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9421A - 도광판의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도광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도광판의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도광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9421A
KR20060059421A KR1020040098508A KR20040098508A KR20060059421A KR 20060059421 A KR20060059421 A KR 20060059421A KR 1020040098508 A KR1020040098508 A KR 1020040098508A KR 20040098508 A KR20040098508 A KR 20040098508A KR 20060059421 A KR20060059421 A KR 20060059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guide
guide plate
stampers
pair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8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7826B1 (ko
Inventor
양만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트
Priority to KR1020040098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7826B1/ko
Publication of KR20060059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9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7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7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5Manufacturing aspects; Material aspec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4Light-guides, e.g. fibre-optic bundles, louvered or jalousie light-guides

Abstract

본 발명은, 도광판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밀폐가능한 프레스 챔버와, 상기 프레스 챔버 내에 마련되어 있으며 적어도 하나에 소정의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마주보는 한 쌍의 스탬퍼와, 상기 한 쌍의 스탬퍼를 상호 이격, 접근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프레스 챔버에 연결되어 있는 진공수단과, 상기 구동수단과 상기 진공수단 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의 제조장치를 이용하면 생산성이 높으며 광효율이 우수한 도광판을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광판의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도광판의 제조방법{APPARATUS FOR MAKING LIGHT GUIDE PLATE AND METHOD OF MAKING LIGHT GUIDE PLATE USING THE SAME}
도 1은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 제조장치의 배치도이며,
도 2는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며,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하부 본체 12 : 상부 본체
13 : 구동 수단 20 : 프레스 챔버
21a, 21b : 온도 플레이트 22a, 22b : 스탬퍼
25 : 유체 유로 23 : 챔버 하부체
24 : 챔버 상부체 41 : 진공펌프
51 : 냉각 탱크 55 : 가열 탱크
본 발명은, 도광판의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도광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자세하게는, 진공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프레스 챔버를 포함하는 도광판의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도광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는 박막트랜지스터 기판과 칼라필터 기판사이에 액정이 주입되어 있는 액정패널을 포함한다. 액정패널은 스스로 발광하지 못하기 때문에 박막트랜지스터 후면에는 백라이트 유닛이 위치하고 있다. 백라이트 유닛에서 조사된 빛은 액정의 배열상태에 따라 투과량이 조정된다.
백라이트 유닛은 형태에 따라 램프가 측면에만 배치되는 사이드형(에지형)과 복수의 램프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직하형으로 나누어진다.
이 중 사이드형 백라이트 유닛의 경우에는, 측면에서만 나오는 빛을 액정패널의 전면에 균일하게 공급해 주는 도광판(light guide plate)이 필요하다.
도광판은 특수가공한 아크릴 판으로서, 램프로부터 공급된 빛은 아크릴 판 속을 진행하면서 아크릴 판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반사 패턴에 반사되어 액정패널로 균일하게 공급된다.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언급한 램프, 도광판 외에, 램프로부터의 빛을 도광판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 도광판의 반사 패턴이 드러나지 않도록 빛을 퍼뜨리는 확산시트, 정면휘도를 증가시켜 주는 프리즘시트, 프리즘 시트와 액정패널 사이에 위치하면 프리즘 시트를 보호해 주는 보호시트 등을 더 포함한다.
최근에는 도광판의 상하부에 여러 패턴을 형성하여 도광판에 확산 시트와 프리즘 시트의 기능을 부여하려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한편, 종래 도광판을 제조하는 방법에는 인쇄방식, 압출성형 방식, 사출성형 방식 등이 있다.
