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0783A - 게임기, 게임 시스템 및 게임용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게임기, 게임 시스템 및 게임용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0783A
KR20060050783A KR1020050079740A KR20050079740A KR20060050783A KR 20060050783 A KR20060050783 A KR 20060050783A KR 1020050079740 A KR1020050079740 A KR 1020050079740A KR 20050079740 A KR20050079740 A KR 20050079740A KR 20060050783 A KR20060050783 A KR 20060050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read
reading
gam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9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부까쯔 히라노야
겐따로 하야시
고이찌로 하시모또
아끼라 시미즈
다까시 아베
겐이찌 후지모리
히데아끼 기시
Original Assignee
아르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5313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068135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5317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06814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5295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06812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5277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06810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5316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068140A/ja
Application filed by 아르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르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0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07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02Hardware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components, construction, architecture thereof
    • G07F17/3204Player-machine interfaces
    • G07F17/3211Display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02Hardware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components, construction, architecture thereof
    • G07F17/3216Construction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housing, seats, ergonomic aspects
    • G07F17/3218Construction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housing, seats, ergonomic aspects wherein at least part of the system is portabl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44Payment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payment schemes, setting payout ratio, bonus or consolation prizes

Abstract

게이머의 조작에 따라서 행동하는 행동체를 나타내는 행동체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수단과, 상기 행동체 화상을 이용한 화상 게임을 진행시키는 게임 진행 제어 수단을 갖는 게임기이며, 상기 행동체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기억한 피판독 대상물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수단과, 상기 판독 수단에 의해 상기 식별 정보의 판독이 행해지는 판독 위치에 상기 피판독 대상물이 설치되었을 때에 상기 피판독 대상물이 상기 판독 위치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의 검출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판독 수단에 상기 식별 정보의 판독을 지시하는 판독 지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를 제공한다.
행동체, 화상 표시 수단, 플레이기, 판독 수단, 검출 수단, 판독 지시 수단

Description

게임기, 게임 시스템 및 게임용 단말 장치{GAMING MACHINE, GAMING SYSTEM AND GAMING TERMINAL DEVICE}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게임 머신을 복수 구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게임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
도2는 복수의 게임 머신과 카드 판매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3은 게임 머신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4는 인증 유닛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5는 인증 유닛의 평면도.
도6은 도5의 Ⅵ-Ⅵ 단면도.
도7은 내부의 구성을 중심으로 도시하는 게임 머신의 블록도.
도8은 화상 제어 회로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9는 점포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10은 게임 서버 및 데이터 베이스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11a는 피겨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11b는 피겨의 바닥부를 나타내는 바닥면도.
도12는 인증 유닛에 피겨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3은 본 발명에 관한 게임용 단말 장치를 복수 구비한 제2 실시 형태에 관 한 게임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
도14는 제2 실시 형태의 게임 시스템에 있어서의 게임용 단말 장치의 내부 구성을 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15는 제2 실시 형태의 게임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 장치의 내부 구성을 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16은 포토 센서의 다른 형태를 도시하는 인증 유닛의 사시도.
도17은 도16의 XⅦ-XⅦ 단면도.
도18은 게임 머신에 있어서의 게임의 개시로부터 종료까지의 게임 처리의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19는 게임 개시 처리의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20은 캐릭터 생성 처리의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21은 게임 머신, 점포 서버 및 센터 서버의 사이에서 행해지는 동작 시퀀스를 도시하는 시퀀스 차트.
도22는 미궁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23은 내부의 구성을 중심으로 도시하는 게임 머신의 블록도.
도24는 인증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25는 인증 유닛의 평면도.
도26은 인증 유닛의 정면도.
도27은 피겨를 장식하는 장식광이 조사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28은 인증 유닛에 피겨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29는 인증 유닛의 평면도.
도30은 도29의 VI-VI 단면도.
도31은 내부의 구성을 중심으로 도시하는 게임 머신의 블록도.
도32는 인증 유닛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33은 게임 개시 처리의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34는 캐릭터 생성 처리의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35는 인증 유닛의 확대도.
도36은 도35에 도시한 인증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37a는 도35에 도시한 인증 유닛의 Ⅵ-Ⅵ선 단면도.
도37b는 인증 유닛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38은 캐릭터 생성 처리의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39a는 인증 유닛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39b는 인증 유닛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39c는 도39b의 인증 유닛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40은 광전달 부재에 빛이 통과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게임 머신
2 : 점포 서버
3 : 전용 회선
4 : 인터넷
6 : 카드 판매기
7 : 라우터
11 : 메인 디스플레이
12 : 서브 디스플레이
13L, 13R : 스피커
14 : 조작 패널
15 : 인증 유닛
16 : 코인 투입구
17 : ID 카드
18 : 카드 슬롯
19 : 조작 유닛
31 : 마이크로 컴퓨터
37 : 클록 펄스 발생 회로
38 : 분주기
40 : 게임용 피겨
51 : 다이 시트 장착부
52 : IC 칩 리더
53 : 가이드 부재
54 : 가이드 구멍
55 : 보유 지지 프레임
65 : 완전 컬러 LED
67 : 차광 시일
71 : 화상 제어 회로
72 : 소리 제어 회로
78 : 포토 센서
90 : 제어 장치
100 : 게임 시스템
101, 102 : 게임 서버
103 : 데이터 베이스 서버
104 : 센서 서버군
201, 301, 401 : CPU
202, 302, 402 : ROM
203, 303, 403 : RAM
206, 306, 406 : 데이터 기억부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2-63092호 공보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73042호 공보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2003-340139호 공보
[문헌 4] 일본 특허 제2702858호 공보
본 발명은, 게임에 등장하는 캐릭터 등의 행동체를 나타내는 화상을 이용하여 게임을 진행시키는 게임기, 게임 시스템 및 게임용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정보 기억 매체에 기억된 소정의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유닛을 구비하는 게임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기록 매체가 내장된 피겨(figure) 등의 피판독 대상물이 이용되는 게임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게이머가 조작하는 캐릭터에 관한 식별 정보를 기억한 IC 칩 등의 기록 매체를 내장한 카드, 피겨, 코인 등의 피판독 대상물로부터 식별 정보를 판독하여, 게임에 이용되는 캐릭터의 특정 및 캐릭터의 동작 제어를 하는 게임기가 있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6309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7304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3-340139호 공보, 일본 특허 제2702858호 공보 참조).
이 중 일본 특허 공개 제2002-63092호 공보에는 차를 모방한 완구에 기억된 식별 정보를 게임기의 판독 장치(리더·라이터 장치)가 검출하여, 이 식별 정보를 기초로 한 차의 화상을 게이머에게 조작시켜 운전 게임을 행할 수 있도록 한 게임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 게임기는 식별 정보를 기억한 비접촉 IC 카드를 내장하는 완구가 판독 장치의 소정 위치(이하「검출 위치」라 함)에 적재되면, 비접촉 IC 카드의 식별 신호를 판독 장치가 검출하여 식별 정보의 검출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3-340139호 공보의 메달 게임기에는, IC 칩 내장 메달 설치대가 설치되어 있고, IC 칩 내장 메달 설치대에는 피겨와 일체적으로 구성된 IC 칩 내장 메달을 적재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IC 칩 내장 메달 설치대에 IC 칩 내장 메달을 적재함으로써, IC 칩 내장 메달과 메달 게임기 사이에서의 데이터의 판독이나 기입에 의한 인증 작업이 행해진다.
그런데 이들의 게임기에 있어서, 메달이 언제 검출 위치에 놓여도 식별 정보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판독 장치가 항상 전파를 계속 송신해야만 하고, 또한 전파의 송신에 수반하는 처리가 필요해지므로, 이러한 처리를 항상 계속하면 판독 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의 소모나 열화가 빨라져 내구 연수의 저하를 생기게 할 가능성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3-340139에 개시된 메달 게임기에서는, IC 칩 내장 메달 설치대에 대하여 단순히 피겨와 일체적으로 구성된 IC 칩 내장 메달을 부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을 뿐이다. 이로 인해, IC 칩 내장 메달 설치대에 IC 칩 내장 메달을 설치했을 때, IC 칩 내장 메달과 메달 게임기 사이에서의 판독 작업이 정상적으로 행해지고 있는지의 여부를 게이머가 한눈에 판단하기는 어렵다.
또한, IC 칩 내장 메달 설치대에는 단순히 IC 칩 내장 메달과 일체화된 피겨가 설치될 뿐이다. 이로 인해, 일부러 IC 칩 내장 메달과 일체화된 피겨를 메달 게임기의 IC 칩 내장 메달 설치대에 설치하고 있음에도, 피겨를 설치함으로써 게이머의 기분을 고조시키기 위한 고안이 적다.
그래서, 어떠한 알림 수단을 이용하여 데이터 교환이 정상적으로 행해지고 있다는 취지를 게이머에게 알리고, 또한 빛 등을 이용한 장식 수단으로 IC 칩 내장 메달 설치대 상에 설치된 피겨를 장식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런데 이들의 알림 수단이나 장식 수단을 따로따로 설치하고 있으면, 부품 개수의 증대를 초래한다.
또한, 예를 들어 피겨에 장식광 등을 조사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런데 피겨를 장식광으로 장식할 때, 게이머의 기분을 고양할 정도의 장식광을 조사하려고 하면, 많은 및/또는 큰 광원이 이용되게 된다.
또한, 상술한 피겨 등에 내장되는 기록 매체가 비접촉형 IC 칩 등의 비접촉으로 데이터의 교환을 행하는 평판형의 기록 매체인 경우, 기록 매체의 주면이, 기록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를 판독하는 리더의 판독면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는 경우에는 기록 매체와의 사이에서 교신되는 신호의 강도 저하에 기인하여 리더에 의한 기록 매체의 캐릭터 데이터의 인식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또한, 게임을 하는 데 있어서 카드나 피겨 등을 판독 장치에 세트하여 식별 정보를 판독하게 할 필요가 있지만, 그를 위해서는 판독 장치에의 위치 정렬을 게이머가 정확하게 행해야만 해 게임 개시에 시간이 걸리는 경우가 있다. 특히 처음으로 그 게임을 하는 게이머는, 어떻게 세트하여 게임을 개시하면 좋은 것인지 이해할 수 없는 경우도 있어 게임의 재미를 감퇴시키는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드나 피겨 등의 피판독 대상물에 기억하는 식별 정보의 판독에 수반하는 판독 장치의 부하를 경감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게임기, 게임 시스템 및 게임용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게임기에 판독 작업이 행해지고 있는 것을 게이머에게 알리고, 또한 정보 기억 매체의 장식을 행할 수 있는 동시에, 부품 개수의 증대를 억제한 판독 유닛을 갖는 게임기를 제공한다.
또한, 카드나 피겨 등의 피판독 대상물에 기억된 식별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작업이 쉬워지는 게임기, 게임 시스템 및 게임용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기록 매체의 인식 정밀도의 향상이 도모된 게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대형 또는 다량의 광원을 이용하는 일없이, 피겨 등의 정보 기억 매체를 충분히 장식할 수 있는 판독 유닛을 구비하는 게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게이머의 조작에 따라서 행동하는 행동체를 나타내는 행동체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수단과, 행동체 화상을 이용한 화상 게임을 진행시키는 게임 진행 제어 수단을 갖는 게임기이고, 행동체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기억한 피판독 대상물로부터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수단과, 판독 수단에 의해 식별 정보의 판독을 행할 수 있는 판독 위치에 피판독 대상물이 설치되었을 때에 피판독 대상물이 판독 위치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검출 수단과, 그 검출 수단의 검출 신호를 기초로 하여 판독 수단에 식별 정보의 판독을 지시하는 판독 지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게임기에서는 피판독 대상물이 판독 위치에 설치되면 판독 수단이 식별 정보의 판독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식별 정보를 기억한 기억 장치를 구비하는 피판독부의 외형 형상에 대응한 오목부를 갖는 보유 지지 받침부를 더 구비하고, 판독 수단이, 피판독부를 오목부에 넣었을 때에 식별 정보를 판독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고, 검출 수단이, 오목부를 향한 피판독부의 진입 경로를 사이에 둔 위치에 배치된 발광부와 수광부를 갖고, 발광부에서 발한 빛을 수광부에서 수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도록 해도 된다.
이렇게 하면 식별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장치를 구비하는 피판독 대상물의 바닥부가 오목부로 진입하는 경로 도중에 발광부의 빛을 차단하고, 빛이 완전히 차단되어서 검출 수단이, 피판독 대상물이 판독 위치에 설치된 것을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식별 정보를 기억한 기억 장치를 구비하는 피판독부의 외형 형상에 대응한 오목부를 갖는 보유 지지 받침부를 더 구비하고, 판독 수단이, 피판독부를 오목부에 넣었을 때에 식별 정보를 판독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고, 검출 수단이, 오목부를 향한 피판독부의 진입 경로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발광부와 반사부와, 발광부로부터 반사부를 향해 발사된 입사광에 대한 반사광의 진행 방향에 배치된 수광부를 갖고, 그 수광부가 반사광을 수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식별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장치를 구비하는 피판독 대상물의 바닥부가 오목부로 진입하는 경로 도중에 발광부에서 발사된 빛을 가려 수광부에서 받는 반사광을 차단하기 때문에, 반사광이 수광부에 도달하지 않아 검출 수단이 피판독 대상물이 판독 위치에 설치된 것을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게이머의 조작에 따라서 행동하는 행동체를 나타내는 행동 체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수단과, 행동체 화상을 이용한 화상 게임을 진행시키는 게임 진행 제어 수단을 갖는 게임 시스템이고, 행동체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기억한 피판독 대상물로부터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수단과, 그 판독 수단에 의해 식별 정보의 판독이 행해지는 판독 위치에 피판독 대상물이 설치되었을 때에 피판독 대상물이 판독 위치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검출 수단과, 그 검출 수단의 검출 신호를 기초로 하여 판독 수단에 식별 정보의 판독을 지시하는 판독 지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게이머의 조작에 따라서 행동하는 행동체를 나타내는 행동체 화상을 이용한 화상 게임을 진행시켜 게임의 실행을 도모하는 게임 시스템의 게임용 단말 장치이고, 행동체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기억한 피판독 대상물로부터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수단과, 그 판독 수단에 의해 식별 정보의 판독이 행해지는 판독 위치에 피판독 대상물이 설치되었을 때에 피판독 대상물이 판독 위치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검출 수단과, 그 검출 수단의 검출 신호를 기초로 하여 판독 수단에 식별 정보의 판독을 지시하는 판독 지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게임 시스템이나 게임용 단말 장치에서는, 피판독 대상물이 판독 위치에 설치되면 판독 수단이 식별 정보의 판독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게임기는 소정의 식별 정보가 기억된 정보 기억 매체가 적재됨으로써, 정보 기억 매체에 있어서의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유닛을 구비하는 게임기이고, 판독 유닛이, 정보 기억 매체가 적재 가능하게 된 착석부와, 착 석부에 적재된 정보 기억 매체의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부와, 정보 기억 매체의 적재 위치에 장식광을 조사하는 장식광 조사부와, 게임기의 게임 상태에 따라서 빛을 표시하고, 게임기에 있어서의 게임 상태를 알리는 알림광 표시부를 구비하여, 장식광 조사부의 광원과 알림광 조사부의 광원은 공통된 광원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게임기는, 착석부에 적재되었을 때의 정보 기억 매체의 적재 위치에 장식광을 조사하는 장식광 조사부와, 게임기의 게임 상태에 따라서 빛을 점등 또는 점멸시킴으로써 표시하고, 게임기에 있어서의 게임 상태를 알리는 알림광 표시부를 구비하는 판독 유닛이 있다. 이로 인해, 게임기에 있어서 판독 작업이 행해지고 있는 것을 게이머에게 알리고, 또한 정보 기억 매체의 장식을 행할 수 있다.
그런데 이들의 장식광 조사부와 알림광 표시부가 별개로 설치되어 있으면, 각각에 대하여 광원이 필요해져 부품 개수의 증대를 초래하게 된다. 그 점에서 본 발명에 관한 게임기에 있어서는, 장식광 조사부의 광원과 알림광 조사부의 광원은 공통된 광원으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광원의 수의 증대를 방지할 수 있어, 부품 개수의 삭감에 기여할 수 있다.
여기서, 단일 광전달 부재에서의 광출사면을 차광 부재로 분리함으로써, 장식광 조사부와 알림광 표시부가 형성되어 있는 형태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일 광전달 부재에서의 광출사면을 차광 부재로 분리함으로써, 장식광 조사부와 알림광 표시부가 형성되어 장식광 조사부와 알림광 표시부를 별개 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부품 개수의 삭감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차광 부재가 암 색인 형태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광 부재가 암 색인 것에 의해, 장식광 조사부에서 조사되는 빛 및 알림광 표시부에서 표시되는 빛을 선명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암 색」이라 함은, 흑색, 진한 색 등, 빛의 콘트라스트를 강조하는 색을 말한다.
또한, 광전달 부재가 중실(中實)의 투명 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광원이 광전달 부재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두고 떨어져 배치되어 있는 형태로 할 수 있다.
광전달 부재가 중실의 투명 수지인 경우, 광원을 광전달 부재에 지나치게 근접시키면, 광전달 부재를 통과하는 빛이 선 형상에 가까워진다. 이로 인해, 장식광 조사부에서는 점 형상으로 빛이 조사되어 장식 효과가 낮아지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광원을 광전달 부재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두고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은 광전달 부재의 내부를 넓힌 상태에서 통과하고, 장식광 조사부로부터 조사되는 빛도 착석부의 주위로 넓어지게 된다. 따라서, 장식광에 의한 장식 효과를 높은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 말하는「투명」이라 함은 빛을 투과하면 좋으며, 예를 들어 반투명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광원은 복수 색의 빛을 출사 가능하고, 착석부에 적재된 정보 기록 매체의 종류, 또는 게임기에 있어서의 게임 상태에 따라서 출사하는 빛의 색을 변경하는 형태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광원이 복수 색의 빛을 출사 가능하고, 정보 기록 매체의 종류나 게임기의 게임 상태에 따라서 빛의 색을 변경 가능하게 함으로써, 정보 기록 매체의 종류나 게임 상태를 게이머에게 확실히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게이머의 조작에 따라서 행동하는 행동체를 나타내는 행동체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수단과, 행동체 화상을 이용한 화상 게임을 진행시키는 게임 진행 제어 수단을 갖는 게임기이고, 행동체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기억한 피판독 대상물로부터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수단과, 그 수단에 의해 식별 정보의 판독을 행할 수 있는 판독 위치에 상기 피판독 대상물을 안내하는 가이드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게임기에서는, 판독 수단에 의한 식별 정보의 판독 위치에 피판독 대상물을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수단이, 피판독 대상물의 바닥부에 대응한 형상의 개구부와, 그 개구부보다도 큰 개방단부와, 개방단부에서 개구부까지를 점차 직경을 축소하면서 연결되는 절구형 경사면을 갖도록 해도 된다. 이렇게 하면, 절구형 경사면이 피판독 대상물을 판독 위치로 안내한다.
