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9782A - 컨버터블 차량의 가동 루프를 틸팅하는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컨버터블 차량의 가동 루프를 틸팅하는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9782A
KR20060049782A KR1020050059405A KR20050059405A KR20060049782A KR 20060049782 A KR20060049782 A KR 20060049782A KR 1020050059405 A KR1020050059405 A KR 1020050059405A KR 20050059405 A KR20050059405 A KR 20050059405A KR 20060049782 A KR20060049782 A KR 200600497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ctuator
longitudinal section
movabl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9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5257B1 (ko
Inventor
폴 케보
제라드 케보
쟝 마르크 귀이예
Original Assignee
휴리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리즈 filed Critical 휴리즈
Publication of KR20060049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9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5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5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8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 B60J7/1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foldable; Tensioning mechanisms therefor, e.g. struts
    • B60J7/1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foldable; Tensioning mechanisms therefor, e.g. struts with a plurality of rigid plate-like elements or rigid non plate-like elements, e.g. with non-slidable, but pivotable or foldable movement
    • B60J7/143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foldable; Tensioning mechanisms therefor, e.g. struts with a plurality of rigid plate-like elements or rigid non plate-like elements, e.g. with non-slidable, but pivotable or foldable movement for covering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J7/145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foldable; Tensioning mechanisms therefor, e.g. struts with a plurality of rigid plate-like elements or rigid non plate-like elements, e.g. with non-slidable, but pivotable or foldable movement for covering the passenger compartment at least two elements being folded in clamp-shell fash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1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57Driving or actuating arrangements e.g. manually operated levers or kno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8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8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 B60J7/1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foldable; Tensioning mechanisms therefor, e.g. str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컨버터블 차량의 적어도 하나의 가동 루프 판넬(15b)에 대한 제어 틸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컨버터블 차량은 구조체(3), 승객 공간 및 차량의 수직 종단면(30)에서 양쪽의 승객 공간에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좌석들을 포함한다. 제어 장치는 수직 종단면에 배열되어서 작동하며, 그러므로 엑츄에이터는 상기 루프 판넬(15b)에 연결되어 루프(15b)를 틸트 할 수 있다.
컨버터블 차량, 루프 제어 시스템, 루프 판넬

Description

컨버터블 차량의 가동 루프를 틸팅하는 제어 장치{A CONTROL DEVICE FOR TILTING A MOVABLE ROOF ON A CONVERTIBLE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의 제어 장치가 적용 가능한 차량의 측면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어 장치의 중요 부분, 즉 차량의 오른쪽 시트의 뒤쪽에 근접한 차량의 국부적인 내부 사시도의 개략적인 도면.
도 3은 도 2의 화살표 Ⅲ의 방향으로 절개한 국부적인 차량의 측면을 확대한 도면.
도 4는 차량의 정중앙면의 오른쪽에 해당하는 도 2의 화살표 Ⅳ 방향에서 바라본 축소된 전체 평면도.
도 5는 특히 가로 빔에 대하여 엑츄에이터가 연결됨으로써 회전 판넬의 회전을 직접적으로 제어하는 또 다른 축소된 사시도.
본 발명은 컨버터블 차량의 적어도 하나의 가동 또는 휴대 가능한 루프 판넬의 틸팅 제어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한 판넬을 포함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이 가능한 루프를 가진 차량, 즉 컨버터블 차량의 루프 판넬의 틸팅 제어에 관한 다른 예들은 많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차량들은 특히 로드스터(roadster)들, 컨버터블 쿠페(convertible coupe), 또는 적어도 두 줄 이상의 좌석을 가진 컨버터블 차량(예를 들어, 컨버터블 사롱(convertible saloon))들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차량의 예는 WO-A-01/62533 및 US 2002/125 733에서 찾아 볼 수 있다.
