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7511A - 복수의 촬상소자를 이용한 촬영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복수의 촬상소자를 이용한 촬영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7511A
KR20060037511A KR1020040086466A KR20040086466A KR20060037511A KR 20060037511 A KR20060037511 A KR 20060037511A KR 1020040086466 A KR1020040086466 A KR 1020040086466A KR 20040086466 A KR20040086466 A KR 20040086466A KR 20060037511 A KR20060037511 A KR 20060037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mage
imaging
imaging unit
inci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6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6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7511A/ko
Publication of KR20060037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75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0816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lect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복수의 촬상소자를 이용한 촬영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부 및 영상이 저장되는 저장부를 구비하는 촬영장치는, 광학면상에 맺힌 광학상을 촬상함으로서 표시부에 표시될 영상을 생성하는 제1 촬상부, 저장부에 저장될 영상을 생성하는 제2 촬상부, 및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입사광이 제1 촬상부의 광학면상 및 제2 촬상부의 광학면상 중 어느 하나로 입사되도록 상기 입사광의 광경로를 조정하는 광경로 조정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셔터랙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셔터를 누르고 난 후 소정 시간이 지난후에 입사되는 영상이 저장되는 사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입사광, 광경로 조정, 표시용 촬상, 저장용 촬상

Description

복수의 촬상소자를 이용한 촬영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photographing in use of plural image pickup elements and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의 촬영장치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장치의 블럭도,
도 3a 및 도 3b는 광경로 조정부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그리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촬영장치가 동작하는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렌즈부 120 : 광경로 조정부
130 : 표시용 촬상부 135 : 저장용 촬상부
140 : 신호처리부 150 : 스위칭부
160 : 표시부 170 : CODEC
180 : 저장부 190 : 제어부
195 : 키입력부
본 발명은 촬영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사체의 광학상을 촬상함으로서 영상신호를 생성하여 기록매체에 저장하거나 생성된 영상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촬영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촬영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촬영장치는, 렌즈부(10), 촬상부(20), 신호처리부(30), 스위칭부(40), 표시부(50), CODEC(60), 및 저장부(70)를 구비한다.
촬상부(20)는 렌즈부(10)를 통해 입사되는 피사체의 광학상을 촬상하여 영상신호를 생성하고, 신호처리부(30)는 생성된 영상신호에 대해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스위칭부(40)는 신호처리된 영상신호를 표시부(50) 또는 CODEC(60)에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CODEC(COrder/DECoder)(60)은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압축하여 저장부(70)에 저장한다. 그리고, 표시부(50)에는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이 표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촬영장치에는 하나의 촬상부(20)가 마련되다. 따라서, 이 하나의 촬상부(20)에서 촬상된 영상이 표시부(50)에 표시되기도 하고, 저장부(70)에 저장되기도 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촬영장치가 '촬영모드'로 설정되면, 촬상부(20)에서 촬상된 영상이 표시부(50)에 표시되게 된다. 사용자는 표시부(50)에 표시되는 영상을 보다가 원하는 영상이 나타나면, 이를 저장하기 위해 셔터를 누르게 된다.
사용자에 의해 셔터가 눌러지면, 표시부(50)에 표시되기 위한 영상을 촬상하 던 촬상부(20)는 리셋을 수행한 뒤, 저장부(70)에 저장되기 위한 영상을 촬상하게 된다. 이때, 촬상부(20)의 리셋에는 소정의 시간이 소요된다.
사용자가 저장부(70)에 저장되기를 원하는 영상은, 셔터를 누를 당시에 표시부(50)에 표시되는 영상이다. 하지만, 촬상부(20)의 리셋에 소정 시간이 소요되는 관계로, 저장부(70)에 저장되는 영상은 리셋시간이 지나고 난 후의 영상이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셔터를 누를 당시에 표시부(50)를 통해 보았던 영상과, 실제로 저장부(70)에 저장된 영상 간에는 시간차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셔터랙(Shutter lack)이라 한다.
