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7792A - 오디오 신호 전송 시스템, 오디오 신호 전송 방법, 서버,네트워크 단말기 장치,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오디오 신호 전송 시스템, 오디오 신호 전송 방법, 서버,네트워크 단말기 장치,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7792A
KR20060047792A KR1020050039605A KR20050039605A KR20060047792A KR 20060047792 A KR20060047792 A KR 20060047792A KR 1020050039605 A KR1020050039605 A KR 1020050039605A KR 20050039605 A KR20050039605 A KR 20050039605A KR 20060047792 A KR20060047792 A KR 20060047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mbol
terminal device
network terminal
audio signal
signal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9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꼬 마쯔시따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7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77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6Arrangements for connecting several subscribers to a common circuit, i.e. affording conference facil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31Protocols for games, networked simulations or virtual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이용자 전원이 시스템 전체의 가동 상황을 확인할 수 있음과 함께, 각자가 능동적으로 시스템의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
각 음원에 할당된 채널을 복수의 단말기 장치에서 공용하는 방식의 오디오 신호 전송 시스템을, 음원 중 하나에 대응하는 단말기 장치와, 가상 세계를 구성하는 소재 정보를 기억하는 소재 정보 기억 장치와, 가상 세계를 이동하는 심볼과 그 위치 정보를 기억하는 심볼 위치 기억 장치와, 심볼과 단말기 장치의 대응 관계를 기억하는 대응 관계 기억 장치와, 각 단말기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데이터에 따라, 대응하는 심볼의 이동을 제어하는 심볼 이동 제어 장치와, 각 심볼과 가상 세계의 합성 화상을, 공유 화면으로서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로 구성한다.
소재 정보 기억 장치, 심볼 위치 기억 장치, 대응 관계 기억 장치, 공유 화면, 출력 음량 제어 기능

Description

오디오 신호 전송 시스템, 오디오 신호 전송 방법, 서버, 네트워크 단말기 장치, 기록 매체{AUDIO SIGNAL TRANSMISSION SYSTEM, AUDIO SIGNAL TRANSMISSION METHOD, SEVER, NETWORK TERMINAL DEVICE, AND RECORDING MEDIUM}
도 1은 오디오 신호 전송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오디오 신호 전송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공유 화면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오디오 신호 전송 시스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서버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그룹 에리어 기능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출력 음량 제어 기능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출력 밸런스 제어 기능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직접 통화 기능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보이스 메일 기능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위치 확인 기능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모니터 기능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단말기 장치 간의 접속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단말기 장치의 내부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패스의 자동 반전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각 단말기 장치와 채널의 대응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
도 17은 채널별 입력 음량 제어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
도 18은 채널별 출력 음량 제어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
도 19는 전송 데이터의 구조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공용 화면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공용 화면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2는 그룹 통화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
도 23은 심볼이 유효 영역으로 이동하였을 때의 표시 형식의 변경을 설명하는 도면.
도 24는 음원 간의 거리에 따른 전자 볼륨의 제어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
도 25는 음원 간의 거리에 따른 전자 볼륨의 이미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네트워크 단말기 장치
13 : 소재 정보 기억 장치
15 : 심볼 위치 기억 장치
17 : 대응 관계 기억 장치
19 : 심볼 이동 제어 장치
21 : 화상 표시 장치
31, 61 : 공유 화면
33 : 통로
35 : 심볼
49A : 심볼 이동 제어 기능
49B : 그룹 에리어 기능
49C : 출력 음량 제어 기능
49D : 출력 밸런스 제어 기능
49E : 직접 통화 기능
49F : 보이스 메일 기능
49G : 위치 확인 기능
49H : 모니터 기능
61, 63 : 길
65, 69 : 새가 있는 길
73 : 전철
75 : 학교
77 : 전화 박스
79 : 레코드점
81 : 에코 에리어
83 : 모니터 에리어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평7-219867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개평 제2001-331615호 공보
본 발명 중 하나의 발명은, 각 음원으로부터 발생된 오디오 신호를, 복수의 네트워크 단말기 장치에서 수신하는 방식의 오디오 신호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다른 하나의 발명은, 각 음원으로부터 발생된 오디오 신호를, 복수의 네트워크 단말기 장치에서 수신하는 방식의 오디오 신호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른 하나의 발명은, 상기 전송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에 관한 것이다. 다른 하나의 발명은, 상기 전송 시스템을 구성하는 네트워크 단말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른 하나의 발명은, 오디오 신호 전송 시스템의 서버로서 기능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다른 하나의 발명은, 오디오 신호 전송 시스템의 네트워크 단말기 장치로서 기능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오디오 신호 전송 시스템에는, 그 용도에 따라 여러가지가 존재한다. 예를 들면, 음성 회의 시스템, 어학 학습 시스템, 텔레비전 회의 시스템, 시뮬레이션 시스템 등이 있다.
이들 시스템에서는 집중 관리 방식이 채용되어 있다. 즉, 관리 장치가 시스템 전체의 가동 상황을 파악하여 관리하는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이 때문에, 오디오 신호 전송 시스템의 이용자 전원이, 시스템 전체의 가동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각 이용자가 능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자는, 이상의 기술 과제에 주목하여, 이하의 기술 방법을 제안한다.
오디오 신호 전송 시스템은, 광의의 네트워크 상에 구축한다.
도 1에, 시스템예를 나타낸다. 도 1은, 네트워크(1)에 복수의 네트워크 단말기 장치(3)를 접속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네트워크의 종류는 상관하지 않는다. 여기서의 네트워크는, 유선형이어도 되며, 무선형이어도 된다.
또한, 네트워크 단말기 장치(3)는, 네트워크(1)의 통신 방식에 따른 인터페이스를 탑재하는 단말기 장치를 뜻한다.
도 2에, 오디오 신호 전송 시스템(7)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다. 이 오디오 신호 전송 시스템(7)은, 복수의 네트워크 단말기 장치(11), 소재 정보 기억 장치(13), 심볼 위치 기억 장치(15), 대응 관계 기억 장치(17), 심볼 이동 제어 장치(19) 및 화상 표시 장치(21)로 구성한다.
네트워크 단말기 장치(11)는, 음원 중 하나에 대응한다. 예를 들면, 음원으로는, 시스템 이용자의 음성이 이용된다. 또한 예를 들면, 음원으로는, 시스템 음원이 이용된다.
네트워크 단말기 장치(11)에는, 서버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단, 서버를 사용하지 않는 시스템 구성도 가능하다.
소재 정보 기억 장치(13)는, 가상 세계를 구성하는 소재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디바이스 또는 기억 영역이다.
가상 세계란, 컴퓨터 그래픽스나 음향 효과를 조합하여 구성된 세계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2차원 공간뿐만 아니라, 3차원 공간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소재 정보란, 가상 공간 상의 거리나 방을 구성하는 소재의 화상 데이터를 말한다.
소재 정보 기억 장치(13)는, 시스템 내에 하나만 배치하여도 되며, 각 네트워크 단말기 장치(11)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덧붙여서, 네트워크 단말기 장치(11)가 보유하는 소재 정보는, 네트워크 경유하여 다른 네트워크 단말기 장치(11)로부터 복제한 것이어도 된다.
심볼 위치 기억 장치(15)는, 가상 세계를 이동하는 심볼과 그 위치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디바이스 또는 기억 영역이다.
심볼은, 네트워크 단말기 장치(11)에 대응한다. 즉, 시스템 이용자의 분신이다.
심볼에는, 예를 들면 가공의 인물, 동물, 도안, 아이콘 등을 사용한다. 또한, 각 심볼은, 자타의 식별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심볼의 위치 정보는, 가상 세계 상의 위치를 특정하는 좌표값으로서 부여하는 것으로 한다.
대응 관계 기억 장치(17)는, 심볼과 네트워크 단말기 장치(11)의 대응 관계 를 기억하는 기억 디바이스 또는 기억 영역이다.
대응 관계로서, 예를 들면, 각 심볼에 고유의 식별 정보(예를 들면, 식별 번호)와, 네트워크 단말기 장치에 고유의 식별 정보(예를 들면, 식별 번호)가 기록된다.
심볼 이동 제어 장치(19)는, 각 네트워크 단말기 장치(11)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데이터에 따라, 대응하는 심볼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 디바이스이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 전용 회로나 처리 보드로서 구성된다. 이 심볼 이동 제어 장치(19)의 존재에 의해, 가상 세계에 표시된 심볼의 이동이 실현된다.
또한, 제어 데이터의 발신원은, 각 심볼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단말기 장치(11)이다.
따라서, 이 시스템에서는, 시스템 이용자가, 대응하는 심볼의 이동을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다.
화상 표시 장치(21)는, 각 심볼과 가상 세계의 합성 화상을, 공유 화면으로서 표시하는 표시 디바이스이다. 화상 표시 장치(21)에는,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 외, 프로젝터 장치도 포함된다.
화상 표시 장치(21)는, 시스템 내에 하나만 배치하여도 되며, 네트워크 단말기 장치(11)마다 배치하여도 된다.
시스템 이용자는, 공유 화면을 통해, 자타를 포함하는 가상 세계 상에서의 가동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에, 공유 화면(31)의 표시예를 나타낸다. 이 예의 경우, 공유 화면(31) 에는, 교차하는 2개의 통로(33)로 구성된 가상 세계가 나타나 있다.
또한, 공유 화면(31)에는, 각 네트워크 단말기 장치(11)에 대응하는 심볼(35)이 표시되어 있다.
시스템 이용자는, 네트워크 단말기 장치(11)를 통해, 대응하는 심볼(35)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공유 화면(31)은, 시스템 이용자이면 누구나 확인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시스템 이용자는, 자타를 포함하는 각 심볼의 위치나 이동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각 심볼은, 시스템 이용자의 의사에 기초하여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스템 이용자는, 가상 세계에 준비되어 있는 각종 서비스나 임의의 상대와의 음성 통화를 자유롭게 체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성 통화는, 2개의 심볼이 일정 범위 내에 근접한 경우에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상 설명한 기억 장치(13, 15, 17), 제어 장치(19), 화상 표시 장치(21)는, 모두 1개의 네트워크 단말기 장치(11)에 집약적으로 배치하여도 되며,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네트워크 단말기 장치(11)에 분산적으로 배치하여도 된다.
그 배치는, 적용하는 시스템에 따라 최적인 것을 선택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집중 관리형 시스템이면, 장치 중 대다수는 1개의 네트워크 단말기 장치(11)에 탑재된다. 여기서의 "탑재"는, 반드시 물리적으로 동일한 케이스에 탑재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물론, 이 경우라도, 일부 장치에 대해서는 복수의 네트워크 단말기 장치(11) 에 분산적으로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분산형 시스템이면, 장치 중 대다수를 복수의 네트워크 단말기 장치에 분산적으로 배치하면 된다.
〈실시예〉
이하, 발명에 따른 기술 방법을 채용하는 오디오 신호 전송 시스템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도시하거나 또는 기재하지 않은 부분에는, 해당 기술 분야의 주지 또는 공지 기술을 적용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는,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므로,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1) 시스템 구성
(1-1) 전체 구성
도 4에, 오디오 신호 전송 시스템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전송 시스템은, 4개의 단말기 장치(41)로 구성된다.
각 단말기 장치(41)에는, 마이크로폰(43), 스피커(45), 입력 장치(47)가 접속되어 있다. 입력 장치(47)에는, 예를 들면 화면 상에서 심볼을 이동시키기 위한 포인팅 디바이스를 사용한다.
또한, 이 전송 시스템에는, 도면 중 좌단의 단말기 장치(41)에 컴퓨터(49)가 접속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경우, 컴퓨터(49)가 서버로서 기능하며, 단말기 장치(41)가 클 라이언트 장치로서 기능한다.
