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3665A - 배선용(配線用) 아웃렛 박스 - Google Patents

배선용(配線用) 아웃렛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3665A
KR20060033665A KR1020040082867A KR20040082867A KR20060033665A KR 20060033665 A KR20060033665 A KR 20060033665A KR 1020040082867 A KR1020040082867 A KR 1020040082867A KR 20040082867 A KR20040082867 A KR 20040082867A KR 20060033665 A KR20060033665 A KR 20060033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rebar
deformed
main body
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2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4385B1 (ko
Inventor
유인섭
Original Assignee
유인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인섭 filed Critical 유인섭
Priority to KR1020040082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4385B1/ko
Publication of KR20060033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3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4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4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02G3/083In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02G3/121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plain wa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4Fastening of cover or lid to 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선용 아웃렛 박스(配線用 outlet box)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는, 배선용 아웃렛 박스가 철근에 설치되는 때의 강제적 설치와, 그 설치된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거나 콘크리트를 다지는 압력 내지 충격에 따라 종래의 철근 걸이부는 부서지는 경우가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배선용 아웃렛 박스(配線用 outlet box)에 있어서,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별개(別個)로 형성된 일방의 철근 걸이부재와 타방의 철근 걸이부재의 한쌍으로써 이루어진 철근 걸이부가 본체부에 구비되고, 상기 일방의 철근 걸이부재는 철근 걸이 오목부가 형성된 철근 걸이편과, 이 철근 걸이편과 일체로 형성된 탄성 지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타방의 철근 걸이부재는 철근 걸이 오목부가 형성된 철근 걸림턱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철근 걸림턱부는 이형 철근 본체에 닿으며 상기 이형 철근 본체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형 철근 본체를 지지함이 가능하도록 하는 형상의 평판(平板)으로 형성되어 구비되고, 아울러 상기 철근 걸림턱부는 이형 철근의 마디에 걸림에 의하여 상기 이형 철근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철근 걸림턱부가 이동(移動)됨을 막을 수 있도록 하는 형상의 평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일방의 철근 걸이부재와 상기 타방의 철근 걸이부재의 한쌍으로 이루어진 철근 걸이부는, 상기 본체부의 외부 상측부의 우측과 좌측에 대칭되게 형성되어 구비되며, 아울러 상기 본체부의 외부 하측부의 우측과 좌측에 대칭되게 형성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아웃렛 박스이다. 다른 실시예로서는 이러한 구성에 더하여 체결선 걸림부가 구비된 구성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선용 아웃렛 박스가 콘크리트 벽체 설치용의 통상의 이형 철근(異形 鐵筋, 일명, 이형 봉강(異形 棒鋼))에 안정되게 설치되며, 그 설치된 후에도 그 안정된 설치가 유지됨이 가능하다.
배선용 아웃렛 박스, 철근 걸이부

