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9417A - 발모 조성물 - Google Patents
발모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39417A KR20060039417A KR1020060030257A KR20060030257A KR20060039417A KR 20060039417 A KR20060039417 A KR 20060039417A KR 1020060030257 A KR1020060030257 A KR 1020060030257A KR 20060030257 A KR20060030257 A KR 20060030257A KR 20060039417 A KR20060039417 A KR 2006003941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rcoal
- extract
- hair
- composition
- weigh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50—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5—Brackets, gussets, joining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모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숯추출물과, 상기 숯추출물 중량의 0.01~0.6배의 목초액 및 필요에 따라 숯, 샴푸조성물, 프로카필, 한방추출물, 유기농추출물 등을 추가하므로써, 샴푸 또는 헤어토닉으로 사용하여 탈모방지 및 발모효과가 탁월한 발모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샴푸, 헤어토닉, 숯, 탈모, 발모, 방지, 숯추출물, 목초액
Description
[문헌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38640호(출원번호 10-2002-20018호)
본 발명은 발모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숯추출물과, 상기 숯추출물 중량의 0.01~0.6배의 목초액 및 필요에 따라 숯, 샴푸조성물, 프로카필, 한방추출물, 유기농추출물 등을 추가하므로써, 샴푸 또는 헤어토닉으로 사용하여 탈모방지 및 발모효과가 탁월한 발모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문헌1에서는 목초액을 이용한 발모제가 개시되어 있으나, 주재료인 목초액을 80~95%를 사용하므로써, 실질적으로 목초액과 거의 동일하며, 목초액의 자극이 너무 강하고, 사용후에 냄새가 심하여 실질적으로 사용하기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숯추출물과 목초액 및 필요에 따라 숯, 샴푸조성물, 프로카필, 정제수, 한방추출물, 유기농추출물 등을 추가하므로써, 샴푸 또는 헤어토닉을 사용하여 탈모의 원인을 해결하는 1. 남성호르몬 DHT 생성 억제, 2. 혈행촉진, 3. 흡수촉진을 숯추출물, 목초액, 한방추출물로 완벽하게 해결하여 탈모방지 및 발모효과가 탁월한 발모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발모 조성물은, 숯추출물과, 상기 숯추출물 중량의 0.2~0.6배의 목초액 및 상기 숯추출물 중량의 2~5배의 샴푸조성물을 포함한다.
상기 숯추출물 중량의 0.01~0.2배의 숯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숯추출물 중량의 2~5배의 한방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방추출물은 인삼, 상백피(뽕나무뿌리껍질), 측백엽(측백나무잎), 고삼, 당귀, 생지황, 갈근, 백지, 감초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으로부터 추출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발모 조성물은,
숯추출물과, 상기 숯추출물 중량의 0.01~0.2배의 목초액, 상기 숯추출물 중량의 0.01~0.2배의 프로카필, 상기 숯추출물 중량의 0.3~1배의 에탄올(10%)을 포함 한다.
상기 숯추출물 중량의 0.1~0.5배의 유기농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농추출물은, 샐러리, 양배추, 현미, 토마토, 다채, 당근, 브로컬리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으로부터 추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1
]
두피는 다른 피부와는 달리 산소와 영양분을 림프액을 통해 공급받는 것이 아니라 모근부에 연결된 미세혈관에 의해 직접 공급 받는다. 따라서 미세혈관순환이 탈모와 발모에 있어 중요한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은 음이온 및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숯과 목초액의 작용이 말초혈관을 확장시켜주는 효능으로 모근의 미세혈관 순환을 원활히 해주는데 효과적이다.
