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3872A - 스피커 유닛을 탑재한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스피커 유닛을 탑재한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3872A
KR20060043872A KR1020050020476A KR20050020476A KR20060043872A KR 20060043872 A KR20060043872 A KR 20060043872A KR 1020050020476 A KR1020050020476 A KR 1020050020476A KR 20050020476 A KR20050020476 A KR 20050020476A KR 20060043872 A KR20060043872 A KR 20060043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air
duct
speaker
base refl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0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오 오사다
유타카 사토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3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38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2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nesting or stacking, e.g. shopping trolleys
    • B62B3/144Adaptations for transporting children; Mounting of toys for the children
    • B62B3/1452Safety bel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15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of the bass reflex type
    • H04R1/2819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of the bass reflex type for loudspeaker transdu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스피커 유닛을 탑재한 케이스(캐비닛) 내의 냉각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저음역도 양호하게 재생가능한 스피커 유닛을 탑재한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스피커 유닛(2)이 설치되는 캐비닛(1)에는, 2개 이상의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1in, 1out)가 설치된다.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 1out을, 송풍수단인 팬 유닛(3)에 의해, 스피커 캐비닛 (1) 내부의 공기의 배기용의 덕트로서 사용하고,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 1in을 흡기용의 덕트로서 사용하여, 스피커 캐비닛(1) 내부를 효율적으로 냉각하는 동시에, 베이스 리플렉스 효과도 활용할 수 있게 한다.
스피커 유닛, 전자기기, 케이스, 냉각, 저음역 재생,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 송풍수단

Description

스피커 유닛을 탑재한 전자기기{ELECTRONIC EQUIPMENT HAVING SPEAKER UNIT}
도 1은 본 발명의 스피커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스피커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자기기의 일 실시예를 적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전자기기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전자기기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낸 전자기기의 냉각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에 나타낸 전자기기의 냉각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전자기기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전자기기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전자기기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전자기기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종래의 베이스 리플렉스형 스피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에 나타낸 베이스 리플렉스형 스피커의 등가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에 나타낸 베이스 리플렉스형 스피커의 스피커 유닛의 최저 공진 주파수 f0과, 스피커 캐비닛의 공진 주파수를 구하는 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스피커 캐비닛 1in: 흡기용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
1out: 배기용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
2: 스피커 유닛 3: 팬 유닛
4: 앰프 회로 101a: 디스플레이부
101b: 케이스(캐비닛) 101c(1), 101c(2):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
102L, 102R: 스피커 유닛 103: 팬 유닛
101d(1)∼(5): 내장 전자회로
101e: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 개구부
101f: 케이스 배면
본 발명은, 스피커 장치, 기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의 다양한 표시 소자를 구비한 모니터 수상기나 라디오 수신기 등, 스피커 유닛이 탑재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스피커 장치는, 스피커 유닛의 진동판(콘)이 전후로 진동해서 공간으로 소밀파를 만들어 소리를 내지만, 콘이 앞으로 움직이면, 이 콘의 전방면의 공기는 빽빽해지고, 이 콘의 후면의 공기는 희박해져 정반대가 된다. 여기에서, 스피커 유닛은 콘이나 자기회로 부분으로 이루어진 것이며, 스피커 장치는, 스피커 유닛이 부착되는 스피커 캐비닛도 포함하는 전체를 의미하는 것이다.
그리고, 스피커 유닛을 배플에 부착하지 않고 울리면, 전후의 공기의 소밀의 상태가 서로 뒤섞여서 서로 상쇄되어, 소리가 안된다. 스피커 유닛을 전후의 위상의 반대의 소리가 혼합되지 않도록, 큰 배플에 부착하면 되지만, 낮은 주파수까지 유효한 배플은 거대한 것이 되어 실용적이지 않다.
따라서, 종래부터, 예를 들면, 도 1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스피커 유닛(901)의 콘의 뒤에서의 소리를 캐비닛(900)에 설치한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포트, 구멍(902)을 통해서 위상을 180도 반전시켜, 콘 앞의 위상과 동일하게 해서 출력하도록 하는 베이스 리플렉스형 스피커 캐비닛(bass-reflex type speaker cabinet)이 사용되고 있다. 이 베이스 리플렉스형은, 설계가 상당히 엄격하지만, 캐비닛을 밀폐형보다도 소형으로 할 수 있는 것, 저음재생이 밀폐형보다도 상당히 유리해하게 되는 것 등의 이점이 있다.
이때, 도 13a는, 베이스 리플렉스형 스피커 장치의 일례의 단면도이며, 도 13b는, 베이스 리플렉스형 스피커 장치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13에 나타낸 베이스 리플렉스형 스피커 장치의 등가회로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피커 유닛(901)의 최저 공진 주파수 f0와, 스피커 캐비닛(900)의 공진 주파수 f0b은, 도 15에 나타낸 (1)식, (2) 식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14에 있어서, Fv는 스피커 진동계에 가해지는 기진력, Ev는 보이스 코일에 가해지는 전압, B는 공극의 자속밀도, l은 보이스 코일의 길이, Rv는 보이스 코일의 직류저항, vd는 진동판의 속도, vp은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의 공기의 속도, m0는 스피커 진동계의 등가질량, s0은 스피커 진동계의 등가 스티프니스, r0는 스피커 진동계의 등가저항, sc는 캐비닛의 등가 스티프니스, vc는 캐비닛 내의 공기의 속도, ml은 덕트의 등가질량이다.
