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9853A - 데이터 송신장치, 데이터 수신장치, 데이터 송수신장치 및데이터 송수신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송신장치, 데이터 수신장치, 데이터 송수신장치 및데이터 송수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9853A
KR20060049853A KR1020050060264A KR20050060264A KR20060049853A KR 20060049853 A KR20060049853 A KR 20060049853A KR 1020050060264 A KR1020050060264 A KR 1020050060264A KR 20050060264 A KR20050060264 A KR 20050060264A KR 20060049853 A KR20060049853 A KR 20060049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mage data
data
serial signal
s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0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6289B1 (ko
Inventor
타쿠미 하시모토
쿠니히로 카타야마
요시아키 나카데
야스키 카와사카
마사유키 시나가와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9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9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6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6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64Arrangements for coupling to transmission lines
    • H04L25/0292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64Arrangements for coupling to transmission lines
    • H04L25/0272Arrangements for coupling to multiple lines, e.g. for differential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64Arrangements for coupling to transmission lines
    • H04L25/028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Dc Digital Transmission (AREA)
  • Synchronizing For Televis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직렬 송신 데이터량을 증가시키지 않고, 용이하고 또한 정확하게 화상 데이터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고, 데이터 송수신의 고속화, 송신/수신 타이밍 제어회로의 소회로 규모를 실현한다.
동기코드 직렬신호의 값에 따라 화상 데이터 병렬신호의 차동전압의 진폭을 변화시킴으로써, 병렬-직렬 변환회로(21)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를 LVDS 송신기(22)에서 차동 진폭신호로 변환하여, 동기코드 직렬신호와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의 각 신호값을 동시에 송신하고, 수신측에 있어서, 동기코드 직렬신호의 값에 따라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의 차동전압의 진폭을 변화시킨 차동 진폭신호를 LVDS 수신기(31)로 수신하여, 동기코드 직렬신호와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의 각 신호값을 소정의 비교처리에 기초하여 분리 출력한다.

Description

데이터 송신장치, 데이터 수신장치, 데이터 송수신장치 및 데이터 송수신방법{DATA TRANSMISSION APPARATUS, DATA RECEPTION APPARATU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PPARATUS AND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장치의 요부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장치에 있어서의 송수신 데이터 차동 진폭신호의 파형도이다.
도 3은 도 1의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장치에 있어서의 직렬 송수신 데이터 열의 일례를 나타내는 데이터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2의 송수신 데이터 차동 진폭신호의 파형도에 있어서의 동기신호의 데이터 열의 일례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5는 도 2의 송수신 데이터 차동 진폭신호의 파형도에 있어서의 동기신호의 데이터 열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6은 종래의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회로의 요부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7은 도 6의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회로에 있어서의 송수신 데이터 차동 진폭신호의 파형도이다.
도 8은 도 6의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회로에 있어서의 직렬 송수신 데이터 열의 일례를 나타내는 데이터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데이터 송수신장치 2 : 데이터 송신장치
21 : 병렬-직렬 변환회로 22 : LVDS 송신기
23 : Nch 트랜지스터 24, 25 : 정전류 전원
26 : 송신측 화상 데이터 병렬신호 27 : 송신측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
28 : 송신측 동기코드 직렬신호 29, 34 : 전원전압(Vdd)의 출력단
3 : 데이터 수신장치 31 : LVDS 수신기
32 : 동기코드 변환회로 33 : 직렬-병렬 변환회로
35 : 수신측 동기코드 직렬신호 36 : 수신측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
37 : 수신측 동기코드 병렬신호 38 : 수신측 화상 데이터 병렬신호
4 : 저항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카메라 모듈과 이것에 접속된 전자정보장치와의 사이 등에서의 데이터 전송, 특히,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화상표시장치(디스플레이장치)와 카메라 모듈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데이터 송신장치, 이것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장치, 이들을 사용한 데이터 송수신장치 및 데 이터 송수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 및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에서는, 광학화상의 전기신호에의 변환은 이미지센서(예를 들면 전하결합소자(CCD) 또는 상보형 금속산화막 반도체(CMOS))에 의해 실현되어 있다. 이 이미지센서를 구성하는 각 소자는, 작은 규칙적인 화상요소이며, 빛과 색에 민감한 화상요소(화소부; 검출기 매트릭스라고도 부르고 있다)를 갖는 플레이트이다. 이 검출기 매트릭스의 해상도는 그 물리적인 사이즈와 그 집적도에 따라 변동한다. 일반적으로, 이미지센서는, 2차원적으로 매트릭스상으로 배치된 수십만 또는 그 이상의 화소를 갖고 있다.
이러한 이미지센서의 제조에 있어서, 고도로 발달한 CMOS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같은 반도체소자 상에 디지털 전자장치와 아날로그 전자장치의 이미지센서와의 통합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카메라 모듈의 사이즈와 중량의 감소에 의해, 이러한 카메라 모듈을 통합화한 휴대용 컴퓨터나 휴대 이동통신 단말장치와 같이, 카메라 모듈은 또한 소형의 전자정보장치에 탑재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카메라 모듈을, 예를 들면 휴대용 컴퓨터나 휴대 이동통신 단말장치 등에 탑재할 때, 카메라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신호에는 많은 출력선을 필요로 한다. 이와 같이, 많은 출력선을 필요로 하는 것은, 디지털 화상신호의 배선문제나 데이터 전송문제, 불필요 복사 노이즈의 문제, 단말장치나 시스템의 비용삭감이나 저소비전력화, 소형화를 꾀하는 점에서 큰 과제가 되고 있다.
이들을 해결하는 하나의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방법으로서, 특허문헌 1에는, 디지털 화상신호를 정확하게 전송할 수 있는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 저전압 차분신호) 직렬 송수신방법이 도 6에 개시되어 있다.
도 6은, 종래의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회로의 요부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회로(100)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장치(101)와,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장치(111)를 갖고 있고, 이러한 데이터의 송수신에 의해, 데이터 송신장치(101)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신호에 상기와 같이 많은 출력선을 필요로 하고 있지 않다.
데이터 송신장치(101)는, 회로(102)를 제어하는 공급전압(Vin) 입력부(103)와, 전송된 비트 요소를 수신하는 입력부(104)와, 비반전 전류신호와 반전 전류신호를 전송하는 출력부(105, 106)와, 외부전류 설정용의 저항기(107)를 갖고 있다.
데이터 수신장치(111)는, 회로(112)를 제어하는 공급전압(Vin) 입력부(113)와, 비반전 전류신호 및 반전 전류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114, 115)와, 수신된 전류신호로부터 비트 요소를 출력하는 출력부(116)와, 외부이득 설정용의 저항기(117)를 갖고 있다.
이 경우, 데이터의 전송은,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공급전압(예를 들면 전형적 LVDS 공급전압이 약 3.0V인 경우 1.5로부터 1.8V)으로 동작하는 서브 LVDS타입의 전류신호의 데이터 송신장치(101)와 데이터 수신장치(111)에 의하여 실행되지만,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신호는 도 6을 따르는 자기 바이어스 신호 전송방법을 이용하여 전송라인(118, 119)에 의해 데이터 송신장치(101)로부터 데이터 수신장치(111)로 전송된다. 이 자기 바이어스 신호 전송방법에서는 전송라인(118, 119) 사이에 저항기(120)(예를 들면 저항값 100옴 등)가 설치되어 있다.
