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6546B1 - 창문용 스토퍼 - Google Patents

창문용 스토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6546B1
KR102286546B1 KR1020200004999A KR20200004999A KR102286546B1 KR 102286546 B1 KR102286546 B1 KR 102286546B1 KR 1020200004999 A KR1020200004999 A KR 1020200004999A KR 20200004999 A KR20200004999 A KR 20200004999A KR 102286546 B1 KR102286546 B1 KR 102286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stopper
fixing
fixing bar
upr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4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1610A (ko
Inventor
황인성
Original Assignee
황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인성 filed Critical 황인성
Priority to KR1020200004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6546B1/ko
Publication of KR20210091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1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6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holding sliding wings ope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24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5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fixed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2Toolless
    • E05Y2600/526Gluing or cemen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창문(20)이 슬라이딩 되는 창틀의 바닥 프레임(30)에 고정되는 고정바(120); 및 고정바(120)에 끼움식으로 체결되어 창문(20)의 이동을 저지하는 조립 블록(110);을 포함하고, 고정바(120)는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상호 이격된 한 쌍의 고정판(123a, 123b)이 복수로 정렬되는 끼움고정수단(123)을 구비하여 바닥 프레임(30)에 접착되고; 조립 블록(110)은 하면에서 하향 돌출되어 고정판(123a, 123b)들 사이로 끼움되는 복수의 끼움판(1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스토퍼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창문용 스토퍼{STOPPER FOR WINDOW}
본 발명은 창문용 스토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창문이 이동되는 이동 레일이 설치된 바닥 프레임에 설치되어 창문의 이동을 저지하는 창문용 스토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닫이식 창호는 창틀과 창문으로 구성된다. 창틀에는 레일이 설치되어 창문을 슬라이드식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창문틀에는 창문을 잠그기 위한 록장치가 설치된다.
록장치는 창문틀의 측면으로부터 창틀을 향해 돌출되게끔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래서 창문을 끝까지 열면 록장치가 창문틀에 부딪히게 되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창문틀의 이동 레일에 스토퍼를 설치하고 있다. 스토퍼는 일반적으로 작은 블록 형태로 되어 있으며 나사로써 고정된다. 그리고 스토퍼는 창문을 최대로 열 수 있는 지점에 고정 설치된다.
종래에는 창문의 개폐 정도를 제한하기 위한 창문용 스토퍼를 제안하고 있다. 예를 들면, 종래기술은 창문을 닫을시 창문이 창틀에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여 창문의 잠금장치 파손을 방지하는 창문용 스토퍼에 돌기를 만들어 창틀에 견고하게 조립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창문용 스토퍼는 창문 개방시에 잠금장치가 창틀에 부딪치는 것을 예방과 동시에 조립성을 향상시켜 조립시간을 단축하고, 조립된 이후에 창문용 스토퍼가 창틀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창틀에 스토퍼를 견고하게 고정함에 따라 한번 고정 후 재 사용이 어렵고, 창문의 개방정도를 조절하고, 개방된 정도를 일정 시간동안 유지할 수 없었다.
즉, 종래 기술의 스토퍼는 창틀에 견고하게 고정됨에 따라 창문을 일정시간동안 설정된 간격만큼 개방시킨 이후에 다시 창문을 잠금하기 위해서는 고정된 스토퍼를 제거해야되는데, 종래에는 견고하게 고정됨에 따라 창문의 개방정도를 조절하거나 재 사용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4795(2017.10.19)
그러므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창문의 개방정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고정 및 분리가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는 창문용 스토퍼를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창문이 슬라이딩 되는 창틀의 바닥 프레임에 고정 또는 접착되는 고정바 및 고정바에 끼움식으로 체결되어 창문의 이동을 저지하는 조립 블록을 포함하고, 고정바는 이동 레일의 벽면에 밀착되도록 직립된 직립판과, 직립판의 끝단에서 절곡되어 수평 연장되는 수평판 및 상호 이격된 한 쌍의 고정판들이 수평판의 상면에서 일방향으로 정렬되는 끼움고정수단을 구비하고, 조립 블록은 하면에서 하향 돌출되어 고정판들 사이로 끼움되는 복수의 끼움판과, 직립된 양 측면으로 돌출되는 걸림턱을 구비한 상면 및 상면에서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그 끝단은 창문의 하단으로 인입이 용이하도록 경사면의 경사도와 다른 경사각을 갖는 돌기부)로 이루어지는 전면 및 바닥 프레임의 중앙에서 직립된 이동 레일에 끼움될 수 있도록 전면에서 후면으로 연통되는 레일 개구를 더 포함하고, 레일 개구는 상측으로 내향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통되는 개구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스토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창틀의 바닥 프레임에 탈부착이 용이하여 재 사용이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의 구매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창문이 충돌되는 대항면을 경사면으로 형성함에 따라 충돌시 창문과 바닥 프레임 사이로 인입되어 창문과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어 제품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용 스토퍼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용 스토퍼에서 조립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창문용 스토퍼에서 고정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고정바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조립 블록과 고정바간의 조립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조립 블록과 고정바의 조립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배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부재", "수단"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또는 제3항목"의 의미는 제1, 제2또는 제3항목뿐만 아니라 제1, 제2또는 제3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용 스토퍼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용 스토퍼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조립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고정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창문용 스토퍼(10)는 창틀의 바닥프레임(30)에 고정되는 고정바(120)와, 고정바(120)에 조립과 분리가 가능한 조립 블록(110)을 포함한다.
