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9082A - 표시 장치 및 표시 기판의 리페어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표시 기판의 리페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9082A
KR20060039082A KR1020040088123A KR20040088123A KR20060039082A KR 20060039082 A KR20060039082 A KR 20060039082A KR 1020040088123 A KR1020040088123 A KR 1020040088123A KR 20040088123 A KR20040088123 A KR 20040088123A KR 20060039082 A KR20060039082 A KR 20060039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electrode
electrode
storage
display device
signal li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8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덕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8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9082A/ko
Publication of KR20060039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90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59Repairing; Defec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13Storage capacitors associated with the pixel electro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54Checking; Tes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59Repairing; Defects
    • G02F1/136272Auxiliary li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ometry (AREA)

Abstract

표시 품질이 향상된 표시 장치 및 표시 기판의 리페어 방법이 개시된다. 표시 장치는 기판 상에 제 1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된 제 1 신호선들, 제 1 신호선들의 사이에 제 1 방향으로 배치되며, 복수개로 분기된 제 1 스토리지 전극부들을 포함하는 제 1 스토리지 전극, 제 1 신호선들 및 제 1 스토리지 전극을 덮도록 기판 상에 배치된 절연막, 제 2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된 제 2 신호선들 및 제 1 및 제 2 신호선들에 의하여 둘러 쌓인 공간에 형성된 화소 전극을 포함한다.
표시 기판의 리페어 방법은 복수개로 분할된 제 1 스토리지 전극부들을 포함하는 제 1 스토리지 전극과 복수개로 분할된 제 2 스토리지 전극부들을 포함하는 제 2 스토리지 전극의 사이에 이물질 유무를 검사하는 단계 및 이물질과 접촉하는 제 2 스토리지 전극부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표시 장치에 의하면 표시 품질이 향상되고, 표시 기판의 리페어 공정의 생산성이 향상된다.
표시 장치, 공통 전극, 스토리지 전극, 분할, 이물질, 리페어 방법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표시 기판의 리페어 방법{DISPLAY DEVICE AND REPAIR METHOD OF DISPLAY SUBSTRAT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A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제 1 기판을Ⅰ-Ⅰ'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제 1 기판을 Ⅱ-Ⅱ'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제 1 기판을 Ⅲ-Ⅲ'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제 1 기판을 Ⅳ-Ⅳ'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제 1 기판을 Ⅴ-Ⅴ'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스토리지 전극과 제 2 스토리지 전극의 사이에 이물질 유무를 검사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이물질에 접촉하는 제 2 스토리지 전극부를 절단하는 단계를 설명하 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이물질에 접촉하는 제 2 스토리지 전극부를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 1 기판 110 : 제 1 투명 기판
120 : 제 1 신호선 130 : 제 1 스토리지 전극
131 : 제 1 스토리지 전극부 140 : 게이트 절연막
150 : 제 2 신호선 180 : 화소 전극
200 : 제 2 기판 300 : 액정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표시 기판의 리페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의 표시 품질을 보다 향상시킨 표시 패널용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기판의 리페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는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된 제 1 기판과 제 1 기판과 대향하는 제 2 기판의 사이에 주입된 액정에 전계(Electric Field)를 인가하여 액정의 배열을 변경시키고, 액정의 배열에 따라 광 투과율을 조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이다.
제 1 기판 상에는 서로 평행한 복수 개의 게이트선 및 게이트선과 절연되어 교차하는 복수 개의 데이터선이 형성되며, 이들 게이트선과 데이터선에 의해 둘러쌓인 영역은 하나의 화소를 규정한다
제 1 기판의 복수개의 화소에는 화소 전극들이 배치되고, 제 2 기판에는 화소 전극들과 대향하는 공통 전극들이 배치된다. 화소 전극들로는 화상 신호인 서로 다른 레벨을 갖는 화소전압이 인가되고, 공통 전극으로는 일정한 레벨을 갖는 공통전압이 인가된다.
정상적인 화상신호가 표시되기 위해서는 다음 프레임의 화소전압이 화소 전극에 인가될 때까지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 사이의 전위차는 액정용량에 의해 유지되고 이를 보충하기 위하여 제 1 기판은 유지용량을 구비한다.
