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7950A - 메뉴 아이콘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메뉴 아이콘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7950A
KR20070117950A KR1020060052221A KR20060052221A KR20070117950A KR 20070117950 A KR20070117950 A KR 20070117950A KR 1020060052221 A KR1020060052221 A KR 1020060052221A KR 20060052221 A KR20060052221 A KR 20060052221A KR 20070117950 A KR20070117950 A KR 20070117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on
focus
button signal
menu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2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7230B1 (ko
Inventor
이영호
옥준호
박상현
조수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2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7230B1/ko
Priority to US11/723,857 priority patent/US8407622B2/en
Priority to EP07109920.4A priority patent/EP1865408B1/en
Priority to JP2007152937A priority patent/JP4960151B2/ja
Priority to CN2007101089934A priority patent/CN101087459B/zh
Publication of KR20070117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7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7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7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G06F3/04895Guidance during keyboard input operation, e.g. promp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뉴 아이콘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 상위 아이콘과 그에 따른 하위 아이콘들을 계층적 구조로 디스플레이 해주는 메뉴 아이콘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 아이콘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발생된 버튼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버튼 신호가 기능버튼 신호인지, 방향버튼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버튼 신호 판단부와, 소정의 메뉴 아이콘 상에 위치된 포커스의 위치를 체크하는 포커스 위치 체크부와, 상기 포커스가 이동되는 방향으로 배경화면의 뷰 포인트를 변동시키는 배경 화면 관리부와, 상기 포커스의 위치에 따라 메뉴 아이콘의 크기를 변경시키는 아이콘 관리부를 포함한다.
휴대용 장치, 메뉴 아이콘, 뷰 포인트, 계층적 구조

Description

메뉴 아이콘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 및 그 방법{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menu icon}
도 1은 종래 휴대용 장치의 메뉴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 아이콘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를 나타낸 화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뉴 아이콘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의 내부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뉴 아이콘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뉴 아이콘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에서 방향버튼의 조작에 따라 이동되는 배경화면 및 메뉴 아이콘을 나타낸 도면.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뉴 아이콘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에서 메뉴 아이콘 선택 시 수행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 휴대용 장치 200 : 디스플레이 패널
300 : 입력 장치 110 : 버튼 신호 입력부
120 : 버튼 신호 판단부 130 : 포커스 위치 체크부
140 : 배경화면 관리부 150 : 아이콘 관리부
160 : 디스플레이부 170 : 제어부
본 발명은 메뉴 아이콘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 상위 아이콘과 그에 따른 하위 아이콘들을 계층적 구조로 디스플레이 해주는 메뉴 아이콘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통신기술이 급격하게 발전됨에 따라 개인이 이동 중에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장치가 개발되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장치는 개인이 휴대하고 다니면서 상대방과 음성 통화 및 화상 통화를 하거나 문자 메시지 등의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으며, 인터넷을 접속하기도 하는 등 일상 생활에서 늘 가까이 사용하는 편리한 통신 도구로서, 예를 들어 이동 전화기(Mobile telephone), 휴대폰, 핸드폰,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s)폰, 개인휴대 전화, 무선 통신 단말기(Wireless Communcation Terminal),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단말기,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s 2000)단말기 등이 있다.
도 1은 종래 휴대용 장치의 메뉴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장치의 기능을 동작하기 위한 각종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으로는 2D 및 3D 형태의 이미지 객체를 디스플레이 패널(11)에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다음, 사용자가 소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메뉴 아이콘들(12)을 일일이 선택한 후, 선택된 메뉴 아이콘(12)에 포함된 세부 메뉴 항목을 검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즉,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기능이 어떤 메뉴 아이콘에 포함되어 있는지 모르는 경우 디스플레이된 메뉴 아이콘들(12)을 일일이 선택하고, 선택된 메뉴 아이콘 내에 이용하고자 하는 기능 항목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다른 메뉴 아이콘으로 이동하기 위해서 다시 상위 메뉴 아이콘으로 이동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원하는 기능을 검색하기 위해 많은 버튼 조작(즉, 버튼 선택)을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 2003-88374호(휴대용 정보 단말 장치,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그들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는 메뉴 항목을 표시하는 메뉴 패널은 해당 이동 궤적 Lf에 따라 설정된 표시 위치 P를 국부 원점으로서, 가상 카메라 C에 법선이 향하도록 배열됨과 동시에, 가상 카메라 C에서의 거리에 따라 투명도를 높게 설정한다. 