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8297A - 카드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카드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8297A
KR20060048297A KR1020050049155A KR20050049155A KR20060048297A KR 20060048297 A KR20060048297 A KR 20060048297A KR 1020050049155 A KR1020050049155 A KR 1020050049155A KR 20050049155 A KR20050049155 A KR 20050049155A KR 20060048297 A KR20060048297 A KR 20060048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slider
locking member
housing
cam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9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0383B1 (ko
Inventor
준야 쓰지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Publication of KR20060048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8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0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0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5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locking the inserted card
    • G06K13/0856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locking the inserted card the locking arrangement comprising a notch in the card and a complementary locking means in the card reading st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의 폭 및 높이를 작게 하면서 커넥터의 안쪽 방향의 치수도 작게 할 수 있는 소형의 카드용 커넥터를 제공한다.
카드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캠 기구는 슬라이더에 형성된 하트형의 캠 홈과, 하우징에 축지되고 캠 홈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캠 로드로 구성되어 있다. 잠금 부재는 일단이 슬라이더에 고정된 외팔보형상이며, 타단의 자유단의 가동 범위가 캠 홈 상에 겹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카드용 커넥터{Card Connect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드용 커넥터에 카드가 삽입되고, 그 삽입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a)는 평면도, 도 1(b)는 셸을 제거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카드가 최후단 위치에까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2(a)는 평면도, 도 2(b)는 셸을 제거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카드가 배출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3(a)는 평면도, 도 3(b)는 셸을 제거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카드용 커넥터를 나타내고, 도 4(a)는 평면도, 도 4(b)는 정면도, 도 4(c)는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카드용 커넥터를 나타내고, 도 4(a)는 좌측면도, 도 4(b)는 우측면도이다.
도 6은 하우징을 나타내고, 도 6(a)는 평면도, 도 6(b)는 정면도, 도 6(c)는 배면도이다.
도 7은 하우징을 나타내고, 도 7(a)는 좌측면도, 도 7(b)는 우측면도이다.
도 8은 슬라이더를 나타내고, 도 8(a)는 평면도, 도 8(b)는 정면도, 도 8(c)는 배면도, 도 8(d)는 좌측면도, 도 8(e)는 우측면도, 도 8(f)는 저면도이다.
도 9는 캠 로드의 우측면도이다.
도 10은 잠금 부재를 나타내고, 도 10(a)는 평면도, 도 10(b)는 배면도, 도 10(c)는 좌측면도이다.
도 11은 셸을 나타내고, 도 11(a)는 평면도, 도 11(b)는 정면도, 도 11(c)는 배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셸을 나타내고, 도 12(a)는 좌측면도, 도 12(b)는 우측면도이다.
도 13은 종래예의 카드용 커넥터의 주요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4는 종래의 다른 예의 카드용 커넥터를 나타내고, 도 14(a)는 하우징의 평면도, 도 14(b)는 슬라이더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
1 : 카드용 커넥터 10 : 하우징
30 : 콘택트 40 : 슬라이더
42 : 캠 홈 50 : 캠 기구
51 : 캠 로드 60 : 잠금 부재
66 : 돌기 70 : 셸
74 : 계합부 90 : 압축 코일용수철(용수철부재)
C : 카드
본 발명은 메모리 카드 등의 카드가 접속되는 카드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용자가 소유하는 메모리 카드 등의 카드를 필요에 따라 카메라, PC, 휴대전화 등의 전자기기에 삽입하고 이 전자기기로부터 정보를 카드에 기록하거나 카드로부터 전자기기로 정보를 부여하는 카드인 가동형 전자기기가 급속히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카드인 가동형 전자기기에는, 예를 들면, 메모리 카드 등의 카드가 접속되는 카드용 커넥터가 설치되어 있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카드용 커넥터로서, 예를 들면, 도 13에 나타내는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 특개2000-251025호 공보 참조).
이 카드용 커넥터(101)는 카드(미도시)가 삽입됨과 함께 복수의 콘택트 지지홈(111)을 갖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의 일측에 배치되며 카드 배출방향(도 13에서의 앞쪽 방향)에 용수철 부세되어 카드를 배출하는 슬라이더(120)와, 슬라이더(120)를 카드 배출방향에 따른 접속위치 및 개방위치에 정지시키는 캠 기구(130)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슬라이더(120)는 하우징(110)의 후벽(도 13에서의 안쪽 벽)에 설치된 용수철 받침돌기(113)에 후단부가 감입되고, 슬라이더(120)의 후단면에 전단부가 당접한 압축코일 용수철(121)에 의해 카드 배출 방향으로 부세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캠 기구(130)는 하우징(110)의 카드 삽입구 근방에 형성된 하트 형 캠 홈(112)과, 슬라이더(120)에 축지되어 캠 홈(112)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캠 로드(12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120)가 접속위치에 있을 때에는 카드의 삽입이 완료되어 있고, 콘택트 지지홈(111)에 지지된 콘택트(미도시)에 카드가 접촉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카드를 삽입방향으로 압압하면 압축코일 용수철(121)의 작용에 의해 슬라이더가 카드 배출방향으로 부세됨과 동시에 캠 기구(130)에 의해 슬라이더(120)를 개방위치에 정지시켜 카드가 배출되는 것이다.
또한 카드가 접속되는 카드용 커넥터의 다른 예로서,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내는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2 : 특개2002-270299호 공보 참조).