고급백탄 (식품 첨가물 숯)의 뛰어난 청정기능과 숯 추출물의 가장 대표적인 미네랄인 칼륨은 두피의 노폐물을 제거해주어 깨끗하고 건강한 두피를 유지하며 또한 피부모공의 천연 수축제라 모낭의 축소를 복귀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고급백탄은 소나무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며, 숯추출물은 소나무로 만든 고급백탄의 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방추출물은 테스토스테론 작용으로 탈모의 가장 중요한 요인인 DHT를 생성 하는 5-알파 환원효소를 억제하고 비듬방지와 혈액순환을 개선하고, 항염 등의 작용으로 두피강화 및 육모를 촉진하며, 목초액에는 DHT활동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인 비타민-B군도 포함돼 있을 뿐 아니라 분자입자를 작게 만들어 조직을 치밀하게 해 주는 특성이 제품에 함유된 성분들을 치밀하게 결합하도록 해 주어 제품의 흡수를 촉진시켜준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구성요소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숯
1) 숯의 성분
숯은 탄소85%와 수분10%와 각종 미네랄이 3%등으로 이루어진 탄소 덩어리이다. 탄소와 탄소의 결합은 다이아몬드 같은 단단한 특성을 가지지만 숯은 공유결합 구조가 아닌 전자가 6개인 탄소로 구성된 물질이다. 때문에 자장을 형성 음이온 상태로 되어있다. 칼슘, 칼륨, 철, 인, 나트륨 외 다양한 미네랄이 들어있다. 일반적으로 목재 속에는 0.3~0.6%의 미네랄이 들어 있지만 숯이 되면 4~5 배 증가 한다.
2) 숯의 특징
ㄱ) 높은 열량 : 대개 275℃에서 발열반응을 일으켜 제탄된 숯의 열량은 7,000∼8,000cal이며 연탄의 5,000cal에 비하면 훨씬 많다.
ㄴ) 흡수성 : 약 10%의 공중습기를 흡착하나 만일 물에 포화(飽和)시키면 종류에 따라 수분이 40∼400%에 달한다.
ㄷ) 가스의 흡착·방취(防臭)성이 있으므로 가스마스크에도 이용하며 숯 등을 이용하여 특수방법으로 제조한 활성(活性)탄소는 설탕과 약품의 정제·탈색 등에 이용한다.
ㄹ) 다공성 : 숯을 현미경으로 보면 표면에 미세한 구멍이 무수히 많이 뚫어져 있다. 이 공극은 마치 자유자재로 통할 수 있는 아주 작은 파이프를 많이 묶어 놓은 것처럼 생겼는데, 이러한 모양을 다공(多孔)체 라고 부른다. 카라멜 같은 경우에도 기공이 뚫린 다공체 구조를 하고 있는 데 이것은 내부의 공극이 외부와 통하지 않는 데 반해 숯은 표면으로도 뚫려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공극을 매크로 공극이라고 한다. 매크로 공극의 직경은 숯의 재질과 제조공정 등에 따라 다르지만 대개 몇 미크론부터 몇백 미크론까지이며, 게다가 매크로 공극 내부에는 더 작은 마이크로 공극이 수없이 뚫려 있다.
ㅁ)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 : 숯은 흑연과 같이 결합하지 않은 자유 전자를 가지고 있어 전기 전도성을 띄게 되고, 숯의 많은 자유전자는 자장을 형성하여 음이온 상태로 되어 전자의 이탈이 방지되고 전자가 모이게 되어 물질의 부패(산화:전자 잃는 현상)가 억제된다. 여기에 많은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어 음이온 덩어리로서 그 기능은 더욱 강해진다. 그 또 공기중의 양이온 덩이가 숯의 수 많은 구멍 속에서 숯의 자유전자와 결합을 이루게 된다. 이것은 공기중의 이온 불균형을 초래하여 음이온의 공기를 만들어 청량감을 준다. 음이온 공기를 인간이 마시면 세포속의 미토콘드리아의 세포막 안과 밖의 전압을 높여 세포안의 노폐물을 빠르게 밖으로 빼낼 수 있게 된다. 혈액이 맑아지는 것이다. 따라서 세포의 신진대사를 촉 진하고 활력을 증진시키며,신경안정과 피로회복, 식욕증진의 효과가 있어 음이온은 공기 비타민으로 까지 불린다. 숯이 양이온을 흡착하고 음이온을 증가시키는 작용이 있는데 음이온은 부교감신경에 영향을 주어 기분을 안정시키고 몸의 긴장을 이완하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숯은 생육광선인 원적외선을 발생하는 여러 가지의 물질 중에서도 자체고유의 성질 가운데 90% 이상의 높은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천연자원이다.
