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3990A - 네트워크 연결된 타 무선 단말기와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무선 단말기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연결된 타 무선 단말기와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무선 단말기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3990A
KR20060033990A KR1020040083099A KR20040083099A KR20060033990A KR 20060033990 A KR20060033990 A KR 20060033990A KR 1020040083099 A KR1020040083099 A KR 1020040083099A KR 20040083099 A KR20040083099 A KR 20040083099A KR 20060033990 A KR20060033990 A KR 20060033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wireless terminal
string
network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3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우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083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3990A/ko
Publication of KR20060033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39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1Cordless keybo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 연결된 다른 무선 단말기와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무선 단말기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개인영역통신망(PAN: Personal Area Network) 또는 이동통신망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제2 무선 단말기에 소정의 문자열 세트를 전송하여 서로 동일한 입력 지원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입력 장치를 공유하거나, 상기 제2 무선 단말기의 문자열 세트를 입력 받아 적용함으로써 서로 입력 장치를 공유할 수도 있고, 제2 무선 단말기의 입력 지원 방식만을 사용자에게 제공,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 지원 방식으로 문자를 작성하여 제2 무선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서로 입력 장치를 공유할 수 있는 무선 단말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무선 단말기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제1 무선 단말기의 입력 장치를 다른 제2 무선 단말기의 입력 장치로 사용함으로써, 입력 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제2 무선 단말기에 별도의 입력 장치를 설치하지 않고도 제1 무선 단말기의 입력 장치를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입력장치, WPAN, 블루투스, UWB

Description

네트워크 연결된 타 무선 단말기와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무선 단말기 시스템 및 방법{SYSTEM OF A WIRELESS TERMINAL CO-OWNING AN INPUT DEVICE WITH OTHER TERMINALS IN NETWORK AND METHOD THEREFOR}
도 1은 본 발명의 제1 무선 단말기가 하나 이상의 다른 무선 단말기와 네트워크 접속되어 있는 연결을 도시한 네트워크 접속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제1 무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무선 단말기의 입력 장치 공유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제2 무선 단말기에 제2 문자열 세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제1 문자열 세트를 전송하여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제1 입력 지원 방식과 제2 입력 지원 방식이 서로 다를 경우 제2 입력 지원 방식을 제1 무선 단말기에 적용하여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무선 단말기의 입력 장치 공유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제1 무선 단말기 210 : 문자열 세트 저장부
220 : 입력 장치 230 : 메모리 수단
240 : 문자 생성부 250 : 통신 모듈
260 : 비교 제어부
본 발명은 네트워크 연결된 다른 무선 단말기와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무선 단말기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개인영역통신망(PAN: Personal Area Network) 또는 이동통신망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제2 무선 단말기에 소정의 문자열 세트를 전송하여 서로 동일한 입력 지원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입력 장치를 공유하거나, 상기 제2 무선 단말기의 문자열 세트를 입력 받아 적용함으로써 서로 입력 장치를 공유할 수도 있고, 제2 무선 단말기의 입력 지원 방식만을 사용자에게 제공,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 지원 방식으로 문자를 작성하여 제2 무선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서로 입력 장치를 공유할 수 있는 무선 단말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세대 성장 동력 중의 하나인 홈 네트워크는 가정을 즐겁고, 쾌적하고, 편리하고, 안전한 사람을 위한 사용자 중심의 맞춤형 홈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보 인프라로서, 유무선 홈 네트워크, 홈 게이트웨이 및 홈 서버, 지능형 정보가전, 유비쿼터스 컴퓨팅 등이 그 핵심 기술이다. 즉, 디지털 TV, DVD, MP3 플레이어, PVR(Personal Video Recorder)등과 같은 네트워크 기기와 개인정보 단말기, 웹패드 등과 같은 네트워크 기기를 가정 내의 정보 가전기기와 유무선 홈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기기, 시간,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홈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을 말한다.