이 카드용 커넥터(201)는 카드(미도시)가 삽입됨과 동시에 복수의 콘택트 지지홈(211)을 갖는 하우징(210)과, 하우징(210)의 일측에 배치되며 카드 배출방향(도 14(A)에서의 하방)에 용수철 부세되어 카드를 배출하는 슬라이더(220)와, 슬라이더(220)를 카드 배출방향에 따른 접속위치 및 개방위치에 정지시키는 캠 기구와, 슬라이더(220)에 취부된 카드를 잠그는 잠금 부재(222)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슬라이더(220)는 하우징(210)의 후벽(도 14(a)에서의 상벽)에 설치된 용수철 받침돌기(213)에 후단부가 감입되고 슬라이더(220)의 벽면(223)에 전단부가 당접한 압축코일 용수철(214)에 의해 카드 배출방향으로 부세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캠 기구는 하우징(210)의 카드 삽입구 근방에 형성된 하트형의 캠 홈(212)과, 슬라이더(220)에 축지되고 캠 홈(212)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로드(221)로 구성되어 있 다.
이 카드용 커넥터(201)에 있어서 슬라이더(220)가 접속위치에 있을 때에는 카드의 삽입이 완료되어 있고, 카드 삽입완료 상태에 있어서 잠금 부재(222)에 의해 카드를 잠그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카드의 배출 시에 있어서도 잠금 부재(222)는 그 탄성력에 의해 카드를 임시 유지하고 카드가 튀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들 카드용 커넥터(101, 201)에 있어서는 이하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도 13에 나타낸 카드용 커넥터(101)의 경우, 카드용 커넥터(101)의 폭 및 높이를 작게 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캠 홈(112)이 하우징(110)의 카드 삽입구 근방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카드용 커넥터(101)의 안쪽 방향(카드의 삽입 및 배출방향)의 치수를 작게 하는 것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카드용 커넥터(101)의 경우, 카드를 적극적으로 잠그는 수단을 갖고 있지 않다. 이로 인해 카드의 삽입완료 상태에서 카드를 잠글 수 없었다. 또한 카드 배출 시에도 카드가 튀어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도 14에 나타낸 카드용 커넥터(201)의 경우, 카드를 적극적으로 잠그는 잠금 부재(222)가 있으므로 카드의 삽입완료 상태에 있어서 카드를 잠그는 것도 가능하고 카드 배출 시에도 카드가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카드용 커넥터(201)에 있어서도 카드용 커넥터(201)의 폭 및 높이를 작게 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캠 홈(212)이 하우징(210)의 카드 삽입구 근방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카드용 커넥터(201)의 안쪽 방향(카드의 삽입 및 배출방향)의 치수를 작게 하는 것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휴대전화 등의 소형 카드인 가동형 전자기기에 있어서는 카드용 커넥터의 폭 및 높이의 치수뿐만 아니라 안쪽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커넥터의 폭 및 높이를 작게 할 수 있으면서 커넥터의 안쪽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는 소형 카드용 커넥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 중 청구항 제1항에 따른 카드용 커넥터는, 카드가 삽입되며 복수의 콘택트를 취부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면서 카드 배출방향으로 용수철 부재에 의해 부세되어 상기 카드를 배출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카드 배출방향에 따른 접속위치 및 개방위치에 정지시키는 캠 기구와, 상기 카드를 잠그는 잠금 부재를 구비하는 카드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캠 기구는 상기 슬라이더에 형성된 하트형 캠 홈과 상기 하우징에 축지되어 상기 캠 홈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캠 로드로 구성되고, 상기 잠금 부재는 일단이 상기 슬라이더에 고정된 외팔보 형상이며 타단의 자유단 가동범위가 상 기 캠 홈 상에 겹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중 청구항 제2항에 따른 카드용 커넥터는,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덮는 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셸은 상기 잠금 부재의 자유단측에 형성된 돌기와 계합하는 계합부를 갖고, 상기 계합부는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접속위치에서는 상기 돌기가 계합하여 상기 잠금 부재의 자유단의 슬라이딩을 규제함하며,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개방위치에서는 상기 잠금 부재의 자유단의 슬라이딩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중 청구항 제3항에 따른 카드용 커넥터는 청구항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캠 홈 및 상기 잠금 부재는 횡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용수철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카드 삽입방향 단벽,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캠 홈 및 상기 잠금 부재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드용 커넥터에 카드가 삽입되고, 그 삽입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a)는 평면도, 도 1(b)는 셸을 제거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카드가 최후단 위치에까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2(a)는 평면도, 도 2(b)는 셸을 제거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카드가 배출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3(a)는 평면도, 도 3(b)는 셸을 제거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카드용 커넥터를 나타내고, 도 4(a)는 평면도, 도 4(b)는 정면도, 도 4(c)는 배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카드용 커넥터를 나타내고, 도 4(a)는 좌측면도, 도 4(b)는 우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있어서, 카드용 커넥터(1)는 카드(C)가 삽입되는 하우징(10)과, 카드(C)를 배출하는 슬라이더(40)와, 캠 홈(50)과, 카드(C)를 잠그는 잠금 부재(60)와, 하우징(10)의 상면을 덮는 금속제 셸(70)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하우징(10)에는 카드(C)가 전방(도 1(a)에서의 하방)에서 후방(도 1(a)에서의 후방)을 향해 삽입되고, 삽입된 카드(C)가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배출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도 6은 하우징을 나타내고, 도 6(a)는 평면도, 도 6(b)는 정면도, 도 6(c)는 배면도이고, 도 7은 하우징을 나타내고, 도 7(a)는 좌측면도, 도 7(b)는 우측면도이다.
