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8266B1 - 멀티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동성관리 노드 및 이를 이용한핸드 오프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동성관리 노드 및 이를 이용한핸드 오프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8266B1
KR100748266B1 KR1020060032061A KR20060032061A KR100748266B1 KR 100748266 B1 KR100748266 B1 KR 100748266B1 KR 1020060032061 A KR1020060032061 A KR 1020060032061A KR 20060032061 A KR20060032061 A KR 20060032061A KR 100748266 B1 KR100748266 B1 KR 100748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wireless network
terminal
geographic inform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2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호
박상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60032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82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8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8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동성을 관리하는 이동성관리 노드 및 이를 이용한 핸드 오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무선망 및 제 2 무선망과 연결되어, 제 1 무선망에 접속한 단말로부터 단말의 원시 지리정보를 수신하고, 제 1 무선망 및 제2무선망 각각으로부터 망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망 정합부, 원시 지리정보를 변환하여 변환 지리정보를 생성하는 신호 변환부, 제 1 무선망 및 제 2 무선망의 망 지리정보를 저장하는 망 지리정보 관리부 및 변환 지리정보 및 망 지리정보를 기초하여 망 상태정보를 분석하고 접속 또는 핸드 오프 할 무선망 우선순위 리스트를 생성하여 단말에 제공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이동성관리 노드 및 이를 이용한 핸드 오프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멀티 네트워크 환경, 핸드 오프, 이동성관리 노드

Description

멀티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동성관리 노드 및 이를 이용한 핸드 오프 제어 방법{MOBILITY MANAGEMENT NODE AND METHOD FOR CONTROLLING HAND-OFF WITH IT IN MULTINETWORK}
도 1은 다양한 통신망들이 중첩된 4세대 멀티 네트워크 환경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4세대 멀티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는 이동성관리 노드의 기능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기반 이동성관리 노드를 이용하여 단말이 최초로 접속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기반 이동성관리 노드를 이용하여 단말이 최초로 접속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관리 노드를 이용하여 이동 노드가 핸드 오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관리 노드를 이용하여 이동 노드가 핸드 오프 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20: 이동노드
260: 셀룰러 망 이동처 에이젼트
270: WLAN 이동처 에이젼트
280: WiMAX 이동처 에이젼트
290: 홈 에이젼트
300: 이동성관리 노드
본 발명은 멀티 네트워크 환경에서 핸드 오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무선 접속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무선 접속 망들로 이루어진 멀티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종 망간 핸드 오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향후 4세대 통신환경은 ALL-IP(Internet Protocol) 기반의 멀티 네트워크 환경이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각각의 액세스 망은 처리효율(Throughput), 지연시간(Delay), 서비스 커버리지, 요금체계, 서비스 제공자 등 여러 면에서 서로 상이한 특징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이러한 멀티 네트워크 환경은 사용자에게 지금까지와는 다른 무선 서비스 환경을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예전에도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를 이용할 수 있는 단말을 통하여 WLAN, CDMA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었으나 이는 단순히 각각의 인터페이스들이 하나의 단말에 있었을 뿐으로 고객에게 각각의 무선 네트워크 환경정보를 제공하거나 WLAN, CDMA간의 단절 없는(Seamless) 이동성은 제공되지 못했다.
그러나 4세대 통신환경에서는 사용자가 망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정보를 바탕으로 자신의 서비스 요구사항에 적합한 망을 선택하고 서비스를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4세대 통신환경에서 다양한 통신망들이 중첩된 멀티 네트워크 환경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은 WLAN, CDMA,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 여러 무선망들이 혼재하는 멀티네트워크 환경에서 하나 이상의 무선망을 선택하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접속한 서비스 망의 무선환경이 나빠지거나 서비스 커버리지를 벗어날 경우 서비스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새로운 무선망을 탐색하고, 접속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단절 없는 서비스를 제공하여 서비스의 만족도를 높일 것이다. 이렇게 서비스를 원활히 제공하기 위해서는 멀티네트워크 환경에 적합한 새로운 이동성 관리 기술이 필수적이다. 기존 이동성 관리 기술은 동일한 무선 프로토콜, 처리효율(Throughput), 지연시간(Delay) 등을 제공하는 동일 무선망에서 기지국(Base Station)으로부터 수신되는 시그널의 세기가 약할 경우, 핸드 오프 할 기지국을 탐색하여 해당 기지국으로 핸드 오프 하는 기지국 간의 이동에 초점을 두고 있었다. 그러나 각각의 특징들이 독특한 무선망이 존재하는 4세대 망에서 수신 시그널 세기만을 가지고 이동성을 관리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예를 들어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를 이용하고 있는 단말이 타지역으로 이동시, 이동하는 지역에 처리효율(Throughput)은 낮으나 서비스 커버리지가 넓은 액세스 망과 처리효율(Throughput)은 높으나 서비스 커버리지가 좁은 액세스 망이 동시에 존재할 수 있다. 이런 경우 후자의 액세스 망 시그널 세기가 강할 경우 기존과 같이 수신 시그널을 기준으로 하는 핸드 오프를 사용할 경우 후자의 액세스 망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VOIP는 처리효율(Throughput)보다는 이동에 따른 서비스의 연속성이 고려되어야 하는 서비스로 서비스 커버리지가 넓은 망이 더 적합하다. 이같이 멀티네트워크 환경에서 기존의 이동성 관리로는 사용자의 서비스 품질을 만족시킬 수 없다.