그러므로, 해결책은 컨버터블 차량을 위한 것이다. 컨버터블 차량은 수직 종단면을 가지며, 구조체, 승객 공간, 상기 수직 종단면 양쪽에 상기 승객 공간에 나란히 배열된 적어도 두 개의 좌석들, 상기 승객 공간 위쪽의 폐쇄 위치와 상기 승객 공간 후방에 배치된 개방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루프를 포함하며, 상기 루프는 상기 구조체에 대하여 자유롭게 틸트가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한 루프 판넬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 종단면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한 상기 루프 판넬을 틸팅하기 위하여 적합한 제어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수직 종단면에 배치되며 실제적으로 작동하는 엑츄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엑츄에이터는 중간 구동 수장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구조체에 연결된 고정부 및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한 상기 루프 판넬에 연결된 중간 구동 수단과 관절방식으로 연결되는 가동부를 포함하며 가동부를 포함하며, 이동 가능한 상 기 루프 판넬은 상기 수직 종단면을 가로지르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엑츄에이터를 좌석 뒤쪽의 구조 빔에 고정시킴으로써 위에서 언급된 중간 구동 수단을 회전시키며, 구조 빔은 차량의 상기 구조체의 일부분을 형성하며 차량의 수직 종단면을 가로지르는 축을 따라서 연장된다.
유리하게도, 하나의 엑츄에이터를 가지며, 수직 종단면은 차량의 정중앙면이기 때문에 이러한 조건들이 종래의 발명보다 컴팩트하며 공간을 절약하는 이유이다.
유사한 이유로, 엑츄에이터는 두 개의 좌석 사이에 배열되며, 좌석의 뒤쪽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부된 청구항들은 회전과 더불어 견고한 관절 방식 연결을 원활하게 하여 루프 판넬의 틸트를 좀 더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해결책을 제공한다.
소형화와 정확한 가이드 및 강도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루프 판넬의 중간 회전 구동 장치는 차량의 수직 종단면을 가로지르게 연장하는 튜브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엑츄에이터(좀 더 자세하게는 엑츄에이터의 슬라이딩 로드(rod))의 가동부 및 중간 구동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된 로드를 포함한다.
또한, 소형화와, 신뢰성있고 정확하며 확실한 가이드를 제공하기 위하여, 엑츄에이터 실린더(또는 일반적으로 엑츄에이터 실린더의 고정부)는 자유롭게 회전하 기 위하여 설치된 부분에 대하여 가이드부에 고정되어야 하며, 가이드부는 상기 연결된 로드(rod)(들) 상에 제공된 트러니언(trunnion)을 안내하는 슬라이드(slide)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컨버터블과 같이 완전하게 접히는 루프를 가진 차량에 있어서, 루프는 적어도 두 개의 루프 판넬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제1 루프 판넬 및 제2 루프 판넬은 각각 전방 및 후방 모서리를 가지며, 제2 루프 판넬(승객 공간 위쪽에 폐쇄상태로 될 때 전방 루프)은 후방 모서리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루프 판넬의 전방 모서리에 관절 형태로 연결함으로써 중앙에 위치한 엑츄에이터의 제어아래 위에서 언급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루프 판넬은 각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2 루프 판넬 끝에서 구조체의 한 부분과 회전 암과 관절 형태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회전 암을 통하여 차량의 구조체에 연결되어야 한다.
소형화와 중앙 엑츄에이터에 의해서 적용되는 효율성을 위하여, 만약 제1 루프 판넬이 후방 쿼터 판넬(rear quarter panel)의 후방을 가로지르는 판넬이며 후방 창문을 포함하고 있다면, 엑츄에이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튜브는 제1 루프 판넬의 뒤쪽에 설치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차량에 있어서, 제2 루프 판넬이 관절 형태로 연결된 암은 반드시 다른 관절 형태로 제2 루프 판넬 끝 부분에서 측면의 연장부분이 연결되어야 하며, 연장 부분은 상기 구조 빔의 전방 방향으로 굽어진다. 이러한 연장부분은 차량의 측면에 근접하게 연장되며 좌석의 바깥 부분으로 향한다.
