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8052A - 보강체 보강 압밀 그라우팅 공법 및 그라우팅용 강관 - Google Patents

보강체 보강 압밀 그라우팅 공법 및 그라우팅용 강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8052A
KR20060038052A KR1020040087187A KR20040087187A KR20060038052A KR 20060038052 A KR20060038052 A KR 20060038052A KR 1020040087187 A KR1020040087187 A KR 1020040087187A KR 20040087187 A KR20040087187 A KR 20040087187A KR 20060038052 A KR20060038052 A KR 20060038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ement
casing
injection
ground
grou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7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0443B1 (ko
Inventor
양형칠
김창근
Original Assignee
양형칠
김창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형칠, 김창근 filed Critical 양형칠
Priority to KR1020040087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0443B1/ko
Publication of KR20060038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8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0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0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E02D3/123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and compacting the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85Shapes cylindric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92Shapes conical or convex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Injection of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solidation Of Soil By Introduction Of Solidifying Substances Into Soi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라우팅용 강관의 보강체 선단에 분리가 가능한 스크류식 빗트가 부착되고 상기 보강체와 케이싱을 일체화하여 케이싱을 회전시키면 보강체의 선단에 부착된 빗트가 회전하면서 연약지반을 뚫고 케이싱과 함께 보강체가 지중에 삽입되고 계획된 심도까지 삽입된 후 그 상태에서 회전을 멈추고 주입용 캡이 부착된 주입관을 케이싱의 상부에서 연결한 후 주입재를 가압으로 압밀 주입함과 동시에 케이싱을 인발하여 상기 보강체를 축으로 한 원주형개량체(파일)를 지중에 형성시킴으로써 종래의 배토식 강관보강다단그라우팅공법에 비하여 작업공정이 더욱 간소화되어 매우 효율적이고 보강체 주변에 주입재에 의한 균일한 개량체를 형성시킴으로 지반보강의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는 비배토식 연약지반보강공법 및 그라우팅용 강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강체 보강 압밀 그라우팅 공법 및 그라우팅용 강관{Pipe and Compaction Grouting : PCG}
도 1은 본 발명상의 보강체보강 압밀그라우팅(PCG)용 케이싱 및 보강체(강관, 볼트 등) 압입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상의 보강체보강 압밀그라우팅(PCG)용 케이싱 및 보강체 압입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 내지 도 3b는 본 발명상의 보강체보강 압밀그라우팅(PCG)용 케이싱과 보강체 압입장치를 사용하여 지중에 보강체 보강 그라우팅 작업을 실시하는 과정을 나타낸 설명도.
도 4 내지 도 4d는 본 발명상의 보강체보강압밀그라우팅(PCG) 시공 순서와 종래의 강관보강다단그라우팅 시공순서를 비교하여 나타낸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그라우팅용 강관 10. 보강체 11. 숫나사
20. 원뿔형 나사식 빗트 21. 암나사부 22. 걸림 돌기
23. 정착용 탄성판 24. 나사산 25.인공다이아몬드 팁
30. 케이싱 31. 홈 40. 주입관
41. 파이프 또는 호스 42. 주입용 캡 43. 보강체 고정 홀더
50. 지압판 51. 경첩 52. 체결구
M. 케이싱 회전기구(천공기) N. 넛트
본 발명은 연약지반의 지중에 시멘트 페이스트나 몰탈을 주입하여 천공 홀 주변을 압밀함으로써 원주형의 고결체를 형성하여 연약지반을 개량하는 압밀주입공법이며 천공용 케이싱과 보강체(강관, 볼트 등)가 천공시에는 일체화되고, 주입시에는 지중에서 케이싱과 보강체를 분리하여, 주입재와 보강체를 일체화시킴으로써 지반을 보강하는 공법 및 그 공법에 사용되는 그라우팅용 강관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그라우팅용 강관의 보강체 선단에 분리가 가능한 스크류식 빗트를 부착하고 상기 보강체와 케이싱을 일체화하여 케이싱을 회전시키면 보강체의 선단에 부착된 빗트가 회전하면서 연약지반을 뚫고 케이싱과 함께 보강체가 지중에 삽입되고 계획된 심도까지 삽입한 후 그 상태에서 회전을 멈추고 주입용 캡이 부착된 주입관을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연결한 후 주입재를 가압으로 압밀 주입함과 동시에 상기 케이싱을 인발하여 상기 보강체를 축으로 한 원주형개량체(파일)를 지중에 형성시킴으로써 종래의 배토식 강관보강다단그라우팅공법에 비하여 작업공 정이 더욱 간소화되어 매우 효율적이고 보강체 주변에 주입재에 의한 균일한 개량체를 형성시킴으로 지반보강의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는 비배토식 연약지반보강공법 및 그라우팅용 강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약지반의 보강공법에는 강관보강다단그라우팅공법이 많이 적용되고 보강체로는 강관 또는 볼트 등을 사용하는데 천공은 배토식 천공방법으로 시공하며 천공 후 천공 홀 내에 강관을 압입 후 그라우팅 작업을 실시한다. 상기 배토식 천공을 하게 되면 굴착된 흙을 공사장 주변에 쌓아 놓아야 하기 때문에 통행에 방해가 될 뿐 아니라 진흙탕물로 인해 공사장 주변 환경이 오염된다. 또한 천공 홀이 붕괴되면 주변지반을 이완시켜 지반보강 효과가 감소될 뿐 아니라 상기 배토식 천공방법을 사용한 그라우팅 작업은 인력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공사기간이 길어지게 되고 공사비가 많이 소요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 등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그라우팅용 강관의 케이싱 하단에 상기 케이싱과 분리가 가능하고 케이싱과 함께 회전하는 스크류 형태의 빗트를 부착함으로써 별도의 지반 굴토작업을 하지 않고도 케이싱을 지중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공정을 단순화 및 단축 시킨 것이다.
