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4500A - 파레트 위치 고정용 레스팅 블록 조정 장치 - Google Patents

파레트 위치 고정용 레스팅 블록 조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4500A
KR20060054500A KR1020040093558A KR20040093558A KR20060054500A KR 20060054500 A KR20060054500 A KR 20060054500A KR 1020040093558 A KR1020040093558 A KR 1020040093558A KR 20040093558 A KR20040093558 A KR 20040093558A KR 20060054500 A KR20060054500 A KR 20060054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block
resting
resting block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3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3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54500A/ko
Publication of KR20060054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45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레트 위치 고정용 레스팅 블록 조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게차(2)로 자동차 부품이 적재된 파레트(1)를 들어 레스팅블록부재(40)의 상부로 내리면 파레트(1)의 각 단부가 상기 안착가이더(70)를 밀어 레스팅블록부재(40)가 수평이동가이드부재(50)를 따라 수평이동하면서 피니언기어부재(20)를 중심으로 파레트(1)의 크기에 맞게 벌어지고, 벌어지면서 파레트(1)는 안착가이더(70)를 따라 이동하여 플러그캡(1a)이 자동으로 결합돌기(41)에 결합되는 것이다.
즉, 어떠한 크기의 파레트(1)라도 안착가이더(70)의 경사부(71) 내의 크기 범위안에만 있으며 크기에 맞게 레스팅블록부재(40)가 벌어지면서 파레트(1)의 플러그캡(1a)이 결합되어 파레트(1)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어 생산 운영을 유연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부품을 이송하는 파레트(1) 종류를 변경할 경우 별도의 설치비용이 필요 없어 시설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항구적으로 발생하며, 파레트(1)의 사양 수 만큼 별도의 레스팅블록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하나의 레스팅블록장치로 다양한 부품에 따른 다양한 규격의 파레트(1)를 투입할 수 있어 작업실의 공간확보 및 공정수를 축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 지게차(2) 작업 시 파레트(1)의 플러그캡(1a)을 레스팅블록에 정확히 안착시킬 필요가 없어 안착가이더(70)에 적당히 놓기만 해도 자동으로 레스팅블록이 벌어지면서 안착되므로, 작업성이 향상되고 파레트(1) 투입을 위한 작업시간이 절 감되는 것이다.
그리고 전기나 고압유체 등 별도의 에너지원이 없이 작동이 가능하여 설비가 간단하고 오작동과 고장이 발생될 가능성이 매우 낮은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의 편의성과 작업효율, 경제성뿐만 아니라 작업실의 공간효율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파레트 위치 고정용 레스팅 블록 조정 장치{Regulation Device of Resting Block for fixed Pallet}
도 1 은 종래의 파레트 위치 고정용 레스팅 블록 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2 는 본 발명인 파레트 위치 고정용 레스팅 블록 조정 장치의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측면도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파레트 2 - 지게차
10 - 파레트 안착판부재 20 - 피니언기어부재
30 - 리턴스프링부재 40 - 레스팅블록부재
41 - 결합돌기 42 - 제 1 레스팅블록
43 - 제 2 레스팅블록 44 - 제 3 레스팅블록
45 - 제 4 레스팅블록 50 - 수평이동가이드부재
60 - 렉기어부재 70 - 안착가이더
71 - 경사부
본 발명은 파레트 위치 고정용 레스팅 블록 조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부품을 이송하는 파레트의 위치를 고정하는 레스팅 블록의 위치를 조정하여 다양한 파레트를 하나의 레스팅 블록 장치로 고정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바디는 여러 장의 패널을 프레스 작업을 통하여 그 형상을 만들어 조립하게 되는데, 이러한 자동차의 바디를 이루는 차체 패널 또는 그 부품들은 각 부분 별로 라인에서 한번에 대량 생산을 통하여 그 수량을 확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차체패널 또는 부품들은 대량 생산되어 다음 조립 공정까지 일시적으로 이송용 파레트를 사용하여 적재 보관 또는 이송한다.
이러한 이송용 파레트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파레트(1)의 각 모서리에 각각 지지바(1b)가 돌출되고, 이 지지바(1b)의 사이에 분리 칸막이(1c)가 구비되어 있으며, 파레트(1) 하부면에 이송에 필요한 바퀴(1d)와 위치 고정을 위해 레스팅 블록 장치에 결합되는 플러그캡(1a)이 장착된다.
