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3277A - 액체로부터 불순물을 분리하는 장치 및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액체로부터 불순물을 분리하는 장치 및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3277A
KR20060053277A KR1020050096807A KR20050096807A KR20060053277A KR 20060053277 A KR20060053277 A KR 20060053277A KR 1020050096807 A KR1020050096807 A KR 1020050096807A KR 20050096807 A KR20050096807 A KR 20050096807A KR 20060053277 A KR20060053277 A KR 20060053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ing
unit
shaped
washing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6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누트 드로훌라
카스턴 벤케
프랑크 피셔
Original Assignee
비 플러스 브이 인더스트리테크닉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 플러스 브이 인더스트리테크닉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비 플러스 브이 인더스트리테크닉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60053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32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0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 B01D29/05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supported
    • B01D29/055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supported ring 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208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17/0211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with baff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8Thickening liquid suspensions by filtration
    • B01D17/10Thickening liquid suspensions by filtration with stationary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28Leaching or washing filter cakes in the filter handling the filter cake for purposes other than regene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18Filter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s or pores
    • B01D2201/188Multiple filtering elements having filtering areas of different siz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불순물 또는 액체 혼합물로부터 불순물을 분리하는 분리기에서 사용되는 액체로부터 불순물을 분리하는 분리장치가 둘이상의 적층된 플레이트와 둘이상의 적층된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로드형상의 캐리어가 포함된 플레이트형상을 가진다.
불순물 또는 액체 혼합물로부터 불순물을 분리하는 분리기에 형성된 플레이트형상의 분리요소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장치가 상기 세척장치가 물통형상의 수용유닛, 세척유닛 및 리드형상의 트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세부분으로 형성된다.
불순물 분리장치

Description

액체로부터 불순물을 분리하는 장치 및 세척장치{DEVICE FOR SEPARATING IMPURITIES FROM LIQUIDS AND A CLEANING DEVICE}
도 1은 두 단계 분리장치의 측면도.
도 2는 중심에 배치된 캐리어를 가진 다중층 분리요소의 수직단면도.
도 3은 기름 분리기 위에 배치된 세척장치의 개략도.
* 부호설명
1: 제 1 분리단계 2: 제 2 분리단계
3: 플랫폼 4, 5: 분리챔버
6, 13: 파티션 7: 인입구
8: 분리기 9, 12: 주 흐름방향
10: 액체표면 11: 연결라인
14: 제 1 분리요소 15: 제 2 분리요소
16: 상부 분리챔버 17: 하부 분리챔버
18: 배출구 19, 35: 커버
20: 방출구 22: 플레이트
23: 캐리어 24: 개구부
25, 26: 고정 플레이트 27: 세척장치
28: 수용유닛 29: 세척유닛
30: 트레이유닛 33: 측벽
본 발명은 불순물/액체 혼합물로부터 불순물을 분리하는 분리 컨테이너내에서 사용하기위한 액체로부터 불순물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플레이트형상의 형태를 가진다.
본 발명은 또한 불순물/액체 혼합물로부터 불순물을 분리하기 위해 분리영역내에서 사용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분리요소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분리장치는 캐리어 액체로부터 액체 또는 고체를 분리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기름과 물의 분리 및 상기 방법으로 물로부터 기름과 같은 불순물을 분리할 수 있다. 통상, 이른바 기름 분리기는 두단계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기름의 분리는 매우 작은 입자보다 더 쉽게 제거될 수 있는 더 큰 입자에 가장 작은 오염물 입자를 결합하는 것을 도우는 분리 요소를 사용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서로 분리된 기질의 다른 밀도를 바탕으로 중력효과를 사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특히 분리요소들은 물속에서 헹구어지는 더 큰 기름 방울들과 미세하게 분포된 유화된 기름방울들이 결합하도록 한다. 또한 분리요소들은 필터와 같이 작용하 여 중력의 영향을 기반으로 쉽게 정착되지 않는 미세하게 분포된 고체들을 보유한다.
