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1965A - 혈액 검체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혈액 검체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1965A
KR20060041965A KR1020050012468A KR20050012468A KR20060041965A KR 20060041965 A KR20060041965 A KR 20060041965A KR 1020050012468 A KR1020050012468 A KR 1020050012468A KR 20050012468 A KR20050012468 A KR 20050012468A KR 20060041965 A KR20060041965 A KR 20060041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sample
sample
container
sample container
det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2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9789B1 (ko
Inventor
데루아키 이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이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이디에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이디에스
Publication of KR20060041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1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9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9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Bloo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59Transmissiv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10Devices for transferring samples or any liquids to, in, or from, the analysis apparatus, e.g. suction devices, injection devices
    • G01N35/1081Devices for transferring samples or any liquids to, in, or from, the analysis apparatus, e.g. suction devices, injection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relatively moving the transfer device and the containers in an horizontal plan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59Transmissivity
    • G01N21/5907Densitometers
    • G01N2021/5969Scanning of a tube, a cuvette, a volume of sample
    • G01N2021/5973Scanning of a tube, a cuvette, a volume of sample where the cuvette or tube is mov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36/00Chemistry: analytical and immunological testing
    • Y10T436/11Automated chemical analys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36/00Chemistry: analytical and immunological testing
    • Y10T436/11Automated chemical analysis
    • Y10T436/113332Automated chemical analysis with conveyance of sample along a test line in a container or rac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36/00Chemistry: analytical and immunological testing
    • Y10T436/11Automated chemical analysis
    • Y10T436/113332Automated chemical analysis with conveyance of sample along a test line in a container or rack
    • Y10T436/114165Automated chemical analysis with conveyance of sample along a test line in a container or rack with step of insertion or removal from test l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c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Abstract

혈액 검체 검출장치는 혈액 검체(3)가 수용된 검체 용기(1)를 검출위치(P2)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와; 검체 용기(1)가 상기 검출위치(P2)에 배치되었을 때 검체 용기(1)의 바닥이 상향으로 지향되도록, 상기 이동장치(23)에 연결되고 검체 용기(1)를 경사시키는 회전기구(21)와; 검출위치에 배치되고, 검체 용기(1)내의 혈액 검체(3)가 응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광센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혈액 검체 검출장치{APPARATUS FOR SENSING COAGULATION OF BLOOD SAMPLE}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액 검체의 응고를 검출하는 장치 전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파지핸드의 측면도.
도2b는 도2a의 선 ⅡB-ⅡB를 따른 단면도.
도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파지핸드 회전기구에 의해 경사지지 않은 혈액 검체의 정면도.
도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파지핸드 회전기구에 의해 경사진 혈액 검체의 정면도.
도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검출 유니트에 의해, 응고되지 않은 것으로 검출된 혈액 검체의 측면도.
도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검출 유니트에 의해, 응고되지 않은 것으로 검출된 혈액 검체의 정면도.
도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검출 유니트에 의해, 응고된 것으로 검출된 혈액 검체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검체 용기 2: 반송로
3: 혈액 검체 5: 회전체
6: 안내레일 9: 검체 용기 홀더
12: 지지구멍 13: 캡
14: 검출장치 15: 발광소자
16: 수광소자 17: 제어기
20: 구동기구 21: 회전기구
22: 회전작동기 23: 파지핸드
24: 반송기구 P1: 반송위치
P2: 검출위치 P3: 제1분리위치
P4: 제4분리위치
본 발명은 검체 용기에 수용된 혈액 검체의 응고 여부를 자동으로 검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화학적 분석 등의 다양한 혈액 검사가 실행될 때, 수용된 혈액 검체는 검사가 실행될 때까지 시험관 등과 같은 검체 용기에 수용되어 보관된다. 각종 혈액 검사를 실행할 때, 혈액 검체는 시험관에서 혈청을 분리하기 위해 원심분리된다. 분리된 혈청은 검사용기 등에 분배된다.
그러나, 만일 수집된 혈액 검체가 12시간 정도 또는 하루종일 방치된다면, 혈액은 시험관에서 응고될 것이다. 상기 시험관은 시험관 홀더나 시험관 랙에 유지 및 저장된다. 따라서, 혈액 검체는 시험관의 바닥에 가라앉은 상태에서 응고되어 버린다.