승객의 안전을 위하여, 위에서 언급된 루프 제어 시스템을 고려한다면, 상기 좌석들 각각의 뒤쪽에서 구조 빔은 차량의 구조체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구조적 차대에 의하여 지지되는 할로우 박스에 고정되어 있으며, 할로우 박스에는 차량 승객을 위한 보호 강화재가 배열되며, 상기 보호 강화재는 상기 할로우 박스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드 되도록 보호 강화재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박스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낮은 위치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박스의 위쪽으로 연장되며 대응하는 시트의 뒤쪽부분인 높은 위치 사이에 설치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성과 장점은 다음에 언급될 내용에서 첨부된 도면과 더불어 더욱 명확해 진다.
도 1은 차량(1)이 차량 몸체 또는 차체 구조 또는 차체라고 불리는 구조체(3)를 포함하는 것을 보여주며, 이 경우에는 문(5), 트렁크(9), 그리고 특히 전방 유리(13)의 경계를 정하는 전방 구조체 부분(11)을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된 차량(1)은 승객 공간(17)의 뒤쪽에 있는 짐 공간(7) 안쪽으로 완전히 수납되는 루프(15)를 가진 컨버터블 쿠페이다.
그러므로, 수납 가능한 루프(15)는 구조체(3)에 도시되어 있으며, 차량은 컨버터블로 변형될 수 있다.
루프(15)는 도 1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폐쇄 위치 및 같은 도면에서 교대로 점과 선으로 표시된 개방 위치 사이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폐쇄 위치에서는 루프가 차량의 승객 공간(17) 위쪽으로 연장되어 적어도 근 본적으로 위쪽 부분을 밀폐시키며, 개방 위치에서는 승객 공간의 뒤쪽에 루프가 위치된다.
루프(15)는 상대적인 제1 전개 위치(도 1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루프 폐쇄 위치)에서 승객 공간(17)을 덮도록 적합한 여러개의 견고하고 이동 가능한 루프 판넬들을 포함한다. 반면에 루프 보관 위치인 제2 개방 위치에서는 루프 판넬들이 다른 판넬들을 향하여 접혀진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루프(15)는 전방 루프 판넬 및 그 뒤쪽에 축(21)을 따라서 있는 후방 루프 판넬을 정의하는 두 개의 견고한 판넬들(15a, 15b)을 포함한다. 판넬들의 사이에서 이러한 상대적인 위치는 루프 폐쇄 위치인 경우이고 반면 개방 위치일 때에는 두 개의 루프 판넬 중 하나가 다른 하나의 위쪽에 위치하며 대략 수평하게 접혀져서 승객 공간의 뒤쪽에 위치된다.
명백하게, 루프(15)내에서 견고한 판넬들의 수량은 2개 이상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 언급된 전방 루프(15a) 및 후방 루프(15b)는 각각의 후방 모서리 및 전방 모서리 서로 근접한 거리에서 관절 방식(20)을 이용하여 연결되어 있다. 도 2는 이러한 판넬들 사이에 있는 관절 축(20a)을 보여준다. 이 축은 차량의 세로축(21) 및 세로축(21)에 대하여 평행한 정중앙 수직면(30)을 가로지른다(수직한 방향으로). 그러므로, 상기 면(30)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좌석(31) 그리고 우측 좌석(33)에 특별히 위치한 각각의 측면에 대칭면을 전체적으로 형성한다. 세로축(21)은 차량의 뒤쪽 바퀴의 축에 대하여 수직이다.
도 1에서, 세로축(21)의 방향에 도시된 AVT 및 ARR은 차량의 전방과 후방을 식별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틸팅에 의하여 조작하기 위해서는 가로축(25a) 주위의 판넬 뒤쪽에서 관절 방식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암(23)에 의하여 전방 루프 판넬(15a)은 개방 및 폐쇄 위치 사이에서 구동된다. 가로축은 세로축(21) 그리고/또는 정중앙 수직면(31)에 대하여 특별히 수직 방향인것을 의미한다.