이러한 홈 네트워크가 구비된 가정의 인프라 구성은 종래의 이더넷, 전화선, 전력선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킹 방식에서 케이블의 신규 설치, 배선 작업이 필요 없는 무선 LAN, 무선 PAN, UWB 등과 같이 무선 방식을 선호하는 방향으로 발전되고 있으며, 미래엔 각종 장치에 센서가 부착되어 감지하고 제어할 수 있는 센서 중심의 유비쿼터스(ubiquitous) 홈 네트워크가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처럼 홈 네트워크 서비스는 하나의 기기로 무선 연결된 가정내의 다른 기기를 동작시키고 제어할 수 있다는 점에 그 편리성이 있는데, 현재의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들은 모두 각각의 입력 장치 및 그에 상응하는 입력 체계를 갖고 각각의 입력 지원 방식으로 동작하고 있어, 입력 장치의 호환성에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입력 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초소형 서버 같은 장치는 별도의 입력 장치를 구비해야 구동시킬 수 있어, 홈 네트워크 서비스의 편리함을 퇴색시킨다는 단점이 제기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핸드폰, PDA, 스마트폰과 같은 무선 휴대 기기의 입력 장치를 무선 네트워크 연결된 다른 기기의 입력 장치로 사용하여, 무선 휴대 기기로 별도의 입력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네트워크 연결된 다른 기기를 제어하고 사용할 수 있는 입력 장치의 공유에 대한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제1 무선 단말기의 입력 장치를 다른 제2 무선 단말기의 입력 장치로 사용함으로써, 입력 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제2 무선 단말기에 별도의 입력 장치를 설치하지 않고도 제1 무선 단말기의 입력 장치를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무선 단말기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입력 체계를 갖고 있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기에 있어서, 서로의 입력 체계를 전송하여 자신의 입력 체계로 사용함으로써, 제2 무선 단말기가 수행하지 못하거나 추가하고 싶은 입력 방식을 제1 무선 단말기를 통하여 차용할 수 있는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무선 단말기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무선 단말기 시스템은, 제1 문자열 세트를 유지하는 문자열 세트 저장부, 사용자로부터 문자 입력 신호를 입력 받기 위한 입력 장치,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문자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키 입력 코드열을 생성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모듈이 기록되고,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에 의해 생성된 키 입력 코드열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수단, 상기 제1 문자열 세트를 참조하여 상기 키 입력 코드열을 소정의 입력 문자열로 생성하기 위한 문자 생성부, 하나 이상의 단말기와 네트워크 접속을 유지하고, 상기 제1 문자열 세트, 키 입력 코드열, 또는 입력 문자열을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기와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 을 통해 네트워크 접속된 제2 무선 단말기에 저장된 제2 입력 문자열 세트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키 입력 코드열 또는 입력 문자열의 전송, 상기 제1 문자열 세트의 전송, 또는 상기 제2 문자열 세트의 수신에 대한 결정을 판단하는 비교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무선 단말기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문자 입력 신호를 입력 받기 위한 입력 장치,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문자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키 입력 코드열을 생성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모듈이 기록되고,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에 의해 생성된 키 입력 코드열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수단, 상기 키 입력 코드열을 소정의 입력 문자열로 생성하기 위한 문자 생성부, 하나 이상의 단말기와 네트워크 접속을 유지하고, 상기 키 입력 코드열, 또는 입력 문자열을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기와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 상기 통신부를 통해 네트워크 접속된 제2 무선 단말기에 저장된 제2 입력 문자열 세트의 저장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키 입력 코드열 또는 입력 문자열의 전송, 또는 상기 제2 문자열 세트의 수신에 대한 결정을 판단하는 비교 제어부, 및 상기 제2 무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제2 문자열 세트를 저장하기 위한 문자열 세트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무선 단말기가 하나 이상의 다른 무선 단말기와 네트워크 접속되어 있는 연결을 도시한 네트워크 접속도이다.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 제1 무선 단말기(110)는 소정의 통신망(120)을 통하여 하나 이상의 다른 무선 단말기(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 통신망(120)이라 함은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기를 서로 네트워크 접속 시켜주는 매개체로서, 본 명세서에서 지칭하는 네트워크라 함은, 홈 네트워킹 기술에서 무선 홈 네트워킹 기술에 속하는 것으로 블루투스(Bluetooth), WLAN (IEEE802.11), WPAN (IEEE802.15), Wireless 1394 등의 무선 홈 네트워킹 기술과 유선 인터넷 또는 무선 인터넷 또는 CDMA 1x 또는 EV-DO, IMT-2000 등의 이동통신망을 포함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Home PNA (Home Phone-line Networking Alliance) 기술, PLC (Power Line Communications) 기술, IEEE 1394 기술 