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7784A - 휴대단말기의 조이스틱 운용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조이스틱 운용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7784A
KR20060037784A KR1020040086839A KR20040086839A KR20060037784A KR 20060037784 A KR20060037784 A KR 20060037784A KR 1020040086839 A KR1020040086839 A KR 1020040086839A KR 20040086839 A KR20040086839 A KR 20040086839A KR 20060037784 A KR20060037784 A KR 20060037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joystick
cursor
control
cont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6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4165B1 (ko
Inventor
구본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6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4165B1/ko
Publication of KR20060037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7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4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4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조이스틱으로 네비게이션 키버튼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커서의 위치제어신호를 원터치로 출력하는 조이스틱부; 조이스틱부와 접속하고 선택에 의하여 커서를 다방향 응용 위치제어 하거나 회전 위치제어 하는 제어부; 제어부에 접속하고, 조이스틱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의하여 커서를 선택된 다방향 응용으로 이동하는 다면부; 제어부에 접속하고, 조이스틱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의하여 커서를 선택된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는 회전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조이스틱부의 위치제어신호를 선택된 다방향 응용 신호로 여파하여 출력하는 키필터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휴대단말기의 제어부는 조이스틱으로 커서위치를 제어하는 경우, 회전 제어할 것인지 판단하는 시작과정; 상기 커서를 회전 제어하는 경우, 회전부를 운용 설정하고, 커서위치를 360도 범위에서 구동신호에 상응하게 검출 회전 제어하는 회전과정; 상기 커서를 4 방향 제어하면 키필터를 4개 방향 검출영역으로 설정하고 조이스틱의 구동신호에 의하여 커서위치를 상응하게 제어하는 4방향 과정; 상기 커서를 2 방향 제어하면 키필터를 2개 방향 검출영역으로 설정하고 조이스틱의 구동신호에 의하여 커서위치를 상응하게 제어하는 2방향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조이스틱 운용장치 및 방법{A METHOD AND A APPARATUS OF OPERATING JOYSTICK FOR MOBILE PHONE}
도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네비게이션 키 구성상태 도시도,
도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네비게이션 키 운용방법 도시도,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조이스틱 운용장치 기능 구성도,
도4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조이스틱 운용방법 순서도,
도5 는 본 발명에 의하여 조이스틱 운용 영역의 2 방향영역 설정상태와 4 방향영역 설정상태 도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무선부 110 : 제어부 120 : 메모리부
130 : 입출력부 140 : 표시부 150 : 조이스틱부
160 : 회전부 170 : 다면부 180 : 키필터부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조이스틱을 구비하고 커서 이동을 조이스틱으로 제어하는 것으로, 특히, 선택된 응용 방식에 의하여 네비게이션 키버튼과 같이 2 방 향 또는 4 방향영역 제어로 운용하거나 또는 정상적인 360도 방향 제어로 운용하는 휴대단말기의 조이스틱 운용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MS: MOBILE STATION)는 가입 등록된 시스템의 해당 기지국(RAN: RADIO ACCESS NETWORK)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SERVICE AREA) 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이동교환국(MSC: MOBILE SWITCHING CENTER)의 감시와 제어와 스위칭(SWITCHING)에 의하여 설정된 통신경로를 경유하여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상대방과 즉시 무선접속하여 통신하는 것으로, 개인이 언제나 항상 직접 휴대하고 이동하면서 통신하는 첨단 무선통신장비 이다.
상기 휴대단말기(MS)는 이동성 보장 및 휴대의 편리성을 위하여 소형 경량으로 제작되며, 지속적인 기술발달에 의하여 기능은 점차 다양하고 복잡하게 된다.