또한, 가이드 수단의 절구형 경사면에 빛을 방출하는 광원을 더 구비하거나, 또한 가이드 수단이 광투과성 부재로 이루어져 가이드 수단의 절구형 경사면으로부터 빛을 투과시키는 광원을 더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이렇게 하면, 광원으로부터의 빛이 가이드 수단의 절구형 경사면으로부터 방출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게이머의 조작에 따라서 행동하는 행동체를 나타내는 행동체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수단과, 행동체 화상을 이용한 화상 게임을 진행시키는 게임 진행 제어 수단을 갖는 게임 시스템이고, 행동체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기억한 피판독 대상물로부터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수단과, 그 판독 수단에 의해 식별 정보의 판독이 행해지는 판독 위치에 피판독 대상물을 안내하는 가이드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게이머의 조작에 따라서 행동하는 행동체를 나타내는 행동체 화상을 이용한 화상 게임을 진행시켜 게임의 실행을 도모하는 게임 시스템의 게임용 단말 장치이고, 행동체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기억한 피판독 대상물로부터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수단과, 그 판독 수단에 의해 식별 정보의 판독이 행해지는 판독 위치에 피판독 대상물을 안내하는 가이드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게임 시스템이나 게임용 단말 장치에서는, 판독 수단에 의한 식별 정보의 판독 위치에 피판독 대상물을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게임기는 식별 정보를 기록한 피판독 대상물로부터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수단을 구비하고,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 게임을 진행시키는 게임기이고, 판독 수단은 피판독 대상물이 수용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구멍의 바닥부가 평탄한 탑재부와, 탑재부 구멍의 바닥부의 피판독 대상물이 탑재되는 탑재면의 반대면에 대면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반대면에 대면하는 회로면 위에 피판독 대상물로부터 식별 정보를 판독 가능한 판독 회로가 형성된 회로 기판을 갖고, 탑재부 구멍의 바닥부의 탑재면과 회로 기판의 회로면과의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게임기에 있어서는 피판독 대상물이 수용되는 탑재부의 바닥부의 탑재면 과 피판독 대상물로부터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회로 기판의 회로면과의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있다. 그로 인해, 바닥부의 탑재면과 회로 기판의 회로면이 평행하게 되어 있다. 또한, 탑재부의 바닥부의 탑재면에 대하여 평행해지도록 피판독 대상물을 수용한 경우, 그 피판독 대상물과 회로 기판의 회로면이 역시 평행해진다. 따라서, 피판독 대상물과 회로 기판 사이에서 교신되는 신호의 강도 저하가 유의하게 억제되어, 피판독 대상물로부터 높은 인식 정밀도로 식별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또한, 탑재부 구멍의 바닥부에 피판독 대상물을 수용했을 때에, 회로 기판의 판독 회로가 피판독 대상물로부터 식별 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 거리가 되도록 탑재부의 바닥부와 회로 기판이 근접한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탑재부의 바닥부에 탑재되는 피판독 대상물과 회로 기판의 판독 회로와의 사이에서 교신되는 신호의 강도 변동이 유의하게 향상되므로, 보다 뛰어난 인식 정밀도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탑재부의 바닥부와 회로 기판이 직접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피판독 대상물과 판독 회로 사이의 떨어진 거리의 관점에서, 뛰어난 인식 정밀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탑재부의 바닥부와 회로 기판이 박막 부재를 거쳐서 간접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박막 부재에 의해 바닥부와 회로 기판 사이에서의 완충을 도모하거나, 박막 부재에 소정의 인쇄를 하여 다양한 용도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회로 기판을 거쳐서 탑재부의 바닥부와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탑재부와 제1 연결 부재를 거쳐서 접속되는 동시에, 회로 기판과 제2 연결 부재를 거쳐서 접속된 부착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탑재부와 회로 기판이 근접하는 경우에는, 탑재부와 회로 기판을 제1 연결 부재나 제2 연결 부재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은 곤란하지만, 부착부의 채용에 의해 탑재부와 회로 기판이 근접한 경우라도, 제1 연결 부재 및 제2 연결 부재를 이용하여 탑재부와 회로 기판을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게임기는 소정의 식별 정보가 기억된 정보 기억 매체가 적재됨으로써, 정보 기억 매체에 있어서의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유닛을 구비하는 게임기이며, 판독 유닛이, 정보 기억 매체가 적재 가능하게 된 착석부와, 착석부에 적재된 정보 기억 매체의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부와, 착석부의 주위에 배치되어 정보 기억 매체의 적재 위치에 장식광을 조사하는 장식광 조사부가 형성된 광전달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장식광 조사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공급하는 광원이 설치되고, 광전달 부재에서의 장식광 조사부를 피한 위치에 광반사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보 기억 매체의 적재 위치에 장식광을 조사하는 장식광 조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판독부에 적재한 정보 기억 매체를 장식광에 의해 장식 조사할 수 있으므로, 게이머의 기분을 고조시킬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장식광 조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광전달 부재에서의 장식광 조사부를 피한 위치에 광반사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장 식광 조사부로부터 대량으로 조사할 수 있으므로, 대형 또는 다량의 광원을 이용하는 일없이, 피겨 등의 정보 기억 매체를 충분히 장식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광전달 부재에서의 장식광 조사부를 피한 위치」라 함은, 예를 들어 광전달 부재가 원주형이며, 그 상면이 장식광 조사부인 경우에는 측면부 및 밑면부가 되는 위치를 말한다. 또한, 하기 실시 형태에서는 대략 원주형의 광전달 부재의 상면에 절구형의 경사부(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경사부가 장식광 조사부로 되어 있다. 이에 대한「광전달 부재에서의 장식광 조사부를 피한 위치」라 함은 상면에서의 가이드 부재가 형성된 위치 이외의 위치, 측면 및 밑면이 된다.
여기서, 광원은 광전달 부재에서의 한쪽에 배치되어 있고, 광반사 부재는 광전달 부재에서의 광원이 배치된 위치에 대하여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형태로 할 수 있다.
광원을 광전달 부재에서의 한쪽에 배치함으로써, 광원을 한 군데에 집중시킬 수 있으므로 광원의 설치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는 동시에, 광원의 설치 작업이 쉬워진다. 여기서, 광원이 한쪽에 배치되어 있으면, 광전달 부재에서의 광원이 배치된 위치에 대하여 대향하는 위치가 어두워지게 되어, 장식광에 의한 장식 효과의 저감이 염려된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 관한 게임기에 있어서는, 광전달 부재에서의 광원이 배치된 위치에 대하여 대향하는 위치에 광반사 부재를 설치하고 있다. 이로 인해,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효율적으로 장식광 조사부에 모을 수 있다. 따라서 높 은 장식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광전달 부재에서의 장식광 조사부의 주위에 게임기의 게임 상태에 따라서 빛을 표시하여, 게임기에 있어서의 게임 상태를 알리는 알림광 표시부가 형성되어 있고, 광전달 부재에서의 광원이 배치된 위치에 대향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알림광 표시부를 숨기는 은폐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광반사 부재는 은폐 부재에 설치되어 있는 형태로 할 수도 있다.
광원이 광전달 부재의 한쪽에 배치되어 있으면, 그 위치에 대하여 대향하는 위치(대향 위치)에는, 광원으로부터의 빛이 닿기 어려워져 대향 위치에서의 광량이 적어져 버린다. 이로 인해, 장식광 조사부의 주위에 알림광 조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알림광 조사부에서의 광량이 적어져 알림광이 보이기 않게 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 관한 게임기에서는 광전달 부재에서의 상기 광원이 배치된 위치에 대향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알림광 표시부를 숨기는 은폐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이 은폐 부재에 의해, 알림광 표시부에서의 광량이 적어지는 부위를 덮어 숨길 수 있다. 따라서 알림광이 보이지 않게 된다고 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판독 대상물에 기억하는 식별 정보의 판독에 수반하는 판독 수단의 부하를 경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게임기에 판독 작업이 행해지고 있는 것을 게이머에게 알리고, 또한 정보 기억 매체의 장식을 행할 수 있는 동시에, 부품 개수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 다.
또, 행동체 화상에 대응한 피판독 대상물에 기억된 식별 정보를 판독 수단으로 판독하기 위한 작업이 쉬워진다.
또한, 기록 매체의 인식 정밀도의 향상이 도모된 게임기가 제공된다.
또한, 대형 또는 다량의 광원을 이용하는 일없이, 피겨 등의 정보 기억 매체를 충분히 장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이나, 성질, 여러 가지의 유리한 점 등은, 첨부되는 도면이나 이후에 계속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의 게임기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설계에 있어서의 여러 가지의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는 일없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동일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이용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게임 시스템의 전체 구성)
도1은 게임 머신(1)을 복수 구비한 게임 시스템(100)의 시스템 구성도, 도2는 복수의 게임 머신(1)과 카드 판매기(6)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게임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게임 시스템이며, 2개의 게임 점포 A, B에 각각 1대 및 2대 설치된 합계 3대의 점포 서버(2)와, 전용 회선(3)을 거쳐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8대)의 게임 머신(1) 및 카드 판매기(6)와, 게임 점포 A, B에 설치된 점포내 라우터(7)와, 점포내 라우터(7), 통신 회선 (4a) 및 인터넷(4)을 거쳐서 접속된 센터 서버군(5)을 갖고 있다.
각 게임 점포 A, B에서는 점포 서버(2)와, 게임 머신(1) 및 카드 판매기(6)가 전용 회선(3)에 의해 접속되어 점포내 LAN(Local Area Network)을 형성하고, 이 점포내 LAN이 점포내 라우터(7)를 거쳐서 인터넷(4)에 접속되어 있다.
게임 시스템(100)을 구성하고 있는 각 게임 머신(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게임기이고, 각 게임 머신(1)에는 자기 고유의 머신 ID가 부여되어 있다. 이 머신 ID는 각 점포 서버(2)에 고유의 서버 ID와, 각 게임 머신(1)에 고유의 ID를 갖고, 예를 들어 점포 A에 설치되어 있는 각 게임 머신(1)인 경우, A01, A02, A03…과 같이 되어 있다.
(게임 머신의 구성)
게임 머신(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게임기이고, 게임에 이용되는 게임 화상으로서, 게이머의 조작에 따라서 행동하는 캐릭터(본 발명에 있어서의「행동체」에 상당함)를 나타내는 캐릭터 화상(본 발명에 있어서의「행동체 화상」에 상당함)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수단을 갖고, 게이머의 조작에 따른 동작을 캐릭터에 행하게 하는 화상 게임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게임 머신(1)에서는, 게이머가 선택한 루트를 따라 캐릭터가 미궁 내를 이동하면서, 자기 이외의 다른 캐릭터[다른 게이머의 선택에 따라 동작을 하는 게이머 캐릭터나, 게임 머신이 동작을 하게 하는 논(non) 게이머 캐릭터]와 대전하여, 캐릭터가 갖는 아이템(본 실시 형태에서는 구슬)을 서로 빼앗아, 그 아이템을 전부 모은 뒤에 최종 목표인 캐릭터를 쓰러뜨리는 게임(이하,「미궁 대전 게임」이라 함 )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미궁 대전 게임에서는, 대전 결과나 게임의 진행 상황에 맞추어 각 캐릭터의 득점(본 실시 형태에서는「라이프」라 함)이 승강하여, 그 득점이 없어진 캐릭터가 패자가 되도록 되어 있다.
게임 머신(1)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10)의 정면에, 액정 표시 장치를 구비한 메인 디스플레이(11)를 갖고 있다. 또한, 메인 디스플레이(11)의 상측 부분에 동일하게 액정 표시 장치를 구비한 서브 디스플레이(12)를 갖고, 그 좌우 양측에 게임의 연출에 이용되는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13L, 13R)가 배치되어 있다.
메인 디스플레이(11)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수단이고, 게임의 각 스텝에 따른 게임 화상[예를 들어, 미궁 화상(150)(도22 참조) 등]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서브 디스플레이(12)는 게임의 특정 스텝에서의 전투 화상 등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게임 머신(1)은 메인 디스플레이(11)의 하측에 조작 패널(14)을 갖고, 이 조작 패널(14)의 좌측에 인증 유닛(15)이 배치되고, 우측에 게임을 실행할 때에 필요한 코인(코인, 게임용 메달 등의 게임 매체)을 투입하는 코인 투입구(16)와, ID 카드(17)를 삽입하기 위한 카드 슬롯(18)을 갖고, 조작 버튼 등을 구비한 조작 유닛(19)을 갖고 있다.
인증 유닛(15)은 미궁 대전 게임에 등장하는 복수의 캐릭터에 대응한 피겨(40)(본 발명에 있어서의「피판독 대상물」에 상당함)를 장착 가능한 구성을 갖고 있다. 피겨(4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이 시트부(41)와 피겨 본체부(42)(도11a 참조)를 갖고, 다이 시트부(41)의 바닥이 바닥부(45)가 된다.
인증 유닛(15)은 조작 패널(14)의 표면에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다. 인증 유닛(15)에는 게임 머신(1)에 의해 행해지는 미궁 대전 게임에 등장하는 복수의 캐릭터의 입체 형상을 나타낸 피겨(40)에 있어서의 다이 시트부(41)를 끼워 넣어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인증 유닛(15)의 구성은,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인증 유닛(15)은 미궁 대전 게임에 등장하는 복수의 캐릭터에 대응한 후술하는 피겨(40)를 적재하여, 피겨(40)의 IC 칩(44)에 기억된 피겨 ID(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부분이다.
인증 유닛(15)은 다이 시트 장착부(51)와, 피겨(40)에 기억된 피겨 ID(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IC 칩 리더(52)와, IC 칩 리더(52)에 의한 피겨 ID의 판독 가능한 위치에 피겨(40)가 설치된 것을 검출하는 포토 센서(78)를 구비한다. 이하, 인증 유닛(15)에 대하여 도4 내지 도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서술한다.
도4는 인증 유닛(15)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5는 인증 유닛(15)의 평면도, 도6은 도5의 VI-VI 단면도이다.
도7은 내부의 구성을 중심으로 도시하는 게임 머신(1)의 블록도이다. 게임 머신(1)은 마이크로 컴퓨터(31)를 중심으로 복수의 구성 요소를 구비하고 있다.
다이 시트 장착부(51)는 안쪽에 가이드 구멍(54)을 갖고, 투명 우레탄 등의 광투과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가이드 부재(53)와, 가이드 부재(53)를 주위 및 하방에서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프레임(55)과, 보유 지지 프레임(55)을 가이드 부재(53)와 함께 조작 패널(14)(도3 참조)에 고정하는 베이스(56)를 갖는다.
가이드 부재(53)는 가이드 구멍(54)을 안쪽에 갖는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전방측(게이머측)에 돌출부(53a)가 설치되고, 배면측에 폭이 넓어진 광폭부(53b, 53b)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53)는 돌출부(53a)의 하면이 보유 지지 프레임(55)에 조립 부착되고, 또한 광폭부(53b, 53b)가 협지되어 보유 지지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53)는 가이드 구멍(54)을 향한 베이스(56)측[보유 지지 프레임(55)의 시트부(55a)에 의해 폐색되어 있는 측]의 원형의 개구부(53d)와 개방되어 있는 측의 원형의 개방단부(53c)를 구비하고, 개방단부(53c)의 직경이 개구부(53d)의 직경보다도 크고, 개방단부(53c)와 개구부(53d) 사이의 주위측면이, 개방단부(53c)로부터 개구부(53d)를 향해 점차 직경을 축소하면서 연결되는 절구형 경사면(53e)으로 되어 있다. 개구부(53d)의 형상이 후술하는 피겨(40)의 바닥부(45)의 형상에 대응하고 있으며, 바닥부(45)가 삽입 관통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보유 지지 프레임(55)은 가이드 부재(53)를 둘러싸는 환형의 프레임(55b)과, 이 프레임(55b)의 안쪽에서 오목형으로 함몰되어 가이드 부재(53)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받침부(55a)와, 보유 지지 받침부(55a)의 안쪽 대략 중앙에 단차를 갖고 형성된 원주형의 오목부(55f)를 구비한다. 오목부(55f)의 개구가 가이드 부재(53)의 개구부(53d)의 형상에 대응한 동심으로, 동일 직경의 원형으로 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55f)의 바닥이 개구부(53d)에 대응한 원형의 평면으로 되어 있고, 오목부(55f)의 주위측면이 개구부(53d)에 대응한 원주면으로 되어 있다. 그로 인해 오목부(55f)는 피겨(45)의 바닥부(45)의 외형 형상에 대응하여 바닥부(45)가 넣어지 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IC 칩 리더(52)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판독 수단으로, 볼록형 기판에 안테나나 무선 회로 등을 구비하여, 피겨(40)의 바닥부(45)를 오목부(55f)에 넣었을 때에 피겨 ID의 판독이 가능해지도록 안테나가 오목부(55f)의 바닥의 중심 부근에 위치하도록 베이스(56)에 고정되어 구성되어 있다. 또, 바닥부(45)가 오목부(55f)에 수용되었을 때에, 그 위치에서 IC 칩 리더(52)에 의한 피겨 ID의 판독이 가능해지므로, 그 위치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판독 위치가 된다.
IC 칩 리더(52)는, 이 안테나에 의해 피겨(40)에 내장되는 후술하는 IC 칩(44)으로부터 피겨 ID를 판독하도록 되어 있다.
포토 센서(78)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검출 수단이며, 적외선 등의 빛을 수광부(59b)를 향해 발하는 발광부(59a)와, 발광부(59)로부터의 빛을 수광 가능한 수광부(59b)를 갖는다. 또한, 발광부(59a)가 가이드 부재(53)의 배면측의 절구형 경사면(53e)에 설치되어 있고, 수광부(59b)가 개구부(53d)를 사이에 두고 발광부(59a)에 대향하는 위치의 절구형 경사면(53e)에 설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포토 센서(78)는 오목부(55f)를 향한 바닥부(45)의 진입 경로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발광부(59a)와 수광부(59b)가 배치되어 있고, 바닥부(45)를 오목부(55f)에 넣었을 때에 피겨(40)에 의해 수광부(59b)에서 받는 빛이 가려져, 피겨(40)가 판독 위치에 설치된 것을 검출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53)의 배면측 후방에 일정한 간극(D)(5㎜ 정도)을 두고 광원이 되는 완전 컬러 LED(65)는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53)의 외주면 중, 보유 지지 프레임(55)에 의해 둘러싸여 있지 않은 부위에 절구형 경사면(53e)을 제외하고 흑색의 차광 시일(67)이 접착되어 있다. 완전 컬러 LED(65)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회로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가이드 부재(53)를 향해 빛을 방출한다. 그러면, 가이드 부재(53)를 투과한 빛이 절구형 경사면(53e)으로부터 방출된다.
도7은 내부의 구성을 중심으로 도시하는 게임 머신(1)의 블록도이다. 게임 머신(1)은 마이크로 컴퓨터(31)를 중심으로 복수의 구성 요소를 구비하고 있다.
마이크로 컴퓨터(31)는 메인 CPU(Central Processing Unit)(32)와, RAM(Random Access Memory)(33)과, ROM(Read Only Memory)(34)을 갖고 있다. 메인 CPU(32)는 ROM(34)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따라 작동하고, I/O 포트(39)를 거쳐서 조작 패널(14)에 설치된 각 구성 요소로부터 신호를 입력하는 한편, 다른 구성 요소와의 신호의 입출력을 행하고, 게임 머신(1) 전체의 동작 제어를 행한다. RAM(33)은 메인 CPU(32)가 작동할 때에 이용하는 데이터나 프로그램[본 실시 형태에서는, 후술하는 애플리케이션 데이터(application data)]이 기억된다. ROM(34)에는 메인 CPU(32)가 실행하는 제어 프로그램과, 항구적인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또한, 게임 머신(1)은 난수 발생기(35)와, 샘플링 회로(36)와, 클록 펄스 발생 회로(37)와, 분주기(38)를 갖고 있다. 난수 발생기(35)는 메인 CPU(32)의 지시에 따라 작동하여 일정 범위의 난수를 발생시킨다. 샘플링 회로(36)는 메인 CPU(32)의 지시에 따라 난수 발생기(35)가 발생시킨 난수 중에서 임의의 난수를 추출하여, 그 추출한 난수를 메인 CPU(32)에 입력한다. 클록 펄스 발생 회로(37)는 메인 CPU(32)를 작동시키기 위한 기준 클록을 발생시키고, 분주기(38)는 그 기준 클록을 일정 주기로 분주(分周)한 신호를 메인 CPU(32)에 입력한다.
또한, 게임 머신(1)은 터치 패널(11a)과, 코인 센서(16a)와, 카드 리더(18a)와, 통신 제어부(21) 및 통신 처리부(22)를 갖고, 또한 화상 제어 회로(71)와, 소리 제어 회로(72), 전술한 인증 유닛(15)을 갖고 있다.
터치 패널(11a)은 조작 수단으로, 메인 디스플레이(11)의 표시 화면을 덮도록 설치되어 있고, 게이머의 손가락이 닿은 부위의 위치를 검출하여, 그 검출한 위치에 대응한 위치 신호를 메인 CPU(32)에 입력한다. 게이머는 이 터치 패널(11a)을 이용하여 캐릭터의 동작을 정하기 위한 조작 입력을 한다. 예를 들어, 터치 패널(11a)은 직사각형의 투명판 표면에 도전 물질을 도포하고 있고, 그 투명판의 네 구석에 배치된 전극으로부터 전압을 걸어, 게이머의 손가락이 닿음에 따른 미약한 전류 변화를 전극으로 검지하여, 게이머의 손가락 닿은 부위의 위치를 검출한다.