그리고, 베이스 리플렉스형 스피커 장치의 경우, 캐비닛에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를 설치하는 것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나중에 설명하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자기회로를 구성하는 요크의 근방에,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로서도 이용 가능한 통풍 덕트를 설치하고, 이 통풍 덕트를 출입하는 공기에 의해, 자기회로를 냉각하는 동시에, 베이스 리플렉스 효과도 얻을 수 있도록 한 베이스 리플렉스형 스피커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개평 6-233367호 공보
그런데, 스피커 장치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오디오 앰프가 필요해서, 이것은 보통 스피커 장치와는 별도로 두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오디오 시스템의 소형화나 공간절약화 등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서, 스피커 캐비닛 내에 오디오 앰프 등을 내장하도록 한 스피커 장치도 제공되고 있다.
또한, CRT나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소자를 구비한 텔레비전 수상기 등의 모니터 수상기 중에는, 그것의 케이스(캐비닛)에 스피커 유닛을 탑재하도록 한 것도 제공되고 있다. 이 경우에는, 모니터 수상기와는 별개로 스피커 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 편리하다.
그러나, 스피커 유닛 이외에 다양한 전기회로가 탑재되는 스피커 장치나 모니터 수상기 등에 있어서는, 내장된 전기회로로부터의 발열에 의해 스피커 유닛이 탑재된 케이스에 내부에 열이 틀어오기 때문에, 내부에 들어온 열을 효율적으로 밖으로 빼내도록 하는 연구가 필요하게 된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앰프 회로 등의 발열부에서 히트파이프나 열전도성이 좋은 재질 등을 사용해서 스피커 유닛이 탑재된 케이스(캐비닛) 내부의 열을 외부로 빼내는 것 등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기구가 복잡해지는 이외에, 비용이 높아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앰프의 출력 파워를 크게 하면 발열도 그것에 따라 커지므로, 앰프의 최대 파워가 제한되어, 그다지 큰 소리로 들을 수 없다는 문제도 있다.
따라서, 전술한 특허문헌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스피커 캐비닛에, 통풍로로서도 사용하고, 또한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로서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통풍 덕트를 설치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동일한 통풍 덕트 내를 공기가 나오거나 들어가는 것(가거나 오거나)만으로는, 효율적으로 내부를 냉각할 수는 없다. 특히, 각종의 전기회로가 탑재된 스피커 장치나 모니터 수상기 등의 전자기기의 경우에는, 통풍 덕트 내를 공기가 왔다갔다하는 것 만으로는, 내부의 충분한 냉각은 불 가능하다.
이상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베이스 리플렉스형 스피커 캐비닛의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를 유효하게 활용하여, 케이스(캐비닛) 내의 냉각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저음역도 양호하게 재생가능한 스피커 장치 등의 스피커 유닛을 탑재한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전자기기는,
스피커 유닛이 설치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에 배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와,
상기 캐비닛 내에 배치되고, 상기 캐비닛 내의 공기를,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 중에서 적어도 1개의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로부터 배출하도록, 직류의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기 위한 1개 이상의 송풍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전자기기에 따르면, 스피커 유닛이 설치되는 캐비닛에는, 2개 이상의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가 설치되지만, 그 중의 적어도 1개의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가, 송풍수단에 의해, 스피커 캐비닛 내의 공기의 배기용의 덕트로서 사용되고, 그 밖의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가 흡기용의 덕트로서 사용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캐비닛 내에 직류의 (일방향의)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여, 캐비닛 의 외부로부터 공기를 받아들이고, 캐비닛의 내부의 공기를 배기할 수 있게 함으로써, 캐비닛 내를 효과적으로 냉각 할 수 있는 동시에, 베이스 리플렉스 효과도 유지하여, 저음역 재생을 유리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한, 스피커 유닛을 구비한 전자기기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된 스피커 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스피커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스피커 장치를 그것의 방음면과 직교하는 면에서 절단하도록 했을 경우의 단면도(도 1a)과, 스피커의 정면도(도 1B)를 나타내고 있다.
도 1a, 도 1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스피커 캐비닛(1)에 스피커 유닛(2)을 설치하지만, 이 예의 경우에는, 스피커 유닛(2)을 사이에 끼워 대향하는 위치에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 1in, 1out을 설치하고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스피커 장치는, 2개의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를 설치하도록 한 것이다.
이 경우,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 1in과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 1out의 개구 부분의 면적과, 스피커 캐비닛(1)의 내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덕트부의 길이는, 도 13에 나타낸 종래의 베이스 리플렉스형 스피커 장치의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902)의 개구 부분의 면적과, 스피커 캐비닛(900)의 내부방향으로 형성되는 덕트부의 길이 와 같아지는 것 같이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이 도 1에 나타낸 스피커 장치의 등가회로도 마찬가지로 도 14에 나타낸 것이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스피커 장치의 경우에는, 도 1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스피커 캐비닛(1)의 내부로서,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 1out의 근방에 송풍 수단으로서의 팬 유닛(3)을 설치하고 있다. 이 팬 유닛(3)은, 도 1에 있어서 화살표로 나타낸 것과 같이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 1in의 개구부 방향으로 송풍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스피커 캐비닛(1) 내에, 화살표로 나타낸 것과 같이,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고, 결과적으로,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 1in을 흡기 전용의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로서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 1out를 배기 전용의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로서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있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낸 본 실시예의 스피커 장치에 음악 신호전압을 인가하면, 거기에 따른 전류가 흘러, 스피커 유닛(2)의 진동판으로부터 방사되는 음압과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 1in, 1out으로부터 방사되는 음압이 더해 합쳐져, 저음의 주파수 특성이 좋은 음성재생이 실현된다. 이때, 팬 유닛(3)을 사용하지 않으면,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 1in, 1out의 공기의 흐름(진동)은, 도 1a에 있어서, 화살표 Vac로 표시한 바와 같이 교류 성분(AC)뿐으로 된다.