이 데이터 송신장치(101)로부터 데이터 수신장치(111)에의 전송라인(118, 119)에 있어서의 파형도는 도 7에 나타내고 있다. 또, 이 동작원리는 일반적인 LVDS회로의 경우와 다른 것은 아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송라인(118, 119)에 있어서의 전류신호는, 비반전 라인인 전송라인(118)의 전압파형이 정일 경우에 1비트로서 해석되고, 이 경우에는 반전라인인 전송라인(119)의 전압파형은 부이다. 이것과 마찬가지로, 0비트의 경우에는 반대의 상황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서브 LVDS타입의 전류신호 송신기/수신기 페어는, 전자파의 노이즈를 최소로 유지하면서, 높은 데이터 전송속도로 사용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예를 들면 카메라 모듈로부터 화상표시장치에 데이터 송신장치(101)에 의해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의 일례로서 VGA 사이즈의 화상 데이터에 관하여 설명한다.
VGA 사이즈의 화상 데이터에서는, 1라인 중에 640화소의 데이터를 갖고 있고, 1프레임 중에 480라인의 데이터를 갖고 있다. 1화소의 데이터 사이즈는 촬영소자의 신호를 디지털 값으로 양자화하는 비트수에 의해 8비트∼14비트 등을 가질 경우가 많다. 종래기술에 의하면, 카메라 모듈로부터 화상표시장치에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는, 하나의 프레임이 몇개의 라인 단위로 취급될 필요가 있다. 화상 데이터가 어느 프레임의 그 라인에 속하는지의 식별방법으로서 직렬 송수신 데이터 열의 일례를 도 8에 나타내고 있다.
도 8에 있어서, 프레임의 시단이 동기코드 FS(프레임 시단)(201)에 의해 나타내어지고, 프레임의 종단이 동기코드 FE(프레임 종단)(202)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특별한 동기코드를 이용하여 프레임이 고정화되어 있다. 이 프레임 내에, 각 라인에 관한 화상 데이터와 통계 데이터가, 역시 레코드의 시단을 나타내는 동기코드 LS(라인 시단)(203)와, 레코드의 종단을 나타내는 동기코드 LE(라인 종단)(204)를 갖고 있다. 여기에서, 통계 데이터에는 예를 들면 휘도 적산값 등이 있고, 이것을, 지나치게 밝은 화면일 때에 화면이 어두워지도록, 또는 지나치게 어두운 화면일 때에 화면이 밝아지도록 노출제어에 사용하고 있다.
본 케이스에서는, 프레임 시단 동기코드 FS(201)가 전송되고, 그 후에, 제1라인용 화상 데이터(205)와 라인 종단 동기코드 LE(204)가 계속된다. 또한, 라인 시단 동기코드 LS(203)의 뒤에 제2라인용의 화상 데이터(205)와 라인 종단 동기코드 LE(204)가 계속된다. 이와 같이, 각 라인의 시단을 나타내는 라인 시단 동기코드 LS(203)와, 각 라인의 종단을 나타내는 라인 종단 동기코드 LE(204) 사이에 각각, 라인 1∼480용의 각 화상 데이터(205)가 각각 전송된다. 또한, 최종의 라인(480)용의 화상 데이터(205)로부터 라인 종단 동기코드 LE(204)의 전송 후에, 라인 시단 동기코드 LS(203)가 전송되고, 또한 통계 데이터 SD(206)가 전송된다. 이어서, 이 통계 데이터 SD(206)의 전송 후에, 전송된 프레임의 종단을 나타내는 프레임 종단 동기코드 FE(202)가 전송된다.
통계 데이터 SD(206)의 통계 데이터량은, 하나의 화상 데이터 라인 내의 데 이터량보다 적게 하는 것도, 많게 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이것에 대응하여, 최후의 라인이 짧아지거나 길어지거나 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이것에 기인해서 문제가 생기는 것은 우선 없다. 왜냐하면, 프레임의 시단이 동기코드 FS(201)에 의해 나타내어지고, 프레임의 종단이 동기코드 FE(202)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화상 데이터에는 드러나지 않는 특별한 동기코드를 이용하여 프레임이 확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것에 의해, 1프레임 내에, 동기코드에 의해 분리된 480개의 데이터 단위의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고, 481번째의 데이터 단위에 통계 데이터 SD(206)가 포함된다고 상정함으로써, 수신측에서 라인 1∼480용의 각 화상 데이터(205)와 통계 데이터 SD(206)를 일련의 데이터로부터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미리 통계 데이터 SD(206)가 존재하고 있지 않은 것을 알고 있을 때에는, 수신측에서 480개의 데이터 단위의 화상 데이터(205)를 분리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2-218455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종래의 LVDS(저전압 차분신호) 직렬 송수신방법에서는, 카메라 모듈이 출력되는 화상신호를 보다 적은 배선으로 실현하고, 불필요 복사 노이즈의 저감, 시스템의 비용삭감이나 저소비 전력화, 소형화의 과제에 대한 해결책에는 효과가 있지만, 각 프레임 및 라인마다의 화상 데이터(205)를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분리하는 것, 및, 화상 데이터(205)와 이 화상 데이터(205)에 계속되는 통계 데이터 SD(206)를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분리하기 위해서는, 화상 데이터(205)에는 드러나지 않는 특별한 동기코드를 사용한 프레임 시단 동기코드 FS(201)와, 프레임 종단 동기코드 FE(202)와, 프레임 내의 각 라인의 시 단을 나타내는 라인 시단 동기코드 LS(203)와, 각 라인의 종단을 나타내는 라인 종단 동기코드 LE(204)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데이터 송신장치(101)의 입력부(104)에 입력하는 각 라인용의 화상 데이터(205) 및 통계 데이터 SD(206)의 전후로 동기코드를 삽입할 필요가 있는 것, 또한 데이터 수신장치(111)의 출력부(116)로부터 출력되는 라인용 화상 데이터(205) 및 통계 데이터 SD(206)의 전후에 존재하는 동기코드를 검출하고 또한 이 동기코드와 그 이외의 화상 데이터(205)나 통계 데이터 SD(206)를 분리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부터, 데이터 송신장치(101)의 전단계에 동기코드 삽입회로가 필요하게 되고, 또한 데이터 수신장치(111)의 후단계에 동기코드 분리회로가 필요하게 되어, 송수신 시간의 고속화의 실현과, 송신/수신 타이밍 제어회로를 작은 회로규모로 행하기 위해서는 연구가 더 필요하기 때문에 최적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특히 카메라 모듈과 전자정보장치 사이에서의 LVDS 데이터 송수신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와 동기코드의 다중화처리 및 그 분리처리에 의해, 직렬 송신 데이터량을 증가시키지 않고, 용이하고 또한 정확하게 1프레임의 시단과 종단 및 1라인의 화상 데이터의 시단과 종단, 또한 1화소 데이터의 시단과 종단 등, 화상 데이터의 위치를 인식시킬 수 있어, 데이터 송수신의 고속화와, 송신/수신 타이밍 제어회로를 소회로 규모로 실현할 수 있는 데이터 송신장치, 이것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장치, 이들을 사용한 데이터 송수신장치 및 데이터 송수신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데이터 송신장치는, 1화소당 N비트(N은 자연수)의 화상 데이터 병렬신호를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로 변환하는 병렬-직렬 변환수단과, 화상 데이터의 위치를 나타내는 동기코드 직렬신호의 값에 따라 상기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의 차동전압의 진폭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병렬-직렬 변환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를 상기 차동 진폭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동기코드 직렬신호와 상기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의 각 신호값을 동시에 송신 가능하게 하는 차동 진폭신호 송신수단을 갖고 있고, 그것에 의해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데이터 송신장치에 있어서의 차동 진폭신호 송신수단은, 상기 병렬-직렬 변환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를 차동 진폭신호로 변환하는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저전압 차분신호) 송신수단과, 상기 동기코드 직렬신호의 값에 따라, 상기 LVDS 송신수단에 공급되는 정전류를 제어하는 정전류 제어수단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데이터 송신장치에 있어서의 정전류 제어수단은, 상기 동기코드 직렬신호를 게이트 입력으로 하는 트랜지스터 수단과, 상기 트랜지스터 수단의 소스측에 접속된 제1정전류 전원과, 상기 트랜지스터 수단 및 제1정전류 전원으로 이루어지는 직렬회로에 병렬로 접속된 제2정전류 전원를 갖고, 상기 동기코드 직렬신호의 값에 따라, 상기 제1정전류 전원 및 상기 제2정전류 전원과, 상기 제2정전류 전원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정전류를 상기 LVDS 송신수단에 공급한다.