등의 유선 홈 네트워킹 기술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무선 단말기(110)는 소정의 입력 장치를 구비하고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기(130)와 통신망(120)을 통해 네트워크 접속하여 상기 입력 장치를 서로 공유할 수 있는 장치로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입력 장치를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기(130)로 임대할 수 있는 제1 무선 단말기(110)는 소정의 메모리를 구비하고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PDA, 셀룰라폰, PCS폰, 스마트폰, DMB폰 등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하나 이상의 다른 무선 단말기(130)는 제2 무선 단말기, 제3 무선 단말기 등의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무선 단말기는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PDA, 셀룰라폰, PCS폰, 스마트폰, DMB폰 등의 이동통신단말기가 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 접속 가능한 초소형 서버, 디지털 TV, 냉장고, DVD, 복사기, 보일러 시스템 등의 홈 네트워킹이 가 능한 기기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무선 단말기와 제3 무선단말기는 경우에 따라서는 HomePNA (Home Phone-line Networking Alliance) 기술, PLC (Power Line Communications) 기술, IEEE1394 기술 등의 유선 홈 네트워킹으로 서로 네트워크 접속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제1 무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제1 무선 단말기(200)는 크게 문자열 세트 저장부(210), 입력 장치(220), 메모리 수단(230), 문자 생성부(240), 통신 모듈(250), 및 비교 제어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문자열 세트 저장부(210)는 제1 무선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제1 입력 지원 방식에 따른 제1 문자열 세트를 저장한다. 제1 문자열 세트는 제1 무선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고유의 문자열 세트로서 제2 무선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문자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무선 단말기가 SK 텔레텍의 핸드폰이고, 제2 무선 단말기가 삼성전자의 핸드폰일 경우, 각각의 핸드폰은 고유한 방식의 문자 입력 체계에 따라 고유한 문자열 세트를 갖게 되어 SK 텔레텍의 핸드폰에서 지원하는 특수문자를 삼성전자의 핸드폰에서 지원하지 않을 수도 있고, 또 그 반대의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또한, 특정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 입력 신호도 서로 상이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스타" 라는 문자를 생성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SK 텔레텍 핸드폰에서 "7722443"의 키패드를 눌러 키 입력 코드열을 생성해야 하지만, 삼성전자 핸드폰에 서는 "83662"의 키패드를 눌러야 "스타" 라는 키 입력 코드열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서로 다른 문자열 세트는 비단 핸드폰의 경우뿐만 아니라, PDA, PC 등 네트워크 연결된 모든 단말기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문자열을 생성하기 위하여 아스키 값을 사용할 수도 있는데, 각 단말기에서 "스타" 라는 문자를 생성하기 위하여 각각의 단말기에서 생성된 문자 입력 신호는 일례로 "11001010001" 이라는 코드로 변환되어 다른 단말기로 전송될 수도 있다. 이러한 코드 방식으로는 ASCII 코드, 유니 코드, 또는 EBCDIC 코드 등이 있다.
입력 장치(220)는 사용자로부터 문자 입력 신호를 입력 받기 위한 장치로서,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문자열을 입력 받기 위한 하나 이상의 키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키패드는 하나 이상의 숫자 또는 문자(자국어, 알파벳, 또는 특수문자 등)와 대응된다. 또한, 입력 장치(220)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 입력을 위한 터치 패널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 장치(220)를 통하여 소정의 숫자 또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메모리 수단(23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문자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키 입력 코드열을 생성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모듈을 유지하고,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에 의해 생성된 키 입력 코드열을 저장한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은 소정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그램이 기록된 것으로서, 소정의 메뉴 형태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문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문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문자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키 입 력 코드열을 생성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문자 생성부(240)는 메모리 수단(230)에 저장된 키 입력 코드열을 문자열 세트 저장부(210)의 제1 문자열 세트를 참조하여 제1 무선 단말기의 입력 지원 방식에 따라 소정의 입력 문자열로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타"라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입력 장치의 키패드를 눌러 "7722443" 이라는 문자 입력 신호가 생성되면, 소프트웨어 모듈은 "11001010001" 이라는 소정의 키 입력 코드열을 생성하고, 문자 생성부(240)는 상기 키 입력 코드열과 상기 제1 문자열 세트를 참조하여 "스타"라는 문자열을 생성할 수 있다.
