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8640B1 -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쇼트메시지 내용편집 및 전송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쇼트메시지 내용편집 및 전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8640B1
KR100338640B1 KR1020000051090A KR20000051090A KR100338640B1 KR 100338640 B1 KR100338640 B1 KR 100338640B1 KR 1020000051090 A KR1020000051090 A KR 1020000051090A KR 20000051090 A KR20000051090 A KR 20000051090A KR 100338640 B1 KR100338640 B1 KR 100338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 message
user
sms
menu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1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7618A (ko
Inventor
박용국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20000051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8640B1/ko
Publication of KR20020017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7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8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86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부 메뉴에서 SMS 내용을 편집/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부 메뉴에서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입력되는 과정과, 상기 전화번호가 SMS 수신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번호이면 통화 메뉴와 SMS 전송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는 과정과, 상기 SMS 전송 메뉴를 사용자가 선택하여 상기 단말기에 입력되면 상기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SMS 수신자 번호로 지정한 상태로 SMS 편집화면을 디스플레이시켜 SMS 편집이 끝나면 즉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쇼트메시지 내용 편집 및 전송 방법{METHOD FOR EDITING AND TRANSMISSION SHORT MESSAGE CONTENTS IN MOBILE PHONE}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부 메뉴와 SMS 내용 편집 및 송신에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변경하여 SMS 수신자 지정을 간편하게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용자가 SMS 내용을 편집/전송하는 과정은 사용자가 SMS 내용을 편집한 후 수신자지정 화면에서 수신자 번호를 입력하여 SMS전송하거나 SMS 내용을 편집한 후 수신자지정 화면에서 전화번호부를 검색하여 수신자 번호를 선택하여 SMS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기존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전화번호부 메뉴에서 번호를 선택한 후의 동작은 대부분이 사용자의 통화 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 이동통신단말기에서는 SMS를 전송함에 있어서 SMS 내용을 편집한 후에 수신자를 지정하도록 하는 고정된 방법만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가 SMS 내용을 편집하는 데 있어서 그 순서를 제한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부 메뉴에서 SMS 수신자를 지정한 후에 SMS 송신 화면으로 들어가서 SMS 내용 편집 및 송신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부 메뉴에서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사용자가 선택하여 상기 단말기에 입력되는 과정과, 상기 전화번호가 SMS 수신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번호일 경우에는 통화 메뉴와 SMS 전송 메뉴를 디스플레이시키는 과정과, 상기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SMS의 수신자 번호로 지정한 상태로 SMS 편집화면을 디스플레이시켜 SMS 편집이 끝나면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통상적인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부 메뉴에서 SMS 내용을 편집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첨부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는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구체적인 처리 흐름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통상적인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10)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20)는 상기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편집하여 입력한 단문 메시지를 저장한다. 듀플렉서(Duplexer)(30)는 안테나(AT)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며, 송/수신되는 신호를 분리한다. 수신부(40)는 소정의 제어를 받아 상기 안테나(AT)를 통해 입력된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듀플렉서(30)에 의해 분리된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하며, 미약한 신호를 증폭하고 필터링하여 출력한다. 송신부(50)는 소정의 제어를 받아 이하 설명될 오디오부(60)로부터 출력된 무선신호를 필터링하고 증폭하여 듀플렉서(30)를 거쳐 안테나(AT)를 통해 송신한다. 오디오부(60)는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마이크(MIC)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무선신호로 변조하고, 수신부(40)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복조하여 스피커(SP)에 음성신호로서 송출한다. 또한 기지국으로부터 링신호가 발생할 때 수신부(40)를 통해 상기 링신호를 감지한 후 링거(Ringer)를 통해 송출한다. 키입력부(70)는 다수의 숫자키들과 기능키들을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소정의 키를 누를 때 해당되는 키데이터를 발생하여 제어부(10)로 출력한다. 표시부(80)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표시부(Liquid Crystal Display: LCD)를 포함하고, 제어부(10)에 의해 제어되며, 키입력부(70)에서 발생되는 키데이터 및 제어부(10)의 각종 정보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화번호부 메뉴에서 SMS 내용을 편집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동통신단말기에 사용자가 (301)단계에서 전화번호부 메뉴를 입력하면 제어부(10)는 이를 확인하고 (303)단계에서 전화번호부 모드로 전환한다. 상기 전화번호부 모드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화번호부 메뉴 키를 선택하여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0)가 발신번호 보기, 수신번호 보기, 번지로 찾기 등의 메뉴 항목을 디스플레이시킨 상태라 할 수 있다. (305)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에 착신측 전화번호가 선택되어 입력되면 제어부(10)는 이를 확인하고 (3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착신측 전화번호가 SMS 전송이 가능한 번호인지를 확인한다. 상기 사용자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에 착신측 전화번호가 입력되는 방법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착신자 지정 화면에서 착신자 번호가 입력되거나 전화번호부 메뉴를 검색되어 착신자 전화번호가 선택되어 입력되는 방법이 있다. 상기 착신측 전화번호가 SMS 전송이가능한 번호일 경우에는 제어부(10)는 (309)단계로 진행하여 착신 서비스 메뉴인 통화 메뉴 및 SMS 전송 메뉴를 디스플레이시킨다. (311)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통화 메뉴 및 SMS 전송 메뉴 중 SMS 전송 메뉴가 선택되어 입력되면 제어부(10)는 이를 확인하고 (313)단계로 진행하여 SMS 전송을 위한 편집 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킨다. 상기 (311)단계에서 사용자가 SMS 전송 메뉴를 선택하면 제어부(10)는 이를 확인하고 상기 수신자 번호는 SMS 수신자번호로 지정된다. 이어 (315)단계에서 제어부(10)는 SMS 내용이 사용자에 의해 편집되었는지를 확인하고 (316)단계로 진행하여 발신측 전화번호가 입력되기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킨다. 상기 SMS내용이 편집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은 상기 SMS내용이 편집되는 것을 인식하고 사용자로부터 SMS내용 편집이 완료되었다는 확인키가 입력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이어 제어부(10)는 (317)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발신측 전화번호가 입력되는지를 확인한다. 상기 제어부(10)가 발신측 전화번호가 입력된 것을 확인하였을 경우에는 (31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편집된 SMS 내용을 전송한다.
