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8342A - 스프링 브라켓이 일체화된 트럭용 크로스멤버 구조 - Google Patents

스프링 브라켓이 일체화된 트럭용 크로스멤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8342A
KR20060058342A KR1020040097333A KR20040097333A KR20060058342A KR 20060058342 A KR20060058342 A KR 20060058342A KR 1020040097333 A KR1020040097333 A KR 1020040097333A KR 20040097333 A KR20040097333 A KR 20040097333A KR 20060058342 A KR20060058342 A KR 20060058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truck
bracket
cross member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7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4485B1 (ko
Inventor
곽용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7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4485B1/ko
Publication of KR20060058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8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4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4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54Load carrying floors for commercia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 B60G11/0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60Y2304/072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by preassembled sub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럭용 크로스멤버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크로스멤버에 판 스프링을 결합시키는 스프링 브라켓과 크로스멤버를 일체화하여 구성을 단순화함과 아울러 판스프링의 조립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트럭용 크로스멤버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프레임을 구성하는 크로스멤버와 스프링 브라켓을 일체화하여 동시에 사이드멤버와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판스프링 부착에 따른 산포를 방지할 수 있고 프레임의 작업 공수를 절감할 수 있는 스프링 브라켓이 일체화된 트럭용 크로스멤버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이드멤버(50)에 고정되도록 일단에 플랜지(1)가 형성됨과 아울러 여기서 직교 상태가 되게 연결부(2)가 형성되고 그 종단에 판스프링(S)을 결합시킬 수 있는 브라켓(3)이 형성된 2개의 제1멤버(4)와, 상기한 제1멤버(4)의 연결부(2)를 감싸면서 고정되도록 양측에 꺾임부(6)가 형성된 제2멤버(5)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스프링 브라켓이 일체화된 트럭용 크로스멤버 구조, 크로스멤버