통신 모듈(250)은 하나 이상의 단말기와 네트워크 접속을 유지하고, 상기 제1 문자열 세트, 키 입력 코드열, 또는 입력 문자열을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기와 송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통신 모듈(250))은 블루투스(Bluetooth), WLAN (IEEE802.11), WPAN (IEEE802.15), Wireless 1394 등의 무선 홈 네트워킹 기술과 HomePNA (Home Phone-line Networking Alliance) 기술, PLC (Power Line Communications) 기술, IEEE1394 기술 등의 유선 홈 네트워킹 기술을 지원하고, 공중 교환 전화망(PSTN) 접속은 물론, 코드분할다중화접속방식(CDMA), WCDMA, ALL IP, GSM, GPRS 접속 방식, 및 현존하는 모든 이동통신 관련 접속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지원할 수 있고, H.323, MGCP(Message Gateway Control Protocol),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또는 Megaco 등의 VoIP 호 연결을 위한 호 제어 프로토콜 중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을 지원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비교 제어부(260)는 통신 모듈(250)을 통해 네트워크 접속된 제2 무선 단말 기에 저장되어 있는 제2 입력 문자열 세트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제1 무선 단말기(200)의 키 입력 코드열 또는 입력 문자열의 전송 여부와 상기 제1 문자열 세트의 전송 여부, 또는 상기 제2 문자열 세트의 수신 여부에 대한 결정을 판단한다. 또한 비교 제어부(260)는 상기 제2 문자열 세트에 따른 제2 입력 지원 방식을 상기 제1 입력 문자열 세트의 제1 입력 지원 방식과 비교하고, 두 가지가 서로 다를 경우, 제2 입력 지원 방식을 상기 제2 무선 단말기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설명은 이하의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설명에서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무선 단말기의 입력 장치 공유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무선 단말기의 입력 장치 공유 방법은 제1 무선 단말기가 제1 문자열 세트를 가지고 있고, 제2 무선 단말기는 제2 문자열 세트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 따른 입력 장치 공유 방법이다. 상기 제1 문자열 세트와 제2 문자열 세트는 입력 지원 방식이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상이할 수도 있는 경우를 다 포함한다.
제1 무선 단말기는 문자열 세트 저장부에 제1 무선 단말기의 고유한 제1 입력 지원 방식에 따른 제1 문자열 세트를 유지하고(단계(311)), 통신 모듈을 통해 네트워크 연결되어 있는 제2 무선 단말기를 검색한다(단계(312)).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입력 장치를 공유할 수 있는 제2 무선 단말기가 검색된 경우, 상기 제2 무선 단말기의 통신 모듈을 통해 네트워크 접속을 유지한다(단계(313)). 상기 네트 워크는 무선 개인영역통신망(PAN: Personal Area Network) 또는 이동통신망을 포함하여 접속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접속된 제2 무선 단말기에 제2 무선 단말기의 고유한 제2 입력 지원 방식에 따른 제2 문자열 세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단계(314)), 제2 문자열 세트가 존재할 경우, 상기 제2 문자열 세트의 제2 입력 지원 방식과 상기 제1 문자열 세트의 제1 입력 지원 방식을 서로 비교한다(단계(315)). 단계(314)에서 상기 제2 무선 단말기에 제2 문자열 세트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대해서는 아래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제2 무선 단말기에 제2 문자열 세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제1 문자열 세트를 전송하여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의 단계(314)에서 제2 무선 단말기에 제2 문자열 세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1 무선 단말기는 비교 제어부의 판단에 따라 통신 모듈을 통하여 제1 문자열 세트를 상기 제2 무선 단말기로 전송한다(단계(411). 상기 제1 문자열 세트를 수신한 제2 무선 단말기는 문자열 세트 저장부에 상기 제1 문자열 세트를 저장하고, 상기 제1 문자열 세트에 대응하는 제1 입력 지원 방식을 자신의 입력 체계로 적용한다.