코인 센서(16a)는 코인 투입구(16)로부터 투입된 코인을 검출하여, 그 검출에 대응하는 검출 신호를 메인 CPU(32)에 출력한다. 카드 리더(18a)는 카드 슬롯(18)에 삽입된 ID 카드(17)에 기록되어 있는 게이머 ID 등의 카드 정보를 판독하여, 그 판독한 카드 정보를 메인 CPU(32)에 입력한다.
통신 제어부(21)는 메인 CPU(32)의 지시에 따라 작동하여, 점포 서버(2)와 통신을 하기 위한 회선의 접속 및 절단을 제어한다. 통신 처리부(22)는 통신 제어부(21)의 지시에 따라 작동하여, 전용 회선(3)을 거쳐서 행해지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실행한다.
화상 제어 회로(71)는 메인 디스플레이(11), 서브 디스플레이(12)의 각각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를 제어하여, 캐릭터를 나타내는 화상 등의 각종 화상을 메인 디스플레이(11), 서브 디스플레이(12)에 표시시킨다.
이 화상 제어 회로(71)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제어 CPU(71a), 워크 RAM(71b), 프로그램 ROM(71c), 화상 ROM(71d), 비디오 RAM(71e) 및 VDP(Video Display Processor)(71f)를 갖고 있다. 화상 제어 CPU(71a)는 마이크로 컴퓨터(31)에서 설정된 파라미터를 기초로 하여, 프로그램 ROM(71c)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메인 디스플레이(11), 서브 디스플레이(12)에서의 표시에 관함] 화상 제어 프로그램을 따라 메인 디스플레이(11), 서브 디스플레이(12)에 표시되는 화상을 결정한다. 워크 RAM(71b)은 화상 제어 CPU(71a)가 화상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의 일시 기억 수단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프로그램 ROM(71c)은 화상 제어 프로그램이나 각종 선택 테이블 등을 기억하고 있다. 화상 ROM(71d)은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도트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다. 비디오 RAM(71e)은 VDP(71f)에 의해 화상을 형성할 때의 일시 기억 수단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VDP(71f)는 제어 RAM(71g)을 갖고, 화상 제어 CPU(71a)에서 결정된 메인 디스플레이(11), 서브 디스플레이(12)의 표시 내용에 따른 화상을 형성하고, 그 형성된 각 화상을 메인 디스플레이(11), 서브 디스플레이(12)에 출력한다.
소리 제어 회로(72)는 스피커(13L, 13R)에서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음성 신호를 스피커(13L, 13R)에 입력한다. 스피커(13L, 13R)에서는, 예를 들어 게임 개시 후, 적당한 시기에 게임을 고조시키기 위한 음성이 출력된다.
인증 유닛(15)은 IC 칩 리더(52), 완전 컬러 LED(65), 전술한 포토 센서(78)를 구비한다. IC 칩 리더(52)는 피겨(40)의 피겨 ID를 판독하여 메인 CPU(32)에 입력한다. 또한, 완전 컬러 LED(65)는 메인 CPU(32)로부터의 발광의 지시를 따라 빛을 발한다. 그리고 포토 센서(78)는 피겨(40)가 판독 위치에 설치된 것을 검출한다.
(점포 서버, 카드 판매기, 점포내 라우터의 구성)
점포 서버(2)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CPU(201), ROM(202), RAM(203), 통신 처리부(204), 통신 제어부(205) 및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는 데이터 기억부(206)를 갖고 있다. 그리고 CPU(201)가 ROM(202)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따라 RAM(203)에 데이터를 읽고 쓰면서 작동하고, 한편 통신 제어부(205)가 CPU(201)의 지시를 따라 통신 처리부(204)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점포 서버(2)는, 각 게임 점포 A, B에 설치되어 있는 각 게임 머신(1)과 전용 회선(3)을 거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고, 각 게임 머신(1)에의 애플리케이션 데이터의 송신(다운로드)이나, 각 게임 머신(1)끼리 및 센터 서버군(5)에 있어서의 데이터 송수신의 중계를 행한다.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는, 게임 머신(1)에서 행해지는 미궁 대전 게임의 실행에 이용되는 각종 데이터(게임용 화상 데이터)와, 보드용 데이터[조작 유닛(19)에 구비되어 있는 조작 버튼을 미궁 대전 게임에 대응시키는 설정용 프로그램]가 포함되어 있다.
카드 판매기(6)는 게이머가 개인 정보의 입력 조작을 행하는 조작부와 카드 발행 수단을 갖고, 그 조작부를 이용한 소정의 입력 조작에 의해 카드 발행 수단이 각 게이머 고유의 게이머 ID를 포함하는 카드 정보를 기억시켜 ID 카드(17)를 발행한다.
점포내 라우터(7)는 각 게임 점포 A, B에 형성되어 있는 점포내 LAN과, 통신 회선(4a) 및 인터넷(4)을 거쳐서 센터 서버군(5)에 형성되어 있는 LAN을 접속하고 있다.
(센터 서버군의 구성)
센터 서버군(5)은, 게임마다 대응하여 설치된 복수의 게임 서버[도1에서는, 2대의 게임 서버(101, 102)]와, 데이터 베이스 서버(103)를 갖고, 각 게임 서버가 전용 회선(104)을 거쳐서 접속되어 LAN을 형성하고, 그 LAN이 도시하지 않은 라우터를 거쳐서 인터넷(4)에 접속되어 있다.
게임 서버(101)는 미궁 대전 게임을 실행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고,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CPU(301), ROM(302), RAM(303), 통신 처리부(304), 통신 제어부(305) 및 데이터 기억부(306)를 갖고 있다. 그리고 게임 서버(101)에서는 CPU(301)가 ROM(302)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따라 RAM(303)에 데이터를 읽고 쓰면서 작동하고, 한편 통신 제어부(305)가 CPU(301)의 지시를 따라 통신 처리부(304)를 작동시킨다.
게임 서버(101)는 각 점포 서버(2)와 인터넷(4)을 거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그리고 각 게임 머신(1)으로부터 송신되는 후술하는 엔트리 데이터를 수신하여 게이머의 미궁 대전 게임에의 참가(엔트리) 접수 및 게이머의 참가 정보의 갱신을 행해, 대전 상대가 되는 게이머를 결정하여, 그 결과를 데이터 베이스 서버 (103)에 송신한다.
게임 서버(102)는 다른 게임을 실행하기 위해 설치된 것으로, 게임 서버(101)와 비교하여 기억하고 있는 데이터나 프로그램이 다르지만,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데이터 베이스 서버(103)는, CPU(401), ROM(402), RAM(403), 통신 처리부(404), 통신 제어부(405) 및 데이터 기억부(406)를 갖고 있다. 그리고 데이터 베이스 서버(103)에서는, CPU(401)가 ROM(402)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따라 RAM(403)에 데이터를 읽고 쓰면서 작동하고, 한편 통신 제어부(405)가 CPU(401)의 지시를 따라 통신 처리부(404)를 작동시키고, 각 점포 서버(2)와 인터넷(4)을 거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데이터 기억부(406)에는 게이머 ID, 게이머의 인증에 이용되는 패스워드, 게임의 종별 및 게임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게이머 ID는 게임 머신(1)에 의해 ID 카드(17)로부터 판독하여 송신된 것이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데이터 베이스 서버(103)에는 각 게이머가 게임 머신(1)에 있어서 자기가 사용하는 피겨(40)를 인증 유닛(15)에 세트하고, 피겨 ID를 판독하게 함으로써, 그 판독하게 한 피겨(40)에 대응하는 피겨 ID가 게임 머신(1)으로부터 송신되도록 되어 있다. 데이터 베이스 서버(103)는 게임 머신(1)으로부터 송신되는 1개의 게이머 ID에 대하여, 대응하는 복수의 피겨 ID를 관련지어 기억 가능한 ID 관리 파일이 데이터 기억부(406)에 형성되어 있다. 이 ID 관리 파일에 의해, 게이머 및 그 게이머가 사용하는 피겨를 관리하도록 하고 있다. 이 ID 관리 파일은 후술하는 게이머의 인증 및 피겨의 인증에서 이용된다.
게임 데이터는 미궁 대전 게임에 등장하는 복수의 캐릭터에 대하여, 피겨(40)가 나타내는 캐릭터 등의 각 캐릭터를 특징짓는 캐릭터 고유의 데이터[각 캐릭터의 코스튬(costume), 코스튬 컬러나, 방어 파라미터, 공격 파라미터 및 공격 범위를 포함하는 캐릭터 능력치, 특수 능력 등을 나타내는 정보, 이하「피겨 정보」라 함]와, 각 게이머에 의한 미궁 대전 게임의 이력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이 게임 데이터는 데이터 베이스 서버(103)로부터 게임 머신(1)에 송신되어, 미궁 대전 게임에서 이용된다.
(피겨의 구성)
도11a는 피겨(40)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피겨(40)는 다이 시트부(41)와 미궁 대전 게임에 등장하는 각 캐릭터의 입체 형상을 나타낸 피겨 본체부(42)를 갖고 있다.
다이 시트부(41)는 다이 시트 장착부(51)에 대응한 크기를 갖고, 중공(中空)의 두꺼운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이 시트부(41)는 천정부(43a)를 갖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다이 시트 본체부(43)와 IC 칩(44)을 갖고, 다이 시트 본체부(43)의 천정부(43a)의 대략 중앙에 돌기부(43b)가 설치되어 있고, 다이 시트 본체부(43)의 개방단부에 IC 칩(44)이 끼워 넣어 고정되어 있다. 또한, 개방단부의 외주에 환형의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바닥부(45)를 구성하고 있다. IC 칩(44)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기억 장치에 상당하고, 피겨 본체부(42)에 대응하는 캐릭터에 고유의 피겨 ID를 기억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피겨 ID가 캐릭터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에 상당한다. 또, IC 칩(44)이 끼워 넣어져 있는 바닥부(45)가 본 발명 에 있어서의 피판독부에 상당한다.
피겨 본체부(42)는 돌기부(43b)에 대응하는 오목부(46a)를 갖는 다리 시트부(46)와, 다리 시트부(46)로부터 2개의 발로 직립하도록 형성되어, 미궁 대전 게임에 등장하는 각 캐릭터를 본뜬 인형부(47)를 갖고, 오목부(46a)에 돌기부(43b)가 끼워 넣어져 다이 시트부(41)의 천정부(43a)에 고정되어 있다. 또, 피겨(40)는 직경 대략 7㎝의 도시하지 않은 캡슐에 수용되어, 카드 판매기(6)와 동등한 판매기로 판매되도록 되어 있다. 각 캡슐에는 극히 일부에 몬스터 피겨가 수용되어 있으므로, 피겨(40)를 사용하는 경우(후술하는 피겨 있음 모드)에서는, 몬스터 피겨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가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동일한 캐릭터라도 미묘하게 색깔을 바꾸거나, 피겨 정보를 바꾸는 등 하여 캐릭터의 고유성을 표현하여, 게이머의 수집 의욕을 촉진하도록 하고 있다.
피겨(40)는 피겨 본체부(42)의 형상에 의해 게이머가 구별 가능하고, 피겨 ID에 의해 게임 머신(1)이 구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피겨 ID는, 다른 피겨(40)에 대하여 유니크(고유)로 하여, 게임 시스템(100)에 있어서의 동일 피겨의 다중 등록을 금지하도록 하고 있다.
도11b는 IC 칩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피겨(40)의 바닥면도이다. 바닥면(45)에는, 직경이 W(예를 들어, 약 30 mm)인 프린트 기판(86)이 부착되어 있다. 이 프린트 기판(86)은 각 캐릭터의 데이터가 입력되어 있지만 시일형으로 되어 있다. 즉, 어느 정도의 유연성을 갖고 한쪽면이 접착면이 되어 바닥면(45)에 접착되어 있다. 환언하면, IC 칩이 다이 시트부(41)에 시일로서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시일 (86)의 표면에는 사용되는 캐릭터의 일러스트를 인쇄해 둘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일(86)의 직경은 바닥부(45)의 직경보다도 작지만, 대략 동일한 직경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시일(86)의 모서리에 내용 데이터를 판별할 수 있도록 색 분리할 수도 있다. 또한, 1개의 캐릭터에 대해 파라미터가 다른 3 종류의 것을 준비할 수도 있다. 상기 캐릭터 중에서 바리에이션을 갖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도39b는 피겨 본체(42)를 갖는 피겨(40)가 인증 유닛(15)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39c는 그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피겨 본체(42)의 하부에 있는 다이 시트부(41)는 인증 유닛(15)의 오목부에 수납되어 있다. 이 오목부의 바닥부에는 빛이 투과할 수 있는 구멍 혹은 투광성 부분(82)이 있다. 이러한 부분은 카메라 홀이라 해도 좋으며, 이 하부에 인증용 카메라를 부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다이 시트부(41)의 이면의 인쇄 화상을 직접 판독할 수 있는 것이다. 인증용 카메라의 근방에는 IC 칩 리더(52)가 배치되어, 인쇄면의 판독과 IC 칩의 데이터 판독을 동시에 행할 수 있다.
도37b는 동일한 인증 유닛(15)의 단면을 도시한다. 상술된 도6 등과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생략하지만, 가이드 구멍(54)의 착석부(58)에 투광성 부분(84)이 배치되고, IC 칩 리더(52)의 상면에도 투광성 부분(82)이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들은 개구부라도 좋다.
이상,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게임 머신(1)은 인증 유닛(15)에 포토 센서(78)를 구비한다. 이 포토 센서(78)는 발광부(59a)와 수광부(59b)가 개구부(53d)를 사 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절구형 경사면(53e)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피겨(40)의 바닥부(45)가 오목부(55f)에 수용되면, 인증 유닛(15)에 피겨(40)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은 피겨(40)의 다이 시트부(41)가 포토 센서(78)의 빛을 가리는 상태가 된다. 그에 의해 포토 센서(78)는 피겨(40)가 판독 위치에 설치된 것을 검출하여, 검출 신호를 메인 CPU(32)에 출력한다. 검출 신호가 입력된 메인 CPU(32)가 IC 칩 리더(52)에 피겨 ID의 판독을 지시한다.
한편, IC 칩 리더(52)는 메인 CPU(32)로부터의 지시를 받아 비로소 작동하여 피겨 ID를 판독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므로, 항상 판독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부하가 경감되어, 구성 부품의 소모나 열화가 억제된다.
(게임 머신의 동작 내용)
다음에, 이상의 구성을 갖는 게임 머신(1)의 동작 내용에 대하여, 도18 내지 도20에 도시하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점포 A에 설치되어 있는 4대의 게임 머신(1) 중 1대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18은 게임 머신(1)에 있어서의 게임의 개시로부터 종료까지의 게임 처리의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또, 도18 및 후술하는 도19, 도20에서는 스텝을 S라 줄여 기록하고 있다.
게임 머신(1)은 전원 투입 시에 점포 서버(2)에 대하여 애플리케이션 데이터의 다운로드 요구를 송신하고[후술하는 스텝(100)], 한편 점포 서버(2)가 다운로드 요구를 수신하면, 다운로드 요구를 송신해 온 게임 머신(1)에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송신한다(도21 참조).
게임 머신(1)은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수신하면, 그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RAM(33)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게임 머신(1)에서는, 메인 CPU(32)가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판독하면, 본 발명에 있어서의 게임 진행 제어 수단으로서 작동하여, 게이머의 조작 입력에 따라서 미궁 대전 게임을 진행시킨다. 각 게임 머신(1)은 점포 서버(2) 및 센터 서버군(5)을 거쳐서 서로 동기를 취하면서, 메인 디스플레이(11)에 게임 화상을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각 게임 머신(1)은 게임 처리를 개시하면, 스텝 1로 진행하여 코인 투입, ID 카드의 삽입, 패스워드 입력, 캐릭터 인증 생성 처리를 포함하는 후술하는 게임 개시 처리를 행한다. 스텝 2에서는, 게임 개시 처리의 결과로부터, 후술하는 피겨 있음 플랙에 소정의 데이터가 세트되어 있는지의(세트 있음) 여부를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에 따라서 스텝 3, 4로 처리를 분기시켜(피겨 있음 플랙의 세트 있음일 때는 스텝 3, 그렇지 않을 때는 스텝 4), 어느 하나의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어, 스텝 3의 피겨 있음 게임 처리에서는 화상 제어 회로(71)에 지시하여 메인 디스플레이(11)에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미궁 화상(150)과 게이머의 조작에 따라서 행동하는 캐릭터를 도시하는 캐릭터 화상(151)을 표시시켜, 이들의 화상을 이용한 화상 게임이 메인 CPU(32)에 의해 진행된다. 또, 화상 게임의 진행 중에 메인 CPU(32)가 완전 컬러 LED(65)의 구동 회로(도시하지 않음)에 지시하여 게임의 연출 효과를 높이는 빛을 방출시켜도 좋다. 예를 들어, 게이머가 조작하는 캐릭터의 공격에 맞추어 완전 컬러 LED(65)를 점등시키거나, 공격을 받은 경우에 점멸시키거나 해도 좋다.
스텝 3에 이어지는 스텝 5에서 피겨 있음 플랙을 클리어한 다음 스텝 6으로 진행하고, 대전 성적 등의 게임 결과(대전 결과)의 표시를 행하는 한편, 데이터 베이스 서버(103)에 있어서, 게임 데이터를 갱신시키기 위해, 대전 결과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점포 서버(2)를 경유하여 데이터 베이스 서버(103)에 송신하는 후처리를 행해 처리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게임 머신(1)에서는 피겨 있음 모드, 피겨 없음 모드 중 어느 한 모드로 미궁 대전 게임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단, 피겨 있음 모드에서는 피겨 없음 모드보다도 게임 내용이 게이머에게 있어서 유익해지도록 되어 있다.
(게임 개시 처리)
스텝 1의 게임 개시 처리는 도19에 도시하는 흐름도를 따라서 행해진다. 도19는 게임 개시 처리의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20은 캐릭터 인증 생성 처리의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메인 CPU(32)는 게임 개시 처리를 개시하면 스텝 61로 진행하여, 메시지 출력 처리를 행하고, 화상 제어 회로(71)에 지시하여 메인 디스플레이(11)에 소정의 메시지(코인 투입 요구, ID 카드의 삽입 요구 및 패스워드의 입력 요구)를 표시시킨다. 계속해서, 스텝 62, 64로 처리를 실행한다.
게이머는 게임을 개시하기 위해서는, 코인을 코인 투입구(6)로부터 투입하는 동시에 ID 카드(17)를 카드 슬롯(18)에 삽입하고, 조작 유닛(19)을 이용하여 패스워드를 입력한다. 그러면, 투입된 코인의 검출 신호가 코인 센서(16a)로부터 메인 CPU(32)에 입력되고, 카드 리더(18a)로부터는 ID 카드(17)에 기억되어 있는 카드 정보가 입력된다. 또한, 조작 유닛(19)으로부터 패스워드가 입력되고, 이들 모든 입력이 있으면 스텝 64로 진행하여, 메인 CPU(32)가 통신 제어부(21)에 지시하여 통신 처리부(22)를 작동시켜, 판독한 카드 정보 및 입력된 패스워드를 점포 서버(2)로 송신한다.
