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5267A - 모서리부재 - Google Patents

모서리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5267A
KR20060035267A KR1020040084685A KR20040084685A KR20060035267A KR 20060035267 A KR20060035267 A KR 20060035267A KR 1020040084685 A KR1020040084685 A KR 1020040084685A KR 20040084685 A KR20040084685 A KR 20040084685A KR 20060035267 A KR20060035267 A KR 20060035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frame
corner
fastened
corn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4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홍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엠씨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엠씨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엠씨코리아
Priority to KR1020040084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5267A/ko
Publication of KR20060035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52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96/201Edge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4Keyplates; Ornament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4Leg joints; Corner joints

Landscapes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Joining Of Corner Units Of Frames 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구, 유리창 또는 가구문 등의 프레임의 종방향 프레임과 횡방향 프레임으로 체결되어 틀을 구성할 때 모서리부에 조립체를 삽입하여 날카로운 프레임모서리와의 충돌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사용자들의 상처를 예방하고, 모서리부재와 일체 또는 별도로 구성되는 완충부재를 부가하여 문과 문틀간의 충격완화에 의한 소음 방지 및 문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틀 프레임에 체결 고정되는 모서리부재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횡ㆍ종방향 프레임을 체결하기 위한 조립체의 모서리부에 체결공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공에 삽입되는 체결구조물이 형성된 모서리부재를 설계 제작함에 있어서 모서리부재와 일체시켜 고정편을 형성하고 그 단부에 체결링을 구성시켜 연질의 완충부재를 체결 고정하는 구성이나 또는 모서리부재와 완충부재를 일체형으로 형성함으로서 체결을 용이하게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모서리부분을 부드럽게 구성하여 미적 감각을 높여 구매력을 향상시키며, 문틀과의 마찰 시에 충격을 완화하여 소음을 방지하고 문틀과 문의 손상을 방지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모서리부재, 완충부재

Description

모서리부재{Coner Cap}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결합된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결합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단면도.
도 5은 본 발명 제2실시 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6은 도5의 결합상태의 평단면도.
도7은 도5의 결합상태의 측단면도.
도8(a)는 본 발명 제2 실시예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8(b)는 도 8(a)의 사용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9(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a1, a2 :체결클립 모양과 크기를 달리하여 형성함).
도9(b)는 상기 도9(a)의 측단면도.
도10(a, 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완충부재가 모서리부재의 몸체의 양단부에 일체로 형성시킨 모서리부재의 정면도 및 사시도.
도10(c) 도10(a, b)와 같이 설계 제작한 본 발명에 따른 모서리부재를 장착한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종방향프레임 20; 횡방향프레임 30; 조립체
31, 31-1; 체결공 40; 모서리부재 40-1;직각홈부
40-2; 덮개판 40-3; 곡선으로 형성된 몸체