제1 무선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문자 입력 신호를 입력 받으면(단계(412)), 상기 문자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키 입력 코드열을 생성한다(단계(412)). 상기 제1 문자열 세트를 참조하여 상기 생성된 키 입력 코드열에 대응하는 입력 문자열을 생성하고(단계414)), 상기 입력 문자열을 통신 모듈을 통해 네트워크 접속된 상기 제2 무선 단말기로 전송한다. 여기서, 제1 무선 단말기는 상기 입력 문자열 대신 키 입력 코드열만을 제2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고, 제1 문자열 세트를 저장하고 있는 제2 무선 단말기가 상기 수신한 키 입력 코드열에 대응하는 입력 문자열을 상기 제1 문자열 세트를 참조하여 생성할 수도 있다(단계(415)). 상기 입력 문자열을 수신 또는 생성한 제2 무선 단말기는 상기 입력 문자열을 소정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고, 상기 입력 문자열에 대응한 제1 무선 단말기의 제어에 따라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시 도 3의 단계(315)에서 제1 문자열 세트의 제1 입력 지원 방식과 제2 문자열 세트의 제2 입력 지원 방식이 서로 다를 경우는 아래의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제1 입력 지원 방식과 제2 입력 지원 방식이 서로 다를 경우 제2 입력 지원 방식을 제1 무선 단말기에 적용하여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의 단계(315)에서 제1 입력 지원 방식과 제2 입력 지원 방식이 서로 다를 경우, 제1 무선 단말기의 비교 제어부는 상기 제2 무선 단말기로부터 제2 문자열 세트에 대한 제2 입력 지원 방식을 추출하고(단계(515)), 상기 추출한 제2 입력 지원 방식을 제1 무선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단계(512)). 예를 들어, 제1 무선 단말기가 SK 텔레텍의 핸드폰이고, 제2 무선 단말기가 삼성전자의 핸드폰인 경우, "스타" 라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제1 무선 단말기에서 "7722443"의 키패드를 눌러 키 입력 코드열을 생성해야 하지만, 제2 무선 단말기에 서는 "83662"의 키패드를 눌러 키 입력 코드열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무선 단말기는 "83662"를 눌러 "스타"라는 키 입력 코드열을 생성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위와 같은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문자 입력 신호를 입력 받아(단계(513)) 제2 입력 지원 방식에 따른 키 입력 코드열을 생성하고(단계(514)), 상기 생성된 키 입력 코드열을 제2 무선 단말기로 전송한다(단계(515)).
상기와 같은 제2 입력 지원 방식의 채용은 마우스 또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는데, 제1 무선 단말기와 제2 무선 단말기가 네트워크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2 무선 단말기의 제2 입력 지원 방식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1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제1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제2 입력 지원 방식에 따른 문자 입력 신호를 입력 받아 제2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다시 도 3의 단계(315)에서 제1 입력 지원 방식과 제2 입력 지원 방식이 동일한 경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문자 입력 신호를 입력 받고(단계(316)), 상기 문자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키 입력 코드열을 생성하여(단계(317)) 그에 대응하는 입력 문자열을 생성하고(단계(318)), 상기 입력 문자열을 통신 모듈을 통해 네트워크 접속된 상기 제2 무선 단말기로 전송한다. 여기서, 제1 무선 단말기는 상기 입력 문자열 대신 키 입력 코드열만을 제2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고, 제1 문자열 세트를 저장하고 있는 제2 무선 단말기가 상기 수신한 키 입력 코드열에 대응하는 입력 문자열을 상기 제1 문자열 세트를 참조하여 생성할 수도 있다(단계(319)). 상기 입 력 문자열을 수신 또는 생성한 제2 무선 단말기는 상기 입력 문자열을 소정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고, 상기 입력 문자열에 대응한 제1 무선 단말기의 제어에 따라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여 서로 입력 장치를 공유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1 무선 단말기가 핸드폰이고, 제2 무선 단말기가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입력 장치를 구비하지 않은 냉장고인 경우, 사용자는 제1 무선 단말기인 핸드폰의 입력 장치를 사용하여 냉장고의 온도 및 습도를 제어할 수도 있고, 냉장고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여 요리에 대한 레서피를 다운 받아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시킬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무선 단말기의 입력 장치 공유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무선 단말기의 입력 장치 공유 방법은 제1 무선 단말기에 문자열 세트가 없고, 제2 무선 단말기에 제2 문자열 세트가 있는 경우에 따른 입력 장치 공유 방법이다.