인쇄방식은 원판에서 소정크기로 절단 가공된 도광판 소재에 확산잉크로 도트 패턴을 인쇄하는 방식이다. 이 방법은 개발기간이 짧고 투자비용이 저렴한 장점을 가진다. 반면 인쇄된 도트 패턴과 도광판 소재간의 굴절율 차이로 인해 광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압출방식은 도트 패턴의 스탬퍼에 의한 압출성형작업으로 형성되므로 광효율이 높고 두꺼운 도광판의 제조가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압출성형된 도광판의 외곽을 절단기로 트리밍해야 하므로 생산성에 문제가 있다.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사출방식은 상기 가공방식에서 발생된 문제점을 상당 부분 해결하여 광효율과 생산성이 다소 향상된 방식이다. 반면, 금형에 도트 패턴을 형성하는 데 금형비의 부담이 크며 개발기간이 길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출방식은 가열된 도광판의 냉각에 시간이 많이 소요돼 생산성이 여전히 낮다. 특히, 수축시 응력발생으로 패턴이 변형되는 문제가 있어 두꺼운 도광판이나 넓은 도광판의 제조에 적용이 곤란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효율과 생산성이 높으면서도 두꺼운 도광판과 넓은 도광판의 제조가 가능한 도광판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의 제조장치를 이용한 도광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도광판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밀폐가능한 프레스 챔버와, 상기 프레스 챔버에 마련되어 있으며, 적어도 하나에 소정의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마주보는 한 쌍의 스탬퍼와, 상기 한 쌍의 스탬퍼를 상호 이격, 접근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프레스 챔버에 연결되어 있는 진공수단과, 상기 구동수단과 상기 진공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스탬퍼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도제어수단은 상기 한 쌍의 스탬퍼의 온도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도제어수단은 복수의 유체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온도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유체 유로는 상호 병렬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스 챔버는 상기 구동수단의 작동에 의해 밀폐,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광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도광판 소재를 마련하는 단계와, 프레스 챔버 내에 서로 마주보며 적어도 하나에 소정의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스탬퍼를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도광판 소재를 상기 한 쌍의 스탬퍼 사이에 배치하며 상기 프레스 챔버를 진공으로 만드는 단계와, 진공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스탬퍼를 상호 가압하여 상기 도광판 소재에 상기 패턴을 전사하는 단계와, 상기 프레스 챔버의 진공을 해제하며 상기 한 쌍의 스탬퍼를 상호 이격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스탬퍼를 상호 가압하는 단계에서, 상기 한 쌍의 스탬퍼는 각각 100 내지 150℃로 가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스탬퍼를 상호 이격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한 쌍의 스탬퍼는 각각 0 내지 30℃로 냉각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스탬퍼의 온도는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스탬퍼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도광판 소재는 소정의 온도로 예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1은 본발명에 따른 도광판 제조장치의 배치도이며, 도 2는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광판 제조장치는 크게 하부본체(11), 상부본체(12), 그리고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프레스 챔버(20)로 이루어진다.
하부본체(11)와 상부본체(12)는 상호 대면하고 있으며, 상부본체(12)는 구동수단수단(13)에 의해 상하로 운동이 가능하다. 상부본체(12)가 하부본체(11)로 접근하면 프레스 챔버(20)는 밀폐되며, 상부본체(12)가 하부본체(11)와 이격되면 프레스 챔버(20)는 개방된다.
프레스 챔버(20)는 하부본체(11)에 연결되어 있는 챔버 하부체(23)와 상부본체(12)에 연결되어 있는 챔버 상부체(24)로 둘러싸인 공간이다. 프레스 챔버(20)는 프레스 공정이 실행되는 공간으로서, 각각 서로 마주하고 있는 한 쌍의 온도플레이 트(21a, 21b)와 한 쌍의 스탬퍼(22a, 22b)가 마련되어 있다. 챔버 상부체(24)에 연결되어 있는 온도플레이트(21b)와 스탬퍼(22b)는 상부 본체(12)의 상하 운동에 연동하여 운동하게 된다. 각 온도플레이트(21a, 21b)와 챔버 하부체(23) 및 챔버 상부체(24)사이에는 단열재(26a, 26b)가 위치하고 있다.
스탬퍼(22a, 22b)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제어수단은, 상기 언급한 온도플레이트(21a, 21b)외에 냉각탱크(51)와 가열탱크(55), 그리고 이들에 연결되어 있는 밸브(53a, 53b, 54a, 54b, 57a, 57b, 58a, 58b)와 펌프(52, 56)를 포함한다.
온도플레이트(21a, 21b)는 스탬퍼(22a, 22b)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유체가 흐르는 통로가 마련되어 있다. 온도제어수단은 밸브(53a, 53b, 54a, 54b, 57a, 57b, 58a, 58b)의 개폐 조작을 통해, 한 쌍의 스탬퍼(22a, 22b)의 온도를 동일하게 또는 서로 다르게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온도 플레이트(21a, 21b)는 냉각 탱크(51)와 가열 탱크(55)와 연결되어 있어 스탬퍼(22a, 22b)를 가열할 수도 있으며 냉각시킬 수도 있다.