하우징(10)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거의 사각형상의 저판(11)과 저판의 좌우양측(도 6(a)에서의 좌우양측)부터 시작하는 측벽(12, 13)과, 저판(11)의 후단에서 시작하는 후벽(14)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0)은 절연성 수지를 성형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10)의 후벽(14)에는 복수의 콘택트(30; 도 1)가 압입되는 복수의 압입 홈(16)이 형성되고, 저벽(11)에는 콘택트(30)의 탄성접촉편(32)의 하방으로의 휨을 허용하는 복수의 휨 허용공간(15)이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30)는 하우징(10)의 압입 홈(16)에 압입 고정되고, 하우징(10)의 후벽(14)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회로기판(미도시) 상에 납땜접속되는 기판접속부(31; 도 1)와, 후벽(14)에서 전방 대각선 상방으로 연장되어 카드(C)의 하면에 있는 도전부(미도시)에 탄성접촉편(32)을 구비하고 있다. 콘택트(30)는 금속판을 타발 및 절곡가공하 여 형성된다.
하우징(10)의 좌측 측벽(12)의 내측에는 슬라이더 수용공간(1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10)의 저벽(11)의 슬라이더 수용공간(17)에 대응하는 후방부에는 후벽(14)에서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가이드 홈(1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0)의 후벽(14)의 가이드 홈(18)보다도 약간 좌측으로부터는 용수철용 포스트(19)가 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10) 저벽(11)의 슬라이더 수용공간(17)에 대응하는 최전단에는 스토퍼벽(20)이 상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우측 측벽(13) 외면의 최후단으로부터 최전단에 걸쳐 5개의 계지 폴(pawl; 28)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측 측벽(12)의 전후방향 약간 전측 상단에는 래치 폴(12a)이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하우징(10)의 저벽(11)의 슬라이더 수용공간(17)의 후측에서 좌측 측벽(12)의 바로 내측에는 캠 로드 축지공(29)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10)의 우측 측벽(13)에는 카드(C)의 삽입완료 상태를 검지하는 카드 삽입검지 스위치(80; 도 1 내지 도 3)가 설치되어 있다. 카드 삽입검지 스위치(80)는 일단이 회로기판에 접속된 제1콘택트(81)와, 일단이 회로기판에 접속되고 타단이 카드 삽입완료 시에 카드(C)의 측단에 압압되어 제1콘택트(81)에 접촉하는 제2콘택트(8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카드(C)에 의해 압압되기 전 상태의 제1 및 제2콘택트(81, 82)가 나타나 있다. 또한 하우징(10)의 하면에는 하우징(10)을 회로기판에 대해 위치결정하기 위한 복수의 위치결정 포스트(21)가 형성되어 있다.
도 8은 슬라이더를 나타내고, 도 8(a)는 평면도, 도 8(b)는 정면도, 도 8(c)는 배면도, 도 8(d)는 좌측면도, 도 8(e)는 우측면도, 도 8(f)는 저면도이다.
슬라이더(40)는, 도 8과 같이, 평판상의 베이스부(41)를 구비하고, 베이스부(41)의 상면에 하트형의 캠 홈(42)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40)는 절연성 수지를 성형하여 형성된다. 캠 홈(42)은 베이스부(41)의 후방부에 형성되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직선상부(42a)와, 제1직선상부(42a)의 전단에서 대각선 우측에 경사지는 제2직선상부(42b)와, 제2직선상부(42b)의 전단에서 제1직선상부(42a)와 거의 평행하게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3직선상부(42c)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3직선상부(42c)의 전단은 약간 좌측으로 꺽어지고, 그 꺽어진 곳에서 제1직선상부(42a)와 거의 평행하게 전방을 향해 제4직선상부(42d)가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제4직선상부(42d)의 후단으로부터는 제5직선상부(42e)가 전방 대각선 좌측을 향해 비스듬히 연장되고, 제5직선상부(42e)의 선단에는 제1직선상부(42a)와 거의 평행하게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제6직선상부(42f)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6직선상부(42f)의 후단은 약간 우측으로 꺽어지고, 꺽어진 곳으로부터 제1직선상부(42a)와 거의 평행하게 전방을 향해 제7직선상부(42g)가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제7직선상부(42g)의 후단은 제1직선상부(42a)에 연속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캠 홈(42)은 하트형의 루프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40)의 베이스부(41)의 제2직선상부(b)의 우측 겨드랑이부에는 융기부(41a)가 입설되고 융기부(41a)의 후측에는 후방 및 하방을 향해 개방하는 관통공(43)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공(43) 내에는 베이스부(41)의 벽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용수철용 포스트(44)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관통공(43)의 상방에서 용수철용 포스트(44)의 후방측에는 용수철용 커버부(45)가 관통공(43)을 올라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부(41)의 상면에서 관통공(43)의 우측옆에는 복수의 잠금 부재 압입용 홈(46)이 전후방향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부(41)의 상면에서 잠금 부재 압입용 홈(46)의 우측 