스크롤 조작된 경우, 선택된 특정한 메뉴 패널이 표시 위치 P0으로 이동할 때까지 메뉴 패널을 표시 위치 P 사이의 이동 궤적 Lf1∼Lf3에 따라 이동시킨다. 휴대형 정보 단말 장치의 표시 화면은, 가상 카메라 C에 의한 스 크린 화상 V로서 묘화되어, 메뉴 패널이 롤 형상으로 입체적으로 표시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카메라의 높이 조절만이 가능한 것으로, 종래의 휴대형 정보 단말 장치에서와 같이 메뉴 화면이 각각 하나의 화면으로 연속적이지 않게 제공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화면상에 상위 아이콘과 상기 상위 아이콘의 하위 아이콘들을 계층적 구조로 디스플레이 해줌으로써, 사용자가 선택된 아이콘의 위치 정보를 쉽게 인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조작한 방향버튼의 방향으로 배경화면의 뷰 포인트를 변화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 아이콘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발생된 버튼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버튼 신호가 기능버튼 신호인지, 방향버튼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버튼 신호 판단부와, 소정의 메뉴 아이콘 상에 위치된 포커스의 위치를 체크하는 포커스 위치 체크부와, 상기 포커스가 이동되는 방향으로 배경화면의 뷰 포인트를 변동시키는 배경 화면 관리부와, 상기 포커스의 위치에 따라 메뉴 아이콘의 크기를 변경시키는 아이콘 관 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뉴 아이콘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의해 발생된 버튼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버튼 신호가 방향버튼 신호인 경우, 소정의 상위 아이콘에 위치된 포커스의 위치를 체크하고, 상기 입력된 방향으로 상기 포커스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포커스의 위치가 이동되면 상기 포커스의 이동 방향으로 배경화면의 뷰 포인터를 변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이동된 포커스의 위치에 따라 메뉴 아이콘의 크기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 아이콘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를 나타낸 화면이다. 여기서, 휴대용 장치(100)는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상대방과 통화를 하거나 문자 메시지 전송, 및 인터넷을 접속할 수 있는 장치로써, 예를 들어 핸드폰, PDA, 및 무선 통신 단말기 등을 말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장치(100)는 복수의 메뉴 아이콘(icon)들(221,222)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패널(200) 및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디스플레이된 메뉴 아이콘(221,222)들을 조작할 수 있는 입력 장치(300)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메뉴 아이콘(221,222)은 2차원 및 3차원으로 만들어진 문자, 웹 페이지, 그림, 동영상, 등을 포함하며, 풀 다운 메뉴(pull-down menu), 버튼(button)과 같은 GUI 요소(Component)들을 모두 총괄한다. 또한, 메뉴 아이콘(221,222)들은 상위 아이콘(221) 및 상기 상위 아이콘(221)에 포함되는 하위 아이콘(222)으로 구분된다.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배경화면(210)과 상기 배경화면(210) 상에 오버레이(overlay)된 복수의 아이콘(221,222)들이 디스플레이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입력 장치(300)의 방향버튼(310)을 조작하여 포커스(focus)(230)를 이동시켜 디스플레이된 소정 아이콘(221,222)을 선택하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방향버튼(310)의 방향으로 배경화면(210)의 뷰 포인트(view point)가 변동된다. 이에, 사용자가 조작하는 방향으로 배경화면(210)의 뷰 포인트가 이동되어, 상기 사용자가 조작하는 방향으로 사용자의 시각도 함께 이동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여기서, 뷰 포인트는 사용자가 바라보는 시각에 따라 변동되는 화면의 포인트를 말한다. 예를 들어, 뷰 포인트는 탑뷰(top view), 바텀뷰(bottom view), 좌측뷰(left view), 및 우 측뷰(right view)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탑뷰는 사용자가 화면의 상측을 바라보는 시각을 말하는 것이고, 바텀뷰는 사용자가 화면의 하측을 바라보는 시각을 말하는 것이며, 좌측뷰는 사용자가 화면의 좌측을 바라보는 시각을 말하는 것이고, 우측뷰는 사용자가 화면의 우측을 바라보는 시각을 말하는 것이며 말한다.
입력 장치(300)는 디스플레이 패널(200) 상에 디스플레이된 아이콘(221,222)들을 선택 및 동작시키는 소정의 기능버튼 및 소정 아이콘(221,222)을 선택하는 포커스(230)를 이동시키는 방향버튼(310)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방향버튼(310)은 포커스(230)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4방향 버튼을 말하며, 기능버튼은 포커스(230)가 위치된 메뉴 아이콘(221,222)을 선택하여 활성화시키는 실행버튼 및 활성화된 아이콘을 이전 상태로 복귀시키는 복귀버튼 등을 말한다. 여기서, 기능버튼은 휴대용 장치(100)에 별도의 버튼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일반버튼(예를 들어, 숫자, 한글, 영문이 할당된 버튼)에 소정 기능을 추가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 장치(300)의 소정 기능 버튼을 이용하여 포커싱된 특정 상위 아이콘(221)을 선택하면 해당 상위 아이콘(221)의 하위 아이콘(221)들이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어, 상위 아이콘(221)은 정 중앙에 위치된 특정 상위 아이콘(예를 들어, 인터넷(@) 아이콘)을 지나 소정 방향(즉, 도시된 화살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위치가 이동되며, 하위 아이콘(222)들은 정 중앙에 위치된 특정 상위 아이콘(예를 들어, 인터넷(@) 아이콘)과 반대 방향(도시된 화살표 방향)위 위치에 디스플레 이 된다. 이 때, 하위 아이콘(222)들은 상위 아이콘(221)을 중심으로 호(弧) 형태로 배치된다. 한편, 정 중앙에 위치된 상위 아이콘(예를 들어, 인터넷(@) 아이콘)은 Z 방향(즉, 3차원의 깊이 방향)으로 이동되며, 하위 아이콘(222)들은 상위 아이콘(221)을 중심으로 원형으로 배치되어 디스플레이된다.
도시된 화살표 방향은 상측 방향(↑), 좌측 상단 방향(↖), 우측 상단 방향(↗), 좌측 방향(←), 우측 방향(→), 하측 방향(↓), 좌측 하단 방향(↙), 및 우측 하단 방향(↘) 등이다.
