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3807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희망하는 프레임 에러율을 유지하도록 업링크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희망하는 프레임 에러율을 유지하도록 업링크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3807A
KR20060043807A KR1020050019890A KR20050019890A KR20060043807A KR 20060043807 A KR20060043807 A KR 20060043807A KR 1020050019890 A KR1020050019890 A KR 1020050019890A KR 20050019890 A KR20050019890 A KR 20050019890A KR 20060043807 A KR20060043807 A KR 20060043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ot
frame
signal
pilot signal
error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9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0972B1 (ko
Inventor
프란시스 도미니크
홍웨이 콩
헨리 후이 예
지아린 조우
Original Assignee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filed Critical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060043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3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0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0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2TPC of broadcast or control channels
    • H04W52/325Power control of control or pilot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4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54Signalisation aspects of the TPC commands, e.g. frame 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기지국(303)이 특정 프레임 에러율에 대응하는 희망 목표로 이동전화 단말의 파일럿 Eb/NO 레벨을 유지하기 위해, 기지국(303)이 이동국으로의 피드백을 위한 전력 제어 신호를 유도할 수 있는 각각의 전송된 프레임에 CRC를 내포하고 있는 이동전화 단말(301)로부터의 연속 채널이 없는 경우에 있어서, 기지국에 의해 수신된 이동전화 단말 자체로부터의 파일럿 신호는 프레임 포맷으로 배열된다. 각 파일럿 프레임은, 선험적으로 알려진 전송된 파일럿 신호 비트 패턴과 비교되어, 잘못 수신되었는지 결정된다. 수신된 파일럿 프레임과 파일럿 프레임의 예상된 알려진 비트 패턴의 비교에 응답하여, 설명된 실시예에서는, 이동전화 단말로 반송되어 그것의 전송된 파일럿 Eb/NO 레벨을 각각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스텝 업 또는 스텝 다운 신호 중의 하나인 에러 신호가 유도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희망하는 프레임 에러율을 유지하도록 업링크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PLINK POWER TO MAINTAIN DESIRED FRAME ERROR RATE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도 1은 희망하는 프레임 에러율(frame error rate)을 달성하도록 파일럿 Eb/NO 레벨을 제어하기 위해, FCH 내에 내포되어 있는 CRC가 이동전화 단말로의 피드백 신호를 유도하는 데 사용되는 종래 기술의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파일럿 Eb/NO 레벨과 프레임 에러율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FCH 상에서 희망하는 프레임 에러율을 달성하도록 파일럿 Eb/NO을 제어하기 위한 피드백 신호를 유도하는 데 사용되는 수신 파일럿 신호 자체로부터 프레임 에러 신호가 직접 유도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FCH 및 상이한 프레임 길이의 파일럿 프레임에 대한 파일럿 Eb/NO 레벨과 프레임 에러율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1: 이동전화 단말 302: 전파 채널