한편, 표시 장치가 대형화되는 추세에 따라 유지용량 또한 증가되는 추세이다. 그러나 더욱 큰 유지 용량을 확보하기 위하여 유지용량을 발생하는 전극들의 면적을 증가시키는 경우, 쇼트가 발생한 전극들을 리페어 하기가 어렵다. 또한 전극들의 면적을 증가시키는 것은 화소의 개구율을 감소시켜 표시 장치의 표시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영상의 표시품질이 향상된 표시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상기 표시 기판의 리페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특징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 1 신호선, 제 1 스토리지 전극, 절연막, 제2 신호선들 및 화소전극을 포함한다.
제 1 신호선은 투명 기판 상에 제 1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고 제 1 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 돌출된 게이트 전극을 포함한다. 제 1 스토리지 전극은 제 1 신호선들의 사이에 제 1 방향으로 배치되며 복수개로 분기된 제 1 스토리지 전극부들을 포함한다. 절연막은 제 1 신호선들 및 제 1 스토리지 전극을 덮도록 투명 기판 상에 배치된다. 제 2 신호선들은 절연막 상에 배치되며, 제 2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고 제 1 방향으로 돌출된 소오스 전극을 포함한다. 화소전극은 제 1 및 제 2 신호선들에 의하여 둘러 쌓인 공간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특징에 따른 표시 기판의 리페어 방법은 표시 기판의 화소 전극의 하부에 배치된 제 1 스토리지 전극 및 화소 전극과 제 1 스토리지 전극의 사이에 배치된 제 2 스토리지 전극을 리페어 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개로 분기된 제 1 스토리지 전극부들을 포함하는 제 1 스토리지 전극과 복수개로 분기된 제 2 스토리지 전극부들을 포함하는 제 2 스토리지 전극의 사이에 이물질 유무를 검사하는 단계 및 제 1 스토리지 전극부와 제 2 스토리지 전극부들 사이에 이물질이 존재하면, 이물질에 접촉하는 상기 제 2 스토리지 전극부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에 의하면, 표시 장치의 표시 품질이 향상되고, 본 발명에 따른 표시 기판의 리페어 방법에 의하면 용이하게 표시 기판을 리페어할 수 있어, 표시 기판의 리페어 공정의 생산성이 향상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표시 장치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는 제 1 기판(100), 제 2 기판(200) 및 액정층(300)을 포함한다. 제 1 기판(100) 및 제 2 기판(200)은 상호 대향하게 배치되며, 액정층(300)은 제 1 기판(100)과 제 2 기판(200) 사이에 배치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A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제 1 기판을 Ⅰ-Ⅰ'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 1 기판(100)은 제 1 투명 기판(110), 제 1 신호선(120)들, 제 1 스토리지 전극(130), 게이트 절연막(140), 제 2 신호선(150)들, 보호막(170) 및 화소 전극(180)을 포함한다.
제 1 신호선(120)들은 구동 회로부로부터 주사신호인 제 1 신호를 인가 받는다. 이를 위하여, 제 1 신호선(120)들은 제 1 투명 기판(110)상에 제 1 방향으로 상호 평행하게 복수개가 배치된다. 제 1 신호선(120)은 제 1 신호선(120)으로부터 제 1 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 돌출된 게이트 전극(121)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신호는 게이트 전극(121)을 통하여 출력된다.
제 1 스토리지 전극(130)들은 유지용량을 발생시키는 한쪽 전극으로서 동일 한 레벨의 공통 전압이 인가된다. 제 1 스토리지 전극(130)들은 제 1 신호선(120)들의 사이에 제 1 방향으로 배치되며 복수개로 분기된 제 1 스토리지 전극부(131)들을 포함한다.
제 1 스토리지 전극부(131)들은 상호 병렬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 1 스토리지 전극부(131)들은 제 1 스토리지 전극(130)으로부터 제 2 방향으로 복수개가 연장된다. 따라서 제 1 스토리지 전극부(131)들은 제 1 방향으로 배치된 제 1 스토리지 전극(130)에 의해 상호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된다.