조립 블록(110)은 고정바(120)의 상부에 끼움식으로 체결되어 이동 레일(31)을 따라 이동되는 창문(20)의 이동을 저지한다. 여기서 조립 블록(110)은 조립과 분리가 용이하여 일방향으로 연장된 고정바(120)에 창문(20)의 개방 정도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조립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조립 블록(110)은 창문(20)과의 충돌시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창틀로부터 가해지는 진동 및 소음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탄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조립 블록(110)은 하광상협의 형상으로서 하면에 비하여 그 넓이가 좁은 상면(112)과, 직립된 단면으로 이루어진 후면(115)과 측면(113),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전면(111)과, 전면(111)에서 개방된 공간을 형성하여 이동 레일(31)에 끼움되는 레일 개구(114)와, 하면에서 상호 이격되어 하향 연장된 복수의 끼움판(116)을 포함한다.
상면(112)은 하면에 비하여 그 폭이 점차 좁아지는 하광상협의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상면(112)는 직립된 양 측면으로 돌출된 걸림턱(112a)를 포함한다. 걸림턱(112a)은 직립된 측면(113) 측에 돌출된 형상임에 따라 사용자가 조립 블록(110)을 잡을 때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레일 개구(114)는 전면(111)에서 후면(115)까지 연통되는 개구로서 바닥 프레임(30)에서 직립된 이동 레일(31)이 끼움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여기서 레일 개구(114)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서 전후 방향(전면측과 후면측)으로 연통되는 개구홈(114a)을 더 포함한다.
후면(115)은 직립된 단면으로서 전면(111)에서 연통되는 레일 개구(114)를 사이에 두고 직립된 단면을 이룬다.
전면(111)은 상면(112)에서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그 끝단은 창문(20)의 하단으로 인입이 용이하도록 만곡된 형상의 돌기부(111a)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돌기부(111a)는 전면(111)의 끝단에서 창문(20)의 하측으로 인입되기에 경사면의 경사도가 315° 라면, 돌기부(111a)는 그 보다 낮은 경사도(예를 들면, 300°~310°)로 형성될 수 있다.
끼움판(116)은 하면에서 하향 돌출된 복수의 판재로서 후술되는 고정바(120)의 고정판(123a, 123b)들 사이에 끼움된다. 여기서 끼움판(116)은 레일 개구(114)를 사이에 두고 2개로 분할된 하면에서 각각 정렬된다. 즉, 끼움판(116)은 하면에서 2열로 정렬된다.
고정바(120)는 이동 레일(31)을 사이에 두고 바닥 프레임(30)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한 쌍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고정바(120)는 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제와 같은 접착 수단(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바닥 프레임(30)에 접착되거나, 재질에 의해 바닥 프레임(30)과의 마찰력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바(120)는 탄성력을 갖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져 이동 레일(31)을 사이에 두고 각각 설치된다. 여기서 조립 블록(110)은 창문(20)과 충돌되는 전면(111)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선단이 창문(20)의 하부로 인입되면서 점차 그 면적이 확장되면서 가압된다. 즉, 고정바(120)는 조립 블록(110)으로부터 미는 압력보다 더 큰 누르는 압력으로 인하여 바닥 프레임(3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창문(20)은 조립 블록(110)의 전면(111)이 하부로 인입되면서 발생된 저항에 의해 정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고정바(120)는 직립되는 벽면을 이루는 직립판(121)과, 직립판(121)의 끝단에서 절곡되어 수평면을 이루는 수평판(122)과, 수평면에서 상호 이격된 한 쌍으로서 그 사이에 끼움판(116)이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끼움고정수단(123)을 포함한다.