이종 망간 핸드 오프를 위한 이동성 제공을 위해 네트워크 층의 이동성과 링크 층에서의 이동성으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네트워크 층 이동성 관리는 단말의 IP 위치관리를 위한 기술이다. 인터넷에서 IP 어드레스는 다른 노드(Node)들이 해당 노드에게 접근할 수 있는 해당 노드를 나타내는 인식자다. IP 어드레스는 그 자체로 노드를 나타내면서 노드가 위치한 네트워크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노드로 보내지는 패킷들은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라우팅 된다. 따라서 IP 어드레스가 지칭하는 네트워크에 노드가 위치하고 있어야만 패킷이 정상적으로 노드에 도착할 수 있다. 그러나 노드가 다른 IP 주소 대역의 네트워크로 이동할 경우, 노드가 이동 전에 가지고 있던 IP가 이동한 네트워크의 IP 주소 대역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노드로 보내진 패킷이 정상적으로 도착할 수 없다. 만약 라우팅을 위해 노드의 IP를 이동한 네트워크의 IP 주소 대역으로 변경할 경우, 해당 노드로 패킷을 보내고자 하는 시스템들이 변경된 IP를 알지 못하기에 패킷을 보낼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것을 극복하고자 모바일(mobile) IP가 제안되었으며, 최근 연구들은 모바일 IP의 신속성을 높여 좀더 단절없는(Seamless)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링크 층 이동성 관리는 현재 접속하고 있는 무선망의 상태를 파악하고, 이동으로 인한 핸드 오프가 필요할 경우 이동 가능한 무선망들의 특징을 파악하고, 적합한 무선망을 선택하는 것이다. 때문에 링크 층 이동성 관리는 무선망의 프로토콜에 종속적일 수밖에 없다. 보편적인 이동통신에서의 핸드 오프는 기지국로부터 수신하는 시그널의 세기가 일정 이하로 내려가면 핸드 오프가 가능한 기지국 대상들 중에서 가장 수신 시그널 세기가 양호한 기지국를 선택해 핸드 오프를 수행한다. 그러나 도 1과 같이 WLAN, CDMA, WiMAX 등 여러 무선망들이 혼재하는 멀티네트워크 환경에서 수신 시그널 세기 하나만으로 핸드 오프 기준을 정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 또한 각각의 무선망이 서로 상이한 무선 캐패시티(Capacity), 전송 주파수대역(Bandwidth), 서비스속도,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때문에 어떤 기준으로 서비스의 연속성 및 QoS(Quality of System)를 만족시키면서 핸드 오프를 결정할지에 대한 모호함이 발생한다. 이러한 모호함을 해결하기 위해 각각의 망의 특성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은 결정요소들을 고려하여 핸드 오프 과정을 진행하는 핸드 오프 기술이 고려되고 있다.
서비스 타입: 사용자가 제공받고자 하는 서비스 종류
과금: 각 망이 제공하는 과금정책
망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 전송 주파수대역, 패킷 분실 정도, 혼잡 정도, 배터리 소모 등
단말 상황: 단말의 이동속도, 이동패턴 등.
서비스 타입은 사용자가 제공받고자 하는 서비스 종류로 FTP(File Transfer Protocol)와 같이 대용량의 자료를 다운로드 받을 경우에는 저속의 이동 통신망보다는 WLAN과 같은 고속의 망을 통해 다운받는 것이 효율적일 것이다.
과금은 사용자에게 무엇보다 민감하게 받아들여지는 요소다. 각각의 망들은 서로 다른 서비스제공자들에 의해 운영될 수 있기에 과금 체계 역시 액세스 망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므로 대한 고려가 반드시 필요하다. 망이 고속의 전송속도를 제공하더라도 과금이 비쌀 경우, 사용자는 고속의 전송속도를 포기하고 저속의 값싼 망을 선택할 수 있다.
망 상태정보는 전송 주파수대역, 배터리 소모 등에 대한 네트워크의 상황을 나타내는 정보로 전송 주파수대역에 따라 서비스의 QoS가 결정되므로 매우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또한 이동성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배터리 역시 매우 중요한 사항 중 하나다.
마지막으로 단말의 이동속도, 이동패턴 등 단말 상황도 중요요소다. 대체로 이동통신은 저속의 넓은 서비스 커버리지 특성을 갖는 반면 WLAN의 경우 고속의 좁은 서비스 커버리지 특성을 가지고 있다. 단말의 이동속도가 빠를 경우, WLAN이 고 속의 서비스를 제공하더라도, 서비스 커버리지가 좁기 때문에 서비스의 연속성이 중요한 서비스에서는 이동통신이 더 적합한 서비스망일 수 있다.
따라서 최근 진행중인 연구들은 핸드 오프 결정시 과거와 같이 수신시그널만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아닌 서비스타입, 과금, 망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 단말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적합하다.
네트워크 층 이동성과 링크 층 이동성은 각각 위치관리와 핸드 오프 기술에 집중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위치관리와 핸드 오프, 이 두 기술은 이동성에 있어 서로 때어놓은 수 없는 관계에 있다. 링크 층 이동성 관리 기술이 빠지고서는 이동할 네트워크들의 선정 및 이동 시점을 파악할 수 없으며, 네트워크 층 이동성 관리 기술이 빠지면 IP 대역의 변경에 따른 서비스 연속성을 지원할 수 없다. 링크 층에서는 네트워크들의 특성을 고려해 서비스를 받기에 가장 적합한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해당 네트워크로 핸드 오프한 후 네트워크 층에서는 링크 층을 통해 핸드 오프사실을 인지해 모바일 IP를 진행함으로써 이후 핸드 오프한 이동처 에이젼트(Foreign Agent)로부터 COA(Care of Address)를 할당 받고, 이를 홈 에이젼트(Home Agent)에 등록함으로써 단말의 IP 위치를 네트워크에 인지시켜 사용자에게 단절 없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러 무선망이 존재하는 4 세대 무선 통신에서는 무선망의 특징을 고려한 버티컬(Vertical) 핸드 오프(서로 다른 네크워크를 이동하는 사용자에게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핸드 오프 기술) 및 단말의 위치관리를 위한 모바일 IP가 동시에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종 망간 이동성을 위해 단말은 위치하고 있는 지역, 혹은 향후 이동할 지역에 어떤 무선망들이 존재하는지를 파악해야 한다. 이를 위해 단말이 무선망을 인지하는 방법으로 단말에 존재하는 모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언제나 활성화시키고, 각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이 해당 무선망을 탐지하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이럴 경우 단말의 배터리 소모가 극심할 수 밖에 없으며, 이러한 배터리 소모는 이동성 제공이라는 단말의 가장 기본적인 조건을 만족시킬 수 없다.