기름분리기의 제 1 분리단계 영역에서, 일반적으로 플레이트 형상의 분리요소는 흐름방향으로 가로로 위치되고 미세한 통로채널을 제공하고 통과할수 있는 거품을 포함한다. 상기 분리요소는 작은 물방울을 결합하는것과 마찬가지로 미세하게 분포된 오염물을 필터링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기름 분리기의 작동시 특정 작동시간후 분리요소를 세척할 필요가 있다. 이용 및 세척 사이클의 경과는 응고된 도포 상태에 좌우되며 특히 분리되는 오염울의 양에 좌우된다.
기름 분리기의 통상적인 크기에 따라 경제적 경계조건을 만족하는 방법으로 분리요소의 조절의 용이성과 마찬가지로 과거에는 가능하지 않았던 구성의 최적화가 요구된 요건의 범위내에서 최적화가 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동시에 쉬운 조작이 보증되는 동안 고기능성이 달서되는 상술한 조율의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이것은 플레이트 형상의 형태가 둘이상의 적층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가 로드형상의 캐리어로 고정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척공정을 더욱 쉽게 수행하는 상술한 종류의 세턱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이것은 물통형상의 수용유닛, 세척유닛 및 리드형상의 트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세부분의 형상이 제공됨으로써 달성된다. 공통의 로드형상의 캐리어를 가진 분리요소를 플레이트 형상으로 함으로써, 단순한 조작과 더불어 높은 기술적 효과가 이루어진다.
로드 형상의 캐리어를 사용함으로써, 분리요소가 기름분리기로 삽입될 수 있고 또한 이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특히, 리프팅 장치 예를들어 작은 크레인에 의해 조절성능이 개선된다.
세척장치의 세부분 형상은 한편으로 사용하지 않을때 적은공간을 이용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세척유닛을 수용하고, 또한, 기름 분리기로부터 분리요소를 제거할때 기름분리기 주위의 오염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적용요건에 적응시키는 것은 캐리어 영역 내에 셋 이상의 플레이트가 배치됨으로써 용이하다. 작은 기름방울에 큰 방울을 결합시키는 것을 도우기 위해 하나이상의 플레이트가 미세모공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레이트가 실질적으로 원형 디스크 형상으로 이루어질 때 간편한 배치가 이루어진다. 리프팅 장치에 의한 조작은 캐리어가 플레이트 영역내에 중심으로 배치됨으로써 용이하다. 가벼운 실시예를 제공하기 위해 캐리어가 원통형일 것이 제안된다. 리프팅 장치를 채용함으로써 분리요소를 조작하는 것은 캐리어에 하나이상의 조작 개구부가 형성됨으로써 더 개선된다.
부드럽고 기계적으로 불안정한 플레이트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플레이트가 캐리어에 장착된 하나이상의 고정플레이트에서 지지될 것이 제안된다. 세척장치의 특히 간단한 형상은 물통형상의 수용 유닛의 측벽의 외부직경보다 큰 내부 직경을 가지는 리드형상의 트레이 유닛의 측벽이 제공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세척장치가 사용되지 않을 때 간단한 수용배치로 세턱유닛이 수용유닛내에 배치되고 이는 역시 오염을 방지한다. 간단한 형상의 다른 개선은 수용유닛내에 배치된 세척유닛이 리드형상의 트레이 유닛으로 덮여질 수 있음에 따라 달성될 수 있다. 수용유닛이 분리기의 커버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설계됨으로써 높은 조절안정성이 달성된다. 분리 용기가 물로부터 기름을 분리하도록 설계됨으로써 바람직한 적용이 달성된다.
도 1은 액체로부터 불순물을 분리하기 위한, 특히 물로부터 기름을 분리시키기 위한 장치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그리고 부분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상기 장치는 제 1 분리단계(1)와 제 2 분리단계(2)를 가진다. 상기 분리단계(1, 2)는 공통 플랫폼(3)에 고정된다. 제 1 분리단계(1)는 그물형상의 파티션으로 서로 분리되는 상부 분리 챔버(4)와 하부 분리챔버(5)를 가진다. 인입구(7)는 상부 분리챔버(4)로 열린다. 파티션(6)의 하부에서 분리기(8)는 하부 분리챔버(5)내에 배치되고, 이는 통상 다공질 물질로 구성된다. 제 1 분리단계(1)내의 주 흐름 방향(9)은 상부에서 하부로 수직이다.
