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6414B1 - 가변형 프로토콜을 이용한 멀티 네트워크 접속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변형 프로토콜을 이용한 멀티 네트워크 접속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6414B1
KR101516414B1 KR1020140014395A KR20140014395A KR101516414B1 KR 101516414 B1 KR101516414 B1 KR 101516414B1 KR 1020140014395 A KR1020140014395 A KR 1020140014395A KR 20140014395 A KR20140014395 A KR 20140014395A KR 101516414 B1 KR101516414 B1 KR 101516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ocol
communication network
communication
data
ident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4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진섭
Original Assignee
이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현 filed Critical 이지현
Priority to KR1020140014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64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6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6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8Multiprotocol handlers, e.g. single devices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가변형 프로토콜을 이용한 멀티 네트워크 접속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프로토콜을 이용한 멀티 네트워크 접속제어 시스템은, 음성신호 또는 텍스트신호에 대응되는 제1 입력코드를 선택하는 코드변환부, 상기 제1 입력코드에 매칭된 제1 통신망 식별자를 검색하는 식별자 관리부, 서로 다른 복수의 통신망에 대응되는 복수의 프로토콜 중 상기 제1 통신망 식별자에 대응되는 제1 프로토콜을 메인프로토콜로 결정하는 프로토콜 설정부,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된 제1 데이터를 상기 제1 프로토콜의 데이터포맷에 대응되는 제2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 및 상기 복수의 통신망 중 상기 제1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제1 통신망을 기초로 상기 제2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통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변형 프로토콜을 이용한 멀티 네트워크 접속제어 시스템 {SYSTEM FOR ACCESS MULTINETWORK USING VARIABLE PROTOCOL}
본 발명은 가변형 프로토콜을 이용한 멀티 네트워크 접속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동적으로 가변되는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통신규약을 가지는 서로 다른 다양한 통신망으로의 통합된 접근경로를 제공할 수 있는 접속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및 관련산업의 성장으로 인해, 전세계적으로 스마트폰이 급속도로 보급되고 있다. 스마트폰은 기존의 휴대전화 단말기가 제공하였던 통화기능 또는 간단한 메시지 서비스뿐 아니라, 사진촬영, 웹서핑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을 더 제공하여 정보화 시대의 필수품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종래의 모바일 단말기나 PC에서 인터넷 등과 같은 무선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웹 브라우저를 실행시킨 후 사용자가 입력정보를 전송하면 DNS서버를 우회하여 특정 웹페이지에 접속한다. DNS서버는 도메인 혹은 호스트 이름을 숫자로 된 IP 주소로 해석해 주는 TCP/IP 네트워크 서비스로서, 사람이 알 수 있는 문자를 컴퓨터가 알 수 있는 숫자(IP)로 바꾸어 주는 역할을 하는 서버이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에서 음성통화를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전화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단말기가 통화를 수행할 이동통신망을 선택하고, 선택된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회선이 연결된다.
프로토콜(protocol)은 정보기기 사이, 즉 컴퓨터간 또는 컴퓨터와 단말기 사이 등에서 정보교환이 필요한 경우, 이를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정한 여러 가지 통신규칙과 방법에 대한 약속 즉, 통신의 규약을 의미한다.
통신규약이라 함은 상호간의 접속이나 전달방식, 통신방식, 주고받을 자료의 형식, 오류검출방식, 코드변환방식, 전송속도 등에 대하여 정하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기종이 다른 컴퓨터는 통신규약도 다르기 때문에, 기종이 다른 컴퓨터간에 정보통신을 하려면 표준 프로토콜을 설정하여 각각 이를 채택하여 통신망을 구축해야 한다. 대표적인 표준 프로토콜은 인터넷에서 사용하고 있는 TCP/IP, 이동통신에서 사용하는 3G(WCDMA, HSDPA), 4G(LTE-advanced), 유선통신에서 사용하는 PSTN 등이 있다.
특히, 최근 급속도로 보급되고 있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스마트폰의 경우, 터치 스크린 상에 나타나는 가상 키보드를 통해 문자입력 등 조작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가상 키보드에 의한 입력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대안으로 음성입력이 대두되고 있으며, 음성인식을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의 단말기 또는 클라이언트 장치는 서로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는 있으나, 특정 통신망에 접속하고자 할 경우 해당 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프로그램을 실행해야된다.
