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1189A - 파킹 기구 - Google Patents

파킹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1189A
KR20060051189A KR1020050084445A KR20050084445A KR20060051189A KR 20060051189 A KR20060051189 A KR 20060051189A KR 1020050084445 A KR1020050084445 A KR 1020050084445A KR 20050084445 A KR20050084445 A KR 20050084445A KR 20060051189 A KR20060051189 A KR 200600511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parking
belt
transmission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4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1941B1 (ko
Inventor
다꾸 스가노
히또시 나까따
Original Assignee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1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1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1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1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4Locking or disabling mechanisms
    • F16H63/3416Parking lock mechanisms or brakes in the transmi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9/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s By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식 무단 변속기용의 오일 펌프로서 베인식의 오일 펌프를 적용하였다고 해도, 안정된 초기 토출압 특성을 확보 가능한 자동 변속기의 오일 펌프 배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벨트식 무단 변속 기구의 제2 풀리와 동축 상에 고정되는 파킹 기어와, 파킹 기어를 변속기 하우징에 계지하여 회전을 저지하는 파킹 폴과, 파킹 폴을 조작하는 디텐트 기구와, 디텐트 기구의 조작력을 파킹 폴로 전달하는 로드를 갖는 파킹 기구에 있어서, 파킹 기어를 제2 풀리의 고정 풀리 외주에 일체로 형성하고, 파킹 폴을 조작하는 디텐트 기구를 제2 풀리의 가동 풀리측에 설치하고, 로드 중 적어도 일부가 벨트식 무단 변속 기구의 제1 풀리와 제2 풀리에 걸친 벨트의 상부에 설치하였다.
변속기 하우징, 관통 구멍, 벨트, 파킹 기구, 파킹 기어, 디텐트 플레이트

Description

파킹 기구{PARKING MECHANISM}
도1은 제1 실시예에 관한 자동 변속기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
도2는 제1 실시예에 관한 변속기 케이스를 커버 케이스측으로부터 본 도면.
도3은 제1 실시예에 관한 변속기 케이스를 토크 컨버터 케이스측으로부터 본 도면.
도4는 제1 실시예에 관한 파킹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
도5는 제1 실시예에 관한 도4 중 P 화살표로 나타낸 도면.
도6은 제1 실시예에 관한 파킹 기구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변속기 하우징
123 : 제2 풀리 수용 장착실
124 : 전후진 절환 기구 수용 장착실
125 : 관통 구멍
300 : 전후진 절환 기구
400 : 벨트식 무단 변속 기구
410 : 제1 풀리
420 : 제2 풀리
420d : 제2 풀리 축
430 : 벨트
800 : 파킹 기구
801 : 파킹 기어
802 : 파킹 플레이트
802 : 파킹 폴
806 : 캠
809 : 디텐트 플레이트
810 : 로드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4-44689호 공보
본 발명은, 벨트식 무단 변속 기구의 제2 풀리와 동축 상에 설치된 파킹 기어를 파킹 폴에 따라서 변속기 하우징에 계지하는 파킹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기술로서는,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제2 풀리와 동축에 있어서 종감속부 측에 파킹 기어가 설치된 것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4-44689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제2 풀리 축 상의 종감속부 측에 파킹 기어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제2 풀리 축이 축 방향으로 길어지는 결과, 변속기 하우징도 축 방향으로 길어져 변속기의 차량으로의 탑재성이 악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제2 풀리와 동축에 파킹 기어를 설치하는 구성이라도, 제2 풀리 축의 축 방향 길이를 단축할 수 있는 파킹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벨트식 무단 변속 기구의 제2 풀리와 동축 상에 고정되는 파킹 기어와, 파킹 기어를 변속기 하우징에 계지하여 회전을 저지하는 파킹 폴과, 파킹 폴을 조작하는 디텐트 기구와, 디텐트 기구의 조작력을 파킹 폴로 전달하는 로드를 갖는 파킹 기구에 있어서, 파킹 기어를 제2 풀리의 고정 풀리 외주에 일체로 형성하고, 파킹 폴을 조작하는 디텐트 기구를 제2 풀리의 가동 풀리측에 설치하고, 로드 중 적어도 일부가 벨트식 무단 변속 기구의 제1 풀리와 제2 풀리에 걸친 벨트의 상부에 설치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파킹 기구를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를, 도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 이용하는 도면은 발명의 사상을 명료하게 하기 위한 모식도이며, 정확한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제1 실시예>
우선,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변속기의 구성을 설명한다.
