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0608A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0608A
KR20060040608A KR1020057025183A KR20057025183A KR20060040608A KR 20060040608 A KR20060040608 A KR 20060040608A KR 1020057025183 A KR1020057025183 A KR 1020057025183A KR 20057025183 A KR20057025183 A KR 20057025183A KR 20060040608 A KR20060040608 A KR 20060040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yaw
hoistway
elevator
elevator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5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2860B1 (ko
Inventor
나오키 하시구치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57025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2860B1/ko
Publication of KR20060040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0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2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2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4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 B66B7/047Shoes, sli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4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 B66B7/041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including active attenuation system for shocks, vibrations
    • B66B7/042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including active attenuation system for shocks, vibrations with rollers, shoes

Landscapes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을 안내하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이 승강로내에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에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계합하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가 탑재되어 있다. 수직 투영면내에서, 엘리베이터 칸의 벽부에는 요(凹)부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의 적어도 일부는 요(凹)부내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APPARATUS}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을 안내하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이 승강로내에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 9-165163호 공보에 나타난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과 승강로벽과의 사이의 스페이스에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이 배치되어 있다. 또, 승강로내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보다 후방인 스페이스에 균형(釣合)추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승강로내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보다 전방인 스페이스에 권상기(卷上機)가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과 승강로벽과의 사이에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을 배치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있으며, 승강로 스페이스가 커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승강로 스페이스를 더욱 축소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벽부를 갖고 승강로내를 승강시키는 엘리베이터 칸과, 승강로내에 설치되고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을 안내하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과,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고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계합하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guide shoe)를 구비하고, 수직 투영면내에서 벽부에는 요(凹)부가 설치되어 있고, 또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의 적어도 일부는 요(凹)부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구동 쉬브(driving sheave)를 갖는 구동 장치, 구동 쉬브에 감겨져 있는 제1 및 제2 주(main) 로프(rope), 제1 주 로프가 접속되는 제1 로프 접속부와, 제2 주 로프가 접속되는 제2 로프 접속부를 갖고, 구동 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로내를 승강시키는 엘리베이터 칸, 및 승강로내에 설치되고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을 안내하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고, 엘리베이터 칸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의 배면간의 치수는 엘리베이터 칸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제1 및 제2 주 로프의 제1 및 제2 로프 접속부에의 접속부간의 치수 이하로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내를 승강시키는 엘리베이터 칸과, 승강로내에 설치되고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과,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고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계합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의 대각에 위치하는 코너(隅)부에는 서로 대향하는 면취부(chamfered portion)가 형성되어 있고,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은 면취부에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는 면취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벽부를 갖고 승강로내를 승강시키는 엘리베이터 칸과, 승강로내에 설치되고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을 안내하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과,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고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계합하여 엘리베이터 칸을 비상 정지시키는 비상 멈춤 장치를 구비하고, 수직 투영면내에서 벽부에는 요(凹)부가 설치되어 있고, 또 비상 멈춤 장치의 적어도 일부는 요(凹)부내에 배치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도 3의 비상 멈춤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비상 멈춤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도 6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도 6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9는 도 6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비상 멈춤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2는 도 11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문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5는 도 14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도 16은 도 14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7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8은 도 17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8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0는 도 19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9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0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4는 도 23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6은 도 25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매우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내에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과, 제1 및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3a, 3b)이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2a, 2b, 3a, 3b)은 각각 T자형의 단면을 갖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4)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에 안내되어서 승강로(1)내를 승강시킨다. 균형추(5)는 균형추 가이드 레일(3a, 3b)에 안내되어서 승강로(1)내를 승강시킨다.
엘리베이터 칸(4)은 엘리베이터 칸 프레임(도시하지 않음)과, 엘리베이터 칸 프레임에 지지된 엘리베이터 칸 실(6)을 갖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 실(6)은 플로어(floor)부, 벽부 및 천정(ceiling)부를 갖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 실(6)의 벽부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된 전면(front face)(6a), 전면에 대향하는 배면(rear face)(6b), 제1 측면(6c), 및 제1 측면에 대향하는 제2 측면(6d)을 갖고 있다.
수직 투영면내에서, 제1 측면(6c)에는 제1 요(凹)부(7a)가 설치되어 있고, 제2 측면(6d)에는 제2 요(凹)부(7b)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 요(凹)부(7a, 7b)는 엘리베이터 칸(4)의 승강 방향(상하 방향)을 따라서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다. 즉, 제1 및 제2 요(凹)부(7a, 7b)는 그루브(groove, 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요(凹)부(7a, 7b)를 설치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 실(6)내에는 약간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돌기는 승객의 정원에 영향을 줄 정도의 것은 아니다.
제1 요(凹)부(7a)내에는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에 계합하는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a)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있다. 제2 요(凹)부(7b)내에는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b)에 계합하는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b)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a, 20b)의 전체가 요(凹)부(7a, 7b)내에 수용되어 있다.
이로 인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a, 20b)간의 치수는 제1 및 제2 측면(6c, 6d)의 요(凹)부(7a, 7b) 이외의 부분간의 치수보다 작아지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a, 20b)의 종류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슬라이딩 가이드 슈, 롤러 가이드 슈 또는 자기적 가이드 슈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a, 20b)는 그 단면의 80% 이상이 요(凹)부(7a, 7b)내에 수용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수직 투영면내에서,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의 적어도 일부는 요(凹)부(7a, 7b)내에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은 요(凹)부(7a, 7b)에 마주(臨)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 요(凹)부(7a, 7b)는 엘리베이터 칸 실(6)의 깊이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은 서로 대향하고 있다. 즉, 수직 투영면내에서,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의 중심선은 서로 평행으로 되어 있는 동시에, 동일한 직선상에 위치하고 있다.