303: 기지국 310: 기본 채널(FCH)
311: 보조 채널(SCH) 312: 전용 제어 채널(DCCH)
313: 채널 품질 표시자 채널(CQICH) 314: 전송확인 채널(ACKCH)
315: 파일럿 채널 PICH 316: FCH 검출기/디코더
317: CQI 검출기 318: ACK 검출기
320: DCCH 검출기 321: PICH 프레임 검출기
322: 프레임 검사기 324: 다운링크 채널
323: 이동전화 목표 Eb/NO 설정 디바이스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전력을 제어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음성 통신만을 지원하는 종래 기술의 CDMA 무선 통신 시스템(도 1에 실례가 되도록 도시함)에서, 이동전화 단말(101)은 인코딩된 음성 신호 및 파일럿 신호를 전파 채널(102)을 통해 기지국 수신기(103)에 디지털 형태로 전송한다. 아날로그 음성은 이동전화 단말(101)에 의해 각 프레임에 순환 여분 코드(Cyclic Redundancy Code: CRC)를 내포하고 있는 고정된 프레임 포맷으로 기본 채널(Fundamental Channel: FCH)(104) 상에서 인코딩되어 전송된다. 고정된 비트 패턴으로 구성된 파일럿 신호가 파일럿 채널(Pilot Channel: PICH)(105) 상에서 송신된다. FCH 및 PICH는 코드 분할 다중화(CDM)되고, 상이한 왈시 코드의 사용을 통해 직교 상태를 유지한다. 기지국 수신기(103)에서, 파일럿 신호는 FCH의 검출에 이용된다. 또한, 이동전화 단말(101)에서, 파일럿 Eb/NO 레벨이라고 지칭되는 파일럿 신호의 전력 레벨과 FCH의 전력 레벨 사이에는 고정된 관계가 유지된다. 수신기에서, FCH 및 파일럿 신호가 수신 CDM 신호로부터 역다중화된 후, 채널 추정기(106)는 역다중화된 파일럿 신호에 대해 작용하고 FCH 검출기/디코더(110)에 의해 사용되어 종래에 잘 알려진 방식으로 FCH 채널 상에서 이동전화 단말에 의해 송신된 프레임 포맷된 인코딩된 음성 신호를 나타내는 프레임 포맷된 비트 스트림을 유도한다. 수신된 프레임에서의 CRC를 이용하여, CRC 검사기(107)가 수신 프레임과 수신 프레임의 CRC를 비교하여 프레임이 잘못 수신되었는지 아닌지를 결정한다. 그 후, 이동전화 목표 Eb/NO 설정 디바이스(108)가 비교에 응답하여 기지국(102)에 의해 이동전화 단말(101)로 전송된 스텝 업(step-up) 또는 스텝 다운(step-down) 신호를 다운링크 채널(109) 상에 유도한다. 프레임이 그것의 CRC 검사를 통과하면, 기지국(103)은 스텝 다운 신호를 이동전화 단말로 송신하여 파일럿 신호 Eb/NO 레벨을 감소시키고, 그와 동시에, 송신된 FCH의 전력 레벨을 감소시킨다. 이것은, 다른 이동전화 단말과의 간섭을 야기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높은 전력 레벨에서의 이동 단말에 의한 연속적인 전송을 완화한다. 수신 프레임이 그 CRC 검사에 실패한다면, 기지국 은 이동 전화 단말로 스텝 업 신호를 송신하여 그것의 파일럿 신호 Eb/NO 레벨을 증가시키고, 그에 따라, 또한, 송신된 FCH의 전력 레벨도 증가시킨다. 이것은, 기지국에 의해 정확히 검출하기에는 너무 낮은 전력 레벨로의 이동전화 단말에 의한 연속적인 전송을 완화한다.
도 2는 FCH 프레임 에러율(Frame Error Rate: FER)과 이동전화 단말(101)의 파일럿 Eb/NO 레벨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특정한 FER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동전화 단말의 Eb/NO 레벨은 그 특정한 FER에 대응하는 레벨에 있어야 한다. X의 전체적인 희망 FER을 달성하기 위해, step_down이 X△dB와 동일한 경우에는
Figure 112005012623272-PAT00001
과 같은 스텝 업 크기 step_up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전형적인 FER 10-2에 대해, step_up은 99 ×step_down에서 설정된다. △는 전형적으로 0.3과 1 사이의 값이다. 따라서, FER 10-2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대략 0.3dB와 1.0dB 사이인 대응 스텝 업 크기와 함께, 0.003dB와 0.01dB 사이의 전형적인 스텝 다운 크기가 사용된다.