옆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벽부(46a)가 입설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부(41)의 우측면 후단에는 우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그 돌출부의 전면이 카드(C)의 압압면(47)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베이스부(41)의 전단면에는 스토퍼(48)가 상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8(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40)의 하면에서 압압면(47)의 좌측 옆에는 하우징(10)의 가이드 홈(18)에 안내되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돌기(49)가 하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40)는, 도 1(b), 도 2(b), 및 도 3(b)에 잘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40)의 하면을 하방으로 하여 하우징(10)의 슬라이더 수용공간(17)에 수용되고, 가이드 돌기(49)가 하우징(10)의 저벽(11)에 형성된 가이드 홈(18) 내에 감입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40)는 가이드 돌기(49)가 가이드 홈(18)에 안내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우징(10)에 배치된다. 그리고 슬라이더(40)의 후단과 하우징(10)의 후벽(14)과의 사이에는,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축코일 용수철(용수철부재;90)이 설치되고, 슬라이더(40)는 카드 배출방향(전방향)으로 압축코일 용수철(90)에 의해 상시 부세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압축코일 용수철(90)은 그 후측이 하우징(10)에 설치된 용수철용 포스트(19)에 감입되어 지지되고, 전 측이 슬라이더(40)에 설치된 용수철용 포스트(44)에 감입되어 지지되고 있다. 즉, 캠 홈(42) 및 잠금 부재(60)는 횡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압축코일 용수철(90)은 하우징(10)의 후벽(카드 삽입방향 단벽;14), 슬라이더(40)의 캠 홈(42) 및 잠금 부재(60)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더(40)는 카드(C)의 배출방향에 따른 도 1(b)에 나타내는 접속위치(카드(C)의 삽입완료 시의 위치)와, 도 2(b)에 나타내는 최후단위치(카드가 최후단위치에까지 삽입된 상태의 위치)와, 도 3(b)에 나타내는 개방위치(카드(C)의 배출 시의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캠 기구(50)는 슬라이더(40)를 상기 접속위치 및 개방위치에 정지시키는 것으로 슬라이더(40)에 형성된 하트형 캠 홈(42)과 하우징(10)의 캠 로드 축지공(29)에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이 캠 홈(42)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캠 로드(51)로 구성되어 있다. 캠 로드(51)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선상의 금속봉 양단을 동일 방향으로 절곡하여 지축부(52, 53)를 형성한 것이다. 일방의 지축부(52)가 캠 로드 축지공(29)에 축지되고, 타방의 지축부(53)가 캠 홈(42)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되어 있다. 캠 홈(50)의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10은 잠금 부재를 나타내고, 도 10(a)는 평면도, 도 10(b)는 배면도, 도 10(c)는 좌측면도이다.
잠금 부재(6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기판부(61)와, 기판부(61)의 전단에서 전방 대각선 좌측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제1직선상부(62)와, 제1직선상부(62)의 전단에서 기판부(61)와 거의 평행하게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2직선상부(63)와, 제2직선상부(63)의 전단에서 우측으로 연장되어 만곡하여 전방 대각선 좌측으로 경사 져 연장되는 만곡부(64)와, 만곡부(64)의 전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3직선상부(65)를 구비하고 있다. 잠금 부재(60)는 금속판을 타발 및 절곡가공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기판부(61)의 하단 후방부에는 슬라이더(40)의 잠금 부재 압입용 홈(46)에 압입 고정되는 복수의 압입부(67)가 하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3직선상부(65)의 상단 전단부에는 상방으로 돌출하는 돌기(66)가 형성되어 있다. 잠금 부재(60)는 압입부(67)가 슬라이더(40)에 고정된 외팔보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잠금 부재(60)의 만곡부(64)는, 도 1(b), 도 2(b),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C)의 측부에 형성된 절결(C1) 내에 위치하여 카드(C)를 잠그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압입부(67)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돌기(66)는 만곡부(64)가 절결(C1) 내에 위치할 때에는, 슬라이더(40)의 캠 홈(42)보다 약간 우측에 위치하고, 만곡부(64)가 절결(C1) 내에 위치하지 않고 카드(C)의 측단에 당접하고 있는 때에는, 도 3(b)의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40)의 캠 홈(42) 상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즉, 돌기(66)의 가동 범위가 캠 홈(42) 상에 겹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잠금 부재(60)의 기판부(61)는 압입부(67)를 슬라이더(40)에 고정한 상태에서는, 도 1(b), 도 2(b),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40)의 벽부(46a)의 좌측면에 접하고, 이 벽부(46a)에 의해 우측방으로의 변위가 규제되고 있다.