종래의 강관보강다단그라우팅 작업은 4단계공정(① 천공, ② 강관(또는 볼트 등)삽입, ③ 주입관 설치, ④ 주입호스연결)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2단계공정(① 천공, ② 주입호스 연결)으로 단축실시 할 수 있으며 상기 천공 용 케이싱을 인발하면서 주입재를 상기 보강체 주위에 주입양생시킴으로써 보강체를 축으로 한 균일한 원주형 개량체를 형성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천공시 슬라임(slime)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비배토식 보강체보강압밀그라우팅(PCG)공법 및 그에 따른 그라우팅용 강관을 제공하는 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① 케이싱(보강체와 일체화) 천공, ② 주입호스 연결 및 주입재 주입, ③ 주입완료 및 지압판 설치의 3단계 공정으로 이루어지고 그에 따른 그라우팅용 강관은 스크류식 빗트와 보강체(강관, 볼트 등), 케이싱과 주입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일실시예를 들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상의 보강체보강압밀그라우팅 공법은 ① 케이싱(보강체와 일체화) 천공, ② 주입호스 연결 및 주입재 주입, ③ 주입완료 및 지압판 설치의 3단계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이 공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먼저 그 공법에 사용되는 본 발명상의 그라우팅용 강관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상의 그라우팅용 강관(1)의 보강체(10)의 하단에 상기 보강체(10)와 분리가 가능하고 나사산(24)에는 인공다이아몬드 팁(25)을 부착한 원뿔형의 나사식 빗트(20)를 설치하고 상기 빗트(20)의 상부에는 상기 보강체(10)와 체결이 가능하도록 암나사부(21)를 형성하며 그 암나사부(21)의 양쪽에는 케이싱(30)의 하단양쪽 에 형성된 홈(31)과 결합되어 케이싱(30)이 회전 할 시 상기 원뿔형의 나사식 빗트(20)가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걸림 돌기(22)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암나사부(21)의 양측에는 상기 원뿔형 나사식 빗트(20)가 지중에 삽입된 후 안정되게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정착용 탄성판(23)을 설치한다.
상기 보강체(10)의 하단과 상단에는 각각 숫나사(11)를 형성하여 보강체(10)의 하단부는 상기 빗트(20)와 나사 결합되게 하고 상기 보강체(10)의 상단부는 그라우팅 작업 종료시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경첩(51)이 부착되고, 반대측에는 체결구(52)가 설치되어 반으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본 발명상의 지압판(50)을 지표면에 대고 그 위에서 넛트(N)를 체결하여 지중에 형성된 개량체와 지반을 일체화 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케이싱(30) 내부로 주입재를 주입하는 데 사용되는 주입관(40)은 원통형 파이프 또는 호스(41)의 하단에 상기 케이싱(30) 내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된 캡(42)을 부착하고 그 캡(42)의 내부에는 보강체 고정 홀더(43)를 구비함으로써 그라우팅 작업시 상기 케이싱(30)을 인발 할 때 상기 보강체(10)가 개량체 중심에 있도록 고정시켜 주는 역할을 하게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상의 그라우팅용 강관을 이용하는 본 발명상의 비배토식 연약지반 보강공법(PCG)의 실시예를 도 3 내지 도 3a에 의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먼저 연약지반의 지면에 본 발명상의 보강체(10) 및 빗트(20)와 일체화 된 케이싱(30)을 통상의 케이싱 회전기구(천공기)(M)를 사용하여 지중에 회전 압입시 킨 후 상기 주입관(40)을 케이싱(30)의 상부에서 체결하여 주입재를 주입 압밀하면서 상기 케이싱(30)을 서서히 인발한다. 이때 주입재를 가압으로 주입함으로써 상기 보강체(10) 주변 지반을 압밀 수축시키면서 보강체(10) 주변의 천공경보다 확경된 주입 개량체를 형성시킨다.