균형추(5)는 엘리베이터 칸(4)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때에 배면(6b)에 대향하도록 엘리베이터 칸(4)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4)의 하부에는 제1 및 제2 로프 접속부(8a, 8b)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 로프 접속부(8a, 8b)는 수직 투영면내에서 제1 측면(6c) 및 제2 측면(6d)으로부터 약간 돌출하고 있다. 또, 제1 및 제2 로프 접속부(8a, 8b)는 수직 투영면내에서 엘리베이터 칸(4)의 무게 중심에 대하여 대칭 또는 거의 대칭인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로프 접속부(8a)는 엘리베이터 칸(4)의 깊이 방향으로 대하여,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로프 접속부(8b)는 엘리베이터 칸(4)의 깊이 방향에 대하여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b)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승강로(1)내의 상부에는 지지 프레임(9)(도 3)이 설치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9)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 및 균형추 가이드 레일(3a, 3b)의 적어도 일부에 지지되어 있다. 또, 지지 프레임(9)은 건축에 설치된 지지부에 의해 지지해도 된다.
지지 프레임(9)에는 엘리베이터 칸(4) 및 균형추(5)를 승강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 장치(권상기)(10)가 지지되어 있다. 구동 장치(10)는 모터 및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구동 장치 본체(11)와, 구동 장치 본체(11)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쉬브(12)를 갖고 있다.
이 예에서, 구동 쉬브(12)는 구동 장치 본체(11)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 구동 쉬브(12)는 감속 기구를 개재하지 않고 구동 장치 본체(11)의 모터에 의해 직접 구동된다.
또, 구동 장치(10)는 구동 쉬브(12)의 회전축이 수직(거의 수직을 포함)으로 뻗도록 수평(거의 수평을 포함)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구동 장치(10)로서는 축 방향 치수가 축 방향으로 직각인 방향의 외경 치수보다 작은 박(薄)형 권상기가 이용되고 있다.
또한, 구동 장치(10)는 수직 투영면에 있어서 전체 또는 거의 전체가 엘리베이터 칸(4)과 겹치고 있다. 즉, 구동 장치(10)는 엘리베이터 칸(4)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다.
구동 쉬브(12)에는 엘리베이터 칸(4) 및 균형추(5)를 승강로(1)내에 매다는 주 로프군(group)(13)이 감겨져 있다. 주 로프군(13)은 복수 라인(도면에서는 한 라인으로만 나타냄)의 제1 주 로프(14)와, 복수 라인(도면에서는 한 라인으로만 나타냄)의 제2 주 로프(15)를 포함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4)과 균형추(5)는 주 로프군(13)에 의해, 1:1 로핑(roping) 방식으로 매달려 있다.
제1 주 로프(14)는 제1 로프 접속부(8a)에 접속된 제1 단부(14a)와, 균형추(5)의 상부에 접속된 제2 단부(14b)를 갖고 있다. 제2 주 로프(15)는 제2 로프 접속부(8b)에 접속된 제3 단부(15a)와, 균형추(5)의 상부에 접속된 제4 단부(15b)를 갖고 있다.
지지 프레임(9)상에는 제1 주 로프(14)를 제1 로프 접속부(8a)로 가이딩(guiding, 導)하는 제1 풀리(pulley)(16)와, 제2 주 로프(15)를 제2 로프 접속부(8b)로 가이딩하는 제2 풀리(17)와, 제1 및 제2 주 로프(14, 15)를 균형추(5)로 가 이딩하는 제3 풀리(18)와, 구동 쉬브(12)로부터 뻗는 제1 주 로프(14)를 제1 풀리(16)로 가이딩하는 전향(deflection) 풀리(19)가 탑재되어 있다.
제1 풀리(16)는 제1 로프 접속부(8a)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다. 제2 풀리(17)는 제2 로프 접속부(8b)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다.
제1 ~ 제3 풀리(16~18)는 그러한 회전축이 수평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전향 풀리(19)는 그 회전축이 수직(거의 수직을 포함)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구동 장치(10) 및 풀리(16~19)는 공통의 지지 프레임(9)에 탑재되어서 유닛(unit)화되어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피치(suspension pitch)(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제1 단부(14a)와 제3 단부(15a)와의 사이의 치수)를 F0,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 배면간 피치(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의 배면간의 치수)를 G1, 가이드 슈간 피치(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a, 20b)간의 치수)를 E1로 하면,
F0
Figure 112005077215393-PCT00001
G1 > E1 로 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4)의 하부에는 과속도 등의 엘리베이터의 이상이 발생했을 때에 엘리베이터 칸(4)을 비상 정지시키기 위한 비상 멈춤 장치(22)가 탑재되어 있다. 비상 멈춤 장치(22)는 기계적인 조작력의 전달에 의해 동작하는 기계식이어도, 전기적인 작동 신호를 받아서 동작하는 액츄에이터를 갖는 전기식이어도 된다.
도 4는 도 3의 비상 멈춤 장치(22)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비상 멈춤 장치(22)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비상 멈춤 장치(22)는 엘리베이터 칸(4)측에 고정된 고정 피스(piece, 片)(23)와, 고정 피스(23)의 내측에 고정된 고정측 제동 피스(24)와, 고정 피스(23)의 내측에 접동(摺動, slidably)) 가능하게 설치된 가동측 제동 피스(쐐기(wedge, 楔) 부재)(25)를 갖고 있다.
고정측 제동 피스(24)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의 측면에 대향하도록 고정 피스(23)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 피스(23)의 가동측 제동 피스(25)와의 접합면에는 테이퍼(taper) 형상의 접동 안내면(23a)이 설치되어 있다.