한편, 도 2에서 도시된 암(23)은 차체(3)의 가로축(25b)을 중심으로 하여 관절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두 개의 암들(23)이 각각의 루프 측면에 위치하여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방 루프 판넬(15b) 및 후방 루프 판넬(15b)의 틸팅 구동 메카니즘 사이에서 연결된 사이드 포인트들(side points) 중의 하나는 강접합되어 있으며 도 1 및 도 2에서 27b로 표시된다.
판넬(15b)로부터 루프 어셈블리(15)(roof assembly)의 틸팅 제어가 되며, 판넬(15b)은 가로 표면을 따라 연장되는 후방 쿼터 판넬(rear quarter panel)의 후방 판넬이며, 특히 정중앙 종단면(30)에 수직이다. 도 2에서 차량의 후방 윈도우 부분(34)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에 있어서, 엑츄에이터(35)는 루프 판넬(15b)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정중앙 수직 종단면(30)에 배치되며 가동부(37)의 움직임을 통하여 대체적으로 작동한다.
예를 들어, 만약 좌석의 줄이 나란히 세 자리를 포함한다면, 엑츄에이터(35) 는 연장되며, 상기 중앙면(30)의 평행한 수직 종단면에서 작동한다. 이러한 엑츄에이터(35)(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엑츄에이터)는 실린더(39) 및 로드(가동부(37))를 포함하기에, 정중앙 수직면(30)내의 실린더(39)에 대하여 자유롭게 미끄러져 이동할 수 있다. 엑츄에이터(35)가 두 개의 좌석 뒤 쪽(도 2에서 4) 사이에 위치한 것이 바람직하며, 전형적으로 수평면보다는 조금 기울어져 있다.
그러므로, 엑츄에이터(35) 및 특히 엑츄에이터(35)의 실린더(39)는 바람직하게 좌석의 뒤쪽부분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실린더에서 가장 멀리 나아가는 전방 부분은 하우징(41)(도 2 및 도 3)에서 보호된다.
고정부 또는 엑츄에이터(35)의 실린더(39)는 차량의 구조체(3)에 연결되어 있으며 차체에 연결된 가이드부(42)에 의해서 지지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판넬(15b)의 틸팅이 신속하게 이루어져야 하기에, 엑츄에이터의 고정부(39)는 바람직하게 관절 형태로 연결 및 설치 되어 차체(3)에 대하여 가로축(43)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으며 가로축(43)은 가이드부(42)에 의해 지탱된다. 가이드부(42)는 차체(3)에 대하여 고정되기 때문에 구조체(3)의 일 부분을 형성하며 또한 구조 빔(45)에 단단히 고정된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 빔(45)은 차량의 왼쪽과 오른쪽면 사이의 세로축(21)에 대하여 가로 방향(수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엑츄에이터(35)의 가동부(슬라이딩 로드(37))는 연결 로드 시스템(49)를 통하여 관절 방식으로 중간 구동 장치(49)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경우에는 틸팅하기 위하여 루프 판넬(15b)에 단단하게 부착함으로써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이 경우의 중간 구동 장치(49)는 유일하게 가로축(49a)을 중심으로 한 회전 운동에 의하여 움직인다.
바람직하게는 중간 구동 장치(49)는 도 5에서 중간 구동 장치(49)의 양쪽 끝(49b, 49c) 근처에 굽어진 튜브를 포함하며, 튜브는 전체적으로 정중앙 수직면(30)을 가로지르게 연장된다. 또한 중간 구동 장치(49)는 도시된 바와 같이 판넬(15b)의 양쪽 끝(27b)에 부착된다. 효율성과 사이즈의 제한 때문에 중간 구동 튜브(49) 및 판넬(15b) 사이 27b에서의 연결은 판넬의 후방을 가로지르는 모서리(15b1)에 인접하게 위치한다면 더욱 바람직하게 된다. 판넬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간 위치에서 보여지기 때문이다.