그러나, 팬 유닛(3)을 사용하여,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 1out의 개구부 방향으로 송풍함으로써, 도 1a에 있어서 화살표 Vdc로 표시한 것과 같이, 2개가 있는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 중,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 1in으로부터는 스피커 캐비닛(1)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공기가 흐르도록 일정한 공기의 흐름을 제공하고, 또한 또 한쪽의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 1out으로부터는 그것의 흘러들어 온 만큼과 동량의 공기를 스피커 캐비닛(1)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에 흐르도록 일정한 공기의 흐름을 제공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 1in, 1out에 있어서의 공기의 흐름은, 팬 유닛(3)에 의한 공기의 흐름의 직류분(DC)에 음악신호에 의한 공기의 진동의 교류분(AC)이 중첩되어 흐르고 있는 상태가 된다. 이것은 도 14에 나타낸 등가회로에 있어서 AC 전류와 DC 전류가 중첩되어 흐르고 있는 것과 같은 의미가 된다.
이 경우,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에 직류의 공기를 흘려도, 베이스 리플렉스형 스피커 장치의 주파수 특성은, 직류의 공기를 흘리지 않을 때의 주파수 특성과 같아져, 특성에 변화를 주는 일은 없다. 즉, 복수로 나눈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에 직류의 공기를 흘려도, 스피커 캐비닛의 공진에 의해 저음재생 특성을 개선한다고 하는 베이스 리플렉스형 스피커 장치 특유의 효과는 마찬가지로 얻을 수 있다.
더구나, 스피커 캐비닛(1) 내에는, 외부의 새로운 공기를 흡기하여, 스피커 캐비닛(1) 내의 동량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 할 수 있으므로, 스피커 캐비닛(1) 내부를 효율높게 냉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베이스 리플렉스형 스피커 장치의 저음재생 특성의 개선이라고 하는 효과를 얻으면서, 스피커 캐비닛에 복수 배치된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에 직류의 공기를 흘림으로써, 스피커 캐비닛 내의 공기를 배출하고, 또한 외부의 공기를 스피커 캐비닛 내부에 받아들임으로써, 스피커 캐비닛 내부의 냉각을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스피커 캐비닛(1) 내에 앰프 회로(4) 등의 방열하는 전자회로가 내장되었을 경우에도, 방열 때문에 복잡한 구성으로 하거나, 비용을 상승시키거나 하지 않고, 스피커 캐비닛(1) 내의 온도상승을 억제하고, 앰프 회로(4)의 최대 파워를 억제하는 등의 대응을 취하지 않아도 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을 스피커 유닛을 탑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을 적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중에서, 도 3a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화면과 평행한 면에서 절단하도록 하고,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화면과는 반대측에서 보도록 한 경우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3b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디스플레이의 표시 화면과 직교하는 면에서 절단하도록 한 경우의 측면측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100)에는, 디스플레이부(101a), 스피커 캐비닛을 겸하는 전자회로 부분의 케이스(101b), 2개의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101c(1), 101c(2)), 복수의 전자회로(101d(1), 101d(2), 101d(3), 101d(4), 101d(5))가 설치된다. 또한, 스피커 캐비닛을 겸하는 케이스(101b)의 배면(101f)에는 스피커 유닛(102L, 102R)이 설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스피커 유 닛은 2개로 되어 있지만, 이것은 1개라도 다수라도 된다.
또한, 케이스(101b)의 내부에는, 직류의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기 위한 팬 유닛(103)이 설치되어 있다. 팬 유닛(103)은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 101c(2)의 개구부(101e)에 대향해서 배치되어 있어, 팬 유닛(103)으로부터 공기가 흘렀을 때,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 101c(2)을 통해서 외부에 공기가 흘러 나오게 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 101c(2)의 개구부 101e와 팬 유닛(103)은, 밀착되지 있지 않고, 어느 정도는 떨어져서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베이스 리플렉스 효과를 손상할 일이 없도록 하고 있다.
스피커 유닛(102L, 102R)은, 케이스(101b)의 배면(101f)에 부착되어 있고, 이 스피커 유닛(102L, 102R)과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101c(1), 101c(2))를 가지는 케이스(101b)와의 공진에 의해 종래의 베이스 리플렉스형 스피커 장치와 마찬가지로 저음의 재생 특성이 개선되고 있다.
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100)에는, 전술한 것과 같이, 영상이나 음성을 출력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동하기 위한 복수의 전자회로 101d(1), 101d(2), 101d(3), 101d(4), 101d(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전자회로 101d(1), 101d(2), 101d(3), 101d(4), 101D(5)에서는 발열이 있다.
이러한 경우, 보통적으로는, 도 4에 나타낸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200)의 케이스 201b와 같이 전자회로 201d(1), 201d(2), 201d(3), 201d(4), 201d(5)를 덮는 케이스 201b에는 무수한 공기 유통용의 구멍 201c를 설치함으로써, 케이스 내부에 열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전자회로 201d(1), 201d(2), 201d(3), 201d(4), 201d(5)에 설치된 히트싱크 등에 의해 전자회로 부분 201d(1), 201d(2), 201d(3), 201d(4), 201d(5)를 냉각하고 있다.