비상 멈춤 장치(22)의 동작시에는 가동측 제동 피스(25)가 접동 안내면(23a)을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4)에 대하여 위쪽으로 변위된다. 이로 인해, 가동측 제동 피스(25)가 접동 안내면(23a)과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의 측면과의 사이에 들어가고(wedge),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이 고정측 제동 피스(24)와 가동측 제동 피스(25)와의 사이에 협지되고, 엘리베이터 칸(4)이 비상 정지된다.
수직 투영면내에 있어서, 비상 멈춤 장치(22)의 적어도 일부는 요(凹)부(7a, 7b)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비상 멈춤 장치(22)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과의 계합부의 전체가 요(凹)부(7a, 7b)내에 수용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실(6)에 설치된 요(凹)부(7a, 7b)내에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a, 20b)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고, 승강로 스페이스를 더욱 축소할 수 있다.
또, F0
Figure 112005077215393-PCT00002
G1 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으로 승강로 스페이스를 축소할 수 있다. 동일하게, F0 > E1 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으로 승강로 스페이스를 축소할 수 있다.
특히, 요(凹)부(7a, 7b)를 설치함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 실(6)의 단면적의 감소분보다, 요(凹)부(7a, 7b)를 설치함에 의한 승강로(1)의 단면적의 감소분이 크면, 보다 효과적으로 승강로 스페이스를 축소할 수 있다.
또, 비상 멈춤 장치(22)의 적어도 일부가 요(凹)부(7a, 7b)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비상 멈춤 장치(22)가 엘리베이터 칸(4)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고, 승강로 스페이스를 더욱 축소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1에서는 엘리베이터 칸(4)의 깊이 방향의 동일한 위치에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을 배치하였으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은 엘리베이터 칸(4)의 깊이 방향으로 서로 떨어지게 배치해도 된다.
실시 형태 2
다음에,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도 6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도 6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실(6)의 전면(6a)과 제1 측면(6c)과의 사이의 코너부에는 제1 요(凹)부(21a)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실(6)의 배면(6b) 과 제2 측면(6d)과의 사이의 코너부에는 제2 요(凹)부(21b)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실(6)의 전면(6a)과 제1 측면(6c)과의 사이의 코너부에는 제3 요(凹)부(21c)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실(6)의 전면(6a)과 제2 측면(6d)과의 사이의 코너부에는 제4 요(凹)부(21d)가 설치되어 있다.
요(凹)부(21a~21d)는 수직 투영면내에서 긴 형상의 엘리베이터 칸 실(6)의 네 코너를 면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요(凹)부(21a~21d)는 면취부, 코너-노치(corner-notched)부, 또는 단면-노치부라고 할 수도 있다. 제1 요(凹)부(21a)와 제2 요(凹)부(21b)는 서로 평행 또는 거의 평행하다. 제3 요(凹)부(21c)의 저면(면취면)과 제4 요(凹)부(21d)의 저면은 서로 평행 또는 거의 평행하다.
요(凹)부(21a~21d)는 엘리베이터 칸(4)의 승강 방향(상하 방향)을 따라서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다.
제1 요(凹)부(21a)에는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에 계합하는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a)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있다. 제2 요(凹)부(21b)에는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b)에 계합하는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b)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a, 20b)의 전체가 요(凹)부(21a, 21b)내에 수용되어 있다.
즉,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a)는 실질적으로, 수직 투영면에서 전면(6a)을 연장한 직선과 제1 측면(6c)을 연장한 직선과 제1 요(凹)부(21a)의 저면이 둘러싸는 삼각형의 영역의 내측(제1 요(凹)부(21a)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b)는 실질적으로 수직 투영 면에서 배면(6b)을 연장한 직선과 제2 측면(6d)을 연장한 직선과 제2 요(凹)부(21b)의 저면이 둘러싸는 삼각형의 영역의 내측(제2 요(凹)부(21b)내)에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a, 20b)는 그 단면의 80% 이상이 요(凹)부(21a, 21b)내에 수용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수직 투영면내에서,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의 적어도 일부는 요(凹)부(21a, 21b)내에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은 서로 대향하고 있는 동시에, 제1 및 제2 요(凹)부(21a, 21b)의 저면에 대향하고 있다. 즉, 수직 투영면내에서,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의 중심선은 서로 평행으로 되어 있는 동시에, 동일한 직선 (엘리베이터 칸 실(6)의 대각선)상에 위치하고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직 투영면내에 있어서, 비상 멈춤 장치(22)의 적어도 일부는 요(凹)부(21a, 21b)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비상 멈춤 장치(22)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과의 계합부의 전체가 요(凹)부(21a, 21b)내에 수용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거의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실(6)에 설치된 요(凹)부(21a, 21b)내에 엘리베이터 칸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a, 20b)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고, 승강로 스페이스를 더욱 축소할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a, 20b) 및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이 엘리베이터 칸(4)의 대각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 사이의 간격을 넓게 할 수 있고, 주행 중의 엘리베이터 칸(4)의 수직축을 중심으로 하는 요동(搖動)이 억제되고, 엘리베이터 칸(4)을 안정하게 승강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a, 20b)로서 비교적 염가인 슬라이딩 가이드 슈를 이용할 수 있고,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 실(6)의 네 코너에 요(凹)부(21a~21d)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좁은 승강로(1)내에서 엘리베이터 칸(4)과 균형추(5)가 엇갈려도, 요(凹)부(21a~21d)를 통과하여 공기가 빠져 나가게 할 수 있고, 엇갈릴 때의 충격음이나 진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비상 멈춤 장치(22)의 적어도 일부가 요(凹)부(21a, 21b)내에 배치 되어 있으므로, 비상 멈춤 장치(22)가 엘리베이터 칸(4)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고, 승강로 스페이스를 더욱 축소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다음에,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제1 및 제2 로프 접속부(8a, 8b)는 수직 투영면내에서 제4 및 제3 요(凹)부(21d, 21c)내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풀리(16, 17)는 제4 및 제3 요(凹)부(21d, 21c)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구동 장치(10) 및 전향 풀리(19)의 레이아웃도 실시의 형태 2와는 다르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2와 거의 동일하다.
