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8913B1 - 한옥 창호의 방풍구조 - Google Patents

한옥 창호의 방풍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8913B1
KR101628913B1 KR1020150157871A KR20150157871A KR101628913B1 KR 101628913 B1 KR101628913 B1 KR 101628913B1 KR 1020150157871 A KR1020150157871 A KR 1020150157871A KR 20150157871 A KR20150157871 A KR 20150157871A KR 101628913 B1 KR101628913 B1 KR 101628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groove
panels
extending
window pan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7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들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들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들보
Priority to KR1020150157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89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8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8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재로 구성된 창호틀과 창호패널 사이의 틈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한옥 창호의 방풍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한옥 창호의 방풍구조에 따르면, 상기 창호틀(10)의 내측면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오목홈(15)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15)에는 상기 창호패널(21,22)의 둘레면에 밀착되어 창호틀(10)과 창호패널(21,22)의 사이에 발생되는 틈을 밀폐하는 밀폐수단(30,4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밀폐수단(30,40)은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오목홈(15)에 삽입고정되며 내측면에는 결합홈(31)이 형성된 지지바(30)와, 상기 지지바(30)의 결합홈(31)에 삽입결합되어 선단부가 상기 창호패널(21,22)의 둘레면에 밀착되는 밀폐부재(40)로 구성되어, 정확한 형태의 홈 등을 형성하기 어려운 한옥 창호에 정확히 상기 밀폐부재(40)를 고정함으로써, 창호틀(10)과 창호패널(21,22) 사이의 틈을 정확히 밀폐하고, 창호틀(10)과 창호패널(21,22) 사이의 틈으로 외부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우풍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한옥 창호의 방풍구조{air protection structure for korea style house door and windows}
본 발명은 목재로 구성된 창호틀과 창호패널 사이의 틈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한옥 창호의 방풍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 구비된 창호는 창과 문을 통칭하는 것으로, 직사각형의 테두리형태로 구성되어 벽면에 형성된 개구부에 결합된 창호틀과, 상기 창호틀에 결합되어 창호틀을 개폐하는 창호패널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창호는 상기 창호패널이 상기 창호틀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여닫이식과, 상기 창호패널이 상기 창호틀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미닫이식으로 나뉘어진다.
한편, 한옥에 구비되는 창호는 전통적인 방식에 따라, 창호틀과 창호패널이 목재로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한옥에 구비되는 창호의 경우, 최근에 사용되는 합성수지 또는 알루미늄재질의 창호와 달리, 창호틀과 창호패널의 둘레부가 기밀하게 결합되기 어렵고, 이에 따라, 창호틀과 창호패널의 사이에 발생된 틈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우풍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1325021호, 등록특허 10-0974494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목재로 구성된 창호틀과 창호패널 사이의 틈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한옥 창호의 방풍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직사각형의 테두리형태로 구성되어 벽면(1)에 형성된 개구부(2)에 결합된 목재재질의 창호틀(10)과, 상기 창호틀(10)에 결합되어 창호틀(10)을 개폐하는 목재재질의 창호패널(21,22)을 포함하는 창호에 있어서, 상기 창호틀(10)의 내측면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오목홈(15)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15)에 삽입결합되며 상기 창호패널(21,22)의 둘레면에 밀착되어 창호틀(10)과 창호패널(21,22)의 사이에 발생되는 틈을 밀폐하는 밀폐수단(30,4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밀폐수단(30,40)은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오목홈(15)에 삽입고정되며 내측면에는 결합홈(31)이 형성된 지지바(30)와, 상기 지지바(30)의 결합홈(31)에 삽입결합되어 선단부가 상기 창호패널(21,22)의 둘레면에 밀착되는 밀폐부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 창호의 방풍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창호패널(21,22)은 상기 창호틀(10)에 내외측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바(30)는 상면에 상기 결합홈(31)이 형성된 수평부(32)와, 상기 수평부(32)의 후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상향연장부(33)와, 상기 상향연장부(33)의 후단에서 후측으로 연장된 수평연장부(34)와, 상기 수평연장부(34)의 후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하향연장부(35)를 포함하며, 상기 상향연장부(33)의 전면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보조결합홈(36)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결합홈(36)에는 보조밀폐부재(37)가 결합되어, 상기 창호패널(21,22)을 닫으면, 상기 창호패널(21,22)의 후측면이 상기 보조밀폐부재(37)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 창호 방풍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창호패널(21,22)은 알루미늄프로파일로 제작되며, 상기 수평연장부(34)에는 결합공(34a)이 상하방향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창호패널(21,22)에는 상기 결합공(34a)이 결합되어 창호패널(21,22)이 열리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24)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 창호 방풍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창호패널(21,22)의 