제1 무선 단말기는 통신 모듈을 통해 네트워크 연결되어 있는 제2 무선 단말기를 검색한다(단계(611)).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입력 장치를 공유할 수 있는 제2 무선 단말기가 검색된 경우, 상기 제2 무선 단말기의 통신 모듈을 통해 네트워크 접속을 유지한다(단계(612)). 상기 네트워크는 무선 개인영역통신망(PAN: Personal Area Network) 또는 이동통신망을 포함하여 접속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접속된 제2 무선 단말기에 제2 무선 단말기의 고유한 제2 입 력 지원 방식에 따른 제2 문자열 세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단계(613)), 제2 문자열 세트가 존재할 경우, 비교 제어부를 통해 상기 제2 문자열 세트의 수신 여부를 판단한다(단계(614)). 단계(613)에서 상기 제2 무선 단말기에 제2 문자열 세트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단계(611)로 되돌아가 네트워크 접속된 또다른 무선 단말기를 검색한다.
단계(614)에서 상기 제2 문자열 세트를 제2 무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지 않고 상기 제2 문자열 세트에 대한 제2 입력 지원 방식만을 제1 무선 단말기에 채용할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제2 입력 지원 방식의 채용 방법을 따른다.
제1 무선 단말기의 비교 제어부는 상기 제2 무선 단말기로부터 제2 문자열 세트에 대한 제2 입력 지원 방식을 추출하고(단계(515)), 상기 추출한 제2 입력 지원 방식을 제1 무선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단계(512)). 예를 들어, 제1 무선 단말기가 SK 텔레텍의 핸드폰이고, 제2 무선 단말기가 삼성전자의 핸드폰인 경우, "스타" 라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제1 무선 단말기에서 "7722443"의 키패드를 눌러 키 입력 코드열을 생성해야 하지만, 제2 무선 단말기에서는 "83662"의 키패드를 눌러 키 입력 코드열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무선 단말기는 "83662"를 눌러 "스타"라는 키 입력 코드열을 생성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위와 같은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문자 입력 신호를 입력 받아(단계(513)) 제2 입력 지원 방식에 따른 키 입력 코드열을 생성하고(단계(514)), 상기 생성된 키 입력 코드열을 제2 무선 단말기로 전송한다(단계(515)).
상기와 같은 제2 입력 지원 방식의 채용은 마우스 또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는데, 제1 무선 단말기와 제2 무선 단말기가 네트워크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2 무선 단말기의 제2 입력 지원 방식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1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제1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제2 입력 지원 방식에 따른 문자 입력 신호를 입력 받아 제2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다시 도 6의 단계(614)에서 제2 무선 단말기로부터 제2 문자열 세트를 수신할 경우, 상기 수신한 제2 문자열 세트를 문자열 세트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제2 문자열 세트에 대응하는 제2 입력 지원 방식을 자신의 입력 체계로 적용한다.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문자 입력 신호를 입력 받고(단계(616)), 상기 문자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키 입력 코드열을 생성하여(단계(617)) 그에 대응하는 입력 문자열을 생성하고(단계(618)), 상기 입력 문자열을 통신 모듈을 통해 네트워크 접속된 상기 제2 무선 단말기로 전송한다. 여기서, 제1 무선 단말기는 상기 입력 문자열 대신 키 입력 코드열만을 제2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고, 제1 문자열 세트를 저장하고 있는 제2 무선 단말기가 상기 수신한 키 입력 코드열에 대응하는 입력 문자열을 상기 제1 문자열 세트를 참조하여 생성할 수도 있다(단계(319)). 상기 입력 문자열을 수신 또는 생성한 제2 무선 단말기는 상기 입력 문자열을 소정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고, 상기 입력 문자열에 대응한 제1 무선 단말기의 제어에 따라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동작의 수행으로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 장착되어 있는 입력 장 치를 네트워크 연결된 기기의 입력 장치로 활용할 수 있어, 각종 기기로의 접근을 편리하게 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입력 장치의 표준화와 다양한 접근성을 제공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의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무선 단말기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제1 무선 단말기의 입력 장치를 다른 제2 무선 단말기의 입력 장치로 사용함으로써, 입력 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제2 무선 단말기에 별도의 입력 장치를 설치하지 않고도 제1 무선 단말기의 입력 장치를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무선 단말기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서로 다른 입력 체계를 갖고 있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기에 있어서, 서로의 입력 체계를 전송하여 자신의 입력 체계로 사용함으로써, 제2 무선 단말기가 수행하지 못하거나 추가하고 싶은 입력 방식을 제1 무선 단말기를 통하여 차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2)

  1.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무선 단말기에 있어서,
    제1 문자열 세트를 유지하는 문자열 세트 저장부;
    사용자로부터 문자 입력 신호를 입력 받기 위한 입력 장치;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문자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키 입력 코드열을 생성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모듈이 기록되고,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에 의해 생성된 키 입력 코드열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수단;
