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3341B1 - 유색가스를 이용한 지하매설물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유색가스를 이용한 지하매설물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3341B1
KR100973341B1 KR1020080028088A KR20080028088A KR100973341B1 KR 100973341 B1 KR100973341 B1 KR 100973341B1 KR 1020080028088 A KR1020080028088 A KR 1020080028088A KR 20080028088 A KR20080028088 A KR 20080028088A KR 100973341 B1 KR100973341 B1 KR 100973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ground
underground buried
gas
sensing device
colored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8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2566A (ko
Inventor
장광근
정근택
유정인
Original Assignee
장광근
정근택
김정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광근, 정근택, 김정래 filed Critical 장광근
Priority to KR1020080028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3341B1/ko
Publication of KR20090102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2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3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3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6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 F16L1/11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for the detection or protection of pipes in the gr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매설물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굴삭작업 등으로 인해 지하매설물이 손상되거나 파괴되는 일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하매설물 상단으로 설치되는 유색가스를 내장한 보호부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지하매설물 보호부재는 내부로 유색가스를 내장한 감지장치;와 상기 감지장치와 지하매설물을 연결 지지하는 지지장치;로 구성된다. 감지장치는 내부가 비어있는 긴 관 형태로서 휘어질 수 있으며, 양 끝단이 뚫린 구조로 이루어진다.
감지장치는 얇은 지하매설물의 경우에는 하나만 있으면 되지만 굵은 지하매설물의 경우에는 다수 개의 감지장치를 지하매설물 위로 올려둘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하매설물의 상부를 다 감지장치가 커버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지지장치는 지하매설물의 양단을 클립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클립부재와, 하나 또는 다수개의 감지장치를 붙잡아 지지하기 위한 새들부재와, 상기 새들부재와 클립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된다.
지하매설물, 보호장치, 자하매설물 탐지기

Description

유색가스를 이용한 지하매설물 보호장치{A protector of buried object using colorful gas}
본 발명은 지하매설물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굴삭작업 등으로 인해 지하매설물이 손상되거나 파괴되는 일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하매설물 상단으로 설치되는 유색가스를 내장한 보호부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보호부재는 플렉시블한 연질 구조의 관 내부로 유색가스를 압축 내장시키고 관의 끝 부분을 마개로 막은 후 지하매설물의 상단에 하나 또는 여러 개를 설치하도록 하여 굴삭 시 굴삭기가 지하매설물을 건드리기 전에 보호부재를 먼저 접촉하여 건드려 접촉하게 되면 보호부재에서 유색가스가 나오도록 하는 장치이다.
상기 보호부재의 외면에는 지하매설물의 종류를 분류할 수 있도록 색상을 집어넣거나 무늬를 입힐 수 있으며, 지하매설물의 종류에 따라 유색가스의 색상도 특정 색상으로 정하여두면 보호부재를 통해 어떠한 지하매설물이 설치되어 있는지를 쉽게 판별할 수 있게 하고자 하는 기술사상을 갖는다.
지하매설물이란, 상하수도 등의 수도관, 가스관, 전력케이블, 전화선, 가스 관, 광케이블, 오수관, 폐수관 등을 지상위로 설치하지 않고 지하로 매설한 것을 말한다.
땅을 파 지하매설물을 매설한 뒤 땅을 덮어두고 시간이 지나면 어느 위치에 지하매설물이 매설되었는지 확인되지 않아, 차후에 땅을 파다 지하매설물을 손상시키거나 파괴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었다.
일반적으로 도로 밑에 지하매설물이 설치되는 경우 나중에 다른 지하매설물이 다시 매설되는 경우가 빈번하며, 이때 기존에 매설된 지하매설물의 정보를 알지 못하고 무작정 땅을 파다 기존에 매설된 지하매설물을 훼손시키게 되는 것이다.
지하매설물이 손상되거나 파괴되어 버리면, 다시 복구할 때까지 해당 지하매설물을 통하여 공급받던 수돗물이나 전화, 네트워크망을 이용할 수 없게 되고, 특히 가스관의 경우 폭발하게 되는 위험이 발생할 수도 있게 된다.
