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5452B1 - 복수의 댁내 장치를 관리하는 사용자 단말, 관제 단말 및 대화 서버 - Google Patents

복수의 댁내 장치를 관리하는 사용자 단말, 관제 단말 및 대화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5452B1
KR102115452B1 KR1020160103721A KR20160103721A KR102115452B1 KR 102115452 B1 KR102115452 B1 KR 102115452B1 KR 1020160103721 A KR1020160103721 A KR 1020160103721A KR 20160103721 A KR20160103721 A KR 20160103721A KR 102115452 B1 KR102115452 B1 KR 102115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terminal
user terminal
access point
contro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3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9403A (ko
Inventor
이송우
강상덕
문영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60103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5452B1/ko
Publication of KR20180019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9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5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5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04L67/1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04L51/046Interoperability with other network applications or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관제 단말과 연동하여 복수의 댁내 장치를 관리하는 사용자 단말은 상기 복수의 댁내 장치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댁내 장치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생성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이용 중인 통신망을 경유해 상기 제어 메시지를 상기 관제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이용 중인 통신망이 상기 관제 단말이 속해 있는 폐쇄망과 구별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액세스 포인트 이름(Access Point Name)을 상기 관제 단말의 액세스 포인트 이름으로 변경하는 변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변경된 액세스 포인트 이름을 통해 상기 관제 단말과의 통신을 시도한다.

Description

복수의 댁내 장치를 관리하는 사용자 단말, 관제 단말 및 대화 서버{USER DEVICE, CONTROL DEVICE AND COMMUNICATION SERVER FOR MANAGING MULTIPLE HOME DEVICES}
본 발명은 복수의 댁내 장치를 관리하는 사용자 단말, 관제 단말 및 대화 서버에 관한 것이다.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이란, 사물에 센서를 부착하여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인터넷으로 주고받는 기술이나 환경을 말한다. 사물인터넷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센서/상황 인지 기술, 통신/네트워크 기술, 칩 디바이스 기술, 경량 임베디드 네트워크 기술, 자율적/지능형 플랫폼 기술,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빅데이터 기술, 데이터마이닝 기술, 사용자 중심의 응용 서비스 기술, 웹 서비스 기술, 보안/프라이버시 보호 기술 등의 다양한 형태의 기술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사물인터넷 기술과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 10-1391729호는 사물인터넷 보안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최근의 사물인터넷 기술은 스마트 홈 서비스에 적용되어 사용자가 가정 내에서 직접 움직이거나 행동하지 않아도, 음성 명령 또는 스마트 폰의 조작으로 실내 기기를 컨트롤 할 수 있게 되었다. 이를 위해서는, 스마트 폰에 별도의 IoT 앱 또는 홈 모니터링 앱을 설치해야 하지만, 사용자의 스마트 폰의 운영체제에 따라 앱을 지원하지 않은 경우가 있어 사물인터넷이 적용된 스마트 홈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외부 공용망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이 폐쇄망에 위치한 관제 단말의 앱을 제어하거나, 또는 폐쇄망에 위치한 관제 단말과의 서비스 연동을 통해 복수의 댁내 장치를 관리하는 복수의 댁내 장치를 관리하는 사용자 단말, 관제 단말 및 대화 서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보안이 강화된 홈 제어 서비스 또는 홈 관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댁내 장치를 관리하는 사용자 단말, 관제 단말 및 대화 서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운영체제(OS)에 관계없이 홈 관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댁내 장치를 관리하는 사용자 단말, 관제 단말 및 대화 서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댁내 장치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댁내 장치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생성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이용 중인 통신망을 경유해 상기 제어 메시지를 상기 관제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이용 중인 통신망이 상기 관제 단말이 속해 있는 폐쇄망과 구별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액세스 포인트 이름(Access Point Name)을 상기 관제 단말의 액세스 포인트 이름으로 변경하는 변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변경된 액세스 포인트 이름을 통해 상기 관제 단말과의 통신을 시도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이 이용 중인 통신망을 경유하여 상기 복수의 댁내 장치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댁내 장치에 대한 제어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제어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댁내 장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변경된 액세스 포인트 이름(Access Point Name)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고, 상기 변경된 액세스 포인트 이름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관제 단말이 속해 있는 폐쇄망과 구별되는 외부의 공용망을 이용 중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상기 관제 단말의 액세스 포인트 이름으로 변경된 것인 관제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복수의 댁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댁내 장치에 대한 제어 메시지를 상기 관제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기저장된 상기 관제 단말에 대한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메시지를 제어 명령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제어 명령을 상기 관제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이용 중인 통신망이 상기 관제 단말이 속해 있는 폐쇄망과 구별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액세스 포인트 이름(Access Point Name)이 상기 관제 단말의 액세스 포인트 이름으로 변경되고, 상기 변경된 액세스 포인트 이름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관제 단말 간의 통신이 수행되고, 상기 제어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생성되어 상기 변경된 액세스 포인트 이름을 통해 상기 관제 단말로 전송되고, 상기 선택된 댁내 장치는 