튜브(49)는 가로축(49a)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설치되었지만, 실제적으로 베어링(bearing)을 형성하는 스터럽스(stirrups)에 의하여 가로 빔(45)에 부착되어 차량의 구조체(3)에 고정되어 있다.
더욱이, 튜브(49)는 가이드부(42)를 통과하여 최소한 자동차 폭을 넘어서 연장하기 때문에 좌석들(31,33)의 뒤쪽에 위치한다.
엑츄에이터(35)(슬라이딩 로드(37))의 가동부 및 중간 구동 장치(49)의 사이에서 관절 방식으로 연결된 구동 장치가 상기에 언급된 연결된 로드 시스템(47)을 통하여 제어되기 때문이다.
사실, 두 개의 연결 로드가 나란히 면(30)에 평행하게 위치하며, 각각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트러니언(53)(trunnion)이 제공되며 세로축(21)을 가로지르게 연장된다. 각각의 트러니언은 상부의 전방으로 휘어진 슬라이드(55) 내에서 자유롭게 슬라이드 할 수 있도록 배열 되었으며, 로드(37)의 슬라이딩 운동을 회전(틸팅) 운동으로 변형하여 중간 장치(49)로 전달된다.
그러므로, 각각의 연결 로드(47)는 로드(37) 및 캠(59)에 대하여 트러니언들(53,57)을 통하여 끝부분을 관절 방식대로 연결하여 중간 부분 또는 튜브(49)에 고정된다.
또한 판넬(15b)의 신속한 틸팅을 원할하게 하기 위하여, 연결 로드(47)는 상부의 전방으로 굽어지는 것이 슬릿들(55)(slits)처럼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에서 슬릿에 의해서 형성된 슬라이드(55)를 고정된 가이드부(42)의 수직적인 측벽 내에서 보여준다.
지금부터는 차량 메카니즘의 장단점에 대해서 알아본다. 전방 루프 판넬(15a)에 연결된 각각 양쪽의 암(23)은 차량의 오른쪽 측면에 대하여 도 2 및 도3 에서 45a라고 표시되어 있는 오른쪽 연장 부분에서처럼 25b에서 가로지르는 구조적 빔(45)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에서는 왼쪽 연장부분(45b)을 도시).
각각의 측면 연장부분은 빔(45)를 가지고 엘보우(elbow)를 정의하며 빔처럼 수평하게 연장한다. 각각의 면에서는, 연장 부분은 빔이 수평한 U-모양을 가지며 전방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으며, 각각의 연장부분은 차량 문(5)들 중 하나의 뒤쪽 방향으로 연장한다. 그러므로, 각각의 연장 부분은 도 2에서 시트(33)의 외부 측면(33a)처럼 상기 시트들 중의 대응하는 면에 근접하게 충분히 차량의 측면에 위치한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 각각의 시트 뒤쪽에 가로지르는 구조적 빔(45)은 수직의 기둥(도 5)의 측면에서 지지되며, 기둥은 차량 후방 휠 아치(vehicle rear wheel arches)에 근접하게 위치된다.
더군다나, 빔(45)은 구조적 차대(63)에 지지하는 할로우 박스(61)(hollow box)에 고정되며, 할로우 박스처럼 차체(3)에 고정된다.
각각의 박스(61)에서 보호 강화재가 충격을 받거나 특히 이동식 롤 바(movable roll bar)처럼 전복되는 경우에 승객의 안전을 위하여 고려되었다.
그러므로, 각각의 강화재(65)는 할로우 박스(61)(도 2)에 대하여 강화재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박스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낮은 위치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박스의 위쪽으로 연장되며 대응하는 시트의 뒤쪽부분의 높은 위치(위치는 도시되지 않는다)사이에 자유롭게 슬라이드 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진 시스템, 예를 들어 파이로테크니컬 시스템(pyrotechnical system)은 각각의 롤 바(65)를 신속히 움직이기 위하여 이러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롤 바를 수직적인 위치에 따라 상단에 도달할 때 까지 안내하는 할로우 박스의 측벽은 바람직하게 승객들의 머리 높이보다는 높아진다.