도 5에, 컴퓨터(49)가 제공하는 주요한 기능의 구성을 도시한다. 또한, 각 기능은, 컴퓨터(49)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의해 제공된다.
컴퓨터(49)는, 심볼 이동 제어 기능(49A), 그룹 에리어 기능(49B), 출력 음량 제어 기능(49C), 출력 밸런스 제어 기능(49D), 직접 통화 기능(49E), 보이스 메일 기능(49F), 위치 확인 기능(49G), 모니터 기능(49H)을 갖는다.
심볼 이동 제어 기능(49A)은, 화면 상에서의 심볼의 이동을 제어하는 기능에 대응한다. 심볼 이동 제어 기능(49A)에 의해, 각 심볼의 위치 정보와 표시 위치가 갱신된다.
또한, 이동 방향과 이동량을 지시하는 제어 데이터는, 예를 들면 심볼에 대응하는 각 단말기 장치로부터 공급된다.
그룹 에리어 기능(49B)은, 그룹 에리어 내에서의 그룹 통화나 배경음의 출력 기능에 대응한다.
도 6에, 그룹 에리어 기능(49B)을 실현하는 기능의 구성을 도시한다.
그룹 에리어 기능(49B)은, 심볼 위치 판정 기능(49B1), 음량 제어 기능(49B2), 표시 형식 변경 기능(49B3)이 조합되어 실현된다.
여기서, 심볼 위치 판정 기능(49B1)은, 단말기 장치에 대응하는 심볼이, 그룹 에리어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데 이용된다.
음량 제어 기능(49B2)은, 동일한 그룹 에리어에 위치하는 다른 음원의 출력 음량을 제어하는 데 이용된다. 예를 들면, 좌우 양 스피커를 동등하게 증감, 또는 개별적으로 증감하는 데 이용된다.
표시 형식 변경 기능(49B3)은, 그룹 에리어에 위치하는 심볼의 표시 형식을, 그룹 에리어 밖에 위치하는 경우와는 상이한 표시 형식으로 변경하기 위해 이용된다.
출력 음량 제어 기능(49C)은, 화면 상에서의 음원 간의 거리에 따른 출력 음량의 제어 기능에 대응한다. 이 기능은, 원근감을 음량으로 재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7에, 출력 음량 제어 기능(49C)을 실현하는 기능의 구성을 도시한다.
출력 음량 제어 기능(49C)은, 거리 연산 기능(49C1), 음량 제어 기능(49C2)이 조합되어 실현된다.
여기서, 거리 연산 기능(49C1)은, 제어 대상으로 하는 단말기 장치에 대응하는 심볼과, 제어 대상으로 하는 단말기 장치 이외의 다른 음원 간의 가상 세계 상에서의 거리를 연산하는 데 이용된다.
음량 제어 기능(49C2)은, 연산에 의해 구해진 거리에 따라, 제어 대상으로 하는 단말기 장치에서 출력되는 다른 음원의 출력 음량을 제어하는 데 이용된다.
출력 밸런스 제어 기능(49D)은, 화면 상에서의 음원 간의 위치 관계에 따른 출력 밸런스의 제어 기능에 대응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좌우의 스피커로 음량의 밸런스를 가변하는 데 사용된다.
도 8에, 출력 밸런스 제어 기능(49D)를 실현하는 기능의 구성을 도시한다.
출력 밸런스 제어 기능(49D)은, 위치 정보 취득 기능(49D1)과, 음량 제어 기 능(49D2)이 조합되어 실현된다.
여기서, 위치 정보 취득 기능(49D1)은, 제어 대상으로 하는 단말기 장치에 대응하는 심볼에 대하여, 다른 음원이 좌우 어느 쪽에 위치하는지 판정하는 데 이용된다.
음량 제어 기능(49D2)은, 판정 결과에 따라, 제어 대상으로 하는 단말기 장치에서 출력되는 다른 음원에 관한 좌우의 출력 음량을 제어하는 데 이용된다.
직접 통화 기능(49E)은, 1 대 1의 직접 통화를 실현하는 기능에 대응한다.
도 9에, 직접 통화 기능(49E)을 실현하는 기능의 구성을 도시한다.
직접 통화 기능(49E)은, 직접 통화의 요구원과 요구처에 각각 대응하는 특정 정보 취득 기능(49E1, 49E2)과, 표시 형식 변경 기능(49E3)이 조합되어 실현된다.
여기서, 특정 정보 취득 기능(49E1)은, 직접 통화 요구 에리어에 위치하는 심볼에 대응하는 단말기 장치를 특정하는 정보를 취득하는 데 이용된다.
한편, 특정 정보 취득 기능(49E2)은, 직접 통화의 상대편에 지정한 단말기 장치를 특정하는 정보를 취득하는 데 이용된다.
표시 형식 변경 기능(49E3)은, 직접 통화의 상대편에 지정된 단말기 장치에 대응하는 심볼의 표시 형식을, 지정되기 전의 상태와는 상이한 표시 형식으로 변경하는 데 이용된다.
보이스 메일 기능(49F)은, 보이스 메일에 의한 1 대 1의 직접 통화를 실현하는 기능에 대응한다.
도 10에, 보이스 메일 기능(49F)을 실현하는 기능의 구성을 도시한다.
보이스 메일 기능(49F)은, 보이스 메일의 송신원과 송신처에 각각 대응하는 특정 정보 취득 기능(49F1, 49F2)과, 표시 형식 변경 기능(49F3)이 조합되어 실현된다.
여기서, 특정 정보 취득 기능(49F1)은, 보이스 메일 에리어에 위치하는 심볼이 대응하는 단말기 장치를 특정하는 정보를 취득하는 데 이용된다.
한편, 특정 정보 취득 기능(49E2)은, 보이스 메일의 송신처로 지정된 단말기 장치를 특정하는 정보를 취득하는 데 이용된다.
표시 형식 변경 기능(49E3)은, 보이스 메일의 송신처로 지정된 단말기 장치에 대응하는 심볼의 표시 형식을, 지정되기 전의 형식과는 다른 표시 형식으로 변경하는 데 이용된다.
위치 확인 기능(49G)은, 시스템 이용자가 알고자 하는 위치를 화면 상의 점등 등의 표시를 통해 통지하는 기능에 대응한다.
도 11에, 위치 확인 기능(49G)을 실현하는 기능의 구성을 도시한다.
위치 확인 기능(49G)은, 위치 정보 취득 기능(49G1)과, 표시 형식 변경 기능(49G2)이 조합되어 실현된다.
여기서, 위치 정보 취득 기능(49G1)은, 위치 확인 요구를 송신한 단말기 장치에 대응하는 심볼의 위치 정보를, 상기 심볼 위치 기억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데 이용된다.
표시 형식 변경 기능(49G2)은, 취득 위치의 심볼의 표시 형식을, 위치 확인 요구 전과는 상이한 표시 형식으로 표시하는 데 이용된다.
모니터 기능(49H)은, 개개의 시스템 이용자가 듣고 있는 소리를 모니터하기 위한 기능에 대응한다.
도 12에, 모니터 기능(49H)을 실현하는 기능의 구성을 도시한다.
모니터 기능(49H)은, 음원 정보 수집 기능(49H1)과, 음량 제어 기능(49H2)에 대응한다.
여기서, 음원 정보 수집 기능(49H1)은, 모니터 대상으로 지정된 단말기 장치에서의 음원의 출력 상태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데 이용된다.
음량 제어 기능(49H2)은, 취득 정보에 기초하여, 각 음원의 출력 음량을 제어하는 데 이용된다.
또한, 컴퓨터(49)에 대해서는, 기억 장치(51)와 프로젝터(53)가 접속되어 있다.
기억 장치(51)는, 소재 정보 기억 영역(51A), 심볼 위치 기억 영역(51B), 대응 관계 기억 영역(51C), 그룹 에리어 보유 영역(51D), 직접 통화 요구 에리어 기억 영역(51E), 보이스 메일 에리어 기억 영역(51F) 등을 기억 영역에 갖는 기억 디바이스이다.
각 기억 영역은 각각, 전술한 소재 정보 기억 장치(13), 심볼 위치 기억 장치(15), 대응 관계 기억 장치(17)에 대응한다.
덧붙여서, 기억 장치(51)의 기억 매체에는, 자기 기록 매체, 광 기록 매체, 반도체 기록 매체 등의 물리 장치 또는 매체가 사용된다.
예를 들면, 자기 기록 매체에는, 플렉시블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의 디스크 형 기록 매체, 자기 테이프 등의 테이프형 기록 매체가 있다.
또한 예를 들면, 광 기록 매체에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 카드형 기록 매체, 테이프형 기록 매체가 있다.
프로젝터(53)는, 가상 세계에 각 심볼을 합성한 공용 화면을 스크린(55)에 투영하는 화상 출력 장치이다. 공용 화면의 표시예 및 공용 화면을 통해 제공되는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1-2) 단말기 장치 간의 접속
도 13에, 단말기 장치 간의 접속 관계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의 경우, 각 단말기 장치(41)는, 모두 동일한 장치 구성인 것을 사용한다. 또한, 단말기 장치 간은, 1개의 케이블에 의해 유선 접속되어 있다.
각 단말기 장치 간에는, 전송 방향이 상호 역 방향의 2개의 패스가 존재한다. 하나의 패스는 처리 패스(57)이며, 도면 중 굵은 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 하나의 패스는 중계 패스(59)이고, 도면 중 얇은 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단말기 장치 간의 전송 방식에는, 시리얼 전송 방식이나 병렬 전송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다중 방법에는, 시분할 다중, 주파수 다중, 부호 분할 다중, 파장 분할 다중 외에, 기지의 다중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패스는, 양단 위치에서 연결되며, 링 형상의 하나의 논리 패스를 구성한다. 이 논리 패스에 의해, 데이터의 집적, 배신, 라우팅이 실현된다.
또한, 논리 패스에는, 음성 데이터, 영상 데이터, 수치 데이터, 문자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제어 데이터, 이들의 조합 등을 전송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오로지 음성 데이터와 제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1-3) 단말기 장치의 구성
도 14에, 단말기 장치(41)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단말기 장치(41)는, 2개의 입출력 인터페이스(41A 및 41B)와, 2개의 패스 선택부(41C 및 41D)와, 데이터 처리부(41E)로 구성된다.
이 중, 입출력 인터페이스(41A)는, 처리 패스용 데이터 입력부(41A1)와, 중계 패스용 데이터 출력부(41A2)를 갖는 접속 장치이다. 한편, 입출력 인터페이스(41B)는, 처리 패스용 데이터 출력부(41B1)와, 중계 패스용 데이터 입력부(41B2)를 갖는 접속 장치이다.
패스 선택부(41C)는, 데이터 입력부(41A1)를 감시하여, 데이터 처리부(41E)에 제공하는 패스를 선택하는 디바이스이다. 감시 처리는, 선택 제어부(41C1)가 실행한다. 한편, 입력 단자의 전환 처리는, 선택부(41C2)가 실행한다.
예를 들면, 처리 패스의 입력이 검출될 때, 선택 제어부(41C1)는, 선택부(41C2)의 입력 단자를 데이터 입력부(41A1)측으로 전환한다.
또한 예를 들면, 처리 패스의 입력이 검출되지 않을 때, 선택 제어부(41C1)는, 선택부(41C2)의 입력 단자를 데이터 출력부(41A2)측으로 전환한다.
패스 선택부(41D)는, 데이터 입력부(41B2)를 감시하여, 타단의 데이터 출력부(41A2)에 제공하는 패스를 선택하는 디바이스이다. 또한, 감시 처리는, 선택 제어부(41D1)가 실행한다. 한편, 입력 단자의 전환 처리는, 선택부(41D2)가 실행한 다.
예를 들면, 중계 패스의 입력이 검출될 때, 선택 제어부(41D1)는, 선택부(41D2)의 입력 단자를 데이터 입력부(41B2)측으로 전환한다.
