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6170A - 엠블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엠블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6170A
KR20060036170A KR1020040085208A KR20040085208A KR20060036170A KR 20060036170 A KR20060036170 A KR 20060036170A KR 1020040085208 A KR1020040085208 A KR 1020040085208A KR 20040085208 A KR20040085208 A KR 20040085208A KR 20060036170 A KR20060036170 A KR 20060036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blem
implementation
manufacturing
symbol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5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호
Original Assignee
김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호 filed Critical 김현호
Priority to KR1020040085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6170A/ko
Publication of KR20060036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61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6Letters, numerals, or other symbols adapted for permanent fixing to a support
    • G09F7/165Letters, numerals, or other symbols adapted for permanent fixing to a support obtained by a treatment of the suppor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4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 G09F21/048Advertisement panels on sides, front or back of vehic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4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to be fastened or secured by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e.g. by thermo-adhe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엠블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엠블렘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아크릴, 금속, ABS수지, PET, 강화 및 일반 플라스틱 수지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며, 그 표면에 알루미늄, 니켈, 은, 및 크롬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증착되고 소정의 기호나 형상을 이루는 구현부와; 상기 구현부의 일측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의 표면에 접착되어 접착층을 보호하는 이형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종래의 금형이 필요치 아니하게 됨에 따라, 제작비용을 혁신적으로 감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과정도 단축하여 빠른 시간내에 저렴한 비용으로 엠블렘을 제작할 수 있다. 게다가 사용자가 원하는 디자인으로 컷팅함에 따라, 사용자의 욕구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다.
엠블렘, 아크릴 미러, 거울면, 물레이저, 레이저

Description

엠블렘 및 그 제조방법{EMBLE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엠블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엠블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엠블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엠블렘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엠블렘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엠블렘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엠블렘을 제작하는 과정을 보인 과정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엠블렘 제작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엠블렘 10 : 구현부
20 : 접착층 30 : 이형지
40 : 거울면
본 발명은 엠블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작 비용을 감축하고 제작공정을 단순화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으로 저렴하고 신속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엠블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엠블렘은 차량, 가전제품, 의류, 신발 등 다양한 상품에 부착되며 그 상품의 상표, 상호, 로고 등을 문자나 이미지로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엠블렘은 해당 상품이나 제조사를 광고하여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주로 사용되며, 엠블렘을 부착함으로써 상품의 디자인과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부가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엠블렘은 평면형과 입체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평면형 엠블렘은, 알루미늄 박판이나 필름 등으로 형성된 베이스판에 여러 색상으로 도형이나 문자 등을 인쇄한 후, 베이스판의 표면에 투명한 에폭시 수지액을 부어 건조시킨 것으로서, 가장 일반적인 엠블렘의 초기 형태이다. 이러한 평면형 엠블렘은 에폭시 수지액을 부어 건조시킬 경우, 에폭시 수지액의 표면장력에 의해 별도의 틀이 없어도 일정 두께까지는 에폭시 수지액이 흘러내릴 염려가 없으므로, 별도의 틀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장비가 간편하고 그 제조과정이 간단하다는 것이 장점이 있다. 그러나, 평면형 엠블렘의 경우, 나타내고자 하는 도형이나 문자 자체를 입체적으로 표현하지 못함에 따라 외관이 단순하여 고급화를 꾀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입체형 엠블렘은, 금형으로 입체적인 모양을 미리 제작해 놓고, 금형에 합성수지 등을 이용하여 사출성형하는 방법으로 제작된다. 사출성형된 엠블렘은 그 표면에 금도금, 은도금, 알루미늄이나 크롬 도금 등을 하여 외관을 향상시키 고 있다.
