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4573A - 기록재생장치, 정보전송 관리방법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기록재생장치, 정보전송 관리방법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4573A
KR20060044573A KR1020050023785A KR20050023785A KR20060044573A KR 20060044573 A KR20060044573 A KR 20060044573A KR 1020050023785 A KR1020050023785 A KR 1020050023785A KR 20050023785 A KR20050023785 A KR 20050023785A KR 20060044573 A KR20060044573 A KR 20060044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udio data
recorder
management
process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3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6022B1 (ko
Inventor
에이치 야마다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4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4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6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6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27Lock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정보신호를, 해당 정보신호의 제공원의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정보처리장치에 의존하지 않고, 손쉽게 제공을 받아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형태로 재생할 수 있게 한다. 외부 I/F(133), 입출력 단자(134)를 통해 접속된 퍼스널 컴퓨터에 의해, IC 레코더(1)의 플래시 메모리(120)의 소프트웨어를 판독해서 퍼스널 컴퓨터에서 실행하고, 해당 퍼스널 컴퓨터가 유지하는 오디오 데이터 등의 정보신호를,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IC 레코더(1)의 플래시 메모리(120)에 전송한다. 이 경우, 퍼스널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플래시 메모리(120)에 전송되어 저장된 정보신호에 대한 관리정보를 형성하고, 이것을 IC 레코더의 플래시 메모리(120)에 기록하며, IC 레코더에서도 이용 가능하게 한다.
재생장치, 정보전송, 관리방법, 기록매체, 반도체, 메모리

Description

기록재생장치, 정보전송 관리방법 및 기록매체{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MANAGEMENT METHOD FOR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RECORD CARRIER THEREFOR}
도 1은 본 발명의 장치의 일실시예가 적용된 IC 레코더(1)가 사용되어 형성되고,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의 일실시예가 적용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장치의 일실시예가 적용된 IC 레코더(1)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방법의 일실시예가 적용된 시스템의 퍼스널 컴퓨터(2)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퍼스널 컴퓨터(2)로부터 IC 레코더(1)에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해서 관리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오디오 데이터의 화일 단위의 전송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오디오 데이터의 폴더 단위의 전송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계층구조를 갖는 폴더의 전송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IC 레코더(1)에서의 오디오 데이터의 관리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IC 레코더(1)에서의 오디오 데이터의 관리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IC 레코더(1)의 플래시 메모리(120)에 저장된 폴더의 삭제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IC 레코더(1)의 플래시 메모리(120)에 저장된 화일의 삭제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IC 레코더(1)의 플래시 메모리(120)에 저장된 폴더의 이동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IC 레코더(1)와 퍼스널 컴퓨터(2)로 이루어지는, 이 실시예의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다.
도 14는 IC 레코더(1)와 퍼스널 컴퓨터(2)로 이루어지는, 이 실시예의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다.
도 15는 IC 레코더(1)와 퍼스널 컴퓨터(2)로 이루어지는, 이 실시예의 시스템의 동작의 다른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다.
도 16은 IC 레코더(1)와 퍼스널 컴퓨터(2)로 이루어지는, 이 실시예의 시스템의 동작의 다른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다.
도 17은 저장완료 오디오 데이터 일람 리스트의 표시 형태의 변형예를 설명 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IC 레코더 101 : 마이크로폰
102 :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103 : 압축 처리부
104 : 신장 처리부 105 : 음성신호 처리부
106 : 음성신호 출력단자 110 : 제어부
111 : CPU 112 : ROM
113 : RAM 114 : EEPROM
115 : CPU 버스 120 : 플래시 메모리
131 : 키 I/F 132 : 조작부
133 : 외부 I/F 134 : 입출력 단자
2 : 퍼스널 컴퓨터 2, 200 : 제어부
201 : CPU 20, 202 : ROM
203 : RAM 204 : EEPROM
205 : CPU 버스 211 : 시스템 디스크
212 : 콘텐츠 디스크 221 : LCD
222 : LCD 231 : I/F
232 : 키 조작부 233 : 마우스(포인팅 디바이스)
241 : 외부 I/F 242 : 입출력 단자
252 : 통신 I/F 252 : 접속단자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반도체 메모리를 기록매체로서 사용한 IC(Integrated Circuit) 레코더 등의 기록재생장치, 이 기록재생장치에 정보신호를 전송해서 관리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정보전송 관리방법 및 기록재생장치의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메모리를 기록매체로서 사용한 소위IC 레코더 등이라 부르는 기록재생장치가 널리 이용되어 오고 있다. 이 IC 레코더에 탑재되는 반도체 메모리에, 오디오 데이터(음악 데이터)를 기록하고, IC 레코더를 오디오 플레이어로서 사용하게 하는 것도 행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IC 레코더에 탑재된 반도체 메모리에는, 퍼스널 컴퓨터를 통해, 해당 퍼스널 컴퓨터에 축적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가 공급되어서 기록된다. 이 경우, 퍼스널 컴퓨터에 축적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의 IC 레코더로의 전송이나 관리를 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는, 해당 퍼스널 컴퓨터에 미리 인스톨해서 놓아야 한다.
그리고, 퍼스널 컴퓨터에 있어서 해당 소프트웨어를 기동시켜, 해당 퍼스널 컴퓨터에 축적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로부터 전송을 희망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지정하고, 전송 지시를 입력함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IC 레코더에 탑재된 반도체 메모리에 전송해서 기록하고, 이것을 IC 레코더에 있어서 재생해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오디오 플레이어로의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퍼스널 컴퓨터의 조작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를 위해, 후에 적는 특허문헌 1에는,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처가 되는 단말장치로부터 퍼스널 컴퓨터에 전송 요구를 송신함으로써,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목적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제공을 받을 수 있게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퍼스널 컴퓨터를 직접적으로 조작하지 않아도, 오디오 데이터의 제공을 받을 수 있게 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2-328860호 공보
그런데, 전술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인 경우, 오디오 데이터의 송신원이 되는 퍼스널 컴퓨터에도, 또한 오디오 데이터의 송신처가 되는 단말장치에도, 오디오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소프트웨어가 필요하게 되고, 그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의해 소정의 통신 순서를 경유하여,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이 행해지는 것에 의한다. 이 때문에, 어떤 퍼스널 컴퓨터에서도 손쉽게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을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에 축적된 오디오 데이터를 IC 레코더에 전송해서 관리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퍼스널 컴퓨터에 인스톨해 두지 않으면 안 되므로, 해당 소프트웨어가 인스톨되어 있지 않은 퍼스널 컴퓨터로부터의 오 디오 데이터의 전송을 받을 수 없다.
이 때문에, 퍼스널 컴퓨터의 기능을 사용하여, IC 레코더에 탑재된 반도체 메모리에 형성되어 있는 미리 정해진 폴더(디렉토리)에, 퍼스널 컴퓨터에 축적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를 소위 드랙 앤 드롭(Drag and Drop) 조작을 행함으로써 전송하는 기능에 대응한 IC 레코더도 제공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식의 경우, IC 레코더의 미리 정해진 폴더에 전송된 오디오 데이터는, 드랙 앤 드롭한 순번이나 이름(타이틀)순 등의 미리 정해진 순번으로밖에 재생 할 수 없고, 사용자의 기호에 따른 순번으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을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최근에 있어서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언제나, 어디에서도, 목적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음악 콘텐츠)를 구입함으로써 제공을 받거나, 또한 기간한정에 무료 제공되는 오디오 콘텐츠나 무료로 제공되는 샘플 오디오 등의 제공을 받거나 하는 등, 풍부하게 제공되는 개인으로 이용 가능한 오디오 데이터를, IC 레코더에 탑재된 메모리에 전송하고, 언제나, 어디에서에서도, 손쉽게 이용할 수 있게 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다.