또한 예를 들면, 중계 패스의 입력이 검출되지 않을 때, 선택 제어부(41D1)는, 선택부(41D2)의 입력 단자를 데이터 출력부(41B1)측으로 전환한다.
이들 패스 선택부(41C 및 41D)의 동작에 의해, 단말기 장치(41)는, 패스의 자동 반전 기능이 제공된다.
도 15는, 패스의 자동 반전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경우, 단말기 장치(41)의 접속 형태는, 도 15에 나타내는 3 종류 중 어느 하나로 분류된다.
도 15의 (a)는, 양측에 서로 다른 단말기 장치가 접속된 접속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의 경우, 이 접속 형태를 채용하는 단말기 장치는 2개이다.
이 경우, 패스 선택부(41C 및 41D)는, 모두 패스의 입력을 검출한다. 결과적으로, 패스 선택부(41C)는, 전단의 단말기 장치로부터 출력된 처리 패스를 선택한다. 한편, 패스 선택부(41D)는, 전단의 단말기 장치로부터 출력된 중계 패스를 선택한다.
도 15의 (b)는, 입출력 인터페이스(41A)가 오픈 상태인 접속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의 경우, 이 접속 형태를 채용하는 단말기 장치는 1개이다.
이 경우, 패스 선택부(41C)는, 처리 패스의 입력을 검출할 수 없다. 이 때문에, 패스 선택부(41C)는, 내부 패스(즉, 중계 패스)를 선택한다. 이에 따라, 중 계 패스는 단말기 장치 내에서 반전된다.
도 15의 (c)는, 입출력 인터페이스(41B) 측이 오픈 상태인 접속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의 경우, 이 접속 형태를 채용하는 단말기 장치는 1개이다.
이 경우, 패스 선택부(41D)는, 중계 패스의 입력을 검출할 수 없다. 이 때문에, 패스 선택부(41D)는, 내부 패스(즉, 처리 패스)를 선택한다. 이에 따라, 처리 패스는 단말기 장치 내에서 반전된다.
이 자동 반전 기능에 의해, 시스템의 부설자는, 효율적으로 시스템을 부설할 수 있다.
즉, 부설자는, 단말기 장치(41)를 직렬적으로 접속하는 것만으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41E)는, 처리 패스용 입력부(41A1)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 디바이스이다. 데이터 처리부(41E)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실현된다.
데이터 처리부(41E)는, 그 용도에 따른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임의의 채널로부터 오디오 신호의 취출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예를 들면, 데이터를 임의의 채널에 기입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예를 들면, 어떤 채널의 데이터를 다른 채널로 바꿔 옮기는 처리를 실행한다.
이들 처리 기능의 조합에 의해, 임의의 단말기 장치 간에서의 음성 통화가 실현된다. 예를 들면, 1 대 1의 통화, 1 대 다의 올콜, 그룹 통화가 실현된다.
또한 예를 들면, 데이터 처리부(41E)는, 선택적인 믹싱 처리도 실행한다. 이 처리 기능은, 출력 데이터의 믹싱 처리(채널수분의 입력으로부터, 단말기수분의 출력을 얻는 처리)에 사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 처리 기능은, 입력 데이터의 믹싱 처리(단말기수분의 입력으로부터, 채널수분의 출력을 얻는 처리)에 사용할 수 있다.
도 16에, 이상의 처리 동작예를 나타낸다. 도 16의 좌측반은 입력 데이터의 믹싱 처리에 대응한다. 한편, 도 16의 우측반은 출력 데이터의 믹싱 처리에 대응한다.
여기서, 1개의 슬롯 또는 1개의 단말기 장치에 입력되는 복수의 화살표는, 오디오 신호의 믹싱을 의미한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41E)는, 전자 볼륨 처리도 실행한다. 전자 볼륨 처리는, 채널별로 실행된다.
도 17에 출력 데이터의 전자 볼륨 처리의 개념을, 도 18에 입력 데이터의 전자 볼륨 처리의 개념을 나타낸다.
여기서는, 슬롯 k에 대응하는 전자 볼륨값을 gk로 한다. 또한, gk는 0 이상의 실수이다.
도 17은, 개별적으로 전자 볼륨 처리한 각 슬롯의 오디오 신호를 가산 출력하는 양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전자 볼륨값은, 좌측 스피커용과 우측 스피커용으로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도 18은, 각 슬롯 별로 전자 볼륨 처리한 오디오 신호를, 대응하는 슬롯 k에 입력하는 양태를 나타내고 있다.
(2) 전송 데이터의 구조
다음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이용하는 전송 데이터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19에, 전송 데이터의 구조예를 나타낸다. 도 19는, 전송에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를 이용하는 경우의 일례이다. UART 자체는, 비동기 전송 기술 중 하나로서 주지의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간단히 설명하면, 데이터 선두의 스타트 비트 "0" 검출 후, 내부 카운터에 의해 일정 시간마다 소정의 데이터 비트 수만 비트 중앙에서 데이터의 1/0을 판정하면서 데이터를 계속 판독함으로써 통신을 행하는 방법이다. 소정 비트의 판독 종료 후에는, 새롭게 다음 프레임의 스타트 비트의 검출을 시작한다.
이 실시예의 경우, 프레임 주파수 fs는, 22.05㎑로 한다.
1 프레임은 31개의 슬롯과 일정 길이의 갭(데이터 "1")으로 구성한다(도 19의 (a)).
31 슬롯 중 26 슬롯은, 콘텐츠용(여기서는 음성용)이며, 나머지 5 슬롯은 제어용이다(도 19의 (b)).
또한, 각 슬롯의 데이터 길이는, 17 비트로 한다.
1 슬롯은, 1 비트 길이의 스타트 비트 "0"과, 이것에 계속되는 16 비트 길이의 데이터 ds로 구성한다(도 19의 (c)).
또한, 1 비트는 5 클럭분의 시간 길이로 부여한다(도 19의 (d)). 따라서, 스타트 비트의 중앙 위상으로부터 5 클럭마다 수신 신호의 진폭이 샘플링된다. 이 결과, 클럭의 1/5이 데이터의 비트 속도로 된다.
(3) 공용 화면
도 20에, 이 실시예로 채용하는 공용 화면(61)을 나타낸다. 공용 화면(61)은, 가상의 거리를 무대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거리를 구성하는 주요한 소재는, "길"(63, 65, 67, 69), 새(71), 전철(73), 학교(75), 전화 박스(77), 레코드점(79), 에코 에리어(81), 모니터 에리어(83)이다.
이들 구성 소재는, 채널의 선택, 믹싱 기타 기능과 연동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각 기능과의 연동은, 컴퓨터(49)가 제어한다.
컴퓨터(49)는, 해당 영역에 위치하는 심볼(85, 87, 89, 91)을 검출하여, 각 영역에 대응하는 기능의 제공에 필요한 일련의 제어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대응하는 단말기 장치(41)에 대하여, 입출력 데이터의 믹싱 처리나 볼륨 처리를 지시하는 제어 데이터를 출력한다. 제어 데이터의 전송에는, 제어용의 슬롯이 사용된다.
즉, 시스템 이용자는, 심볼(85, 87, 89, 91)의 이동을 통해, 필요한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다.
도 21에, 서비스의 선택 이미지를 나타낸다.
덧붙여서, 공용 화면(61)에는, 시스템 이용자에게 대응하는 모든 심볼이 표시된다. 이 때문에, 모든 시스템 이용자가 자타를 포함시킨 심볼의 위치 관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즉, 시스템 이용자는, 시스템의 가동 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소재에는, 그룹 에리어 기능(49B), 출력 음량 제어 기능(49C), 출력 밸런스 제어 기능(49D), 직접 통화 기능(49E), 보이스 메일 기능(49F), 위치 확인 기능(49G), 모니터 기능(49H) 등의 것이 대응되어 있다.
예를 들면, "길"(63, 65, 67, 69)에는, 그룹 에리어 기능이 대응되어 있다. 그룹 에리어는, 에리어 내에 위치하는 심볼 간의 1 대 1 통화, 그룹 통화에 대응한다. 또한, "길"(63, 65, 67, 69)은, 자유롭게 출입 가능한 그룹 에리어이다.
예를 들면, 도 2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63) 상에 2개의 심볼(85, 87)이 위치하는 경우, 이들 2자간에서 1 대 1의 통화가 실현된다. 이 경우, 각 심볼에 대응하는 채널의 음성이, 다른쪽 단말기 장치로부터 선택적으로 출력된다.
또한 예를 들면, 도 2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63) 위에 3개째의 심볼(89)이 이동해온 경우, 이들 3자간에서의 그룹 통화가 실현된다. 이 경우, 각 단말기 장치에서는 다른 2개의 단말기 장치에 대응하는 채널의 음성이 합성되어 출력된다.
또한, "길"(63, 65, 67, 69) 위에 위치한 것은, 심볼의 표시 형식을 변화시킴으로써, 시스템 이용자에게 통지하는 방법을 채용한다.
도 23에 일례를 나타낸다. 도 23의 (a)는, "길"(63)의 밖에 위치하는 상태 를 나타낸다. 도 23의 (b)는, "길"(63) 위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23의 (b)의 음영 표시는, 표시색이 그레이 표시로 전환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표시색의 전환에 의해, 시스템 이용자는, 그룹 에리어에 속한 것을 시각적으로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이미 그룹 에리어에 속해 있었던 시스템 이용자도, 새롭게 그룹 에리어에 속한 시스템 이용자의 존재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그룹 에리어에 속한 시스템 이용자의 존재는, 스피커(45)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에 의해서도 확인할 수 있지만, 반드시 모든 참가자가 발언하고 있다고는 한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그룹 에리어로의 참가의 유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의 의미는 크다.
덧붙여서, 표시 형식의 변화에는, 그 외에 형상의 변화(표시 사이즈의 변화를 포함함), 심볼 종별의 변화 등이 있다.
여기서, "길"을 포함하는 그룹 에리어의 위치 정보는, 기억 장치(51)의 그룹 에리어 보유 영역(51D)에 보유되어 있다.
또한, 그룹 에리어 내에 위치하는지의 여부가, 위치하는 경우에는 어떤 그룹 에리어에 위치하는지가 심볼 위치 판정 장치로서 기능하는 컴퓨터(49)에 의해 판정된다.
또한, 컴퓨터(49)는, 출력 제어 장치로서도 기능하며, 동일한 그룹 에리어에 위치하는 심볼에 대하여 다른 음원의 소리가 들리도록, 수신 채널의 선택이나 전자 볼륨을 제어한다.
이 밖에, "길"(63, 65, 67, 69)에는, 심볼 간의 거리에 따른 전자 볼륨 기능을 채용한다.
즉, 심볼 간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전자 볼륨을 크게 하고, 심볼 간의 거리가 멀수록 전자 볼륨을 작게 하는 방식을 채용한다.
도 24에, 동작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24의 (a)는, 심볼(85 및 87)이 가까운 경우의 이미지도이다. 이 경우, 각 심볼에 대응하는 전자 볼륨은 큰 값으로 제어된다.
이 때문에, 각 심볼에 대응하는 시스템 이용자에게는, 서로의 음성이 크게 들린다. 이것은, 실제 세계의 감각과 합치한다.
도 24의 (b)는, 심볼(85 및 87)이 먼 경우의 이미지도이다. 이 경우, 각 심볼에 대응하는 전자 볼륨은 작은 값으로 제어된다.
이 때문에, 각 심볼에 대응하는 시스템 이용자에게는, 서로의 음성이 작게 들린다. 이것은, 실제 세계의 감각과 합치한다.
또한, 여기서의 거리 d는, 거리 연산 장치로서 기능하는 컴퓨터(49)의 연산 처리에 의해 구해진다.