특히, 엑츄에이터(35)는 잭(jack)일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수압 잭 또는 전기 모터에 의하여 이동하는 모터 드리븐 새프트 액츄에이션 시스템(motor driven shaft actuation system)이다.
현존하는 해결책을 기반으로 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믿을 수 있고 고성능 및 경제적인 해결책을 제시함으로써 이러한 루프 판넬(들)에 대한 구동 반경 및 제어 시스템의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한다. 그러므로 상기 루프 판넬(들)은 대량 생산이 가능하며, 제한된 공간 안에서 필요한 폭의 관절 운동이 가능하며, 과도한 공간을 차지할 필요가 없어서 다른 용도 등(승객 공간, 화물 적재 공간 등)에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3)

  1. 수직 종단면을 가지며, 구조체, 승객 공간, 상기 수직 종단면 양쪽에 상기 승객 공간에 나란히 배열된 적어도 두 개의 좌석들, 상기 승객 공간 위쪽의 폐쇄 위치와 상기 승객 공간 후방에 배치된 개방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루프를 포함하며, 상기 루프는 상기 구조체에 대하여 자유롭게 틸트가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한 루프 판넬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 종단면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한 상기 루프 판넬을 틸팅하기 위하여 적합한 제어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수직 종단면에 배치되며 실제적으로 작동하는 엑츄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엑츄에이터는 중간 구동 수단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구조체에 연결된 고정부 및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한 상기 루프 판넬에 연결된 중간 구동 수단과 관절방식으로 연결되는 가동부를 포함하며, 이동 가능한 상기 루프 판넬은 상기 수직 종단면을 가로지르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이동 가능한 컨버터블 차량에 있어서,
    엑츄에이터에 의하여 회전구동하는 중간 구동 수단은 좌석 뒤쪽에 있는 구조 빔에 고정되며, 상기 구조 빔은 차량의 상기 구조체의 일부분을 형성하고 차량의 상기 수직 종단면을 가로지르는 축을 따라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터블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는 제2 가동 루프 판넬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가동 루프 판넬은 정방 모서리 및 후방 모서리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제2 가동 루프 판넬은 상기 엑츄에이터의 제어 하에 상기 차량의 상기 수직 종단면을 가로지르는 축을 충심으로 상기 제1 가동 루프 판넬에 관절 방식으로 연결되며 작동하며,
    상기 제2 가동 루프 판넬은 상기 차량의 상기 수직 종단면을 가로지르는 각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첫번째 끝부분은 상기 제2 가동 루프 판넬 그리고 두번째 끝부분은 구조체의 일부분에 관절 형식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회전 암을 통하여 상기 차량의 구조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터블 차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상기 수직 종단면의 양쪽에 측면을 포함하며,
    좌석은 상기 수직 종단면의 양쪽에 측면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회전 암은 차량의 전방 모서리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구조체 빔의 측면 연장에 관절 형식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 연장은 상기 좌석 중의 하나 그리고 차량의 상기 측면 중 하나에 근접하게 더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터블 차량.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들 각각의 뒤쪽에서 구조 빔은 차량의 구조체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구조적 차대에 의하여 지지되는 할로우 박스에 고정되어 있으며, 할로우 박스에는 차량 승객을 위한 보호 강화재가 배치되며, 상기 보호 강화재는 상기 할로우 박스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드 되도록 보호 강화재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박스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낮은 위치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박스의 위쪽으로 연장되며 대응하는 시트의 뒤쪽부분인 높은 위치 사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터블 차량.
