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3419A - 이동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및 모빌리티 관리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및 모빌리티 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3419A
KR20060043419A KR20050018207A KR20050018207A KR20060043419A KR 20060043419 A KR20060043419 A KR 20060043419A KR 20050018207 A KR20050018207 A KR 20050018207A KR 20050018207 A KR20050018207 A KR 20050018207A KR 20060043419 A KR20060043419 A KR 20060043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ity management
router
information
lrm1
bound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18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3885B1 (ko
Inventor
아츠시 이와사키
타카토시 오카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060043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3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3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3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54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rotary mo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34Modification of an existing route
    • H04W40/36Modification of an existing route due to handov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06Percussion or tapping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02Magnetotherapy in combination with anothe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6Magnetotherapy using magnetic fields produced by permanent 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2Head
    • A61H2205/021Scal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04W8/085Mobility data transfer involving hierarchical organized mobility servers, e.g. hierarchical mobile IP [HM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04W8/087Mobility data transfer for preserving data network PoA address despite hand-off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2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backbone network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핸드오버를 수행할 때에, 통신 상대 단말 캐시 테이블 작성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핸드오버 시의 통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와, 이동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 상대 단말의 정보를 관리하는 모빌리티 관리장치를 구비하는 네트워크 컨트롤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서, 상기 모빌리티 관리장치는 상기 이동 단말이 이동하고, 자(自)모빌리티 관리장치에서 관리하는 라우터의 경계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경계 라우터 검출수단과, 상기 이동 단말이 자모빌리티 관리장치에서 관리되는 라우터의 경계에 도달하였다고 검출된 경우에, 인접하는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는 모빌리티 관리 장치에 상기 통신 상대 단말의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 상대 정보 전송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써 달성된다.
모빌리티 관리, 이동 통신, 경계 라우터, 노드 정보

Description

이동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및 모빌리티 관리장치{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AND A MOBILITY MANAGING UNI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의 CDT 정보의 인계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LRM에서 관리하는 테이블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의 인접 LRM으로의 인계 정보의 삭제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종래법에 의한 CDT 정보의 인계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이동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10: SSPF(Service Support Platform)
20: NCPF(Network Control Platform)
21: LLM(Local Location Management)
22: HLM(Home Location Management)
23: LRM(Local Routing Management)
24: HRM(Home Routing Management)
30: IP-BB(IP BackBone)
31l 내지 31n: AR(액세스 라우터)
40: MN(Mobile Node)
41: CN(Correspondent Node)
[비특허문헌 1] A.Iwasaki, et al, "Local/Global Routing Management for IP-based IMT network Platform", IEICE Society Conference, Mar. 2003.
본 발명은 핸드오버 시의 모빌리티를 관리하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및 모빌리티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제 3 세대 이후의 "Beyond IMT-2000"용의 차세대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차세대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 있어서는 IP (Internet Protocol) 베이스의 네트워크에 의해서, 멀티미디어계 트래픽 뿐만 아니라, 음성계 트래픽도 더불어 효율적으로 처리 가능한 네트워크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차세대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서는 이동 통신 서비스의 대상이 사람 뿐만 아니라, 모든 이동하는 것, 예를 들면, 자동차, 자전거, 애완동물, 소포 등, 이동 통 신 서비스의 대상이 다종 다양해진다고 생각된다. 즉 효율적인 모빌리티 관리를 어떻게 실현할지가 중요한 과제로 되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일반적인 이동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는 이동 단말(이하, MN(Mobile Node)이라고 한다)의 위치에 관한 정보가 모빌리티 관리 장치(RM: Routing Manager)에 의해 관리되고, 기지국간을 이동하여 핸드오버가 발생하였을 때는 RM에 위치를 재등록함으로써, MN에 대한 핸드오버 제어가 이루어진다.
