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3712A - 차량의 후륜 토우각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후륜 토우각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3712A
KR20060053712A KR1020040094143A KR20040094143A KR20060053712A KR 20060053712 A KR20060053712 A KR 20060053712A KR 1020040094143 A KR1020040094143 A KR 1020040094143A KR 20040094143 A KR20040094143 A KR 20040094143A KR 20060053712 A KR20060053712 A KR 20060053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wheel
vehicle
toe angle
knuckle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4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0320B1 (ko
Inventor
계경태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4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0320B1/ko
Publication of KR20060053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3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0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0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6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responsiveness, when the vehicle is travelling, to specific motion, a specific condition, or driver input
    • B60G17/0162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responsiveness, when the vehicle is travelling, to specific motion, a specific condition, or driver input mainly during a motion involving steering operation, e.g. cornering, overt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8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signal treatment or control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7/00Means on vehicles for adjusting camber, castor, or to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후륜 토우각 제어장치는 차량의 차체와; 차축과 연결되어 회전되는 후륜과; 상기 차체와 상기 차축 사이에 설치되어 완충작용을 하는 현가장치와; 상기 후륜에 설치되는 너클과; 상기 너클과 상기 차체 사이에 설치되되,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후륜의 토우각을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차량의 후륜에서 가해지는 횡방향의 힘을 적게 받는 구조로 설치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후륜 토우각 제어장치{Apparatus for controling toe-angle of rear wheel in automobile}
도 1은 종래기술의 AGCS 시스템이 장착된 후륜 현가장치의 구성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륜 토우각 제어장치가 도시된 차량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륜이 도시된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륜 토우각 제어장치의 작동예가 도시된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12 : 후륜 14 : 너클
15, 16 : 전륜 17 : 리어크로스멤버
18 : 컨트롤암 20 : 후륜 토우각 제어장치
22 : 액추에이터 24, 25 : 피스톤로드
26, 27 : 부싱 30, 32 : 핀 조인트
본 발명은 차량의 후륜 토우각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어 후륜의 토우각을 적은 힘으로도 조절할 수 있는 차량의 후륜 토우각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있어서의 현가장치(Suspension)는, 차체와 휠 사이에 존재하며, 이 두 강체를 하나 혹은 다수의 링크를 이용하여 연결하여 주는 장치로서, 트레일링 암과 너클, 컨트롤 암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현가장치는 첫째, 차량의 주행중에 발생되는 노면의 불규칙한 입력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탑승자의 안락한 승차감을 제공하고, 둘째, 운전자의 운전 행위 및 노면의 굴곡에 의해 발생된 차체의 흔들림을 적절히 제어하여 운전편의성을 제공하여야 하며, 셋째, 불규칙한 노면의 주행시 타이어 접지면에서의 수직 하중을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하여 선회, 제동 구동시 차량의 안정성을 확보하여야 하다는 기본 조건을 만족시켜야만 한다.
한편, 최근에는 차량 선회 시 토우 아웃(Toe Out) 경향이 나타나 핸들링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리어 컨트롤아암의 길이를 신축시켜 후륜을 토우 인(Toe In)으로 유도하는 후륜 토우각 제어장치(AGCS System ; Active Geometry Controlled System)가 개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AGCS 시스템이 장착된 후륜 현가장치의 구성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후륜 토우각 제어장치는 후륜(1)과, 상기 후륜(1)에 장착되는 너클(2)과, 상기 너클(2)에 장착되되 차량의 횡방향으로 장착되어 차체의 리어 크로스 멤버(미도시)에 연결되는 제 1, 2 컨트롤암(4)(6)과, 상기 너클(2)에 장착되되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차체에 연결되는 트레일링 암(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도시된 스프링(3)과 쇽업소버(5)는 일체로 조립되어 상기 너클(2)과 차체 사이에서 자체의 상하진동을 감쇠시킨다.