이러한 입체형 엠블렘은, 플라스틱 기술이 발달되어 플라스틱의 표면에 금속도금을 행할 수 있게 되기 전에는,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주조를 할 수 있고 여타 금속에 대한 도금전착성이 우수한 아연을 기재가 주로 사용되어 왔다. 아연을 기재로 한 엠블렘은 아연 다이주조물의 기재의 상부면에 구리로 30㎛ 두께 정도로 도금한 동도금층을 형성시키고, 동도금층의 상부면에 엠블렘의 광택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니켈로 10~15㎛의 두께로 도금한 니켈도금층을 형성한다. 그리고, 니켈도금층 상부에 엠블렘의 고급 이미지를 전달하기 위해 금으로 0.1㎛ 내외의 두께로 도금한 금도금층을 형성시키고, 금도금층 상부에 엠블렘의 형상을 이미지 업(image-up)하기 위하여 두께 2㎛ 내외의 실크인쇄층을 형성한다. 이어서 인쇄층을 비, 먼지, 광선 등의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고 기계적인 마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락카와 같은 투명성 경화도료로 투명 코팅층를 형성하고, 이러한 엠블렘을 상품에 부착하기 위해 도금층이 형성된 아연주조물의 반대면에 양면 접착층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아연주조물을 기재로 한 엠블렘은, 아연으로 엠블렘의 기본형상을 다이캐스팅하여 제작해야 하는 관계로 생산비용이 많이 들뿐만 아니라, 복잡하고 섬세한 모양을 형상화할 수 없다. 또한, 투명 코팅층이 락카와 같은 투명성 경화도료의 도포에 의해 형성되어지는 피막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서 갑작스런 환경변화 또는 기계적 접촉등에 의해 파손되기 쉬워 내후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후 플라스틱 공업기술이 발전되면서 도금할 수 있는 플라스틱을 기 재로 한 엠블렘이 개발되어 보다 다양하고 섬세한 문양을 나타낼 수 있고 경제적 제작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플라스틱을 기재로 한 엠블렘은 기본적으로 아연 주조물을 기재로 한 엠블렘과 구조적인 면에서 차이가 없기 때문에 내후성에 있어서는 여전히 큰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현재 개발되어 도금가능한 플라스틱으로 가장 우수한 특성을 갖는 ABS수지의 경우에 열연화점이 100℃이하이기 때문에 상기한 도금층과 실크인쇄층을 보호하기 위한 투명코팅층을 열처리할 수 없는 관계로 내후성이 더욱 저하되게 되는 큰 문제점이 있다
한편, 국내 특허 공개 제1998-23964호의 '입체 엠블렘의 제조방법'에서는, 고무로 문자 및 로고가 형성된 고무금형을 제작한 다음, 고무금형에 에폭시 수지를 충진시켜 건조로에서 건조시킨다. 그런 다음 엠블렘의 표면에 우레탄액을 분사하여 코팅하고 있다.
이러한 입체형 엠블렘은, 하나를 제작하더라도 고무로 형성하던 금속으로 형성하던 별도의 금형이 필요하기 때문에 금형 제작을 위한 초기 투자비가 상당히 높다는 단점이 있다. 이렇게 금형 제작시 많은 비용이 소요되므로, 하나의 디자인으로 대량의 엠블렘을 제작해야만 이윤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사용자의 기호나 취향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모양으로 적응적으로 제작할 수 없으므로, 요즘과 같은 개성시대에 사용자의 욕구를 제대로 반영할 수 없어 그 선호도가 저하되었다.