계속되는 스텝 65에서는, 후술하는 응답 신호를 센터 서버(5)로부터 수신할 때까지 대기하여, 그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스텝 66으로 진행한다. 스텝 66에서는 피겨 있음, 없음과, 응답 신호로부터 인증 완료의 여부(이미 피겨 ID를 판독하여 등록 완료)를 구별하여, 선택 가능한 각종 캐릭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시키는 선택 화면의 표시를 메인 디스플레이(11)에서 행하기 위한 지시를 행하고, 계속되는 스텝 67에서는 터치 패널(11a)의 터치가 있을 때까지 대기하여, 터치가 있으면 스텝 68로 진행하여, 스텝 68에서 피겨 있음을 선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피겨 있음을 선택한 경우에는 스텝 69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스텝 70으로 진행한다. 스텝 69로 진행하면, 후술하는 캐릭터 생성 처리를 행하고, 스텝 70에서는 피겨 불사용에 의한 캐릭터 생성 지시(논 피겨의 캐릭터 생성 지시) 데이터를 후술하는 엔트리 데이터에 세트하고, 모두 후속 스텝 71로 진행한다. 상세하게는, 스텝 68에서는 처음으로 피겨를 이용할 때 및 이미 인증이 완료된 피겨가 있어, 그 인증이 완료된 피겨와는 다른 피겨를 이용할 때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도 게이머에 의해 피겨 있음이 선택되면, 스텝 69로 진행하여 캐릭터 생성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처음부터 피겨를 이용하지 않을 때 및 이미 인증이 완료된 피겨가 있는 데 그 피겨를 이용하지 않을 때는 게이머에 의해 피겨 없음이 선택되면, 스텝 70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스텝 69로 진행하면, 메인 CPU(32)는 도20에 도시하는 흐름도를 따라서 캐릭터 생성 처리를 행한다. 이 처리를 개시하면, 스텝 81로 진행하여 피겨의 세트 요구 메시지 출력 처리를 행한다. 여기서는, 메인 CPU(32)가 화상 제어 회로(71)에 지시하여 메인 디스플레이(11)에 피겨(40)를 인증 유닛(15)에 장착하고, 피겨 ID를 판독하는 세팅을 요구하는 메시지(예를 들어, "피겨의 다이 시트를 조작 패널 상의 인증 유닛에 세트해 주세요. 피겨의 인증이 시작되면, 인증 유닛이 밝게 점등하므로 빛이 꺼질 때까지 피겨를 제거하지 말아 주세요.")를 표시시킨다. 게이머가 표시되는 메시지를 따라 피겨(40)를 인증 유닛(15)에 세트하면, 인증 유닛(15)의 포토 센서(78)가, 피겨(40)가 판독 위치에 설치된 것을 검출하여 검출 신호를 메인 CPU(32)에 출력한다.
스텝 85에서 메인 CPU(32)는 피겨(40)가 판독 위치에 설치된 것의 검출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대기하여, 포토 센서(78)로부터의 검출 신호가 입력되면 스텝 86으로 진행한다.
스텝 86에서 메인 CPU(32)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판독 지시 수단으로서 작동하여, IC 칩 리더(52)에 피겨 ID의 판독 지시를 행한다.
IC 칩 리더(52)는 메인 CPU(32)로부터의 판독 지시를 받아 비로소 컨트롤러(도시하지 않음)가 작동하고, IC 칩(44)으로부터 피겨 ID를 판독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어, IC 칩 리더(52)의 안테나 근방에 유도 전자계를 발생시키는 처리를 행하거나, 피겨 ID를 판독하기 위해 필요해지는 신호를 IC 칩(44)에 송신하 기 위한 처리 등을 행한다. IC 칩 리더(52)는 IC 칩(44)으로부터 판독한 피겨 ID를 메인 CPU(32)에 출력한다.
이와 같이, 게임 머신(1)은 피겨(40)가 판독 위치에 설치된 것을 검출하는 포토 센서(78)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받아 비로소 IC 칩 리더(52)가 작동하여, IC 칩(44)에 기억되어 있는 피겨 ID의 판독이 행해진다. 그로 인해, IC 칩 리더(52)가 항상 작동하고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IC 칩 리더(52)에 걸리는 부하가 감소하여, IC 칩 리더(52)의 구성 부품의 소모나 열화를 경감한다.
스텝 87에서 메인 CPU(32)는 피겨 ID가 입력될 때까지 대기하여, IC 칩 리더(52)로부터 피겨 ID가 입력되면, 스텝 88로 진행한다.
스텝 88에서는 메인 CPU(32)가 판독한 피겨 ID를 포함하는 캐릭터 생성 지시 데이터를 엔트리 데이터에 세트하고, 계속되는 스텝 89에서는 인증 유닛(15)에 의한 피겨(40)의 피겨 ID의 판독(피겨의 세팅)이 행해진 것을 나타내는 피겨 있음 플랙에 소정의 데이터(본 실시 형태에서는 "1")를 세트하여, 스텝 89를 실행하면 캐릭터 생성 처리가 종료된다.
스텝 71(도19)로 진행하면, 메인 CPU(32)가 통신 제어부에 지시하여 통신 처리부(22)를 작동시켜, 엔트리 데이터를 점포 서버(2)로 송신한다. 스텝 71이 종료되면, 게임 개시 처리가 종료된다.
이와 같이, 게임 머신(1)은 피겨의 세팅이 행해졌을 때에 피겨 있음 플랙에 소정의 데이터를 세트하도록 하고 있다. 일단, 피겨의 세팅을 행하면, 캐릭터 생성 지시 데이터를 포함하는 엔트리 데이터가 점포 서버(2)를 거쳐서 데이터 베이스 서버(103)에 송신되고, 데이터 베이스 서버(103)에 있어서 그 피겨 ID가 그 세팅을 행한 게이머 고유의 게이머 ID에 관련지어 ID 관리 파일에 기억되고, 그 피겨를 인증이 완료되었는지 여부의 판단에 이용된다. 또한, ID 관리 파일에 의한 피겨의 인증이 완료되었는지 여부의 판정 결과가 응답 신호로서 데이터 베이스 서버(103)로부터 송신되므로, 게이머는 인증 완료된 피겨에 대응하는 캐릭터를 선택하여 미궁 대전 게임을 행할 수 있다. 단, 피겨의 세팅을 하지 않으면, 피겨 있음 플랙의 세트가 행해지지 않으므로, 가령 피겨의 인증이 완료되어도 미궁 대전 게임을 피겨 있음 모드로 행하기 위해서는, 피겨(40)를 인증 유닛(15)에 세트하여 피겨 ID의 판독을 행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세팅을 행하면, 판독한 피겨 ID에 대응하는 피겨 정보가 데이터 베이스 서버(103)에서 생성되어, 피겨(40)의 세팅을 반복하여 행하지 않더라도 미궁 대전 게임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게임 머신(1), 점포 서버(2) 및 센터 서버군(5)에서는 상술한 처리에 대응하여, 도21에 도시하는 순서로 처리가 실행되고 있다. 도21은 게임 머신(1), 점포 서버(2) 및 센터 서버(5) 사이에서 행해지는 동작 시퀀스를 도시하는 시퀀스 차트이다.
게임 머신(1)에서는 스텝 100에 있어서, 점포 서버(2)에 다운로드 요구를 송신하여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내려받고, 상술한 바와 같이 스텝 64에서 카드 정보 등을 송신한다. 그러면, 센터 서버군(5)에서는 스텝 301로 진행하여, 데이터 베이스 서버(103)에 있어서의 CPU(401)가 게임 머신(1)으로부터 송신된 카드 정보 및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ID 관리 파일을 참조하는 등 하여 게이머 및 피겨가 등록되 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 처리를 행하고, 등록이 완료된 경우는 인증 완료로서 스텝 302로 진행해, 그 인증 결과를 나타내는 응답 신호를 게임 머신(1)으로 송신한다. 이 경우, 데이터 베이스 서버(103)에서는 각 점포 A, B에 8대씩 설치되어 있는 게임 머신(1)에 대하여, 마찬가지의 인증 처리를 행한다.
또, 게임 머신(1)에서는 상술한 스텝 71에 나타낸 엔트리 데이터의 송신을 행한다. 그러면, 센터 서버군(5)에서는 스텝 303으로 진행하여 게임 서버(101)에 의해 각 게임 머신(1)으로부터의 엔트리 데이터를 이용하여, 게이머의 엔트리 접수를 행한다. 또한, 후속 스텝 304에서는 게이머의 참가 정보의 갱신 및 캐릭터 생성 지시 데이터에 대응하는 피겨 ID(이 피겨 ID에는, 인증되어 있지 않은 신규 등록의 피겨와, 인증이 완료되어 재차 인증하는 피겨의 쌍방 피겨 ID가 포함됨)를 이용하여 ID 관리 파일에의 피겨의 등록 또는 갱신과, 피겨 정보의 생성 또는 갱신을 행하여, 계속되는 스텝 305에서 대전 상대가 되는 게이머(본 실시 형태에서는 4명)를 결정한다. 또한, 스텝 306에서는 데이터 베이스 서버(103)가 대전 상대가 되는 각 게이머의 게임 데이터를 추출하여 스텝 307로 진행하고, 추출한 게임 데이터를 점포 서버(2)로 송신한다. 점포 서버(2)에서는 게임 데이터를 수신하면, 그것을 각 게임 머신(1)으로 송신한다.
또, 이상의 실시 형태에 관한 게임 시스템(100)은 게임 머신(1)이 메인 디스플레이(11)(화상 표시 수단), 게임 진행 제어 수단으로서 작동하는 메인 CPU(32)를 구비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들 각 기능을 발휘하는 장치를 별개의 부재로서 설치해도 좋다. 도13은 게임 시스템(100)의 변형예인 게임 시스템(200)을 도시하는 시 스템 구성도이며, 도14는 게임용 단말 장치의 내부 구성을 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15는 제어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게임 시스템(200)은 게임 시스템(100)과 같이 게이머의 조작에 따라서 행동하는 캐릭터를 나타내는 캐릭터 화상을 이용한 화상 게임을 진행시켜 게임의 실행을 도모하는 게임 시스템이며, 인증 유닛(15)이 설치된 게임용 단말 장치(80), 게임 진행 제어 수단으로서 기능을 하는 제어 장치(90), 디스플레이 장치(81)가 각각 별개의 부재로 설치되어 있다.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임 시스템(200)은, 게임 점포 A, B에 설치된 점포 서버(2)와, 전용 회선(3)을 거쳐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8대)의 게임용 단말 장치(80) 및 카드 판매기(6)와, 점포 서버(2)에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제어 장치(90)와, 제어 장치에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디스플레이 장치(81)를 갖고 있다. 게임용 단말 장치(80)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게임용 단말 장치에 상당하고, 그 기본적인 구성은 게임 머신(1)과 마찬가지이지만 메인 디스플레이(11)와 서브 디스플레이(12)가 없고, 또한 메인 CPU(32)가 게임 진행 제어 수단으로서 작동하지 않는 점이 다르다.
제어 장치(90)는,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CPU(91), ROM(92), RAM(93), 화상 제어 회로(71) 및 통신 처리부(95)를 갖는다. CPU(91)는 ROM(92)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게임 진행 제어 수단으로서 작동하고, 게임 화상의 진행에 필요한 처리를 실행한다. RAM(93)에는 CPU(91)가 작동할 때에 이용하는 데이터나 프로그램이 기억되고, ROM(92)에는 CPU(91)가 실행하는 제어 프로그램과, 항구적인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통신 처리부(95)는 CPU(91)의 지시 에 따라 작동하여, 점포 서버(2)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실행한다. 화상 제어 회로(94)는 전술한 게임 머신(1)에 있어서의 화상 제어 회로(71)와 마찬가지의 구성이며, 디스플레이 장치(81)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를 제어하여, 각종 화상을 디스플레이 장치(81)에 표시시킨다.
디스플레이 장치(81)는 복수의 게이머가 관람 가능한 대형 모니터 화면을 갖고, 제어 장치(90), 점포 서버(2)를 거쳐서 복수의 게임용 단말 장치(80)에 접속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81)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수단에 상당하고, 제어 장치(90)에 의해 표시 화상을 제어한다.
계속해서 상기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검출 수단에 상당하는 포토 센서(78)의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6은 반사형 포토 센서(79)가 조립된 인증 유닛(15)의 사시도, 도17은 도16의 XⅦ-XⅦ 단면도이다.
반사형 포토 센서(79)는 오목부(55f)의 주위측면에 배치되어 오목부(55f)의 중심 축선을 향해 빛을 조사하도록 구성된 발광부(59c)와, 오목부(55f)를 사이에 두고 발광부(59c)와 대향하는 주위측면에 배치되어 발광부(59c)로부터의 입사광(Ri)을 반사하도록 구성된 반사부(59d)와, 반사광(Rr)의 진행 방향이 되는 위치[본 실시 형태에서는 발광부(59c)의 인접 하방]에 배치되어 반사광(Rr)을 수광 가능해지도록 구성된 수광부(59e)를 갖는다.
반사형 포토 센서(79)는 이상의 구성을 갖기 위해, 피겨(40)의 바닥부(45)(피판독부)의 진입 경로를 사이에 두고 발광부(59c)와 반사부(59d)가 배치되고, 발광부(59c)로부터 반사부(59d)를 향해 발사된 입사광(Ri)에 대한 반사광(Rr)의 진행 방향에 수광부(59e)가 배치되고, 또한 수광부(59e)가 반사광(Rr)을 수광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로 인해, 포토 센서(79)의 발광부(59c)로부터 발사된 빛이 오목부(55f)에 바닥부(45)가 수용된 피겨(40)에 의해 가려지고, 수광부(59e)에 반사광(Rr)이 도달하지 않게 되어, 그로 인해 피겨(40)가 판독 위치에 설치된 것을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 피겨(40)에 반사부를 설치하고, 반사형 포토 센서는 판독 위치에 설치된 피겨(40)의 반사부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이 반사부에서 반사된 반사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갖는 구성으로 하고, 수광부에서 반사광을 수광하면 피겨(40)가 판독 위치에 설치된 것을 검출하도록 해도 좋다.
이상, 게임 시스템(100) 및 게임 시스템(200)에서는 피판독 대상물로서 피겨(40)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관한 게임기, 게임 시스템 및 게임용 단말 장치는 피겨(40)와는 다른 피판독 대상물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캐릭터에 대응하는 그림이나 도안이 기재되어, ID 정보 등을 기억하고 있는 카드형의 게임 카드나, 카세트를 이용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미궁 대전 게임을 행할 수 있는 게임 머신(1)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다른 화상 게임을 행할 수 있는 게임기에 대해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야구, 축구 등 복수의 선수를 등장시키는 게임으로, 각 선수에 대응하는 피겨나 카세트를 이용하여 팀 게임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게임기 등이다.
또한, 판독 수단은 비접촉형의 IC 칩 리더에 한정되지 않고, 접촉형의 것이라도 좋다. 또한, 판독 수단은 피겨 ID(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경우에만 한정되지 않고, 리더·라이터형, 즉 IC 칩 등의 기록 장치에 정보의 기입이 가능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검출 수단으로서는 투과형 센서, 반사형 센서, 압력 센서 등의 광학식 센서에 한정되지 않고, 자기 센서나 기계식 센서 등을 이용한 것이라도 좋다.
또한, 검출 수단을 설치하는 위치도 가이드 부재의 일부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오목부 내라도 좋고, 피판독 대상물이 판독 위치에 설치된 것을 검출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도23은 내부의 구성을 중심으로 도시한 게임 머신(1)의 블록도이다. 게임 머신(1)은 마이크로 컴퓨터(31)를 중심으로 복수의 구성 요소를 구비하고 있다. 도7과 거의 동일한 구성이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게임 머신(1)은 터치 패널(11a)과, 코인 센서(16a)와, 카드 리더(18a)와, 통신 제어부(21) 및 통신 처리부(22)를 갖고, 또한 화상 제어 회로(71)와, 소리 제어 회로(72)를 갖고 있다. 여기서는, 인증 유닛(15)은 1개의 섹션으로서 표시되어 있다.
다음에, 게임 머신(1)에 설치된 인증 유닛(15)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24는 인증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25는 인증 유닛의 평면도, 도26은 인증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인증 유닛(15)은 본 발명의 광전달 부재가 되는 가이드 부재(53)를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 부재(53)는 중실로 두꺼운 판형 부재의 투명 수지인 투명 우레탄으로 된 본체부(51)를 갖고 있다. 이 본체부(51)의 중앙에, 원뿔대 형상으로 도려내어진 테이퍼형을 이루는 가이드 구멍(54)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구멍(54)은 상측의 개구 면적이 하측의 개구 면적보다도 넓게, 안쪽을 향해 경사지는 형상을 이루고 있고, 하측의 개구 면적은 피겨(40)에 있어서의 다이 시트부(41)의 하면측의 면적과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 가이드 구멍(54)으로부터는 장식광이 조사되어, 가이드 구멍(54)이 본 발명의 장식광 조사부가 된다.
또한, 가이드 부재(53)의 전단부에는 돌출부(53a)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53a)는 본체부(51)의 전방 정면에 배치되어, 본체부(51)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53)의 본체부(51)에 있어서의 상면에는 가이드 구멍(54)의 주위에 시일형의 차광 부재(67)가 접착되어 있다.
차광 부재(67)는 표면이 암 색인 흑색을 띠고 있다. 또한, 본체부(51)에 있어서의 차광 부재(67)보다도 외측 부분에서는 알림광이 점등 또는 점멸하여 표시되는 본 발명의 알림광 표시부인 알림부(75)로 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가이드 부재(53)에서는 차광 부재(67)에 의해 가이드 구멍(54)과 알림부(75)가 분리되어 있다. 알림부(75)에서는 게임 머신(1)의 게임 상태에 따라서 빛을 표시하고, 게이머에 대하여 게임 머신(1)의 게임 상태를 알리고 있다. 여기서, 게임 상태라 함은 게임 머신(1)에 의한 게임에 있어서의 표시 외에 게임을 개시하기 전의 게임 개시 처리 등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돌출부(53a)의 정면 및 상면에는 차광 부재(67)인 차광 시일이 접착되어 있다. 차광 부재(67)인 차광 시일은 은폐 부재 및 광반사 부재로서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외측면이 흑색을 띠고, 안쪽에는 은색의 반사막으로 이루어지는 반사 부재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 부재(53)에 있어서의 본체부(51)로부터 돌출부(53a)에 조사된 빛의 돌출부(53a)로부터의 누설을 방지하는 동시에, 빛을 본체부(51)의 방향으로 반사하고 있다.
즉, 차광 부재(67)인 차광 시일에서는 가이드 부재(53)에 있어서의 알림부(75)의 전단부에 형성된 돌출부(53a)를 덮어서 가리고 있고, 돌출부(53a)로부터의 알림광의 누설을 방지하고 있다. 또, 차광 부재(67)인 차광 시일의 내면측 반사막에 의해, 돌출부(53a)로 입사한 빛을 본체부(51)의 방향으로 반사하여, 가이드 구멍(54)으로부터 출사시키고 있다.
또한, 인증 유닛(15)은 보유 지지 프레임(55)을 구비하고 있다. 보유 지지 프레임(55)은 가이드 부재(53)에 있어서의 본체부(51)가 끼워 넣어지고, 본체부(51)를 덮는 프레임(55b)을 갖고 있다. 프레임(55b)의 밑면 중앙 부분에는, 피겨(40)에 있어서의 다이 시트부(41)를 끼워 넣어 장착함으로써 적재 가능한 착석부(58)가 형성되어 있다. 착석부(58)에 있어서는 피겨(40)에 있어서의 다이 시트부(41)의 직경보다도 약간 큰 직경을 이루는 원주형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 착석부(58)에는 피겨(40)의 다이 시트부(41)가 약간의 여유를 가지면서도, 다이 시트부(41)와 착석부(58)가 소정의 위치 관계를 유지하도록 하여 끼워 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착석부(58)의 깊이는 다이 시트부(41)의 높이보다도 약간 낮게 설정되어 있으며, 착석부(58)에 다이 시트부(41)가 세트됨으로써, 피겨(40)의 전도가 방지되어 있다.
프레임(55b)의 전방 정면 위치에는 돌출부 가이드 부재(59)가 설치되어 있다. 돌출부 가이드 부재(59)는 가이드 부재(53)에 있어서의 본체부(51)가 보유 지지 프레임(55)의 프레임(55b)에 끼워 넣어졌을 때, 돌출부(53a)의 측면을 덮어서 가리는 위치 및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유 지지 프레임(55)의 하방 위치에는 본 발명의 판독부인 IC 칩 리더(52) 및 베이스(56)가 배치되어 있다. IC 칩 리더(52)는, 평면에서 보아 형상이 볼록형을 이루는 기판(62)을 구비하고 있고, 볼록 형상의 돌출된 부분이 평면에서 본 상태에서 보유 지지 프레임(55)에 있어서의 착석부(58)의 바로 아래 위치에 오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기판(62)에 있어서의 돌출된 부분에, 도시하지 않은 IC 칩 본체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IC 칩 본체는 보유 지지 프레임(55)의 착석부(58)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여, 착석부(58)에 적재된 다이 시트부(41)에 수용된 IC 칩(44)과의 데이터의 교환이 확실하게 행해진다.
베이스(61)는 IC 칩 리더(52)의 하방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56)는 베이스 본체(63)와, 이 베이스 본체(63)의 배면 위치에 있어서, 상측으로 상승하도록 하여 형성된 배면 플레이트(64)를 갖고 있다. 이 배면 플레이트(64)의 정면에는, 완전 컬러 LED(Light Emitting Diode)(65)가 LED 지지판(65a)을 거쳐서 부착되어 있다. 완전 컬러 LED(65)는 적색, 녹색, 청색으로 이루어지는 빛의 3원색의 발광 소자를 1 패키지에 통합한 발광 다이오드이며, 많은 종류의 색을 발광할 수 있다.
