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2154B1 -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2154B1
KR101402154B1 KR1020070041186A KR20070041186A KR101402154B1 KR 101402154 B1 KR101402154 B1 KR 101402154B1 KR 1020070041186 A KR1020070041186 A KR 1020070041186A KR 20070041186 A KR20070041186 A KR 20070041186A KR 101402154 B1 KR101402154 B1 KR 101402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polyhedron
web
phone menu
web p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1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6135A (ko
Inventor
박연우
임상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1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2154B1/ko
Publication of KR20080096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6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2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2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Internet browser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은 웹 접속 화면을 3차원 다면체로 형성하여 다면체의 각 면에 서로 다른 웹페이지 화면이 각각 표시되도록 하고, 다면체의 각 면 중 어느 한 면을 통해 폰 메뉴가 구성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웹 접속 화면을 3차원 다면체로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웹 접속 화면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다면체의 어느 한 면을 통해 폰 메뉴를 제공함으로써, 웹 접속 중 폰 메뉴의 구현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이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웹 접속 화면, 다면체, 폰 메뉴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흐름이 도시된 순서도,
도 3 및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폰 메뉴 제공방법이 도시된 예시도,
도 5 및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표시방법이 도시된 예시도,
도 7 내지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이동방법이 도시된 예시도, 그리고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정보 표시방법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제어부 20: 무선통신부
30: 키 입력부 40: 표시부
50: 메모리
본 발명은 3차원 다면체의 웹 접속 화면을 제공함으로써, 웹 접속 중 폰 메뉴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웹 브라우저 실행 시, 접속된 웹사이트로부터 제공되는 웹페이지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에 따라 다른 웹사이트에 접속되도록 한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전에 접속되었던 웹사이트에 다시 재접속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웹사이트 주소를 입력하거나 혹은 '이전 페이지로 이동' 명령 등을 통해 해당되는 웹사이트에 재접속되도록 한다. 그러나, 현재 접속된 바로 이전의 웹페이지에 접속하는 경우에는 이전 페이지로 이동 명령을 한번만 수행하면 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웹페이지가 나타날 때까지 계속 해당 명령을 수행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는 웹 접속 중 메시지가 수신되거나, 혹은 통화 신호가 인가된 경우에는, 웹 접속을 종료시킨 후에 폰 메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동작 중인 웹 접속 화면을 종료해야하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폰 메뉴 동작 수행 후, 다시 웹에 접속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3차원 다면체의 웹 접속 화면을 제공함으로써 웹 접속 중 폰 메뉴 구현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이성이 증대되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웹(web)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무선통신부, 접속된 웹사이트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웹페이지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웹 접속 화면을 3차원 다면체로 형성하여, 상기 다면체의 각 면에 서로 다른 웹 페이지 화면이 각각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다면체의 각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을 통해 폰 메뉴가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웹 브라우저를 구동하여 웹에 접속하는 단계, 웹 접속 화면을 3차원 다면체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다면체의 각 면에 서로 다른 웹페이지 화면을 각각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다면체의 각 면 중 어느 한 면을 통해 폰 메뉴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본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부(20), 키 조작에 따라 사용자 명령이 인가되는 키 입력부(30), 데이터가 출력되는 표시부(40),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50), 상기한 각부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0)를 포함한다.
무선통신부(20)는 웹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키 입력부(30)는 다수 키 버튼이 구비되어, 키 버튼 조작에 따라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제어부(10)로 인가한다. 이때, 키 입력부(30)는 다면체의 각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을 선택하는 방향키, 숫자키, 탭(tab) 키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한다. 표시부(40)는 일반적으로 LCD 화면으로 구성되며, 이동통신 단말기 동작에 따른 상태 데이터가 표시된다. 또한, 표시부(40)는 웹 접속 시, 무선통신부(20)를 통해 접속된 웹사이트로부터 제공되는 웹페이지 화면이 표시된다. 이때, 표시부(40)의 화면은 터치 스크린 화면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메모리(50)는 이동통신 단말기 동작에 따른 설정 데이터가 저장되며, 무선통신부(20)를 통해 다운로드 된 데이터 등이 저장된다.