온도 플레이트(21a, 21b)에는 냉각 탱크(51)로부터의 냉각 유체와 가열 탱크(55)로부터의 가열 유체가 흐르는 유체 유로(25)가 다수 마련되어 있다. 이들 유체 유로(25)는 서로 독립적으로, 즉 병렬식으로 배치되어 온도 플레이트(21a, 21b)의 순간적인 온도변화를 가능케 하며, 온도 플레이트(21a, 21b)가 전면에 걸쳐 균일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각 유체 유로(25)의 경로가 짧아 유속이 일정하며, 유입된 유체과 유출되는 유체 사이의 온도차이가 적기 때문이다.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를 이용해 도광판을 제조할 경우, 스탬퍼(22a, 22b) 의 가열과 냉각간의 시간 간격이 매우 짧으며, 이 짧은 시간내에 온도변화가 신속히 이루어져야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다. 유체 유로(25)를 병렬로 배치하면 이러한 온도변화 요구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다.
스탬퍼(22a, 22b)를 가열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가열 탱크(55)에 연결되어 있는 밸브(57a, 57b, 58a, 58b)를 개방한 후, 펌프(56)를 작동시킨다. 이에 의해 가열 탱크(55)내에서 가열된 가열 유체가 밸브(57a, 57b)를 지나 온도플레이트(21a, 21b)에 공급된다. 온도플레이트(21a, 21b)가 가열되면 이에 연결되어 있는 스탬퍼(22a, 22b) 역시 가열된다. 온도플레이트(21a, 21b)를 가열한 가열 유체는 밸브(58a, 58b)를 지나 다시 가열 탱크(55)로 돌아온다. 스탬퍼(22a, 22b)를 냉각하는 방법은 가열하는 방법과 유사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단, 각 온도플레이트(21a, 21b)는 밸브(57a, 57b, 58a, 58b, 53a, 53b, 54a, 54b)와 온도 제어수단에 의해 각각 구별되어 독립된 온도로의 가열, 냉각이 가능하다. 이로 인하여 상하 구별된 이종의 도광판 패턴 성형시, 각 패턴이 최적으로 전사될 수 있는 가열온도와 냉각온도로 스탬퍼(21a, 21b)의 온도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도광판 소재에 패턴 형성후, 상온에 노출시에 상하 패턴별로 상온과의 온도차이에 의한 휨정도가 다른데, 이는 스탬퍼(21a, 21b)의 온도를 서로 달리 제어하면 해결할 수 있다.
스탬퍼(22a, 22b)는 도광판 소재(111)에 패터닝될 패턴이 마련되어 있는 판으로 통상 니켈로 만들어 진다. 각 스탬퍼(22a, 22b)에 형성되는 패턴은 서로 다를 수 있는데,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스탬퍼(22a)에는 프리즘 패턴이, 다른 스탬퍼(22b)에는 도트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스탬퍼(22a, 22b) 중 어느 하나는 패턴이 없는 무형상일 수 있으며, 이 경우 패턴이 없는 스탬퍼(22a, 22b)는 온도플레이트(21a, 21b) 등의 표면일 수 도 있다.
본 발명의 프레스 챔버(20)는 진공이 가능하도록 진공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진공수단은 프레스 챔버(20)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진공배관(43), 진공배관(43)에 연결되어 있는 진공펌프(41) 그리고 진공배관(43)과 진공펌프(41)사이에 위치하는 밸브(42)를 포함한다. 또한 챔버하부체(23)과 챔버상부체(24)에는 프레스 챔버(20)와 외부와의 연결을 차단하기 위한 실링부재(31a, 31b)가 마련되어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가 마련되어 구동수단(13), 밸브(42, 53a, 53b, 54a, 54b, 57a, 57b, 58a, 58b), 펌프(52, 56), 진공펌프(41)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겠다.