그러나, 도 3에 나타낸 이 제 2 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경우에는, 냉각용 공기구멍을 케이스(101b)에는 설치하지 않고, 팬 유닛(103)에 의해 케이스(101b) 내부의 공기(A)를 흡수하고, 팬 유닛(103)의 전방으로 밀어내도록 함으로써, 공기의 흐름(B)은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팬 유닛(103)과 대향하고 있는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 101c(2)의 개구부 101e에서 외부를 향해서 유출한다.
그러면, 케이스(101b)의 내부의 기압이 내려가, 또 한쪽의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 101c(1)을 통해 화살표 (C)와 같이 외부의 공기가 케이스(101b)의 내부에 유입한다. 이것에 의해 전자회로 부분 101d(1), 101d(2), 101d(3) 101d(4), 101d(5)에서의 발열에 의해 뜨거워진 내부의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고, 외부의 비교적 찬 공기가 내부로 들어가 내부를 냉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일련의 공기의 흐름 (A), (B), (C)는 항상 일정해서 변화하지 않고, 소위 직류의 공기의 흐름으로 말할 수 있다. 또한, 팬 유닛(103)은,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 101c(2)의 개구부 101e와는 밀착되어 있지 않고,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 101c(2)를 통과하는 공기가 교류적으로 진동하는 경우에는, 그것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상에 의해, 베이스 리플렉스형 스피커 장치의 특징인 스피커 유닛과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를 갖는 케이스(스피커 캐비닛)와의 공진에 의한 저음의 재생 특성의 개선 효과를 손상하는 않고,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를 통해서 직류의 공기를 흘림으로써, 케이스(101b)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고, 외부의 공기를 받아 들이는 것에 의해, 케이스(101b) 내부를 냉각할 수 있다.
이때, 도 3에 있어서는,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 101c는 2개소이지만, 이것은 유출된 공기 만큼만 외부에서 공기가 흘러 들어 오는 것이 가능해서, 베이스 리플렉터 덕트 토탈로서 저음의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으면, 본 실시예보다 많은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를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본 실시예에서는 2개소의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101c(1), 101c(2))에 대하여 팬 유닛(103)은 1개소이지만, 이것은 물론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 101c의 수와 동 수의 팬 유닛(103)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스피커 캐비닛으로서의 케이스(101b)에는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 101c 이외에 공기를 유통할 수 있는 부분은 없으므로, 복수개 있는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 101c 중에서 최저 1개소라도 팬 유닛(103)을 배치해서 능동적으로 공기를 이동할 수 있으면, 기압의 변화에 의해 다른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의 공기의 유통도 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변형예]
이하, 이 제 2 실시예의 몇개의 변형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때,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도면는,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해서, 스피커 유닛에 관해서는 생략하지만, 모든 변형예의 경우에도, 도 3에 나타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케이스에는 스피커 유닛이 설치되도록 되어, 케이스(캐비닛)를 베이스 리플렉스형 스피커 장치의 스피커 캐비닛으로서 사용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도 5는, 이 제 2 실시예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발열 부분(303a)을 가지는 회로부(303)를 내장한 전자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팬 유닛(302)의 팬을 회전시켜 송풍함으로써, 도 5에 있어서 화살표 (D), (E)로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케이스(301)에 배치된 2개의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301a)를 통해서 케이스(301)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하는 비교적 찬 공기(E)가 흐르는 방향으로, 회로부(303)의 발열 부분(303a)를 배치하여, 더욱 좋게 발열 부분(303a)을 냉각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때, 전술한 것과 같이, 도 5에는 스피커 유닛 등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지만, 기본적인 작용은, 도 3에 나타낸 경우와 같다.
도 6은, 이 제 2 실시예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케이스(401)에는 공기의 유입용의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401a)와 공기 배출용의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401b)가 가장 떨어진 위치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401) 내에는 각각 발열부를 가지는 복수의 전자회로(403, 404, 405)가 배치되어 있다. 이것의 발열부(403a, 404a, 405a)는 흡기용 덕트(401a)와 배기용 덕트(401b)를 연결하는 직선 상에 대략 직선 모양으로 배치되어 있다.
팬 유닛(402)의 팬을 회전시켜 송풍함으로써, 케이스(401) 내의 공기를 화살표 (F)로 나타낸 것과 같이 배출하면, 그것의 기압의 변화에 의해 외부에서 흡기용 덕트(401a)를 통해서 화살표 (G)와 같이 공기가 유입한다. 그 공기는 전자회로 403 의 발열부 403a를 냉각하면서 화살표 (H)와 같이 흐르고, 다음에 전자기기 404의 발열부 404a를 냉각하여 화살표 (I)와 같이 흐른다. 다음에 전자기기 405의 발열부 405a를 냉각해서 화살표 (J)와 같이 흘러, 팬 유닛(402)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에 따라, 케이스 내에 배치된 복수의 전자회로의 발열부를 냉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케이스(401) 내에 배치되는 전자회로(403, 404, 405)의 발열부(403a, 404a, 405a)가 발생하는 열량이 다른 경우도 있다. 그러나, 보다 많은 발열량을 발생하는 전자회로를 배기용의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401b) 측에 배치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냉각을 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케이스(401) 내에 배치되는 전자회로(403, 404, 405)의 온도를 막대그래프로 나타내는 동시에, 각 전자회로를 통과한 공기의 온도의 변화의 모양을 꺽은선 그래프(화살표)로 나타낸 것으로, 공기의 흐름의 방향은, 꺽은선 그래프의 화살표가 나타내는 방향이다.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전자회로(403, 404, 405)의 각 발열부(403a, 404a, 405a)의 온도가, 발열부(403a, 404a, 405a)의 순서로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케이스(401)의 외부에서 유입한 찬 공기(G)는, 우선 발열부 403a를 통과한다. 그 때, 발열부 403a를 냉각하고, 그 만큼 통과한 공기(H)의 온도는 도 7에서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승한다.