또, 실시 형태 1, 2에서는 생략하였으나, 엘리베이터 칸(4)에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를 개폐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의 문(26)이 설치되어 있다(2개 문의 중앙 열림 방식).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a), 및 제1 로프 접속부(8a) 등의 기기는 문이 열릴 때에 엘리베이터 칸의 문(26)에 간섭하지 않게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로프 접속부(8a, 8b)가 요(凹)부(21d, 21c)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더욱 작게 할 수 있고, 승강로 스페이스를 더욱 축소할 수 있다.
실시 형태 4
다음에,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2는 도 11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문이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4)에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 장치(27)가 탑재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 장치(27)는 한 쌍의 고속의 엘리베이터 칸의 문(28)과 한 쌍의 저속의 엘리베이터 칸의 문(29)을 갖고 있다(4개의 문 중앙 열림 방식).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3과 거의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문이 열린 상태에서 2개의 엘리베이터 칸의 문(28, 29)이 겹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문이 열린 상태에 있어서 엘리베이 터 칸의 문(28, 29)의 수납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 실(6)의 전면(6a)측에 위치하는 요(凹)부(21a, 21d)를 크게 하는 일 없이, 요(凹)부(21a, 21d)에 수용되는 기기와 도어 장치(27)와의 간섭을 용이하게 피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칸 실(6)의 바닥 면적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4에서는 피스측이 2개인 엘리베이터 칸의 문을 이용하였으나, 피스측이 3개 이상으로 있어도 된다.
또, 예를 들면 주름 상자(蛇腹)식의 도어와 같이 절첩 가능한 엘리베이터 칸의 문을 이용해도 되고, 문 열린 상태에서의 수납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실시 형태 5
다음에,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문이 열린 상태일 때에 엘리베이터 칸의 문(26) 및 승강장의 문(도시하지 않음)이 수납되는 문 포켓(pocket)부와 승강장벽과의 사이의 스페이스에는 제어반(control panel)(30a, 30b)이 설치되어 있다. 제어반(30a, 30b)에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 기기가 수용되어 있다.
제어반(30a, 30b)은 보수 점검시에, 도면의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 방면의 프레임을 통과하여 승강장 출입구로 인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의 문(26)이 제어반(30a, 30b)에 간섭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피스측이 1개인 엘리베이터 칸의 문(26)을 이용할 수 있고, 비용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5에서는 2개의 제어반(30a, 30b)을 이용하였으나, 1개로 해 도 된다.
또, 도 13에 있어서 제어반(30a, 30b)이 설치되어 있는 스페이스에는 제어반(30a, 30b) 이외의 기기를 수용할 수도 있다.
실시 형태 6
다음에,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5는 도 14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도 16은 도 14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제1 및 제2 로프 접속부(8a, 8b)는 수직 투영면내에서 제1 및 제2 요(凹)부(21a, 21b)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풀리(16, 17)는 제1 및 제2 요(凹)부(21a, 21b)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구동 장치(10) 및 전향 풀리(19)의 레이아웃도 실시 형태 2와는 다르다.
또, 수직 투영면내에서 제3 요(凹)부(21c)에는 단면이 거의 삼각형인 균형추(31)가 배치되어 있다. 균형추(31)는 실질적으로 수직 투영면에서 배면(6b)을 연장한 직선과 제1 측면(6c)을 연장한 직선과 제3 요(凹)부(21c)의 저면(면취면)이 둘러싸는 삼각형의 영역의 내측(제3 요(凹)부(21c)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측면(6c)에 대향하는 승강로벽에는 균형추(31)의 승강을 안내하는 단면 H형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32)이 고정되어 있다. 균형추(31)에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균형추 가이드 레일(32)에 계합하는 단면 C자형의 균형추 가이드 슈(33)가 장착되어 있다.
균형추 가이드 슈(33)가 균형추 가이드 레일(32)에 계합함으로써, 엘리베이 터 칸(4)의 수평 방향에의 균형추(31)의 변위가 규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수직 투영면내에서 제3 요(凹)부(21c)에 균형추(31)를 배치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 및 깊이 방향에 대하여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고, 승강로 스페이스를 더욱 축소할 수 있다.
또한, 균형추의 단면 형상은 삼각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실시 형태 6에서는 제3 요(凹)부(21c)에 균형추(31)를 배치하였으나, 제4 요(凹)부(21d)에 배치해도 된다.
또, 2개의 균형추를 제3 및 제4 요(凹)부에 나누어 배치해도 된다.
실시 형태 7
다음에,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7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8은 도 17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내의 하부(피트(pit))에는 하부 리턴 풀리(return pulley)(34)(도 18)가 설치되어 있다. 하부 리턴 풀리(34)에는 주 로프군(13)이 감겨져 있다.
실시 형태 7에서는 균형추가 이용되지 않았다. 제3 풀리(18)는 제3 요(凹)부(21c)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제3 풀리(18)로부터 아래쪽으로 향하는 주 로프군(13)은 제3 요(凹)부(21c)내를 관통하고, 하부 리턴 풀리(34)에서 위쪽으로 반전된다. 그리고, 주 로프군(13)의 단부, 즉 제1 주 로프(14)의 제2 단부(14b) 및 제2 주로프(15)의 제4 단부(15b)는 엘리베이터 칸(4)의 하부에 접속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3 또는 4와 거의 동일하다.