한편, 비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 따르면, MN에 대하여 그것이 귀속되는 HRM(Home Routing Manager: 홈 라우팅 관리장치), LRM(Local Routing Manager: 로컬 라우팅 관리장치)을 규정하고, MN의 모빌리티 관리를 이 2개가 행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비특허문헌 1 참조). 상기 LRM은 어떤 영역 내에서의 MN의 위치 정보를 관리하는 기능이나, CN(Correspondent Node: 통신 상대 단말)을 관리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HRM은 재권하는 네트워크까지의 위치관리를 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서는 MN이 이동하고, 인접하는 기지국에 접속하였을 때에 이동전과 동일하게 CN에 대하여 통신을 계속할 수 있기 위해서는 새로운 기지국에서, MN이 재권하는 네트워크 내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캐시 테이블(이하, CST(Cache for Source Terminal)라고 한다)의 갱신 및 CN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캐시 테이블(이하, CDT(Cache for Destination Terminal)라고 한다)을 재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재설정은 기지국으로부터 LRM으로 조회를 함으로써 실행된다.
MN이 이동을 계속하면, 이 LRM이 관리하는 에어리어에 걸쳐서, 인접 LRM이 관리하는 에어리어로 이동(LRM 걸침 핸드오버라고 한다)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LRM 걸침 핸드오버 시에도 기지국으로부터 LRM에 대하여 CDT를 조회하지만, LRM에 걸쳐 있기 때문에 새로운 LRM에는 CDT 정보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래서, MN이, LRM이 관리하는 에어리어에 걸쳐서, 그 때의 정보를 인계하는 방법으로서, 제 3 세대의 IMT-2000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 있어서는 MN은 이동 후에 구관리장치(LRM)의 정보를 신관리장치(LRM)로 송신하고, 신관리장치로부터 구관리장치에 정보를 요구하는 수법이 채용되어 있다. 이러한 수법을 본 기술분야에 적용하면, 핸드오버전에 MN을 관리하고 있던 LRM 정보를 MN으로부터 송신하고, 핸드오버 시에 구LRM에 조회하여, CDT 정보를 전송하는 수법으로 된다.
IMT-2000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 있어서는 인계되는 정보는 유저의 프로파일이며, 직접 핸드오버 제어에 관계하지 않는다. 그러나, 본 기술분야에서는 이 관리장치가 직접 핸드오버를 제어하고 있고, CDT 정보의 인계가 행해지지 않으면 핸드오버 제어도 완료하지 않는다.
그러나, 위에서 기술한 방법에서는 이하와 같은 문제가 생긴다. 도 5를 사용하여, 종래법에 있어서의 LRM 걸침 핸드오버에 의한 통신 상대 정보 인계 시의 문제점을 설명한다.
종래법에서는 상기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MN1이 LRM1에 속하는 AR (Access Router: 액세스 라우터)과 접속 중에 이동하고, 신LRM으로부터 구LRM에 걸쳐서 핸드오버하면, 신LRM으로부터 구LRM에 대하여 CDT 정보의 전송을 요구하여, 인계가 행하여진다. 이하에서는 LRM1에 속하는 AR과 접속하는 MN1이, LRM3에 속하는 AR과 접속하는 MN2(통신 상대 단말)와 통신 중이며, MN1이 LRM1로부터 LRM2에 걸쳐서 핸드오버를 수행할 때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동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IP 어드레스를 IPha(IP-host address)라고 정의한다. 여기에서는 MN1의 IPha로서 #M1이 할당되고, MN2의 IPha로서 #M2가 할당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5에 있어서, 우선, MN1이, LRM1이 관리하는 AR2에 걸쳐서 이동(스텝 S21)하면, MN1은 이동처의 LRM2가 관리하는 AR3에 접속하는 것을 나타내는 Activation을 당해 AR3에 송신(스텝 S22)한다. 이 Activation에는 구LRM(0ld LRM)인 LRM1의 정보가 포함된다.
AR3은 상기 Activation을 수신하면, MN1용의 IP 라우팅 어드레스(IPra: IP routing address)를 할당하고, 자단말용 캐시 테이블 CST를 작성(#M1←→AR3a)하고, MN1을 관리하는 LRM2에 Active Notification(AN)을 송신한다. 이 때 상기 Activation에 포함되어 있는 구LRM 정보(Old LRM1)도 동시에 송신(스텝 S23)된다.