인증 유닛(15)은 가이드 부재(53), 보유 지지 프레임(55), IC 칩 리더(52) 및 베이스(56)가 조립 부착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각 부재가 조립 부착된 상태에서, 완전 컬러 LED(65)는 가이드 부재(53)에 있어서의 본체부(51)의 배면측에 배치된다. 또한, LED 지지판(65a)에는 스페이서(66)가 부착되어 있고, 스페이서(66)는 배면 플레이트(64)와, 가이드 부재(53)에 있어서의 본체부(51)의 배면과의 사이에 개재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스페이서(66)에 의해, 완전 컬러 LED(65)는 가이드 부재(53)에 있어서의 본체부(51)의 배면에 대하여 소정의 거리를 두고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의 각 부재가 조립 부착된 상태에서는, 가이드 부재(53)에 있어서의 가이드 구멍(54) 및 알림부(75)는 모두 보유 지지 프레임(55)에 있어서의 프레임(55b)의 상면측에서 게이머가 확인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게임 머신의 동작 및 작용에 대하여, 인증 유닛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게임 머신(1)에 있어서는, 게이머가 코인 투입구(16)로부터 코인을 투입하는 동시에, ID 카드(17)를 카드 슬롯(18)에 투입함으로써, 게임 개시 처리를 행한다. 게임 머신(1)에는, 피겨 있음 모드와 피겨 없음 모드를 구비하고 있다. 게임 개시 처리에서는, 인증 유닛(15)에 피겨(40)가 적재되었는지의 여부에 의해 피겨 있음 모드와 피겨 없음 모드의 선택을 행한다.
여기서, 인증 유닛(15)에서는 게임 개시 처리의 스텝에서, 완전 컬러 LED(65)로부터 피겨(40)의 세트를 게이머에게 재촉하는 소정의 색의 빛을 조사한다. 완전 컬러 LED(65)로부터 소정의 색의 빛이 조사되면, 조사된 빛은 가이드 부 재(53)의 입사면이 되는 배면측으로부터 가이드 부재(53)의 본체부(51) 내로 입사한다. 본체부(51) 내로 입사한 빛은 도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대로 가이드 구멍(54)으로부터 출사한다. 또한, 본체부(51) 내로 빛이 입사함으로써, 알림부(75)가 점등한다.
이때, 메인 디스플레이(11)에서는 피겨(40)를 갖고 있는 게이머에 대하여, 피겨 있음 모드에서의 게임을 행할 수 있는 취지 및 피겨 있음 모드에서의 게임을 희망하는 경우에는, 인증 유닛(15)에 피겨를 세트하는 취지의 표시를 행한다. 이 메인 디스플레이(11)에 있어서의 표시와 함께 가이드 구멍(54)으로부터는 빛이 출사되어, 알림부(75)가 점등한다. 이로 인해, 게이머에 대하여 인증 유닛(15)에 피겨(40)를 적재하여 인증을 행하는 것을 재촉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구멍(54)으로부터 빛이 조사됨으로써, 피겨(40)를 세트하는 착석부가 되는 착석부(58)의 위치를 게이머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가이드 구멍(54)에는 안쪽으로 경사지는 테이퍼가 부여되어 있으므로, 게이머는 피겨(40)를 쉽게 착석부(58)에 세트할 수 있다.
그 후, 소정 시간 내에 인증 유닛(15)에 피겨(40)가 세트되지 않은 경우에는 피겨 없음 모드로 게임이 시작된다. 한편, 피겨(40)가 세트되면, 피겨 있음 모드에서의 게임을 개시하는 데 있어서, 인증 유닛(15)은 IC 칩 리더(52)에 설치된 IC 칩에 의해 피겨(40)에 있어서의 IC 칩(44)에 기억되어 있는 피겨 ID를 판독하는 인증 작업이 행해진다. 이 피겨 ID를 판독하고 있는 사이, 완전 컬러 LED(65)로부터는 인증을 행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색의 빛을 출사한다.
완전 컬러 LED(65)로부터 출사된 빛은 가이드 부재(53)의 본체부(51)에 입사 하고, 가이드 구멍(54)으로부터 출사된다. 이때, 가이드 구멍(54)으로부터는 피겨(40)를 장식하는 장식광이 출사된다. 이 장식광이 조사됨으로써, 피겨(40)가 장식광 중에 배치된 이미지가 생겨 게이머에 대하여 게임 개시 시의 고양감을 줄 수 있다.
또한, 본체부(51)에 빛이 입사함으로써, 알림부(75)에는 완전 컬러 LED(65)가 표시하는 색의 빛이 점등한다. 이 알림부(75)에 있어서의 빛의 점등에 의해, 게이머에 대하여 피겨(40)로부터의 인증 작업이 행해지고 있는 것을 알릴 수 있다. 또한, 이 인증 작업을 행하고 있는 사이, 메인 디스플레이(11)에서는 인증 작업을 행하고 있으므로 피겨(40)를 인증 유닛(15)으로부터 벗겨지지 않도록, 게이머에 대하여 주의를 촉구하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렇게 해서, 인증 작업이 행해졌다면 게임 머신(1)에 의한 게임이 시작된다. 인증 작업이 끝난 후, 게이머는 인증 유닛(15)에 피겨(40)를 세트한 상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인증 유닛(15)으로부터 피겨(40)를 제거할 수도 있다. 게임 머신(1)에 의한 게임에서는 게임의 진행에 맞춰 스피커(13L, 13R)로부터 여러 가지의 효과음 등이 출력된다. 또한, 인증 유닛(15)에서는 완전 컬러 LED(65)에 의해 여러 가지의 색의 빛이 출사된다.
여기서, 인증 유닛(15)에 피겨(40)가 세트된 상태에서는 완전 컬러 LED(65)로부터 빛이 출사되면, 가이드 부재(53)에 있어서의 가이드 구멍(54)으로부터는 장식광이 조사된다. 이 장식광에 의해 피겨(40)가 조사되어, 피겨(40)가 빛 가운데서 떠오르게 되어, 게임을 하는 게이머의 고양감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게임의 진행에 의해 게임 상태가 변화된다. 여기에서 게임 상태라 함은 게임의 진행에 의한 캐릭터의 행동, 페이즈(phase)의 변화, 득점의 가산 등, 게임에 대응하는 상태를 말한다. 이 게임 상태를 게이머에게 알리고, 소정의 경우에는 게이머에게 소정의 조작을 재촉할 필요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또한, 게임을 종료할 때에도 마찬가지로 소정의 조작을 게이머에게 재촉하게 된다.
이러한 조작을 재촉할 때, 완전 컬러 LED(65)가 소정의 색의 빛을 출사하여, 그 색의 빛으로 가이드 부재(53)의 알림부(75)가 점등 또는 점멸한다. 이와 같이, 알림부(75)가 점등 또는 점멸함으로써, 게이머에게 소정의 조작을 재촉할 수 있다. 이러한 소정의 조작을 게이머에게 재촉할 때에는, 그 조작 순서가 메인 디스플레이(11)에 표시된다.
이와 같이, 인증 유닛(15)에 있어서는 착석부(58)에 세트된 피겨(40)를 조사하는 가이드 구멍(54) 및 소정의 인증 작업이나 게임 상태 등을 알리는 알림부(75)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가이드 구멍(54)으로부터 조사되는 빛 및 알림부(75)를 점등 또는 점멸하는 빛은, 모두 완전 컬러 LED(65)로부터 출사되고 있다. 이와 같이, 인증 유닛(15)에서는 장식광을 조사하여 알림부(75)를 점등시키고 있지만, 이들의 빛의 광원은 완전 컬러 LED(65)로, 공통된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광원의 수의 증대를 방지할 수 있어, 부품 개수의 삭감에 기여할 수 있다.
또, 가이드 부재(53)에 있어서의 가이드 구멍(54)과 알림부(75)는 흑색의 차광 부재(67)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이로 인해, 가이드 구멍(54)으로부터 조사되는 장식광 및 알림부(75)를 점등시키는 빛을 각각 선명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구멍(54)으로부터 조사되는 장식광 및 알림부(75)를 점등시키는 빛을 뛰어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인증 유닛(15)에 있어서는 스페이서(66)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완전 컬러 LED(65)가 가이드 부재(53)의 배면에 대하여 소정의 거리를 두고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완전 컬러 LED(65)로부터 출사되어, 가이드 부재(53)를 통해 가이드 구멍(54)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나 알림부(75)를 점등시키는 빛은 점 형상이 되지 않고, 희미하게 넓어진 빛이 된다. 이로 인해, 가이드 구멍(54)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에 의한 피겨(40)의 장식 효과를 더욱 높은 것으로 할 수 있는 동시에, 알림부(75)에 있어서의 빛을 게이머에게 알기 쉽게 표시할 수 있다.
게다가, 광원으로서 완전 컬러 LED(65)를 이용하고 있다. 이로 인해, 피겨(40)를 장식할 때의 빛이나 알림부(75)를 점등시키는 빛의 색을 쉽게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게임 내용 등에 따른 장식광의 변경 및 선택을 쉽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알림부(75)를 점등시키는 빛을, 그 알림 내용에 따라서 쉽게 변경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장식광을 조사하는 가이드 구멍(54)과 빛의 점등을 행함에 따른 알림을 행하는 알림부(75)를 동일한 재료로 형성하고 있지만, 이들을 다른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광원으로서 완전 컬러 LED(65)를 이용하고 있지만, 다른 광원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 광원의 설치 위치는 가이드 부재(53)의 배면측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부분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광원은 한 군데에만 설치되어 있지만, 복수 부위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판독 유닛으로서 인증 유닛(15)을 이용하고 있지만, 정보 기억 매체에 기억된 데이터를 단순히 판독하는 판독 유닛이라도 좋다. 또한, 인증 유닛(15)에 있어서의 판독부로서 정보의 판독만을 행하는 IC 칩 리더(52)를 이용하고 있지만, 판독부로서는 정보 기억 매체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교환을 행하여 읽고 쓰기를 행할 수 있는 리더 라이터를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광전달 부재로서 중실의 투명 수지로 이루어지는 가이드 부재(53)를 이용하고 있지만, 광전달 부재로서는 중공의 투명 수지를 이용할 수도 있고, 혹은 수지 이외의 재료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28은 인증 유닛(15A)에 피겨(40)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29는 인증 유닛(15)의 평면도, 도30은 도29의 VI-Ⅵ 단면도이다.
다이 시트 장착부(51)는 안쪽에 가이드 구멍(54)을 갖고, 투명 우레탄 등의 광투과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가이드 부재(53)와, 가이드 부재(53)를 주위 및 하방으로부터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프레임(55)과, 보유 지지 프레임(55)을 가이드 부재(53)와 함께 조작 패널(14)(도3 참조)에 고정하는 베이스(56)를 갖는다.
가이드 부재(53)는 가이드 수단으로, 가이드 구멍(54)을 안쪽에 갖는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전방측(게이머측)에 돌출부(53a)가 설치되고, 배면측에 폭이 넓어진 광폭부(53b, 53b)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53)는 돌출부(53a) 의 하면이 보유 지지 프레임(55)에 조립 부착되고, 또한 광폭부(53b, 53b)가 협지되어 보유 지지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53)는 가이드 구멍(54)을 향한 베이스(56)측[보유 지지 프레임(55)의 시트부(55a)에 의해 폐색되어 있는 측]의 원형의 개구부(53d)와 개방되어 있는 측의 원형의 개방단부(53c)를 구비하여, 개방단부(53c)의 직경이 개구부(53d)의 직경보다도 크고, 개방단부(53c)와 개구부(53d) 사이의 주위측면이, 개방단부(53c)에서 개구부(53d)를 향해 점차 직경이 축소되면서 연결되는 절구형 경사면(53e)으로 되어 있다. 개구부(53d)의 형상이 후술하는 피겨(40)의 바닥부(45)의 형상에 대응하고 있고, 바닥부(45)가 삽입 관통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보유 지지 프레임(55)은 가이드 부재(53)를 둘러싸는 환형의 프레임(55b)과, 이 프레임(55b)의 안쪽에서 오목형으로 함몰되어, 가이드 부재(53)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받침부(55a)와, 보유 지지 받침부(55a)의 안쪽 대략 중앙에 단차를 갖고 형성된 원주형의 오목부(55f)를 구비한다. 오목부(55f)의 개구가 가이드 부재(53)의 개구부(53d)의 형상에 대응하고 있으며, 동심으로 동일 직경의 원형으로 되어 있다.
IC 칩 리더(52)는 이 안테나에 의해 피겨(40)에 내장되는 후술하는 IC 칩(44)으로부터 피겨 ID를 판독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가이드 부재(53)의 배면측 후방에 일정한 간극(D)(5㎜ 정도)을 두고 광원이 되는 완전 컬러 LED(65)는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53)의 외주면 중, 보유 지지 프레임(55)에 의해 둘러싸여 있지 않은 부위에 절구형 경사면 (53e)을 제외하고 흑색의 차광 시일(67)이 접착되어 있다. 완전 컬러 LED(65)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회로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가이드 부재(53)를 향해 빛을 방출한다. 그러면, 가이드 부재(53)를 투과한 빛이 절구형 경사면(53e)으로부터 방출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인증 유닛(15)에 가이드 부재(53)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 부재(53)는 개방단부(53c)로부터 개구부(53d)를 향해 점차 직경이 축소되면서 연결되는 절구형 경사면(53e)을 갖고 있으므로, 개방단부(53c)로부터 피겨(40)의 바닥부(45)를 끼워 넣으면, 그 바닥부(45)를 절구형 경사면(53e)을 따르도록 안내하면서 개구부(53d)에 도달시킬 수 있어, 바닥부(45)를 오목부(55f)의 바닥에 적재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피겨(40)가 가이드 부재(53)에 의해 판독 위치로 안내되므로, 게이머는 피겨(40)를 판독 위치에 세트하는 것이 쉬워져 피겨(40)를 이용한 게임을 개시하는 데 있어서의 번거로움이 경감된다.
또한, 가이드 부재(53)는 광투과성 부재로 이루어지므로, 완전 컬러 LED(65)로부터 빛을 방출시키면, 이 빛이 차광 시일(67)을 부착하지 않은 절구형 경사면(53e)으로부터 투과된다. 절구형 경사면(53e)은 판독 위치에 세트되는 피겨(40)를 둘러싸는 위치에 있으므로, 인증 유닛(15)에 장착되는 피겨(40)에 관련된 빛의 연출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피겨 ID를 인증 중인 상태 등을 알리어 피겨(40)의 빠짐을 방지하는 주의 환기나 게임 중에 있어서의 피겨(40)의 연출 등이다.
도31은 내부의 구성을 중심으로 도시하는 게임 머신(1)의 블록도이다. 게임 머신(1)은 마이크로 컴퓨터(31)를 중심으로 복수의 구성 요소를 구비하고 있다. 도7과 거의 동일한 구성이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계속해서 상기한 인증 유닛(15)의 변형예인 인증 유닛(15)에 대하여, 도3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변형예인 인증 유닛(15)은, 완전 컬러 LED(65) 대신에 복수의 LED(58B)를 갖고 구성되어 있다. 도32는 변형예인 인증 유닛(15)의 사시도이다.
변형예인 인증 유닛(15)은 광불투과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가이드 부재(53)와, 광불투과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가이드 부재(53)의 절구형 경사면(53e)에 복수 배열된 LED(58B, 58B,‥)(광원)를 갖는다. 광불투과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가이드 부재(53)는 소재가 광불투과성 부재인 것을 제외하고 광투과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가이드 부재(53)와 동일하다. 복수의 LED(58B, 58B,‥)는 절구형 경사면(53e)의 개방단부(53c)의 주위 방향을 따라 같은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변형예인 인증 유닛(15)에 설치되는 피겨(40)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피겨(40)를 하방으로부터 비추는 빛의 연출이 가능해진다.
이상, 게임 시스템(100) 및 게임 시스템(200)에서는 피판독 대상물로서 피겨(40)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관한 게임기, 게임 시스템 및 게임용 단말 장치는 피겨(40)와는 다른 피판독 대상물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캐릭터에 대응하는 그림이나 도안이 기재되어, ID 정보 등을 기억하고 있는 카드형의 게임 카드나, 카세트를 이용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미궁 대전 게임을 행할 수 있는 게임 머신(1)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다른 화상 게임을 행할 수 있는 게임기에 대해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야구, 축 구 등 복수의 선수를 등장시키는 게임으로, 각 선수에 대응하는 피겨나 카세트를 이용하여 팀게임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게임기 등이다.
또한, 판독 수단은 비접촉형의 IC 칩 리더에 한정되지 않고, 접촉형의 것이라도 좋다. 또한, 판독 수단은 피겨 ID(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경우에만 한정되지 않고, 리더 및 라이터형, 즉 IC 칩 등의 기록 장치에 정보의 기입이 가능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게다가 또한, 판독 수단을 설치하는 장소도 식별 정보를 기억하는 기록 장치와의 위치 관계에 의해 판독 가능하면 충분해 절구형 경사면이나 그 밖의 부위에 설치해도 좋다.
또한, 전술한 기록 장치의 형상이나 이 기록 장치를 보유 지지하는 피판독 대상물의 부위(예를 들어 다이 시트부)의 형상을 다각 형상으로 해도 좋고, 이 경우의 가이드 수단은 각뿔대 형상(많은 각뿔을 밑면에 평행인 평면으로 잘랐을 때 정점을 포함한 부분을 제외한 형상)의 가이드 구멍을 형성하고, 이 경사면에 의해 피판독 대상물을 판독 위치로 안내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가이드 수단을 구성하는 부재는 투명한 광투과성 부재가 아니라도 좋으며, 피판독 대상물을 판독 위치로 안내할 수 있으면 좋다. 또한, 광투과성 부재도 투명 우레탄에 한정되지 않고, 그 밖의 투명 수지나 강화 유리 그 밖의 빛을 투과 가능한 부재라도 좋다. 또한, 가이드 수단에 빛을 방출하는 광원도 완전 컬러 LED에 한정되지 않고, 할로겐 램프 등의 조명 장치라도 좋으며, 광원도 한 군데가 아닌 복수 부위에 설치해도 좋다.
또, 광원으로부터 빛을 방출시키는 점등의 타이밍에 대해서는, 전술한 게임 머신의 동작 내용에서 설명한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피겨 ID의 판독이나 인증 도중, 또한 화상 게임의 진행 중에 있어서의 적절한 타이밍(예를 들어, 게이머가 조작하는 캐릭터가 공격 중, 혹은 공격을 받고 있을 때, 아이템을 빼앗았을 때나 라이프가 승강했을 때 등)에서 점등시켜도 좋다.
(게임 머신의 동작 내용)
다음에, 이상의 구성을 갖는 게임 머신(1)의 동작 내용에 대하여, 도18, 도33, 도34에 도시하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점포 A에 설치되어 있는 4대의 게임 머신(1) 중, 1대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18은 게임 머신(1)에 있어서의 게임의 개시로부터 종료까지의 게임 처리의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또, 도18 및 후술하는 도34, 도35에서는 스텝을 S라 줄여 기록하고 있다.
게임 머신(1)은 전원 투입 시에 점포 서버(2)에 대하여 애플리케이션 데이터의 다운로드 요구를 송신하고(S100), 한편 점포 서버(2)가 다운로드 요구를 수신하면, 다운로드 요구를 송신해 온 게임 머신(1)에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송신한다(도21 참조).
