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8102A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8102A
KR20060058102A KR1020067002549A KR20067002549A KR20060058102A KR 20060058102 A KR20060058102 A KR 20060058102A KR 1020067002549 A KR1020067002549 A KR 1020067002549A KR 20067002549 A KR20067002549 A KR 20067002549A KR 20060058102 A KR20060058102 A KR 20060058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ave
car
elevator
counterweight
hoist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2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게루 아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7002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58102A/ko
Publication of KR20060058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81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권상기(9)를 소형화하고 또한, 전체 구성을 간소화하는 것에 의해, 공간 절약화된 엘리베이터 장치의 대용량화를 실현한다. 그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2) 상부의 엘리베이터 칸용 서스펜딩 쉬브(2a)에 대하여 평행한 회동축을 가지고, 또한, 연직투영면상, 엘리베이터 칸용 서스펜딩 쉬브(2a)의 로프 홈과 일직선 모양의 로프 홈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칸용 리버싱 쉬브(9a)를 엘리베이터 칸(2) 위쪽에, 또, 균형추(6) 상부의 균형추용 서스펜딩 쉬브(6a)에 대하여 평행한 회동축을 가지고, 또한, 연직투영면상의 균형추용 서스펜딩 쉬브(6a)의 로프 홈과 일직선 모양의 로프 홈을 가지는 균형추용 리버싱 쉬브(9b)를 균형추(6) 위쪽에 배치함과 동시에, 권상기(10) 및 디플렉터 쉬브(11)를, 엘리베이터 칸용 서스펜딩 쉬브(2a) 및 균형추용 서스펜딩 쉬브(6a)의 위치에 맞추어 승강로 꼭대기부에 배치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6)를 3:1 로핑 방식으로 매단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 {ELEVATOR APPARATUS}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과 균형추가 메인 로프에 의해 매달려진 3:1 로핑 방식의 트랙션식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엘리베이터 장치는, 건축물을 가능한 한 유효하게 이용하기 위하여, 승강로 위쪽에 설치되는 기계실의 연직투영면적(鉛直投影面積)을 승강로의 연직투영면적과 거의 동일한 정도로 하거나, 종래 기계실에 설치되어 있던 기기류를 승강로 내에 배치하여, 기계실 설치를 필요치 않게 하거나 함으로써, 공간 절약화를 실현하고 있다. 그러나, 엘리베이터 장치의 공간 절약화에 의해 사용 기기류의 레이 아웃이나 설치 위치에는 대폭적인 제한이 부과되어버리기 때문에, 대형의 권상기를 설치하여 구동 토크를 증대시킬 수 없고, 엘리베이터 장치의 대용량화는 어렵게 되었다.
한편, 엘리베이터 장치의 대용량화에 대응하는 방법에는, 권상기의 구동 토크를 증대시키는 방법 외에,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매다는 메인 로프의 로핑 방식에 의해 실현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개 2000-153975호 공보에 기재된 견인 쉬브(tow sheave) 엘리베이터에는,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4:1 로핑 방식에 의해 매다는 트랙션식 엘리베이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4:1 로 핑 방식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매다는 경우, 권상기에 필요한 구동 토크를, 예를 들면, 1:1 로핑 방식의 경우의 1/4, 2:1 로핑 방식의 경우의 1/2로 경감할 수 있기 때문에, 대형 권상기를 설치하지 않고 대용량 엘리베이터 장치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4:1 로핑 방식은,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거리와 비교하여 메인 로프의 이동거리가 큰 폭으로 길어지게 되고, 이 메인 로프를 되풀어 내는 서스펜딩 쉬브(suspending sheave)나 리버싱 쉬브(reversing sheave)가 증가해 버리기 때문에, 그 구성 및 배치가 매우 복잡해진다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권상기를 소형화하고, 또한, 구성을 간소화하는 것에 의해, 공간 절약화된 엘리베이터 장치의 대용량화에 대응할 수 있는 트랙션식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00-153975호 공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 상부의 엘리베이터 칸용 서스펜딩 쉬브에 대하여 평행한 회동축을 가지고, 또한, 연직투영면상, 엘리베이터 칸용 서스펜딩 쉬브의 로프 홈(rope groove)과 일직선 모양의 로프 홈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칸용 리버싱 쉬브를 엘리베이터 칸 상부에, 또, 균형추 상부의 균형추용 리버싱 쉬브에 대하여 평행한 회동축을 가지고, 또한, 연직투영면상, 균형추용 리버싱 쉬브의 로프 홈과 일직선 모양의 로프 홈을 가지는 균형추용 리버싱 쉬브를 균형추 위쪽에 배치함과 동시에, 서로 평행한 회동축을 가지는 권상기 및 디플렉터 쉬브를, 엘리베이터 칸용 서스펜딩 쉬브 및 균형추용 서스펜딩 쉬브의 위치에 맞추어 승강로 꼭대기부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3:1 로핑 방식으로 매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제 1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제 1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에 따라 이를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중복 설명은 적절히 간략화 내지 생략한다.