41; 스톱퍼 42, 42-1; 횡방향 체결클립
42-2; 종방향 체결클립 43; 고정편 44; 체결링
45; 완충부재
본 발명은 가구, 유리창 또는 가구문 등의 틀프레임의 종방향 프레임과 횡방향 프레임으로 체결되어 틀을 구성할 때 모서리부에 조립체를 삽입하여 날카로운 프레임모서리를 부드럽게 하여 충돌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사용자들의 상처를 예방하고, 모서리부재와 일체 또는 별도로 구성되는 완충부재를 형성하여 문과 문틀간의 충격을 완화하여 소음을 방지하며, 문과 문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프레임과 체결 고정되는 모서리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의 문ㆍ거울 또는 창문 등은 가볍고 미적 감각이 우수하고 제조가 용이하면서 저렴한 원가로 생산이 가능한 알루미늄(일명 샤시)재로 형성되는 프레임을 널리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나무재 틀은 가공이 편리한 특성이 있으 나 많은 작업에 따른 생산성 저하와 습기에 의한 변질 및 가격이 고가로 형성되는 단점이 있어 많은 분야에서 알루미늄을 이용한 프레임을 선호하고 있다. 이러한 알루미늄은 종방향프레임과 횡방향프레임의 단부를 약 45°로 절단하고 이 절단된 대각면에 ‘
Figure 112004048184306-PAT00001
’자형의 조립체를 끼워 넣어 상기 종ㆍ횡방향의 프레임을 체결함으로서 틀프레임의 각모서리가 ‘
Figure 112004048184306-PAT00002
’자로 연결되어 사각체의 틀을 구성하게 되며 그리고 프레임과 조립체를 볼트로 체결 조립함으로서 사각의 문틀 또는 사진틀 등이 구성된다. 이러한 프레임의 각 모서리부는 상술한바와 같이 45°로 절단된 각각의 횡ㆍ종프레임을 체결 고정하여 체결모서리가 90°도로 이루어지며 체결된 체결모서리는 절단면이 매우 날카로우며 이러한 날카로운 부분은 사용 중에 사용자가 충돌하거나 스치면서 상처를 입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291500호에서는 프레임의 모서리부에 완충구를 가지는 가구용 조립구를 제공한 바 있다. 상기 선 고안은 횡ㆍ종프레임을 45°로 절단함과 동시에 끝단부 즉, 뾰쪽한 단부를 소정크기로 절단하여 횡ㆍ종 틀 프레임의 체결에서 꼭지부에 ‘∧’형의 홈부를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횡ㆍ종 프레임을 체결하는 체결부재에서 일체로 상기 홈부에 끼워지는 수지재의 모서리부재를 일체로 형성시켜 횡ㆍ종프레임의 조립에서 모서리부에 상기 수지재의 모서리부재가 형성됨으로서 날카로운 모서리를 둥근 수지재로 형성되도록 하여 종래의 날카로운 모서리에 의하여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한 바 있다. 이러한 선 고안은 모서리부재에서 일단부가 길게 돌출되어 이 돌출된 봉재가 보관 또는 이송시 쉽게 부러지는 단 점과 조립체와 횡ㆍ종프레임을 체결할 때의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함으로써 상기 선고안자는 또 다른 고안으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35005호를 안출한 바 있다. 상기 고안은 틀 프레임을 체결하기 위한 ‘
Figure 112004048184306-PAT00003
’형의 조립체 모서리부에 체결공을 형성하고 이 체결공에 끼워지는 체결봉을 일체로 형성한 모서리부재를 별도로 구성한다. 그리고 조립시에 상기 체결공에 체결봉을 끼워넣어 모서리부재를 형성한 조립체를 횡ㆍ종 프레임에 체결함으로서 사각의 틀을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상하로 천공된 체결공에 일직선방향으로 끼워지는 체결봉이 작은 힘으로도 쉽게 전진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사용 중 체결공에 끼워진 모서리부재에 작은 힘으로 밀거나 또는 문틀 등과의 충돌 시에 체결공에서 쉽게 미끄러져 이탈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기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횡ㆍ종방향 프레임을 체결 고정하기 위한 조립체의 모서리부에 체결공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공에 삽입되는 체결구조물과 체결시 유리, 문 또는 거울의 각진 모서리부분이 삽입 고정될 수 있게 내측면에 직각홈부를 형성하고 외측면을 곡선으로 형성한 모서리부재를 제공함으로써 모서리의 날카로운 부분을 제거하여 사용자들에게 안정감을 주고 체결을 용이하게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미적 감각을 높여 구매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서리부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모서리부재의 연장선상에 고정편을 일체로 형성하고 그 단부에 체결링을 구성시켜 연질의 완충부재를 형성함으로서 문과 문틀과의 마찰 시에 충격을 완화하여 소음 방지할 수 있는 모서리 부재를 이루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유리, 문 또는 거울의 각진 모서리부분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게 내측면에 형성시킨 직각홈부 상단에 덮개판을 형성하여 횡ㆍ종방향 프레임의 유리체결부에 날개편이 있고 없는 