더욱이, 특정 통신망 이용중 다른 통신규약이 설정된 이종 통신망으로 전환하는 경우에도, 각각의 통신망은 서로 다른 통신규약으로 통신을 수행하기 때문에 이종 통신망을 수행하기 위한 또 다른 프로그램을 반복하여 실행해야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종래의 음성인식 장치는 음성인식 후 실행될 수 있는 음성 및 명령의 종류가 제한적이었고, 동일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음성을 입력하더라도 주변환경이나 노이즈 등에 따라 상이한 결과가 도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위와 같은 문제점으로부터 안출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서로 다른 통신규약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접속 또는 전환시 요구되는 통신규약을 동적으로 가변하여 멀티 네트워크에 대한 전환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변형 프로토콜을 이용한 멀티 네트워크 접속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단말기에서 특정 네트워크에 대한 통신요청을 수신하면 해당 네트워크에 요구되는 통신규약을 감지하여 단말기가 해당 통신규약과 동기화되는 가변형 프로토콜을 이용한 멀티 네트워크 접속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음성 또는 텍스트에 대한 소정의 명령코드를 사전에 결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한번의 명령 입력만으로 원하는 네트워크 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는 가변형 프로토콜을 이용한 멀티 네트워크 접속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소정 코드에 대한 소유권을 사용자에게 부여하고, 소유권의 주체에 따라 코드에 대응되는 음성 또는 텍스트가 가변될 수 있는 가변형 프로토콜을 이용한 멀티 네트워크 접속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언급된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프로토콜을 이용한 멀티 네트워크 접속제어 시스템은, 음성신호 또는 텍스트신호에 대응되는 제1 입력코드를 선택하는 코드변환부, 상기 제1 입력코드에 매칭된 제1 통신망 식별자를 검색하는 식별자 관리부, 서로 다른 복수의 통신망에 대응되는 복수의 프로토콜 중 상기 제1 통신망 식별자에 대응되는 제1 프로토콜을 메인프로토콜로 결정하는 프로토콜 설정부,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된 제1 데이터를 상기 제1 프로토콜의 데이터포맷에 대응되는 제2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 및 상기 복수의 통신망 중 상기 제1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제1 통신망을 기초로 상기 제2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입력코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입력코드는 설정값, 언어 또는 상기 클라이언트의 위치정보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식별자 관리부는 제1 매칭요청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1 입력코드와 상기 제1 통신망 식별자를 사전에 매칭하여 관리하고, 상기 식별자관리부가 제2 매칭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 통신망 식별자는 제2 입력코드와 매칭될 수 있다.
상기 프로토콜 설정부는 제2 통신망 식별자를 수신하면 상기 제2 통신망 식별자에 대응되는 제2 프로토콜을 상기 메인프로토콜로 변경하고, 상기 데이터 통신부는 상기 제1 통신망에서 상기 제2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제2 통신망으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프로토콜 설정부는 제3 통신망으로부터 통신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통신요청신호에 포함된 제3 프로토콜을 상기 메인 프로토콜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통신망은 컴퓨터통신망, 이동통신망, 위성통신망, 무선랜통신망, 유선통신망, 내부통신망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프로토콜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저장된 응용프로그램과의 통신을 위한 내부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들을 가진다.