상기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관제 단말에 의해 제어되는 것인 대화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외부 공용망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이 폐쇄망에 위치한 관제 단말의 앱을 제어하거나, 또는 폐쇄망에 위치한 관제 단말과의 서비스 연동을 통해 복수의 댁내 장치를 관리하는 복수의 댁내 장치를 관리하는 사용자 단말, 관제 단말 및 대화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보안이 강화된 홈 제어 서비스 또는 홈 관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댁내 장치를 관리하는 사용자 단말, 관제 단말 및 대화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운영체제(OS)에 관계없이 홈 관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댁내 장치를 관리하는 사용자 단말, 관제 단말 및 대화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댁내 장치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친구 리스트를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복수의 댁내 장치를 관리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제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제 단말에서 복수의 댁내 장치를 관리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 서버에서 복수의 댁내 장치를 관리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댁내 장치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의 변경된 액세스 포인트 이름에 기초하여 복수의 댁내 장치를 관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댁내 장치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의 액세스 포인트 이름의 변경 불가에 따른 복수의 댁내 장치를 관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댁내 장치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댁내 장치 관리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110), 관제 단말(120), 복수의 댁내 장치(130) 및 대화 서버(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110), 관제 단말(120), 복수의 댁내 장치(130) 및 대화 서버(140)은 댁내 장치 관리 시스템(1)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의 댁내 장치 관리 시스템(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10)은 관제 단말(120) 또는 대화 서버(140)와 동시에 또는 시간 간격을 두고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간에 정보교환이 가능한 연결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예는, 3G, 4G, 5G, Wi-Fi, 블루투스(Bluetooth),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사용자 단말(110)은 복수의 댁내 장치(130)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댁내 장치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으면,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메시지에 기초하여 복수의 댁내 장치(130)를 관리할 수 있다. 제어 명령은 예를 들어, 메시지 명령, 음성 명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이 음성 명령을 입력받은 경우, 음성 명령은 텍스트 메시지로 변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이 이용 중인 통신망이 관제 단말(120)이 속해 있는 폐쇄망과 구별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10)의 액세스 포인트 이름(Access Point Name 또는 Access Point Network)을 관제 단말(120)의 액세스 포인트 이름으로의 변경 가능 여부에 따라 복수의 댁내 장치(130)를 관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 단말(110)의 액세스 포인트 이름(Access Point Name)을 관제 단말(120)의 액세스 포인트 이름으로의 변경이 가능한 경우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사용자 단말(110)은 액세스 포인트 이름 변경 앱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 이름을 관제 단말(120)의 액세스 포인트 이름으로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단말(110)이 이용 중인 통신망이 관제 단말(120)이 속해 있는 폐쇄망과 구별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10)의 액세스 포인트 이름(Access Point Name)을 관제 단말(120)의 액세스 포인트 이름으로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액세스 포인트 이름이 변경되는 경우, 관제 단말(120)을 사용자 단말(110)에 저장된 친구 리스트에 등록하고, 친구 리스트 중 관제 단말(120)을 선택받고, 선택받은 관제 단말(120)을 초대하여 채팅방을 개설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10)은 변경된 액세스 포인트 이름을 통해 관제 단말(120)과의 통신을 시도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복수의 댁내 장치(130)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댁내 장치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고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제어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단말(110)이 이용 중인 통신망을 경유하여 제어 메시지를 개설된 채팅방을 통해 관제 단말(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채팅방에 적어도 하나의 타사용자 단말(미도시)이 초대되어 있는 경우, 관제 단말(120)에 대한 기설정된 호출어를 추가하여 제어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 단말(110)의 액세스 포인트 이름(Access Point Name)을 관제 단말(120)의 액세스 포인트 이름으로의 변경이 불가능한 경우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사용자 단말(110)은 액세스 포인트 이름 변경 앱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 이름을 관제 단말(120)의 액세스 포인트 이름으로 변경하지 않거나, 액세스 포인트 이름 변경 앱이 설치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복수의 댁내 장치(130)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댁내 장치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고,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제어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생성된 제어 메시지를 대화 서버(14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단말(110)이 관제 단말(120)이 속해 있는 폐쇄망을 이용 중인 경우에도 복수의 댁내 장치(130)를 관리할 수 있다. 폐쇄망이란 인터넷이나 업무망으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된 것으로, 예를 들어, 댁내에 구비된 공유기를 통해 구축된 망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단말(110)이 관제 단말(120)이 속해 있는 폐쇄망을 이용 중인 경우, 액세스 포인트 이름(Access Point Name)을 변경하지 않고, 변경되지 않은 액세스 포인트 이름을 통해 관제 단말(120)과의 통신을 시도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복수의 댁내 장치(130)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댁내 장치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고,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제어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10)은 관제 단말(120)이 속해 있는 폐쇄망을 이용하여 제어 메시지를 관제 단말(120)로 전송할 수 있다.