이상에 비추어 볼 때, 본 발명은, 개인 이용이 가능한 오디오 데이터 등의 여러가지의 정보신호를, 해당 정보신호의 제공원의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정보처리장치에 의존하지 않고, 손쉽게 제공을 받아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형태로 재생할 수 있게 하는 기록재생장치, 정보전송 관리방법 및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1 국면에 기재의 발명의 기록재생장치는,
정보처리장치와의 접속단과, 상기 접속단에 접속된 상기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액세스 가능하고, 상기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정보신호를 전송해서 관리하기 위해, 상기 정보처리장치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가 기록된 메모리와,
상기 정보처리장치에서 실행되는 상기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상기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정보신호를 기억하는 데이터 메모리와,
상기 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 실행되는 상기 소프트웨어에 의해 형성되는 관리정보로서, 상기 데이터 메모리에 기록된 상기 정보신호의 관리정보를 기억하는 관리 메모리와,
상기 관리 메모리에 기억된 상기 관리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데이터 메모리에 기록된 상기 정보신호를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재생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1 국면에 기재의 발명의 기록재생장치에 의하면, 접속단에 접속된 정보처리장치에 의해, 해당 기록재생장치의 메모리의 소프트웨어가 판독되어 실행되고, 정보처리장치가 유지하는 정보신호가, 정보처리장치로부터 해당 기록재생장치에 전송되며, 해당 기록재생장치의 데이터 메모리에 기억된다. 이 경우, 정보처리장치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데이터 메모리의 정보신호에 대한 관리정보가 형성되고, 이것이 해당 기록재생장치의 관리 메모리에 기록되며, 해당 기록재생장치에서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정보처리장치에 정보신호의 전송, 관리를 위한 소프트웨어를 인스톨해 두지 않아도, 기록재생장치의 메모리에 기록되어 있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정보신호의 전송을 하도록 할 수 있는 동시에, 관리 메모리의 관리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의도하는 순번으로, 정보신호의 재생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국면에 기재된 발명의 기록재생장치는, 제1 국면에 기재의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는, 정보신호의 화일 단위에서의 전송과, 복수의 화일을 포함하는 폴더 단위로의 전송과 한쪽 또는 양쪽을 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2 국면에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함으로써, 화일 단위(오디오 데이터로 말하면 1곡 단위)로, 혹은, 폴더 단위(오디오 데이터로 말하면 앨범 단위)로, 정보신호의 전송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의도하는 정보신호를, 사용자가 의도하는 형태로, 기록재생장치에 전송해서 축적하고,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3 국면에 기재의 발명은, 제1 국면 또는 제2 국면에 기재의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는, 상기 데이터 메모리에 기록된 상기 정보신호의 재생 위치의 이동 처리와, 상기 데이터 메모리에 기록된 상기 정보신호의 삭제 처리와, 상기 이동 처리나 상기 삭제 처리에 따른 상기 관리 메모리의 상기 관리정보의 변경 처리를 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3 국면에 기재의 발명의 기록재생장치에 의하면, 정보처리장치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함으로써, 기록재생장치의 데이터 메모리에 기록한 정보신호의 이동이나 삭제를 행하고, 이것에 따라 관리정보를 갱신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정보신호의 기록재생장치에의 전송 후에 있어서, 재생 순서를 변경하거나, 불필요한 정보신호를 삭제하거나 할 수 있게 되고, 원하는 정보신호를 원하는 순번으로 재생하여 이용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보처리장치로부터 기록재생장치에 정보신호를 전송해서 관리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정보처리장치에 미리 인스톨해서 둘 필요가 없고, 기록재생장치의 접속이 가능한 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 기록재생장치의 메모리에 준비되어 있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고, 정보신호의 기록재생장치에의 전송과, 전송한 정보신호의 관리를 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정보처리장치로부터 기록재생장치로의 정보신호의 전송은, 화일 단위 또는 폴더 단위로 행할 수 있게 되고, 사용자가 의도하는 형태로 정보신호를 전송해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기록재생장치에 전송한 정보신호의 이동이나 삭제를 행할 수 있고, 재생 순서를 변경하거나, 불필요한 정보신호를 정리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기록재생장치의 데이터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장치, 방법, 기록매체의 일실시예 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에 있어서는, IC 레코더에 본 발명에 의한 장치를 적용하고, IC 레코더와 퍼스널 컴퓨터에 의해 형성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을 적용하고, 예를 들면, IC 레코더에 착탈 가능하게 되는 소위 메모리 카드에 본 발명에 의한 기록매체를 적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시스템의 개요]
도 1은, 이 실시예의 시스템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시스템은, IC 레코더(1)와 퍼스널 컴퓨터(2)가,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나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1394 등의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접속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퍼스널 컴퓨터(2)의 하드디스크에 축적되어 있는 여러가지의 오디오 데이터(음악 데이터) 중에서, 목적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드랙 앤 드롭 조작이라는 간단한 조작으로 IC 레코더(1)에 전송하고, IC 레코더(1)의 메모리에 기록(저장)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간단히, 퍼스널 컴퓨터(2)로부터 IC 레코더(1)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만은 아니다. 오디오 데이터가 기록되는 IC 레코더의 메모리는, 비교적 기억 용량이 큰 것으로, 다수의 악곡의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IC 레코더(1)의 사용자가 의도하는 순번으로 재생 할 수 있게, IC 레코 더(1)의 메모리에 전송된 오디오 데이터의 관리 처리도 행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이때, 퍼스널 컴퓨터(2)에서 행해지는 드랙 앤 드롭 조작은, 아이콘이나 선택 항목 등의 표시 대상물을 선택하고, 이것을 선택한 상태 그대로 이동하게 하여, 목적으로 하는 위치까지 이동한 후에, 해당 표시 대상물의 선택지시를 해제해서(표시 대상물을 떼어 놓음), 그 표시 대상물을 목적으로 하는 위치로 이동하게 하는 조작이다.
[IC 레코더(1)의 기본적인 구성에 대해]
다음에, 이 실시예의 IC 레코더(1)의 기본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이 실시예의 IC 레코더(1)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IC 레코더(1)는, 마이크로폰(10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이하, A/D 변환부라 약칭한다.)(102), 압축 처리부(103), 신장 처리부(104), 음성신호 처리부(105), 음성신호 출력단자(106), 제어부(110), 플래시 메모리(120), 키 인터페이스(이하, 키 I/F라 약칭한다.)(131), 조작부(132), 외부 I/F(133), 입출력 단자(134)를 구비한 것이다.
제어부(110)는, 이 실시예의 IC 레코더(1)의 각부를 제어하는 것으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PU(Central Processing Unit)(111), ROM(Read Only Memory)(112), RAM(Random Access Memory)(113),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114)이, CPU 버스(115)를 통해서 접속되어 구성된 마이크로 컴퓨터이다.
여기서, ROM(112)은, CPU(111)에서 실행되는 각종의 프로그램이나 처리에 필 요한 데이터가 기록된 것으로, RAM(113)은, 여러가지의 처리에 있어서 주로 작업 영역으로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EEPROM(114)은, 소위 불휘발성 메모리이고, 이 IC 레코더(1)의 전원을 떨어뜨려도 유지해 두어야 하는 데이터, 예를 들면 여러가지의 설정 파라미터 등을 기억 유지하는 것이다.
또한, 플래시 메모리(120)는, 주로 오디오 데이터를 유지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비교적 기억 용량이 큰 것이다. 그리고, 상세하게는 후술도 하지만, 이 플래시 메모리(120)에는, 입출력 단자(134)를 통해 접속되는 퍼스널 컴퓨터(2)의 외부 메모리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고, 퍼스널 컴퓨터(2)에 있어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가 미리 기록되어 있는 것이다.
즉, 플래시 메모리(120)는, 퍼스널 컴퓨터(2)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메모리이로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2)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오디오 데이터나 마이크로폰(101)에서 수음한 오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의 관리정보를 기억하는 관리 화일이 기억되는 것이다.
그리고, 조작부(132)의 녹음 키가 조작되면, 제어부(110)에 의해, A/D 변환부, 압축 처리부(103) 등의 입력계가 제어되고, 마이크로폰(101)에서 수음된 음성이 전기신호로 변환되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아날로그 음성신호)로서 A/D 변환부(102)에 공급된다.
A/D 변환부(102)는, 이것에 공급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이것을 압축 처리부(103)에 공급한다. 압축 처리부(103)는, 이것에 공급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디지털 음성신호)를 소정의 형식으로 데이터 압축해서 출 력한다. 압축 처리부(103)로부터의 압축 처리 후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는, 제어부(110)를 통해 플래시 메모리(120)에 기록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 I/F(133), 입출력 단자(134)는, 예를 들면 USB나 IEEE1394 등의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입출력 단자(134)에 접속되는 퍼스널 컴퓨터(2)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플래시 메모리(120)에 기록 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또한, 전술도 한 바와 같이, IC 레코더(1)의 플래시 메모리(120)는, 입출력 단자(134)를 통해 접속되는 퍼스널 컴퓨터(2)의 외부 메모리로서 취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래서, 이 실시예의 시스템의 퍼스널 컴퓨터(2)가, IC 레코더(1)의 플래시 메모리(120)에 저장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과 관리를 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면, 드랙 앤 드롭 조작이라는 간단한 조작으로 퍼스널 컴퓨터(2)의 하드디스크에 축적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를 IC 레코더(1)의 플래시 메모리(120)에 전송해서 카피할 수 있는 동시에, 그 재생 순번 등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정보를 형성하고, 이것을 플래시 메모리(120)에 형성하는 관리 화일로 관리할 수 있게 하고 있다.
그리고, 조작부(132)의 재생키가 조작되면, 제어부(110)에 의해, 신장 처리부(104), 음성신호처리(105) 등의 출력계가 제어되고, 플래시 메모리(120)에 기억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가 판독되며, 신장 처리부(104)에 공급된다. 신장 처리부(104)는, 이것에 공급된 오디오 데이터를 신장 처리하여, 압축 전의 오디오 데이터 를 복원하고, 이것을 음성신호 처리부(105)에 공급한다.
음성신호 처리부(105)는, 신장 처리부(104)로부터의 신장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거나, 제어부(110)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음질조정이나 음량조정을 시행하거나 해서, 처리 후의 음성신호를 출력 단자(106)를 통해 출력하도록 한다. 출력 단자(106)에는, 헤드폰이나 이어폰이 접속되고, 이것들을 통해 재생 음성을 청취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2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이 실시예의 IC 레코더(1)는, 동작 상태나 에러 메시지 등의 각종의 표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LCD(Liquid Crystal Display)도 구비한 것이다.
이렇게, 이 실시예의 IC 레코더(1)는, 마이크로폰(101)을 통해 수음한 음성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나 입출력 단자(134)에 접속된 퍼스널 컴퓨터(2)로부터의 오디오 데이터를 플래시 메모리(120)에 기록, 유지하고, 이것을 사용자에게서의 지시 에 따라 재생해서 출력 할 수 있는 것이다.
[퍼스널 컴퓨터(2)의 기본적인 구성에 대해]
다음에 이 실시예의 퍼스널 컴퓨터(2)의 기본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이 실시예의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있는 퍼스널 컴퓨터(2)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 실시예의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퍼스널 컴퓨터(2)는,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소위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이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200), 시스템 디스크(211), 콘텐츠 디스크(212), LCD 컨트롤러(221), LCD(222), I/F(231), 키 조작부(232), 마우스(포인팅 디바이스)(233), 외부 I/F(241), 입출력 단자(242), 통신 I/F(251), 접속단자(252)를 구비한 것이다.