3) 숯의 종류
ㄱ) 흑탄 : 탄소함유량 약 89%, 착화점(着火點) 330∼390℃, 탄화온도의 최고점은 450∼750℃, 졸참나무 ·떡갈나무류의 것은 단단하고, 침엽수로 만든 소나무 숯, 잡탄은 무르다. 수피가 밀착되어 있고 가로세로로 터지지 않으며 은회색을 띠고 단면은 광택이 나며 잘 수축된 것이 좋다.
ㄴ) 백탄 : 착화점(着火點)은 백탄이 탄소함유량 약 95%, 착화점440∼482℃, 탄화온도의 최고점은 1000℃ 이상 매우 단단하고 흡착성이 가장 크다. 수피가 붙어 있지 않고, 단면은 조가비모양에 광택이 있으며, 무겁고 금속음이 나는 것이 좋다.
ㄷ) 건류탄 : 탄소함유량 약 80%, 400∼450℃,
4) 숯의 기능
ㄱ) 방부작용 : 숯은 예로부터 음식과 각종 균과(방부) 그리고 가벼운 증상의 위와 관련한 질병 등에 숯을 사용하였던 많은 사례가 있다.
ㄴ) 살균작용 및 악취제거 : 숯 내부의 기공에 각종 미생물을 흡수 그것을 통해 유해 물질을 흡착하여 무균화 하고 악취나 균을 소멸시킴
ㄷ) 인체 활성화 와 알칼리화 : 원적외선은 전자파의 일종으로 물질을 따뜻하게 하는 힘을 강하게 반사하여 인체의 모세혈관을 확장 시켜 혈액순환을 원활히 하고 인체의 물질들을 순환하는 일을 돕는다.
ㄹ) 습도 조절 : 기공을 통하여 습기를 머금고 있다 건조해지면 발산
5)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숯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숯은 붉은 소나무로 만든 고급 활성 백탄 숯이다. 붉은 소나무로 만든 고급 활성 백탄 숯은 전체를 각종 약품을 만드는 원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숯으로 구워 분말화 하였을 때 입자가 동그란 상태로 분쇄됨으로 식품 첨가물로써 적절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식품 첨가물로 승인된 백탄을 사용하며, 숯을 백탄화한 후 다시 한번 활성 화하는 작업(고열의 증기로 내부의 기공을 증가시킴)으로 숯 고유의 기능을 살려서 만든다.
소나무에 발모제에 좋은 칼륨이 다량 들어있다. 칼륨이 다른 미네랄을 흡수하는 기능을 갖고 있어 발모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백탄만이 다량의 음이온과 원적외선을 방출하므로 활성 백탄 숯의 발모제 효능이 가장 뛰어나다.
나. 목초액
1) 목초액이란
숯을 굽는 과정(탄화과정)에서 연기를 냉각 장치에 의해 추출하여 얻어진 액체를 조목초액 이라고 하고 이를 6개월 이상 숙성 및 정제하여 적갈색의 투명한 액체를 목초액 이라고 한다. 그러므로 나무가 탄화되면서 나무의 모든 에너지가 기 체화 되어 응축된 에너지로 볼 수 있다. 이 때문에 초산의 신맛과 더불어 탄내(불냄새)를 풍기는 자극취를 갖고 있다. 숯을 구울 때 연기 온도가 80℃에서 냉각장치를 설치하고 150℃에서 목초 채집을 중단 해야만 양질의 목초를 얻을 수 있다. 80℃ 이전은 수분이 많고 150℃ 이상 에서는 타-르분이 많아 지기 때문에 품질 좋은 목초액을 얻기 위해서는 채집 온도를 반드시 지켜야 한다. 목초액은 숯무게의 약 1/3 정도가 채집된다. 목초액의 주성분은 초산이며 200여종의 각종 산(酸)으로 혼합된 성분이다. 목초액을 목초(木酢)라 부르는 원인은 바로 초산이기 때문이다
2) 목초액의 성분
목초액은 채취할 때의 연기의 종류에 따라 그 성분과 성상에 커다란 차이가 있다. 목초액은 280여 종류 이상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중요한 성분은 유기물 중 초산이 약 50% 이상 함유하고 있지만 목초액의 80% 이상이 수분으로 전 용액 중의 초산은 약3% 정도이며 그 밖의 유기산과 알코올류, 페놀류, 카보닐 화합물, 중성 성분 그리고 염기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잘 정제된 목초액은 유기산이 주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외에 미네랄 성분과 비타민 등이 검출된다. 그 중 초산이 3.04% 함유되어 있으며 다른 유기산까지 합치면 3.12%의 산이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유기산들이 체내에서 대사 과 정이나 면역성 그리고 건강상 유익한 결과를 주리라 예상 되고 있어 이들 유기산의 함량은 매우 중요하리라 사료된다.