도 11은 셸을 나타내고, 도 11(a)는 평면도, 도 11(b)는 정면도, 도 11(c)는 배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셸을 나타내고, 도 12(a)는 좌측면도, 도 12(b)는 우 측면도이다.
셸(70)은 하우징(10)의 상면을 덮는 거의 사각형상의 평판부(71)와, 평판부(71)의 좌우양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측벽(72, 73)을 구비하고, 금속판을 타발 및 절곡가공하여 형성된다. 셸(70)의 좌측 측벽(72)의 전측에는 평판부(7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별도의 측벽(72a)이 절곡 형성되고, 이 측벽(72a)에는 하우징(10)의 스토퍼벽(20)에 형성된 계지 폴(27)이 계지하는 계지공(72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측 측벽(72)에는 하우징(10)의 좌측 측벽(12)에 형성된 계지 폴(28)이 계지하는 계지공(72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셸(70)의 우측 측벽(73)은 한가운데에 절결을 사이에 두고 전측과 후측으로 나뉘어져 있다. 그리고 후측의 우측 측벽(73)에는 하우징(10)의 측벽(13)에 형성된 계지 폴(22, 23)이 계지하는 계지공(73b, 73c)이 형성되고, 전측의 우측 측벽(73)에는 하우징(10)의 우측 측벽(13)에 형성된 계지 폴(24, 25)이 계지하는 계지공(73d, 73e)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측의 우측 측벽(73)의 더 전측에는 평판부(7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별도의 측벽(73a)이 형성되고, 이 측벽(73a)에는 하우징(10)의 우측 측벽(13)에 형성된 계지 폴(26)이 계지하는 계지공(73f)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셸(70)의 평판부(71)의 전방부 좌우양측에는 삽입된 카드(C)의 표면에 탄성접촉하여 카드(C)를 하방으로 압압하는 한 쌍의 설편(76)이 후방을 향해 절하(切下:잘라서 늘어뜨려져 있음)되어 있다. 이들 설편(76)은 카드(C) 배출 시에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평판부(71)의 후방부 좌단측에는 캠 로드(51)에 탄성접촉하여 캠 로드(51)를 하방으로 압압하는 용수철편(75)이 전방을 향해 절하되어 있다. 캠 로드(51)는 일방의 지축부(52)가 하우징(10)의 캠 로드 축지공(29)에 축지되고, 타방의 지축부(53)가 캠 홈(42)에 위치하고 있을 뿐이므로 상방으로 튀어나올 우려가 있으나 용수철편(75)이 캠 로드(51)를 하방으로 압압함으로써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더욱이 셸(70)의 평판부(71)에는 잠금 부재(60)의 자유단측에 형성된 돌기(66)와 계합하는 계합부(74)가 형성되어 있다. 계합부(74)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슬릿상 개구(74a)와, 슬릿상 개구(74a)의 전단에서 전방으로 서서히 광폭으로 연장되어 최종적으로는 슬릿상 개구(74a) 폭의 약 2배 이상의 폭이 되는 광폭 개구(74b)를 구비하고 있다. 계합부(74)는, 도 1(b)에 나타내는 슬라이더(40)의 접속위치 및 도 2(b)에 나타내는 최후단 위치에서는 슬릿상 개구(74a)에 돌기(66)가 계합하여 잠금 부재(66)의 자유단의 좌우방향 이동(슬라이딩)을 규제한다. 또한 계합부(74)는 도 3(b)에 나타내는 슬라이더(40)의 개방위치에서는 잠금 부재(60)의 돌기(66)가 광폭 개구(74b) 내에 위치하여 잠금 부재(60)의 자유단의 슬라이딩을 허용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하우징(10) 내에 카드(C)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때에는 슬라이더(40)는 압축 코일용수철(90)의 작용에 의해 카드 배출방향으로 부세되어 있기 때문에, 도 3(b)에 나타내는 상태와 동일하게 개방위치에 있다. 이 때 캠 로드(51)의 지축부(53)는 캠 홈(42)의 제1직선상부(42a)의 후단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잠금 부재 (60)의 돌기부(66)는 캠 홈(42)의 약간 내측(우측)에 위치함과 동시에 셸(70)의 광폭 개구(74b) 내에 위치하여 잠금 부재(60)의 자유단의 슬라이딩을 허용하도록 되어 있다. 잠금 부재(60)의 돌기부(66)의 위치는 캠 홈(42)의 약간 내측에 위치하고 캠 로드(51)와 잠금 부재(60)와는 위치적으로 떨어져 있으므로 간섭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하우징(10)의 전측에서 하우징(10) 내에 카드(C)를 삽입한다. 이 때 하우징(10)의 우측 측벽(13)의 내벽면과 스토퍼벽(20)의 내벽면이 카드(C)의 내측단 가이드 규제면이 된다. 그리고 카드(C)를 하우징(10)에 삽입하면 카드(C)의 좌측단이 잠금 부재(60)의 만곡부(64)를 외측으로 변위시켜 카드(C)의 절결(C1)이 만곡부(64)의 위치에 오면 만곡부(64)가 내측으로 변위하여 절결(C1) 내에 위치한다. 그리고 잠금 부재(60)의 돌기부(66)는 셸(70)의 광폭 개구(74b) 내에 위치하여 잠금 부재(60)의 자유단의 슬라이딩을 허용한다. 이 때 카드(C)의 선단은 슬라이더(40)의 압압면(47)에 당접한다. 만곡부(64)가 외측으로 변위한 때에는 잠금 부재(60)의 돌기부(66)는 슬라이더(40)의 캠 홈(42)의 제2직선상부(42b), 제3직선상부(42c), 제4직선상부(42d) 및 제5직선상부(42e) 상에 겹치지만 캠 로드(51)의 지축부(53)는 캠 홈(42)의 제1직선상부(42a)의 후단부에 위치하고, 캠 로드(51)와 잠금 부재(60)와는 위치적으로 떨어져 있으므로 간섭하지 않는다. 카드(C)의 선단이 슬라이더(40)의 압압면(47)에 당접한 때에도 잠금 부재(60)의 돌기부(66)의 위치는 캠 홈(42)의 약간 내측에 위치하고 캠 로드(51)의 지축부(53)는 캠 홈(42)의 제1직선상부(42a)의 후단부에 위치하여, 캠 로드(51)와 잠금 부재(60)와는 위치적 으로 떨어져 있으므로 간섭하지 않는다.