CDMA2000 시스템에서, 이동전화 단말로부터 기지국으로의 전송을 위해 함께 코드 분할 다중화된 FCH 및 PICH 채널뿐 아니라, 이동전화 단말 코드 분할은,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전용 제어 채널(Dedicated Control Channel: DCCH),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보조 채널(Supplemental Channel: SCH), 다운링크 수신된 파일럿 세기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채널 품질 표시자 채 널(Channel Quality Indicator Channel: CQICH), 및 다운링크 상의 수신된 데이터 패킷이 성공적으로 디코딩되었는지를 기지국에 알리는 데 사용되는 전송확인 채널(Acknowledgement Channel: ACKCH)을 다중화한다. 마지막 2개의 채널은 다운링크 고속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는 데 사용되며, ACKCH는 이동전화 단말이 다운링크 상에서 임의의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을 때에는 뮤트(mute)된다. 패키지 데이터가 이동 단말에 의해 SCH 또는 DCCH 상에서 전송될 때, NULL 상태에서는 FCH를 유지하는 것은 이동전화 단말의 전력 리소스를 낭비하는 것이므로 FCH는 전력을 보존하도록 전송되지 않는다. 따라서, 피드백 신호가 이동전화 단말의 파일럿 Eb/NO 레벨을 제어한다는 것에 의거하면 FCH는 항상 유용한 것은 아니다. CRC를 사용하는 SCH 및 DCCH는 데이터가 그들 상에 전송되고 있을 때만 액티브 상태인 불연속 채널이고, 이에 따라, 이동전화 단말의 파일럿 Eb/NO 레벨을 제어하기 위한 피드백 신호를 유도하는 데 항상 유용한 것은 아니다. 코딩되지 않은 ACKCH는 이에 따라 CRC를 사용하지 않는다. 코딩된 CQICH는 CRC를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불연속적 FCH 및 불연속 DCCH 및 SCH와 함께, FCH 상에서 희망하는 전체적인 프레임 에러율을 달성하기 위해, 수신된 프레임과 그 관련 CRC의 비교에 응답하여 어떤 메커니즘도 이동전화 단말의 파일럿 Eb/NO 레벨을 위 또는 아래로 계속해서 조정하는 데에는 유용하지 않다. 이동전화 단말에 의해 전송된 모든 채널 레벨이 파일럿 Eb/NO 레벨을 참조하므로, 이에 따라, 기준 FCH에 대해 희망하는 프레임 에러율이 기지국에서 달 성되고 다른 채널이 그들의 대응하는 적절한 레벨로 유지되도록 파일럿 Eb/NO 레벨을 설정하고 유지하기 위한 메커니즘이 필요하다.
특정 프레임 에러율에 대응하는 희망하는 목표로 이동국의 파일럿 Eb/NO 레벨을 유지시키기 위해, 기지국이 이동국으로의 피드백을 위한 전력 제어 신호를 유도할 수 있는 각각의 전송된 프레임에 CRC를 내포하고 있는 이동전화 단말로부터의 연속 채널이 없는 경우, 기지국에 의해 수신된 이동전화 단말 자체로부터의 파일럿 신호는 피드백 전력 제어 신호로서 작용하는 에러 신호를 유도하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연속으로 수신된 디지털 파일럿 신호 비트 스트림 상에 고정된 크기의 프레임 구조가 이용된다. 그러면, 각 파일럿 프레임은 선험적으로 알려진 전송된 파일럿 신호 비트 패턴과 비교되어 잘못 수신되었는지 결정된다. 수신된 파일럿 프레임과 파일럿 프레임의 예상된 알려진 비트 패턴의 비교에 응답하여, 설명된 실시예에서는 이동전화 단말로 반송되어 그 전송된 파일럿 Eb/NO 레벨을 각각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스텝 업 또는 스텝 다운 신호 중의 하나인 에러 신호가 유도된다. 그 후, 이동전화 단말은 특정한 희망 FCH 프레임 에러율과 등가인 것으로 결정되었던 파일럿 프레임에 대한 프레임 에러율에 따라 좌우되는 스텝 업의 스텝 크기 또는 스텝 다운의 스텝 크기만큼 그 파일럿 Eb/NO 레벨을 각각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킨다. 