또한, 본 발명의 데이터 송신장치에 있어서의 정전류 제어수단은, 상기 동기코드 직렬신호를 게이트 입력으로 하는 트랜지스터 수단과, 상기 트랜지스터 수단의 소스측에 접속된 정전류 전원을 갖고, 상기 동기코드 직렬신호의 값에 따라, 상기 게이트 입력에 대응한 2종류의 정전류 중 어느 하나를 상기 LVDS 송신수단에 공급한다.
또, 본 발명의 데이터 송신장치에 있어서, LVDS 송신수단의 두개의 출력 전송라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LVDS 송신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전류를 신호전압으로 변환하는 저항수단을 더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데이터 송신장치에 있어서의 동기코드 직렬신호의 데이터 열은, 상기 화상 데이터의 1프레임의 시단(始端)을 나타내는 동기코드 FS, 상기 1프레임의 종단을 나타내는 동기코드 FE, 상기 1프레임의 일부를 구성하는 1라인의 시단을 나타내는 동기코드 LS, 상기 1라인의 종단을 나타내는 동기코드 LE의 4종류 각각을 상기 화상 데이터의 위치정보로서 식별 가능하게 하는 고유의 데이터 열을 갖는다.
또, 본 발명의 데이터 송신장치에 있어서의 동기코드 직렬신호의 데이터 열은, 상기 화상 데이터의 1프레임의 시단 및 종단, 상기 1프레임의 일부를 구성하는 1라인의 시단 및 종단을 각각 나타내고 있는 1종류의 N비트(N은 자연수)의 동기코드를 갖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데이터 송신장치에 있어서의 동기코드 직렬신호의 데이터 열은, 상기 화상 데이터의 1프레임의 시단 및 종단을 각각 나타내고 있는 1종류의 N비트(N은 자연수)의 동기코드를 갖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데이터 송신장치에 있어서의 동기코드 직렬신호의 데이터 열은, 상기 화상 데이터의 1프레임의 시단을 나타내고 있는 1종류의 N비트(N은 자연수)의 동기코드를 갖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데이터 송신장치에 있어서의 동기코드 직렬신호의 데이터 열은, 상기 화상 데이터의 1화소 데이터의 시단 및 종단을 각각 나타내고 있는 1종류의 N비트(N은 자연수)의 동기코드를 갖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데이터 송신장치에 있어서의 동기코드의 직렬신호의 데이터 열은, 상기 화상 데이터의 1화소 데이터의 시단을 나타내고 있는 1종류의 N비트(N은 자연수)의 동기코드를 갖고 있다.
본 발명의 데이터 수신장치는, 동기코드 직렬신호의 값에 따라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의 차동전압의 진폭을 변화시킴으로써 얻어진 차동 진폭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동기코드 직렬신호와 상기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의 각 신호값을 소정의 비교처리에 의거하여 분리 출력하는 차동 진폭신호 수신수단을 갖고 있고, 그것에 의해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데이터 수신장치에 있어서, 차동 진폭신호 수신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동기코드 직렬신호로부터, 상기 화상 데이터의 위치를 나타내는 동기신호로 변환하는 동기신호 변환수단과, 상기 차동 진폭신호 수신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를 1화소당 N비트(N은 자연수)의 화상 데이터 병렬신호로 변환하는 직렬-병렬 변환수단을 더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데이터 수신장치에 있어서의 차동 진폭신호 수신수단은, 상기 차동 진폭신호의 차동전압의 진폭을 변화시킴으로써 동시에 송신된 상기 동기코드 직렬신호와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의 각 신호값을 상기 차동 진폭신호의 신호전류를 신호전압으로 변환하는 저항수단을 통해서 수신하는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저전압 차분신호) 수신수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데이터 수신장치에 있어서의 소정의 비교처리에 있어서 상기 동기코드 직렬신호와 상기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의 각 신호값이 각각 「0」이나 「1」로 각각 검출된다.
또한, 본 발명의 데이터 수신장치에 있어서의 동기코드 직렬신호의 데이터 열은, 상기 화상 데이터의 1프레임의 시단을 나타내는 동기코드 FS, 상기 1프레임의 종단을 나타내는 동기코드 FE, 상기 1프레임의 일부를 구성하는 1라인의 시단을 나타내는 동기코드 LS, 상기 1라인의 종단을 나타내는 동기코드 LE의 4종류를 각각 상기 화상 데이터의 위치정보로서 식별 가능하게 하는 고유의 데이터 열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데이터 수신장치에 있어서의 동기코드 직렬신호의 데이터 열은, 상기 화상 데이터의 1프레임의 시단 및 종단, 상기 1프레임의 일부를 구성하는 1라인의 시단 및 종단을 각각 나타내고 있는 1종류의 N비트(N은 자연수)의 동기코드를 갖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데이터 수신장치에 있어서의 동기코드 직렬신호의 데이터 열은, 상기 화상 데이터의 1프레임의 시단 및 종단을 각각 나타내고 있는 1종류의 N비트(N은 자연수)의 동기코드를 갖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데이터 수신장치에 있어서의 동기코드 직렬신호의 데이터 열은, 상기 화상 데이터의 1프레임의 시단을 나타내고 있는 1종류의 N비트(N은 자연수)의 동기코드를 갖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데이터 수신장치에 있어서의 동기코드 직렬신호의 데이터 열은, 상기 화상 데이터의 1화소 데이터의 시단 및 종단을 각각 나타내고 있는 1종류의 N비트(N은 자연수)의 동기코드를 갖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데이터 수신장치에 있어서의 동기코드 직렬신호의 데이터 열은, 상기 화상 데이터의 1화소 데이터의 시단을 나타내고 있는 1종류의 N비트(N은 자연수)의 동기코드를 갖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데이터 송수신장치는, 데이터 송신장치와 데이터 수신장치를 포함하고, 데이터 송신장치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는 데이터 수신장치에 의해 수신되며, 데이터 송신장치는 1화소당 N 비트(N은 자연수)의 화상 데이터 병렬신호를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로 변환하는 병렬-직렬 변환수단, 및 화상 데이터 위치를 나타내는 동기코드 직렬신호의 값에 따라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의 차동전압의 진폭을 변화시킴으로써 병렬-직렬 변환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를 차동 진폭신호로 변환하여, 동기코드 직렬신호와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 각각의 값을 동시에 송신할 수 있는 차동 진폭신호 송신수단을 포함하고, 데이터 수신장치는 차동 진폭신호를 수신하고 동기 코드 직렬신호와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 각각의 값을 소정의 비교처리에 기초하여 분리하고 출력하는 차동 진폭신호 수신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데이터 송수신장치에 있어서, 카메라 모듈과 전자정보장치의 화상표시장치 사이에서 상기 화상 데이터 및 동기코드를 다중 송수신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데이터 송수신방법은, 1화소당 N비트(N은 자연수)의 화상 데이터 병렬신호를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로 변환하는 병렬-직렬 변환처리와, 동기코드 직렬신호의 값에 따라 상기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의 차동전압의 진폭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를 차동 진폭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동기코드 직렬신호와 상기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의 각 신호값을 동시에 송신하는 차동 진폭신호 송신처리와, 상기 차동 진폭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동기코드 직렬신호와 상기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의 