이 때, 각 심볼의 위치는, 심볼 위치 기억 영역(51B)으로부터 취득된다.
또한, 전자 볼륨값은, 음량 제어 장치로서 기능하는 컴퓨터(49)에 의해, 거리 d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이 전리 볼륨의 제어 기능에 의해, 시스템 이용자는, 실제 세계와 동일한 감 각을 체감할 수 있다. 이 결과, 가상 세계 상에서의 거리감의 이해가 용이해진다.
이 밖에, "길"(63, 65, 67, 69)에는, 심볼의 위치 관계에 따른 전자 볼륨 기능을 채용한다.
즉, 그룹 에리어에 위치하는 다른 심볼이, 주목 심볼의 좌측인지 우측인지 에 따라서, 좌우의 전자 볼륨을 조정하는 기능을 채용한다.
예를 들면, 다른 심볼이 주목 심볼의 좌측에 위치하는 경우, 좌측의 전자 볼륨을 크게 하고, 우측의 전자 볼륨을 작게 한다. 또한 예를 들면, 다른 심볼이 주목 심볼의 우측에 위치하는 경우, 우측의 전자 볼륨을 크게 하고, 좌측의 전자 볼륨을 작게 한다.
도 25에, 동작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25의 (a)는, 심볼(87)의 전자 볼륨의 이미지도이다. 이 경우, 다른쪽 심볼(85)은, 제어 대상으로 하는 심볼(87)의 좌측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심볼(87)에 대응하는 단말기 장치에 대해서는, 심볼(85)의 음성 출력으로서 좌측 스피커용 전자 볼륨을 높이는 지시가 내려진다.
도 25(B)는, 심볼(85)의 전자 볼륨의 이미지도이다. 이 경우, 다른쪽 심볼(87)은, 제어 대상으로 하는 심볼(85)의 우측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심볼(85)에 대응하는 단말기 장치에 대해서는, 심볼(87)의 음성 출력으로서 우측 스피커용 전자 볼륨을 높이는 지시가 내려진다.
또한, 전자 볼륨의 제어 대상으로 하는 단말기 장치의 심볼과, 동일한 그룹 에리어에 위치하는 다른 심볼의 위치 정보는, 위치 정보 취득 장치로서 기능하는 컴퓨터(49)의 처리 기능으로서 취득된다. 이 때, 각 심볼의 위치는, 심볼 위치 기억 영역(51B)으로부터 취득된다.
또한, 제어 대상으로 하는 단말기 장치의 심볼에 대하여, 다른 심볼이 좌우 어느 쪽측에 위치하는지를 나타내는 위치 관계는, 위치 관계 판정 장치로서 기능하는 컴퓨터(49)의 처리 기능으로서 판정된다.
또한, 전자 볼륨값은, 음량 제어 장치로서 기능하는 컴퓨터(49)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이 전리 볼륨의 제어 기능에 의해, 시스템 이용자는, 실제 세계와 동일한 현장감을 체감할 수 있다. 이 결과, 가상 세계 상에서의 위치 관계의 이해가 용이해진다.
또한, 새(71)는, 고정 음원으로서의 배경음 또는 환경음이 할당되어 있는 "길"을 나타내는 표시이다. 현실의 "길"에는, 여러가지 소리가 넘쳐 있다.
새(71)의 표시는, 이 배경음 또는 환경음의 존재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새의 울음 소리, 길의 웅성거림의 존재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길"(65 및 69)의 교점 위치에 배치된 나무 위에 새(71)가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길"(65 또는 69) 위로 이동한 심볼에 대응하는 단말기 장치에는, 새의 울음 소리가 들려온다.
또한, 새의 울음 소리는, 고정 음원이다. 즉, "길"(65 및 69)의 교점위치로부터 들려온다.
따라서, 새(71)와 심볼 간의 거리에 따른 전자 볼륨 기능, 새(71)와 심볼의 위치 관계에 따른 전자 볼륨 기능을 조합함으로써, 현장감을 높일 수 있다.
전철(73)도, 그룹 에리어 중 하나이다. 이 그룹 에리어도, 에리어 내에 위치하는 심볼 간의 1 대 1 통화, 그룹 통화에 대응한다. 또한, 전철(73)도, 자유롭게 출입 가능한 그룹 에리어이다.
이 실시예의 경우, 전철(73)에는, 차내의 배경음이 고정 음원으로서 할당되어 있다. 이러한 배경음의 할당에 의해, 시스템 이용자는, 현실에 가까운 상황에서, 시츄에이션 플레이를 즐길 수 있다.
배경음이 가해짐으로써, 시스템 이용자는, 분위기를 즐기면서 다른 시스템 이용자와 회화를 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학교(75)도, 그룹 에리어 중 하나이다. 이 그룹 에리어도, 에리어 내에 위치하는 심볼 간의 1 대 1 통화, 그룹 통화에 대응한다. 또한, 학교(75)도, 자유롭게 출입 가능한 그룹 에리어이다.
이 경우에도, 배경음으로서 캠퍼스 내의 각각의 곳에 고유의 소리를 채용함으로써, 여러가지 현장감을 높일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배경음은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전화 박스(77)는, 1 대 1의 통신을 제공하는 에리어이다. 전화 박스(77)를 사용한 통신은, 상대편으로 되는 심볼이 그룹 에리어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가능하다. 직접 통신 시, 상대편의 시스템 이용자는, 일시적으로 그룹 에리어로부터 분리된다.
이 실시예의 경우, 전화 박스(77)에는, 직접 통화 요구 에리어(77A)와 보이 스 메일 에리어(77B)가 준비되어 있다.
직접 통화 요구 에리어(77A)의 배치 위치는, 직접 통화 요구 에리어 기억 영역(51E)에 기억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경우, 기억 장치(51)의 기능의 일부로서 실현된다.
이 직접 통화 기능은, 직접 통화 요구 에리어(77A)에 위치하는 심볼을 특정하는 정보의 취득에 의해 개시된다. 컴퓨터(49)가 특정 정보 취득 장치로서 기능한다.
직접 통화는, 상대편으로 되는 단말기 장치를 특정하는 정보의 입력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상대편으로 되는 심볼의 식별 번호의 입력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컴퓨터(49)는,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대편의 단말기 장치를 특정하는 정보를 취득한다. 이 특정 정보 취득 장치로서의 기능도, 컴퓨터(49)가 제공한다.
이 실시예에는, 상대편에 지정된 심볼의 표시 형식을 변경하는 표시 형식 변경 기능이 탑재되어 있다. 이 기능도 컴퓨터(49)가 제공한다.
예를 들면, 대상 심볼의 표시색을 변경하거나, 점멸 표시하거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당사자뿐만 아니라 시스템 이용자 전원에게 통지한다.
이 기능도, 정보를 모든 시스템 이용자 사이에서 공유하기 위한 구조의 하나이다.
한편, 보이스 메일 에리어(77B)의 배치 위치는, 보이스 메일 에리어 기억 영역(51F)에 기억되어 있다. 이 영역도, 기억 장치(51)의 일부로서 실현된다.
보이스 메일 기능은, 보이스 메일 에리어(77B)에 위치하는 심볼을 특정하는 정보의 취득에 의해 개시된다. 컴퓨터(49)가 특정 정보 취득 장치로서 기능한다.
보이스 메일의 송신은, 상대편으로 되는 단말기 장치를 특정하는 정보의 입력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상대편으로 되는 심볼의 식별 번호의 입력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컴퓨터(49)는,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대편의 단말기 장치를 특정하는 정보를 취득한다. 이 특정 정보 취득 장치로서의 기능도, 컴퓨터(49)가 제공한다.
이 실시예에는, 상대편에 지정된 심볼의 표시 형식을 변경하는 표시 형식 변경 기능이 탑재되어 있다. 이 기능도 컴퓨터(49)가 제공한다.
예를 들면, 대상 심볼의 표시색을 변경하거나, 점멸 표시하거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당사자뿐만 아니라 시스템 이용자 전원에게 통지한다.
이 실시예의 경우, 상대편의 유저는, 보이스 메일 에리어로 이동하여, 자신에게의 보이스 메일을 확인한다.
레코드점(79)은, 공개용에 보존되어 있는 오디오 파일을 자유롭게 재생할 수 있는 에리어이다. 레코드점(79)의 배치 위치도 기억 장치(51)의 일부에 기억되어 있다.
레코드점(79)에는, 시스템 이용자나 시스템 관리자가 오디오 파일을 자유롭게 등록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경우, 심볼이 레코드점(79)으로 이동하면, 선택 가능한 파일명이 일람 표시된다. 시스템 이용자는, 일람 중에서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파일을 재생하여,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에코 에리어(81)는, 시스템 이용자가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발성의 확인 에리어이다. 에코 에리어(81)에 심볼을 이동시켜서, 발성하면, 발성 내용이 에코 백된다.
모니터 에리어(83)는, 모니터 권한을 갖는 이용자에 의해 모니터 중의 단말기 장치를 통지하는 데 이용되는 표시 에리어이다.
이 표시 에리어의 존재에 의해, 시스템 이용자는, 어떤 단말기 장치가 모니터되어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이 모니터 기능도, 음원 정보 수집 장치로서의 컴퓨터(49)에 의해 실현된다.
컴퓨터(49)는, 모니터 대상의 출력 상황(출력 조건)을 수집하여, 동일한 음을 재현한다. 여기서의 재현은, 음량 제어 장치의 음량 제어에 의해 실현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모니터 전용 채널에, 단말기 장치의 출력음을 복제적으로 입력하는 방식에 의해, 출력음의 모니터를 실현한다.
이 밖에도, 공용 화면(61)에는, 위치 확인 기능도 준비되어 있다. 위치 확인 기능은, 시스템 이용자가 자신의 제어하는 심볼 등의 위치를, 화면 상의 표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준비되어 있다.
컴퓨터(49)는, 단말기 장치(41)로부터 위치 확인 요구가 수신되면, 요구 대상에 대응하는 심볼 또는 구성 요소의 위치를 소재 정보 기억 영역(51A) 또는 심볼 위치 기억 영역(51B)으로부터 취득한다.
이 때, 컴퓨터(49)는, 위치 정보 취득 장치로서 기능한다. 위치 정보가 취득되면, 컴퓨터(49)는, 표시 형식 변경 장치의 기능을 이용하여, 대응하는 심볼의 표시 형식을 변경한다.
예를 들면, 표시색을 변경시키거나, 점멸시키거나, 형상을 변경한다.
(4) 동작예
이하, 각 처리 기능에 대응하는 동작예를 설명한다.
(4-1) 기동 처리
컴퓨터(49)는, 프로그램을 기동하면, 전송로에 접속된 전체 단말기 장치의 전자 볼륨을 0(제로)으로 리세트한다. 이 제어는, 제어 슬롯(제어 채널)을 통해, 전체 단말기 장치로 통지된다.
다음으로, 컴퓨터(49)는, 본체로서 동작하는 단말기 장치(41)(도 4인 경우, 좌단)에, "새 소리 채널"로의 음성 파일(Bird.wav)의 재생 출력을 명령한다.
이 음성 파일은 반복하여 출력된다. 동시에, "새 소리 채널"에 새 소리가 흐르도록, 대응 슬롯의 입력 음량을 크게 제어한다.
마찬가지로, 컴퓨터(49)는, 본체로서 동작하는 단말기 장치(41)에, "차내 방송 채널"로의 음성 파일(Driver.wav)의 재생 출력을 명령한다.
이 음성 파일도 반복하여 출력된다. 동시에, "차내 방송 채널"에 차내 방송이 흐르도록, 대응 슬롯의 입력 음량을 크게 제어한다.
또한, 컴퓨터(49)는, 본체로서 동작하는 단말기 장치(41)에, "전화 벨 채널"로의 음성 파일(Bell.wav)의 재생 출력을 명령한다.