이때, 표시 장치의 개구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의 유지용량이 확보되는 한도에서 제 1 스토리지 전극부(131)들의 배선 폭은 가능한 한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구율은 상호 인접한 제 1 신호선(120)들과 제 1 신호선(120)들과 교차하는 상호 인접한 제 2 신호선들(150)에 의하여 한정되는 화소 영역중 광이 투과 또는 반사되는 영역의 비율로 정의된다.
한편, 표시 장치가 대형화되어 화소의 면적이 증가하는 경우, 보다 큰 유지 용량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 1 스토리지 전극(130)의 면적도 증가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 1 스토리지 전극(130)은 복수개의 제 1 스토리지 전극부(131)들로 분할되어 있으므로, 제 1 스토리지 전극부(131)들 사이로 광이 통과할 수 있어서 표시 장치의 개구율은 거의 감소하지 않는다.
제 1 스토리지 전극(130)들은 제 1 신호선(120)과 함께 형성된다.
게이트 절연막(140)은 제 1 투명 기판(110) 상에 배치되어 제 1 신호선(120) 들 및 제 1 스토리지 전극(130)을 덮는다. 게이트 절연막(140)이 배치된 제 1 투명 기판(110) 상의 게이트 전극(121)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반도체층(145)이 배치된다.
제 2 신호선(150)들은 구동 회로부로부터 화소 전압인 제 2 신호를 인가 받는다. 이를 위하여, 제 2 신호선(150)들은 반도체층(145)까지 형성된 제 1 투명 기판(110) 상에 제 2 방향으로 상호 평행하게 복수개가 배치되고 제 1 방향으로 돌출된 소오스 전극(151)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신호는 소오스 전극(151)을 통하여 출력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 1 기판(100)은 제 2 신호선(150)과 함께 형성되는 드레인 전극(153)을 더 포함한다. 드레인 전극(153)은 게이트 전극(121)에 오버랩되며 소오스 전극(151)과 대향한다.
보호막(170)은 제 2 신호선(150)들을 덮도록 제 1 투명 기판(110) 상에 배치된다. 드레인 전극(153)에 대응하는 보호막(170) 상에는 드레인 전극(153)까지 관통된 콘택홀(181)이 형성된다.
화소 전극(180)은 제 1 및 제 2 신호선(120, 150)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영역에 배치된다. 화소 전극(180)은 투명하면서 도전성인 산화 주석 인듐(Indium Tin Oxide; ITO) 또는 산화 아연 인듐(Indium Zinc Oxide; IZO)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화소 전극(180)은 보호막(170)에 형성된 콘택홀(181)의 내면까지 형성되고, 이에 따라 화소 전극(180)은 드레인 전극(15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2 기판(200)은 제 2 투명 기판(210) 및 제 2 투명 기판(210)에 형성된 공통 전극(common electrode)(220)을 포함한다.
제 2 투명 기판(210)은 제 1 기판(100)과 대향하며, 공통 전극(220)은 제 1 기판(100)의 화소 전극(180)과 대향하게 제 2 투명 기판(210) 상에 배치된다. 공통 전극(220)에는 동일한 레벨의 전압이 인가된다.
액정층(300)은 제 1 기판(100)의 화소 전극(180) 및 제 2 기판(200)의 공통 전극(220) 사이에 배치된다. 화소전극(180)과 공통전극(220)에 의하여 발생된 전기장은 액정층(300)의 배열을 국부적으로 서로 다르게 변화시킨다.
상기 전기장이 발생되고 유지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게이트 전극(121), 게이트 절연막(140), 반도체층(145), 소오스 전극(151) 및 드레인 전극(153)은 제 1 신호선(120)에 인가되는 상기 제 1 신호 및 제 2 신호선(150)에 인가되는 상기 제 2 신호를 제어하는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를 구성한다.