관제 단말(120)은 제어 메시지 또는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복수의 댁내 장치(1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제 단말(120)은 폐쇄망(Private network) 환경으로 구축된 집, 회사, 상점 등에 설치되어 IoT(Internet Of Things) 제어 및 관제를 수행할 수 있는 단말이다. 관제 단말(120)은 음성 인식 기능을 구비한 단말로서,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음성 명령을 인식하여 복수의 댁내 장치(130)를 제어할 수도 있고, 댁내 복수의 사용자의 음성을 구별하여 처리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음성 질문에 음성으로 답변할 수도 있다.
또한, 관제 단말(120)은 복수의 댁내 장치(130)를 이용하여 댁내의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된 현재 상태에 기초하여 제어 메시지의 적절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이 이용 중인 통신망이 관제 단말(120)이 속해 있는 폐쇄망과 구별되는 경우, 관제 단말(120)은 사용자 단말(110)의 액세스 포인트 이름(Access Point Name)이 관제 단말(120)의 액세스 포인트 이름으로 변경된 경우에 복수의 댁내 장치(130)를 관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 단말(110)의 액세스 포인트 이름(Access Point Name)이 관제 단말(120)의 액세스 포인트 이름으로의 변경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관제 단말(120)은 사용자 단말(110)이 이용 중인 통신망을 경유하여 복수의 댁내 장치(130)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댁내 장치에 대한 제어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의 액세스 포인트 이름이 관제 단말(120)의 액세스 포인트 이름으로 변경된 경우, 사용자 단말(110)에 의해 친구 리스트 중 관제 단말(120)이 선택되고, 선택된 관제 단말(120)이 초대되어 채팅방이 개설되며, 관제 단말(120)은 개설된 채팅방을 통해 제어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관제 단말(110)은 수신된 제어 메시지를 대화 서버(140)로 전송할 수 있다. 관제 단말(110)은 대화 서버(140)에 저장된 관제 단말(120)에 대한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메시지로부터 변환된 제어 명령을 대화 서버(14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복수의 댁내 장치(1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 단말(110)의 액세스 포인트 이름(Access Point Name)이 관제 단말(120)의 액세스 포인트 이름으로 변경이 불가능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 경우는 사용자 단말(110)에 액세스 포인트 이름 변경 앱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관제 단말(120)은 제어 명령을 대화 서버(14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어 명령은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대화 서버(140)로 전송된 제어 메시지로부터 대화 서버(140)에 저장된 사용자 단말(110)에 대한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대화 서버(140)에 의해 변환된 것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관제 단말(120)은 사용자 단말(110)이 관제 단말(120)이 속해 있는 폐쇄망을 이용 중인 경우에도 복수의 댁내 장치(130)를 관리할 수 있다.
관제 단말(120)은 사용자 단말(110)이 관제 단말(120)이 속해 있는 폐쇄망을 이용 중인 경우, 액세스 포인트 이름의 변경 없이 사용자 단말(110)과 통신할 수 있다.
관제 단말(120)은 관제 단말(120)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외부 단말(미도시)이 폐쇄망으로 침입을 시도하는 경우, 외부 단말(미도시)의 침입 시도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제 단말(120)은 관제 단말(120)의 설치 시, 사용자 단말(110)의 ID(예를 들어, IMEI, Wi-Fi, MAC 주소 등)를 미리 등록할 수 있고, 등록된 ID에 기초하여 외부 단말(미도시)이 등록된 단말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복수의 댁내 장치(130)는 예를 들어, 세탁기, TV, 가스레인지 등과 같이 가정 내 구비된 가전 기기일 수 있다. 복수의 댁내 장치(130)는 관제 단말(120)로부터 수신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대화 서버(140)는 복수의 댁내 장치(130) 중 적어도 하나의 댁내 장치에 대한 제어 메시지를 관제 단말(120) 또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화 서버(140)는 사용자 단말(110)의 액세스 포인트 이름(Access Point Name)이 관제 단말(120)의 액세스 포인트 이름으로 변경된 경우, 제어 메시지를 관제 단말(1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대화 서버(140)는 기저장된 관제 단말(120)에 대한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메시지를 제어 명령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제어 명령을 관제 단말(120)로 전송할 수 있다. 대화 서버(140)는 관제 단말(120)과 매핑되어 저장된 복수의 댁내 장치(130) 및 사용자 단말(110)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대화 서버(140)는 사용자 단말(110)의 액세스 포인트 이름(Access Point Name)이 관제 단말(120)의 액세스 포인트 이름으로 변경될 수 없는 경우, 제어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대화 서버(140)는 기저장된 사용자 단말(110)에 대한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메시지를 제어 명령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제어 명령을 관제 단말(120)로 전송할 수 있다. 