둘레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연장된 수직홈(25)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홈(25)에는 보조밀폐수단(50)이 구비되며, 상기 보조밀폐수단(5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외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결합홈(51a)이 형성된 지지바(51)와, 상기 지지바(51)의 결합홈(51a)에 결합되는 밀폐부재(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 창호 방풍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창호패널(21,22)은 상기 창호틀(10)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바(30)는 상면에 상기 결합홈(31)이 형성된 수평부(38)와, 상기 수평부(38)의 중앙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창호패널(21,22)이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부(39)를 포함하며, 상기 창호패널(21,22)은 상기 레일부(39)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 창호의 방풍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오목홈(15)에 삽입고정되는 고정판(16)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바(30)는 수평부(32)의 전단부가 상기 고정판(16)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지지바(30)에는 지지바(30)가 상측으로 회동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17)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 창호 방풍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한옥 창호의 방풍구조에 따르면, 상기 창호틀(10)의 내측면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오목홈(15)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15)에는 상기 창호패널(21,22)의 둘레면에 밀착되어 창호틀(10)과 창호패널(21,22)의 사이에 발생되는 틈을 밀폐하는 밀폐수단(30,4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밀폐수단(30,40)은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오목홈(15)에 삽입고정되며 내측면에는 결합홈(31)이 형성된 지지바(30)와, 상기 지지바(30)의 결합홈(31)에 삽입결합되어 선단부가 상기 창호패널(21,22)의 둘레면에 밀착되는 밀폐부재(40)로 구성되어, 정확한 형태의 홈 등을 형성하기 어려운 한옥 창호에 정확히 상기 밀폐부재(40)를 고정함으로써, 창호틀(10)과 창호패널(21,22) 사이의 틈을 정확히 밀폐하고, 창호틀(10)과 창호패널(21,22) 사이의 틈으로 외부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우풍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옥 창호의 방풍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한옥 창호의 방풍구조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한옥 창호의 방풍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한옥 창호의 방풍구조의 밀폐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한옥 창호의 방풍구조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한옥 창호의 방풍구조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한옥 창호의 방풍구조의 제2 실시예의 지지바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한옥 창호의 방풍구조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한옥 창호의 방풍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미닫이창호에 적용된 것을 예시한 것이다.
상기 한옥 창호는 직사각형의 테두리형태로 구성되어 벽면(1)에 형성된 개구부(2)에 결합된 목재재질의 창호틀(10)과, 상기 창호틀(10)에 결합되어 창호틀(10)을 개폐하는 목재재질의 창호패널(21,22)이 구비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상기 창호틀(10)은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된 좌우측 수직바(11,12)와,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양단이 상기 좌우측 수직바(11,12)의 상하단에 각각 고정된 상하측 수평바(13,14)로 구성된다.
그리고, 창호패널(21,22)은 좌우 한 쌍으로 구성되며, 좌우측 창호패널(21,22)은 좌우측단에 구비된 경첩(23)에 의해 상기 창호틀(10)의 좌우측 수직바(11,12)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좌우측 창호패널(21,22)을 전방으로 당겨 창호틀(10)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창호틀(10)의 내측면에는 오목홈(15)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15)에는 상기 창호패널(21,22)의 둘레면에 밀착되어 창호틀(10)과 창호패널(21,22)의 사이에 발생되는 틈을 밀폐하는 밀폐수단(30,40)이 삽입결합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오목홈(15)은 상기 하측 수평바(14)의 상면에 측방향을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밀폐수단(30,40)은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오목홈(15)에 삽입고정되며 내측면에는 결합홈(31)이 형성된 지지바(30)와, 상기 지지바(30)의 결합홈(31)에 삽입결합되어 선단부가 상기 창호패널(21,22)의 둘레면에 밀착되는 밀폐부재(4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바(30)는 알루미늄프로파일로 제작된 것으로, 상면에 상기 결합홈(31)이 형성된 수평부(32)와, 상기 수평부(32)의 후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상향연장부(33)와, 상기 상향연장부(33)의 후단에서 후측으로 연장된 수평연장부(34)와, 상기 수평연장부(34)의 후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하향연장부(35)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홈(31)은 2열이 상기 수평부(32)에 상호 전후방향으로 평행하게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밀폐부재(40)는 상기 결합홈(31)에 삽입되는 합성수지재의 스트립(41)과, 상기 스트립(41)의 일측면에 부착고정된 솔부재(42)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결합홈(31)에 대응되도록 2개가 구비되어, 상기 결합홈(31)에 각각 1개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솔부재(42)는 탄성이 있으면서 부드러운 합성수지재의 섬유로 구성된 것으로, 다수개의 섬유를 밀집되도록 상기 스트립(41)에 부착고정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바(30)의 상향연장부(33) 전면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보조결합홈(36)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결합홈(36)에는 보조밀폐부재(37)가 결합된다.