이러한 이송용 파레트는 부품을 적재한 상태로 각 작업공정에 부품과 함께 투입되어 로봇장치 등에 의해 부품을 공정 내에 투입되도록 하는데, 이 경우 이송용 파레트는 각 작업공정에서 로봇장치가 부품을 정확하게 취출할 수 있도록 레스 팅 블록 장치(3)에 의해 정확한 위치에서 그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고 있다.
이 레스팅 블록 장치(3)는 작업실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파레트 안착판부재(10)와, 파레트 안착판부재(10)의 모서리부분에 상기 플러그캡(1a)에 대응되는 위치와 형상으로 돌출되는 레스팅블록(10a)을 구비하고 있다.
즉, 지게차(2)가 이송용 파레트(1)를 들어 플러그캡이 상기 레스팅블록(10a)의 위치에 일치되도록 그 위치를 맞춘 후 하강시켜 안착시키면 플러그캡(1a)이 레스팅블록(10a)에 끼워 결합되면서 이송용 파레트(1)의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레스팅블록장치는 레스팅블록이 파레트안착판부재에 안착되는 이송용 파레트의 플러그캡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로 고정된 상태로 구비되어 파레트의 크기나 사양 수만큼 별도로 작업실에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지게차로 이송용 파레트를 들어 플러그캡을 레스팅블록에 결합할 경우 그 위치를 정확히 안착시켜야 하므로 숙련된 운전자가 아니면 그 작업이 어려워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시설비가 증대되고,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송용 파레트의 플러그캡이 결합되는 레스팅블록이 이송용 파레트의 크기에 맞게 벌려져 다양한 크기의 이송용 파레트를 안착시켜 그 위치를 고정할 수 있으며, 플러그캡의 위치를 정확히 레스팅블록에 일치시키지 않아도 자동으로 레스팅블록이 벌어지면서 플러캡이 결합되어 작업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파레트 위치 고정용 레스팅 블록 조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착되는 파레트(1)보다 큰 형상으로 형성되며, 작업실의 바닥면 상에 파레트(1) 작업위치에 고정되는 파레트 안착판부재(10)와;
상기 파레트 안착판부재(10)의 중앙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외주면에 다 수의 치가 형성된 피니언기어부재(20)와;
상기 피니언기어부재(20)에 장착되어 이 피니언기어부재(20)에 탄성복원력을 부여하여 작동 후 원위치로 회동시키는 리턴스프링부재(30)와;
상기 파레트 안착판부재(10)의 상부면에 이동가능하게 안착되고, 상부면에 파레트(1)의 플러그캡(1a)에 결합되는 결합돌기(41)가 구비되며, 플러그캡(1a)의 갯수와 동일한 갯수로 구비되는 레스팅블록부재(40)와;
양단에 각각 상기 레스팅블록부재(40)가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 레스팅블록부재(40)를 각각 연결하여, 레스팅블록부재(40)의 수평이동을 안내하는 수평이동가이드부재(50)와;
상기 레스팅블록부재(40)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피니어기어부재에 맞물려 피니언기어부재(20)의 회전에 의해 직선 이동하는 렉기어부재(60)와;
상기 레스팅블록부재(40)의 상부면에 돌출되며,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부 (71)가 구비되어 레스팅블록부재(40)로 파레트(1)의 플러그캡(1a)을 안내하는 안착가이더(70)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즉, 지게차(2)로 자동차 부품이 적재된 파레트(1)를 들어 레스팅블록부재(40)의 상부로 내리면 파레트(1)의 각 단부가 상기 안착가이더(70)를 밀어 레스팅블록부재(40)가 수평이동가이드부재(50)를 따라 수평이동하면서 피니언기어부재(20)를 중심으로 파레트(1)의 크기에 맞게 벌어지고, 벌어지면서 파레트(1)는 안착가이더(70)를 따라 이동하여 플러그캡(1a)이 자동으로 결합돌기(41)에 결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발명인 파레트 위치 고정용 레스팅 블록 조정 장치의 평면도로서, 레스팅블록부재가 피니언기어부재를 중심으로 벌어지도록 수평이동가이드부재를 따라 수평이동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측면도로서, 파레트가 레스팅블록부재의 상부로 올려질 경우 안착가이더를 밀어 레스팅블록부재가 벌어지게 되고, 안착가이더가 벌어지면서 경사부를 따라 플러그캡이 결합돌기에 일치되는 위치로 파레트가 안내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2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파레트 위치 고정용 레스팅 블록 조정 장치의 파레트 안착판부재(10)는 상, 하부면이 평면이 사각판으로 형성되며, 그 크기는 안착되는 파레트(1)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작업실의 바닥면에 파레트(1)의 