  5. 제1항에 있어서,
    틸트되기 위해서 하나뿐인 상기 엑츄에이터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의 가동 루프 판넬이 작동되며, 수직 종단면은 차량의 정중앙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터블 차량.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좌석은 등받이가 있으며,
    상기 엑츄에이터는 상기 두 개의 좌석 사이의 상기 등받이 근처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터블 차량.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엑츄에이터의 고정부 및 가동부는 각각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대하여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터블 차량.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기의 슬라이딩 로드 및 중간 구동 장치 사이에서 관절 방식의 연결은 차량의 종단면을 연장하여 가로지르는 적어도 하나의 트러니온이 제공되며 적어도 하나의 연결 로드 및 구조체에 대한 위치에서 고정된 슬라이딩 수단을 따라서 자유롭게 슬라이드 하기 위하여 배열되며 중간 구동 장치에 적용하기 위하여 작동기의 슬라이딩 로드에서의 슬라이딩 운동을 틸팅 운동으로 변화시키는 트러니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터블 차량.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로드는 중간 구동 장치에 고정된 캠에 관절 방식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터블 차량.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구동 장치는 차량의 수직 종단면을 가로질러 연장하는 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터블 차량.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엑츄에이터의 고정부는 차량의 수직 종단면을 가로지르는 축을 중심으 로 차량의 구조체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하기 위하여 관절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터블 차량.
  12. 제8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엑츄에이터의 고정부는 가이드부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세로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적어도 하나의 트러니언을 안내하는 슬라이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터블 차량.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동 루프 판넬은 후방 쿼터 판넬(rear quarter panel)이며 따라서 차량의 후방 윈도우 및 후방 모서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터블 차량.
KR1020050059405A 2004-07-02 2005-07-01 컨버터블 차량의 이동가능한 루프를 틸팅하는 제어 장치 KR1010952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407418 2004-07-02
FR0407418A FR2866835B1 (fr) 2004-07-02 2004-07-02 Dispositif de commande pour le basculement d'un toit mobile et vehicule corresponda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9782A true KR20060049782A (ko) 2006-05-19
KR101095257B1 KR101095257B1 (ko) 2011-12-20

Family

ID=34834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9405A KR101095257B1 (ko) 2004-07-02 2005-07-01 컨버터블 차량의 이동가능한 루프를 틸팅하는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080873B2 (ko)
EP (1) EP1612076B1 (ko)
KR (1) KR101095257B1 (ko)
AT (1) ATE360548T1 (ko)
DE (1) DE602005000962T2 (ko)
FR (1) FR28668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89155B1 (fr) * 2005-07-28 2012-08-10 Heuliez Procede de montage d'un toit sur un vehicule convertible et vehicule correspondant
DE102005041220A1 (de) * 2005-08-31 2007-03-01 Daimlerchrysler Ag Klappverdeck für einen offenen Kraftwagen
FR2892063B1 (fr) * 2005-10-13 2012-12-21 Heuliez Vehicule convertible a double biellette de commande du toit rigide
DE102005055383B3 (de) * 2005-11-17 2007-01-18 Webasto Ag Fahrzeugdach eines Cabriolets mit bewegbarer Heckscheibe
FR2900901B1 (fr) * 2006-05-10 2009-01-16 Heuliez Sa Structure porteuse d'un toit retractable sur un vehicule
DE102008030241A1 (de) 2008-06-25 2009-12-31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Faltverdeck für ein Cabriolet
US10029548B1 (en) * 2015-10-07 2018-07-24 Mark A. Stadnyk Adjustable and removable hard top roof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59962A (en) * 1960-03-02 1962-10-23 Ford Motor Co Vehicle body with retractable rigid top