이와 같이, 균형추를 생략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 및 깊이 방향에 대하여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고, 승강로 스페이스를 더욱 축소할 수 있다.
실시 형태 8
다음에,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8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0는 도 19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4)의 하부에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suspending pulley)(35a, 35b)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35a)는 그 일부가 수직 투영면내에서 제4 요(凹)부(21d)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35b)는 그 일부가 수직 투영면내에서 제3 요(凹)부(21c)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균형추(5)의 상부에는 균형추 서스펜딩 풀리(36)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35a, 35b) 및 균형추 서스펜딩 풀리(36)에는 복수 라인의 주 로프를 포함하는 주 로프군(13)이 감겨져 있다.
승강로(1)내의 상부에는 구동 쉬브(12)로부터의 주 로프군(13)을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35b)에 가이딩하는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37)와, 구동 쉬브(12)로부터의 주 로프군(13)을 균형추 서스펜딩 풀리(36)로 가이딩하는 균형추측 리턴 풀리(38)가 설치되어 있다. 리턴 풀리(37, 38)의 회전축은 수평으로 되어 있다.
주 로프군(13)의 제1 단부(엘리베이터 칸측 단부) 및 제2 단부(균형추측 단 부)는 지지 프레임(9)에 접속되어 있다. 또, 주 로프군(13)은 제1 단부측으로부터 차례로,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35a, 35b),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37), 구동 쉬브(12), 균형추측 리턴 풀리(38) 및 균형추 서스펜딩 풀리(36)에 감겨져 있다. 즉, 실시 형태 8에서는 엘리베이터 칸(4) 및 균형추(5)는 주 로프군(13)에 의해 2:1 로핑 방식으로 승강로(1)내에 매달려 있다.
또, 주 로프군(13)의 일부는 제3 요(凹)부(21c) 및 제4 요(凹)부(21d)내를 통과하고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3 또는 4와 거의 동일하다.
이와 같이, 2:1 로핑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도, 엘리베이터 칸 실(6)에 설치된 요(凹)부(21a, 21b)내에 엘리베이터 칸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a, 20b)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고, 승강로 스페이스를 더욱 축소할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35a, 35b)의 일부가 수직 투영면내에서 요(凹)부(21d, 21c)내에 배치되어 있고, 주 로프군(13)이 요(凹)부(21d, 21c)내를 통과하고 있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서도 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고, 승강로 스페이스를 더욱 축소할 수 있다.
실시 형태 9
다음에,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9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균형추(5)는 엘리베이터 칸(4)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 할 때에 제1 측면(6c)에 대향하도록 엘리베이터 칸(4)의 측쪽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레이아웃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도, 엘리베이터 칸 실(6)에 설치된 요부(21a, 21b)내에 엘리베이터 칸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a, 20b)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고, 승강로 스페이스를 더욱 축소할 수 있다.
또, 로프 접속부(8a, 8b)가 요(凹)부(21d, 21c)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더욱 작게 할 수 있고, 승강로 스페이스를 더욱 축소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0
다음에,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0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내의 상부에는 제1 구동 장치(41) 및 제2 구동 장치(44)가 설치되어 있다. 제1 구동 장치(41)는 모터 및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제1 구동 장치 본체(42)와, 제1 구동 장치 본체(42)에 의해 회전되는 제1 구동 쉬브(43)를 갖고 있다. 제2 구동 장치(44)는 모터 및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제2 구동 장치 본체(45)와, 제2 구동 장치 본체(45)에 의해 회전되는 제2 구동 쉬브(46)를 갖고 있다.
이 예에서, 구동 쉬브(43, 46)는 구동 장치 본체(42, 45)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 구동 장치(41, 44)는 구동 쉬브(43, 46)의 회전축이 수직(거의 수직을 포함)으로 뻗도록 수평(거의 수평을 포함)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구동 장치(41, 44)로서는 축 방향 치수가 구동 쉬브(43, 46)의 지름 치수 또는 구동 장치 본체(42, 45)의 지름 치수보다 작은 박형 권상기가 이용되고 있다.
또한, 구동 장치(41, 44)는 수직 투영면에 있어서, 전체 또는 거의 전체가 엘리베이터 칸(4)과 겹치고 있다. 즉, 구동 장치(41, 44)는 엘리베이터 칸(4)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구동 장치(41, 44)는 수직 투영면내에서 엘리베이터 칸(4)의 대각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1 구동 쉬브(43)에는 엘리베이터 칸(4) 및 균형추(5)를 승강로(1)내에 매다는 복수(도면에서는 1개만 나타냄)의 제1 주로프(14)가 감겨져 있다. 제2 구동 쉬브(46)에는 엘리베이터 칸(4) 및 균형추(5)를 승강로(1)내에 매다는 복수(도면에서는 1개만 나타냄)의 제2 주 로프(15)가 감겨져 있다.
엘리베이터 칸(4)과 균형추(5)는 주 로프(14, 15)에 의해, 1:1 로핑 방식으로 매달려 있다.
승강로(1)내의 상부에는 제1 주 로프(14)를 제1 로프 접속부(8a)로 가이딩하는 제1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47), 제1 주 로프(14)를 균형추(5)로 가이딩하는 제1 균형추측 리턴 풀리(48), 제1 구동 쉬브(43)로부터의 제1 주 로프(14)를 제1 균형추측 리턴 풀리(48)로 가이딩하는 전향 풀리(49), 제2 주 로프(15)를 제2 로프 접속부(8b)로 가이딩하는 제2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50), 및 제2 주 로프(15)를 균형추(5)로 가이딩하는 제2 균형추측 리턴 풀리(51)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47), 제1 균형추측 리턴 풀리(48), 제2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50) 및 제2 균형추측 리턴 풀리(51)는 이의 회전축이 수평 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전향 풀리(49)는 그 회전축이 수직 또는 거의 수직으로 되도록 배치하고 있다.