상기 보조밀폐부재(37)는 상기 밀폐부재(40)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보조결합홈(36)에 삽입결합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좌우측 창호패널(21,22)을 후측으로 회동시켜 닫으면, 상기 좌우측 창호패널(21,22)의 하측면은 상기 밀폐부재(40)에 밀착되고, 후측면 하단은 상기 보조밀폐부재(37)에 밀착되어, 좌우측 창호패널(21,22)의 하단과 상기 창호틀(10) 사이의 틈이 완전히 밀폐된다.
이때, 상기 지지바(30)의 수평부(32)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는 나사못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바(30)를 상기 오목홈(15)에 삽입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연장부(34)에는 결합공(34a)이 상하방향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창호패널(21,22)에는 상기 결합공(34a)이 결합되어 창호패널(21,22)이 열리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24)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수단(24)은 상기 창호패널(21,22)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지지관체(24a)와, 상기 지지관체(24a)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 손잡이(24c)가 구비된 승강핀(24b)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관체(24a)에는 상기 승강핀(24b)이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장공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창호패널(21,22)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승강핀(24b)을 하강시키면 상기 승강핀(24b)의 하단이 상기 결합공(34a)에 결합되어 창호패널(21,22)이 열리지 않도록 고정하며, 상기 손잡이(24c)를 잡고 승강핀(24b)을 상승시키면 상기 창호패널(21,22)의 고정이 해제되어, 창호패널(21,22)을 열 수 있다.
이러한 고정수단(24)은 매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임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창호패널(21,22)의 선단부쪽 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연장된 수직홈(25)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홈(25)에는 보조밀폐수단(50)이 구비된다.
상기 수직홈(25)은 우측 창호패널(22)의 선단부쪽 측면, 즉, 좌측면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보조밀폐수단(5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외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결합홈(51a)이 형성된 지지바(51)와, 상기 지지바(51)의 결합홈(51a)에 결합되는 밀폐부재(52)로 구성된다.
상기 밀폐부재(52)는 전술한 밀폐수단(30,40)에 구비된 밀폐부재(40)와 동일하게 구성되며, 상기 지지바(51)의 결합홈(51a)에 삽입고정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측 창호패널(21,22)을 닫으면, 상기 보조밀폐수단(50)의 밀폐부재(52)가 좌측 창호패널(21)의 우측면에 밀착되어, 좌우측 창호패널(21,22)의 사이에 발생되는 틈을 밀폐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한옥 창호의 방풍구조에 따르면, 상기 창호틀(10)의 내측면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오목홈(15)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15)에는 상기 창호패널(21,22)의 둘레면에 밀착되어 창호틀(10)과 창호패널(21,22)의 사이에 발생되는 틈을 밀폐하는 밀폐수단(30,4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밀폐수단(30,40)은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오목홈(15)에 삽입고정되며 내측면에는 결합홈(31)이 형성된 지지바(30)와, 상기 지지바(30)의 결합홈(31)에 삽입결합되어 선단부가 상기 창호패널(21,22)의 둘레면에 밀착되는 밀폐부재(40)로 구성되어, 정확한 형태의 홈 등을 형성하기 어려운 한옥 창호에 정확히 상기 밀폐부재(40)를 고정함으로써, 창호틀(10)과 창호패널(21,22) 사이의 틈을 정확히 밀폐하고, 창호틀(10)과 창호패널(21,22) 사이의 틈으로 외부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우풍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창호패널(21,22)은 상기 창호틀(10)에 내외측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바(30)는 상면에 상기 결합홈(31)이 형성된 수평부(32)와, 상기 수평부(32)의 후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상향연장부(33)와, 상기 상향연장부(33)의 후단에서 후측으로 연장된 수평연장부(34)와, 상기 수평연장부(34)의 후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하향연장부(35)로 구성되고, 상기 상향연장부(33)의 전면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보조결합홈(36)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결합홈(36)에는 보조밀폐부재(37)가 결합되어, 상기 창호패널(21,22)을 닫으면, 상기 창호패널(21,22)의 후측면이 상기 보조밀폐부재(37)에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창호틀(10)과 창호패널(21,22) 사이의 틈을 2중으로 막아 우풍의 발생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수평연장부(34)에는 결합공(34a)이 