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6429A - 다중 송수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송신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송수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송신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6429A
KR20060046429A KR1020050050203A KR20050050203A KR20060046429A KR 20060046429 A KR20060046429 A KR 20060046429A KR 1020050050203 A KR1020050050203 A KR 1020050050203A KR 20050050203 A KR20050050203 A KR 20050050203A KR 20060046429 A KR20060046429 A KR 20060046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shold
value
transmission mode
check result
error ch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0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2330B1 (ko
Inventor
정홍실
채찬병
김재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046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6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2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2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15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strategy
    • H04L1/0019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strategy in which mode-switching is based on a statistical approach
    • H04L1/002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strategy in which mode-switching is based on a statistical approach in which the algorithm uses adaptiv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89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different transmission schemes, at least one of them being a diversity transmission sche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space diversity
    • H04L1/0618Space-time coding
    • H04L1/0637Properties of the code
    • H04L1/0643Properties of the code block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4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with feedback of measurements to the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2Channel quality parameters, e.g. 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6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송수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송신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신기 장치는, 수신데이터의 에러를 검사하고, 에러검사결과를 출력하는 에러검사기와, 상기 에러검사결과에 따라 송신모드 결정을 위한 채널상태값 한계치(threshold)를 적응적으로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한계치과 측정된 채널상태값을 비교하여 송신모드를 결정하여 송신기로 피드백하는 피드백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채널 환경에 따라 최대의 전송률과 최소의 오류 확률을 가질 수 있는 보다 효율적인 통신 시스템을 구축할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중 송수신 안테나 시스템, AMC, 부호기, 변조기, 다이버시티

Description

다중 송수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송신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X MOD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MIMO}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OFDM 시스템에서 송신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의 구성에서 다중송신모드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OFDM 시스템에서 수신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3의 구성에서 피드백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5a는 제1송신모드 결정기의 한계치 결정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5b는 제1송신모드 결정기의 동작에 따른 한계치 변화를 그래프로 도시한 도면.
도 6a는 제2송신모드 결정기의 한계치 결정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6b는 제2송신모드 결정기의 동작에 따른 한계치 변화를 그래프로 도시한 도면.
도 7a는 제3송신모드 결정기의 한계치 결정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7b는 제3송신모드 결정기의 동작에 따른 한계치 변화를 그래프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SNR 대 전송률 그래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중 송수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높은 데이터 전송률과 고품질의 신뢰도를 보장하기 위한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채널 용량(capacity)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적응 변조 및 부호화(AMC :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방식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상기 AMC는 한 프레임(flame)이 전송되는 동안 전송 파워(transmit power)는 일정하게 유지하고 현재 신호의 품질이나 채널 상황에 따라 변조 방식과 부호율을 변화시켜 전송률을 향상시키는 방식이다. 예를들어, 기지국에 근접한 사용자는 수신된 신호에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작으므로 4개의 비트(bit)가 하나의 신호를 구성하는 16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과 같은 높은 차수(order)의 변조 방식을 사용하고 3/4와 같은 높은 부호율을 사용한다. 그러나, 기지국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사용자는 수신된 신호에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크므로, 기지국에서 멀리 떨어질수록 낮은 차수(order)의 변조 방식과 낮은 부호율을 사용하여 수신기가 오 류 없이 신호를 수신하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AMC 방식에서는 다수의 부호율과 다수의 변조 방식에 대하여 SNR(Signal to Noise Ratio)대 전송률(throughput) 그래프(또는 커브(curve))를 이용하여 수신기에서 측정된 SNR이 어느 영역에 속하는지에 따라 송신 방식을 선택한다. 그러나, 상기 SNR대 전송률 그래프는 특정 페이딩 채널 모델에 관하여 구한 값이므로, 페이딩 환경이 달라지면 특정 페이딩 채널에 대한 SNR대 전송률 그래프가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전송 방식을 선택하는 새로운 방식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 번째 방식은 데이터의 신뢰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이며, 두 번째 방법은 데이터의 전송률을 증가시키는 방법이다. 그러므로 채널 상황이 좋은 경우에는 전송률을 증가시키는 방식을 사용하며, 채널 상황이 좋지 않는 경우에는 데이터의 신뢰도를 증가시키는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높은 신뢰도와 데이터 전송률을 얻을 수 있다. 즉, 다양한 안테나 방법을 채널의 상황에 따라 변동하여 사용하는 것이 데이터 전송률과 데이터의 신뢰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임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기존의 AMC 방법과 다중 송수신 안테나 방식을 결합하는 방법은 향후 통신 시스템에서 중요한 사안이라 할 수 있다. 즉, 같은 목적을 가지고 있는 AMC 방식과 다중 안테나 방식을 같이 고려하여 채널 상황에 맞게 부호율과 변조방식과 안테나 송신 방법을 최적화한다면 만족할만한 데이터 전송률과 신뢰도를 획득할수 있을 것이다.
다수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방법은 한정된 무선 자원(radio resource)을 이용하여 최대 전송률(data rate)과 최소 오류 비율(error rate) 등과 같은 고속의 신뢰도를 갖는 통신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연구되어 왔다. 이러한 다수의 안테나를 이용하는 방식을 시공간 프로세싱(space time processing) 이라고 한다. 이하 상기 시공간 프로세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시공간 프로세싱 방식은 무선 환경에서의 신호 손실과 예측이 어려운 채널 상태 등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1960년대 등장한 빔 형성 알고리즘은 현재 시스템에서도 하향 링크(downlink)와 상향 링크(uplink)에서 안테나 이득(antenna gain)을 높이고, 셀 용량(cell capacity)을 증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한편, 1997년 Tarokh 등에 의해 제안된 시공간 부호(STC : Space Time Coding) 방식은 송신 안테나 개수와 수신 안테나 개수의 곱에 비례하는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방식으로 유명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다수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수신 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방법 이외에, 전송률을 증가시키고자 하는 측면에서의 연구 역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상기 전송률을 증가시키는 대표적인 방법이 공간 다중화(spatial multiplexing) 방식이다. 상기 공간 다중화 방식은 다수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구비하여,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 각각에 서로 다른 정보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Telta 등의 연구 결과 상기 공간 다중화 방식을 적용할 경우, 단일 입력 단일 출력(SISO: Single Input Single Output) 방식에 비하여 송신 안테나들의 개수만큼 용량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이런 용량 증가는 고속 데이터 전송이 필수적 인 시스템에서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상기한 시공간 부호화 방법과 공간 다중화 방식은 각각 전송 데이터의 오류율(error rate)과 전송률(transmit rate)을 최대화시키고자 한다. 이러한 두 개의 목적을 중첩시킨 방법중의 하나가 2 계층 공간 다중화(2 layered SM(Spatial Multiplexing, 이하 '2 layered SM'라 칭한다) 방식이다. 예를 들어, 4개의 송신 안테나를 2개의 송신 안테나로 결합해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상기 2개의 송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STBC 블록 2개를 연결시킨 방법이 존재한다. 이 경우 4개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STBC 방식에 비하여 전송률이 증가하며, 4개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공간 다중화 방법에 비하여 오류율이 낮아지는 장점을 가진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통신 시스템의 송신 안테나들의 개수와 수신 안테나들의 개수에 따라 다양한 안테나 조합(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방식)들이 존재한다. 따라서,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다양한 안테나 조합들중 어떤 안테나 조합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지는 상기 통신 시스템의 용량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서 작용하게 된다.
그러므로, 다수의 송수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기존의 AMC 방식을 적용함과 동시에 페이딩(fading) 채널 환경에 따라 안테나 송신 방식을 결정하는 방식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중 송수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서 채널 상태에 따라 부호율과 변조 방식 그리고 안테나 송신 방식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중 송수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채널 상태에 따라 송신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을 변경하고, 변경된 기준에 따라 부호율과 변조방식 그리고 안테나 송신 방식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르면, 다중 송수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수신기 장치는, 수신데이터의 에러를 검사하고, 에러검사결과를 출력하는 에러검사기와, 상기 에러검사결과에 따라 송신모드 결정을 위한 채널상태값 한계치(threshold)를 적응적으로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한계치과 측정된 채널상태값을 비교하여 송신모드를 결정하여 송신기로 피드백하는 피드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르면, 다중 송수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송신기 장치는, 단말기로부터 피드백되는 채널상태값과 전송데이터의 에러검사결과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에러검사결과에 따라 송신모드 결정을 위한 채널상태값 한계치(threshold)를 적응적으로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한계치과 상기 수신된 채널상태값을 비교하여 송신모드를 결정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견지에 따르면, 송신모드 결정을 위해 채널상태값과 비교되는 한계치(Threshold)를 채널상태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방법은, 왜 곡이 심한 채널 환경에서 구한 한계치(Threshold)를 초기 한계치로 설정하는 과정과, 수신기에 수신된 프레임의 CRC검사결과가 성공(ACK)이면, 한계치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은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한계치를 비선형적으로 감소하는 과정과, 상기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한계치를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과정과, 상기 CRC검사 결과가 실패(NACK)이면, 상기 한계치를 상기 초기 한계치로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견지에 따르면, 송신모드 결정을 위해 채널상태값과 비교되는 한계치(Threshold)를 채널상태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방법은, 평균 채널 환경에서 구한 한계치를 초기 한계치(Threshold)로 설정하는 과정과, 수신기에 수신된 프레임의 CRC검사 결과가 성공(ACK)이면, 한계치를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과정과, 상기 CRC검사 결과가 실패(NACK)이면, 상기 한계치를 상기 초기 한계치로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견지에 따르면, 송신모드 결정을 위해 채널상태값과 비교되는 한계치(Threshold)를 채널상태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방법은, 왜곡이 심한 채널 환경에서 구한 한계치(Threshold)를 초기 한계치로 설정하는 과정과, 수신기에 수신된 프레임의 CRC검사 결과가 성공(ACK)이면, 한계치를 비선형적으로 감소하는 과정과, 상기 CRC검사 결과가 실패(NACK)이면, 상기 한계치를 미리 설정된 값으로 증가하는 과정과, 상기 실패(NACK)가 연속하여 발생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실패(NACK)가 연속하여 발생할 경우, 상기 실패 횟수가 소정수 이상인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소정수 미만이면 상기 한계치를 변경하지 않고, 상기 소정 수 이상이면 상기 한계치를 상기 초기 한계치로 변경하는 과정과, 이후, 상기 CRC 검사 결과가 성공이면 상기 한계치를 선형적으로 감소하고, 상기 CRC검사 결과가 실패이면 상기 한계치를 미리 설정된 값으로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견지에 따르면, 다중 송수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수신기의 피드백 방법은, 수신데이터의 에러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에러 검사 결과에 따라 송신모드 결정을 위한 채널상태값 한계치(Threshold)를 적응적으로 변경하는 과정과, 상기 변경된 한계치와 측정된 채널상태 값을 비교하여 송신모드를 결정하여 송신기로 피드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견지에 따르면, 다중 송수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송신 방법은, 수신기로부터 피드백되는 채널상태값과 전송데이터의 에러검사결과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에러검사결과에 따라 송신모드 결정을 위한 채널상태값 한계치(threshold)를 적응적으로 변경하는 과정과, 상기 변경된 한계치과 상기 수신된 채널상태값을 비교하여 송신모드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은 다중 송수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채널 상태에 따라 송신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을 변경하고, 변경된 기준에 따라 부호율과 변조 방식 그리고 안테나 송신 방식을 제어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은 4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구비한 송신기와 2개의 수신 안테나들을 구비한 수신기로 구성된 통신 시스템 및 4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구비한 송신기와 4개의 수신 안테나들을 구비한 수신기로 구성된 통신 시스템을 예로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방식들 외에 다양한 안테나 송신 방식(또는 MIMO 방식)이 존재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 혹은 시분할 다중접속(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 혹은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 혹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이하 'OFDM'이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 모두 적용 가능하나, 이하 설명에서는 편의상 OFDM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을 예를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OFDM 시스템에서 송신기의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송신기(100)는, CRC생성기(102), 부호기(104), 변조기(106), 다중송신 모드기(108), 제어기(110), 복수의 IFFT기들(112, 114, 116, 118), 복수의 병렬/직렬 변환기들(120, 122, 124, 126), 복수의 무선주파수 처리기들(128, 130, 132, 134) 및 복수의 안테나들(136, 138, 140, 1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어기(110)는 수신기(단말기)로부터의 피드백 정보(송신모드 정보)에 따라 부호율, 변조방식 및 안테나 송신 방식을 결정하여 부호기(104), 변조기(106) 및 다중송신모드기(108)를 제어한다.