상기 휴대단말기(MS)는 통신에 사용되는 시간이 작고 통신을 위하여 대기하거나 휴대하는 시간이 일반적으로 더 많으므로 이용률이 낮으며, 상기와 같이 휴대단말기(MS)의 낮은 이용률을 높이고 사용의 편리성을 높이는 동시에, 통신 이용의 촉진을 위하여, 다양한 부가서비스가 개발 제공되고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MS)의 부가서비스는, 기본적인 통신서비스 이외에 제공되는 것으로,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가 개발 제공하는 것은, 일 예로, 무선인터넷(WIRELESS INTERNET) 접속, 문자메시지 전송,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무선 온라인 게임(ONLINE GAME) 등이 있고, 휴대단말기 제조사(MAKER)에서 자체개발 생산하므로 제공되는 부가기능(이하 부가서비스라 함)은, 일 예로, 전화번호부(PHONE-BOOK) 관리, 메모 작성, 메시지 작성, 스케줄 관리, 게임, 카메라, 전자계산기, 알 람, 착신벨 설정 등과 같이 다양하며, 상기 부가서비스는 계속 새로운 기능이 개발되고 추가된다.
상기와 같이 휴대단말기에 부가되는 다양한 기능은 메뉴(MENU)로 구성되고, 검색 선택되어 운용되며, 게임 등과 같은 부가서비스는 방향키 또는 네비게이션(NAVIGATION) 키를 사용한다.
상기 방향키 또는 네비게이션 키는, 커서(CURSER)의 2 방향 또는 4 방향 이동을 제어하므로 해당 숫자의 키버튼이 할당되어 운용되고, 360도 방향은 상기 4 방향 제어 방식을 반복 이용하므로, 신속한 제어를 위하여 반복되는 연습을 필요로 하는 등의 사용상 어려운 문제를 일부 개선한 것이 조이스틱(JOYSTICK)이다.
상기 조이스틱은 하나의 스틱으로 구성되고, 표시부에 출력되는 커서 또는 지정된 프로그램의 물체를 360도 방향제어 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이 편리하여 휴대단말기에 점차 보편적으로 구비되고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는, 4 방향과 2 방향 제어를 포함하여 360도 방향제어를 하는 조이스틱(JOYSTICK) 구성에 의하여 4 방향 제어를 위한 네비게이션 키와 2 방향 제어를 위한 사이드 키를 구성할 필요가 없어 키패드부의 구성을 간단하게 한다.
그러나, 상기 조이스틱은 360도 방향제어에 적합한 것으로, 단순한 4 방향과 2 방향 제어에 적합하지 않으며 사용상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조이스틱으로 단순한 4 방향제어와 2 방향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커서 운용방식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 하여 설명한다.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네비게이션 키 구성상태 도시도 이고, 도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네비게이션 키 운용방법 도시도 이다.
상기 첨부된 도1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네비게이션 키 구성상태를 설명하면,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10)의 전면부에는 키보드부(20)와 표시부(60)가 구비되고, 일 측면부에는 사이드키(40)가 구비된다.
상기 키보드부(20)에는 다이얼링(DIALING)을 위한 다수 키버튼과 운용을 위한 기능키버튼과 표시부(60)의 커서(50) 위치 또는 이동방향을 제어하는 네비게이션 키(30)가 포함되어 구비된다.
상기 표시부(60)에는 휴대단말기(10)가 구비하는 기능의 메뉴 또는 수신되는 문자메시지 또는 휴대단말기의 운용상태 정보 또는 멀티미디어 통신에 의한 영상정보 등이 표시되거나 부가서비스에 의한 다양한 정보가 표시된다.
상기와 같이 표시부(60)에 표시되는 정보를 지정하거나 선택 상태 표시에 커서(50)가 이용되며, 상기 커서(50)의 위치를 이동하는 등의 경우, 상기 키보드부(20)에 구비되는 네비게이션 키(30)를 이용한다.