게이트 전극(121)에 제 1 신호가 온(on)되면, 화소 전극(180)은 상기 제 2 신호인 화소 전압을 인가 받는다. 여기서, 제 1 스토리지 전극(130)과 화소 전극(180)은 화소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유지 용량을 발생시키는 전극들의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에 의하면, 개구율의 감소를 최소화하면서 유지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도 5는 도 4에 도시한 제 1 기판을 Ⅱ-Ⅱ'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 2 스토리지 전극(4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 1 기판(400)은 제 1 투명 기판(410), 제 1 신호선(420)들, 제 1 스토리지 전극(430), 게이트 절연막(140), 제 2 신호선(450)들, 제 2 스토리지 전극(460), 보호막(470) 및 화소 전극(480)을 포함한다.
제 2 스토리지 전극(460)은 유지 용량을 발생시키는 일 전극으로서, 반도체층(445)까지 형성된 제 1 투명 기판(410) 상에 배치된다. 제 2 스토리지 전극(460)은 제 2 신호선(450)과 함께 형성되며, 제 2 신호선(450)들의 사이에 제 1 스토리지 전극(430)과 대향하게 배치된다.
제 2 스토리지 전극(460)은 복수개로 분기된 제 2 스토리지 전극부(461)들을 포함한다. 제 2 스토리지 전극부(461)들은 상호 병렬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 2 스토리지 전극(460)은 제 2 신호선(450)들 사이에 제 1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 2 스토리지 전극부(461)들은 제 2 스토리지 전극(460)으로부터 제 2 방향으로 복수개가 연장된다. 따라서 제 2 스토리지 전극부(461)들은 제 1 방향으로 배치된 제 2 스토리지 전극(460)에 의해 상호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된다.
제 1 및 제 2 스토리지 전극(430, 460)들의 배선 폭은 예를 들어, 노광기의 해상도 값인 5(㎛)내지 상호 인접하는 제 1 신호선(420)들 및 이와 교차하는 상호 인접하는 제 2 신호선(450)들에 의해 한정되는 화소 영역의 단축 방향 길이인 200( ㎛)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때, 표시 장치의 개구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의 유지용량이 확보되는 한도에서 제 1 및 제 2 스토리지 전극(430, 460)들의 배선 폭은 가능한 한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스토리지 전극(460)은 제 2 스토리지 전극(460)으로부터 연장되어 게이트 전극(421)에 오버랩되고 소오스 전극(451)과 대향하는 드레인 전극(463)을 더 포함한다.
화소 전극(480)은 제 2 스토리지 전극부(461) 상에 형성된 콘택홀(481)의 내면까지 형성되어 드레인 전극(46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는 다르게 콘택홀(481)은 드레인 전극(463)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 1 유지 용량 및 제 2 유지 용량을 포함한다. 제 1 유지 용량은 제 1 스토리지 전극(430)과 제 2 스토리지 전극(460) 사이에 형성된다. 제 2 유지 용량은 제 2 스토리지 전극(460)과 화소 전극(480) 사이에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보다 더 큰 유지용량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용이하게 리페어할 수 있는 제 2 스토리지 전극부(461)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 1 기판(400)에서 제 1 스토리지 전극부(431)와 제 2 스토리지 전극부(461) 사이에 개재된 이물질로 인한 쇼트에 기인하는 불량인 화소의 개수를 용이하게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표시 장치의 표시 품질이 향상된다.
실시예 3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도 7은 도 6에 도시한 제 1 기판을 Ⅲ-Ⅲ'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 2 스토리지 전극(560)의 형상 및 화소 전극(580)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그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 1 기판(500)은 제 1 투명 기판(510), 제 1 신호선(도시되지 않음)들, 제 1 스토리지 전극(530), 게이트 절연막(540), 제 2 신호선(550)들, 제 2 스토리지 전극(560), 보호막(570) 및 화소 전극(580)을 포함한다.
제 2 스토리지 전극(560)은 유지 용량을 발생시키는 일 전극으로서, 반도체층(도시되지 않음)까지 형성된 제 1 투명 기판(510) 상에 배치된다. 제 2 스토리지 전극(560)은 제 2 신호선(550)과 함께 형성되며, 제 2 신호선(550)들의 사이에 제 1 스토리지 전극(530)과 대향하게 배치된다.