먼저 도 3a와 같이 도광판 소재(111)를 한 쌍의 스탬퍼(22a, 22b) 사이에 배치한다. 이때 상부본체(12)는 상사점에 위치하고 있다. 도광판 소재(111)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원판을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여 마련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어부는 가열 탱크(55)에 연결되어 있는 밸브(57a, 57b, 58a, 58b)를 개방하고 펌프(56)를 가동시켜 온도플레이트(21a, 21b)에 가열 유체를 공급한다. 온도플레이트(21a, 21b)의 온도는 100 내지 150℃로 가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연결된 스탬퍼(22a, 22b)의 온도 역시 100 내지 150℃로 가열된다. 가열은 도광판 소재(111)의 배치 전부터 실행될 수도 있고 뒤에 설명할 진공단계에서 실행될 수도 있는데, 스탬퍼(22a, 22b)의 가압단계에서 원하는 스탬퍼(22a, 22b)의 온도를 얻을 수 있으면 가열 실행순서는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스탬퍼(22a, 22b)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가열 유체 공급을 단속적으로 하거나, 온도플레이트(21a, 21b)에 냉각 탱크(51)의 냉각 유체를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어 도 3b와 같이 진공펌프(41)를 구동시켜 프레스 챔버(20)를 진공으로 한다. 이때 실링부재(31a, 31b)는 밀착되어 프레스 챔버(20)를 밀폐시키며 이를 위해 상부본체(12)는 상사점에서 다소 하강한 진공점에 위치한다. 이 위치에서는 한 쌍의 스탬퍼(22a, 22b)가 서로 접근만 하고 도광판 소재(111)를 가압하지 않고 있다.
이와 같이 가압 전에 프레스 챔버(20)를 진공으로 만드는 이유는 스탬퍼(22a, 22b)와 도광판 소재(111)사이의 공기를 제거하기 위함이다. 스탬퍼(22a, 22b)에 마련되어 있는 패턴은 매우 정밀하며, 이 패턴이 도광판 소재(111)에 잘 전사되어야 도광판(112)의 광특성이 우수해진다. 그런데, 스탬퍼(22a, 22b)와 도광판 소재(111)사이에 공기(공기 버블)가 존재하면, 공기가 존재하지 않는 주위부분과의 열전달 특성이 달라져 패턴 형성이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스탬퍼(22a, 22b)가 도광판 소재(111)를 가압하기 전에 프레스 챔버(20)를 진공으로 만드는 것이다.
도 3c는 스탬퍼(22a, 22b)가 도광판 소재(111)를 가압하여 패턴을 전사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 때 상부 본체(12)는 하사점에 위치한다. 실링부재(31a, 31b)는 도 2b의 진공단계에 비하여 더욱 밀착되어 있다. 가압 개시 시 프레스 챔버(20) 내부는 충분히 진공이 유지되어 있으며, 스탬퍼(22a, 22b)의 온도는 원하는 온도로 맞추어져 있다. 또한 스탬퍼(22a, 22b)의 온도는 가압상태 중 계속하여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정온도로 가열된 스탬퍼(22a, 22b)가 도광판 소재(111)를 가압하는 이와 같은 열간압착방식에 의하여 스탬퍼(22a, 22b)의 패턴은 도광판 소재(111)로 전사된다.
도 3d는 가압이 종료되어, 프레스 챔버(20)의 진공을 해제하고 스탬퍼(22a, 22b)를 이격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이 때 상부 본체(12)는 다시 상사점에 위치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보면, 패턴 전사가 완료된 후, 스탬퍼(22a, 22b)에 의한 가압을 유지하면서 온도플레이트(21a, 21b)를 냉각시켜 도광판 소재(111)를 냉각시킨다. 이를 위해 제어부는 가열 탱크(55)에 연결된 밸브(57a, 57b, 58a, 58b)를 닫고 펌프(56)를 정지시키는 한편, 냉각탱크(51)에 연결된 밸브(53a, 53b, 54a, 54b)를 열고 펌프(52)를 가동시킨다. 도광판 소재(111)의 냉각은 프레스 챔버(20)의 진공 해제 여부와 상관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냉각이 완료되면 스탬퍼(22a, 22b)를 이격시킨 후 완성된 도광판(112)을 프레스 챔버(20) 밖으로 꺼낸다.
위 실시예에서는 스탬퍼(22a, 22b)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였지만, 이와 달리 도광판 소재(111)를 소정온도로 예열한 후 스탬퍼(22a, 22b)를 가압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 4를 참조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도광판 소재(111)를 마련한다(S10). 도광판 소재(111)는 도광판 원판에 서 적당한 크기로 절취하여 마련한다.