상기 네비게이션 키(30)는 커서(50)를 상하좌우의 4 방향으로 위치제어하고, 사이드키(40)는 상하 또는 좌우의 2 방향으로 위치제어 하는 것으로, 일 예로, 상기 휴대단말기(10)로 메뉴를 검색하거나 게임 등과 같은 응용 프로그램을 운용하는 경우, 해당 커서(50)를 위치이동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게임 등과 같이 커서를 빠르게 이동하여야 하는 경우, 상기 네비게이션키(30) 또는 사이드키(40)로 신속하게 제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하, 상기 첨부된 도2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네비게이션 키 운용방법을 설명한다.
휴대단말기(10)의 표시부(60)에 표시되는 커서(50) 위치를 제어하여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S10), 네비게이션키(30) 입력으로 상기 커서(50)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고(S20), 상기 커서(50)의 이동방향을 수정하거나 변경하는지 판단하며(S30), 상기 판단(S30)에서 방향을 수정 또는 변경하는 경우는 상기 단계(S20)로 궤환하여 커서의 방향을 제어하고, 상기 판단(S30)에서 방향을 수정 또는 변경하지 않는 경우는 종료로 진행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기술은, 네비게이션 키(30)를 제어하여 커서를 원하는 방향으로 위치이동 또는 변경하고 있으나, 신속하게 이동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를 일부 해결하는 것으로, 조이스틱을 사용하는 기술이 있으나, 상기 조이스틱은 360도 방향 또는 위치제어에 적합한 것으로, 4방향 또는 2 방향 위치제어가 비교적 어려운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조이스틱으로 커서의 위치를 2 방향과 4 방향과 360도 회전에 적합하게 선택 제어하는 휴대단말기의 조이스틱 운용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제공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커서의 위치제어신호를 원터치로 출력하는 조이스틱부와; 상기 조이스틱부와 접속하고 선택에 의하여 커서를 다방향 응용 위치제어 하거나 회전 위치제어 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고, 조이스틱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의하여 커서를 선택된 다방향 응용으로 이동하는 다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고, 조이스틱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의하여 커서를 선택된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는 회전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조이스틱부의 위치제어신호를 선택된 다방향 응용 신호로 여파하여 출력하는 키필터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제공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제어부는 조이스틱으로 커서위치를 제어하는 경우, 회전 제어할 것인지 판단하는 시작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커서를 회전 제어하는 경우, 회전부를 운용 설정하고, 커서위치를 360도 범위에서 구동신호에 상응하게 검출 회전 제어하는 회전과정과; 상기 과정의 커서를 4 방향 제어하면 키필터를 4개 방향 검출영역으로 설정하고 조이스틱의 구동신호에 의하여 커서위치를 상응하게 제어하는 4방향 과정과; 상기 과정의 커서를 2 방향 제어하면 키필터를 2개 방향 검출영역으로 설정하고 조이스틱의 구동신호에 의하여 커서위치를 상응하게 제어하는 2방향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조이스틱 운용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조이스틱 운용장치 기능 구성도 이고, 도4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조이스틱 운용방법 순서도 이며, 도5 는 본 발명에 의하여 조이스틱 운용 영역의 2 방향영역 설정상태와 4 방향영역 설정상태 도시도 이다.
