) 모낭 기관을 피부에서 분리하여 모발과 모구 상단의 최외각모근초를 일부 제거하였다. 분리된 모낭 기관을 24 웰 플레이트에 넣고 인슐린 10 ㎎/ℓ, 트랜스페린 10 ㎎/ℓ, 소듐 셀레나이트 0.01 ㎎/ℓ, 하이드로코티손 0.01 ㎎/ℓ, 및 알부민 0.2 중량% (알부민 2 g/ℓ)가 각각 첨가된 윌리엄 배지 E 및 IMDM 또는 하기 표 1의 DHGM 배지 500 ㎕를 첨가하여 37℃, 5% CO2 조건에서 48시간 간격으로 배지를 교환하면서 배양하였다.
Figure 112004055954028-PAT00001
Figure 112004055954028-PAT00002
인슐린, 트랜스페린, 소듐 셀레나이트 및 하이드로코티손이 각각 첨가된, 본 발명의 DHGM 배지(DHGM+ITS+HC), 윌리엄 배지 E (William's E + ITS + HC), 및 IMDM 배지 (IMDM+ITS+HC)에서 자라는 모발의 형태 및 총 길이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상기 방법으로 배양되는 모낭 기관의 배지 교체시기마다 시간에 따른 모발의 길이를 측정하고 (도 1), 사진 촬영하였다(도 2a 내지 2c).
또한, 다양한 조성을 갖는 일반 배양 배지에서 자라는 모발의 길이를 본 발명의 배지에서 자란 모발의 길이와 비교해보기 위하여, 일반 배지를 IMDM, DMEM, DMEM/F-12, F-12, Mc Coy's 5A, RPMI1640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간에 따른 모발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도 3).
도 1 내지 도 3의 결과로부터, 기존의 배지인 윌리엄 배지 E와 IMDM에 ITS와 HC이 첨가된 배지에서 배양된 모낭 기관을 비교하면, 9일째 모발의 길이 성장량은 서로 유사했으나 윌리엄 배지 E +ITS +HC에서 자란 모낭 기관은 세포사로 인해 9일 이후로는 모유두와 모발이 분리되어 탈락하는 현상이 나타났으며, IMDM+ITS+HC의 경우는 11일째까지 연속적으로 길이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DMEM, DMEM/F-12, F-12, Mc Coy's 5A, RPMI1640에 ITS와 HC이 첨가된 배지의 경우에는 IMDM+ITS+HC 보다도 길이 성장이 덜 일어나며, 대부분 배양 후 14일 전에 성장이 멈추는 것을 알 수 있었다.
IMDM+ITS+HC와 본 발명의 DHGM+ITS+HC의 경우에는 두 배지 모두 초기 성장속도가 필폿 배지의 경우보다는 높았지만, IMDM+ITS+HC에서 배양된 모낭 기관의 경우에는 11일 이후에도 세포 생존이 유지되는 반면, 길이 성장은 없었으며, 17일 이후에는 세포사로 인하여 모유두와 모발이 분리되어 탈락하는 현상이 발생하여 전체적으로 괴사에 들어가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러나, 본 발명의 DHGM+ITS+HC 배지에서 배양되는 모낭 기관에서는 25일째까지 길이 성장이 계속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및 비교예 8: 모발 생성능 (알칼라인포스파테이즈의 양) 측정
본 발명에 따른 배지에서 배양되는 모낭 기관의 모발 생성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DHGM+ITS+HC 배지 및 필폿 배지에서 모낭 기관을 배양하고, 배양 4일째 및 8일째에는 모낭 기관 내에서 모유두를 분리하여 용해 완충액 (SDS, phenylmethylsulfonyl fluoride, ethylendiamine tetraacetic acid, pepstatin A, leupeptin, aprotinin)에서 조직을 분쇄한 후, 세 포 내에서 모발 생성능력이 있을 때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알칼라인포스파테이즈의 양을 알칼라인 포스파테이즈에 2차 항체를 붙여서 형광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도 4).
도 4로부터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DHGM+ITS+HC의 경우에는 기존의 필폿 배지에 비하여 4일째부터 알칼라인포스파테이즈의 양이 월등하게 나타났고, 배양 8일째에도 이러한 경향은 유지되었으므로, 본 발명의 배지가 모낭 기관의 모발 생성능을 유지시키는 능력이 탁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농도 배지는 모낭 기관에 포함된 여러 종류의 세포들을 장기간 배양시키고 모낭 기관의 정상적인 표현형 및 모발 생성 능력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모발이식술을 수행하는 동안 모낭 기관의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시켜 생착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무혈청 배지이므로 감염 등의 문제가 없어, 모낭 기관 저장용 배지로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6)