이에 기존에 지하매설물이 매설되어 있음을 알리기 위해, 지하매설물을 매설하고 복개한 후 그 위에 표지판을 세워두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나 표지판이 유실되어 버리면 오히려 매설물의 위치를 알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지하매설물의 보호방법과 관련하여 종래의 출원을 살펴보면, 실용신안출원 20-2000-32383호 및 특허출원 10-2006-32685호에는 지하매설물 표면에 야광 염료를 내장한 필름을 부착하거나 또는 전파 테이프를 붙이는 등의 기술사상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방법은 굴삭자가 깊이 주의를 기울이지 않거나 탐지장비가 없으면 지하매설물의 존재를 발견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원에서는 굴삭단계에서 지하매설물까지 굴삭하기 전에 지하매설물의 존재를 알 수 있도록 하는 보호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상기 보호장치를 통하여 어떤 종류의 지하매설물이 매설되었는지 굴삭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본원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하매설물 상단으로 유색가스를 내장한 감지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감지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대가 지하매설물과 연결되어 제공되는 보호부재에 관한 기술사상이 개시된다.
상기 감지장치는 지하매설물의 방향에 맞추어 설치되며, 상기 감지장치의 외면으로 지하매설물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본원에서 제공하는 지하매설물 보호부재는 굴삭시, 굴삭장비가 보호장치를 건드려 감지장치를 파손시키면 유색의 가스가 나와 기존에 매설된 지하매설물의 위치를 지하매설물이 손상되기 이전에 알 수 있게 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손상된 감지장치에서 나오는 유색가스의 색상을 통해 기존에 매립된 지하매설물이 무엇인지 구분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적색 가스가 나오면 전력케이블이고, 황색 가스는 가스관, 청색가스는 통신광케이블 등으로 미리 정하여 구별하여 두면 유색가스의 색상에 의해 매설된 주시설물을 알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는, 발견된 감지장치의 외면에 유색가스의 색상과 같은 색상을 도색하거나 위험 글자를 붙이거나, 해당 지하매설물 관리자의 연락처 등을 인쇄하여 두면 더욱 효율적이고 안전한 굴삭작업을 이루어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인 지하매설물 보호부재는 내부로 유색가스를 내장한 감지장치;와 상기 감지장치와 지하매설물을 연결 지지하는 지지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장치는 내부가 비어있는 긴 관 형태로서 연한 재질로 구성되어 힘을 주면 휘어질 수 있다.
상기 관의 양 끝단은 뚫려 있으며, 관의 한쪽 끝단을 마개로 막고 다른 쪽 끝단으로 유색가스를 압축하여 밀어넣은 후 마개로 막은 구조로 감지장치가 구성된다.
이때 내부로 압축된 유색가스가 마개를 밀어주는 힘이 강하므로, 관과 마개 간에는 각각 암나사선과 숫나사선이 형성되어 서로 단단히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관과 마개 사이에 패킹부재를 끼워넣어 가스가 새지 못하 도록 한다.
또 다른 구성 예로서 관과 마개에 나사선을 형성하지 않고, 마개 중앙에 가스를 주입할 수 있는 가스주입구를 형성하고, 관과 마개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밀봉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착제는 지하의 습기로 인한 변형, 또는 손괴를 방지하기 위해 수중, 습기에 내구성이 강한 수중전문용 접착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지장치는 얇은 지하매설물의 경우에는 하나만 있으면 되지만 굵은 지하매설물의 경우에는 다수 개의 감지장치를 지하매설물 위로 올려둘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하매설물의 상부를 다 감지장치가 커버할 수 있게 한다.
지지장치는 지하매설물의 양단을 클립하여 고정시키는 클립부재와, 하나 또는 다수개의 감지장치를 붙잡기 위한 새들부재와, 상기 새들부재와 클립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된다.
이때, 새들부재간의 간격을 좁게 함으로써, 가느다란 굴삭장비를 이용해도 감지장치 사이로 뚫고 들어가 지하매설물을 파손하지 못하도록 한다.
이하,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겸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a는 가장 기본적인 지하매설물 보호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실시 예이다.