셔터랙은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이 저장되지 못하게 하는 원인이 되는 바, 촬영장치에서 셔터랙 현상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셔터랙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복수의 촬상소자를 이용한 촬영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부, 및 영상이 저장되는 저장부를 구비하는 촬영장치는, 광학면상에 맺힌 광학상을 촬상함으로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될 영상을 생성하는 제1 촬상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될 영상을 생성하는 제2 촬상부; 및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입사광이 상기 제1 촬상부의 광학면상 및 상기 제2 촬상부의 광학면상 중 어느 하나로 입사되도록 상기 입사 광의 광경로를 조정하는 광경로 조정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촬영장치는, 상기 입사광이 상기 제1 촬상부의 광학면상에 입사되도록 상기 광경로 조정부의 광경로 조정동작을 제어하되, 촬영명령이 전달되면 상기 입사광이 상기 제2 촬상부의 광학면상에 입사되도록 상기 광경로 조정부의 광경로 조정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경로 조정부는, 상기 입사광을 상기 제1 촬상부의 광학면상 및 상기 제2 촬상부의 광학면상 중 어느 하나로 입사시키는 반사경;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입사광의 입사경로가 조정되도록 상기 반사경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반사경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촬상부의 화소수는 상기 제1 촬상부의 화소수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광학면상에 맺힌 광학상을 촬상함으로서 표시될 영상을 생성하는 제1 촬상부, 및 저장될 영상을 생성하는 제2 촬상부를 구비하는 촬영장치의 촬영방법은,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입사광을 상기 제1 촬상부의 광학면상에 입사시키는 단계; 상기 제1 촬상부에 의해 생성된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촬영명령이 전달되면, 상기 입사광을 상기 제2 촬상부의 광학면상에 입사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촬상부에 의해 생성된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촬영장치는 렌즈부(110), 광경로 조정부(120), 표시용 촬상부(130), 저장 용 촬상부(135), 신호처리부(140), 스위칭부(150), 표시부(160), CODEC(170), 저장부(180), 제어부(190), 및 키입력부(195)를 구비한다.
광경로 조정부(120)는 렌즈부(110)를 통해 입사되는 입사광이 표시용 촬상부(130) 또는 저장용 촬상부(135)에 선택적으로 입사되도록 입사광의 광경로를 조정한다. 광경로 조정부(120)의 광경로 조정동작은 후술할 제어부(190)의 제어에 따르게 된다. 광경로 조정부(12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표시용 촬상부(130)와 저장용 촬상부(135)는 광학면상에 맺힌 광학상을 촬상하여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촬상소자로서,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MOS(Metal Oxide Semiconductor)형 촬상소자로 구현가능하다.
표시용 촬상부(130)와 저장용 촬상부(135)는 동일한 것으로 구현하여도 무방하다. 하지만, 표시용 촬상부(130)는 후술할 표시부(160)에 표시될 영상신호를 생성하는데 반해, 저장용 촬상부(135)는 후술할 저장부(180)에 저장될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관계로, 저장용 촬상부(135)는 표시용 촬상부(130) 보다 화소수가 큰 촬상소자로 구현함이 바람직하다.
신호처리부(140)는 표시용/저장용 촬상부(130/135)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에 대해, 노이즈제거, 색보정, AWB(Auto White Balance)와 같은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스위칭부(150)는 신호처리부(140)에서 출력되는 신호처리된 영상신호를 표시부(160) 또는 CODEC(170)에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CODEC(COrder/DECoder)(170)은 스위칭부(15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압축한다. 압축된 영상신호는 저장부(180)에 저장된다. 또한, CODEC(170)은 저장부 (180)에 저장된 압축된 영상신호를 신장하여 스위칭부(150)로 인가할 수도 있다.
표시부(160)는 스위칭부(15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이다.
제어부(190)는 키입력부(195)를 통해 전달되는 사용자의 조작명령에 따라 본 촬영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촬영장치가 '촬영모드'로 설정되면, 제어부(190)는 입사광이 표시용 촬상부(130)의 광학면상에 입사되도록 광경로 조정부(120)의 광경로 조정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90)는 스위칭부(150)의 스위칭동작을 제어하여, 표시용 촬상부(130)에서 생성되고 신호처리부(140)에서 신호처리된 영상신호가 표시부(160)로 인가되도록 한다.
이때, 키입력부(195)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촬영명령'이 전달되면(즉, 사용자가 키입력부(195)에 마련된 셔터(미도시)를 누르면), 제어부(190)는 입사광이 저장용 촬상부(135)의 광학면상에 입사되도록 광경로 조정부(120)의 광경로 조정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90)는 스위칭부(150)의 스위칭동작을 제어하여, 저장용 촬상부(135)에서 생성되고 신호처리부(140)에서 신호처리된 영상신호가 CODEC(170)에 인가되도록 한다.
이때, 저장용 촬상부(135)의 영상신호 생성동작이 완료되면, 제어부(190)는 입사광이 표시용 촬상부(130)로 다시 입사되도록 광경로 조정부(120)의 광경로 조정동작을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광경로 조정부(120)에 대해,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는, 광경로 조정부(120)가 반사경(125)과 이를 구동하기 위한 반사경 구동부(미도시)를 이용하여 구현된 것을 예로 들기로 한다.