제어부(200)는, 이 실시예의 퍼스널 컴퓨터(2)의 각부를 제어하는 것으로, CPU(201), ROM(202), RAM(203), EEPROM(204)이 CPU 버스(205)를 통해 접속된 마이크로 컴퓨터이다. ROM(202)은 CPU(201)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나 처리에 필요하게 되는 정보가 기록된 것이다. RAM(203)은, 주로 작업 영역으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EEPROM(204)은, 소위 불휘발성 메모리이고, 퍼스널 컴퓨터(2)의 전원이 떨어지게 되어도 유지해 두어야 할 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시스템 디스크(211), 콘텐츠 디스크(212)는, 어느 것도 대용량의 하드디스크이다. 그리고, 시스템 디스크(211)는, 예를 들면, 여러가지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나 폰트 데이터, 서식집 등을 기억 유지하는 것이다. 또한, 콘텐츠 디스크(212)는, 오디오 데이터나 비디오 데이터 등의 여러가지의 콘텐츠 데이터를 축적하는 것이다.
LCD(222)는, 비교적으로 큰 표시 화면을 구비한 것으로, 제어부(200)에 의해 제어되는 LCD 컨트롤러(221)의 제어에 의해, 여러가지의 표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키 조작부(232)는, 알파벳 키, 텐 키, 각종의 펑션 키를 구비한 소위 키보드로, 소위 마우스(233)는, 포인팅 디바이스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이들 키 조작부(232), 마우스(233)를 통해서 접수한 사용자에게서의 조작 입력은, I/F(231)를 통해서 제어부(200)에 통지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230)는, 사용자에게서의 조작 입력에 따라, 각부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 I/F(241), 입출력 단자(242)는, 전술한 IC 레코더(1)의 외부 I/F(133), 입출력 단자(134)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USB나 IEE E1394 등의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것으로, 이것을 통해서, 전술한 IC 레코더(1) 등과 접속할 수 있는 것이다.
통신 I/F(251), 접속단자(252)는, 예를 들면 전화망이나 케이블 텔레비전 망 등을 통해서 인터넷 등의 광역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전자우편의 주고받음이나 Web 페이지의 열람 등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실시예의 퍼스널 컴퓨터(2)는, 예를 들면, 통신 I/F(251), 접속(252)을 통해서, 인터넷에 접속하고, 인터넷 상의 콘텐츠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해 온 오디오 데이터나 비디오 데이터 등의 여러가지의 콘텐츠 데이터를 콘텐츠 디스크(212)에 축적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 실시예의 퍼스널 컴퓨터(2)는, 콘텐츠 디스크(212)에 축적된 여러가지의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동시에, 콘텐츠 디스크(212)에 축적된 오디오 데이터를 외부 I/F(241), 입출력 단자(242)를 통해서 접속되는 IC 레코더(1)의 메모리에 전송해서 카피하는 것 등도 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2)는, 외부 I/F(241), 입출력 단자(242)를 통해서 접속되는 IC 레코더(1)의 플래시 메모리(120)에 액세스할 수 있게 된다. 즉, 퍼스널 컴퓨터(2)는, 이것에 접속된 IC 레코더(1)를 자기의 외부 드라이브 장치로서 취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 실시예의 IC 레코더(1)의 플래시 메모리(120)에는, 퍼스널 컴퓨 터(2)로부터 IC 레코더(1)에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해서 관리하기 위한 소프트웨어가 미리 준비되어 있고, 퍼스널 컴퓨터(2)는, IC 레코더(1)의 플래시 메모리(120)에 준비되어 있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고, 오디오 데이터의 IC 레코더(1)로의 전송과 관리를 하게 되어 있다.
즉, 이 실시예의 퍼스널 컴퓨터(2)에는, 오디오 데이터를 IC 레코더(1)에 전송해서 관리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인스톨할 필요가 전혀 없다. 따라서, 이하에 상세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IC 레코더(1)의 접속이 가능한 퍼스널 컴퓨터이면, 어떤 퍼스널 컴퓨터라도, 그 퍼스널 컴퓨터에 축적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를 이 실시예의 IC 레코더(1)에 전송해서 카피하고, 관리 할 수 있게 된다.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과 관리를 행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해]
다음에, 전술한 IC 레코더(1)와 퍼스널 컴퓨터(2)로 구성되는 이 실시예의 시스템에 있어서, 퍼스널 컴퓨터(2)에 축적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를 IC 레코더(1)에 전송해서 카피하고, 관리하는 경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때,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취급하는 오디오 데이터는, MA3(MPEG-1 audio layer 3) 방식으로 데이터 압축된 것으로 설명한다.
도 4는, 이 실시예의 시스템에 있어서, 퍼스널 컴퓨터(2)로부터 IC 레코더(1)에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해서 관리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IC 레코더(1)와 퍼스널 컴퓨터(2)는, USB 혹은 IEEE1394 등의 소정의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접속된다. IC 레코더(1)와 퍼스널 컴퓨터(2)를 접속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IC 레코더(1)는, 퍼스널 컴퓨터(2)의 외부 드라이브 장치로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IC 레코더(1)는, 퍼스널 컴퓨터(2)에 대하여, 외부 드라이브 장치 E(Drive E:)가 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외부 드라이브 장치 E는, IC 레코더(1)의 플래시 메모리(120)이다. IC 레코더(1)의 플래시 메모리(120)(외부 드라이브 장치E)에는,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을 받아 저장하고, 이것을 관리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오디오 폴더(Audio Folder) AF가 미리 설치되어 있다.
이 오디오 폴더 AF 중에는,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되는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IC 레코더(1)에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해서 관리할 수 있게 하기 위해, 퍼스널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전송 프로그램)인 「MA3 manager.exe」가 생산시에 인스톨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서, 점선 화살표 AS1, AS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2)로부터 외부 드라이브 장치 E의 오디오 폴더 AF에 액세스하고, 「MA3 manager.exe」를 선택함으로써,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 관리 프로그램인 MA3 화일 매니저(MA3 file manager)를, 퍼스널 컴퓨터(2)에서 실행할 수 있게 된다.
퍼스널 컴퓨터(2)에서,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 관리 프로그램인 MA3 화일 매니저가 실행되면, 도 4b에 나타낸 오디오 폴더 AF 중의 관리 폴더 KF에 저장하게 되어 있는 재생순번 관리 리스트에 근거하여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IC 레코더(1)의 오디오 폴더 AF에 저장 완료한 오디오 데이터의 일람 리스트(저장완료 오디오 데이터 일람 리스트)가 퍼스널 컴퓨터(2)의 LCD(222)에 표시된다.
도 4c에 나타낸 저장완료 오디오 데이터 일람 리스트에 있어서, 선두에 +(플러스) 기호가 있는 행은, 앨범, 즉, 복수의 악곡의 오디오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폴더이고, +(플러스) 기호가 없는 행은, 악곡 단위의 오디오 데이터 화일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4c의 오디오 데이터 화일인 경우, 사용자가 임의로 여러가지 오디오 데이터 화일을 저장할 수 있다. 폴더인 「Free Folder 」가 있고, 이것에 계속해서, 「AlbumA(앨범 A)」, 「AlbumB(앨범 B)」, 「AlbumC(앨범 C)」, 「AlbumD(앨범 D)」, 「AlbumE(앨범 E)」 …이라 하는 순번으로,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 화일이 저장된 앨범(폴더)이 관리되고, 각 폴더 중에 있어서는, 「AlbumE」에 있어서, 「SongE1」, 「SongE2」, 「SongE3」 …이라 하는 바와 같이 악곡마다 오디오 데이터 화일이 관리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2)의 콘텐츠 디스크(202)에 저장되어 있는 도 4d에 나타내는 「AlbumF」 폴더의 전체를, 혹은, 「AlbumF」 폴더 중의 「SongF1」, 「SongF2」, …로 나타나는 오디오 데이터 화일 단체를, 도 4에서 점선 화살표 DD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4c에 나타낸 저장완료 오디오 데이터 일람 리스트에 대하여, 소위 드랙 앤 드롭 조작을 하도록 함으로써, IC 레코더(1)의 플래시 메모리(120)에 전송해서 저장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이 경우, 「AlbumF」 폴더나 오디오 데이터 화일의 저장완료 오디오 데이터 일람 리스트에서의 저장 위치(표시 위치)는, 저장완료 오디오 데이터 일람 리스트 상에 있어서 지정할 수 있게 된다. 이 저장 위치는, 재생 순번에 대응하는 것이다. 물론, 목적으로 하는 앨범의 목적으로 하는 악곡만을 재생하거나, 목적으로 하는 앨범의 목적으로 하는 악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재생하거나 할 수도 있게 되지만, 복수의 악곡을 순차적으로 재생하는 경우에는, 도 4c에 나타낸 일람 리스트의 표시순서에 대응하여 재생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또한, 상세하게는 후술도 하지만, 도 4c에 나타낸 저장완료 오디오 데이터 일람 리스트 상에 있어서, 저장 완료된 앨범 폴더의 이동이나 삭제, 저장 완료된 오디오 데이터 화일의 이동이나 삭제를 행할 수도 있게 하고 있다. 따라서, IC 레코더(1)의 사용자는, 퍼스널 컴퓨터(2)를 통해서 저장완료 오디오 데이터 일람표에서의 목적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표시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순서를 변경하는 것을 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또한, 도 4에서, 점선 화살표 DD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2)의 콘텐츠 디스크(202)에 저장되어 있는 「AlbumF」 폴더의 전체를, 혹은, 「AlbumF」 폴더 중의 「SongF1」, 「SongF2」, …로 나타나는 오디오 데이터 화일 단체를, 도 4b에 나타낸 「MA3 file manager 」 아이콘에 대하여 소위 드랙 앤 드롭 조작을 하게 함으로써, 그것들 「AlbumF」 폴더의 전체를, 혹은, 오디오 데이터 화일 단체를 IC 레코더(1)의 플래시 메모리(120)에 전송해서 저장하는 것도 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이 경우의 폴더나 화일의 저장 위치는, 전술한 도 4c에 나타낸 저장완료 오디오 데이터 일람 리스트에 대한 폴더나 화일의 전송인 경우와 달리, 저장완료 오디오 데이터 일람 리스트에서의 미리 정해진 위치가 된다. 예를 들면, 폴더의 전송 인 경우에는, 「Free Folder」의 다음에 또한 화일인 경우에는 「Free Folder」 중의 선두에 위치를 부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저장완료 오디오 데이터 일람 리스트를 형성하기 위한 재생순번 관리 리스트는, 저장완료 오디오 데이터 일람표가 변경될 때마다, 이것에 따라 갱신되고, 항상 최신의 저장완료 오디오 데이터 일람 리스트를 표시하거나, 또한, 사용자가 의도하는 순번으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거나 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 처리 및 관리 처리에 대해]
이하, 퍼스널 컴퓨터(2)로부터 IC 레코더(1)로의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 처리와 전송된 오디오 데이터의 관리 처리에 대하여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면서 설명한다.