제1 주 로프(14)의 제1 구동 쉬브(43)와 제1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47)와의 사이의 부분, 제1 주 로프(14)의 전향 풀리(49)와 제1 균형추측 리턴 풀리(48)와의 사이의 부분, 제2 주 로프(15)의 제2 구동 쉬브(46)와 제2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50)와의 사이의 부분, 및 제2 주 로프(15)의 제2 구동 쉬브(46)와 제2 균형추측 리턴 풀리(51)와의 사이의 부분은 서로 평행, 또 엘리베이터 칸(4)의 깊이 방향에 대하여 평행으로 되어 있다.
제1 주 로프(14)의 제2 단부(균형추측 단부) 및 제2 주 로프(15)의 제4 단부(균형추측 단부)는 균형추(5)의 폭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균형추(5)의 상부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제1 및 제2 구동 장치(41, 43)의 구동력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칸(4) 및 균형추(5)가 승강되므로, 큰 승차 정원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2개의 구동 장치(41, 43)를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엘리베이터 칸 실(6)에 설치된 요(凹)부(21a, 21b)내에 엘리베이터 칸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a, 20b)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고, 승강로 스페이스를 더욱 축소할 수 있다.
또, 로프 접속부(8a, 8b)가 요(凹)부(21d, 21c)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엘리 베이터 칸(4)의 폭 방향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더욱 작게 할 수 있고, 승강로 스페이스를 더욱 축소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1
다음에,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4는 도 23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4)의 하부에는 제1 주 로프(14)가 감겨져 있던 한 쌍의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52a, 52b)와 제2 주 로프(15)가 감겨져 있던 한 쌍의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53a, 53b)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52a)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53a)는 그러한 일부가 수직 투영면내에서 제4 요(凹)부(21d)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52b)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53b)는 그러한 일부가 수직 투영면내에서 제3 요(凹)부(21c)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주 로프(14)의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52a, 52b) 사이의 부분과, 제2 주 로프(15)의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53a, 53b) 사이의 부분은 서로 평행으로 되어 있다.
제1 주 로프(14)의 제1 단부(14a) 및 제2 주 로프(15)의 제3 단부(15a)는 지지 프레임(9)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주 로프(14)는 제1 단부(14a)측으로부터 차례로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52b),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52a), 제1 엘리베이터 칸측 리 턴 풀리(47), 제1 구동 쉬브(43), 전향 풀리(49) 및 제1 균형추측 리턴 풀리(48)에 감겨져 있다.
제2 주 로프(15)는 제3 단부(15a)측으로부터 차례로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53b),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53a), 제2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50), 제2 구동 쉬브(46) 및 제2 균형추측 리턴 풀리(51)에 감겨져 있다.
엘리베이터 칸(4)은 주 로프(14, 15)에 의해 2:1 로핑 방식으로 승강로(1)내에 매달려 있다. 균형추(5)는 주 로프(14, 15)에 의해 1:1 로핑 방식으로 승강로(1)내에 매달려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0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칸(4)측과 균형추(5)측에서 로핑비가 다른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도, 엘리베이터 칸 실(6)에 설치된 요(凹)부(21a, 21b)내에 엘리베이터 칸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a, 20b)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고, 승강로 스페이스를 더욱 축소할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52a, 52b, 53a, 53b)의 일부가 수직 투영면내에서 요부(21d, 21c)내에 배치되어 있고, 주 로프(14, 15)가 요(凹)부(21d, 21c)내를 통과하고 있기 때문에, 이로 인해도 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고, 승강로 스페이스를 더욱 축소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2
다음에,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6은 도 25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내에는 제1 엘리베이터 칸(아래 엘리베이터 칸)(61)과, 제1 엘리베이터 칸(61)의 위쪽으로 승강되는 제2 엘리베이터 칸(위 엘리베이터 칸)(62)이 설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61, 62)은 실시 형태 2 내지 1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엘리베이터 칸 실(6)을 각각 갖고 있다.
제1 엘리베이터 칸(61)의 하부에는 한 쌍의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63a, 63b)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엘리베이터 칸(62)의 하부에는 한 쌍의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64a, 64b)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로(1)내에는 한 쌍의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65a, 65b)과, 한 쌍의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66a, 66b)이 설치되어 있다.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65a, 65b)과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66a, 66b)은 이의 중심선이 수직 투영면내에서 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으로 평행한 직선상에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승강로(1)내에는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65a, 65b)에 안내되어서 승강되는 제1 균형추(67)와,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66a, 66b)에 안내되어서 승강되는 제2 균형추(68)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 균형추(67, 68)는 엘리베이터 칸(4)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때에 배면(6b)에 대향하도록 엘리베이터 칸(4)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1 균형추(67)의 상부에는 제1 균형추 서스펜딩 풀리(69)가 설치되어 있다. 제2 균형추(68)의 상부에는 제2 균형추 서스펜딩 풀리(70)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엘리베이터 칸(61)과 제1 균형추(67)는 제1 주 로프(14)에 의해 2:1 로핑 방식으로 승강로(1)내에 매달려 있다. 제2 엘리베이터 칸(62)과 제2 균형추(68)는 제2 주 로프(15)에 의해 2:1 로핑 방식으로 승강로(1)내에 매달려 있다.
제1 주 로프(14)의 양(兩) 단부 및 제2 주 로프(15)의 양 단부는 지지 프레임(9)에 접속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주 로프(14)는 제1 단부(14a)측으로부터 차례로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63b),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63a), 제1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47), 제1 구동 쉬브(43), 전향 풀리(49), 제1 균형추측 리턴 풀리(48) 및 제1 균형추 서스펜딩 풀리(69)에 감겨져 있다.