첫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형 프로토콜을 이용한 멀티 네트워크 접속제어 시스템은, 특정 통신망에서 요구되는 프로토콜을 동적으로 변경하여 설정하여 별도의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 없이도 해당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형 프로토콜을 이용한 멀티 네트워크 접속제어 시스템은 송신뿐만 아니라 수신시에도 수신된 네트워크에서 요구하는 프로토콜에 동적으로 대응하여 하나의 통신규약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듯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형 프로토콜을 이용한 멀티 네트워크 접속제어 시스템은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되거나 사용자의 설정을 기초로 소정 언어에 대한 음성 또는 문자의 대응되는 입력코드의 소유권을 부여할 수 있고, 소유권이 부여된 입력코드로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프로토콜을 이용한 멀티 네트워크 접속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 및 복수의 이종 네트워크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도 1의 시스템이 구현된 클라이언트 장치가 가변형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멀티 네트워크 통신을 실시하는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프로토콜은 다양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며, 컴퓨터 통신망의 프로토콜 예를 들어 TCP/IP 또는 이동통신 표준규약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더 확장되어 컴퓨터 통신망, 이동통신 통신망, 유선통신망, 위성통신망과 같은 다양한 외부망 뿐 아니라 폐쇄망과 같은 내부망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통신규약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자국어 기반 네트워크 접속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프로토콜을 이용한 멀티 네트워크 접속제어 시스템이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프로토콜을 이용한 멀티 네트워크 접속제어 시스템(100)은, 음성신호 또는 텍스트신호에 대응되는 제1 입력코드를 선택하는 코드변환부(10), 상기 제1 입력코드에 매칭된 제1 통신망 식별자를 검색하는 식별자 관리부(20), 서로 다른 복수의 통신망에 대응되는 복수의 프로토콜 중 상기 제1 통신망 식별자에 대응되는 제1 프로토콜을 메인프로토콜로 결정하는 프로토콜 설정부(30),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된 제1 데이터를 상기 제1 프로토콜의 데이터포맷에 대응되는 제2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40) 및 상기 복수의 통신망 중 상기 제1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제1 통신망을 기초로 상기 제2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통신부(50)를 포함한다.
코드변환부(10)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또는 문자를 음성신호 또는 텍스트신호로 변환하고, 음성신호 또는 텍스트신호에 대응되는 입력코드를 검색할 수 있다.
음성신호 또는 텍스트신호는 전기신호의 형태일 수 있으며, 입력코드는 2진수의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의 "나비"라는 음성신호는 10자리의 2진수가 조합된 형태인 입력코드에 대응될 수 있다.
입력코드에 대응되는 음성신호 또는 텍스트 신호의 종류는 클라이언트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매칭된 입력코드는 하나의 신호에만 대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음성신호 하나와 텍스트신호 하나를 포함하는 두 종류의 신호에 대응될 수도 있다.
식별자 관리부(20)는 코드변환부(10)로부터 검색된 입력코드에 미리 매칭된 통신망 식별자를 검색할 수 있다.
통신망 식별자는 서로 다른 복수의 통신망에 대응되는 복수의 프로토콜을 식별할 수 있는 데이터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토콜은 특정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쌍방의 통신규약이고, 각 통신망마다 요구되는 프로토콜이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서핑을 하기 위해서는 TCP/IP라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있으며, 전자메일을 주고받을 때는 SMTP, IMAP, 이동통신은 3G, 4G에 대응되는 표준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와 같은 표준 프로토콜 뿐만 아니라, 단말기의 특정 응용프로그램 예를 들어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를 실행하면, 해당 메신저는 독자적인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다른 프로토콜, 예를 들어 인터넷 프로토콜로는 해당 서비스에 접근할 수 없으며, 다만 해당 서비스에 대한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있는 별도의 프로그램을 제공받을 수는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 사용자는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요구하는 이종 통신망간 직접적인 접근방법이 제한되어 있으며, 이종 네트워크과 통신을 개시하기 위한 사전 절차들이 더 요구될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에서 프로토콜 설정부(30)는 복수의 프로토콜 중 사용자와 사전에 약속된 프로토콜을 호출하기 위한 통신망 식별자를 수신하면, 통신망 식별자와 사전에 매칭된 특정 프로토콜을 호출하여 이를 메인프로토콜로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는 한번의 음성 또는 텍스트 입력만으로 원하는 프로토콜을 호출할 수 있고, 특정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통신망으로의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데이터 변환부(40)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메인 프로토콜에서 요구하는 데이터 포멧으로 변환할 수 있다. 데이터 포멧은 예를 들어, 전달방식, 파일의 길이, 코드변환방식, 전송속도, 동기화 등에 대한 규약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데이터 통신부(50)는 메인프로토콜을 이용하는 통신망을 통하여 변환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의 시스템 및 복수의 이종 네트워크와의 구성이 도시된다.