Description

스프링 브라켓이 일체화된 트럭용 크로스멤버 구조{Cross member structure of truck incoporating with spring bracket}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브라켓이 일체화된 트럭용 크로스멤버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도1의 단면도,
도3은 일반적인 트럭용 프레임을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플랜지 2: 연결부
3: 브라켓 4: 제1멤버
5: 제2멤버 6: 꺾임부
S: 판스프링 50: 사이드멤버
본 발명은 트럭용 크로스멤버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크로스멤버에 판 스프링을 결합시키는 스프링 브라켓과 크로스멤버를 일체화하여 구성을 단순화함과 아울러 판스프링의 조립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스프링 브라켓 이 일체화된 트럭용 크로스멤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럭등과 같은 화물차는 차체의 강성을 크게 하기 위하여 차체 하부에 프레임을 배치하고 그 상면에 바디와 새시를 설치하여 구성하게 된다.
상기한 프레임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 박스형인 길게 형성된 2개의 사이드멤버(50)와, 상기한 사이드멤버(50)를 연결하도록 다수가 설치된 크로스멤버(51)로 이루어져 있는 바, 상기한 사이드멤버(50)가 전체적인 프레임의 형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한 크로스멤버(51)가 2개의 사이드멤버(50)를 사다리꼴 형으로 구성하여 강성을 극대화하게 된다.
상기한 사이드멤버(50)의 하부에는 트럭용 현가 장치의 판스프링(S)을 부착시키기 위하여 스프링 브라켓(52)이 부착된다.
즉, 상기한 사이드멤버(50)와 크로스멤버(51)로 프레임의 전체적인 형태 및 강도를 유지하고, 별도로 사이드멤버(50)의 하부에 스프링 브라켓(52)을 고정시켜서 판스프링(S)을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다수의 크로스멤버를 사용하여 사이드멤버를 결합시키고 또 별도의 스프링 브라켓을 결합시켜서 판스프링을 결합시키게 되면, 상기한 프레임을 구성하는 부품들이 너무 많아지게 됨과 아울러 프레임의 하중이 증가되고, 또한 사이드멤버에 스프링 브라켓을 부착하는 위치의 산포가 커서 전체적인 현가 장치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프레임 을 구성하는 크로스멤버와 스프링 브라켓을 일체화하여 동시에 사이드멤버와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판스프링 부착에 따른 산포를 방지할 수 있고 프레임의 작업 공수를 절감할 수 있는 스프링 브라켓이 일체화된 트럭용 크로스멤버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이드멤버에 고정되도록 일단에 플랜지가 형성됨과 아울러 여기서 직교 상태가 되게 연결부가 형성되고 그 종단에 판스프링을 결합시킬 수 있는 브라켓이 형성된 2개의 제1멤버와, 상기한 제1멤버의 연결부를 감싸면서 고정되도록 양측에 꺾임부가 형성된 제2멤버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1과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브라켓이 일체화된 트럭용 크로스멤버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와 단면도로서, 사이드멤버(50)에 고정되도록 일단에 플랜지(1)가 형성됨과 아울러 여기서 직교 상태가 되게 연결부(2)가 형성되고 그 종단에 판스프링(S)을 결합시킬 수 있는 브라켓(3)이 형성된 2개의 제1멤버(4)와, 상기한 제1멤버(4)의 연결부(2)에 밀착되도록 단면 "??"형태로 제작된 제2멤버(5)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한 제1, 2멤버(4, 5)를 연결하게 되면 크로스멤버가 되는 것으로서, 상기한 크로스멤버는 사이드멤버(50)를 연결함과 아울러 판스프링(S)을 고정시키는 브라켓(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제2멤버(5)의 양단은 연결부(2) 전체를 감싸도록 꺾임부(6) 가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한 제1멤버(4)의 연결부(2)와 제2멤버(5)의 꺾임부(6)가 결합됨으로써, 제1, 2멤버(4, 5)의 결합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프레임 조립 시 작업자가 사이드멤버(50)의 내측면에 2개의 제1멤버(4) 플랜지(1)를 볼팅하여 고정시키게 되는 바, 상기한 제1멤버(4)를 양측의 사이드멤버(50)에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고정하게 된다.
제1멤버(4)가 고정되면 상기한 제1멤버(4)의 연결부(2)에 제2멤버(5)의 꺾임부(6)를 밀착시켜서 양측의 제1멤버(4)를 제2멤버(5)로 연결하게 된다.
제1, 2멤버(4, 5)가 연결되면 결과적으로 판스프링(S)을 부착시키는 부분의 크로스멤버가 조립된 것으로서, 상기한 사이드멤버(50)와 종래의 크로스멤버(51)가 본 발명과 함께 조립되어 전체적인 화물차의 프레임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제1, 2멤버(4, 5)를 결합시키는 연결부(2) 및 꺾임부(6)는 비교적 많은 부분이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바, 상기한 제1, 2멤버(4, 5)를 결합하는 힘을 극대화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제1멤버(4)의 하단에는 판스프링(S)을 결합시킬 수 있는 브라켓(3)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바, 여기에 판스프링(S)을 결합시키면 매우 쉽게 프레임의 조립 및 판스프링(S)의 조립을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한 제1, 2멤버(4, 5)로 이루어진 크로스멤버에 일체로 브라켓(3)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판스프링(S)을 결합시킬 때 항상 정확한 위치에 판스프링(S)의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즉, 판스프링(S)의 위치를 정할 때 종래와 같이 크로스멤버(51) 설치 후 또 스프링 브라켓(52)의 위치를 설정하여 고정할 필요가 없이 크로스멤버의 결합만으로 쉽게 위치 지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기 때문에, 매우 정확하게 현가 장치의 설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브라켓(3)을 통해 판스프링(S)에 인가되는 하중이 사이드멤버(50) 및 제2멤버(5)를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분산/흡수됨으로써, 화물차의 프레임에 인가되는 하중의 분산 효과가 향상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화물차의 프레임을 제작할 때 사이드멤버를 연결하는 다수의 크로스멤버와 판스프링을 결합시키는 스프링 브라켓을 일체화함으로써, 프레임의 조립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판스프링의 결합 위치가 매우 정확하게 되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사이드멤버에 고정되도록 일단에 플랜지가 형성됨과 아울러 여기서 직교 상태가 되게 연결부가 형성되고 그 종단에 판스프링을 결합시킬 수 있는 브라켓이 형성된 2개의 제1멤버와, 상기한 제1멤버의 연결부를 감싸면서 고정되도록 양측에 꺾임부가 형성된 제2멤버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브라켓이 일체화된 트럭용 크로스멤버 구조.
KR1020040097333A 2004-11-25 2004-11-25 스프링 브라켓이 일체화된 트럭용 크로스멤버 구조 KR100644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7333A KR100644485B1 (ko) 2004-11-25 2004-11-25 스프링 브라켓이 일체화된 트럭용 크로스멤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7333A KR100644485B1 (ko) 2004-11-25 2004-11-25 스프링 브라켓이 일체화된 트럭용 크로스멤버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8342A true KR20060058342A (ko) 2006-05-30
KR100644485B1 KR100644485B1 (ko) 2006-11-10