그리고 카드(C)를 압압하여 슬라이더(40)가 하우징(10)의 후벽(14)에 당접함과 동시에 카드(C)의 선단이 하우징(10)의 후벽(14)에 당접하기까지 카드(C)를 삽입한다. 그러면 캠 로드(51)의 지축부(53)는 캠 홈(42)의 제1직선상부(42a)에서 제2직선상부(42b), 제3직선상부(42c)를 거쳐 제4직선상부(42d)의 전단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 잠금 부재(60)의 돌기부(66)는 셸(70)의 슬릿상 개구(74a) 내에 위치하고, 돌기부(66)가 슬릿상 개구(74a)의 단부에 계합함으로써 잠금 부재(60)의 자유단의 슬라이딩이 규제된다. 캠 로드(51)의 지축부(53)는 캠 홈(42)의 제4직선상부(42d)의 전단부에 위치하지만, 잠금부재(60)의 돌기부(66)의 위치는 캠홈(42)의 약간 내측에 위치하고, 슬릿상 개구(74a)와 계함함으로써 자유단의 슬라이딩이 규제되기 때문에, 캠 로드(51)과 잠금부재(60)와는 간섭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카드(C)를 분리하면, 압축 코일용수철(90)의 작용에 의해 슬라이더(40)가 카드 배출방향(전방)으로 부세되고, 카드(C)도 슬라이더(40)와 함께 카드 배출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렇게 하면, 슬라이더(40)는 도 1(b)에 나타내는 접속위치가 된다. 이 때 카드(C)의 삽입이 완료되고 카드(C)의 하면에 형성된 도전부에 콘택트(30)의 탄성접촉편(32)이 접촉하고 회로기판과 카드(C)가 전기적으로 도통하게 된다. 또한 카드 삽입 검지스위치(80)의 제1콘택트(81)와 제2콘택트(82)가 접촉하고, 삽입 검지신호가 회로기판 상에 보내진다. 이 과정에서 캠 로드(51)의 지축부(53)는 캠 홈(42)의 제4직선상부(42d)에서 제5직선상부(42e)로 이동하고 제5직선상부(42e)의 후단에서 정지한다. 또한 잠금 부재(60)의 돌기부(66)는 아직 셸(70)의 슬릿상 개구(74a) 내에 위치하고, 돌기부(66)가 슬릿상 개구(74a)의 단부에 계합함으로써 잠금 부재(60)의 자유단의 슬라이딩이 규제된다. 잠금 부재(60)의 만곡부(64)는 카드(C)의 절결(C1) 내에 위치하고 있다. 캠 로드(51)의 지축부(53)는 캠 홈(42)의 제5직선상부(42e)의 후단에 위치하게 되지만 잠금 부재(60)의 돌기부(66)의 위치는 캠 홈(42)의 약간 내측에 위치하여 슬릿상 개구(74a)에 계합함으로써 자유단의 슬라이딩이 규제되므로, 캠 로드(51)와 잠금 부재(60)와는 간섭하지 않는다. 또한 슬라이더(40)의 접속위치에 있어서 잠금 부재(60)의 자유단의 슬라이딩이 규제되므로 카드(C)를 무리하게 인발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카드(C)의 배출을 행하는 때에는 카드(C)의 삽입완료 상태에서 카드(C)를 다시 압압하여 슬라이더(40)가 하우징(10)의 후벽(14)에 당접함과 동시에 카드(C)의 선단이 하우징(10)의 후벽(14)에 당접하기까지 압압한다. 그러면 슬라이더(40)는 도 2(b)에 나타내는 최후단위치가 된다. 이 과정에서 캠 로드(51)의 지축부(53)는 캠 홈(42)의 제5직선상부(42e)에서 제6직선상부(42f)의 전단부에 위치한다. 이 때 잠금 부재(60)의 돌기부(66)는 셸(70)의 슬릿상 개구(74a) 내에 아직 위치하고, 돌기부(66)가 슬릿상 개구(74a)의 단부에 계합함으로써 잠금 부재(60)의 자유단의 슬라이딩이 규제된다. 잠금 부재(60)의 만곡부(64)는 카드(C)의 절결(C1) 내에 위치하고 있다. 캠 로드(51)의 지축부(53)는 캠 홈(42)의 제6직선상부(42f)의 전단부에 위치하게 되지만, 잠금 부재(60)의 돌기부(66)의 위치는 캠 홈(42)의 약간 내측에 위치하여 슬릿상 개구(74a)에 의해 자유단의 슬라이딩이 규제되므로 캠 로드(51)와 잠금 부재(60)와는 간섭하지 않는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카드(C)를 분리하면 압축 코일용수철(90)의 작용에 의해 슬라이더(40)가 카드 배출방향(전방)으로 부세되고, 카드(C)도 슬라이더(40)와 함께 카드 배출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슬라이더(40)는 도 3(b)에 나타내는 개방위치가 된다. 이 때 카드(C)의 도전부와 콘택트(30)의 탄성접촉편(32)과의 접촉상태가 해제되어 카드(C)는 하우징(10)으로부터 배출된다. 이 과정에서 캠 로드(51)의 지축부(53)는 캠 홈(42)의 제6직선상부(42f)에서 제7직선상부(42g)를 거쳐 제1직선상부(42a)의 후단부에 위치한다. 또한 슬라이더(40)의 최전단에 있는 스토퍼(48)가 하우징(10)의 스토퍼벽(20)에 당접하여 슬라이더(40)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그리고 잠금 부재(60)의 돌기부(66)는 셸(70)의 광폭 개구(74b) 내에 위치하여 잠금 부재(60)의 자유단의 슬라이딩을 허용하고, 만곡부(64)는 카드(C)의 절결(C1) 내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 잠금 부재(60)의 돌기부(66)의 위치는 캠 홈(42)의 약간 내측에 위치하고, 캠 로드(51)의 지축부(53)는 캠 홈(42)의 제1직선상부(42a)의 후단부에 위치하여 캠 로드(51)와 잠금 부재(60)와는 위치적으로 떨어져 있으므로 간섭하지 않는다. 슬라이더(40)의 개방위치에서는 잠금 부재(60)의 자유단의 슬라이딩을 허용하고, 만곡부(64)는 카드(C)의 절결(C1) 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슬라이더(40)의 개방위치에 있어서 잠금 부재(60)는 카드(C)의 임시 보호유지기구로서 작용하여 카드(C)의 불의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고, 이 불의의 탈락에 의한 카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슬라이더(40)의 개방위치에 있어서 강한 힘으로 고의적으로 카드(C)를 인발하면 잠금 부재(60)가 휘어져 카드(C)가 인발되지만 고의적이지 않은 경우에는 잠금 부재(60)의 탄성력에 의해 카드의 탈락이 저지된 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카드(C)를 고의적으로 전방으로 인발하면, 카드(C)의 절결(C1)과 좌측단의 코너부가 잠금 부재(60)의 만곡부(64)를 외측으로 변위시켜 카드(C)의 절결(C1)로부터 만곡부(64)가 이탈하고, 만곡부(64)는 카드(C)의 좌측단을 따르면서 돌기부(66)가 캠 홈(42)의 제2직선상부(42b), 제3직선상부(42c), 제4직선상부(42d) 및 제5직선상부(42e) 상에 겹친다. 이 때 캠 로드(51)와 지축부(53)는 캠 홈(42)의 제1직선상부(42a)의 후단부에 위치하고, 캠 로드(51)와 잠금 부재(60)와는 위치적으로 떨어져 있으므로 간섭하지 않는다. 그리고 카드(C)를 더욱 전방으로 인발하면, 카드(C)가 하우징(10)으로부터 취출되어 잠금 부재(60)의 돌기부(66)는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오게 된다.