작업위치로 고정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파레트 안착판부재(10)의 중앙에는 외주면에 치가 일정간격으로 다 수개 돌출된 피니언기어부재(2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피니언기어부재(20)의 회전축에는 피니언기어부재(20)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회동시키는 리턴스프링부재(30)가 장착되며, 이 리턴스프링부재(30)는 태엽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상기 파레트 안착판부재(10)의 상부에는 파레트(1)의 플러그캡(1a)과 동일한 갯수의 레스팅블록부재(40)가 이동 가능하게 안착되며, 이 레스팅블록부재(40)의 상부에는 상기 플러그캡(1a)에 결합되는 결합돌기(4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레스팅블록부재(40)는 통상 파레트(1)의 플러그캡(1a)이 파레트(1)의 각 모서리부분에 설치되어 구비되기 때문에 파레트 안착판부재(10)의 각 모서리부분 근처에 각각 놓여지는 제 1, 2, 3, 4 레스팅블록(42, 43, 44, 45)으로 구성되며, 이 제 1, 2, 3, 4 레스팅블록(42, 43, 44, 45)에는 직각으로 절곡되어 양 단부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홈(46a)이 형성되어 이 슬라이딩이동홈(46a)으로 수평이동가이드부재(50)가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블록(46)이 구비된다.
또, 상기 레스팅블록부재(40)의 하부에는 볼캐스터(47)가 장착되어 파레트 안착판부재(10)의 상부를 이동할 경우 발생되는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원활하게 이동하여 벌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각각의 레스팅블록부재(40)에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 레스팅블록부재(40)의 수평 이동을 가이드하는 수평이동가이드부재(50)는 양단이 각각 상기 제 1 레스팅블록(42)와 제 2 레스팅블록(43)에 구비된 가이드블록(46)의 슬라이딩이동홈(46a)에 슬라이딩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이 제 1, 2 레스팅블록(42, 43)의 수평이동을 안내하는 제 1 수평이동가이드바(51)와;
양단이 각각 상게 제 2 레스팅블록(43)와 제 3 레스팅블록(44)에 구비된 가이드블록(46)의 슬라이딩이동홈(46a)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이 제 2, 3 레스팅블록(43, 44)의 수평이동을 안내하는 제 2 수평이동가이드바(52)와;
양단이 각각 상게 제 3 레스팅블록(44)와 제 4 레스팅블록(45)에 구비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이 제 3, 4 레스팅블록(44, 45)의 수평이동을 안내하는 제 3 수평이동가이드바(53)와;
양단이 각각 상게 제 4 레스팅블록(45)와 제 1 레스팅블록(42)에 구비된 가이드블록(46)의 슬라이딩이동홈(46a)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이 제 4, 1 레스팅블록(45, 42)의 수평이동을 안내하는 제 4 수평이동가이드바(64)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레스팅블록부재(40)에는 각각 상기 피니언기어부재(20)에 맞물려 이 피니언기어부재(20)의 회전에 의해 직선 이동하는 렉기어부재(6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또, 상기 레스팅블록부재(40)의 상부에는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부(71)가 구비된 안착가이더(70)가 돌출된다.
즉, 지게차(2)로 자동차 부품이 적재된 파레트(1)를 들어 상기 제 1, 2, 3, 4 레스팅블록(42, 43, 44,45)의 상부로 내리면 파레트(1)의 각 단부가 상기 안착가이더(70)를 밀어 제 1, 2, 3, 4 레스팅블록(42, 43, 44, 45) 중 어느 하나를 밀어 이동시키게 된다.
이 제 1, 2, 3, 4 레스팅블록(42, 43, 44, 45) 중 어느 하나가 밀려 이동하면 렉기어부재(60)에 의해 피니언기어부재(20)가 회동하게 되고, 이 피니언기어부재(20)가 회동하면서 나머지 렉기어부재(60)를 직선 이동시켜 파레트(1)가 중앙에 위치하도록 나머지 레스팅블록을 균일하게 밀어 상기 제 1, 2, 3, 4 수평이동가이드바(51, 52, 53, 54)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그리고 파레트(1)가 안착가이더(70)에 의해 안내되어 플러그캡(1a)이 결합돌기(41)에 결합되어 안착되면 안착가이더(70)는 확장을 멈추게 되고, 파레트(1)의 위치를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파레트(1)의 위치가 고정된 것을 지게차(2) 작업자가 확인한 후 투입완료 버튼을 누르면 투입완료신호가 부품취출 로보트로 전달되어 로보트가 부품 취출 작업을 시작하는 것이다.