US5033789A (en) * 1989-03-31 1991-07-23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Convertible car body structure
US5490709A (en) * 1993-12-07 1996-02-13 Asc Incorporated Hinge for a folding roof in a convertible automotive vehicle
IT1281353B1 (it) * 1995-09-22 1998-02-18 Pininfarina Spa Autovettura convertibile con tetto rigido scomponibile e abbattibile
DE19634510C1 (de) * 1996-08-27 1998-01-22 Daimler Benz Ag Dachkonstruktion für ein Kraftfahrzeug, insbesondere für einen Personenkraftwagen
US20020036413A1 (en) * 1999-06-16 2002-03-28 Neubrand Frank G. Retractable top trunk lid assembly
DE19957427C1 (de) * 1999-11-30 2001-03-22 Webasto Vehicle Sys Int Gmbh Dachanordnung für ein Cabriofahrzeug
FR2805218B1 (fr) 2000-02-21 2002-07-19 France Design Toit escamotable dans le coffre arriere d'un vehicule, ce toit comportant une lunette arriere pivotante
DE10032378C2 (de) 2000-07-06 2002-10-24 Webasto Vehicle Sys Int Gmbh Umwandelbares Fahrzeugdach
DE10111207A1 (de) * 2001-03-08 2002-09-19 Valmet Automotive Oy Uusikaupu Verdeck eines Kabrioletts
US6837533B2 (en) * 2001-08-02 2005-01-04 Cts Fahrzeug-Dachsysteme Gmbh Hardtop vehicle roof with at least two rigid roof parts
US6659534B2 (en) * 2001-08-15 2003-12-09 Asc Incorporated Hard-top convertible roof system
DE10146266C1 (de) * 2001-09-20 2003-05-08 Edscha Cabrio Dachsys Gmbh Klappverdeck für ein Cabriolet-Fahrzeug
EP1331122B1 (de) * 2002-01-29 2003-11-05 Dura Convertible Systems GmbH Kraftfahrzeug mit versenkbarem Hardtop
DE10217917C5 (de) * 2002-04-23 2013-12-19 Wilhelm Karmann Gmbh Cabriolet-Fahrzeug mit zumindest zwei starren Dachteilen
JP2005212584A (ja) 2004-01-29 2005-08-11 Toyo Seat Co Ltd コンバーチブル車のルーフ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12076A1 (fr) 2006-01-04
KR101095257B1 (ko) 2011-12-20
EP1612076B1 (fr) 2007-04-25
DE602005000962T2 (de) 2007-11-15
DE602005000962D1 (de) 2007-06-06
FR2866835A1 (fr) 2005-09-02
ATE360548T1 (de) 2007-05-15
US7080873B2 (en) 2006-07-25
US20060001289A1 (en) 2006-01-05
FR2866835B1 (fr) 2008-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08502B2 (en) Convertible roof and tonneau cover system
US6659534B2 (en) Hard-top convertible roof system
US6419296B2 (en) Roof arrangement for a convertible
US4828317A (en) Convertible top frame with quarter windows
US7032962B2 (en) Retractable roof panel
JP4139640B2 (ja) 自動車ルーフ及びカブリオーレ
KR20060049782A (ko) 컨버터블 차량의 가동 루프를 틸팅하는 제어 장치
EP2006139B1 (en) Retractable roof and vehicle with the same
EP1207067B1 (en) Vehicle
EP1912815B2 (en) Car with a sun roof
US7255385B2 (en) Convertible roof for vehicle and associated vehicle
US7404587B2 (en) Motor vehicle
JP4689930B2 (ja) コンバーチブル型自動車の格納式ハードトップシステム
US6866327B2 (en) Tonneau panel mechanism
US7377575B2 (en) Vehicle with retractable open top and method for stowing same, with horizontal tilting system
EP1954514B1 (en) Convertible top having overcenter linkage
US7374235B2 (en) Retractable roof for a vehicle, with movable arms and opening roof elements
KR20040073576A (ko) 자동차의 리어 패널 작동 장치
US7296843B2 (en) Vehicle comprising a vertically folding sun roof
US7204541B2 (en) Motor vehicle
US7717500B2 (en) Opening roof hatch for a collapsible car roof
US9186960B2 (en) Assemblies to articulate a vehicle backlite
US20220048369A1 (en) Top compartment lid assembly comprising a link assembly and a locking assembly
US20060244285A1 (en) Hardtop carbiolet
CN211195791U (zh) 一种风挡及包括该风挡的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