실시 예 1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제 1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전체 구성도, 도 2는 그 평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횡단면이 대략 4각형 모양을 나타내는 엘리베이터 승강로(1)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2)은, 건축물 각 층의 엘리베이터 승차장과 승강로(1)를 연결하는 승차장 출입구(3)가 설치된 승강로 벽(1a)측에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2)은, 그 승강 가능범위에 걸쳐 서로 대향하도록 세워 설치된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4)에 의해 그 수평 방향의 이동이 제한되어 있고, 승강로 벽(1a)을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대향하는 승강로 벽 (1b, 1c)과 이 엘리베이터 칸(2) 양 측면 사이에는, 각각 근소한 간격(5a, 5b)이 형성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2)은, 그 양 측면 및 상면, 하면의 각각의 중앙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4각 환상(環狀)을 나타내는 엘리베이터 칸 틀(도시생략)에 의해 지지(支持)되고, 이 엘리베이터 칸 틀의 세로 틀에 설치된 가이드 롤러(도시생략) 등이 엘리베이터 칸(2) 양측의 간격(5a, 5b)을 통과하도록 배치된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4)에 맞물림으로써, 연직 방향으로 안내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2)의 승강로 벽(1b)측 위쪽에서부터 승강로 벽(1c)측 위쪽에 걸쳐 설치된 엘리베이터 칸 틀의 상부 틀(도시생략)에는, 엘리베이터 칸용 서스펜딩 쉬브(2a)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엘리베이터 칸용 서스펜딩 쉬브(2a)는, 승강로 벽(1a)에 대하여 평행한 회동축을 가지고 있고, 엘리베이터 칸(2)의 중앙부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승강로(1) 내를 이 엘리베이터 칸(2)과 역방향으로 승강하는 균형추(6)는, 엘리베이터 칸(2)을 사이에 두고 승강로 벽(1a)에 대향하는 깊이 측의 승강로 벽(1d)과 엘리베이터 칸(2)과의 사이에 형성된 간격(5c)을 승강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엘리베이터 칸(2)과 승강로 벽(1d)과의 사이에는 충분한 거리가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균형추(6)는, 엘리베이터 칸(2)의 깊이 방향보다도 폭 방향으로 긴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균형추(6)는, 승강 가능 범위에 걸쳐서 서로 대향하도록 세워 설치된 한 쌍의 균형추용 가이드 레일(7)에 의해 그 수평 방향의 이동이 제한되어 있다. 또, 균형추(6)는, 대략 4각 환상(環狀)을 나타내는 균형추 틀(도시생략)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고, 이 균형추 틀의 세로 틀에 설치된 가이드 슈(guide shoe)(도시생략) 등이 균형추(6)의 양측에 배치된 균형추용 가이드 레일(7)에 맞물림에 의해, 연직 방향으로 안내되어 있다. 또, 균형추(6)의 상부에 설치된 균형추 틀의 상부 틀(도시생략)에는, 승강로 벽(1c)측 단부에, 균형추용 서스펜딩 쉬브(6a)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균형추용 서스펜딩 쉬브(6a)는, 균형추(6)의 길이 방향으로 거의 평행한 엘리베이터 칸용 서스펜딩 쉬브(2a)의 회동축에 대하여 직교하는 회동축을 가지고 있고, 그 승강로 벽(1c)측 단부가, 엘리베이터 칸(2)의 폭 방향의 거의 중간부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승강로(1) 꼭대기부에 설치되고, 승강로(1)의 연직투영면적과 거의 동일한 정도의 연직투영면적을 가지는 기계실(8)에는, 엘리베이터 칸(2)의 바로 윗부분에 엘리베이터 칸용 리버싱 쉬브(9a)가, 균형추(6)의 바로 윗부분에 균형추용 리버싱 쉬브(9b)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엘리베이터 칸용 리버싱 쉬브(9a)는, 엘리베이터 칸용 서스펜딩 쉬브(2a)의 회동축에 대하여 거의 평행한 회동축을 가지고 있고, 연직투영면상, 엘리베이터 칸용 서스펜딩 쉬브(2a)보다도 승강로 벽(1a)측에 배치됨과 동시에, 그 외주면에 형성된 로프 홈이, 엘리베이터 칸용 서스펜딩 쉬브(2a)의 외주면에 형성된 로프 홈과 거의 일직선 모양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용 리버싱 쉬브(9a)의 승강로 벽(ld)측 단부는, 엘리베이터 칸용 서스펜딩 쉬브(2a) 중심부의 거의 바로 윗부분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편, 