다음에, 공기는 발열부 404a를 통과하지만, 이때 발열부 404a의 온도가 발열부 403a를 통과한 공기(H)의 온도보다도 높아지고 있다고 하면 발열부 404a는 냉각 되고, 발열부 404a를 통과한 공기(I)의 온도는 더욱 상승한다. 다음에, 공기는 발열부 405a를 통과하지만 이때 발열부 405a의 온도가 발열부 404a를 통과한 공기(I)의 온도보다도 높아지고 있다고 하면 발열부 405a는 냉각되고, 발열부 405a를 통과한 공기(J)의 온도는 더욱 상승한다.
이와 같이, 각 전자회로의 발열부를, 발열온도가 낮은 순서로 공기의 흐름을 따라 나란히 배치하면 각 부에서 각각 발열부는 냉각되게 된다.
가령,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발열부 404a의 온도가 가장 높고, 다음에 발열부 403a의 온도가 2번째로 높고, 발열부 405a의 온도가 가장 낮은 경우,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발열부 403a, 발열부 404a를 통과한 공기가 발열부 405a의 온도보다 높아지는 것과 같은 경우에는, 발열부 405a를 냉각할 수 없게 되지만, 각 전자회로의 발열부는 냉각됨으로써, 그것의 온도의 상승이 억제되므로, 온도차의 순서로 배치되지 않고 있어도, 케이스(401) 내의 온도를 상승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는, 이 제 2 실시예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케이스(501)에 공기 정류판(501c, 501d)을 설치하고, 팬 유닛(502)의 팬을 회전시켜서 송풍함으로써 발생하는 공기의 흐름을 도시의 (K)→(M)→(N)→(O)→(L)과 같이 함으로써, 전자회로(503, 504, 505)의 발열부(503a, 504a, 505a)를 대략 직선 모양으로 배치하지 않아도 냉각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0은, 이 제 2 실시예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케이스(601)에는, 흡기용 덕트(601a), 배기용 덕트(601b), 공기정류판(601c)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치되어 있다. 팬 유닛(602)에 의해 공기가 덕트(601b)를 통해 화살표 (Q)와 같이 배출되면, 외기는 덕트(601a)에서 들어가, 화살표로 표시되는 공기의 흐름 (P)→(R)→(S)→(T)와 같이 흐른다. 전자회로(603, 604)의 발열부(603a, 603b, 604a, 604b)를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치하면, 전술한 공기의 흐름에 의해 이들 발열부는 모두 냉각되고, 뜨거워진 공기는 팬 유닛(602)에 의해 화살표 (Q)로 나타낸 것과 같이 배출된다.
이것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공기정류판(601c)을 설치함으로써, 흡기용 덕트(601a), 배기용 덕트(601b)를 스피커 캐비닛으로서의 케이스에 있어서 가장 먼 위치에 배치하지 않아도, 케이스 내에 배치된 복수의 전자회로의 발열부를 냉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1은, 이 제 2 실시예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부호 703은 집의 모식도이다. 옥내에 설치되는 예를 들면 대화면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701)와 같은 물건은, 도면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높이(길이)를 갖는 것이다. 그리고, 예를 들면 기온이 추운 지역 등에서, 실내에 난방 설비가 있는 경우, 실내의 상부에 비교적 온도가 높은 공기가 정체하고, 실내의 하부 부근에는 찬 공기가 정체한다. 이러한 장소에 도 11에 나타낸 것과 같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배치하는 것을 고려한 경우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701)의 하부는 찬 공기 내부에 놓여지고, 상부는 따뜻한 공기 안에 놓여지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를 스피커 캐비닛으로 되는 케이스의 상하(천지 방향)에 설치하도록 하고, 하측의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701a)를 흡기용으로, 상측의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701b)를 배기 덕트로서 설치하도록 한 것이, 도 11에 나타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701)이다. 따라서, 팬 유닛(702)은, 상측에 설치되는 배기용의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701b) 측에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외부에 있는 비교적 찬 공기를 흡입할 수 있어, 전자회로의 발열부를 냉각하는데에 형편이 좋다.
또한, 도 11에 나타낸 것과 같이, 흡기용의 덕트(701a)를 하부에 설치하고, 배기용의 덕트(701b)를 상부에 설치하면, 흡기용 덕트(701a)로부터 흡기된 공기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전자기기의 발열부에 의해 따뜻하게 되어 팬 유닛(702)에 의해 배기 덕트(701b)에서 배출된다. 이때, 케이스 내에서 따뜻해진 공기는 무게가 가벼워지므로 스스로 상승하려고 한다.
보통, 공기는 팬 유닛(702)에 의해 강제적으로 기기 밖으로 배출되지만, 정전일 때나 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후 등의 아직 내부의 발열부가 뜨거울 때에 전원이 끊긴 경우, 도 11에 나타낸 것과 같이, 흡기용의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701a)를 하부에 배기용의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701b)를 상부에 배치해 두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701)의 스피커 캐비닛으로서의 케이스 내에서 따뜻해지고 가벼워진 공기가 자연스럽게 상승해 배기용의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701b)에서 배출되게 된다.