알려진 파일럿 신호 패턴과의 비교에 사용된 파일럿 프레임 의 길이는, 그 특정 FCH 프레임 에러율 및 그 대응하는 목표 파일럿 Eb/NO 레벨에 대해서, 그 동일한 목표 Eb/NO 레벨에 대하 파일럿 프레임의 프레임 에러율이 이동전화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특정 설치 시나리오(즉, 채널 조건, 이동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거리 등)와는 무관하게 일정한 값이다. 이에 따라, 파일럿 프레임의 프레임 에러율을 일정한 값으로 유지함으로써 파일럿 Eb/NO 레벨은 FCH 상의 희망하는 고정된 프레임 에러율에 대응하는 목표 값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이동전화 단말이 FCH를 전송할 때마다, 그것은 기지국에 의해 수신된 신호가 희망하는 프레임 에러율을 갖도록 하는 전력 레벨로 전송된다. 또한, 전력 레벨이 파일럿 Eb/NO 레벨에 대해 상대적으로 제어되는 다른 모든 채널은, FCH의 전송 여부와는 무관하게 전송될 때 계속해서 그들의 적절한 전력 레벨로 전송된다.
각각의 파일럿 프레임과 선험적으로 알려진 프레임 패턴의 비교로부터 기지국에 의해 유도된 에러 신호는 또한 업링크 신호 품질 측정으로서 사용될 수 있고, 기지국과 이동전화 단말 사이의 통신이 연속되어야 하는지 중지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함에 있어서의 인자로서 기지국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제한적이지 않은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설명을 읽는 것으로부터 더욱 잘 이해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전화 단말(301)은 예시적인 CDMA2000 표준에 따라 동 작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304)에서 전파 채널(302)을 통해 기지국(303)과 통신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CDMA2000 표준 하에서 작동하는 시스템과 관련하여 설명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임의의 다른 유형의 CDMA 시스템, 예를 들어, UMTS 시스템에 내포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동전화 단말(301)에서는, 개별적인 채널 상의 다수의 비트 스트림이 기지국(303)으로의 전송을 위해 상이한 왈시 코드를 이용하여 코드 분할 다중화된다. CDMA2000 시스템에서, 이들 채널은 고정된 프레임 포맷으로 인코딩된 음성을 전송하는 기본 채널(Fundamental Channel: FCH)(310), 이동전화 단말이 그러한 전송할 패킷 데이터를 가질 때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보조 채널(SCH)(311),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용 제어 채널(DCCH)(312), 다운링크 수신된 파일럿 세기가 기지국(303)에 전송되는 채널 품질 표시자 채널(CQICH)(313), 다운링크 상의 수신된 데이터 패킷이 성공적으로 디코딩되었는지의 표시가 기지국(303)으로 전송되는 전송확인 채널(ACKCH)(314), 및 이동전화 단말 파일럿 신호가 전송되고 FCH(310)의 검출을 위해 기지국(303)으로 크기 및 위상 기준을 제공하는 데 사용되는 파일럿 채널 PICH(315)을 포함한다. 각각의 코드 분할 다중화된 채널이 기지국(303)에서 분할된 후, 개별적인 검출기 및/또는 디코더는 각각의 전송된 비트 스트림을 복원한다. 예를 들어, FCH 검출기/디코더(316)는, 그 채널이 전송하고 있을 때, 전송된 인코딩된 음성 채널 프레임 포맷된 비트 스트림을 복원한다. 유사하게, CQI 검출기(317)는 전송된 CQI를 복원하고, ACK 검출기(318)는 전송된 ACK를 복원한다. SCH 검출기/디코더(319)는, SCH 채널이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고 있을 때, 그 채널 상에 전송된 패킷 데이터를 복원하며, DCCH 검 출기(320)는 전용 제어 채널 상에 전송된 신호를 복원한다.