3) 목초액의 특성
ㄱ) 살균력 : 정제된 목초액을 상온에서 1개월 이상 보관하였는데도 대장균 이나 일반 세균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는데, 이는 정제된 목초액 자체에 균 성장 억제 기능이 있음을 나타낸다. 보통의 물을 상온에서 보관시 하루만 지나면 미생물이 검출된다. 더욱이 정제된 목초액에는 수많은 유기물이 풍부하게 있어 미생물 번식에 양호한 영양 조건임에도 불구하고 미생물의 번식이 일어나지 않고 있다
ㄴ) 세포에 작용하여 조직을 치밀하게 한다.
ㄷ) 원적외선 방출 : 액체이면서도 강력한 원적외선을 갖고 있다. 흔히 원적외선은 광물질에서만 나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목초액은 액상에서 원적외선이 방사된다.
다. 한방추출물
한방추출물은 인삼, 상백피(뽕나무뿌리껍질), 측백엽(측백나무잎), 고삼, 당귀, 생지황, 갈근, 백지, 감초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이다.
한방추출물은 상기 재료들을 동일중량으로 준비한 후, 상기 재료들의 중량의 10배에 해당하는 열수를 투입하며 약 6시간동안 추출한 다음, 실온으로 냉각시켜 1일간 불순물을 가라 앉힌 후 침전물을 제거하므로써 추출이 완료된다.
라. 숯추출물
숯추출물은 물(정제수가 바람직함) 100ℓ에 상기 숯(붉은 소나무로부터 만든 백탄) 5kg의 비율로 넣고 2~3일 경과 후 필터링하여 얻는다.
상기 숯추출물의 미네랄 함량은 다음과 같다.
마. 유기농추출물
유기농추출물은 샐러리, 양배추, 현미, 토마토, 다채, 당근, 브로컬리로부터 추출한다.
유기농추출물은 만 3년동안 농약, 화학비료, 호르몬제 등을 전혀 사용하지 않은 토양에서 재배된 농산물을 이용하여 저온추출법으로 추출한다. 즉, 상기 샐러리, 양배추, 현미, 토마토, 다채, 당근, 브로컬리등의 유기농산물을 동일량으로 준비한 후, 상기 재료들의 중량의 10배에 해당하는 60~85℃의 물을 투입하며 약 6시간동안 추출한 다음, 실온으로 냉각시켜 1일간 불순물을 가라 앉힌 후 침전물을 제거하므로써 추출이 완료된다.
바. 프로카필
프로카필(Procapil)은 프랑스의 세더마(Sederma)사에서 개발하여 판매하는 제품으로, 바이오티닐-GHK, 시트러스로부터 추출한 플라보노이드 성분의 아피제닌, 올리브 잎으로부터 추출한 올리놀릭산에 비타민을 강화하여 결합시킨 물질로서 모발노화방지 및 탈모예방에 효과가 있다고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프로카필은 현재 세더마사에서 시중판매중인 프로카필을 사용한다.
사. 에탄올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95% 에탄올을 사용한다.