제어부(10)는 웹브라우저 실행 시, 웹 접속 화면이 3차원 다면체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10)는 다면체의 각 면에 서로 다른 웹페이지 화면이 각각 표시되도록 한다. 단, 다면체의 각 면 중 어느 한 면에는 폰 메뉴를 구성하여 표시되도록 한다. 여기서, 폰 메뉴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메뉴인 것으로 한다. 또한, 다면체의 다른 면에 표시되는 서로 다른 웹페이지 화면은, 서로 다른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웹페이지 화면이거나, 혹은 무선통신부(20)를 통해 접속된 웹페이지의 프로그래밍 소스에 기초하여 웹페이지 화면이 각각의 콘텐츠별 또는 각각의 프레임별로 분류된 화면인 것으로 한다.
여기서, 서로 다른 웹사이트는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웹사이트이거나, 혹은 웹 접속 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웹사이트이다. 한편, 콘텐츠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플래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한편, 프레임은 로그인 영역, 검색어 입력영역, 헤드(head) 영역, 데이터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10)는 다면체의 각 면 중 특정화면을 선택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다면체를 상하 또는 좌우로 회전 이동시키며 선택된 특정화면이 표시되도록 한 다. 여기서, 제어부(10)는 방향키, 숫자키, 탭(tab) 키 중 어느 하나의 키 조작에 따라 다면체가 회전 이동되도록 한다. 이때, 선택된 특정화면이 표시부(40)의 전면에 표시되도록 하고, 다면체의 다른 측면을 통해 다른 화면이 함께 표시되도록 한다. 한편, 다면체의 각 면 중 어느 한 면에 구성된 폰 메뉴 화면을 선택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마찬가지로 제어부(10)는 다면체를 상하 또는 좌우로 회전 이동시켜 폰 메뉴 화면이 표시부(40)에 표시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10)는 폰 메뉴 화면에 대한 특정 키 버튼을 설정하여, 특정 키 버튼 조작 시 바로 폰 메뉴 화면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제어부(10)는 폰 메뉴에 대한 동작 명령이 인가되면, 3차원 다면체의 웹 접속 화면이 폰 메뉴에 대한 2차원 화면으로 전환되어 표시부(40)에 표시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10)는 인가된 명령에 따라 폰 메뉴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어부(10)는 폰 메뉴 동작 전, 다면체의 다른 면에 표시된 웹페이지 이미지 및 접속된 웹페이지 정보가 메모리(50)에 저장되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0)는 폰 메뉴 동작 후, 다면체의 다른 면으로의 이동 명령이 인가된 경우, 다시 3차원 다면체의 웹 접속 화면으로 전환되도록 하고, 이때 선택된 특정화면이 표시부(40)에 표시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어부(10)는 메모리(50)에 저장된 웹페이지 정보 및 웹페이지 이미지를 호출하여 다면체의 각 면에 표시되도록 한다. 만일, 현재 접속된 웹페이지의 이미지가 메모리(50)에 저장된 웹페이지 이미지와 상이한 경우에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새로고침 동작을 통해 업데이트 된 웹페이지 화면이 표시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흐름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웹 브라우저 구동 후(S100), 제어부(10)는 웹 접속 화면을 3차원 다면체로 형성하여 표시부(40)에 표시되도록 한다(S110). 이때, 제어부(10)는 무선통신부(20)를 통해 서로 다른 웹사이트에 접속되도록 하여(S120), 3차원 다면체의 각 면에 각각 표시되도록 한다(S130). 이때, 제어부(10)는 다면체의 각 면 중 어느 한 면에 폰 메뉴를 구성하여, 웹에 접속된 상태에서도 폰 메뉴가 제공되도록 한다(S140). 여기서, 폰 메뉴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메뉴인 것으로 한다.
다면체의 각 면 중 폰 메뉴 화면을 선택하는 신호가 입력되면(S150), 제어부(10)는 다면체를 상하 또는 좌우로 회전 이동시켜, 폰 메뉴 화면으로 이동되도록 한다(S160). 만일, 선택된 폰 메뉴 화면에 대한 동작 명령이 인가되면(S170), 제어부(10)는 3차원 다면체의 웹 접속 화면이 폰 메뉴에 대한 2차원 화면으로 전환되어 표시부(40)에 표시되도록 한다(S200). 이때, 폰 메뉴 동작 전, 다면체의 다른 면에 표시된 웹페이지 이미지 및 접속된 웹페이지 정보가 메모리(50)에 저장되도록 한다(S180, S190).