[변속기의 개략]
도1은, 본 발명의 자동 변속기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변속기 하우징(100)은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과 제3 하우징(130)으로 구성된다. 변속기 하우징(100) 내에는 엔진으로부터의 토크를 증폭하는 토크 컨버터(200)와, 발진 클러치를 갖는 전후진 절환 기구(300)와, 입출력 사이에서 무단 변속하는 벨트식 무단 변속 기구(400)와, 구동 피니온(500)과, 차동 기어(60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각 장치로의 압유나 윤활유를 공급하는 기구로서 베인 펌프(700)와 오일 스트레이너(710)와, 컨트롤 밸브 유닛(720)과, 오일 쿨러(730)(도2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토크 컨버터(200)는 엔진 출력축(10)에 접속되는 펌프 임펠러와, 변속기 입력축(20)에 접속되는 터빈 러너와, 내부 작동 오일의 흐름을 갖추는 고정자와, 고속 주행시에 직접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로크 업 클러치로 구성된다.
전후진 절환 기구(300)는 엔진측과 연결되는 동시에 전진 클러치를 갖는 선 기어와, 후진 브레이크와 연결된 캐리어와, 제1 풀리(410)와 연결되는 동시에 전진 클러치를 갖는 링 기어를 갖는 유성 기어 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또, 유성 기어 기구는 싱글 피니온형 또는 더블 피니온형의 유성 기어로서도 좋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벨트식 무단 변속 기구(400)는 전후진 절환 기구(300)로부터 입력된 회전과 일체로 회전하는 제1 풀리(410)[가동 풀리(410a) 및 고정 풀리(410b)]와, 구동륜을 소정의 감속비로 일체로 회전하는 제2 풀리(420)[가동 풀리(420a) 및 고정 풀리(420b)]와, 각 풀리의 홈 사이에 권취된 벨트(430)로 구성되어 있다. 제2 풀리(420)에 설치된 제2 풀리 축(420d)의 단부에는 출력 기어(40)가 고정되어 구동 피니온(500)에 치합된다. 또, 제2 풀리 축(420d)은 본 발명의 제1 회전축에 상당한다.
제1 풀리(410)의 가동 풀리(410a)와, 제2 풀리(420)의 가동 풀리(420a)의 배면에는 각각 실린더실(410c) 및 실린더실(420c)이 설치되어 있다.
제2 풀리(420)의 고정 풀리(420b)의 직경 방향 외측에는, 제1 하우징(110)측으로 돌출하여 파킹 기어(801)가 형성된다. 파킹 기어(801)를 포함하는 파킹 기구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후술한다.
구동 피니온(500)에는 파이널 기어(70)가 치합된다. 이 파이널 기어(70)에는 차동 기어(600)의 2개의 피니온이 고정되고, 이러한 피니온에 좌우로부터 각각 사이드 기어가 치합된다. 각 사이드 기어에는 구동축이 연결되고, 좌우의 구동륜을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베인 펌프(700)는 회전자와, 이 회전자에 편심하여 부착되는 캠 링과, 회전자와 캠 링에 의해 구성되는 유실을 구획하는 베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베인은 회전자의 홈에 끼워 넣고, 그 내측은 회전자 중심축과 각 홈에 마련된 유로에 공급되는 작동 오일이 회전자 회전시의 원심력에 의해 베인을 캠 링에 압박한다. 이 구성에 의해, 베인을 스프링에 의해 캠 링에 압박하는 구성의 것에 비해 부품 개수가 적고, 또한 장기 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회전자의 토크 컨버터(200)측의 단부 에는 피동 스프로킷(701)이 고정되고, 변속기 입력축(20)과 일체로 회전하는 구동 스프로킷(50)에 체인(51)을 통해 연결된다.
