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6010A - 이동통신 단말기의 응답정보 편집 및 재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응답정보 편집 및 재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6010A
KR20060036010A KR1020040085115A KR20040085115A KR20060036010A KR 20060036010 A KR20060036010 A KR 20060036010A KR 1020040085115 A KR1020040085115 A KR 1020040085115A KR 20040085115 A KR20040085115 A KR 20040085115A KR 20060036010 A KR20060036010 A KR 20060036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ponse information
mobile communication
user
communication terminal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5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085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6010A/ko
Publication of KR20060036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60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폰뱅킹 등의 자동응답서비스를 이용할 때 주민등록번호 및 계좌번호와 같이 일련의 숫자로 이루어진 응답정보 중에 잘못 입력된 숫자를 편집하여 재전송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객체와 통화접속을 이룬 상태에서 사용자가 키를 눌러 소정의 자동응답서비스를 선택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선택된 자동응답서비스 모드를 설정하는 제 1 단계; 설정한 자동응답서비스 모드에서, 사용자가 키를 사용해 일련의 숫자로 이루어진 응답정보를 입력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입력순으로 응답정보를 전송하고 입력된 응답정보를 일시 저장하는 제 2 단계;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일시 저장한 응답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 3 단계; 사용자가 디스플레이한 응답정보 중에서 특정 숫자의 삭제를 지시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특정 숫자를 삭제하고 사용자에 의해 새로 입력되는 숫자를 삭제된 특정 숫자의 위치에 대체시켜 입력하는 제 4 단계; 및 사용자의 재전송 지시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는 새로 입력된 숫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응답정보를 재전송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한다.
이동통신, 단말기, 응답정보, 편집, 재전송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응답정보 편집 및 재전송 방법{Method for editing and retransmitting response informations in mobile phone}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응답정보 편집 및 재전송 방법에 대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키패드 120: 제어부
130: 메모리 140: 액정화면
150: 무선주파수 처리부 160: 스피커
170: 마이크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응답정보 편집 및 재전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폰뱅킹 등의 자동응답서비스를 이용할 때 주민등록번호 및 계좌번호와 같이 일련의 숫자로 이루어진 응답정보 중에 잘못 입력된 숫자를 편집하여 재전송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화기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화번호에 대해서는 단축 다이얼링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있지만, 정작 자동응답기능을 이용하여 은행 통장의 잔고 등을 조회하거나, 호출기(PAGER)를 호출하거나, 국제전화를 걸고자 할 때와 같이 비교적 많은 자리수의 버튼을 눌러야 하는 경우에는 단축기능을 활용할 수 없게 되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는 일일이 해당 버튼을 순차적으로 눌러주어야 한다.
예를 들어, 은행의 자동응답기능(ARS)을 이용하여 통장의 잔고를 조회하고자 하는 경우, '자동응답 전화번호 입력→서비스코드(예:입금조회 또는 잔액조회) 입력→은행코드번호 입력→계좌번호 입력→비밀번호 입력' 에 대응되는 번호 및 특수코드(#,*) 버튼을 순차적으로 눌러주어야 한다.
다른 예로써, 신용카드를 조회하고자 하는 경우, 자동응답 전화번호 입력→서비스 번호(예: 분실, 결재대금, 이용 한도액 등) 입력→계좌번호 입력→비밀번호 입력' 에 대응되는 번호 및 특수코드(#,*) 버튼을 순차적으로 눌러주어야 한다.
또다른 예로써, 호출기를 호출하고자 하는 경우, 호출 번호에 대응되는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른 다음 연락을 받고자 하는 전화번호(예: 자신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버튼을 순차적으로 눌러주어야 한다.