이 음성 파일도 반복하여 출력된다. 동시에, "전화 벨 채널"에 벨 소리가 흐르도록, 대응 슬롯의 입력 음량을 크게 제어한다.
이들 소리는, 각 단말기 장치(41)에 의한 해당 채널의 선택을 통해 들을 수 있다.
(4-2) 심볼의 이동 처리
심볼의 이동은, 단말기 장치(41) 또는 컴퓨터(49)의 조작 입력을 통해 실현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이동 정보의 입력에, 포인팅 디바이스를 사용한다. 포인팅 디바이스로는, 예를 들면, 조이스틱, 마우스 등이 있다. 이 포인팅 디바이스의 조작 방향과 조작량이, 심볼의 이동 방향과 이동량으로 된다.
심볼의 이동을 단말기 장치(41)로 지시한 경우, 이동 정보는, 제어 데이터(제어 패킷)로서 컴퓨터(49)에 통지된다.
컴퓨터(49)는, 심볼 이동 제어 장치로서 기능한다. 컴퓨터(49)는,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심볼의 위치 정보를 갱신하고, 결과적으로 화면 상의 심볼이 이동한다.
심볼의 이동이 컴퓨터(49)의 지시로 행해지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4-3) 정지 위치의 확인 처리
각 단말기 장치에 대한 채널의 선택이나 전자 볼륨의 제어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심볼의 정지 위치를 알 필요가 있다. 이 실시예의 경우, 심볼의 정지 위치는 다음과 같이 판단한다.
예를 들면, 시스템 이용자가 조이스틱을 분리한 시점의 심볼 위치에서 판단한다. 또한 예를 들면, 시스템 이용자가 마우스를 드롭한 시점의 심볼 위치에서 판단한다.
또한, 심볼 위치가 지정의 처리 범위에 있는 경우, 표시 형식을 변경한다. 예를 들면, 심볼의 배경색을 변경한다.
이것에 대하여, 심볼 위치가 지정의 처리 범위 외에 있는 경우, 모든 전자 볼륨을 0(제로)으로 제어한다. 동시에, 표시 형식을 초기 상태로 변경한다. 예를 들면, 배경색을 초기 상태의 색으로 한다.
따라서, 심볼은, 공용 화면 내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지만, 그룹 에리어 그 밖의 통화 기능이 할당되어 있지 않은 에리어에서는 무음 상태로 제어된다.
즉, 단말기 장치(41)를 조작하고 있는 시스템 이용자의 음성은, 다른 시스템 이용자에게는 들리지 않는 상태로 제어된다.
또한, 지정의 처리 범위 외에 있는 심볼의 시스템 이용자도, 다른 시스템 이용자의 음성을 들을 수는 없다.
덧붙여서, 이동이 지시되기 전에 다른 처리가 실행되어 있던 경우에는, 모든 볼륨을 0(제로)으로 리세트하고, 그 후, 새로운 처리를 개시한다.
(4-4) "길"(배경음 없음)에서의 처리
"길"에는, 동일한 라인 상에 심볼이 위치하는 단말기 장치 간의 통화 기능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심볼 간의 거리나 위치 관계에 따른 좌우의 전자 볼륨 제어 기능도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는, 정지 위치의 확인 기능을 통해, 심볼이 "길" 위에 위치하는 것이, 심볼 위치 판정 장치(컴퓨터(49))에 의해 확인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는, 제어 대상으로 하는 단말기 장치에 대응하는 심볼을 #1로 하고, 동일한 "길"에 위치하는 다른 심볼을 #2로 한다.
이 경우, 거리 연산 장치로서의 컴퓨터(49)는, 제어 대상 심볼 #1과 다른 심볼 #2의 거리를, 각 심볼의 중심 간의 길이로 하여 구한다. 이 연산에는, 심볼 위치 기억 영역(51B)에 기억되어 있는 심볼 위치를 사용한다.
또한, 컴퓨터(49)는, 심볼 #1에 대하여 다른 심볼 #2가 좌우 어느 쪽에 위치하는지를 판정한다.
또한, "길"이, 화면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심볼 #1에 대하여 다른 심볼 #2가 상하 어느 쪽에 위치하는지도 판정한다.
여기서, 다른 심볼 #2가 우측에 위치하는 경우, 컴퓨터(49)는, 심볼 #1에 대하여, 심볼 #2에 대응하는 전용 채널 중 우측 스피커용 출력 볼륨을 높이도록 지시한다. 물론, 음량은, 거리에 따른 레벨이다. 다른 경우도, 동일하다.
한편, 다른 심볼 #2가 좌측에 위치하는 경우, 컴퓨터(49)는, 심볼 #1에 대하여, 심볼 #2에 대응하는 전용 채널 중 좌측 스피커용 출력 볼륨을 높이도록 지시한다.
또한, 다른 심볼 #2가 도면 중 상측에 위치하는 경우, 컴퓨터(49)는, 심볼 #1에 대하여, 심볼 #2에 대응하는 전용 채널 중 좌측 스피커용 출력 볼륨을 높이도록 지시한다.
또한, 다른 심볼 #2가 도면 중 하측에 위치하는 경우, 컴퓨터(49)는, 심볼 #1에 대하여, 심볼 #2에 대응하는 전용 채널 중 우측 스피커용 출력 볼륨을 높이도록 지시한다.
물론, 심볼 #2에 대해서는, 심볼 #1과는 반대의 제어를 할 필요가 있다. 좌우 상하의 위치 관계가 역의 관계로 되기 때문이다.
컴퓨터(49)는, 이들 처리를, 동일한 "길" 상에 위치하는 모든 심볼에 대하여 반복하여 실행한다.
(4-5) "길"(배경음 있음)에서의 처리
이것은, 새(71)의 울음 소리가 들리는 "길"에 대한 처리이다. 또한, 고정 음원인 새의 울음 소리에는, 1개의 전용 채널이 할당되어 있다.
이 "길"에서는, 동일한 라인 상에 심볼이 위치하는 단말기 장치 간의 통화 시에, 배경음으로서 새의 울음 소리가 추가된다. 따라서, 심볼 간의 통화 기능에 대해서는, 전항에서 설명한 처리 내용과 동일하다.
여기서는, 새의 울음 소리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본적으로는, 심볼 간의 처리와 동일하지만, 새의 울음 소리는 시스템음이기 때문에, 좌우의 음량의 조정은, 단말기 장치에 대한 처리만으로 된다.
이 경우, 거리 연산 장치로서의 컴퓨터(49)는, 제어 대상인 심볼 #1과 새(71)가 있는 나무의 중심까지의 거리를 구한다.
또한, 컴퓨터(49)는, 심볼 #1에 대하여 나무의 위치가 좌우 어느 쪽에 위치하는지를 판정한다.
또한, "길"이, 화면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심볼 #1에 대하여 나무의 위치가 상하의 어느 쪽에 위치하는지를 판정한다.
전자 볼륨의 제어 방법에 대해서는, 심볼 간의 제어 내용과 동일하다. 즉, 위치 관계와 거리에 따라, 전자 볼륨이 제어된다.
(4-6) "길"의 각(교차점)에서의 처리
이것은, 심볼이 "길"과 "길"의 각에 위치하는 경우의 처리이다. 이 처리는, 공유 화면(61)의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과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의 교차점에, 심볼이 위치하는 경우에 필요하게 된다.
이 위치에서는, 교차되는 2개 이상의 "길"에 대하여, 다른 심볼의 유무와, 존재하는 경우의 위치 관계 및 거리의 길이가 확인되며, 거리와 위치 관계에 따른 전자 볼륨의 제어가 컴퓨터(49)에 의해 실행된다.
즉, 제어 대상으로 하는 단말기 장치에 대하여, 그룹 통화의 상대편으로 되는 심볼의 위치가 우측인지, 좌측인지, 상측인지, 하측인지의 판단이 행해진다. 또한, 제어 대상에 정한 단말기 장치에 대한 각 상대편의 심볼까지의 거리가 연산된다.
그리고, 제어 대상으로 하는 단말기 장치에 대한 전자 볼륨의 제어 내용이 결정된다.
물론, "길"에 새의 울음 소리 등의 배경음(환경음)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음원까지의 거리와 위치 관계에 따른 제어 내용이 결정된다.
이렇게 하여, 제어 대상으로 하는 단말기 장치(41)의 스피커(45)로부터는, 개별적으로 음량이 조정된 각 채널의 소리가 믹스된 상태로 출력된다.
(4-7) 전철에서의 처리
전철(73)도, "길"과 동일한 그룹 에리어 중 하나이다. 단, "길"은, 그룹 에리어가 선으로 제공되는 데 대하여, 전철(73)은, 그룹 에리어가 면으로서 제공된다. 이 때문에, "길"과 동일한 처리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전철(73) 내의 회화에서는, 거리감이나 위치 관계가 나타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이 실시예에서는, 거리나 위치 관계에 따른 전자 볼륨 처리를 생략한다. 즉, 전철(73)에 믹스 채널을 할당하는 방법을 채용한다.
전철(73)에 할당된 전용 믹스 채널을, "전철 채널"이라 한다.
컴퓨터(49)는, 에리어 내에 위치하는 단말기 장치(41)에 대하여, 수신한 "전철 채널"의 출력 음량을 높이도록 지시를 내린다. 이에 따라, 스피커(45)로부터, 전철 내의 회화음이 들리는 상태로 된다.
또한, 컴퓨터(49)는, "전철 채널"에 각 단말기의 음성이 다중화되도록, "전철 채널"에 대한 음성의 입력 음량을 높이도록 지시를 내린다. 이에 따라, 전철 내에 위치하는 단말기 장치로 음성을 전송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또한, "전철 채널"로의 각 음성의 입력은 다중 입력이다.
또한, 전철(73)에 고유의 환경음인 차내 방송에는 전용 채널이 할당되어 있다.
따라서, 컴퓨터(49)는, 전철 내에 위치하는 모든 단말기 장치에 대하여, 수신한 "차내 방송 채널"의 출력 음량을 높이도록 지시를 내린다.
결과적으로, 각 단말기 장치(41)의 스피커(45)에는, 차내 방송과 다른 단말기 장치의 음성의 믹스음이 출력된다.
(4-8) 학교에서의 처리
학교(75)도, 그룹 에리어 중 하나이다. 학교(75)의 경우도, 그룹 에리어는 면으로서 정의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길"과 동일한 처리의 적용이 가능하다. 단, 이 실시예에서는, 학교(75)에, 전철(73)과 동일한 처리를 적용한다.
즉, 학교(75)에는, 전용 믹스 채널을 할당하여, 전술한 처리를 적용한다.
또한, 학교(75)의 처리의 경우, 이 믹스 채널을 "학교 채널"이라 한다.
또한, 학교의 환경음을 전용 채널을 할당한다. 가령, 학교용의 환경음을 이용하지 않는 설정으로 할 수도 있다. 전술한 전철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결과적으로, 각 단말기 장치(41)의 스피커(45)에는, 학교(75)에 심볼이 위치하는 단말기 장치의 음성을 믹스한 소리가 출력된다.
(4-9) 직접 통화 기능의 처리(발호 처리)
여기서는, 전화 박스(77) 중 직접 통화 요구 에리어(77A)에 심볼이 위치하는 경우의 처리 내용을 설명한다. 이하, 조작 및 처리의 진행순으로 설명한다.
컴퓨터(49)는, 심볼이 직접 통화 요구 에리어(77A)에 들어가면, 전화기를 모방한 윈도우를 표시한다.
시스템 이용자는, 통화를 요구하는 임의의 상대편 번호를 입력한다. 이 입력은, 단말기 장치(41)에 접속된 텐 키 등의 입력 장치(47)를 통해 행해진다.
컴퓨터(49)는, 제어 데이터로서 수신한 상대편 번호를 화면 상의 윈도우에 표시한다.