대화 서버(140)는 사용자 단말(110)과 매핑되어 저장된 복수의 댁내 장치(130) 및 관제 단말(120)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110), 관제 단말(120) 및 복수의 댁내 장치(130)은 서로 대응되어 있도록 매핑되어 대화 서버(14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입력부(210), 생성부(220), 전송부(230), 변경부(240), 등록부(250), 개설부(260) 및 수신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10)는 복수의 댁내 장치(130)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댁내 장치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제어 명령은 예를 들어, 메시지 명령, 음성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생성부(220)는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제어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부(220)는 음성 명령을 입력받은 경우, 생성부(220)는 입력된 음성 명령을 텍스트로 변환한 제어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성부(220)는 "7시에 불을 켜줘"와 같은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부(220)는 채팅방에 적어도 하나의 타사용자 단말(미도시)이 초대되어 있는 경우, 관제 단말(120)에 대한 기설정된 호출어를 추가하여 제어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기설정된 호출어는 예를 들어, @, #, $와 같은 특수 문자, 또는 관제 단말(120)에게 붙여진 이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제 단말(120)에 붙여진 이름이 '멀티박스'인 경우, 생성부(220)는 "멀티박스, 주방 가스밸브 잠겨 있는지 확인해줘"와 같은 제어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전송부(230)는 사용자 단말(110)이 이용 중인 통신망을 경유해 제어 메시지를 관제 단말(12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부(230)는 변경부(240)에서 사용자 단말(110)의 액세스 포인트 이름이 관제 단말(120)의 액세스 포인트 이름으로 변경된 경우, 변경된 액세스 포인트 이름을 통해 관제 단말(120)과의 통신을 시도할 수 있다. 이 때, 전송부(230)는 개설된 채팅방을 통해 제어 메시지를 관제 단말(12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송부(230)는 변경부(240)에서 사용자 단말(110)의 액세스 포인트 이름을 관제 단말(120)의 액세스 포인트로 변경할 수 없는 경우, 제어 메시지를 대화 서버(14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 메시지는 대화 서버(140)에 저장된 사용자 단말(110)에 대한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대화 서버(140)에 의해 제어 명령으로 변환되고, 제어 명령은 관제 단말(120)로 전달될 수 있다.
전송부(230)는 사용자 단말(110)이 관제 단말(120)이 속해 있는 폐쇄망을 이용 중인 경우, 변경되지 않은 액세스 포인트 이름을 통해 관제 단말(120)과의 통신을 시도할 수 있다.
변경부(240)는 사용자 단말(110)이 이용 중인 통신망이 관제 단말(120)이 속해 있는 폐쇄망과 구별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10)의 액세스 포인트 이름(Access Point Name)을 관제 단말(120)의 액세스 포인트 이름으로 변경할 수 있다.
변경부(240)는 사용자 단말(110)이 관제 단말(120)이 속해 있는 폐쇄망을 이용 중인 경우, 액세스 포인트 이름(Access Point Name)을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
등록부(250)는 사용자 단말(110)의 액세스 포인트 이름이 관제 단말(120)의 액세스 포인트 이름으로 변경되는 경우, 관제 단말(120)을 사용자 단말(110)에 저장된 친구 리스트에 등록할 수 있다.
개설부(260)는 친구 리스트 중 관제 단말(120)을 선택받고, 선택받은 관제 단말(120)을 초대하여 채팅방을 개설할 수 있다.
수신부(270)는 관제 단말(120)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외부 단말(미도시)이 폐쇄망으로 침입을 시도하는 경우, 외부 단말(미도시)의 침입 시도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관제 단말(1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친구 리스트를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단말(110)의 액세스 포인트 이름(Access Point Name)을 관제 단말(120)의 액세스 포인트 이름으로 변경한 경우, '멀티박스'(300)라는 이름의 관제 단말(120)을 사용자 단말(110)에 저장된 친구 리스트에 등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친구 리스트 중 '멀티박스'(300)를 선택받으면, '멀티박스'(300)를 초대하여 채팅방을 개설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복수의 댁내 장치를 관리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10)에 의해 수행되는 복수의 댁내 장치(130)를 관리하는 방법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댁내 장치 관리 시스템(1)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10)에 의해 수행되는 복수의 댁내 장치(130)를 관리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410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복수의 댁내 장치(130)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댁내 장치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단계 S420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제어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430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단말(110)이 이용 중인 통신망이 관제 단말(120)이 속해 있는 폐쇄망과 구별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10)의 액세스 포인트 이름(Access Point Name)을 관제 단말(120)의 액세스 포인트 이름으로 변경할 수 있다.