베인 펌프(700)의 흡입구측에는 오일 스트레이너(710)가 설치되고, 토출구측에는 컨트롤 밸브 유닛(720)이 설치된다. 컨트롤 밸브 유닛(720)의 상면에는, 복수의 전자 제어 밸브 및 각종 센서(오일 온도 센서, 액압 센서 등)인 전자 부품(721)(도2 참조)이 배치된다.
오일 쿨러(730)의 내부는 냉각수가 공급되는 냉각수실과, 윤활유가 공급되는 윤활유실이 인접하여 교대로 층 형상으로 구성된다. 오일 쿨러(730)의 냉각수실에는 라디에이터로 냉각된 냉각수가 공급되는 공급수로(731)(도2 참조)와, 오일 쿨러(730)로부터의 냉각수를 엔진으로 송수하는 송수수로(732)(도2 참조)가 접속된다. 또한, 오일 쿨러(730)의 윤활유실은 컨트롤 밸브 유닛(720) 및 오일팬(740)으로부터 오일을 공급하는 유로와, 냉각된 오일을 각 장치에 윤활유로서 공급하는 유로가 접속된다.
다음에 변속기 하우징 내의 각 장치의 배치에 대해 설명한다.
[변속기 하우징 내의 각 장치의 배치]
도2는 제2 하우징(120)을 제1 하우징(110)측으로부터 본 도면, 도3은 제2 하우징(120)을 제3 하우징(130)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2, 도3 중에 있어서 벨트식 무단 변속 기구(400), 구동 피니온(500), 차동 기어(600), 베인 펌프(700)는 모식적으로 원으로 표현한 것이다. 또한, 도2, 도3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원은 벽을 사이에 두고 역측으로 수용 장착된 장치를 도시한다. 또한, 도2, 도3 중에 전방을 나타낸 화살표는 변속기 하우징(100)을 차량 탑재시에 차량의 전방 방향을 나타낸다. 이하, 간단히 전방, 반대측을 후방이라 기재한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벨트식 무단 변속 기구(400)는 변속기 수용 장착실(121)에 수용 장착된다. 벨트식 무단 변속 기구(400)는 제1 풀리(410)가 변속기 수용 장착실(121)의 전방측 하부의 제1 풀리 수용 장착실(122)에 수용 장착되고, 제2 풀리(420)가 변속기 수용 장착실(121)의 후방측 상부의 제2 풀리 수용 장착실(123)에 수용 장착된다. 또한, 변속기 수용 장착실(121)의 하부는 개구하고 있고, 각 장치를 윤활한 윤활유가 개구부로부터 오일팬(740)으로 배출된다. 또, 제2 수용 장착실(123)은, 본 발명의 제1 수용 장착실에 상당한다.
제3 하우징(130)측에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진 절환 기구(300)와, 구동 피니온(500)과, 차동 기어(600)와 베인 펌프(700)가 수용 장착된다.
전후진 절환 기구(300)는 제1 풀리(420)와 동축 상의 변속기 입력축(20) 상에 배치되고, 전후진 절환 기구 수용 장착실(124)에 수용 장착된다. 또, 전후진 절환 기구 수용 장착실(124)은 본 발명의 제2 수용 장착실에 상당한다.
차동 기어(600)는 도3 중의 후방측 하부에 수용 장착된다. 구동 피니온(500)은 제2 풀리 축(420d)에 고정된 출력 기어(40)와, 구동 피니온(500)의 축 상에 고정된 아이들러 기어(60)를 치합한다. 또한, 구동 피니온(500)은 차동 기어(600)에 고정된 파이널 기어(70)와 치합하도록 배치된다.
베인 펌프(700)는 제1 풀리(410) 및 차동 기어(600)보다도 오일팬(740)측에 배치된다.