만일 혈액 검체가 시험관에서 응고된다면, 이러한 응고는 검사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검사를 실행하기 전에 혈액 검체가 응고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해야만 한다. 그러나, 작업자가 시험관 홀더나 시험관 랙에 수직으로 유지되어 있는 시험관을 육안으로 검사하였다 하더라도, 작업자는 혈액 검체가 응고되었는지의 여부를 식별할 수 없다.
따라서, 작업자는 혈액 검체가 시험관 랙으로부터 다수의 시험관을 제거하거나 또는 시험관 랙을 하나씩 제거하고, 시험관을 흔들거나 기울여서 혈액 검체가 유체인지의 여부를 육안으로 검사한 후, 혈액 검체가 응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작업은 작업자에게 상당한 부담이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혈액 검체가 수용된 검체 용기를 취출한 후 혈액 검체가 검체 용기내에서 응고되었는지의 여부를, 높은 신뢰성과 고효율로 자동으로 검출할 수 있는 혈액 검체 검출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혈액 검체 검출장치는 혈액 검체가 수용된 검체 용기와; 상기 검체 용기를 검출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유니트와; 상기 검체 용기가 검출위치에 있을 때, 검체 용기의 상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상기 검체 용기를 경사시키는 회전기구와; 상기 회전기구에 의해 경사진 검체 용기의 상부에 축적된 혈액 검체를 검출하는 광센서를 포함한다.
명세서에 참조되고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사항의 기재와 하기에 서술되는 양호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본 발명의 원리를 양호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타 다른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1은 혈액 검체의 응고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장치에 있어서, 반송위치(P1), 검출위치(P2), 제1분리위치(P3), 제4분리위치(P4)는 축선(O) 주위에서 90°로 설정되어 있다.
시험관 등과 같은 검체 용기(1)를 반송하는 반송로(2)는 상기 반송위치(P1)에 제공된다. 상기 반송로(2)는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으로 제조된 거터형 안내레일(6)과, 상기 안내레일(6)의 내측 바닥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무한동작되는 컨베이어 벨트(7)를 포함한다. 상기 안내레일(6)은 서로 대향하며, 절첩된 엣지를 각 각 포함하며; 상기 절첩된 엣지는 안내레일(6)에 의해 형성된 상부 개구가 좁아지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검체 용기(1)를 수직상태로 각각 지지하는 다수의 검체 용기 홀더(9)는 상기 안내레일(6)에 미끄럼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검체 용기 홀더(9)는 합성수지로 제조된 성형품이다. 상기 검체 용기 홀더(9)는 원통형 홀더 본체(10)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홀더 본체(10)는 수직방향으로 한쌍의 칼라(11a, 11b)를 포함한다. 상기 절첩된 엣지(8)는 칼라(11a, 11b) 사이에 협지되어 그 사이에 지지된다. 상기 홀더 본체(10)는 그 상부에 지지구멍(12)을 갖는다. 검체 용기(1)의 하단부는 상기 지지구멍(12)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된다. 홀더 본체(10)는 그 바닥부에서 컨베이어 벨트(7)의 상부면과 접촉되고, 그 사이에서 마찰에 의해 반송된다.
상기 검체 용기(1)는 투명 유리로 제조되며; 그 상부 개구는 고무, 합성수지 등으로 제조된 캡(13)으로 밀폐되어 있다. 따라서, 검체 용기가 경사지거나 개봉된 경우에도, 용기(1)로부터 혈액 검체(3)가 흘러나오지 않는다.
검체 용기(1)에서 혈액 검체(3)의 응고를 광학적으로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검출위치(P2)에는 광검출 유니트(14)가 제공된다. 상기 검출 유니트(14)는 발광소자(15)와 수광소자(16)를 포함하며, 이들 소자는 서로 대향하는 상태로 이격되어 있다. 상기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15, 16)는 제어기(17)에 연결된다. 상기 발광소자(15)로부터 방출된 검사광(L)이 하향으로 지향된 검체 용기(1)의 상부를 통과하면, 상기 검출 유니트(14)는 상방향으로 지향된 용기의 바닥부에서 혈액 검체(3)가 응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검사광(L)이 혈액 검체(3)에 의해 차단 되었다면, 검출 유니트(14)는 혈액 검체(3)가 응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축선(O)상에는 구동부로서 회전체(5)가 제공된다. 상기 회전체(5)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며;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으며 상하로 이동가능한 주축(18)을 포함한다. 상기 주축(18)의 중간지점에는 사각형 블럭(19)이 제공된다. 상기 주축(18)은 상하로 이동하며, 제어기(17)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기구(20)에 의해 간헐적으로 회전된다. 상기 블럭(19)의 사면(四面)에는 파지핸드 회전기구(21)를 구성하는 회전작동기(22)가 제공된다. 상기 회전작동기(22)는 파지핸드(23)가 구비된 혈액 검체 반송기구(24)를 포함한다.