각 신호값을 분리 출력하는 차동 진폭신호 수신처리를 포함하고 있고, 그것에 의해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데이터 송수신방법에 있어서의 차동 진폭신호 수신처리는, 상기 동기코드 직렬신호와 상기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의 분리처리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처리에서 얻어진 동기코드 직렬신호로부터 동기신호를 검출하는 동기신호 검출처리와, 상기 분리처리에서 얻어진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를 1화소당 N비트(N은 자연수)의 병렬신호로 변환하는 화상 데이터 병렬신호 변환처리를 더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카메라 모듈과 접속된 전자정보장치와의 사이 등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데이터 송수신장치에 있어서, 1화소당 N비트(N은 자연수)의 화상 데이터 병렬신호를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로 변환하는 병렬-직 렬 변환수단 및, 화상 데이터의 위치를 나타내는 동기코드 직렬신호의 값에 따라 화상 데이터 병렬신호의 차동전압의 진폭을 변화시키도록, 병렬-직렬 변환수단으로부터의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를 차동 진폭신호로 변환하고, 동기코드 직렬신호와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의 각 신호값을 동시에 송신 가능하게 하는 차동 진폭신호 송신수단을 갖는 데이터 송신장치와, 동기코드 직렬신호의 값에 따라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의 차동전압의 진폭을 변화시킨 차동 진폭신호를 수신하고, 동기코드 직렬신호와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의 각 신호값을 소정의 비교처리에 의거하여 분리 출력하는 차동 진폭신호 수신수단을 갖는 데이터 수신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화상 데이터 병렬신호를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로 변환해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직렬 송수신방법을 사용하므로, 카메라 모듈이 출력하는 화상 데이터를 보다 적은 배선으로 실현할 수 있고, 불필요 복사 노이즈의 저감, 시스템의 비용삭감이나 저소비 전력화, 소형화를 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동기코드 직렬신호의 값에 따라 화상 데이터 병렬신호의 차동전압의 진폭을 변화시키도록, 병렬-직렬 변환수단으로부터의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를 차동 진폭신호로 변환하여, 동기코드 직렬신호와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의 각 신호값을 동시에 송신 가능하게 하고, 수신측에 있어서, 동기코드 직렬신호의 값에 따라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의 차동전압의 진폭을 변화시킨 차동 진폭신호를 수신하고, 동기코드 직렬신호와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의 각 신호값을 소정의 비교처리에 의거하여 분리 출력할 수 있으므로, 직렬 송신 데이터량을 증가시키지 않고, 화상 데이터의 위치를 용이하고 또한 정확하게 인식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화상 데 이터와 동기코드의 다중화처리 및 그 분리처리를 보다 작은 회로규모로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송신/수신 타이밍 제어회로도 보다 작은 회로규모가 됨과 아울러, 고속의 데이터 송수신처리가 가능해진다.
이상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하면, 특히 카메라 모듈과 전자정보장치와의 사이 등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데이터 송수신장치에 있어서, 송수신하는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를 동기코드에 따라 LVDS 송수신 차동전압의 진폭을 변화시켜서 송신하기 때문에, 직렬 송신 데이터량을 증가시키지 않고, 화소 데이터의 위치를 용이하고 또한 정확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화상 데이터와 동기코드의 다중화처리 및 그 분리처리를 보다 작은 회로규모로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송신/수신 타이밍 제어회로도 보다 작은 회로규모로 실현할 수 있음과 아울러, 송수신 시간의 고속화를 실현할 수 있고, 또한, 동기코드의 진폭 폭을 크게 하기 때문에 수신장치측에 있어서의 통신 에러의 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데이터 송수신장치 및 데이터 송수신방법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데이터 송수신장치의 요부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데이터 송수신장치(1)는, 디지털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장치(2)와, 송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장치(3)를 갖고 있고, 예를 들면 카메라 모듈과 전자정보장치의 화상표시장치와의 사이 등에서 디지털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또, 데이터 송수신장치(1)에는, 데이터 송 신장치(2)로부터 데이터 수신장치(3) 측에 출력되는 신호전류를 신호전압으로 변환하는 저항수단으로서의 전류/전압 변환용의 저항(4)을 더 갖고 있지만, 이 전류/전압 변환용의 저항(4)은, 데이터 송신장치(2)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고, 데이터 수신장치(3) 측에 설치되어 있다고 해도 좋지만, 여기에서는, 데이터 송신장치(2) 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송신장치(2)는, 병렬-직렬 변환수단으로서의 병렬-직렬 변환회로(21)와,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저전압 차분신호) 송신수단으로서의 LVDS 송신기(22)와, 진폭전환수단(트랜지스터 수단)으로서의 Nch 트랜지스터(23)와, 제1정전류 전원으로서의 정전류 전원(24)과, 제2정전류 전원으로서의 정전류 전원(25)을 갖고 있다. 이들의 LVDS 송신기(22), Nch 트랜지스터(23) 및 정전류 전원(24, 25)에 의해 차동 진폭신호 송신수단이 구성되고, 이 차동 진폭신호 송신수단은, 화상 데이터의 위치를 나타내는 동기코드 직렬신호(28)의 값에 따라 차동 진폭신호의 차동전압(전송라인간 전압)의 진폭을 변화시키도록, 병렬-직렬 변환회로(21)로부터의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27)를 차동 진폭신호(양쪽 전송라인에의 출력 신호)로 변환하고, 동기코드 직렬신호(28)의 신호값(S)과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27)의 신호값(Y)을 동시에 양쪽 전송라인을 통해서 송신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이들의 Nch 트랜지스터(23) 및 정전류 전원(24, 25)에 의해 정전류 제어수단이 구성되고, 이 정전류 제어수단은, 동기코드 직렬신호(28)의 값(S)에 따라, LVDS 송신기(22)에 공급되는 정전류를 제어한다.
병렬-직렬 변환회로(21)는, 1화소당 N비트(N은 자연수)의 병렬 화상 데이터( 화상 데이터 병렬신호)를 화상입력 데이터로 하고, 이 1화소당 N비트(N은 자연수)의 화상 데이터 병렬신호(26)를 직렬 화상 데이터(화상 데이터 직렬신호)로 변환한다.
LVDS 송신기(22)는, 병렬-직렬 변환회로(21)로부터 출력되는 송신측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27)를 차동 진폭신호로 변환한다.
Nch 트랜지스터(23)에 있어서, 그 게이트에는 직렬 동기신호인 송신측 동기코드 직렬신호(28)가 입력되고, 그 소스 선에는 정전류 전원(24)의 출력단이 접속되어서 정전류가 공급되며, 그 드레인 선에는 LVDS 송신기(22)의 전원전압 입력단 및 정전류 전원(25)의 출력단이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Nch 트랜지스터(23)는, 송신측 동기코드 직렬신호(28)에 따라, LVDS 송신기(22)에의 정전류 전원(24)의 출력을 온/오프 제어하고, 정전류 전원(24, 25)에 의한 정전류와 정전류 전원(25)만에 의한 정전류 중 어느 하나로 전환되게 되어 있다.