신LRM의 LRM2는 상기 Active Notification을 MN1로부터 수신하면, 이 MN1에 의해서 통지된 구LRM인 LRM1에 대하여 CDT 정보(#M2←→ANR3a)의 전송을 요구(Forwarding Request)한다(스텝 S24). 구LRM인 LRM1은 상기 Forwarding Request의 수신을 계기로 신LRM인 LRM2에 대하여 CDT 정보를 전송(Forwarding)한다(스텝 S25). LRM2에서는 LRM1로부터 전송되어 온 통신 상대인 MN2의 CDT 정보를 기억한다(스텝 S26). 그리고, AR3에 대하여 라우터의 CST, CDT를 확정하는 IRra Update(IPU)를 송신하고(스텝 S27), AR3에 있어서 CST의 갱신, CDT의 재설정을 하게 함으로써, 핸드오버 후의 통신 계속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종래법에서는 MN1이 신LRM인 LRM2 관리 에어리어로 이동한 후에 LRM2로부터 구LRM인 LRM1로 통신 상대 정보의 조회 및 인계가 행해지기 때문에, 라우터로의 캐시를 확정하는 IPra Update를 송신할 때까지 많은 시간을 요하는 문제가 생긴다. 즉, 핸드오버를 수행할 때에, 통신 상대 단말 캐시 테이블의 작성에 막대한 시간을 요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법에서는 MN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구LRM의 정보를 포함할 필요가 있어, 무선구간의 대역을 쓸데 없이 낭비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할 때, 통신 상대 단말 캐시 테이블 작성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핸드오버 시의 통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및 모빌리티 관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복수의 라우터에 의해서 구성되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와, 이동 단말의 모빌리티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컨트롤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서, 상기 네트워크 컨트롤 장치에, 이동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 상대 단말의 정보를 관리하는 모빌리티 관리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모빌리티 관리장치는 상기 이동 단말이 이동하여, 자모빌리티 관리장치에서 관리하는 라우터의 경계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경계 라 우터 검출수단과, 상기 경계 라우터 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이동 단말이 자모빌리티 관리장치에서 관리되는 라우터의 경계에 도달하였다고 검출된 경우에, 인접하는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는 모빌리티 관리장치에 상기 통신 상대 단말의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 상대 정보 전송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따르면, 상기 이동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서, 상기 모빌리티 관리장치는 상기 이동 단말이 접속하는 라우터의 지리적 배치 정보를 보유하는 라우터 위치 정보 보유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라우터의 지리적 배치 정보에 기초하여, 인접하는 모빌리티 관리장치에 속하는 라우터와의 경계에 위치하는 경계 라우터를 인식하고, 인식한 경계 라우터에 인접하는 라우터가 속하는 모빌리티 관리장치를 상기 통신 상대 단말의 정보를 전송해야 할 인접 모빌리티 관리장치로서 관련짓는 테이블을 생성하는 테이블 생성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따르면, 상기 이동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서, 상기 모빌리티 관리장치는 상기 이동 단말이 자모빌리티 관리장치가 관리하는 라우터의 경계 라우터로부터 내부의 라우터로 이동한 것을 계기로 인접 모빌리티 관리장치에 대하여 상기 통신 상대 단말의 정보를 삭제시키는 지시 데이터를 송신하는 삭제 지시 송신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따르면, 상기 이동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서, 상기 전송되는 통신 상대 단말의 정보가, 당해 통신 상대 단말의 위치에 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은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성된다.
상기 도 1에 있어서, 이동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1)은 서비스 서포트 제어 실행 기능군의 SSPF(Service Support Platform; 10)와, 네트워크의 경로 제어나 QoS 제어 등의 네트워크 제어 실행기능군 NCPF(Network Control Platform; 20)와, IP 패킷을 전송하는 라우터(=액세스 라우터(AR))군(31l 내지 31n)으로 구성되는 IP-BB(IP BackBone; 30)와, IP-BB(30)에 수용되는 무선 액세스 시스템(도시 생략)과 무선 통신을 하는 이동 단말(MN; 40)과, 이 MN(40)과 통신하는 통신 상대의 CN(41)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NCPF(20)에는 이동 통신의 관리에 필요한 모빌리티 관리기능이 구비되고, 이러한 기능은 로케이션을 관리하는 로케이션 관리기능 LLM(Local Location Management: 로컬 위치 관리; 21), HLM(Home Location Management: 홈 위치 관리; 22)과, 라우팅을 관리하는 라우팅(routing) 관리 기능 LRM(23), HRM(24)로 대별된다. 여기에서, 로케이션 관리란 통신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 있는 이동 단말의 재권 위치, 즉 로케이션 정보를 네트워크 내에서 파악하고, 이러한 로케이션 정보를 사용하여 이동 단말을 호출하여, 통신 중의 상태로 활성화하는 것이다.