프레임에 따라 선택적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모서리 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서리부재를 조립체(30)의 체결공(31)에 체결한 상태에서 횡ㆍ종방향프레임을 체결할 수 있게 설계 제작하여 체결 순서에 무관하게 함으로써 조립시 작업자의 실수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작업시간을 단축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모서리부재의 연장선상에 고정편을 일체로 형성하고 그 양 끝단부에 체결링을 형성하여 연질의 완충부재를 형성하거나 일체형으로 완충 부재를 형성함으로써 문과 문틀의 마찰 시에 충격을 완화하여 소음을 방지하고 또한 좁은 공간에서 유리문을 열 경우에 외부의 벽과 충돌이 일어날 수 있으며 이 때에 유리 또는 거울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모서리 부재를 이루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각틀을 구성하는 문의 횡ㆍ종방향 프레임을 체결하기 위한 조립체의 모서리부에 체결공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공에 삽입되는 체결구조물을 형성하고 몸체의 외측면을 곡선으로 형성한 모서리부재를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모서리부재의 연장선상에 일체로 고정편을 형성하고 그 단부에 체결링을 구성시켜 연질의 완충부재를 체결하는 구성이나 또는 모서리부재의 몸체와 완충부재를 일체로 형성시킨 모서리 부재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설계 제작된 모서리부재를 체결공에 결합한 평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설계 제작된 모서리부재를 체결공에 결합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설계 제작된 모서리부재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5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6은 도5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며, 도7은 도5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8(a)는 본 발명 제2 실시예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8(b)는 도 8(a)의 사용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9(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a1, a2 :체결클립 모양과 크기를 달리하여 형성함)이며, 도9(b)는 상기 도9(a)의 측단면도이다. 도10a와 도10b는 문과 문틀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재와 유리 외면과 벽과의 충돌시에 충격을 완화하여 유리를 보호하는 완충부재를 모두 구비한 모서리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10(c)는 도10(a, b)와 같이 설계 제작하여 문에 체결 고정한 상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설계 제작된 모서리부재가 결합되는 체결공은 종방향프레임(10)과 횡방향프레임(20)에 끼워지는 양날개부를 형성한 ‘
Figure 112004048184306-PAT00004
’자형 조립체(30)와 상기 조립체 모서리를 절취한 평면의 조립체(30) 상에 형성되어진 다. 상기 체결공(31)에 삽입되는 모서리부재는 삽입시 이탈을 방지하는 다소 돌출한 구조의 스톱퍼(41)를 구비한 체결클립(42)을 구비하고 프레임과 동일한 두께와 길이로 형성되는 모서리부재(40)를 구성함과 동시에 모서리부재(40)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고정편(43)과 고정편(43) 단부에 체결링(44)을 일체로 형성하여 연질의 완충부재(45)를 삽입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클립의 상부 내측면에는 직각으로 체결되는 종ㆍ횡프레임(10)의 유리체결부에 삽입되는 유리, 문 또는 거울 등의 각진 모서리가 삽입 가능하도록 직각홈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서리부재는 몸체 외측면(40-3)을 곡선으로 형성하여 사용자가 모서리부분과 다소 충돌이 있더라도 상처가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제2실시 예를 나타낸 도5의 분해사시도와 도5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인 도6 및 도5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인 도7에 도시된 모서리부재(40)로 내측면에는 직각으로 체결된 종ㆍ횡프레임(10)(20)의 유리체결부에 삽입되는 유리, 문 또는 거울 등의 각진 모서리가 용이하게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직각홈부(40-1)를 형성시킨 구조를 구비한다. 