CRC 생성기(102)는 입력되는 전송 데이터에 대한 CRC(Cyclic Redundancy Check)를 생성하고, 상기 전송 데이터에 상기 생성된 CRC를 붙여 출력한다. 상기 부호기(104)는 상기 CRC생성기(102)로부터의 데이터를 상기 제어기(110)의 제어에 따라 해당 부호율로 부호화하여 부호어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부호기(104)로 입력되는 정보어의 길이가 k이고, 상기 제어기(110)에서 전달하는 부호율이 R이라고 하면, 상기 부호어의 길이는 n=k/R이다. 예를들어, 상기 부호기(104)는 길쌈부호기(convolutional coder), 터보부호기(Turbo coder), LDPC(Low Density Parity Check) 부호기 등으로 구성될수 있다.
상기 변조기(106)는 상기 부호기(104)로부터의 데이터를 상기 제어기(110)의 제어에 따라 해당 변조 방식으로 변조하여 출력한다. 즉, 상기 변조기(106)는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어기(110)에서 전달하는 사상 방식(또는 변조 차수)에 따른 성상도(constellation)에 따라 신호 사상(mapping)하여 출력한다. 예를들어, 상기 변조기(106)는 1개의 비트(s=1)를 하나의 복소 신호에 사상하는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 2개의 비트(s=2)를 하나의 복소 신호에 사상하는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3개의 비트(s=3)를 하나의 복소 신호에 사상하는 8PSK(8-phase shift keying), 4개의 비트(s=4)를 하나의 복소 신호에 사상하는 16QAM 등을 모두 지원한다.
다중 송신 모드기(108)는 상기 변조기(106)로부터의 데이터를 상기 제어기(110)의 제어에 따라 소정 규칙으로 부호화하여 복수의 안테나 신호들을 생성하고, 복수의 안테나 신호들의 각각을 대응되는 IFFT기로 출력한다. 상기 다중 송신 모드기(108)의 동작은 이후 도 2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복수의 IFFT기들(112, 114, 116, 118)은 각각 상기 다중 송신 모드기(108)로부터의 데이터를 역 고속 푸리에 변환하여 대응되는 병렬/직렬 변환기로 출력한다. 복수의 병렬/직렬 변환기들(120, 122, 124, 126)은 각각 대응되는 IFFT기로부터 입력되는 병렬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복수의 무선주파수 처리기들(128, 130, 132, 134)은 각각 대응되는 병렬/직렬 변화기로부터의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RF(Radio Frequency)처리하여 대응되는 안테나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주파수처리기들(128, 130, 132, 134)은 필터(filter)와 전처리기(front end unit) 등의 구성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안테나들(136, 138, 140, 142)은 각각 대응되는 무선주파수처리기로부터의 신호를 공기중의 전자기파로 복사(radiation)시킨다. 즉, 무선주파수처리기 (128)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제1송신 안테나(136)를 통해서 송신되고, 상기 무선주파수 처리기(130)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제2송신 안테나(138)를 통해서 송신되며, 상기 무선주파수 처리기(132)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제3송신 안테나(140)를 통해서 송신되고, 상기 무선주파수 처리기(134)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제4송신 안테나(142)를 통해서 송신된다.
도 2는 도 1의 구성에서 상기 다중송신모드기(108)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특히, 도 2a는 STBC(Space Time Block Coding) 방식을 사용할때의 다중송신모드기(108)의 구성을 보여주고, 도 2b는 2계층 공간 다중화(2 layered Spatial Multiplexing) 방식을 사용할때의 구성을 보여주며, 도 2c는 공간 다중화(Spatial Multiplexing) 방식을 사용할때의 구성을 보여준다.
먼저 도 2a를 참조하면, 다중송신모드기(108)가 STBC 방식으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STBC부호화기(202)가 필요하다. 상기 도 1의 변조기(106)에서 출력되는 변조 데이터는 4×4 STBC(202)에 입력된다. 상기 4×4 STBC(202)는 상기 변조기(106)로부터 입력되는 4개의 데이터가 4개의 시간구간(time interval)동안 4개의 안테나들로 전송될 수 있도록 부호화하여 출력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OFDM 시스템을 가정하였기 때문에, 하나의 안테나 신호를 구성하는 4개의 심볼들이 4개의 시간구간동안 전송되는 것이 아니라, 소정 4개의 부반송파들에 매핑되어 전송되거나 2개의 시간구간과 2개의 부반송파들을 이용해 전송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b를 참조하면, 다중송신모드기(108)가 2계층 공간 다중화 방식 으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직렬/병렬 변환기(206)와 2개의 2×2 STBC부호화기들(208,210)이 필요하다. 상기 직렬/병렬 변환기(206)는 상기 도 1의 변조기(105)로부터의 직렬 데이터를 병렬 데이터로 변환해서 2×2 STBC 부호화기들(208. 210)로 출력한다. 즉, 변조기(105)의 홀수 번째 출력 신호는 첫 번째 2×2 STBC 부호화기(308)로 출력하고, 짝수 번째 출력 신호는 두 번째 2×2 STBC 부호화기(310)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2×2 STBC 부호화기들(208. 210)은 각각 2개의 입력 데이터가 2개의 시간구간(time interval)동안 2개의 안테나들로 전송될수 있도록 부호화하여 출력한다. 그러나, 발명은 OFDM 시스템을 가정하였기 때문에, 하나의 안테나 신호를 구성하는 2개의 심볼들이 2개의 시간구간동안 전송되는 것이 아니라, 소정 2개의 부반송파들에 매핑되어 전송되거나 2개의 시간구간과 1개의 부반송파를 이용해 전송될수 있다.
다음으로 도 2c를 참조하면, 다중송신모드기(108)가 공간 다중화(SM : Spatial Multiplexing) 방식으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직렬/병렬 변환기(214)가 필요하다. 상기 직렬/병렬 변환기(214)는 상기 도 1의 변조기(105)로부터의 직렬 데이터를 병렬로 변환해서 4개의 안테나들로 출력한다. 즉, 입력되는 4개의 데이터들이 1 개의 시간구간 동안 각각 서로 다른 안테나로 전송 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다중송신모드기(108)는 상술한 3가지 방식들을 모두 지원할수 있도록 구현된다. 상기한 3가지 안테나 송신 방식들은 하나의 예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다중송신모드기(108)에서 지원할수 있는 안테나 송신 방식이 상기한 3가지 방식들로 국한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송신 안테나의 개수가 4개라 가정할 때 각 안테나 송신 방식의 특성을 살펴보면 하기 <표 1>과 같다.
STBC 방식 2계층 공간 다중화 방식 공간 다중화 방식
전송률 1 2 4
다이버시티 이득 4 2 없음
상기 <표 1>에서 알수 있듯이, 상기 STBC 방식은 전송률이 다른 방식들에 비해 떨어지지만 다이버시티 이득이 높음을 알 수 있다. 반면, 상기 공간 다중화 방식은 전송률이 다른 방식들에 비해 크지만 다이버시티 이득이 없음을 알 수 있다. 즉, 채널 상태가 좋을수록 전송율이 좋은 안테나 송신 방식(예 : 공간 다중화 방식)을 사용하고, 채널 상태가 나쁠수록 다이버시티 이득이 좋은 안테나 송신 방식(예 : STBC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이하에서 상기 송신기(100)에 대응하는 수신기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OFDM 시스템에서 수신기의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신기는, 복수의 안테나들(300 내지 302), 복수의 무선주파수 처리부들(304 내지 306), 복수의 직렬/병렬 변환기들(308 내지 310), 복수의 FFT기들(312 내지 314), 시공간 처리기(316), 병렬/직렬변환기(318), 복조기(320), 복호화기(322), CRC검사기(324) 및 피드백부(3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송신기(100)의 복수의 송신 안테나들(136, 138, 140, 142)을 통해 송신된 신호들은 상기 복수의 수신 안테나들(300 내지 302)을 통해 수신되고, 상기 수신된 신호들은 상기 무선주파수 처리부들(304 내지 306)로 입력된다. 상기 무선 주파수 처리부들(304 내지 306)은 각각 대응되는 수신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중간 주파수(IF: Intermediate Frequency) 대역을 거쳐 기저대역(Baseband) 신호로 다운 컨버팅(down converting)하고, 상기 기저대역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해서 해당 직렬/병렬 변환기로 출력한다.
상기 직렬/병렬 변환기들(308 내지 310)은 각각 대응되는 무선주파수 처리부로부터의 직렬 데이터를 병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해당 FFT기로 출력한다. 상기 FFT기들(312 내지 314)은 각각 대응되는 직렬/병렬 변환기로부터의 데이터를 고속 푸리에 변환(FFT : Fast Fourier Transform)하여 시공간처리기(316)로 출력한다.
상기 시공간 처리기(316)는 상기 복수의 FFT기들(312 내지 314)로부터의 신호들을 소정 규칙에 의해 복호화하여 송신기에서 송신한 변조심볼들을 병렬/직렬 변환기(318)로 출력한다. 즉, 상기 시공간 처리기(316)는 상기 송신기(100)의 다중 송신 모드기(108)의 송신 방법에 대응되는 소정 규칙으로 다중 송신 모드기(108)의 입력 신호를 추정해서 출력한다.