특히, 차량의 뒤쪽에 설치된 상기 제 2 컨트롤 암(6)은 유압 액츄에이터(7)에 의해 길이가 신축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런데 종래의 후륜 토우각 제어장치는 차량의 후륜(1)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설치되되, 상기 후륜(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차량의 선회 시 상기 후륜(1)에 작용되는 횡방향 힘 전체를 제어해야 하고, 이에 따라 상기 후륜(1)의 토우각을 제어하는 상기 액츄에이터(7)에는 큰 부하가 걸리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후륜 토우각 제어장치를 설치하여 차량의 선회 시 적은 힘으로서 후륜의 토우각을 제어할 수 있는 차량의 후륜 토우각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륜 토우각 제어장치는 차량의 차체와; 차축과 연결되어 회전되는 후륜과; 상기 차체와 상기 차축 사이에 설치되어 완충작용을 하는 현가장치와; 상기 후륜에 설치되는 너클과; 상기 너클과 상기 차체 사이에 설치되되,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후륜의 토우각을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륜 토우각 제어장치가 도시된 차량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륜이 도시된 배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륜 토우각 제어장치의 작동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륜(10)은 리어크로스멤버(17)에 현가 지지되고, 상기 후륜(10)을 지지하며 연결되는 너클(14)은 차량의 횡방향으로는 컨트롤암(18)에 의해 지지되며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후륜 토우각 제어장치(20)에 의해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후륜 토우각 제어장치(20)는 차량의 전자제어유닛(미도시)에 의해 제어되는 액추에이터(22)와, 상기 액추에이터(22)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피스톤로드(24)(25)와, 상기 차량의 조향각, 횡가속도 및 차속을 감지하는 센서(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피스톤로드(24)는 상기 너클(14)에 핀 조인트(30)에 의해 힌지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로드(25)는 차량의 차체(미도시)에 핀 조인트(32)에 의해 힌지 결합된다. 그래서 상기 피스톤로드(24)(25)의 끝단에는 상기 핀 조인트(30)(32)가 관통되기 위한 홀(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핀 조인트(30)(32)는 상기 홀을 관통하여 상기 너클(14) 또는 상기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홀에 삽입된 상기 핀 조인트(30)(32)와 상기 피스톤로드(24)(25) 사이에는 부싱(26)(27)이 개재되어 상기 힌지 결합 부분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한다.
한편, 상기 액추에이터(22)는 상기 각 피스톤로드(24)(25)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액추에이터(22)와 상기 너클(14)과의 거리 또는 상기 액추에이터(22)와 상기 차체와 거리를 조절하고, 상기 각 피스톤로드(24)(25)의 길이 조정을 통해 상기 피스톤로드(24)와 연결된 후륜(10)의 토우각을 조정한다.
여기서 상기 액추에이터(22)는 전동식 액추에이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전자제어유닛에 의해 컨트롤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피스톤로드(24)(25)를 2개 사용하여 구성되었으나, 이와 달리 상기 액추에이터를 차체에 힌지 결합되게 장착하고 하나의 피스톤로드를 너클에 힌지 연결하는 구조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작동과정을 도 4를 중심으로 보다 상세히 설 명한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우회전 시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전륜(15)(16)은 스티어링휠(미도시)의 조향 각에 따라 조향되고, 도시된 후륜(10)(12)은 전륜(15)(16)의 방향을 따라 굴러가게 된다.
이때, 차량의 좌측 후륜(12)은 우측 선회 시 토우각(α)이 외측으로 형성되고, 우측 후륜(10)은 직진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차량의 핸들링에 따른 조작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좌측 후륜(12)이 토우 인으로 형성되고 우측 후륜(10)은 토우 아웃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차량의 전자제어유닛은 차량의 선회 각, 가속도 및 차량의 속도 등을 고려하여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후륜(12)을 토우 인(β으로 형성시키고, 우측 후륜(10)을 토우 아웃(δ)으로 형성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차량의 좌측 후륜(12)을 토우 인(β)으로 형성시키기 위해 상기 전자제어유닛은 상기 액추에이터(22)를 제어하여 상기 피스톤로드(24)(25)의 길이를 줄이고, 이에 따라 상기 좌측 후륜(12)은 선단이 차량의 내측으로 이동되어 토우 인(β)이 형성된다.
더불어 차량의 선회 시 조작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차량의 우측 후륜(10)도 상기 좌측 후륜(12)과 연동되어 토우 각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 한 바, 우측 후륜(10)은 상기 피스톤로드(24)(25)의 길이를 늘려서 우측 후륜(10)의 선단이 차량의 외측으로 이동되는 토우 아웃(δ)으로 형성시킨다.