균형추용 리버싱 쉬브(9b)는, 균형추용 서스펜딩 쉬브(6a)의 회동축에 대하여 거의 평행하고, 또한, 엘리베이터 칸용 서스펜딩 쉬브(2a) 및 엘리베이터 칸용 리버싱 쉬브(9a)의 회동축에 대하여 직교하는 회동축을 가짐과 동시 에, 연직투영면상, 균형추용 서스펜딩 쉬브(6a)보다도 승강로 벽(1b)측에 배치되고, 또한 그 외주면에 형성된 로프 홈이, 균형추용 서스펜딩 쉬브(6a)의 외주면에 형성된 로프 홈과 거의 일직선 모양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기계실(8)에는, 외주면에 로프 홈이 형성된 구동 쉬브(10a) 및 이 구동 쉬브(10a)를 임의의 방향 및 속도로 회전 제어하는 모터부(10b)를 구비한 기어 없는 권상기(10)와, 디플렉터 쉬브(11)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기어 없는 권상기(10)의 구동 쉬브(10a)는, 승강로(1) 내에 설치된 서스펜딩 쉬브나 리버싱 쉬브와 거의 동일한 정도의 지름을 가짐과 동시에, 엘리베이터 칸용 서스펜딩 쉬브(2a) 및 엘리베이터 칸용 리버싱 쉬브(9a)의 회동축에 대하여 거의 평행한 회동축을 가지고 있다. 또, 구동 쉬브(10a)는, 연직투영면상, 그 로프 홈이 엘리베이터 칸용 서스펜딩 쉬브(2a)의 로프 홈 및 엘리베이터 칸용 리버싱 쉬브(9a)의 로프 홈과 거의 일직선 모양이 됨과 동시에, 그 승강로 벽(1a)측 단부가, 엘리베이터 칸용 서스펜딩 쉬브(2a)의 승강로 벽(1d)측 단부와 소정 거리를 가지도록, 엘리베이터 칸용 서스펜딩 쉬브(2a)의 승강로 벽(1d)측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디플렉터 쉬브(11)는, 구동 쉬브(10a)와 엘리베이터 칸용 서스펜딩 쉬브(2a)와 엘리베이터 칸용 리버싱 쉬브(9a)의 각각의 회동축에 대하여 거의 평행한 회동축을 가지고 있고, 그 외주면에 형성된 로프 홈이, 연직투영면상, 엘리베이터 칸용 서스펜딩 쉬브(2a)와 엘리베이터 칸용 리버싱 쉬브(9a)와 구동 쉬브(10a)와의 각각의 로프 홈과 대략 일직선 모양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그 승강로 벽(ld)측 단부는, 균형추용 서스펜딩 쉬브(6a)의 승강로 벽(1c)측 단부의 거의 바로 윗부분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6)를 두레박식으로 매다는 메인 로프(12)는, 그 일단부가, 엘리베이터 칸용 서스펜딩 쉬브(2a)의 회동축을 지지하는 엘리베이터 칸 틀의 상부 틀에, 엘리베이터 칸측 고정구(12a)를 통하여 탄성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메인 로프(12)는, 엘리베이터 칸측 고정구(12a)측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칸용 리버싱 쉬브(9a), 엘리베이터 칸용 서스펜딩 쉬브(2a), 구동 쉬브(10a), 디플렉터 쉬브(11), 균형추용 서스펜딩 쉬브(6a), 균형추용 리버싱 쉬브(9b)로 차례차례 감겨져 있고, 타단부가, 균형추(6)를 지지하는 균형 추 틀의 상부 틀에, 균형추측 고정구(12b)를 통하여 탄성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메인 로프(12)는, 엘리베이터 칸용 고정구(12a)로부터 엘리베이터 칸용 리버싱 쉬브(9a)의 승강로 벽(1d)측 단부에 이르는 부분과, 디플렉터 쉬브(11)의 승강로 벽(1d)측 단부로부터 균형추용 서스펜딩 쉬브(6a)의 승강로 벽(1c)측 단부에 이르는 부분과, 균형추용 리버싱 쉬브(9b)의 승강로 벽(1b)측 단부로부터 균형추측 고정구(12b)에 이르는 부분이, 대략 연직 방향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메인 로프(12)의 엘리베이터 칸용 리버싱 쉬브(9a)의 승강로 벽(1a)측 단부로부터 엘리베이터 칸용 서스펜딩 쉬브(2a)의 승강로 벽(la)측 단부에 이르는 부분과, 엘리베이터 칸용 서스펜딩 쉬브(2a)의 승강로 벽(1d)측 단부로부터 구동 쉬브(10a)의 승강로 벽(la)측 단부에 이르는 부분은, 엘리베이터 칸용 서스펜딩 쉬브(2a)의 회동축을 가지는 연직인 평면에 대하여 대칭이 되도록, 이 평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6)는, 메인 로프(12)에 의해 3:1 로 핑 방식으로 매달려 있고, 구동 쉬브(10a)의 회전 속도에 대하여 1/3의 속도로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또한, 메인 로프(12)는, 작은 지름을 가지는 서스펜딩 쉬브나 리버싱 쉬브, 구동 쉬브(10a)에 대응하기 때문에, 굴곡 수명 및 트랙션 능력이 뛰어난 특성을 가지고 있고, 예를 들면, 강철로 이루어진 심선(芯線)에 수지 피복이 실시되어, 높은 마찰 계수를 확보한 것 등이 사용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제 1 실시 예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칸(2)과 균형추(6)가 3:1 로핑 방식에 의해서 매달아져 있기 때문에, 구동 쉬브(10a)의 지름을, 1:1 로핑 방식의 경우의 1/3, 2:1 로핑 방식의 경우의 1/1.5로 