상하방향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창호패널(21,22)에는 상기 결합공(34a)이 결합되어 창호패널(21,22)이 열리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24)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창호패널(21,22)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고정수단(24)을 상기 결합공(34a)에 결합하여 창호패널(21,22)이 열리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음으로, 창호패널(21,22)을 더욱 견고하게 잠글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종래의 한옥의 경우, 상기 고정수단(24)이 결합되는 결합공(34a)이 목재인 창호틀(10)에 형성됨으로, 고정수단(24)을 반복적으로 사용할 경우, 상기 결합공(34a)이 마모되며, 이에 따라, 상기 고정수단(24)이 결합공(34a)에 견고하게 결합되지 못하게 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경우, 상기 결합공(34a)이 알루미늄프로파일로 제작된 지지바(30)에 형성됨으로, 고정수단(24)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더라도 결합공(34a)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고, 고정수단(24)이 결합공(34a)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 상기 오목홈(15)은 상기 하측 수평바(14)의 상면에 측방향을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오목홈(15)을 상기 상측 수평바(13)의 하측면에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상측 수평바(13)의 오목홈(15)에도 상기 밀폐부재(40)를 추가로 구비하여, 상기 창호패널(21,22)의 상하단이 상기 밀폐부재(40)에 의해 밀폐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오목홈(15)을 상기 좌우측 수직바(11,12)의 마주보는 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밀폐부재(40)를 상기 좌우측 수직바(11,12)의 오목홈(15)에 결합하여, 창호패널(21,22)의 외측단을 밀폐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밀폐수단(30,40)은 상하가 뒤집힌 상태로 상기 상측 수평바(13)의 오목홈(15)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홈(25)은 우측 창호패널(22)의 좌측면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수직홈(25)은 상기 좌측 창호패널(21)의 우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창호패널(21,22)은 상기 창호틀(10)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미닫이식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창호패널(21,22)은 전방에 위치된 우측 창호패널(22)과, 후방에 위치된 좌측 창호패널(21)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바(30)는 상면에 상기 결합홈(31)이 형성된 수평부(38)와, 상기 수평부(38)의 중앙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창호패널(21,22)이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부(39)로 구성되고, 상기 창호패널(21,22)은 상기 레일부(39)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홈(25)은 전방에 구비된 우측 창호패널(22)의 좌측단 후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보조밀폐수단(50)은 상기 수직홈(25)에 결합되어, 창호패널(21,22)을 측방향으로 밀어 닫으면, 상기 보조밀폐수단(50)이 좌측 창호패널(21)의 우측단 전면에 밀착되어, 창호패널(21,22) 사이의 틈을 밀폐한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바(30)의 구조는 창호의 형태와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수직홈(25)은 상기 우측 창호패널(22)의 좌측단 후측면에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수직홈(25)은 상기 좌측 창호패널(21)의 우측단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창호패널(21,22)은 상기 창호틀(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지지바(30)는 상면에 상기 결합홈(31)이 형성된 수평부(32)와, 상기 수평부(32)의 후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상향연장부(33)와, 상기 상향연장부(33)의 후단에서 후측으로 연장된 수평연장부(34)와, 상기 수평연장부(34)의 후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하향연장부(35)로 구성된 것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오목홈(15)에는 고정판(16)이 삽입고정되며, 상기 지지바(30)는 수평부(32)의 전단부가 상기 고정판(16)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판(16)은 상기 지지바(30)와 동일한 측방향 길이를 갖도록 구성되며, 중간부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는 나사못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판(16)을 상기 오목홈(15)에 삽입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평부(32)는 전단부가 상기 고정판(16)의 전단부에 미리 정해진 각도 내에서 상측으로 회동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바(30)에는 지지바(30)가 상측으로 회동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17)가 연결된다.