[화일 단위의 전송에 대해]
도 5는, 오디오 데이터의 화일 단위의 전송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는, 퍼스널 컴퓨터(2)의 콘텐츠 디스크(202)에 저장되어 있는 「 AlbumF」 폴더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b는, 저장완료 오디오 데이터 일람 리스트이고, IC 레코더(1)의 플래시 메모리(120)에는, 「Free1」, 「Free2」, 「Free3」, 「Free4」, 「Free5」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5곡의 오디오 데이터 화일이 저장되게 되어 있는 「Free Folder」와, 2개의 앨범, 「AlbumXX」와 「AlbumYY」가 저장완료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5b에 나타낸 저장완료 오디오 데이터 일람 리스트 상에 있어서, 커서를 목적으로 하는 폴더, 이 예의 경우에는 「Free Folder」에 위치를 부여하 고, 예를 들면 더블 클릭하는 등의 소정의 조작을 함으로써, 그 폴더를 열고, 도 5b에서, 「Free1」, 「Free2」,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당 폴더에 포함되는 오디오 데이터 화일의 일람표시를 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5에서 화살표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2)의 콘텐츠 디스크(202)에 축적되어 있는 「AlbumF」 폴더의 오디오 데이터 화일 「SongF4」를 드랙 앤 드롭 조작(도 5에서는 드랙 & 드롭이라 기재.)에 의해 IC 레코더(1)의 플래시 메모리(120)에 전송하는 조작을 행한다.
즉, 「AlbumF」 폴더의 오디오 데이터 화일 「SongF4」 아이콘에 커서를 위치하여 선택하고, 그대로 저장완료 오디오 데이터 일람 리스트 상까지 오디오 데이터 화일 「SongF4」 아이콘을 이동하게 하여, 「SongF4」의 아이콘 위치에 따라 표시되는 목적위치 지시라인 LN이, 목적으로 하는 위치에 도달했을 때에, 「SongF4」 아이콘의 선택을 석방하는 조작을 행한다.
이에 따라, 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2)의 「AlbumF」 폴더에 저장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 화일인 「SongF4」를, IC 레코더(1)의 플래시 메모리(120)에 형성되어 있는 「Free Folder」의 오디오 데이터 화일 「Free4」와 「Free5」와의 사이에 카피할 수 있게 된다.
[폴더 단위의 전송에 대해]
도 6은, 오디오 데이터의 폴더 단위의 전송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는, 퍼스널 컴퓨터(2)의 콘텐츠 디스크(202)에 저장되어 있는 AlbumG 폴더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b는, 저장완료 오디오 데이터 일람 리스트로, IC 레코더(1)의 플래시 메모리(120)에는, 「Free Folder」와, 6개의 앨범, 「AlbumA」, 「AlbumB」, 「AlbumC」, 「AlbumD」, 「AlbumE」, 「AlbumF」가 저장완료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6에서 화살표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2)의 콘텐츠 디스크(202)에 축적되어 있는 「AlbumG」 폴더의 전체를 드랙 앤 드롭 조작(도 6에서는 드랙 & 드롭이라 기재.)에 의해 IC 레코더(1)의 플래시 메모리(120)에 전송하는 조작을 행한다.
즉, 「AlbumG」 폴더에 대하여 커서를 위치 부여해서 선택하고, 그대로 저장완료 오디오 데이터 일람 리스트 상까지 「AlbumG」 폴더 아이콘을 이동하게 하고, 「AlbumG」 폴더의 아이콘 위치에 따라 표시되는 목적위치 지시라인 LN이, 목적으로 하는 위치에 도달했을 때에, 「AlbumG」 아이콘의 선택을 석방하는 조작을 행한다.
이에 따라 도 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2)의 「AlbumG」 폴더의 전체를, IC 레코더(1)의 플래시 메모리(120)에 저장되어 있는 「AlbumE」와 「AlbumF」와의 사이에 카피할 수 있게 된다.
[계층구조를 갖는 폴더의 전송]
도 7은, 계층구조를 갖는 폴더의 전송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7b, 7c는, 퍼스널 컴퓨터(2)의 콘텐츠 디스크(202)에 축적되어 있는 「ArtistX(아티스트 X)」 폴더와, 이것과 계층적인 관계를 갖는 「1ST Album」 폴더와, 「2ND Album」 폴더와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7d는, 「ArtistX」 폴더가 전송되기 전의 저장완료 오디오 데이터 일람 리스트(IC 레코더(1)의 플래시 메모리(120)에 저장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의 일람표)의 상태를, 도 7e는, 「ArtistX」 폴더가 전송된 후의 저장완료 오디오 데이터 일람 리스트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그리고, 도 7e는, 「ArtistX」 폴더가 IC 레코더(1)에 전송되고, IC 레코더(1)의 플래시 메모리(120)에 저장된 상태의 상세를 나타내는 것이다.
여기서는, 퍼스널 컴퓨터(2)의 콘텐츠 디스크(202)에 축적되어 있는 「 ArtistX」 폴더를 IC 레코더(1)에 전송한다. 폴더의 전송을 위한 조작은, 도 6을 사용하여 설명한 경우와 완전히 같다. 즉, 「ArtistX」 폴더의 저장완료 오디오 데이터 일람 리스트에의 드랙 앤 드롭 조작에 의해,「ArtistX」 폴더를 IC 레코더(1)의 플래시 메모리(120)에 전송하고, 카피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도 7에 나타내는 예인 경우, 도 7a에 나타내는 「ArtistX」 폴더는, 오디오 데이터 화일 「SongA」, 「SongB」를 갖는 동시에, 「1ST Album」 폴더와 「2ND Album」 폴더를 갖는 것이다.「1ST Album」 폴더는,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디오 데이터 화일 「SongC」, 「SongD」, 「SongE」를 갖는 것이다. 또한, 「2ND Album」 폴더는, 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디오 데이터 화일 「SongF」, 「SongG」, 「SongH」를 갖는 것이다.
즉, 「ArtistX」 폴더는, 오디오 데이터 화일 「SongA」, 「SongB」 외에,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 화일을 관리 하에 놓는 「1ST Album」 폴더와 「2ND Album」 폴더를 관리 하에 두고 있고, 자기의 관리 하에 또 다른 폴더가 존재하는 계층구조 를 갖는 것이다.
그리고, 도 7a 및 도 7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rtistX」 폴더를 저장완료 오디오 데이터 일람 리스트 상까지 드랙해 가고, 저장완료 오디오 데이터 일람 리스트 상의 목적으로 하는 위치에서 드롭함으로써, 계층구조를 갖는 「ArtistX」 폴더를 IC 레코더(1)의 플래시 메모리(120)에 전송하고, 카피 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ArtistX」 폴더를 전송함으로써, 도 7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장완료 오디오 데이터 일람 리스트의 「AlbumE」와 「AlbumF」와의 사이에, 「ArtistX」 폴더와, 이 「ArtistX」 폴더의 관리 하에 있는 「1ST Album」 폴더와 「2ND Album」 폴더와도 동시에 IC 레코더(1)의 플래시 메모리(120)에 전송해서 카피 할 수 있게 된다. 물론, 「ArtistX」 폴더 중의 오디오 데이터 화일 「SongA」, 「SongB」도 IC 레코더(1)의 플래시 메모리(120)에 전송되고, 카피된다.
즉, 퍼스널 컴퓨터(2)의 「ArtistX」 폴더를 IC 레코더(2)에 전송해서 카피함으로써, 도 7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rtistX」 폴더의 관리화에 있는 오디오 데이터 화일 「SongA」, 「SongB」와, 「ArtistX」 폴더의 관리화에 있는 「1ST Album」 폴더의 관리화에 있는 오디오 데이터 화일 「SongC」, 「SongD」, 「SongE」와, 「ArtistX」 폴더의 관리화에 있는 「2ND Album」 폴더의 관리화에 있는 오디오 데이터 화일 「SongF」, 「SongG」, 「SongH」를 한쪽에 IC 레코더(1)의 플래시 메모리(120)에 전송해서 카피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이렇게, 이 실시예에서, 퍼스널 컴퓨터(2)로부터 IC 레코더(1)로의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은, 폴더 단위, 화일 단위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계층 구조를 갖 는 폴더인 경우에는, 그 폴더의 관리화에 있는 폴더의 화일에 대해서도 전송하고, 카피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또한, 재생순서도 고려해서 전송하고, 카피할 수 있게 하고 있다.