단계 S440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변경된 액세스 포인트 이름을 통해 제어 메시지를 관제 단말(12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사용자 단말(110)은 액세스 포인트 이름이 변경되는 경우, 관제 단말(120)을 사용자 단말(110)에 저장된 친구 리스트에 등록하는 단계, 친구 리스트 중 관제 단말(120)을 선택받고, 선택받은 관제 단말(120)을 초대하여 채팅방을 개설하는 단계 및 개설된 채팅방을 통해 제어 메시지를 관제 단말(120)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채팅방에 적어도 하나의 타사용자 단말이 초대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110)은 관제 단말(120)에 대한 기설정된 호출어를 추가하여 제어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사용자 단말(110)의 액세스 포인트 이름(Access Point Name)을 변경할 수 없는 경우, 사용자 단말(110)은 제어 메시지를 대화 서버(140)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단말(110)이 관제 단말(120)이 속해 있는 폐쇄망을 이용 중인 경우, 액세스 포인트 이름을 변경하지 않는 단계 및 변경되지 않은 액세스 포인트 이름을 통해 관제 단말(120)과의 통신을 시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사용자 단말(110)은 관제 단말(120)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외부 단말이 폐쇄망으로 침입을 시도하는 경우, 외부 단말의 침입 시도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관제 단말(120)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410 내지 S44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제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관제 단말(120)은 수신부(510), 제어부(520), 전송부(530) 및 모니터링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510)는 사용자 단말(110)이 이용 중인 통신망을 경유하여 복수의 댁내 장치(130)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댁내 장치에 대한 제어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수신부(510)는 사용자 단말(110)의 변경된 액세스 포인트 이름(Access Point Name)을 통해 사용자 단말(110)과 통신할 수 있다.
수신부(510)는 사용자 단말(110)에 의해 친구 리스트 중 관제 단말(120)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관제 단말(120)이 초대되어 채팅방이 개설되면, 개설된 채팅방을 통해 제어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수신부(510)는 대화 서버(140)에 저장된 관제 단말(120)에 대한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메시지로부터 변환된 제어 명령을 대화 서버(14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수신부(510)는 사용자 단말(110)의 액세스 포인트 이름(Access Point Name)이 관제 단말(120)의 액세스 포인트의 이름으로 변경될 수 없는 경우, 제어 명령을 대화 서버(14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어 명령은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대화 서버(140)로 전송된 제어 메시지로부터 대화 서버(140)에 저장된 사용자 단말(110)에 대한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대화 서버(140)에 의해 변환된 것일 수 있다.
수신부(510)는 사용자 단말(110)이 관제 단말(120)이 속해 있는 폐쇄망을 이용 중인 경우, 액세스 포인트 이름의 변경 없이 사용자 단말(110)과 통신할 수 있다.
제어부(520)는 제어 메시지에 기초하여 복수의 댁내 장치(1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20)는 제어 메시지로부터 변환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복수의 댁내 장치(1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20)는 댁내에서 모니터링된 현재 상태에 기초하여 제어 메시지의 적절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부(540)에 의한 모니터링 결과로서 댁내에 아무도 없다고 판단된 경우, 제어부(520)는 '댁내의 전등을 OFF에서 ON으로 제어하라'는 제어 명령을 포함한 제어 메시지에 대해 부적절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부적절하다고 판단된 제어 메시지는 복수의 댁내 장치(130)의 제어를 위해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전송부(530)는 수신된 제어 메시지를 대화 서버(14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송부(530)는 관제 단말(120)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외부 단말(미도시)이 폐쇄망으로 침입을 시도하는 경우, 외부 단말(미도시)의 침입 시도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푸쉬 메시지 또는 SMS의 형태로 사용자 단말(1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전송부(530)는 관제 단말(120)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외부 단말(미도시)이 침입을 시도하는 경우, 타임 아웃(time out)을 발생시켜 존재하지 않는 IP를 이용하여 외부 단말(미도시)에게 응답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540)는 복수의 댁내 장치(130)를 이용하여 댁내의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현재 상태는 예를 들어, 집에 누군가 있는 경우, 또는 아무도 없는 경우, 누군가 TV를 보고 있는 경우, 누군가 전화를 하고 있는 경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제 단말에서 복수의 댁내 장치를 관리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관제 단말(120)에 의해 수행되는 복수의 댁내 장치(130)를 관리하는 방법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댁내 장치 관리 시스템(1)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관제 단말(120)에 의해 수행되는 복수의 댁내 장치(130)를 관리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610에서 관제 단말(120)은 사용자 단말(110)이 이용 중인 통신망을 경유하여 복수의 댁내 장치(130)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댁내 장치에 대한 제어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제 단말(120)은 사용자 단말(110)의 변경된 액세스 포인트 이름(Access Point Name)을 통해 사용자 단말(110)과 통신할 수 있다.