또한, 소정 상위 아이콘(221)의 선택에 따라 하위 아이콘(222)들이 디스플레이될 때 각각의 상위 아이콘(221) 및 하위 아이콘(222)은 모션블러(motion blur)에 의해 위치가 이동되는 동작이 시각적으로 제공된다. 여기서 모션블러는 이미지에 운동감이 있도록 각도를 조절하여 속도감 있게 흐려주는 효과를 말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된 상위 아이콘(221)들 중 포커스(230)가 핸드폰 기기 아이콘(221a)에 위치되어 있을 경우, 사용자가 기능 버튼(예를 들어, 실행 기능 버튼)을 이용하여 해당 상위 아이콘(221a)를 선택하면, 핸드폰 기기 아이콘(221a)의 위치가 우측 하단 방향(↘)로 변경되고, 핸드폰 기기 아이콘(221a)의 하위 아이콘(222)들이 좌측 상단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된다. 즉, 선택된 해당 상위 아이콘(221)은 도시된 화살표의 반대 방향으로 위치가 이동되고, 해당 상위 아이콘(221)의 하위 아이콘(222)들은 화살표 방향으로 위치된다. 이 때, 상위 아이콘(221a) 및 하위 아이콘(222)들의 위치가 변동되는 동작이 모션블러에 의해 시각적으로 제공된다. 이하, 도 6에서 포커싱된 상위 아이콘 선택 시 하위 아이콘들이 디스플레이되는 예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뉴 아이콘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의 내부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장치(100)는 버튼 신호 입력부(110), 버튼 신호 판단부(120), 포커스 위치 체크부(130), 배경화면 관리부(140), 아이콘 관리부(150), 디스플레이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버튼 신호 입력부(110)는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의해 발생된 버튼 신호를 입력 받는다. 여기서, 사용자에 의해 발생되는 버튼신호는 아이콘(221,222)을 선택 및 동작시키는 소정 기능버튼 신호, 및 특정 메뉴 아이콘(221,222) 상에 위치된 포 커스(230)를 이동시키는 방향버튼 신호 등을 말한다.
버튼 신호 판단부(120)는 버튼 신호 입력부(1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발생된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신호가 소정 기능버튼의 신호인지, 방향버튼의 신호인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기능버튼의 신호인지 방향버튼의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것은 해당 메뉴 아이콘(221,222)의 선택 및 동작을 요청하는 것인지 또는 포커스(230)의 위치 이동을 요청하는 것인지 판단하기 위해서 이다.
포커스 위치 체크부(130)는 디스플레이 패널(200) 상에 디스플레이된 메뉴 아이콘(221,222)들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소정 메뉴 아이콘에 위치된 포커스(230)의 위치를 체크하며, 사용자의 방향버튼 조작에 의해 이동되는 포커스(230)의 위치를 체크한다.
배경화면 관리부(14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방향버튼(310)의 방향으로 배경화면(210)의 뷰 포인트를 변동시킨다. 이에, 사용자가 조작하는 방향으로 배경화면(210)의 뷰 포인트가 이동되어, 상기 사용자가 조작하는 방향으로 사용자의 시각도 함께 이동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측 방향키를 선택할 경우 사용자가 상측을 바라보는 시각의 배경화면(210)이 디스플레이된다. 즉, 배경화면(210)의 탑뷰를 변동시켜 사용자의 시각이 상측 방향을 바라보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도 5에서 방향버튼의 조작에 따라 이동되는 배경화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후술한다.
아이콘 관리부(15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방향버튼(310)의 방향으로 포커스(230)가 이동될 때, 포커스(230)의 위치에 따라 상위 아이콘(221)의 크기를 변경 한다. 여기서, 포커스(230)가 위치된 아이콘의 크기가 복수의 다른 아이콘들 보다 크게 확대된다.
또한, 사용자가 소정 상위 아이콘(221)을 선택함에 따라 복수의 하위 아이콘(222)이 디스플레이되며, 그 중 하나의 하위 아이콘에 포커스(320)가 위치된다. 여기서, 복수의 하위 아이콘(222)은 상위 아이콘(221)을 중심으로 배치되며, 사용자가 선택한 방향버튼(310)의 방향으로 하위 아이콘(222)들이 회전된다. 이 때, 포커싱된 위치는 배경화면(210) 상의 특정 위치이며, 상기 특정 위치는 하위 아이콘(222)의 이동 시 변동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부(160)는 복수의 아이콘(221,222)들 및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의해 활성화된 이미지 등을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60)는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의해 이동된 포커스(230)를 디스플레이한다.
제어부(170)는 휴대용 장치(100)를 구성하는 각 기능성 블록들(110 내지 160)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뉴 아이콘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가 휴대용 장치(100)를 이용하여 메뉴 화면을 활성화 시킨다.
그 다음, 사용자가 버튼을 조작하여 소정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에 버튼 신호 입력부(110)는 발생된 버튼 신호를 입력 받는다(S410). 그 다음, 버튼 신호 판단부(120)는 입력된 버튼 신호의 종류를 판단한다(S420). 여기서, 버튼 신호는 소 정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 버튼의 신호 및 포커스(230)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방향 버튼 신호를 말한다.