또다른 예로써, 국제전화(인터넷폰, 별정통신을 이용하는 국제전화)를 걸고자 하는 경우, 1차 접속을 위해 여러 자리수의 전화번호 버튼을 눌러 특정 톤(예: A톤)을 수신한 후, 이어서 나머지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버튼을 순차적으로 눌러주어야 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전화기에 있어서는 통상의 전화번호에 대해서는 단축 다이얼링 기능이 제공되지만, 정작 많은 번거로움을 수반하는 다이얼링, 예를들어 자동응답기능을 이용한 은행 통장의 잔액조회 또는 계좌이체 또는 신용카드 대금의 결재여부 조회, 호출기에 대한 다이얼링, 국제전화를 위한 다이얼링 등에 대해서는 단축 다이얼링 기능이 제공되지 않는 결함이 있었다. 그러므로 많은 자리수의 번호를 일일이 수동으로 입력해야 되고, 이때 번호를 잘못 눌러 재 입력해햐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예상치 않은 요금이 부과되어 경제적 손실을 입게 되는 결함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특허출원 제 1999-0028885 호에서는 자동응답기능을 이용하여 은행 통장의 잔고를 조회하거나 신용카드의 각종 서비스를 조회하거나, 호출기를 호출하거나 국제전화를 걸 때와 같이 비교적 많은 자리수의 버튼을 눌러야 하는 경우에 대응하여, 단축 다이얼링에 필요한 번호들을 저장해 두고 접속을 위한 다이얼링 후 자동응답용 음성신호를 감지하여 해당 시점에서 해당 번호들을 순차적으로 자동 송출할 수 있게 하고, 필요에 따라 마스터 카드를 이용하여 단축다이얼링 잠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한 전화기의 단축 다이얼링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단축 다이얼링 방법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에 의해 저장모드 시작버튼이 눌리는 것을 확인한 다음 사용자가 지정하는 번지에 1차송출용 번호를 저장하고 특정 버튼이 눌리는 것을 확인하여 그에 따른 첫 번째 지연시간을 설정하는 단계와, 2차송출용 번호를 저장하고 특정 버튼이 눌리는 것을 확인하여 그에 따른 두 번째 지연시간을 설정하는 단계와, 3차송출용 번호를 저장하고 특정 버튼이 눌리는 것을 확인하여 그에 따른 세 번째 지연시간을 설정하는 단계와, 4차송출용 번호를 저장하고 저장모드를 종료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단축전화번호를 저장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송출번지 선택용 버튼이 눌리는 것을 확인한 다음 상기 저장과정에서 저장된 1차 송출용번호를 송출하고, 응답용 음성신호를 검출하여 그 검출시점으로부터 상기 설정된 대기시간만큼 대기하고 있다가 번호를 송출하는 방식으로 4차 송출용 번호까지 순차적으로 송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축다이얼링 방법은 국선 전화기에 적용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이 방법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폰뱅킹를 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숫자키를 일일이 눌러서 주민등록번호 및 계좌번호 등을 입력해야 했으며, 특히 일련의 번호 중에 하나의 숫자라도 잘못 입력되면 주민등록번호 및 계좌번호를 처음부터 다시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폰뱅킹 등의 자동응답서비스를 이용할 때 주민등록번호 및 계좌번호와 같이 일련의 숫자로 이루어진 응답정보 중에 잘못 입력된 숫자를 편집하여 재전송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자동응답서비스를 이용할 때 일련의 숫자로 이루어진 응답정보 중에 잘못 입력된 숫자를 편집하여 재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은행과 같은 특정 객체에서 제공하는 자동응답서비스를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이용할 때 입력한 응답정보를 편집하여 재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객체와 통화접속을 이룬 상태에서 사용자가 키를 눌러 소정의 자동응답서비스를 선택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선택된 자동응답서비스 모드를 설정하는 제 1 단계; 상기 설정한 자동응답서비스 모드에서, 사용자가 키를 사용해 일련의 숫자로 이루어진 응답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입력순으로 응답정보를 전송하고 입력된 응답정보를 일시 저장하는 제 2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일시 저장한 응답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 3 단계;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한 응답정보 중에서 특정 숫자의 삭제를 지시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특정 숫자를 삭제하고 사용자에 의해 새로 입력되는 숫자를 상기 삭제된 특정 숫자의 위치에 대체시켜 입력하는 제 4 단계; 및 사용자의 재전송 지시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새로 입력된 숫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응답정보를 재전송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화, 폰뱅킹 및 각종 부가서비스 이용 등에 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110)와, 키패드(11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통화 서비스, 폰뱅킹 서비스 및 각종 부가서비스 등의 제공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20)와, 제어부(120)로부터 전달되는 숫자, 문자 및 영상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30)와, 제어부(120)에 의해 전달되는 숫자, 문자 및 영상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액정화면(LCD)(140)과, 제어부(120)에 의해 전달되는 기저대역신호를 고주파신호로 변환시켜 외부로 전송하고 기지국 등을 통해 수신되는 고주파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변환시켜 제어부(120)에 접속시키는 무선주파수 처리부(150)와, 제어부(150)에 의해 전달되는 소리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60)와, 사용자 음성 및 각종 소리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170)를 구비한다.