이와 달리 상기 (301)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전화번호부 메뉴가 입력되지 않고 (321)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단문 메시지 메뉴가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제어부(10)는 (323)단계로 진행하여 단문 메시지 메뉴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단문 메시지 메뉴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는 것은 기존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상적인 단문 메시지 메뉴에 따른 동작을 의미한다.
이와 달리 상기 (307)단계에서 상기 수신자 번호가 SMS 전송이 가능한 번호가 아닐 경우에 (325)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통화 키(key)가 이동통신단말기에 입력되면 제어부(10)는 이를 확인하고 (327)단계에서 상기 착신측 전화번호로 전화통화를 하기 위한 호 연결을 수행한다.
상기 (311)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SMS 전송 메뉴가 입력되지 않고 (329)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통화 메뉴가 입력되면 이를 확인한 제어부(10)는 (331)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31)단계에서 착신측 전화번호로 전화통화를 하기 위한 호 연결을 수행한다. 이어 착신측 가입자로부터 상기 호 연결에 대한 응답이 있을 경우에 (333)단계에서 통화로가 형성되고 (335)단계에서 사용자는 통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333)단계에서 착신측 가입자로부터 상기 호 연결에 대한 응답이 없을 경우에 제어부(10)는 (337)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SMS 전송을 할 것인지를 확인하는 문구를 이동통신단말기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시킨다. 상기 문구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에 통화 키(key)를 입력하는 등 통화를 시도하는 행위를 하여 상기 발신측 사용자와 통화로가 형성되지 않았을 경우에도 상기 문구가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문구는 예를 들어 "SMS 전송을 하시겠습니까?" 라는 문구를 예로 들 수 있고 그 외 SMS 전송을 할 것인지를 확인하는 기타 여러 문구나 용어들을 사용할 수 있다. 이어 (339)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SMS 전송을 할 것이라는 응답이 입력되면 제어부(10)는 이를 확인되고 (341)단계에서 SMS 전송을 위한 편집 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킨다. 상기 SMS 전송을 할 것이라는 응답은 상기 단말기에 "예, 아니오"라는 글자가 디스플레이되었을 경우에 사용자로부터 "예"가 선택되어 입력됨을 예로 들 수 있고 그 외 여러 가지 방법에 의하여 사용자로부터 상기 응답이 입력될수 있다. 이어 (343)단계에서 제어부(10)는 SMS 내용이 사용자에 의해 편집되었는지를 확인하고 (344)단계로 진행하여 발신측 전화번호가 입력되기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킨다. 상기 SMS내용이 편집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은 상기 SMS내용이 편집되는 것을 인식하고 사용자로부터 SMS내용 편집이 완료되었다는 확인키가 입력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이어 제어부(10)는 (345)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발신측 전화번호가 입력되는지를 확인한다. 상기 제어부(10)가 발신측 전화번호가 입력된 것을 확인하였을 경우에는 (34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편집된 SMS 내용을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추가하여, 최근 사용빈도수가 증가하고 있는 SMS 내용편집/전송을 간편하게 하는 효과가 있고, SMS 내용 편집/송신 기능을 향상시켜 사용자의 성향에 따라서 SMS 내용편집/전송하는 방법의 선택 폭이 넓어지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 내용이 편집되어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의 전화번호부 메뉴가 입력되면 이를 확인하여 전화번호부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전화번호부 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 착신측 전화번호가 입력되면 단문메시지 전송 가능한 번호인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측 전화번호가 단문메시지 전송 가능한 번호인 경우에 착신 서비스 메뉴인 통화 메뉴, 단문메시지 전송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 서비스 메뉴 중 상기 단문메시지 전송 메뉴가 사용자로부터 선택되는 경우에 단문메시지 전송을 위한 편집 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키는 과정과,
    상기 단문메시지 전송을 위한 편집 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킨 후 사용자로부터 단문메시지 내용이 편집되는 것을 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단문메시지 내용 편집이 완료되었다는 확인키가 입력되면 이를 확인하여 발신측 전화번호가 입력되기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측 전화번호가 입력되기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 후 상기 사용자로부터 발신측 전화번호가 입력되는 과정과,
    상기 발신측 전화번호가 입력되면 이를 확인하여 단문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SMS 내용 편집 및 전송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측 전화번호가 단문메시지 전송이 불가능한 번호인 경우에 상기 착신측 전화번호로 전화통화를 위한 호 연결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SMS 내용 편집 및 전송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서비스 메뉴 중 사용자로부터 통화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에 상기 착신측 전화번호로 전화통화를 하기 위한 호 연결을 수행하는 과정과,
    착신측 가입자로부터 상기 호 연결에 대한 응답이 있는 경우에 상기 착신측 가입자와의 통화로를 형성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SMS 내용 편집 및 전송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측 가입자로부터 상기 호 연결에 대한 응답이 없어 통화로가 형성되지 않았을 경우에 단문메시지 전송을 할 것인가를 확인하는 문구를 디스플레이시키는 과정과,