    상기 제1 문자열 세트를 참조하여, 상기 키 입력 코드열을 소정의 입력 문자열로 생성하기 위한 문자 생성부;
    하나 이상의 단말기와 네트워크 접속을 유지하고, 상기 제1 문자열 세트, 키 입력 코드열, 또는 입력 문자열을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기와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네트워크 접속된 제2 무선 단말기에 저장된 제2 입력 문자열 세트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키 입력 코드열 또는 입력 문자열의 전송, 상기 제1 문자열 세트의 전송, 또는 상기 제2 문자열 세트의 수신에 대한 결정을 판단하는 비교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무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는 소정의 신호를 입력 받는 키패드부, 터치 스크린, 마우스 또는 키보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무선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기와 무선 개인영역통신망(PAN: Personal Area Network) 또는 이동통신망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연결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무선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제어부는 상기 제2 문자열 세트의 제2 입력 지원 방식을 상기 제2 입력 문자열 세트의 제1 입력 지원 방식과 비교하고, 제2 입력 지원 방식을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무선 단말기.
  5. 무선 단말기의 입력 장치 공유 방법에 있어서,
    제1 문자열 세트를 유지하는 단계;
    네트워크 연결된 제2 무선 단말기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제2 무선 단말기가 검색된 경우, 상기 제2 무선 단말기와 네트워크 접속을 유지하는 단계;
    상기 제2 무선 단말기에 제2 문자열 세트의 저장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 문자열 세트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문자열 세트의 제1 입력 지원 방식과 제2 문자열세트의 제2 입력 지원 방식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입력 지원 방식이 동일한 경우, 사용자로부터 문자 입력 신호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문자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키 입력 코드열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키 입력 코드열에 대응하는 입력 문자열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키 입력 코드열 또는 입력 문자열을 상기 제2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입력 체계 공유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지원 방식이 다를 경우, 상기 네트워크 연결된 제2 무선 단말기의 제2 입력 지원 방식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제2 입력 지원 방식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입력 지원 방식에 대응하여 문자 입력 신호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문자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키 입력 코드열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키 입력 코드열을 상기 제2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입력 체계 공유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문자열 세트가 저장되어 있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문자열 세트를 상기 제2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문자 입력 신호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문자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키 입력 코드열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키 입력 코드열에 대응하는 입력 문자열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키 입력 코드열 또는 입력 문자열을 상기 제2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입력 체계 공유 방법.
  8.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무선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문자 입력 신호를 입력 받기 위한 입력 장치;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문자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키 입력 코드열을 생성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모듈이 기록되고,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에 의해 생성된 키 입력 코드열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수단;
    상기 키 입력 코드열을 소정의 입력 문자열로 생성하기 위한 문자 생성부;
    하나 이상의 단말기와 네트워크 접속을 유지하고, 상기 키 입력 코드열, 또는 입력 문자열을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기와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네트워크 접속된 제2 무선 단말기에 저장된 제2 입력 문 자열 세트의 저장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키 입력 코드열 또는 입력 문자열의 전송, 또는 상기 제2 문자열 세트의 수신에 대한 결정을 판단하는 비교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무선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제2 문자열 세트를 저장하기 위한 문자열 세트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무선 단말기.
