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8858A - 가스관용 분기관의 캡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가스관용 분기관의 캡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8858A
KR20060058858A KR1020040097863A KR20040097863A KR20060058858A KR 20060058858 A KR20060058858 A KR 20060058858A KR 1020040097863 A KR1020040097863 A KR 1020040097863A KR 20040097863 A KR20040097863 A KR 20040097863A KR 20060058858 A KR20060058858 A KR 20060058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branch pipe
circumferential surface
spiral por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7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수
Original Assignee
이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수 filed Critical 이정수
Priority to KR1020040097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58858A/ko
Publication of KR20060058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88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16L55/115Caps
    • F16L55/1152Caps fixed by screwing or by means of a screw-threaded 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F16L41/021T- or cross-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관의 분기관에 결합되는 캡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기관의 내부에 나사 결합되는 속캡과 외부에 나사 결합되는 캡을 강하게 조여주면 반원형의 돌출부와 경사면들의 뭉그러짐에 의하여 별도의 패킹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분기관이 완벽한 밀폐를 이루도록 할 수 있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은 가스관(10)에 용접된 분기관(20)의 외주면에는 나선부(20a)가 형성되어 캡(3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부(30a)가 나사 결합되는 캡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20)의 내주면에는 나선부(20b)가 형성되어 속캡(4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부(40a)가 나사 결합되고, 속캡(40)의 중앙에 형성된 육각홈(42)에 공구를 결합하여 강하게 조여주면 속캡(40)의 상부 주연부와 경사면(41)이 분기관(20)의 입구 내주면에 형성된 경사면(21)에 뭉그러지면서 밀착되어 밀폐되며, 캡(30)을 강하게 조여주면 분기관(20)의 상부면 주연부에 형성된 반원형의 돌출부(22)가 캡(30)의 내부면에 형성된 링형의 지지턱(31)에 뭉그러지면서 밀착되어 밀폐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관용 분기관의 캡 결합구조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가스관용 분기관의 캡 결합구조{a branch pipe cap for gas pip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분기관에 속캡이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분해된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가스관 20 : 분기관
20a, 20b, 30a, 40a : 나선부 21, 41 : 경사면
22 : 돌출부 30 : 캡
31 : 지지턱 40 : 속캡
42 : 육각홈 43 : 패킹


본 발명은 가스관의 분기관에 결합되는 캡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기관의 내부에 나사 결합되는 속캡과 외부에 나사 결합되는 캡을 강하게 조여주면 반원형의 돌출부와 경사면들의 뭉그러짐에 의하여 별도의 패킹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분기관이 완벽한 밀폐를 이루도록 할 수 있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가스와 같이 관을 사용하여 가스를 공급한는 경우에는 가스관을 통해 이송되는 고압의 가스를 차단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질소백을 가스관 내부에 삽입하여 가스관의 내부를 차단시킨 상태에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가스관에 별도의 분기관을 용접한 후 천공기를 사용하여 가스관을 천공한 후 분기관과 뚫려진 구멍을 통해 질소백을 삽입하여 각종 지관들의 접속공사나 가스관의 수리를 하는 공사들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공사가 완료된 후에는 분기관의 입구에 캡을 나사 결합하여 분기관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분기관에 나사 결합되는 캡은 주로 패킹에 의하여 밀폐되는 것이므로 지하에서 오랜 기간이 지나면 연질의 패킹이 부식되거나 손상되어 가스가 누출되는 등의 폐단이 발생되었으므로 일단 분기관에 캡이 결합되면 오랜 기간이 지나 더라도 가스가 누출되는 않는 캡의 결합구조가 절실히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분기관의 