단계 S620에서 관제 단말(120)은 제어 메시지에 기초하여 복수의 댁내 장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관제 단말(120)은 사용자 단말(110)에 의해 친구 리스트 중 관제 단말(120)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관제 단말(120)이 초대되어 채팅방이 개설되고, 개설된 채팅방을 통해 제어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관제 단말(120)은 수신된 제어 메시지를 대화 서버(140)로 전송하는 단계, 대화 서버(140)에 저장된 관제 단말(120)에 대한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메시지로부터 변환된 제어 명령을 대화 서버(140)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복수의 댁내 장치(1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사용자 단말(110)에서 액세스 포인트 이름(Access Point Name)을 변경될 수 없는 경우, 관제 단말(120)은 제어 명령을 대화 서버(140)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사용자 단말(110)이 관제 단말(120)이 속해 있는 폐쇄망을 이용 중인 경우, 관제 단말(120)은 액세스 포인트 이름의 변경 없이 사용자 단말(110)과 통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관제 단말(120)은 관제 단말(120)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외부 단말이 폐쇄망으로 침입을 시도하는 경우, 외부 단말의 침입 시도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관제 단말(120)은 복수의 댁내 장치(130)를 이용하여 댁내의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모니터링된 현재 상태에 기초하여 제어 메시지의 적절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610 내지 S62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대화 서버(140)는 수신부(710), 변환부(720) 및 전송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710)는 사용자 단말(110)의 액세스 포인트 이름(Access Point Name)이 관제 단말(120)의 액세스 포인트 이름으로 변경된 경우, 복수의 댁내 장치(130) 중 적어도 하나의 댁내 장치에 대한 제어 메시지를 관제 단말(1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수신부(720)는 사용자 단말(110)의 액세스 포인트 이름이 관제 단말(120)의 액세스 포인트 이름으로 변경될 수 없는 경우, 복수의 댁내 장치(130) 중 적어도 하나의 댁내 장치에 대한 제어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변환부(720)는 사용자 단말(110)의 액세스 포인트 이름(Access Point Name)이 관제 단말(120)의 액세스 포인트 이름으로 변경된 경우, 기저장된 관제 단말(120)에 대한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메시지를 제어 명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환부(720)는 관제 단말(120)과 매핑되어 저장된 복수의 댁내 장치(130) 및 사용자 단말(110)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관제 단말(120)은 변환부(720)에 대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관제 단말(120)은 대화 서버(140)로 제어 메시지의 전송 없이 제어 메시지를 제어 명령으로 변환시키는 기능을 직접 수행할 수 있다.
변환부(720)는 사용자 단말(110)의 액세스 포인트 이름이 관제 단말(120)의 액세스 포인트 이름으로 변경될 수 없는 경우, 기저장된 사용자 단말(110)에 대한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메시지를 제어 명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환부(720)는 사용자 단말(110)과 매핑되어 저장된 복수의 댁내 장치(130) 및 관제 단말(120)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전송부(730)는 제어 명령을 관제 단말(12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 서버에서 복수의 댁내 장치를 관리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대화 서버(140)에 의해 수행되는 복수의 댁내 장치(120)를 관리하는 방법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댁내 장치 관리 시스템(1)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대화 서버(140)에 의해 수행되는 복수의 댁내 장치(120)를 관리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810에서 대화 서버(140)는 복수의 댁내 장치(130) 중 적어도 하나의 댁내 장치에 대한 제어 메시지를 관제 단말(1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820에서 대화 서버(140)는 기저장된 관제 단말(120)에 대한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메시지를 제어 명령으로 변환할 수 있다.
단계 S830에서 대화 서버(140)는 제어 명령을 관제 단말(120)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대화 서버(140)는 사용자 단말(110)에서 액세스 포인트 이름(Access Point Name)이 변경될 수 없는 경우, 대화 서버(140)는 제어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기저장된 사용자 단말(110)에 대한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메시지를 제어 명령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화 서버(140)는 사용자 단말(110)과 매핑되어 저장된 복수의 댁내 장치(130) 및 관제 단말(120)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대화 서버(140)는 관제 단말(120)과 매핑되어 저장된 복수의 댁내 장치(130) 및 사용자 단말(110)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810 내지 S83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댁내 장치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의 변경된 액세스 포인트 이름에 기초하여 복수의 댁내 장치를 관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댁내 장치 관리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110), 관제 단말(120), 복수의 댁내 장치(130) 및 대화 서버(14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단말(110)이 이용 중인 통신망이 관제 단말(120)이 속해 있는 폐쇄망과 구별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10)의 액세스 포인트 이름(Access Point Name)을 관제 단말(120)의 액세스 포인트 이름으로 변경할 수 있다(S901). 사용자 단말(110)은 변경된 액세스 포인트 이름을 통해 관제 단말(120)과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S902).
사용자 단말(110)은 액세스 포인트 이름이 변경되는 경우, 관제 단말(120)을 사용자 단말(110)에 저장된 친구 리스트에 등록하고(S903), 친구 리스트 중 관제 단말(120)을 선택받고, 선택받은 관제 단말(120)을 초대하여 채팅방을 개설할 수 있다(S904).
사용자 단말(110)은 복수의 댁내 장치(130)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댁내 장치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고(S905),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제어 메시지를 생성한 후(S906), 개설된 채팅방을 통해 제어 메시지를 관제 단말(120)로 전송할 수 있다(S907).
관제 단말(120)은 제어 메시지를 대화 서버(140)로 전달할 수 있다(S908).
대화 서버(140)는 기저장된 관제 단말(120)에 대한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메시지를 제어 명령으로 변환하고(S909), 제어 명령을 관제 단말(120)로 전송할 수 있다(S910).
관제 단말(120)은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복수의 댁내 장치(1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댁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S911).