판단 결과 입력된 버튼 신호가 방향 버튼 신호인 경우(S430), 포커스 위치 체크부(130)는 화면상에 위치된 포커스(230)의 현재 위치를 체크하고, 제어부(170)는 체크된 포커스(230)의 위치에서 입력된 방향으로 포커스(230)의 위치를 이동시킨다(S440). 이하, 도 4b에서 단계 S44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후술한다.
그 다음, 사용자에 의해 소정의 버튼 신호가 발생되면(S450), 버튼 신호 입력부(110)는 발생된 신호를 입력받고, 버튼 신호 판단부(120)는 입력된 버튼 신호의 종류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입력된 버튼 신호가 기능 버튼 신호인 경우(S460), 제어부(170)는 선택된 상위 아이콘(221)을 활성화시키고, 디스플레이부(160)를 통해 해당 상위 아이콘(221) 및 상기 해당 상위 아이콘(221)의 하위 아이콘(222)들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한다(S470). 이하, 도 4c에서 단계 S47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후술한다.
한편, 입력된 버튼 신호의 종류를 판단한 결과 방향 버튼의 신호가 입력된 경우(S460), 제어부(170)는 현재의 포커스(230) 위치에서 입력된 방향으로 포커스(230)의 위치를 이동시킨다(S440). 이 후, 단계 S450 내지 S470 단계는 동일하게 수행된다.
한편, 입력된 버튼 신호가 기능 버튼 신호인 경우(S430), 포커스 위치 체크부(130)는 포커스(230)의 현재 위치를 체크하고(S480), 제어부(170)는 체크된 포커스(230)가 위치된 해당 상위 아이콘(221)을 활성화 시키고, 디스플레이부(160)를 통해 해당 상위 아이콘(221) 및 상기 해당 상위 아이콘(221)의 하위 아이콘(222)들을 디스플레이 한다(S470).
따라서, 화면상에 상위 아이콘(221) 및 하위 아이콘(222)을 계층적 구조로 디스플레이시킴으로써, 사용자는 현재 이용하고 있는 아이콘의 위치를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인지할 수 있다.
도 4b는 메뉴 아이콘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중 단계 S440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먼저, 사용자에 의해 발생된 버튼 신호가 방향 버튼 신호인 경우, 포커스 위치 체크부(130)는 포커스(230)의 현재 위치를 체크하고, 제어부(170)는 체크된 포커스(230)의 위치에서 상기 입력된 방향으로 포커스(230)의 위치를 이동시킨다(S441).
그 다음, 포커스(230)가 소정 방향으로 이동되면, 이동된 해당 방향으로 배경화면(210)의 뷰 포인터가 변동되고(S442), 포커스(230)가 위치된 메뉴 아이콘(예를 들어, 상위 아이콘)의 크기가 변경된다. 여기서, 배경화면(210)의 뷰 포인트가 변동되어, 사용자가 조작하는 방향으로 사용자의 시각도 함께 이동하는 것과 같은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포커스(230)가 위치된 메뉴 아이콘의 크기가 복수의 다른 아이콘들 보다 크게 확대된다. 이하, 도 5에서 방향버튼의 조작에 따라 이동되는 배경화면 및 메뉴 아이콘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후술한다.
도 4c는 메뉴 아이콘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중 단계 S470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먼저, 사용자에 의해 발생된 버튼 신호가 기능버튼 신호인 경우, 제어부(170)는 선택된 상위 아이콘(221)을 활성화 시킨다. 이에, 디스플레이부(160)를 통해 해당 상위 아이콘(221) 및 상기 해당 상위 아이콘(221)의 하위 아이콘(222)들이 디스플레이 된다(S471).
그 다음, 사용자에 의해 발생된 소정 버튼 신호가 버튼 신호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면(S472), 버튼 신호 판단부(120)는 입력된 버튼 신호의 종류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방향버튼 신호가 입력된 경우(S473), 디스플레이된 하위 아이콘(222)들이 입력된 방향버튼(310)의 방향으로 소정 간격 회전된다(S474). 여기서, 화면상에 위치된 포커스(230)의 위치는 변경되지 않는다. 즉, 하위 아이콘(222)이 소정 간격 회전되어 특정 하위 아이콘이 포커스(230)에 위치되는 것이다. 이하, 도 6에서 방향버튼의 조작에 따라 회전되는 하위 아이콘)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후술한다.
그 다음, 버튼 신호 입력부(110)를 통해 사용자가 발생시킨 소정 버튼 신호가 입력되면(S475), 버튼 신호 판단부(120)는 입력된 버튼 신호의 종류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기능버튼 신호가 입력된 경우(S476), 포커스(230)가 위치된 해당 하위 아이콘(222)이 활성화 되어 디스플레이부(160)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디스플레이 된다(S477).