[
실시예2
] 발모제 샴푸 조성물(숯+목초액+한방추출물+
숯추출물
+샴푸조성물)
[실시예1]에 의해 준비된 숯 1중량%, 목초액 5중량%, 한방추출물 40중량%, 숯추출물 12.1중량%와 샴푸조성물(계면활성제 포함) 41.9중량%를 혼합하여 발모제 샴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아래표는 상기 조성비를 원료별로 분류한 예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발모제 샴푸 조성물을 사용한 결과, 사용자마다 미차가 있었으나 5일~7일 정도 경과하면 머리 빠지는 것이 감소하며, 3주~4주후부터 발모가 진행되었다.
[
실시예3
] 발모제 샴푸 조성물(목초액+한방추출물+
숯추출물
+샴푸조성물)
[실시예2]에서 숯을 첨가하지 않고 동일한 비율로 발모제 샴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발모제 샴푸 조성물을 사용한 결과, 7일~9일이 경과하면 머리 빠지는 것이 감소하며, 4~5주후부터 발모가 진행되었다.
[
실시예4
] 발모제 샴푸 조성물(숯+목초액+
숯추출물
+샴푸조성물)
[실시예2]에서 한방추출물을 첨가하지 않고 동일한 비율로 발모제 샴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발모제 샴푸 조성물을 사용한 결과, 10일~14일이 경과하면 머리 빠지는 것이 감소하며, 4~5주후부터 발모가 진행되었다.
[
실시예5
] 발모제 샴푸 조성물(목초액+
숯추출물
+샴푸조성물)
[실시예2]에서 숯과 한방추출물을 첨가하지 않고 동일한 비율로 발모제 샴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발모제 샴푸 조성물을 사용한 결과, 10일~14일 이 경과하면 머리 빠지는 것이 감소하며, 5~6주후부터 발모가 진행되었다.
[
실시예6
] 발모제 헤어토닉 조성물(
숯추출물
+에탄올+목초액+프로카필+유기농추출물+헤어토닉조성물)
[실시예1]에 의해 준비된 숯추출물 45중량%, 에탄올 30중량%, 목초액 5중량%, 프로카필 5중량%, 유기농추출물 10중량%와 기타 헤어토닉조성물(향료 등 포함) 5중량%를 혼합하여 발모제 헤어토닉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아래표는 상기 조성비를 원료별로 분류한 예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발모제 헤어토닉 조성물을 사용한 결과, 7일~10일이 경과하면 머리 빠지는 것이 감소하며, 4~5주후부터 발모가 진행되었다.
[
실시예7
] 발모제 헤어토닉 조성물(
숯추출물
+에탄올+목초액+프로카필+헤어토닉조성물)
[실시예6]에서 유기농추출물을 첨가하지 않고 동일한 비율로 발모제 헤어토 닉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발모제 헤어토닉 조성물을 사용한 결과, 7일~10일이 경과하면 머리 빠지는 것이 감소하며, 4~5주후부터 발모가 진행되어 [실시예6]과 큰 차이가 없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숯추출물과 목초액 및 필요에 따라 숯, 샴푸조성물, 프로카필, 한방추출물, 유기농추출물 등을 추가하므로써, 샴푸 또는 헤어토닉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제품으로, 테스토스테론 작용으로 탈모의 가장 중요한 요인인 DHT를 생성하는 5-알파 환원효소를 억제하므로써 DHT의 생성을 억제하고, 다른 피부와는 달리 산소와 영양분을 림프액을 통해 공급받는 것이 아니라 모근부에 연결된 미세혈관에 의해 직접 공급받는 두피의 혈행을 촉진하고, 두피의 노폐물을 제거해주어 깨끗하고 건강한 두피를 유지함과 동시에 각종 미네랄의 흡수촉진으로 탈모방지 및 발모효과가 있다.
Claims (6)
- 발모 조성물에 있어서,숯추출물과, 상기 숯추출물 중량의 0.2~0.6배의 목초액 및 상기 숯추출물 중량의 2~5배의 샴푸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숯추출물 중량의 0.01~0.2배의 숯을 추가로 포함하는 발모 조성물.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숯추출물 중량의 2~5배의 한방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한방추출물은 인삼, 상백피(뽕나무뿌리껍질), 측백엽(측백나무잎), 고삼, 당귀, 생지황, 갈근, 백지, 감초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으로부터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조성물.