[IC 레코더(1)에 전송된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순의 관리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2)로부터 IC 레코더(1)의 플래시 메모리(120)에 전송해서 카피하도록 한 오디오 데이터의 관리방식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 도 9는, IC 레코더(1)에서의 오디오 데이터의 관리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는,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2)의 콘텐츠 디스크(202)에 축적되어 있는 「AlbumG」 폴더(도 8a)를, IC 레코더(1)의 플래시 메모리(120)에 형성되어 있는 오디오 폴더에 등록된 「MA3 file manager」에 대하여 드랙 앤 드롭 조작을 함으로써, 「AlbumG」 폴더를 플래시 메모리(120)에 전송해서 카피하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2)의 「AlbumG」 폴더를, IC 레코더(1)의 오디오 폴더에 등록된 「MA3 file manager」에 대하여 드랙 앤 드롭 조작을 함으로써, IC 레코더(1)에 전송해서 카피하도록 하면 「AlbumG」 폴더는, IC 레코더(1)의 플래시 메모리(120)에 전송되어 카피된다.
이 경우, 전송되어서 카피되는 오디오 데이터는, 도 8b, 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IC 레코더(1)의 플래시 메모리(120)에 형성되는 관리 폴더(이 예에서는 폴더 명 NW-MA3)에 저장되고, 동시에, 이 관리 폴더(NW-MA3)에 저장완료 오디오 데이터 일람 리스트를 형성하는 원데이터로서, 재생 순번을 관리하는 재생순번 관리 리스트(PBLIST1)가 형성된다.
이때,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리 폴더(NW-MA3)에는, PBLIST0도 형성되어 있다. PBLIST0과 PBLIST1은 동일한 내용을 갖는 것이지만, PBLIST0은, PBLIST1의 1개 전의 재생순번 관리 리스트이고, PBLIST1이 어떤 원인에 의해 깨져버린 경우에 사용하는, 말하자면 PBLIST1의 백업이다.
또한, 도 8c에 나타내는 관리 폴더(NW-MA3)에 있어서, 「mp0001.dat」, 「mp0002.dat」, 「mp0003.dat」, …의 각각이, 퍼스널 컴퓨터(2)로부터 전송되어 온 오디오 데이터 화일 (「SongG1」, 「SongG2」, 「SongG3」, …)이다.
그리고, 재생순번 관리 리스트인 PBLIST1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면 도 9에 나타내게 된다. PBLIST1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더 영역(영역)과 트랙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헤더 영역은, PBLIST1 자신의 헤더정보 영역(Header)과, 다수의 앨범정보 영역을 가지고 있다. 앨범정보 영역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앨범명 영역과 트랙 포인터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앨범명 영역은, 도 9에서, Album name1 area, Album name2 area, …이 나타내는 영역이고, 여기에는, 폴더명이 Album명으로서 저장된다. 또한 트랙 포인터 영역은, 도 9에서, Track Pointer가 나타내는 영역으로, 도 9에서 점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폴더의 관리 하에 있는 오디오 데이터 화일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트랙의 선두 어드레스가 저장된다. 이 앨범명 영역과 트랙 포인터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앨범정보 영역은, 각 폴더의 관리 하에 있는 오디오 데이터 화일의 얼 마 정도 형성된다.
그리고, 트랙 영역에는, 필터링한 후의 화일명(도 9에서는, mp0001.dat, mp0002.dat가 나타내는 정보.), 원래의 화일명(도 9에서는, SongG1, SongG2가 나타내는 정보.), ID3 태그 정보로부터 취득되는 타이틀(도 9에서는, tittle xxx가 나타내는 정보.), 아티스트명(도 9에서는, AAAAA가 나타내는 정보.)이 저장된다. 이때, ID3 태그 정보는, MP3 화일에 곡 이름이나 저작자, 음악 장르 등의 정보를 추가하기 위해 표준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포맷의 정보이다.
그리고, 어느 폴더(Album)의 어느 곡번째의 오디오 데이터의 화일명은 어느 것인지를 관련되게 하여 관리할 수 있고, 목적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신속하게 특정하여 재생하는 등을 할 수 있게 된다. 즉, 이 도 9에 나타내는 PBLIST1의 정보에 의해, 도 4∼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저장완료 오디오 데이터 일람 리스트를 작성하거나, 이 PBLIST1에 등록된 정보의 순번으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하거나 할 수 있게 된다.
[폴더나 화일의 삭제, 이동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퍼스널 컴퓨터(2)로부터 IC 레코더(1)에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해서 카피할 수 있지만, IC 레코더(1)에 전송한 폴더나 화일을 삭제하거나 이동하는 것도 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IC 레코더(1)의 플래시 메모리(120)에 저장된 폴더의 삭제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재생순번 관리 리스트(PBLIST1)에 근거하여 작성되고, 퍼스널 컴퓨터(2)의 LCD(222)에 표시되는 저장완료 오디오 데 이터 일람 리스트에 있어서,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삭제하려고 하는 폴더, 이 예의 경우에는 「AlbumA」에 커서 CS를 위치를 부여하고, 해당 일람 리스트의 좌측 하단에 표시되는 이레이즈(Erase) 아이콘 K1을 선택하면,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당 일람 리스트로부터는 AlbumA의 표시가 소거되고, 동시에 AlbumA에 관한 정보가 PBLIST1로부터 삭제된다.
이 경우에, AlbumA의 관리 하에 있는 모든 오디오 데이터 화일에 대해서도, 플래시 메모리(120)로부터 삭제하게 되고, 플래시 메모리(120)를 정리하고, 플래시 메모리(120)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IC 레코더(1)의 플래시 메모리(120)에 저장된 화일의 삭제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경우에는, 퍼스널 컴퓨터(2)의 LCD(222)에 표시되는 저장완료 오디오 데이터 일람 리스트에 있어서, 삭제하는 오디오 데이터 화일을 관리 하에 놓는 폴더, 이 예의 경우에는, 「AlbumA」에 커서를 위치 부여하고, 더블 클릭하는 등의 소정의 조작을 함으로써, 도 1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lbumA의 관리 하에 있는 오디오 데이터 화일의 일람을 표시하게 한다.
그리고, 목적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화일, 이 예에 있어서는 「SongA1」에 커서 CS를 위치 부여하고, 해당 일람 리스트의 좌측 하단에 표시되는 이레이즈(Erase) 아이콘 K1을 선택하면,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당 일람 리스트로부터는 오디오 데이터 화일 「SongA1」의 표시가 소거되고, 동시에 오디오 데이터 화일 「SongA1」에 관한 정보가 PBLIST1로부터 삭제된다.
이 경우에, 오디오 데이터 화일 「SongA1」 자체가, 플래시 메모리(120)로부 터 삭제되고, 플래시 메모리(120)를 정리하여, 플래시 메모리(120)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IC 레코더(1)의 플래시 메모리(120)에 저장된 폴더의 이동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경우에는, 퍼스널 컴퓨터(2)의 LCD(222)에 표시되는 저장완료 오디오 데이터 일람 리스트에 있어서, 이동하는 폴더, 이 예의 경우에는 「AlbumA」에 커서 CS를 위치 부여하고, 이 커서를 위치 부여한 「AlbumA」를 드랙 앤 드롭 조작해서 이동시킨다.
이 경우, 드랙 조작에 따라 이동하는 「AlbumA」에 대응하고, 위치지시라인 dtl이 표시된다. 이 위치지시라인 dtl을, 「AlbumA」를 이동시키는 이동 전에 위치를 부여하고, 드롭 조작함으로써, 도 1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Free Folder」와 「AlbumB」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었던 「AlbumA」를, 「AlbumD」와 「AlbumE」와의 사이에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이동 조작에 대응하여, 재생순번 관리 리스트의 내용을 갱신함으로써, 「AlbumA」의 관리 하에 있는 오디오 데이터 화일의 재생 순번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여기서는, 폴더인 「AlbumA」를 일람 리스트 내의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폴더를 다른 폴더 중에 이동시켜, 계층 구조를 가지도록 하는 것도 물론 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데이터 화일을 임의의 위치에 이동시킬 수도 있다. 오디오 데이터 화일의 이동의 경우에도, 목적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화일을 다른 폴더에 이동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이렇게,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폴더 단위, 화일 단위의 삭제, 이동이 가능하고, 사용자는, 퍼스널 컴퓨터(2)의 LCD(222)에 표시되는 저장완료 오디오 데이터 일람 리스트 상에서, 목적으로 하는 폴더나 화일에 대하여 드랙 앤 드롭 조작이라는 간단한 조작을 통해, IC 레코더(1)의 플래시 메모리(120)에 저장되어 있는 목적으로 하는 폴더나 화일의 삭제나 이동의 처리를 행할 수 있게 된다.
[시스템 동작의 정리]
다음에, IC 레코더(1)와 퍼스널 컴퓨터(2)로 이루어지는, 이 실시예의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도 13∼도 16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IC 레코더(1)와 퍼스널 컴퓨터(2)가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접속되고, IC 레코더(1)가 퍼스널 컴퓨터(2)의 외부 드라이브 장치로서 인식된 후, 퍼스널 컴퓨터(2)의 제어부(200)가, IC 레코더(1)의 플래시 메모리(120)에 설치되어 있는 오디오 폴더에 저장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 화일의 전송 관리 프로그램인 「MP3 file manager」를 판독해서 실행한 경우에, 도 13, 도 14에 나타내는 처리가, 퍼스널 컴퓨터(2)의 제어부(200)에서 실행된다.
이 경우, 퍼스널 컴퓨터(2)의 제어부(200)는, 외부 I/F(241) 등을 통해서 IC 레코더(1)의 플래시 메모리(120)에 형성되어 있는 재생순번 관리 리스트(PBLIST1)를 참조하고, 저장완료 오디오 데이터 일람 리스트를 작성하여, 이것을 LCD(222)에 표시한다(스텝 S101).