상기 첨부된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조이스틱 운용장치를 설명하면,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기지국(RAN)과 무선접속하고 통신신호를 무선송수신하는 무선부(100)와,
상기 무선부(100)와 접속하고 선택에 의하여 커서를 다방향 응용 위치제어 하거나 회전 위치제어 하는 것으로, 상기 입출력부(130)로부터 상기 조이스틱부(150)의 다면방향 검출 제어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다면부(170)를 제어하여 입력된 다면방향으로 영역을 분할하고, 상기 다면부(170)가 분할한 영역 정보를 키필터부(180)에 인가하여, 상기 조이스틱부(150)로부터 입력되는 구동신호가 해당되는 영역의 방향을 검출하며, 상기 표시부(140)의 커서를 상기 검출된 방향으로 위치 이동하여 표시하고, 입출력부(130)로부터 조이스틱부(150)를 회전 제어하는 명령이 인가되면, 회전부(160)를 제어하여 조이스틱부(150)로부터 입력되는 구동신호가 360도의 해당 영역 방향을 검출하며, 표시부(140)의 커서를 상기 검출된 방향으로 위치 이동하여 표시하는 제어부(110)와,
상기 제어부(110)에 접속하고 조이스틱 운용 프로그램과 휴대단말기 운용 및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출력하는 메모리부(120)와,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멀티미디어 통신신호를 입력하고 출력하는 입출력부(130)와,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커서와 이미지 신호를 출력하는 표시부(140)와,
휴대단말기의 표시부(140)에 표시되는 커서(CURSER)의 위치제어신호를 원터치로 출력하는 조이스틱부(150)와,
상기 제어부(110)에 접속하고, 조이스틱부(15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의하여 커서를 선택된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는 것으로, 조이스틱부(150)로부터 인가되는 위치신호를 분석하고 커서가 360도 범위 안에서 상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회전부(160)와,
상기 제어부(110)에 접속하고, 조이스틱부(15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의하여 커서를 선택된 다방향 응용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조이스틱부(150)가 커서를 네비게이션 키와 같이 2 방향이거나 4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조이스틱부(150)의 운동영역을 2 분할하거나 4 분할하고 선택에 의하여 출력하는 다면부(170)와,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조이스틱부(150)의 위치제어신호를 선택된 다방향 응용 신호로 여파하여 출력하는 것으로, 조이스틱부(150)의 구동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다면부(170)가 선택 출력하는 분할방향의 어느 위치에 해당하는지를 확인 출력하는 키필터부(18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다면부(170)는, 조이스틱부(150)가 커서를 네비게이션 키와 같이 8 방향이거나 그 이상의 다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조이스틱부(150)의 운용영역을 8 분할하거나 그 이상의 다면으로 분할하고 선택에 의하여 출력하는 구성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조이스틱 운용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는 통신에 사용되는 동시에 부가서비스에 의하여 엠피3, 동영상 및 비디오 감상, 게임, 무선인터넷 접속 및 검색,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녹음기 등등과 같이 응용범위가 확대되면서, 검색 및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조이스틱(JOYSTICK)을 부가한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에는 2 방향제어 또는 4 방향제어를 위한 네비게이션 키를 구비하고 있으나, 게임 등과 같이 신속하고 순발력이 필요한 제어에는 비교적 이용하기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조이스틱이다.
상기 조이스틱은, 레버(LEVER)에 외력이 인가되면, 움직이는 방향을 검출하여 제어신호로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레버의 움직임을 저항성분 변화로 검출하거나 또는 홀센서를 이용하여 자장성분 변화로 검출하는 방식 등을 이용하여 360도 모든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어한다.
그러나, 상기 조이스틱은 커서의 360도 방향제어가 매우 용이하지만, 2방향, 4 방향, 8 방향 등과 같이 고정된 다방향 제어에는 사용상 불편한 문제가 있었으나, 조이스틱의 제어영역을 일정하게 구분하여 방향 검출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영역에서 조이스틱의 제어신호가 검출되면, 커서를 해당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본 발명 기술이다.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어부(110)는, 동작전원이 인가되면, 메모리부(120)로부터 이동통신과 다수의 부가서비스를 위한 운용(OPERATION) 프로그램과 응용(APPLICATION) 프로그램 및 해당 데이터를 로드(LOAD)하여 동작대기상태가 되고, 입출력부(130)를 구성하는 키보드로부터 인가되는 제어명령을 인식하고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입출력부(130)로부터 커서(CURSER)를 조이스틱으로 제어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조이스틱부로부터 위치제어 신호를 입력할 상태를 설정하며, 상기 입출력부(130)에 구비되는 키보드로부터 추가적인 명령으로 회전제어 상태로 운용할 것인지, 4 방향제어 상태로 운용할 것인지, 2 방향제어 상태로 운용할 것인지 또는 8 방향 등과 같이 다면방향 제어상태로 운용 할 것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인가되는 명령을 분석하여 조이스틱부(150)를 회전제어 상태로 운용하고자 하는 경우, 회전부(160)를 운용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조이스틱부(150)로부터 인가되는 방향제어신호를 상기 회전부(160)에 전송한다.