이후 도광판 소재(111)를 스탬퍼(22a, 22b)사이에 배치한다(S20). 이 단계에서 스탬퍼(22a, 22b)는 이미 가열되어 있거나 가열이 시작될 수 있다.
이후 프레스 챔버(20)를 진공으로 만든다(S30). 이에 의해 스탬퍼(22a, 22b)와 도광판 소재(111)사이에는 실질적으로 공기가 존재하지 않게 된다.
프레스 챔버(20)가 진공이 되면 가열되어 있는 스탬퍼(22a, 22b)를 상호 접근시켜 도광판 소재(111)를 가압한다(S40). 이 단계에서 스탬퍼(22a, 22b)의 패턴이 도광판 소재(111)로 전사된다.
계속 가압된 상태에서 스탬퍼(22a, 22b)를 냉각시켜 도광판 소재(111)를 냉각시킨다(S50). 이 과정은 가압된 상태에서 이루어져야 도광판 소재(111)가 신속히 냉각될 수 있다.
도광판 소재(111)의 냉각이 완료되면 프레스 챔버(20)의 진공을 해제하고 스탬퍼(22a, 22b)를 상호 이격시킨다. 이에 의해 도광판(112)이 완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스탬퍼(22a, 22b)와 도광판 소재(111)사이에 실질적으로 공기가 제거된 상태에서 패턴 전사가 이루어지는 점이다. 또한 도광판의 패턴을 스탬퍼를 사용하는 프레스 방식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다양한 넓이와 다양한 두께의 도광판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각 온도플레이트(21a, 21b)별로 온도를 조절하고 상기 온도플레이트 내의 유체 흐름을 병렬로 배치하여, 스탬퍼(22a, 22b)의 온도를 최적의 성형조건에 맞도록 조절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상기 실시예에서 언급한 진공시점, 진공해제시점, 가열시점, 냉각 시점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광효율과 생산성이 우수한 도광판을 제조할 수 있는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 제조장치에는 진공장치가 마련되어 있어 스탬퍼의 패턴이 더욱 정밀하게 도광판 소재에 전사될 수 있다.

Claims (10)

  1. 도광판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밀폐가능한 프레스 챔버와;
    상기 프레스 챔버 내에 마련되어 있으며, 적어도 하나에 소정의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마주보는 한 쌍의 스탬퍼와;
    상기 한 쌍의 스탬퍼를 상호 접근, 이격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프레스 챔버에 연결되어 있는 진공수단과;
    상기 구동수단과 상기 진공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의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스탬퍼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의 제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온도제어수단은 상기 한 쌍의 스탬퍼의 온도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의 제조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제어수단은 복수의 유체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온도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유체 유로는 상호 병렬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의 제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챔버는 상기 구동수단의 작동에 따라 개방과 밀폐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의 제조장치.
  6. 도광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도광판 소재를 마련하는 단계와;
    프레스 챔버 내에, 서로 마주보며 적어도 하나에 소정의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스탬퍼를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도광판 소재를 상기 한 쌍의 스탬퍼 사이에 배치하며 상기 프레스 챔버를 진공으로 만드는 단계와;
    진공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스탬퍼를 상호 가압하여 상기 도광판 소재에 상기 패턴을 전사하는 단계와;
    상기 프레스 챔버의 진공을 해제하며 상기 한 쌍의 스탬퍼를 상호 이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의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스탬퍼를 상호 가압하는 단계에서, 상기 한 쌍의 스탬퍼는 100 내지 150℃로 가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의 제조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스탬퍼를 상호 이격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한 쌍의 스탬퍼는 0 내지 30℃로 냉각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의 제조방법.
  9. 제 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스탬퍼의 온도는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의 제조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스탬퍼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도광판 소재는 소정의 온도로 예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의 제조방법.