이때, 배출된 만큼의 공기는 하부의 흡기 덕트에서 흡기되고, 이 공기가 다시 따뜻해져 상승되어 배출된다. 이것을 반복함으로써, 팬 유닛을 구동하는 것보다는 얼마 안되지만, 내외의 공기가 교체되어, 내부가 냉각된다. 즉, 플라즈마 디스 플레이 장치(701)의 이용후에 있어서도, 여열이 남은 케이스 내를 효율적으로 냉각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도 1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도 11에 나타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701)와 거의 마찬가지로 구성되지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측의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701b)를 흡기용, 하측의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701a)를 배기용 덕트로 하도록, 하측의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701b)의 근방에도 팬 유닛(802)을 설치해 둠으로써,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701)를 이용하지 않고 있은 경우에, 간단히 팬 유닛(802)만을 동작시키도록 하면, 실내의 공기에 흐름을 만들어, 실내의 온도를 균일하게 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써큐레이터와 같이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팬 유닛(802)을 조작시킴으로써,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701) 내의 냉각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발열부를 가지는 내장의 전자회로에 의해 구동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동하면서 팬 유닛(802)만을 구동하는 경우에는 하부의 배기 덕트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더욱 따뜻한 것이 되어, 더욱 일층의 실내의 기온의 교차를 균일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팬 유닛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701)의 상측의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701b)측에, 하측의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701a)측에도 설치하고, 이것들을 실온이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701)의 동작/비동작 등에 의해, 유저가 임의로 동작시키는 팬 유닛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하여도 물론 된다.
[정리]
상기한 바와 같이, 베이스 리플렉스형 스피커 장치의 인클로저가 되는 캐비닛에, 적어도 2개 이상의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와, 팬 유닛을 설치하고, 캐비닛 내에 직류의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여, 외기를 받아들이고, 내기를 배출함으로써, 공기 공진장치로서의 베이스 리플렉스형 스피커 장치로서의 주파수 특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 캐비닛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도입하여, 그 내부에 내장된 전자부품 또는 전자회로 등의 발열을 냉각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2개 이상 있는 복수의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 중에서,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의 총수와 동등하거나 그것보다 적은 수의 해당 팬 장치에 의해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 내부에 직류의 공기를 흘리는 것에 의해, 한쪽의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에 스피커 캐비닛의 내부에서 외부로의 직류의 공기의 배출을 행하고, 다른 쪽의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에는 스피커 캐비닛의 외부에서 내부로의 유입의 직류의 공기를 흘려보냄으로써, 캐비닛 내부를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또한, 팬 유닛이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의 공기구에 밀착하지 않는 구조로 함으로써, 베이스 리플렉스형 스피커 장치로서의 특성을 잃어버리는 일도 없다.
또한,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 중에서, 캐비닛 내부로의 공기의 유입용의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의 공기구의, 공기가 내부로 흘러 나가는 방향으로 내장하는 전자부품 등의 발열부를 배치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캐비닛 내부를 냉각할 수 있다.
또한, 캐비닛에 배치하는 공기 유입용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와 공기 배출용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를, 캐비닛의 가장 먼 위치에 배치하고, 해당 공기 유입용의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에서 유입한 공기가 해당 공기 배출용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에 겨우 도착할 때까지의 거리를 가능한한 크게 취하고, 복수의 전자부품 등의 발열체를 공기의 흐름을 따라 대략 직선 모양으로 배치하는 것에 의해, 복수의 전자부품 등의 발열체를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또한, 캐비닛 내부에 공기 정류판을 설치함으로써, 공기 유입용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에서 들어간 비교적 찬 공기가, 공기 배출용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에 겨우 도착할 때까지의 도중에, 공기를 일직선 모양 이외의 흐름으로 바꾸고, 복수의 전자부품 등의 발열체를 공기 유입용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와 공기 배출용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의 사이에 대략 직선 모양으로 배치하지 않고, 냉각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캐비닛 내부에 공기 정류판을 설치함으로써, 해당 스피커 캐비닛에 배치하는 공기 유입용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와 공기 배출용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를, 캐비닛의 가장 먼 위치에 배치하지 않고, 복수의 전자부품 등의 발열체를 냉각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복수의 전자회로 등의 발열체를, 캐비닛의 공기 유입용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로부터 공기 배출용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 까지의 사이의 공기의 흐름을 따라, 그것의 발열 온도가 낮은 순서로부터 높은 순서로 늘어 놓고, 외부에서 들어간 비교적 찬 공기를, 발열 온도가 비교적 낮은 물건으로부터 서서히 냉각하여, 효율적으로 캐비닛 내부를 냉각할 수 있다.
또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의 실내의 상하 방향에 걸쳐 비교적 큰 물건인 경우, 공기 유입용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를 캐비닛의 하부에 배치하여, 비교적 찬 하방의 공기를 흡기하고, 그 공기를 전자회로 등의 발열체의 냉각에 이용함으로써, 냉각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흡기용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와 배기용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 중에서, 흡기용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를 캐비닛의 하부에 배치하고, 배기용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를 캐비닛의 상부에 배치함으로써, 사용후에, 곧 전원을 끈 경우에도, 내부의 전자회로 등의 발열체에 의해 뜨거워진 공기의 상승에 의해, 상부에 배치된 배기용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에서 뜨거운 공기가 배출되어, 그 나간 공기를 보충하는 만큼, 하부에 배치된 해당 흡기용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에서 비교적 찬 외부의 공기를 흡기함으로써, 전자회로 등의 발열체를 냉각할 수 있다.