본 명세서에서, 가변형 프로토콜을 이용한 멀티 네트워크 접속제어 시스템은 이를 구현하는 클라이언트의 단말기 또는 컴퓨터 장치와 같은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음성 또는 텍스트를 감지하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고, 서버(200)는 음성 또는 텍스트가 변환된 입력코드에 매칭된 통신망 식별자를 검색하여 이를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통신망 식별자에 포함된 프로토콜 정보를 기초로 통신에 사용할 프로토콜을 선택하여 메인 프로토콜로 설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통신망은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거나 일부는 같은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통신망(300_1)은 웹 브라우져, 제2 통신망(300_2)은 이동통신망, 제3 통신망(300_3)은 내부 통신망일 수 있다.
종래에 단말기(100)에서 인터넷을 실행하려면, 단말기(100)에 설치된 웹 브라우저 아이콘 등을 선택하여 인터넷 프로토콜을 호출하거나 음성모듈을 호출하여 "인터넷"등과 같은 음성을 입력하여 웹 브라우저에 접속하였다.
웹 브라우저가 실행중인 단말기(100)에서 음성통화를 수행하려면, 실행중인 웹페이지를 종료하거나 화면을 전환한 후, 다시 음성통화 모듈 또는 음성인식 모듈을 전화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호출하여야 했다.
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프로토콜을 이용한 멀티 네트워크 접속제어 시스템이 구현된 단말기(100)에서는, 본 시스템이 구현된 응용프로그램을 최초 1회 호출하면, 이후의 통신망 또는 프로토콜 전환은 음성신호 또는 텍스트신호만으로도 가능할 수 있다. 즉, 별도의 화면 또는 프로그램 전환과정 없이도 웹 페이지 검색중 다른 사용자와 인스턴트 메시지를 주고받거나 음성통화 등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인 프로토콜 변환과정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도 1의 시스템이 구현된 클라이언트 장치가 가변형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이종 네트워크간 통신을 실시하는 실시예들이 도시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서버(200)에서 통신망 식별자를 생성할 수 있다(S11). 통신망 식별자는 프로토콜을 구분하고, 각각의 통신망 식별자가에 특정 프로토콜을 검색하기 위한 고유의 식별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망 식별자는 특정 웹페이지에 대한 IP주소, 음성통화를 위한 특정 회선정보 또는 이동통신의 가입자 정보, 이메일 주소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통신망은 이동통신망, 위성통신망, 컴퓨터통신망, 무선랜통신망, 내부통신망 또는 유선통신망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신망 식별자를 생성하기 위해 서버(200)에 접속하는 주체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리자일 수 있다.
클라이언트가 클라이언트 장치(100)를 이용하여 서버(20)에 접속하여 특정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S12).
클라이언트 장치(100)는 클라이언트의 음성 또는 텍스트를 수신하고, 다양한 통신망과 연결될 수 있는 장치이며, 스마트폰, PC, 태블릿 등의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클라이언트, 즉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음성 또는 텍스트를 단말기의 특정 명령어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사"라는 음성을 단말기에서 인식하는 경우, 회사의 홈페이지로 바로 접속할 수 있고, "홍길동"이라는 음성에 대해서는 홍길동에게 바로 음성통화를 시도할 수 있다. 즉, 클라이언트의 요구에 대응하여 다양한 자연어를 특정 명령에 대응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200)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기초로 입력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S13). 입력코드는 사용자의 음성 또는 텍스트를 인식하여 호출되는 각각의 개별 코드값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를 위해 서버(200)는 사람이 발화할 수 있는 모든 자연어에 대응하여 입력코드를 생성할 수도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인식되는 음성은 클라이언트 장치(10) 또는 서버(200)의 위치에 대응하여 인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한국에 위치하는 경우 "더워"라는 음성은 덥다라는 뜻의 입력코드로 인식될 수 있는 반면, 미국에 위치한 사용자가 "더워"라는 음성을 발화하는 경우, 클라이언트 장치(10) 또는 서버(200)는 이를 "The war"에 대응되는 입력코드로 인식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의 음성 또는 텍스트에 대응되는 입력코드가 생성되면(S13), 서버(200)는 입력코드와 통신망 식별자를 매칭할 수 있다(S14).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의 "청와대"라는 음성을 인식하면, 이에 대응하는 입력코드가 생성되거나 음성신호가 입력코드로 변환될 수 있으며, "청와대"라는 의미의 입력코드는 청와대 웹페이지의 IP주소를 가지는 통신망 식별자와 매칭될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입력코드와 통신망 식별자는 1:1로 대응되거나 N:1로 대응될 수 있으며, N는 자연수일 수 있다. 즉, 하나의 입력코드는 하나의 통신망 식별자를 실행할 수 있되, 하나의 통신망 식별자는 복수의 입력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기업의 특정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동작 명령은 A기업 이라는 보이스 코드에만 대응되거나 A기업, A기업 B부서, A기업 취직 등과 같은 복수의 입력코드가 동일한 통신망 식별자에 매칭될 수도 있다.