다음으로, 컴퓨터(49)는, 직접 통화를 요구하는 단말기 장치측에서 통신 버튼이 조작된 것인지 판정한다. 통신 버튼은, 전화기의 훅 버튼에 대응한다. 누르면 오프 훅으로 되며, 누른 것을 해제하면 온 훅으로 된다. 통신 버튼의 조작에 의해 상대편 번호가 확정되어, 접속 처리로 진행한다.
통신 버튼의 조작이 확인되면, 컴퓨터(49)는, 상대편 번호에 대응하는 단말기 장치로 제어 데이터를 송신하고, '전화 벨 채널'의 출력 음량을 높인다. 덧붙여서, '전화 벨 채널'은 전용 채널이다.
동시에, 컴퓨터(49)는, 상대편 번호에 대응하는 단말기 장치에 제어 데이터를 송신하고, 단말기 장치의 발광 소자(예를 들면, LED)를 점멸 제어한다. 물론, 점멸하는 것은 전화에 할당된 발광 소자이다.
컴퓨터(49)는, 상대편 번호에 대응하는 단말기 장치측에서 통신 버튼이 조작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통신 버튼의 조작이 확인되면, 컴퓨터(49)는, 상대편 번호에 대응하는 단말기 장치로 제어 데이터를 송신하고, '전화 벨 채널'의 출력 음량을 0(제로)으로 제어한다. 동시에, 컴퓨터(49)는, 상대편 번호에 대응하는 단말기 장치의 채널 상태를 보존한다. 이것은 통화 후, 즉시 현 상태로 복귀되기 때문이다.
이 후, 컴퓨터(49)는, 통화를 요구한 단말기 장치와 상대편 번호에 대응하는 단말기 장치의 발광 소자를 점등 상태로 제어한다.
또한, 컴퓨터(49)는, 통화를 개시한 2개의 단말기 장치에 대응하는 심볼의 배경색을 모두 적색으로 변경한다.
이에 따라, 당사자뿐만 아니라, 시스템 이용자 전원이 통화 중임을 확인할 수 있다.
계속해서, 컴퓨터(49)는, 양 단말기 장치로 제어 데이터를 송신하고, 각 단말기 장치의 전용 채널용의 입력 음량을 높이도록 제어한다. 이 때, 각 단말기 장치의 전용 채널 이외의 입력 레벨은 0(제로)으로 제어된다.
또한, 컴퓨터(49)는, 양 단말기 장치로 제어 데이터를 송신하고, 서로 상대방의 단말기 장치의 전용 채널의 출력 음량을 높이도록 제어한다. 이 때, 상대방의 전용 채널 이외의 출력 레벨은 0(제로)으로 제어된다.
이에 따라, 양 단말기 장치 간의 직접 통화가 실현된다.
(4-10) 직접 통화 기능의 처리(단(斷) 처리)
다음으로, 직접 통화를 종료시키기 위한 처리를 설명한다. 직접 통화의 종료 처리는, 통화 중에, 어느 하나의 단말기 장치로부터 통신 버튼의 조작의 검출에 의해 개시된다.
통신 버튼의 조작이 확인되면, 컴퓨터(49)는, 양 단말기 장치에 대하여, 각 전용 채널로의 입력 음량을 0(제로)으로 하도록 지시를 내린다.
또한, 컴퓨터(49)는, 양 단말기 장치에 대하여, 서로 상대방의 단말기 장치에 대응하는 전용 채널의 출력 음량을 0(제로)으로 하도록 지시를 내린다.
이에 따라, 직접 통화는 종료한다.
또한, 컴퓨터(49)는, 양 단말기 장치로 제어 데이터를 송신하고, 통화 중임 을 나타내는 발광 소자를 소등 제어한다.
또한, 컴퓨터(49)는, 양 심볼의 배경색을 원래의 색으로 복귀한다.
이 후, 컴퓨터(49)는, 직접 통화의 개시 시에 보존해둔, 상대편 번호에 대응하는 단말기 장치의 채널 상태를 복원한다.
즉, 컴퓨터(49)는, 채널로의 입출력 관계를 지시하는 제어 데이터를 상대편 번호에 대응하는 단말기 장치에 부여한다.
마지막으로, 화면 상에 표시한 전화기를 모방한 윈도우를 끈다.
(4-11) 보이스 메일의 등록 처리
여기서는, 전화 박스(77) 중 보이스 메일 에리어(77B)에 심볼이 위치하는 경우의 처리 내용을 설명한다. 여기서도, 조작 및 처리의 진행순으로 설명한다.
컴퓨터(49)는, 심볼이 보이스 메일 에리어(77B)에 들어가면, 전화기를 모방한 윈도우를 끈다.
시스템 이용자는, 보이스 메일을 송신처로 되는 임의의 상대편 번호를 입력한다. 이 입력도, 단말기 장치(41)에 접속된 텐 키 등의 입력 장치(47)를 통해 행해진다.
컴퓨터(49)는, 제어 데이터로서 수신한 상대편 번호를 화면 상의 윈도우에 표시한다.
다음으로, 컴퓨터(49)는, 송신 요구측의 단말기 장치에 의해 메일 버튼이 조작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메일 버튼의 조작이 확인되면, 컴퓨터(49)는, 송신 요구측의 단말기 장치에 대하여, 그 '전용 채널'의 입력 음량을 높이도록 지시를 내린다.
동시에, 컴퓨터(49)는, 송신 요구측의 단말기 장치에 대하여, 그 '전용 채널'의 출력 음량을 높이도록 지시를 내린다.
이것은, 시스템 이용자가 자신이 발성한 녹음 중의 소리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컴퓨터(49)는, 송신원에 대응하는 심볼의 배경색을 적색으로 변경하여, 녹화 중인 것을 표시한다.
또한, 컴퓨터(49)는, '전용 채널'을 통해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보이스 메일로서 메모리 영역에 기억한다.
(4-12) 보이스 메일의 등록 종료 처리
여기서는, 보이스 메일의 등록 처리를 종료하는 경우의 처리 내용을 설명한다.
컴퓨터(49)는, 시스템 이용자에 의한 메일 버튼의 조작을 검출하면, 송신 요구측의 단말기 장치에 대하여, 그 '전용 채널'의 입력 음량을 0(제로)으로 하도록 지시를 내린다.
이 후, 컴퓨터(49)는, 앞서 메모리 영역에 기억해 둔 음성 데이터를, 상대편 번호로 특정되는 단말기 장치로의 음성 파일(예를 들면, wav 파일)로서 보관한다.
다음으로, 컴퓨터(49)는, 송신 요구측의 심볼의 배경색을 원래대로 복귀함과 함께, 상대편측의 심볼의 배경색을 회색으로 변경한다.
또한, 보이스 메일이 등록된 상대편에 대응하는 단말기 장치의 발광 소자를 점멸 제어한다.
물론, 점멸하는 것은 보이스 메일에 할당된 발광 소자이다.
이에 따라, 모든 시스템 이용자가, 어떤 심볼로의 보이스 메일이 등록된 것인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대편의 시스템 이용자는, 자신의 단말기 장치에 설치된 발광 소자의 점멸 표시로부터 보이스 메일의 등록을 파악할 수 있다.
(4-13) 보이스 메일의 수신 처리
여기서는, 보이스 메일을 수신하는 경우의 처리 내용을 설명한다.
보이스 메일의 재생은, 보이스 메일의 송신처로 지정된 단말기 장치에 대응하는 심볼이 보이스 메일 에리어로 이동함으로써 개시한다.
또한, 컴퓨터(49)는, 심볼이 보이스 메일 에리어로 이동한 것을 검출하면, 전화기를 모방한 윈도우를 끈다.
컴퓨터(49)는, 보이스 메일의 송신처인 단말기 장치로 메일 버튼이 조작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메일 버튼의 조작이 확인되면, 컴퓨터(49)는, 메일 에리어 내에 위치하는 심볼의 배경색을 녹색으로 변경한다.
다음으로, 컴퓨터(49)는, 이 심볼에 대응하는 단말기 장치로의 보이스 메일이 존재하는지의 여부 판정한다.
보이스 메일이 존재하면, 컴퓨터(49)는, 등록되어 있는 음성 파일(wav 파일)을 재생하고, '보이스 메일 채널'로 흘린다. 이 '보이스 메일 채널'은, 전용 채널 이다.
또한, 보이스 메일의 송신처인 단말기 장치에 대해서는, '보이스 메일 채널'의 출력 음량을 높이도록 지시를 내린다.
이에 따라, 상대편의 단말기 장치의 시스템 이용자는, 보이스 메일을 확인할 수 있다.
(4-14) 보이스 메일의 재생 종료 처리
계속해서, 보이스 메일의 재생을 종료하는 경우의 처리 내용을 설명한다.
컴퓨터(49)는, 보이스 메일을 재생 중인 단말기 장치에서 메일 버튼이 조작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메일 버튼의 조작이 확인되면, 컴퓨터(49)는, wav 파일을 폐쇄한다. 즉, '보이스 메일 채널'로의 보이스 메일의 송출을 중지한다.
이 후, 컴퓨터(49)는, 보이스 메일을 재생하고 있었던 단말기 장치에 대하여, '보이스 메일 채널'의 출력 음량을 0(제로)으로 하도록 지시를 내린다.
또한, 컴퓨터(49)는, 메일 에리어 내에 위치하는 심볼의 배경색을 원래의 색으로 복귀한다.
동시에, 컴퓨터(49)는, 보이스 메일을 재생하고 있었던 단말기 장치에 대하여, 발광 소자를 소등하도록 지시를 내린다.
이 발광 소자는, 보이스 메일에 할당된 발광 소자이다.
마지막으로, 화면 상에 표시한 전화기를 모방한 윈도우를 끈다.
(4-15) 레코드점에서의 처리(재생 개시)
여기서는, 레코드점(79)에 심볼이 위치하는 경우의 처리 내용을 설명한다. 여기서도, 조작 및 처리의 진행순으로 설명한다.
컴퓨터(49)는, 레코드점(79)에 심볼이 위치하는 것을 확인하면, 공유 화면(61) 상에 음악을 선택하는 윈도우를 표시한다.
시스템 이용자는, 단말기 장치에 접속된 텐 키 등의 입력 장치(47)를 통해, 듣고 싶은 임의의 음악의 번호를 입력한다.
컴퓨터(49)는, 제어 데이터로서 수신한 번호를 화면 상의 윈도우에 표시한다.
다음으로, 컴퓨터(49)는, 음악의 재생을 요구하는 단말기 장치측에서 재생 버튼이 조작된 것인지 판정한다. 재생 버튼의 조작에 의해 음악의 선택이 확정한다.
재생 버튼의 조작이 확인되면, 컴퓨터(49)는, 대응하는 음악 파일(wav 파일)을 재생하고, '레코드점 채널'의 출력 음량을 높인다. 덧붙여서, '레코드점 채널'은 전용 채널이다.
또한, 컴퓨터(49)는, 재생 중임을 나타내는 화면 표시로 변경한다.
(4-16) 레코드점에서의 처리(재생 종료)
계속해서, 음악의 재생을 종료하는 경우의 처리 내용을 설명한다.
컴퓨터(49)는, 음악 파일의 재생처인 단말기 장치에서 재생 버튼이 조작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재생 버튼의 조작이 확인되면, 컴퓨터(49)는, 음악 파일(wav 파일)을 폐쇄한 다.
다음으로, 컴퓨터(49)는, 음악 파일의 재생처인 단말기 장치에 대하여, '레코드점 채널'의 출력 음량을 0(제로)으로 하도록 지시를 내린다.
이 후, 컴퓨터(49)는, 음악의 선택을 접수하는 표시로 변경한다.