정전류 전원(24)은, 전원전압(Vdd)의 출력단(29)과 Nch 트랜지스터(23)의 소스 선 사이에 접속되어서, Nch 트랜지스터(23)를 개재해서 소정의 정전류를 LVDS 송신기(22)에 공급 가능하게 한다.
정전류 전원(25)은, 정전류 전원(24)과 Nch 트랜지스터(23)의 직렬회로에 병렬로 접속되어 있고, 정전류 전원(25)으로부터의 정전류 또는, 정전류 전원(24, 25)으로부터의 정전류를 LVDS 송신기(22)에 공급한다.
한편, 데이터 수신장치(3)는,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저전압 차분신호) 수신수단으로서의 LVDS 수신기(31)와, 동기신호 변환수단으로서의 동기 코드 변환회로(32)와, 직렬-병렬 변환수단으로서의 직렬-병렬 변환회로(33)를 갖고 있다.
LVDS 수신기(31)는, 전원전압(Vdd)의 출력단(34)과 접지전압 접속단 사이에 설치되어, LVDS 송신기(22)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를 전압으로서 수신하고, 수신측 동기 직렬신호(35) 및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36)를 분리 출력한다. 이 LVDS 수신기(31)는, LVDS 송신기(22)로부터의 차동전압의 진폭 폭을 변화시킴으로써, 동기코드 직렬신호(28)와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27)의 각 신호값을 동시에 다중 송신하는 LVDS 송신기(2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전류를 신호전압으로 변환하는 저항(4)을 개재해서 그 신호전압으로서 수신한다. 즉 이 LVDS 수신기(31)에 의해 차동 진폭신호수신수단이 구성되며, 차동 진폭신호 수신수단은, 동기코드 직렬신호(28)의 값(S)에 따라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27)의 출력 차동전압의 진폭을 변화시킨 차동 진폭신호를 수신하고, 동기코드 직렬신호(28)의 신호값(S)과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27)의 신호값(Y)을, 후술하는 각 식의 비교연산에 의한 소정의 비교처리에 의거하여 분리하게 되어 있다.
동기코드 변환회로(32)는, LVDS 수신기(31)로부터 출력된 수신측 동기코드 직렬신호(35)를 동기신호(37)로 변환한다. 즉 동기코드 직렬신호(35)의 고유한 데이터 열(비트 열)로부터, 화상 데이터의 1프레임의 시단을 나타내는 동기코드 FS, 그 1프레임의 종단을 나타내는 동기코드 FE, 그 1프레임의 일부를 구성하는 1라인의 시단을 나타내는 동기코드 LS, 그 1라인의 종단을 나타내는 동기코드 LE의 4종류 각각을 화상 데이터의 위치를 나타내는 동기신호(37)로 변환한다.
직렬-병렬 변환회로(33)는, LVDS 수신기(31)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36)를, 1화소당 N비트(N은 자연수)의 병렬신호(38)로 변환한다.
이 동작원리는 일반적인 LVDS 송수신의 경우와 다른 것은 아니다. 즉 LVDS 수신기(31)에 있어서, 전류신호는 저항(4)에 흐르는 방향에 의하여 "1" 또는 "0"으로서 해석된다. LVDS 송신기(22) 및 LVDS 수신기(31)의 페어는, 전자 노이즈를 최소로 유지하면서, 높은 데이터 전송속도에서의 사용이 가능하다.
카메라 모듈로부터 데이터 송신장치(2)를 통해서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의 일례로서 VGA 사이즈의 화상 데이터로 설명한다. VGA 사이즈의 화상 데이터는, 1라인중에 640화소의 데이터를 갖고 또한 1프레임 중에 480라인의 데이터를 갖는다. 1화소의 데이터 사이즈는 촬영소자의 신호를 디지털 값에 양자화하는 비트수에 의해 8비트∼14비트 등을 가질 경우가 많다.
도 2는, 도 1의 LVDS 송신기(22)로부터 LVDS 수신기(31)에의 신호라인의 파형도이며, 도 3은, 도 1의 LVDS 송신기(22)로부터 LVDS 수신기(31)에의 신호 데이터의 구성도, 도 4 및 도 5는, 도 1에 있어서의 동기 직렬코드 예를 나타내는 표이다.
1화소당 N비트(N은 자연수)의 송신측 화상 데이터 병렬신호(26)를 병렬-직렬 변환회로(21)에서 송신측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27)로 변환하고, 그 송신측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27)의 신호값(Y)이 "1" 또는 "0"에 따라 저항(4)에 흐르는 전류방향(정이나 부)을 LVDS 송신기(22)에서 제어한다.
다음에 Nch 트랜지스터(23)의 게이트에 입력되는 송신측 동기코드 직렬신호 (28)의 신호값(S)이 "1"일 때는, Nch 트랜지스터(23)는 온 하고, 송신측 동기코드 직렬신호(28)의 신호값(S)이 "0"일 때는 Nch 트랜지스터(23)는 오프 한다. 이것에 의해 저항(4)에 흐르는 전류값(IR)은,
IR = Id1…S = "0" 또한 Y = "0"
IR = -Id1…S = "0" 또한 Y = "1"
IR = (Id1+Id2)…S = "1" 또한 Y = "0"
IR = -(Id1+Id2)…S = "1" 또한 Y = "1"
로 된다. 이것에 의해 저항(4)에 흐르는 전류방향 (정)일 때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27)의 신호값(Y)이 "0", 저항(4)에 흐르는 전류방향 (부)일 때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27)의 신호값(Y)이 "1",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의 차동 진폭신호의 진폭이 통상의 배일 때 동기코드 직렬신호(28)의 신호값(S)을 "1",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의 차동 진폭신호의 진폭이 통상일 때 동기코드 직렬신호(28)의 신호값(S)을 "0"이다. 이 경우, Id1 = Id2, IR = Id1 + Id2로 한다.
따라서, 송신측 동기코드 직렬신호(28)의 신호값(S)을 "1"로 함으로써, 송신측 동기코드 직렬신호(28)의 신호값(S)을 "0"으로 할 때에 비하여, 화상 데이터의 차동전압진폭 폭을 2배로 하고, 동기코드와 화상 데이터를 다중화해서 동시에 송신할 수 있다.
다음에 LVDS 송신기(22)로부터 송신된 차동신호는 LVDS 수신기(31)로 수신되 어, 이하의 비교를 행하여 수신측 동기코드 직렬신호(35)의 신호값(S)과 수신측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36)의 신호값(Y)을 출력한다.
S = "1" 또한 Y = "0"…(R×IR) > 0 또한 (R × IR) > ((Id1 + Id2) × R)/2
S = "0" 또한 Y = "0"…(R×IR) > 0 또한 (R × IR) < ((Id1 + Id2) × R)/2
S = "1" 또한 Y = "1"…(R×IR) < 0 또한 (R × IR) < ((Id1 + Id2) × R)/2
S = "0" 또한 Y = "1"…(R×IR) < 0 또한 (R × IR) > ((Id1 + Id2) × R)/2
로 된다. 예를 들면 S = "1" 또한 Y = "0"…(R×IR) > 0에서 저항(4)에 흐르는 전류방향이 「정」인 것을 알 수 있고, (R × IR)> ((Id1+ Id2) × R)/2에서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27)의 차동 진폭신호의 진폭이 통상의 배인 것을 알 수 있다.