매칭된 입력코드와 통신망 식별자는 서버(200)에 저장될 수 있으며(S15), 통신망 식별자와 매칭된 입력코드는 해당 클라이언트 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다(S16).
관리자는 저장된 입력코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판매하여 특정 입력코드에 대한 소유권을 부여할 수 있고, 입력코드와 통신망 식별자를 미리 설정하여 제공하거나 사용자가 입력코드와 동작명령을 각각 선택할 수도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관리자는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서버(200)에 저장된 입력코드의 사용권한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입력코드를 제1 사용자가 관리자로부터 구매하는 경우, 관리자는 특정 입력코드의 사용권한을 제1 사용자에게만 부여할 수 있다. 또는 소유권을 가진 제1 사용자가 설정한 입력코드를 차용할 수 있다. 이때, 특정 음성 코드를 다른 사용자가 이용하려고 해도 입력코드가 활성화되지 않을 수 있거나 제1 사용자 이외에는 입력코드에 대응되는 음성신호 또는 텍스트신호의 변경이 불가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국어 기반 네트워크 접속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이 도시된다.
먼저, 사용자의 음성 또는 텍스트를 인식하여 입력신호로 출력하는 단계(S21)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 장치(100), 예를 들어 사용자의 휴대전화나 각종 스마트 기기 또는 컴퓨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음성을 인식하는 방법은 클라이언트 장치에 내장되어 있는 기본 프로그램 또는 부가적으로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음성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가 배포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내려받은 후 이를 활성화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음성을 발화하거나 텍스트를 입력하는 방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다양한 응용기법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입력신호를 입력코드로 변환하는 단계(S22)를 수행할 수 있다. S12의 단계는 클라이언트 장치(100) 또는 서버(200)에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이를 클라이언트 장치(10)에 설치된 응용프로그램 등에서 분석할 수도 있고, 인식된 음성파일을 서버에 전송하여 서버측에서 음성분석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음성 또는 텍스트는 자국어를 기반으로 입력코드로 변환될 수 있다.
서버(200)에서 입력코드를 수신하면(S23), 서버(200)에 저장된 입력코드 및 통신망 식별자를 기초로 수신된 입력코드에 매칭된 통신망 식별자를 검색할 수 있고(S24), 검색된 결과, 즉 검색된 통신망 식별자를 클라이언트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S25).
클라이언트 장치(100)는 수신된 통신망 식별자를 기초로 특정 프로토콜을 메인 프로토콜로 결정할 수 있다(S26).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망 식별자는 클라이언트 장치(100)가 접속할 수 있는 복수의 통신망, 예를 들어 이동통신망, 유선통신망, 위성통신망, 컴퓨터통신망, 무선랜통신망들 중에서 메인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통신망(300)을 결정할 수 있고, 이는 통신망 식별자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망 식별자가 특정 웹페이지의 IP주소일 경우, 클라이언트 장치(10)는 서버로부터 IP주소를 직접 할당받을 수 있으므로, 기존의 DNS서버를 우회하지 않더라도 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음성 또는 텍스트 입력하면 미리 약속된 입력코드 및 통신망 식별자를 기초로 곧바로 원하는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다.
