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0677A - 인터넷 단말형 차세대 팩시밀리 장치 - Google Patents

인터넷 단말형 차세대 팩시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0677A
KR20060040677A KR1020067000746A KR20067000746A KR20060040677A KR 20060040677 A KR20060040677 A KR 20060040677A KR 1020067000746 A KR1020067000746 A KR 1020067000746A KR 20067000746 A KR20067000746 A KR 20067000746A KR 20060040677 A KR20060040677 A KR 200600406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ile
transmission
image scanning
re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0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아키 타키다
Original Assignee
요시아키 타키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아키 타키다 filed Critical 요시아키 타키다
Priority to KR1020067000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40677A/ko
Publication of KR20060040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06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탁상형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 인쇄기(30) 및 바닥 설치형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 인쇄기(40)는, 광검출 소자 센서(CCD)에 의한 화상주사 판독기능 및 인쇄처리 기능 혹은 인터넷 단말기능을 장비하고 있어, 사무실 혹은 가정 등에 설비하는 인터넷 단말장치인 라우터(router) 등에 대해서 데이터 통신 가능한 케이블 방식 혹은 무선방식으로 접속을 실행하는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 인쇄기이다.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 인쇄기는, 서류 인쇄물 등에 대해서 광검출 소자 센서에 의한 화상주사 판독을 실행함으로써 작성하는 화상파일을, 새로 설비하는 팩시밀리 파일 송수신용 서버인 팩시밀리 서버를 통해, 송신 행선지 데이터로서 새로 설정하는 팩시밀리 어드레스 혹은 송신처 인터넷 단말장치가 구비하는 IP 전화번호를 행선지 데이터로서 설정하고, 인터넷을 통해 판독화상파일의 송수신을 실행한다.
인터넷 단말, 차세대 팩시밀리 장치

Description

인터넷 단말형 차세대 팩시밀리 장치{NEXT-GENERATION FACSIMILE MACHINE OF INTERNET TERMINAL TYPE}
본 발명은, 화상주사 판독기능을 장비(裝備)하는 화상주사 판독기를, 인터넷 단말장치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케이블 접속방식 혹은 무선 접속방식으로 접속을 실행하고, 혹은 화상주사 판독기 본체에 인터넷 단말기능을 장비한 바닥 설치형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기로, 서류 인쇄물에 대해서 화상주사 판독을 실행함으로써 작성하는 화상 데이터를 인터넷 단말장치의 외부 기억장치에 화상파일로서 기억 저장한다. 화상파일은 인터넷 단말인 통신기능을 사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송수신 가능하지만, 송신시의 행선지 데이터로서 새로 설정하는 파일 어드레스로 송신 행선지를 설정하여 새로 설비하는 파일 송수신용 서버인 파일 서버를 통해 송수신을 실행하는 파일 송수신 방법이다. 혹은 화상파일 착신시에 인쇄처리를 실행하는 팩시밀리 송수신 형태로 송신하는 경우에는, 송신시의 행선지 데이터로서 새로 설정하는 팩시밀리 어드레스로 송신 행선지를 설정하고 새로 설비하는 팩시밀리 파일 송수신용 서버인 팩시밀리 서버를 통해 송수신을 실행하는 팩시밀리 파일 송수신 방법이다. 혹은, 송신시의 행선지 데이터로서 인터넷 단말이 구비하는 고정 IP 어드레스에 대응시키는 IP 전화번호를 송신 행선지 데이터로서 화상주사 판독 파일의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인터넷 단말기능을 구비하는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기 및 인터넷상에서의 파일 송수신 방법 혹은 파일 송수신 시스템이다.
광검출 소자 센서(CCD:charge-coupled device)를 사용하여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는 방법은 몇 가지가 있지만, 광검출 소자 카메라로 촬영함으로써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여 컴퓨터로 취급할 수 있는 화상파일로서 기억 저장하는 방법, 혹은 광검출 소자 센서를 사용하여 화상주사 판독을 실행함으로써 작성하는 화상 데이터를 화상파일로서 기억 저장하는 방법 등은, 광검출 소자 카메라 혹은 이미지 스캐너 등으로 알려져 있다. 그밖에, 종래부터 화상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으로서 팩시밀리기로 판독하는 화상주사로 화상을 부호화하여 전송하는 방법, 혹은 휴대전화 회사의 광검출 소자 카메라폰으로 촬영하여 작성하는 화상 데이터를 화상파일로 송수신하는 방법, 혹은 인터넷상에서의 파일 송수신 방법으로서 FTP로 파일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비교적 파일 사이즈가 작은 경우에는 인터넷 메일의 첨부파일 형식으로 송수신하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화상주사 판독을 실행하는 광검출 소자 센서(CCD:charge-coupled device)를 장비하는 화상주사 판독기로 작성하는 화상 데이터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케이블 접속방식 혹은 무선 접속방식으로 접속한 인터넷 단말장치측으로 화상 데이터를 송신한다. 화상데이터를 수신한 인터넷 단말장치에서는, 메모리 카드식 기억장치 혹은 고정 디스크 기억장치 혹은 이동식 RAM 디스크 장치 등의 외부 기억장치에서 화상파일의 형태로, 서류 인쇄물 등에 대해서 화상주사 판독을 실행함으로써 작성하는 화상 데이터를 인터넷 단말장치에 장비하는 외부 기억장치에 기억 저장한다.
화상주사 판독기로 판독을 실행함으로써 작성한 화상파일 혹은 인터넷 단말장치의 외부 기억장치에 기억 저장되어 있는 파일을, 인터넷을 통해 송수신하는 방법으로서 새로 설비하는 파일 송수신용 서버인 파일 서버를 통해 송수신을 실행하지만, 송수신시의 행선지 데이터로서는 새로 설정하는 파일 어드레스로 행선지 데이터를 설정하여 송수신을 실행하는 파일 송수신 방법이다.
종래의 송수신 형태인, 송수신시에 수신측인 인터넷 단말장치가 상시 통전(通電) 상태에서 착신대기 상태이고 인쇄처리 기능을 장비하는 경우에는, 새로 설비하는 팩시밀리 송수신용 서버인 팩시밀리 서버를 통해 송신 행선지 데이터로서는 새로 설정하는 팩시밀리 어드레스를 행선지 데이터로서 설정하여 송수신을 실행하는 팩시밀리 파일 송수신 방법이다.
인터넷상에서 파일의 송수신을 실행하는 방법은, 인터넷 메일의 송수신 방법 혹은 FTP에서의 전송방법을 발전 개량한 것이면 되고, 파일 송수신 방법으로서 새로 책정한 것이라도 된다. 혹은, 새로 설비하는 파일 서버 혹은 팩시밀리 서버에 의해 송수신을 실행하는 파일 혹은 팩시밀리 송수신 방법으로서 최적인 프로토콜을 새로 설계한 것이라도 된다.
종래의 팩시밀리기로 화상주사 판독을 실행함으로써 부호화하여 전송하는 방법과는 다른 방법으로, 차세대 팩시밀리 장치 및 팩시밀리 송수신 방법 혹은 팩시밀리 송수신 시스템이 될 것으로 생각되는 것이다. 종래의 팩시밀리 송수신 형태로 화상파일인 팩시밀리 파일의 송수신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새로 설비하는 팩시밀리 파일 송수신용 서버인 팩시밀리 서버를 통해 화상주사 판독기에서의 화상주사 판독으로 작성하는 화상파일을, 송수신시의 행선지 데이터로서 새로 설정하는 팩시밀리 어드레스를 송신 행선지 데이터로서 설정하여 송수신을 실행하는 차세대 팩시밀리 장치 및 팩시밀리 파일 송수신 방법 혹은 팩시밀리 파일 송수신 시스템이다.
화상주사 판독기를 접속하는 인터넷 단말장치는, 휴대전화기 및 인터넷 단말형 탁상형 전화기 등 전화망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는 인터넷 단말장치, 혹은 휴대형 컴퓨터 혹은 탁상형 컴퓨터 등 인터넷 접속회사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는 인터넷 단말장치이다.
화상주사 판독기는, 메모 및 일러스트 혹은 사진 혹은 서류 인쇄물에 대해서 광검출 소자 센서에 의한 화상주사 판독을 실행하는 화상주사 판독 수단을 장비함과 동시에, 화상주사 판독으로 작성하는 화상 데이터를 인터넷 단말장치측으로 데이터 송신하여 화상파일 형식으로 외부 기억장치에 기억 저장한다. 외부 기억장치에 기억 저장되어 있는 화상파일 혹은 그 밖의 파일 등은 인터넷 단말인 통신 기능부에서의 통신처리에 의해 인터넷을 통해 파일 송수신이 가능하다. 화상주사 판독기능을 장비하는 장치를 인터넷 단말장치에 접속하여 사용하는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 장치, 혹은 화상주사 판독기능 및 인터넷 단말기능을 장비하는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기로서의 인터넷 단말장치의 장치 형태로서의 화상파일 송수신 방법 혹은 화상파일 송수신 시스템이다. 또한, 화상파일은 화상 데이터 외에, 화상파일 사이즈 정보 및 화상 데이터 판독 시각(時刻)정보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주사 판독기는 사용 용도에 맞추어 패키지 형상이 다른 것이 몇 가지 있는데, 메모용지 사이즈 정도의 원고 사이즈 판독에 대응하는 휴대형 화상주사 판독기, A4 사이즈 정도까지의 원고 판독에 대응하는 비즈니스 백에 들어갈 정도의 패키지를 구비하는 휴대형 서류 판독기 및 종래의 탁상형 팩시밀리기 형상의 패키지를 구비하는 탁상형 화상 판독 송수신 인쇄기, 및 서적 혹은 철되어 있는 서류 등을 판독하는 경우에 적합한 플랫베드(flatbed) 판독기, 및 종래 사무실 등에 설비되어 있는 바닥 설치형 복사기 형상의 패키지를 구비하는 바닥 설치형 화상판독 송수신 인쇄기 등이다.
종래 인터넷 메일로 송수신하는 메시지는 통상 키보드 입력으로 작성하는 텍스트 문자로 된 메시지인데, 메일을 받은 쪽은 수신한 그 메일을 작성한 사람이 정말로 송신자라고 기재되어 있는 사람인지의 여부를 송신된 메일 정보만으로는 알 수 없지만, 화상주사 판독기를 사용하여 메모 등을 판독하여 화상 데이터로서 송신을 실행하는 화상파일로 된 메시지인 경우에는 필적으로 본인인증이 가능하다.
필적은 개체식별이 가능하기 때문에, 화상주사 판독기를 사용하여 필적 판정에 의한 본인인증 수단을 응용하는 보안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프라인 혹은 온라인 시스템에 로그 온 할 때, 서명을 적은 메모용지를 화상주사 판독기로 판독하여 화상파일로서 시스템측에 송신함으로써, 서명 화상파일을 수신한 시스템측에서는 미리 송신자 본인이 계약시에 필적 등록해 둔 서명 필적 데이터를 근거로, 필적 데이터에 의한 인터넷 접속자의 본인인증이 가능해지는 등의 경우가 있다.
시스템 로그 온 시에 있어서의 종래의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에 의한 본인 인증방법 및 보안 방법과는 다른 새로운 본인 인증방법 및 보안 방법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필적 화상 데이터가 송신처에 남을 수도 있어 심리적으로 자제심이 작용한다는 억제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신뢰성 및 높은 레벨의 보안성이 요구되는 시스템에 대한 이용 혹은 바람직하지 않은 인터넷 사용을 방지하고자 하는 경우 등에 대한 응용을 생각할 수 있다.
화상을 판독하여 화상 데이터를 기억 저장할 때의 화상파일 형식은, JPG 파일 형식 및 BMP 파일 형식 등 몇 가지의 화상파일 형식으로 저장이 가능하지만, 화상 데이터를 저장할 때의 파일 형식의 결정은 화상주사 판독을 실행하여 판독 화상 데이터를 저장할 때에 저장 가능한 파일 형식으로부터 선택하는 방법, 혹은 화상주사 판독으로 작성하는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파일 형식을 미리 인터넷 단말장치의 기본 조작 메뉴로 설정해 두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화상파일 형식으로서는, 몇 가지의 일반적인 화상파일 형식 외에 미국 Adobe사의 서류를 파일화 할 때의 파일 형식인 PDF 파일 형식으로 저장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독을 실행할 서류원고가 수 페이지에 달할 경우, 혹은 가령 서류원고가 1페이지인 경우라도, 송수신 등으로 인터넷상을 오갈 때의 파일 형식은, 예를 들어 문서서류를 주고받는 경우에도 종이 서류만이 아니고 파일 폴더에 철하거나 혹은 서류봉투로 주고받는 것과 같이, 화상 데이터를 파일화하는 경우에 PDF 파일과 같은 파일 형식으로 기억 저장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PDF 파일 형식은 그밖에, 문자 및 일러스트 혹은 사진 혹은 서류 인쇄물 등의 PDF 파일 데이터를 인터넷 단말장치의 표시부에서 확대 축소 표시 및 스크롤 표시를 실행할 때의 경우를 생각하여도, PDF 파일 형식은 수 페이지에 달하는 경우에도 화상파일을 통일성 있는 파일 형식으로 정리하는 기능을 구비함과 동시에 조작성이 뛰어나, 화상 데이터 비손실 압축률에 의한 PDF 파일 형식 저장이 좋다고 생각된다. PDF 파일 형식이 가장 좋다고 생각되는 화상 데이터 저장 보존 파일 형식은, 화상 데이터를 통일성 있는 화상파일 형식으로 정리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확대 축소 및 스크롤 표시기능 등 조작성이 뛰어난 화상파일 저장 형식이라면 된다.
인터넷 단말장치에 접속하는 화상주사 판독기는, 컴퓨터 등에 접속하는 외장 디스크 드라이브 등의 기억매체 디바이스와 같은 것으로 생각하고, 화상주사 판독으로 작성하는 화상 데이터를 화상파일로서 저장하는 장소는, 인터넷 단말장치에 장비하고 있는 외부 기억장치인 고정 디스크 기억장치 및 이동식 ROM 디스크 장치 혹은 메모리식 카드 기억장치에 기억 저장한다. 외부 기억장치에 기억 저장되어 있는 파일을 컴퓨터 등에 이동할 때에도 간편하게 실행할 수 있는 교체 가능한 기억매체이기 때문에, 인터넷 단말장치의 외부 기억장치는 착탈 가능한 메모리 카드식 기억장치 혹은 이동식 ROM 디스크 장치가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바닥 설치형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 인쇄기의 경우에는 사무실에 설비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외부 기억장치가 기억 저장되어 있는 파일을 잘못 고르는 경우가 일어날 수 있으므로 고정 디스크 장치상의 파일에 대한 보안 기능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사무실에 근무하는 사람 수만큼 고정 디스크상에 폴더를 작성하고, 그 폴더에 액세스할 때는 그 폴더의 주인이 설정 관리하는 패스워드를 입력하지 않으면 그 폴더에 액세스할 수 없는 등이다. 고정 디스크상의 폴더를 메모리 카드식 기억장치로 이동 및 복사기능 혹은 고정 디스크상의 파일 삭제 등이 가능하고, 컴퓨터와 같이 사용자 관리 패스워드 및 관리자 관리 패스워드 등으로의 액세스 제한기능에 의한 고정 디스크상 파일의 보안 대책을 생각할 수 있다. 한편, 인터넷측으로부터의 고정 디스크상 파일에 대한 액세스를 방지하는 보안기능을 구비한다. 외부 기억장치로서는 고정 디스크 장치 외에 이동식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문서서류의 화상주사 판독을 실행함으로써 작성하는 문서 화상파일을 직접 혹은 고정 디스크 장치상에 있는 파일을, 이동식 디스크 미디어인 CD-ROM·CD-RAM·DVD-ROM·DVD-RAM·혹은 차세대 이동식 디스크 미디어로의 기억 저장을 가능하게 한다.
화상주사 판독기 조작부에서 실행하는 판독 송신작동 조작으로, 화상판독 개시로부터 판독기에 접속한 인터넷 단말장치 측에서의 화상파일 송신 종료까지 동작한다. 송신 행선지 데이터의 설정은, 송신할 때마다 문자 숫자 입력키를 사용하여 행선지 데이터인 파일 어드레스 혹은 팩시밀리 어드레스 외에 IP 전화번호를 행선지 데이터로서 송신 가능하게 하는 것이 숫자 번호 데이터이므로 행선지 데이터 설정이 간편하여 바람직하다. 화상주사 판독기의 기본 조작 메뉴에 개인정보를 기억 가능하게 하는 주소록 기능을 장비함과 동시에, 화상주사 판독기에 장비되어 있는 몇 가지의 행선지 데이터 기억 버튼 스위치에 대해서 행선지 데이터 정보를 기억 가능하게 하는 행선지 데이터 기억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파일 송신 행선지 데이터인 파일 어드레스 및 팩시밀리 어드레스 혹은 IP 전화번호를 송신처 수신 데이터로서 설정하고 송신작동 조작을 실행함으로써, 화상주사 판독으로 작성하는 화상 데이터를 인터넷 단말장치측에 데이터 송신하고, 화상파일 형식으로 인터넷 단말장치의 통신 기능부에서의 송신처리에 의해 파일 서버 혹은 팩시밀리 서버를 통해 화상파일을 송신한다.