도 3a는 본 촬영장치가 '촬영모드'로 설정되었을 때, 광경로 조정부(120)에 마련된 반사경(125)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b는 사용자가 키입력부(195)에 마련된 셔터를 눌렀을 때, 광경로 조정부(120)에 마련된 반사경(125)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촬영장치가 '촬영모드'로 설정된 경우, 반사경(125)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하게 된다. 그 결과, 피사체(200)의 광학상이 표시용 촬상부(130)의 광학면상에 맺히게 된다.
반면, 촬영모드에서 사용자가 키입력부(195)에 마련된 셔터를 누른 경우, 반사경(125)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하게 된다. 그 결과, 피사체(200)의 광학상이 저장용 촬상부(135)의 광학면상에 맺히게 된다. 이때, 저장용 촬상부(135)의 영상신호 생성동작이 완료되면, 반사경(125)은 다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하게 된다.
반사경(125)의 위치이동은 반사경 구동부(미도시)에 의하게 되며, 반사경 구동부의 반사경(125) 위치이동 동작은 제어부(190)의 제어에 따르게 된다.
한편, 도 3a와 도 3b에서는, 광경로 조정부(120)가 반사경(125)과 반사경 구동부(미도시)로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사광의 광경로를 조정할 수 있다면 어느 것이라도 광경로 조정부(120)가 될 수 있다. 일 예로, 광경로 조정부(120)로서 빔스플리터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 다.
이하에서는, 도 2에 도시된 촬영장치가 동작하는 과정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190)는 본 촬영장치의 동작모드가 '촬영모드'로 설정된 것으로 판단하면(S310), 광경로 조정부(120)를 제어하여 렌즈부(110)를 통해 입사되는 입사광이 표시용 촬상부(130)의 광학면상에 입사되도록 한다(S320).
또한, 제어부(190)는 스위칭부(150)를 제어하여, 표시용 촬상부(130)에서 생성되고 신호처리부(140)에서 신호처리될 영상신호가 표시부(160)에 인가되도록 경로를 설정한다(S330).
S320단계에 의해, 표시용 촬상부(130)의 광학면상에는 피사체(200)의 광학상이 맺히게 된다. 그러면, 표시용 촬상부(130)는 광학면상에 맺힌 광학상을 촬상하여 영상신호를 생성한다(S340).
S340단계에서 생성된 영상신호는 신호처리부(140)에서 신호처리된 후 스위칭부(150)를 통해 표시부(160)로 인가되어, 표시부(160)에는 신호처리된 영상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이 표시되게 된다(S350). 결론적으로, S350단계에서 표시되는 영상은 표시용 촬상부(130)에서 생성된 영상신호를 기반으로 하게 된다.
상기한 S340단계와 S350단계는 제어부(190)가 키입력부(195)를 통해 '촬영명령'을 전달받기 전까지 반복수행된다(S360).
그러나, 제어부(190)가 키입력부(195)를 통해 '촬영명령'을 전달받으면(즉, 사용자가 키입력부(195)에 마련된 셔터를 누르면)(S360), 제어부(190)는 광경로 조 정부(120)를 제어하여 렌즈부(110)를 통해 입사되는 입사광이 저장용 촬상부(135)의 광학면상에 입사되도록 한다(S370).
또한, 제어부(190)는 스위칭부(150)를 제어하여, 저장용 촬상부(135)에서 생성되고 신호처리부(140)에서 신호처리될 영상신호가 CODEC(170)에 인가되도록 경로를 설정한다(S380).
S370단계에 의해, 저장용 촬상부(135)의 광학면에는 피사체(200)의 광학상이 맺히게 된다. 그러면, 저장용 촬상부(135)는 광학면상에 맺힌 광학상을 촬상하여 영상신호를 생성한다(S390).
S390단계 이전까지, 저장용 촬상부(135)는 표시부(160)에 표시되기 위한 영상을 촬상하고 있지 않았다. 즉, 저장용 촬상부(135)는 촬상을 수행하고 있지 않았다. 이에 따라, 저장용 촬상부(135)가 S390단계에서 촬상을 함에 있어서는, 리셋동작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S390단계에서 생성된 영상신호는 신호처리부(140)에서 신호처리된 후 스위칭부(150)를 통해 CODEC(170)으로 인가되어, 압축된 후 저장부(180)에 저장되게 된다(S400). 결론적으로, S400단계에서 저장되는 영상은 저장용 촬상부(135)에서 생성된 영상신호를 기반으로 하게 된다.