한편, 라우팅 관리란 통신 중의 이동 단말의 라우팅 어드레스를 파악하고, 라우팅 어드레스와 단말 식별 어드레스의 조회, 즉 라우팅 정보를, 전송망 내의 통신 경로 상에 있는 적당한 액세스 라우터에 설정하는 것이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이동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 2를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상기 도 2에 있어서, LRM1은 AR1, AR2, ANR(Anchor Router)1을 관리하고, LRM2는 AR3, AR4, ANR2를 관리하고, LRM3은 AR5, ANR3을 관리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LRM1에 속하는 AR1과 접속하는 MN1이, LRM3에 속하는 AR5와 접속하는 MN2(통신 상대 단말)와 통신 중이고, MN1이 LRM1로부터 LRM2에 걸쳐서 핸드오버를 수행할 때의 CDT 정보의 인계 순서를 설명한다.
우선, MN1은 LRM1이 관리하는 AR 중에서 경계에 위치하는 AR2(AR1→AR2)로 이동한다(스텝 S1). LRM1은 MN이 접속하는 각 AR의 지리적 배치 정보(Location info.)를 보유하고, 이 AR의 지리적 배치 정보에 기초하여, 인접 LRM에 속하는 AR과의 경계에 위치하는 경계 AR과 그 경계 AR에 인접하는 AR이 속하는 LRM의 정보를 관련짓고, 테이블 상에서 관리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도 3은 LRM1에 있어서의 상기 테이블에 의한 관리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예의 경우, LRM1의 인접 LRM(LRM2)에 속하는 AR과의 경계에 위치하는 경계 AR2(자LRM1 내)와 그 경계 AR2에 인접하는 AR3이 속하는 LRM2의 정보가 관련지어진다(도 3a 참조).
LRM1은 MN1이 AR1로부터 AR2로 이동한 것을 검출하면, 통상의 핸드오버에 있어서의 캐시 갱신 처리를 한 후에, 상기 테이블을 참조하여, MN1이 다음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있는 AR2의 인접 AR을 관리하는 LRM을 찾아내고(여기에서는 LRM2가 발 견된다), LRM2에 대하여 통신 상대 단말인 MN2의 정보, 즉 CDT 정보(#M2←→#ANR3a)를 전송(Forwarding)한다(스텝 S2). LRM2는 LRM1로부터 전송되어 온 CDT 정보를 기억한다(스텝 S3). 이렇게 LRM1은 MN1이 인접 LRM2로의 경계 AR2에 위치하는지를 검출함으로써, 다음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있는 AR이 어느 LRM에 속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계속해서, MN1이 LRM1로부터 LRM2에 걸쳐서 이동(핸드오버)하면(스텝 S4), MN1은 AR3에 접속하는 것을 나타내는 Activation을 송신(스텝 S5)한다.