한편, 판단 결과 기능버튼 신호가 입력된 경우(S476), 단계 S474 내지 단계 S477 과정을 다시 수행한다. 또한, 판단 결과 방향버튼 신호가 입력된 경우(S473), 단계 S477 과정을 수행한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뉴 아이콘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에서 방향버튼의 조작에 따라 이동되는 배경화면 및 메뉴 아이콘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도 5a는 휴대용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디스플레이된 상위 아이콘(221)들 중 정 중앙에 위치된 상위 아이콘에 포커스(230)가 위치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b는 포커스(230)가 화면상의 상측에 위치된 상위 아이콘(221)에 위치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c는 포커스(230)가 화면상의 좌측에 위치된 상위 아이콘(221)에 위치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d는 포커스(230)가 화면상의 하측에 위치된 상위 아이콘에 위치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상위 아이콘(221)들 중 가운데에 위치된 상위 아이콘(예를 들어, 인터넷(@) 아이콘)에 포커스(230)가 위치된 경우, 배경화면(210)의 뷰 포인트는 변동되지 않는다. 이에 사용자가 배경화면(210)을 정면에서 바라보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복수의 상위 아이콘(221)들 중 포커스(230)가 위치된 특정 상위 아이콘(예를 들어, 인터넷(@) 아이콘)의 크기가 다른 상위 아이콘들 보다 크게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상위 아이콘(221)들 중 상측에 위치된 상위 아이콘(예를 들어, 문서 아이콘)에 포커 스(230)가 위치된 경우, 배경화면(210)의 탑뷰가 변동되어 사용자가 배경화면(210)의 상측 방향을 바라보는 것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복수의 상위 아이콘(221)들 중 포커스(230)가 위치된 특정 상위 아이콘(예를 들어, 문서 아이콘)의 크기가 다른 상위 아이콘들 보다 크게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된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상위 아이콘(221)들 중 좌측에 위치된 상위 아이콘(예를 들어, 메시지 아이콘)에 포커스(230)가 위치된 경우, 배경화면(210)의 좌측뷰가 변동되어 사용자가 배경화면(210)의 좌측 방향을 바라보는 것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복수의 상위 아이콘(221)들 중 포커스(230)가 위치된 특정 상위 아이콘(예를 들어, 메시지 아이콘)의 크기가 다른 상위 아이콘들 보다 크게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된다.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상위 아이콘(221)들 중 하측에 위치된 상위 아이콘에 포커스(230)가 위치된 경우, 배경화면(210)의 바텀뷰가 변동되어 사용자가 배경화면(210)의 하측 방향을 바라보는 것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복수의 상위 아이콘(221)들 중 포커스(230)가 위치된 특정 상위 아이콘의 크기가 다른 상위 아이콘들 보다 크게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뉴 아이콘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에서 메뉴 아이콘 선택 시 수행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상위 아이콘(221)들 중 상단부의 좌측에 위치된 특정 상위 아이콘(221a)에 포커스(230)를 위치시킨 후 선택하면, 해당 상위 아이콘(221a)의 위치는 우측 하단 방향(↘)으로 변동된다.
그 다음, 상위 아이콘(221a)의 복수의 하위 아이콘(222)들은 상위 아이콘(221a)을 중심으로 좌측 상단 방향(↖)에 디스플레이 되며, 그 중 하나의 하위 아이콘에 포커스(230)가 위치된다.
그 다음, 사용자는 방향버튼(310)을 이용하여 소정 하위 아이콘을 선택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방향버튼(310)의 방향으로 하위 아이콘(222)들이 회전된다. 여기서, 포커스(230)의 위치는 바탕화면(210)상의 특정 위치이며, 포커스(230)의 특정 위치는 하위 아이콘(222)들의 이동 시 변동되지 않는다. 이에, 회전되어 위치가 변동된 특정 하위 아이콘이 포커스(230) 상에 위치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상위 아이콘(221)들 중 정 중앙에 위치된 특정 상위 아이콘(221b)에 포커스(230)를 위치시킨 후 선택하면, 해당 상위 아이콘(221b)의 위치는 Z 방향(즉, 깊이 방향)으로 변동된다.
그 다음, 상위 아이콘(221b)의 복수의 하위 아이콘(222)들은 상위 아이콘(221b)을 중심으로 원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며, 그 중 하나의 하위 아이콘에 포커스(230)가 위치된다.
그 다음, 사용자는 방향버튼(310)을 이용하여 소정 하위 아이콘을 선택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방향버튼(310)의 방향으로 하위 아이콘(222)들이 회전된다. 여기서, 포커스(230)의 위치는 바탕화면(210) 상의 특정 위치이며, 포커스(230)의 특정 위치는 하위 아이콘(222)들의 이동 시 변동되지 않는다. 이에, 회전되어 위치가 변동된 특정 하위 아이콘이 포커스(230) 상에 위치된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상위 아이콘(221)들 중 우측에 위치된 특정 상위 아이콘(221c)에 포커스(230)를 위치시킨 후 선택하면, 해당 상위 아이콘(221c)의 위치는 좌측 방향(?)으로 변동된다.
그 다음, 상위 아이콘(221c)의 복수의 하위 아이콘(222)들은 상위 아이콘(221c)을 중심으로 우측 방향(?)에 디스플레이되며, 그 중 하나의 하위 아이콘에 포커스(230)가 위치된다.
그 다음, 사용자는 방향버튼(310)을 이용하여 소정 하위 아이콘을 선택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방향버튼(310)의 방향으로 하위 아이콘(222)들이 회전된다. 여기서, 포커스(230)의 위치는 바탕화면(210) 상의 특정 위치이며, 포커스(230)의 특정 위치는 하위 아이콘(222)들의 이동 시 변동되지 않는다. 이에, 회전되어 위치가 변동된 특정 하위 아이콘이 포커스(230) 상에 위치된다.