4개의 파지핸드(23)는 상기 블럭(19)으로부터 방사방향으로 돌출된다. 도2a 및 도2b, 도3a 및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파지핸드(23)는 한쌍의 아암(26)과, 공압 실린더 등과 같은 개폐기구(27)를 포함한다. 상기 아암(26)은 검체 용기(1)를 그 선단에 지지하기 위하여 파지부(25)를 갖는다. 상기 개폐기구(27)는 아암(26)을 통하여 파지부(25)를 개폐한다. 회전작동기(22) 및 개폐기구(27)는 제어기(17)로부터의 제어신호의 수신에 따라 구동된다. 검체 용기(1)가 검출위치(P2)에 배치되면, 회전작동기(22)는 캡(13)이 하방으로 지향되도록 상기 파지핸드(23)를 회전시키므로, 파지핸드(23)에 의해 지지된 검체 용기(1)를 경사시킨다.
구동기구(20)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주축(18)의 행정은, 검체 용기 홀더(9)에 의해 지지된 검체 용기가 파지핸드(23)에 의해 파지 및 상승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상기 행정은 파지핸드(23)에 의해 지지된 검체 용기가 검체 용기 홀더(9)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설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4개의 파지핸드(23)가 90°간격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혈액 검체 반송기구(24)의 간헐-회전각은 90°가 된다. 4개의 파지핸드(23)가 위치(P1 내지 P4)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혈액 검체 반송기구(24)는 일시적으로 정지된다.
실시예의 작동 및 장점
검체 용기(1)에 수용된 혈액 검체(3)가 응고되었는지의 여부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기 위하여, 상기 검체 용기(1)는 반송로(2)를 통해 반송위치(P1)로 반송된다. 검체 용기(1)가 위치(P1)에 도달하였을 때, 혈액 검체 반송기구(24)가 하강한다.
상기 혈액 검체 반송기구(24)가 하강할동안, 파지핸드(23)가 개방되고, 검체 용기 홀더(9)에 의해 지지된 검체 용기(1)는 쌍으로 이루어진 파지부(25) 사이에 배치된다. 파지핸드(23)가 개폐기구(27)에 의해 폐쇄되었을 때, 검체 용기(1)의 중간부는 상기 파지부(25)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구동기구(20)는 혈액 검체 반송기구(24)를 상승시킨다. 이에 따라, 검체 용기(1)는 검체 용기 홀더(9)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상향이동된다.
구동기구(20)가 혈액 검체를 화살표(A) 방향으로 90°회전시켰을 때, 파지핸드(23)에 의해 지지된 검체 용기(1)는 검출위치(P2)에 배치된다. 그후, 만일 파지핸드 회전기구(21)가 제어기(17)로부터의 신호 수신에 따라 구동된다면, 파지핸드(23)에 의해 지지된 검체 용기(1)는 도3b, 도4a 및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다. 다시 말하면, 검체 용기(1)는 캡(13)이 하방으로 지향되도록 경사진다.
검체 용기(1)가 경사지면, 상기 광검출 유니트(14)의 발광소자(15)는 제어기 (17)로부터의 제어신호 수신에 따라 광(L)을 방출한다. 만일 검체 용기(1)에 수용된 혈액 검체(3)가 응고되지 않았다면, 검체는 액체이므로 도4a 및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또는 캡(13)을 향하여 수집된다. 만일 혈액 검체(3)가 응고되었다면, 도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체 용기(1)의 바닥에 축적된다.
검사광(L)이 검체 용기(1)를 통해 수광소자(16)에 인입되었을 때, 검출 유니트(14)는 혈액 검체(3)가 응고된 것으로 판단한다. 검사광(L)이 혈액 검체(3)에 의해 차폐되었을 때, 검출 유니트(14)는 혈액 검체(3)가 응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각각의 판단에 따라, 수광소자(16)는 검출 신호를 제어기(17)에 공급한다.