Family

ID=37153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7333A KR100644485B1 (ko) 2004-11-25 2004-11-25 스프링 브라켓이 일체화된 트럭용 크로스멤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44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215B1 (ko) * 2006-12-13 2009-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크로스멤버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399B1 (ko) 2011-09-22 2013-10-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프레임 구조 및 그 제조방법
DE102012011414A1 (de) * 2012-06-08 2013-12-12 Man Truck & Bus Ag Rahmen- oder Lenkkonstruktion für ein Nutz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8511U (ko) * 1995-12-30 1997-07-24 승합차용 리프 스프링 결합 구조
KR19980054763A (ko) * 1996-12-27 1998-09-25 박병재 상용차의 리프 스프링 마운팅 구조
JP2005199842A (ja) 2004-01-15 2005-07-28 Hino Motors Ltd 車両用フレーム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215B1 (ko) * 2006-12-13 2009-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크로스멤버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4485B1 (ko) 2006-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81877B1 (en) Connection structure of side member to cross member
US8540262B2 (en) Commercial vehicle and device for attaching a spring element to a commercial vehicle axle
US20050073174A1 (en) Vehicle rear body structure
JP6547782B2 (ja) 車両下部構造
JP4296987B2 (ja) エンジンマウント構造
JP3697541B2 (ja) 自動車のリアサスペンションの構造
KR100644485B1 (ko) 스프링 브라켓이 일체화된 트럭용 크로스멤버 구조
JP5070010B2 (ja) 車両用のシャシフレーム構造
JP2007500640A (ja) 商用車用支持フレーム
JP4725782B2 (ja) ルーフレール支持脚及びルーフレール
JP2008260448A (ja) フロント・アンダーラン・プロテクタの取付構造
KR100846926B1 (ko) 후륜 구동 차량의 리어 크로스 멤버
GB2395746A (en) A device attaching to a band
CA2548012A1 (en) Universal running board mounting bracket
JP2008012971A (ja) 被取付部材の取付構造
CN109649510B (zh) 用于机动车辆的后扰流器的装配支架
WO2010140950A1 (en) A support means, a device for attaching a first vehicle member to a second vehicle member and a 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
JPH0730462Y2 (ja) 車体前部構造
JP2005098515A (ja) 連結ロッド
KR100528523B1 (ko) 차량용 트레일러 토잉바의 장착구조
KR100588082B1 (ko) 철도차량용 연결기의 완충기
CN107867142B (zh) 减震器的安装座以及车辆
JP2009248616A (ja) トルクロッドの取り付け構造
KR20050038246A (ko) 자동차의 바디 프레임 마운팅부 지지 구조
JP6428225B2 (ja) サスペンションクロスメン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