직립판(121)은 이동 레일(31)의 벽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직립된 벽면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직립판(121)은 바닥 프레임에 나사 체결이 용이하도록 개구된 복수의 체결구(121a)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구는 직립판의 상단에서 개구된 형상으로 제조되며, 이는 나사가 인입될 시에 수평이 아닌 상측 경사진 방향에서 인입될 수 있도록 한다.
즉, 고정바(120)는 바닥 프레임(30)의 벽면과 이동 레일(31) 사이에 배치됨에 따라 작업자가 나사 체결시에 수평 방향으로 나사를 체결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체결구(121a)를 반구형으로서 직립판(121)에 형성함에 따라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나사가 인입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작업을 용이하게 하였다.
수평판(122)은 직립판(121)의 끝단에서 절곡되어 수평연장되는 평면을 이룬다. 여기서 수평판(122)은 그 폭이 이동 레일(31)과 그 반대쪽의 바닥 프레임(30) 벽면사이의 폭과 일치되도록 제조됨이 바람직하다. 즉, 수평판(122)은 이동 레일(31)과, 이동 레일(31)에서 대향된 바닥 프레임(30)의 벽면 사이에 끼움된다.
끼움고정수단(123)은 상호 이격된 한 쌍의 고정판(123a, 123b)이 복수로 형성된다. 즉 각각 쌍을 이루는 고정판(123a, 123b)들이 수평판(122)의 상면(112)에서 상호 이격되도록 정렬된다. 또한, 한 쌍의 고정판(123a, 123b)은 끼움판(116)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고정판(123a, 123b)들은 직립판(121)과 수평판(122)에서 각각 연장 및 직립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고정바(120)는 그 높이가 창문(20)과 바닥 프레임(30) 사이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갖고,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으로 구성된다. 특히 고정바(120)들은 바닥 프레임(30)의 이동 레일(31)을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고정바(120)는 직립판의 외면 및 수평판의 하면에서 양면 테이프, 접착제와 같은 접착 수단에 의해 바닥 프레임(30)의 바닥면과 벽면에 접착 고정되며, 조립 블록(110)의 결합 위치가 선택적으로 결정될 수 있도록 전체 길이가 길게 제작될 수 있다.
또한, 고정바(120)의 선단 및/또는 끝단에서 직립된 고정판(123a, 123b)들은 각각 관통구(124)가 형성될 수 있다. 관통구(124)는 선단과 끝단에 위치된 한 쌍의 고정판(123a, 123b) 또는 전체 고정판들에 각각 관통형성된다.
여기서 관통구(124)는 끼움판(116)에도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나사와 같은 고정 치구가 삽입될 수 있다. 즉, 고정판(123)과 끼움판(116)은 나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는 가정내에서 아이들, 또는 외부에서 침입자가 스토퍼를 임의대로 해제할 수 없도록 하여 보안을 강화하고, 아이들이 창문 밖으로 나가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고정판(123a, 123b)들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로서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고정판(123a, 123b)들 상호 대향된 벽면의 선단과 끝단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마찰돌기(123a', 123a'', 123b', 123b'')들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찰돌기(123a', 123a'', 123b', 123b'')들은 고정판(123a, 123b)의 선단(123a', 123b')과 하단(123a'', 123b'')에서 각각 돌출되거나 이중 어느 하나에서만 돌출되어 끼움판(116)이 삽입되는 공간에서 상단과 하단의 폭을 일시적으로 협소하게 한다.
또한, 끼움판(116)은 선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끼움돌기(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끼움돌기(116')는 마찰돌기(123a', 123b', 123a'', 123b'')를 통과한 이후에 걸림됨에 따라 조립 블록(110)과 고정바(120)간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바(120)는 굽힘이 가능한 연성 재질의 고무나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분리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5는 조립 블록(110)과 고정바(120)간의 조립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조립 블록과 고정바(120)의 조립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배면도, 도 8은 스토퍼가 설치된 창문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고정바(120)의 하면에 부착된 양면 테이프에서 이형지를 제거한 뒤에 바닥 프레임(30)의 바닥면에 접착시킨다. 이때 고정바(120)는 한 쌍으로서 각각 이동 레일(31)을 사이에 두고 접착된다.