또한 링크 층 이동성 관리에서 가장 기본적인 것은 핸드 오프 결정을 위한 정보를 어떻게 확보할 것이냐에 대한 문제가 있다. 이 문제에 있어 단말에 각각의 네트워크 정보들을 저장하는 방안도 있을 수 있으나, 국한적인 정보일 수 밖에 없으며, 제공 가능한 QoS 정보 등 네트워크의 상황에 따라 계속 변화되는 정보에 대해서는 수용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이 위치하고 있는 지역의 망 정보를 제공하는 이동성관리 노드를 구비하여 단말은 다른 무선망 탐색을 위한 인터페이스 활성화에 따른 파워소모를 없앨 수 있는 멀티 네트워크 환경에서 핸드 오프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성관리 노드로부터 단말이 위치한 지역의 핸드오프 가능한 망 정보를 실시간 제공받아 단말은 신속하게 핸드 오프를 결정하고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서비스의 연속성 및 QoS를 보장하는 멀티 네트워크 환경에 서 핸드 오프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의 제 1 무선망 및 제 2 무선망이 연결되어 단말에게 접속 또는 핸드 오프할 무선망 우선 순위 리스트를 제공하는 이동성관리 노드에 있어서, 이동성 관리 노드는 제 1 무선망 및 제 2 무선망과 연결되어, 제 1 무선망에 접속한 단말로부터 단말의 원시 지리정보를 수신하고, 제 1 무선망 및 제2무선망 각각으로부터 망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망 정합부, 원시 지리정보를 변환하여 변환 지리정보를 생성하는 신호 변환부, 제 1 무선망 및 제 2 무선망의 망 지리정보를 저장하는 망 지리정보 관리부 및 변환 지리정보 및 망 지리정보를 기초하여 망 상태정보를 분석하고 접속 또는 핸드 오프 할 무선망 우선순위 리스트를 생성하여 단말에 제공하는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망 상태정보는 제 1 무선망 및 제 2 무선망의 QoS(Quality of System)일 수 있다.
이동성 관리노드는 단말의 변환 지리정보 및 제 1 무선망 및 제 2 무선망의 망 상태정보를 저장하고 갱신하는 이동성 정보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 서, 이동성 정보관리부는 정보들을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또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변화가 있는 경우에만 갱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의 제 1 무선망 및 제 2 무선망이 연결된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 오프 방법에 있어서, (a) 이동성관리 노드가 제 1 무선망을 선택하여 접속한 단말로부터 단말의 원시 지리정보를 수신하여 변환 지리정보로 변환하는 단계, (b) 이동성관리 노드가 변환 지리정보 및 이동성관리 노드에 저장된 제 1 무선망 및 제 2 무선망의 망 지리정보에 기초하여 핸드 오프 가능한 무선망 우선순위 리스트를 생성하여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c) 단말이 무선망 우선순위 리스트에 기초하여 제 2 무선망으로 핸드 오프 하는 경우, 제 1 무선망은 단말과 접속을 끊는 단계 및 (d) 제 2 무선망은 단말이 핸드 오프 한 후 네트워크 층의 모바일 IP를 시행하여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b)단계는 이동성관리 노드가 변환 지리정보와 이동성관리 노드에 저장된 제 1 무선망 및 제 2 무선망의 망 지리정보에 기초하여 제 1 무선망 및 제 2 무선망으로부터 각각의 망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망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핸드 오프 가능한 무선망 우선순위 리스트를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망 상태정보는 제 1 무선망 및 제 2 무선망의 QoS(Quality of System)일 수 있다.
(b) 단계의 이동성관리 노드가 핸드 오프 가능한 무선망 우선순위 리스트를 단말에 제공하는 것은 단말이 리스트를 요청하거나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제공 할 수 있다.
(a) 단계에서 이동성관리 노드가 단말로부터 단말의 원시 지리정보를 제공 받는 것은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또는 단말의 원시 지리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변화가 있는 경우에 제공받을 수 있다.