한편, 다면체의 다른 화면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S240), 입력된 신호에 따라 다면체를 상하 또는 좌우로 회전 이동시켜, 선택된 다른 웹페이지 화면으로 이동되도록 한다(S210). 여기서, 제어부(10)는 다면체의 각 면 중 선택된 화면에 대응하는 웹페이지 정보 및 이미지를 메모리(50)로부터 호출하여 표시부(40)에 표시되도록 한다. 만일, 접속된 웹페이지의 화면 이미지가 변경된 경우에는 자동 또 는 수동으로 새로고침 동작을 통해 접속된 웹페이지 화면이 표시되도록 한다(S220). 이때, 제어부(10)는 입력된 제어 명령에 따라 기본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S230).
만일, 또 다시 다면체의 각 면 중 어느 하나의 다른 화면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S150' 내지 'S240'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폰 메뉴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3은 웹 접속 중 폰 메뉴가 구현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3차원 다면체가 6면체로 형성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0)는 웹 접속 시,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6면체의 웹 접속 화면(410)을 형성하여 표시부(40)에 표시되도록 한다. 이때, '↓' 버튼이 조작됨에 따라 폰 메뉴 화면을 선택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는 6면체를 하측으로 회전 이동시켜 폰 메뉴 화면(420)이 표시부(40)의 전면에 표시되도록 한다. 여기서, 'OK(430)' 버튼이 조작됨에 따라 폰 메뉴 동작 명령이 인가되면, 제어부(10)는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폰 메뉴에 대한 2차원 화면으로 전환하여, 인가된 명령에 따라 폰 메뉴가 구동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10)는 2차원 화면으로 전환하기 전, 6면체의 다른 면에 표시된 웹페이지 이미지 및 그의 접속 정보가 메모리(50)에 저장되도록 한다.
한편, 도 4는 폰 메뉴 동작 중 웹 접속 화면으로 전환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a)와 같이 폰 메뉴 구동 중 '메 뉴(510)' 버튼이 조작되고, 이때 (b)와 같이 '접속(520)' 메뉴 항목이 선택되면, 제어부(10)는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원 화면을 다시 3차원 형태의 6면체 화면(530)으로 전환되어 표시되도록 한다. 만일, 6면체의 각 면 중 '↑' 버튼이 조작됨에 따라 다른 화면을 선택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0)는 6면체를 상측으로 회전 이동시켜 선택된 다른 화면(540)이 표시부(40)의 전면에 표시되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표시방법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먼저, 도 5의 (a)는 6면체로 형성된 웹 접속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6면체의 각 면에는 서로 다른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웹페이지 화면이 각각 표시된다. 이때, 6면체의 각 면 중 어느 한 면을 통해 폰 메뉴를 구성한다. 도 5의 (b)는 (a)의 6면체에 대한 전개도이다. 전개도의 각 면에는 서로 다른 웹사이트의 웹페이지 화면이 표시되며, 그 중 한 면에는 폰 메뉴 화면이 표시된다. 따라서, 6면체의 다른 면을 통해 접속된 웹페이지 실행 중 폰 메뉴 화면으로 이동함으로써, 웹 접속 중 폰 메뉴 구현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도 6은 폰 메뉴 화면을 제외한 6면체의 각 면에 표시되는 웹 접속 화면에 대한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먼저, 도 6의 (a)는 도 5에서와 마찬가지로 폰 메뉴 화면을 제외한 6면체의 각 면에 서로 다른 웹사이트로부터 제공되는 웹페이지 화면을 각각 표시한 도면이다. 단,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 6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된 웹사이트로부터 제공되는 웹페이지 화면에 대해 특정 조건에 따라 분류된 화면이 6면체의 각 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즉,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는 접속된 웹페이지 화면을 그의 프로그래밍 소스에 기초하여, 웹페이지 화면을 텍스트, 이미지, 플래쉬 등의 콘텐츠(contents) 별로 각각 분류한다. 이때, 분류된 각 콘텐츠 화면이 폰 메뉴 화면을 제외한 6면체의 각 면에 각각 표시되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는 접속된 웹페이지의 프로그래밍 소스에 기초하여, 웹페이지 화면을 로그인 영역, 검색어 입력 영역, 헤드(head) 영역, 데이터 영역 등의 프레임(frame) 별로 각각 분류한다. 이때, 분류된 각 프레임 화면이 폰 메뉴 화면을 제외한 6면체의 각 면에 각각 표시되도록 한다. 물론, 6면체의 각 면에 표시되는 화면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외의 다른 화면을 제공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이동방법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먼저, 도 7은 6면체의 어느 한 면에 구비된 폰 메뉴 화면을 선택하는 방법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6면체의 각 면 중 어느 한에 구비된 폰 메뉴 화면을 선택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키 입력부(30)에 구비된 숫자키, 방향키, 탭 키 중 어느 하나의 키 조작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숫자키, 방향키, 탭 키 중 어느 하나의 키가 조작되면, 제어부(10)는 6면체를 상하 또는 좌우로 회전이동시킴으로써, 폰 메뉴 화면이 표시부(40)의 전면에 표시되도록 한다. 물론, 표시부(40)의 화면이 터치 스크린 화면으로 구성된 경우에는, 터치 스크린 조작에 따라 폰 메뉴 화면을 선택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0)는 숫자키, 방향키, 탭 키 외 에, 특정 키 버튼(예를 들어, '#' 버튼)을 폰 메뉴 화면에 대한 이동키로 설정한다. 만일, 기 설정된 이동키가 조작되면, 제어부(10)는 현재 표시된 위치에 따라 6면체를 회전 이동시켜, 자동으로 폰 메뉴 화면이 표시부(40)의 전면에 표시되도록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10)는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6면체의 각 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웹 접속 화면이 표시부(40)의 전면에 표시되도록 한다. 이때, 폰 메뉴 화면의 페이지 번호인 '2' 버튼이 조작되거나, 혹은 폰 메뉴 화면에 대한 이동키로 설정된 '#' 버튼이 조작되면, 제어부(10)는 6면체를 회전 이동시켜, 폰 메뉴 화면이 표시부(40)의 전면에 표시되도록 한다.