상기 탄성부재(17)는 상기 지지바(30)와 수평부(32)의 사이에 구비되어 수평부(32)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압축코일스프링을 이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한옥 창호 방풍구조에 따르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창호패널(21,22)이 전방으로 회동되어 열린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부재(17)에 의해 상기 밀폐수단(30,40) 전체가 상측으로 회동된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창호패널(21,22)을 후방으로 회동시켜 닫으면, 상기 창호패널(21,22)의 하측면에 의해 상기 밀폐수단(30,40)이 하측으로 가압되면서 상기 탄성부재(17)가 압축되며, 상기 탄성부재(17)의 탄성에 의해 상기 밀폐수단(30,40)에 구비된 밀폐부재(40)가 상기 창호패널(21,22)의 하측면에 적절한 힘으로 밀착된다.
따라서, 창호틀(10)과 창호패널(21,22) 사이의 틈을 더욱 효과적으로 밀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창호틀(10)과 창호패널(21,22)은 목재로 구성됨으로, 기후 또는 주변의 습도에 따라, 수축 또는 팽창을 반복하게 되며, 이에 따라 창호틀(10)과 창호패널(21,22)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의 간격이 변화된다.
따라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같이, 상기 밀폐수단(30,40)의 지지바(30)가 상기 오목홈(15)에 삽입고정될 경우, 상기 창호틀(10)과 창호패널(21,22)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의 간격변화에 추종하지 못하게 되며, 상기 밀폐부재(40)가 창호패널(21,22)에 과도하게 밀착되어 창호패널(21,22)을 여닫는 것이 불편하게 되거나, 밀폐부재(40)가 창호패널(21,22)과 창호틀(10) 사이의 틈을 밀폐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지지바(30)는 수평부(32)가 상기 오목홈(15)에 고정된 고정판(16)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상태로 탄성부재(17)에 의해 상측으로 가압됨으로, 상기 창호틀(10)과 창호패널(21,22)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의 간격이 달라질 경우, 이에 추종하여 상기 지지바(30)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되어 밀폐부재(40)가 창호패널(21,22)에 적절한 힘으로 밀착되는 장점이 있다.
10. 창호틀 21,22. 창호패널
30, 40. 밀폐수단 30. 지지바
40. 밀폐부재 50. 보조밀폐수단

Claims (6)

  1. 직사각형의 테두리형태로 구성되어 벽면(1)에 형성된 개구부(2)에 결합된 목재재질의 창호틀(10)과,
    상기 창호틀(10)에 결합되어 창호틀(10)을 개폐하는 목재재질의 창호패널(21,22)을 포함하는 창호에 있어서,
    상기 창호틀(10)의 내측면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오목홈(15)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15)에 삽입결합되며 상기 창호패널(21,22)의 둘레면에 밀착되어 창호틀(10)과 창호패널(21,22)의 사이에 발생되는 틈을 밀폐하는 밀폐수단(30,4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밀폐수단(30,40)은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오목홈(15)에 삽입고정되며 내측면에는 결합홈(31)이 형성된 지지바(30)와,
    상기 지지바(30)의 결합홈(31)에 삽입결합되어 선단부가 상기 창호패널(21,22)의 둘레면에 밀착되는 밀폐부재(40)를 포함하고,
    상기 창호패널(21,22)은 상기 창호틀(10)에 내외측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바(30)는
    상면에 상기 결합홈(31)이 형성된 수평부(32)와,
    상기 수평부(32)의 후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상향연장부(33)와,
    상기 상향연장부(33)의 후단에서 후측으로 연장된 수평연장부(34)와,
    상기 수평연장부(34)의 후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하향연장부(35)를 포함하며,
    상기 상향연장부(33)의 전면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보조결합홈(36)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결합홈(36)에는 보조밀폐부재(37)가 결합되어,
    상기 창호패널(21,22)을 닫으면, 상기 창호패널(21,22)의 후측면이 상기 보조밀폐부재(37)에 밀착되며,
    상기 오목홈(15)에 삽입고정되는 고정판(16)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바(30)는 수평부(32)의 전단부가 상기 고정판(16)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지지바(30)에는 지지바(30)가 상측으로 회동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17)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 창호 방풍구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창호패널(21,22)은 알루미늄프로파일로 제작되며,
    상기 수평연장부(34)에는 결합공(34a)이 상하방향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창호패널(21,22)에는 상기 결합공(34a)이 결합되어 창호패널(21,22)이 열리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24)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 창호 방풍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창호패널(21,22)의 둘레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연장된 수직홈(25)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홈(25)에는 보조밀폐수단(50)이 구비되며,
    상기 보조밀폐수단(5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외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결합홈(51a)이 형성된 지지바(51)와,
    상기 지지바(51)의 결합홈(51a)에 결합되는 밀폐부재(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 창호 방풍구조.