단계 (a) 이전에 이동성관리 노드가 미리 설정된 무선망을 통하여 접속한 단말에 제 1 무선망 및 2 무선망의 망 상태정보를 제공하고, 단말이 망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제 1 무선망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무선망은 셀룰러 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의 제 1 무선망 및 제 2 무선망이 연결된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 오프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디지털 장치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a) 이동성관리 노드가 제 1 무선망을 선택하여 접속한 단말로부터 단말의 원시 지리정보를 수신하여 변환 지리정보로 변환하는 단계, (b) 이동성관리 노드가 변환 지리정보 및 이동성관리 노드에 저장된 제 1 무선망 및 제 2 무선망의 망 지리정보에 기초하여 핸드 오프 가능한 무선망 우선순위 리스트를 생성하여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c) 단말이 무선망 우선순위 리스트에 기초하여 제 2 무선망으로 핸드 오프 하는 경우, 제 1 무선망은 단말과 접속을 끊는 단계 및 (d) 제 2 무선망은 단말이 핸드 오프 한 후 네트워크 층의 모바일 IP를 시행하여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 네트워크 환경에서 핸드 오프 제어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디지털 장치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대하여 예시하고 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하게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 뿐 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된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에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 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4세대 멀티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노드(Mobile Node, 220)는 어떤 네트워크로부터 별도의 네트워크로 이동하는 단말을 표시하며, 이동 노드(220)가 위치하고 있는 지역에는 IP 기반의 서로 다른 이종 망들, 예를 들면, 셀룰러 망(230), WLAN 망(240), WiMAX 망(250)이 중첩되어 있다. IP 기반의 다른 이종 망도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각각의 망들은 다수의 기지국(Base Station) 및 액세스 포인트(Acess Point)가 존재하여 이동 노드(220)는 다수의 기지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들을 통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망들은 이동 노드(220)가 이동하는 지역의 네트워크상의 라우터인 이동처 에이전트(Foreign Agent, 260, 270, 280)들을 통하여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다. 홈 네트워크는 이동 노드(220)가 이동하지 않을 경우에 접속하는 네트워크이며, 홈 어드레스와 같은 네트워크부를 갖는 네트워크이다. 홈 에이젼트(290)는 이동 노드(220)의 홈 네트워크상의 라우터이며, 이동 노드(220)가 홈 네트워크에서 떨어졌을 때 이동 노드(220)로 IP 터널을 이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동 노드(220)의 원시 지리정보를 유지 관리한다. 이동처 에이젼트(260, 270, 280)는 홈 에이전트(290)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받아 이동 노드(220)로 그 데이터 패킷을 전송한다.
이동 노드(220)는 어떤 네트워크로부터 별도의 네트워크로 이동하는 단말을 표시하며, 자신의 IP 어드레스를 변경하지 않고 네트워크를 이동할 수 있다. 이동 노드(220)는 이동 단말로 이종 망간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기기이며, 예를 들면, 모바일폰, 모바일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디지털멀티미디어플레이어 등으로 이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이동성관리 노드(300)는 각각의 무선망의 이동처 에이젼트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어 각각의 무선망의 지리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각각의 망 상태정보들을 저장하고 실시간으로 갱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동성관리 노드(300)는 이동 노드(220)가 접속하고 있는 네트워크에서 서비스를 받는 동안 이동 노드(220)로부터 주기적 또는 간헐적으로 접속하고 있는 기지국, 액세스 포인트 정보 등의 이동 노드(220)의 원시 지리정보를 이동처 에이젼트(260, 270, 280)를 통하여 전송 받고, 저장된 무선망의 지리정보와 이동 노드(220)가 올려준 원시 지리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이동성관리 노드(300)는 만약 이동 노드(220)가 위치한 지역에 새로운 무선망이 존재하는 경우, 이동 노드(220)의 핸드 오프 요구사항과 비교하여 요구사항에 적합한 무선망들이 있는 경우 핸드 오프 가능한 무선망 우선순위 리스트를 만들어 해당 이동 노드(22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동성관리 노드(300)로부터 핸드 오프 가능한 무선망 우선순위 리스트 정보를 받은 이동 노드(220)는 최종적으로 핸드 오프를 할 것인지, 핸드 오프를 할 경우 어떤 무선망으로 할 것인지를 결정하고 핸드 오프 시행시 무선망의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켜 무선망과의 무선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무선 접속이 완료된 후 모바일 IP 과정을 수행하여 IP의 위치등록 및 라우팅 재설정을 통해 서비스를 단절 없이 제공받을 수 있다. 이동성관리 노드(300)는 후술하는 도 3을 통하여 더욱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는 이동성관리 노드의 기능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시 지리정보 기반 이동성 관리노드(300)는 망 정합부(310), 신호 변환부(320), 망 지리정보 관리부, 이동성정보 관리부(370) 및 판단부(360)를 포함한다. 이동성관리 노드(300)는 홈 에이젼트(HA, 290)에 포함되어 운영될 수 있으며, 별도로 데이터베이스와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망 정합부(310)는 다수의 무선망과 원시 지리정보 기반 이동성 관리노드를 연결하여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이다. 망 정합부(310)는 다수의 무선망과 연결된 다수의 이동처 에이젼트(FA)와 연결되어 단말의 원시 지리정보 및 망 상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신호 변환부(320)는 망 정합부(310)를 통하여 단말이 접속한 무선망으로부터 전달 받은 단말의 원시 지리정보를 변환 지리정보로 변환한다. 원시 지리정보를 변환하는 이유는 단말이 위치한 지역의 접속 또는 핸드 오프 가능한 무선망을 선정하기 위하여 저장된 망 지리정보와 맵핑(mapping)해야 하기 때문이다. 즉, 단말이 위치한 지역 및 단말이 접속한 기지국 또는 액세스 망의 지리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망 정합부(310)에서 수신하면, 데이터에서 단말 지리정보에 해당하는 정보를 추 출하여 다른 형식으로 변환해야 저장된 망 지리정보와 비교가 가능하다.
망 지리정보 관리부(330)는 다수의 무선망의 망 지리정보가 저장된다. 망 지리정보 관리부(330)는 지역에 따라 접속 가능한 다수의 무선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망 지리정보가 저장된다. 이를 위해 망 지리정보 관리부(330)는 해당 지역의 지도 정보가 저장된다. 망 지리정보 관리부(330)은 통신사업자로부터 제공되는 망 지리정보를 주기적으로 제공받아 망 지리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또한, 망 지리정보 관리부(330)는 망 정합부(310)에서 다수의 무선망의 이동처 에이젼트(FA)로부터 단말의 원시 지리정보가 수신되면, 단말이 접속한 무선망을 체크하여 망 지리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망 지리정보 관리부(330)은 단말이 위치한 지역에 상응하는 망 지리정보를 주기적으로 갱신하여 판단부(360)의 요청시 상응하는 지역의 망 지리정보를 제공한다.