상기 회전부(160)는 조이스틱부(15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를 분석하여 이동방향 또는 이동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제어부(110)에 출력하며, 상기 제어부(110)는 입력되는 방향정보 또는 위치정보에 의하여 표시부(140)에 출력되어 표시되는 커서의 위치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입출력부(13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명령이 상기 조이스틱부(150)를 4 방향으로 제어 또는 2 방향으로 제어 또는 지정된 다방향으로 제어하는 경우, 상기 다면부(170)를 제어하여 상기 조이스틱부의 신호를 검출하는 영역 을 4 방향영역 또는 2 방향영역 또는 지정된 다방향 영역으로 분할 설정하며, 상기와 같이 분할 설정된 영역정보는 키필터부(180)에 인가된다.
상기 첨부된 도5에, 일 예에 의하여, 분할 설정된 2 방향 검출영역과 4 방향 검출영역을 도시하였다.
상기 조이스틱부(150)를 4 방향 제어로 운용하는 상태에서, 해당 레버가 상방향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해당 제어신호가 키필터부(180)에 인가되고, 상기 키필터부(180)는 상방향 영역의 어느 위치에서든지 조이스틱부(150)의 신호가 검출되면 해당 방향신호를 제어부(110)에 인가하고, 상기 제어부(110)는 표시부(140)에 출력되는 커서의 위치를 제어한다.
즉, 상방향 영역에서 조이스틱부(150)의 위치제어신호가 검출되면 커서를 상방향으로 일정하게 위치이동하는 것이 본 발명 기술이고, 종래에는 상방향 성분을 분석하여 상방향과 해당 좌방향 또는 우방향 성분으로 분리검출하여 해당 제어하므로, 방향 또는 위치제어가 어려운 문제를 해결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360도 위치제어를 목적으로 하는 조이스틱부를 이용하여 2 방향 또는 4 방향 또는 지정된 분할 방향으로 편리하게 위치 제어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 상기 첨부된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조이스틱 운용방법을 설명한다.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의 제어부(110)는 조이스틱으로 커서위치를 제어하는 경우, 회전 제어할 것인지 판단하는 것으로, 해당 제어명령에 의하여 조이스틱부로 커서를 위치 이동하는 방향제어 하는지 판단하는 과정(S100); 상기 과정(S100)에서 커서 제어하는 경우, 360도 범위의 회전 제어하는지 판단하는 과정(S110)으로 이루어지는 시작과정과,
상기 시작과정에서 커서(CURSER)를 회전제어하는 경우, 회전부(160)를 운용 설정하고, 커서위치를 360도 범위에서 구동신호에 상응하게 검출 회전제어하는 것으로, 회전부(160)를 제어하여 운용상태로 설정하는 과정(S120); 상기 과정(S120)의 회전부(160)에 조이스틱부(150)로부터 인가되는 구동신호를 인가하여 360도 범위에서 상응하는 방향신호를 검출하여 회전제어하는 과정(S130)으로 이루어지는 회전과정과,