다음에 파킹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파킹 기구]
도4는, 제3 하우징(130)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 내의 각 장치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4 중 굵은 곡선의 우측이 제1 하우징(110) 내를, 좌측이 제2 하우징(120) 내를 나타낸다. 도5는, 도4에 있어서의 P 화살표로 나타낸 도면이다.
파킹 기구(800)는 제2 풀리(420)의 고정 풀리(420b)의 외주에 형성된 파킹 기어(801)와, 이 파킹 기어(801)에 치합하는 파킹 폴(802)과, 파킹 폴(802)을 구동하는 캠(806)과, 메뉴얼 샤프트(808)에 부착된 디텐트 플레이트(809)의 움직임을 캠(806)에 전하는 로드(810)를 구비한다.
제2 하우징(120)에는 각 장치의 축을 지지하는 지지부에 의해, 제1 하우징(110)측과 제3 하우징(130)측을 격리하는 벽이 형성된다. 파킹 기어(801), 파킹 폴(802), 캠(806)의 제2 풀리(420)는 제2 하우징(120) 벽의 제1 하우징(110)측이며, 벨트식 무단 변속 기구(400)의 벨트(430)보다도 외측에 배치된다. 메뉴얼 샤프트(808), 디텐트 플레이트(809)는 제2 하우징(120) 벽의 제3 하우징측이며, 전후진 절환 기구(300)의 전후진 절환 기구 수용 장착부(124)의 상부에 배치된다. 또한, 로드(810)는 벨트(430)의 상측을 지나서, 제2 하우징(120)으로 형성된 관통 구멍(125)을 관통하고, 캠(806)과 디텐트 플레이트(809)를 연결한다.
메뉴얼 샤프트(808)의 상단부는 변속기 하우징(100)을 관통하고, 변속기 하우징(100)의 외측에서 메뉴얼 레버(811)에 부착되고, 메뉴얼 레버(811)와 함께 회 전한다. 메뉴얼 샤프트(808)의 하단부는 변속기 하우징(100)을 관통하고, 외부로부터 볼트(819)에 고정된다. 메뉴얼 레버(811)는 선택 레버(도시 생략)와 컨트롤 케이블(도시 생략)을 통해 연결되고, 이 선택 레버의 조작에 의해 회전한다.
디텐트 플레이트(809)의 외주 일부에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판 스프링(813)의 선단부가 차례로 끼워 넣어진 오목부가 선택 레버의 조작 위치에 따라서 복수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와 판 스프링(813)의 선단부의 결합에 의해, 선택 레버의 조작시에 클릭감이 생기도록 구성하고 있다. 예를 들어, 선택 레버와 파크(P) 위치에 조작하면, 도5에 디텐트 플레이트(809)의 부호 P로 나타낸 위치에 판 스프링(813)의 선단부가 결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디텐트 플레이트(809)와 판 스프링(813)은 본 발명의 디텐트 기구에 상당한다.
이 디텐트 플레이트(809)는 메뉴얼 샤프트(808)로 형성된 바닥이 있는 구멍(808a)과, 핀(808b)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메뉴얼 샤프트(808)에 관통 구멍이 아니라, 바닥이 있는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관통 구멍을 형성하였을 때 버어 등의 발생을 배제할 수 있고, 변속기 내 먼지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에 의해 디텐트 플레이트(809)는 제2 풀리(420)의 축 방향으로 평행한 면에서 회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파킹 폴(802)은 폭 샤프트(803)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2 풀리(420)의 직경 방향으로 수평한 면 상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상태에서 제1 하우징(110)의 내면과 압박 플레이트(805) 사이에 끼워지도록 하여 설치된다. 이 파킹 폴(802)의 일단부에는 파킹 기어(801)의 치부에 치합하는 결합부(802a)가 설치 되고, 또한 파킹 폴(802)의 타단부는 리턴 스프링(804)의 압박력에 따라서, 캠(806)의 상면에 접촉하고 있다.