이동성정보 관리부(370)는 무선망에 접속한 단말의 원시 지리정보 및 접속 가능한 다수의 무선망의 망 상태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이동성정보 관리부(370)은 망 상태정보 관리부(340) 및 단말 변환 지리정보 관리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망 상태정보 관리부(340)는 다수의 무선망의 이동처 에이젼트(FA)로부터 수신된 다수 무선망의 망 상태정보를 저장하고 주기적으로 갱신하여 망 상태정보를 관리한다. 망 상태정보 관리부(340)는 다수의 무선망의 링크 상태정보, 액세스 망 패킷 정보, 액세스 망 링크 장애 정보 등 망의 QoS(Quality of System)을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변동 상황을 체크하여 이를 판단부(36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망 상태정보 관리부(340)는 판단부(360)가 망 상태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상응하는 망 상태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단말 변환 지리정보 관리부(350)는 단말이 접속한 무선망의 이동처 에이젼트(FA)로부터 단말이 위치한 지역을 나타내는 데이터인 원시 지리정보를 망 정합부(310)에서 수신하여 신호 변환부(3210)에서 변환한 변환 지리정보를 관리한다. 단말의 변환 지리정보는 단말이 위치한 지리정보 및 단말이 접속한 무선망의 망 상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변환 지리정보 관리부(350)는 망 정합부(310)를 통하여 단말로부터 단말의 원시 지리정보를 제공 받는 것은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또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변화가 있는 경우에만 제공 받을 수 있다.
판단부(360)는 단말로부터 단말의 변환 지리정보 및 망 지리정보를 기초하여 상응하는 무선망의 망 상태정보를 분석하고 접속 또는 핸드 오프 할 망 우선순위 리스트를 단말에 제공한다. 단말에 접속할 망 또는 핸드 오프 할 망 우선순위 리스트를 단말에 제공하는 것은 단말이 접속 또는 핸드 오프 할 망의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또는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접속 또는 핸드 오프 할 망의 우선순위 리스트를 판단하여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판단부(360) 망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 또는 단말로부터 수신된 요건에 따라 접속 또는 핸드 오프 가능한 망을 판단하여 우선순위 리스트를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기반 이동성관리 노드를 이용하여 단말이 최초로 접속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순 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노드(220)가 전원을 켜고 최초로 인터넷을 이용한 서비스를 받기 위한 무선망을 선택하기 위해 접속 가능한 임의의 망을 선택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한다(S401). 이동 노드(220)가 접속 가능한 임의의 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이유는 이동성 관리노드(300)로부터 이동 노드(220)가 위치한 지역의 망 지리정보에 기초하여 망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무선망 우선순위 리스트를 제공받고 가장 효율적인 망에 접속하기 위함이다. 이동 노드(220)는 처음 서비스를 받기 위한 무선 액세스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접속하는 임의의 망으로 셀룰러 망(230)에 접속할 수 있다. 여기서, 임의의 망으로 셀룰러 망(230)을 이용하는 이유는 셀룰러 망(230)이 기타 무선망과는 달리 음성통화를 위해 전국 망의 형태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이동 노드(220)가 어느 지역에 있던 접속할 수 있는 무선망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최초로 셀룰러 망(230) 대신에 다른 임의의 무선망을 이용하여 접속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동 노드(220)는 셀룰러 망(230)에 접속한 후 셀룰러 망(230)의 셀룰러 망 이동처 에이젼트(260)를 통하여 이동성관리 노드(300)에 이동 노드(220)가 위치한 지역에 접속 가능한 무선망 정보를 요청하고, 이동성관리 노드(300)로부터 셀룰러 망 이동처 에이젼트(260)를 통하여 해당 지역의 상응하는 망 지리정보에 기초하여 망 상태정보를 전송 받는다(S402).
해당 지역의 접속 가능한 무선망 우선순위 리스트 정보를 수신한 이동 노 드(220)는 수신한 정보를 분석하여 접속 망을 변경할지 판단한다(S403). 이동 노드(220)는 이동성관리 노드(300)가 해당 지역의 망의 지리정보에 기초하여 망 상태정보 및 이동 노드(220)의 망 선택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우선순위를 설정한 후 접속 가능한 망의 리스트를 이동 노드(220)로 전송하면, 이를 근거로 가장 적합한 망을 평가하고 접속 망을 변경할 지 판단한다.
만약 이동 노드(220)가 WLAN(240) 망을 가장 적합한 망으로 판단하여 접속 망을 변경하기로 판단한 경우, 이동노드(220)는 WLAN(240) 망에 상응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키고 WLAN(240) 망의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 승인 요청메시지를 보내고 WLAN(240) 망에 접속할 수 있다(S404).
이동 노드(220)가 서비스에 가장 적합한 망으로 결정한 WLAN(240) 망에 무선접속이 이뤄진 뒤 네트워크 층의 모바일 IP를 진행한다(S405). 이동 노드(220)는 WLAN 망 이동처 에이젼트(270)로부터 새로운 COA(해당 네트워크인 WLAN(240) 망에서 사용할 새로운 IP)를 할당 받은 후, 새로운 COA를 홈 에이젼트(290)에 등록한다. 홈 에이젼트(290)는 기존의 COA를 새로운 COA로 업데이트하고 이동 노드(220)의 홈 어드레스와 새로운 COA를 바인딩함으로써 이동 노드(220)의 위치를 파악하게 된다. 여기서 홈 어드레스는 이동 노드(220)을 영구적으로 인식하는 인자로, COA는 이동한 네트워크에서 임시로 사용하는 이동 노드 인식자이자,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다.