이전에 언급한 바와 같이, FCH 및 SCH는 순차적으로 수신된 프레임과 각 프레임 내의 CRC 내의 프레임 단위 비교로부터 연속적인 프레임 에러 신호를 유도하는 데 사용될 수 없는 불연속 채널이다. 따라서, 스텝 업 및 스텝 다운 신호는 이들 채널 중의 어느 한 채널로부터도 유도될 수 없고, 이전에 설명한 종래 기술에서 행한 바와 같이, 이동전화 단말 Eb/NO 파일럿 레벨을 제어하도록 이동전화 단말(301)로 전송될 수 없다. 오히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그 대신, 기지국(303)이 연속으로 수신된 파일럿 신호를 감시하여 파일럿 신호가 잘못 수신되었는지를 결정한다. 그 후, 유도된 에러 신호는 기지국(303)에 의해 이동전화 단말(301)로 반송되어, 파일럿 신호 상에서 희망하는 FER을 유지하도록 사전 결정된 고정된 양만큼 그것의 Eb/NO 파일럿 레벨을 스텝 업 또는 스텝 다운시킬 것을 공지한다. 이러한 에러 신호를 전개하기 위해, PICH 프레임 검출기(321)는 PICH(315) 상에서 수신된 검출된 비트 스트림 상의 고정된 수의 프레임 당 비트로 구성된 프레임 포맷을 이용한다. 그러면, 프레임 검사기(322)는 각 프레임의 비트 패턴을 파일럿 신호의 알려진 비트 패턴과 비교한다. 예를 들어, CDMA2000 시스템에 대해, 전송된 파일럿 신호는 연속적인 “1”로 구성된다. 따라서, 각 파일럿 신호 프레임에서의 비트 패턴과 알려진 예상 파일럿 비트 패턴을 비교함으로써, 에러 신호가 전개될 수 있다. 그 후, 이동전화 목표 Eb/NO 설정 디바이스(323)는 각 프레임 비교에 응답하여, 다운링크 채널(324) 상에서 기지국(303)에 의해 이동전화 단말(301)로 전 송되는 스텝 업 또는 스텝 다운 신호를 유도한다.
파일럿 프레임이 잘못된 것으로 결정된 각 비교에 대해, 기지국(303)은 이동전화 단말에 스텝 업 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대한 응답으로, 이동전화 단말(303)은 그것의 Eb/NO 파일럿 레벨을 (1-Y)△dB 만큼 증가시킨다. 반면, 파일럿 프레임이 정확하다고 결정된 각 비교에 대해서, 기지국은 이동전화 단말에 스텝 다운 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대한 응답으로, 이동전화 단말(303)은 그것의 Eb/NO 파일럿 레벨을 Y△dB 만큼 감소시킨다.
이 설명된 방법은, 서로 통신하고 있는 이동전화 단말(301) 및 기지국(303)이 어떻게, 어디에서 서로와 관련하여 위치하고 있는지, 또 그들이 통신하고 있는 전파 채널(302)이 어떤 유형인지와 상관없이, 파일럿 프레임 Y의 프레임 에러율이 FCH 프레임 X에 대한 프레임 에러율이 달성될 때의 Eb/NO 값에 대해 항상 달성되는 경우에 효과적이다. 이러한 Y는 희망하는 결과를 제공하는 파일럿 프레임 크기를 선택함으로써 갖추어진다. 이상적으로, 이러한 프레임 크기는, 모든 설치 시나리오에 대해 동일한 Eb/NO 레벨에 대해서, 10-2와 같이 FCH 상의 희망 프레임 에러율과 동일한 파일럿 채널 상의 프레임 에러율을 제공하는 것이다. 모든 가능한 프레임 길이 전체에서 광범위한 시뮬레이션된 설치를 통한 시뮬레이션은 그러한 결과를 제공했던 프레임 크기가 달성될 수 없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오히려, 다수의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발명자는 희망하는 FCH 프레임 에러율과 관련된 동일 Eb/NO 레벨에 대한 고정된 파일럿 프레임 에러율을 제공하는 모든 설치 시나리오 상에서 파일럿 신호에 대한 프레임 크기가 갖추어질 수 있다는 것을 결정했다.