이 정전류원(24)과 정전류원(25)에 흐르는 전류값(Id1 및 Id2)은, LVDS 수신기(31)에 있어서 비교할 때의 통신 에러 내성을 최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Id2 = Id1 ×2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직렬-병렬 변환회로(33)에 수신측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36)의 신호값(Y)을 입력해서 직렬-병렬 변환회로(33)로부터 출력되는 1화소당 N비트(N은 자연수)의 병렬 화상 데이터(38)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동기코드 변환회로(32)에 수신측 동기코드 직렬신호(35)의 신호값(S)을 입력해서 동기코드 변환회로(32)로부터 출력되는 동기신호(37)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수신측 동기코드 직렬신호(35)의 신호값(S)으로서 부가하는 직렬신호 값의 일례로서 도 4에 동기코드 직렬신호를 나타내고 있다. 이것을 도 4에 나타내는 1프레임의 시단을 나타내는 동기코드 FS, 1프레임의 종단을 나타내는 동기코드 FE, 1라인의 시단을 나타내는 동기코드 LS, 1라인의 종단을 나타내는 동기코드 LE로서 사용함으로써 직렬 송신 데이터량을 증가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1라인마다 혹은 1프레임마다의 화상 데이터를 인식해서 용이하고 또한 정확하게 분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4의 일례는 화상 데이터의 데이터 사이즈가 8비트일 때이지만, 10비트 혹은 14비트 등에의 확장은, 동기코드의 LSB측에 "0"을 확장함으로써 용이하게 대응 가능하다. 또한 FS, FE, LS, LE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의 직렬 데이터 열이면, 도 4에 나타내는 직렬신호값의 일례 이외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 의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화상 데이터 병렬신호를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로 병렬-직렬 변환회로(21)로 변환하여, 데이터 송신장치(2)와 데이터 수신장치(3)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직렬 송수신방법에서는, 카메라 모듈이 출력하는 화상 데이터를 보다 적은 배선으로 실현할 수 있고, 불필요 복사 노이즈의 저감, 시스템의 비용 삭감이나 저소비 전력화,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동기코드 직렬신호의 값에 따라 화상 데이터 병렬신호의 차동전압의 진폭을 변화시키도록, 병렬-직렬 변환회로(21)로부터의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를 LVDS 송신기(22)에서 차동 진폭신호로 변환하여, 동기코드 직렬신호와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의 각 신호값을 동시에 송신하고, 수신측에 있어서, 동기코드 직렬신호의 값에 따라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의 차동전압의 진폭을 변화시킨 차동 진폭신호를 LVDS 수신기(31)로 수신하여, 동기코드 직렬신호와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의 각 신호값을 소정의 비 교처리에 의거하여 분리 출력한다. 이러한 화상 데이터와 동기코드의 다중화처리 및 그 분리처리에 의해, 직렬 송신 데이터량을 증가시키지 않고, 1프레임의 시단과 종단 및 1라인의 화상 데이터의 시단과 종단, 또한 1화소 데이터의 시단과 종단 등, 화상 데이터의 위치를 용이하고 또한 정확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이것을 작은 회로규모로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송신/수신 타이밍 제어회로도 보다 작은 회로규모로 할 수 있음과 아울러, 데이터 송수신처리를 고속화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동기코드 직렬신호(28)(또는 35)의 데이터 열(비트 열)은, 화상 데이터의 1프레임의 시단을 나타내는 동기코드 FS, 그 1프레임의 종단을 나타내는 동기코드 FE, 그 1프레임의 일부를 구성하는 1라인의 시단을 나타내는 동기코드 LS, 그 1라인의 종단을 나타내는 동기코드 LE의 4종류 각각을 화상 데이터의 위치로서 식별 가능하게 하는 고유의 데이터 열을 갖도록 구성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동기코드 직렬신호(28)(또는 35)의 데이터 열은, 1종류의 N비트(N은 자연수)의 동기코드로, 화상 데이터의 1프레임의 시단 및 종단, 1프레임의 일부를 구성하는 1라인의 시단 및 종단을 각각 나타내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동기코드 직렬신호(28)(또는 35)의 데이터 열은, 1종류의 N비트(N은 자연수)의 동기코드로, 화상 데이터의 1프레임의 시단 및 종단을 각각 나타내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동기코드 직렬신호(28)(또는 35)의 데이터 열은, 1종류의 N비트(N은 자연수)의 동기코드로, 화상 데이터의 1프레임의 시단을 나타내도록 하여도 좋다. 즉 화상 데이터의 1프레임의 시단을 최저한 알 수 있으면, 그것에 계속되는 동기코드 직렬신호(28)(또는 35)의 데이터 열의 위치는 소정 순서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용이하고 또한 정확하게 화상 데이터의 위치 확인을 할 수 있다. 또한, 동기코드 직렬신호(28)(또는 35)의 데이터 열은, 1종류의 N비트(N은 자연수)의 동기코드로, 화상 데이터의 1화소 데이터의 시단 및 종단을 각각 나타내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동기코드의 직렬신호(28)(또는 35)의 데이터 열은, 1종류의 N비트(N은 자연수)의 동기코드로, 화상 데이터의 1화소 데이터의 시단을 나타내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수신측 동기코드 직렬신호(35)의 신호값(S)으로서 부가하는 직렬신호값의 일례로서 도 5에 나타내는 1비트의 신호값 "1"의 동기코드 직렬신호를 1프레임의 시단 및 종단, 1라인의 시단 및 종단에 사용함으로써, 직렬 송신 데이터량을 보다 증가시키지 않고,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1프레임의 시단과 종단 및 1라인의 화상 데이터의 시단과 종단을 인식할 수 있고, 수신기 측의 데이터 수신장치(3)에 있어서의 통신 에러의 내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수신측 동기코드 직렬신호(35)의 신호값(S)으로서 부가하는 직렬신호값의 일례로서 도 5에 나타내는 1비트의 신호값 "1"의 동기코드 직렬신호를 1화소 데이터마다의 시단 및 종단에 사용함으로써, 직렬 송신 데이터량을 보다 증가시키지 않고,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1화소의 시단과 종단을 위치 인식할 수 있고, 수신기 측의 데이터 수신장치(3)에 있어서의 통신 에러의 내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정전류 제어수단은 트랜지스터(23) 및 정전류 전원(24, 25)을 갖고, 동기코드 직렬신호(28)의 값(S)에 따라, 정전류 전원(24, 25)과, 정전류 전원(25)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정전류를 LVDS 송신기(22)에 공급하도록 구성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정전류 제어수단은, 동기코드 직렬신호(28)를 게 이트 입력으로 하는 트랜지스터와, 이 트랜지스터의 소스측에 접속된 하나의 정전류 전원을 갖고, 동기코드 직렬신호(28)의 값(S)에 따라,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입력에 대응한 2종류의 정전류 중 어느 하나를 LVDS 송신기(22)에 공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요는, 이 정전류 제어수단은, 동기코드 직렬신호(28)의 값(S)에 따라, LVDS 송신기(22)에 공급되는 정전류를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이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예시해 왔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형태에 한정해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그 범위가 해석되어야 할 것으로 이해된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재 및 기술상식에 의거하여 등가의 범위를 실시할 수 있는 것이 이해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인용한 특허, 특허출원 및 문헌은, 그 내용 자체가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이 그 내용이 본 명세서에 대한 참고로서 원용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화상표시장치와 카메라 모듈 사이 등에서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데이터 송신장치, 이것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장치, 이들을 사용한 데이터 송수신장치 및 데이터 송수신방법의 분야에 있어서, 직렬 송신 데이터량을 증가시키지 않고, 용이하고 또한 정확하게 화상 데이터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고, 데이터 송수신의 고속화, 송신/수신 타이밍 제어회로의 소회로 규모를 실현할 수 있다.