  10. 무선 단말기의 입력 체계 공유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연결된 제2 무선 단말기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제2 무선 단말기가 검색된 경우, 상기 제2 무선 단말기와 네트워크 접속을 유지하는 단계;
    상기 제2 무선 단말기에 제2 문자열 세트의 저장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 문자열 세트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2 무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문자열 세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문자열 세트를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문자 입력 신호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문자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키 입력 코드열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키 입력 코드열에 대응하는 입력 문자열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키 입력 코드열 또는 입력 문자열을 상기 제2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입력 체계 공유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문자열 세트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연결된 제2 문자열 세트의 제2 입력 지원 방식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제2 입력 지원 방식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입력 지원 방식에 대응하여 문자 입력 신호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문자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키 입력 코드열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키 입력 코드열을 상기 제2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입력 체계 공유 방법.
  12. 제5항 내지 제7항, 제10항, 또는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40083099A 2004-10-18 2004-10-18 네트워크 연결된 타 무선 단말기와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무선 단말기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339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3099A KR20060033990A (ko) 2004-10-18 2004-10-18 네트워크 연결된 타 무선 단말기와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무선 단말기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3099A KR20060033990A (ko) 2004-10-18 2004-10-18 네트워크 연결된 타 무선 단말기와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무선 단말기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3990A true KR20060033990A (ko) 2006-04-21

Family

ID=37142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3099A KR20060033990A (ko) 2004-10-18 2004-10-18 네트워크 연결된 타 무선 단말기와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무선 단말기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399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666B1 (ko) * 2007-12-11 2010-03-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용자기기의 키패드를 이용한 외부 입력 방법 및 장치
WO2013073797A1 (ko) * 2011-11-16 2013-05-23 (주)모비언스 터치 스크린 장치용 키패드 장치 및 그 제공방법
US9798568B2 (en) 2014-12-29 2017-10-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sharing resource using a virtual device driver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666B1 (ko) * 2007-12-11 2010-03-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용자기기의 키패드를 이용한 외부 입력 방법 및 장치
WO2013073797A1 (ko) * 2011-11-16 2013-05-23 (주)모비언스 터치 스크린 장치용 키패드 장치 및 그 제공방법
US9798568B2 (en) 2014-12-29 2017-10-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sharing resource using a virtual device driver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98030B2 (en) Method and system for a networked self-configuring communication device utilizing user preference information
US20100174791A1 (en)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instant messenger
KR100496120B1 (ko) 인스턴트 메신저 기능을 갖는 인터넷 프로토콜 사설교환기 및 인터넷 단말기
CN101452376A (zh) 远程控制系统及管理方法
KR20080011581A (ko) 원격제어를 위한 중계 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원격제어방법
CN1921528A (zh) 家庭用具控制设备和方法
CN103220317B (zh) 便携式终端、远程支持方法及操作系统
CN103004186A (zh) 在计算机设备之间配置高清晰度视频电话的装置和方法
US20110235589A1 (en) Communication System for Voice-Over Internet Protocol Using License-Free Frequencies and a Mobile Telephone
US20210321248A1 (en) Method and system for a networked self-configuring communication device utilizing user preference information
JP2009176289A (ja)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サービス提供方法およびサービス提供プログラム
JP4642652B2 (ja) 無線制御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4800332B2 (ja)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サービス提供方法およびサービス提供プログラム
KR20060033990A (ko) 네트워크 연결된 타 무선 단말기와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무선 단말기 시스템 및 방법
JP2005244275A (ja) ゲートウェイ装置
KR101516414B1 (ko) 가변형 프로토콜을 이용한 멀티 네트워크 접속제어 시스템
KR20030075691A (ko) 복수개의 통신규격이 사용되는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및 그 동작방법
JP4515489B2 (ja) 情報管理装置及び情報管理方法
US20060271685A1 (en) Function initiation in a network device using a limited keypad
CN104683571A (zh) 一种智能移动设备的通用控制方法
KR100492543B1 (ko) 홈 네트워크 내의 디바이스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JP2008136053A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監視対象制御装置及び通信端末
KR101018275B1 (ko)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15452B1 (ko) 복수의 댁내 장치를 관리하는 사용자 단말, 관제 단말 및 대화 서버
KR100437045B1 (ko)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