그리고, 퍼스널 컴퓨터(2)의 제어부(200)는, 키 조작부(232), 마우스(233)를 통해서, 사용자에게서의 조작 입력을 접수하고(스텝 S102), 조작 입력이 행해졌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 S103). 스텝 S103의 판단 처리에 있어서, 조작 입력은 행해지고 있지 않았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스텝 S102로부터의 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스텝 S103의 판단 처리에 있어서, 조작 입력이 행해졌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제어부(200)는, 접수한 조작 입력은, 퍼스널 컴퓨터(2)의 콘텐츠 디스크(202)에 축적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의 IC 레코더(1)의 플래시 메모리(120)로의 전송 지시(전송 조작)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 S104). 이 스텝 S104의 판단 처리는, 예를 들면 선택된 폴더나 화일의 소재에 의해 판단할 수 있다. 즉, 퍼스널 컴퓨터(2)의 콘텐츠 디스크(202)에 존재하는 폴더나 화일이 처리 대상인 경우에는, 전송 지시라 판단 할 수 있다.
스텝 S104의 판단 처리에 있어서, 접수한 조작 입력이, 퍼스널 컴퓨터(2)로부터 IC 레코더(1)로의 폴더나 화일의 전송 지시라 판단했을 때에는, 제어부(200)는, 전송 대상의 오디오 데이터의 형식의 체크를 행한다(스텝 S105). 이 스텝 S105의 형식의 체크는, 처리 대상의 오디오 데이터의 데이터 압축형식, 오디오 데이터의 비트 레이트, 그 밖의 여러가지의 확장자 등을 체크하고, 이 실시예의 IC 레코더(1)에 있어서 재생 가능한 것인지 아닌지를 체크하는 처리다.
그리고, 퍼스널 컴퓨터(2)의 제어부(200)는, 스텝 S105의 처리 결과에 근거하여 전송 대상의 오디오 데이터는, IC 레코더(1)에 있어서 재생가능한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스텝 S106), 재생가능하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불필요한 확장자를 떼어내는 등, 형식변환을 행하고, IC 레코더(1)의 플래시 메모리(120)에 형성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용 폴더(MP3 폴더)에 추가한다(스텝 S107).
이 후, 전송되고, IC 레코더(1)의 플래시 메모리(120)에 추가된 오디오 데이터에 따라, 재생순번 관리 리스트인 PBLIST1을 갱신하고(스텝 S108), 표시하고 있는 저장완료 오디오 데이터 일람 리스트의 표시를 추가 후의 상태로 변경하고(스텝 S109), 스텝 S102로부터의 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스텝 S106의 판단 처리에 있어서, 전송 대상의 오디오 데이터는, IC 레코더(1)에서는 재생 불능한 것이라 판단했을 때에는, 제어부(200)는, 재생 불가 메세지를 출력하도록 하고(스텝 S110), 전송 처리를 행하지 않고 스텝 S102로부터의 처리를 반복하게 한다.
또한, 스텝 S104의 판단 처리에 있어서, 접수한 조작 입력이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 지시가 아니라고 판단했을 때에는, 접수한 조작 입력은 이동 지시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 S111). 이 스텝 S111의 판단 처리는, 예를 들면 선택된 폴더나 화일의 소재에 의해 판단할 수 있다. 즉, IC 레코더(1)의 플래시 메모리(120)에 존재하는 폴더나 화일을 처리 대상으로 하는 드랙 조작인 경우에는, 이동 지시라 판단할 수 있다.
스텝 S111의 판단 처리에 있어서, 접수한 조작 입력이 이동 지시다라 판단했을 때에는, 제어부(200)는, 이동 위치에 따라, 그 이동 대상의 폴더나 화일에 대한 PBLIST1의 정보를 변경하고(스텝 S112), 이것에 따라, 저장완료 오디오 데이터 일람 리스트의 표시를 변경한다(스텝 S113). 이 후, 스텝 S102로부터의 처리를 반복하게 한다.
또한, 스텝 S111의 판단 처리에 있어서, 접수한 조작 입력이 이동 지시가 아니라 판단했을 때에는, 제어부(200)는, 도 14에 나타내는 스텝 S114의 판단 처리로 진행되고, 접수한 조작 입력은, 삭제 지시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 S114). 이 스텝 S114의 판단 처리에 있어서는, 저장완료 오디오 데이터 일람 리스트의 표시 화면의 좌측 하단에 표시되는 이레이즈(Erase)아이콘 K1이 선택된 것인지 아닌지에 의해, 오디오 데이터의 삭제 지시인지 아닌지를 판단 할 수 있다.
스텝 S114의 판단 처리에 있어서, 접수한 조작 입력이, 오디오 데이터의 삭제 지시라 판단했을 때에는, 제어부(200)는, 커서가 위치 부여되어 있는 폴더 또는 화일의 오디오 데이터를 PBLIST1로부터 삭제하는 처리를 행하고(스텝 S115), 삭제 후의 PBLIST1에 따라 최신의 저장완료 오디오 데이터 일람 리스트를 표시하여(스텝 S116), 스텝 S102로부터의 처리를 반복하게 한다.
또한, 스텝 S114의 판단 처리에 있어서, 접수한 조작 입력이, 오디오 데이터의 삭제 지시가 아니라 판단했을 때에는, 제어부(200)는, 접수한 조작 입력은,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 관리 처리의 종료 지시(처리 프로그램인 MP3 file manager의 종료 지시)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 S117). 이 스텝 S117의 판단 처리는, 저장완료 오디오 데이터 일람 리스트의 표시 화면의 우측 하단에 표시되는 이그젝트(Exit) 아이콘 K2가 선택된 것인지 아닌지에 의해, 오디오 데이터의 삭제 지시인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다.
스텝 S117의 판단 처리에 있어서, 접수한 조작 입력이 종료 처리라 판단했을 때에는, 사용하고 있었던 화일을 닫는 처리를 행하는 등의 종료 처리를 실행하고( 스텝 S118), 이 도 13, 도 14에 나타낸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스텝 S117의 판단 처리에 있어서, 접수한 조작 입력은 종료 지시가 아니라 판단했을 때에는, 도 13에 나타낸 스텝 S102로부터의 처리를 반복하게 한다.
이렇게, 이 실시예의 시스템에 있어서는, 퍼스널 컴퓨터(2)는,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되는 IC 레코더(1)를 외부 드라이버 장치라 간주하고, 퍼스널 컴퓨터(2)가 IC 레코더(1)의 플래시 메모리(120)에 준비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이나 관리를 행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며, 퍼스널 컴퓨터(2)를 통해, 퍼스널 컴퓨터(2)로부터 IC 레코더(1)에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IC 레코더(1)에 전송해서 플래시 메모리(12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순서의 변경이나 삭제 등을 하거나 하는 것을 비교적 간단하게 행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즉,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이나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은, IC 레코더(1)의 플래시 메모리(120)에 존재하므로,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이나 관리를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퍼스널 컴퓨터(2)에 인스톨해 놓을 필요가 없다. 따라서, IC 레코더(1)의 접속이 가능한 여러가지의 퍼스널 컴퓨터를 사용하여, 그 퍼스널 컴퓨터에 있는 오디오 데이터를 IC 레코더(1)에 전송해서 이용하거나, IC 레코더(1)에 전송해서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순서를 변경하거나, 또한, 불필요하게 된 화일을 삭제하거나 하는 것도 간단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이나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MP3 화일 매니저)은, 도 4에서는 오디오 폴더 AF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실체인 프로그램은 다른 폴더에 저장해 두고, 오디오 데이터 화일 이나 오디오 데이터 폴더가 전송되어 저장되는 폴더에는 그 숏컷(심볼·링크)을 저장해 둘 수도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실체인 프로그램은 1개만이라도 되고, 사용자의 이용 형태에 따라 복수의 폴더에 그 숏컷을 작성해도, 많은 기억용량을 요하지 않고 실장할 수 있다.
[처리의 변형예]
이때,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IC 레코더(1)의 플래시 메모리(120)의 오디오 폴더 AF에 대하여, 오디오 데이터 화일이나 오디오 데이터 폴더가 전송되어 저장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고 생각된다. 예를 들면, 후에 PBLIST1에 전개하고자 생각하고, 간단히, 오디오 폴더에 오디오 데이터의 카피만을 행할 경우도 생각된다.
이러한 경우로서,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 관리용의 처리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오디오 폴더 AF에 PBLIST1로의 미전개의 오디오 데이터가 존재한 경우에는, 그 미전개의 오디오 데이터를 PBLIST1에 자동적으로 전개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5는, 오디오 데이터의 PBLIST1로 자동 전개를 행하도록 하는 경우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다. 이 도 15에 나타내는 스텝 S201로부터 스텝 S204의 처리는, 도 13에 나타낸 스텝 S101의 전단에서 행하게 되는 처리다.
즉, 전술도 한 바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2)에 있어서, IC 레코더(1)의 플래시 메모리(120)에 준비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 관리용의 프로그램(MP3 file manager)이 실행되면, 퍼스널 컴퓨터(2)의 제어부(200)는, 우선, IC 레코더(1)의 플래시 메모리(120)의 오디오 폴더 AF를 참조하고, PBLIST1에 전개하고 있지 않은 오디오 데이터(MP3 데이터)가 유지되어 있는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 S201).
스텝 S201의 판단 처리에 있어서, PBLIST1에 전개하고 있지 않은 오디오 데이터(MP3 데이터)가 유지되어 있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제어부(200)는, 미전개의 오디오 데이터의 PBLIST1로의 전개를 행할 것인지 아닌지의 확인 입력을 접수한다(스텝 S202). 그리고, 전개 지시(추가 지시)를 접수한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스텝 S203), 전개 지시를 접수했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오디오 폴더 AF에 유지되어 있는 미전개의 오디오 데이터(MP3 데이터)를 PBLIST1에 추가하는 처리를 행하고(스텝 S204), 이 후, 도 13, 도 14를 사용하여 설명한 처리가 행하게 된다.