    사용자로부터 단문메시지 전송을 할 것이라는 응답이 입력되면 이를 확인하여 단문메시지 전송을 위한 편집 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키는 과정과,
    상기 단문메시지 전송을 위한 편집 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킨 후 사용자로부터 단문메시지 내용이 편집되는 것을 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단문메시지 내용 편집이 완료되었다는 확인키가 입력되면 이를 확인하여 발신측 전화번호가 입력되기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측 전화번호가 입력되기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 후 상기 사용자로부터 발신측 전화번호가 입력되는 과정과,
    상기 발신측 전화번호가 입력되면 이를 확인하여 단문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SMS 내용 편집 및 전송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메시지 전송을 할 것인가를 확인하는 문구는 상기 단말기에 통화 키가 입력되었을 경우에 상기 단말기의 호 연결에 대한 착신측의 응답이 없어 통화로가 형성되지 않았을 경우에 디스플레이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SMS 내용 편집 및 전송 방법.
KR1020000051090A 2000-08-31 2000-08-31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쇼트메시지 내용편집 및 전송방법 KR100338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1090A KR100338640B1 (ko) 2000-08-31 2000-08-31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쇼트메시지 내용편집 및 전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1090A KR100338640B1 (ko) 2000-08-31 2000-08-31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쇼트메시지 내용편집 및 전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7618A KR20020017618A (ko) 2002-03-07
KR100338640B1 true KR100338640B1 (ko) 2002-05-30

Family

ID=19686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1090A KR100338640B1 (ko) 2000-08-31 2000-08-31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쇼트메시지 내용편집 및 전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86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8331A (ko) * 2000-11-17 2002-05-23 김대홍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전송방법
KR100469417B1 (ko) * 2002-03-27 2005-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통신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
KR100652348B1 (ko) * 2005-11-17 2006-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작성 방법 및 그 이동 통신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7618A (ko) 2002-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2267B2 (en) Method for issuing a call termination alert according to service options in a composite cellular terminal
EP1502421B1 (en) A method of remotely changing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a communications device
JP2003319062A (ja) ハンズフリー携帯電話機およびハンズフリー切替プログラム
KR20000051317A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피호자측의 현재시간 표시방법
US7184783B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character message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uring conversation by telephone
KR20000062086A (ko) 휴대폰에서 스피커폰 모드시 음성신호의 송/수신 상태 표시방법
KR10033468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복구 방법
KR100345535B1 (ko) 이동무선 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자동전송방법
KR100450138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통화중 알림 기능 제공 방법
KR20000066072A (ko) 자동응답을 제공하는 휴대단말기 및 그 자동응답방법
KR100338640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쇼트메시지 내용편집 및 전송방법
KR20010058797A (ko) 휴대폰의 단문메시지 전송방법
KR20040000688A (ko) 휴대폰용 전화기의 멀티 에쓰엠에쓰 전송 방법
JP2002209011A (ja) 携帯端末
KR10106380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
KR100374565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이어 마이크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0360897B1 (ko) 메모리응답기능을 이용한 무음통화 이동전화기
KR20040045163A (ko) 특정전화번호의 단문메시지 차단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이동통신 단말기
KR20000013794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단문 문자서비스 메시지 확인방법
KR20050095485A (ko) 휴대폰 동작의 원격제어방법
KR100703520B1 (ko) 투넘버 서비스를 제공받은 단말기에서의 자동응답 서비스방법
KR20020036564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전송방법
KR20030017594A (ko) 휴대폰의 메뉴 구성 편집방법
KR100630060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음성 이메일 전송 방법
JP2000244977A (ja) 無線通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