도 4 및 도 5는 2개의 상이한 채널 시나리오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나타낸다. 도 4는 부가적인 백색 가우시안 잡음(Additive White Gaussian Noise: AWGN)을 가정하고, 도 5는 다중 경로 레일리 페이딩 채널(Rayleigh fading channel)을 가정한다. 도 4의 곡선(401)은 그러한 AWGN 채널 상의 FCH에 대한 프레임 에러율 대 Eb/NO를 나타내고, 도 5의 곡선(501)은 다중 경로 레일리 페이딩 채널 상의 프레임 에러율 대 Eb/NO를 나타낸다. 설명적인 희망하는 프레임 에러율 10-2에 대해서, Eb/NO 파일럿 레벨은 이동전화 단말 및 기지국이 AWGN 채널을 통해 통신하고 있는 경우에는 대략 2dB로 조정될 것이고, 이동전화 단말 및 기지국인 다중 경로 레일리 페이딩 채널을 통해 통신하고 있는 경우에는 대략 5dB로 조정될 것이다. 곡선(402, 403, 404)은 AWGN 채널 상에서 각각 8비트, 12비트 및 20비트 파일럿 프레임에 대해 시뮬레이션된 파일럿 프레임 에러율 대 Eb/NO를 나타내며, 곡선(502, 503, 504)은 레일리 페이딩 채널 상에서 각각 8비트, 12비트 및 20비트 파일럿 프레임에 대해 시뮬레이션된 파일럿 프레임 에러율 대 Eb/NO를 나타낸다. 도 4 및 도 5의 각 프레임 길이에 대한 파일럿 에러율 대 Eb/NO를 비교함으로써, FCH 프레임 에러율 10-2에 대해, 대략 12비트의 파일럿 프레임 길이만이 그 FCH 프레임 에러율과 관련 된 각각에서의 Eb/NO 레벨로 양 도면에서 동일한 파일럿 프레임 에러율을 산출한다는 것이 관찰될 수 있다. 설명적으로, 12비트 프레임에 대해, 파일럿 프레임 에러율 0.5 ×10-2는 양 시나리오에 대해 FCH 프레임 에러율 10-2에 상당한다. 이들 동일한 결과는 또한 아주 다양한 설치 시나리오를 통해 다른 컴퓨터 시뮬레이션에서도 달성된다. 따라서, FCH 상의 희망하는 프레임 에러율 10-2에 대해서, 12비트 파일럿 프레임이 사용되며, 그로부터 생성된 프레임 에러 신호는 그 파일럿 채널 상에서 Eb/NO 파일럿 레벨을 설정하고 유지하는 데 사용된다. 파일럿 Eb/NO 레벨을 그렇게 유지함으로써, 인코딩된 음성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의 FCH의 프레임 에러율은 희망하는 10-2로 유지될 것이며, 전력 레벨이 파일럿 Eb/NO 레벨과 관련하여 개별적으로 제어되는 FCH, SCH 및 기타 채널의 레벨은 각자의 적절한 전송 레벨로 유지될 것이다.