또한, 스텝 S201에서, 오디오 폴더에 미전개의 오디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및 스텝 S203의 판단 처리에 있어서, 미전개 오디오 데이터의 전개 지시(추가 지시)가 이루어져 있지 않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도 13에 나타낸 스텝 S101로부터의 처리가 행하게 된다.
이렇게 한 경우에는, 처리 시간 등이 없기 때문에, 후에 PBLIST1에 전개하고자 생각하고, 오디오 폴더 AF에 비축해 둔 오디오 데이터를 시간을 들이지 않고 PBLIST에 전개하여, 이것을 재생하는 등 해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 관리 처리를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인 「MP3 file manager」의 종료시에, 퍼스널 컴퓨터(2)로부터의 IC 레코더(1)의 디테치(detach) 처리를 행하게 할 수도 있다. 도 16은, IC 레코더(1)의 디테치 처리를 행하게 하는 경우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다.
도 16에서, 스텝 S301로부터 스텝 S304의 처리는, 도 14에 나타낸 스텝 S117의 판단 처리에 있어서, 종료 지시를 접수했다고 판단한 경우에 행해지게 된다. 즉, 스텝 S117의 판단 처리에 있어서, 사용자에게서의 조작 입력이 종료 지시라 판단했을 경우에는, 제어부(200)는, 우선 저장완료 오디오 데이터 일람 리스트의 표시를 종료하고(스텝 S301), IC 레코더(1)를 퍼스널 컴퓨터(2)로부터 떼어내는지 아닌지의 확인 입력을 접수한다(스텝 S302).
그리고, 떼어낼 것을 지시하는 확인 입력을 접수한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스텝 S303), 떼어내는 것을 지시하는 확인 입력을 접수했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IC 레코더(1)의 디테치 처리, 즉, 퍼스널 컴퓨터(2)와 IC 레코더(1)와의 각각에서의 접속확인정보를 클리어 하는 등의 처리를 행하고, 접속 관계를 해소하게 하여, IC 레코더(1)와 퍼스널 컴퓨터(2)와의 접속을 안전하게 분리할 수 있게 하고(스텝 S304), 도 13, 도 14에 나타낸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스텝 S303의 판단 처리에 있어서, 제거하는 것을 지시하는 확인 입력을 접수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스텝 S304의 디테치 처리는 행하지 않고, 도 13, 도 14에 나타낸 처리를 종료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신속 또한 안전하게 IC 레코더(1)를 퍼스널 컴퓨터(2)로부터 떼어내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 관리 처리를 일시 중단하고, 후에 재개하는 경우에는, IC 레코더(1)와 퍼스널 컴퓨터(2)의 접속 관계를 유지해 두고,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 관리 처리를 종료시키게 할 수 있다.
[저장완료 오디오 데이터 일람 리스트의 표시 형태의 변형예]
도 17은, 저장완료 오디오 데이터 일람 리스트의 표시 형태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예를 들면 저장완료 오디오 데이터 일람 리스트는, 보통, 도 1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2)의 LCD(222)의 표시 화면의 일부에 표시된다. 이것을 최대화해도, 종래는, 저장완료 오디오 데이터 일람 리스트의 1화면만이 커질 뿐이다.
그러나, IC 레코더(1)의 플래시 메모리(120)의 기억 용량도 커져 있고, 다수의 오디오 데이터 화일을 기록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래서, 도 1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장완료 오디오 데이터 일람 리스트가 최대화되었을 경우에는, 복수화면 AR1, AR2, AR3을 갖도록 최대화 표시처리를 행하게 한다.
이렇게, 퍼스널 컴퓨터(2)의 LCD(222)의 표시 화면에, 복수화면(복수표시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저장완료 오디오 데이터 일람 리스트를 표시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저장완료 오디오 데이터 일람 리스트의 일람성을 향상시켜,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이나 관리를 행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이때, 도 1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화면 AR1, AR2, AR3을 표시하게 한 경우에, 각 화면 AR1, AR2, AR3의 표시난에 앨범명이나 화일명을 전부 표시할 수 없는 경우에는, 도 7b에서, 각 표시 화면 AR1, AR2, AR3의 하단에 표시되는 슬라이더 SR1, SR2, SR3을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각 화면 AR1, AR2, AR3의 표시 영역을 슬라이드시켜, 폴더명이나 화일명의 전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기타]
[전송시의 포맷 변환에 대해]
도 13, 도 14를 사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시스템에 있어서는, 전송하는 오디오 데이터가 IC 레코더(1)에서 재생 가능한 것인지 아닌지를 확인하고, 재생 가능한 것인 경우에는, 그 오디오 데이터를 IC 레코더(1)에서 재생하는 데도 적합한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게 하고 있다.
이렇게, IC 레코더(1)에 적합한 형식으로 오디오 데이터를 변환할 수 있게 해 놓음으로써, 전송 프로그램이 여러가지의 포맷에 대응할 필요가 없어지고, 전송 프로그램의 기능을 가볍게 할 수 있다. 즉,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가능한 범위에서, 그 상태로는 IC 레코더(1)에서 재생 불능인 포맷의 오디오 데이터라도, 포맷의 변환이 가능한 오디오 데이터인 경우에는, 포맷 변환을 행하여, IC 레코더의 플래시 메모리(120)에 전송하고, 카피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이 실시예에 있어서, IC 레코더(1)의 플래시 메모리(120)에 전송된 오디오 데이터는, IC 레코더(1)로밖에 재생할 수 없게 포맷 변환되므로, IC 레코더(1)의 플래시 메모리(12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가 다른 재생장치에 전송되어 이용되는 것을 방지 하는 것도 할 수 있게 된다. 즉, 소위 카피 가드 기능도 갖는 것이다.
[메모리 카드로의 적용에 대해]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IC 레코더(1)에 내장된 플래시 메모리(120)에 퍼스널 컴퓨터(2)에서 실행되는 전송 프로그램(MP3 file manager)을 인스톨해 두는 동시에, 플래시 메모리(120)에 오디오 데이터를 축적하고, 관리 화일인 재생순번 관리 리스트를 형성하게 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최근에 있어서는, 착탈 가능한 외부 메모리로서, 소위 메모리 카드의 착탈이 가능하게 된 IC 레코더도 제공되고 있다. 그래서, 장착된 메모리 카드를 자기의 메모리로서 이용 가능해고, 또한,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접속되는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경우에는, 해당 메모리 카드에 퍼스널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전송 프로그램(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MP3 file manager)을 생산시에 인스톨해 두고, 해당 메모리 카드에 오디오 데이터를 축적하는 동시에, 관리정보인 PBLIST를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렇게, 메모리 카드에 전송 프로그램을 인스톨해 두고, 또한 오디오 데이터를 축적하는 동시에, 관리정보를 형성하도록 한 경우라도, 전술한 내장의 플래시 메모리(120)에 대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고, 관리하는 경우와 동일하게 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고, 관리할 수 있다.
[오디오 데이터 이외에의 이용에 대해]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오디오 데이터를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IC 레코더에 전송하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최근에 있어서는, 비교적 큰 LCD나 유기 EL 등의 표시 소자를 구비한 휴대전화단말이나 휴대 텔레비전 등도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휴대전화단말이나 휴대 텔레비전에, 비교적 기억 용량이 큰 플래시 메모리가 내장되어 있는 경우나, 메모리 카드의 장착이 가능할한 경우에는,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AV 데이터(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동기를 하여 재생하도록 하는 데이터)나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고, 관리하기 위한 전송 프로그램을, 휴대전화단말이나 형태 텔레비전 등에 내장된 플래시 메모리나 착탈 가능한 메모리 카드에 미리 인스톨해 둔다.
그리고, AV 데이터나 비디오 데이터를,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해당 플래시 메모리나 메모리 카드에 전송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해 두고, 이것을 재생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오디오 데이터, AV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외, 텍스트 데이터나 프로그램도, 퍼스널 컴퓨터에 접속 가능한 기록재생장치의 내장 메모리나 착탈 가능한 메모리 카드에 미리 저장된 프로그램을 퍼스널 컴퓨터측에서 실행하고, 전송해서 관리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오디오 데이터나 AV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등의 여러가지의 데이터의 기록과 재생이 가능한 여러가지의 기록재생장치에 적용 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오디오 데이터는, MP3 방식으로 데이터 압축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TRAC나 그 외의 데이터 압축방식으로 데이터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전송해서 관리하는 것도 할 수 있다. 즉, 오디오 데이터의 압축 방식은, IC 레코더(1)로 처리 가능한 것이면 된다.