송신작동 조작으로서는, 판독원고를 판독기 판독부에 세트하고 행선지 데이터 기억 버튼 스위치 혹은 주소록으로 행선지 데이터인 송신처 파일 어드레스 혹은 팩시밀리 어드레스 혹은 IP 전화번호를 미리 기억 설정해 둔 행선지 데이터 기억 기능부로부터 판독함으로써, 행선지 데이터를 설정하고 송신 버튼 스위치를 누른다는 간단한 화상 데이터 판독 송신작동 조작방법이므로, 통신기능 조작이 서툰 사람 혹은 조작이 번거로워서 지금까지 인터넷 메일을 사용하지 않았던 사람 혹은 어린이 등도 손으로 쓴 메시지 및 일러스트 혹은 서류 인쇄물 등을 휴대형 인터넷 단말장치 및 탁상형 인터넷 단말장치 혹은 컴퓨터 등에 대해서 종래의 팩시밀리 송신 정도의 간단한 송신 조작방법으로, 송신 상대방으로서는 종래의 팩시밀리의 경우와는 달리 송신처를 송수신 전용기인 팩시밀리기로 한정하지 않고 인터넷 단말장치에 대해서 송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소형의 휴대형 인터넷 단말장치 등에 화상 데이터 표시부를 장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화상 데이터의 표시가 가능하지만, 화상 데이터 표시부는 표시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의 확대 축소 표시 처리기능 및 상하좌우 등 스크롤 표시 처리기능을 장비한다.
인터넷 단말장치로 인터넷을 통해 실행하는 파일 송수신 방법으로서는, 종래의 인터넷 메일 송수신 시에 메일 송수신 전용 소프트웨어를 기동하여 실행하지만, 파일 송수신을 위하여 새로 작성해서 셋업을 실행하는 파일 송수신용 소프트웨어를 기동하고, 신규 파일 송신처리를 선택하여 행선지 데이터란에 파일 어드레스를 설정하고, 파일 송수신용 서버인 파일 서버를 통해 파일 송신을 실행하는 파일 송수신 방법, 팩시밀리 송수신 형태로 송신하는 경우에는 행선지 데이터란에 팩시밀리 어드레스를 설정하고, 팩시밀리 파일 송수신용 서버인 팩시밀리 서버를 통해 송수신을 실행하는 팩시밀리 파일 송수신 방법이 있다.
파일을 송수신하는 경우에는 파일 어드레스를 행선지 데이터로서 설정하고 파일 서버를 경유하여 송수신을 실행하지만, 송신처의 인터넷 단말장치는 사무실 책상 위에 설비되어 있는 탁상형 컴퓨터 등 전원이 항상 ON 상태라고는 할 수 없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충분한 통신속도를 얻을 수 있는 통신 인프라가 정비되고, 인터넷 단말장치가 장비하는 외부 기억장치의 기억용량이 빈 용량을 신경 쓰지 않아도 될 정도로 대용량일 때에는 송신된 파일 전체를 수신하는 착신형태로 해도 좋은데, 그 때까지는 수신측에 파일이 송신되고 있는 것을 통지하는 파일 착신 메시지 및 파일명 혹은 파일 사이즈 정보를 파일 서버로부터 송신함으로써, 수신장치의 빈 디스크 용량을 조사한 후에 송신되어 와서 파일 서버상에 있는 착신 파일 중에서 수신할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수신형태를 생각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팩시밀리 어드레스를 송신 행선지 데이터로서 설정하여 팩시밀리 서버 경유로 팩시밀리 파일을 송수신하는 경우에는, 화상주사 판독 개시로부터 송신처에 팩시밀리 파일이 착신되어 인쇄처리를 실행할 때까지의 동작이 종래의 팩시밀리기에서의 송수신 동작형태이고,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 인쇄기로부터 팩시밀리 서버에 송신한 화상파일인 팩시밀리 파일은, 상시 착신대기 상태인 종래의 탁상형 팩시밀리기 정도의 패키지를 구비하는 탁상형 인터넷 단말장치, 혹은 종래 사무실 등에 설비했던 바닥 설치형 복사기 정도의 패키지를 구비하는 바닥 설치형 인터넷 단말장치이고, 송신을 실행한 팩시밀리 파일은 즉시 수신측에 송신하여, 탁상형 인터넷 단말장치 혹은 바닥 설치형 인터넷 단말장치가 장비하고 있는 인쇄처리 기능으로 인쇄처리를 실행하는 팩시밀리 수신형태이다.
수신측인 탁상형 인터넷 단말장치 혹은 바닥 설치형 인터넷 단말장치에서는, 팩시밀리 파일 착신과 동시에 인쇄처리를 실행하는 팩시밀리 파일 송수신 형태이고, 착신처리 동작 정상 종료시에는 팩시밀리 파일 송신원(元)에 수신처리 정상종료 메시지를 답신한다. 팩시밀리 파일 송신시에 팩시밀리 서버로부터 수신측에서 어떠한 결함으로 인해 착신처리를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재송신을 설정횟수 실행한 후에 배달 불능 메시지를 송신측에 답신한다.
파일 서버 및 팩시밀리 서버는 모두 인터넷상에서 필요한 레벨의 보안기능을 구비하는 설계로 하지만, 파일 혹은 팩시밀리 파일 송수신 방법은 소위 피어 투 피어(peer-to-peer) 방식을 이미지하여 판단함으로써, 파일 서버 및 팩시밀리 서버는 '즉시 수신측에 송신한다' 혹은 '설정을 한 횟수 재송신한 후 송신측에 반송하거나 혹은 삭제한다'라는 송신 혹은 반송 중 어느 하나이며, 파일 및 팩시밀리 파일은 파일 서버 혹은 팩시밀리 서버상에서 필요한 최단시간 밖에 두지 않는다는 설계방침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도 1은, 휴대형 화상주사 판독기 및 주로 대응을 상정하는 인터넷 단말인 휴대형 인터넷 단말장치의 구체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휴대형 화상주사 판독기의 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탁상형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 인쇄기 및 주로 대응을 상정하는 인터넷 단말인 탁상형 인터넷 단말장치의 구체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4(a)는, 탁상형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 인쇄기의 예를 나타낸 도이다. 탁상형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 인쇄기는 종래의 팩시밀리기를 대체하는 차세대 팩시밀리 장치가 될 것으로 생각되는 것이다. 도 4(b)는, 사무실 등에 설비하는 것을 상정하는 바닥 설치형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 인쇄기를 나타낸 도이다.
도 5(a)는, A4 사이즈 정도까지의 판독원고 사이즈에 대응하는 휴대형 화상주사 판독기인 휴대형 서류 판독기의 예를 나타낸 도이고, 도 5(b)는, 화상주사 판독기를 응용하는 구체예로서 나타낸, 차세대 선거방법을 가능하게 하는 투표용지 화상주사 판독기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에 나타낸 것은, 전화기 형상의 패키지를 구비하는 인터넷 단말장치인, 전화기 형상 컴퓨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7은, 종래의 플랫베드 스캐너의 기능을 장비하는 새로운 형태의 화상주사 판독기인 플랫베드 판독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8은,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하여 사업소 등에 설비하는 라우터 및 게이트웨이 혹은 몇 가지의 서버를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화상주사 판독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0은, 인터넷 단말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1은, 인터넷 단말장치의 조작부에서 화상판독 작동 조작을 실행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도이다.
도 12는, 인터넷 단말장치의 외부 기억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파일을 송신할 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도이다.
도 13은, 화상주사 판독기의 조작부에서의 작동 조작으로 실행하는, 화상주사 판독 동작과 연속하여 인터넷 단말장치 측에서의 판독 화상파일 송신 종료까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도이다.
도 14는, 인터넷 단말장치의 외부 기억장치에 기억 저장되어 있는 화상파일의 파일 형식을 변환하는, 화상파일 형식 변환처리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도이다.
도 15는, 화상주사 판독기를 사용하는, 서명 화상 데이터의 필적에 의한 본인 인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도이다.
도 16은, 광검출 소자 카메라를 장비하는 기기를 사용하여 실행하는, 눈의 홍채 화상 데이터에 의한 인터넷상에서의 본인 인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도이다.
화상주사 판독기에는, 휴대형 화상주사 판독기·탁상형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 인쇄기·바닥 설치형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 인쇄기·휴대형 서류 판독기·플랫 베드 판독기·투표용지 화상주사 판독기 등이 있다.
도 1은, 휴대형 인터넷 단말인 휴대형 컴퓨터(3)·전화기 형상 컴퓨터(5)·PDA(7)를 예로서 나타내고 있는데, 휴대형 인터넷 단말장치에 대응하도록 소형 패키지를 구비하는 휴대형 화상주사 판독기(1)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탁상형 인터넷 단말의 경우를 나타내고 있는데, 인터넷 단말기능을 구비하는 탁상형 전화기(31)·노트북 컴퓨터(32)·데스크톱 컴퓨터(33)·인터넷 단말장치인 라우터(34) 등의 탁상 고정 설치형 인터넷 단말장치에 대응하도록 탁상 설치형의 패키지를 구비하고, 인쇄처리 기능 및 인터넷 단말기능을 장비하는 탁상형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 인쇄기(30), 혹은 도 4(b)에 나타낸 종래 사무실 등에 설비하고 있는 바닥 설치형 복사기 형상의 패키지를 구비하고, 복사기능·팩시밀리 기능·인쇄처리 기능 등을 장비하는 인터넷 단말장치인 바닥 설치형 화상 주사 판독 송수신 인쇄기(40), 혹은 도 5(a)에 나타낸 A4 사이즈까지의 원고 판독에 대응하고 휴대 가능하게 형성한 패키지를 구비하는 휴대형 서류 판독기(50), 혹은 도 7에 나타낸 화상주사 판독기인, 서적 및 제본하여 철한 서류 혹은 A4 사이즈보다 큰 원고 사이즈의 것을 판독할 경우에 적합한 플랫베드 판독기(70) 등이다
화상주사 판독기에 접속하는 인터넷 단말은, 인터넷 단말기능을 구비하는 전화회사의 탁상형 전화기(31) 및 휴대전화 회사의 휴대전화기 등의 전화망 접속형 인터넷 단말장치, 혹은 컴퓨터(32, 33) 등의 인터넷 접속회사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는 인터넷 단말장치이다.
상기 각각의 화상주사 판독기에 대해서, 상기 각각의 인터넷 단말장치를 케 이블 접속 등 데이터 통신 가능한 방식으로 접속하고, 화상주사 판독기 본체에 장비하고 있는 조작부에서의 작동 조작으로, 화상주사 판독 동작 개시로부터 인터넷 단말장치 측에서 인터넷을 통해 판독 화상파일 송신동작 종료까지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지만, 인터넷 단말장치에 장비되어 있는 조작부에서도 화상판독 작동 조작 및 파일 송신작동 조작이 가능하다. 인터넷 단말장치 조작부에서의 작동 조작으로, 화상주사 판독기에서 실행하는 화상주사 판독으로 작성하는 화상 데이터를 화상파일로서 인터넷 단말장치의 외부 기억장치에 기억 저장함과 동시에, 외부 기억장치에 기억 저장되어 있는 파일을 파일 송신시의 행선지 데이터로서 새로 설정하는 파일 어드레스 혹은 팩시밀리 어드레스로 설정하고 인터넷을 통해 송신을 실행한다. 파일 어드레스 및 팩시밀리 어드레스란, 종래 인터넷 메일이 메일 어드레스를 행선지 데이터로서 송수신하고 있던 것과 같이, 파일 및 팩시밀리 파일 송수신시에 행선지 데이터로서 설정하여 송신처를 특정하기 위한 송신처 어드레스이다.
인터넷 단말장치에 대해서 접속하는 화상주사 판독기는 데이터 통신 가능한 케이블 방식 혹은 무선방식으로 접속하지만, 접속방법은 실용적인 데이터 통신속도를 얻을 수 있는 것이라면 유선방식 혹은 무선방식 등을 특히 불문하고, 화상주사 판독기 및 인터넷 단말장치를 접속한 상태에서 주전원 스위치 ON의 통전 상태로 했을 때, 인터넷 단말장치가 화상주사 판독기를 화상주사 판독기 디바이스로서 자동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소형 패키지를 구비하는 휴대형 화상주사 판독기(1)로 판독을 실행하는 경우의 인터넷 단말로서 상정하는 휴대형 인터넷 단말장치를 나타낸 도로서, 휴대형 컴퓨터(3)·전화기 형상 컴퓨터(5)·PDA(7) 등 휴대형 인터넷 단말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휴대형 화상주사 판독기(1)와 각각의 휴대형 인터넷 단말장치(3, 5, 7)는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케이블식 데이터 통신방식 혹은 무선식 데이터 통신방식으로 접속을 실행한다.
도 2는, 휴대형 화상주사 판독기(1)의 예를 나타낸 외관도이다. 휴대형 화상주사 판독기(1)는 행선지 데이터 입력 등을 실행하는 문자 숫자 입력키(205)·문자 숫자 입력키(205)의 조작으로 미리 행선지 데이터를 설정 기억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행선지 데이터 기억 버튼 스위치(207)·휴대형 화상주사 판독기(1)의 동작정보를 표시하는 판독기 표시부(203)·화상판독 해상도를 설정하는 판독 해상도 설정 버튼 스위치(211)·판독원고를 세트하는 판독원고 세트부(201) 및 판독원고를 배출하는 판독원고 배출부(217)·송신시에 작동 조작하는 송신 버튼 스위치(215) 등을 장비하고 있다.
도 3은, 탁상형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 인쇄기(30)를 나타냄과 동시에, 대응하는 인터넷 단말로서 상정하는 탁상형 인터넷 단말장치를 나타낸 도이다. 인터넷 단말기능을 장비하는 탁상형 전화기(31)·노트북 컴퓨터(32)·데스크톱 컴퓨터(33)·라우터(34) 등 탁상 고정형 인터넷 단말장치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4(a)는, 책상 위에 거치하는 형식의 패키지를 구비하는 화상주사 판독기인 탁상형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 인쇄기(30)를 나타낸 도인데, 탁상형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 인쇄기(30)의 경우도 휴대형 화상주사 판독기(1)와 마찬가지로 문자 숫자 입력키(413)의 조작으로 송신할 때마다 행선지 데이터 입력을 실행하는 경우가 있지만, 행선지 데이터 설정 입력은 휴대전화기와 같이 문자 숫자 입력키(413)로 영어, 숫자, 한자, 한글, 히라가나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이라도 되지만, 송신 행선지 데이터는 전화 혹은 종래의 팩시밀리와 같이 숫자 번호 데이터로만 한정되지 않으며, 인터넷 메일 어드레스 설정 입력시와 같이, 인터넷 단말이 고정 IP 어드레스가 되어 IP 전화번호가 부여되어 대부분의 송신상대에 송신할 때의 송신 행선지 데이터로서 IP 전화번호로 송수신 가능해질 때까지는, 패키지 사이즈에 따라 검토를 하여 가능하다면 소형 패키지를 구비하는 PDA(7) 등과 같이 화상주사 판독기 본체에 소형 키보드를 장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밖에, 송신 행선지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행선지 데이터 기억 버튼 스위치(415)를 장비함과 동시에, 탁상형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 인쇄기(30)의 동작정보를 표시하는 판독기 표시부(421)·판독 해상도 설정 버튼 스위치(419)·판독원고를 세트하는 판독원고 세트부(401) 및 판독원고를 배출하는 판독원고 배출부(405)·송신시에 작동 조작하는 송신 버튼 스위치(417)·인터넷을 통해 송신되는 화상파일인 팩시밀리 파일 착신시에는 종래의 팩시밀리 착신 동작과 같이 탁상형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 인쇄기(30)가 인쇄처리 기능을 장비하고 있으므로 착신과 동시에 인쇄처리를 실행하지만, 그 인쇄처리를 위한 인쇄용지를 세트해 두기 위한 인쇄용지 세트부(403)·착신 팩시밀리 파일에 대해서 인쇄처리를 실행한 인쇄완료 용지를 배출하는 인쇄용지 배출부(407)를 구비하고 있다. 전원부에는 AC 전원장치를 사용함으로써 팩시밀리 수신 형태인 상시 통전 상태의 수신대기 상태로 한다.