상기 병렬/직렬 변환기(318)는 상기 시공간 처리기(316)로부터의 병렬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해서 복조기(320)로 출력한다. 상기 복조기(320)는 상기 병렬/직렬 변환기(318)로부터의 데이터를 복조해서 복호화기(322)로 출력한다. 즉, 상기 복조기(320)는 변조된 신호를 구성하는 비트들을 추정하여 출력한다.
상기 복호화기(322)는 상기 복조기(320)로부터의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정보어(CRC 포함)를 CRC검사기(324)로 출력한다. 즉, 상기 송신기(100)의 부호기(104)에 입력된 정보비트들을 판단하여 출력한다. 이때 상기 복호화기(322)의 동작 방법은 상기 부호기(104)의 동작에 따라 상이하다.
상기 CRC 검사기(324)는 상기 복호화기(322)로부터의 소정 단위의 데이터(프레임 데이터)에 대해 CRC(Cyclic Redundancy Check) 검사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CRC 검사를 함으로써 복호된 데이터가 송신기(100)의 입력 데이터와 일치하는지 검사할 수 있다. 즉, 복호화기(322)의 출력 데이터가 상기 송신기(100)의 입력 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 CRC 오류가 발생하지 않으며, 복호화기(322)의 출력 데이터가 상기 송신기(100)의 입력 데이터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CRC 오류가 발생한다. CRC 검사기(324)의 검사결과(ACK 또는 NACK)는 피드백부(326)로 전달된다. 이때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복호된 데이터는 출력된다.
상기 피드백부(326)는 상기 CRC 검사기(324)의 검사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송신기(100)에 전달할 피드백 정보(송신모드 정보)를 결정한다. 상기 피드백 정보를 결정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상기 송신모드 정보는 AMC레벨 및/또는 안테나 송신 방식을 지정하기 위한 정보이다.
도 4는 도 3의 구성에서 피드백부(326)의 상세 구성을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드백부(326)는 제1 송신모드 결정기(400)와 제2 송신모드 결정기(402)와 제3 송신모드 결정기(404)와 송신모드 선택기(40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송신모드 결정기(400)의 동작은 이후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하고, 상기 제2 송신모드 결정기(402)의 동작은 이후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하며, 제3 송신모드 결정기(404)의 동작은 이후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간략하게 살펴보면, 상기 제1 내지 제3 송신모드 결정기들(400, 402, 404)은 상기 CRC검사기(220)로부터의 CRC검사 결과를 가지고 서로 다른 방식에 의해 한계치(Threshold)를 채널 적응적으로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한계치와 측정된 채널상태값(SNR값)을 비교하여 송신모드를 결정하여 출력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수신기는 SNR대 전송률(throughput) 그래프( 측정 SNR과 송신모드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이용하여 송신모드를 결정한다. 예를들어, 상기 SNR대 전송률 그래프에 근거해서 측정된 SNR 값이 특정 한계치보다 작으면 제1송신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특정 한계치보다 크면 제2송신모드를 결정한다. 여기서, SNR대 전송률 그래프(또는 한계치)는 특정 채널 모델에서 국한된 것으로, 페이딩 환경이 달라지면 상기 그래프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신데이터의 CRC 검사 결과에 따라 한계치를 변경하고, 변경된 한계치에 근거해서 송신모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현재의 채널 상태에 따라 SNR대 전송률 그래프(또는 한계치)가 적응적으로 변경되기 때문에 보다 신뢰성이 있는 송신모드를 결정할수 있다. 즉, 상기 송신모드 결정기들(400,402,404)은 해당 SNR대 전송률 커브에 대한 메모리 테이블 포함하며, 상기 커브를 다수의 영역들로 분할하기 위한 한계치들을 상기 CRC검사 결과에 따라 조정하며, 이후 측정된 SNR값이 어느 영역에 속하는지 판단하여 송신모드를 결정한다.
상기 송신 모드 선택기(406)는 상기 제1 내지 제3 송신모드 결정기(224 내지 226)로부터의 출력들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송신모드 결정기로부터의 송신모드 정보를 송신기로 피드백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송신모드 정보는 부호방식, 변조방식 및 안테나 송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한다. 실제 구현시, 상기 3개의 송신모드 결정기들(400, 402, 404)이 모두 수신기에 구현될 수도 있고, 상기 3개의 송신모드 결정기들(400, 402, 404)중 적어도 하나가 구현될 수 있다. 수신기에 송신모드 결정기가 복수개 구현될 경우, 상기 수신기는 주어진 상황에 따라 특정 하나의 송신모드 결정기를 선택하여 송신모드를 결정한다.
그러면, 이하에서 상기 3개의 송신모드 결정기들(400, 402, 404)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5a는 상기 제1 송신모드 결정기(400)에서 수행되는 한계치 결정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제1송신모드 결정기(400)는 500단계에서 통신을 시작하기 위하여 인덱스(i; index)를 '1'로 설정한다. 처음 프레임(또는 피드백 정보)을 전송할 경우, 왜곡이 심한 채널(예 : AWGN(Additive White Gaussian Noise) 채널) 환경에서 구한 초기 한계치에 근거해서 송신 모드를 결정하여 전송한다. 그러나 이후 프레임을 전송할때는 송신모드를 결정하기 위해서 아래와 같은 방법을 사용해서 한계치를 결정한다.
우선, 상기 제1송신모드 결정기(400)는 504단계에서 상기 도 3의 CRC검사기(324)의 검사 결과(ACK/NACK)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도 3의 CRC 검사기(324)의 검사 결과가 ACK인 경우, 상기 제1송신모드 결정기(400)는 기존의 한계치(
Figure 112005030959904-PAT00001
)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보다 작은지를 검사한다. 만일, 상기 기존의 한계치(
Figure 112005030959904-PAT00002
)가 상기 기준치 이상인 경우(
Figure 112005030959904-PAT00003
), 상기 제1송신모드 결정기(400)는 506단계에서 새로운 한계치(
Figure 112005030959904-PAT00004
)를 비선형(non-linear)적으로 산출한후 514단계로 진행한다. 즉, 기존의 한계치에서 미리 정해진 값(
Figure 112005030959904-PAT00005
)과 인덱스를 곱한 값을 감하여 새로운 한계치를 산출한다. 상기 새로운 한계치(
Figure 112005030959904-PAT00006
)는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정의된다.
Figure 112005030959904-PAT00007
만일, 상기 기존의 한계치가 상기 기준치 미만인 경우(
Figure 112005030959904-PAT00008
), 상기 제1송신모드 결정기(400)는 508단계에서 기존의 한계치에서 미리 정해진 값(
Figure 112005030959904-PAT00009
)을 감하여 새로운 한계치를 산출한후 상기 51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새로운 한계치(
Figure 112005030959904-PAT00010
)는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정의된다.
Figure 112005030959904-PAT00011
한편, 상기 502단계에서 상기 CRC 검사 결과 NACK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송신모드 결정기(400)는 510단계로 진행하여 새로운 한계치(
Figure 112005030959904-PAT00012
)를 처음 프레임을 전송했을 때 사용한 초기 한계치(
Figure 112005030959904-PAT00013
)로 결정한다. 이와 같이 한계치를 초기화한후, 상기 제1송신모드 결정기(400)는 512단계로 진행하여 시간 인덱스
Figure 112005030959904-PAT00014
를 '0'으로 설정한후 상기 51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NACK이 발생했을때의 새로운 한계치는 하기 <수학식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5030959904-PAT00015
한편, 상기 514단계로 진행한 상기 제1송신모드 결정기(400)는 상기 시간 인덱스
Figure 112005030959904-PAT00016
를 '1'만큼 증가한후 상기 502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한다.
도 5b는 제1송신모드 결정기(400)의 동작에 따른 한계치 변화를 그래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왜곡이 심한 채널 환경에서 구한 한계치(초기 한계치)를 이용하여 통신을 시작한다. 이후, 수신 프레임의 CRC 검사 결과가 ACK이면, 현재 설정되어 있는 한계치를 미리 설정된 값(
Figure 112005030959904-PAT00017
)과 시간 인덱스
Figure 112005030959904-PAT00018
를 곱한 값만큼 감소시킨다. 계속해서 ACK이 발생하여 한계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보다 작아지면, 이후 한계치는 상기 미리 설정된 값(
Figure 112005030959904-PAT00019
)만큼 감소시킨다. 이 과정에서, NACK이 발생하면, 한계치를 다시 초기 한계치로 변경하고, 상기 초기 한계치를 앞서 설명한 방 법으로 다시 감소시킨다.
도 6a는 상기 제2 송신모드 결정기(402)의 한계치 결정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 1 송신 모드 결정기(400)와 다른 점은 일반적인 평균 채널을 가정하였기 때문에 비선형 변화 영역을 생략하고 한계치를 곧바로 선형적으로 감소시킨다는 것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제2송신모드 결정기(402)는 600단계에서 통신을 시작하기 위하여 인덱스(i; index)를 '1'로 설정한다. 처음 역방향 프레임(또는 피드백 정보)을 전송할 경우, 일반적인 평균 채널에서 구한 초기 한계치에 근거해서 송신 모드를 결정하여 전송한다. 그러나 이후 프레임을 전송할때는 송신모드를 결정하기 위해서 아래와 같은 방법을 사용해서 한계치를 결정한다.
그 후, 상기 제2송신모드 결정기(402)는 602단계에서 상기 도 3의 CRC검사기(324)의 검사 결과(ACK/NACK)를 검사한다. 만일, 상기 CRC 검사기(324)의 검사 결과가 ACK인 경우, 상기 제2송신모드 결정기(402)는 604단계로 진행하여 기존의 한계치(
Figure 112005030959904-PAT00020
)에서 미리 정해진 값(
Figure 112005030959904-PAT00021
)을 감하여 새로운 한계치(
Figure 112005030959904-PAT00022
)를 산출한후 61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새로운 한계치(
Figure 112005030959904-PAT00023
)는 하기 <수학식 4>와 같이 정의된다. 즉, 상기 제1송신 모드 결정기(400)와 달리 곧바로 한계치를 선형적으로 감소시킨다.
Figure 112005030959904-PAT00024
만약, CRC 검사 결과 NACK이 발생하였다면, 상기 제2송신모드 결정기(402)는 606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기존의 한계치(
Figure 112005030959904-PAT00025
)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보다 작은지를 검사한다. 만일, 상기 기존의 한계치가 상기 기준치보다 작으면, 상기 제2송신모드 결정기(402)는 608단계로 진행하여 새로운 한계치(
Figure 112005030959904-PAT00026
)를 처음 프레임을 전송했을 때 사용한 초기 한계치(
Figure 112005030959904-PAT00027
)로 설정한후 상기 612단계로 진행한다. 이것을 수식으로 나타내면 하기 <수학식 5>와 같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 2송신모드 결정기(402)의 초기 한계치는 일반적인 평균 채널 환경에서 구한 값으로, 제 1 송신 모드 결정기(400)의 초기 한계치와 다르다.