상기 과정의 커서를 4 방향 제어하면 키필터를 4개 방향영역으로 설정하고 조이스틱의 구동신호에 의하여 커서위치를 상응하게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110)에 의하여 커서를 4 방향 제어하는지 판단하는 과정(S140); 상기 과정(S140)에서 커서를 4 방향 제어하는 경우, 4 방향 검출영역을 설정하고 키필터부(180)에 인가하여 4개 방향 검출상태를 설정하는 과정(S150); 상기 과정(S150)의 키필터부(180)에 조이스틱부(150)의 구동신호를 인가하여 4방향에 상응하는 방향을 검출하고 커서위치의 이동방향을 제어하는 과정(S160)으로 이루어지는 4방향 과정과,
상기 과정의 커서를 2 방향 제어하면 키필터를 2개 방향영역으로 설정하고 조이스틱부의 구동신호에 의하여 커서위치를 상응하게 제어하는 것으로, 제어부(110)에 의하여 커서를 2 방향 제어하는지 판단하는 과정(S170); 상기 과정(S170)에서 커서를 2 방향 제어하는 경우, 2 방향 검출영역을 설정하고 키필터부(180)에 인가하여 2개 방향 검출상태를 설정하는 과정(S180); 상기 과정(S180)의 키필터부(180)에 조이스틱부(150)의 구동신호를 인가하여 2방향에 상응하는 방향을 검출하고 커서위치의 이동방향을 제어하는 과정(S190)으로 이루어지는 2방향 과정과,
상기 커서를 다면 방향으로 제어하는 경우 키필터부(180)를 다면방향 영역으로 설정하고 조이스틱부(150)의 구동신호에 의하여 커서 위치를 상응하게 제어하는 다방향 과정으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조이스틱 운용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의 제어부(110)는 표시부(140)에 표시되는 커서의 위치를 제어하는 경우(S100), 조이스틱부로부터 인가되는 위치신호를 회전제어 상태로 분석할 것인지를 판단한다(S110).
상기 과정(S100)의 판단에서 회전제어를 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회전부(160)를 운용상태로 설정하고(S120), 조이스틱부(150)로부터 인가되는 위치 구동신호를 회전부(160)에 인가하여 처리하므로, 커서를 360도 범위 안에서 상응하는 위치로 회전제어한다(S130).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입출력부(130)를 통하여 인가되는 명령을 분석하여, 조이스틱부(150)로부터 인가되는 위치 구동신호를 4 방향방식 검출로 확인되면(S140), 상기 다면부(170)를 응용(APPLICATION) 제어하여, 조이스틱부(15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4 방향으로 검출하도록 영역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영역 정보는 키필터부(180)에 인가하여 4 방향 검출상태를 설정한다(S150).
상기 키필터부(180)는 조이스틱부(150)로부터 인가되는 구동신호를 분석하여 4 방향영역의 어느 위치에 해당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제어부(110)에 인가하며, 상기 제어부(110)는 표시부(140)에 출력되는 커서의 위치를 변경제어하고 표시한다(S160).
상기 제어부(110)가 입출력부(130)로부터 인가되는 명령을 분석하여, 조이스틱부(150)로부터 인가되는 위치 구동신호를 2 방향 제어하는 것으로 확인되면(S170), 상기 다면부(170)를 응용(APPLICATION) 제어하여, 검출영역을 2개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검출영역 정보는 키필터부(180)에 인가하여 2 방향 검출상태를 설정한다(S180).