탁상형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 인쇄기(30)에 대해서 인터넷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탁상형 전화기(31) 등을 접속함으로써, 혹은 인터넷 단말장치인 라우터(34)에 직접 접속을 실행하여, 화상주사 판독 작동 개시로부터 인터넷 단말 기능부에서의 판독 화상파일 송신 종료까지의 작동 조작을 탁상형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 인쇄기(30)에 장비하고 있는 판독기 조작부에서 가능하게 하지만, 송신 행선지 데이터 설정 입력 방법으로서는 문자 숫자 입력키(413)로의 설정 입력으로 송신할 때마다 실행하거나 혹은 탁상형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 인쇄기(30)의 기본 조작 메뉴 중에서 주소록을 기동하여 미리 기억 설정해 둔 송신처 상대의 어드레스 정보를 선택하여 설정 입력을 실행하거나, 혹은 행선지 데이터 기억 버튼 스위치(415)에 대해서 미리 기억 설정해 둔 행선지 데이터를 행선지 데이터 기억 버튼 스위치(415)의 조작으로 판독하여 설정 입력을 실행한 후에 송신 버튼 스위치(417)를 누른다는 간단한 판독 송신 조작방법으로, 인터넷 접속기능을 구비하는 탁상형 전화기(31) 및 인터넷 단말장치인 라우터(34)에서의 통신기능에 의해 인터넷을 통해, 송신처로서 휴대형 인터넷 단말장치(3, 5, 7) 및 컴퓨터(32, 33) 혹은 탁상형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 인쇄기(30) 등 인터넷 단말장치에 대해서 송수신이 가능하다. 화상주사 판독 송신파일이 어떠한 것인지 예를 들어 설명하면, 현재의 플랫베드 스캐너 화상주사 판독으로 작성하는 화상 데이터 품질의 화상파일이다. 종래 사무실 등에서는 서류 송수신 전용 단말기기로서 팩시밀리기를 설비하고, 송신시에는 송신 상대방 팩시밀리기 고유의 팩시밀리 번호를 행선지 데이터로서 설정 입력하여 팩시밀리 송신을 실행하고 있었지만,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기를 사용하여 화상파일로서 송신할 경우의 송신처는 인터넷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인터넷 단말장치이고, 사무실 등에서 책상 위에 설비되어 있는 데스크톱 컴퓨터(33)를 송신처 장치로서 송신한 경우에는, 수신측 인터넷 단말장치인 데스크톱 컴퓨터(33)로 팩시밀리 파일 수신이 가능해지고, 종래와 같이 책상을 벗어나 서류 송수신 전용 단말인 팩시밀리기까지 수신서류를 가지러 갈 필요도 없이 책상 위의 컴퓨터에서 수신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수신하는 팩시밀리 파일은 종래의 팩시밀리 송수신과 같은 수신서류와는 달리 화상파일이므로 품질이 좋고, 컴퓨터상에서의 취급이 가능함과 동시에 기록 저장성이 뛰어나다. 착신과 동시에 서류로서 인쇄하는 형태의 착신 메시지와는 달리, 수신 데이터를 팩시밀리 파일인 화상파일의 형태로 착신 및 기억 저장한다. 수신 화상파일의 화상 데이터 인쇄처리는 컴퓨터에 접속되어 있는 인쇄기로 수신 후에 필요에 따라 실행하거나, 혹은 수신 화상파일을 기억 저장하고 있는 인터넷 단말장치의 외부 기억장치로부터 메모리 카드 등으로 이동하여 필요할 때에 실행하면 된다. 도 4(b)는, 사무실 등에 설비하는 바닥 설치형의 화상주사 판독기로, 인쇄처리 기능 및 인터넷 단말기능을 장비하는 바닥 설치형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 인쇄기(40)를 나타낸 도이다.
도 4(a)에서는 종래의 탁상형 팩시밀리 전용기 형식의 탁상형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 인쇄기(30)의 경우를 설명했지만, 도 4(b)에 나타낸 것은 종래 사무실 등에 설비하고 있는 바닥 설치형 복사기의 패키지 형식을 구비하는 바닥 설치형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 인쇄기(40)로, 화상주사 기능·인쇄처리 기능·복사기능·인터넷 단말기능 등의 기능을 장비하고, 서류 인쇄물에 대해서 화상주사 판독을 실행함으로써 화상파일로서 외부 기억장치인 고정 디스크에 기억 저장함과 동시에 인터넷을 통해 화상파일의 송신 및 수신이 가능하고, 화상파일 송신시에는 송신형태의 설정 및 수신형태 설정으로 송신처에서의 수신시에 있어서의 수신동작의 설정을 가능하게 한다. 바닥 설치형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 인쇄기(40)에서의 수신시에는 외부 기억장치인 고정 디스크에 수신 팩시밀리 파일을 기억 저장하지만, 인쇄처리 기능부에서 착신과 동시에 인쇄처리를 실행할지의 여부는 송신시에 설정한 수신형태 설정에서 인쇄처리는 실행하지 않는다고 설정하고 송신을 실행한 경우에는 인쇄처리를 실행하지 않는 등의 송수신 형태 설정기능을 구비하는 팩시밀리 파일 송수신 시스템이다. 종래 사무실 혹은 가정 등에 설비하고 서류 등을 전화망을 통해 전송하는 팩시밀리 수신방법과는 달리, 화상주사 판독기로 판독함으로써 작성하는 화상파일을 인터넷을 통해 송수신하는 방식으로서의 팩시밀리기인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 인쇄기, 및 차세대 팩시밀리 송수신 방법 혹은 팩시밀리 송수신 시스템이다.
도 4(b)에 나타낸 바닥 설치형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 인쇄기(40)는, 판독원고 세트부(430)·판독원고 배출부(433)·인쇄용지 세트부(431) 등을 구비하고, 서류 인쇄물에 대해서 화상주사를 실행함으로써 작성하는 화상 데이터를, 장비하고 있는 고정 디스크 장치 혹은 이동식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인 외부 기억장치에 화상파일 형식으로 기억 저장함과 동시에, 인터넷 단말 기능부에서의 통신처리에 의해 인터넷을 통해 화상파일의 송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바닥 설치형 화상판독 송수신 인쇄기(40)는 인쇄처리 기능부를 장비하고 있으므로, 서류 인쇄물 등에 대해서 화상주사 판독을 실행하여 작성하는 화상 데이터의 인쇄처리를 실행하는 복사기능, 및 장비하고 있는 외부 기억장치에 기억 저장되어 있는 화상파일을 인쇄하는 인쇄 처리 기능, 혹은 화상주사 판독을 실행함으로써 작성하는 화상 데이터를 화상파일로서 외부 기억장치 혹은 이동식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기억 저장하는 서류 파일화 기능, 혹은 화상주사 판독을 실행함으로써 작성하는 화상 데이터를 화상파일 형식으로 혹은 외부 기억장치에 기억 저장되어 있는 화상파일을 인터넷을 통해 송신하는 팩시밀리 파일 송신기능, 및 화상파일을 수신하는 화상파일 수신기능을 구비하여, 차세대 다기능 복합기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종래의 바닥 설치형 복사기로 서류 인쇄물을 복사한 복사 서류는, 문자 등의 경우에는 괜찮지만 사진 등의 경우에는 화상이 찌그러지는 등 저화질의 복사 서류이지만, 바닥 설치형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 인쇄기(40)를 사용하여 서류 인쇄물의 화상주사로 작성하는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 인쇄처리를 실행한 복사 서류, 혹은 인터넷을 통해 송수신하는 화상파일은 종래의 이미지 스캐너로 화상주사하여 작성하는 화상 데이터와 같아서 품질이 좋고, 바닥 설치형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 인쇄기(40)는 인터넷 단말기능인 통신기능을 장비하고 있으므로, 서류 인쇄물의 연속 판독을 실행하여 판독 화상파일로서 상기 송수신 방법으로 인터넷을 통해 송수신이 가능하다.
탁상형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 인쇄기(30) 및 바닥 설치형 화상판독 송수신 인쇄기(40)는 인쇄처리 기능을 장비하고 있으므로, 수신 파일의 착신과 동시에 인쇄용지로의 인쇄처리가 가능하고, 사무실 등에 설비된 인터넷 단말장치인 라우터(34)에 접속하며, 전원부는 AV 전원장치를 장비하므로 종래의 팩시밀리기와 같이 상시 통전 상태의 수신 대기 착신방법이 가능하다. 화상주사 판독기능 및 인쇄처리 기능 혹은 인터넷 단말기능을 장비하는 탁상형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 인쇄기(30) 및 바닥 설치형 화상판독 송수신 인쇄기(40)는, 종래의 탁상형 팩시밀리기 혹은 바닥 설치형 복사기를 대체하는 차세대 팩시밀리 장치 및 바닥 설치형 복합기가 될 것으로 생각되는 기능장비인, 차세대 팩시밀리 기능·복사기능·이미지 스캐너 기능·컴퓨터용 인쇄처리 기능 등을 장비하는 다기능 복합기를 생각할 수 있다
화상품질로서는, 서류 인쇄물에 대해서 한 번 화상 데이터화한 것을 인쇄용지에 인쇄하여 복원한 인쇄물로는, 복사기로 복사한 인쇄물·팩시밀리기로 수신한 인쇄물·광검출 소자 카메라로 촬영하여 작성한 화상 데이터의 인쇄물·플랫베드 스캐너로 판독을 실행함으로써 작성한 화상 데이터의 인쇄물 등이 있지만, 그 중에서도 서류 인쇄물을 플랫베드 스캐너의 화상주사 판독으로 작성한 화상 데이터를 인쇄한 것인 인쇄물의 화상품질이 좋다.
종래, 서류에 대해서 화상주사 판독을 실행하고 화상 데이터로서 송신하는 방법에는 몇 가지가 있는데, 서류 인쇄물을 판독하여 전송하는 경우에서도 화상 데이터가 열화(劣化)되는 방법과 송신원과 수신처에서 화상 데이터의 열화가 일어나지 않는 방법으로 나누어진다. 컴퓨터 등에서의 문서작성 소프트웨어로 작성한 문서파일을 인터넷 메일의 첨부파일로서 송신하는 방법은 데이터가 열화되지 않는 방법이지만, 원본이 서류 인쇄물인 것을 화상 데이터화하여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몇 가지의 화상 데이터 송신방법 중에서, 이미지 스캐너로 화상주사 판독을 실행함으로써 작성한 화상파일을 인터넷 메일에 첨부하여 송신하는 방법이, 화상품질이 좋고 송신원과 송신처에서 화상 데이터가 열화되지 않는 서류 인쇄물 판독 송신 방 법이다. 책상 위에서 화상주사 판독기 및 컴퓨터 혹은 인쇄 처리기를 접속하고, 화상주사 판독기로 서류 인쇄물을 판독함으로써 작성한 화상 데이터를, 컴퓨터에 접속되어 있는 인쇄 처리기로 인쇄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작성하는 인쇄물과 똑같이 해서, 인터넷을 통해 송신하는 경우 송신처에서 수신할 수 있는 송신방법이다.
화상주사 판독기는 판독용지 대응 사이즈 폭을 크게 설정한 패키지로 함으로써, A3 사이즈 혹은 그 이상의 큰 사이즈의 서류 인쇄물이라도 화상판독 처리기능 및 수신시의 인쇄처리 기능에 대응할 수 있지만, 화상주사 판독기의 사용 용도는 인터넷 단말로서 화상 데이터의 송수신을 실행하기 위한 것만은 아니고, 서류 인쇄물에 대해서 화상주사 판독을 실행함으로써 화상파일로 변환하여 기억 저장하는 것을 목적으로서 생각할 수 있다. 종래부터 종이 서류는 서류철용 파일 폴더에 철하여 책장 등에 보관했었지만, 사무실 등에 설비하는 탁상형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 인쇄기(30) 혹은 바닥 설치형 화상판독 송수신 인쇄기(40)에 의해, 가령 수십 페이지에 달하는 경우에도 연속 판독을 실시하여 화상파일화 하는 것이 간단한 조작으로 가능해지므로, 서류 인쇄물의 화상파일을 기억매체인 ROM 디스크 등에 기록 저장하고, ROM 디스크 파일의 형태로 파일 폴더에 철하여 책장 등에 보관하는 방법이 간단한 조작으로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수 센티미터 두께의 서류 폴더에 철해둔 종이 문서를, 바닥 설치형 화상판독 송수신 인쇄기(40)의 판독원고 세트부(430)에 수십 페이지씩 세트하여 연속 판독을 실행하여 작성한 판독 화상파일을 ROM 디스크에 기록 저장하는 것인데, 바닥 설치형 화상판독 송수신 인쇄기(40)의 경우에는 이동식 ROM 디스크 기록 저장 처리장치를 장비해도 되고, 외부 기억장치인 고정 디스크 장치에 기억 저장되어 있는 파일을 기록 저장한 이동식 ROM 디스크를 파일 폴더에 철하여 책장에 보관하는 파일 보관방법이 실용적이다. 판독원고를 세트하는 판독원고 세트부(430)는, 수십 페이지 분량의 판독원고 세트가 가능하고 연속 판독기능을 구비한다.
그밖에, 연속 판독기능을 장비하는 탁상형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 인쇄기(30) 혹은 바닥 설치형 화상판독 송수신 인쇄기(40)를 컴퓨터(32, 33)에 접속하여 판독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화상파일 처리가 가능하므로 텍스트 문서 서류의 연속 판독을 실행하면서 혹은 텍스트 문서 서류 전체 페이지 판독으로 작성한 텍스트 문서 화상파일에 대해서 OCR(Optical Character Reader) 소프트웨어로 연속 페이지 문자 인식처리에 의한 텍스트 파일화 처리가 가능해진다.
인터넷 단말기능을 장비하는 탁상형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 인쇄기(30) 혹은 바닥 설치형 화상판독 송수신 인쇄기(40)는, 케이블식 데이터 통신방식 혹은 무선식 데이터 통신방식으로 가정 혹은 사무실 등에 설비하고 있는 인터넷 단말장치인 라우터(34)에 접속하지만, 화상주사 판독기 본체에 카드식 통신장치 등의 통신 기능부를 장비하여 직접 인터넷에 접속해도 된다.
탁상형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 인쇄기(30) 혹은 바닥 설치형 화상판독 송수신 인쇄기(40)는 차세대 팩시밀리 장치 혹은 차세대 팩시밀리 기능을 장비하는 다기능 복합기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전원부로서 AC 전원장치를 장비하고 상시 통전 상태에서 수신대기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화상주사 판독기능 및 팩시밀리 파일 송신기능과 함께 상시 수신대기 상태로서의 팩시밀리 파일 수신동작이 가능하 다. 팩시밀리 파일 착신시에는 장비하는 외부 기억장치에 수신 팩시밀리 파일을 기억 저장함과 동시에 인쇄용지 세트부(403, 431)에 세트되어 있는 인쇄용지에 화상 데이터인 착신 팩시밀리 파일의 인쇄처리를 실행하고, 착신 팩시밀리 파일의 화상 데이터의 인쇄처리를 실행한 수신서류를 인쇄용지 배출부(407, 433)로부터 배출한다. 송신작동 조작방법 및 착신동작 모두, 종래의 팩시밀리기에서의 송수신 형태와 같이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지만, 다른 점은 송수신하는 화상 데이터가 종래의 화질이 조잡한 흑백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 화질이 선명한 컬러 화상 데이터인 것, 및 수신 데이터가 종래의 팩시밀리기에서의 종이 인쇄 착신 메시지와는 달리 화상파일 형식이므로 착신 메시지의 취급 및 저장이 용이하고, 수신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도 발신원(元)에서의 송신파일 그대로 전송처에 송신한 것이다.
사무실에서 서류 등을 다른 사무실에 있는 사람에게 송신하는 경우에는, 파일 어드레스에서 송신 행선지 데이터를 설정하여 착신자 본인의 책상 위에 설비되어 있는 데스크톱 컴퓨터에 송신을 실행하는 방법, 혹은 팩시밀리 어드레스에서 송신 행선지 데이터를 설정하여 탁상형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 인쇄기(30) 혹은 바닥 설치형 화상판독 송수신 인쇄기(40)에 송신함으로써 수신측에서는 착신과 동시에 인쇄처리를 실행하는 종래의 팩시밀리 형태의 송신방법을 생각할 수 있지만, 어떠한 송신 형태로 송신할지는 송신시의 행선지 데이터의 설정방법으로 송신형태의 설정을 가능하게 한다.
책상 위에 설비되어 있는 데스크톱 컴퓨터 앞으로 송신하는 경우의 행선지 데이터는 파일 어드레스이지만, 종래의 팩시밀리 파일 송수신 형태로 송신하는 경 우에는 상시 통전 상태의 수신대기 상태로서의 탁상형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 인쇄기(30) 혹은 바닥 설치형 화상판독 송수신 인쇄기(40)에 송신할 때의 송신 행선지 데이터는 팩시밀리 어드레스를 설정하여 팩시밀리 파일을 송신하는 것이지만, 송신처 데이터는 인터넷 단말의 고정 IP 어드레스에 대응시켜 설정하는 IP 전화번호를 행선지 데이터로서 설정을 실행하는 송신방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가장 좋다. 이 경우에는, 파일 송수신 형태로 송신하는 경우 및 팩시밀리 파일 송수신 형태로 송신하는 경우 중 어느 경우라도 송신형태를 설정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송신 행선지 데이터인 파일 어드레스 및 팩시밀리 어드레스 혹은 IP 전화번호에 송신형태 설정기호를 부가함으로써, 송신형태를 설정하는 송신형태 기호를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P 전화번호+123은 파일 송신형태로 송신을 실행하는 송신형태 지정이고, IP 전화번호+ABC는 팩시밀리 파일 송신형태로 송신을 실행하는 송신형태 지정으로 하는 등이며, 「○○○」로 표시하는 송신형태 기호에 대해서, 송신측 장치 및 수신측 장치로 생각되는 송신형태 혹은 수신형태를, 송신시에 행선지 데이터에 부가하여 설정 가능으로 하는 송신형태 기호이다. 예를 들어, 팩시밀리 형태로 수신 가능한 탁상형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 인쇄기(30)에 대해서 송신형태 기호로 착신형태를 설정하여 송신을 실행하고, 수신측에서의 착신시에 외부 기억장치에 착신파일을 기억 저장하는 동작만으로 인쇄처리는 실행하지 않는다, 등의 착신형태를 송신시에 설정하여 송신 가능으로 하는 것이다. 화상파일 송신처에서의 수신시에 화상 데이터 인쇄처리를 실행할 것인지 혹은 인쇄처리를 실행하지 않을 것인지 등의 착신형태를 송신시에 수신형태 설정을 가능으로 하기 위하여, 송신 행선지 데이터 설정시 에 부가기호로서 설정하는 송신형태 기호이다.