따라서, 보다 저렴하고 간편한 방법으로 엠블렘을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기호나 취향에 따라 원하는 형상으로 적응적으로 엠블렘의 제작이 가 능한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작비용을 감축하고 제작과정도 단축하여 빠른 시간내에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는 엠블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원하는 디자인으로 제작함에 따라, 사용자의 욕구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엠블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형상의 구현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며, 그 표면에 금속성 물질로 코팅되어 소정의 기호나 형상을 이루는 구현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구현부의 소재는, 아크릴, 금속, ABS수지, PET, 강화 및 일반 플라스틱 수지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구현부는, 다양한 색상을 갖는 투명한 아크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현부의 두께는, 1 내지 7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정의 기호나 형상은, 상표, 상호, 로고 등을 표현한 문자나 기호, 이미지, 사용자의 이름, 이니셜, 좌우명, 특정 단어, 알파벳, 한글 문자, 숫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소정의 기호나 형상은, 기하학적 문양, 다양한 글자체, 별, 하트, 구름, 파도, 꽃 중 적어도 하나의 문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기호나 형상은, 상기 사용자를 표시하는 기호, 문자, 이미지, 이니셜과,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상대방을 표시하는 기호, 문자, 이미지, 이니셜과, 상기 각 이니셜 사이에 배치되는 문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기호나 형상은, 중앙영역에는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를 표시하고, 적어도 일 측부에는 기하학적 문양, 다양한 글자체, 별, 하트, 구름, 파도, 꽃, 날개 등의 문양 중 하나를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이니셜의 첫글자는 장식적인 글자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기호나 형상은, 중앙영역에는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를 표시하고, 둘레에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으로 형성된 테두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금속성 물질은, 알루미늄, 크롬, 니켈, 은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이며, 상기 구현부의 표면에 증착되어 거울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현부의 거울면에 대향되는 면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스팽글, 구슬, 큐빅, 진주 등의 보석류 등의 장식물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거울면의 표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의 표면에 접착되어 접착층을 보호하는 이형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아크릴, 금속, ABS수지, PET, 강화 및 일반 플라스틱 수지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 되며, 그 표면에 알루미늄, 니켈, 은, 및 크롬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증착되고 소정의 기호나 형상을 이루는 구현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블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아크릴, 금속, ABS수지, PET, 강화 및 일반 플라스틱 수지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며, 그 표면에 알루미늄, 니켈, 은, 및 크롬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증착되고 소정의 기호나 형상을 이루는 구현부와; 상기 구현부의 일측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의 표면에 접착되어 접착층을 보호하는 이형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블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형상의 구현이 가능한 소재로 구현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구현부를 미리 선택된 기호나 문자,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컷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블렘의 제조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구현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구현부를 아크릴, 금속, ABS수지, PET, 강화 및 일반 플라스틱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판상으로 제작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구현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다양한 색상을 갖는 투명의 아크릴을 판상으로 사출성형하는 단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현부를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구현부는 1 내지 7mm 두께로 형성 할 수 있다.
상기 구현부의 표면에 금속성 물질을 코팅하여 거울면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울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구현부의 표면에 알루미늄, 크롬, 니켈, 은, 및 크롬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증착할 수 있다.
상기 거울면이 형성된 구현부의 표면에 미리 선택된 기호나 문자, 이미지 중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현부를 컷팅하는 단계는, 레이저, 물레이저, 아크릴 칼, 직소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구현부의 표면에 표시된 기호나 문자, 이미지대로 컷팅할 수 있다.
상기 물레이저는, 물과 레이저를 함께 주사하여 발생하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구현부를 컷팅할 수 있다.
상기 구현부의 컷팅 후, 상기 컷팅면을 글라인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현부의 컷팅 후, 컷팅면을 알루미늄, 크롬, 니켈, 은, 및 크롬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증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현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구현부의 표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장식물의 장착을 위한 복수의 장착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현부의 장착홈에 스팽글, 구슬, 큐빅, 진주 등의 보석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식물을 장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일정 강도를 갖는 소재로 판상의 구현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구현부의 적어도 일 표면에 금속성 재질을 코팅하여 거울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구현부를 미리 선택된 기호나 문자, 이미지 중 하나의 형상으로 컷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블렘의 제조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아크릴, 금속, ABS수지, PET, 강화 및 일반 플라스틱 수지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구현부의 적어도 일 표면에 알루미늄, 크롬, 니켈, 은, 및 크롬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증착하여 거울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구현부를 미리 선택된 기호나 문자, 이미지 중 하나의 형상으로 컷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블렘의 제조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5실시예에 따른 엠블렘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엠블렘(1)은, 문자, 기호, 이미지 등을 표시하기 위한 구현부(10)와, 구현부(10)의 일측면에 형성된 접착층(20)과, 접착층(20)을 보호하기 위해 부착되는 이형지(30)를 포함한다.