상기와 같이 지중에 주입재를 주입한 후 상기 보강체(10)의 상부에 상기 지압판(50)을 설치한 다음 너트(N)를 체결하여 개량체와 지반을 일체화 시킨다.
시공을 완료한 다음 일정기간 경과 후 상기 보강체(10)를 제거 할 필요가 발생 될 시에는 기 체결된 넛트(N)를 풀고 보강체(10)를 나사풀림방향으로 회전시켜 지중에 삽입된 상기 빗트(20)와 분리하여 보강체(10)를 인발제거한 후 그 보강체(10)가 있던 빈 공간에는 주입재를 추가 압밀주입하여 빈 공간을 채움 한다.
그리고, 도 4 내지 도 4d는 본 발명상의 보강체보강압밀그라우팅(PCG) 공법의 시공 순서와 종래의 강관보강다단그라우팅 공법의 시공순서를 비교하여 나타낸 것으로서, 본 발명상의 보강체보강압밀그라우팅은 상기한 바와 같이 ① 케이싱(보강체와 일체화) 천공, ② 주입호스 연결 및 주입재 주입, ③ 주입완료 및 지압판 설치의 3단계 공정으로 이루어진 반면 종래의 강관보강다단그라우팅은 ① 케이싱 천공, ② 보강체(강관, 볼트) 삽입, ③ 케이싱 인발, ④ 주입관 삽입 및 주입재 주입, ⑤ 주입완료 및 지압판 설치의 5단계 공정으로 이루어져 있어, 본 발명에 비해 작업공정이 매우 번거로우며 인력과 시공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여 본 발명상의 그라우팅용 강관의 케이싱 하단에 그 케이싱과 분리가 가능하고 케이싱과 함께 회전하는 스크류 형태의 빗트가 부착된 그라우팅용 강관을 사용하여 작업하므로써 종전의 5단계공정(① 천공, ② 강관(또는 볼트 등)삽입, ③ 주입관 설치, ④ 주입호스연결, ⑤ 주입완료 및 지압판 설치)으로 이루어진 강관보강다단그라우팅 작업을 본 발명에서는 3단계공정(① 천공, ② 주입호스 연결, ③ 주입완료 및 지압판 설치)으로 단순화 및 단축실시 할 수 있으며 천공용 케이싱을 인발하면서 주입재를 보강체 주위에 주입양생시킴으로써 상기 보강체를 축으로 한 균일한 원주형 개량체를 형성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천공시 슬라임(slime)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보강체 보강 압밀 그라우팅에 있어서,
    ① 비배토식 케이싱(보강체와 일체화) 천공, ② 주입호스 연결 및 주입재 주입, ③ 주입완료 및 지압판 설치의 3단계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체 보강 압밀 그라우팅 공법.
  2. 상기 제 1항에 기재된 보강체 보강 압밀 그라우팅 공법에 사용되는 그라우팅용 강관(1)은
    하단 양측에 홈(31)이 형성된 원통형 케이싱(30)과;
    상기 케이싱(30) 내부에 삽입되고 하단과 상단에는 각각 숫나사(11)를 형성하여 하단은 원뿔형의 나사식 빗트(20)와 나사 결합되게 하고 상단은 그라우팅 작업 종료시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경첩(51)이 부착되고, 반대측에는 체결구(52)가 설치되어 반으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본 고안상의 지압판(50)을 지표면에 대고 그 위에서 넛트(N) 체결하여 지중에 형성된 개량체와 지반을 일체화 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보강체(10)와;
    상기 보강체(10)와 체결이 가능하도록 상부에 암나사부(21)를 형성하고 그 암나사부(21)의 양쪽에는 상기 케이싱(30)의 하단 양측에 형성된 홈(31)과 결합되어 케이싱(30)이 회전할 시 그 케이싱(30)과 연동하여 원뿔형 나사식 빗트(20)가 회전될 수 있도록 걸림 돌기(22)를 형성하며 또한 상기 암나사부(21)의 양측에는 상기 원뿔형 나사식 빗트(20)가 지중에 삽입된 후 안정되게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정착용 탄성판(23)을 설치하고 나사산(24)에는 인공다이아몬드 팁(25)을 부착한 원뿔형 나사식 빗트(20)와;
    파이프 또는 호스(41)의 하단에 상기 케이싱(30) 내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된 캡(42)을 부착하고 그 캡(42)의 내부에는 상기 보강체 고정 홀더(43)를 구비함으로써 그라우팅 작업시 상기 케이싱(30)을 인발 할 때 상기 보강체(10)가 개량체 중심에 있도록 고정시켜 주는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 주입관(4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체 보강 압밀 그라우팅용 강관.