하여도, 동일한 정도의 구동 토크를 얻을 수 있고, 기어 없는 권상기(10)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기어 없는 권상기(10)를 소형화함으로써, 기어 없는 권상기(10) 및 디플렉터 쉬브(11)를, 승강로(1)와 거의 동일한 정도의 연직투영면적을 가지는 기계실(8)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엘리베이터 칸 틀의 상부 틀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칸용 서스펜딩 쉬브(2a)와 균형추 틀의 상부 틀에 설치된 균형추용 서스펜딩 쉬브(6a)의 위치에 맞추어, 기어 없는 권상기(10) 및 디플렉터 쉬브(11)를 설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메인 로프(12)의 길이나 서스펜딩 쉬브 등의 수량을 최소한으로 하여 3:1 로핑 방식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엘리베이터 칸용 서스펜딩 쉬브(2a)를 지지하기 위한 고정체를 엘리베이터 칸(2)에 새로 설치할 필요 없이,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다. 또한, 제 l 실시 예에서는, 승강로(1)의 꼭대기부에 승강로(1)와 거의 동일한 정도의 연직 투영 면적을 가지는 기계실(8)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도, 기어 없는 권상기(10)나 디플렉터 쉬브(11) 등을 승강로(1) 내에 설치하는 것에 의해, 제 1 실시 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또, 기어 없는 권상기(10)의 구동 쉬브(10a) 및 디플렉터 쉬브(11)의 위치를, 엘리베이터 칸용 서스펜딩 쉬브(2a) 및 균형추용 서스펜딩 쉬브(6a)의 위치에 맞추기 위하여, 구동 쉬브(10a)의 회동축이, 엘리베이터 칸용 서스펜딩 쉬브(2a) 및 엘리베이터 칸용 리버싱 쉬브(9a)의 회동축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배치하여도, 제 1 실시 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3:1 로핑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의하면, 권상기를 소형화하고, 또한, 전체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공간 절약화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도, 용이하게 대용량화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7)

  1.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과, 이 엘리베이터 칸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엘리베이터 칸용 서스펜딩 쉬브(suspending sheave)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 상부의 상기 승강로 꼭대기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용 서스펜딩 쉬브의 회동축에 대하여 평행한 회동축을 가짐과 동시에, 그 로프 홈(rope groove)이, 연직투영면상, 상기 엘리베이터 칸용 서스펜딩 쉬브의 로프 홈과 일직선 모양으로 배치된 엘리베이터 칸용 리버싱 쉬브(reversing sheave)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과 역방향으로 상기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균형추와, 이 균형추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균형추용 서스펜딩 쉬브와, 상기 균형추 상부의 상기 승강로 꼭대기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균형추용 서스펜딩 쉬브의 회동축에 대하여 평행한 회동축을 가짐과 동시에, 그 로프 홈이, 연직투영면상, 상기 균형추용 서스펜딩 쉬브의 로프 홈과 일직선 모양으로 배치된 균형추용 리버싱 쉬브와, 상기 승강로 꼭대기부에 설치되고, 회동 가능한 구동 쉬브(drive sheave)를 가지는 권상기와, 상기 승강로 꼭대기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 쉬브의 회동축에 대하여 평행한 회동축을 가짐과 동시에, 그 로프 홈이, 연직투영면상, 상기 구동 쉬브의 로프 홈과 일직선 모양으로 배치된 디플렉터 쉬브(deflector sheave)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1 로핑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균형추는, 깊이 측 승강로 벽과 엘리베이터 칸과의 사이에 형성된 간격을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1 로핑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균형추용 서스펜딩 쉬브와 균형추용 리버싱 쉬브는, 각각의 회동축이 엘리베이터 