이와 같이 차량의 후륜(10)(12)의 토우각을 차량의 선회 방향에 따라 조정 할 경우 차량의 조작감이 향상되어 운전자는 보다 용이하게 운전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의 후륜 토우각 제어장치(20)는 차량의 횡방향으로 설치되지 않고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는 바, 상기 피스톤로드(24)(25)의 힌지 결합부분인 핀 조인트(30)(32)를 중심으로 상기 피스톤로드(24)(25)가 회전되어 보다 적은 힘으로 상기 피스톤로드(24)(25)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후륜 토우각 제어장치는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설치되어 차량의 후륜에 힌지 결합되기 때문에, 차량의 후륜에서 가해지는 횡방향의 힘을 적게 받는 구조로 설치되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후륜 토우각 제어장치는 후륜에 힌지 연결된 피스톤로드를 적은 힘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액추에이터를 작은 용량의 것으로 사용하여 되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후륜 토우각 제어장치는 작은 동력을 사용하여 후륜의 토우각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차량의 선회 시 차량의 조작감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Claims (3)

  1. 차량의 차체와;
    차축과 연결되어 회전되는 후륜과;
    상기 차체와 상기 차축 사이에 설치되어 완충작용을 하는 현가장치와;
    상기 후륜에 설치되는 너클과;
    상기 너클과 상기 차체 사이에 설치되되,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후륜의 토우각을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륜 토우각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차체와 상기 너클에 각각 힌지 연결되는 피스톤로드와;
    상기 피스톤로드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피스톤로드의 길이를 조절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륜 토우각 제어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로드의 각 힌지 연결은 핀 조인트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핀과 상기 너클 또는 상기 차체 사이에는 전후방향의 충격을 완충시키는 완충부재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륜 토우각 제어장치.
KR1020040094143A 2004-11-17 2004-11-17 차량의 후륜 토우각 제어장치 KR100650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4143A KR100650320B1 (ko) 2004-11-17 2004-11-17 차량의 후륜 토우각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4143A KR100650320B1 (ko) 2004-11-17 2004-11-17 차량의 후륜 토우각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3712A true KR20060053712A (ko) 2006-05-22
KR100650320B1 KR100650320B1 (ko) 2006-11-27

Family

ID=37150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4143A KR100650320B1 (ko) 2004-11-17 2004-11-17 차량의 후륜 토우각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03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653B1 (ko) * 2006-06-26 2008-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텐션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90765B2 (ja) * 2000-12-21 2004-11-17 Smc株式会社 電磁弁
KR101316837B1 (ko) 2007-05-23 2013-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바이와이용 조향장치
KR101405568B1 (ko) 2008-04-29 2014-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좌·우 독립형 스티어 바이 와이어 장치
JP6087696B2 (ja) * 2013-03-28 2017-03-01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サスペンショ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966U (ja) 1982-06-24 1984-01-06 日本電気株式会社 リ−ド棒誤接続防止テスタ−
JPS59199311A (ja) * 1983-04-25 1984-11-12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リヤサスペンシヨン
JPS6092979A (ja) 1983-10-27 1985-05-24 Nissan Motor Co Ltd 後輪操舵装置
JPH03227707A (ja) * 1990-01-31 1991-10-08 Mazda Motor Corp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970074049A (ko) * 1996-05-08 1997-12-10 박병재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653B1 (ko) * 2006-06-26 2008-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텐션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0320B1 (ko) 2006-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8800B1 (ko) 자동차의 액티브 롤 제어장치
KR20110103957A (ko) 차량용 세미 트레일링 암식 차축
KR100667431B1 (ko) 자동차의 리어서스펜션용 래터럴링크
JP2518349B2 (ja) 車輌用リヤサスペンション
KR100650320B1 (ko) 차량의 후륜 토우각 제어장치
KR20010057514A (ko) 차량용 토션 빔 타입 현가장치의 토션 빔 마운팅 구조
KR100947386B1 (ko) 차량용 가변 롤 제어 장치
KR100507096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20130033208A (ko) 삼륜차량의 후륜서스펜션 장치
KR20110058462A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101448796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JP3209467B2 (ja) 自動車用後輪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6166084B2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20110055291A (ko) 자동차의 스트러트형 멀티링크 현가장치
KR100957161B1 (ko) 차량용 세미 트레일링 아암형 현가장치
KR100986080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JPH02283509A (ja) マクファーソンストラット型サスペンション
KR100916794B1 (ko) 능동제어 서스펜션 시스템
KR20080109965A (ko) 멀티 링크타입 후륜 현가장치
KR101714166B1 (ko) 자동차 후륜용 휠 캐리어 구조
KR100316891B1 (ko) 차량용 세미 트레일링 아암형 현가장치
JP6087696B2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20120029919A (ko) 능동제어 서스펜션 시스템
KR101592360B1 (ko) 능동제어 서스펜션 시스템
KR100993367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