AR3은 MN1로부터의 Activation을 받으면, MN1용의 IPra를 할당하여 CST를 작성하여 MN1을 관리하는 LRM2로 Active Notification(AN)을 송신(스텝 S6)한다. 그리고, LRM2로부터 라우터의 CST, CDT를 확정하는 IPra Update(IPU)가 AR3으로 송신(스텝 S7)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LRM은 AR의 배치를 파악하고, MN이 경계 AR에 도달하였을 때에, 경계 AR에 인접하는 AR이 속하는 LRM을 인식하고, 인식한 인접 LRM에 통신 상대의 CDT 정보를 전송하여 인계함으로써, 종래와 같은 MN 이동 후에 구LRM으로의 CDT 정보의 조회 및 인계와 같은 처리가 필요 없게 되고, 액세스 라우터로의 캐시를 확정하는 IPra Update를 송신할 때까지 시간이 단축된다. 즉, 핸드오버 후에 즉시 라우터로의 캐시 갱신이 가능해져, 통신 상대 단말 캐시 테이블 작성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그 결과, 핸드오버 시의 통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핸드오버 시에 MN으로부터 구LRM 정보를 통지할 필요가 없어져, 무선 구간의 제어신호의 삭감, 즉 무선 자원의 절약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LRM이 관리테이블을 참조함으로써 CDT 전송처의 LRM을 판단하는 형태를 예시하였지만, CDT 전송처 LRM의 판단 방법은 상기와 같은 관리 테이블에 의하지 않고, 소정의 순서, 예를 들면 연산으로 판단하는 것과 같은 형태라도 좋다.
다음에, 도 4를 사용하여, MN1이 경계 AR에 위치하여 CDT 정보 인계가 완료한 상태에서, MN1이 재차 경계 AR2로부터 내부 AR로 되돌아간 경우의 CDT 인계 정보의 삭제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도 4에 있어서, MN1은 경계 AR(여기에서는, AR2)로부터 내부 AR(여기에서는 AR1)로 이동(스텝 S11)한다. 그 후, MN1은 AR1에 접속하는 것을 나타내는 Activation을 송신(S12)한다. 이 Activation을 수신한 AR1에서는 MN1용의 IPra를 할당하여 CST(#M1←→AR1a)를 작성하여 MN1을 관리하는 LRM1에 Active Notification(AN)을 송신(스텝 S13)한다.
LRM1은 경계 AR(AR2)에 접속하고 있었을 때에 정보를 인계하고 있는 LRM2에 대하여 정보 삭제의 Delete Request를 송신(스텝 S14)한다. 이 Delete Request를 수신한 LRM2에서는 인계되어 있는 CDT 정보를 삭제(스텝 S15)하여(도면 중 ×표시), LRM1에 대하여, 삭제한 것을 통지하는 Delete Ack를 송신(스텝 S16)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LRM1은 MN이 재차 내부 AR로 되돌아간 것을 인식하면, 인계한 CDT 정보를 LRM2에 삭제시키므로, 인접 LRM으로 전송된 쓸데없는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트랜스포트 네트워크가 IP-BB(30)에 대응하고, 네트워크 컨트롤 장치가 NCPF(20)에 대응한다. 또한, LRM(21)이 모빌리티 관리장치에 대응한다.
본원 발명에 따르면, 이동 단말이 모빌리티 관리장치가 관리하는 라우터의 경계에 도달하였을 때에, 인접하는 모빌리티 관리장치에 당해 이동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 상대 단말의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핸드오버 시의 통신 상대 단말의 정보의 조회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핸드오버 시의 통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5)

  1. 복수의 라우터들(31)을 포함하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30)와, 이동 노드(40, MN1)의 모빌리티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컨트롤 장치(20)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1)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컨트롤 장치(20)는, 상기 이동 노드(40, MN1)와 통신하는 상대 노드(correspondent node)(41, MN2)의 정보(CDT)를 관리하는 모빌리티 관리부(LRM1)를 포함하며,
    상기 모빌리티 관리부(LRM1)는, 상기 이동 노드(MN1)가 이동하여 상기 모빌리티 관리부(LRM1) 자신에 의해 관리되는 라우터(AR2)의 경계에 도달하는지를 검출하는 경계 라우터 검출부; 및
    상기 이동 노드(MN1)가 상기 모빌리티 관리부(LRM1) 자신에 의해 관리되는 라우터(AR2)의 경계에 도달한다고 검출된 경우에, 유사한 구성(structure)을 가지는 인접하는 모빌리티 관리부(LRM2)에 상기 상대 노드(MN2)의 정보(CDT)를 전송하는 상대 노드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빌리티 관리부(LRM1)는,
    상기 이동 노드에 의해 접속 가능한 라우터들의 지리적 배치 정보(geometrical location information)를 보유하는 라우터 배치 정보 보유부; 및
    상기 라우터(AR2)의 지리적 배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인접하는 모빌리티 관리부(LRM2)와 상기 모빌리티 관리부(LRM1) 자신간의 경계 근처의 경계 라우터(AR2)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경계 라우터(AR2)에 인접하는 인접 라우터(AR3)가 속하는 상기 인접하는 모빌리티 관리부(LRM2)가, 상기 상대 노드(MN2)의 정보가 전송되어야 할 상기 인접하는 모빌리티 관리부로서 관련지어지는(correlated) 테이블(도3)을 생성하는 테이블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빌리티 관리부(LRM1)는, 상기 이동 노드(MN1)가 상기 경계 라우터(AR2)로부터 내부 라우터(AR1)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인접하는 모빌리티 관리부(LRM2)가 상기 상대 노드(MN2)의 정보를 삭제시키도록 하는 지시 데이터를 송신하는 삭제 지시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노드(MN2)의 전송되는 정보(CDT)는 상기 상대 노드(41)의 배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5. 이동 노드(MN1)와 통신하는 상대 노드(correspondent node)(MN2)의 정보(CDT)를 관리하는 기능과,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모빌리티 관리장치(LRM1)에 있어서,