폴 샤프트(803)는 일단부가 제1 하우징(110)의 바닥이 있는 구멍에 끼워 넣고, 타단부가 압박 플레이트(805)에 설치된 바닥이 있는 구멍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탈락을 저지시켜 부착된다.
리턴 스프링(804)은 제1 하우징(110)에 설치된 돌기(111)의 외주에 장착된 코일형의 스프링으로, 일단부는 제1 하우징(110)의 내면에 압접함으로써 고정되고, 타단부가 파킹 폴(802)로 형성된 관통 구멍에 삽통되어 파킹 폴(802)에 계지 상태로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파킹 폴(802)은 캠(806)을 압박하는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다.
압박 플레이트(805)는 위치 결정 핀(814, 815)에 의해 제1 하우징(110)의 내면에 대해 위치 결정되고, 볼트(816, 817)에 의해 제1 하우징(1101)에 대해 고정된다.
캠(806)은 로드(810)의 선단부에 부착되고, 선단부측에 대해 후단부측이 대직경으로 되어 있다. 로드의 후단부는 디텐트 플레이트(809)에 계지되어 있고, 디텐트 플레이트(809)의 회전에 수반하여 캠(806) 및 로드(810)가 축 방향으로 진퇴 연동한다.
캠(806)의 하면측, 즉 파킹 폴(802)과 접촉하는 쪽의 반대측에는 안내판(807)이 제1 하우징의 내면에 볼트(817, 818)에 의해 위치 결정 및 고정되어 부착되어 캠(806)과 미끄럼 접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의 구조에 대해 요점을 통합하면, 제2 풀리(420)의 제1 하우징(110)측은 베어링(30)이 배치되어 있고, 베어링(30)의 직경 방향 외측에는 스페이스가 불필요하게 되어 있었으므로, 그에 파킹 기어(801)와, 직경 방향으로 회전하는 파킹 폴(802)을 배치하였다. 이 구조에 의해 제2 풀리 축(420d)의 축 방향 단축화를 도모하였다.
또한, 축 방향으로 폭을 갖는 전후진 절환 기구 수용 장착실(124)의 상부에, 축 방향으로 회전하는 디텐트 플레이트(809)를 배치하였다. 이 구조에 의해, 변속기 하우징(100)이 새로운 확대를 회피하였다.
또한, 벨트식 무단 변속 기구(400)의 벨트(430) 상방에는 로드(810)만이 배치되고, 이 로드(810)는 제2 하우징(120)의 벽을 관통하고, 벨트(430)의 상방에는 가능한 한 부재를 배치하지 않는 구조로 하였다. 이 구조에 의해, 벨트(430) 상에서의 먼지의 발생 및 벨트식 무단 변속 기구(400)의 변속기 수용 장착실(121)로의 먼지의 침입을 가능한 한 배제하였다.
다음에, 작용을 설명한다.
[유압 회로의 작용]
엔진이 구동하면 변속기 입력축(20)에 설치된 구동 스프로킷(50)과 체인(51)을 통해 구동력이 피동 스프로킷(701)에 전달되어 베인 펌프(700)가 구동된다.
베인 펌프(700)가 구동되면, 오일팬(740)에 저류되어 있는 오일은 오일 스트레이너(710)에 의해 이물질을 제거하고 나서 베인 펌프(700)에 공급된다.
베인 펌프(700)는 공급된 오일에 유압을 발생시켜 컨트롤 밸브 유닛(720)에 공급한다.
컨트롤 밸브 유닛(720)에서는 오일의 유압을 조절하고, 각 장치에 작동 오일을 공급한다.
오일 쿨러(730)는 컨트롤 밸브 유닛(720)으로부터 작동 오일로서 각 장치에 공급되지 않았던 오일이나, 오일팬(740)에 저류된 오일을 흡입한다. 오일 쿨러(730)의 흡입구에 설치된 필터에 의해 흡입한 오일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오일 쿨러(730) 내의 윤활유실에 공급한다. 윤활유실의 오일은 벽을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냉각수실 내의 냉각수에 의해 냉각시킨 후에, 윤활유로서 각 장치에 공급된다.