상기 키필터부(180)는 조이스틱부(150)로부터 인가되는 구동신호를 분석하여 2 방향영역의 어느 위치에 해당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제어부(110)에 인가하며, 상기 제어부(110)는 표시부(140)에 출력되는 커서의 위치를 변경제어하고 표시한다(S190).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구비되는 조이스틱으로 2방향 또는 4 방향 또는 설정되는 다방향으로 제어하는 신호를 검출하고, 해당 커서의 위치를 제어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일체로 구비되는 조이스틱의 위치제어신호를 설정되는 2방향, 4 방향, 다방향 등으로 검출하므로, 커서의 위치를 지정된 방향으로 제어하기 용이한 산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의 조이스틱으로 네비게이션 키 기능을 대신하므로 네비게이션 키를 구비하지 않아, 크기를 작게하고 키보드부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휴대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커서의 위치제어신호를 원터치로 출력하는 조이스틱부와,
    상기 조이스틱부와 접속하고 선택에 의하여 커서를 다방향 응용 위치제어 하거나 회전 위치제어 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고, 조이스틱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의하여 커서를 선택된 다방향 응용으로 이동하는 다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고, 조이스틱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의하여 커서를 선택된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는 회전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조이스틱부의 위치제어신호를 선택된 다방향 응용 신호로 여파하여 출력하는 키필터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조이스틱 운용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기지국과 무선접속하고 통신신호를 무선송수신하는 무선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고 조이스틱 운용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출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멀티미디어 통신신호를 입력하고 출력하는 입 출력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커서와 이미지 신호를 출력하는 표시부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조이스틱 운용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면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조이스틱부가 커서를 네비게이션 키와 같이 2 방향이거나 4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조이스틱부의 운동영역을 2 분할하거나 4 분할하고 선택에 의하여 출력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조이스틱 운용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다면부는,
    조이스틱부가 커서를 네비게이션 키와 같이 8 방향이거나 그 이상의 다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조이스틱부의 운용영역을 8 분할하거나 그 이상의 다면으로 분할하고 선택에 의하여 출력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조이스틱 운용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조이스틱부로부터 인가되는 위치신호를 분석하고 커서가 360도 범위 안에서 상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조이스틱 운용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키필터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조이스틱부의 구동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다면부가 선택 출력하는 분할방향의 어느 위치에 해당하는지를 확인 출력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조이스틱 운용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출력부로부터 상기 조이스틱부의 다면방향 검출 제어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다면부를 제어하여 입력된 다면방향으로 영역을 분할하고, 상기 다면부가 분할한 영역 정보를 키필터부에 인가하여, 상기 조이스틱부로부터 입력되는 구동신호가 해당되는 영역의 방향을 검출하며, 상기 표시부의 커서를 상기 검출된 방향으로 위치 이동하여 표시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조이스틱 운용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출력부로부터 상기 조이스틱부를 회전제어하는 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회전부를 제어하여 상기 조이스틱부로부터 입력되는 구동신호가 360도의 해당 영역 방향을 검출하며, 상기 표시부의 커서를 상기 검출된 방향으로 위치 이동하여 표시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조이스틱 운용장치.
  9. 휴대단말기의 제어부는 조이스틱으로 커서위치를 제어하는 경우, 회전 제어할 것인지 판단하는 시작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커서를 회전 제어하는 경우, 회전부를 운용 설정하고, 커서위치를 360도 범위에서 구동신호에 상응하게 검출 회전제어하는 회전과정과,
    상기 과정의 커서를 4 방향 제어하면 키필터를 4개 방향 검출영역으로 설정하고 조이스틱의 구동신호에 의하여 커서위치를 상응하게 제어하는 4방향 과정과,
    상기 과정의 커서를 2 방향 제어하면 키필터를 2개 방향 검출영역으로 설정하고 조이스틱의 구동신호에 의하여 커서위치를 상응하게 제어하는 2방향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조이스틱 운용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과정은,
    휴대단말기 제어부는 해당 제어명령에 의하여 조이스틱부로 커서를 위치 이동하는 방향제어 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커서 제어하는 경우, 360도 범위의 회전 제어하는지 판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조이스틱 운용방법.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과정은,
    상기 시작과정에서 회전제어하는 경우에 회전부를 제어하여 운용상태로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의 회전부에 조이스틱부로부터 인가되는 구동신호를 인가하여 360도 범위에서 상응하는 방향신호를 검출하여 회전 제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조이스틱 운용방법.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4방향과정은,
    상기 과정의 제어부에 의하여 커서를 4 방향 제어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커서를 4 방향 제어하는 경우, 4 방향 검출영역을 설정하고 키필터부에 인가하여 4개 방향 검출상태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의 키필터부에 조이스틱부의 구동신호를 인가하여 4 방향에 상응하는 방향을 검출하고 커서위치의 이동방향을 제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조이스틱 운용방법.