Claims (25)

1화소당 N비트(N은 자연수)의 화상 데이터 병렬신호를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로 변환하는 병렬-직렬 변환수단; 및
화상 데이터의 위치를 나타내는 동기코드 직렬신호의 값에 따라 상기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의 차동전압의 진폭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병렬-직렬 변환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를 차동 진폭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동기코드 직렬신호와 상기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의 각 신호값을 동시에 송신 가능하게 하는 차동 진폭신호 송신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동 진폭신호 송신수단은,
상기 병렬-직렬 변환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를 상기 차동 진폭신호로 변환하는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저전압 차분신호) 송신수단; 및
상기 동기코드 직렬신호의 값에 따라, 상기 LVDS 송신수단에 공급되는 정전류를 제어하는 정전류 제어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장치.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류 제어수단은,
상기 동기코드 직렬신호를 게이트 입력으로 하는 트랜지스터 수단;
상기 트랜지스터 수단의 소스측에 접속된 제1정전류 전원; 및
상기 트랜지스터 수단 및 제1정전류 전원으로 이루어지는 직렬회로에 병렬로 접속된 제2정전류 전원를 갖고:
상기 동기코드 직렬신호의 값에 따라, 상기 제1정전류 전원 및 상기 제2정전류 전원과, 상기 제2정전류 전원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정전류를 상기 LVDS 송신수단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장치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류 제어수단은,
상기 동기코드 직렬신호를 게이트 입력으로 하는 트랜지스터 수단; 및
상기 트랜지스터 수단의 소스측에 접속된 정전류 전원을 갖고:
상기 동기코드 직렬신호의 값에 따라, 상기 게이트 입력에 대응한 2종류의 정전류 중 어느 하나를 상기 LVDS 송신수단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VDS 송신수단의 두개의 출력 전송라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LVDS 송신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전류를 신호전압으로 변환하는 저항수단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코드 직렬신호의 데이터 열은, 상기 화상 데이터의 1프레임의 시단을 나타내는 동기코드 FS, 상기 1프레임의 종단을 나타내는 동기코드 FE, 상기 1프레임의 일부를 구성하는 1라인의 시단을 나타내는 동기코드 LS, 상기 1라인의 종단을 나타내는 동기코드 LE의 4종류 각각을 상기 화상 데이터의 위치정보로서 식별 가능하게 하는 고유의 데이터 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코드 직렬신호의 데이터 열은, 상기 화상 데이터의 1프레임의 시단 및 종단, 상기 1프레임의 일부를 구성하는 1라인의 시단 및 종단을 각각 나타내고 있는 1종류의 N비트(N은 자연수)의 동기코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코드 직렬신호의 데이터 열은, 상기 화상 데이터의 1프레임의 시단 및 종단을 각각 나타내고 있는 1종류의 N비트(N은 자연수)의 동기코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코드 직렬신호의 데이터 열은, 상기 화상 데이터의 1프레임의 시단을 나타내고 있는 1종류의 N비트(N은 자연수)의 동기코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코드 직렬신호의 데이터 열은, 상기 화상 데이터의 1화소 데이터의 시단 및 종단을 각각 나타내고 있는 1종류의 N비트(N은 자연수)의 동기코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코드의 직렬신호의 데이터 열은, 상기 화상 데이터의 1화소 데이터의 시단을 나타내고 있는 1종류의 N비트(N은 자연수)의 동기코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장치.
동기코드 직렬신호의 값에 따라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의 차동전압의 진폭을 변화시킴으로써 얻어진 차동 진폭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동기코드 직렬신호와 상기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의 각 신호값을 소정의 비교처리에 의거하여 분리 출력하는 차동 진폭신호 수신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장치.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차동 진폭신호 수신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동기코드 직렬신호로부터, 상기 화상 데이터의 위치를 나타내는 동기신호로 변환하는 동기신호 변환수단; 및
상기 차동 진폭신호 수신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를 1화소당 N비트(N은 자연수)의 화상 데이터 병렬신호로 변환하는 직렬-병렬 변환수단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장치.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차동 진폭신호 수신수단은, 상기 차동 진폭신호의 차동전압의 진폭을 변화시킴으로써 동시에 송신된 상기 동기코드 직렬신호와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의 각 신호값을 상기 차동 진폭신호의 신호전류를 신호전압으로 변환하는 저항수단을 통해서 수신하는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저전압 차분신호) 수신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장치.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비교처리에 있어서 상기 동기코드 직렬신호와 상기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의 각 신호값이 각각 「0」이나 「1」로 각각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장치.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코드 직렬신호의 데이터 열은, 상기 화상 데이터의 1프레임의 시단 을 나타내는 동기코드 FS, 상기 1프레임의 종단을 나타내는 동기코드 FE, 상기 1프레임의 일부를 구성하는 1라인의 시단을 나타내는 동기코드 LS, 상기 1라인의 종단을 나타내는 동기코드 LE의 4종류를 각각 상기 화상 데이터의 위치정보로서 식별 가능하게 하는 고유의 데이터 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장치.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코드 직렬신호의 데이터 열은, 상기 화상 데이터의 1프레임의 시단 및 종단, 상기 1프레임의 일부를 구성하는 1라인의 시단 및 종단을 각각 나타내고 있는 1종류의 N비트(N은 자연수)의 동기코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장치.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코드 직렬신호의 데이터 열은, 상기 화상 데이터의 1프레임의 시단 및 종단을 각각 나타내고 있는 1종류의 N비트(N은 자연수)의 동기코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장치.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코드 직렬신호의 데이터 열은, 상기 화상 데이터의 1프레임의 시단을 나타내고 있는 1종류의 N비트(N은 자연수)의 동기코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장치.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코드 직렬신호의 데이터 열은, 상기 화상 데이터의 1화소 데이터의 시단 및 종단을 각각 나타내고 있는 1종류의 N비트(N은 자연수)의 동기코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장치.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코드 직렬신호의 데이터 열은, 상기 화상 데이터의 1화소 데이터의 시단을 나타내고 있는 1종류의 N비트(N은 자연수)의 동기코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장치.
데이터 송신장치 및 데이터 수신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송신장치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 수신장치에 의해 수신되는 데이터 송수신장치로서:
상기 데이터 송신장치는;
화소당 N비트(N은 자연수)를 갖는 화상 데이터 병렬신호를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로 변환하는 병렬-직렬 변환수단; 및
화상 데이터의 위치를 나타내는 동기코드 직렬신호의 수치에 따라 상기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의 차동전압의 진폭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병렬-직렬 변환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를 차동 진폭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동기 코드 직렬신호와 상기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 각각을 동시에 송신할 수 있는 차동 진폭신호 송신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수신장치는;
상기 차동 진폭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동기코드 직렬신호와 상기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 각각을 소정의 비교처리에 기초하여 분리하고 출력하는 차동 진폭신호 수신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장치.
제22항에 있어서,
카메라 모듈과 전자정보장치의 화상표시장치 사이에서 상기 화상 데이터 및 동기코드를 다중 방식으로 송수신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장치.