또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의 실내 상하 방향에 걸쳐 비교적 큰 물건인 경우, 흡기용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와 배기용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 중에서, 흡기용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를 캐비닛의 상부에 배치하고, 배기용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를 캐비닛의 하부에 배치함으로써, 실내 상부에 쌓인 따뜻한 공기를 상부의 흡기용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에서 빨아 들이고, 하부의 배기용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에서 배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실내의 상하 위치에 의한 공기의 온도차를 균일화하는, 소위 써큐레이터의 역할을 겸할 수 있다.
또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의 실내 상하 방향에 걸쳐 비교적 큰 물건인 경우, 해당 흡기용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와 배기용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 중에서, 흡기용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를 케이스의 상부에 배치하고, 배기용 베이스 리플렉 스 덕트를 케이스의 하부에 배치함으로써, 전자부품 등의 발열체에 의해 뜨거워진 공기를 하부에서 배출하여, 전술의 써큐레이터 효과에 덧붙여, 하부에서 배출하는 공기를 더욱 따뜻한 물건으로 하여 실내의 온도분포를 균일화시킬 수 있다.
또한, 팬 유닛은 케이스 내부에 수납되고, 더구나 비교적 소형의 것이므로, 팬 유닛의 팬의 회전음 등은 케이스 외부까지 새지 않아, 음성의 청취 환경을 손상시킬 일도 없다.
이때, 전술한 것과 같이,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의 수는, 2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흡기용의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와 배기용의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의 수는 동일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1개의 흡기용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를 설치하는 동시에, 2개의 배기용의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를 설치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팬 유닛도 적절한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흡기용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의 근방과, 배기용의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의 근방과, 흡기용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와 배기용의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 사이의 임의의 위치 등, 적정한 위치에 복수개 설치할 수 있다. 즉,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의 수와 팬 유닛의 수, 또한, 배기용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의 수와 흡기용의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의 수는, 설계에 따라 적절한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 발명을 스피커 장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라디오 수신기나 CD(Compact Disc), MD(Mini Disc), DVD(Digital Versatile Disc) 등의 다양한 재생장치 등의 스피커 유닛을 케이스 내에 내장하는 각종의 전자기기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베이스 리플렉스형 스피커 캐비닛과 동등한 저음 재생 주파수 성능을 유지한 채, 스피커 유닛이 설치되는 전자기기의 캐비닛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또한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받아들일 수 있으므로, 캐비닛 내를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어, 캐비닛 내부의 온도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앰프 내장형의 스피커에 필요했던 앰프 회로의 발열부로부터 히트파이프나 열전도성이 좋은 재질 등을 사용해서 스피커의 외부로 열을 빠져나가게 하는 것 등의 노력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스피커 유닛을 탑재하는 전자기기의 구성이 복잡해지지 않고, 또한 비용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모니터 수상기 등의, 스피커 유닛이 캐비닛 내에 탑재되는 각종의 전자기기에 적용함으로써, 전자기기의 캐비닛 내의 열을 방출하기 때문에, 캐비닛에 무수한 방열 구멍을 설치하는 것 등의 필요가 없어져, 캐비닛 내의 냉각을 위한 구조가 복잡해지거나, 비용상승을 초래하거나 하는 등의 불편함을 생기게 하는 일이 없다.
더구나, 케이스를 베이스 리플렉스형 스피커 캐비닛으로서 최대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저음 재생 성능이 각별히 좋아지고, 스피커 유닛을 탑재한 전자기기로서, 저음역을 개선한 전자기기를 실현할 수 있다.

Claims (8)

  1. 스피커 유닛이 설치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에 배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와,
    상기 캐비닛 내에 배치되고, 상기 캐비닛 내의 공기를,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 중에서 적어도 1개의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로부터 배출하도록, 직류의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기 위한 1개 이상의 송풍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1개 이상의 상기 송풍수단은, 상기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의 개구부에 밀착되어 있지 않은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수단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가 흐르는 선로 상에 탑재되는 전자회로의 발열부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4. 제 1항, 제 2항 또는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는, 흡기용이 되는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와 배기용이 되는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가, 상기 캐비닛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5. 제 1항, 제 2항, 제 3항 또는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내부의 직류의 공기의 흐름을 일직선 이외의 흐름으로 변화시키는 공기 정류판을, 상기 캐비닛 내부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6. 제 1항, 제 2항, 제 3항, 제 4항 또는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는 전자회로의 발열부를, 상기 캐비닛 내부에 형성되는 직류의 공기가 흐르는 방향으로, 발열온도가 높은 것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나란하게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7. 제 1항, 제 2항, 제 3항, 제 4항, 제 5항 또는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 중에서, 흡기용이 되는 상기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를, 사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하측이 되는 위치에 배치하 고, 배기용이 되는 상기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를, 사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상측이 되는 위치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8. 제 1항, 제 2항, 제 3항, 제 4항, 제 5항 또는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 중에서, 흡기용이 되는 상기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를, 사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상측이 되는 위치에 배치하고, 배기용이 되는 상기 베이스 리플렉스 덕트를, 사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하측이 되는 위치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20050020476A 2004-03-23 2005-03-11 스피커 유닛을 탑재한 전자기기 KR200600438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84024 2004-03-23