  13.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2 방향과정은,
    상기 과정의 제어부에 의하여 커서를 2 방향 제어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커서를 2 방향 제어하는 경우, 2 방향 검출영역을 설정하고 키필터부에 인가하여 2개 방향 검출상태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의 키필터부에 조이스틱부의 구동신호를 인가하여 2방향에 상응하는 방향을 검출하고 커서위치의 이동방향을 제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조이스틱 운용방법.
  14.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를 다면 방향으로 제어하는 경우 키필터를 다면방향 영역으로 설정하고 조이스틱부의 구동신호에 의하여 커서 위치를 상응하게 제어하는 다방향 과정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조이스틱 운용방법.
KR1020040086839A 2004-10-28 2004-10-28 휴대단말기의 조이스틱 운용장치 및 방법 KR100664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6839A KR100664165B1 (ko) 2004-10-28 2004-10-28 휴대단말기의 조이스틱 운용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6839A KR100664165B1 (ko) 2004-10-28 2004-10-28 휴대단말기의 조이스틱 운용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7784A true KR20060037784A (ko) 2006-05-03
KR100664165B1 KR100664165B1 (ko) 2007-01-04

Family

ID=37145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6839A KR100664165B1 (ko) 2004-10-28 2004-10-28 휴대단말기의 조이스틱 운용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41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506B1 (ko) * 2007-12-21 2009-12-0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작 정보 입력 장치 및 이를 사용한 동작 정보 입력 방법
KR101346889B1 (ko) * 2006-11-17 2014-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이스틱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입력 처리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889B1 (ko) * 2006-11-17 2014-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이스틱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입력 처리방법
KR100930506B1 (ko) * 2007-12-21 2009-12-0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작 정보 입력 장치 및 이를 사용한 동작 정보 입력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4165B1 (ko) 2007-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1173B1 (ko) 표시 및 조작 시스템 및 방법
EP2153631B1 (en) Improved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e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79174B1 (ko) 로테이터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이동 전화기
KR20110040110A (ko) 휴대단말기의 바탕화면 표시 방법
KR20030086431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04070654A (ja) 携帯用電子機器
US20050124387A1 (en) Portable apparatus user interface
KR20070117950A (ko) 메뉴 아이콘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 및 그 방법
KR101339942B1 (ko) 입력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JP2000267786A (ja) 情報通信機器
JP2012511867A (ja) 電子装置の検出された傾斜と傾斜レートの少なくともいずれかに基づいて複数のキー入力領域を修正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30035857A (ko) 이동 화면 탐색 장치 및 방법
US20100052950A1 (en) Multi-input multi-directional device for computer or electronic device input (keyboard-type device)
EP2334038A1 (en) Portable terminal device, image display method used for same, and recording medium to record program for same
JP2006279361A (ja) 携帯端末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用プログラム
KR101608799B1 (ko) 객체 출력이 가능한 다이얼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장치 및 방법
US8514244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fore
JP2007310815A (ja) 携帯端末装置
KR100664165B1 (ko) 휴대단말기의 조이스틱 운용장치 및 방법
KR100831752B1 (ko) 이동 단말기, 이동 단말기를 동작시키는 방법 및 이동단말기와 이동 단말기를 동작시키는 방법에서 사용하기위한 정보 항목들
JP2003005905A (ja) 電子機器
KR20100050831A (ko) 전자 기기 화면의 커서의 이동 속도 조절이 가능한 방향키 구동 장치 및 방법
JP2003173239A (ja) 携帯型情報端末装置及び画面表示制御方法
KR10045514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아이콘 선택에 따른 도움말 표시방법
KR101087485B1 (ko) 조그 다이얼 장치 및 조그 다이얼을 이용한 항목 이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