키패드(110)는 통화 서비스 및 각종 부가서비스 등의 제공에 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아 제어부(120)로 전달하고, 또한 폰뱅킹과 같은 자동응답서비스(ARS)를 이용할 때 주민번호 및 계좌번호 등의 응답정보를 입력받는다.
제어부(120)는 키패드(11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통화 및 각종 부가서비스의 제공을 제어하고, 또한 폰뱅킹 등의 자동응답서비스 제공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폰뱅킹을 할 때, 사용자는 은행으로부터 제공되는 자동응답 내용에 따라 키패드(110) 상의 숫자키를 눌러 주민 등록번호나 계좌번호 등을 순차적으로 입력한다. 이때, 제어부(120)는 입력되는 일련의 번호를 순차적으로 은행에 전송하되, 입력된 번호를 무선주파수 처리부(150)를 통해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잘못 입력한 번호를 편집하여 그 번호를 다시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입력된 주민등록번호나 계좌번호를 일정시간 동안 저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주민등록번호나 계좌번호를 편집하기 위해 특정키를 누르면, 제어부(120)는 일시 저장한 주민등록번호나 계좌번호를 액정화면(140)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사용자가 잘못 입력된 번호를 편집하여 새로운 번호를 입력한 후 재전송을 지시하면, 제어부(120)는 새로 편집된 주민등록번호나 계좌번호를 은행으로 재전송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응답정보를 편집하여 재전송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응답정보 편집 및 재전송 방법에 대한 흐름도로서, 자동응답서비스 중에 폰뱅킹을 수행할 때 응답정보를 편집하여 재전송하는 과정을 예로서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해 은행으로 전화를 걸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은행의 특정 전화와 통화접속을 이룬다(S201).
통화접속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은행으로부터 제공되는 자동응답 내용, 예를 들면 폰뱅킹은 1번, 교환원 상담은 2번, 그리고 기타는 3번 등의 내용을 듣고 난 후 1번 키를 눌러 폰뱅킹을 선택하면(S202), 이동통신 단말기는 폰뱅킹모드를 설정한다(S203).
이렇게 폰뱅킹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은행이 사용자에게 주민등록번호나 계좌번호를 입력하고 입력완료 표시로 특정키(예를 들어, #키)를 누르라는 자동응답 내용을 제공하면, 사용자는 키패드(110) 상의 숫자키를 눌러 주민등록번호나 계좌번호를 순차적으로 입력한다(S204).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는 하나의 번호가 입력될 때마다 그 번호를 DTMF신호로 변환시켜 은행으로 전송하고 입력된 일련의 번호를 일시 저장한다(S205).
이와 같이 사용자가 응답정보인 주민등록번호나 계좌번호를 모두 입력한 후 입력완료 표시로 특정키(#키)를 누르면(S206), 은행은 주민등록번호나 계좌번호가 올바르게 입력되었는지를 자동응답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준다(S207). 이때, 사용자가 응답정보를 올바로 입력하였으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의 종료지시를 받아 폰뱅킹을 종료한다(S208).
만일, 은행이 주민등록번호가 잘못 입력되었다는 자동응답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주민등록번호를 편집하기 위해 특정키(예를 들어, *키)를 누르면(S209), 이동통신 단말기는 일시 저장한 주민등록번호를 액정화면(140)에 디스플레이한다(S210).
이때, 사용자는 액정화면(140) 상에 표시된 주민등록번호를 보고 잘못 입력된 번호를 확인한 후 키를 사용해 이 번호를 편집한다. 즉, 사용자가 키를 사용해 주민등록번호 중에 잘못 입력된 번호의 삭제를 지시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잘못 입력된 번호를 삭제한다(S211). 그리고, 사용자가 키를 사용해 삭제된 번호 대신에 다른 번호를 입력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삭제된 번호가 있던 자리에 새로 입력된 번호를 대체시킨다(S212).
이렇게 잘못 입력된 번호의 편집 과정이 완료된 후, 사용자가 특정키(예를 들어, #키)를 눌러 편집된 주민등록번호의 재전송을 지시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편집된 주민등록번호를 은행으로 재전송한다(S213). 이어서, 사용자가 은행이 지시하는 응답정보를 모두 입력한 후 폰뱅킹의 종료를 지시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폰뱅킹을 종료한다.