Figure 112005030959904-PAT00028
만일, 상기 기존의 한계치가 상기 기준치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제2송신모드 결정기(402)는 610단계로 진행하여 기존의 한계치에서 미리 정해진 값(Δ)을 가산하여 새로운 한계치를 산출한후 상기 612단계로 진행한다. 이것을 수식으로 나타내면 하기 <수학식 6>과 같다.
Figure 112005030959904-PAT00029
도 6b는 제2송신모드 결정기(402)의 동작에 따른 한계치 변화를 그래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평균 채널 환경에서 구한 한계치(초기 한계치)를 이용하여 통신을 시작한다. 즉, 상기 제1송신모드 결정기(400)에서 정의한 초기 한계치보다 더 낮은 한계치를 초기 한계치를 가지고 통신을 시작한다. 수신 프레임의 CRC검사 결과 ACK이면, 현재 설정되어 있는 한계치를 미리 설정된 값(
Figure 112005030959904-PAT00030
)만큼 감소시킨다. 반면, 수신 프레임의 CRC검사 결과 NACK이면, 현재 설정되어 있는 한계치(기존의 한계치)를 다시 초기 한계치로 변경하고, 상기 초기 한계치를 앞서 설명한 방법으로 다시 선형적으로 감소시킨다. 이 방식은 상기 제1송신모드 결정기(400)에서와 달리 평균 채널 환경을 가정하였기 때문에 최초 CRC검사결과에서 NACK이 발생할수 있다. 그래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존의 한계치가 상기 초기 한계치보다 같거나 큰 상태에서 NACK이 발생하면, 기존 한계치에 미리 설정한 값을 가산하여 새로운 한계치를 산출한다.
도 7a는 상기 제3 송신모드 결정기(404)의 한계치 결정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 3 송신 모드 결정기(404)는 상기 제 1 송신 모드 결정기(400)와 제 2 송신 모드 결정기(402)의 조합으로 생각할 수 있다. 즉, 왜곡이 심한 채널 환경에서 구한 한계치를 초기 한계치로 사용하고 NACK이 발생하면 초기 한계치로 복귀하지 않고 미리 정해진 값으로 한계치를 변환하고 다시 NACK이 발생할 경우 변환한 한계치 값을 유지한다. 그러나 m번 연속해서 NACK이 발생할 경우 초기 한계치 값으 로 변환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송신 모드 결정기(402)와 같이 동작한다.
도 7a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제3송신모드 결정기(404)는 700단계에서 통신을 시작하기 위하여 인덱스(i; index)를 '1'로 설정하고, 동작모드를 제1송신모드 결정기의 동작(제1모드라 칭함)으로 초기화한다.
이후, 상기 제3송신모드 결정기(404)는 702단계에서 현재 설정되어 있는 동작모드를 검사한다. 만일, 현재 설정되어 있는 동작모드가 제1모드인 경우, 상기 제3송신모드 결정기(404)는 70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도 3의 CRC검사기(324)의 검사 결과(ACK/NACK)를 검사한다. 만일 상기 CRC검사기(324)의 검사 결과가 ACK이면, 상기 제3송신모드 결정기(404)는 706단계로 진행하여 기존의 한계치(
Figure 112005030959904-PAT00031
)를 비선형적으로 감소한후 722단계로 진행한다. 즉, 기존의 한계치에서 미리 정해진 값(
Figure 112005030959904-PAT00032
)과 시간 인덱스
Figure 112005030959904-PAT00033
를 곱한 값을 감하여 새로운 한계치(
Figure 112005030959904-PAT00034
)를 산출한다. 이것을 수식으로 나타내면 하기 <수학식 7>과 같다.
Figure 112005030959904-PAT00035
만일, 상기 CRC검사기(324)의 검사 결과가 NACK이었다면, 상기 제3송신모드 결정기(404)는 708단계로 진행하여 연속된 NACK인지를 검사한다. 즉, 바로 이전에도 NACK이 발생했었는지를 확인한다. 만일, 연속된 NACK이 아니면, 상기 제3송신모드 결정기(404)는 710단계로 진행하여 새로운 한계치를 미리 정해진 값으로 결정한후 상기 722단계로 진행한다. 예를들어, 상기 미리 정해진 값은 상기 NACK이 발생 한 한계치 바로 이전 한계치가 될 수 있다. 만일, 연속된 NACK이라면, 상기 제3송신모드 결정기(404)는 712단계로 진행하여 NACK이 연속해서 m회 이상 발생하였는지 검사한다. 만약, NACK이 연속해서 발생한 횟수가 m회 미만이면, 상기 제3송신모드 결정기(404)는 714단계로 진행하여 새로운 한계치(
Figure 112005030959904-PAT00036
)를 기존의 한계치(
Figure 112005030959904-PAT00037
)와 같은 값으로 설정한후 716단계로 진행한다. 즉, NACK이 소정 횟수 미만으로 발생한 경우, 이전의 한계치를 사용하도록 하여 바로 한계치를 변화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것을 수식으로 나타내면 하기 <수학식 8>과 같다.
Figure 112005030959904-PAT00038
이후, 상기 제3송신모드 결정기(404)는 상기 716단계에서 상기 시간 인덱스 i를 초기화한후 상기 722단계로 진행한다.
한편, 상기 712단계에서 NACK이 m회 이상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3송신모드 결정기(404)는 718단계로 진행하여 새로운 한계치를 상기 초기 한계치로 설정한다. 이 경우 연속해서 NACK이 발생하였으므로 채널 상황이 나쁜 것으로 판정하여 새로운 한계치를 가장 나쁜 채널 상황에서 구한 초기 한계치로 설정한다. 다시말해, 이러한 연속된 NACK으로 인하여 다시 초기치로 돌아갔을 경우, 초기 한계치가 현재 시스템에 타당한 것으로 판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초기 한계치를 설정한후, 상기 제3송신모드 결정기(404)는 72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동작모드를 제2 송신 모드 결정기의 동작(제2모드라 칭함)으로 설정한후 상기 722단계로 진행한다. 한편, 상기 결정기(404)는 상기 722단계에서 상기 시간 인덱스 i를 '1'만큼 증가한후 상기 702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한다.
한편, 상기 702단계에서 현재 동작모드가 제2모드라 판단되면, 상기 제3송신모드 결정기(404)는 72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도 3의 CRC검사기(324)의 검사 결과(ACK/NACK)를 검사한다. 만일 상기 CRC검사기(324)의 검사결과가 ACK이면, 상기 결정기(404)는 726단계에서 기존의 한계치를 선형적으로 감소한후 상기 722단계로 진행한다. 만일, 상기 CRC검사기(324)의 검사 결과가 NACK이면, 상기 제3송신모드 결정기(404)는 728단계에서 새로운 한계치를 미리 결정된 값으로 설정한후 상기 722단계로 진행한다.
도 7b는 제3송신모드 결정기(404)의 동작에 따른 한계치 변화를 그래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왜곡이 심한 페이딩 채널 환경에서 구한 한계치(초기 한계치)를 이용하여 통신을 시작한다. 이후, 수신 프레임의 CRC 검사 결과가 ACK이면, 한계치를 제1송신모드 결정기(400)의 동작에 따라 비선형적으로 감소한다. 한편, CRC검사 결과 NACK이 발생하면, 한계치를 미리 설정된 값으로 변경한다. 이후, ACK이 발생하면 한계치를 비선형적으로 감소하고, NACK이 연속해서 소정 횟수(m) 연속해서 발생하면, 한계치를 상기 초기 한계치로 변경한후 제2송신모드 결정기(402)의 동작으로 한계치를 변경한다. 즉, CRC 검사 결과 ACK이 발생하면, 한계치 를 선형적으로 감소하고, NACK이 발생하면 한계치를 미리 설정된 값으로 변환한다.
상술한 실시 예를 근거한 본 발명의 전반적인 동작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송신기는 전송데이터에 대한 CRC를 생성한다. 이후, CRC가 첨부된 전송데이터를 부호화 및 변조하고 다중송신모드기(108)에서 지원하는 다수의 안테나 송신 방식들중 지정된 하나를 이용해 전송한다. 이때 송신기는 수신기로부터의 피드백 정보(송신모드 정보)에 따른 부호화, 변조 및 안테나 송신 방식을 이용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만일 초기 전송이라면, 미리 설정된 초기 상태에 따른 부호화, 변조 및 안테나 송신 방식을 이용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한편, 수신기는 수신된 신호를 복원한 후 CRC검사를 한다. CRC 검사 결과 ACK이 발생하였을 경우, 한계치를 감소시킴으로써 보다 좋은 페이딩 상황에 맞는 송신 모드를 결정하도록 한다. 만약 CRC 검사 결과 NACK이 발생하였을 경우, 한계치의 값을 증가시킴으로써 보다 나쁜 페이딩 상황에 맞는 송신 모드를 결정하도록 한다. 이때 한계치는 앞서 설명한 3가지 방법들을 이용해 변경할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한계치를 조정한다는 의미는 송신모드 결정을 위한 SNR대 전송률 그래프를 현재 채널 상태에 적응시키는 과정이라 할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수신기(단말기)에서 송신모드(부호율, 변조방식 및 안테나 송신 방식)를 결정하여 송신기(기지국)로 피드백하는 경우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수신기(단말기)는 채널정보(CQI : Channel Quality Indicator)와 프레임의 에러검사결과(ACK, NACK)를 피드백하고, 송신기(기지국)에서 상기 피드백된 정보(채널 정보 및 에러검사결과)를 이용해 송신모드를 결정할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신모드 결정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 구성은 상술한 도 1과 같고, 수신기 구성은 상술한 도 3과 같다. 단지 차이점이 있다면, 특정 구성의 동작이 상이하다는 것이다. 이하 동작이 변경되는 구성 위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신기(도 3)를 살펴보면, 피드백부(326)를 제외한 모든 구성들이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피드백부(326)는 CRC검사기(324)로부터의 에러검사결과(ACK, NACK)와 통상의 채널정보(CQI : Channel Quality Indicator)를 송신기(100)로 피드백한다. 그러면, 상기 송신기(100)는 상기 피드백된 프레임 에러검사결과와 상기 채널정보를 이용해 송신모드를 결정한다.