혈액 검체(3)의 응고에 대한 검사가 완료되었을 때, 구동기구(20)는 혈액 검체 반송기구(24)를 화살표(A) 방향으로 90°씩 간헐적으로 반송한다. 혈액 검체(3)가 응고된 것으로 판단된 검체 용기(1)가 제1분리위치(P3)에 도달되었을 때, 파지핸드(23)의 파지부(25)가 개방되어, 검체 용기(1)가 제1분리슈트(28)내로 낙하된다.
혈액 검체(3)가 응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검체 용기(1)가 제1분리위치(P3)를 통과하여 제2분리위치(P4)에 도달되었을 때, 파지핸드(23)의 파지부(25)가 개방되어, 검체 용기(1)가 제2분리슈트(29)내로 낙하된다.
따라서, 혈액 검체(3)가 응고된 검체 용기(1)와, 혈액 검체(3)가 응고되지 않은 검체 용기(1)가 자동으로 서로 분리된다. 파지핸드(23)가 다시 반송로(2)상에서 반송위치(P1)에 도달되었을 때, 파지핸드(23)를 갖는 혈액 검체 반송기구(24) 가 하강하여, 상술한 바와 동일한 동작을 반복한다.
상술한 바의 혈액 검체 검출장치에 따르면, 혈액 검체가 수용된 검체 용기(1)는 반송도중에 반송로에서 자동으로 취출되어 경사진 후, 광검출 유니트(14)에 의해 검출된다. 따라서, 검체 용기(1)내의 혈액 검체가 응고되었는지의 여부가 자동으로 정확하게 판단될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이 개선되고 검사의 신뢰성이 향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서, 반송위치(P1), 검출위치(P2), 제1분리위치(P3), 제2분리위치(P4)는 축선(O) 주위에서 90°간격으로 배치된다. 이것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이다. 이러한 위치들은 선형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파지핸드는 연속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광검출 유니트(14)로서 작용하는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15, 16)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소자들은 혈액 검체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용하도록 병렬로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광검출 유니트(14)는 검출위치(P2)에서 하방으로 지향되도록 경사진 검체 용기(1)의 상부를 검출하지만, 상기 검출 유니트(14)는 검출위치(P2)에서 상방으로 지향되도록 경사진 검체 용기(1)의 바닥부를 검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검사광(L)이 검체 용기(1)의 바닥부에 의해 차폐되었다면, 혈액 검체(3)가 응고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 다른 장점 및 변형은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 광범위한 특징에 있어서 도시 및 서술된 특정의 설명과 대표적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첨부의 청구범위 및 그 등가물 에 의해 한정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발명의 개념의 범주 및 정신으로부터의 일탈없이 다양한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혈액 검체가 수용된 검체 용기를 반송하는 반송로의 반송 도중에, 검체 용기를 자동적으로 취출하고, 그 검체 용기를 경사시켜 광학 검지 장치에 의해서 검지하는 것에 의해, 검체 용기내의 혈액 검체가 응고하였는지 여부를 자동적으로 정확히 검지할 수 있고, 작업 능률의 향상과 검사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혈액 검체가 수용된 검체 용기를 검출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와,
    검체 용기가 검출위치에 배치되었을 때 검체 용기의 바닥이 상향으로 지향되도록, 상기 이동장치에 연결되어 검체 용기를 경사시키는 회전기구와,
    상기 검출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검체 용기내의 혈액 검체가 응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광센서를 포함하는
    혈액 검체 검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검체 용기가 검출위치에 배치되었을 때 검체 용기의 상부가 하향으로 지향되되고, 상기 검체 용기의 바닥이 하부로서 규정되도록, 상기 회전기구가 검체 용기를 경사시키며;
    상기 광센서는 상기 검체 용기의 상부에 혈액 검체가 축적되어 있는지를 검출하는
    혈액 검체 검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광센서가 혈액 검체를 검출하였을 때 혈액 검체가 흐르는 것으로 판단하고, 광센서가 혈액 검체를 검출하지 않았을 때 혈액 검체가 응고된 것 으로 판단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혈액 검체 검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검체 용기를 지지하고, 상기 검체 용기가 이동장치로 이동되는 위치로 상기 검체 용기를 반송하는 반송로를 더 포함하는
    혈액 검체 검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체 용기는 관형 용기와, 상기 관형 용기의 상부 개구에 장착되는 캡을 구비하는
    혈액 검체 검출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는 이동 유니트와 회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에는 상기 이동 유니트가 연결되고, 상기 회전부재는 각각의 이동 유니트를 반송로로부터 검출위치로 이동시키는
    혈액 검체 검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는 회전기구에 의해 경사진 검체 용기로 광을 방출하는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검체 용기를 통하여 광을 수용하는 수광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광센서는 발광소자가 광을 수신하였을 때 제1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수광소자가 광을 수용하지 않았을 때 제2신호를 출력하는
    혈액 검체 검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는 반송로로부터 검체 용기를 파지 및 제거하는 파지핸드를 포함하는
    혈액 검체 검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는 광센서가 혈액 검체가 응고된 것으로 판단하였을 때 검체 용기를 검출위치로부터 제1분리부로 이동시키고, 광센서가 혈액 검체가 응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였을 때 검체 용기를 제2분리부로 이동시키는
    혈액 검체 검출장치.