게임 머신(1)은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수신하면, 그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RAM(33)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게임 머신(1)에서는, 메인 CPU(32)가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판독하면, 본 발명에 있어서의 게임 진행 제어 수단으로서 작동하여, 게이머의 조작 입력에 따라서 미궁 대전 게임을 진행시킨다. 각 게임 머신(1)은 점포 서버(2) 및 센터 서버군(5)을 거쳐서 서로 동기를 취하면서, 메인 디스플레이 (11)에 게임 화상을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각 게임 머신(1)은 게임 처리를 개시하면, 스텝 1로 진행하여 코인 투입, ID 카드의 삽입, 패스워드 입력, 캐릭터 인증 생성 처리를 포함하는 후술하는 게임 개시 처리를 행한다. 스텝 2에서는, 게임 개시 처리의 결과로부터, 후술하는 피겨 있음 플랙에 소정의 데이터가 세트되어 있는지의(세트 있음) 여부를 판정하여, 그 판정 결과에 따라서 스텝 3, 4로 처리를 분기시켜(피겨 있음 플랙의 세트 있음일 때는 스텝 3, 그렇지 않을 때는 스텝 4), 어느 하나의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어, 스텝 3의 피겨 있음 게임 처리에서는 화상 제어 회로(71)에 지시하여 메인 디스플레이(11)에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미궁 화상(150)과 게이머의 조작에 따라서 행동하는 캐릭터를 도시하는 캐릭터 화상(151)을 표시시켜, 이들의 화상을 이용한 화상 게임이 메인 CPU(32)에 의해 진행된다.
스텝 3에 이어지는 스텝 5에서 피겨 있음 플랙을 클리어한 다음 스텝 6으로 진행하여, 대전 성적 등의 게임 결과(대전 결과)의 표시를 행하는 한편, 데이터 베이스 서버(103)에 있어서 게임 데이터를 갱신시키기 위해 대전 결과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점포 서버(2)를 경유하여 데이터 베이스 서버(103)로 송신하는 후처리를 행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게임 개시 처리)
스텝 1의 게임 개시 처리는 도33에 도시하는 흐름도를 따라서 행해진다. 도33은 게임 개시 처리의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34는 캐릭터 생성 처리의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메인 CPU(32)는 게임 개시 처리를 개시하면 스텝 60으로 진행하여 완전 컬러 LED(65)의 구동 회로에 지시하여 단일색(예를 들어 백색)을 발색시키고, 계속되는 스텝 61에서는 메시지 출력 처리를 행하여, 화상 제어 회로(71)에 지시하여 메인 디스플레이(11)에 소정의 메시지(코인 투입 요구, ID 카드의 삽입 요구 및 패스워드의 입력 요구)를 표시시킨다. 계속해서, 스텝 62, 63으로 처리를 실행한다.
게이머는 게임을 개시하기 위해서는 코인을 코인 투입구(6)로부터 투입하는 동시에, ID 카드(17)를 카드 슬롯(18)에 삽입하여, 조작 유닛(19)을 이용하여 패스워드를 입력한다. 그러면, 투입된 코인의 검출 신호가 코인 센서(16a)로부터 메인 CPU(32)에 입력되고, 카드 리더(18a)로부터는 ID 카드(17)에 기억되어 있는 카드 정보가 입력된다. 또한, 조작 유닛(19)으로부터 패스워드가 입력되고, 이들 모든 입력이 있으면 스텝 63으로 진행한다.
스텝 63에서는 메인 CPU(32)가 완전 컬러 LED(65)의 구동 회로에 지시하여, 전술한 단일색으로 바꿔 2색(예를 들어 적색과 청색)으로 교대로 발색을 시킨다. 이 교대 발색을 시킴으로써, 게이머에게 인증 유닛(15)에의 피겨(40)의 세팅을 재촉한다.
그 후 스텝 64에서는, 메인 CPU(32)가 통신 제어부(21)에 지시하여 통신 처리부(22)를 작동시켜, 판독한 카드 정보 및 입력된 패스워드를 점포 서버(2)를 거쳐서 센터 서버군(5)에 송신한다.
계속해서 스텝 65에서는, 후술하는 응답 신호를 센터 서버(5)로부터 수신할 때까지 대기하여, 그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스텝 66으로 진행한다. 스텝 66에서는 피겨의 있음, 없음과 응답 신호로부터 인증이 완료되었는지(이미 피겨 ID를 판독하여 등록이 완료됨)의 여부를 구별하여, 선택 가능한 각종 캐릭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시키는 선택 화면의 표시를 메인 디스플레이(11)에서 행하기 위한 지시를 행하여, 계속되는 스텝 67에서는 터치 패널(11a)의 터치가 있을 때까지 대기하여, 터치가 있으면 스텝 68로 진행하고, 스텝 68에서 피겨 있음을 선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피겨 있음을 선택한 경우에는 스텝 69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스텝 70으로 진행한다. 스텝 69로 진행하면 후술하는 캐릭터 생성 처리를 행하고, 스텝 70에서는 피겨 불사용에 의한 캐릭터 생성 지시(논 피겨의 캐릭터 생성 지시) 데이터를 후술하는 엔트리 데이터에 세트하여, 모두 후속 스텝 71로 진행한다. 상세하게는 스텝 68에서는 처음으로 피겨를 이용할 때 및 이미 인증이 완료된 피겨가 있어, 그 인증이 완료된 피겨와는 다른 피겨를 이용할 때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도, 게이머에 의해 피겨 있음이 선택되면 스텝 69로 진행하여 캐릭터 생성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처음부터 피겨를 이용하지 않을 때 및 이미 인증이 완료된 피겨가 있는 데 그 피겨를 이용하지 않을 때는 게이머에 의해 피겨 없음이 선택되면, 스텝 70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스텝 69로 진행하면, 메인 CPU(32)는 도35에 도시하는 흐름도를 따라 캐릭터 생성 처리를 행한다. 이 처리를 개시하면, 스텝 80으로 진행하고, 피겨의 세트 요구 메시지 출력 처리를 행한다. 여기서는, 메인 CPU(32)가 화상 제어 회로(71)에 지시하여 메인 디스플레이(11)에 피겨(40)를 인증 유닛(15)에 장착하고, 피겨 ID를 판독하는 세팅을 요구하는 메시지(예를 들어, "피겨의 다이 시트를 조작 패널 상의 인증 유닛에 세트해 주세요. 피겨의 인증이 시작되면 인증 유닛이 밝게 점등하므로 빛이 꺼질 때까지 피겨를 제거하지 말아주세요”)를 표시시켜, 계속되는 스텝 81에서는 피겨 ID의 판독이 개시될 때까지 대기한다. 게이머가 표시되는 메시지를 따라 피겨(40)를 인증 유닛(15)에 세트하면, 인증 유닛(15)의 포토 센서(78)가 피겨(40)가 판독 위치에 설치된 것을 검출하여, 인증 유닛(15)이 피겨(40)의 IC 칩(44)에 기억되어 있는 피겨 ID를 판독하여 메인 CPU(32)에 입력하여 스텝 82로 진행한다.
스텝 82에서는, 메인 CPU(32)가 완전 컬러 LED(65)의 구동 회로에 지시하여, 전술한 2색의 교대 발색으로 바꿔 6색의 순차 발색을 반복하여 행하게 한다. 이와 같이 6색의 빛을 차례로 발색시키면, 색깔이 다양하므로 게이머의 주의를 끌기 쉽고, 피겨 ID를 판독 중이므로 인증 유닛(15)으로부터 제거해서는 안 된다고 하는 취지의 주의 환기를 효과적으로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계속되는 스텝 83에서는 피겨 ID의 판독 종료의 판단이 이루어져, 종료하지 않으면 메인 CPU(32)는 완전 컬러 LED(65)에 6색의 순차 발색의 반복을 계속해서 행하게 하고, 종료하고 있으면 스텝 84로 진행하여 완전 컬러 LED(65)의 구동 회로에 지시하여 소등시킨다.
계속되는 스텝 88에서는 메인 CPU(32)가 판독한 피겨 ID를 포함하는 캐릭터 생성 지시 데이터를 엔트리 데이터에 세트하고, 계속되는 스텝 89에서는 인증 유닛(15)에 의한 피겨(40)의 피겨 ID의 판독(피겨의 세팅)이 행해진 것을 나타내는 피겨 있음 플랙에 소정의 데이터(본 실시 형태에서는 "1")를 세트하고, 스텝 89를 실 행하면 캐릭터 생성 처리가 종료된다.
스텝 71로 진행하면(도19), 메인 CPU(32)가 통신 제어부에 지시하여 통신 처리부(22)를 작동시켜, 엔트리 데이터를 점포 서버(2)를 거쳐서 센터 서버군(5)에 송신한다. 스텝 71이 종료되면, 게임 개시 처리가 종료된다.
이와 같이, 게임 머신(1)은 피겨의 세팅이 행해졌을 때에 피겨 있음 플랙에 소정의 데이터를 세트하도록 하고 있다. 일단, 피겨의 세팅을 행하면, 캐릭터 생성 지시 데이터를 포함하는 엔트리 데이터가 점포 서버(2)를 거쳐서 데이터 베이스 서버(103)에 송신되고, 데이터 베이스 서버(103)에 있어서 그 피겨 ID가 그 세팅을 행한 게이머 고유의 게이머 ID에 관련지어 ID 관리 파일에 기억되어, 그 피겨를 인증이 완료되었는지 여부의 판단에 이용된다. 또한, ID 관리 파일에 의한 피겨의 인증이 완료되었는지 여부의 판정 결과가 응답 신호로서 데이터 베이스 서버(103)로부터 송신되므로, 게이머는 인증이 완료된 피겨에 대응하는 캐릭터를 선택하여 미궁 대전 게임을 행할 수 있다. 단, 피겨의 세팅을 행하지 않으면, 피겨 있음 플랙의 세트가 행해지지 않으므로 가령 피겨의 인증이 완료되어도, 미궁 대전 게임을 피겨 있음 모드로 행하기 위해서는, 피겨(40)를 인증 유닛(15)에 세트하여 피겨 ID의 판독을 행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세팅을 행하면, 판독한 피겨 ID에 대응하는 피겨 정보가 데이터 베이스 서버(103)에서 생성되어, 피겨(40)의 세팅을 반복하여 행하지 않더라도 미궁 대전 게임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게임 머신(1), 점포 서버(2) 및 센터 서버군(5)에서는, 상술한 처리에 대응하여 도21에 도시하는 순서로 처리가 실행되어 있다. 도21의 설명은 상술한 바와 같다.
여기서, 이 인증 유닛(15)의 구성에 대하여, 도35, 도36 및 도37a를 참조하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35는 인증 유닛(15)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36은 인증 유닛(15)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37a는 도35의 인증 유닛(15)의 Ⅵ-VI선 단면도이다.
인증 유닛(15)은 피겨(40)의 피겨 ID를 판독하는 IC 칩 리더(회로 기판)(52)와, IC 칩 리더(52)의 상측에 위치하여, 가이드 구멍(54)을 갖는 가이드 부재(53)와, 가이드 부재(53)를 측방 및 하방에서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프레임(55)과, IC 칩 리더(52)를 거쳐서 보유 지지 프레임(55)과 대면하여, IC 칩 리더(52) 및 가이드 부재(53)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프레임(55)을 조작 패널(14)(도3 참조)에 부착하기 위한 베이스(부착부)(56)를 갖고 있다.
IC 칩 리더(52)는, 거의 평탄하고 또한 평판형이며, 그 상면(회로면)(51a)에는 안테나(56a) 및 제어용 회로(56b)를 포함하는 판독 회로(76)가 형성되어 있다. 이 IC 칩 리더(52)는 제어용 회로(56b) 등이 형성되어 있는 정사각형 부분(69)과, 이 정사각형 부분(69)의 한 변에서 돌출하여, 주로 안테나(56a)가 형성되어 있는 돌출 부분(74)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IC 칩 리더(52) 상에 형성된 판독 회로(76)에 의해 피겨(40)에 내장된 후술하는 IC 칩(44)으로부터 피겨 ID가 판독된다. 또, 이 IC 칩 리더(52)는 약 5㎝ 떨어진 위치에 있는 IC 칩(44)으로도 피겨 ID를 판독할 수 있다.
IC 칩 리더(52)는 4개의 너트형 스페이서(77)를 거쳐서 베이스(56) 상에 탑 재되어 있고, 그 스페이서(77)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나사 구멍(68)과 스페이서(77)와의 협동에 의해, IC 칩 리더(52)와 기판(56)이 나사(제2 연결 부재)(61)로 고정되어 있다.
IC 칩 리더(52) 상에 덮이는 보유 지지 프레임(탑재부)(55)은 가이드 부재(53)를 둘러싸는 환형의 프레임(55b)과, 이 프레임(55b)의 안쪽에서 가이드 부재(53)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받침부(55a)와, 보유 지지 받침부(55a)의 대략 중앙에 원주형의 오목부(구멍)(55f)를 구비하고 있다. 이 오목부(55f)에는 피겨(40)의 다이 시트부(41)의 일부가 수용된다. 이 오목부(55f)의 바닥부(58)는 상면(57a) 및 하면(57b) 모두 평탄하며, 두께가 균일(수 ㎜)한 원형 평판으로 되어 있다. 또, 이 보유 지지 프레임(55)도 나사(제1 연결 부재)(61a)에 의해 베이스(56)에 고정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IC 칩 리더(52)와 보유 지지 프레임(55)이 본 발명의 판독 수단에 상당한다.
그리고 보유 지지 프레임(55)을 베이스(56)에 고정할 때에는, 도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IC 칩 리더(52)와 보유 지지 프레임(55)은 IC 칩 리더(52)의 돌출 부분(74)과 보유 지지 프레임(55)의 오목부(55f)의 바닥부(58)가 중첩되도록 위치 정렬되어 있다. 그로 인해, IC 칩 리더(52)의 돌출 부분(51B)에 형성된 안테나(56a)와, 피겨(40)가 탑재되는 오목부(55f)의 바닥부(58)는 서로 중심이 대략 일치하고 있다. 또, 보유 지지 프레임(55)을 베이스(56)에 고정할 때에는 도3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IC 칩 리더(52)의 판독 회로(76)가 형성된 면(회로면)(51a)과 보유 지지 프레임(55)의 바닥부(58)의 하면(57b)을 면 접촉시키고 있다. 환언하면, IC 칩 리더(52)의 회로면(51a)과 보유 지지 프레임(55)의 바닥부(58)의 하면(57b)과의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보유 지지되어 있고, 또한 IC 칩 리더(52)의 회로면(51a)과 보유 지지 프레임(55)의 바닥부(58)의 하면(57b)과의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보유 지지되어 있다. 또, IC 칩 리더(52)의 안테나(56a)와, 피겨(40)가 탑재되는 오목부(55f)의 바닥부(58)는 서로 중심이 반드시 일치할 필요는 없고, 적절하게 소정의 방향으로 어긋나도 좋다.
그리고 IC 칩 리더(52)와 베이스(56)가 나사(61)로 접속되어, 보유 지지 프레임(55)과 베이스(56)가 나사(61a)로 접속됨으로써 IC 칩 리더(52)와 보유 지지 프레임(55)이 근접하는 경우라도, 베이스(56)를 거쳐서 보유 지지 프레임(55)과 IC 칩 리더(52)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53)는 투명 우레탄 등의 광투과성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보유 지지 프레임(55)의 오목부(55f)의 모서리를 둘러싸는 대략 링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즉, 가이드 부재(53)의 대략 중앙에는 단면 원형의 가이드 구멍(54)이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드 구멍(54)은 보유 지지 프레임(55) 쪽에 근접함에 따라서 서서히 직경을 축소하고 있다. 그로 인해, 가이드 구멍(54)의 안쪽(53e)은 경사져 있다. 그리고 가이드 부재(53)의 전방측(게이머측)에는 돌출부(53a)가 설치되어 있고, 배면측에 폭이 넓어진 광폭부(53b, 53b)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53)는 돌출부(53a)의 하면이 보유 지지 프레임(55)에 조립 부착되고, 또한 광폭부(53b, 53b)가 협지되어 보유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드 부재(53)의 채용에 의해, 피겨(40)를 인증 유닛(15)에 세트하 기 위해 피겨(40)의 다이 시트부(41)를 보유 지지 프레임(55)의 오목부(55f)에 끼워 넣을 때, 피겨(40)의 바닥부(45)는 가이드 부재(53)의 가이드 구멍(54) 내의 경사면(53e)을 따라 안내되면서 오목부(55f)까지 도달한다. 그로 인해, 게이머는 피겨(40)를 인증 유닛(15)의 판독 위치에 쉽게 세트할 수 있어, 피겨(40)를 이용한 게임을 개시하는 데 있어서의 번거로움이 경감된다.
또, 가이드 부재(53)의 배면측에 위치하는 베이스(56)에는 가이드 부재(53)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떨어져 완전 컬러 LED(65)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53)의 외주면 중, 보유 지지 프레임(55)에 의해 둘러싸여 있지 않은 부위에 흑색의 차광 시일(67)이 접착되어 있다. 그로 인해, 완전 컬러 LED(65)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회로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가이드 부재(53)를 향해 빛을 방출하면, 가이드 부재(53)를 투과한 빛이 경사면(53e)으로부터 방출된다.
이 경우, 완전 컬러 LED(65)로부터 빛을 방출시키면, 이 빛이 차광 시일(67)을 부착하고 있지 않은 경사면(53e)으로부터 투과된다. 경사면(53e)은 판독 위치에 세트되는 피겨(40)를 둘러싸는 위치에 있으므로, 인증 유닛(15)에 장착되는 피겨(40)에 관련된 빛의 연출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피겨 ID를 인증 중인 상태 등을 알리어 피겨(40)의 빠짐을 방지하는 주의 환기나 게임 중에 있어서의 피겨(40)의 연출 등이다.
다이 시트부(41)는 보유 지지 프레임(55)의 오목부(55f)에 대응하는 크기의 중공의 두꺼운 원판이다. 다이 시트부(41)는 천정부(43a)를 갖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다이 시트 본체부(43)와 IC 칩(44)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다이 시트 본체부(43)의 천정부(43a)의 대략 중앙에는 돌기부(43b)가 설치되어 있고, 다이 시트 본체부(43)의 개구부에는, 개구부를 막지 않도록 IC 칩(44)이 끼워 넣어 고정되어 있다. 이 IC 칩(44)에는, 피겨 본체부(42)에 대응하는 캐릭터 고유의 피겨 ID(식별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피겨 본체부(42)는 돌기부(43b)에 대응한 오목부(46a)를 갖는 다리 시트부(46)와, 다리 시트부(46)로부터 2개의 발로 직립하도록 형성되고, 미궁 대전 게임에 등장하는 캐릭터를 본뜬 인형부(47)로 구성되어 있다. 피겨(40)는 피겨 본체부(42)의 오목부(46a)에 다이 시트부(41)의 돌기부(43b)가 끼워 넣어짐으로써 조립된다. 또, 피겨(40)는 직경 대략 7㎝의 캡슐(도시하지 않음)에 수용될 정도의 사이즈로 되어 있고, 그 캡슐에 수용된 상태에서 카드 판매기(6)와 마찬가지의 판매기로 판매된다.
피겨(40)는 그 피겨 본체부(42)의 외관으로 게이머에 의해 구별되고, 그 피겨 ID로 게임 머신(1)에 의해 구별된다. 이 피겨 ID는, 다른 피겨(40)에 대하여 단일 유니크(고유)로 하고, 게임 시스템(100)에 있어서의 동일 피겨의 다중 등록을 금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각 게이머가 게임 머신(1)에 있어서, 자기가 사용하는 피겨(40)를 인증 유닛(15)에 세트하여, 피겨 ID를 판독하게 함으로써, 데이터 베이스 서버(103)에는 그 판독하게 한 피겨(40)에 대응하는 피겨 ID가 게임 머신(1)으로부터 송신되도록 되어 있다.
(게임 머신의 동작 내용)
다음에, 이상의 구성을 갖는 게임 머신(1)의 동작 내용에 대하여, 도18, 도19, 도38에 도시하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게임 점포 A에 설치되어 있는 8대의 게임 머신(1) 중 4대의 게임 머신(1)을, 각각의 게이머가 조작하여 동일한 미궁 대전 게임을 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18은 각 게임 머신(1)에 있어서의 게임의 개시로부터 종료까지의 게임 처리의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또, 도38에서는 스텝을 S라 줄여 기록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4명의 게이머가 조작하는 가운데 1대의 게임 머신(1)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다.
게임 머신(1)은 전원 투입 시에 점포 서버(2)에 대하여 애플리케이션 데이터의 다운로드 요구를 송신하고(S100), 한편 점포 서버(2)가 다운로드 요구를 수신하면, 다운로드 요구를 송신해 온 게임 머신(1)에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송신한다(도21 참조). 다른 조작은 도18 내지 도21의 흐름도 및 그 설명을 참조하고자 한다.
(게임 개시 처리)
스텝 1의 게임 개시 처리는 도19에 도시하는 흐름도를 따라서 행해진다. 도19는 게임 개시 처리의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20은 캐릭터 생성 처리의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상세한 것은, 이들의 도면 및 상술한 설명을 참조하고자 한다.