제 1 분리단계(1)의 상부 분리챔버(4)내의 액체표면(10)영역내의 중력으로 잔여 액체 수집물보다 낮은 밀도를 가진다. 제 1 분리단계(1)의 액체흐름은 연결라인(11)에 의해 제 2 분리 단계(2)로 공급된다. 제 2 분리단계(2)에서, 주흐름방향(12)은 하부에서 상부로 수직이다. 제 2 분리단계(2)는 수평으로 연장되는 파티션(13)에 의해 분할된다. 파티션(13) 영역에서, 제 1 분리요소(14)와 제 2 분리요소 (15)가 고정된다. 파티션(13)에 의해, 제 2 분리단계(2)는 상부 분리챔버(16)와 하부 분리챔버(17)로 나누어진다.
세척된 액체를 위한 배출구(18)는 상부 분리챔버(16)에 연결된다. 분리된 오일을 위한 방출구(20)는 제 2 분리단계(2)의 커버(19) 영역내에 배치된다.
도 2에는 분리기(8)로써 제 1 분리단계(1) 영역내에 사용될 수 있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진 분리요소(21)가 도시된다. 상기 분리요소(21)는 로드 형상의 캐리어(23)에 의해 고정되는 세 적층된 플레이트(22)의 도 2에 도시된 실시예 내에 포함된다. 상기 캐리어(23)는 중심 컷아웃으로 삽입된다.
상기 캐리어(23)는 관형상일 수 있고 하나이상의 조절 개구부(24)가 형성된다. 예를들어 크래인과 같은 리프팅 장치에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두 조절개구부(2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레이트(22)는 미세다공성 구조를 가진다. 상기 플레이트(22)의 두께는 서로 다르게 선택되고 각각의 적용요건에 맞추어진다.
개선된 기계적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해, 플레이트(22)는 천공된 구조를 가지는 두 고정플레이트(25, 26)사이에 위치된다. 특히, 수직방향에서 하부가 위치하는 고정플레이트(25)가 캐리어(23)에 확고하게 연결되는 것이 제안된다. 따라서, 플레이트(22)는 캐리어(23) 위에 느슨하게 위치될 수 있고 이에따라 스스로의 비교적 최소한의 기계적 안정성을 요구한다.
도 3은 분리기(8) 또는 분리요소(21)를 위한 세척장치(27)를 도시한다. 세척장치는 세부분으로 나누어진 형상이고 물통형상의 수용유닛(28), 세척유닛(29) 및 리드형상의 트레이 유닛(30)이 포함된다. 상기 세척유닛(29)은 사용하지 않을때 수용유닛(28)내에 수용된다. 트레이 유닛(30)의 측벽(33)은 수용유닛(28)의 측벽(31)의 외부직경보다 큰 내부직경을 가진다.
리드형상의 트레이 유닛(30)은 따라서 수용유닛(28)위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수용유닛(28)은 그 하부영역 내에 내부직경이 제 1 분리단계(1)의 커버(35)의 외부직경과 맞는 원주(34)를 가지는 바닥(33)을 가진다.수용유닛(28)은 따라서, 커버(35)위에 기계적으로 안정된 방법으로 위치될 수 있다.
간단한 수용배치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하지 않을 때 커버(35)의 상부에 세척유닛(29)을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세척유닛(29)은 수용유닛(28)으로 삽입되고 리드형상의 트레이 유닛(30)에 의해 커버된다.
세척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먼저, 세척장치(27)가 제 1 분리단계(1)다음에 위치하고 트레이 유닛(30)이 제거되고 세척위치 영역내에 위치된다. 이어서, 세척유닛(29)이 수용유닛으로부터 제거되고 역시 세척위치영역 내에 위치된다.
다음단계에서, 커버(35)는 제 1 분리단계(1)로부터 제거되고 분리요소(21)가 제 1 분리 단계(1)밖으로 눌려진다. 분리요소(21)에서 분리되는 오염물로 인해, 상기 분리요소(21)는 먼저 제 1 분리단계(1) 위에 수직으로 위치되어 유지된다. 다음단계에서, 수용유닛(28)은 제 1 분리단계(1)위로 위치되고 오염된 분리요소(21)는 수용유닛(28)으로 삽입된다. 이어서, 수용유닛(28)은 분리요소(21)와 함께 세척위치로 이송되고 분리요소(21)는 그후 세척유닛(29)내에 위치된다.