다음으로, 송신기(도 1)를 살펴보면, 제어부(110)를 제외한 모든 구성들이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수신기로부터 피드백된 정보(CQI, 에러검사결과)를 이용해 SNR대 전송률 그래프를 현재 채널상태에 맞게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그래프를 이용해 송신모드(부호화, 변조 및 안테나 송신 방식)를 결정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00)는 앞서 설명된 도 4의 구성을 포함하며, 도 5a, 도 6a 및 도 7a의 절차들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여 송신모드를 결정한다. 송신모드 결정 절차는 앞에서 자세히 설명하였으므 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근거한 본 발명의 전반적인 동작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신기는 송신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대해 CRC검사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CRC검사결과와 채널정보를 송신기로 피드백한다.
상기 송신기는 전송데이터에 대한 CRC를 생성한다. 이후, CRC가 첨부된 전송데이터를 부호화 및 변조하고 복수의 안테나 송신방식들중 지정된 하나의 방식으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송신기는 상기 수신기로부터의 피드백 정보(CRC검사결과 및 채널정보)를 이용해 부호화, 변조 및 안테나 송신방식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방식에 따라 전송데이터를 전송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피드백된 CRC검사결과가 ACK인 경우, 송신모드 결정 그래프(예 : SNR대 전송률 그래프)의 한계치를 감소시킴으로써 보다 좋은 페이딩 상황에 맞는 송신모드를 결정하도록 한다. 만약, 피드백된 CRC검사결과가 NACK이면, 송신모드 결정 그래프의 한계치를 증가시켜 보다 나쁜 페이딩 상황에 맞는 송신모드를 결정하도록 한다. 이때 한계치는 앞서 설명한 3가지 방법들을 이용해 변경할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모드 결정을 위한 SNR 대 전송률 그래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송신모드를 예를들어 4가지로 분류한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송신모드는 SNR 값이 제1한계치(TH1)보다 작은 경우 로, 송신기는 부호율 1/2, QPSK, 및 STBC 방식을 이용해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제2송신모드는 SNR 값이 제1한계치보다 크고 제2한계치보다 작은 경우로, 송신기는 부호율 4/3, 16QAM 2계층 공간 다중화 방식을 이용해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한편, 제3송신모드는 SNR 값이 제2한계치보다 크고 제3한계치보다 작은 경우로, 송신기는 부호율 6/7, 16QAM, 2계층 공간다중화 방식을 이용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제4송신모드는 SNR값이 제3한계치보다 큰 경우로, 송신기는 부호율 3/4, 64QAM, SM 방식을 이용해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부호율, 변조방식 및 안테나 송신 방식을 함께 제어할수 있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부호율, 변조방식 및 안테나 송신 방식을 모두 고려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어, 동일한 부호율을 사용할 경우, 변조방식 및 안테나 송신 방식만 변화시킬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한계치(TH1, TH2, TH3)를 CRC 검사결과에 따라 변경함으로써 현재 채널 상태에 맞는 송신모드를 결정하도록 해준다. 예를들어, CRC검사 결과 NACK이 발생하면, 상기 한계치(TH1, TH2, TH3)를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보다 나쁜 페이딩 상황에 맞는 송신모드를 결정할수 있도록 한다. 반대로, CRC 검사 결과 ACK가 발생하면, 상기 한계치(TH1, TH2, TH3)를 왼쪽으로 이동하여 보다 좋은 페이딩 상황에 맞는 송신 모드를 결정할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 다. 예를들어, 상술한 실시 예는 프레임의 에러를 CRC(또는 frame error check : FEC)를 이용해서 검사하지만 패리티 체크와 같은 여타 다른 방법으로 프레임의 에러를 검사할수 있다. 또한, SNR를 이용해 송신모드를 결정하지만, 다른 채널상태정보(CQI : Channel Quality Indicator)를 이용해 송신모드를 결정할수도 있다. 가령, 상기 다른 채널상태정보는 Ec/Io, C/I 등이 될 수 있다. 즉, 송신모드 결정 그래프로 SNR대 전송률 그래프를 예를들어 설명하였지만, 여타 다른 그래프를 이용해 송신모드를 결정할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부호율과 다양한 변조 방식을 사용하여 전송률을 극대화시키며, 최소의 오류 확률을 가지는 AMC 방법을 다중 안테나 기법으로 확장하여 채널 환경에 따라 최대의 전송률과 최소의 오류 확률을 가질 수 있는 보다 효율적인 통신 시스템을 구축할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채널 환경에 따라 최적의 송신 방법을 결정함으로써 보다 신뢰도 높은 통신 시스템을 구축할수 있다. 아울러, 송신 모드 결정기를 보다 효율적이며 실제 페이딩 환경에 적합하게 설계함으로써 효율적인 통신 시스템을 구현할수 있다.

Claims (60)

  1. 다중 송수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수신기 장치에 있어서,
    수신데이터의 에러를 검사하고, 에러검사결과를 출력하는 에러검사기와,
    상기 에러검사결과에 따라 송신모드 결정을 위한 채널상태값 한계치(threshold)를 적응적으로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한계치과 측정된 채널상태값을 비교하여 송신모드를 결정하여 송신기로 피드백하는 피드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검사결과는 CRC(Cyclic Redundancy Check)검사결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상태값은 신호대 잡음비(SNR : Signal to Noise Ratio)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모드는 상기 송신기의 부호방식, 변조방식 및 안테나 송신방식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부는, 왜곡이 심한 채널 환경에서 구한 한계치를 초기 한계치로 사용하며, 상기 에러검사결과가 성공(ACK)이고 한계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보다 작으면 상기 한계치를 비선형적으로 감소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치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한계치를 선형적으로 감소하며, 상기 에러검사결과가 실패(NACK)이면 상기 한계치를 상기 초기 한계치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부는, 평균 채널 환경에서 구한 한계치를 초기 한계치로 사용하며, 상기 에러검사결과가 성공(ACK)이면 한계치를 선형적으로 감소하고, 상기 에러검사결과가 실패(NACK)이면 상기 한계치를 초기 한계치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계치가 상기 초기 한계치보다 크거나 같은 상태에서 상기 에러검사결과가 실패(NACK)이면, 상기 한계치를 소정값만큼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부는, 왜곡이 심한 채널 환경에서 구한 한계치를 초기 한계치로 사용하며, 상기 에러검사결과가 성공(ACK)이면 한계치를 비선형적으로 감소하고, 실패(NACK)이면 상기 한계치를 소정값으로 변경하며, 상기 실패(NACK)가 연속적으로 발생하면 상기 한계치를 변경하지 않고, 상기 실패(NACK)가 소정 수 이상 연속하여 발생하면 상기 한계치를 상기 초기 한계치로 변경하며, 이후 상기 에러검사결과가 성공(ACK)이면 상기 한계치를 선형적으로 감소하고 실패이면 상기 한계치를 미리 설정된 값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수신 변조심볼들을 복조하여 부호심볼들을 발생하는 복조기와,
    상기 복조기로부터의 부호심볼들을 복호화하여 상기 수신데이터를 발생하는 복호화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부는, SNR 대 전송률(throughput) 커브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커브를 다수의 영역들로 분할하기 위한 한계치들을 상기 에러검사결과에 따라 적응적으로 조정하고, 측정된 SNR값이 속한 영역에 대응하는 송신모드를 상기 송신기로 피드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다중 송수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송신기 장치에 있어서,
    단말기로부터 피드백되는 채널상태값과 전송데이터의 에러검사결과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에러검사결과에 따라 송신모드 결정을 위한 채널상태값 한계치(threshold)를 적응적으로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한계치과 상기 수신된 채널상태값을 비교하여 송신모드를 결정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검사결과는 CRC(Cyclic Redundancy Check) 검사 결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상태값은 신호대 잡음비(SNR : Signal to Noise Ratio)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모드는 부호방식, 변조방식 및 안테나 송신방식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왜곡이 심한 채널 환경에서 구한 한계치를 초기 한계치로 사용하며, 상기 에러검사결과가 성공(ACK)이고 한계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보다 작으면 상기 한계치를 비선형적으로 감소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치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한계치를 선형적으로 감소하며, 상기 에러검사결과가 실패(NACK)이면 상기 한계치를 초기 한계치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평균 채널 환경에서 구한 한계치를 초기 한계치로 사용하며, 상기 에러검사결과가 성공(ACK)이면 한계치를 선형적으로 감소하고, 상기 에러검사결과가 실패(NACK)이면 상기 한계치를 상기 초기 한계치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한계치가 상기 초기 한계치보다 크거나 같은 상태에서 상기 에러검사결과가 실패(NACK)이면, 상기 한계치를 소정값만큼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왜곡이 심한 채널 환경에서 구한 한계치를 초기 한계치로 사용하며, 상기 에러검사결과가 성공(ACK)이면 한계치를 비선형적으로 감소하고, 실패(NACK)이면 상기 한계치를 소정값으로 변경하며, 상기 실패(NACK)가 연속적으로 발생하면 상기 한계치를 변경하지 않고, 상기 실패(NACK)가 소정 수 이상 연속하여 발생하면 상기 한계치를 상기 초기 한계치로 변경하며, 이후 상기 에러검사결과가 성공(ACK)이면 상기 한계치를 선형적으로 감소하고 실패이면 상기 한계치를 미리 설정된 값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송신데이터를 해당 부호율로 부호화하여 출력하는 부호기와,
    상기 부호기로부터의 데이터를 해당 변조방식으로 변조하여 출력하는 변조기와,
    상기 변조기로부터의 데이터를 해당 안테나 송신 방식으로 부호화하여 복수의 안테나 신호들을 생성하는 다중송신모드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송신모드에 따라 상기 부호율, 상기 변조방식 및 상기 안테나 송신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안테나 송신 방식은, 안테나 송신 방식은, 전송률이 좋은 공간 다중화(SM : Spatial Multiplexing) 방식, 다이버시티 이득이 좋은 시공간 블록 부호(STBC : Space Time Block Coding) 방식 및 상기 두 가지 방식을 혼합한 하이브리드 방식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SNR대 전송률 커브(curve)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커브를 다수의 영역들로 분할하기 위한 한계치들을 상기 에러검사결과에 따라 적응적으로 조정하고, 상기 단말기에서 측정된 SNR값이 속하는 영역을 판단하여 상기 송신모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장치.