(4-17) 에코 기능의 처리
여기서는, 에코 에리어(81)에 심볼이 위치하는 경우의 처리 내용을 설명한다. 여기서도, 조작 및 처리의 진행순으로 설명한다.
먼저, 음성의 기록 처리를 설명한다.
컴퓨터(49)는, 에코 에리어(81)에 심볼이 위치하는 것을 확인하면, 그 심볼의 배경색을 적색으로 변경한다.
컴퓨터(49)는, 대응하는 단말기 장치에 대하여, 그 '전용 채널'의 입력 음량을 높이도록 지시를 내린다.
동시에, 컴퓨터(49)는, 대응하는 단말기 장치에 대하여, 그 '전용 채널'의 출력 음량을 높이도록 지시를 내린다.
이것은, 시스템 이용자가 자신이 발성한 녹음 중의 소리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컴퓨터(49)는, 입력 음량이 일정값을 초과하면(즉, 발성을 검출하면),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컴퓨터(49)의 메모리 영역에 기억한다.
다음으로, 음성의 재생 처리를 설명한다.
컴퓨터(49)는, 입력 음량이 일정값으로부터 내려가면(여기서는, 무음 상태가 2초간 계속되면 발성 종료로 간주함), 먼저 메모리 영역에 기억한 음성 데이터를 '에코 채널'로 흘린다. 이 에코 채널은 전용 채널이다.
또한, 컴퓨터(49)는, 심볼의 배경색을 녹색으로 변경하여, 음성 데이터의 재생 개시를 통지한다.
마지막으로, 종료 처리를 설명한다.
컴퓨터(49)는, 음성 데이터의 재생이 종료하면, 대응하는 단말기 장치에 대하여, 그 '전용 채널'의 입력 음량을 0(제로)으로 하도록 지시를 내린다.
이 후, 컴퓨터(49)는, 대응하는 심볼의 배경색을 원래대로 복귀한다.
(4-18) 위치 확인 기능의 처리
여기서는, 위치 확인 기능의 처리 내용을 설명한다. 여기서도, 조작 및 처리의 진행순으로 설명한다.
시스템 이용자는, 위치 확인의 기능에 할당된 복수의 안내 버튼 중 어느 하나를 조작한다. 이 입력도, 단말기 장치(41)에 접속된 텐 키 등의 입력 장치(47)를 통해 행해진다.
컴퓨터(49)는, 제어 데이터로서 수신한 안내 버튼 번호에 대응하는 지점에, 대응하는 번호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해당 지점의 배경색을 오렌지색으로 변경하고, 점멸 표시한다.
컴퓨터(49)는, 시스템 이용자에 의한 안내 버튼의 조작의 종료를 검출하면(손가락이 떨어진 것을 검출하면), 대응 지점의 번호 표시를 원래대로 복귀한다.
이 기능에 의해, 안내 버튼을 조작한 시스템 이용자는, 안내 버튼에 대응하 는 지점을 공유 화면(61)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안내 버튼에는, 각 단말기 장치에 고유의 버튼(예를 들면, 대응하는 심볼을 표시하는 버튼)과, 모든 단말기 장치에 공통되는 버튼(예를 들면, 전철이나 학교를 표시하는 버튼)이 있다.
또한, 각 안내 버튼이 어떤 위치 정보의 표시에 사용될지는, 컴퓨터(49)측에 미리 등록되어 있다. 등록 정보는, 예를 들면 기억 장치(51)에 보존된다.
(4-19) 모니터 기능
여기서는, 모니터 기능의 처리 내용을 설명한다. 여기서도, 조작 및 처리의 진행순으로 설명한다.
모니터 기능은, 컴퓨터(49)의 조작자가, 특정한 단말기 장치가 듣고 있는 채널의 소리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경우, 컴퓨터(49)의 조작자가, 화면 상에서 모니터 대상으로 하는 심볼의 번호를 1개 선택한다. 선택된 심볼 번호는, 모니터 에리어(83)에 표시된다.
이에 따라, 모든 시스템 이용자가, 모니터 중의 심볼 번호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컴퓨터(49)는, 선택된 심볼에 대응하는 단말기 장치의 출력 상태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예를 들면, 출력 음량이 높아지고 있는 채널의 정보를 취득한다.
컴퓨터(49)의 조작자가, 화면 상의 음량 스위치로 스피커로의 출력 음량을 정한다. 출력 음량의 값은, 모니터 에리어(83)에 표시된다.
컴퓨터(49)는, 모니터 대상의 단말기 장치에 대하여, 먼저 취득된 채널의 소 리를, 음량 스위치로 지정한 음량으로 '모니터 채널'에 흘리도록 지시를 내린다. 여기서, '모니터 채널'은 전용 채널이다.
이에 따라, 컴퓨터(49)의 조작자는, 임의의 단말기 장치에서 출력되어 있는 소리를 모니터할 수 있다.
(5) 실시예의 효과
이상 설명한 공용 화면과, 공용 화면에 연동한 기능의 채용에 의해, 시스템 이용자 전원이 용이하게 시스템의 가동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이용자는, 능동적으로 심볼의 위치를 이동시켜서, 실제 음성에 의한 커뮤니케이션이나 시뮬레이션을 체감할 수 있다.
이 때, 시스템 이용자에게 필요한 조작은, 기본적으로 심볼의 이동뿐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가상 세계에 배치된 "길"(63, 65, 67, 69), 전철(73), 학교(75)로 이동하면, 그룹 통화를 체감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전화 박스(77)로 이동하면, 1 대 1의 직접 통화나 보이스 메일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잡한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모든 연령대의 시스템 이용자가 사용하기 편한 오디오 신호 전송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음원 간의 거리에 따라서, 단말기 장치의 출력 음량을 제어하는 기능을 탑재함으로써, 가상 세계 상의 이동의 현실감을 높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음원 간의 위치 관계에 따라서, 단말기 장치에서의 좌우의 출력 음량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탑재함으로써, 가상 세계 상에서의 위치 관계의 체감을 용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즉, 현실에 가까운 상태에서, 가상 세계에서의 회화를 즐길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가상 세계 상의 각 위치에 따른 환경음을 회화음에 믹스하여 출력할 수 있음으로써, 회화의 현장감을 높일 수 있다. 시뮬레이션 플레이에는 효과적이다.
(6) 다른 실시예
(a)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서버로서 기능하는 컴퓨터(49)에, 단말기 장치나 표시 화면의 제어 기능이나 기억 기능을 탑재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들 기능의 일부 또는 모두를 단말기 장치측에 탑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가상 세계를 구성하는 소재 정보 등을 각 단말기 장치에 배치하고, 각 단말기 장치가 개별적으로, 다른 단말기 장치에 대응하는 심볼의 이동을 표시 내용에 반영시켜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각 단말기 장치가 개별적으로 채널의 선택이나 전자 볼륨을 제어하여도 된다. 이 구조를 채용하면, 서버를 사용하지 않는 시스템 구성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처리가 분산되기 때문에, 전송로를 흐르는 제어 데이터량을 저감할 수 있다.
(b)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공유 화면을 스크린 상에 표시하였지만, 각 단말기 장치에 접속한 표시 장치에 개별적으로 표시시켜도 된다. 이 구조를 채용하면, 장소의 제약을 없앨 수 있다. 즉, 시스템 이용자는, 임의의 장소에서 시스템을 이 용할 수 있다.
(c)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각 단말기 장치에 패스의 자동 반전 기능을 탑재하였다.
그러나, 패스 반전용의 단말기 장치와 패스 중계용 단말기 장치를 이용하여도 된다.
(d)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단말기 장치로서, 도 14에 도시하는 구성의 것을 적용하였다.
그러나, 음성의 입출력 기능을 탑재하는 정보 처리 장치이면, 그 상품 형태에 상관없이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컴퓨터, 텔레비전 회의용 단말기 장치, 어학 학습용 단말기 장치, 비디오 카메라, 디지털 카메라, 게임 기기, 휴대 정보 단말기(휴대형 컴퓨터, 휴대 전화기, 휴대형 게임기, 전자 서적 등), 시계, 화상 재생 장치(예를 들면, 광 디스크 장치, 홈 서버), 발명에 따른 기능을 탑재한 처리 보드나 처리 카드에도 적용할 수 있다.
(e) 전술한 실시예에는, 발명의 취지의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예를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기재에 기초하여 창작되는 각종 변형예 및 응용 예도 생각할 수 있다.
이상의 기술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오디오 신호 전송 시스템의 이용자 전원이, 공유 화면을 통해, 시스템 전체의 가동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각 이용자가 심볼의 이동을 자유롭게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주체적으로 커뮤니케이션이나 시뮬레이션을 체험할 수 있는 오디오 신호 전송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Claims (16)

  1. 각 음원에 할당된 채널을 복수의 네트워크 단말기 장치에서 공용하는 방식의 오디오 신호 전송 시스템으로서,
    음원 중 하나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단말기 장치와,
    가상 세계를 구성하는 소재 정보를 기억하는 소재 정보 기억 장치와,
    가상 세계를 이동하는 심볼과 그 위치 정보를 기억하는 심볼 위치 기억 장치와,
    상기 심볼과 네트워크 단말기 장치의 대응 관계를 기억하는 대응 관계 기억 장치와,
    각 네트워크 단말기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데이터에 따라, 대응하는 심볼의 이동을 제어하는 심볼 이동 제어 장치와,
    각 심볼과 가상 세계의 합성 화상을, 공유 화면으로서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 전송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가상 세계에 설정된 그룹 에리어의 위치 정보를 보유하는 그룹 에리어 보유 장치와,
    네트워크 단말기 장치에 대응하는 심볼이, 그룹 에리어 중 적어도 하나에 위 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심볼 위치 판정 장치와,
    네트워크 단말기 장치에 대응하는 심볼이 그룹 에리어 내에 위치하는 경우, 동일한 그룹 에리어에 위치하는 다른 음원의 출력 음량을 제어하는 음량 제어 장치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 전송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량 제어 장치는, 그룹 에리어에 2개의 음원이 존재하는 경우, 심볼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단말기 장치에 의한 다른 음원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 전송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량 제어 장치는, 그룹 에리어에 3개의 음원이 존재하는 경우, 심볼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단말기 장치에 의한 다른 음원의 중첩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 전송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에리어에 위치하는 심볼의 표시 형식을, 그룹 에리어 밖에 위치하는 경우와는 상이한 표시 형식으로 변경하는 표시 형식 변경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 전송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제어 대상으로 하는 네트워크 단말기 장치에 대응하는 심볼과, 제어 대상으로 하는 네트워크 단말기 장치 이외의 다른 음원 간의 가상 세계 상에서의 거리를 연산하는 거리 연산 장치와,
    연산에 의해 구해진 거리에 따라, 제어 대상으로 하는 네트워크 단말기 장치에서 출력되는 다른 음원의 출력 음량을 제어하는 음량 제어 장치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 전송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제어 대상으로 하는 네트워크 단말기 장치에 대응하는 심볼과, 제어 대상으로 하는 네트워크 단말기 장치 이외의 다른 음원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위치 정보 취득 장치와,
    제어 대상으로 하는 네트워크 단말기 장치에 대응하는 심볼에 대하여, 다른 음원이 좌우 어느 쪽에 위치하는지 판정하는 위치 관계 판정 장치와,
    판정 결과에 따라, 제어 대상으로 하는 네트워크 단말기 장치에서 출력되는 다른 음원에 관한 좌우의 출력 음량을 제어하는 음량 제어 장치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 전송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직접 통화 요구 에리어의 위치 정보를 기억하는 직접 통화 요구 에리어 기억 장치와,
    직접 통화 요구 에리어에 위치하는 심볼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단말기 장치를 특정하는 정보를 취득하는 제1 특정 정보 취득 장치와,
    직접 통화의 상대편에 지정한 네트워크 단말기 장치를 특정하는 정보를 취득하는 제2 특정 정보 취득 장치와,
    직접 통화의 상대편에 지정된 네트워크 단말기 장치에 대응하는 심볼의 표시 형식을, 지정되기 전의 상태와는 상이한 표시 형식으로 변경하는 표시 형식 변경 장치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 전송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보이스 메일 에리어의 위치 정보를 기억하는 보이스 메일 에리어 기억 장치와,
    보이스 메일 에리어에 위치하는 심볼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단말기 장치를 특정하는 정보를 취득하는 제1 특정 정보 취득 장치와,
    보이스 메일의 송신처로 지정된 네트워크 단말기 장치를 특정하는 정보를 취득하는 제2 특정 정보 취득 장치와,
    보이스 메일의 송신처로 지정된 네트워크 단말기 장치에 대응하는 심볼의 표시 형식을, 지정되기 전의 상태와는 상이한 표시 형식으로 변경하는 표시 형식 변경 장치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 전송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위치 확인 요구를 송신한 네트워크 단말기 장치에 대응하는 심볼의 위치 정보를, 상기 심볼 위치 기억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위치 정보 취득 장치와,
    취득 위치의 심볼의 표시 형식을, 위치 확인 요구 전과는 상이한 표시 형식으로 표시하는 표시 형식 변경 장치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 전송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모니터 대상으로 지정된 네트워크 단말기 장치에서의 음원의 출력 상태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음원 정보 수집 장치와,
    취득 정보에 기초하여, 각 음원의 출력 음량을 제어하는 음량 제어 장치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 전송 시스템.