복수의 댁내 장치(130)는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S912).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901 내지 S912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댁내 장치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의 액세스 포인트 이름의 변경 불가에 따른 복수의 댁내 장치를 관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댁내 장치 관리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110), 관제 단말(120), 복수의 댁내 장치(130) 및 대화 서버(14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단말(110)에 액세스 포인트 이름(Access Point Name) 변경 앱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S1001), 사용자 단말(110)의 액세스 포인트 이름을 관제 단말(120)의 액세스 포인트 이름으로 변경할 수 없다(S1002). 이 때, 사용자 단말(110)이 이용 중인 통신망은 관제 단말(120)이 속해 있는 폐쇄망과 구별된 것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복수의 댁내 장치(130)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댁내 장치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고(S1003),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제어 메시지를 생성한 후(S1004), 제어 메시지를 대화 서버(140)로 전송할 수 있다(S1005). 이 때, 대화 서버(140)는 사용자 단말(110)과 매핑되어 저장된 복수의 댁내 장치(130) 및 관지 단말(120)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대화 서버(140)는 대화 서버(140)에 저장된 사용자 단말(110)에 대한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메시지를 제어 명령으로 변환하고(S1006), 제어 명령을 관제 단말(120)로 전송할 수 있다(S1007).
관제 단말(120)은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복수의 댁내 장치(1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댁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S1008).
복수의 댁내 장치(130)는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S1009).
도 1 내지 도 10을 통해 설명된 사용자 단말, 관제 단말 및 대화 서버에서 복수의 댁내 장치를 관리하는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10을 통해 설명된 사용자 단말, 관제 단말 및 대화 서버에서 복수의 댁내 장치를 관리하는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사용자 단말
120: 관제 단말
130: 복수의 댁내 장치
140: 대화 서버
210: 입력부
220: 생성부
230: 전송부
240: 변경부
250: 등록부
260: 개설부
270: 수신부
510: 수신부
520: 제어부
530: 전송부
540: 모니터링부
710: 수신부
720: 변환부
730: 전송부

Claims (19)

  1. 관제 단말과 연동하여 복수의 댁내 장치를 관리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댁내 장치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댁내 장치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생성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이용 중인 통신망을 경유해 상기 제어 메시지를 상기 관제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이용 중인 통신망이 상기 관제 단말이 속해 있는 폐쇄망과 구별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액세스 포인트 이름(Access Point Name)을 상기 관제 단말의 액세스 포인트 이름으로 변경하는 변경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변경된 액세스 포인트 이름을 통해 상기 관제 단말과의 통신을 시도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 이름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관제 단말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친구 리스트에 등록하는 등록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친구 리스트 중 상기 관제 단말을 선택받고, 상기 선택받은 관제 단말을 초대하여 채팅방을 개설하는 개설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개설된 채팅방을 통해 상기 제어 메시지를 상기 관제 단말로 전송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는 상기 채팅방에 적어도 하나의 타사용자 단말이 초대되어 있는 는 경우, 상기 관제 단말에 대한 기설정된 호출어를 추가하여 상기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부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 이름(Access Point Name)을 변경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전송부는 상기 제어 메시지를 대화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 메시지는 상기 대화 서버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화 서버에 의해 제어 명령으로 변환되고, 상기 제어 명령은 상기 관제 단말로 전달되는 것인, 사용자 단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관제 단말이 속해 있는 폐쇄망을 이용 중인 경우, 상기 액세스 포인트 이름(Access Point Name)을 변경하지 않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변경되지 않은 액세스 포인트 이름을 통해 상기 관제 단말과의 통신을 시도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단말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외부 단말이 상기 폐쇄망으로 침입을 시도하는 경우, 상기 외부 단말의 침입 시도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상기 관제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8. 복수의 댁내 장치를 관리하는 관제 단말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이 이용 중인 통신망을 경유하여 상기 복수의 댁내 장치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댁내 장치에 대한 제어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제어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댁내 장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변경된 액세스 포인트 이름(Access Point Name)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고,
    상기 변경된 액세스 포인트 이름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관제 단말이 속해 있는 폐쇄망과 구별되는 외부의 공용망을 이용 중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상기 관제 단말의 액세스 포인트 이름으로 변경된 것인, 관제 단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 이름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관제 단말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친구 리스트에 등록되는 것인, 관제 단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상기 친구 리스트 중 상기 관제 단말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관제 단말이 초대되어 채팅방이 개설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개설된 채팅방을 통해 상기 제어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것인, 관제 단말.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제어 메시지를 대화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대화 서버에 저장된 상기 관제 단말에 대한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메시지로부터 변환된 제어 명령을 상기 대화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댁내 장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것인, 관제 단말.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 이름(Access Point Name)이 변경될 수 없는 경우,
    상기 수신부는 제어 명령을 대화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어 명령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대화 서버로 전송된 제어 메시지로부터 상기 대화 서버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화 서버에 의해 변환된 것인, 관제 단말.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관제 단말이 속해 있는 폐쇄망을 이용 중인 경우, 상기 액세스 포인트 이름의 변경 없이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것인, 관제 단말.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단말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외부 단말이 상기 폐쇄망으로 침입을 시도하는 경우, 상기 외부 단말의 침입 시도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관제 단말.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댁내 장치를 이용하여 댁내의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니터링된 현재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메시지의 적절성 여부를 판단하는 것인, 관제 단말.