칸용 서스펜딩 쉬브 및 엘리베이터 칸용 리버싱 쉬브의 회동축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1 로핑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구동 쉬브와 디플렉터 쉬브는, 각각의 회동축이 엘리베이터 칸용 서스펜딩 쉬브 및 엘리베이터 칸용 리버싱 쉬브의 회동축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됨과 동시에, 각각의 로프 홈이, 연직투영면상, 엘리베이터 칸용 서스펜딩 쉬브 및 엘리베이터 칸용 리버싱 쉬브의 로프 홈에 대하여 일직선 모양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1 로핑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용 서스펜딩 쉬브는, 엘리베이터 칸을 지지하는 엘리베이터 칸 틀의 상부 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1 로핑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매다는 메인 로프는, 표면을 수지로 구성하고, 높은 마찰 계수를 얻을 수 있는 것을 적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1 로핑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권상기는, 승강로 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1 로핑 방식의 무(無)기계실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067002549A 2006-02-06 2004-06-08 엘리베이터 장치 KR200600581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02549A KR20060058102A (ko) 2006-02-06 2004-06-08 엘리베이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02549A KR20060058102A (ko) 2006-02-06 2004-06-08 엘리베이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8102A true KR20060058102A (ko) 2006-05-29

Family

ID=37153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2549A KR20060058102A (ko) 2006-02-06 2004-06-08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5810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8467B1 (ko) 엘리베이터 장치
US6619433B1 (en) Elevator system using minimal building space
KR10133580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WO2005121008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4934941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4083231A (ja) エレベータ装置
JP4339578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262805B2 (ja) エレベータ装置
EP1512652A1 (en) Elevator
JP4802844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20060058102A (ko) 엘리베이터 장치
EP1754681A1 (en) Elevator apparatus
KR20060058101A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06256867A (ja) エレベーター
KR100735338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18039629A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及びその駆動方法
KR100766654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804886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840054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617383B1 (ko) 무기계실 엘리베이터 장치
KR20040093179A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06151673A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装置
KR20060040608A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05231869A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05100225A1 (ja) エレベ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