메인 프로토콜이 결정되면, 메인 프로토콜의 데이터 포맷에 부합하도록 데이터를 변환할 수 있다(S27). 전술한 바와 같이, 각 프로토콜은 통신에 필요한 데이터 규격, 통신속도, 방법 등이 각기 상이하므로, 특정 프로토콜을 요구하는 통신망(300)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를 전처리하는 단계(S27)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메인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통신망(300)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S28)를 수행할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클라이언트 장치(100)는 제1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제1 통신망과 통신중 제2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현재 통신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제1 프로토콜이고, 사용할 제2 통신망이 제2 프로토콜을 요구하는 경우, 제1 프로토콜에서 제2 프로토콜로 메인프로콜을 변경해야될 필요가 있다.
즉, 클라이언트로부터 다른 음성신호 또는 텍스트신호가 생성되면, 코드변환부는 이에 대한 제2 입력코드를 선택하고, 서버(200)에 포함될 수 있는 식별자 관리부는 제2 입력코드와 사전에 매칭된 제2 통신망 식별자를 검색하여 클라이언트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토콜 설정부가 제2 통신망 식별자를 수신하면, 제2 통신망 식별자에 대응되는 제2 프로토콜을 메인 프로토콜로 변경하고, 데이터 통신부는 제1 통신망에서 제2 통신망으로 네트워크를 전환할 수 있다.
한편, 제2 통신망으로 전환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중, 다른 사용자 또는 서버로부터 제3 통신망으로 통신을 개시하고자 하는 요청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장치(100)는 수신된 요청신호가 어떤 통신망으로부터 전송되었는지 알아야 그에 따른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프로토콜 설정부는 요청신호에 포함된 프로토콜 정보를 기초로 제3 프로토콜을 메인프로토콜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부가적인 화면전환이나 프로그램 실행 없이, 음성 또는 텍스트만으로 이종 네트워크간 접속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코드변환부
20: 식별자 관리부
30: 프로토콜 설정부
40: 데이터 변환부
50: 데이터 통신부
200: 서버
300: 통신망

Claims (7)

  1. 음성신호 또는 텍스트신호에 대응되는 제1 입력코드를 선택하는 코드변환부; 와,
    상기 제1 입력코드에 매칭된 제1 통신망 식별자를 검색하는 식별자 관리부; 와,
    서로 다른 복수의 통신망에 대응되는 복수의 프로토콜 중 상기 제1 통신망 식별자에 대응되는 제1 프로토콜을 메인프로토콜로 결정하는 프로토콜 설정부; 를 포함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식별자 관리부는 상기 서버와 통신하는 제1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1 매칭요청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1 입력코드와 상기 제1 통신망 식별자를 저장하고,
    상기 서버와 통신하고, 상기 제1 클라이언트 장치와 다른 제2 클라이언트 장치는,
    상기 음성신호 또는 상기 텍스트신호를 입력하고, 소정의 제1 데이터를 상기 제1 프로토콜의 데이터포맷에 대응되는 제2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복수의 통신망 중 상기 제1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제1 통신망을 기초로 상기 제2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통신부를 포함하는, 가변형 프로토콜을 이용한 멀티 네트워크 접속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코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입력코드는 설정값, 언어 또는 상기 클라이언트의 위치정보에 따라 가변되는, 가변형 프로토콜을 이용한 멀티 네트워크 접속제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관리부가 제2 매칭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 통신망 식별자는 제2 입력코드와 매칭되는, 가변형 프로토콜을 이용한 멀티 네트워크 접속제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설정부는 제2 통신망 식별자를 수신하면 상기 제2 통신망 식별자에 대응되는 제2 프로토콜을 상기 메인프로토콜로 변경하고,
    상기 데이터 통신부는 상기 제1 통신망에서 상기 제2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제2 통신망으로 전환하는, 가변형 프로토콜을 이용한 멀티 네트워크 접속제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설정부는 제3 통신망으로부터 통신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통신요청신호에 포함된 제3 프로토콜을 상기 메인 프로토콜로 변경하는, 가변형 프로토콜을 이용한 멀티 네트워크 접속제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신망은 컴퓨터통신망, 이동통신망, 위성통신망, 무선랜통신망, 유선통신망, 내부통신망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가변형 프로토콜을 이용한 멀티 네트워크 접속제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프로토콜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저장된 응용프로그램과의 통신을 위한 내부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가변형 프로토콜을 이용한 멀티 네트워크 접속제어 시스템.