  22.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수신기는,
    수신데이터의 에러를 검사하고, 에러검사결과를 출력하는 에러검사기와,
    상기 에러검사결과에 따라 송신모드 결정을 위한 채널상태값 한계치를 적응적으로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한계치와 측정된 채널상태 값을 비교하여 송신모드를 결정하여 송신기로 피드백하는 피드백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기는,
    상기 피드백되는 송신모드에 따라 부호방식, 변조방식 및 안테나 송신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검사결과는 CRC(Cyclic Redundancy Check) 검사 결과인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상태값은 신호대 잡음비(SNR : Signal to Noise Ratio)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송신모드에 따라 전송률이 좋은 공간 다중화(SM : Spatial Multiplexing) 방식, 다이버시티 이득이 좋은 시공간 블록 부호(STBC : Space Time Block Coding) 방식 및 상기 두 가지 방식을 혼합한 하이브리드 방식 중 하나를 안테나 송신 방식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수신기는,
    수신데이터의 에러를 검사하고, 에러검사결과를 출력하는 에러검사기와,
    상기 에러검사결과와 측정된 채널상태 값을 송신기로 피드백하는 피드백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기는,
    상기 피드백된 에러검사결과에 따라 송신모드 결정을 위한 채널상태값 한계치(threshold)를 적응적으로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한계치와 상기 피드백된 채널측정값을 비교하여 송신모드를 결정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검사결과는 CRC(Cyclic Redundancy Check) 검사 결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상태값은 신호대 잡음비(SNR : Signal to Noise Ratio)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송신데이터를 해당 부호율로 부호화하여 출력하는 부호기와,
    상기 부호기로부터의 데이터를 해당 변조방식으로 변조하여 출력하는 변조기 와,
    상기 변조기로부터의 데이터를 해당 안테나 송신 방식으로 부호화하여 복수의 안테나 신호들을 생성하는 다중송신모드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송신모드에 따라 상기 부호율, 상기 변조방식 및 상기 안테나 송신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안테나 전송방식은, 전송률이 좋은 공간 다중화(SM : Spatial Multiplexing) 방식, 다이버시티 이득이 좋은 시공간 블록 부호(STBC : Space Time Block Coding) 방식 및 상기 두 가지 방식을 혼합한 하이브리드 방식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1. 송신모드 결정을 위해 채널상태값과 비교되는 한계치(Threshold)를 채널상태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왜곡이 심한 채널 환경에서 구한 한계치(Threshold)를 초기 한계치로 설정하는 과정과,
    수신기에 수신된 프레임의 CRC검사결과가 성공(ACK)이면, 한계치와 미리 설정된 값을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한계치를 비선형적으로 감소하는 과정과,
    상기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한계치를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과정과,
    상기 CRC검사 결과가 실패(NACK)이면, 상기 한계치를 상기 초기 한계치로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모드는 송신기의 부호방식, 변조방식 및 안테나 송신방식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상태 값은 신호대 잡음비(SNR : Signal to Noise Ratio)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4. 송신모드 결정을 위해 채널상태값과 비교되는 한계치(Threshold)를 채널상태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평균 채널 환경에서 구한 한계치를 초기 한계치(Threshold)로 설정하는 과정과,
    수신기에 수신된 프레임의 CRC검사 결과가 성공(ACK)이면, 한계치를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과정과,
    상기 CRC검사 결과가 실패(NACK)이면, 상기 한계치를 상기 초기 한계치로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한계치가 상기 초기 한계치보다 크거나 같은 상태에서 상기 실패(NACK)가 발생하면, 상기 한계치를 소정값만큼 증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모드는 송신기의 부호방식, 변조방식 및 안테나 송신방식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7.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상태 값은 신호대 잡음비(SNR : Signal to Noise Ratio)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8. 송신모드 결정을 위해 채널상태값과 비교되는 한계치(Threshold)를 채널상태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왜곡이 심한 채널 환경에서 구한 한계치(Threshold)를 초기 한계치로 설정하는 과정과,
    수신기에 수신된 프레임의 CRC검사 결과가 성공(ACK)이면, 한계치를 비선형적으로 감소하는 과정과,
    상기 CRC검사 결과가 실패(NACK)이면, 이전 CRC검사결과가 성공(ACK)인지 실패(NACK)인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이전 CRC검사결과가 성공(ACK)이면, 상기 한계치를 미리 설정된 값으로 증가하고, 상기 이전 CRC검사 결과가 실패(NACK)이면 연속적인 실패 개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실패(NACK) 개수가 소정값 미만이면, 상기 한계치를 변경하지 않고, 상기 소정 수 이상이면 상기 한계치를 상기 초기 한계치로 변경하는 과정과,
    이후, 상기 CRC 검사 결과가 성공이면 상기 한계치를 선형적으로 감소하고, 상기 CRC검사 결과가 실패이면 상기 한계치를 미리 설정된 값으로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모드는 송신기의 부호방식, 변조방식 및 안테나 송신방식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상태 값은 신호대 잡음비(SNR : Signal to Noise Ratio)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1. 제38항에 있어서,
    수신 변조심볼들을 복조하여 부호심볼들을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부호심볼들을 복호화하여 상기 수신데이터를 발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2. 다중 송수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수신기의 피드백 방법에 있어서,
    수신데이터의 에러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에러 검사 결과에 따라 송신모드 결정을 위한 채널상태값 한계치(Threshold)를 적응적으로 변경하는 과정과,
    상기 변경된 한계치와 측정된 채널상태 값을 비교하여 송신모드를 결정하여 송신기로 피드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검사결과는 CRC(Cyclic Redundancy Check)검사결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4.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상태 값은 신호대 잡음비(SNR : Signal to Noise Ratio)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5.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모드는 상기 송신기의 부호방식, 변조방식 및 안테나송신방식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6.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한계치 변경 과정은,
    왜곡이 심한 채널 환경에서 구한 한계치를 초기 한계치로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에러검사결과가 성공(ACK)이고 한계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보다 작으면, 상기 한계치를 비선형적으로 감소하는 과정과,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치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한계치를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과정과,
    상기 에러검사결과가 실패(NACK)이면, 상기 한계치를 상기 초기 한계치로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7.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한계치 변경 과정은,
    평균 채널 환경에서 구한 한계치를 초기 한계치로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에러검사결과가 성공(ACK)이면, 한계치를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과정과,
    상기 에러검사결과가 실패(NACK)이면, 상기 한계치를 상기 초기 한계치로 변경하는 과정과,
    상기 한계치가 상기 초기 한계치보다 크거나 같은 상태에서 상기 실패(NACK)가 발생하면, 상기 한계치를 소정값만큼 증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8.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한계치 변경 과정은,
    왜곡이 심한 채널 환경에서 구한 한계치를 초기 한계치로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에러검사결과가 성공(ACK)이면 한계치를 비선형적으로 감소하는 과정과,
    상기 에러검사결과가 실패(NACK)이면, 이전 에러검사결과가 성공(ACK)인지 실패(NACK)인지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이전 에러검사결과가 성공이면, 상기 한계치를 미리 설정된 값으로 증가하고, 상기 이전 에러검사결과가 실패(NACK)이면 연속적인 실패 횟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연속적인 실패 횟수가 소정수 미만이면 상기 한계치를 변경하지 않고, 상기 소정 수 이상이면 상기 한계치를 상기 초기 한계치로 변경하는 과정과,
    이후, 상기 CRC 검사 결과가 성공이면 상기 한계치를 선형적으로 감소하고, 상기 CRC검사 결과가 실패이면 상기 한계치를 미리 설정된 값으로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9. 제42항에 있어서,
    수신 변조심볼들을 복조하여 부호심볼들을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부호심볼들을 복호화하여 상기 수신데이터를 발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0.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과정은,
    상기 한계치는 SNR대 전송률 커브를 송신모드에 따라 복수의 영역들로 분할하며, 측정된 SNR값이 속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송신모드를 상기 송신기로 피드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1. 다중 송수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송신 방법에 있어서,
    수신기로부터 피드백되는 채널상태값과 전송데이터의 에러검사결과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에러검사결과에 따라 송신모드 결정을 위한 채널상태값 한계치(threshold)를 적응적으로 변경하는 과정과,
    상기 변경된 한계치과 상기 수신된 채널상태값을 비교하여 송신모드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검사결과는 CRC(Cyclic Redundancy Check) 검사 결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3.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상태값은 신호대 잡음비(SNR : Signal to Noise Ratio)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4.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모드는 부호방식, 변조방식 및 안테나 송신방식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5.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한계치 변경 과정은,
    왜곡이 심한 채널 환경에서 구한 한계치를 초기 한계치로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에러검사결과가 성공(ACK)이고 한계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보다 작으면, 상기 한계치를 비선형적으로 감소하는 과정과,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치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한계치를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과정과,
    상기 에러검사결과가 실패(NACK)이면, 상기 한계치를 상기 초기 한계치로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6.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한계치 변경 과정은,
    평균 채널 환경에서 구한 한계치를 초기 한계치로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에러검사결과가 성공(ACK)이면, 한계치를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과정과,
    상기 에러검사결과가 실패(NACK)이면, 상기 한계치를 상기 초기 한계치로 변경하는 과정과,
    상기 한계치가 상기 초기 한계치보다 크거나 같은 상태에서 상기 실패(NACK)가 발생하면, 상기 한계치를 소정값만큼 증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7.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한계치 변경 과정은,
    왜곡이 심한 채널 환경에서 구한 한계치를 초기 한계치로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에러검사결과가 성공(ACK)이면 한계치를 비선형적으로 감소하는 과정과,
    상기 에러검사결과가 실패(NACK)이면, 이전 에러검사결과가 성공(ACK)인지 실패(NACK)인지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이전 에러검사결과가 성공이면 상기 한계치를 소정값으로 증가하고, 상기 이전 에러검사결과가 실패(NACK)이면 연속적인 실패 횟수를 카운팅하는 과정과,
    상기 실패 횟수가 소정수 미만이면 상기 한계치를 변경하지 않고, 상기 소정 수 이상이면 상기 한계치를 상기 초기 한계치로 변경하는 과정과,
    이후, 상기 CRC 검사 결과가 성공이면 상기 한계치를 선형적으로 감소하고, 상기 CRC검사 결과가 실패이면 상기 한계치를 미리 설정된 값으로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8.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송신모드에 따라 상기 부호율, 상기 변조방식 및 상기 안테나 송신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과정과,
    송신데이터를 해당 부호율로 부호화하는 과정과,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를 해당 변조방식으로 변조하는 과정과,
    상기 변조된 데이터를 해당 안테나 송신 방식으로 부호화하여 복수의 안테나 신호들을 생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9.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안테나 송신 방식은, 안테나 송신 방식은, 전송률이 좋은 공간 다 중화(SM : Spatial Multiplexing) 방식, 다이버시티 이득이 좋은 시공간 블록 부호(STBC : Space Time Block Coding) 방식 및 상기 두 가지 방식을 혼합한 하이브리드 방식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0.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모드 결정과정은,
    상기 한계치는 SNR대 전송률 커브를 송신모드에 따라 복수의 영역들로 분할하며, 측정된 SNR값이 속하는 영역을 판단하여 송신모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50050203A 2004-06-14 2005-06-13 다중 송수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송신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6823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3402 2004-06-14
KR20040043402 2004-06-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6429A true KR20060046429A (ko) 2006-05-17
KR100682330B1 KR100682330B1 (ko) 2007-02-15

Family

ID=34937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0203A KR100682330B1 (ko) 2004-06-14 2005-06-13 다중 송수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송신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593486B2 (ko)
EP (1) EP1608099B1 (ko)
JP (1) JP4616338B2 (ko)
KR (1) KR100682330B1 (ko)
CN (1) CN1969473B (ko)
WO (1) WO200512242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239B1 (ko) * 2005-12-09 2007-06-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고정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보호비를 이용한 주파수 조정방법
KR100958762B1 (ko) * 2007-03-28 2010-05-18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응답 확률 계산 장치와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하는 기지국제어 장치와 통신 시스템