이 때 종ㆍ횡프레임(10)(20)에 유리체결부(21)의 날개편이 있고 없는 프레임에 따라 모서리부재의 상단의 유리모서리의 보호덮개판(40-2)이 형성된 모서리부재를 선택적으로 체결 고정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실시 예를 다소 변형한 또 다른 실시 예는 도8(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모서리부재의 직각홈부(40-1), 상단 덮개판(40-2) 없이 구성하여 “ㄴ”자형 프레임에 부착되는 유리를 간편하게 부착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고정편(43)의 단부에 체결링(44)을 형성시켜 연질의 완충부재를 결합 고정하여 완충부재가 충돌에 의하 여 손상되었거나 파손되었을 경우에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본 발명에 따라 설계 제작한 모서리부재를 체결공에 삽입한 상태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도7에서와 같이 완충부재 내측에 봉형의 체결클립(42-1)을 형성하여 조립체(30)의 프레임에 뚫린 체결공(31-1)에 삽입하여 완충부재가 틀 프레임에 체결 고정됨으로서 완충부재가 프레임에서 이완되지 않도록 하며, 체결크립은 하나 이상 복수개로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또 다른 다양한 형태(일체형으로 다소 길게, 타원형)와 크기로 설계 제작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서리부재는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완충부재(45)와 고정편(43)을 일체로 형성하여 프레임에 부착할 수 있으며, 상기 완충부재(45)는 접착제 등으로 프레임 표면에 부착할 수도 있다. 미설명부호 32는 조립체와 프레임을 체결하는 체결볼트공이고, 21은 유리체결부를 도시한 것이며, 50은 유리로 호칭되는 거울 또는 문판재 등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인 도9a에 도시한 (a1)과 (a2)로 체결 클립을 종방향으로 형성하여 모서리부재를 체결 고정하는 구성이며, 이 경우 프레임조립체의 아래부분에는 상기 체결클립(도9a)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조립체의 내부에는 상기 체결클립(42-2)이 삽입 고정될 수 있는 체결공이 형성된다. 상기 종방향으로 형성시킨 체결 클립의 길이나 형태는 프레임 조립체의 크기와 형태를 고려하여 다양하게 설계 제작할 수 있다. 도1내지 도8과 도10에서와 같이 체결클립을 횡방향으로 형성한 모서리부재는 모서리부재를 조립체(30)의 체결공(31)에 체결한 상태 또는 체결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횡ㆍ종방향프레임을 체결 고정할 수 있으나, 도9a와 같 이 종방향으로 체결클립을 형성한 모서리부재의 경우에는 모서리부재를 조립체(30)의 체결공(31)에 체결한 상태에서만 횡ㆍ종방향프레임을 체결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도9a의 경우에는 모서리부재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완충부재를 모서리부재의 몸체 하측(도면상에서 하측임)부분에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도10a와 도10b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 문과 문틀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재와 좁은 공간에서 유리 외면과 벽과의 충돌시에 충격을 완화하여 유리를 보호하는 완충부재를 모두 구비한 모서리부재에 관한 것이며, 상기 도1내지 도8에서 형성한 다양한 횡방향 체결클립의 형태로 체결클립을 구성할 수 있다. 도10a와 도10b와 같이 완충부재를 몸체의 양측에 구비한 경우에는 조립시의 편리성을 감안하여 체결클립을 몸체의 내측에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고정편(43)의 길이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길게 또는 짧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설계 제작된 모서리부재의 작용효과를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결합된 평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구, 유리창 또는 가구문 등의 틀 프레임 모서리에 체결되는 수지재 또는 알루미늄 등으로 몸체의 외측면(40-3)을 곡선으로 설계 제작한 모서리부재를 제공하되 조립이 용이하고 조립 후 이탈이 없는 모서리부재를 이루는데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서리부재는 소정 크기의 횡방향프레임(20)과 종방향프레임(10)의 단부를 45°로 절단하고 그 끝단부 즉, 뾰쪽한 끝단부를 소정크기로 절단하여 결합하면 꼭지부에 ‘∧’형의 홈부가 형성되도록 한 상기 횡ㆍ종방향 프레임을 조립체 (30)의 양날개부에 형성된 체결공에 삽입 고정된다. 상기 프레임을 사각형으로 체결하면 프레임의 꼭지부에는 상기와 같이 ‘∧’형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형성된 홈으로 내측의 조립체(30) 모서리에 형성된 체결공(31)이 노출된다. 