1화소당 N비트(N은 자연수)의 화상 데이터 병렬신호를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로 변환하는 병렬-직렬 변환처리;
동기코드 직렬신호의 값에 따라 상기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의 차동전압의 진폭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를 차동 진폭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동기코드 직렬신호와 상기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의 각 신호값을 동시에 송신하는 차동 진폭신호 송신처리; 및
상기 차동 진폭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동기코드 직렬신호와 상기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의 각 신호값을 분리 출력하는 차동 진폭신호 수신처리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방법.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차동 진폭신호 수신처리는, 상기 동기코드 직렬신호와 상기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의 분리처리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처리에서 얻어진 동기코드 직렬신호로부터 동기신호를 검출하는 동기신호 검출처리; 및
상기 분리처리에서 얻어진 화상 데이터 직렬신호를 1화소당 N비트(N은 자연수)의 병렬신호로 변환하는 화상 데이터 병렬신호 변환처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방법.
KR1020050060264A 2004-07-05 2005-07-05 데이터 송신장치, 데이터 수신장치, 데이터 송수신장치 및데이터 송수신방법 KR1006762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98694A JP3874357B2 (ja) 2004-07-05 2004-07-05 データ送信装置、データ受信装置、データ送受信装置およびデータ送受信方法
JPJP-P-2004-00198694 2004-07-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9853A true KR20060049853A (ko) 2006-05-19
KR100676289B1 KR100676289B1 (ko) 2007-01-30

Family

ID=35058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0264A KR100676289B1 (ko) 2004-07-05 2005-07-05 데이터 송신장치, 데이터 수신장치, 데이터 송수신장치 및데이터 송수신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10419B2 (ko)
EP (1) EP1615399A3 (ko)
JP (1) JP3874357B2 (ko)
KR (1) KR100676289B1 (ko)
CN (1) CN100539632C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942B1 (ko) * 2005-08-26 2007-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신호 전송 장치 및 신호 전송 방법
KR100934611B1 (ko) * 2007-04-27 2009-12-31 엠텍비젼 주식회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101045145B1 (ko) * 2010-11-10 2011-06-30 (주)미디어라이프 저전압 차분신호의 전송거리 연장 송신장치 및 그 수신장치
US8054102B2 (en) 2009-06-26 2011-1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rface device and interface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82570A (ja) * 2007-01-25 2008-08-07 Nec Electronics Corp 送信装置、受信装置および送受信システム
KR100969748B1 (ko) * 2007-01-29 2010-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직렬 통신 시스템에서 직렬 데이터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위한 직렬 통신 시스템
JP4858294B2 (ja) * 2007-05-09 2012-01-18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回路および画像処理回路
JP5070945B2 (ja) * 2007-06-05 2012-11-14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撮像装置
JP2011035630A (ja) 2009-07-31 2011-02-17 Toshiba Corp カメラヘッド分離型カメラ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902009B2 (ja) * 2011-07-29 2012-03-21 株式会社東芝 カメラヘッド分離型カメラ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CN103296984A (zh) * 2012-02-28 2013-09-11 国际商业机器公司 低压差分信号接收器
KR101952213B1 (ko) 2012-04-27 2019-02-26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 및 장치
CN102916914B (zh) * 2012-09-21 2015-05-27 北京空间机电研究所 一种模拟前端的数据接收处理系统
JP6164836B2 (ja) * 2012-12-25 2017-07-19 Hoya株式会社 内視鏡
CN105448071A (zh) * 2015-11-02 2016-03-30 中国科学技术大学 一种数据收发器及数据传输系统
JP2022152667A (ja) * 2021-03-29 2022-10-12 ラピス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ソースドライバ及び表示装置
CN116094877B (zh) * 2023-04-11 2023-06-27 浙江地芯引力科技有限公司 差分信号传输电路及数据传输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57601B (en) * 1997-11-17 2006-07-01 Semiconductor Energy Lab Pictur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GB2395876B (en) * 1999-03-17 2004-07-07 Adder Tech Ltd Computer signal transmission system
US6448962B1 (en) * 1999-05-14 2002-09-10 Three-Five Systems, Inc. Safety timer to protect a display from fault conditions
FI109391B (fi) 2000-12-08 2002-07-15 Nokia Corp Menetelmä ja laite tiedonsiirtoon
JP4221183B2 (ja) * 2002-02-19 2009-02-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942B1 (ko) * 2005-08-26 2007-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신호 전송 장치 및 신호 전송 방법
KR100934611B1 (ko) * 2007-04-27 2009-12-31 엠텍비젼 주식회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US8054102B2 (en) 2009-06-26 2011-1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rface device and interface system
KR101045145B1 (ko) * 2010-11-10 2011-06-30 (주)미디어라이프 저전압 차분신호의 전송거리 연장 송신장치 및 그 수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39632C (zh) 2009-09-09
JP2006024972A (ja) 2006-01-26
JP3874357B2 (ja) 2007-01-31
CN1756297A (zh) 2006-04-05
US7610419B2 (en) 2009-10-27
US20060013291A1 (en) 2006-01-19
EP1615399A2 (en) 2006-01-11
EP1615399A3 (en) 2008-04-02
KR100676289B1 (ko) 2007-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6289B1 (ko) 데이터 송신장치, 데이터 수신장치, 데이터 송수신장치 및데이터 송수신방법
KR100782305B1 (ko) 3개의 전송선의 차동신호화에 의한 데이터 신호 송수신장치 및 송수신 방법
KR101408457B1 (ko) 직류 밸런스 제어를 갖는 클럭 에지 변조 직렬 링크를 이용하는 신호 수신기
JP4254492B2 (ja) データ伝送システム、データ送信装置、データ受信装置、データ伝送方法、データ送信方法及びデータ受信方法
US7307554B2 (en) Parallel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parallel data transmission system
US20050201305A1 (en) Data transfer control device, electronic instrument, and data transfer control method
KR20160053679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050063707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digital image signal, digital image transmitting device, digital image sending device and digital image receiver
US20080246755A1 (en) Display, Column Driver Integrated Circuit, and Multi-Level Detector, and Multi-Level Detection Method
JP2009065399A (ja) ディジタルデータ送信装置、ディジタルデータ受信装置、ディジタルデータ送受信システム、ディジタルデータ送信方法、ディジタルデータ受信方法、ディジタルデータ送受信方法、および電子情報機器
WO2008139761A1 (ja) 撮像装置、撮像回路および画像処理回路
US6710910B2 (en) Optical amplitude demodulator
US20140062986A1 (en) Driving circuit chip and driving method for display
CN106489140B (zh) 接收器、发送器以及通信系统
KR20170044969A (ko) 수신기의 동작 방법, 소스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JP5253964B2 (ja) 固体撮像装置
KR101514963B1 (ko) 데이터 수신 장치 및 방법
KR20040030227A (ko) 신호 전송 방법, 신호 전송 시스템, 논리 회로 및 액정구동 장치
JP2000353035A (ja) シングルエンド型および差分型を統合した信号通信インタフェース
US11394911B2 (en) Imaging system
US20050073586A1 (en) Digital camera interface
FI115864B (fi) Sarjamuotoinen rajapinta ja menetelmä digitaalisen datan siirtämiseksi sarjamuotoisen rajapinnan yli
KR20130101320A (ko) 통신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2004072344A (ja) 多重化lvdsインタフェースを備えたデータ伝送システム
CN102195665A (zh) 收发装置及其相关的收发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