US8442448B2 (en) 2006-06-30 2013-05-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a closed-loop multi-antenna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45583B1 (en) * 2004-05-06 2010-12-22 ST-Ericsson SA Method, system and station for communicating data packets using arq
GB2419786C (en) * 2004-10-27 2009-10-07 Toshiba Res Europ Ltd Multiple list link adaption
US7783267B1 (en) * 2005-06-23 2010-08-24 Magnolia Broadband Inc. Modifying a signal in response to quality indicator availability
WO2007004285A1 (ja) * 2005-07-04 2007-01-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無線通信方法、無線送信装置及び無線受信装置
JP4671790B2 (ja) * 2005-07-07 2011-04-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通信装置、基地局装置及び通信方法
US7751372B2 (en) * 2005-09-23 2010-07-06 Peter Monsen Technique for adaptive data rate communication over fading dispersive channels
JP5063883B2 (ja) * 2005-09-29 2012-10-31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送信方法、送信装置、データ伝送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伝送方法
US8165189B2 (en) * 2005-10-07 2012-04-24 University Of Washington Through Its Center For Commercialization Dirty paper precoding with known interference structure at receiver
US8175021B2 (en) 2005-11-04 2012-05-0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for transmission of unicast control in broadcast/multicast transmission time intervals
DE602006021344D1 (de) 2006-01-04 2011-05-26 Ericsson Telefon Ab L M Gruppenantennenanordnung
TWI562572B (en) 2006-01-11 2016-12-11 Interdigital Tech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space time processing with unequal modulation and coding schemes
JP2009529810A (ja) * 2006-01-13 2009-08-20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フィードバック情報に基づくアンテナ選択を使用して伝送ダイバーシティ及び空間多重化を達成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20070173261A1 (en) * 2006-01-26 2007-07-26 Nokia Corporation Predetermined transmission mode sequence and feedback reduction technique
JP4589250B2 (ja) * 2006-02-21 2010-12-01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電力制御装置
JP4589249B2 (ja) * 2006-02-21 2010-12-01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電力制御装置
WO2007124566A1 (en) * 2006-04-28 2007-11-08 Nortel Networks Limited Adaptive transmission systems and methods
US8098212B2 (en) * 2006-08-15 2012-01-17 Cisco Technology, Inc. Method for antenna array partitioning
KR100790365B1 (ko) 2006-08-22 2008-01-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imo 시스템에서의 패킷 재전송 방법
WO2008023922A1 (en) * 2006-08-22 2008-02-2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retransmitting packets in mimo system
US7792084B2 (en) * 2006-08-29 2010-09-07 Panasonic Corporation MIMO antenna apparatus controlling number of streams and modulation and demodulation method
CN101150343B (zh) * 2006-09-20 2011-08-2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mimo移动通信方法及系统
CA2665900C (en) * 2006-10-02 2014-06-03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channel quality indicator and precoding control information bits
US8019018B2 (en) * 2006-10-12 2011-09-13 Powerwave Cognition, Inc. Determining a mode to transmit data
US8619742B2 (en) * 2006-10-31 2013-12-3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for coding WCDMA MIMO CQI reports
US8155127B2 (en) * 2006-11-10 2012-04-10 Powerwave Cognition, Inc. Autonomous dynamic spectrum access
US20080112428A1 (en) * 2006-11-10 2008-05-15 Seidel Scott Y Scheduling for autonomous dynamic spectrum access systems
US8718555B2 (en) * 2006-11-10 2014-05-06 Powerwave Cognition,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selected bearer channels
US8208873B2 (en) * 2006-11-10 2012-06-26 Powerwave Cogniti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waveform parameters for an adaptive air interface waveform
US8014783B2 (en) * 2006-11-10 2011-09-06 Powerwave Cognition, Inc. Bearer selection and negotiation in autonomous dynamic spectrum access systems
KR101355355B1 (ko) * 2006-12-14 2014-01-23 톰슨 라이센싱 통신 시스템에서의 변조 표시 방법
KR101784078B1 (ko) 2006-12-14 2017-10-10 톰슨 라이센싱 통신 시스템에서의 레이트리스 인코딩
US9716567B2 (en) 2006-12-14 2017-07-25 Thomson Licensing Rateless codes decoding method for communications systems
US9729280B2 (en) 2006-12-14 2017-08-08 Thomson Licensing ARQ with adaptive modulation for communication systems
US8462758B2 (en) * 2006-12-20 2013-06-11 Intel Corporation Channel quality information feedback techniques for a wireless system
JP4858199B2 (ja) * 2007-02-02 2012-01-1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無線通信の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US8020075B2 (en) * 2007-03-16 2011-09-13 Apple Inc. Channel quality index feedback reduction for broadband systems
US8165224B2 (en) 2007-03-22 2012-04-24 Research In Motion Limited Device and method for improved lost frame concealment
US8547986B2 (en) 2007-04-30 2013-10-01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resource block-specific control signaling
KR101468490B1 (ko) * 2007-05-02 2014-12-1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채널들의 집합을 한정하여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JP4871801B2 (ja) * 2007-07-09 2012-02-08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当該通信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090020138A (ko) * 2007-08-22 2009-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한 재전송 방법
CN101472292B (zh) * 2007-12-28 2012-05-30 株式会社Ntt都科摩 多用户多输入多输出系统、基站、用户设备和cqi反馈方法
CN101534176B (zh) * 2008-03-11 2012-12-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自适应的天线模式控制方法及装置
JP5125645B2 (ja) * 2008-03-18 2013-01-23 富士通株式会社 通信方法および通信装置
US7978623B1 (en) 2008-03-22 2011-07-12 Freescale Semiconductor, Inc. Channel rank updates in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communication systems
KR101537591B1 (ko) * 2008-04-07 2015-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Mimo 시스템에서 모드 적응 방법
WO2009131163A1 (ja) * 2008-04-25 2009-10-29 シャー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および移動通信方法
US8233926B2 (en) * 2008-05-22 2012-07-31 Futurewei Technologies, Inc. Spatial mode adaptation at the cell edge using interferer spatial correlation
KR101578135B1 (ko) 2008-08-29 2015-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피드백 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
JP5139222B2 (ja) 2008-09-30 2013-02-06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無線通信装置
CN101729119B (zh) * 2008-10-15 2014-06-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下行多输入多输出模式自适应切换的方法和系统
KR101673497B1 (ko) 2009-01-05 2016-11-07 마벨 월드 트레이드 리미티드 Mimo 통신 시스템을 위한 프리코딩 코드북들
KR101011988B1 (ko) * 2009-03-13 2011-01-31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다양한 개수의 안테나들을 구비하는 사용자 단말들을 포함하는 통신시스템에서 피드백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N101572941B (zh) * 2009-06-09 2011-09-14 华为技术有限公司 基于多天线的信号发送方法及装置
US8218492B2 (en) * 2009-06-26 2012-07-10 Intel Corporatio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switching MIMO transmission techniqu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537795B2 (en) * 2009-07-28 2013-09-17 Intel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forwarding fram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675794B1 (en) 2009-10-13 2014-03-18 Marvell International Ltd. Efficient estimation of feedback for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 selection
US8917796B1 (en) * 2009-10-19 2014-12-23 Marvell International Ltd. Transmission-mode-aware rate matching in MIMO signal generation
WO2011055238A1 (en) 2009-11-09 2011-05-12 Marvell World Trade Ltd Asymmetrical feedback for coordinated transmission systems
CN102783120B (zh) * 2009-12-17 2015-07-01 马维尔国际贸易有限公司 用于交叉极化天线的mimo反馈方案
JP5258002B2 (ja) 2010-02-10 2013-08-07 マーベル ワールド トレード リミテッド Mimo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装置、移動通信端末、チップセット、およびその方法
CN102347816B (zh) 2010-07-30 2014-08-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调制编码方式选择方法及装置
JP2012100254A (ja) 2010-10-06 2012-05-24 Marvell World Trade Ltd Pucchフィードバックのためのコードブックサブサンプリング
CN102457361B (zh) * 2010-10-27 2014-09-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支持多种发射方式的方法和基站
US9048970B1 (en) 2011-01-14 2015-06-02 Marvell International Ltd. Feedback for cooperative multipoint transmission systems
JP5602652B2 (ja) * 2011-01-27 2014-10-08 京セラ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EP2692068B1 (en) 2011-03-31 2019-06-19 Marvell World Trade Ltd. Channel feedback for cooperative multipoint transmission
CN102832980B (zh) * 2011-06-14 2017-10-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上行mimo模式间切换方法、装置及设备
WO2013003973A1 (en) * 2011-07-01 2013-01-1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Node and method for transmission mode switching for downlink transmission in downlink channel
US10462690B2 (en) * 2011-08-05 2019-10-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LC status reporting for eight-carrier HSDPA
JP2013074479A (ja) * 2011-09-28 2013-04-22 Fujitsu Ltd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WO2013068915A2 (en) 2011-11-07 2013-05-16 Marvell World Trade Ltd. Precoding feedback for cross-polarized antennas with magnitude information
US8923427B2 (en) 2011-11-07 2014-12-30 Marvell World Trade Ltd. Codebook sub-sampling for frequency-selective precoding feedback
US9031597B2 (en) 2011-11-10 2015-05-12 Marvell World Trade Ltd. Differential CQI encoding for cooperative multipoint feedback
US9220087B1 (en) 2011-12-08 2015-12-22 Marvell International Ltd. Dynamic point selection with combined PUCCH/PUSCH feedback
US8902842B1 (en) 2012-01-11 2014-12-02 Marvell International Ltd Control signaling and resource mapping for coordinated transmission
ES2553452T3 (es) * 2012-04-11 2015-12-09 Huawei Technologies Co., Ltd. Método y dispositivo para configurar un modo de transmisión
US8995320B2 (en) * 2012-04-16 2015-03-3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space time block codes
CN104521269B (zh) 2012-04-27 2018-05-11 马维尔国际贸易有限公司 用于基站和移动通信终端之间的多点协作(CoMP)通信方法和装置
EP2862286B1 (en) * 2012-06-18 2017-09-13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Adaptive mode-switching spatial modulation for mimo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4016677A2 (en) 2012-06-20 2014-01-30 MagnaCom Ltd. Highly-spectrally-efficient transmission using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US8982984B2 (en) 2012-06-20 2015-03-17 MagnaCom Ltd. Dynamic filter adjustment for highly-spectrally-efficient communications
US8781008B2 (en) 2012-06-20 2014-07-15 MagnaCom Ltd. Highly-spectrally-efficient transmission using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US8572458B1 (en) 2012-06-20 2013-10-29 MagnaCom Ltd. Forward error correction with parity check encoding for use in low complexity highly-spectrally efficient communications
US9143372B2 (en) * 2012-10-26 2015-09-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munication system with receiver optimization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8811548B2 (en) 2012-11-14 2014-08-19 MagnaCom, Ltd. Hypotheses generation based on multidimensional slicing
US9088400B2 (en) 2012-11-14 2015-07-21 MagnaCom Ltd. Hypotheses generation based on multidimensional slicing