구현부(10)는, 일반적으로 엠블렘(1)의 제작에 사용되는 아크릴, 금속, ABS 수지, PET, 강화 및 일반 플라스틱 수지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현부(10)의 접착층(20)을 향한 면에는 금속성 물질의 코팅 또는 증착에 의해 거울면(40)이 형성되어 있다. 거울면(40)을 형성할 때, 금속성 물질을 단순히 코팅할 수도 있고, 진공 플라즈마 상태에서 증착시킬 수도 있으며, 이러한 방식의 선택은 구현부(10)의 재질에 따라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아크릴의 경우에는 진공 플라즈마 상태에서 금속성 물질을 증착시키는 방법으로 사용하고, ABS 수지의 경우에는 단순히 금속성 물질을 코팅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러한 거울면(40)의 형성시 주로 사용되는 금속성 물질로는, 알루미늄, 니켈, 은, 크롬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본 엠블렘(1)의 구현부(10)는, 판상의 아크릴에 거울면(40)을 형성한 아크릴 미러를 사용하며, 아크릴 미러를 형성하는 아크릴판은 무색 투명한 아크릴판을 사용할 수도 있고, 다양한 색상을 갖는 투명한 아크릴판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렇게 구현부(10)를 투명한 아크릴판으로 형성함에 따라, 알루미늄, 니켈, 은, 및 크롬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증착시 투명한 아크릴판을 통해 거울면(40)이 투영되어 금속성 질감을 느낄 수 있다. 이러한 구현부(10)는 입체감을 가질 수 있도록 일정 두께, 예를 들면, 1 내지 7 mm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mm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현부(10)에는 엠블렘(1)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물(50)을 부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팽글, 큐빅, 구슬, 진주 등의 보석류를 포함하는 반짝거리는 재질로 형성된 장식물(50)을 구현부(10)의 표면에 부착할 수 있으며, 장식물(50)은 글자를 따라 연속적으로 부착될 수도 있고, 소정 간격을 두고 간헐적으로 부착될 수도 있고, 글자 중 포인트를 줄 일부 영역에만 부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구현부(10)에는 장식물(50)의 장착을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V'자 혹은 'U"자 형상의 장착홈(15)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V'자형 장착홈(15)은 큐빅 등의 보석류를 장착하기 위해 형성되며, 'U'자형 장착홈은 구슬, 진주 등의 보석류를 장착하기 위해 형성된다. 그러나, 스팽글 등 구현부(10)의 표면에 바로 장착할 수 있는 장식물(50)의 부착될 때는 별도의 홈을 형성하지 아니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장착홈(15)은 엠블렘(1)의 제작과정 중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먼저, 구현부(10)의 사출성형시 일체로 장착홈(15)을 형성하는 방법이 있으며, 미리 제작될 문양이나 문자를 정한 다음, 문양이나 문자에 맞도록 장착홈(15)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A'라는 문자를 형성할 경우, 'A'문자에 맞는 장착홈(15)을 일체로 형성하여 아크릴판을 사출성형한 다음, 'A'문자에 맞게 컷팅한다. 한편, 처음부터 장착홈(15)과 함께 아크릴판 자체를 'A'문자 형태로 사출성형할 수도 있다. 이렇게 낱개의 글자로 구현부(10)를 제작하는 경우, 각 글자나 문양을 모두 표준화하여 제작하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각 글자나 문양을 조합하여 엠블렘(1)을 구성할 수도 있다.