[구동계의 작용]
토크 컨버터(200)는 엔진으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을 저속시에는 토크를 증대하고, 또한 고속시에는 록 업 클러치를 체결하여 전후진 절환 기구(300)에 전달한다.
전후진 절환 기구(300)에서는, 전진시에는 전진 클러치가 선 기어 및 링 기어를 일체로 체결하여 입력된 회전을 그대로 출력한다. 한편, 후진시에는 후진 브레이크가 캐리어를 제2 하우징(120)에 고정하여 입력된 회전을 역회전으로 감속하여 출력한다.
벨트식 무단 변속 기구(400)에서는 제1 풀리(410)와 제2 풀리(420)의 가동 풀리 배면에, 각각 유압에 의해 홈 폭을 변경하는 실린더실이 마련되어 있고, 벨트(430)를 압박하는 회전축 방향의 추진력을 제어함으로써 벨트(430)의 유효 권취 직경을 변경하여 무단계로 변속한다.
벨트식 무단 변속 기구(400)로 변속된 구동력은 출력 기어(40), 구동 피니온(500), 차동 기어(600)를 통해 구동륜에 전달된다.
[파킹 기구의 작용]
도6은 파킹 기구(800)의 사시도이다. 파킹 기구(800)는 선택 레버의 조작에 의해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텐트 플레이트(809)는 축 방향으로 평행한 면 내에서 회전한다. 이 디텐트 플레이트(809)의 회전이 로드(810) 및 캠(806)을 통해, 파킹 플레이트(802)의 직경 방향으로 평행한 면 내에서 회전을 생기게 한다.
파킹 기구(800)는 비파킹 상태, 즉 선택 레버가 파킹(P) 위치에 조작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캠(806)의 소직경부가 파킹 폴(802)에 접촉하고, 파킹 폴(802)의 결합부(802a)가 파킹 기어(801)의 치부로부터 떨어진 로크 해제 위치로 보유 지지된다.
또한, 파킹 상태, 즉 선택 레버가 파킹(P) 위치에 조작되면, 디텐트 플레이트(809)는 도5 중에 부호 P로 나타내는 디텐트 플레이트(809)의 위치가 판 스프링(813)의 선단부에 결합한 상태가 된다. 이 때, 로드(810)가 캠(806)을 압박하여 캠(806)의 대직경부가 파킹 폴(802)을 압접하고, 파킹 폴(802)이 리턴 스프링(804)의 압박력에 역으로 하여 캠(806)의 직경 방향으로 압박된다. 파킹 폴(802)의 결합부(802a)는 파킹 기어(801)의 치부에 치합하는 로크 위치로 보유 지지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파킹 기구의 효과를 설명한다.
(1) 종래는 제2 풀리 축(420d)에 파킹 기어를 설치하고 있었지만, 파킹 기어(801)를 제2 풀리(420)의 고정 풀리(420b) 외주에 일체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제2 풀리 축(420d)의 축 방향 길이를 단축할 수 있다. 따라서, 변속기 하우징(100)도 축 방향으로 단축할 수 있으므로, 변속기의 차량 탑재성이 향상된다.
(2) 디텐트 플레이트(809)는 축 방향으로 폭을 갖는 전후진 절환 기구 수용 장착실(124)의 상부에 배치하였다. 따라서 변속기 하우징(100)이 새로운 확대를 회피하고, 변속기의 차량 탑재성을 확보할 수 있다.