  1. 모낭 기관 배양을 위한 배지에 있어서, 아미노산이 2,000 내지 3,000 ㎎/ℓ의 양으로, 비타민이 40 내지 60 ㎎/ℓ의 양으로 각각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혈청 배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아미노산으로서 L-아르기닌, L-아스파라진, L-아스파르트산, L-시스틴 2HCl, L-이소루이신, L-루이신, 및 L-리신 HCl이 각각 30 내지 200 ㎎/ℓ로, L-페닐알라닌, L-트립토판, 및 L-티로신이 각각 30 내지 210 ㎎/ℓ로, 그리고 L-알라닌, L-글루탐산, L-글리신, L-히스티딘, L-메티오닌, L-프롤린, L-세린, L-트레오닌 및 L-발린이 각각 50 내지 600 ㎎/ℓ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혈청 배지.
  3. 제 1 항에 있어서,
    비타민으로서 바이오틴, D-Ca 판토테네이트, 및 리보플라빈이 각각 0.01 내지 2 ㎎/ℓ로, 콜린 클로라이드, 엽산, 니아신 아마이드, 피리독신 HCl, 및 티아민 HCl이 각각 3 내지 16 ㎎/ℓ로, i-이노시톨이 10 내지 15 ㎎/ℓ로, 그리고 비타민 B12가 0.02 내지 0.03 ㎎/ℓ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혈청 배지.
  4. 제 1 항에 있어서,
    글루타민 400 내지 600 ㎎/ℓ, D-글루코스 1,500 내지 3,000 ㎎/ℓ, 중탄산나트륨 (NaHCO3) 3,000 내지 3,500 ㎎/ℓ, 헤피스 (HEPES, N-[2-hydroxyethyl]piperazine- N'-[2-ethanesulfonic acid]) 2,000 내지 2,500 ㎎/ℓ, Ca 1.0 내지 2.0 mM, Mg 0.5 내지 1.0 mM, Cu, Fe, Mn, Zn을 각각 0.25 내지 0.7 nM, 및 염화나트륨 4,000 내지 5,000 ㎎/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혈청 배지.
  5. 제 1 항에 있어서,
    인슐린, 트랜스페린, 소듐 셀레나이트, 하이드로코티손, 및 알부민이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혈청 배지.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의 배지에서 모낭 기관을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낭 기관의 배양 방법.
KR1020040098684A 2004-11-29 2004-11-29 모낭 기관 배양을 위한 고농도 배지 및 배양 방법 KR100684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8684A KR100684118B1 (ko) 2004-11-29 2004-11-29 모낭 기관 배양을 위한 고농도 배지 및 배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8684A KR100684118B1 (ko) 2004-11-29 2004-11-29 모낭 기관 배양을 위한 고농도 배지 및 배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9561A true KR20060059561A (ko) 2006-06-02
KR100684118B1 KR100684118B1 (ko) 2007-02-16

Family

ID=37156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8684A KR100684118B1 (ko) 2004-11-29 2004-11-29 모낭 기관 배양을 위한 고농도 배지 및 배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411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4118B1 (ko) 2007-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83358B1 (en)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dermal papilla tissue employing mesenchymal stem cells
US7635589B2 (en)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a dermal papilla tissue having hair follicle inductive potency
Hammond et al. Serum-free growth of human mammary epithelial cells: rapid clonal growth in defined medium and extended serial passage with pituitary extract.
AU2003238620B2 (en) Liquid for frozen storage of primate embryo stem cells and frozen storage method
US11639494B2 (en) Culture medium
CN110934132A (zh) 一种无血清无dmso细胞冻存液及其制备方法
US10801009B2 (en)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condition of skin, containing cell culture medium, epidermal growth factor and bovine serum albumin
MX2007002390A (es) Medio y cultivo de celulas progenitoras embrionarias.
AU2007274065A1 (en) Cell growth medium
JP2000198701A (ja) 眼科用の規定された無血清医療溶液およびそれを用いた処置方法
CN113337459B (zh) 一种提高多能干细胞分化效能的方法
TR201816125T4 (tr) Canlı biyolojik malzemeleri korumak, nakletmek ve saklamak için bileşim ve usul.
EP1972685B1 (en) Culture medium for gingival fibroblasts
US6180404B1 (en) Cultural medium for maintaining neural cells in ambient atmosphere
KR100684118B1 (ko) 모낭 기관 배양을 위한 고농도 배지 및 배양 방법
EP3192368A1 (en) Composition for preserving cells, containing, as active ingredients, plant-derived recombinant human serum albumin and plant peptides
WO2011105658A1 (en) Cell protectants comprising placenta extracts
JP7173007B2 (ja) リボフラビン誘導体含有培地
JP7005754B2 (ja) 毛乳頭及び毛包同等物をインビトロで調製する方法
JP2023035731A (ja) 造血幹細胞培養組成物
US20140256044A1 (en) Culture media
Khoo et al. In vitro primary culture of erythrophores from fin explants of the Siamese Fighting Fish (Betta splendens)
FR2846005A1 (fr) Composition pour milieu biologique comprenant de l'erythorbate de so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