제 2 스토리지 전극(560)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유지 용량을 크게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드레인 전극(도시되지 않음)은 제 2 스토리지 전극(560)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지 않고 별도로 형성된다.
한편, 화소 전극(580)은 한 화소 내에서 액정의 배열 방향을 다양화하기 위하여 대략 V자 형상의 개구부(585)들을 포함한다. 또한, 드레인 전극과 제 2 스토리지 전극(56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화소 전극(580)은 제 1 및 제 2 콘택홀(481, 도시되지 않음)들을 통해 각각 제 2 스토리지 전극(560)과 드레인 전극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 2 스토리지 전극(560)과 드레인 전극이 광을 차단하는 금속 배선에 의해 연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와 비교하여 개구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4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도 9는 도 8에 도시한 제 1 기판을 Ⅳ-Ⅳ'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 1 및 제 2 스토리지 전극(630, 660)들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대응하는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 1 기판(600)은 제 1 투명 기판(610), 제 1 신호선(도시되지 않음)들, 제 1 스토리지 전극(630), 게이트 절연막(640), 제 2 신호선(650)들, 제 2 스토리지 전극(660), 보호막(670) 및 화소 전극(680)을 포함한다.
제 1 스토리지 전극(630)들은 유지용량을 발생시키는 한쪽 전극으로서 동일한 레벨의 공통 전압이 인가된다. 제 1 스토리지 전극(630)은 제 1 신호선(도시되지 않음)과 함께 형성되며 제 1 신호선(도시되지 않음)들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 1 스토리지 전극(630)은 제 1 연장선(631), 제 2 연장선(633) 및 제 1 스토리지 전극부(635)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연장선(631, 633)들은 상호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제 1 신호선(도시되지 않음)들의 사이에 제 1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 1 연장선(631)의 복수개의 지점에서 제 2 방향으로 제 2 연장선과 연결되는 다수의 연장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연장부들은 다시 각기 복수 개의 지점에서 제 1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다수의 연장부들은 상호 연결된다. 그 결과, 사각형 형상의 개구부들을 가지는 매트릭스 형상의 제 1 스토리지 전극부(635)가 형성된다.
제 2 스토리지 전극(660)은 유지 용량을 발생시키는 일 전극으로서, 반도체층(도시되지 않음)까지 형성된 제 1 투명 기판(610) 상에 배치된다. 제 2 스토리지 전극(660)은 제 2 신호선(650)과 함께 형성되며, 제 2 신호선(650)들의 사이에 제 1 스토리지 전극(630)과 대향하게 배치된다.
제 2 스토리지 전극(660)은 제 1 스토리지 전극부(635)에 대응하는 매트릭스 형상을 가진 제 2 스토리지 전극부(661) 및 제 2 스토리지 전극부(661)로부터 연장되어 드레인 전극의 역할을 하는 연장부(66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의하면 유지 용량을 크게 하면서도 개구율이 거의 감소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의하면 제 1 기판(600)에서 불량인 화소의 개수를 용이하게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표시 장치의 표시 품질이 향상된다.
실시예 5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제 1 기판을 Ⅴ-Ⅴ'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 1 및 제 2 스토리지 전극(730, 760)들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대응하는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 및 도 11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 1 기판(700)은 제 1 투명 기판(710), 제 1 신호선(도시되지 않음)들, 제 1 스토리지 전극(730), 게이트 절연막(740), 제 2 신호선(750)들, 제 2 스토리지 전극(760), 보호막(770) 및 화소 전극(780)을 포함한다.
제 1 스토리지 전극(730)들은 유지용량을 발생시키는 한쪽 전극으로서 동일한 레벨의 공통 전압이 인가된다. 제 1 스토리지 전극(730)은 제 1 신호선(도시되지 않음)과 함께 형성되며 제 1 신호선(도시되지 않음)들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 1 스토리지 전극(730)은 제 1 연장선(731), 제 2 연장선(732) 및 스토리지 전극부(735)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연장선(731, 733)들은 상호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제 1 신호선(도시되지 않음)들의 사이에 제 1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 1 연장선(731)과 제 2 연장선(733)은 플레이트 형상의 제 1 스토리지 전극부(735)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다. 제 1 스토리지 전극부(735)는 대략 원형 형상의 개부부들을 포함한다. 그 결과, 제 1 스토리지 전극부(735)는 원형 형상의 개구부들을 가지는 매트릭스 형상을 가진다.