만약에 이동 노드(220)에게 패킷을 보내고자 하는 노드인 CN(Correspondent Node, 미도시)이 이동 노드(220)로 패킷을 보낼 때, 이동 노드(220)을 나타내는 홈 어드레스로 패킷을 전송하게 된다. 전송된 패킷은 홈 어드레스가 속한 영역의 홈 에이젼트(290)에 의해 가로채어지고, 캡슐화되어 이동 노드(220)가 위치하고 있는 WLAN 이동처 에이젼트(270)로 전송된다. WLAN 망 이동처 에이젼트(270)에서는 캡슐화된 패킷을 받아 캡슐을 풀어준 후 이동 노드(220)로 전송한다.
이동 노드(220)는 WLAN(240) 망과 모바일 IP를 시행한 후 위치 갱신 메시지를 통해 단말의 원시 지리정보를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WLAN 망 이동처 에이젼트(270)로 전송하고, WLAN 망 이동처 에이젼트(270)는 이를 다시 이동성관리 노드(300)에 전송한다(S406). WLAN 망 이동처 에이젼트(270)는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전송 받은 정보가 이전 정보와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변화가 있을 경우에 한해 이동성관리 노드(300)로 전송하여, WLAN 이동처 에이젼트(270)와 이동성관리 노드(300) 사이의 시그널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관리 노드를 이용하여 이동 노드가 핸드 오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순서도이다.
이동 노드(220)는 이동 노드의 원시 지리정보를 WLAN 망 이동처 에이젼트(270)을 통하여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이동성관리 노드(300)로 전송한다(S701).
이동 노드(220)는 망으로부터 제공받고 있는 서비스의 품질 즉 처리효율(Throughput), 지연시간(Delay) 등이 서비스를 받기에 충분하지 않은 경우 핸드 오프 수행을 판단한다(S702). 이는 WLAN(240) 망의 상황이 좋지 않거나 이동 노 드(220)가 이동함에 따라 접속 네트워크인 WLAN(240) 망의 서비스 커버리지 이탈할 경우에 해당한다. 이럴 경우 이동 노드(220)는 WLAN 망 이동처 에이젼트(270)을 통하여 이동성관리 노드(300)에 핸드오프 가능한 무선망의 대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 과정을 통해 무선 액세스 환경 저하에 따른 서비스 품질저하를 핸드 오프를 통해 막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동 노드(220)가 올리는 원시 지리정보의 주기가 너무 길 경우, 이동 노드(220)는 이미 접속네트워크인 WLAN(240)의 서비스 커버리지를 벗어났음에도 이를 인지하지 못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동 노드(220)는 핸드 오프를 수행하기 위해, 이동성관리 노드(300)로부터 이동한 지역의 핸드오프 가능한 무선망의 우선순위 리스트 망 정보를 수신한다(S703). 이동성관리 노드(300)는 수신된 이동 노드(220)의 요청을 받거나, 이동 노드(220)의 요청이 없어도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수신되는 이동 노드(220)의 원시 지리정보의 변경에 따라 핸드 오프 수행을 인지하고, 무선망 우선순위 리스트를 생성하여 WLAN 망 이동처 에이젼트(270)를 통하여 이동 노드(220)에 전송한다.
이동 노드(220)는 이동성관리 노드(300)로부터 핸드 오프 가능 한 무선망 우선순위 리스트 정보를 가지고 버티컬(Vertical) 핸드 오프 결정 공식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핸드 오프진행 여부 및 핸드 오프 할 액세스 네트워크를 결정할 수 있다.
문헌을 통해 공지된 버티컬(Vertical) 핸드 오프 결정 공식알고리즘은 다음 식들을 포함한다.
Figure 112006024560737-pat00001
여기서 Bn, Pn, Cn은 각각 "n" 망에서의 전송 주파수 대역, 파워소모, 과금을 나타낸다. Cost n은 Bn, Pn, Cn에 따른 "n"망에서의 핸드 오프 비용을 의미하며, 비용이 작을 수로 핸드 오프기준에 적합한 망이다. 사용자에 따라 어떤 사용자는 파워소모보다는 과금을 중요하게 여길 수 있으며, 어떤 사용자는 전송 주파수 대역을 가장 중요하게 여길 수도 있다. 따라서 각각의 고려요소 Bn, Pn, Cn에 대한 중요도를 [식 1]식에 포함시키면 다음과 같은 [식2] 공식을 도출할 수 있다.
Figure 112006024560737-pat00002
이동 노드(220)는 [식 2]의 공식을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무선망을 선택하고, 핸드 오프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Wb, Wp, Wc는 사용자가 정한 서비스의 전송 주파수 대역, 파워소모, 과금 요소에 대한 가중치이다.
[식 1]의 공식은 전송 주파수 대역과 파워소모, 과금을 고려한 핸드 오프 공식으로 그외의 핸드 오프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지 못했다. 이를 보완하기 모든 고려요소를 포함하면서 사용자가 사용하는 각각의 서비스에 대해 QoS 만족 여부를 적용한 것이 다음 [식 3]의 공식이다.
Figure 112006024560737-pat00003
여기서, Pns,i는 "n"네트워크에서 "s"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고려해야 할 "i"번째 핸드 오프 요소를 나타내며, Ws,i는 사용자가 정한 서비스 "s"의 "i"번째 핸드 오프 요소에 대한 가중치다. 즉 "n"은 셀룰러 망, WLAN, WiMAX와 같은 무선망을 나타내며, 서비스 "s"는 VOIP, FTP, HTTP 등의 서비스를 나타낸다. "i"는 VOIP, FTP, HTTP 등에서 각각 고려해야 할 핸드 오프요소로 FTP의 경우 전송속도, VOIP는 망의 신뢰성, 서비스 연속성이 될 수 있다.
이동 노드(220)는 [식 3]의 공식을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무선망을 선택하고, 핸드 오프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동 노드(220)가 핸드 오프 할 것을 결정하고 버티컬(Vertical) 핸드 오프 결정 공식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핸드 오프 할 액세스 망으로 WiMAX(250) 망을 결정하면, 이동 노드(220)는 선택된 무선망인 WiMAX(250) 망의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키고 무선접속을 시도한다(S704).