파일럿 신호로부터 기지국에서 유도된 에러 신호가 상술한 실시예에서 사용되어 이동전화 단말의 Eb/NO 파일럿 레벨을 제어하고 있으나, 에러 신호는 또한 업링크 신호 품질의 측정으로서 기지국에 의해서도 직접 사용될 수 있고, 기지국과 이동전화 단말 사이의 통신이 계속되어야 하는지 중지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인자가 될 수 있다. 그 에러 신호는 상이한 형태를 취할 수 있고, 알려진 파일럿 부분을 갖는 프레임화된 파일럿 사이의 불일치(mismatch)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특정 발명이 설명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고 있으나, 이 설명은 제한적인 관점으로 구성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이 설명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 뿐 아니라 설명적인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은, 여기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이 설명을 참조하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지국, 기지국 제어기 및/또는 이동전화 교환 센터와 같은 상이한 위치에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또는 다른 경우, 본 발명이 채용된 시스템이 어떤 유형인지에 따라 상이한 위치에 구현될 수도 있다. 더욱이, 설명된 발명을 구현하고 사용하기 위해 요구되는 처리 회로는, 당업자에 의해 이 설명의 이점을 갖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는, 주문형 집적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소프트웨어 구동 처리 회로, 펌웨어, 프로그래밍 가능 논리 디바이스, 하드웨어, 상기 소자들의 이산 소자 또는 배열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명세서에서 도시되고 설명된 예시적인 애플리케이션을 엄격하게 따르지 않고서도, 이들 및 다양한 다른 변경, 배열 및 방법이 본 발명에 대해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인지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한 특허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사상을 포함하는 임의의 변경 또는 실시예를 포괄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전화 단말에 의해 전송된 모든 채널 레벨이 파일럿 Eb/NO 레벨을 참조로 하는, 기준 FCH에 대해 희망하는 프레임 에러율이 기지국에서 달성되고 다른 채널이 그들의 대응하는 적절한 레벨로 유지되도록 파일럿 Eb/NO 레벨을 설정하고 유지하기 위한 메커니즘이 제공된다.

Claims (6)

  1.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파일럿 신호를 상기 수신된 파일럿 신호로부터 사전 결정된 각각의 길이의 순차적 프레임으로 프레임화하는 단계와,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상기 파일럿 신호의 알려진 프레임 패턴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 단계로부터 에러 신호 - 상기 에러 신호는 상기 파일럿 신호의 전송을 제어하는 데 사용됨 - 를 전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 신호는, 상기 비교 단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이 상기 알려진 파일럿 프레임 패턴과 상이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파일럿 신호의 Eb/NO 전력 레벨을 증가시키도록 전송되는 스텝 업(step-up) 신호 및, 상기 비교 단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이 상기 알려진 파일럿 프레임 패턴과 동일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파일럿 신호의 Eb/NO 전력 레벨을 감소시키도록 전송되는 스텝 다운(step-down) 신호를 포함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 업 및 스텝 다운 신호는 전송되어 상기 파일럿 신호의 상기 Eb/NO 전력 레벨을 증가시키고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수신된 파일럿 신호의 상기 순차적 프레임에 대한 사전 결정된 프레임 에러율을 유지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화된 파일럿 신호의 상기 프레임의 상기 사전 결정된 길이는, 상기 수신된 파일럿 신호의 상기 순차적 프레임에 대한 상기 사전 결정된 프레임 에러율이, 상기 파일럿 신호가 전송되고 있는 위치와 상기 파일럿 신호가 수신되고 있는 위치 사이로의 설치 시나리오와는 상관없이, 수신된 기본 채널의 일정한 사전 결정된 프레임 에러율과 관련되도록 선택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 신호는 상기 프레임화된 파일럿 신호와 상기 알려진 파일럿 패턴 사이의 불일치(mismatch) 정도를 나타내며, 업링크 신호 품질의 측정을 나타내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 신호의 크기는 통신이 계속되어야 하는지 또는 중지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
KR1020050019890A 2004-03-11 2005-03-1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희망하는 프레임 에러율을 유지하도록 업링크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KR1011009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798,166 US7266723B2 (en) 2004-03-11 2004-03-11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plink power to maintain desired frame error rate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10/798,166 2004-03-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3807A true KR20060043807A (ko) 2006-05-15
KR101100972B1 KR101100972B1 (ko) 2011-12-29

Family

ID=34827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9890A KR101100972B1 (ko) 2004-03-11 2005-03-1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희망하는 프레임 에러율을 유지하도록 업링크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266723B2 (ko)
EP (1) EP1575186B1 (ko)
JP (1) JP4758664B2 (ko)