- 발모 조성물에 있어서,숯추출물과, 상기 숯추출물 중량의 0.01~0.2배의 목초액, 상기 숯추출물 중 량의 0.01~0.2배의 프로카필, 상기 숯추출물 중량의 0.3~1배의 에탄올(9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조성물.
- 제4항에 있어서,상기 숯추출물 중량의 0.1~0.5배의 유기농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발모 조성물.
- 제5항에 있어서,상기 유기농추출물은, 샐러리, 양배추, 현미, 토마토, 다채, 당근, 브로컬리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으로부터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30257A KR20060039417A (ko) | 2006-04-03 | 2006-04-03 | 발모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30257A KR20060039417A (ko) | 2006-04-03 | 2006-04-03 | 발모 조성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39417A true KR20060039417A (ko) | 2006-05-08 |
Family
ID=37146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30257A KR20060039417A (ko) | 2006-04-03 | 2006-04-03 | 발모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60039417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39854B1 (ko) * | 2006-11-06 | 2008-06-19 | 서준호 | 샴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0855398B1 (ko) | 2007-10-05 | 2008-08-29 | 박득자 | 샴푸 |
-
2006
- 2006-04-03 KR KR1020060030257A patent/KR2006003941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39854B1 (ko) * | 2006-11-06 | 2008-06-19 | 서준호 | 샴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0855398B1 (ko) | 2007-10-05 | 2008-08-29 | 박득자 | 샴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397182B (zh) | 一种改善肌肤肤质的复方精油 | |
KR100975669B1 (ko) | 알칼리 이온수를 이용한 발효주 및 증류주의 제조방법. | |
KR102288724B1 (ko) | 항균, 살균, 항염 및 피부진정 기능의 향상과 피부 면역력의 강화를 위한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함유하는 애완동물용 복합 기능성 샴푸 및 그 제조 방법 | |
KR20100022137A (ko) | 녹용을 포함하는 발효 한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한 탈모방지용 화장품 샴푸 제조방법 및 샴푸 | |
KR100969849B1 (ko) | 홍경천을 포함하는 기능성 청국장 가루, 조말형 메주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1028822B1 (ko) | 갈대 숯과 갈대 초액을 이용한 비누 및 세제용 조성물 | |
CN105380837A (zh) | 一种抗疲劳葡萄柚香水 | |
KR20150029672A (ko) | 기능성바이오세라믹과 107가지 산야초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기능성 피부건강미용제 | |
KR20110130565A (ko) | 천연 항균성 및 기능성 가축사료 | |
KR102183861B1 (ko) | 감귤 오일을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 |
CN108379639A (zh) | 一种空气清新剂及其制备方法 | |
CN108771757A (zh) | 一种保健足贴组合物及保健足贴 | |
KR20060039417A (ko) | 발모 조성물 | |
CN107661258A (zh) | 一种口腔清洁消炎用草本漱口水 | |
KR100908745B1 (ko) | 저온나노추출법을 이용한 발모촉진제 및 그 제조방법 | |
KR100918941B1 (ko) | 미용황토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KR101227091B1 (ko) | 발효 쑥초액 및 탄화 쑥초액을 이용한 식품첨가물 | |
KR20140111364A (ko) | 기능성바이오세라믹과 107가지 산야초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기능성 피부건강미용제 | |
KR102448963B1 (ko) | 하이퍼미네랄 이온수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하이퍼미네랄 이온수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세포 관련 화장료 조성물 | |
KR102475348B1 (ko) | 저온숙성을 통한 연어 그라브락스 저장성 향상 방법 | |
Pirzada et al. | Studies on the elemental composition and anti fungal activity of medicinal plant Lippia nodiflora L against skin mycosis | |
KR20110045440A (ko) | 모기 기피 조성물 | |
KR100619508B1 (ko) | 연(蓮)을 이용한 뜸과 선향의 연소재와 입욕재 제조법 | |
KR20070023315A (ko) | 유황 사료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 |
CN107823114A (zh) | 一种含有黄精干细胞提取物的祛痘护肤品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