상기 홈부에는 본 발명에 따라 설계 제작된 모서리부재(40)를 삽입하고, 삽입된 모서리부재(40)를 가압시켜 체결클립(42)에 돌출되게 형성된 구조물의 선단에 형성된 스톱퍼(41)가 체결공(31)에 관통되도록 함으로서 본 발명의 모서리부재(40)가 프레임의 교합부의 모서리에 체결 고정되므로 보다 부드럽고 미적 감각이 우수한 모서리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설계 제작된 모서리부재(40)는 조립체(30)에 형성된 체결공(31)에 체결 고정된 상태에서 횡ㆍ종방향프레임을 체결할 수 있으므로 체결 순서에 무관하며(도9의 실시예는 제외됨), 이때의 조립순서는 조립시간의 절감 및 편리성을 고려하여 작업자가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서리부재(40)와 일체로 형성된 고정편(43)의 단부에 형성된 체결링(44)에는 연질의 완충부재(45)가 체결 고정되고 이 완충부재(45)는 프레임의 표면에 밀착되어 위치한다. 이러한 완충부재(45)는 문과 문틀의 마찰부에 위치되어지고 문을 여닫을 때 문프레임과 문틀간의 충격을 완화시켜 소음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는 상기 모서리부재의 연장선상에 고정편을 일체로 형성하고 그 양 끝단부에 체결링을 형성하여 연질의 완충부재를 형성하거나 일체형으로 완충 부재를 형성함으로써 문과 문틀의 마찰 시에 충격을 완화하여 소음 방지하고 좁은 공간에서 유리문을 열 경우에 외부의 벽과 충돌이 일어날 수 있으며 이 때 유리 또는 거울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모서리 부재를 구성하는데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 인 도5와 도6에서는 상기 완충부재(45) 내측에 봉형의 체결클립(42-1)을 구성시켜 조립체(30)에 체결된 프레임과 상기 조립체(30)에 형성된 체결공에 체결 고정되어 완충부재(45)가 프레임에서 이완되지 않도록 한다. 도 4에서는 상기 완충부재(45)와 고정편(43)을 일체로 구성시켜 제작시 조립이 용이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완충부재(45)는 접착제 등으로 프레임 표면에 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인 도5내지 도7에서의 모서리부재는 직각으로 체결된 종ㆍ횡프레임의 유리체결부에 삽입되는 유리, 문 또는 거울 등의 각진 모서리가 용이하게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내측면에 직각홈부(40-1)를 형성하여 구성한다. 종ㆍ횡프레임(10)(20)의 유리체결부(21)에 날개편이 있는 프레임에 사용되는 모서리부재는 상단에 유리모서리의 보호덮개판(40-2)이 형성된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라 설계 제작된 모서리부재중에서 스톱퍼를 구비한 체결클립(42)은 체결용봉을 하나 이상으로 형성하여 조립체의 모서리측에 삽입되는 구성을 가지거나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일체형으로 형성시켜 체결공에 삽입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횡ㆍ종방향 프레임의 모서리에 모서리부재를 간단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제조시 조립이 극히 용이하고 작업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작용효과가 있으며, 모서리의 날카로운 부분을 제거하여 사용자들에게 안정감을 주고, 미적 감각을 높여 구매력을 향상시키는 등의 작용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조립체(30)의 체결공(31)에 모서리부재를 체결한 상태에서 횡ㆍ종방향프레임을 체결할 수 있으므로 체결 순서에 무관하므로 작업자 의 실수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작업시간을 단축하며 완제품을 운반하거나 시공할 때 발생하는 파손에 대해 교체작업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상기 모서리부재의 연장선상에 고정편을 일체로 형성하고 양 끝단부에 체결링을 형성하여 연질의 완충부재를 형성하거나 일체로 완충 부재를 형성함으로써 문과 문틀의 마찰 시에 충격을 완화하여 소음 방지하고 좁은 공간에 설치시 유리문을 열 경우에 외부의 벽과 충돌이 일어날 수 있으며 이 때 유리 또는 거울의 파손을 방지하는데 있다.

Claims (7)

  1. 종ㆍ횡방향프레임을 체결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가구, 유리창 또는 가구문 등에 체결 고정되는 모서리부재에 있어서,
    상기 종ㆍ횡방향프레임에 삽입되는 ‘
    Figure 112004048184306-PAT00005
    ’형 구조의 프레임조립체의 모서리에 체결클립의 형태에 맞는 체결공을 횡 또는 종방향으로 형성한 조립체와,
    상기 체결공에 삽입되어 이탈을 방지하는 체결클립과,
    상기 체결클립과 일체로 형성된 고정편에 연결되어 문을 여닫을 때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수단과,
    상기 체결클립 및 고정편과 일체로 형성되고 모서리의 외측면을 곡선으로 형성한 몸체를 구비한 모서리부재.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체결클립 위측 내측면에 형성되어 유리체결부에 삽입되는 유리의 각진모서리가 용이하게 체결 고정될 수 있도록 직각홈부를 더 구비한 모서리부재.