한편, 소정의 상위 아이콘(221)을 선택하여 하위 아이콘(222)들이 디스플레이 될 때, 하위 아이콘(222)들이 디스플레이되는 방향으로 배경화면(210)의 뷰 포인트도 변동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메뉴 아이콘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 및 그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휴대용 장치의 화면상에 상위 아이콘 및 그에 따른 하위 아이콘이 계층적 구조로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는 현재 이용하고 있는 아이콘의 위치를 보다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조작한 방향버튼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경화면의 뷰 포인트를 변화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시각도 함께 이동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3차원 GUI환경에서 사용자 시점(즉, 배경화면 뷰 포인트)의 변화에 따라 다면체 컴퍼넌트와 메뉴 아이콘들이 동적 변화를 일으키거나 정보가 변화되는 방식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시점의 변화에 따라 정보(예를 들어, 메뉴 아이콘)가 최적화되어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장점이 있다.

Claims (10)

  1. 사용자로부터 발생된 버튼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버튼 신호가 기능버튼 신호인지, 방향버튼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버튼 신호 판단부;
    소정의 메뉴 아이콘 상에 위치된 포커스의 위치를 체크하는 포커스 위치 체크부;
    상기 포커스가 이동되는 방향으로 배경화면의 뷰 포인트를 변동시키는 배경 화면 관리부; 및
    상기 포커스의 위치에 따라 메뉴 아이콘의 크기를 변경시키는 아이콘 관리부를 포함하는 메뉴 아이콘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의해 발생된 버튼 신호를 입력받는 버튼 신호 입력부; 및
    상기 메뉴 아이콘 및 상기 메뉴 아이콘에 위치된 포커스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메뉴 아이콘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아이콘은 상위 아이콘 및 하위 아이콘으로 구분되며, 상기 상위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상위 아이콘과 상기 상위 아이콘의 하위 아이콘들 이 계층적 구조로 디스플레이 되는 메뉴 아이콘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위 아이콘은 상기 상위 아이콘을 중심으로 하여 배치되며, 상기 사용자가 조작한 소정 방향으로 회전되는 메뉴 아이콘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아이콘 및 상기 하위 아이콘은 모션블러에 의해 화면상에서 위치가 이동되는 동작이 시각적으로 제공되는 메뉴 아이콘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
  6.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의해 발생된 버튼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버튼 신호가 방향버튼 신호인 경우, 소정의 상위 아이콘에 위치된 포커스의 위치를 체크하고, 상기 입력된 방향으로 상기 포커스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포커스의 위치가 이동되면 상기 포커스의 이동 방향으로 배경화면의 뷰 포인터를 변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이동된 포커스의 위치에 따라 메뉴 아이콘의 크기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뉴 아이콘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버튼 신호가 기능버튼 신호인 경우, 상기 체크된 포커스의 위치에 배치된 상위 아이콘의 하위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메뉴 아이콘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상위 아이콘과 상기 하위 아이콘들은 계층적 구조로 디스플레이 되는 메뉴 아이콘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하위 아이콘은 상기 상위 아이콘을 중심으로 하여 배치되며, 상기 사용자가 조작한 소정 방향으로 회전되는 메뉴 아이콘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아이콘 및 상기 하위 아이콘은 모션블러에 의해 화면상에 위치가 이동되는 동작이 시각적으로 제공되는 메뉴 아이콘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KR1020060052221A 2006-06-09 2006-06-09 메뉴 아이콘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 및 그 방법 KR100827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2221A KR100827230B1 (ko) 2006-06-09 2006-06-09 메뉴 아이콘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 및 그 방법
US11/723,857 US8407622B2 (en) 2006-06-09 2007-03-22 Portable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menu icons
EP07109920.4A EP1865408B1 (en) 2006-06-09 2007-06-08 Portable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menu icons
JP2007152937A JP4960151B2 (ja) 2006-06-09 2007-06-08 メニューアイコンを提供する携帯用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CN2007101089934A CN101087459B (zh) 2006-06-09 2007-06-11 提供菜单图标的便携式装置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2221A KR100827230B1 (ko) 2006-06-09 2006-06-09 메뉴 아이콘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7950A true KR20070117950A (ko) 2007-12-13
KR100827230B1 KR100827230B1 (ko) 2008-05-07

Family

ID=38480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2221A KR100827230B1 (ko) 2006-06-09 2006-06-09 메뉴 아이콘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407622B2 (ko)
EP (1) EP1865408B1 (ko)
JP (1) JP4960151B2 (ko)
KR (1) KR100827230B1 (ko)
CN (1) CN10108745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09588B2 (en) 2005-12-30 2009-03-24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interface reconfiguration mode
US10313505B2 (en) * 2006-09-06 2019-06-04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nfiguring and displaying widgets
US8519964B2 (en) 2007-01-07 2013-08-27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supporting user navigations of graphical objects on a touch screen display
US9772751B2 (en) 2007-06-29 2017-09-26 Apple Inc. Using gestures to slide between user interfaces
US8619038B2 (en) 2007-09-04 2013-12-31 Apple Inc. Editing interface
US9619143B2 (en) 2008-01-06 2017-04-11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viewing application launch icons
US11126321B2 (en) 2007-09-04 2021-09-21 Apple Inc. Application menu user interface
US8615720B2 (en) * 2007-11-28 2013-12-24 Blackberry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employ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to output on a display virtually stacked groups of selectable objects
JP5210628B2 (ja) * 2007-12-28 2013-06-12 株式会社エルモ社 撮像装置
US9152309B1 (en) * 2008-03-28 2015-10-06 Google Inc. Touch screen locking and unlocking