제2 주 로프(15)는 제3 단부(15a)측으로부터 차례로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64b),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64a), 제2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50), 제2 구동 쉬브(46), 제2 균형추측 리턴 풀리(51) 및 제2 균형추 서스펜딩 풀리(70)에 감겨져 있다.
제1 엘리베이터 칸(61) 및 제1 균형추(67)는 제1 구동 장치(41)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된다. 제2 엘리베이터 칸(62) 및 제2 균형추(68)는 제2 구동 장치(44)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된다.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63a, 63b, 64a, 64b)는 이의 일부가 수직 투영면내에서 요(凹)부(21d, 21c)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주 로프(14, 15)는 제3 및 제4 요(凹)부(21c, 21d)내를 통과하고 있다. 제1 주 로프(14)의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63a, 63b) 사이의 부분과, 제2 주 로프(15)의 제2 엘리 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64a, 64b)간의 부분은 수직 투영면내에서 서로 평행으로 되어 있다.
제1 주 로프(14)의 제1 구동 쉬브(43)와 제1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47)와의 사이의 부분, 제1 주 로프(14)의 전향 풀리(49)와 제1 균형추측 리턴 풀리(48)와의 사이의 부분, 제2 주 로프(15)의 제2 구동 쉬브(46)와 제2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50)와의 사이의 부분, 및 제2 주 로프(15)의 제2 구동 쉬브(46)와 제2 균형추측 리턴 풀리(51)와의 사이의 부분은 서로 평행, 또 엘리베이터 칸(4)의 깊이 방향에 대하여 평행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1개의 승강로(1)내에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61, 62)이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이른바 원-샤프트 멀티-카(one-shaft multi-car)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도, 엘리베이터 칸 실(6)에 설치된 요(凹)부(21a, 21b)내에 엘리베이터 칸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a, 20b)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고, 승강로 스페이스를 더욱 축소할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63a, 63b, 64a, 64b)의 일부가 수직 투영면내에서 요(凹)부(21d, 21c)내에 배치되어 있고, 주 로프(14, 15)가 요(凹)부(21d, 21c)내를 통과하고 있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서도 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고, 승강로 스페이스를 더욱 축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1:1 로핑 방식 및 2:1 로핑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냈으나, 로핑 방식은 이것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구동 장치가 승강로내에 배치된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냈으나, 구동 장치나 제어반이 기계실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장치에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로 스페이스를 축소할 수 있기 때문에, 구동 장치나 제어반이 엘리베이터 칸과 승강로벽과의 사이에 배치되지 않은 것에 특히 유효하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구동 쉬브의 회전축이 수직 또는 거의 수직으로 되도록 구동 장치를 배치하였으나, 구동 장치의 배치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구동 쉬브의 회전축이 수평으로 되도록 배치해도 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구동 쉬브가 구동 장치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동 장치를 배치하였으나, 반대로 구동 쉬브가 구동 장치 본체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동 장치를 배치해도 된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승강로의 상부에 구동 장치를 배치하였으나, 구동 장치의 위치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승강로내의 하부에 배치해도 된다. 또, 구동 장치가 엘리베이터 칸의 상부 또는 하부에 탑재된 자주식(自走式)의 엘리베이터 장치에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주 로프로서는 예를 들면 원형 단면을 갖는 로프, 또는 벨트(belt) 형상 로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주 로프로서는 예를 들면 강제(steel) 로프, 또는 고마찰 수지재로 이루 어지는 외층 피복체가 외주부에 설치되어 있는 수지 피복 로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수지 피복 로프를 이용함으로써, 적은 권부각(卷付角)으로 큰 트랙션(traction)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수지 피복 로프는 단순한 강제 로프보다 유연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구동 쉬브의 지름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승강로(1)내의 상부에 배치되는 기기(구동 장치, 리턴 풀리, 전향 풀리 등)를 공통의 지지 프레임에 탑재하여 유닛화해도 된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모든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를 요(凹)부내에 배치하였으나, 한 측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만을 요(凹)부내에 배치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강로 스페이스를 더욱 축소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0)

  1. 벽부를 갖고 승강로내를 승강시키는 엘리베이터 칸과, 상기 승강로내에 설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을 안내하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계합하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guide shoe)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수직 투영면내에서, 상기 벽부에는 요(凹)부가 설치되어 있고, 또 상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요(凹)부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가 설치된 전면(前面), 상기 전면에 대향하는 배면, 제1 측면, 및 상기 제1 측면에 대향하는 제2 측면을 갖고 있고,
    상기 요(凹)부는 상기 전면과 상기 제1 측면과의 사이의 코너(隅)부에 설치된 제1 요(凹)부와, 상기 배면과 상기 제2 측면과의 사이의 코너부에 설치된 제2 요(凹)부를 포함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는 상기 제1 요(凹)부에 설치된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와, 상기 제2 요(凹)부에 설치된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는 실질적으로, 수직 투영면에서 상기 전면을 연장한 직선과 상기 제1 측면을 연장한 직선과 상기 제1 요(凹)부의 저면이 둘러싸는 영역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는 실질적으로, 수직 투영면에서 상기 배면을 연장한 직선과 상기 제2 측면을 연장한 직선과 상기 제2 요(凹)부의 저면이 둘러싸는 영역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요(凹)부는 상기 배면과 상기 제1 측면과의 사이의 코너부에 설치된 제3 요(凹)부와, 상기 전면과 상기 제2 측면과의 사이의 코너부에 설치된 제4 요(凹)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매다는 주(main) 로프(rope)가 접속되는 제1 및 제2 로프 접속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로프 접속부는 수직 투영면내에서 상기 제3 및 제4 요(凹)부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내를 승강시키는 균형추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요(凹)부는 상기 배면과 상기 제1 측면과의 사이의 코너부에 설치된 제 3 요(凹)부와, 상기 전면과 상기 제2 측면과의 사이의 코너부에 설치된 제4 요(凹)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균형추는 수직 투영면내에서 상기 제3 및 제4 요(凹)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요(凹)부는 상기 배면과 상기 제1 측면과의 사이의 코너부에 설치된 제3 요(凹)부와, 상기 전면과 상기 제2 측면과의 사이의 코너부에 설치된 제4 요(凹)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하부에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suspending pulley)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매다는 주 로프가 감겨져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는 이의 일부가 수직 투영면내에서 상기 제3 및 제4 요(凹)부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凹)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 방향을 따라서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의 단면의 80% 이상이 상기 요(凹)부내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가 설치된 전면, 상기 전면에 대향하는 배면, 제1 측면 및 상기 제1 측면에 대향하는 제2 측면을 갖고 있고,