KR (1) KR101100972B1 (ko)
CN (1) CN1674460B (ko)
DE (1) DE602005012748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63194A1 (en) * 2004-01-28 2005-07-28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esti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085831B2 (en) * 2004-05-17 2011-12-27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control via selective blanking/attenuation of interfering transmissions
US7548760B2 (en) 2006-01-13 2009-06-16 Alcatel-Lucent Usa Inc. Method of reverse link dynamic power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quality feedback from a delay-sensitive traffic stream or overhead channel
CN101009523B (zh) * 2006-01-23 2011-08-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测量移动通信终端解调性能的装置及方法
JP4814734B2 (ja) * 2006-09-06 2011-11-1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通信装置
US8213979B1 (en) 2007-08-15 2012-07-03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forward link and/or reverse link power control
US20100246520A1 (en) * 2007-11-26 2010-09-30 Andreas Andersson Outer Loop Power Control for E-DCH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308C (zh) * 1996-06-27 2003-02-26 Ntt移动通信网株式会社 发送功率控制器
US5991284A (en) * 1997-02-13 1999-11-23 Qualcomm Inc. Subchannel control loop
EP0893889A3 (en) 1997-07-19 1999-02-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power control in a CDMA communication system
WO1999012275A1 (en) 1997-09-02 1999-03-11 Motorola Inc. Adaptive power control of a pilot sub-channel
JP3358565B2 (ja) * 1998-11-02 2002-12-24 日本電気株式会社 送信電力制御方法、送信電力制御装置、移動局、基地局及び制御局
JP2000151557A (ja) * 1998-11-13 2000-05-30 Nec Corp Cdma通信装置
US6898192B2 (en) * 2000-12-29 2005-05-24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fast forward link power control during variable rate operation of CDMA systems
JP2005005762A (ja) * 2003-06-09 2005-01-06 Fujitsu Ltd 送信電力制御方法及び装置
JP4367044B2 (ja) 2003-07-23 2009-11-18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送信電力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74460A (zh) 2005-09-28
KR101100972B1 (ko) 2011-12-29
JP4758664B2 (ja) 2011-08-31
EP1575186A1 (en) 2005-09-14
CN1674460B (zh) 2011-09-14
EP1575186B1 (en) 2009-02-18
DE602005012748D1 (de) 2009-04-02
US7266723B2 (en) 2007-09-04
JP2005260974A (ja) 2005-09-22
US20050204192A1 (en) 2005-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4970B1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다중 포맷 채널을 이용한 간섭 감소와전력 제어
CN100456649C (zh) 无线通信系统内减少干扰的方法和装置
EP115155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in a potentially transmission gated or energy capped communication system
TWI389481B (zh) 在通訊系統中用於功率控制之方法及系統
EP2146542B1 (en) SIR threshold adjusment in a closed loop power control system
US703528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inter-channel interferen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mploying a non-periodic interleaver
KR10110097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희망하는 프레임 에러율을 유지하도록 업링크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KR2005009894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외부 회로 전력 제어를 실행하는시스템 및 방법
JP5558945B2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電力制御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070060189A1 (en) Adjusting transmission power
JP4305341B2 (ja) 無線通信装置、無線基地局、無線基地局制御装置、送信電力制御方法
KR20030000007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채널 신호의 전력 제어 방법
KR101329540B1 (ko) 핸드오프 동안 전력 제어 명령을 강화하기 위한 삭제표시자 비트의 반복 이용
CN1774874B (zh) 无线通信系统内减少信道间干扰的方法和装置
KR100863444B1 (ko) 정보 통신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장치
KR20020014813A (ko) Cdma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송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MXPA9900463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hresholds and measurements of received signals by anticipating power control commands yet to be execut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