도 8은 6면체의 웹 접속 화면을 세로축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시킴으로써 폰 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이 도시된 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a)와 같이 특정 웹페이지 화면이 표시부(40)의 전면에 표시된 상태에서 6면체의 가로 측면에 구비된 폰 메뉴 화면을 선택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0)는 (b) 및 (c)와 같이 세로축을 중심으로 6면체가 좌측으로 회전이동되도록 한다. 따라서, 도 8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폰 메뉴 화면이 표시부(40)의 전면에 표시되도록 한다.
한편, 도 9는 6면체의 웹 접속 화면을 가로축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시킴으로써 폰 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이 도시된 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a)와 같이 특정 웹페이지 화면이 표시부(40)의 전면에 표시된 상태에서 6면체의 세로 측면에 구비된 폰 메뉴 화면을 선택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0)는 (b) 및 (c)와 같이 가로축을 중심으로 6면체가 하측으로 회전이동되도록 한다. 따라서, 도 8의 (d)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폰 메뉴 화면이 표시부(40)의 전면에 표시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정보 표시방법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10은 구비된 메뉴 항목을 통해 6면체의 각 면을 통해 접속된 웹페이지 정보를 확인하도록 하는 동작이 도시된 도로서,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610)' 버튼 조작에 따라 '2. 페이지 정보(620)' 항목이 선택되면, 제어부(10)는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6면체의 각 면을 통해 접속된 웹페이지 정보가 표시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6면체의 각 면을 통해 접속된 웹페이지 정보를 쉽게 인지할 수 있으며, 또한 폰 메뉴가 구비된 화면의 위치를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설정에 따라서는 '이동(630)' 버튼이 조작됨에 따라 폰 메뉴 화면 및 다른 웹페이지 화면의 표시 위치가 이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3차원 다면체의 웹 접속 화면이 6면체로 형성된 것을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그 외에도 삼각뿔, 원기둥 등의 다앙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은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은 웹 접속 화면을 3차원 다면체로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웹 접속 화면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다면체의 어느 한 면을 통해 폰 메뉴를 제공함으로써, 웹 접속 중 폰 메뉴의 구현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이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5)

  1. 웹 브라우저를 구동하여 웹에 접속하는 단계;
    웹 접속 화면을 3차원 다면체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다면체의 각 면에 서로 다른 웹페이지 화면을 각각 표시하는 단계;
    상기 다면체의 각 면 중 어느 한 면을 통해 폰 메뉴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다면체의 각 면 중 특정화면이 선택되면, 상기 특정화면에 대한 2차원 화면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면체의 각 면 중 상기 폰 메뉴 화면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키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면체의 각 면 중 특정화면을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상기 신호에 따라 상기 다면체를 상하 또는 좌우로 회전 이동하여 상기 특정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특정화면은 상기 폰 메뉴 화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화면을 선택하는 신호 입력 시, 화면 이동 전 표시된 웹페이지 이미지 및 상기 웹페이지의 접속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5. 삭제
  6. 웹(web)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무선통신부;
    접속된 웹사이트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웹페이지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웹 접속 화면을 3차원 다면체로 형성하여, 상기 다면체의 각 면에 서로 다른 웹 페이지 화면이 각각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다면체의 각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을 통해 폰 메뉴 화면이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면체의 각 면 중 특정화면이 선택되면, 상기 특정화면에 대한 2차원 화면으로 전환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폰 메뉴는, 오프라인(off-line) 상태에서 제공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메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면체의 각 면 중 특정화면을 선택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다면체를 상하 또는 좌우로 회전 이동시켜, 선택된 상기 특정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특정화면은 폰 메뉴 화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면체의 각 면 중 특정화면을 선택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현재 표시된 웹페이지 이미지 및 접속된 웹페이지 정보가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특정 키 버튼을 상기 폰 메뉴 화면에 대한 이동키로 설정하며,