    상기 요(凹)부는 상기 제1 측면에 설치된 제1 요(凹)부와, 상기 제2 측면으로 설치된 제2 요(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은 상기 제1 요(凹)부에 마주(臨)하는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2 요(凹)부에 마주하는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제1 측면측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매다는 제1 주 로프가 접속되는 제1 로프 접속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제2 측면측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매다는 제2 주 로프가 접속되는 제2 로프 접속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의 가이드 레일 배면간 피치 (pitch)는 상기 제1 및 제2 주 로프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suspension) 피치 이하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수직 투영면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요(凹)부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凹)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코너부에 설치된 면취부(chamfered portio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은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수직 투영면내에서 상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의 중심선은 서로 평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은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수직 투영면내에서 상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의 중심선은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매다는 주 로프가 접속되는 로프 접속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로프 접속부는 수직 투영면내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와 공통의 상기 요(凹)부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 설치되고, 또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매다는 주 로프가 감겨지는 구동 쉬브(driving sheave)를 갖고, 상기 주 로프를 통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승강시키는 구동 장치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구동 쉬브의 회전축이 수직 또는 거의 수직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 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 도어 장치는 문이 열린 상태일 때에 서로 겹쳐지는 복수 의 엘리베이터 칸의 문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18. 구동 쉬브를 갖는 구동 장치,
    상기 구동 쉬브에 감겨져 있는 제1 및 제2 주 로프,
    상기 제1 주 로프가 접속되는 제1 로프 접속부와, 상기 제2 주 로프가 접속되는 제2 로프 접속부를 갖고, 상기 구동 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로내를 승강시키는 엘리베이터 칸, 및
    상기 승강로내에 설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을 안내하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의 가이드 레일 배면간 피치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및 제2 주 로프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피치 이하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19. 승강로내를 승강시키는 엘리베이터 칸과, 상기 승강로내에 설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계합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대각에 위치하는 코너부에는 서로 대향하는 면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은 상기 면취부에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는 상기 면취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0. 벽부를 갖고 승강로내를 승강시키는 엘리베이터 칸과, 상기 승강로내에 설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을 안내하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계합하여 엘리베이터 칸을 비상 정지시키는 비상 멈춤 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수직 투영면내에서, 상기 벽부에는 요(凹)부가 설치되어 있고, 또 상기 비상 멈춤 장치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요(凹)부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057025183A 2005-12-28 2004-04-28 엘리베이터 장치 KR100752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25183A KR100752860B1 (ko) 2005-12-28 2004-04-28 엘리베이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25183A KR100752860B1 (ko) 2005-12-28 2004-04-28 엘리베이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0608A true KR20060040608A (ko) 2006-05-10
KR100752860B1 KR100752860B1 (ko) 2007-08-29

Family

ID=37147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5183A KR100752860B1 (ko) 2005-12-28 2004-04-28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28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72414A (zh) * 2022-03-31 2022-07-22 广西壮族自治区特种设备检验研究院 一种特种电梯零部件的设备模具及加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0660B2 (ja) * 1987-09-08 1995-08-30 株式会社東芝 低層階用小形エレベータ
JPH10139327A (ja) 1996-11-08 1998-05-26 Riko Kogyo Kk エレベーター
JP4255523B2 (ja) 1997-10-06 2009-04-1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
JPH11335039A (ja) 1998-05-26 1999-12-07 Misawa Homes Co Ltd 昇降機
EP1319627B1 (en) * 2000-09-12 2009-12-0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72414A (zh) * 2022-03-31 2022-07-22 广西壮族自治区特种设备检验研究院 一种特种电梯零部件的设备模具及加工方法
CN114772414B (zh) * 2022-03-31 2023-03-24 广西壮族自治区特种设备检验研究院 一种特种电梯零部件的设备模具及加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2860B1 (ko) 200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91331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US7117977B2 (en) Elevator apparatus including car with suspending pulley devices on opposite sides of the car
US7097000B2 (en) Elevator apparatus
JPH11106159A (ja) エレベーター
EP2019072A1 (en) Elevator device
JP2010208822A (ja) エレベータの乗りかご
KR100415749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4339578B2 (ja) エレベータ装置
EP1741660A1 (en) Elevator apparatus
EP1512652B1 (en) Elevator
KR20060111682A (ko)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US7331424B2 (en) Elevator apparatus
KR10075286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4262805B2 (ja) エレベータ装置
EP1053969B1 (en) Elevator
JP2011051736A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804886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804887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470427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840054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05075575A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524363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48095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WO2020100306A1 (ja) エレベーター
KR200288350Y1 (ko) 엘리베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