WO2014094246A1 (en) * 2012-12-19 2014-06-2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Publ) Method and devices for mimo transmission
CN104079367B (zh) * 2013-03-25 2017-09-12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传输模式切换方法及装置
US9781713B2 (en) 2013-05-06 2017-10-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radio network node for enabling switch of transmission mode for a User Equipment
GB2514174B (en) * 2013-05-17 2015-12-02 Cambium Networks Ltd Improvements to adaptive modulation
US9143964B2 (en) 2013-06-19 2015-09-22 Qualcomm Incorporated Device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d handling deconstructive impacts of default weight factors for closed-loop transmission diversity communications
US9118519B2 (en) 2013-11-01 2015-08-25 MagnaCom Ltd. Reception of inter-symbol-correlated signals using symbol-by-symbol soft-output demodulator
US8804879B1 (en) 2013-11-13 2014-08-12 MagnaCom Ltd. Hypotheses generation based on multidimensional slicing
CN103746773B (zh) * 2013-12-31 2017-02-15 深圳信息职业技术学院 一种umts接收机对译码后数据进行纠错的方法及系统
US9130637B2 (en) 2014-01-21 2015-09-08 MagnaCom Ltd. Communic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nonlinear multi-user environments
US9496900B2 (en) 2014-05-06 2016-11-15 MagnaCom Ltd. Signal acquisition in a multimode environment
US8891701B1 (en) 2014-06-06 2014-11-18 MagnaCom Ltd. Nonlinearity compensation for reception of OFDM signals
US9246523B1 (en) 2014-08-27 2016-01-26 MagnaCom Ltd. Transmitter signal shaping
US9276619B1 (en) * 2014-12-08 2016-03-01 MagnaCom Ltd. Dynamic configuration of modulation and demodulation
US9191247B1 (en) 2014-12-09 2015-11-17 MagnaCom Ltd. High-performance sequence estimat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EP3291458B1 (en) * 2015-04-30 2020-08-2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Transmission station, control station, reception station, data transfer system, and data transfer method
CN106301724B (zh) 2015-05-30 2019-05-07 北京智谷睿拓技术服务有限公司 传输数据的方法和装置
CN106301613B (zh) * 2015-05-30 2019-04-16 北京智谷睿拓技术服务有限公司 确定信道质量的方法和装置
CN108781100B (zh) * 2016-03-10 2021-06-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传输分集方法、设备及系统
CN107733592B (zh) 2016-08-10 2020-11-27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方案指示方法、数据传输方法、装置及系统
US10299192B2 (en) 2017-01-07 2019-05-2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Configuration of codeword numbers for 5G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
US10069519B1 (en) * 2018-01-23 2018-09-04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Partition based distribution matcher for probabilistic constellation shaping
CN111684742B (zh) * 2018-02-14 2022-08-19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的传输方法和装置
JP7206734B2 (ja) * 2018-09-20 2023-01-18 富士通株式会社 基地局装置、選択方法及び無線システム
CN113315559B (zh) * 2021-05-25 2022-11-15 天津大学 一种无线传感器网络的传输方法
CN113595833B (zh) * 2021-08-05 2024-01-30 中国工商银行股份有限公司 一种crc异常处理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7033A (en) * 1994-11-30 1998-03-10 Lucent Technologies Inc. Symbol error based power control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S6700881B1 (en) * 1998-03-02 2004-03-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Rate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CDMA communication system
US6449463B1 (en) * 1998-10-29 2002-09-10 Qualcomm, Incorporated Variable loop gain in double loop power control systems
GB2351420A (en) * 1999-06-23 2000-12-27 Motorola Ltd Power control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ATE287152T1 (de) * 1999-07-13 2005-01-15 Cit Alcatel Verfahren zur leistungssteigerung eines mobilen radiokommunikationssystems unter verwendung eines leistungsregelungs-algorithmus
US6807164B1 (en) * 1999-09-14 2004-10-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ower control in a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6351499B1 (en) * 1999-12-15 2002-02-26 Iospan Wireless, Inc. Method and wireless systems using multiple antennas and adaptive control for maximizing a communication parameter
US6754506B2 (en) * 2000-06-13 2004-06-22 At&T Wireless Services, Inc. TDMA communication system having enhanced power control
CN1140147C (zh) * 2000-07-01 2004-02-25 信息产业部电信传输研究所 一种外环功率控制的方法和系统
CN1148006C (zh) * 2000-08-17 2004-04-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特博码软输入软输出解码方法以及解码器
US6802035B2 (en) * 2000-09-19 2004-10-05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dynamically optimizing a transmission mode of wirelessly transmitted information
CN1171407C (zh) * 2000-09-19 2004-10-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wcdma系统中外环功率控制的方法
US6980601B2 (en) * 2000-11-17 2005-12-27 Broadcom Corporation Rate adaptation and parameter optimization for multi-band single carrier transmission
JP3843329B2 (ja) * 2000-12-25 2006-11-08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適応変調方式制御方法
US6771706B2 (en) * 2001-03-23 2004-08-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199696B2 (en) * 2001-03-29 2012-06-1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1255369A1 (en) * 2001-05-04 2002-11-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Link adaptation for wireless MIMO transmission schemes
JP4016647B2 (ja) * 2001-05-17 2007-12-05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移動局及びそれらに用いるしきい値設定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JP4082661B2 (ja) * 2001-08-22 2008-04-30 独立行政法人情報通信研究機構 通信品質推定方法、通信品質推定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US7010316B2 (en) * 2001-09-28 2006-03-0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channel reverse link outer-loop power control
US20030097623A1 (en) * 2001-10-24 2003-05-22 Javad Razavilar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ance optimization and adaptive bit loading for wireless modems with convolutional coder, FEC, CRC and ARQ
US7164649B2 (en) * 2001-11-02 2007-01-16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rate control for OFDM communication system
US20030125040A1 (en) * 2001-11-06 2003-07-03 Walton Jay R. Multiple-access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communication system
US7012883B2 (en) * 2001-11-21 2006-03-14 Qualcomm Incorporated Rate selection for an OFDM system
US6636568B2 (en) * 2002-03-01 2003-10-21 Qualcomm Data transmission with non-uniform distribution of data rates for a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
US7184713B2 (en) * 2002-06-20 2007-02-27 Qualcomm, Incorporated Rate control for multi-channel communication systems
US8218609B2 (en) * 2002-10-25 2012-07-10 Qualcomm Incorporated Closed-loop rate control for a multi-channel communication system
US8208364B2 (en) * 2002-10-25 2012-06-26 Qualcomm Incorporated MIMO system with multiple spatial multiplexing modes
KR20040046322A (ko) * 2002-11-27 2004-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입출력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신호처리 장치 및방법
US7885228B2 (en) * 2003-03-20 2011-02-08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mode selection for data transmission in a multi-channel communication system
JP2006526353A (ja) * 2003-05-15 2006-11-16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のためのチャネル化コードの割り当て方法及び装置
FI20031079A0 (fi) * 2003-07-16 2003-07-16 Nokia Corp Menetelmä tiedonsiirtoresurssien kontrolloimiseksi, sekä kontrolleri
US7724838B2 (en) * 2003-09-25 2010-05-25 Qualcomm Incorporated Hierarchical coding with multiple antenna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473269B2 (en) * 2003-12-01 2016-10-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efficient control channel structur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324605B2 (en) * 2004-01-12 2008-01-29 Intel Corporation High-throughput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exchang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US7730381B2 (en) * 2004-06-09 2010-06-01 Qualcomm Incorporated Erasure detection and power control for a transport channel with unknown forma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197692B2 (en) * 2004-06-18 2007-03-27 Qualcomm Incorporated Robust erasure detection and erasure-rate-based closed loop power control
US8224368B2 (en) * 2004-09-27 2012-07-17 Alcatel Lucent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in a wireless network
US20070053287A1 (en) * 2005-09-07 2007-03-08 Gang Li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data rat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07325142A (ja) * 2006-06-05 2007-12-13 Sony Corp 通信システム、受信装置、送信モード提案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239B1 (ko) * 2005-12-09 2007-06-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고정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보호비를 이용한 주파수 조정방법
US8442448B2 (en) 2006-06-30 2013-05-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a closed-loop multi-antenna system
KR100958762B1 (ko) * 2007-03-28 2010-05-18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응답 확률 계산 장치와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하는 기지국제어 장치와 통신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122426A1 (en) 2005-12-22
EP1608099A1 (en) 2005-12-21
KR100682330B1 (ko) 2007-02-15
CN1969473B (zh) 2011-02-09
US20050276317A1 (en) 2005-12-15
JP4616338B2 (ja) 2011-01-19
EP1608099B1 (en) 2012-08-15
JP2008503144A (ja) 2008-01-31
CN1969473A (zh) 2007-05-23
US7593486B2 (en) 2009-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2330B1 (ko) 다중 송수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송신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8498357B2 (en) Transmitting/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leaver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US7801236B2 (en) Adaptive modulation scheme and data rate control method
CN102017524B (zh) 一种用于在ofdma系统中使用harq的频谱有效链路自适应的方法和设备
EP311160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transmission in a multiuser downlink cellular system
KR100742448B1 (ko) 전송 모드 최적화 방법
EP1813043B1 (en) Method for adaptive interleav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th feedback
US8243673B2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KR101341524B1 (ko) 수신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방법 및 매핑 구조를 선택하는 방법
US20050047517A1 (en) Adaptive modulation for multi-antenna transmissions with partial channel knowledge
US814479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operation mode in MIMO communication system
US8467471B2 (en) Coding and modulation selecting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US815522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a signal in a communication system
JPWO2006048934A1 (ja) Mimo−ofdmシステムにおけるリンク・アダプテ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US8451923B2 (en) MIMO transmission mode selecting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KR10140290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JP4918935B2 (ja) 適応変調方法並びにデータレート制御方法
Stiglmayr et al. Adaptive coding and modulation in mimo ofdma systems
KR20070096443A (ko)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