도19에 있어서, 피겨의 있음, 없음과, 응답 신호로부터 인증(등록)이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구별하여, 선택 가능한 각종 캐릭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시키는 선택 화면의 표시를 메인 디스플레이(11)로 행하기 위한 지시를 행하고, 계속되는 스텝 67에서는 터치 패널(11a)의 터치가 있을 때까지 대기하여, 터치가 있으면 스텝 68로 진행하고, 스텝 66에서 피겨 있음을 선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피겨 있음을 선택한 경우에는 스텝 69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스텝 70으로 진행한다. 스텝 69로 진행하면 후술하는 캐릭터 생성 처리를 행하고, 스텝 70에서는 피겨 불사용에 의한 캐릭터 생성 지시(논 피겨의 캐릭터 생성 지시) 데이터를 후술하는 엔트리 데이터에 세트하고, 모두 후속의 스텝 71로 진행한다. 상세하게는 스텝 68에서는 처음으로 피겨를 이용할 때 및 이미 인증이 완료된 피겨가 있어, 그 인증이 완료된 피겨와는 다른 피겨를 이용할 때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도, 게이머에 의해 피겨 있음이 선택되면 스텝 69로 진행하고, 캐릭터 생성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처음부터 피겨를 이용하지 않을 때 및 이미 인증이 완료된 피겨가 있는 데 그 피겨를 이용하지 않을 때는 게이머에 의해 피겨 없음이 선택되면, 스텝 70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스텝 69로 진행하면, 메인 CPU(32)는 도20에 도시하는 흐름도를 따라서 캐릭터 생성 처리를 행한다. 이 처리를 개시하면 스텝 80으로 진행하고, 피겨의 세트 요구 메시지 출력 처리를 행한다(도38). 여기서는, 메인 CPU(32)가 화상 제어 회로(71)에 지시하여 메인 디스플레이(11)에, 피겨(40)를 인증 유닛(15)에 장착하여 피겨 ID를 판독하는 세팅을 요구하는 메시지(예를 들어, "피겨의 다이 시트를 조작 패널 상의 인증 유닛에 세트해 주세요. 피겨의 인증이 시작되면, 인증 유닛이 밝게 점등하므로 빛이 꺼질 때까지 피겨를 제거하지 말아 주세요.")를 표시시 켜, 계속되는 스텝 87에서는 피겨 ID의 판독이 끝날 때까지 대기한다. 게이머가 표시되는 메시지를 따라 피겨(40)를 인증 유닛(15)에 세트하면, 인증 유닛(15)이 피겨(40)의 IC 칩(44)에 기억되어 있는 피겨 ID를 판독하여 메인 CPU(32)에 입력한다. 그러면, 스텝 88로 진행하여 메인 CPU(32)가 판독한 피겨 ID를 포함하는 캐릭터 생성 지시 데이터를 엔트리 데이터에 세트하고, 계속되는 스텝 89에서는 인증 유닛(15)에 의한 피겨(40)의 피겨 ID의 판독(피겨의 세팅)이 행해진 것을 나타내는 피겨 있음 플랙에 소정의 데이터(본 실시 형태에서는 "1")를 세트하고, 스텝 89를 실행하면 캐릭터 생성 처리가 종료된다.
이와 같이, 게임 머신(1)은 피겨의 세팅이 행해졌을 때에 피겨 있음 플랙에 소정의 데이터를 세트하도록 하고 있다. 일단, 피겨의 세팅을 행하면, 캐릭터 생성 지시 데이터를 포함하는 엔트리 데이터가 점포 서버(2)를 거쳐서 데이터 베이스 서버(103)에 송신되고, 데이터 베이스 서버(103)에 있어서 그 피겨 ID가 그 세팅을 행한 게이머 고유의 게이머 ID에 관련지어 ID 관리 파일에 기억되어, 그 피겨를 인증이 완료되었는지 여부의 판단에 이용된다. 또한, ID 관리 파일에 의한 피겨의 인증이 완료되었는지 여부의 판정 결과가 응답 신호로서 데이터 베이스 서버(103)로부터 송신되므로, 게이머는 인증이 완료된 피겨에 대응하는 캐릭터를 선택하여 미궁 대전 게임을 행할 수 있다. 단, 피겨의 세팅을 하지 않으면, 피겨 있음 플랙의 세트가 행해지지 않으므로, 가령 피겨의 인증이 완료되어도 미궁 대전 게임을 피겨 있음 모드로 행하기 위해서는 피겨(40)를 인증 유닛(15)에 세트하여 피겨 ID의 판독을 행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세팅을 행하면, 판독한 피겨 ID에 대응하는 피겨 정보가 데이터 베이스 서버(103)에서 생성되어, 피겨(40)의 세팅을 반복하여 행하지 않아도 미궁 대전 게임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19로 복귀하여, 스텝 71로 진행하면 메인 CPU(32)가 통신 제어부(21)에 지시하여 통신 처리부(22)를 작동시켜, 엔트리 데이터를 점포 서버(2)로 송신한다. 스텝 71이 종료되면, 게임 개시 처리가 종료된다.
한편, 게임 머신(1), 점포 서버(2) 및 센터 서버군(5)에서는 상술한 처리에 대응하여, 도21에 도시하는 순서로 처리가 실행되고 있다. 도21은 게임 머신(1), 점포 서버(2) 및 센터 서버군(5)의 사이에서 행해지는 동작 시퀀스를 도시하는 시퀀스 차트이다.
게임 머신(1)에서는, 스텝 100에 있어서 점포 서버(2)에 다운로드 요구를 송신하여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내려받아, 상술한 바와 같이 스텝 64에서 카드 정보 등을 송신한다. 그러면, 센터 서버군(5)에서는 스텝 301로 진행하여 데이터 베이스 서버(103)에 있어서의 CPU(401)가 게임 머신(1)으로부터 송신된 카드 정보 및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ID 관리 파일을 참조하는 등 하여 게이머 및 피겨가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 처리를 행하여, 등록이 완료된 경우는 인증 완료로서 스텝 302로 진행하고, 그 인증 결과를 나타내는 응답 신호를 게임 머신(1)에 송신한다. 이 경우, 데이터 베이스 서버(103)에서는 각 점포 A, B에 8대씩 설치되어 있는 게임 머신(1)에 대하여, 마찬가지의 인증 처리를 행한다.
또한, 게임 머신(1)에서는 상술한 스텝 71에 나타낸 엔트리 데이터의 송신을 행한다. 그러면, 센터 서버군(5)에서는 스텝 303으로 진행하여 게임 서버(101)에 의해 각 게임 머신(1)으로부터의 엔트리 데이터를 이용하여, 게이머의 엔트리 접수를 행한다. 또한, 후속 스텝 304에서는 게이머의 참가 정보의 갱신 및 캐릭터 생성 지시 데이터에 대응하는 피겨 ID(이 피겨 ID에는, 인증되어 있지 않은 신규 등록의 피겨와, 인증이 완료되어 재차 인증하는 피겨의 쌍방 피겨 ID가 포함됨)를 이용하여 ID 관리 파일에의 피겨의 등록 또는 갱신과, 피겨 정보의 생성 또는 갱신을 행하여, 계속되는 스텝 305에서 대전 상대가 되는 게이머(본 실시 형태에서는 4명)를 결정한다. 또한, 스텝 306에서는 데이터 베이스 서버(103)가 대전 상대가 되는 각 게이머의 게임 데이터를 추출하여 스텝 307로 진행하고, 추출한 게임 데이터를 점포 서버(2)에 송신한다. 점포 서버(2)에서는 게임 데이터를 수신하면, 그것을 각 게임 머신(1)에 송신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게임 머신(1)에 있어서는 피겨(40)의 다이 시트부(41)의 IC 칩(44)이 수용되는 보유 지지 프레임(55)의 오목부(55f)의 바닥부(58)의 하면(반대면)(57b)과, IC 칩 리더(52)의 회로면(51a)과의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보유 지지되어 있고, 또한 IC 칩 리더(52)의 회로면(51a)과 보유 지지 프레임(55)의 바닥부(58)의 상면(탑재면)(57a)과의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보유 지지되어 있다(도6 참조). 즉, 바닥부(58)의 하면(57b)과 IC 칩 리더(52)의 회로면(51a)이 평행하게 되고 있고, 바닥부(58)가 평탄하고 또한 두께가 균일하므로, 바닥부(58)의 상면(탑재면)(57a)과 IC 칩 리더(52)의 회로면(51a)이 역시 평행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피겨(40)의 다이 시트부(41)를 보유 지지 프레임(55)의 오목부(55f)에 수용했을 때, 다이 시트부(41)의 하면을 형성하는 IC 칩(44)은 보유 지지 프레임(55)의 바닥부(58)의 상면(57a)에 대하여 평행해지고, IC 칩(44)과 IC 칩 리더(52)의 회로면(51a)이 평행해진다. 따라서 IC 칩(44)과 IC 칩 리더(52) 사이에서 교신되는 피겨 ID 등의 신호의 강도 저하가 유의하게 억제되어, IC 칩(44)으로부터 높은 인식 정밀도로 피겨 ID를 판독할 수 있다.
또한, 보유 지지 프레임(55)의 바닥부(58)와 IC 칩 리더(52)가 근접하고 있고, 보유 지지 프레임(55)의 오목부(55f)의 바닥부(58)에 IC 칩(44)을 수용했을 때에, IC 칩 리더(52)의 판독 회로(76)가 IC 칩(44)으로부터 피겨 ID를 판독할 수 있는 거리(5㎝) 이하의 수 ㎜[바닥부(58)의 두께]로 되어 있으므로, IC 칩(44)의 피겨 ID를 우수한 인식 정밀도로 판독할 수 있다. 또한, 바닥부(58)의 하면(57b)과 IC 칩 리더(52)의 회로면(51a)이 직접적으로 접촉하고 있으므로, IC 칩(44)의 피겨 ID를 우수한 인식 정밀도로 판독할 수 있다.
또, 보유 지지 프레임(55)의 오목부(55f)의 바닥부(58)에 IC 칩(44)을 수용했을 때에, IC 칩 리더(52)의 판독 회로(76)가 IC 칩(44)으로부터 피겨 ID를 판독할 수 있는 거리(5㎝) 이하가 되는 범위이면, 도3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부(58)와 IC 칩 리더(52) 사이에 박막 부재(60)를 개재시켜도 좋다. 이 박막 부재(60)가 완충용의 코팅 수지인 경우에는 바닥부(58)와 IC 칩 리더(52) 사이에서의 완충이 도모된다. 또한, 박막 부재(60)가 인쇄 시일인 경우에는 위치 정렬용이나 식별용 등의 여러 가지 용도로 이용할 수 있다.
또, 게임 머신(1)에서는 피판독 대상물로서 피겨(40)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피겨(40)와는 다른 피판독 대상물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캐릭터에 대응하는 그림이나 도안이 기재되어, ID 정보 등을 기억하고 있는 카드형의 게임 카드나, 카세트를 이용하도록 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미궁 대전 게임을 행할 수 있는 게임 머신(1)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다른 화상 게임을 행할 수 있는 게임기에 대해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야구, 축구 등 복수의 선수를 등장시키는 게임으로 각 선수에게 대응하는 피겨나 카세트를 이용하여 팀게임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게임기 등이다. 또한, 게임 머신(1)에서는 게임 화상을 표시하는 메인 디스플레이(11), 서브 디스플레이(12)를 구비하고 있었지만, 메인 디스플레이(11), 서브 디스플레이(12)를 별개의 부재로 해도 좋다.
또한, 판독 수단은 비접촉형의 IC 칩 리더에 한정되지 않고, 접촉형의 것이라도 좋다. 또한, 판독 수단은 피겨 ID(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경우에만 한정되지 않고, 리드·라이터형, 즉 IC 칩 등의 기록 장치에 정보의 기입이 가능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다음에, 도24 내지 도27 및 도40을 참조하면서, 인증 유닛(15)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24 내지 도27에서는, 지금까지의 설명과 중복되는 경우에는 생략한다.
또한, 이들의 각 부재가 조립 부착된 상태에서는 가이드 부재(53)에 있어서의 가이드 구멍(54) 및 알림부(75)는 모두 보유 지지 프레임(55)에 있어서의 프레임(55b)의 상면측으로부터 게이머가 확인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인증 유닛(15)은 가이드 부재(53), 보유 지지 프레임(55), IC 칩 리더(52) 및 베이스(56)가 조립 부착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각 부재가 조립 부착된 상태에서, 완전 컬러 LED(65)는 가이드 부재(53)에 있어서의 본체부(51)의 한쪽인 배면측에 배치된다. 이 완전 컬러 LED(65)에 대하여, 돌출부(53a)는 가이드 부재(53)에 있어서의 완전 컬러 LED(65)가 배치된 위치에 대하여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56)의 배면 플레이트(64)에는 스페이서(66)가 부착되어 있고, 스페이서(66)는 배면 플레이트(64)와, 가이드 부재(50)에 있어서의 본체부(51)의 배면과의 사이에 개재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스페이서(66)에 의해, 완전 컬러 LED(65)는 가이드 부재(53)에 있어서의 본체부(51)의 배면에 대하여 소정의 거리를 두고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의 각 부재가 조립 부착된 상태에서는 가이드 부재(53)에 있어서의 가이드 구멍(54) 및 알림부(75)는, 모두 보유 지지 프레임(55)에 있어서의 프레임(55b)의 상면측으로부터 게이머가 확인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게임 머신의 동작 및 작용에 대하여, 인증 유닛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게임 머신(1)에 있어서는, 게이머가 코인 투입구(16)로부터 코인을 투입하는 동시에, ID 카드(17)를 카드 슬롯(18)에 투입함으로써, 게임 개시 처리를 행한다. 게임 머신(1)에는 피겨 있음 모드와 피겨 없음 모드를 구비하고 있다. 게임 개시 처리에서는 인증 유닛(15)에 피겨(40)가 적재되었는지의 여부에 의해 피겨 있음 모드와 피겨 없음 모드의 선택을 행한다.
여기서, 인증 유닛(15)에서는 게임 개시 처리의 스텝에서, 완전 컬러 LED(65)로부터 피겨(40)의 세트를 게이머에게 재촉하는 소정의 색의 빛을 조사한다. 완전 컬러 LED(65)로부터 소정의 색의 빛이 조사되면, 조사된 빛은 가이드 부재(53)의 입사면이 되는 배면측으로부터 가이드 부재(53)의 본체부(51) 내로 입사하는 본체부(51) 내에 입사한 빛의 일부는, 그대로 가이드 구멍(54)으로부터 출사한다. 또한, 본체부(51) 내에 빛이 입사함으로써, 알림부(75)가 점등한다.
이때, 메인 디스플레이(11)에서는, 피겨(40)를 갖고 있는 게이머에 대하여, 피겨 있음 모드에서의 게임을 행할 수 있는 취지 및 피겨 있음 모드에서의 게임을 희망하는 경우에는 인증 유닛(15)에 피겨를 세트하는 취지의 표시를 행한다. 이 메인 디스플레이(11)에 있어서의 표시와 함께 가이드 구멍(54)으로부터는 빛이 출사되어 알림부(75)가 점등한다. 이로 인해, 게이머에 대하여 인증 유닛(15)에 피겨(40)를 적재하여 인증을 행하는 것을 재촉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구멍(54)으로부터 빛이 조사됨으로써, 피겨(40)를 세트하는 착석부가 되는 착석부(58)의 위치를 게이머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가이드 구멍(52)에는 안쪽으로 경사지는 테이퍼가 부여되어 있으므로, 게이머는 피겨(40)를 쉽게 착석부(58)에 세트할 수 있다.
그 후, 소정 시간 내에 인증 유닛(15)에 피겨(40)가 세트되지 않은 경우에는 피겨 없음 모드로 게임이 시작된다. 한편, 피겨(40)가 세트되었다면 피겨 있음 모드에서의 게임을 개시하는 데 있어서, 인증 유닛(15)은 IC 칩 리더(52)에 설치된 IC 칩에 의해 피겨(40)에 있어서의 IC 칩(44)에 기억되어 있는 피겨 ID를 판독하는 인증 작업이 행해진다. 이 피겨 ID를 판독하고 있는 사이, 완전 컬러 LED(65)로부 터는 인증을 행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색의 빛을 출사한다.
완전 컬러 LED(65)로부터 출사된 빛은 가이드 부재(53)의 본체부(51)에 입사하고, 가이드 구멍(54)으로부터 출사된다. 이때, 가이드 구멍(54)으로부터는 피겨(40)를 장식하는 장식광이 출사된다. 이 장식광이 조사됨으로써, 피겨(40)가 장식광 중에 배치된 이미지가 생겨 게이머에 대하여 게임 개시 시의 고양감을 줄 수 있다.
또한, 본체부(51)에 빛이 입사함으로써, 알림부(75)에는 완전 컬러 LED(65)가 표시하는 색의 빛이 점등한다. 이 알림부(75)에 있어서의 빛의 점등에 의해, 게이머에 대하여 피겨(40)로부터의 인증 작업이 행해지고 있는 것을 알릴 수 있다. 또, 이 인증 작업을 행하고 있는 사이, 메인 디스플레이(11)에서는 인증 작업을 행하고 있으므로 피겨(40)를 인증 유닛(15)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게이머에 대하여 주의를 촉구하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게임 장치에서의 인증 유닛(15)에 있어서는, 도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전 컬러 LED(65)로부터 출사한 빛(L)은 본체부(51)의 내부를 통해 가이드 구멍(54), 돌출부(53a) 및 알림부(75)에 도달한다. 가이드 구멍(54)에 도달한 빛은 가이드 구멍(54)으로부터 조사되어 장식광이 된다. 또한, 알림부(75)에 도달한 빛은 알림부(75)를 점등시켜, 게이머에 대하여 인증 작업을 행하고 있는 것을 알린다.
한편, 돌출부(53a)에는 차광 시일(67)이 접착되어 있다. 이 차광 시일(67)의 작용에 의해 돌출부(53a)에서는 빛이 출사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돌출부(53a) 는 본체부(51)에 있어서의 완전 컬러 LED(65)가 배치된 위치에 대하여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돌출부(53a)에 도달하는 빛의 광량은 적고, 돌출부(53)로부터 빛이 조사되는 상태에 있으면, 이 빛은 약한 빛이 된다. 돌출부(53a)로부터 약한 빛이 조사되면, 알림부(75)로서의 돋보임이 악화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인증 유닛(15)에서는, 돌출부(53a)에는 차광 시일(67)이 접착되고, 돌출부는 차광 시일(67)에 의해 은폐되어 있다. 이로 인해, 돌출부(53a)로부터는 빛이 조사되는 일은 없고, 가이드 부재(53)의 전체에 있어서 약한 빛이 조사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알림부(75)의 점등, 가이드 구멍(54)으로부터의 장식광의 조사 등의 상태를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게이머에게 정확하게 정보를 알리는 동시에, 장식광의 효과에 의해 게이머의 기분을 더욱 고조시킬 수 있다.
게다가, 차광 시일(67)의 내면측에는 은색의 반사막이 형성되어 있다. 이 반사막의 작용에 의해 차광 시일(67)에 도달한 빛은 돌출부(53a)로부터 조사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본체부(51)의 방향으로 반사된다. 본체부(51)의 방향으로 반사된 빛은 가이드 구멍(54)으로부터 조사되거나, 혹은 알림부(75)의 점등에 기여한다. 이로 인해, 완전 컬러 LED(65)로부터 출사되는 빛의 광량이 많지 않더라도 가이드 구멍(54)으로부터 조사되는 장식광을 큰 것으로 하여, 대형 또는 다량의 광원을 이용하는 일없이 피겨(40)를 충분히 장식할 수 있다. 또한, 알림부(75)를 확실히 점등시킬 수 있어, 게이머에 대하여 게임 상태를 정확하게 알릴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인증 작업이 행해졌다면, 게임 머신(1)에 의한 게임이 시작된 다. 인증 작업이 끝난 후, 게이머는 인증 유닛(15)에 피겨(40)를 세트한 상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인증 유닛(15)으로부터 피겨(40)를 제거하는 것도 가능하다. 게임 머신(1)에 의한 게임에서는, 게임의 진행에 맞춰 스피커(13L, 13R)로부터 여러 가지의 효과음 등이 출력된다. 또한, 인증 유닛(15)에서는 완전 컬러 LED(65)에 의해 여러 가지의 색의 빛이 출사된다.