JP2009265793A (ja) 2008-04-23 2009-11-12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表示操作装置、操作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DE102008021187A1 (de) * 2008-04-28 2009-10-29 Volkswagen Ag Verfahren zum Darstellen von Listeneinträgen und Bedienvorrichtung hierfür
US8812986B2 (en) * 2008-05-23 2014-08-1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ultimedia content information display methods and device
US20090319929A1 (en) * 2008-06-22 2009-12-24 Microsoft Corporation Interface for multiple user spaces
US8584031B2 (en) 2008-11-19 2013-11-12 Apple Inc. Portable touch scre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using emoji characters
US10895955B2 (en) 2009-10-13 2021-01-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grouping and displaying icons on a screen
KR101701492B1 (ko) * 2009-10-16 2017-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표시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단말기
KR101663474B1 (ko) 2009-10-13 2016-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 휴대단말기의 바탕화면 표시 방법 및 저장 매체
JP5523119B2 (ja) * 2010-01-14 2014-06-18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US8881060B2 (en) 2010-04-07 2014-11-04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folders
US10788976B2 (en) 2010-04-07 2020-09-29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folders with multiple pages
CN102918477B (zh) * 2010-04-13 2017-07-21 诺基亚技术有限公司 装置、方法、计算机程序和用户接口
JP6010036B2 (ja) 2010-10-01 2016-10-19 ゼット124Z124 タッチセンサ式ディスプレイに画像を表示する方法及び通信デバイスならびに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US9372618B2 (en) 2010-10-01 2016-06-21 Z124 Gesture based application management
JP5977922B2 (ja) * 2011-02-24 2016-08-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透過型頭部装着型表示装置
US20140082565A1 (en) * 2011-05-30 2014-03-20 Honda Motor Co., Ltd. Input apparatus
USD667459S1 (en) * 2011-09-09 2012-09-18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icon
USD667451S1 (en) * 2011-09-12 2012-09-18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icon
CN103019502A (zh) * 2011-09-21 2013-04-03 英业达股份有限公司 影像尺寸调整方法
USD735737S1 (en) * 2012-01-06 2015-08-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8504842B1 (en) 2012-03-23 2013-08-06 Google Inc. Alternative unlocking patterns
KR102027879B1 (ko) * 2012-04-04 2019-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미디어 기기의 메뉴 제어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
US9015582B2 (en) * 2012-05-01 2015-04-21 Kabushiki Kaisha Toshiba User interface for reordering thumbnails
KR102073601B1 (ko) * 2012-07-25 2020-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N103677553A (zh) * 2012-09-14 2014-03-2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实现动态背景的方法和装置
CL2013001350E1 (es) * 2013-02-23 2013-1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bujo industrial aplicable a la pantalla de un dispositivo de comunicacion movil, conformado por un icono de forma rectangular que en su centro lleva la figura de un rostro humano simplificado, con cuello e inicio de hombros; al lado de este dos figuras similares traslapadas por detras.
USD736817S1 (en) * 2013-03-14 2015-08-18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46328S1 (en) * 2013-09-03 2015-12-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JP5762502B2 (ja) * 2013-10-15 2015-08-12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KR102405189B1 (ko) 2013-10-30 2022-06-07 애플 인크. 관련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표시
USD764484S1 (en) * 2013-12-26 2016-08-23 Huawei Device Co., Ltd. Watch with three display screens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4808890B (zh) * 2014-01-26 2018-06-26 中国移动通信集团内蒙古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和设备
JP6120907B2 (ja) * 2015-06-08 2017-04-26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CN104915102B (zh) * 2015-06-25 2018-09-07 走遍世界(北京)信息技术有限公司 图形界面的交互方法及装置
USD819042S1 (en) * 2015-10-07 2018-05-29 MAQUET CARDIOPULMONARY GmbH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medical device
KR102624429B1 (ko) 2015-10-07 2024-01-11 마쿠에트 카디오폴머너리 게엠베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심폐 바이패스 시스템
CN105487748B (zh) * 2015-11-20 2020-12-18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显示图标的方法和装置、存储介质以及计算机终端
US10296190B2 (en) 2015-12-11 2019-05-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patially organizing communications
DK201670595A1 (en) 2016-06-11 2018-01-22 Apple Inc Configuring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US11816325B2 (en) 2016-06-12 2023-11-14 Apple Inc. Application shortcuts for carplay
USD842869S1 (en) 2017-04-27 2019-03-12 MAQUET CARDIOPULMONARY GmbH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medical device
USD879122S1 (en) 2017-11-30 2020-03-24 MAQUET CARDIOPULMONARY GmbH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clamp display of a cardiopulmonary bypass machine system
US11675476B2 (en) 2019-05-05 2023-06-13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widgets
US11093108B2 (en) 2019-07-12 2021-08-17 Qingdao Hisense Media Networks Ltd. Method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and display device
CN110337034B (zh) * 2019-07-12 2022-02-11 青岛海信传媒网络技术有限公司 用户界面显示方法及显示设备