  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종ㆍ횡방향프레임의 유리체결부에 날개편이 있는 경우에 프레임 외부의 절단부분을 덮을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직각홈부 상단(끝단)에 모서리 보호덮개판을 더 부가한 모서리부재.
  4. 청구항1내지 청구항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수단은 완충부재를 고정편과 일체로 형성하거나 또는 완충부재의 손상 시에 교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고정편과 분리하여 체결 고정할 수 있게 고정편에 체결링이 형성된 완충부재를 구비한 모서리부재.
  5. 청구항1내지 청구항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종ㆍ횡방향프레임에 삽입되는 ‘
    Figure 112004048184306-PAT00006
    ’형 구조의 프레임조립체의 모서리를 평면으로 설계 제작하고 평면상에 체결클립의 형태에 맞는 체결공을 형성하고, 체결공과 체결 고정되는 체결클립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 완충부재 및 고정편을 일체로 형성하거나 또는 완충부재의 손상 시에 교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고정편과 분리하여 체결 고정할 수 있게 고정편에 체결링을 형성하되, 문과 문틀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재와 유리 외면과 벽과의 충돌시에 충격을 완화하여 유리를 보호하는 완충부재를 모두 구비한 모서리부재.
  6. 청구항1내지 청구항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에서 완충부재를 고정편과 일체로 구성하고 체결공에 체결 고정한 후 접착제로 프레임 표면에 부착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모서리부재.
  7. 청구항1내지 청구항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클립은 하나 이상의 봉형 구조물로 형성하거나 일체로 다소 길게 형성시킨 구조물 또는 체결 가능한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구조물로 이루어진 모서리부재.
KR1020040084685A 2004-10-22 2004-10-22 모서리부재 KR200600352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4685A KR20060035267A (ko) 2004-10-22 2004-10-22 모서리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4685A KR20060035267A (ko) 2004-10-22 2004-10-22 모서리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5267A true KR20060035267A (ko) 2006-04-26

Family

ID=37143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4685A KR20060035267A (ko) 2004-10-22 2004-10-22 모서리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526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305B1 (ko) * 2013-01-22 2014-05-27 여길봉 도어 프레임의 모서리 조립유닛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305B1 (ko) * 2013-01-22 2014-05-27 여길봉 도어 프레임의 모서리 조립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29478T3 (es) Puerta con espejo y metodo para fabricarla.
KR100833564B1 (ko) 액자 프레임
KR20060035267A (ko) 모서리부재
KR100486661B1 (ko) 모서리부재
KR200350083Y1 (ko) 모서리부재
CN202007612U (zh) 带隐形拉手的橱柜门
KR102286546B1 (ko) 창문용 스토퍼
KR200358367Y1 (ko) 회전식 안전강화유리문
KR102282213B1 (ko) 손 끼임 방지장치를 갖춘 창호용 경첩 장치
KR200386638Y1 (ko) 가구용 문짝의 문틀 조립 구조
KR100696418B1 (ko) 조립식 패널 코너핀
KR200462174Y1 (ko) 조립식 목재창호
JP3845779B2 (ja) トイレブースのパネルエッジ取付け構造
CN209855598U (zh) 一种拼接式圆角窗扇
KR20130000290U (ko) 슬라이딩 창호용 완충 스토퍼
KR200309195Y1 (ko) 주방 가구용 도어
KR200419197Y1 (ko) 가구용 도어의 모서리 마감 구조
KR200312111Y1 (ko) 출입문용 문풍대
JP2545770Y2 (ja) ドアガラス用戸当たり枠
TWI550177B (zh) 門框結構
CN207017866U (zh) 一种玻扇、安全格连接附框及设有该附框的对称式外框
CN110063606A (zh) 座椅靠背
KR19990040512U (ko) 유리문의손보호구
KR200435240Y1 (ko) 가구용 도어프레임
KR200398165Y1 (ko) 블라인드 유리를 구비한 칸막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