(3) 디텐트 플레이트(809)를 제2 풀리 수용 장착실(123) 내에 배치하기 위해서는, 메뉴얼 샤프트(808)의 고정을 위해 제2 풀리 수용 장착실(123) 내에 2개의 관통 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텐트 플레이트(809)를 제2 풀리 수용 장착실(123)의 외측에 설치하고, 디텐트 플레이트(809)의 움직임은 제2 풀리 수용 장착실(123)의 관통 구멍(125)을 관통하는 로드(810)를 통해 캠(806)에 전달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따라서, 벨트(430) 상에는 로드(810)만이 배치되고, 또한 제2 풀리 수용 장착실(123)의 관통 구멍(125)을 1개만 형성하기 때문에, 벨트(430) 상에서의 먼지의 발생 및 벨트식 무단 변속 기구(400)의 변속기 수용 장착실(121)로의 먼지의 침입을 저감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자동 변속기를 제1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해 왔지만,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이러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 청구의 범위의 각 청구항에 관한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설계의 변경이나 추가는 허용된다.
예를 들어, 제1 실시예에서는 변속기 하우징(100)은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과 제3 하우징(130)과의 3 부재로 구성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또한 다 수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파킹 기구에 있어서는, 제2 풀리 축을 축 방향에 있어서 단축화할 수 있어 변속기의 차량으로의 탑재성을 향상할 수 있다.

Claims (3)

  1. 벨트식 무단 변속기 내에 설치되고, 제2 풀리의 제1 회전축과 동축 상에 고정되는 파킹 기어와,
    상기 제1 회전축에 대해 직행하는 수직면 내를 회전하고, 상기 파킹 기어를 변속기 하우징에 계지하여 상기 제2 풀리의 회전을 저지하는 파킹 폴과,
    운전자의 레버 조작력에 의해 회전하는 메뉴얼 샤프트와,
    상기 메뉴얼 샤프트의 회전을 상기 제1 회전축 방향으로 변환하는 디텐트 기구와,
    상기 디텐트 기구에 의해 변환된 제1 회전축 방향의 조작력을 상기 파킹 폴로 전달하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단부에 설치되고, 제1 회전축 방향의 움직임을 상기 수직면 내의 회전 방향의 움직임으로 변환하는 캠을 갖는 파킹 기구에 있어서,
    상기 파킹 기어를 제2 풀리의 고정 풀리 외주에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파킹 폴을 조작하는 디텐트 기구를 제2 풀리의 가동 풀리측에 설치하고,
    상기 로드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벨트식 무단 변속 기구의 제1 풀리와 제2 풀리에 걸친 벨트의 상부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킹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 하우징은 상기 제2 풀리를 수용 장착하는 제1 수용 장착실과,
    상기 제1 수용 장착실의 일부와 직경 방향 위치에서 겹치는 동시에, 전후진 절환 기구를 수용 장착하는 제2 수용 장착실을 갖고,
    상기 디텐트 기구는 상기 제2 수용 장착실의 차량 탑재시 상부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킹 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텐트 기구를 상기 제1 수용 장착실의 외측에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제1 수용 장착실에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로드는 상기 관통 구멍을 관통하고,
    상기 제1 수용 장착실을 횡단하여 상기 디텐트 기구와 상기 캠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킹 기구.
KR1020050084445A 2004-10-01 2005-09-12 파킹 기구 KR1006619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89676 2004-10-01
JP2004289676A JP2006103398A (ja) 2004-10-01 2004-10-01 パーキング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1189A true KR20060051189A (ko) 2006-05-19
KR100661941B1 KR100661941B1 (ko) 2006-12-28

Family

ID=35520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4445A KR100661941B1 (ko) 2004-10-01 2005-09-12 파킹 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070839A1 (ko)
EP (1) EP1643169A2 (ko)
JP (1) JP2006103398A (ko)
KR (1) KR100661941B1 (ko)
CN (1) CN175516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4867A (ja) * 2006-12-11 2008-06-26 Mazda Motor Corp 自動変速機
JP4240129B2 (ja) * 2007-03-28 2009-03-18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用変速機
JP4179385B2 (ja) 2007-03-30 2008-11-12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用変速機