  5. 삭제
  6. 삭제
KR1020150157871A 2015-11-11 2015-11-11 한옥 창호의 방풍구조 KR101628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871A KR101628913B1 (ko) 2015-11-11 2015-11-11 한옥 창호의 방풍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871A KR101628913B1 (ko) 2015-11-11 2015-11-11 한옥 창호의 방풍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8913B1 true KR101628913B1 (ko) 2016-06-09

Family

ID=56139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7871A KR101628913B1 (ko) 2015-11-11 2015-11-11 한옥 창호의 방풍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89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6185A (ko) 2022-07-06 2024-01-15 유무송 한옥 도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9262A (ko) * 2005-02-03 2005-03-24 이진국 청소가 용이한 창문
KR100974494B1 (ko) 2009-05-29 2010-08-10 이은옥 미닫이 창호
KR101122546B1 (ko) * 2011-12-02 2012-03-16 김순석 여닫이식 출입문용 기밀장치
KR20130081892A (ko) * 2012-01-10 2013-07-18 김주한 창호틀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창호틀
KR101325021B1 (ko) 2010-09-07 2013-11-04 주식회사 이건창호 목재 창짝 프레임
KR101460601B1 (ko) * 2013-07-15 2014-11-11 임식규 강화유리 안전도어의 탈부착식 방풍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9262A (ko) * 2005-02-03 2005-03-24 이진국 청소가 용이한 창문
KR100974494B1 (ko) 2009-05-29 2010-08-10 이은옥 미닫이 창호
KR101325021B1 (ko) 2010-09-07 2013-11-04 주식회사 이건창호 목재 창짝 프레임
KR101122546B1 (ko) * 2011-12-02 2012-03-16 김순석 여닫이식 출입문용 기밀장치
KR20130081892A (ko) * 2012-01-10 2013-07-18 김주한 창호틀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창호틀
KR101460601B1 (ko) * 2013-07-15 2014-11-11 임식규 강화유리 안전도어의 탈부착식 방풍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6185A (ko) 2022-07-06 2024-01-15 유무송 한옥 도어
KR102638233B1 (ko) * 2022-07-06 2024-02-20 유무송 한옥 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1294B1 (ko) 수평 풍지 구조를 갖는 미서기창호
US20070295461A1 (en) Curved Brace Edge Connection Fitting of Window
KR102100231B1 (ko) 창호 충격방지용 스토퍼
JP7278424B2 (ja) 建具の召合せ框の気密維持装置
KR101628913B1 (ko) 한옥 창호의 방풍구조
KR200478715Y1 (ko) 미닫이식 창호시스템
KR101502665B1 (ko) 양개형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
US20100199562A1 (en) Louver with tilt rod being disposed in a non-protrusion postion after closing.
KR101905934B1 (ko) 목재 외관을 갖는 창호
KR101415151B1 (ko) 방충창용 창틀
KR102224270B1 (ko) 일체형 유리난간대를 구비한 창호
KR101414859B1 (ko) 기밀유지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딩 창호
KR200470750Y1 (ko) 방충창용 모서리조립구
JP6647927B2 (ja) 建具
KR101589659B1 (ko) 방풍방음 창호
KR20190023181A (ko) 유리 고정이 용이한 복합 소재 창짝프레임
KR101819888B1 (ko) 창문과 창틀의 기밀결합구조
US20180023341A1 (en) Cushion for profile of a shade for doors or windows
JP7041019B2 (ja) 建具
KR101792495B1 (ko) 바닥 설치용 방풍 조립체 및 그 설치구조
KR20100003148U (ko) 강화유리도어의 도어프레임
ITVI20080212A1 (it) Serramento con anta e telaio perfezionati
KR101143699B1 (ko) 문의 틈새커버
KR20130081892A (ko) 창호틀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창호틀
JP4433423B1 (ja) 隙間風防止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