    상기 폰 메뉴 화면에 대한 이동키는, 1회 조작 시 상기 다면체를 회전 이동시켜 상기 폰 메뉴 화면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1. 삭제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서로 다른 웹사이트의 웹페이지 이미지가 상기 다면체의 각 면에 각각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웹사이트는,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웹사이트이거나, 혹은 웹 접속 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웹사이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접속된 웹페이지의 프로그래밍 소스에 기초하여 콘텐츠(contents) 또는 프레임(frame) 별로 각각 분류하고,
    분류된 상기 각 콘텐츠 또는 상기 각 프레임 화면이 상기 다면체의 각 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5.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 기.
KR1020070041186A 2007-04-27 2007-04-27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02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1186A KR101402154B1 (ko) 2007-04-27 2007-04-27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1186A KR101402154B1 (ko) 2007-04-27 2007-04-27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6135A KR20080096135A (ko) 2008-10-30
KR101402154B1 true KR101402154B1 (ko) 2014-05-30

Family

ID=40155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1186A KR101402154B1 (ko) 2007-04-27 2007-04-27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21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1902A2 (ko) * 2009-05-12 2010-11-18 Oh Eui Jin 다면체를 이용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구현하는 사용자 단말기
KR101716151B1 (ko) * 2010-07-30 2017-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3692A (ko) * 2002-10-15 2004-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에서의 북마크 이용방법
KR20060033842A (ko) * 2004-10-16 2006-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3차원 메뉴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3692A (ko) * 2002-10-15 2004-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에서의 북마크 이용방법
KR20060033842A (ko) * 2004-10-16 2006-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3차원 메뉴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6135A (ko) 2008-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7230B1 (ko) 메뉴 아이콘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 및 그 방법
KR10079007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으로의 빠른 접근 방법및 장치
US7565628B2 (en) Functional icon display system and method
KR20080096134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웹페이지 제어방법
KR101663474B1 (ko) 휴대단말기, 휴대단말기의 바탕화면 표시 방법 및 저장 매체
US9400522B2 (en) Multiple display portable terminal apparatus with position-based display modes
JP5671233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7204115A (ja) 操作入力装置、携帯端末及び操作入力方法
CN106503599A (zh) 显示方法及装置、电子设备
JP2006155205A (ja) 電子装置、入力制御装置、および入力制御プログラム
KR101402154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10300913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displays screen location informa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6343419A (ja) 表示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6285373A (ja) 画面表示方法および情報端末
JP2008116791A (ja) 電子書籍装置のページめくり方法
WO2014132882A1 (ja) 端末装置、情報表示方法及び記録媒体
KR100822033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8165770A (ja) 画像表示制御装置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画像表示制御プログラム
KR10035149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뉴 표시 방법 및 제어 장치
JPH11184602A (ja) アイコン表示自動変更機能付き携帯電話機
KR101039894B1 (ko) 바탕화면 표시방법 및 장치
JP4013189B2 (ja) メニュー移動方法および電子機器
KR20080101995A (ko) 네비게이션 기능키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JP2001154778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JPH0612219A (ja) カーソル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