원통형의 지하매설물(10)에 지지장치(30)가 연결되고, 상기 지지장치(30)가 감지장치(20)를 붙잡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1b는 지지장치(30)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로서, 상기 지지장치(30)는 새 들부재(31), 연결부재(32), 클립부재(33)로 구성되며, 새들부재(31)는 감지장치(20)를 붙잡아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연결부재(32)는 새들부재(31)와 클립부재(33)를 연결하며, 클립부재(33)는 지하매설물(10)에 끼워져 지지장치(30)와 감지장치(20)가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도 2a는 2개의 감지장치(20)를 이용할 때의 지하매설물 보호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실시 예이며, 도 2b는 도 2a에서 구성한 지지장치(30')의 구성도로서, 어느정도 굵기가 있는 지하매설물일 경우에는 2개의 감지장치를 이용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도 3a는 3개의 감지장치(20)를 이용할 때의 지하매설물 보호장치의 구성을 도시하였고, 도 3b는 그 지지장치(30'')로서, 굵기에 따라 다양하게 감지장치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도 4a는 5개의 감지장치를 이용한 지하매설물 보호장치의 구성이고, 도 4b는 그 지지장치(30''')로서, 감지장치간의 간격을 최대한 좁게 하여 가느다란 굴삭장비나 삽으로도 감지장치를 먼저 건드리지 않고서는 지하매설물을 파손시킬 수 없도록 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5a는 감지장치(2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b는 그 단면도로서, 내부가 빈 형태의 연성 재질의 관(21)의 양쪽 끝단에 마개(22, 22')가 나사선(24)으로 체결되고 그 사이에 패킹부재(23, 23')가 끼워지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감지장치(20)의 관(21) 내부로 유색의 가스를 집어넣은 뒤 양쪽 끝을 마개(22, 22')로 막아 가스가 새어나오지 못하도록 한 후 지지장치(30)의 새들에 걸쳐놓음으로써, 굴삭기가 감지장치의 관을 건드려 파손시키면 내부의 유색가스가 흘러나오게 되는 것이다.
도 6a는 감지장치(20')의 또 다른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6b는 그 단면도로서, 마개 중앙에 가스를 주입하는 가스주입구(26)가 형성되고, 관(21)에 마개(22')가 끼워진 후 끼워진 위치에 접착제(27)를 이용하여 밀봉하고 가스주입구(26)도 접착제를 이용하여 밀봉함으로써, 가스가 유출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감지장치의 외면에 색상띠(25)를 넣어준 실시 예로서, 굴삭시 감지장치가 파손되지 않더라도 굴삭자가 감지장치를 육안으로 확인하였을 때 어떠한 지하매설물이 매설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색상띠 이외에도 감지장치 외면에 글자를 새겨 넣어 아래 지하매설물이 있음을 알리고 담당부서의 연락처 등을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지하매설물의 상부를 모두 커버하여 굴삭기가 감지장치를 파손하지 않고는 지하매설물을 파손할 수 없도록 연결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 8은 감지장치의 관이 연성 재질로서, 지하매설물이 꺽이는 위치에서도 아무런 무리없이 같이 꺽여 사용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원에서 제공하는 유색가스를 내장한 지하매설물 보호장치는, 미리 지하매설물의 종류에 따라 유색가스의 색상을 정하여 사용하면 가스의 색상만을 보고 어떤 지하매설물이 매설되어 있는지 바로 파악할 수 있으며, 그 색상이 감지장치의 관 외부로 도색되어 있으면 감지장치만 보고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지하매설물 보호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을 도시한 실시 예시도.
도 2는 2개의 감지장치를 이용하는 지하매설물 보호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실시 예시도.
도 3은 3개의 감지장치를 이용하는 지하매설물 보호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실시 예시도.
도 4는 5개의 감지장치를 이용하여 감지장치 간의 간격을 최소화시킨 지하매설물 보호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실시 예시도.
도 5은 감지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감지장치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
도 7는 감지장치의 외면에 색상띠를 두른 실시 예시도.