따라서, AV 데이터나 비디오 데이터를 취급하는 경우에도, 기록재생장치에서 취급하는 것이 가능한 여러가지 데이터 압축방식으로 압축된 데이터를 취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송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메모리와, 오디오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와, 관리정보(PBLIST)를 기억하는 메모리는, IC 레코더에 내장된 플래시 메모리(120)를 사용하도록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퍼스널 컴퓨터 등의 기기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메모리가 복수 있으면, 이것을 나누어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보처리장치로부터 기록재생장치에 정보신호를 전송해서 관리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정보처리장치에 미리 인스톨해서 둘 필요가 없고, 기록재생장치의 접속이 가능한 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 기록재생장치의 메모리에 준비되어 있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고, 정보신호의 기록재생장치에의 전송과, 전송한 정보신호의 관리를 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정보처리장치로부터 기록재생장치로의 정보신호의 전송은, 화일 단위 또는 폴더 단위로 행할 수 있게 되고, 사용자가 의도하는 형태로 정보신호를 전송해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기록재생장치에 전송한 정보신호의 이동이나 삭제를 행할 수 있고, 재생 순서를 변경하거나, 불필요한 정보신호를 정리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기록재생장치의 데이터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9)

  1. 정보처리장치와의 접속단과,
    상기 접속단에 접속된 상기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액세스 가능하고, 상기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정보신호를 전송해서 관리하기 위해, 상기 정보처리장치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가 기록된 메모리와,
    상기 정보처리장치에서 실행되는 상기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상기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정보신호를 기억하는 데이터 메모리와,
    상기 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 실행되는 상기 소프트웨어에 의해 형성되는 관리정보로서, 상기 데이터 메모리에 기록된 상기 정보신호의 관리정보를 기억하는 관리 메모리와,
    상기 관리 메모리에 기억된 상기 관리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데이터 메모리에 기록된 상기 정보신호를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재생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는, 정보신호의 화일 단위로의 전송과, 복수의 화일을 포함하는 폴더 단위로의 전송과의 한쪽 또는 양쪽을 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는, 상기 데이터 메모리에 기록된 상기 정보신호의 재생 위치의 이동 처리와, 상기 데이터 메모리에 기록된 상기 정보신호의 삭제 처리와, 상기 이동 처리나 상기 삭제 처리에 따른 상기 관리 메모리의 상기 관리정보의 변경 처리를 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4. 기록재생장치가 정보처리장치로부터 1개 이상의 정보신호의 제요를 받고, 이것을 사용자가 의도하는 순번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정보전송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상기 기록재생장치의 메모리에, 상기 정보처리장치에서 실행되고, 상기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정보신호를 전송해서 관리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기록해 두며,
    상기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상기 기록재생장치의 상기 메모리에 액세스해서 상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고, 상기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상기 기록재생장치의 데이터 메모리에 정보신호를 전송하며,
    실행된 상기 소프트웨어에 의해, 상기 데이터 메모리에 전송된 상기 정보신호에 관한 관리정보를 상기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상기 기록재생장치의 관리 메모리에 형성하고,
    상기 기록재생장치에서, 상기 관리 메모리에 기억된 상기 관리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데이터 메모리에 기록된 상기 정보신호의 재생을 행할 수 있게 하는 정보전송 관리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는, 정보신호의 화일 단위로의 전송과, 복수의 화일을 포함하는 폴더 단위로의 전송과의 한쪽 또는 양쪽을 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전송 관리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는, 상기 데이터 메모리에 기록된 상기 정보신호의 재생 위치의 이동 처리와, 상기 데이터 메모리에 기록된 상기 정보신호의 삭제 처리와, 상기 이동 처리나 상기 삭제 처리에 따른 상기 관리 메모리의 상기 관리정보의 변경 처리를 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전송 관리방법.
  7. 기록재생장치에 장전되어 사용되는 재기록 가능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기록재생장치에 장전된 상태에서, 혹은, 소정의 어댑터 장치에 장전된 상태에서, 상기 기록재생장치 혹은 상기 어댑터 장치와 접속되는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액세스 가능하고, 상기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정보신호를 전송해서 관리하기 위해, 상기 정보처리장치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가 기록된 기억 영역과,
    상기 정보처리장치에서 실행되는 상기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상기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정보신호를 기억하는 데이터 영역과,
    상기 정보처리장치에서 실행되는 상기 소프트웨어에 의해 형성되는 관리정보로서, 상기 데이터 영역에 기록된 상기 정보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관리정보를 기억하는 관리 영역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는, 정보신호의 화일 단위로의 전송과, 복수의 화일을 포함하는 폴더 단위로의 전송과의 한쪽 또는 양쪽을 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는, 상기 데이터 메모리에 기록된 상기 정보신호의 재생 위치의 이동 처리와, 상기 데이터 메모리에 기록된 상기 정보신호의 삭제 처리와, 상기 이동 처리나 상기 삭제 처리에 따른 상기 관리 메모리의 상기 관리정보의 변경 처리를 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KR1020050023785A 2004-03-22 2005-03-22 기록재생장치, 정보전송 관리방법 및 기록매체 KR1011760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82975 2004-03-22
JP2004082975A JP2005267559A (ja) 2004-03-22 2004-03-22 記録再生装置、情報転送管理方法および記録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4573A true KR20060044573A (ko) 2006-05-16
KR101176022B1 KR101176022B1 (ko) 2012-08-24

Family

ID=34986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3785A KR101176022B1 (ko) 2004-03-22 2005-03-22 기록재생장치, 정보전송 관리방법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055362B2 (ko)
JP (1) JP2005267559A (ko)
KR (1) KR101176022B1 (ko)
CN (2) CN10038204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71193A (ja) * 2006-09-14 2008-03-27 Kenwood Corp 情報処理装置、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転送プログラム、コンテンツ再生プログラム、コンテンツ転送方法、及びコンテンツ再生方法
KR100849844B1 (ko) 2006-12-22 2008-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 앨범 구성 장치 및 방법과 앨범의 커버 이미지 관리장치 및 방법
US8107419B2 (en) * 2007-02-19 2012-01-31 Celtro Ltd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bandwidth utilization over a fixed network
JP2010097292A (ja) * 2008-10-14 2010-04-30 Canon Inc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KR101810403B1 (ko) * 2011-05-13 2017-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주변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0055419B2 (en) 2012-02-03 2018-08-21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accessing documents from a computing device
AU2017439979B2 (en) * 2017-11-20 2021-10-28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dynamically displaying icon according to background imag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67832B2 (ja) * 1994-04-20 2003-11-17 ソニー株式会社 記録方法及び記録装置
JP3561029B2 (ja) * 1995-03-29 2004-09-02 株式会社東芝 映像記録再生装置
US6549942B1 (en) * 1995-05-25 2003-04-15 Audiohighway.Com Enhanced delivery of audio data for portable playback
CN1254877A (zh) * 1998-08-24 2000-05-31 世韩情报系统株式会社 一种具有多种功能的便携式mp3播放机
JP2000284997A (ja) 1999-03-30 2000-10-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バックアップ装置
JP3606109B2 (ja) * 1999-05-31 2005-01-05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記録再生情報管理装置および記録再生情報管理方法
JP4592844B2 (ja) * 1999-08-27 2010-12-08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再生装置、データ再生方法
AU1335401A (en) * 1999-11-02 2001-05-14 Iomega Corporation Portable audio playback device and removable disk drive
US6778346B2 (en) * 2000-03-30 2004-08-17 Sony Corpor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file managing method using the same
US6760721B1 (en) * 2000-04-14 2004-07-06 Real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metadata data
JP2002082825A (ja) * 2000-06-23 2002-03-22 Sharp Corp ファイル管理方法
US7373656B2 (en) * 2000-10-27 2008-05-13 Sandisk Il Ltd. Automatic configuration for portable devices
US20020133246A1 (en) 2001-03-02 2002-09-19 Hong-Kee Kim Method of editing audio data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and digital audio player
JP2002359810A (ja) 2001-03-06 2002-12-13 Konica Corp 電子カメラ
JP2003178017A (ja) 2001-09-17 2003-06-27 Anyone Kk プログラム内蔵のusbデバイス
JPWO2003025813A1 (ja) * 2001-09-18 2004-12-24 株式会社シュタルク コンテンツ配信用サーバ及びこれを備えた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EP1440402A1 (en) 2001-10-22 2004-07-28 Apple Computer, Inc. Intelligent synchronization for a media player
CN1452056A (zh) * 2002-04-17 2003-10-29 上海数字先锋超媒体电脑有限公司 一种mp3播放机
JP2004086617A (ja) 2002-08-27 2004-03-18 Workbit Corp バックアップ装置
KR100520115B1 (ko) * 2002-12-27 2005-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레이리스트 관리 장치 및 방법
US20050015540A1 (en) * 2003-07-18 2005-01-20 Hung-Chou Tsai Auto-executable portable data storage device and the method of auto-execution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207430A1 (en) 2005-09-22
JP2005267559A (ja) 2005-09-29
KR101176022B1 (ko) 2012-08-24
US8055362B2 (en) 2011-11-08
CN1673977A (zh) 2005-09-28
CN100382046C (zh) 2008-04-16
CN101241468B (zh) 2012-07-11
CN101241468A (zh) 2008-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68420B (zh) 移动通信终端及控制其的方法
CN100549970C (zh) 通过播放列表执行音频/视频内容同步的方法和设备
JP5528661B2 (ja) メディアプレーヤーのためのインテリジェントなシンクロ操作
US10536336B2 (en) Remotely configured media device
CN101059813B (zh) 文件管理装置、文件管理方法和程序
JP4695653B2 (ja) メディア・プレーヤとホスト・デバイスとの間のワイヤレス同期化
KR101176022B1 (ko) 기록재생장치, 정보전송 관리방법 및 기록매체
CN101097577B (zh) 文件管理装置和电子设备
US78703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ata of a portable device using a virtual device for the portable device, and a user interface method using the same
EP1932088B1 (en) A recycle bin function
US20070156779A1 (en) Synchronizing Media Within A Portable Device
KR101255690B1 (ko) 데이터 처리 방법, 휴대형 재생 장치 및 컴퓨터
US20070025197A1 (en) Information-processing apparatus, recording medium and information-processing method
US20080098034A1 (en) Method Of Updating Content Of A Portable Device
JP2002269952A (ja) オーディオ再生装置、情報処理装置、オーディオデータ管理方法及びコンテンツデータ管理方法
US2004007057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7200484A (ja) 再生装置およびデータ受信方法
JP2005196496A (ja) 電子音楽装置および同装置に適用され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364637B2 (en) File transmission system and file management method thereof
JP2006011749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6115004A (ja) 情報処理システム
JP2010073013A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およびサー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1612705A2 (en) Music content storage apparatus, system and method
KR20020082719A (ko) 데이터 파일 백업 장치 및 방법
JP4314804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