만약, 사용자가 고정바(120)를 영구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직립판의 상단에서 개구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체결구에 바닥 프레임의 상측에서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나사를 인입시킬 수 dT다
여기서 고정바(120)의 길이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바닥 프레임(30)의 바닥면 전체 또는 1/3, 1/2, 1/4, 1/5 등 다양한 길이로서 제작될 수 있, 그 높이가 바닥 프레임(30)에서 창문(20)의 하면 까지의 높이 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제작된다. 즉, 고정바(120)는 창문(20)의 이동시에 접촉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주로 행하는 창문(20)의 개방 거리에 따라서 고정바(120)의 접착 위치를 선택하여 바닥 프레임(30)에 고정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창문이 사용자가 설정한 개방 구간 이상으로 개방되지 않도록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의 개방 방향(a)에 스토퍼(10)를 설치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개방 구간을 넘어서 개방되지 않도록 창문의 개방 방향에서 설치 위치를 선정한 뒤에서 고정바(120)의 상측에서 조립 블록(110)을 하강시켜 끼움판(116)을 고정판(123a, 123b)들 사이로 끼움시킨다. 따라서 조립 블록(110)에서 각각의 끼움판(116)들은 고정판(123a, 123b)들 사이의 끼움공간으로 인입된다.
또는 본 발명은 조립 블록(110)과 고정바(120)의 결합 구조가 간단하여 착탈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어 사용자가 최초 선택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변경함도 가능하다.
이후 사용자가 창문(20)을 개방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조립 블록(110)의 전면(111)에서 하향 연장된 경사면의 선단부터 창문(20)의 아래쪽으로 인입되면서 창문(20)의 이동이 저지된다. 이때 창문(20)은 경사면을 통하여 접촉되기에 미는 힘보다 중력 방향의 힘을 발생시킴에 따라 고정바(120)나 조립 블록(110)이 뒤로 밀려나지 않는다.
이때, 공지된 바와 같이, 반대쪽 창문은 프레임의 수직면에 밀착된 상태라면, 자동으로 잠금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적용되어 일부 구간만 개방된 창문은 반대쪽 창문이 잠금 고정된 상태이고, 스토퍼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외부의 침입자 또는 내부에서 유아등이 창문을 개방시킬 수 없다.
그러므로 창문은, 예를 들면, 유아가 통과할 수 없는 거리만큼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외부로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어 보안성을 높일 수 있고, 내부에서 외부로 이동됨을 방지할 수 있어 고층 아파트 또는 주택에서 유아들의 낙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바(120)는 바닥 프레임(30)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되며, 그 높이가 창문(20)과 바닥 프레임(30) 간의 이격된 높이보다 낮기에 창문(20)의 이동시에도 걸리지 않는다. 따라서 고정바(120)는 창문(20)을 완전히 닫는 경우에도 분리할 필요가 없다. 또한, 고정바(120)는 바닥 프레임(30)을 따라 길게 연장됨에 따라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창문(20)의 개방 구간(ㅣ)에 따라 조립 블록(110)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어 창문(20)의 개방 정도를 조절함이 용이하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가 고정바(120)에서 조립 블록(110)의 탈부착이 용이하고, 고정바(120)는 창문(20)과 접촉되지 않은 높이를 갖도록 제작됨에 따라 창문(20)의 개방 정도의 조절이 자유롭고, 고정바(120)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창문(20)을 완전히 닫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스토퍼 20 : 창문
30 : 바닥 프레임 31 : 이동 레일
110 : 조립 블록 111 : 전면
112 : 상면 113 : 측면
114 : 레일 개구 115 : 후면
116 : 끼움판 120 : 고정바
121 : 직립판 121a : 체결구
122 : 수평판 123 : 끼움고정수단
123a, 123b : 고정판 124 : 관통구

Claims (6)

  1.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창문(20)이 슬라이딩 되는 창틀의 바닥 프레임(30)에 고정 또는 접착되는 고정바(120); 및
    고정바(120)에 끼움식으로 체결되어 창문(20)의 이동을 저지하는 조립 블록(110);을 포함하고,
    고정바(120)는
    이동 레일(31)의 벽면에 밀착되도록 직립된 직립판(121);
    직립판(121)의 끝단에서 절곡되어 수평 연장되는 수평판(122); 및
    상호 이격된 한 쌍의 고정판(123a, 123b)들이 수평판(122)의 상면에서 일방향으로 정렬되는 끼움고정수단(123);을 구비하고,
    조립 블록(110)은
    하면에서 하향 돌출되어 고정판(123a, 123b)들 사이로 끼움되는 복수의 끼움판(116);
    직립된 양 측면(113)으로 돌출되는 걸림턱(112a)을 구비한 상면(112);
    상면(112)에서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그 끝단은 창문(20)의 하단으로 인입이 용이하도록 경사면의 경사도와 다른 경사각을 갖는 돌기부(111a)로 이루어지는 전면(111); 및
    바닥 프레임(30)의 중앙에서 직립된 이동 레일(31)에 끼움될 수 있도록 전면에서 후면(115)으로 연통되는 레일 개구(114);를 포함하고,
    레일 개구(114)는
    상측으로 내향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통되는 개구홈(114a);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스토퍼
  2. 청구항 1에 있어서, 고정바(120)는
    바닥 프레임(30)의 이동 레일(31)을 사이에 두고 각각 배치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스토퍼.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직립판(121)은
    나사가 상측 경사진 방향에서 인입될 수 있도록 상단에서 개구되는 체결구(121a);를 더 포함하는 창문용 스토퍼.