제 2 스토리지 전극(760)은 유지 용량을 발생시키는 일 전극으로서, 반도체층(도시되지 않음)까지 형성된 제 1 투명 기판(710) 상에 배치된다. 제 2 스토리지 전극(760)은 제 2 신호선(750)과 함께 형성되며, 제 2 신호선(750)들의 사이에 제 1 스토리지 전극(730)과 대향하게 배치된다.
제 2 스토리지 전극(760)은 제 1 스토리지 전극부(735)에 대응하는 대략 원형 형상의 개구부들을 가지는 매트릭스 형상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의하면 유지 용량을 크게 하면서도 개구율이 거의 감소되지 않고, 제 1 기판(600)에서 불량인 화소의 개수를 용이하게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표시 장치의 표시 품질이 향상된다.
표시 기판의 리페어 방법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기판의 리페어 방법은 제 1 스토리지 전극과 제 2 스토리지 전극의 사이에 이물질 유무를 검사하는 단계 및 이물질에 접촉하는 제 2 스토리지 전극부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스토리지 전극과 제 2 스토리지 전극의 사이에 이물질 유무를 검사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표시 기판은 도 8에 도시한 제 1 기판(600)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그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 1 투명 기판(610) 상에 제 1 스토리지 전극(630), 게이트 절연막(640) 및 제 2 스토리지 전극(660) 등의 박막을 증착하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제 1 스토리지 전극(630)과 제 2 스토리지 전극(660)의 사이에 유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스토리지 전극(630)과 제 2 스토리지 전극(660)이 쇼트되면 유지용량이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현재 인가된 화소전압이 다음 화소전압이 인 가되기까지 균일하게 유지되지 않아 표시 장치의 표시품질이 저하된다.
이러한 불량유무를 검사하기 위하여 제 2 스토리지 전극(660)까지 형성된 제 1 투명 기판(610)의 후면에서 현미경(800)을 이용하여 이물질 유무를 검사할 수 있다. 쇼트의 발생을 더욱 확실히 확인하기 위하여 제 1 스토리지 전극(630)과 제 2 스토리지 전극(660)에 각각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여 유지용량의 형성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도 13은 이물질에 접촉하는 제 2 스토리지 전극부를 절단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이물질에 접촉하는 제 2 스토리지 전극부를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이물질이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면, 이물질에 접촉하는 제 2 스토리지 전극부(661)의 양측을 레이저(900)를 조사하여 절단한다. 이에 따라, 도 1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이물질에 접촉하는 제 2 스토리지 전극부(661)는 양측이 절단되어 제 2 스토리지 전극(660)과 절연된다. 따라서, 제 1 스토리지 전극(630)과 제 2 스토리지 전극(660)은 다시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유지용량은 회복된다.