이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캠 기구(50)는 슬라이더(40)에 형성된 하트형의 캠 홈(42)과 하우징(10)에 축지되고, 캠 홈(42)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캠 로드(51)로 구성되므로 하트형의 캠 홈(42)이 슬라이더(40)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캠 홈(42)의 위치가 하우징(10)의 안쪽 방향의 길이를 제약하지 않고 하우징(10)의 안쪽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잠금 부재(60)는 일단의 압입부(62)가 슬라이더(40)의 잠금 부재 압입 홈(46)에 고정된 외팔보 형상이며 타단의 자유단의 가동 범위가 캠 홈(42) 상에 겹치므로 슬라이더(40)의 안쪽 방향의 치수도 작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카드용 커넥터(1)의 폭 및 높이방향의 치수뿐만 아니라 카드용 커넥터(1)의 안쪽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어 소형의 카드용 커넥터(1)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캠 홈(42) 및 잠금 부재(60)는 횡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압축 코일 용수철(90)은 하우징(10)의 후벽(카드 삽입방향 단벽;14), 슬라이더(40)의 캠 홈(42) 및 잠금 부재(60)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므로 카드용 커넥터(1)의 안쪽 치수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의 변경, 개량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계합부(74)는 슬릿상 개구(74a) 및 광폭 개구(74b)로 구성되어 있으나 슬라이더(40)의 접속위치에서는 돌기(66)가 계합하여 잠금 부재(60)의 자유단의 슬라이딩을 규제하고, 슬라이더(40)의 개방위치에서 잠금 부재(60)의 자유단의 슬라이딩을 허용하는 것이라면 셸(70)에 형성된 홈이어도 좋다.
본 발명 중 청구항 1항에 따른 카드용 커넥터에 의하면, 캠 기구는 슬라이더에 형성된 하트형 캠 홈과, 상기 하우징에 축지되어 상기 캠 홈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캠 로드로 구성되므로, 하트형의 캠 홈이 슬라이드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캠 홈의 위치가 하우징의 안쪽 방향의 길이를 제약하지 않고, 하우징의 안쪽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잠금 부재는 일단이 상기 슬라이더에 고정된 외팔보 형상이며, 타단의 자유단 가동범위가 상기 캠 홈 상에 겹쳐지므로, 슬라이더의 안쪽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커넥터의 폭 및 높이방향의 치수뿐만 아니라 커넥터의 안쪽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어 소형의 카드용 커넥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중 청구항 2항에 관계되는 카드용 커넥터에 의하면,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덮는 셸을 더욱 구비하고, 상기 셸은 상기 잠금 부재의 자유단측에 형성된 돌기와 계합하는 계합부를 갖고, 상기 계합부는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접속위치에서 상기 돌기가 계합하여 상기 잠금 부재의 자유단의 슬라이딩을 규제하므로 슬라이더의 접속위치에서의 잠금 부재와 캠 홈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슬라이더의 접속위치에 있어서 잠금 부재가 캠 홈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캠 로드와 간섭하지 않는다. 또한 슬라이더의 접속위치에 있어서 잠금 부재의 자유단의 슬라이딩이 규제되므로, 카드를 무리하게 인발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합부는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개방위치에서는 상기 잠금 부재의 자유단의 슬라이딩을 허용하므로, 슬라이더의 개방위치에서, 잠금 부재는 카드의 임시 보호유지기구로써 작용하여 카드의 불의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고, 이 불의의 탈락에 의한 카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슬라이더의 개방위치에서 강한 힘으로 고의적으로 카드를 인발하면 잠금 부재의 자유단이 슬라이딩하여 카드가 인발되지만 고의적이 아닌 경우에는 잠금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카드의 탈락이 저지된다.