장착홈(15)을 형성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사용자가 선택한 문자나 문양에 따라 엠블렘(1)을 컷팅한 다음, 추후에 컷팅된 문자나 문양에 맞게 장착홈(15)을 형성하는 방법이 있다. 이 때는 드릴이나 아크릴 칼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장착홈(15)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엠블렘(1)은, 주로, 자동차, 가전제품, 의류, 가방, 신발 등에 부착되며, 이외에도 사용자가 원하는 곳에는 어디나 부착이 가능하다. 그리고 엠블렘(1)의 제작시 사용할 수 있는 기호나 형상은, 상표, 상호, 로고 등을 표현한 문자나 기호, 이미지, 사용자의 이름, 이니셜, 좌우명, 특정 단어, 알파벳, 한글 문자, 숫자, 특수 기호 등 사용자가 표현하고 싶은 모든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에는 이러한 엠블렘(1)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본 엠블렘(1)을 적용할 수 있는 실시예는 후술할 실시예 이외에도 무궁무진함은 물론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엠블렘(1)은, 중앙영역에 소정의 기호나 이미지가 형성된 문양부(11)를 형성하고 있고, 문양부(11)를 중심으로 양측에는 엠블렘(1)의 사용자를 표시하는 기호, 문자, 이미지와, 사용자가 선택한 상대방을 표시하는 기호, 문자, 이미지를 포함하는 메인부(12)를 각각 배치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문양부(11)에 하트 모양을 형성하였으나, 기하학적 문양, 별, 하트, 구름, 파도, 꽃 등 다양한 형상을 문양부(11)에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이니셜과, 상대방의 이니셜을 표시하고 있으나, 엠블렘(1)의 메인부(12)는,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이니셜과 상대방의 이니셜은 미리 준비한 다양한 글자체로 형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별도의 글자체로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엠블렘(1)에는, 중앙영역에 문자가 표시된 문자부(13)가 형성되어 있고, 양측부에는 날개 모양으로 형성된 문양부(14)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문자부(13)에는 사용자의 이니셜이나 이름, 사용자가 원하는 단어, 기호 등을 형성할 수 있으며, 문양부(14)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형상의 문양, 예를 들면, 기하학적 문양, 별, 하트, 구름, 파도, 꽃 등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엠블렘(1)은 단순히 문자만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대신 다양하고 화려한 글자체를 이용하여 디자인적인 효과를 발휘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첫 문자는 크고 화려하게 장식하고, 엠블렘(1)의 표면에 장식물(50)을 장착함으로써, 자칫 엠블렘(1)이 단순해지고 식상해질 수 있는 점을 미연에 방지하였다. 장식물(50)의 장착을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현부(10)의 표면에는 장착홈(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장착홈(15)은 상술한 바와 같이, 엠블렘(1)을 컷팅한 뒤에 형성할 수도 있고, 구현부(10)의 사출성형시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5에서는 엠블렘(1)의 중앙에 글자를 형성하고, 둘레에는 타원형 테두리를 형성하고 있다. 이 때, 타원형 테두리 대신 원형, 사각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의 테두리를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중앙의 글자의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글자 및 글자체를 직접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엠블렘(1)의 첫머리에 문양을 형성하고, 그 뒤로는 글자를 배치할 수도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원하는 글자와 글자체를 선택할 수 있으며, 문자는 한 줄 또는 복수의 줄로 배치할 수 있고, 문자의 줄 수에 따라 문양의 크기를 적응적으로 조절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엠블렘(1)을 제작하는 과정을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7의 첫 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엠블렘(1)을 구성하는 구현부(10)를 제작하며, 구현부(10)는 아크릴판의 일측 판면에 알루미늄, 니켈, 은, 및 크롬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속성 물질을 플라즈마 상태에서 증착시켜 거울면(40)을 형성한다(S10).