도 5(a)는, 비즈니스 백에 들어갈 정도의 패키지를 구비하는 화상주사 판독기로, A4 사이즈 정도까지의 원고 판독에 대응하는 휴대형 서류 판독기(50)를 나타낸 도이다. 도 2에 나타낸 휴대형 화상주사 판독기(1)에서 실행하는 화상판독에 대응하는 원고 사이즈는 메모용지 정도이지만, 문서서류에서 흔히 사용되는 A4 사이즈 서류의 판독에 대응함과 동시에 휴대 가능한 패키지 사이즈를 구비하는 휴대형 서류 판독기(50)이다. 휴대형 서류 판독기(50)는 판독원고 세트부(501)를 구비하고, 판독을 끝낸 원고를 배출하는 판독원고 배출부(502)를 장비하고 있어, 문자 숫자 입력키(505)를 조작함으로써 송신시에 송신 행선지 데이터의 설정 입력을 실행하거나, 혹은 미리 행선지 데이터를 기억 가능으로 하는 행선지 데이터 기억 버튼 스위치(507), 및 판독기의 동작정보를 표시하는 판독기 표시부(503)·판독 해상도 설정 버튼 스위치(521)·판독 송신작동 조작을 실행하는 송신 버튼 스위치(520)를 장비하고 있다.
위에서 설명한 각각의 인터넷 단말장치와 접속을 실행하는 각각의 화상주사 판독기의 대응은, 휴대형 혹은 탁상형 등으로 특별히 정해진 것은 아니고, 휴대형 화상주사 판독기(1) 및 탁상형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 인쇄기(30) 혹은 휴대형 서류 판독기(50) 등은 모두 각각의 휴대형 혹은 탁상형 인터넷 단말장치에 대응한다. 도 5(b)에 나타낸 것은, 화상주사 판독기를 사용하는 구체예로서 생각되는, 차세대 선거방법을 가능하게 하는 투표용지 화상주사 판독기(550)를 나타낸 도로서, 선거 투표용지 수집 집계 방법 및 선거 투표용지 수집 집계 시스템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다. 종래의 투표함에 의한 선거 투표방법 및 개표시의 수집 집계 방법과는 다른, 새로운 선거방법을 가능하게 하는 투표용지 화상주사 판독기(550)를 나타낸 도로서, 투표용지(551) 및 상기 화상주사 판독기의 원고 세트구(口)에 상당하는 투표용지 투입구(552), 및 투표용지 화상주사 판독기 조작부 혹은 선거에 사용하기 위하여 필요한 보안 레벨을 확보한 후에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인터넷 단말장치 접속부 혹은 전원부를 장비하고 있다. 인터넷 접속 온라인 상태에서 실행하는 온라인 투표형식을 위하여 필요한 보안 레벨의 확보가 어려울 경우에는, 투표소에서 오프라인 상태로 투표용지 화상주사 판독기(550)를 사용하는 형태면 되고, 투표용지 화상주사 판독기(550)로 투표용지의 화상주사 판독을 실행함으로써 작성하는 투표용지 화상파일을 투표용지 화상주사 판독기(550)에 장비하고 있는 메모리 카드식 혹은 이동식 고정 디스크식의 외부 기억장치에 기억 저장하고, 투표 종료 후에 실행하는 개표작업에 있어서의 수집 집계시에 메모리 카드 혹은 이동식 디스크를 컴퓨터로 교체하는 등 수집 집계 처리를 실행한다. 가령 투표용지 화상판독에 결함이 생기거나, 외부 기억장치에 기억 저장되어 있는 투표용지 화상파일에 결함이 생겼을 때에도, 투표용지 화상주사 판독기(550) 상자 속에는 회수한 투표용지가 있으므로 한 번에 모아서 화상판독 처리를 실행하면 되고, 혹은 종래의 표를 세는 집계 방식으로 실행해도 된다.
종래의 선거는, 투표소에 투표함을 설치하여 유권자가 투표용지에 후보자의 이름을 써서 투표함에 투입하고, 투표시간 종료 후에, 투표용지 수집을 실행하여 각각의 후보자에 대한 투표용지의 수를 집계하는 선거방법이다. 선거시에 도 5(b) 에 나타낸 바와 같은 투표용지 화상주사 판독기(550)를 투표함으로서 사용함으로써, 유권자가 후보자의 이름을 써서 투표소에 설치되어 있는 투표용지 화상주사 판독기(550)에 투입한다. 각 지역의 투표소에서 회수하는 투표용지 판독 화상파일은 실시간 온라인으로 인터넷을 통해 각지의 집계소에 수집되고 컴퓨터에 의한 문자인식 처리를 실행하여, 각 후보자 투표용지의 수를 세는 집계처리를 실행한다. 투표용지 화상파일은 유권자의 필적으로 후보자의 이름을 적은 화상파일로서 기억 저장해 두므로, 집계처리 작업시의 오동작 혹은 부정행위 등이 행해지기 어려운 선거방법으로, 재검표하는 등의 경우에도 컴퓨터 처리에 의해 신속하면서도 빠르게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에 나타낸 것은, 인터넷 단말장치인 전화기 형상 컴퓨터(5)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일반적으로 통신기기의 휴대성은 패키지가 소형일수록 좋은 것이지만, 통화장치인 전화기는 작기만 하면 좋은 것이 아니고, 사람이 손에 들고 조작부에서 키 조작을 실행하기 위하여 혹은 통화하기 위하여, 본체의 기능장비에 필요이상으로 제한이 미치지 않는 패키지 사이즈를 확보한 후에 최소인 것이 바람직하며, 패키지를 소형으로 형성하는 것에 신경을 쓴 나머지 기능장비에까지 필요이상으로 제한이 미치거나, 혹은 전원부가 작아졌기 때문에 전력량을 얻지 못하고 기능장비에 제한이 미치는 일이 일어나지 않는 정도의 패키지 사이즈는 확보되어야 한다. 통화에 관해서는, 최근에 휴대형 컴퓨터(3) 혹은 PDA(7) 등에는 통화기능을 장비하는 기종도 존재하여 통화가 가능하지만, 그 때의 통화방식인 마이크와 이어폰 혹은 헤드 레스트 등을 사용하는 통화는 아무래도 사용 편리성이 나쁘고, 역시 사람이 통화하기 위한 통신기기는 전화기 형상으로, 휴대하기 쉽고 통화가 쉬우며 안정감이 있어야 좋은 것이다.
도 6에 나타낸 전화기 형상 컴퓨터(5)의 기능장비를 설명한다. 본체에는 전화기 형상 컴퓨터 조작부(610)·전화기 형상 컴퓨터 표시부(609)·송화부(605)·수화부(607)·광검출 소자 카메라(699)·촬영용 플래시(679)·광검출 소자 카메라 조작부(603) 등을 장비함과 동시에, 통신처리를 실행하는 통신 기능부로서 착탈 가능한 통신 기능부인 통신카드(601)를 사용함으로써 통신 기능부에 있어서의 통신 인프라의 통신속도가 빨라졌을 때에도 본체마다 교체할 필요는 없고 통신카드(601)를 교체함으로써 대응 가능함과 동시에, 외부 기억장치인 메모리 카드식 기억장치(620)·전원부로서 건전지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전지 폴더 사이즈에 대응하는 충전식 전지(630), 그밖에 상기 화상주사 판독기 혹은 컴퓨터 등과 접속을 실행하고, RAM(1005)에 기억되어 있는 주소록 데이터 및 메일 데이터 혹은 외부 기억장치(1007)에 기억되어 있는 파일 등의 데이터 송수신을 실행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충전식 전지(630)를 충전하기 위한 케이블식 데이터 통신 접속단자를 장비한다. 데이터 통신 기능부는 무선식 데이터 통신 기능부를 장비해도 되고, 자동차 운전시 등에 사용하는 통화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통화장치 접속단자를 장비하고 있다.
도 7은, 종래의 탁상형 플랫베드 스캐너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만 판독 방식이 다른 플랫베드 판독기(70)를 나타낸 도이다. 종래의 탁상형 플랫베드 스캐너는 컴퓨터 접속을 실행하고, 광검출 소자 센서로 화상주사 판독을 실행함으로써 작성하는 화상 데이터를 컴퓨터의 외부 기억장치에 화상파일로서 기억 저장하는 기능 을 구비하는 탁상 거치형 이미지 스캐너로서, 책상 위에 거치된 본체의 상면 판독부에 서류 혹은 서적의 판독면을 엎어두는 형태로 세트하고, 이미지 스캐너의 패키지 속에 상향으로 장비된 광검출 소자 센서가 패키지 상면에 엎어둔 서류 혹은 서적에 대해서 화상주사 판독을 실행하는 판독 형식이다. 이에 반해서, 도 7에 나타낸 플랫베드 판독기(70)는, 서류 인쇄물 혹은 서적 등을 판독할 면이 위로 향하게 책상 위에 놓고, 플랫베드 판독기(70) 본체를 판독면 위에 놓고서 플랫베드 판독기(70)의 패키지 속에 아래방향으로 장비되어 있는 광검출 소자 센서가 화상주사 판독을 실행하는 방식이다. 무거운 서적의 판독을 실행하는 경우 등, 종래에는 서적을 들어올려 뒤집어서 플랫베드 스캐너 위에 놓고, 판독을 실행하는 동안 계속 받치고 있을 필요가 있어, 플랫베드 스캐너의 패키지보다 큰 서적인 경우 등에는 판독 동작이 힘들었다. 이에 반해, 판독을 실행하는 서적 위에 플랫베드 판독기(70)를 놓는 판독방식은 무거운 서적 등을 판독하는 경우에도 책상 위에 둔 채로도 되고, 플랫베드 판독기(70)의 판독부(720)를 그 위에 맞춰서 화상주사 판독을 실행하므로 판독 작업이 용이하다. 서류 등을 판독하는 경우에는 플랫베드 판독기(70)보다 큰 사이즈로 가로세로로 선을 그은 받침 위 등에 판독용지를 놓는 등 판독원고에 대해서 플랫베드 판독기(70)를 똑바로 세트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지만, 플랫베드 판독기 판독부(720)를 A4 사이즈보다 크게 설정한 패키지로 함으로써, 판독시에는 판독부(720)의 틀 내에 원고를 집어넣는 것에 주의하여 화상주사 판독을 실행하고, 화상주사 판독으로 작성한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 판독 후 소프트웨어적으로 기울기 자동 보정처리를 실행하는 것이라도 된다. 혹은, 플랫베드 판독기 판독부 (720)에 종래의 플랫베드 스캐너의 방식으로 화상주사 판독이 가능하도록 상면 커버를 장착할 수 있게끔 형성하고,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랫베드 판독기 본체의 판독면측을 위로 향하게 책상 위에 놓는 형식으로, 통상은 종래의 플랫베드 스캐너의 판독 방식으로 화상주사 판독을 실행하는 방식이라도 된다. 플랫베드 판독기(70)는, 컴퓨터(32, 33) 등 상기 각각의 인터넷 단말장치와 케이블식 데이터 통신 접속 혹은 무선식 데이터 통신 접속으로 접속하여 화상주사 판독을 실행한다.
도 7(a)는 플랫베드 판독기(70)를 나타낸 도이지만, 행선지 데이터 입력 등을 실행하기 위한 문자 숫자 입력키(705)·문자 숫자 입력키(705)의 조작으로 미리 행선지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행선지 데이터 기억 버튼 스위치(707)를 구비함과 동시에, 플랫베드 판독기(70)의 동작정보를 표시하는 판독기 표시부(703)·판독 해상도 설정 버튼 스위치(711)·송신작동 조작을 실행하는 송신 버튼 스위치(709)·플랫베드 판독기 손잡이(701)를 장비하고 있다. 도 7(b)는, 플랫베드 판독기(70)의 판독면 측을 나타낸 도로서, 판독기의 판독면인 플랫베드 판독기 판독부(720)이고, 판독부 커버(723)는 착탈 가능하다.
플랫베드 판독기 손잡이(701)는, 서적 등을 판독할 때에 플랫베드 판독기 판독부(720)를, 서적 등의 판독면에 맞추어 세트할 때 등에 판독기를 들어올리기 위한 판독기 본체의 손잡이지만, 형상으로서는 플랫베드 판독기(70)를 서적 위에 놓았을 때에 서적이 휘어서 서적 판독면과 플랫베드 판독기 판독부(720)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플랫베드 판독기(70) 위에 중량추가 되는 물건을 놓는 것이 가능하도록, 혹은 책상 위에 플랫베드 판독기 판독부(720)를 위로 하여 설치하는 종래의 플랫베드 스캐너의 판독방식으로 사용하는 경우를 고려하여 플랫베드 판독기(70) 상면은 평평한 형상으로 하고, 본체는 중량추의 무게를 견딜 수 있는 패키지 강성(剛性)을 구비한다.
도 8은, 인터넷 및 인터넷 단말까지의 라우터 및 게이트웨이 혹은 서버를 나타낸 도이지만, 인터넷(857)·라우터(855)·방화벽(853), 및 상기 파일 송수신을 위하여 새로 설비하는 파일 송수신용 서버인 파일 서버(830), 및 팩시밀리 파일 송수신을 팩시밀리 송수신 형태로 실행하기 위하여 새로 설비하는 팩시밀리 파일 송수신용 서버인 팩시밀리 서버(840), 혹은 FTP 서버(850)·WWW 서버(880)·메일 서버(890) 등을 나타내고 있다.
도 9는, 화상주사 판독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판독기 전체를 제어하는 판독기 제어부인 CPU(901)·제어 프로그램 등을 기억하는 ROM(903) 및 데이터 등을 기억하기 위한 RAM(905)·판독기의 동작정보를 표시하는 판독기 표시부(908)·문자 숫자 입력키 및 송신 버튼 스위치 등 판독기의 작동 조작을 실행하기 위한 판독기 조작부(909)·행선지 데이터를 버튼 스위치에 기억하기 위한 기능 장비인 행선지 데이터 기억 기능부(912)·판독 화상 데이터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하는 화상 데이터 처리부(920)·광검출 소자 센서를 장비하는 판독기 판독부(923)·화상주사 판독시에 급지(給紙) 작동을 실행하는 급지 롤러부 제어 등을 실행하는 판독기 판독 구동부(930)·인터넷 단말 기능부에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하여 케이블식 데이터 통신방식 혹은 무선식 데이터 통신방식으로 실행하는 접속 기능부인 판독기 기기 접속부(934), 및 건전지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전지 폴더 사이즈 에 대응하는 충전식 전지 혹은 AC 전원장치인 전원부(939)를 구비하고 있다.
도 10은, 화상주사 판독기에 대해서 데이터 통신 가능한 방식으로 접속하는 인터넷 단말장치, 혹은 화상주사 판독기 본체에 기능 장비하는 인터넷 단말 기능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인터넷 단말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인터넷 단말장치 제어부인 CPU(1001)·제어 프로그램 등을 기억하는 ROM(1003) 및 데이터 등을 기억하기 위한 RAM(1005)·파일을 기억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카드 기억장치 및 고정 디스크식 기억장치 혹은 이동식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인 외부 기억장치(1007)·인터넷 단말장치의 동작정보 표시기능 혹은 화상 데이터 표시기능을 구비하는 인터넷 단말장치 표시부(1009)·인터넷 단말장치에 장비되어 있는 조작 스위치 등의 조작부인 인터넷 단말장치 조작부(1011)·인터넷망으로의 접속기능을 구비하는 통신 기능부(1013)·화상주사 판독 등에 대해서 케이블식 데이터 통신방식 혹은 무선식 데이터 통신방식으로 접속을 실행하는 인터넷 단말장치 기기 접속부(1015)·화상 데이터 처리를 실행하고 화상파일 사이즈 정보 및 화상판독 시각정보를 구비하고 선택한 파일 형식으로 화상파일을 작성하는 기능, 혹은 화상파일의 파일 형식 변환처리를 실행하는 화상 데이터 처리부(1017)·건전지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전지 폴더 사이즈에 대응하는 충전식 전지 혹은 AC 전원장치인 전원부(1020) 등을 장비하고 있다.
판독을 실행한 화상파일을 송신하는 방법에는, 인터넷 단말장치 조작부(1011)로 판독 작동 조작 및 판독 화상파일 송신작동 조작을 실행하는 방법, 혹은 화상주사 판독기측의 판독기 조작부(909)에서 판독 송신작동 조작에 의해 판독 동 작에 이어서 판독 화상파일 송신동작까지를 연동하여 실행하는 방법이 있다.
도 11에 나타낸 것은, 화상주사 판독기를 접속한 상태에서 인터넷 단말장치에 장비하는 인터넷 단말장치 조작부(1011)에서의 작동 조작으로 화상판독을 실행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도이다.
도 12는, 화상주사 판독기로 화상주사 판독을 실행함으로써 작성한 화상 데이터를 인터넷 단말장치의 외부 기억장치(1007)에 기억 저장을 실행한 화상파일, 혹은 메모리 카드식 기억장치(1007)의 메모리 카드를 교체하여 불러들인 파일, 혹은 인터넷을 통해 수신하여 외부 기억장치(1007)에 기억 저장되어 있는 파일을, 인터넷 단말장치에 장비하고 있는 인터넷 단말장치 조작부(1011)로 송신작동 조작을 실행하여 파일을 송신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도이다.