JP2004084024A JP3874117B2 (ja) 2004-03-23 2004-03-23 スピーカーユニットを搭載した電子機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3872A true KR20060043872A (ko) 2006-05-15

Family

ID=34858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0476A KR20060043872A (ko) 2004-03-23 2005-03-11 스피커 유닛을 탑재한 전자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77354B2 (ko)
EP (1) EP1581025A3 (ko)
JP (1) JP3874117B2 (ko)
KR (1) KR20060043872A (ko)
CN (1) CN167471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99737B2 (en) * 2006-05-05 2014-04-15 Meyer Sound Laboratories, Incorporated Cooling system for loudspeaker transducers
JP4333778B2 (ja) 2007-05-23 2009-09-16 船井電機株式会社 スピーカを内蔵した機器、液晶テレビジョン受像機
US8537537B2 (en) * 2009-06-08 2013-09-17 Logitech Europe S.A. Comfortable laptop computer stand
CN102143418B (zh) * 2011-02-18 2014-11-05 徐新国 空气对流式倒相音箱
KR101505538B1 (ko) * 2013-09-09 2015-03-24 오션기술 주식회사 방열 기능을 갖는 조명 일체형 스피커 모듈
US10045461B1 (en) * 2014-09-30 2018-08-07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diaphragm cooling
KR20170115141A (ko) * 2016-04-04 2017-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CN109196880B (zh) * 2016-04-29 2021-09-10 柏林之声音频系统有限公司 用于扬声器的低音反射管
JP6641644B2 (ja) 2017-02-15 2020-02-0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スピーカボックスおよび投影装置
US10104761B1 (en) * 2017-06-27 2018-10-16 Bose Corporation Cooling techniques to improve thermal performance of electroacoustic device
FR3075546B1 (fr) * 2017-12-19 2020-09-11 Sagemcom Broadband Sas Enceinte acoustique de type bass-reflex
DE102019108423B4 (de) 2019-04-01 2021-08-05 Svetlomir Aleksandrov Lautsprecherbox und Lautsprecher
US11540417B2 (en) * 2019-08-14 2022-12-27 AAC Technologies Pte. Ltd. Sounding device and mobile terminal
US11665869B2 (en) * 2021-04-30 2023-05-30 Apple Inc. Internal component architecture for a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13281A1 (de) * 1981-04-02 1982-10-21 Standard Elektrik Lorenz Ag, 7000 Stuttgart Als bassreflexgehaeuse ausgebildete lautsprecherbox
JPS6374297A (ja) * 1986-09-17 1988-04-04 Mitsubishi Electric Corp スピ−カ−システム
US4811403A (en) * 1987-06-10 1989-03-07 U.S. Sound, Inc. Ultralight loudspeaker enclosures
JP2784830B2 (ja) * 1989-09-04 1998-08-06 ソニー株式会社 ヘッドフォン
WO1992006569A1 (en) * 1990-10-09 1992-04-16 Stage Accompany B.V. Electrodynamic loudspeaker with cooling arrangement
FR2668015B1 (fr) * 1990-10-16 1993-07-30 Piccfaluga Pierre Procede pour ameliorer la qualite de la restitution d'une ambiance sonore, et appareil de mise en óoeuvre comportant au moins un haut-parleur emettant dans trois directions.
JP3003329B2 (ja) * 1991-10-14 2000-01-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消音装置
JP2961996B2 (ja) * 1991-10-14 1999-10-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低騒音機器
JP3239509B2 (ja) 1993-02-03 2001-12-17 ソニー株式会社 バスレフ型スピーカーシステム
US5547272A (en) * 1995-04-24 1996-08-20 At&T Global Information Solutions Company Modular cabinet bezel
US5696357A (en) * 1995-08-25 1997-12-09 Polk Investment Corporation Bass-reflex loudspeaker
US5792999A (en) * 1997-01-23 1998-08-11 Bose Corporation Noise attenuating in ported enclosure
KR200197828Y1 (ko) * 2000-02-22 2000-09-15 주식회사일성 인터내셔날 퍼스널 컴퓨터용 스피커
US6390231B1 (en) * 2001-05-08 2002-05-21 Community Professional Loudspeakers Loudspeaker with directed airflow cooling
JP4086622B2 (ja) * 2002-03-11 2008-05-14 ローランド株式会社 スピー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277502A (ja) 2005-10-06
US20050211498A1 (en) 2005-09-29
EP1581025A3 (en) 2010-11-03
JP3874117B2 (ja) 2007-01-31
US7677354B2 (en) 2010-03-16
EP1581025A2 (en) 2005-09-28
CN1674717B (zh) 2011-05-25
CN1674717A (zh) 2005-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43872A (ko) 스피커 유닛을 탑재한 전자기기
EP0873595B1 (en) Loudspeaker thermal management structure
US11013101B2 (en) Cooling techniques to improve thermal performance of electroacoustic device
CN101088312A (zh) 设备壳体和包括所述设备壳体的计算机
US10419835B2 (en) Electronic device
JP5927539B2 (ja) 電子機器
US20100002385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ctive noise control and a port ending with curved lips
US20200314546A1 (en) Speaker box and speaker
US11683907B2 (en) Apparatus for cooling electronic circuitry
CN101542724A (zh) 脉动冷却系统
JP2005181319A (ja) 電子デバイスの環境影響の予測装置
JPH11112177A (ja) 電子機器の冷却装置
EP2168413A1 (en) Fan and storage device mounting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
JPH11122560A (ja) スピーカー振動防止装置を有するテレビ
US11665468B2 (en) Bass reflex type loudspeaker enclosure
US20110159955A1 (en) Flat screen game terminal
US7142683B1 (en) Computer with acoustic driver built into acoustically leaky chassis
JP2001346283A (ja) スピーカシステム
CN113079679B (zh) 一种散热结构及具有其的电子设备
US20230301015A1 (en) Apparatus for cooling electronic circuitry
JP3933561B2 (ja) 画像用プロジェクタ
JP4457414B2 (ja) 電子機器の放熱構造
CN114636275A (zh) 冰箱
JP2023117313A (ja) 冷蔵庫
JP2004327839A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