  16. 사용자 단말 및 관제 단말과 연동하여 복수의 댁내 장치를 관리하는 대화 서버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댁내 장치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댁내 장치에 대한 제어 메시지를 상기 관제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기저장된 상기 관제 단말에 대한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메시지를 제어 명령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제어 명령을 상기 관제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이용 중인 통신망이 상기 관제 단말이 속해 있는 폐쇄망과 구별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액세스 포인트 이름(Access Point Name)이 상기 관제 단말의 액세스 포인트 이름으로 변경되고, 상기 변경된 액세스 포인트 이름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관제 단말 간의 통신이 수행되고,
    상기 제어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생성되어 상기 변경된 액세스 포인트 이름을 통해 상기 관제 단말로 전송되고,
    상기 선택된 댁내 장치는 상기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관제 단말에 의해 제어되는 것인, 대화 서버.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 이름(Access Point Name)이 변경될 수 없는 경우,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어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변환부는 기저장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메시지로를 상기 제어 명령으로 변환하는 것인, 대화 서버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매핑되어 저장된 복수의 댁내 장치 및 상기 관제 단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것인, 대화 서버.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관제 단말과 매핑되어 저장된 복수의 댁내 장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것인, 대화 서버.
KR1020160103721A 2016-08-16 2016-08-16 복수의 댁내 장치를 관리하는 사용자 단말, 관제 단말 및 대화 서버 KR102115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721A KR102115452B1 (ko) 2016-08-16 2016-08-16 복수의 댁내 장치를 관리하는 사용자 단말, 관제 단말 및 대화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721A KR102115452B1 (ko) 2016-08-16 2016-08-16 복수의 댁내 장치를 관리하는 사용자 단말, 관제 단말 및 대화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9403A KR20180019403A (ko) 2018-02-26
KR102115452B1 true KR102115452B1 (ko) 2020-05-26

Family

ID=61531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3721A KR102115452B1 (ko) 2016-08-16 2016-08-16 복수의 댁내 장치를 관리하는 사용자 단말, 관제 단말 및 대화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5452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8509A (ko) * 2004-04-07 2005-10-12 주식회사 케이티 옥외의 중앙서버를 이용한 댁내정보기기 제어 방법
KR20120070488A (ko) * 2010-12-21 2012-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액세스 포인트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357669B1 (ko) * 2011-09-22 2014-02-03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위치 기반 네트워크 접속 시스템 및 방법
KR101515154B1 (ko) * 2013-08-30 2015-05-2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액세스포인트 판별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534476B1 (ko) * 2013-10-29 2015-07-07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비인가 액세스 포인트 탐지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9403A (ko) 2018-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17090B2 (en) Providing notifications of call-related services
EP2122922B1 (en) Remote control using instant messaging
US10256989B2 (en) Application method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smart home system
US9998543B2 (en) Remote monitoring of user appliances
WO2017058001A1 (en) A type of smart home management method based on instant messasing (im)
CN106371322A (zh) 智能家居控制方法、装置及系统
WO2017086772A1 (en) A smart home management device and humanized interaction method based on instant messaging (im)
KR20080011581A (ko) 원격제어를 위한 중계 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원격제어방법
JP2009542075A (ja) プレゼンス状態の決定のためのローカルネットワーク情報の利用
US2023021705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mplementing legacy remote and keystroke redirection
JP6944950B2 (ja) モノのインターネット(IoT)デバイスのグループのための連携サービス
CN103004186B (zh) 在计算机设备之间配置高清晰度视频电话的装置和方法
CN101667949A (zh) 家庭网络内的集中用户存在管理方法和设备
KR20090078719A (ko) 원격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UPnP 장치 및 그 방법
JP2016082419A (ja) 訪問者機器連携装置
Raj Implementation of pervasive computing based high-secure smart home system
US10204098B2 (en) Method and system to communicate between devices through natural language using instant messaging applications and interoperable public identifiers
US20090254671A1 (en) Remote control of a device by a terminal
KR102115452B1 (ko) 복수의 댁내 장치를 관리하는 사용자 단말, 관제 단말 및 대화 서버
KR20050079480A (ko) 홈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UPnP기반 RG 시스템
JP2005244275A (ja) ゲートウェイ装置
KR101629169B1 (ko) WebRTC와 서비스워커 기반의 홈네트워크시스템 및 방법
KR100824177B1 (ko) 사설 ip주소를 이용한 인터넷기반의 응용서비스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92543B1 (ko) 홈 네트워크 내의 디바이스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0879218B1 (ko)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실내기기 제어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