도 13은, 화상주사 판독기 조작부(909)로 실행하는 화상주사 판독 작동 조작에 의해, 화상주사 판독 동작에 이어 연동하여 동작하는 인터넷 단말장치 측에서의 화상파일 송신 종료까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도이다.
상기 도 9에 나타낸 화상주사 판독기의 블록 구성도, 및 도 10에 나타낸 인터넷 단말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함께 설명한다.
도 11에 나타낸 것은, 인터넷 단말장치에 장비되어 있는 인터넷 단말장치 조작부(1011)에서 실행하는 작동 조작에 의해, 데이터 통신 가능한 방식으로 접속한 화상주사 판독기로 화상주사 판독을 실행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드도이다.
인터넷 단말장치에 대해서, 케이블식 데이터 통신방식 혹은 무선식 데이터 통신방식으로 화상주사 판독기를 접속한다(S1101). 판독 작동 조작을 실행하기 위하여 인터넷 단말장치의 기본 조작 메뉴에서 화상판독 처리를 선택한다(S1103). 인터넷 단말장치는 화상주사 판독기의 확인을 실행하고(S1105), 화상주사 판독기가 바르게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인터넷 단말장치 표시부(1009)에 '화상판독 처리를 개시합니다' (S1107) 라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어떠한 결함으로 화상주사 판독기가 바르게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화상판독 처리 선택 불가가 되어 인터넷 단말장치 표시부(1009)에 '판독기가 접속되어 있지 않습니다'(S1104) 라는 메시지가 표시되므로, 화상주사 판독기의 전원 스위치가 ON으로 되어 있는 지의 확인 혹은 화상주사 판독기와 인터넷 단말장치의 접속방법을 확인하는 등 인터넷 단말장치에 대해서 화상주사 판독기를 바르게 접속을 실행하여 화상주사의 판독 준비를 한다.
화상주사 판독이 준비된 시점에서 판독할 메모 혹은 문서 서류 인쇄물 등의 판독원고를 판독기 판독부(923)에 세트하면, 화상주사 판독기는 판독 원고가 세트된 것을 자동 검지하고, 판독기 판독 구동부(930)의 롤러부가 작동하여 판독원고의 여백 부분을 수 밀리미터 읽어들인다(S1109)
기본 조작 메뉴에 있어서의 화상판독 처리 조작 메뉴 중에서, 통상 흔히 사용하는 통신환경에서 얻어지는 통신속도에 맞추어, 혹은 판독할 원고가 메모인지 일러스트인지 혹은 사진인지 등에 맞추어, 미리 화상판독 처리 조작 메뉴에서 기본 설정되어 있는 몇 가지의 판독 해상도 중에서 판독을 실행할 때의 해상도를 선택한다(S1111). 판독 해상도가 높을수록 화상파일 사이즈는 커지는데, 실용적인 사용요금으로 언제든지 충분히 빠른 통신속도가 얻어지는 인프라가 정비되었을 때에는 고 해상도로 고정해도 되지만, 판독 해상도는 미리 화상판독 처리 조작 메뉴 중에서 선택 설정하여 두는 형식이라도 된다. 다음으로, 인터넷 단말장치에서의 화상판독 작동 조작 메뉴에서 판독 동작 개시 작동 조작을 실행한다(S1113). 화상주사 판독기에서는 판독 구동부(930)의 판독 롤러가 동작하여 판독원고를 읽어들이고, 광검출 소자 센서에 의한 화상주사 판독을 개시한다(S1115). 화상주사 판독 동작이 정상적으로 종료되면 화상주사 판독기의 화상 데이터 처리부(920)에서 화상 데이터 처리를 실행하고, 데이터 통신 가능한 방식으로 접속되어 있는 인터넷 단말장치 측에 판독기 기기 접속부(934) 및 인터넷 단말장치 기기 접속부(1015)를 통해 화상 데이터를 송신한다. 인터넷 단말장치 측에서는 장비되어 있는 인터넷 단말장치 표시부(1009)에 데이터 송신된 판독 화상 데이터를 화상 표시한다(S1117). 인터넷 단말장치 표시부(1009)의 구석에는 현재 화상 표시되어 있는 판독 화상 데이터를 저장할까 혹은 삭제할까요 라는 화상판독 작동 조작 메뉴가 표시되어 있으므로 저장할 경우에는 저장을 선택하면(S1119), 다음 페이지의 원고 판독을 실행할까 아니면 원고판독을 종료할까요 라는 판독 작동 조작 메뉴 메시지가 표시된다(S1121). 판독원고의 페이지가 또 있으면, 다음 판독원고를 판독기 판독부(923)에 세트하여 판독처리를 계속한다(S1109). 한편, 판독원고 페이지가 모두 종료된 경우에는, 판독원고 페이지 종료를 선택하면(S1121), 화상판독 처리에서 작성한 화상 데이터를 저장할 때의 화상파일 저장 형식 선택 메뉴(S1123)가 표시되므로, 저장 화상파일 형식을 파일 형식 선택 메뉴 중에서 선택한다(S1125). 또한, 화상 데이터 저장시의 화상파일 형식으로서는 JPG 파일 형식·BMP 파일 형식·TIF 파일 형식 등 몇 가지의 일반적인 화상파일 형식을 저장 가능한 화상파일 형식으로서 선택 가능하게 하는 것 외에, 수 페이지에 달하는 원고의 판독을 실행하는 경우에 복수개가 되는 판독 화상 데이터를 하나의 파일로 통합하는 기능을 구비함과 동시에, 인터넷 단말장치 표시부(1009)에 화상파일을 표시할 때에 적용하는 표시기능을 구비하는 등 화상파일로서도 기능성이 좋은 미국 Adobe사의 문서 저장 파일 형식인 PDF 파일 형식으로 화상 데이터 저장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독 화상 데이터 저장시에 몇 가지의 저장 파일 형식 중에서 PDF 파일 형식을 선택하면, 판독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 인터넷 단말장치의 화상 데이터 처리부(1017)에서 데이터 처리를 실행하고 PDF 파일로서 외부 기억장치(1007)에 기억 저장한다.
판독 화상 데이터를 저장할 때의 파일 형식으로서는, 수 페이지에 달하는 경우 등의 판독 화상 데이터를 하나의 화상파일로 통합하는 기능을 구비함과 동시에, 조작성이 좋은 화상파일 표시기능을 구비하는 화상파일 형식이라면 된다.
화상판독으로 작성한 화상 데이터를, 선택한 화상파일 형식으로 기억 저장이 완료되면, 인터넷 단말장치 표시부(1009)에 '판독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였습니다'라는 메시지를 표시한다(S1127). 판독 화상 데이터를 저장할 때의 파일 형식은, 상기 화상파일 저장 형식 선택 메뉴(S1123)에서 파일 형식을 선택하여 결정하지만, 파일명칭의 경우 화상주사 판독 저장시에는 파일명으로서 연속 화상파일 번호를 부여하여 외부 기억장치(1007)에 기억 저장한다. 임의의 화상파일명을 부여하는 경우에는 외부 기억장치(1007)에 기억 저장되어 있는 파일에 대해서 인터넷 단말장치 기본 조작 메뉴의 파일명 변경 처리로 실행한다.
이상으로, 하나의 서류 인쇄물 원고를 화상파일로서 저장하여 화상판독 처리가 종료되지만, 다음 서류 인쇄물 원고의 판독을 실행할지 아니면 화상주사 판독처리를 종료할지를 묻는 '판독처리를 계속하겠습니까?'(S1129)라는 메시지가 표시되므로, 계속해서 다른 서류의 화상판독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S1131)에는 스텝(S1109)으로 돌아가, 다음 판독원고를 판독기 판독부(923)에 세트하여 판독처리를 계속한다. 한편, 판독처리 종료의 경우에는 판독처리 종료를 선택하여(S1131), 판독처리 동작을 종료한다.
도 12에 나타낸 것은, 상기 도 11에서 설명한 화상판독 처리로 작성하여 인터넷 단말장치의 외부 기억장치(1007)에 기억 저장되어 있는 화상파일, 혹은 인터넷 단말장치에 메모리 카드 등으로 불러들인 파일 혹은 인터넷을 통해 수신하여 외부 기억장치(1007)에 기억 저장되어 있는 파일을, 인터넷을 통해 송신하는 경우의 송신작동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도이다.
인터넷 단말장치에서 실행하는 파일 송수신 방법으로서, 새로 설비하는 파일 송수신용 서버인 파일 서버(830)를 통해, 파일 송신시에 사용하는 행선지 데이터로서 새로 설정하는 파일 어드레스를 설정 입력하여 송수신을 실행한다.
이 경우에는, IP 전화번호를 부여한 고정 IP 어드레스를 구비하는 인터넷 단말장치로서 어떠한 장치를 접속하고 있는지 파일 서버(830)에서 판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단말장치 ID를, 수신측 인터넷 단말장치의 전원을 ON으로 한 기동시 혹은 단말장치를 인터넷에 접속했을 때 자동 송신함으로써, 파일 서버측에서 송신처의 상태가 착신 가능한 형태임을 알 수 있도록 해 둔다. 파일 서버에서는 IP 전화번호 를 부여한 단말장치의 그 때 가능한 착신 형태인 착신방법을 판별 가능하게 되고, 송신측으로부터 파일 서버에 발신된 시점에 문서 파일인지 혹은 화상파일인지로 착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송신처가 수신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 가능하게 한다. 단말장치 ID는 32비트 길이를 갖는 데이터로서 단말장치 종별 및 단말장치 설정상태 혹은 단말장치 상태를 표현 가능하게 하는 것 등이면 된다.
예를 들어, IP 전화번호를 구비하는 인터넷 단말장치에 팩시밀리 형태 장치인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 인쇄기를 접속하고 있는 경우에는, 팩시밀리 파일인 화상파일을 수신하여 인쇄처리를 실행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문서작성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로 작성된 문서 파일을 설령 수신했다고 해도, 문서 파일을 화상 데이터로 복원하는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셋업 가능한 수신측 단말장치가 아니면 착신시에 외부 기억장치(1007)에 수신파일을 기억 저장하는 형태의 수신은 가능해도, 수신시에 인쇄처리를 실행하는 팩시밀리 형태로의 수신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송신할 때는 송신처인 수신측이 구비하는 IP 전화번호에 대해서 어떠한 단말장치가 접속되어 있는지를 염두에 두고 송신해야 하고, 송신시에 있어서의 송신형태로 수신측 장치가 수신 가능한지의 여부를 파일 서버에서 판단하여, 수신측 단말장치가 착신 가능이라면 파일 서버는 수신측 단말장치로 파일을 송신하지만, 송신시에 송신 행선지 데이터로 설정하여 송신을 실행한 송신형태 혹은 송신할 파일이, 송신처에 있어서의 수신측 단말장치의 실제 단말장치 종별과 송신시의 행선지 데이터에서 설정한 송신형태가 다르거나 혹은 단말장치 수신형태 설정의 차이 등으로 수신 불가능한 경우에는, 파일 서버에서 즉시 송신자에게 메시지로 통지한다. 예를 들어, 송신자가 팩시밀리 파일을 팩시밀리 송신형태로 송신을 실행한 경우에는, 송신처인 수신측 단말장치에 착신시 즉시 인쇄처리를 실행하는 팩시밀리 송신형태로 송신했음에도 불구하고, 송신처의 IP 전화번호를 구비하는 수신측 단말장치가 컴퓨터여서 팩시밀리 형태로의 착신은 불가능한 등의 경우이다.
종래, 인터넷을 통해 실행하는 데이터 송수신 시에 설정하는 송신 행선지 데이터인 어드레스는, 메일 서버를 통해 메일을 송수신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ID@도메인명'의 형식인, 예를 들어
메일 어드레스 : ○○○@×××.△△.ne.jp
라는 형식으로 행선지 데이터로서 설정하여 송수신을 실행하는 것이다.
파일 전송용 서버인 FTP 서버를 통해 파일을 전송하는 경우에는 'ftp://도메인명'의 형식인, 예를 들어
FTP 어드레스 : ftp://×××.△△.ne.jp
라는 형식으로 전송처 행선지 데이터의 설정을 실행하고 파일 전송을 실행하는 것이다.
메일 송수신용 프로토콜 및 파일 전송용 프로토콜을 검토하여 발전 개량을 실행하고, 새로 파일 송수신용 프로토콜을 책정하며, 팩시밀리 파일 송수신을 실행하기 위한 팩시밀리 파일 송수신용 프로토콜을 책정한다.
혹은, 새로 설비하는 파일 송수신용 서버인 파일 서버를 통해 파일 송수신을 실행하기 위하여, 혹은 새로 설비하는 팩시밀리 파일 송수신용 서버인 팩시밀리 서버를 통해 팩시밀리 파일 송수신을 실행하기 위하여 최적의 프로토콜을 새로 설계 하면 된다.
파일을 송수신하는 경우에는 새로 설비하는 파일 송수신용 서버인 파일 서버를 통해, 송신할 때의 행선지 데이터로서 새로 설정하는 파일 어드레스를 설정하여 파일 송수신 형태로 송수신을 실행한다. 팩시밀리 파일을 송수신할 경우에는 새로 설비하는 팩시밀리 파일 송수신용 서버인 팩시밀리 서버를 통해, 송신할 때의 행선지 데이터로서 새로 설정하는 팩시밀리 어드레스를 설정하여 팩시밀리 송수신 형태로 송수신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송신 행선지 데이터인 어드레스로서 각각 파일을 송수신할 경우의 파일 어드레스는 'file'이란 단어를 어드레스 데이터에 부가하고, 및 화상파일인 팩시밀리 파일을 팩시밀리 송수신 형태로 송수신하는 경우의 팩시밀리 어드레스는 'fax'라는 단어를 어드레스 데이터에 부가하는 설정을 실행하는 '파일 어드레스' 및 '팩시밀리 어드레스'인, 예를 들어
파일 어드레스 : ○○○@file.×××.△△.ne.jp
팩시밀리 어드레스 : ○○○@fax.×××.△△.ne.jp
등으로 함으로써, 파일 어드레스 혹은 팩시밀리 어드레스로서 식별 가능함과 동시에, 송신시에 어느 쪽 어드레스를 사용하는지에 따라 어느 정도 송신형태를 선택 가능하다. 인터넷 단말이 고정 IP 어드레스가 되고, 고정 IP 어드레스에 대응시키는 IP 전화번호를 송신처 데이터로서 설정하고, 파일 및 팩시밀리 파일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가장 좋은 파일 송수신시의 송신처 데이터이다. 또한, 어드레스 데이터에 대해서 송신형태를 송신시에 지정하기 위한 옵션 번호인 송신형태 기 호를 새로 설정한다. 송신시의 어드레스인 행선지 데이터는 파일 어드레스 및 팩시밀리 어드레스 혹은 IP 전화번호이지만, 송신형태를 지정하여 송신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송신형태 기호를 부가하여 행선지 데이터를 설정하는, '행선지 데이터'+'송신형태 기호'의 행선지 데이터 설정 형식으로 송신형태를 송신시에 지정 가능하게 해도 된다.
행선지 데이터의 설정방법은, 인터넷 단말의 IP 전화번호를 송신 행선지 데이터로서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송신처 설정 데이터가 숫자 데이터이므로, 문자 숫자 설정 행선지 데이터인 파일 어드레스 및 팩시밀리 어드레스에 비해 송신시의 행선지 데이터 설정 조작이 간단하기 때문이다. 한편, 파일 어드레스 및 팩시밀리 어드레스로 행선지 데이터를 설정하여 송수신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인터넷 메일의 경우와 같이 어카운트를 송수신 단말장치에 설정함으로써, 어느 단말장치에서도 송수신이 가능해진다. 파일 어드레스 및 팩시밀리 어드레스 모두, 종래 이미 설정되어 있는 메일 어드레스에 'file' 및 'fax'라는 단어를 추가한 것이 바로 '파일 어드레스' 및 '팩시밀리 어드레스'가 되어, 설정이 쉽고 기억하기 쉬우며 이해하기 쉬우므로 바람직하다.