  10. 혈액 검체가 수용된 검체 용기의 상부 개구를 폐쇄하는 캡이 상향인 상태로 상기 검체 용기를 반송하는 반송로와,
    상기 반송로의 중간지점에 배치되며, 검체 용기에 내장된 혈액 검체의 응고 를 검출하는 검출장치와,
    상기 반송로와 상기 검출장치 사이의 위치에 제공되며, 자유롭게 회전되고 상하로 이동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제공되며 파지핸드를 갖는 혈액 검체 반송기구와,
    상기 혈액 검체 반송기구의 각각에 제공된 파지핸드 회전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파지핸드는 구동부가 하방으로 이동되었을 때 반송로에 의해 반송된 검체 용기를 지지하고, 구동부가 상방으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검체 용기를 반송로로부터 상승시키고, 구동부를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지지된 검체 용기를 검출장치로 반송시키며; 상기 파지핸드 회전기구는 파지핸드가 검출장치 근처에 배치되었을 때 파지핸드에 의해 지지된 검체 용기의 캡이 하방으로 지향되도록, 대응의 파지핸드를 회전시켜 검체 용기를 경사시키는
    혈액 검체 검출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 검체 반송기구의 파지핸드는 구동부의 주위에 방사방향으로 배치되고, 검체 용기를 연속적으로 처리하도록 구동되는
    혈액 검체 검출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응고된 혈액 검체가 수용된 검체 용기와 응고되지 않은 혈액 검체가 수용된 검체 용기를 분리시키는 분리부를 더 포함하는
    혈액 검체 검출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방출된 검사광이 검체 용기내의 혈액 검체에 의해 반사되거나 차광되었을 때, 상기 혈액 검체가 응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검체 검출장치.
KR1020050012468A 2004-02-16 2005-02-15 혈액 검체 검출장치 KR1006497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38085 2004-02-16
JP2004038085A JP3803345B2 (ja) 2004-02-16 2004-02-16 血液検体の自動検知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1965A true KR20060041965A (ko) 2006-05-12
KR100649789B1 KR100649789B1 (ko) 2006-11-27

Family

ID=34836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2468A KR100649789B1 (ko) 2004-02-16 2005-02-15 혈액 검체 검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314596B2 (ko)
JP (1) JP3803345B2 (ko)
KR (1) KR100649789B1 (ko)
CN (1) CN166741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67861B1 (fr) * 2004-03-16 2006-07-14 Abx Sa Dispositif pour l'approvisionnement d'analyseurs sur sang total
JP3858029B2 (ja) * 2004-03-22 2006-12-13 株式会社アイディエス 試験管の検知装置
ITFI20060336A1 (it) * 2006-12-22 2008-06-23 Esposti Filippo Degli Apparecchiatura di campionamento automatico per analisi chimiche con dispositivo di guida per lo strumento di prelievo/iniezione del campione
JP5139912B2 (ja) * 2008-08-01 2013-02-06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血液試料凝固判定システム、血液試料凝固判定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2214011B1 (en) * 2008-08-01 2019-01-02 Sysmex Corporation Blood sample analyzing apparatus
US9417253B2 (en) 2008-10-30 2016-08-16 Sysmex Corporation Specimen processing system and specimen container classifying apparatus
JP5220557B2 (ja) * 2008-10-30 2013-06-26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検体処理システム及び検体容器仕分け装置
ITVI20090107A1 (it) * 2009-05-07 2010-11-08 Cea Brevetti Spa Macchina per l'ispezione di recipienti e metodo di ispezione impiegante tale macchina
JP5484849B2 (ja) * 2009-09-30 2014-05-07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血液試料処理装置及び血液試料処理方法
EP2508891B1 (en) * 2009-12-04 2019-08-07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oration Blood coagulation analyzer