로보트가 파레트(1)에 적재된 모든 부품을 취출하면 지게차(2)로 빈 파레트(1)를 들어올려 제 1, 2, 3, 4 레스팅블록(42, 43, 44, 45)에 가해진 하중을 제거하면 리턴스프링부재(30)가 피니언기어부재(2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이 피니언기어부재(2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각각 렉기어부재(60)를 원위치로 직선 이동시켜 벌어졌던 제 1, 2, 3, 4 레스팅블록(42, 43, 44, 45)이 다시 피니언기어부재(20)를 중심으로 균일하게 모아지도록 이동되어 재 작업 시 레스팅블록이 파레트(1)의 크기에 맞게 벌어져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어떠한 크기의 파레트라도 안착가이더의 경사부 내의 크기 범위 안에만 있으며 크기에 맞게 레스팅블록부재가 벌어지면서 파레트의 플러그캡이 결합되어 파레트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어 생산 운영을 유연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부품을 이송하는 파레트 종류를 변경할 경우 별도의 설치비용이 필요 없어 시설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항구적으로 발생하며, 파레트의 사양 수만큼 별도의 레스팅블록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하나의 레스팅블록장치로 다양한 부품에 따른 다양한 규격의 파레트를 투입할 수 있어 작업실의 공간확보 및 공정수를 축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 지게차 작업 시 파레트의 플러그캡을 레스팅블록에 정확히 안착시킬 필요가 없어 안착가이더에 적당히 놓기만 해도 자동으로 레스팅블록이 벌어지면서 안착되므로, 작업성이 향상되고 파레트 투입을 위한 작업시간이 절감되는 것이다.
그리고 전기나 고압유체 등 별도의 에너지원이 없이 작동이 가능하여 설비가 간단하고 오작동과 고장이 발생될 가능성이 매우 낮은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의 편의성과 작업효율, 경제성뿐만 아니라 작업실의 공간효율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안착되는 파레트(1)보다 큰 형상으로 형성되며, 작업실의 바닥면 상에 파레트(1) 작업위치에 고정되는 파레트 안착판부재(10)와;
    상기 파레트 안착판부재(10)의 중앙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외주면에 다 수의 치가 형성된 피니언기어부재(20)와;
    상기 피니언기어부재(20)에 장착되어 이 피니언기어부재(20)에 탄성복원력을 부여하여 작동 후 원위치로 회동시키는 리턴스프링부재(30)와;
    상기 파레트 안착판부재(10)의 상부면에 이동가능하게 안착되고, 상부면에 파레트(1)의 플러그캡(1a)에 결합되는 결합돌기(41)가 구비되며, 플러그캡(1a)의 갯수와 동일한 갯수로 구비되는 레스팅블록부재(40)와;
    양단에 각각 상기 레스팅블록부재(40)가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 레스팅블록부재(40)를 각각 연결하여, 레스팅블록부재(40)의 수평이동을 안내하는 수평이동가이드부재(50)와;
    상기 레스팅블록부재(40)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피니어기어부재에 맞물려 피니언기어부재(20)의 회전에 의해 직선 이동하는 렉기어부재(60)와;
    상기 레스팅블록부재(40)의 상부면에 돌출되며,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부(71)가 구비되어 레스팅블록부재(40)로 파레트(1)의 플러그캡(1a)을 안내하는 안착가이더(7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레트 위치 고정용 레스팅 블록 조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스팅블록부재(40)는 파레트 안착판부재(10)의 각 모서리부분 근처에 각각 놓여지는 제 1, 2, 3, 4 레스팅블록(42, 43, 44, 45)으로 구성되며, 이 제 1, 2, 3, 4 레스팅블록(42, 43, 44, 45)에는 직각으로 절곡되어 양 단부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홈(46a)이 형성되어 이 슬라이딩이동홈(46a)으로 수평이동가이드부재(50)가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블록(46)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레트 위치 고정용 레스팅 블록 조정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레스팅블록부재(40)의 하부에는 볼캐스터(47)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레트 위치 고정용 레스팅 블록 조정 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동가이드부재(50)는 양단이 각각 상기 제 1 레스팅블록(42)와 제 2 레스팅블록(43)에 구비된 가이드블록(46)의 슬라이딩이동홈(46a)에 슬라이딩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이 제 1, 2 레스팅블록(42, 43)의 수평이동을 안내하는 제 1 수평이동가이드바(51)와;
    양단이 각각 상게 제 2 레스팅블록(43)와 제 3 레스팅블록(44)에 구비된 가이드블록(46)의 슬라이딩이동홈(46a)에 슬라이딩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이 제 2, 3 레스팅블록(43, 44)의 수평이동을 안내하는 제 2 수평이동가이드바(52)와;
    양단이 각각 상게 제 3 레스팅블록(44)와 제 4 레스팅블록(45)에 구비된 슬라이딩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이 제 3, 4 레스팅블록(44, 45)의 수평이동을 안내하는 제 3 수평이동가이드바(53)와;
    양단이 각각 상게 제 4 레스팅블록(45)와 제 1 레스팅블록(42)에 구비된 가이드블록(46)의 슬라이딩이동홈(46a)에 슬라이딩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이 제 4, 1 레스팅블록(45, 42)의 수평이동을 안내하는 제 4 수평이동가이드바(6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트 위치 고정용 레스팅 블록 조정 장치.