무선접속이 이뤄진 뒤에 네트워크 층의 모바일 IP를 진행한다(S705). 이동 노드(220)가 새로운 네트워크인 WiMAX(250) 망으로 이동했을 경우 WiMAX 망 이동처 에이젼트(280)로부터 새로운 COA(해당 네트워크인 WiMAX(250) 망에서 사용할 새로운 IP)를 할당받은 후, 새로운 COA를 홈 에이젼트(290)에 등록한다. 홈 에이젼트(290)는 기존의 COA를 새로운 COA로 업데이트하고 이동 노드(220)의 홈 어드레스와 새로운 COA를 바인딩함으로써 이동 노드(220)의 위치를 파악하게 된다.
이동 노드(220)는 서비스에 가장 적합한 WiMAX(250) 망에 접속한 후 위치 갱신 메시지를 통해 이동 노드(220)의 원시 지리정보를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WiMAX 망 이동처 에이젼트(280)로 전송하고, WiMAX 망 이동처 에이젼트(280)는 이를 다시 이동성관리 노드(300)에 전송한다(S706).
WiMAX 망 이동처 에이젼트(280)는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전송받은 정보가 이전 정보와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변화가 있을 경우에 한해 이동성관리 노드(300)로 전송하여, WiMAX 망 이동처 에이젼트(280)와 이동성관리 노드(300) 사이의 시그널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광자기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이 위치하고 있는 지역의 망 정보를 제공하는 이동성관리 노드를 구비하여 단말은 다른 무선망 탐색을 위한 인터페이스 활성화에 따른 파워소모를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성관리 노드로부터 단말이 위치한 지역의 망 정보를 실시간 제공받아 단말은 신속하게 핸드 오프를 결정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서 비스의 연속성 및 QoS를 보장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2)

  1.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의 제 1 무선망 및 제 2 무선망이 연결되어 단말에게 접속 또는 핸드 오프할 무선망 우선 순위 리스트를 제공하는 이동성관리 노드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망 및 상기 제 2 무선망과 연결되어, 상기 제 1 무선망에 접속한 단말로부터 단말의 원시 지리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무선망 및 상기 제2무선망 각각으로부터 망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망 정합부;
    상기 원시 지리정보를 변환하여 변환 지리정보를 생성하는 신호 변환부;
    상기 제 1 무선망 및 상기 제 2 무선망의 망 지리정보를 저장하는 망 지리정보 관리부; 및
    상기 변환 지리정보 및 상기 망 지리정보를 기초하여 상기 망 상태정보를 분석하고 접속 또는 핸드 오프 할 무선망 우선순위 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판단부
    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의 원시 지리정보는 상기 단말이 접속한 기지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이고, 상기 변환 지리정보는 상기 원시 지리정보를 상기 망 지리정보와 비교하기 위하여 상기 망 지리 정보와 맵핑한 지리 정보이며, 상기 망 지리 정보는 지역에 따라 접속 가능한 무선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동성관리 노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망 상태정보는
    상기 제 1 무선망 및 상기 제 2 무선망의 QoS(Quality of System)인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멀티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동성관리 노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관리 노드는
    상기 단말의 변환 지리정보 및 상기 제 1 무선망 및 상기 제 2 무선망의 망 상태정보를 저장하고 갱신하는 이동성 정보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멀티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동성관리 노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정보관리부는
    상기 정보들을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또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변화가 있는 경우에만 갱신하는 멀티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동성관리 노드.
  5.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의 제 1 무선망 및 제 2 무선망이 연결된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 오프 방법에 있어서,
    (a) 이동성관리 노드가 상기 제 1 무선망을 선택하여 접속한 단말로부터 단말의 원시 지리정보를 수신하여 변환 지리정보로 변환하는 단계;
    (b) 상기 이동성관리 노드가 상기 변환 지리정보 및 상기 이동성관리 노드에 저장된 상기 제 1 무선망 및 상기 제 2 무선망의 망 지리정보에 기초하여 핸드 오프 가능한 무선망 우선순위 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단말이 상기 무선망 우선순위 리스트에 기초하여 제 2 무선망으로 핸드 오프 하는 경우, 상기 제 1 무선망은 상기 단말과 접속을 끊는 단계; 및
    (d) 상기 제 2 무선망은 상기 단말이 핸드 오프 한 후 네트워크 층의 모바일 IP를 시행하여 상기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의 원시 지리정보는 상기 단말이 접속한 기지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이고, 상기 변환 지리정보는 상기 원시 지리정보를 상기 망 지리정보와 비교하기 위하여 상기 망 지리 정보와 맵핑한 지리 정보이며, 상기 망 지리 정보는 지역에 따라 접속 가능한 무선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네트워크 환경에서 핸드 오프 제어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이동성관리 노드가 상기 변환 지리정보와 상기 이동성관리 노드에 저장된 상기 제 1 무선망 및 상기 제 2 무선망의 망 지리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무선망 및 상기 제 2 무선망으로부터 각각의 망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망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핸드 오프 가능한 무선망 우선순위 리스트를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멀티 네트워크 환경에서 핸드 오프 제어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망 상태정보는
    상기 제 1 무선망 및 상기 제 2 무선망의 QoS(Quality of Syste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네트워크 환경에서 핸드 오프 제어 방법.
  8.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상기 이동성관리 노드가 상기 핸드 오프 가능한 무선망 우선순위 리스트를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것은
    상기 단말이 상기 리스트를 요청하거나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네트워크 환경에서 핸드 오프 제어 방법.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이동성관리 노드가 상기 단말로부터 원시 지리정보를 제공 받는 것은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또는 상기 단말의 원시 지리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변화가 있는 경우에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네트워크 환경에서 핸드 오프 제어 방법.