그런 다음, 구현부(10)의 거울면(40)이 형성된 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20)을 형성하고(S20), 이형지(30)를 붙여 접착층(20)을 보호한다(S30). 이 때, 접착제는 일반적인 접착제를 사용할 수도 있고, 고무나 실리콘을 기재로 한 접착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렇게 구현부(10)가 마련되면, 사용자에게 제1내지 제5실시예에 도시된 엠블렘(1)의 디자인 중 원하는 디자인을 선택하도록 하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디자인을 직접 그릴 수 있도록 한다(S40). 디자인이 선택되면, 디자인에 포함될 글자와 문양을 선택하게 되는데, 만약 사용자가 제1실시예의 엠블렘(1)을 선택한 경우, 사용자는 중앙에 하트가 형성되도록 선택할 수도 있고, 하트 대신, 별, 달, 꽃 등 다양한 문양을 선택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문양의 양측에 들어갈 글자를 선택하게 되며, 이 때, 글자체도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의 엠블렘(1)을 선택한 경우에도, 엠블렘(1)의 디자인에 따라 사용자는 글자 내용, 글자체, 문양모양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이렇게 사용자에 의해 엠블렘(1)의 구체적인 디자인의 구성이 완료되면, 선택된 디자인에 따라 구현부(10)인 아크릴판을 컷팅하게 되는데(S50), 이 때, 컷팅과정은 시스템에 따라 컴퓨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컷팅되도록 할 수도 있고, 사람 이 기계를 이용하여 직접 컷팅하도록 할 수 있다. 기계를 이용하여 사람이 직접 컷팅하는 경우, 컷팅하기 전에 구현부(10)에 디자인을 그리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하며, 구현부(10)가 손상되지 아니하도록 도구를 이용하여 구현부(10)에 사용자가 선택한 디자인을 그린다. 그러나, 컴퓨터에 의해 자동으로 컷팅되는 경우, 컴퓨터 상에 사용자가 선택한 디자인이 저장되어 기계에 전달되어 기계가 바로 작동하기 때문에 디자인을 따로 그릴 필요가 없다.
이러한 컷팅작업에 사용되는 기계로는 일반적으로 레이저, 직소, 컷팅 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본 엠블렘(1)은 주로 레이저 또는 물레이저를 이용하여 컷팅한다. 물레이저는, 최근에 각광받고 있는 기술로서, 레이저와 물을 함께 분사하여 레이저에 의해 물분자가 자극을 받아 에너지가 생성되도록 하고, 이 때, 발생된 에너지를 의학적 치료나 컷팅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컷팅작업이 완료되어 엠블렘(1)이 제작되면, 마무리 작업으로 엠블렘(1)의 연부를 글라인딩 작업하여 거친 부분이나 모서리를 정리하는 작업을 통해 컷팅작업시 거칠어진 구현부(10)의 측면을 보강할 수 있다(S60).
한편, 엠블렘(1)에 장식물(50)을 부착하는 경우, 마무리 작업 이전에 구현부(10)의 표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장착홈(15)을 함몰 형성하고, 각 장착홈(15)에 스팽글, 큐빅, 구슬, 진주 등의 장식물(50)을 본딩 등의 작업을 통해 부착한다. 이러한 장착홈(15)은 구현부(10)의 제작시 일체로 사출성형할 수도 있으며, 장식물(50)의 장착시 아크릴판에 열을 가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장착홈을 형성하지 아니하고, 장식물(50)을 구현부(10)의 표면에서 가압하여 구현부(10)에 융착시킬 수도 있 다.
이와 같이, 본 엠블렘(1)은, 구현부(10)를 거울면(40)이 형성된 아크릴 미러를 사용하고, 아크릴 미러를 레이저 또는 물레이저로 컷팅하여 제작함에 따라, 종래와 같은 금형이 필요치 아니하게 되므로, 제작비용을 혁신적으로 감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과정도 단축하여 빠른 시간내에 저렴한 비용으로 엠블렘(1)을 제작할 수 있다. 게다가 구현부(10)에 접착층(20)과 이형지(30)를 모두 형성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디자인으로 컷팅함에 따라, 사용자의 욕구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계를 설치할 수 있는 어느 장소에서도 직접적이고 빠른 서비스가 가능하다. 또한, 아크릴 미러를 사용함에 따라 금속성 질감이 나는 표면에 의해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도 8에서 도시된 순서는 실시 양태나 실시 상황에 따라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은 상태에서 바뀌어 질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형태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금형이 필요치 아니하게 됨에 따라, 제작비용을 혁신적으로 감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과정도 단축하여 빠른 시간내에 저렴한 비용으로 엠블렘을 제작할 수 있다. 게다가 사용자가 원하는 디자인으로 제작함에 따라, 사용자의 욕구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다.