KR1020040098508A 2004-11-29 2004-11-29 도광판의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도광판의 제조방법 KR100677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8508A KR100677826B1 (ko) 2004-11-29 2004-11-29 도광판의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도광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8508A KR100677826B1 (ko) 2004-11-29 2004-11-29 도광판의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도광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9421A true KR20060059421A (ko) 2006-06-02
KR100677826B1 KR100677826B1 (ko) 2007-02-02

Family

ID=37156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8508A KR100677826B1 (ko) 2004-11-29 2004-11-29 도광판의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도광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782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491B1 (ko) * 2006-10-16 2008-05-19 정상희 도광판에 프리즘 시트 및 확산 필름 전사 방법
KR100906445B1 (ko) * 2007-08-28 2009-07-08 삼성전기주식회사 임프린트 방법
WO2009142339A1 (en) * 2008-05-19 2009-11-26 Ls Tech Co., Ltd. An apparatus for forming pattern on light guide plate
KR100945846B1 (ko) * 2008-04-16 2010-03-12 비전하이테크 주식회사 도광판 진공성형 장치 및 진공성형 방법
KR101339181B1 (ko) * 2006-11-22 2013-12-09 엘아이지에이디피 주식회사 미세패턴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세패턴 형성방법
KR101527689B1 (ko) * 2014-08-22 2015-06-09 배응준 도광판의 패턴 형성 장치
WO2022030842A1 (ko) * 2020-08-04 2022-02-10 박웅기 진공 프레스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4769A (ja) 2002-06-18 2004-03-11 Meiki Co Ltd 導光板のプレス成形装置および導光板のプレス成形方法
JP4024714B2 (ja) 2002-06-18 2007-12-19 株式会社名機製作所 プレス成形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レス成形方法
KR100698041B1 (ko) * 2002-07-16 2007-03-2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도광판의 그루브 패턴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그루브패턴 형성방법
KR20050108465A (ko) * 2004-05-11 2005-11-16 배상민 백라이트용 도광판 제조를 위한 스탬퍼 제작 방법과 상기스탬퍼를 이용한 도광판 제조 방법 및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491B1 (ko) * 2006-10-16 2008-05-19 정상희 도광판에 프리즘 시트 및 확산 필름 전사 방법
KR101339181B1 (ko) * 2006-11-22 2013-12-09 엘아이지에이디피 주식회사 미세패턴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세패턴 형성방법
KR100906445B1 (ko) * 2007-08-28 2009-07-08 삼성전기주식회사 임프린트 방법
KR100945846B1 (ko) * 2008-04-16 2010-03-12 비전하이테크 주식회사 도광판 진공성형 장치 및 진공성형 방법
WO2009142339A1 (en) * 2008-05-19 2009-11-26 Ls Tech Co., Ltd. An apparatus for forming pattern on light guide plate
KR101527689B1 (ko) * 2014-08-22 2015-06-09 배응준 도광판의 패턴 형성 장치
WO2022030842A1 (ko) * 2020-08-04 2022-02-10 박웅기 진공 프레스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7826B1 (ko) 200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31462B (zh) 用於押出成型及圖案形成之同軸射出式裝置
KR100677826B1 (ko) 도광판의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도광판의 제조방법
KR100861972B1 (ko) 스탬퍼 부착 장치 및 열 전사 프레스 기계
JPH05301250A (ja) 射出成形同時絵付装置
CN101091845B (zh) 隔膜滤板及成型方法
JP4209602B2 (ja) 光学製品のプレス成形装置およびプレス成形方法
JP4469861B2 (ja) 温調プレートおよび熱転写プレス機械
JP3507178B2 (ja) プラスチックシートの製造方法
CN104325633B (zh) 导光板的转印成形方法及导光板以及面光源装置
JP2006255900A (ja) 熱プレス成形方法およびその装置
TW202012141A (zh) 液態矽膠之成型模具
TWI384287B (zh) Hot pressing light guide plate device
JP2006175448A (ja) 熱転写プレス機械および熱転写プレス方法
JP4312675B2 (ja) 成形体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WO2010095402A1 (ja) 表面形状付き光学部材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JP2008149702A (ja) 薄膜を有する成形品の製造方法
KR20100000799A (ko) 액정표시장치의 도광판 제조방법
CN201566085U (zh) 交替式入料压制机具
TWM452174U (zh) 用來製造模造玻璃之成型設備
CN101554761A (zh) 一种热压成型液晶显示器背光模组照明系统导光板的加工方法
JP3920188B2 (ja) 光学製品成形金型を用いた成形方法
JP5370574B1 (ja) 熱可塑性樹脂製品の成形方法及びその成形装置
KR20000053796A (ko) 도광판 성형용 금형
JP2011526854A (ja) マイクロレンズアレイの製造装置及びマイクロレンズアレイの製造方法
JP4907316B2 (ja) 成形装置および成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0727

Effective date: 20080414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