상술한 표시 기판의 리페어 방법에 따르면, 제 2 스토리지 전극부(661)의 양측을 용이하게 절단하여 다시 유지 용량을 회복할 수 있어 표시 기판의 리페어 공정의 생산성이 향상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표시 장치에 따르면, 제 1 스토리지 전극과 제 2 스토리지 전극 사이에 유입된 이물질에 기인하는 쇼트 가 발생하여 유지용량이 형성되지 못하는 불량이 발생하더라도 제 2 스토리지 전극은 리페어하기에 간편한 제 2 스토리지 전극부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 1 기판에 불량인 화소의 개수를 용이하게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표시 장치의 표시 품질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표시 장치에 따르면, 스토리지 전극부들 사이로 광이 투과될 수 있어 개구율의 감소가 거의 없이 유지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표시 기판의 리페어 방법에 의하면, 쇼트로 인하여 유지용량이 형성되지 못함에 따라 화소가 기능을 상실하더라도 한 화소 전체를 오픈 시키지 않고 스토리지 전극부의 양측을 간단히 절단하여 유지용량을 회복하고 불량인 화소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표시 기판의 리페어 공정의 생산성이 향상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상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투명 기판 상에 제 1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제 1 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 게이트 전극이 돌출된 제 1 신호선들;
    상기 제 1 신호선들의 사이에 상기 제 1 방향으로 배치되며, 복수개로 분기된 제 1 스토리지 전극부들을 포함하는 제 1 스토리지 전극;
    상기 제 1 신호선들 및 상기 제 1 스토리지 전극을 덮도록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절연막;
    상기 절연막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제 1 방향으로 소오스 전극이 돌출된 제 2 신호선들; 및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선들에 의하여 둘러 쌓인 공간에 형성된 화소 전극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토리지 전극부들은 상호 병렬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토리지 전극부들은 상기 제 2 방향으로 복수개가 병렬 배치되고, 각 제 1 스토리지 전극부들의 적어도 한 곳에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각 스토리지 전극부들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신호선들의 사이에 상기 제 1 스토리지 전극과 대향하게 배치되며 복수개로 분기된 제 2 스토리지 전극부들을 포함하는 제 2 스토리지 전극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토리지 전극부들은 상호 병렬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토리지 전극부들은 상기 제 2 방향으로 복수개가 병렬 배치되고, 각 제 2 스토리지 전극부들의 적어도 한 곳에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각 제 2 스토리지 전극부는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소오스 전극은 상기 게이트 전극에 오버랩되고, 상기 제 2 스토리지 전극은 상기 제 2 스토리지 전극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소오스 전극과 대향하며 상기 게이트 전극에 오버랩되는 드레인 전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스토리지 전극부들의 배선폭은 5㎛ - 2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전극은 복수개의 대략 V 자 형상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표시 기판의 화소 전극의 하부에 배치된 제 1 스토리지 전극 및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제 1 스토리지 전극의 사이에 배치된 제 2 스토리지 전극을 리페어 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개로 분기된 제 1 스토리지 전극부들을 포함하는 상기 제 1 스토리지 전극과 복수개로 분기된 제 2 스토리지 전극부들을 포함하는 상기 제 2 스토리지 전극의 사이에 이물질 유무를 검사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스토리지 전극부와 상기 제 2 스토리지 전극부들 사이에 상기 이물질이 존재하면, 상기 이물질에 접촉하는 상기 제 2 스토리지 전극부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기판의 리페어 방법.
KR1020040088123A 2004-11-02 2004-11-02 표시 장치 및 표시 기판의 리페어 방법 KR200600390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123A KR20060039082A (ko) 2004-11-02 2004-11-02 표시 장치 및 표시 기판의 리페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123A KR20060039082A (ko) 2004-11-02 2004-11-02 표시 장치 및 표시 기판의 리페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9082A true KR20060039082A (ko) 2006-05-08

Family

ID=37146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8123A KR20060039082A (ko) 2004-11-02 2004-11-02 표시 장치 및 표시 기판의 리페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908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8547B1 (ko) 액정표시패널,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7330222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1244664B1 (ko) 액정표시소자
KR0149447B1 (ko) 액티브매트릭스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
KR101238337B1 (ko) 어레이 기판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JP2669954B2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表示装置
US20070024786A1 (en) Substrate for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0866941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결함화소 수복방법
KR100982122B1 (ko) 수평 전계 인가형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불량 화소암점화 방법
KR100779013B1 (ko) 액정표시장치의 게이트 라인 오픈 리페어 방법
KR101258129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과 그 리페어 방법
KR20040062139A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리페어 방법
TWI409559B (zh) 液晶顯示面板
US20100309401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050140865A1 (en) Substrate for liquid crystal display,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7041432A (ja) 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KR100695614B1 (ko) 레이저 화학증착장비를 이용한 원 픽셀 리페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리페어된 액정표시소자의 기판
KR20090099281A (ko)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이의 리페어 방법
KR101327836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60039082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기판의 리페어 방법
JP2654258B2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表示装置
KR20060033640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기판의 리페어 방법
KR20080056830A (ko)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리페어 방법
KR100696260B1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리페어방법
CN112213894B (zh) 显示面板用阵列基板的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