Claims (25)

  1.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아크릴, 금속, ABS수지, PET, 강화 및 일반 플라스틱 수지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며, 일측 표면에 알루미늄, 니켈, 은, 및 크롬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증착된 거울면을 가지고, 소정의 기호나 형상을 이루는 구현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블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현부는, 다양한 색상을 갖는 투명의 아크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블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현부의 두께는, 1 내지 7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블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기호나 형상은, 상표, 상호, 로고 등을 표현한 문자나 기호, 이미지, 사용자의 이름, 이니셜, 좌우명, 특정 단어, 알파벳, 한글 글자, 숫자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블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기호나 형상은, 기하학적 문양, 다양한 글자체, 별, 하트, 구름, 파도, 꽃 등의 문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블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기호나 형상은, 상기 사용자를 표시하는 기호, 문자, 이미지, 이니셜과,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상대방을 표시하는 기호, 문자, 이미지, 이니셜과, 상기 각 이니셜 사이에 배치되는 문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블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기호나 형상은, 중앙영역에는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를 표시하고, 적어도 일 측부에는 기하학적 문양, 다양한 글자체, 별, 하트, 구름, 파도, 꽃, 날개 등의 문양 중 하나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블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니셜의 첫글자는 장식적인 글자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블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기호나 형상은, 복수의 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블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기호나 형상은, 중앙영역에는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를 표시하고, 둘레에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으로 형성된 테두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블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현부의 상기 거울면에 대향되는 면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스팽글, 구슬, 큐빅, 진주 등의 보석류 등의 장식물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블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현부의 장식물이 부착된 면에는, 상기 장식물의 장착을 위해 판면으로부터 함몰된 장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블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울면의 표면에 도포된 접착제에 의해 형성되는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의 표면에 접착되어 접착층을 보호하는 이형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블렘.
  14.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일정 강도를 갖는 소재로 판상의 구현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구현부의 적어도 일 표면에 금속성 재질을 이용하여 거울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구현부를 미리 선택된 기호나 문자, 이미지 중 하나의 형상으로 컷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블렘의 제조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구현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구현부를 아크릴, 금속, ABS수지, PET, 강화 및 일반 플라스틱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판상으로 제작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블렘의 제조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구현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다양한 색상을 갖는 투명의 아크릴을 판상으로 사출성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블렘의 제조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거울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구현부의 표면에 알루미늄, 크롬, 니켈, 은, 및 크롬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증착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블렘의 제조방법.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거울면이 형성된 구현부의 표면에 미리 선택된 기호나 문자, 이미지 중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블렘의 제조방법.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구현부를 컷팅하는 단계는, 레이저, 물레이저, 아크릴 칼, 직소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구현부의 표면에 표시된 기호나 문자, 이미지대로 컷팅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블렘의 제조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물레이저는, 물과 레이저를 함께 주사하여 발생하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구현부를 컷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블렘의 제조방법.
  21.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구현부의 표면에 스팽글, 구슬, 큐빅, 진주 등의 보석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식물을 장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블렘의 제조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물을 장착하는 단계는, 상기 구현부의 표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상기 장식물의 장착을 위한 복수의 장착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블렘의 제조방법.
  23. 제 14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현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출성형시 상기 구현부의 판면에 상기 장착홈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블렘의 제조방법.
  24.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구현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거울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접착제의 표면에 이형지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블렘의 제조방법.