더욱이 본 발명 중 청구항 3항에 따른 카드용 커넥터에 의하면, 청구항 1항 또는 청구항 2항에 있어서, 상기 캠 홈 및 상기 잠금 부재는 횡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용수철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카드 삽입방향 단벽,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캠 홈 및 상기 잠금 부재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커넥터의 안쪽 치수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Claims (3)

  1. 카드가 삽입되며 복수의 콘택트를 취부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면서 상기 카드 배출방향으로 용수철 부재에 의해 부세되어 상기 카드를 배출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카드 배출방향에 따른 접속위치 및 개방위치에 정지시키는 캠 기구와, 상기 카드를 잠그는 잠금 부재를 구비하는 카드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캠 기구는 상기 슬라이더에 형성된 하트형 캠 홈과, 상기 하우징에 축지되어 상기 캠 홈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캠 로드로 구성되고,
    상기 잠금 부재는 일단이 상기 슬라이더에 고정된 외팔보 형상이며, 타단의 자유단 가동범위가 상기 캠 홈 상에 겹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덮는 셸을 더 포함하며, 상기 셸은 상기 잠금 부재의 자유단측에 형성된 돌기와 계합하는 계합부를 갖고, 상기 계합부는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접속위치에서 상기 돌기가 계합하여 상기 잠금 부재의 자유단의 슬라이딩을 규제함과 함께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개방위치에서 상기 잠금 부재의 자유단의 슬라이딩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캠 홈 및 상기 잠금 부재는 횡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용수철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카드 삽입방향 단벽,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캠 홈 및 상기 잠금 부재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KR1020050049155A 2004-06-09 2005-06-09 카드용 커넥터 KR1011103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71394A JP4673006B2 (ja) 2004-06-09 2004-06-09 カード用コネクタ
JPJP-P-2004-00171394 2004-06-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8297A true KR20060048297A (ko) 2006-05-18
KR101110383B1 KR101110383B1 (ko) 2012-02-24

Family

ID=34940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9155A KR101110383B1 (ko) 2004-06-09 2005-06-09 카드용 커넥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118395B2 (ko)
EP (1) EP1605393B1 (ko)
JP (1) JP4673006B2 (ko)
KR (1) KR101110383B1 (ko)
CN (1) CN100530841C (ko)
AT (1) ATE424587T1 (ko)
DE (1) DE602005013023D1 (ko)
SG (1) SG118333A1 (ko)
TW (1) TWM28324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8599B1 (ko) * 2013-11-15 2014-11-05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컨택트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76075B2 (ja) * 2004-01-26 2009-12-02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カード用コネクタ
JP2006092775A (ja) * 2004-09-21 2006-04-06 Sony Corp コネクタ
JP4331703B2 (ja) * 2005-07-04 2009-09-1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ハートカムを用いたイジェクト機構付きのカード用コネクタ
US7326070B2 (en) * 2005-07-19 2008-02-05 Itw Tech. Co., Ltd. Memory card connector
CN2831503Y (zh) * 2005-08-15 2006-10-25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记忆卡连接器
TWI283500B (en) * 2005-11-14 2007-07-01 Fci Asia Technology Pte Ltd Mechanism for ejecting a card
DE102006015006A1 (de) * 2006-03-31 2007-10-11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Kartenleser nach dem Push-Push-System
JP4576354B2 (ja) * 2006-04-14 2010-11-04 ホシデン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US7314389B1 (en) * 2007-02-06 2008-01-01 Northstar Systems Corp. Electronic card connector
JP2008198443A (ja) * 2007-02-09 2008-08-28 Jst Mfg Co Ltd カード用コネクタ
JP2012195090A (ja) * 2011-03-15 2012-10-11 Tyco Electronics Japan Kk カード用コネクタ
KR101201667B1 (ko) * 2011-03-28 2012-11-15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마이크로 심 카드 소켓
JP5501316B2 (ja) * 2011-09-14 2014-05-21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カードコネクタ
US9093787B2 (en) 2013-03-15 2015-07-28 Amphenol Corporation Latching connector assembly
CN104916993B (zh) * 2014-03-12 2017-06-2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2133B2 (ja) 1999-03-03 2002-01-28 山一電機株式会社 Icカードの接触及び解除機構
JP3429267B2 (ja) * 2000-04-12 2003-07-22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JP4105400B2 (ja) 2001-03-12 2008-06-25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
TW574774B (en) * 2001-07-12 2004-02-01 Alps Electric Co Ltd Card connector apparatus
JP2003223957A (ja) * 2002-01-29 2003-08-08 Kyocera Elco Corp カードコネクタのロック機構
JP3989304B2 (ja) * 2002-05-28 2007-10-10 ホシデン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JP3876194B2 (ja) * 2002-07-03 2007-01-3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TW555250U (en) * 2002-07-18 2003-09-21 Hon Hai Prec Ind Co Ltd Card conne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8599B1 (ko) * 2013-11-15 2014-11-05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컨택트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05393B1 (en) 2009-03-04
EP1605393A3 (en) 2007-11-28
SG118333A1 (en) 2006-01-27
JP4673006B2 (ja) 2011-04-20
TWM283249U (en) 2005-12-11
DE602005013023D1 (de) 2009-04-16
CN100530841C (zh) 2009-08-19
US7118395B2 (en) 2006-10-10
JP2005353372A (ja) 2005-12-22
US20050277318A1 (en) 2005-12-15
EP1605393A2 (en) 2005-12-14
ATE424587T1 (de) 2009-03-15
CN1707865A (zh) 2005-12-14
KR101110383B1 (ko) 2012-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0383B1 (ko) 카드용 커넥터
JP4532420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WO2005073899A1 (en) Memory card connector
US7238034B2 (en) Memory card connector
JP2007234472A (ja) カードコネクタ
JP4576354B2 (ja) カードコネクタ
US8851911B2 (en) Card connector
US7708575B2 (en) Card connector capable of switching a card holding state with a simple structure
JP4226869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JP4848980B2 (ja) カードコネクタ
US7070429B2 (en) Card connector that can prevent both leaping-out and ejection failure of a card
EP1556926B1 (en) Memory card connector
US7658638B2 (en) Connector
JP2005044781A (ja) 改良されたエジェクタ機構を有するメモリカードコネクタ
JP2006114437A (ja) カードコネクタ
US20050009389A1 (en) Eject mechanism for memory card connector
JP4502699B2 (ja) カードコネクタ
US20070082521A1 (en) Memory card connector
JP4079867B2 (ja) カードコネクタ
JP5062428B2 (ja) プッシュ式メモリーカードコネクタ
JP4676525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組立体
JP3945432B2 (ja) メモリカード用ソケット
JP2006294637A (ja) カード用コネクタ
US7654836B2 (en) Card connector
JP2005347219A (ja) カード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