세척공정이 완료된후, 세척된 분리요소(21)는 트레이 유닛(30)위에 위치된 다.
분리단계(1)를 재조립할때, 분리요소(21)는 트레이유닛(30)에 의해 제 1 분리단계(1)로 이송되고 제 1 분리단계(1)로 재삽입된다. 상부에 커버(35)가 위치된후, 분리단계(1)의 작동상태가 다시 실현된다. 선택적으로 세척이 이루어진후 세척장치(27)는 재조립되어 저장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가 도시되고 발명사상에 따라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발명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르게 실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한다.

Claims (13)

  1. 불순물 또는 액체 혼합물로부터 불순물을 분리하는 분리기에서 사용되는 액체로부터 불순물을 분리하는 분리요소에 있어서, 상기 분리요소가 둘이상의 적층된 플레이트와 둘이상의 적층된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로드형상의 캐리어가 포함된 플레이트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요소.
  2. 제 1항에 있어서, 셋이상의 플레이트가 상기 로드형상의 캐리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요소.
  3. 제 1항에 있어서, 둘이상의 플레이트중 하나이상이 미세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요소.
  4. 제 1항에 있어서, 둘이상의 플레이트가 원형 디스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요소.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가 둘이상의 플레이트에 대해 중심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요소.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가 관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요소.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가 하나이상의 조절 개구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요소.
  8. 제 1항에 있어서, 둘이상의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로드형상의 캐리어에 연결된 하나이상의 고정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요소.
  9. 불순물 또는 액체 혼합물로부터 불순물을 분리하는 분리기에 형성된 플레이트형상의 분리요소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척장치가 물통형상의 수용유닛, 세척유닛 및 리드형상의 트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세부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리드형상의 트레이의 측벽이 관형상의 수용유닛의 측벽의 외부직경보다 큰 내부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세척유닛이 수용유닛 내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세척유닛이 수용유닛내에 배치될 때, 리드형상의 트레이 유닛이 세척유닛을 커버하기 위해 수용유닛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장치.
  13. 제 9항에 있어서, 수용유닛이 분리기의 커버위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KR1020050096807A 2004-10-19 2005-10-14 액체로부터 불순물을 분리하는 장치 및 세척장치 KR200600532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50741.4 2004-10-19
DE102004050741A DE102004050741A1 (de) 2004-10-19 2004-10-19 Vorrichtung zum Abscheiden von Beimengungen von Flüssigkeiten sowie Reinigungsvorricht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3277A true KR20060053277A (ko) 2006-05-19

Family

ID=35559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6807A KR20060053277A (ko) 2004-10-19 2005-10-14 액체로부터 불순물을 분리하는 장치 및 세척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60081523A1 (ko)
EP (1) EP1649912A3 (ko)
JP (1) JP2006116530A (ko)
KR (1) KR20060053277A (ko)
CN (1) CN1768894A (ko)
DE (2) DE1020040507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89676A (zh) * 2011-10-13 2012-03-28 南车戚墅堰机车有限公司 板网滤清器组安装装置
CN114378041A (zh) * 2022-02-11 2022-04-22 陈惠玲 新型粉状物料和浆料的洗涤设备及洗涤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05563A (en) * 1952-11-12 1955-04-05 Albert E Ide Oil filter cartridge
DE1243645B (de) * 1961-05-11 1967-07-06 Shell Res Ltd Abscheider zum Zerlegen eines eine relativ geringe OElmenge enthaltenden OEl-Wasser-Gemisches in seine Bestandteile
DE1611127A1 (de) * 1967-11-11 1970-10-08 Walter Potthoff Fa Filtergeraet
US3666107A (en) * 1970-09-17 1972-05-30 Food Research & Equipment Co Filter unit
US3847821A (en) * 1973-10-19 1974-11-12 Minnesota Mining & Mfg Separator for removing a dispersed liquid phase from a continuous liquid phase
DE2640803C2 (de) * 1975-09-18 1982-03-11 Thune-Eureka A/S, Tranby Lamellenseparator zur Sedimentierung
US4042512A (en) * 1976-10-27 1977-08-16 Mccarthy Patrick M Oil water separator
DE8600873U1 (de) * 1986-01-16 1986-02-27 B. Braun Melsungen Ag, 3508 Melsungen Desinfektionsvorrichtung
US4792397A (en) * 1987-06-09 1988-12-20 Harvard Corporation Filter apparatus with sealing collector and flow control element
DE3824295A1 (de) * 1988-07-18 1990-01-25 Preussag Ag Bauwesen Klaervorrichtung
CH687023A5 (de) * 1991-07-22 1996-08-30 Heinz Wartenweiler Anlage zur Reinigung von kontaminiertem Wasser.