KR20220000536A (ko) * 2020-06-26 2022-0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주행 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8735A (en) * 1993-03-23 1996-06-18 Silicon Graph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data within a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landscape
US5608850A (en) 1994-04-14 1997-03-04 Xerox Corporation Transporting a display object coupled to a viewpoint within or between navigable workspaces
US5687331A (en) * 1995-08-03 1997-11-11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an animated focus item
US6267673B1 (en) * 1996-09-20 2001-07-31 Nintendo Co., Ltd. Video game system with state of next world dependent upon manner of entry from previous world via a portal
JP3723301B2 (ja) * 1996-11-21 2005-12-07 任天堂株式会社 画像作成装置,画像表示装置およびゲーム装置
US6215505B1 (en) * 1997-06-20 2001-04-10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Scheme for interactive video manipulation and display of moving object on background image
US6014145A (en) * 1997-07-07 2000-01-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Navagation with optimum viewpoints in three-dimensional workspace interactive displays having three-dimensional objects with collision barriers
US6005578A (en) * 1997-09-25 1999-12-21 Mindspher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visual navigation of information objects
IL123738A0 (en) * 1998-03-19 1998-10-30 Banitt Shmuel Method for processing variable speed scenes for computer games
US6448987B1 (en) * 1998-04-03 2002-09-10 Intertainer, Inc. Graphic user interface for a digital content delivery system using circular menus
JP3452244B2 (ja) 1998-09-17 2003-09-2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3次元表示方法及び装置
JP3285835B2 (ja) 1998-12-25 2002-05-27 三菱電機株式会社 メニュー選択装置
US6417850B1 (en) * 1999-01-27 2002-07-09 Compaq Information Technologies Group, L.P. Depth painting for 3-D rendering applications
KR100565040B1 (ko) 1999-08-20 2006-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사용자 입력 장치를 사용한 3차원 그래픽 화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US6522347B1 (en) * 2000-01-18 2003-02-18 Seiko Epson Corporation Display apparatus, portabl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0460105B1 (ko) * 2000-02-22 200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검색 방법.
GB2366978A (en) * 2000-09-15 2002-03-20 Ibm GUI comprising a rotatable 3D desktop
KR20020066700A (ko) * 2001-02-13 2002-08-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의 메뉴 관리 방법
JP2002261918A (ja) 2001-03-02 2002-09-13 Hitachi Ltd 携帯電話機
JP4147016B2 (ja) 2001-10-16 2008-09-10 富士通株式会社 携帯端末
US7139034B2 (en) * 2002-04-04 2006-11-21 Princeton Video Image, Inc. Positioning of a cursor associated with a dynamic background
TWI238348B (en) 2002-05-13 2005-08-21 Kyocera Corp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a
JP3945445B2 (ja) * 2003-04-21 2007-07-18 ソニー株式会社 表示方法及び表示装置
JP4179085B2 (ja) * 2003-07-16 2008-11-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子機器
EP1510911A3 (en) 2003-08-28 2006-03-22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storage medium containing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US20060095865A1 (en) * 2004-11-04 2006-05-04 Rostom Mohamed A Dynamic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desktop environment
JP4737539B2 (ja) * 2006-05-03 2011-08-03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マルチメディア再生装置および背景画像表示方法
US8698735B2 (en) * 2006-09-15 2014-04-15 Lucasfilm Entertainment Company Ltd. Constrained virtual camera control
US8701040B2 (en) * 2008-09-29 2014-04-15 Microsoft Corporation Panoramic graphical user inte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65408A3 (en) 2008-04-02
CN101087459A (zh) 2007-12-12
JP4960151B2 (ja) 2012-06-27
CN101087459B (zh) 2013-01-02
US8407622B2 (en) 2013-03-26
EP1865408A2 (en) 2007-12-12
EP1865408B1 (en) 2014-08-06
US20070288868A1 (en) 2007-12-13
KR100827230B1 (ko) 2008-05-07
JP2007334885A (ja) 2007-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7230B1 (ko) 메뉴 아이콘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 및 그 방법
US7587683B2 (en) Display method,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display program
KR10079007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으로의 빠른 접근 방법및 장치
JP5174372B2 (ja) 機能アイコンの表示システム及び方法
JP5894499B2 (ja) 携帯電子機器及び入力方法
KR100441173B1 (ko) 표시 및 조작 시스템 및 방법
US7984381B2 (en) User interface
US8949734B2 (en) Mobile device color-based content mapping and navigation
CN104679427B (zh) 终端分屏显示方法和系统
US20070038952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O2020181956A1 (zh) 应用标识的显示方法及终端设备
KR101608799B1 (ko) 객체 출력이 가능한 다이얼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장치 및 방법
JP2013137739A (ja) 電子機器、動作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0032110A (ja) 電話機
JP2010034833A (ja) 移動体端末装置
KR10045514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아이콘 선택에 따른 도움말 표시방법
KR101133801B1 (ko) 이동 단말기에서 조그다이얼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기능 실행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KR101402154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389825B1 (ko) 소프트 핫키로 사용되는 터치스크린키를 가지는 정보단말기 및 그 방법
US20070006100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64165B1 (ko) 휴대단말기의 조이스틱 운용장치 및 방법
WO2020113501A1 (zh) 分屏控制方法、显示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05266589A (ja) 携帯情報機器、そ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