  12. 각 음원으로부터 발생된 오디오 신호를, 복수의 네트워크 단말기 장치에서 수신하는 방식의 오디오 신호 전송 방법으로서,
    가상 세계를 이동하는 심볼과 네트워크 단말기 장치의 대응 관계를, 대응 관계 기억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처리와,
    음원 중 하나로서의 각 네트워크 단말기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데이터에 따라, 대응하는 심볼의 이동을 제어하는 처리와,
    각 심볼과 가상 세계의 합성 화상을, 공유 화면으로서 화상 표시 장치에 표시하는 처리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 전송 방법.
  13. 각 음원으로부터 발생된 오디오 신호를, 복수의 네트워크 단말기 장치에서 수신하는 방식의 오디오 신호 전송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로서,
    가상 세계를 구성하는 소재 정보를 기억하는 소재 정보 기억 장치와,
    가상 세계를 이동하는 심볼과 그 위치 정보를 기억하는 심볼 위치 기억 장치와,
    상기 심볼과 네트워크 단말기 장치의 대응 관계를 기억하는 대응 관계 기억 장치와,
    음원 중 하나로서의 각 네트워크 단말기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데이터에 따라, 대응하는 심볼의 이동을 제어하는 심볼 이동 제어 장치와,
    각 심볼과 가상 세계의 합성 화상을, 공유 화면으로서 출력하는 화상 출력 장치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 전송 시스템의 서버.
  14. 각 음원으로부터 발생된 오디오 신호를, 복수의 네트워크 단말기 장치에서 수신하는 방식의 오디오 신호 전송 시스템을 구성하는 네트워크 단말기 장치로서,
    자장치에 대응하는 심볼과 가상 세계 상에 위치하는 다른 음원의 위치 관계에 따라, 각 음원의 출력 음량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 장치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 전송 시스템의 네트워크 단말기 장치.
  15. 각 음원으로부터 발생된 오디오 신호를, 복수의 네트워크 단말기 장치에서 수신하는 방식의 오디오 신호 전송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로서 기능하는 컴퓨터에,
    가상 세계를 이동하는 심볼과 네트워크 단말기 장치의 대응 관계를, 대응 관계 기억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처리와,
    음원 중 하나로서의 각 네트워크 단말기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데이터에 따라, 대응하는 심볼의 이동을 제어하는 처리와,
    각 심볼과 가상 세계의 합성 화상을, 공유 화면으로서 표시하는 처리
    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6. 각 음원으로부터 발생된 오디오 신호를, 복수의 네트워크 단말기 장치에서 수신하는 방식의 오디오 신호 전송 시스템을 구성하는 네트워크 단말기 장치로서 기능하는 컴퓨터에,
    자장치에 대응하는 심볼과 가상 세계 상에 위치하는 다른 음원의 위치 관계를 취득하는 처리와,
    취득한 위치 관계에 따라, 각 음원의 출력 음량을 제어하는 처리
    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50039605A 2004-05-13 2005-05-12 오디오 신호 전송 시스템, 오디오 신호 전송 방법, 서버,네트워크 단말기 장치, 기록 매체 KR200600477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43002 2004-05-13
JP2004143002A JP2005326987A (ja) 2004-05-13 2004-05-13 オーディオ信号伝送システム、オーディオ信号伝送方法、サーバー、ネットワーク端末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7792A true KR20060047792A (ko) 2006-05-18

Family

ID=34979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9605A KR20060047792A (ko) 2004-05-13 2005-05-12 오디오 신호 전송 시스템, 오디오 신호 전송 방법, 서버,네트워크 단말기 장치,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069747A1 (ko)
EP (1) EP1599018A1 (ko)
JP (1) JP2005326987A (ko)
KR (1) KR20060047792A (ko)
CN (1) CN175617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548B1 (ko) * 2008-12-05 2015-02-05 소우셜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실시간 커널
US10003624B2 (en) 2009-01-15 2018-06-19 Sococo, Inc. Realtime communications and network browsing cli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04729A1 (en) * 2006-06-30 2008-01-03 Nokia Corporation Direct encoding into a directional audio coding format
US8397168B2 (en) 2008-04-05 2013-03-12 Social Communications Company Interfacing with a spatial virtual communication environment
US7769806B2 (en) * 2007-10-24 2010-08-03 Social Communications Company Automated real-time data stream switching in a shared virtual area communication environment
US20110002469A1 (en) * 2008-03-03 2011-01-06 Nokia Corporation Apparatus for Capturing and Rendering a Plurality of Audio Channels
US9853922B2 (en) 2012-02-24 2017-12-26 Sococo, Inc. Virtual area communications
JP2010239245A (ja) * 2009-03-30 2010-10-21 Oki Electric Ind Co Ltd 環境音再生装置、環境音再生システム、環境音再生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065369B2 (ja) 2012-02-03 2017-01-2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038957B2 (en) * 2013-03-19 2018-07-31 Nokia Technologies Oy Audio mixing based upon playing device location
CN108596735A (zh) * 2018-04-28 2018-09-28 北京旷视科技有限公司 信息推送方法、装置及系统
KR102188537B1 (ko) * 2019-08-14 2020-12-08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유니캐스트 및 멀티캐스트를 이용한 그룹 통화 방법 및 시스템
CN110531948B (zh) * 2019-08-30 2021-09-1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第一电子设备和第二电子设备
WO2021247767A1 (en) * 2020-06-02 2021-12-09 Preciate Inc. Dynamic virtual environment
CN113377329B (zh) * 2021-07-01 2024-04-26 安徽文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虚拟音频设备、音频数据处理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59691A (en) * 1993-09-23 1997-08-19 Virtual Universe Corporation Virtual reality network with selective distribution and updating of data to reduce bandwidth requirements
US5896128A (en) * 1995-05-03 1999-04-20 Bell Communications Research, Inc. System and method for associating multimedia objects for use in a video conferencing system
US7012630B2 (en) * 1996-02-08 2006-03-14 Verizon Services Corp. Spatial sound conference system and apparatus
US5889843A (en) * 1996-03-04 1999-03-30 Interval Research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creating a spatial auditory environment in an audio conference system
US6323857B1 (en) * 1996-04-19 2001-11-27 U.S. Philip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enabling users to interact, via mutually coupled terminals, by reference to a virtual space
JPH11272156A (ja) * 1998-03-25 1999-10-08 Sega Enterp Ltd 仮想三次元音像生成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媒体
US6241612B1 (en) * 1998-11-09 2001-06-05 Cirrus Logic, Inc. Voice communication during a multi-player game
US7124164B1 (en) * 2001-04-17 2006-10-17 Chemtob Helen J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roup interaction via communications networks
US20030227476A1 (en) * 2001-01-29 2003-12-11 Lawrence Wilcock Distinguishing real-world sounds from audio user interface sounds
GB0127778D0 (en) * 2001-11-20 2002-01-09 Hewlett Packard Co Audio user interface with dynamic audio labels
US6819344B2 (en) * 2001-03-12 2004-11-16 Microsoft Corporation Visualization of multi-dimensional data having an unbounded dimension
GB2373882B (en) * 2001-03-27 2005-07-27 Proksim Software Inc Comparing the position of shared objects
JP2003033576A (ja) * 2001-05-18 2003-02-04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エンタテインメントシステム、通信システム、通信プログラム、通信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及び通信方法
AUPR989802A0 (en) * 2002-01-09 2002-01-31 Lake Technology Limited Interactive spatialized audiovisual system
US7325042B1 (en) * 2002-06-24 2008-01-29 Microsoft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to manage information pulls
US7113610B1 (en) * 2002-09-10 2006-09-26 Microsoft Corporation Virtual sound source positioning
JP2005158023A (ja) * 2003-10-31 2005-06-16 Kokuyo Co Ltd 仮想フィルムの提供方法、サーバ及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
FR2862799B1 (fr) * 2003-11-26 2006-02-24 Inst Nat Rech Inf Automat Dispositif et methode perfectionnes de spatialisation du s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58689B2 (en) 2007-10-24 2018-12-18 Sococo, Inc. Realtime kernel
KR101490548B1 (ko) * 2008-12-05 2015-02-05 소우셜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실시간 커널
US10003624B2 (en) 2009-01-15 2018-06-19 Sococo, Inc. Realtime communications and network browsing cli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326987A (ja) 2005-11-24
EP1599018A1 (en) 2005-11-23
US20060069747A1 (en) 2006-03-30
CN1756173A (zh) 2006-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47792A (ko) 오디오 신호 전송 시스템, 오디오 신호 전송 방법, 서버,네트워크 단말기 장치, 기록 매체
JP4745375B2 (ja) 対話型立体的オーディオビジュアル・システム
US8406439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ynthetic audio placement
US20010004622A1 (en) Computerized connection system between exercise stations for exchanging communications of related users
US20030056220A1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and controlling multiple audio and video streams
JPH11508717A (ja) 仮想空間において相互接続された端末を介して利用者の交流を実現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US8085920B1 (en) Synthetic audio placement
CN105684405A (zh) 中继装置、声音通信系统、程序以及声音信号的中继方法
JP3688328B2 (ja) 通信局間の信号伝送方法
EP1515570B1 (en) Multiparty call of portable devices with party positioning identification
JP4425172B2 (ja) 通話装置、通話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AU2002304821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cording video data
JP2003284018A (ja) テレビ会議システム、方法、および、テレビ会議サーバ
JP7472091B2 (ja) オンライン通話管理装置及びオンライン通話管理プログラム
KR20170127902A (ko) VoIP 통화 서비스에서 링백톤 및 링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2023155921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端末、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307639B1 (ko) 핸드폰 영상밴드 노래반주 시스템
JPH07184180A (ja) 会議環境制御装置
WO2022070379A1 (ja) 信号処理システム、信号処理装置、及び信号処理方法
WO2022113289A1 (ja) ライブデータ配信方法、ライブデータ配信システム、ライブデータ配信装置、ライブデータ再生装置、およびライブデータ再生方法
JP4000600B2 (ja) 音響発生方法及び装置
Bestugin et al. Organization of Simulated “Ground–Air” Radio Communication and Service Loud-Speaking Communication
WO2005025250A1 (en) Multiparty call of portable devices with party positioning identification
Sadasue et al.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Systems to Enjoy a Wedding Reception for People with Low Vision
JPH09261624A (ja)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