DE4208506C2 (de) * 1992-03-17 1996-08-08 Hellmers Herm J Gmbh Entsorg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bscheiden von Öl aus Schmutzwasser
DE4428625C2 (de) * 1994-08-12 1999-03-25 Munters Euroform Gmbh Carl Anlage zur Abtrennung von Feststoffen aus fließfähigen Medien mit Spüleinrichtung
DE19705814C2 (de) * 1997-02-15 1998-12-10 Buderus Guss Gmbh Leichtflüssigkeitsabscheider
US5928524A (en) * 1997-03-31 1999-07-27 Hoover Containment, Inc. Oil-water separator
SE509656C2 (sv) * 1997-04-15 1999-02-22 Sweden Recycling Ab Anordning för avskiljning av partiklar ur en vätska
GB2350571B (en) * 1999-06-05 2002-12-18 John Andrew Timmins Separ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separating
US6632352B2 (en) * 2001-07-11 2003-10-14 Nursery Pro, Inc. Multi-stage filter
JP2004050145A (ja) * 2002-07-24 2004-02-19 Taiko Kikai Industries Co Ltd 微細な浮遊物質を含むビルジ用油水分離装置
ITMI20031998A1 (it) * 2003-10-16 2005-04-17 Rosauto Srl Vasca di lavaggio in particolare per freni di veicoli industriali e simil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68894A (zh) 2006-05-10
DE102004050741A1 (de) 2006-04-20
JP2006116530A (ja) 2006-05-11
US20060081523A1 (en) 2006-04-20
EP1649912A3 (de) 2006-06-07
EP1649912A2 (de) 2006-04-26
DE202005021393U1 (de) 200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326481A1 (en) Extraction structure, extraction module, and liquid pretreatment device
KR101278334B1 (ko) 분리적용이 가능한 케미컬 필터
RU98103265A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непрерывного отделения твердых частиц от жидкости
KR20130027439A (ko) 연속 순환식 모래여과기 및 방법
EP331698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urification of a fluid by means of a filter bed
EP0124920A2 (en) Apparatus for treating mixtures of liquid and gas
KR20060053277A (ko) 액체로부터 불순물을 분리하는 장치 및 세척장치
EP0158529A2 (en) Pressure filter
EP1185347B2 (en) Separ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separating
JP6343227B2 (ja) 膜モジュール
WO2015107826A1 (ja) クーラント再生装置及びクーラント再生方法
JP3809648B2 (ja) 移動ろ床式ろ過装置
JP2004527375A (ja) 水から油脂、脂肪やグリースを除去する方法
KR20060050646A (ko) 액체로부터 불순물을 분리하는 장치
JP3644721B2 (ja) 分離装置
JP2007165653A (ja) 気泡除去方法及び気泡除去装置
CN220887033U (zh) 一种油水分离聚结分离器
JP2000246014A (ja) 濾過装置
KR102050980B1 (ko) 여과공정 및 역세공정을 갖는 여과 시스템
JP2004321896A (ja) 異物分離装置
RU2674207C1 (ru) Устройство очистки воды от взвешенных примесей
RU2150986C1 (ru) Нефтеводяной сепаратор
CN111204887A (zh) 一种纤维绳油水分离装置
JP2023048284A (ja) 分離装置、及び分離システム
RU101644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деления жидкостных эмульси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