KR1020040087187A 2004-10-29 2004-10-29 보강체 보강 압밀 그라우팅 공법 및 그라우팅용 강관 KR100710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7187A KR100710443B1 (ko) 2004-10-29 2004-10-29 보강체 보강 압밀 그라우팅 공법 및 그라우팅용 강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7187A KR100710443B1 (ko) 2004-10-29 2004-10-29 보강체 보강 압밀 그라우팅 공법 및 그라우팅용 강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0761U Division KR200374104Y1 (ko) 2004-11-01 2004-11-01 보강체 보강 압밀 그라우팅 공법의 그라우팅용 강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8052A true KR20060038052A (ko) 2006-05-03
KR100710443B1 KR100710443B1 (ko) 2007-05-11

Family

ID=37145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7187A KR100710443B1 (ko) 2004-10-29 2004-10-29 보강체 보강 압밀 그라우팅 공법 및 그라우팅용 강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04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4810B1 (ko) * 2021-04-09 2021-11-09 조상엽 태양광발전모듈 지지용 보강지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8509B1 (ko) 2015-05-11 2017-04-19 박종수 그라우팅 장치
KR101705256B1 (ko) * 2016-03-28 2017-02-10 김인호 분리식 선단부를 구비한 헬리칼 말뚝오거를 이용한 파일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523A (ko) * 2000-03-06 2000-06-05 정성필 네일링공법 및 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4810B1 (ko) * 2021-04-09 2021-11-09 조상엽 태양광발전모듈 지지용 보강지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0443B1 (ko) 200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0642B1 (ko) 사면보강공사용 앵커네일 및 이를 이용한 사면보강공법
CN100370081C (zh) 一种胀壳锚固头及锚杆
KR100919821B1 (ko) 자천공 앙카로드를 이용한 지반 보강장치
CN110042835B (zh) 用于土、砂层的自钻自锚可回收锚杆及其锚固方法
CN209129542U (zh) 复杂地层钻孔用的钻杆结构
KR20060100790A (ko) 사면보강공사용 스크루 앵커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공법
KR100710443B1 (ko) 보강체 보강 압밀 그라우팅 공법 및 그라우팅용 강관
KR100908085B1 (ko) 지반밀착형 압력식 쏘일 네일 구조 및 이에 의한 지반보강공법
KR200374104Y1 (ko) 보강체 보강 압밀 그라우팅 공법의 그라우팅용 강관
KR102011365B1 (ko) 소일 네일용 제거식 팩커모듈 및 이를 이용한 압력 그라우팅 시공방법 및 압력 그라우팅 콘크리트 패널 시공방법
CN103206222A (zh) 一种预制管片隧道内加固围岩的施工方法
JP2010150821A (ja) 擁壁の補強工法
JP2007170038A (ja) 地山補強体および地山補強体の施工方法
CN211773626U (zh) 一种地锚
CN106836228A (zh) 灌注式桩用空心钻杆
KR100523116B1 (ko) 제트 그라우팅 파일 공법에 있어 고압분사로드를 이용한 강관 삽입방법
KR101147612B1 (ko) 소일 네일링 장치
KR100697001B1 (ko) 다중방식 프로텍터
CN206599784U (zh) 灌注式桩用空心钻杆
JP5965753B2 (ja) 無拡幅長尺鋼管先受け工法及びその工法に使用する端末管における注入材の注入構造
KR100869369B1 (ko) 다발강관을 이용한 그라우팅 방식의 지반보강장치 및 이를통한 지반보강공법
JP2020090859A (ja) ロックボルト構造の構築方法及び定着材注入治具
KR20020068981A (ko) 강관마이크로파일 및 그라우팅 시공방법
KR20120116223A (ko) 개방형 조립식 천공 케이싱 및 이를 이용한 주열식 흙막이 그라우팅 공법
CN114000519B (zh) 斜向布置的拉力型钢锚管微型桩结构及实施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