파일을 송신할 때에는, 인터넷 단말장치의 기본 조작 메뉴에서 파일 송신처리를 선택하면(S1200), 종래의 인터넷 메일 송수신시에 메일 송수신용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것과 같이, 새로 셋업하는 소프트웨어인 파일 송수신을 위한 파일 송수신용 소프트웨어가 기동하므로 파일 신규 송신처리를 선택한다(S1201). 파일 신규 송신처리 양식인 행선지 데이터 설정 입력란 및 송신파일명 설정란을 구비하는 신규 파일 송신 윈도우가 기동한다. 송신 행선지 데이터의 설정 및 송신파일명의 설정은, 종래의 인터넷 메일 송신시에 있어서 메일 송신작동 조작방법과 같이, 송신 행선지 데이터 설정 입력란에 커서를 대고 미리 행선지 데이터를 등록해 둔 주소록을 기동하여 송신 행선지 데이터를 선택 설정하거나 혹은 송신할 때마다 인터넷 단말장치의 문자 숫자 입력키로 행선지 데이터를 설정 입력한다(S1203). 행선지 데이터는 파일 어드레스 및 팩시밀리 어드레스 혹은 IP 전화번호 등으로, 필요에 따라 옵션으로서 부가하는 송신형태 기호의 설정 입력을 실행한다. 다음으로, 송신파일을 선택하는데(S1205), 송신파일 선택을 위하여 인터넷 단말장치의 외부 기억장치(1007)에 기억 저장되어 있는 파일 일람을 인터넷 단말장치 표시부(1009)에, 트리 구조의 폴더 일람표시와 함께 파일 선택이 가능하도록 파일명을 일람 표시한다. 혹은, 화상 폴더를 화상파일 저장을 위하여 전용으로 준비해 두고, 저장되어 있는 화상파일을 썸네일(thumbnail) 형식으로 표시를 실행하여 파일 선택이 가능하도록 표시한다(S1207). 송신을 실행할 파일을 선택하면(S1209), 화상파일의 경우에는 인터넷 단말장치 표시부(1009)의 화면이 전환되어 화상 데이터가 화상 표시되므로 송신파일인 것을 확인한다(S1211). 송신파일이라고 확인되었으면(S1213), 화면 구석에 표시되어 있는 선택 메뉴에서 송신파일로 결정한다(S1215). 이 예는 하나의 송신파일을 결정한 것이지만, 인터넷 메일 송수신시에 있어서의 첨부 파일의 경우와 같이 일시에 송수신을 실행하는 파일은 복수 개를 동시에 송수신 가능하므로, 하나의 파일을 선택할 때마다(S1215) 인터넷 단말장치 표시부(1009)의 구석에 선택 메뉴로서, 모든 파일 일람 표시처리·파일 표시 폴더 선택처리·파일 표시 형태 전 환·송신파일 선택처리 종료 등의 선택 메뉴 표시를 실행하고, 송신파일 선택처리를 계속할지의 여부를 결정한다(S1217). 다른 송신파일을 선택할 경우에는 상기 송신파일 선택처리(S1205)로 돌아가, 송신파일 선택처리를 계속한다. 송신 대상 파일의 모든 선택이 종료되면, 조작 메뉴에서 송신파일 선택처리 종료를 선택하고 파일 송신을 실행하는 파일 송신처리(S1219)로 진행하여, 종래의 인터넷 메일 송신시에 있어서의 송신 조작과 같이 파일 송수신용 소프트웨어로 송신작동을 조작함으로써 인터넷을 통해 파일 송신처리 혹은 팩시밀리 파일 송신처리를 실행한다(S1219).
파일 송수신용 소프트웨어로 파일의 송수신 작동을 조작하는 방법은, 종래의 첨부파일을 첨부한 인터넷 메일을 송수신하는 경우의 송수신 동작을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이상으로, 인터넷 단말장치에 장비되어 있는 인터넷 단말장치 조작부(1011)에서 판독 작동 조작을 실행하는 경우를 도 11에서 설명하고, 및 인터넷 단말장치 조작부(1011)에서 송신작동 조작을 실행하는 경우를 도 12에서 설명하였다. 기본 조작 메뉴에 있어서의 화상판독 처리 조작 메뉴 중에서, 화상판독 동작과 연동하여 화상파일 송신동작까지를 실행하는 화상판독 송신작동 조작 메뉴, 및 화상주사 판독 작동 조작을 실행하는 화상판독 작동 조작 메뉴, 혹은 파일 송신작동 조작을 실행하는 파일 송신작동 조작 메뉴를 각각 단독으로 설정하는 등, 인터넷 단말장치에 있어서의 기본 조작 메뉴 중에서 화상판독 작동 조작 및 파일 송신작동 조작을 실행하기 위한 작동 조작 메뉴를 설정한다.
다음의 도 13에 나타낸 것은, 화상주사 판독기측에 장비하는 판독기 조작부 (909)에서 실행하는 작동 조작으로, 화상주사 판독과 연동하여 인터넷 단말장치 측에서 실행하는 판독 화상파일 송신 종료까지 동작하는 화상주사 판독기측에서 실행하는 화상주사 판독 송신작동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도이다.
인터넷 단말장치에 화상주사 판독기를 접속한다(S1301). 화상주사 판독 송신작동 조작을 실행하기 위하여 인터넷 단말장치의 기본 조작 메뉴에서 화상판독 송신처리를 선택한다(S1303). 인터넷 단말장치는 화상주사 판독기 확인처리를 실행하고(S1305), 화상주사 판독기를 바르게 접속하고 있는 경우에는 인터넷 단말장치 표시부(1009)에 '화상판독 송신 처리를 개시합니다'라는 메시지를 표시한다(S1307). 어떠한 결함으로 화상주사 판독기가 바르게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인터넷 단말장치 표시부(1009)에 '판독기가 접속되어 있지 않습니다'(S1304)라는 메시지가 표시되므로, 화상주사 판독기의 전원 스위치가 ON으로 되어 있는지의 확인 혹은 화상주사 판독기와 인터넷 단말장치의 접속방법을 확인하는 등, 인터넷 단말장치에 대해서 화상주사 판독기를 바르게 접속하여 화상주사 판독의 송신 준비를 한다.
화상주사 판독기를 접속하여 화상주사 판독의 송신이 준비되고, 다음에 판독할 메모 혹은 문서 서류 인쇄물 등의 송신원고를 판독기 판독부(923)에 세트하면, 화상주사 판독기는 판독원고가 세트된 것을 자동 검지하고 판독기 판독 구동부(930)의 롤러부가 작동하여 판독원고의 여백부분을 수 밀리미터 읽어들인다(S1309). 송신원고를 세트하여 화상판독이 준비되면 판독기 조작부(909)에서 송신 행선지 데이터를 설정 입력하는데, 화상주사 판독기 조작부(909)에서 행선지 데이터를 설정할 때 이용하는 것으로는 다음의 방법이 있다. 송신할 때마다 문자 숫자 입력키(205)로 행선지 데이터를 설정 입력하는 방법, 및 화상주사 판독기의 행선지 데이터 기억 기능부(912)에 설정 등록되어 있는 행선지 데이터를 판독하여 설정 입력하는 방법으로서, 휴대형 화상주사 판독기(1)의 경우라면 행선지 데이터 기억 버튼 스위치(207)로 판독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미리 하나 하나의 행선지 데이터 기억 버튼 스위치(207)에 대해서 문자 숫자 입력키(205) 조작에 의해 설정 등록해 둔 행선지 데이터를 판독하여 설정 입력하는 방법, 혹은 화상주사 판독기의 기본 조작 메뉴에서 판독할 수 있는 주소록에 등록해 둔 어드레스 정보를 판독하여 설정 입력하는 방법이 있다(S1311).
송신시에 상기의 어떠한 방법으로 설정 입력하는 행선지 데이터는, 판독기 표시부(908)에서 확인한다(S1313). 송신 행선지 데이터의 설정이 종료되면, 다음에 판독기 조작부(909)에 장비되어 있는 판독 해상도 설정 버튼 스위치(211)로 화상주사 판독 해상도를 선택한다(S1315).
송신원고를 세트하고 송신 행선지 데이터의 설정 입력이 종료되어 화상주사 판독의 송신 준비를 끝마친 시점에서, 휴대형 화상주사 판독기(1)의 송신 버튼 스위치(215)를 누른다(S1317). 휴대형 화상주사 판독기(1)의 판독원고 세트부(201)에 세트되어 있던 송신원고는, 판독기 판독 구동부(930)의 급지 롤러가 작동함으로써 광검출 소자 센서에 의한 화상주사 판독을 실행함과 동시에, 화상주사로 작성하는 화상 데이터는 화상주사 판독기의 화상 데이터 처리부(920)에서 화상 데이터 처리를 실행한 후에, 판독기 기기 접속부(934)와 대응하여 접속되어 있는 인터넷 단말장치 기기 접속부(1015)를 통해 인터넷 단말장치측에 화상 데이터 및 송신 행선지 데이터를 데이터 송신한다. 판독 화상 데이터 및 송신 행선지 데이터를 수신한 인터넷 단말장치 측에서는, 화상 데이터 처리부(1017)에서 화상 데이터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화상 데이터 및 화상판독 시각정보 혹은 화상파일 사이즈 정보를 구비한 화상파일화 처리를 실행하고, 화상판독 처리 전에 미리 인터넷 단말장치측의 기본 조작 메뉴에서 선택 설정해 둔 화상주사 판독 저장시의 화상파일 형식으로, 파일명을 화상주사 판독 연속번호로서 외부 기억장치(1007)에 기억 저장하는 한편, 화상파일은, 송신 행선지 데이터를 송신처로 하여 인터넷 단말장치의 통신 기능부(1013)에서의 통신처리에 의해, 새로 설비하는 파일 송수신용 서버인 파일 서버를 통해, 혹은 팩시밀리 형태로 송신할 경우에는 새로 설비하는 팩시밀리 파일 송수신용 서버인 팩시밀리 서버를 통해, 송신 행선지 데이터로서 화상주사 판독기로 설정 입력한 파일 어드레스 및 팩시밀리 어드레스 혹은 IP 전화번호를 송신 행선지 데이터로 하는 송신방법으로, 인터넷 단말장치의 통신 기능부(1013)에서의 송신처리에 의해 인터넷을 통해 화상파일을 송신한다. 화상주사 판독 동작에 이어서 인터넷 단말장치 측에서의 판독 화상파일 송신 종료까지의 동작중에 어떠한 요인으로 정상 송신을 할 수 없게 된 경우에는, 판독원고 세트부(201)의 판독원고의 확인 혹은 송신 행선지 데이터 설정의 재확인 등을 실행하고(S1321), 상기 판독원고를 세트하는(S1309) 단계까지 돌아가, 다시 판독 송신작동 조작을 실행한다.
화상주사 판독기측에서 판독 동작 개시로부터 인터넷 단말장치에서의 화상파일 송신 종료까지의 작동 조작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화상판독 처리와 화상파일 송신처리가 연동하여 동작하기 때문에, 복수 페이지에 달하는 서류 등을 판독 송신하 는 경우에 이 화상주사 판독 송신방법은 적합하지 않고, 상기 설명한 인터넷 단말장치 조작부(1011)에서 실행하는 판독 작동 조작에서 수 페이지 분의 화상판독을 실행함으로써 작성한 화상파일을 인터넷 단말장치의 외부 기억장치(1007)에 한 번 기억 저장한 후에, 작성하여 기억 저장되어 있는 화상주사 판독 화상파일에 대해서 송신처리 작동 조작을 실행한다.
판독기 조작부(909)에서 화상주사 판독의 작동 조작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화상주사 판독과 연동하여 인터넷 단말장치 측에서의 화상파일 송신 종료까지 동작하는 것이지만, 화상주사 판독 후에 인터넷 단말장치의 외부 기억장치(1007)에 기억 저장할 때의 화상파일 형식은, 인터넷 단말장치의 기본 조작 메뉴에서 미리 판독기 조작부(909)에서 판독 작동 조작을 실행하는 경우의 판독 화상파일 저장형식을 선택 설정해두는 것으로 한다.
화상주사 판독 송신처리가 정상적으로 종료된 경우에는, 화상주사 판독기측의 판독기 표시부(908)에 '판독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였습니다'라는 화상파일 송신동작 정상 종료의 메시지를 표시하고(S1323), 화상주사 판독기측의 판독기 조작부(909)에서 화상주사 판독과 연동하여 판독 화상파일 송신동작을 실행하는 경우의 화상주사 판독 송신처리를 종료한다.
이상이, 상기 인터넷 단말장치 조작부(1011)에서 실행하는 판독 작동 조작 및 송신작동 조작에 의한 화상파일 송신처리를 실행하는 경우, 이에 대해 화상주사 판독기의 판독기 조작부(909)에서 실행하는 화상주사 판독 처리와 연동하여 인터넷 단말장치 측에서의 판독 화상파일 송신동작을 실행하는 경우의 각각에 대한 동작 설명이다.
인터넷 단말장치에 있어서의 기본 조작 메뉴 중에서, 화상주사 판독을 위한 작동 조작기능 및 파일 송수신 조작기능 혹은 파일 관리 조작기능을 구비하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인터넷 메일 송수신을 위하여 특화하여 작성되어 있는 메일 송수신용 소프트웨어와 마찬가지로, 상기 설명한 방법으로 파일 및 팩시밀리 파일 송수신을 실행하기 위하여 특화하여 작성하고 셋업을 실행하는, 화상주사 판독 작동 조작을 위한 화상판독 작동 조작기능을 구비하는 화상주사 판독용 소프트웨어에 대한 것으로, 파일 관리기능을 구비하는 파일 송수신용 소프트웨어에 대한 것이다.
화상주사 판독기의 화상주사에 의해 작성하는 화상파일은, 모두 인터넷 단말장치측의 외부 기억장치(1007)에 기억 저장되지만, 화상 데이터를 저장할 때의 화상파일 형식에는, JPG 파일 형식·BMP 파일 형식·TIF 파일 형식 등 몇 가지의 일반적인 화상파일 형식으로 저장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 외에, 상기 PDF 파일 형식으로의 화상 데이터 저장기능을 장비한다. 화상파일 형식의 선택은, 화상 데이터를 저장할 때에 선택 메뉴에서 결정하는 경우와 화상주사 판독을 실행하여 작성하는 화상 데이터를 저장할 때의 화상파일 형식을, 미리 인터넷 단말장치의 기본 조작 메뉴에서 선택 설정해두는 방법이 있다.
인터넷 단말장치가 장비하는 기능에는, 인터넷 단말장치의 통신 기능부(1013)를 통해 수신하여 기억 저장되어 있는 화상파일, 혹은 외부 기억장치(1007)인 메모리 카드식 기억장치의 메모리카드를 교체함으로써 불러들인 화상파일, 혹은 인터넷 단말장치 기기 접속부(1015)를 통해 외부 기억장치(1007)로 불러들인 화상파일 등, 인터넷 단말장치의 외부 기억장치(1007)에 기억 저장되어 있는 화상파일의 파일형식을 변환하는 기능을 갖는 장비인 화상파일 형식 변환처리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화상파일 형식 변환처리를 필요로 하는 것으로는, 화상파일 송신시에 송신 상대인 수신측 인터넷 단말장치가 장비하고 있는 화상파일 표시기능에 대응하는 화상파일 형식에 맞추어 송신 전에 미리 파일형식을 변환한 후에 송신하는 경우, 혹은 인터넷 단말장치들이 화상파일을 교환하는 경우 등에 필요한 기능을 갖는 장비가 있다.
도 14에 나타낸 것은, 인터넷 단말장치의 외부 기억장치(1007)에 기억 저장되어 있는 화상파일의 파일형식의 변환처리를 실행하는 화상파일 형식 변환처리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도이다. 인터넷 단말장치의 기본 조작 메뉴에서 화상파일 형식 변환처리를 선택하면(S1402), 휴대형 인터넷 단말장치 등에서 화상파일 저장시에는 화상파일 저장용 폴더를 지정하지 않으면 저장할 수 없는 화상파일 저장방식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되지만, 외부 기억장치(1007)에 기억 저장되어 있는 화상파일 중에서 파일형식 변환처리를 실행하는 화상파일을 선택할 수 있도록, 화상파일 저장용 폴더에 모아서 저장하는 화상파일을 썸네일(thumbnail) 형식으로 인터넷 단말장치 표시부(1009)에 일람 표시되므로(S1403), 파일형식 변환 대상 화상파일을 선택한다(S1405). 선택한 화상파일의 화상 데이터가 인터넷 단말장치 표시부(1009)에 화상 표시되므로(S1407), 파일형식 변환 대상 파일인 것을 확인하고 (S1409), 확인된 경우 화면 구석에 표시되어 있는 조작 메뉴의 파일 저장처리를 선택하면(S1412), 파일형식 변환 후인 저장시의 변환처리 가능한 파일형식 선택메뉴가 표시되므로, 그 중에서 저장하고자 하는 변환 후의 파일형식을 선택한다(S1413). 파일형식 변환처리가 인터넷 단말장치의 화상 데이터 처리부(1017)에서 실행되어 변환 완료된 새 파일 형식으로 화상 데이터를 외부 기억장치의 원래 장소에 혹은 파일형식 변환 후의 저장장소를 선택 가능으로 해도 되지만, 다시 저장하여 하나의 화상파일의 파일형식 변환처리를 종료하고, 인터넷 단말장치 표시부(1009)에 '화상파일 형식 변환을 종료하였습니다'(S1417)라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또한 그 외에, 파일형식 변환처리를 실행하는 화상파일이 있을 경우에는 하나의 화상파일 형식 변환처리 종료 시점에 표시되는 파일형식 변환처리 조작 메뉴에서 다음 화상파일 형식 변환처리를 선택하면(S1419), 상기 화상파일 일람표시를 실행하는 단계까지 돌아가(S1403), 다음 화상파일의 파일형식 변환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화상파일 형식 변환처리를 종료하는 경우에는, 화상파일 형식 변환처리 종료(S1419)를 선택함으로써, 인터넷 단말장치 표시부(1009)에 '화상파일 형식 변환처리 종료'라는 메시지를 표시하고(S1420), 화상파일 형식 변환처리 동작을 종료한다.