한편, 편집된 주민등록번호가 잘못 입력된 경우에도, 사용자는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 상에서 주민등록번호를 새로 편집하여 편집한 번호를 재전송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해 폰뱅킹과 같은 자동응답서비스를 제공받을 때,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입력한 일련의 번호 중에 잘못 입력한 번호를 편집하여 재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자동응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 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폰뱅킹 등의 자동응답서비스를 이용할 때 주민등록번호 및 계좌번호와 같이 일련의 숫자로 이루어진 응답정보 중에 잘못 입력된 숫자를 편집하여 재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여 보다 많은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자동응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통신 서비스의 질을 높일 수 있다.

Claims (4)

  1. 은행과 같은 특정 객체에서 제공하는 자동응답서비스를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이용할 때 입력한 응답정보를 편집하여 재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객체와 통화접속을 이룬 상태에서 사용자가 키를 눌러 소정의 자동응답서비스를 선택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선택된 자동응답서비스 모드를 설정하는 제 1 단계;
    상기 설정한 자동응답서비스 모드에서, 사용자가 키를 사용해 일련의 숫자로 이루어진 응답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입력순으로 응답정보를 전송하고 입력된 응답정보를 일시 저장하는 제 2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일시 저장한 응답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 3 단계;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한 응답정보 중에서 특정 숫자의 삭제를 지시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특정 숫자를 삭제하고 사용자에 의해 새로 입력되는 숫자를 상기 삭제된 특정 숫자의 위치에 대체시켜 입력하는 제 4 단계; 및
    사용자의 재전송 지시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새로 입력된 숫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응답정보를 재전송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응답정보 편집 및 재전송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하나의 번호가 입력될 때마다 그 번호를 DTMF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객체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응답정보 편집 및 재전송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에서, 사용자는 특정키를 눌러서 입력한 응답정보의 편집명령을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응답정보 편집 및 재전송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최초에 입력된 숫자 순서에 따라 편집된 응답정보를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응답정보 편집 및 재전송 방법.
KR1020040085115A 2004-10-23 2004-10-23 이동통신 단말기의 응답정보 편집 및 재전송 방법 KR200600360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5115A KR20060036010A (ko) 2004-10-23 2004-10-23 이동통신 단말기의 응답정보 편집 및 재전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5115A KR20060036010A (ko) 2004-10-23 2004-10-23 이동통신 단말기의 응답정보 편집 및 재전송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6010A true KR20060036010A (ko) 2006-04-27

Family

ID=37144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5115A KR20060036010A (ko) 2004-10-23 2004-10-23 이동통신 단말기의 응답정보 편집 및 재전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601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243243A (ja) 携帯電話機におけるurl表示方法及び該表示方法を用いた携帯電話機
US20100015965A1 (en) Integrated handheld computing and telephony device
KR20000013272A (ko)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의 개선된 단문메시지 발신 방법
US6192124B1 (en) Method for accessing a country code or an area code stored in a telephone to dial a telephone number
JP2002262362A (ja) 移動端末でのメッセージ伝送方法
RU2233041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записи и обработки информации в беспроводном связном устройстве
KR10073181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의 스피드다이얼 설정 방법 및 이동 통신 단말기
WO1998030053A1 (en) A user interfa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unit
EP2031845B1 (en) Telephone apparatus
EP1028576A2 (en) Message transmission method for digital portable terminal
JP3045160B1 (ja) 通信端末装置
US20020010005A1 (en) Method for performing voice dialing through ear-microphone in a mobile terminal
JPS59104850A (ja) 電話装置
JPH07212453A (ja) 電話機の自動ダイアル装置およびダイアル補助装置
KR2006003601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응답정보 편집 및 재전송 방법
EP0544667B1 (en) Dialing editing method and apparatus
US7746991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a call service using a prepaid card in a portable terminal
KR100338640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쇼트메시지 내용편집 및 전송방법
KR100688195B1 (ko) 메시지 확인신호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JP2002237912A (ja) 公衆電話システム
JP2829038B2 (ja) 電話端末装置
KR10160530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성을 이용한 다이얼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060036009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응답정보 설정 및 전송 방법
JP2008010962A (ja) 電話機
JP3226864B2 (ja) 通話履歴表示方法及び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