    상기 이동 노드(MN1)가 이동하여 상기 모빌리티 관리장치(LRM1) 자신에 의해 관리되는 라우터(AR2)의 경계에 도달하는지를 검출하는 경계 라우터 검출부; 및
    상기 이동 노드(MN1)가 상기 모빌리티 관리장치(LRM1) 자신에 의해 관리되는 라우터(AR2)의 경계에 도달한다고 검출된 경우에, 유사한 구성(structure)을 가지는 인접하는 모빌리티 관리장치(LRM2)에 상기 상대 노드(MN2)의 정보(CDT)를 전송하는 상대 노드 정보 전송부
    에 의해 특징지워지는 모빌리티 관리장치.
KR20050018207A 2004-03-04 2005-03-04 이동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및 모빌리티 관리장치 KR1006638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60454 2004-03-04
JP2004060454A JP4574193B2 (ja) 2004-03-04 2004-03-04 移動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モビリティ管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3419A true KR20060043419A (ko) 2006-05-15
KR100663885B1 KR100663885B1 (ko) 2007-01-03

Family

ID=34747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18207A KR100663885B1 (ko) 2004-03-04 2005-03-04 이동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및 모빌리티 관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611892B2 (ko)
EP (1) EP1571869B1 (ko)
JP (1) JP4574193B2 (ko)
KR (1) KR100663885B1 (ko)
CN (1) CN10049615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051924B (zh) * 2006-04-06 2011-05-18 华为技术有限公司 用户网络的设备管理方法及用户网络管理实体
CN101052209B (zh) * 2006-04-07 2011-05-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用户设备的移动性管理实体用户面实体重选方法
KR100748266B1 (ko) 2006-04-07 2007-08-1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멀티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동성관리 노드 및 이를 이용한핸드 오프 제어 방법
CN102170626B (zh) * 2006-04-07 2013-04-17 华为技术有限公司 用户设备的移动性管理实体用户面实体重选方法和系统
WO2008018150A1 (en) * 2006-08-09 2008-02-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Vrm selection
US8526434B2 (en) * 2006-08-09 2013-09-03 Andras Valko Routing manager hierarchy
EP1928194A1 (en) * 2006-12-01 2008-06-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UPE relocation for route optimization during handover between neighbouring network areas
CN101247317B (zh) * 2007-02-15 2011-07-20 华为技术有限公司 路由切换方法及系统
CN103108375A (zh) * 2011-11-14 2013-05-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切换过程中路由优化的方法及系统及接入网元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23827A3 (en) * 1996-08-09 1999-09-29 Hewlett-Packard Company Mobile communications systems and methods of operating such systems
FI108834B (fi) * 1999-03-29 2002-03-28 Nokia Corp IP-liikkuvuudenhallinta matkaviestinjärjestelmässä
WO2001031472A1 (en) 1999-10-22 2001-05-03 Telcordia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host mobility management protocol
US7184418B1 (en) * 1999-10-22 2007-02-27 Telcordia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host mobility management protocol
KR100520141B1 (ko) * 2000-10-26 2005-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고정 주소를 가지는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JP4572476B2 (ja) * 2001-03-13 2010-11-04 ソニー株式会社 通信処理システム、通信処理方法、および通信端末装置、データ転送制御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JP4522093B2 (ja) 2001-06-15 2010-08-11 富士通株式会社 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位置登録方法
JP2003224874A (ja) * 2002-01-29 2003-08-08 Fujitsu Ltd 移動通信ネットワークのルータおよび移動通信端末