KR1020040093558A 2004-11-16 2004-11-16 파레트 위치 고정용 레스팅 블록 조정 장치 KR200600545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3558A KR20060054500A (ko) 2004-11-16 2004-11-16 파레트 위치 고정용 레스팅 블록 조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3558A KR20060054500A (ko) 2004-11-16 2004-11-16 파레트 위치 고정용 레스팅 블록 조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4500A true KR20060054500A (ko) 2006-05-22

Family

ID=37150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3558A KR20060054500A (ko) 2004-11-16 2004-11-16 파레트 위치 고정용 레스팅 블록 조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5450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517B1 (ko) * 2006-09-08 2007-12-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파레트 랙 장치
KR100865743B1 (ko) * 2008-04-03 2008-10-29 (주)신라하이텍 팔레트 랙 거치대
CN111388245A (zh) * 2020-03-23 2020-07-10 吉林大学 一种对宽度不同的托盘固定的护理用托盘固定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517B1 (ko) * 2006-09-08 2007-12-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파레트 랙 장치
KR100865743B1 (ko) * 2008-04-03 2008-10-29 (주)신라하이텍 팔레트 랙 거치대
CN111388245A (zh) * 2020-03-23 2020-07-10 吉林大学 一种对宽度不同的托盘固定的护理用托盘固定装置
CN111388245B (zh) * 2020-03-23 2021-01-15 吉林大学 一种对宽度不同的托盘固定的护理用托盘固定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9758B2 (en) Workpiece turning-over device
US6470762B1 (en) Sliding gear drive
KR20060054500A (ko) 파레트 위치 고정용 레스팅 블록 조정 장치
DK201970193A1 (en) eStacker for pallets
JPS61249243A (ja) 自動パレツト交換装置
CN109877747B (zh) 锁螺丝固定装置
CN114571393A (zh) 一种阀门组装用的机械夹持装置及工艺
JPH07257578A (ja) パレット構造
CN111792578A (zh) 用于物料搬运车辆的托盘检测系统和方法
EP3670016B1 (en) Release device for an industrial machine for the bending of metal elements
US20130048927A1 (en) System and method for lifting and lowering objects
KR102030523B1 (ko) 직선로봇의 lm레일 조립용 지그
CN219363016U (zh) 吊具移送装置及手套箱
FI118039B (fi) Menetelmä modulaarisen kokoonpanolinjan säätämiseksi ja modulaarisen kokoonpanolaitteen paikoitusyksikkö
JP2020199989A (ja) 積載トレーラー及び積載トレーラーユニット
KR20210000419A (ko) 알루미늄 조립 팔레트
KR20240012094A (ko) 자율 모바일 로봇용 리프트
EP3094578B1 (en) Automatic stacking column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elements
KR101905534B1 (ko) 다양한 크기의 이송 팔레트에 적용 가능한 팔레트 렉 장치
CN217890094U (zh) 一种压铆治具
JP3033382B2 (ja) 自動倉庫
JPH0224722B2 (ko)
KR100946927B1 (ko) 대차 업/다운장치
KR100405712B1 (ko) 파레트 위치결정용 파레트 다이
TWM525916U (zh) 倉儲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