  4. 청구항 1에 있어서, 고정바(120)는
    양면 테이프와 접착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의해 바닥 프레임(30)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스토퍼.
  5. 삭제
  6. 삭제
KR1020200004999A 2020-01-14 2020-01-14 창문용 스토퍼 KR102286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999A KR102286546B1 (ko) 2020-01-14 2020-01-14 창문용 스토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999A KR102286546B1 (ko) 2020-01-14 2020-01-14 창문용 스토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1610A KR20210091610A (ko) 2021-07-22
KR102286546B1 true KR102286546B1 (ko) 2021-08-05

Family

ID=77158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4999A KR102286546B1 (ko) 2020-01-14 2020-01-14 창문용 스토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65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7489A (ko) 2022-07-08 2024-01-16 주식회사 대돈엔지니어링 창틀용 스토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5916Y1 (ko) * 2004-11-30 2005-02-23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창호용 프레임 스토퍼
KR102023481B1 (ko) * 2018-04-25 2019-09-20 임승만 창호의 가변식 스토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795Y1 (ko) 2015-08-25 2017-10-25 이석춘 삽입홀에 돌기가 형성된 창문용스토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5916Y1 (ko) * 2004-11-30 2005-02-23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창호용 프레임 스토퍼
KR102023481B1 (ko) * 2018-04-25 2019-09-20 임승만 창호의 가변식 스토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7489A (ko) 2022-07-08 2024-01-16 주식회사 대돈엔지니어링 창틀용 스토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1610A (ko) 2021-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9098B1 (ko) 손 끼임 방지기능을 가지는 문짝
US3293817A (en) Muntin bars
TW201815254A (zh) 托架裝置
KR102286546B1 (ko) 창문용 스토퍼
US11149476B2 (en) Door stop
KR100712936B1 (ko) 강화유리 도어의 안전장치
KR100761242B1 (ko) 장식장 미닫이문의 충격방지용 가이드트랙
US5740585A (en) Child safety device
KR200426894Y1 (ko) 손가락 협착 사고 및 개폐 소음 방지용 여닫이문
US20200224489A1 (en) Pet Door Apparatus
JP6399332B2 (ja) ドア枠とドアを利用したドアストッパー
KR101920927B1 (ko) 방범용 문
US5010942A (en) Hooking frame of a window/bathroom curtain
KR101415151B1 (ko) 방충창용 창틀
KR101628913B1 (ko) 한옥 창호의 방풍구조
JP6802007B2 (ja) 内開き扉の遮蔽構造
US20090041538A1 (en) Cabinet door frame corner
KR200169215Y1 (ko) 방충망 및 비닐 고정용 체결장치
CN218991206U (zh) 儿童安全锁定机构
US915588A (en) Attachment for securing grilles or screens to window-frames.
KR102487828B1 (ko) 고정이 용이한 창호용 스토퍼
KR101923191B1 (ko) 일체형 힌지와 안전장치가 구비된 절첩식 도어
KR20180049871A (ko) 도어 스토퍼
KR20140089742A (ko) 도어 프레임의 연결구조체
KR100983013B1 (ko) 선반의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