  2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구현부의 컷팅 후, 상기 컷팅면을 글라인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블렘의 제조방법.
KR1020040085208A 2004-10-25 2004-10-25 엠블렘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361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5208A KR20060036170A (ko) 2004-10-25 2004-10-25 엠블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5208A KR20060036170A (ko) 2004-10-25 2004-10-25 엠블렘 및 그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0060U Division KR200374219Y1 (ko) 2004-10-25 2004-10-25 엠블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6170A true KR20060036170A (ko) 2006-04-28

Family

ID=37144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5208A KR20060036170A (ko) 2004-10-25 2004-10-25 엠블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617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575B1 (ko) * 2008-11-15 2011-07-11 독터.인제니어. 하.체. 에프.포르쉐악티엔게젤샤프트 형태 안정적인 문자판의 제조 방법 및 문자판
KR101227262B1 (ko) * 2011-04-04 2013-01-28 조영미 발광다이오드 면발광체의 제조방법
KR101720280B1 (ko) * 2015-09-21 2017-04-10 양경호 광고용 패널의 스팽글 디자인 디스플레이 방법
KR20180060598A (ko) * 2016-11-29 2018-06-07 (주)차라도 크리스탈 장식재를 이용한 자동차 외관 장식재 제조 방법과 이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자동차 외관 장식재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외관 장식 방법
CN109676869A (zh) * 2019-02-27 2019-04-26 深圳市劲佳塑胶工艺有限公司 一种立体标牌结构及其制备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575B1 (ko) * 2008-11-15 2011-07-11 독터.인제니어. 하.체. 에프.포르쉐악티엔게젤샤프트 형태 안정적인 문자판의 제조 방법 및 문자판
KR101227262B1 (ko) * 2011-04-04 2013-01-28 조영미 발광다이오드 면발광체의 제조방법
KR101720280B1 (ko) * 2015-09-21 2017-04-10 양경호 광고용 패널의 스팽글 디자인 디스플레이 방법
KR20180060598A (ko) * 2016-11-29 2018-06-07 (주)차라도 크리스탈 장식재를 이용한 자동차 외관 장식재 제조 방법과 이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자동차 외관 장식재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외관 장식 방법
CN109676869A (zh) * 2019-02-27 2019-04-26 深圳市劲佳塑胶工艺有限公司 一种立体标牌结构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7315B1 (ko) 입체형 장식물이 형성된 인조네일 제조방법
EP1902644A1 (en) Decoration for nail
JPH0628000B2 (ja) 看 板
KR100698963B1 (ko) 스크린 인쇄를 이용한 장식부재에 도형, 글씨, 테두리 형성방법
JP2002156912A (ja) 電子機器表示窓の保護パネル
KR20060036170A (ko) 엠블렘 및 그 제조방법
US6205692B1 (en) Three-dimensional decorative object
KR200374219Y1 (ko) 엠블렘
CN109274786B (zh) 外观件、手机后盖及电池组件
KR101511524B1 (ko) 로고 라벨 제조 방법
KR101416040B1 (ko) 입체형 엠블럼 제조방법
CN218333556U (zh) 一种内嵌式字符的键帽
KR101258606B1 (ko) 용기 캡의 무늬모양 성형방법
JP4478541B2 (ja) 裏面側から照光可能な成形同時加飾成形品の製造方法
KR100609934B1 (ko) 자개 문자 액세서리 제조방법 및 그 자개 문자 액세서리
CN210000252U (zh) 车辆标牌
CN218998567U (zh) 具有立体隆起效果的铝片及含有其的电器
KR200383392Y1 (ko) 장식품
KR200264376Y1 (ko) 의복 장식용 핫 픽스
KR20040013843A (ko) 장식용 판재 및 그의 제조 방법
JP3099212U (ja) テンプル
JP6391091B2 (ja) ピンバッジ
JPH0247035Y2 (ko)
KR19990022247U (ko) 에폭시코팅장식
KR200380352Y1 (ko) 라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