JP4821804B2 (ja) * 2008-05-26 2011-11-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パーキングポール、パーキング装置、及びハイブリッド車両
JP4744581B2 (ja) * 2008-10-07 2011-08-10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車両用動力伝達装置
JP4861455B2 (ja) * 2009-07-15 2012-01-25 ジヤトコ株式会社 自動変速機
JP4843698B2 (ja) * 2009-07-15 2011-12-21 ジヤトコ株式会社 自動変速機
US8888617B2 (en) 2010-05-26 2014-11-18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Belt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DE102011082169A1 (de) * 2011-09-06 2013-03-07 Zf Friedrichshafen Ag Parksperrenvorrichtung eines Kraftfahrzeuggetriebes
CN103102248B (zh) * 2011-11-10 2015-06-17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超声雾化浓缩乙醇的装置和方法
JP5870333B2 (ja) * 2012-02-06 2016-02-24 株式会社 神崎高級工機製作所 プーリー式無段変速機構及びプーリー半体
JP6303916B2 (ja) * 2014-08-20 2018-04-04 スズキ株式会社 自動変速機
US9702450B2 (en) * 2014-11-13 2017-07-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with direction selection mechanism
JP6428556B2 (ja) * 2015-10-09 2018-11-28 スズキ株式会社 車両用変速機
CN108087545B (zh) * 2016-11-22 2019-08-13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驻车制动机构、驻车制动系统、自动变速箱及汽车
JP6958386B2 (ja) 2018-01-25 2021-11-02 スズキ株式会社 駆動装置のパーキングロック機構
JP7271938B2 (ja) * 2018-12-21 2023-05-12 スズキ株式会社 車両用駆動装置
JP7130349B2 (ja) * 2019-02-26 2022-09-05 ジヤトコ株式会社 変速機ケース
US11761534B2 (en) 2019-12-30 2023-09-19 Jatco Ltd Power transmission device
US11192436B1 (en) * 2021-05-06 2021-12-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Park system for dual motor drive unit
TWI826915B (zh) * 2022-01-25 2023-12-21 介隆興齒輪股份有限公司 車輛排檔機構的換檔撥叉的駐車檔防脫檔機構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9453A (ja) * 1984-01-31 1985-08-20 Fuji Heavy Ind Ltd 無段変速機の変速操作機構
JP2000104827A (ja) * 1998-09-30 2000-04-11 Fuji Heavy Ind Ltd 無段変速機のパーキング装置
US7364027B2 (en) * 2004-03-30 2008-04-29 Jatco Ltd. Belt-type continuously-variable transmission
JP2005291319A (ja) * 2004-03-31 2005-10-20 Jatco Ltd ベルト式無段変速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70839A1 (en) 2006-04-06
KR100661941B1 (ko) 2006-12-28
EP1643169A2 (en) 2006-04-05
JP2006103398A (ja) 2006-04-20
CN1755167A (zh) 2006-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1941B1 (ko) 파킹 기구
KR100695836B1 (ko) 자동 변속기의 오일 펌프 배치 구조
US8414433B2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4823118B2 (ja) ハイブリッド自動車の駆動装置
US5032108A (en) Non-stage transmission for vehicle
JP4700163B2 (ja) 自動車用自動変速装置
EP1643162B1 (en) Installation structure of oil cooler of vehicular transmission
EP0864778B1 (en) Torque converter comprising reversing gearing
US6655232B2 (en) Hydraulic controller for transmission
JP2007139142A (ja) 自動変速機
EP0897074B1 (en) Torque converter comprising reversing gearing and lock-up clutch
JP4986601B2 (ja) 車両用駆動装置の潤滑構造
KR100692337B1 (ko) 벨트식 무단 변속기
JP4035423B2 (ja) 変速機
US6066059A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system
JP4329457B2 (ja) ベルト式無段変速機
KR100245702B1 (ko) 차량용 무단 변속장치
KR100289304B1 (ko) 수동변속기의입력축윤활구조
KR20020082592A (ko) 복합가변속장치
KR200189175Y1 (ko) 차량용 무단 변속장치
JP2007247563A (ja) オイルポンプ及びオイルポンプを用いた車両の変速機装置
JPH0562260B2 (ko)
JP2006105188A (ja) 無段変速機の変速機ハウジング構造
JP2000065184A (ja) 車両用発進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