내부에 나사 결합되는 속캡과 외부에 나사 결합되는 캡을 강하게 조여주면 반원형의 돌출부와 경사면들의 뭉그러짐에 의하여 별도의 패킹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분기관의 완벽한 밀폐를 이룰 수 있는 가스관용 분기관의 캡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가스관(10)에 용접된 분기관(20)의 외주면에는 나선부(20a)가 형성되어 캡(3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부(30a)가 나사 결합되는 캡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20)의 내주면에는 나선부(20b)가 형성되어 속캡(4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부(40a)가 나사 결합되고, 속캡(40)의 중앙에 형성된 육각홈(42)에 공구를 결합하여 강하게 조여주면 속캡(40)의 상부 주연부와 경사면(41)이 분기관(20)의 입구 내주면에 형성된 경사면(21)에 뭉그러지면서 밀착되어 밀폐되며, 캡(30)을 강하게 조여주면 분기관(20)의 상부면 주연부에 형성된 반원형의 돌출부(22)가 캡(30)의 내부면에 형성된 링형의 지지턱(31)에 뭉그러지면서 밀착되어 밀폐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관용 분기관의 캡 결합구조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고압의 가스를 차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각종 가스관의 수리 및 지관들의 접속 공사를 위하여 가스관(10)에는 분기관(20)이 용접되어 있고, 용접된 분기관(20)의 상측 외주면에는 나선부(20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스관(10)의 나선부(20a)에는 캡(3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부(30a)가 나사 결합되어 분기관(20)의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물론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캡의 결합구조는 이미 알려진 공지의 기술 사상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특징은 상기 분기관(20)의 내,외부에 나사 결합되는 캡(30)과 속캡(40)을 강하게 조여주면 반원형의 돌출부(22)와 경사면(21)(41)들의 뭉그러짐에 의하여 별도의 패킹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분기관(20)의 완벽한 밀폐를 이룰 수 있도록 함에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분기관(20)의 내주면에는 나선부(20b)가 형성되어 있고, 분기관(20)의 나선부(20b)에는 속캡(4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부(40a)가 나사 결합된다.
상기 속캡(40)의 중앙에 형성된 육각홈(42)에 대형 렌치볼트와 같은 공구를 결합하여 속캡(40)을 강하게 조여주면 속캡(40)의 상부 주연부와 경사면(41)이 분기관(20)의 입구 내주면에 형성된 경사면(21)에 뭉그러지면서 밀착되어 분기관(20)이 1차 밀폐된다.
이때, 상기 속캡(40)의 상부 주연부와 직하부에 연속 형성된 경사면(41)은 분기관(20)의 입구에 형성된 경사면(21)을 따라 하강되면 될수록 경사면에 강하게 마찰되어 뭉그러지는 것이므로 별도의 패킹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완벽한 밀폐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속캡(40)의 상부 주연부에는 패킹(43)이 삽입되어 있고, 이 패킹(43)은 공사가 완료되기 전에 속캡(40)을 가볍게 조여서 임시로 분기관(20)을 밀폐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분기관(20)의 상부면 주연부에는 반원형의 돌출부(22)가 링형을 이루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캡(30)의 내부면 바닥에는 링형의 지지턱(3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캡(30)을 나사 결합하여 강하게 조여주면 분기관(20)의 상부면 주연부에 형성된 반원형의 돌출부(22)가 캡(30)의 내부면에 형성된 링형의 지지턱(31)에 뭉그러지면서 밀착되는 것이므로 분기관(20)이 2차 밀폐되어 완벽한 밀폐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전술한 본 고안은, 연철로 이루어진 돌출부(22)와 경사면(21)(41)들의 마찰에 의한 뭉그러짐에 의하여 분기관(20)이 밀폐되는 것이므로 분기관(20)이 지하에 장기간 매설되어 있더라도 뭉그러진 접촉부위가 부식 및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므로 오랜 기간이 지나더라도 가스의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별도의 패킹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분기관(20)의 완벽한 밀폐가 이루어지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분기관(20)의 내,외부에 나사 결합되는 캡(30)과 속캡(40)을 강하게 조여주면 반원형의 돌출부(22)와 경사면(21)(41)들의 뭉그러짐에 의하여 별도의 패킹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분기관(20)을 밀폐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속캡(40)에 의하여 1차 분기관(20)이 밀폐된 후 캡(30)에 의하여 2차 밀폐되어 분기관(20)의 완벽한 밀폐를 이룰 수 있는 것이므로 가스누출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연철로 