여기서, 인증 유닛(15)에 피겨(40)가 세트된 상태에서는 완전 컬러 LED(65)로부터 빛이 출사되면, 가이드 부재(53)에 있어서의 가이드 구멍(54)으로부터는 장식광이 조사된다. 이 장식광에 의해 피겨(40)가 조사되어, 피겨(40)가 빛 가운데서 떠오르게 되어, 게임을 행하는 게이머의 고양감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게임의 진행에 의해 게임 상태가 변화한다. 여기에서 게임 상태라 함은 게임의 진행에 의한 캐릭터의 행동, 페이즈의 변화, 득점의 가산 등, 게임에 대응하는 상태를 말한다. 이 게임 상태를 게이머에게 알리고, 소정의 경우에는 게이머에게 소정의 조작을 재촉할 필요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또한, 게임을 종료할 때에도 마찬가지로 소정의 조작을 게이머에게 재촉하게 된다.
또한, 가이드 부재(53)에 있어서의 가이드 구멍(54)과 알림부(75)는 흑색의 차광 부재(67)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이로 인해, 가이드 구멍(54)으로부터 조사되는 장식광 및 알림부(75)를 점등시키는 빛을 각각 선명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구멍(54)으로부터 조사되는 장식광 및 알림부(75)를 점등시키는 빛을 눈에 띄게 할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인증 유닛(15)에 있어서는 완전 컬러 LED(65) 가 가이드 부재(53)의 배면에 대하여 소정의 거리를 두고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완전 컬러 LED(65)로부터 출사되어 가이드 부재(53)를 통해 가이드 구멍(54)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나 알림부(75)를 점등시키는 빛은 점 형상이 되지 않고, 희미하게 넓어진 빛이 된다. 이로 인해, 가이드 구멍(54)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에 의한 피겨(40)의 장식 효과를 더욱 높은 것으로 할 수 있는 동시에, 알림부(75)에 있어서의 빛을 게이머에게 알기 쉽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광원으로서 완전 컬러 LED(65)를 이용하고 있다. 이로 인해, 피겨(40)를 장식할 때의 빛이나 알림부(75)를 점등시키는 빛의 색을 쉽게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게임 내용 등에 따른 장식광의 변경 및 선택을 쉽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알림부(75)를 점등시키는 빛을 그 알림 내용에 따라서 쉽게 변경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차광 시일(67)의 이면측을 은색으로 하고, 가이드 부재(53)에 있어서의 완전 컬러 LED(65)에 대향하는 위치에 반사막을 형성하고 있지만, 가이드 부재(53)에 있어서의 빛을 발하지 않는 장식광 조사부를 피한 위치에 반사막을 형성하는 형태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반사막을 형성했다고 해도, 가이드 구멍(54)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광량을 많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장식광을 조사하는 가이드 구멍(54)과 빛의 점등을 행함에 따른 알림을 행하는 알림부(75)를 동일한 재료로 형성하고 있지만, 이들을 다른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광원으로서 완전 컬 러 LED(65)를 이용하고 있지만, 다른 광원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 광원의 설치 위치는 가이드 부재(53)의 배면측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부분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광원은 한 군데에만 설치되어 있지만, 복수 부위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판독부로서 카드 리더를 이용하고 있지만, 판독부로서는 정보 기억 매체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교환을 행하여 읽고 쓰기를 행하는 리더 라이터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광반사 부재가 되는 차광 시일(67)은 가이드 부재(53)에 있어서의 완전 컬러 LED(65)가 배치된 위치에 대하여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지만, 광반사 부재는 가이드 구멍(54)을 피한 위치이면, 어떤 위치에 배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체부(51)의 상면에서의 가이드 구멍(54)이 도려내어진 위치 이외의 위치나 가이드 부재(53)의 측면, 혹은 가이드 부재(53)의 밑면에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차광 시일(67)이 광반사 부재와 은폐 부재의 양쪽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만, 광반사 부재와 은폐 부재를 별개로 설치하는 형태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판독 유닛으로서 인증 유닛(15)을 이용하고 있지만, 정보 기억 매체에 기억된 데이터를 단순히 판독하는 판독 유닛이라도 된다. 또한, 인증 유닛(15)에 있어서의 판독부로서 정보의 판독만을 행하는 IC 칩 리더(52)를 이용하고 있지만, 판독부로서는 정보 기억 매체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교환을 행하여 읽고 쓰기를 행할 수 있는 리더 라이터를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광전달 부재로서 중실의 투명 수지로 이루어지는 가이드 부재(53)를 이용하고 있지만, 광전달 부재로서는 중공의 투명 수지를 이용할 수 도 있고, 혹은 수지 이외의 재료를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드나 피겨 등의 피판독 대상물에 기억하는 식별 정보의 판독에 수반하는 판독 장치의 부하를 경감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게임기에 판독 작업이 행해지고 있는 것을 게이머에게 알리고 또한 정보 기억 매체의 장식을 행할 수 있는 동시에 부품 개수의 증대를 억제하며, 기록 매체의 인식 정밀도의 향상이 도모되고, 대형 또는 다량의 광원을 이용하는 일없이 피겨 등의 정보 기억 매체를 충분히 장식할 수 있게 됩니다.

Claims (32)

  1. 게이머의 조작에 따라서 행동하는 행동체를 나타내는 행동체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수단과,
    상기 행동체 화상을 이용한 화상 게임을 진행시키는 게임 진행 제어 수단을 갖는 게임기이며,
    상기 행동체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기억한 피판독 대상물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수단과,
    상기 판독 수단에 의해 상기 식별 정보의 판독이 행해지는 판독 위치에 상기 피판독 대상물이 설치되었을 때에 상기 피판독 대상물이 상기 판독 위치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의 검출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판독 수단에 상기 식별 정보의 판독을 지시하는 판독 지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를 기억한 기억 장치를 구비하는 피판독부의 외형 형상에 대응한 오목부를 갖는 보유 지지 받침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판독 수단이, 상기 피판독부를 상기 오목부에 넣었을 때에 상기 식별 정보를 판독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검출 수단이, 상기 오목부를 향하는 상기 피판독부의 진입 경로를 사이에 둔 위치에 배치된 발광부와 수광부를 갖고,
    상기 발광부에서 발한 빛을 상기 수광부에서 수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를 기억한 기억 장치를 구비하는 피판독부의 외형 형상에 대응한 오목부를 갖는 보유 지지 받침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판독 수단이, 상기 피판독부를 상기 오목부에 넣었을 때에 상기 식별 정보를 판독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검출 수단이, 상기 오목부를 향하는 상기 피판독부의 진입 경로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발광부와 반사부와, 상기 발광부로부터 상기 반사부를 향해 발사된 입사광에 대한 반사광의 진행 방향에 배치된 수광부를 갖고,
    상기 수광부가 상기 반사광을 수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
  4. 게이머의 조작에 따라서 행동하는 행동체를 나타내는 행동체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수단과,
    상기 행동체 화상을 이용한 화상 게임을 진행시키는 게임 진행 제어 수단을 갖는 게임 시스템이며,
    상기 행동체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기억한 피판독 대상물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수단과,
    상기 판독 수단에 의해 상기 식별 정보의 판독이 행해지는 판독 위치에 상기 피판독 대상물이 설치되었을 때에 상기 피판독 대상물이 상기 판독 위치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의 검출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판독 수단에 상기 식별 정보의 판독을 지시하는 판독 지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시스템.
  5. 소정의 식별 정보가 기억된 정보 기억 매체가 적재됨으로써, 상기 정보 기억 매체에 있어서의 상기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유닛을 구비하는 게임기이며,
    상기 판독 유닛이,
    상기 정보 기억 매체가 적재 가능하게 된 착석부와,
    상기 착석부에 적재된 상기 정보 기억 매체의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부와,
    상기 정보 기억 매체의 적재 위치에 장식광을 조사하는 장식광 조사부와,
    상기 게임기의 게임 상태에 따라서 빛을 표시하여, 상기 게임기에 있어서의 게임 상태를 알리는 알림광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장식광 조사부의 광원과 상기 알림광 조사부의 광원은 공통된 광원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
  6. 제5항에 있어서, 단일 광전달 부재에서의 광출사면을 차광 부재로 분리함으로써, 상기 장식광 조사부와 상기 알림광 표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게임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부재가 암 색인 게임기.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달 부재가 중실의 투명 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광원이 상기 광전달 부재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두고 떨어져 배치되어 있는 게임기.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복수색의 빛을 출사 가능하고, 상기 착석부에 적재된 상기 정보 기록 매체의 종류, 또는 상기 게임기에 있어서의 게임 상태에 따라서 출사하는 빛의 색을 변경하는 게임기.
  10. 게이머의 조작에 따라서 행동하는 행동체를 나타내는 행동체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수단과,
    상기 행동체 화상을 이용한 화상 게임을 진행시키는 게임 진행 제어 수단을 갖는 게임기이며,
    상기 행동체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기억한 피판독 대상물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수단과,
    상기 판독 수단에 의해 상기 식별 정보의 판독이 행해지는 판독 위치에 상기 피판독 대상물을 안내하는 가이드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이, 상기 피판독 대상물의 바닥부에 대응한 형상의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보다도 큰 개방단부와, 상기 개방단부로부터 상기 개구부까지를 점차 직경을 축소하면서 연결되는 절구형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의 절구형 경사면에 빛을 방출하는 광원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이 광투과성 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가이드 수단의 절구형 경사면으로부터 빛을 투과시키는 광원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
  14. 게이머의 조작에 따라서 행동하는 행동체를 나타내는 행동체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수단과, 상기 행동체 화상을 이용한 화상 게임을 진행시키는 게임 진행 제어 수단을 갖는 게임 시스템이며,
    상기 행동체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기억한 피판독 대상물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수단과,
    상기 판독 수단에 의해 상기 식별 정보의 판독이 행해지는 판독 위치에 상기 피판독 대상물을 안내하는 가이드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시스템.
  15. 식별 정보를 기록한 피판독 대상물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한 상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 게임을 진행시키는 게임기이며,
    상기 판독 수단은 상기 피판독 대상물이 수용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구멍의 바닥부가 평탄한 탑재부와,
    상기 탑재부의 상기 구멍의 바닥부의 상기 피판독 대상물이 탑재되는 탑재면의 반대면에 대면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반대면에 대면하는 회로면 위에 상기 피판독 대상물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를 판독 가능한 판독 회로가 형성된 회로 기판을 갖고,
    상기 탑재부의 상기 구멍의 바닥부의 상기 탑재면과 상기 회로 기판의 상기 회로면과의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부의 상기 구멍의 바닥부에 상기 피판독 대상물을 수용했을 때에, 상기 회로 기판의 상기 판독 회로가 상기 피판독 대상물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 거리가 되도록 상기 탑재부의 상기 바닥부와 상기 회로 기판이 근접한 상태에서 보유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부의 상기 바닥부와 상기 회로 기판이 직접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
  18.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부의 상기 바닥부와 상기 회로 기판이 박막 부재를 거쳐서 간접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
  19.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을 거쳐서 상기 탑재부의 상기 바닥부와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탑재부와 제1 연결 부재를 거쳐서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회로 기판과 제2 연결 부재를 거쳐서 접속된 부착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
  20. 소정의 식별 정보가 기억된 정보 기억 매체가 적재됨으로써, 상기 정보 기억 매체에 있어서의 상기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유닛을 구비하는 게임기이며,
    상기 판독 유닛이,
    상기 정보 기억 매체가 적재 가능하게 된 착석부와,
    상기 착석부에 적재된 상기 정보 기억 매체의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부와,
    상기 착석부의 주위에 배치되어 상기 정보 기억 매체의 적재 위치에 장식광을 조사하는 장식광 조사부가 형성된 광전달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장식광 조사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공급하는 광원이 설치되고,
    상기 광전달 부재에서의 상기 장식광 조사부를 피한 위치에 광반사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광전달 부재에서의 한쪽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광반사 부재는 상기 광전달 부재에서의 상기 광원이 배치된 위치에 대하여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게임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달 부재에서의 상기 장식광 조사부의 주위에 상기 게임기의 게임 상태에 따라서 빛을 표시하고, 상기 게임기에 있어서의 게임 상태를 알리는 알림광 표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광전달 부재에서의 상기 광원이 배치된 위치에 대향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알림광 표시부를 숨기는 은폐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광반사 부재는 상기 은폐 부재에 설치되어 있는 게임기.
  23. 게이머의 조작에 따라서 행동하는 행동체를 나타내는 행동체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와,
    상기 행동체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기억한 피판독 대상물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장치와,
    상기 판독 장치에 의해 상기 식별 정보의 판독이 행해지는 판독 위치에 상기 피판독 대상물이 설치되었을 때에 상기 피판독 대상물이 상기 판독 위치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게임기에 있어서,
    상기 검출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판독 장치에 상기 식별 정보의 판독을 행하여,
    상기 식별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행동체 화상을 이용하여 게임을 진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피판독 대상물의 외형 형상 중 적어도 일부에 대응한 오목부를 갖는 보유 지지 받침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오목부가 상기 피판독 대상물을 상기 식별 정보를 판독 가능하게 수용하고,
    상기 센서는 발광부 및 수광부를 구비하여, 상기 발광부 및 수광부는 상기 오목부를 향한 상기 피판독 대상물의 진입 경로를 사이에 두고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한 빛을 상기 수광부에서 수광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피판독 대상물의 외형 형상 중 적어도 일부에 대응한 오목부를 갖는 보유 지지 받침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오목부가 상기 피판독 대상물을 상기 식별 정보를 판독 가능하게 수용하고,
    상기 판독 수단이 상기 피판독부를 상기 오목부에 넣었을 때에 상기 식별 정보를 판독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센서는 발광부, 반사부 및 수광부를 구비하여, 상기 발광부 및 반사부는 상기 오목부를 향한 상기 피판독 대상물의 진입 경로를 사이에 두고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한 빛을 상기 반사부에서 반사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수광부는 상기 반사부에서 반사된 반사광을 수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
  26. 게이머의 조작에 따라서 행동하는 행동체를 나타내는 행동체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와,
    상기 행동체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기억한 피판독 대상물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장치와,
    상기 판독 장치에 의해 상기 식별 정보의 판독이 행해지는 판독 위치에 상기 피판독 대상물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갖는 게임기.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피판독 대상물의 외형 형상 중 적어도 일부에 대응한 형상의 원형의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보다도 큰 원형의 개방단부와,
    상기 개방단부로부터 상기 개구부까지를 연속적으로 접속하는 절구형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절구형 경사면으로부터 방사되는 빛을 공급하는 광원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가 광투과성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광투과성 부재는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전달하여, 상기 절구형 경사면으로부터의 빛을 방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
  29.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피판독 대상물이 적재 가능하게 된 착석부와,
    상기 피판독 대상물의 적재 위치에 장식광을 조사하는 장식광 조사부와,
    상기 게임기의 게임 상태에 따라서 빛을 표시하여 상기 게임기에서의 게임 상태를 알리는 알림광 표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장식광 조사부의 광원과 상기 알림광 조사부의 광원은 공통된 광원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
  30.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장치에 의해 상기 식별 정보의 판독이 행해지는 판독 위치에 상기 피판독 대상물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
  31.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장치는 상기 피판독 대상물이 수용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구멍의 바닥부가 평탄한 탑재부와,
    상기 탑재부의 상기 구멍의 바닥부의, 상기 피판독 대상물이 탑재되는 탑재면의 반사면에 대면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반사면에 대면하는 회로면 상에 상기 피판독 대상물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를 판독 가능한 판독 회로가 형성된 회로 기판을 갖고,
    상기 탑재부의 상기 구멍의 바닥부의 상기 탑재면과 상기 회로 기판의 상기 회로면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
  32.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피판독 대상물이 적재 가능하게 된 착석부와,
    상기 착석부의 주위에 배치되고, 상기 정보 기록 매체의 적재 위치에 장식광을 조사하는 장식광 조사부가 형성된 광전달 부재와,
    상기 장식광 조사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공급하는 광원과,
    상기 광전달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장식광 조사부를 피한 위치에 설치된 광반사 조사부로 이루어지는 게임기.
KR1020050079740A 2004-08-31 2005-08-30 게임기, 게임 시스템 및 게임용 단말 장치 KR200600507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53132A JP2006068135A (ja) 2004-08-31 2004-08-31 遊技機、遊技システムおよび遊技用端末装置
JPJP-P-2004-00253132 2004-08-31
JPJP-P-2004-00253161 2004-08-31
JPJP-P-2004-00252777 2004-08-31
JP2004253170A JP2006068141A (ja) 2004-08-31 2004-08-31 遊技機
JP2004252954A JP2006068121A (ja) 2004-08-31 2004-08-31 遊技機
JPJP-P-2004-00252954 2004-08-31
JP2004252777A JP2006068107A (ja) 2004-08-31 2004-08-31 遊技機
JP2004253161A JP2006068140A (ja) 2004-08-31 2004-08-31 遊技機、遊技システムおよび遊技用端末装置
JPJP-P-2004-00253170 2004-08-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0783A true KR20060050783A (ko) 2006-05-19

Family

ID=35944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9740A KR20060050783A (ko) 2004-08-31 2005-08-30 게임기, 게임 시스템 및 게임용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60046812A1 (ko)
KR (1) KR2006005078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6536A (ko) 2019-05-27 2020-12-08 (주)판타룩스 게임기의 이중 표시장치에 대한 결합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44565B2 (ja) * 2005-01-06 2008-02-06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ゲームシステム
AT508564B1 (de) * 2009-11-13 2011-02-15 Novomatic Ag Elektronisches spiel- und/oder unterhaltungsgerät mit einer lichteffektvorrichtung
EP3332848B1 (en) 2013-08-08 2020-01-08 Angel Playing Cards Co., Ltd. A method for administrating packages of shuffled playing card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0285A (en) * 1991-09-30 1993-03-02 At&T Bell Laboratories Electronic game having intelligent game pieces
KR100305354B1 (ko) * 1997-10-28 2002-10-04 가부시끼가이샤 에스 엔 케이 게임장치및게임시스템
US20020010019A1 (en) * 1998-03-16 2002-01-24 Kazukuni Hiraoka Game machin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for use with the game machine
JP3736440B2 (ja) * 2001-02-02 2006-01-18 株式会社セガ カード及びカードゲーム装置
US7946917B2 (en) * 2001-08-10 2011-05-24 Igt Flexible loyalty points programs
US6890259B2 (en) * 2001-09-10 2005-05-10 Igt Modular tilt handling system
US20040005920A1 (en) * 2002-02-05 2004-01-08 Mindplay Llc Method, apparatus, and article for reading identifying information from, for example, stacks of chips
US20040014527A1 (en) * 2002-07-19 2004-01-22 Orr Scott Stewart System and method to integrate digital characters across multiple interactive gam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6536A (ko) 2019-05-27 2020-12-08 (주)판타룩스 게임기의 이중 표시장치에 대한 결합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46812A1 (en) 2006-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29912A1 (ja) 設置面積を小さくし、視認性を向上させたゲーミングマシン
AU2010234802A1 (en) Gaming machine capable of displaying a description of bet types
JP2020048848A (ja) 遊技機
KR20060050783A (ko) 게임기, 게임 시스템 및 게임용 단말 장치
JP2016163654A (ja) 遊技機
JP2020048847A (ja) 遊技機
JP2020048849A (ja) 遊技機
JP2020048845A (ja) 遊技機
JP2016163653A (ja) 遊技機
JP2006068107A (ja) 遊技機
JP2001276341A (ja) 遊技機
JP2015037735A (ja) 回胴式遊技機
JP2006068140A (ja) 遊技機、遊技システムおよび遊技用端末装置
JP5880617B2 (ja) 遊技機
US20070202940A1 (en) Gaming machine and game system
JP2020048844A (ja) 遊技機
JP2020048846A (ja) 遊技機
JP5527496B2 (ja) 遊技機
JP2020048850A (ja) 遊技機
JP2006068135A (ja) 遊技機、遊技システムおよび遊技用端末装置
JP2006297127A (ja) 弾球遊技機
JP4255962B2 (ja) 弾球遊技機
JP2005205174A (ja) 弾球遊技機及びカバーユニット
JP5060928B2 (ja) 遊技機
JP7061368B2 (ja) 遊技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