KR1020140014395A 2014-02-07 2014-02-07 가변형 프로토콜을 이용한 멀티 네트워크 접속제어 시스템 KR101516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4395A KR101516414B1 (ko) 2014-02-07 2014-02-07 가변형 프로토콜을 이용한 멀티 네트워크 접속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4395A KR101516414B1 (ko) 2014-02-07 2014-02-07 가변형 프로토콜을 이용한 멀티 네트워크 접속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6414B1 true KR101516414B1 (ko) 2015-05-11

Family

ID=53393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4395A KR101516414B1 (ko) 2014-02-07 2014-02-07 가변형 프로토콜을 이용한 멀티 네트워크 접속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641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53433A (zh) * 2016-12-20 2017-02-22 北京数码视讯科技股份有限公司 多信令协议互通方法及多信令转换设备
US10433201B2 (en) 2017-03-17 2019-10-0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acket in transport network
KR20200134554A (ko) * 2019-05-22 2020-12-02 주식회사 케이티 이종망 신호 변환기 및 이를 이용한 신호 전송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2720A (ko) * 2004-06-25 2005-12-2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음성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방법 및 시스템
KR100860970B1 (ko) * 2007-10-29 2008-09-30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이용한 이종의 무선통신망에 대한 종단간 보안 통신을 위한 단말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2720A (ko) * 2004-06-25 2005-12-2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음성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방법 및 시스템
KR100860970B1 (ko) * 2007-10-29 2008-09-30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스위칭 기능을 이용한 이종의 무선통신망에 대한 종단간 보안 통신을 위한 단말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53433A (zh) * 2016-12-20 2017-02-22 北京数码视讯科技股份有限公司 多信令协议互通方法及多信令转换设备
CN106453433B (zh) * 2016-12-20 2019-09-13 北京数码视讯科技股份有限公司 多信令协议互通方法及多信令转换设备
US10433201B2 (en) 2017-03-17 2019-10-0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acket in transport network
KR20200134554A (ko) * 2019-05-22 2020-12-02 주식회사 케이티 이종망 신호 변환기 및 이를 이용한 신호 전송 방법
KR102341242B1 (ko) * 2019-05-22 2021-12-17 주식회사 케이티 이종망 신호 변환기 및 이를 이용한 신호 전송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66483A1 (en) Method, interaction device, server, and system for speech recognition
US10165097B2 (en) Call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KR101922037B1 (ko) 페이지 조작 처리 방법 및 장치, 그리고 단말기
CN103997521A (zh) 一种基于路由器的文件操作方法、装置及路由器
CN107635027A (zh) 一种域名解析方法、介质、装置和计算设备
US20120093147A1 (en) Method for providing internet services to a telephone user
US20090279680A1 (e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routing of a phone call based on mutual contacts of a contact list
KR101516414B1 (ko) 가변형 프로토콜을 이용한 멀티 네트워크 접속제어 시스템
CN108205455B (zh) 应用的功能实现方法及装置、终端
US8301452B2 (en) Voice activated application service architecture and delivery
KR101605498B1 (ko) 국가별 외부 사이트 접속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US20060182242A1 (en) Method and device for obtaining data related to the presence and/or availability of a user
JP4809010B2 (ja) 情報検索システム
KR20150088532A (ko) 통화 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CN109218275B (zh) 应用交互方法及装置
WO2009106677A1 (e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automatically finding configuration settings for services
JP4733207B2 (ja) メッセージングサービスへの簡単化されたアクセス
JP5389867B2 (ja) 情報検索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834134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윙크서비스를 이용한 통화연결 방법 및그 시스템
KR20180128653A (ko) 대화 검색 방법, 대화 검색이 가능한 휴대형 단말 및 대화 관리 서버
KR100946666B1 (ko) 사용자기기의 키패드를 이용한 외부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1018275B1 (ko)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86763B1 (ko) 웹사이트 연결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80904B1 (ko)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 시스템
JP2005339149A (ja)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