이루어진 돌출부(22)와 경사면(21)(41)들의 마찰에 의한 뭉그러짐에 의하여 분기관(20)이 밀폐되는 것이므로 분기관(20)이 지하에 장기간 매설되어 있더라도 뭉그러진 접촉부위가 부식 및 손상되는 등의 폐단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므로 오랜 기간이 지나더라도 가스의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별도의 패킹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분기관(20)의 완벽한 밀폐가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분기관용 캡의 대외 경쟁력을 최대한 높여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가스관(10)에 용접된 분기관(20)의 외주면에는 나선부(20a)가 형성되어 캡(3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부(30a)가 나사 결합되는 캡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20)의 내주면에는 나선부(20b)가 형성되어 속캡(4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부(40a)가 나사 결합되고, 속캡(40)의 중앙에 형성된 육각홈(42)에 공구를 결합하여 강하게 조여주면 속캡(40)의 상부 주연부와 경사면(41)이 분기관(20)의 입구 내주면에 형성된 경사면(21)에 뭉그러지면서 밀착되어 밀폐되며, 캡(30)을 강하게 조여주면 분기관(20)의 상부면 주연부에 형성된 반원형의 돌출부(22)가 캡(30)의 내부면에 형성된 링형의 지지턱(31)에 마찰에 의하여 뭉그러지면서 밀착되어 밀폐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관용 분기관의 캡 결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속캡(40)의 상부 주연부에는 패킹(43)이 삽입되어 공사가 완료되기 전에 속캡(40)을 가볍게 조여서 임시로 분기관(20)을 밀폐시키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관용 분기관의 캡 결합구조.
KR1020040097863A 2004-11-26 2004-11-26 가스관용 분기관의 캡 결합구조 KR200600588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7863A KR20060058858A (ko) 2004-11-26 2004-11-26 가스관용 분기관의 캡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7863A KR20060058858A (ko) 2004-11-26 2004-11-26 가스관용 분기관의 캡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8858A true KR20060058858A (ko) 2006-06-01

Family

ID=37156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7863A KR20060058858A (ko) 2004-11-26 2004-11-26 가스관용 분기관의 캡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5885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341B1 (ko) * 2008-03-26 2010-08-04 장광근 유색가스를 이용한 지하매설물 보호장치
KR20170128044A (ko) * 2016-05-13 2017-11-22 주식회사 세이프티연구개발 테이퍼 결합구조를 갖는 분기관 마개
KR102151773B1 (ko) * 2019-08-16 2020-09-03 대한민국 에어벤트 밀봉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341B1 (ko) * 2008-03-26 2010-08-04 장광근 유색가스를 이용한 지하매설물 보호장치
KR20170128044A (ko) * 2016-05-13 2017-11-22 주식회사 세이프티연구개발 테이퍼 결합구조를 갖는 분기관 마개
KR102151773B1 (ko) * 2019-08-16 2020-09-03 대한민국 에어벤트 밀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057701A1 (en) Pipe connection structure
KR100942957B1 (ko) 배관용 분기관 연결 피팅
KR20060058858A (ko) 가스관용 분기관의 캡 결합구조
JP5081569B2 (ja) 分岐継手
US11898664B2 (en) Universal indissoluble pipe connection system and joint comprised in said system
CN203656402U (zh) 管件接头
JP2007309474A (ja) 分岐管接続装置と分岐管接続工法
KR100596742B1 (ko) 관 접속구조
KR101563108B1 (ko) 수도관 누수보수용 부단수 보수관의 구조
KR101953207B1 (ko) 테이퍼 결합구조를 갖는 분기관 마개
JP2007024283A (ja) ガス漏洩修理方法及びその漏洩修理装置
KR101192408B1 (ko) 상하수도관의 분기관 연결구조체
JP2007255684A (ja) 管継手
KR20130075098A (ko) 나사조임식 이음관용 고무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이음관
DE50200152D1 (de) Endseitiger Verschluss eines Rohres
JP2006313020A (ja) 管継手抜け止め押輪
CN205504068U (zh) 一种球阀
CN205226742U (zh) 一种焊接堵头
JP4283258B2 (ja) 漏出防止装置
CN212642792U (zh) 一种煤矿井下自动双向隔爆装备
JP3317688B2 (ja) パッキン
JP5368739B2 (ja) 配管の接続部構造及び接続工法
KR200346747Y1 (ko) 관 접속구조
CN209800846U (zh) 一种埋地阀门压盖
JP3072203U (ja) 管継手シール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