도 15 및 도 16은, 인터넷상에서의 새로운 본인 인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도이다. 종래 인터넷 단말장치로부터 인터넷상의 시스템에 액세스할 때는, 본인인증 및 보안 혹은 부정 액세스 방지 등을 위하여 시스템 로그 온 시에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라는 형식으로 행해지는 본인 인증방법 시스템이 대부분이지 만,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를 사용하는 방법에 비해 고도로 부정 액세스를 방지할 수 있는 본인 인증방법으로는, 인터넷 단말장치에 화상주사 판독기를 접속하고 메모용지 등에 사인을 하여 화상판독 송신을 실행함으로써 가능해지는 필적 데이터에 의한 본인 인증방법, 및 인터넷 단말장치에 광검출 소자 카메라를 장비한 기기를 접속하여 광검출 소자 카메라로 눈의 홍채를 촬영함으로써 개인인증을 실행하는 방법이 있다.
도 15에 나타낸 것은, 인터넷상의 시스템 로그 온 처리시에 있어서의 본인인증 처리의 새로운 방법인 화상주사 판독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도이다. 메모용지 등에 사인을 하고 화상주사 판독기를 사용하여 화상판독 송신함으로써, 시스템측에서는 필적 데이터에 의한 본인인증이 가능해지는 새로운 본인 인증방법이다.
화상주사 판독기를 사용하는 본인 인증방법은 인터넷 온라인상의 시스템에 대한 로그 온 처리시의 본인 인증방법, 및 책상 위에 설비되고 있는 컴퓨터를 조작할 때의 보안 방법 등에 이용할 수 있다. 종래의 패스워드를 사용하는 방법과는 다른 새로운 본인 인증방법이다.
우선, 인터넷상의 시스템에 대한 시스템 로그 온 처리를 실행하기 전에 컴퓨터 등에 휴대형 화상주사 판독기(1) 등의 화상주사 판독기의 접속을 실행하여 준비한다(S1501). 휴대형 화상주사 판독기(1)를 접속하여 준비가 되었으면, 인터넷상의 시스템에 대한 로그 온 처리로 진행한다(S1503). 종래라면, 시스템에 로그 온 할 때,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본인인증 화면이 표시되는 시점에, 새 로운 본인 인증방법인 휴대형 화상주사 판독기(1)를 사용하는 본인인증 절차를 지시하는 '화상판독기로 서명을 송신해 주십시오'라는 메시지 화면이 표시되므로(S1505), 시스템 접속자는 메모용지 등에 서명을 하고 휴대형 화상주사 판독기(1)를 사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시스템측에 서명 화상파일을 송신한다(S1507). 서명의 화상 데이터인 서명 화상파일을 수신한 시스템측에서는, 계약자가 계약시에 필적 등록해 둔 본인 필적 데이터를 근거로, 본인이 서명한 것인지를 필적 식별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판정함으로써 필적에 의한 본인식별 처리를 실행한다(S1509). 본인식별 처리로 본인의 필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여(S1511), 판정결과가 본인이라고 확인되었을 경우에는 '본인인증 종료'라는 메시지를 시스템 접속자의 인터넷 단말장치 표시부(1009)에 표시함(S1515)과 동시에, 시스템이 LOG ON 되고 시스템 본 처리로 진행된다(S1515).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송신할 서명 화상파일은 서명 화상 필적 데이터 외에, 판독 송신 화상파일 형식을 JPG 파일 형식 혹은 PDF 파일 형식으로 함으로써 서명 필적의 선화(線畵) 데이터량으로 정보량이 모두 달라지는 서명 화상파일 사이즈 정보 및 서명 화상 데이터 판독 시각정보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그 사람이, 그 때, 그 한번만'이라는 유일한 파일임과 동시에, 시스템측에서도 이전에 송신된 서명 화상 데이터가 사용되지 않았는가 등의 체크를 저장 화상 파일 데이터와 대조하여 실행하는 등, 본인 이외의 사람이 서명을 흉내내거나 혹은 서명 화상 데이터를 도용하는 등의 부정 액세스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6에 나타낸 것은, 인터넷상의 시스템 로그 온 처리시에 있어서의 본인인증의 새로운 방법인 광검출 소자 카메라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 한 플로차트도이다. 광검출 소자 카메라를 장비하는 전화기 형상 컴퓨터(5)로 인터넷상의 시스템에 대한 로그 온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 혹은 광검출 소자 카메라를 장비하는 전화기 형상 컴퓨터(5)를 컴퓨터 등의 인터넷 단말장치에 접속하여 시스템 액세스 처리의 준비를 한다(S1601). 시스템 액세스 처리의 준비를 마친 시점에서 시스템 로그 온 처리를 실행한다(S1603). 인터넷 단말장치 표시부(1009)에 시스템 로그 온 본인인증 화면이 표시되고 '카메라의 렌즈를 눈에 가까이 대 주십시오'(S1607)라는 메시지가 표시되므로, 인터넷을 통해 시스템측과 온라인 상태에 있는 인터넷 단말장치가 장비하거나, 혹은 인터넷 단말장치에 접속을 실행한 광검출 소자 카메라의 렌즈부를 눈에 가까이 댄다(S1609). 액세스처인 시스템측에서는, 광검출 소자 카메라로 촬영함으로써 작성하는 눈의 홍채 화상 데이터와, 계약자가 계약시에 등록해 둔 홍채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본인인증을 실행하는 홍채식별 소프트웨어에 의한 본인인증 처리를 실행한다(S1611). 이 때의 홍채 화상 데이터는 정지 화상 데이터가 아닌 수초간의 홍채 촬영 동화상 화상 데이터이고 홍채 촬영중의 홍채의 움직임 정보 혹은 광검출 소자 카메라의 렌즈와 눈의 거리 변동에 의한 촬영 화상정보를 구비함과 동시에, 촬영시간 데이터를 동반하는 홍채 촬영 동화상 화상 데이터 식별방법이다. 다음으로 스텝(S1613)에서는, 본인이라고 인증된 경우에, 본인은 광검출 소자 카메라의 렌즈에 눈을 가까이 대고 있어 인터넷 단말장치의 표시부를 볼 수 없기 때문에, 광검출 소자 카메라를 장비하는 인터넷 단말장치는 본인인증 처리가 종료된 것을 소리로 알림과 동시에 인터넷 단말장치 표시부(1009)에 '본인인증 종료'의 메시지 표시를 실행하여(S1615), 시스템 LOG ON 상태가 되고 시 스템 본 처리로 진행된다(S1619).
이상이, 화상주사 판독기를 사용하여 서명 필적 데이터를 송신함으로써 본인인증을 실행하는 방법, 및 광검출 소자 카메라를 사용하여 홍채를 촬영함으로써 본인인증을 실행하는 방법의 설명이다.
상기, 각각 설명한 인터넷을 통해 실행하는 파일 혹은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모두 인터넷상에서 송수신을 실행하는 것으로 실용단계에서는 송수신시에 있어서의 보안대책 혹은 파일 서버 및 팩시밀리 서버상에 있는 파일에 대한 보안대책 등, 인터넷을 통해 실행하는 사용목적에 대응하는 보안 레벨을 장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종래 사무실 등에서 서류를 송수신할 때에는 팩시밀리기를 흔히 사용한다. 팩시밀리 송수신 방법은, 송신처의 팩시밀리 전용번호를 행선지 데이터로서 설정하고 전화회선으로 서류 등의 전송을 실행하는 것이다. 종래의 팩시밀리기와 같은 정도의 간단한 송수신 조작방법으로, 광검출 소자 센서를 사용하는 화상주사 판독으로 작성하는 화상 데이터를 팩시밀리 파일로서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인터넷 단말장치이다. 탁상 설치형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 인쇄기 혹은 바닥 설치형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 인쇄기 등의 형식으로, 차세대 팩시밀리 장치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사무실 등에서 문서 서류를 송신할 때는, 책상 위에 설비하고 있는 컴퓨터에 문서 서류 송신에 대응하는 화상주사 판독기를 접속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서류를 송신하기 위하여 팩시밀리기까지 가지 않아도 자리에 앉은 채로 서류를 송신할 수 있게 되고, 송신된 문서 서류를 수신하는 경우에도 종래와 같이 자리를 벗어나 팩시밀리기까지 수신서류를 가지러 가지 않아도, 책상 위의 컴퓨터로 수신 가능해진다.
종래, 서류를 전송하는 방법으로 일반적이었던 팩시밀리기를 사용하여 전화망을 통해 송수신하는 방법과는 다른 방법으로, 차세대 팩시밀리 장치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화상주사 판독기에 의해 서류 인쇄물의 판독을 실행하고 인터넷을 통해 간단한 조작으로 화상파일로서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화상주사 판독기 및 팩시밀리 파일 송수신 방법 혹은 팩시밀리 파일 송수신 시스템이다. 팩시밀리 파일 송수신시에는, 종래의 팩시밀리기 송수신의 경우와 같이, 사무실 혹은 가정에 설비하는 문서 서류 송수신 전용기인 팩시밀리기로 한정될 필요는 없고, 휴대형 혹은 탁상형 화상주사 판독기를 휴대형 인터넷 단말장치 및 인터넷 단말장치를 장비하는 탁상형 전화기 혹은 가정 및 사무실 등의 컴퓨터에 접속함으로써 송수신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송수신하는 메시지 데이터는 종래의 팩시밀리기를 사용하는 방식인 종이 서류에 의한 수신 메시지 데이터와는 달리, 컴퓨터로 취급하는 파일형식의 수신 메시지 데이터이므로 컴퓨터로 취급이 가능하고 및 수신 메시지 데이터의 저장성이 뛰어나다. 종래의 팩시밀리와는 달리, 송수신하는 화상 데이터는 컬러 데이터이고 해상도가 좋다. 그 자리에 인터넷 단말장치가 있다면, 화상주사 판독기를 접속함으로써 문서 서류를 판독하여 송수신이 가능하며, 수신하는 경우에도 송신된 팩시밀리 파일의 수신이 인터넷 단말장치로 가능하다.
인터넷을 실행하는 메시지 전달방법으로서 인터넷 메일이 보급되어 있지만, 통신기기 조작이 서툰 사람 혹은 송수신 조작이 번거로워서 인터넷 메일을 그다지 사용하지 않았던 사람 혹은 어린이 등 지금까지 인터넷을 사용하지 않았던 사람이라도, 화상주사 판독기를 사용함으로써 메모용지 등에 손으로 적은 메시지를 간단한 송신조작으로 메시지 송신이 가능하고, 송신처로서도 종래의 팩시밀리기와 같이 송수신처가 송수신 전용기인 팩시밀리기로 한정되지 않아, 휴대형 혹은 탁상형 등의 인터넷 단말장치에 대해서 송수신이 가능하다.
서류 인쇄물 및 서적 혹은 명함 등을, 화상주사 판독기로 판독하여 휴대형 인터넷 단말장치 등의 외부 기억장치에 서류 인쇄물 화상파일로서 기억 저장함으로써 서류 데이터를 휴대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기억 저장되어 있는 서류 인쇄물 판독 화상파일은, 그 밖의 파일 등과 마찬가지로 인터넷을 통해 휴대형 및 탁상형 혹은 바닥 설치형 등의 인터넷 단말장치와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수 페이지에 달하는 서류원고의 연속 판독에 대응하는 탁상형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 인쇄기 혹은 바닥 설치형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 인쇄기를 사용하면, 서류의 판독 작업이 종래의 플랫베드 스캐너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도 용이해지고, 원고 세트부에 수십 페이지 분을 세트하여 연속 판독이 가능해짐과 동시에, 접속을 실행한 컴퓨터로 문서 화상파일을 텍스트 파일화 하는 OCR 소프트웨어에 의한 텍스트 파일로의 연속 자동 변환처리가 가능해지므로, 수 페이지에 달하는 문서 파일의 경우에도 간단한 조작으로 한 번에 종이 문서 서류를 텍스트 파일화 할 수 있다.
종래의 인터넷 메일은 키보드 입력의 텍스트 문자 메시지이지만, 메일을 받았을 때 송신자가 정말로 메일문 중에 발신자라고 기재되어 있는 본인인지의 여부 가 판별 불가능한데 반해, 화상주사 판독기로 판독하여 송신하는 메모용지 등에 손으로 쓴 메시지에 의한 메시지 전달방법은, 필적으로 본인확인이 가능하다. 필적은 개체식별 가능한 것이고, 착신측에서 필적 식별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본인식별 수단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본인 인증방법으로서 이용 가능하다.
서명에 의한 필적 데이터에 의한 본인 인증방법이 가능해져서, 인터넷상에 있어서의 종래의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를 사용하는 본인 인증방법과는 다른 고도한 레벨의 본인인증 처리가 가능하며, 높은 보안성이 요구되는 시스템에서의 이용 용도를 생각할 수 있다. 인터넷상에서 종래 시스템 로그 온 시에 이용되던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에 의한 본인 인증방법을 대체할 새로운 본인인증 수단으로서, 서명한 메모를 화상주사 판독기로 판독하여 서명 화상파일로서 정해진 수분 이내에 송신함으로써, 수신측인 시스템에서는 수신한 서명 화상파일 데이터에 대해서 필적 데이터 식별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본인식별 판정처리를 실행하고, 송신시의 서명 화상판독 시각정보 및 서명 화상파일 사이즈 정보를 맞추면, '그 사람이·그 때·한 번만'이라는 유일한 본인 인증방법이 되는 것을 이용하는, 온라인 혹은 오프라인에서의 시스템 로그 온 시에 있어서의 본인 인증방법으로서 이용 용도를 생각할 수 있다.
의료현장 등에서, 폴더에 철하여 보관하고 있는 진료기록 카드를 화상주사 판독기로 판독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진료기록 카드로서 파일링하는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지금까지, 물품의 움직임을 문서파일로 관리하고 있던 모든 업종에 있어서, 사무처리를 컴퓨터 상에서 실행하도록 업무를 이관할 때, 지금까지의 종이 베이스로 파일링하여 보관하던 문서 서류를,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파일로 변환할 때에 대한 사용 용도를 생각할 수 있다. 문서 서류·전표·물품 관리코드·도면·장부 등의 종래부터 종이서류로 관리했던 것에 대해서 화상주사 판독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화상파일로 변환하는 화상주사 판독 장치로서의 이용 용도를 생각할 수 있다.
손으로 쓴 문자는 컴퓨터에서의 키보드 입력에 의한 텍스트 문자와는 달리, 인터넷상에서의 익명 혹은 사칭 등을 방지 가능함과 동시에, 송신처에 필적 화상 데이터가 남기 때문에 심리적으로도 부정 액세스 방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종래 인터넷을 사용하여 집계 등을 실행한 경우의 본인인증 등에 대한 이용을 생각할 수 있다. 문서 서류원고를 화상판독 송신하는 경우 등 본인확인 뿐만 아니라, 특히 사인 문화권 나라 및 지역 등의 경우에는 특히 이용 범위도 넓고 이용 가치가 크다고 생각된다. 구체적으로는, 선거시에 선거 투표소에 투표용지 화상주사 판독기를 설치하고, 투표자는 후보자 성명을 투표용지에 기명하여 종래의 투표함이 아닌 투표용지 화상주사 판독기의 용지 원고 세트구(口)에 투입하는 형식의 선거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투표 후에 실행되는 종래의 집약 수집 작업 대신에, 투표용지 화상주사 판독기에 투입한 시점에서 화상파일을 작성하고, 온라인 혹은 오프라인으로 화상파일 기명 데이터를 수집하여 후보자 성명을 이름 자동 판독 인식처리에 의해 투표용지를 수집하여 집계하는 수단이 가능하다. 투표용지 판독 화상 파일은 투표용지 화상주사 판독기의 외부 기억장치에 투표용지 판독 화상 데이터로서 기억 저장하므로, 재검표 및 재집계 등의 경우에도 작업이 용이해지는 등, 부정이 발생하 기 어려운 선거방법의 실현을 생각할 수 있다.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 인쇄기는 차세대 팩시밀리 장치 및 팩시밀리 송수신 방법 혹은 팩시밀리 송수신 시스템이 될 것으로 생각되는 것으로, 전화회사 및 컴퓨터 제조회사 혹은 팩시밀리기 제조회사로서도 종래 방식의 팩시밀리기와는 다른, 인터넷을 사용하는 새로운 팩시밀리 송수신 시스템으로서의 발전 및 활성화로 이어지는 것이다.

Claims (28)

  1. 화상주사 판독기는 광검출 소자 센서(CCD:charge-coupled device)를 사용하는 화상주사 판독기능을 장비함으로써, 서류 인쇄물에 대해서 화상주사 판독을 실행하여 작성하는 화상 데이터를, 화상주사 판독기 본체에 장비하는 혹은 화상주사 판독기에 접속한 인터넷 단말기능으로 실행하는 송수신 처리로 인터넷을 통해 화상파일 형식으로, 새로 만드는 행선지 데이터를 설정하여 송신처인 인터넷 단말장치에 대해서 송수신을 가능하기 하기 위한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기 및 인터넷을 통해 실행하는 파일 송수신 방법 혹은 파일 송수신 시스템.
  2. 화상주사 판독기능을 장비하는 화상주사 판독기는 인쇄기능을 장비하고 있으므로, 서류 인쇄물에 대해서 화상주사 판독을 실행함으로써 작성하는 화상 데이터를, 화상주사 판독기 본체에 장비되어 있는 혹은 화상주사 판독기에 접속을 실행한 인터넷 단말의 기능에 의해 인터넷을 통해 화상파일로 하여 송신처로서 인터넷 단말장치에 대해서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고, 화상파일 수신측 인터넷 단말장치에서는 화상파일 착신시에, 장비되어 있는 인쇄기능으로 착신 화상파일의 인쇄처리를 실행하는, 차세대 팩시밀리 장치가 될 것으로 생각되는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 인쇄기.