이후(저장용 촬상부(135)의 영상신호 생성동작이 완료시), 제어부(190)는 S320단계 내지 S400단계가 재수행되도록 한다.
지금까지, 복수의 촬상소자를 이용한 촬영장치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캠코더와 같은 촬영장치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 카메라 내장형 모바일폰과 같이 촬영장치의 기능을 구비한 제품에도 적용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촬상소자를 이용하여 촬영을 수행할 수 있어, 셔터랙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셔터랙 현상으로 인해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이 저장되지 못하는 사태, 즉 사용자가 셔터를 누르고 난 후 소정 시간이 지난후에 입사되는 영상이 저장되는 사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5)

  1.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부, 및 영상이 저장되는 저장부를 구비하는 촬영장치에 있어서,
    광학면상에 맺힌 광학상을 촬상함으로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될 영상을 생성하는 제1 촬상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될 영상을 생성하는 제2 촬상부; 및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입사광이 상기 제1 촬상부의 광학면상 및 상기 제2 촬상부의 광학면상 중 어느 하나로 입사되도록 상기 입사광의 광경로를 조정하는 광경로 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광이 상기 제1 촬상부의 광학면상에 입사되도록 상기 광경로 조정부의 광경로 조정동작을 제어하되, 촬영명령이 전달되면 상기 입사광이 상기 제2 촬상부의 광학면상에 입사되도록 상기 광경로 조정부의 광경로 조정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광경로 조정부는,
    상기 입사광을 상기 제1 촬상부의 광학면상 및 상기 제2 촬상부의 광학면상 중 어느 하나로 입사시키는 반사경;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입사광의 입사경로가 조정되도록 상기 반사경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반사경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촬상부의 화소수는 상기 제1 촬상부의 화소수보다 큰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촬영장치.
  5. 광학면상에 맺힌 광학상을 촬상함으로서 표시될 영상을 생성하는 제1 촬상부, 및 저장될 영상을 생성하는 제2 촬상부를 구비하는 촬영장치의 촬영방법에 있어서,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입사광을 상기 제1 촬상부의 광학면상에 입사시키는 단계;
    상기 제1 촬상부에 의해 생성된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촬영명령이 전달되면, 상기 입사광을 상기 제2 촬상부의 광학면상에 입사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촬상부에 의해 생성된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방법.
KR1020040086466A 2004-10-28 2004-10-28 복수의 촬상소자를 이용한 촬영장치 및 방법 KR200600375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6466A KR20060037511A (ko) 2004-10-28 2004-10-28 복수의 촬상소자를 이용한 촬영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6466A KR20060037511A (ko) 2004-10-28 2004-10-28 복수의 촬상소자를 이용한 촬영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7511A true KR20060037511A (ko) 2006-05-03

Family

ID=37145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6466A KR20060037511A (ko) 2004-10-28 2004-10-28 복수의 촬상소자를 이용한 촬영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751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3252A1 (en) * 2012-01-06 2013-07-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camera-captured images
WO2013122394A1 (en) * 2012-02-15 2013-08-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a camera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3252A1 (en) * 2012-01-06 2013-07-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camera-captured images
WO2013122394A1 (en) * 2012-02-15 2013-08-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a camer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2401B2 (en) Photographing apparatus and photographing method for exposure control during continuous photographing mode
US7679657B2 (en) Image sensing apparatus having electronic zoom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for
TWI661727B (zh) 控制裝置、控制方法及電子機器
US8218065B2 (en) Imaging device
JP2002330329A (ja) 撮像装置
KR20070068977A (ko) 촬상 장치 및 촬영 방법
US8964068B2 (en) Image sen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JP2007251860A (ja) 画像データのカラーノイズ除去方法及びこの方法を用いた撮像装置
JP4141800B2 (ja) デジタルカメラ
KR101119969B1 (ko) 디지털 카메라에서 고정 패턴 노이즈 제거 장치 및 방법
JP2017188760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電子機器
JP2011166397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2018006827A (ja) 撮像装置、撮像プログラム、撮像方法
JP2006222979A (ja) 電子カメラ装置
JP2006033123A (ja) 撮像装置
JP5446955B2 (ja) 撮像装置
KR100745508B1 (ko) 촬상장치
US11356611B2 (en) Image captu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105298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20060037511A (ko) 복수의 촬상소자를 이용한 촬영장치 및 방법
JP6717354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060496A (ja) 画像表示装置
JP2007142693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2010217759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合焦制御方法
JP2007228050A (ja) 動画像生成機能を有する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