도 8은 꺽인 부분에서의 감지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 : 지하매설물 20 : 감지장치
21 : 관 22 : 마개
23 : 패킹부재 24 : 나사선
25 : 색상띠 26 : 가스주입구
30 : 지지장치 31 : 새들부재
32 : 연결부재 33 : 클립부재

Claims (5)

  1. 지하매설물(10)의 위치를 알려주고 보호하기 위한 지하매설물 보호장치에 있어서,
    연한 재질의 빈 관(21) 양 끝단으로 마개(22)가 덮어지고 상기 마개에는 유색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가스주입구(26)가 형성되어 내부로 유색가스가 채워지는 구조를 갖는 감지장치(20)와,
    지하매설물(10)과 연결되어 상기 감지장치(20)를 지지하는 지지장치(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색가스를 내장한 지하매설물 보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20)는 관(21)과 마개(22)가 나사선(24)으로 체결되며 그 사이에는 패킹부재(23)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색가스를 내장한 지하매설물 보호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20)는 관(21)과 마개(22)가 접착제(27)로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색가스를 내장한 지하매설물 보호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장치(30)는 감지장치(20)를 붙잡는 하나 또는 다수 개의 새들부재(31)와, 지하매설물에 끼워져 고정되는 클립부재(33)와, 상기 새들부재(31)와 클립부재(33)를 연결하고 지지하는 연결부재(3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색가스를 내장한 지하매설물 보호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20)의 관(21) 외면으로는 내장된 유색가스와 동일한 색상으로 도색되고, 지하매설물의 정보가 쓰여져 위험을 인지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색가스를 내장한 지하매설물 보호장치.
KR1020080028088A 2008-03-26 2008-03-26 유색가스를 이용한 지하매설물 보호장치 KR100973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8088A KR100973341B1 (ko) 2008-03-26 2008-03-26 유색가스를 이용한 지하매설물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8088A KR100973341B1 (ko) 2008-03-26 2008-03-26 유색가스를 이용한 지하매설물 보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566A KR20090102566A (ko) 2009-09-30
KR100973341B1 true KR100973341B1 (ko) 2010-08-04

Family

ID=41360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8088A KR100973341B1 (ko) 2008-03-26 2008-03-26 유색가스를 이용한 지하매설물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33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9959B1 (ko) 2015-09-09 2018-11-20 이파워텍(주) 지중매설물 보호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4027A (ko) * 1997-08-29 1999-03-25 브래들리 도날드 디. 조절가능한 누출방지 체결시스템
KR100531963B1 (ko) 2003-05-19 2005-11-30 성낙술 터치식 파이프 결속구
KR20060058858A (ko) * 2004-11-26 2006-06-01 이정수 가스관용 분기관의 캡 결합구조
KR100731290B1 (ko) 2005-11-16 2007-06-27 경신공업 주식회사 와이어링 고정용 클램핑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4027A (ko) * 1997-08-29 1999-03-25 브래들리 도날드 디. 조절가능한 누출방지 체결시스템
KR100531963B1 (ko) 2003-05-19 2005-11-30 성낙술 터치식 파이프 결속구
KR20060058858A (ko) * 2004-11-26 2006-06-01 이정수 가스관용 분기관의 캡 결합구조
KR100731290B1 (ko) 2005-11-16 2007-06-27 경신공업 주식회사 와이어링 고정용 클램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566A (ko) 200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23282A (en) Locating elements of construction beneath the surface of earth soils
KR100908137B1 (ko) 배관재 연결부 감지장치
KR20090068191A (ko) 배관재 연결부 감지장치
CN103697334B (zh) 一种套管式地下埋设物自动预警系统
KR100973341B1 (ko) 유색가스를 이용한 지하매설물 보호장치
KR101363371B1 (ko) 지중 관로 매설위치 및 깊이 표시장치
CN2745074Y (zh) 地下埋设物标识带
KR20180003668U (ko) 지중 매설관 부착형 침하 관측장치
KR102052349B1 (ko) 누수감지장치 및 이를 적용한 누수감지시스템
KR100983103B1 (ko) 관로 확인용 자기마크 고정장치
KR101760087B1 (ko) 지중 매설물 표시장치
CN108980514B (zh) 一种埋地管道保护板及其安装方法
US20210095788A1 (en) Spartan Marker Tape
JP2001193086A (ja) 通信ケーブルの配管構造
KR100600471B1 (ko) 접착형 라인마크
CN213773478U (zh) 一种四通电缆竖井
US11287061B1 (en) Underground gas line protection and method to use
US20230066728A1 (en) Depth indicator device for protecting a buried asset
CN206385063U (zh) 可探测警示胶带
CN214699554U (zh) 一种防止管道渗漏的室外环形管网
JP2000078734A (ja) 地中埋設容器の管路導入壁組立部材
CN204706284U (zh) 一种改进型地下埋设物标识带
KR100709624B1 (ko) 지하매설물 탐지용 테이프
KR100807828B1 (ko) 위치확인이 가능한 매설전선 보호판
KR100629235B1 (ko) 매설물 경고테이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