US7161942B2 (en) * 2002-01-31 2007-01-09 Telcordia Technologies, Inc. Method for distributing and conditioning traffic for mobile networks based on differentiated services
JP2004015143A (ja) 2002-06-04 2004-01-15 Fujitsu Ltd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ハンドオーバ方法、および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使用されるルータ装置
US7190678B2 (en) * 2002-10-28 2007-03-13 Cisco Technology, Inc. Arrangement for router attachments between roaming mobile routers in a clustered network
KR100492134B1 (ko) * 2003-04-29 2005-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IPv6에서 빠른 핸드오버를 위한 신규CoA예약방법
KR100542580B1 (ko) * 2003-06-26 2006-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망환경에서의 자원예약 시스템 및 자원예약 방법
KR100568152B1 (ko) * 2003-10-20 2006-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망 환경에서의 크로스오버 라우터 탐색방법,자원예약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자원 예약 시스템
US20060072481A1 (en) * 2004-09-30 2006-04-06 Motorola, Inc. Apparatus and method to facilitate mobility mana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574193B2 (ja) 2010-11-04
EP1571869B1 (en) 2011-06-01
EP1571869A3 (en) 2006-04-12
CN100496158C (zh) 2009-06-03
EP1571869A2 (en) 2005-09-07
CN1665340A (zh) 2005-09-07
JP2005252667A (ja) 2005-09-15
KR100663885B1 (ko) 2007-01-03
US20050201344A1 (en) 2005-09-15
US8611892B2 (en) 2013-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3885B1 (ko) 이동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및 모빌리티 관리장치
CN101189898B (zh) 用于管理分组数据通信环境中的切换的方法和网络节点
US9549362B2 (en) Radio network controller with IP mapping table
Campbell et al. An overview of cellular IP
KR100483007B1 (ko)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KR100810207B1 (ko) 패킷 교환 기반의 네트워크에서 코어 네트워크 개체들 간의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JP4952583B2 (ja) 階層化移動管理システム、アクセスルータ、アンカーノード、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経路設定方法
KR100600603B1 (ko) 휴대인터넷망에서 패킷유실을 방지하는 핸드오버방법 및 방법 실행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JP4466434B2 (ja) 経路制御方法およびホームエージェント
US8027322B2 (en)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system, mobile node and network node for notification about the proximity of a second wireless network via a first wireless network
EP1513365A2 (en) Optimization of handover between wireless base stations connected to the same router
US7907584B2 (en) Access router device, mobility control system, and mobility control method
EP1427237B9 (en) Handover control apparatus, radio terminal device, edge router, route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handover control method
CN102036220A (zh) 一种移动性管理方法及装置
CN101523842A (zh) Vrm选择
JP2005244590A (ja) マルチサービス端末、ハンドオフ方法、ハンドオフプログラム
KR20080050280A (ko) 이동성 지원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무선 다중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끊김 없는 이동성 지원 방법
KR100922581B1 (ko) 이동 단말에서의 다중 무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끊김 없는이동성 지원 방법 및 장치
KR20060125337A (ko) Proxy MIP 기능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의MIP 등록 방법
CN101827410B (zh) 一种用于无线网状网络的切换方法
KR100679803B1 (ko) 차세대 이동통신망에서 라우팅 영역 갱신 시스템 및 그 갱신 방법
JP2003037626A (ja) Ipネットワークを利用した移動体通信方法および移動体通信システム
KR102230823B1 (ko) 상황인지 기반 트래픽 경로최적화 관리 방법
KR20070115823A (ko) 프록시 모바일 아이피에서 고속 경로 최적화 기법
KR100833999B1 (ko) 멀티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끊김없는이동성 관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