  3. 제 1항에 있어서,
    인터넷 단말장치에 데이터 통신 가능한 방식으로 접속하는 화상주사 판독기로, 서류 인쇄물에 대해서 화상주사 판독을 실행함으로써 작성하는 화상 데이터를 인터넷 단말장치에 장비하고 있는 외부 기억장치에 화상파일 형식으로 기억 저장하는 것에 이어서, 화상주사 판독으로 작성하는 화상파일을 인터넷 단말의 기능에 의해 인터넷을 통해 송신하기까지의 송신작동 조작을, 화상주사 판독기 조작부에서의 간단한 조작으로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 송신수단을 구비하는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기.
  4. 제 2항에 있어서,
    탁상형 패키지를 구비하고, 서류 사이즈로 많이 사용되는 A4 사이즈 혹은 A3 사이즈의 원고 판독에 대응하는 탁상형 화상주사 판독기로, 인터넷 단말장치로서의 통신기능 및 화상파일 착신시에 인쇄처리를 실행하는 화상 데이터 인쇄처리 기능을 장비하는 탁상형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 인쇄기로, 사무실 혹은 가정 등에 설비하고 있는 인터넷 단말장치인 라우터 등에 대해서 케이블식 데이터 통신방식 혹은 무선식 데이터 통신방식으로 접속을 실행해 인터넷에 접속하여 화상파일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차세데 팩시밀리 장치가 될 것으로 생각되는 탁상형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 인쇄기인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 인쇄기.
  5. 제 2항에 있어서,
    바닥 설치형의 패키지를 구비하고, 서류 사이즈로 많이 사용되는 A4 사이즈 혹은 A3 사이즈의 원고 판독에 대응하는 바닥 설치형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 인쇄기로, 화상주사 기능 및 인터넷 단말기능 혹은 화상파일 착신시에 인쇄처리를 실행하는 인쇄처리 기능을 장비하는 차세대 팩시밀리 장치가 될 것으로 생각되는 바닥 설치형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 인쇄기인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 인쇄기.
  6. 제 5항에 있어서,
    화상주사 판독기가 장비하는 외부 기억장치인, 고정 디스크식 기억장치 및 메모리 카드식 기억장치를 장비함과 동시에, CD-ROM·CD-RAM·DVD-ROM·DVD-RAM·혹은 차세대 이동식 디스크 등을 기억매체로서 사용하는 이동식 디스크식 기억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설치형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 인쇄기.
  7. 전화기 형상의 패키지를 구비하는 휴대형 전화기 형상 컴퓨터로, 통신 기능부로서 착탈 가능한 인터넷형 통신카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단말장치인 전화기 형상 인터넷 단말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인터넷 단말장치에 접속하여 사용하는 휴대형 화상주사 판독기로, 소형으로 휴대 가능한 패키지를 구비하는 것이 특징으로, 메모용지 사이즈 정도까지의 원고 판독에 대응하는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기.
  9. 제 1항에 있어서,
    인터넷 단말장치에 접속하여 사용하는 휴대형 화상주사 판독기로, 소형으로 비즈니스 백에 들어가는 정도의 휴대 가능한 패키지를 구비하는 것이 특징으로, 서류 사이즈로 많이 사용되는 A4 사이즈 정도까지의 원고 사이즈의 화상주사 판독에 대응하는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서적 및 철되어 있는 서류 혹은 A4 사이즈보다도 큰 화상주사 판독기의 원고 세트부에 화상주사 판독을 위하여 통과시키는 것이 곤란한 형상의 서류 인쇄물에 대해서 화상주사 판독을 실행하는 경우에 적합한 화상주사 판독기로, 판독을 실행할 때의 형태로서 판독하는 원고를 책상 위에 판독면을 위로 향하게 해 놓고 화상주사 판독기측을 판독 대상물 위에 놓아서 화상주사 판독기 바닥면을 화상주사 판독하는 판독 형식의 패키지를 구비하는 플랫베드 화상주사 판독기인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인터넷을 통해 실행하는 파일 송수신 방법으로, 새로 설비하는 파일 송수신용 서버인 파일 서버를 통해, 송신시의 행선지 데이터로서 새로 만드는 파일 어드레스 혹은 IP 전화번호를 송신 행선지 데이터로서 설정하여 인터넷을 통해 송수신을 실행하는 파일 송신방법 및 파일 송수신 시스템.
  12. 제 1항에 있어서,
    인터넷을 통해 실행하는 팩시밀리 파일 송수신 방법으로, 새로 설비하는 팩시밀리 파일 송수신용 서버인 팩시밀리 서버를 통해. 화상주사 판독기로 화상주사 판독을 실행함으로써 작성하는 화상파일을 송수신할 때의 송신 행선지 데이터로서, 새로 만드는 팩시밀리 어드레스 혹은 IP 전화번호를 송신 행선지 데이터로서 설정하여 인터넷을 통해 송수신을 실행하는 팩시밀리 파일 송수신 방법 및 팩시밀리 파일 송수신 시스템.
  13. 제 1항에 있어서,
    파일 송수신시 및 팩시밀리 파일 송수신시의 송신 행선지 데이터로서, 송신처 인터넷 단말장치의 IP 전화번호를 설정하여 송수신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송신 행선지 데이터인 IP 전화번호에 부가함으로써 송신형태를 설정하여 송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설정 기호인 송신형태 기호를 행선지 데이터에 부가하여 설정함으로써, 송신형태 설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송수신 방법 및 파일 송수신 시스템 혹은 팩시밀리 파일 송수신 방법 및 팩시밀리 파일 송수신 시스템.
  14. 제 1항에 있어서,
    화상주사 판독기에 장비되어 있는 행선지 데이터 기억 버튼 스위치로, 하나 의 행선지 데이터 기억 버튼 스위치에 대해서 문자 숫자 입력키의 조작에 의한 조작 설정으로 하나의 행선지 데이터인 송신처 어드레스 혹은 IP 전화번호를 기억하는 기능인 행선지 데이터 기억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기.
  15. 제 1항에 있어서,
    인터넷 단말장치에 대해서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기를 데이터 통신 가능한 방식으로 접속을 실행하고, 화상주사 판독기 조작부에서 실행하는 작동 조작에 의해 화상주사 판독 동작과 연동하여, 인터넷을 통해 실행하는 인터넷 단말장치 측에서의 화상파일 송신 종료까지의 화상주사 판독 송신작동 조작이 가능하고, 화상파일 송신 조작방법으로서는, 화상주사 판독기에 송신원고를 세트하고 행선지 데이터를 설정 입력하여 송신 버튼 스위치를 누르는 간단한 송신 조작방법으로, 화상주사 판독으로 화상 데이터 작성과 연속하여 인터넷 단말장치에 장비되어 있는 통신 기능부에서 실행하는 화상파일 송신 처리에 의해 인터넷을 통해 화상파일을 송신하고, 화상주사 판독 개시로부터 화상파일 송신 종료까지의 화상주사 판독 송신작동 조작을, 화상주사 판독기에 장비되어 있는 판독기 조작부에서 실행하는 누구라도 이해할 수 있는 간단한 송신 조작방법으로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기.
  16. 제 1항에 있어서,
    화상주사 판독기로 화상주사 판독을 실행함으로써 작성하는 화상 데이터를, 인터넷 단말장치에 장비되어 있는 외부 기억장치에 기억 저장할 때의 화상파일 형식으로서, JPG 파일 형식·BMP 파일 형식·TIF 파일 형식 등 일반적인 화상파일 형식으로의 저장을 가능하게 하는 것 외에, 미국 Adobe사의 서류 저장 파일 형식인 PDF 파일 형식 혹은 수 페이지에 달하는 화상 데이터라도 하나의 통합된 화상파일로 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화상파일 형식으로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인터넷 단말장치.
  17. 제 1항에 있어서,
    인터넷 단말장치에 장비되어 있는 외부 기억장치에 기억 저장되어 있는 JPG 파일 형식·BMP 파일 형식·TIF 파일 형식·PDF 파일 형식 등 화상파일의 파일 형식을, 각각의 파일 형식간에 상호 형식 변환을 실행하는 화상파일 형식 변환처리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단말장치.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단말장치는, 화상파일 데이터 표시기능을 구비하는 인터넷 단말장치 표시부를 장비하고 있으며, 인터넷 단말장치 표시부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의 확대표시 및 축소표시를 실행하는 확대 축소표시 처리기능을 구비하고, 표시되어 있는 화상의 상하좌우 스크롤 표시를 실행하는 표시 화상 스크롤 처리기능을 구비하는 인터넷 단말장치.
  19. 제 1항에 있어서,
    메모용지 등에 서명을 하고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기를 사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서명 화상파일로서 인터넷상의 시스템측에 송신하는 서명 화상파일을 수신한 시스템에서는, 미리 시스템 접속자 본인이 계약시에 서명한 필적을 등록해 둔 서명 필적 데이터와 비교하여 필적 식별처리에 의한 본인인증 처리를 실행하는 본인인증 처리기능을 실행하는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기를 사용하는 본인 인증방법.
  20. 제 1항에 있어서,
    인터넷 단말장치에 화상주사 판독기를 접속한 상태에서, 메모용지 등에 서명한 원고의 화상주사 판독을 실행하고, 서명 화상 데이터 및 서명 화상 파일 사이즈 정보 혹은 서명 화상판독 시각정보를 통합한 서명 화상파일의 형태로 인터넷 단말장치로부터 인터넷을 통해 시스템측에 송신하는 서명 화상파일을 수신한 시스템에서는, 서명 화상파일의 필적 데이터 판정에 의해 '그 사람이·그 때·그 한 번만'이라는 유일한 본인 인증방법인 본인 인증방법 및 보안 방법을 가능하게 하는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기를 사용함으로써 가능하게 하는 인터넷상에서 실행하는 서명 필적 데이터에 의한 본인 인증방법.
  21. 광검출 소자 센서를 사용하는 카메라로 눈의 홍채를 촬영함으로써, 미리 기억 저장해 둔 본인의 홍채 패턴과 비교하여 본인인증을 실행하는 본인 인증방법으 로, 그 때의 홍채 화상 데이터는 정지 화상 데이터가 아니고 수초 간의 홍채 촬영 동화상 화상 데이터이고, 홍채 촬영중의 홍채의 움직임 정보 혹은 광검출 소자 카메라의 렌즈와 눈과의 거리 변동에 의한 촬영 화상정보를 구비함과 동시에, 촬영시간 데이터를 동반하는 홍채 촬영 동화상 화상 데이터 식별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검출 소자 센서를 장비하는 카메라를 사용하여 촬영하는 홍채 촬영 동화상 화상 데이터에 의한 본인 인증방법.
  22. 선거시에 선거 투표소에 설치하는 화상주사 판독기로, 후보자의 이름을 기명한 투표용지를 화상주사 판독함으로써 투표용지 화상파일을 작성하고, 투표요지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 성명 인식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선거 투표용지 수집 집계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투표용지 화상주사 판독기.
  23. 선거시에 선거 투표소에 투표용지 화상주사 판독기를 설치하고, 투표자는 후보자의 성명을 투표용지에 기명하여 투표용지 화상주사 판독기의 투표용지 세트구(口)에 투입하는 형식의 선거 투표 방법, 및 투표용지에 기명되어 있는 후보자 성명에 대해서 성명 인식 소프트웨어에 의한 이름 인식 수단에 의해 표를 세는 기능인 투표용지 수집 집계수단을 가능하게 하는, 선거 투표용지 수집 집계방법 및 선거 투표용지 수집 집계 시스템.
  24. 선거시에 선거 투표소에 인터넷 단말장치를 구비하는 투표용지 화상주사 판 독기를 설치하여 인터넷을 통해 투표용지 수집 집계 시스템에 접속하여 선거 준비를 하는 것으로, 투표일에는 투표자가 후보자의 성명을 투표용지에 기명하여 투표용지 화상주사 판독기의 투표용지 투입구에 투입함으로써 투표용지의 화상주사 판독을 실행하고, 투표용지 화상파일을 작성하여 실시간으로 인터넷상의 투표용지 수집 집계 시스템에 하나 하나씩 투표용지를 수시로 송신하는 형식의 선거투표 방법 및 투표용지 수집방법에서, 투표용지 화상파일을 인터넷을 통해 수집하는 투표용지 수집 집계 시스템측에서는 투표용지 화상파일로부터 후보자 성명의 표수를 필적 인식 소프트웨어에 의해 표를 세서 집계하는 투표용지 집계 수단을 구비하는, 투표용지 화상주사 판독기를 사용하는 선거 투표방법 및 선거 투표용지 수집 집계 방법 및 선거 투표용지 수집 집계 시스템.
  25. 제 1항에 있어서,
    탁상형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 인쇄기 및 바닥 설치형 화상주사 판독기의 판독원고 세트부는 수십 페이지 분량의 원고 판독을 가능하게 하는 연속 판독 처리기능을 구비하는 화상주사 판독기를 포함하고
    화상주사 판독을 실행함으로써 작성하는 수 페이지 분의 화상 데이터를 PDF 파일 형식으로서 하나의 통합된 화상파일로 정리하여 접속한 컴퓨터의 외부 기억장치에 기억 저장함과 동시에, 판독 서류원고가 텍스트 문서인 경우, 탁상형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 인쇄기 및 바닥 설치형 화상주사 판독기에 접속한 컴퓨터가 기능 장비하는 수 페이지에 달하는 판독 문서 화상파일에 대한 텍스트 문서 파일화 처리 기능을 OCR(Optical Character Reader) 소프트웨어로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복수 페이지 연속 판독에 대응하는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기.
  26. 제 1항에 있어서,
    고정 IP 어드레스를 구비하는 인터넷 단말장치 종별 및 단말장치 설정 상태 혹은 단말장치 상태를 표현하는 단말장치 ID를, 파일 서버 혹은 팩시밀리 서버에서 인식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단말장치 ID를 서버측에 자동 송신하는 인터넷 단말장치 ID 통지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단말장치.
  27. 제 1항에 있어서,
    화상주사 판독기에서의 화상주사 판독으로 작성하는 화상 데이터를, 인터넷 단말장치측의 외부 기억장치에 기억 저장할 때의 화상파일 형식으로서, 몇 개의 저장 파일 형식으로 가능하게 하기 위한 기능을 장비해 둔 화상파일 형식으로부터 미리 선택해 두고 기억 저장을 실행함과 동시에, 화상주사 판독으로부터 인터넷 단말장치 측에서의 판독 화상파일 송신 종료까지의 작동 조작을, 화상주사 판독기 조작부 혹은 인터넷 단말장치 조작부에서의 판독 송신작동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기, 및 화상주사 판독 송수신기에 데이터 통신 가능한 방식으로 접속하는 인터넷 단말장치.
  28. 인터넷 단말장치에 설정 장비하는 소프트웨어로, 파일 송수신 기능 및 팩시 밀리 파일 송수신 기능 혹은 파일 관리기능 등을 구비하는, 파일 송수신 기능 및 송수신 파일 관리기능으로 특화한 소프트웨어인 파일 송수신용 소프트웨어.
KR1020067000746A 2006-01-11 2003-07-11 인터넷 단말형 차세대 팩시밀리 장치 KR200600406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00746A KR20060040677A (ko) 2006-01-11 2003-07-11 인터넷 단말형 차세대 팩시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00746A KR20060040677A (ko) 2006-01-11 2003-07-11 인터넷 단말형 차세대 팩시밀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0677A true KR20060040677A (ko) 2006-05-10

Family

ID=37147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0746A KR20060040677A (ko) 2006-01-11 2003-07-11 인터넷 단말형 차세대 팩시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4067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341B1 (ko) * 2008-10-31 2011-02-15 미루데이타시스템 주식회사 인증정보 스캔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341B1 (ko) * 2008-10-31 2011-02-15 미루데이타시스템 주식회사 인증정보 스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09333A1 (en) Next-generation facsimile machine of internet terminal type
JP4801177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CN1893527B (zh) 图像数据处理装置
CN106027848B (zh) 服务提供装置和服务提供方法
JP3615749B2 (ja) 印刷サービスシステムおよび印刷サービスプログラム
CN102238169B (zh) 通信装置及其控制方法
CN1951100A (zh) 网络扫描仪接口
EP1934698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mobi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2377689A (zh) 信息处理装置及信息处理装置的控制方法
US20210195061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JP2007310865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よって実現させるための制御プログラム及び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8830518B2 (en) Image data management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CN101520716A (zh) 打印装置及打印方法
US841822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06657712A (zh) 发送装置及其控制方法
CN111614862B (zh) 图像处理装置及其控制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US20060085524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drive network device in security by using unique identifier
CN107786771B (zh) 图像形成装置、图像形成方法以及图像形成系统
US20090174901A1 (en) Image forming device, image forming method, and image forming program
US8902438B2 (en) Digital combined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digital combined apparatus system
US1124579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US8751410B2 (en) Charging system for charging for image processing conducted based on image data,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harging program embodied on computer readable medium
JP4325658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5062231A (ja) 画像形成装置
EP1818849A2 (en) Image form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