JP5923270B2 (ja) 2011-10-07 2016-05-24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検体処理システム
EP2770318B1 (en) * 2013-02-21 2018-03-21 Roche Diagniostics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clots in a liquid and laboratory automation system
EP2989791A4 (en) * 2013-04-22 2017-04-05 Pressco Technology, Inc. Cap analysis technique
JP6173883B2 (ja) * 2013-10-31 2017-08-02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検体容器取出装置及び検体処理システム
CN117058415A (zh) 2016-10-28 2023-11-14 贝克曼库尔特有限公司 物质准备评估系统
CN108956542A (zh) * 2017-05-18 2018-12-07 微采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凝血酶原时间的测定方法及其应用装置
JP7302504B2 (ja) * 2020-02-27 2023-07-04 株式会社島津製作所 蛍光x線分析装置
CN111551700A (zh) * 2020-05-29 2020-08-18 重庆智领医创科技成果转化服务有限责任公司 一种光学血样检测装置
CN113237852B (zh) * 2021-06-03 2024-04-19 高洪亮 血标本状态识别装置
CN113893956A (zh) * 2021-09-07 2022-01-07 徐州生物工程职业技术学院 一种动物血清分离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6807521A (ko) * 1968-05-28 1969-12-02
US3754866A (en) * 1971-07-30 1973-08-28 Sherwood Medical Ind Inc Optical detecting system
US4105411A (en) * 1977-08-31 1978-08-08 Sybron Corporation Device for determining the activated clotting time of a blood sample
US4120662A (en) * 1978-01-18 1978-10-17 Cortex Research Corporation Specimen sampling apparatus
US4278437A (en) * 1979-04-09 1981-07-14 Jan Haggar Fluid specimen holder for biological fluid testing
US4609017A (en) * 1983-10-13 1986-09-02 Coulter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carriers of sealed sample tubes and mixing the samples
CA2015941A1 (en) * 1989-05-03 1990-11-03 Marsha A. Kessler Method of forming agglutinates in blood samp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9789B1 (ko) 2006-11-27
JP3803345B2 (ja) 2006-08-02
US7314596B2 (en) 2008-01-01
CN1667417A (zh) 2005-09-14
US20050180884A1 (en) 2005-08-18
JP2005227206A (ja) 2005-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9789B1 (ko) 혈액 검체 검출장치
JP7051932B2 (ja) 自動分析装置
US5525298A (en) Apparatus for taking liquid content for use in analysis out of container
KR20060044489A (ko) 혈액 검체 검지 장치 및 방법
US11125601B2 (en) Laboratory automation system including improved processing of a laboratory sample by optical and tip position sensing
US9476806B2 (en) Sample processing system
WO2015046425A1 (ja) 試験片ピックアップ機構、試験片移動装置、液体試料分析装置及び試験片ピックアップ方法
JP7008635B2 (ja) 搬送装置
JP3704570B2 (ja) チャッキング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試料検査装置
JP6619928B2 (ja) 把持装置、搬送装置、及び分析装置
JP2017083269A (ja) 自動分析装置
JP2017173064A (ja) 自動分析装置
US20210373043A1 (en) Detection apparatus, specimen processing apparatus, and specimen processing method
EP3842768B1 (en) Liquid level detection device
JP2004361396A (ja) 遠心機内蔵型分析装置
JP2011007697A (ja) 自動分析装置
JPH0972923A (ja) 分注装置及び方法
JP2023523593A (ja) サンプル容器における流体レベルの差分測定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14653418A (zh) 监测实验室装置的参考点的实验室系统
KR20230071491A (ko) 액상 검체 완전 자동 검사 시스템 및 방법
JPH06242125A (ja) 生化学分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