  10. 제 5항에 있어서,
    단계 (a) 이전에
    상기 이동성관리 노드가 미리 설정된 무선망을 통하여 접속한 단말에 상기 제 1 무선망 및 상기 제2 무선망의 망 상태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망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 1 무선망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네트워크 환경에서 핸드 오프 제어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무선망은 셀룰러 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네트워크 환경에서 핸드 오프 제어 방법.
  12.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의 제 1 무선망 및 제 2 무선망이 연결된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 오프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디지털 장치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a) 이동성관리 노드가 상기 제 1 무선망을 선택하여 접속한 단말로부터 단말의 원시 지리정보를 수신하여 변환 지리정보로 변환하는 단계;
    (b) 상기 이동성관리 노드가 상기 변환 지리정보 및 상기 이동성관리 노드에 저장된 상기 제 1 무선망 및 상기 제 2 무선망의 망 지리정보에 기초하여 핸드 오프 가능한 무선망 우선순위 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단말이 상기 무선망 우선순위 리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무선망으로 핸드 오프 하는 경우, 상기 제 1 무선망은 상기 단말과 접속을 끊는 단계; 및
    (d) 상기 제 2 무선망은 상기 단말이 핸드 오프 한 후 네트워크 층의 모바일 IP를 시행하여 상기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의 원시 지리정보는 상기 단말이 접속한 기지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이고, 상기 변환 지리정보는 상기 원시 지리정보를 상기 망 지리정보와 비교하기 위하여 상기 망 지리 정보와 맵핑한 지리 정보이며, 상기 망 지리 정보는 지역에 따라 접속 가능한 무선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네트워크 환경에서 핸드 오프 제어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디지털 장치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060032061A 2006-04-07 2006-04-07 멀티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동성관리 노드 및 이를 이용한핸드 오프 제어 방법 KR100748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2061A KR100748266B1 (ko) 2006-04-07 2006-04-07 멀티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동성관리 노드 및 이를 이용한핸드 오프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2061A KR100748266B1 (ko) 2006-04-07 2006-04-07 멀티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동성관리 노드 및 이를 이용한핸드 오프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8266B1 true KR100748266B1 (ko) 2007-08-10

Family

ID=38602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2061A KR100748266B1 (ko) 2006-04-07 2006-04-07 멀티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동성관리 노드 및 이를 이용한핸드 오프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826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4643A (ko) * 2003-09-01 2005-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네이버 리스트 생성방법 및 장치
JP2005252667A (ja) 2004-03-04 2005-09-15 Ntt Docomo Inc 移動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モビリティ管理装置
JP2006020270A (ja) 2004-06-04 2006-01-19 Ntt Docomo Inc ハンドオーバー制御装置、無線リソース管理装置、ネットワークリソース管理装置、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ハンドオーバー制御方法
KR20060066040A (ko) * 2004-12-11 2006-06-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합형 기지국의 이동성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90461A (ko) * 2005-02-07 2006-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종 무선네트워크간 핸드오버 관리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4643A (ko) * 2003-09-01 2005-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네이버 리스트 생성방법 및 장치
JP2005252667A (ja) 2004-03-04 2005-09-15 Ntt Docomo Inc 移動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モビリティ管理装置
JP2006020270A (ja) 2004-06-04 2006-01-19 Ntt Docomo Inc ハンドオーバー制御装置、無線リソース管理装置、ネットワークリソース管理装置、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ハンドオーバー制御方法
KR20060066040A (ko) * 2004-12-11 2006-06-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합형 기지국의 이동성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90461A (ko) * 2005-02-07 2006-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종 무선네트워크간 핸드오버 관리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73995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information processing for improving user experienc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7031709B2 (en) Method and associated apparatus for increment accuracy of geographical foreign agent topology relation in heterogeneous access networks
McNair et al. Vertical handoffs in fourth-generation multinetwork environments
EP1655902B1 (en) Mobile terminal, control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method
JP4217518B2 (ja) 移動通信制御方法、制御システム及び移動端末
US7773941B2 (en) Method and system for positioning a relay in a wide area communication network
KR100689733B1 (ko) 인터워킹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이동 통신 방법
RU2004137498A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обслуживания обратной линии связи в ячеистых специальных сетях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Gramaglia et al. Seamless internet 3G and opportunistic WLAN vehicular connectivity
Lott et al. Interworking of WLAN and 3G systems
CN101223809A (zh) 网络节点
KR20090043217A (ko) 모바일 단말의 핸드오버 시 QoS 서비스 제공 방법
WO2010001373A1 (en) Handover method and system
Aljeri et al. Load balancing and QoS-aware network selection scheme in heterogeneous vehicular networks
Abdullah et al. A network selection algorithm based on enhanced access router discovery in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KR100748266B1 (ko) 멀티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동성관리 노드 및 이를 이용한핸드 오프 제어 방법
KR100753845B1 (ko) Ip기반의 광대역통합 이동망 환경에서 다중 인터페이스가가능한 이동 단말의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방법 및 그시스템
CN112449382A (zh) 一种数据传输方法和服务器
KR20100064833A (ko)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그를 이용한 이동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Mihovska et al. Policy-based mobility management for heterogeneous networks
Selvi et al. Minimizing handover delay and maximizing throughput by heterogeneous handover algorithm (HHA) in telecommunication networks
Ali et al. Load-aware radio access selection in future generation satellite-terrestrial wireless networks
Rais et al. The insights of mobile data offloading: A comparative study
Ali et al. Load-aware radio access selection in heterogeneous terrestrial wireless networks
Kim et al. A fast handover scheme for proxy mobile IPv6 using IEEE 802.21 media independent hando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