Description

배선용(配線用) 아웃렛 박스{Outlet box for distribution of wires}
도면 1a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면 1b는 도면 1a의 분해 사시도,
도면 1c는 도면 1a에서의 본체부를 보인 사시도,
도면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본체부의 우측면도,
도면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본체부가 이형 철근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면 4a는 도면 3에서의 본체부의 좌측 상방의 상태도로서, 철근 걸림턱부의 측면부가 이에 상응하는, 우측의, 마디(이형 철근의 마디)에 닿아 있는 경우의 상태를 보인 확대 정면도,
도면 4b는 도면 3에서의 본체부의 좌측 상방의 상태도로서, 철근 걸림턱부의 측면부가 이에 상응하는, 좌측의, 마디(이형 철근의 마디)에 닿아 있는 경우의 상태를 보인 확대 정면도,
도면 5는 도면 3에서의 A-A'선의 확대 단면도이며, 아울러 도면 10에서의 A-A'선의 확대 단면도,
도면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본체부가 이형 철근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면 7a는 도면 6에서의 본체부의 좌측 상방의 상태도로서, 철근 걸림턱부의 측면부가 이에 상응하는, 우측의, 마디(이형 철근의 마디)에 닿아 있는 경우의 상태를 보인 확대 평면도,
도면 7b는 도면 6에서의 본체부의 좌측 상방의 상태도로서, 철근 걸림턱부의 측면부가 이에 상응하는, 좌측의, 마디(이형 철근의 마디)에 닿아 있는 경우의 상태를 보인 확대 평면도,
도면 8a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면 8b는 도면 8a의 분해 사시도,
도면 8c는 도면 8a에서의 본체부를 보인 사시도,
도면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본체부의 우측면도,
도면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본체부가 이형 철근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면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본체부가 이형 철근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이형 철근(異形 鐵筋)(일명, 이형 봉강(異形 俸鋼)), 1-1 : 이형 철근 본체(즉, 이형 철근(1)의 본체), 1-1-c : 이형 철근 본체의 원주, 1-2 : 이형 철근의 마디, 1-2-c : 이형 철근의 마디의 바깥쪽 원주,
2 : 배선용 아웃렛 박스,
10 : 본체부, 10-1 : 본체부의 외부 상측부, 10-1-a : 본체부의 외부 상측부 의 우측, 10-1-b : 본체부의 외부 상측부의 좌측, 10-2 : 본체부의 외부 하측부, 10-2-a : 본체부의 외부 하측부의 우측, 10-2-b : 본체부의 외부 하측부의 좌측,
11 : 허브, 12 : 중공부, 20 : 수직이동커버부, 30 : 탄성체 요철링부,
50 : 철근 걸이부, 51 : 일방의 철근 걸이부재,
51-1 : 철근 걸이편, 51-1-a : 철근 걸이 오목부, 51-1-a-c : 철근 걸이 오목부(51-1-a)의 원호,
51-2 : 탄성 지지부,
52 : 타방의 철근 걸이부재, 52-1 : 철근 걸림턱부, 52-1-a : 철근 걸이 오목부, 52-1-a-c : 철근 걸이 오목부(52-1-a)의 원호, 52-1-b : 철근 걸림턱부의 측면부,
60 : 체결선, 61 : 체결선 걸림부, 61-a : 체결선 설치용 오목부,
S : 공간부, t : 철근 걸림턱부(52-1)의 두께, W : 철근 걸림턱부(52-1)의 폭
본 발명은 배선용 아웃렛 박스(配線用 outlet box)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별개(別個)로 형성된 일방의 철근 걸이부재와 타방의 철근 걸이부재의 한쌍으로써 이루어진 철근 걸이부가 본체부에 구비되어, 배선용 아웃렛 박스가 콘크리트 벽체 설치용의 통상의 이형 철근(異形 鐵筋, 일명, 이형 봉 강(異形 棒鋼))에 안정되게 설치됨이 가능하도록 된 배선용 아웃렛 박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배선용 아웃렛 박스는, 종래의 철근 걸이부가 U자형(字形)으로서 일방의 철근 걸이부재와 타방의 철근 걸이부재가 일체로서 형성되었으며, 실용신안등록 제20-0276319호(고안의 명칭 "매입용 스위치 박스 2개용") 및, 실용신안등록 제20-0300937호(고안의 명칭 "옥내 배선용 접속함"), 실용신안등록 제20-0306554호(고안의 명칭 "옥내 배선용 접속함")에서는 상기 U자형의 철근 걸이부가 본체부에 형성된 구성이었고, 실용신안등록 제20-0333895호(고안의 명칭 "벽부용 아웃렛 박스")에서는 상기 U자형의 철근 걸이부가 커버부에 형성된 구성이었는데, 상기 U자형의 철근 걸이부는 모두, 철근에 배선용 아웃렛 박스를 설치하는 때에 철근을 강제적으로 상기 U자형의 철근 걸이부에 끼워 넣게 됨에 따라, 통상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배선용 아웃렛 박스의 상기 U자형 철근 걸이부는 그 재질인 통상의 합성수지재의 탄성 한계를 넘어서게 되는 경우가 많아 상기 U자형의 철근 걸이부가 부서지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였으며, 특히 재질인 합성수지재가 저가의 재질로서 탄성력이 약한 경우에는 더욱 그 파손율이 더욱 높은 문제점이 있었고, 더욱이 철근에 배선용 아웃렛 박스가 설치된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거나 콘크리트를 다지는 압력 내지 충격에 따라 상기 U자형의 철근 걸이부는 상기와 같이 그 재질인 통상의 합성수지재의 탄성 한계를 넘어서게 되는 경우가 많아 상기 U자형의 철근 걸이부가 부서져 철근에 설치된 배선용 아웃렛 박스가 심하게 기울어져 교체되어야 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배선용 아웃렛 박스에서는, 그 철근 걸이부는 그 일방의 철근 걸이부재가 본체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그 타방의 철근 걸이부재가 커버부 내지 수직이동커버부에 일체로 형성된 구성이었으며, 그 예로서, 본 발명의 출원인의 선출원 등록인 실용신안등록 제20-0296550호(고안의 명칭 "박스와 캡 일체형 철근 고리") 및, 실용신안등록 제20-0332759호(고안의 명칭 "탄성체 요철링 결합 아웃트렛 박스"), 실용신안등록 제20-0324412호(고안의 명칭 "요철형 커버 결합 콘센트 박스") 등이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철근에 배선용 아웃렛 박스가 설치된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거나 콘크리트를 다지는 압력 내지 충격에 따라 본체부와 커버부 내지 수직이동커버부의 서로 간의 체결이 부실하게 되는 경우에는 철근에 설치된 배선용 아웃렛 박스가 심하게 기울어져 교체되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배선용 아웃렛 박스(配線用 outlet box)에 있어서,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별개(別個)로 형성된 일방의 철근 걸이부재와 타방의 철근 걸이부재의 한쌍으로써 이루어진 철근 걸이부가 본체부에 구비되고,
상기 일방의 철근 걸이부재는 철근 걸이 오목부가 형성된 철근 걸이편과, 이 철근 걸이편과 일체로 형성된 탄성 지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타방의 철근 걸이부재는 철근 걸이 오목부가 형성된 철근 걸림턱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철근 걸림턱부는 이형 철근 본체에 닿으며 상기 이형 철근 본체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형 철근 본체를 지지함이 가능하도록 하는 형상의 평판(平板)으로 형성되어 구비되고,
아울러 상기 철근 걸림턱부는 이형 철근의 마디에 걸림에 의하여 상기 이형 철근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철근 걸림턱부가 이동(移動)됨을 막을 수 있도록 하는 형상의 평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일방의 철근 걸이부재과 상기 타방의 철근 걸이부재의 한쌍으로 이루어진 철근 걸이부는, 상기 본체부의 외부 상측부의 우측과 좌측에 대칭되게 형성되어 구비되며, 아울러 상기 본체부의 외부 하측부의 우측과 좌측에 대칭되게 형성되어 구비되어,
배선용 아웃렛 박스가 콘크리트 벽체 설치용의 통상의 이형 철근(異形 鐵筋, 일명, 이형 봉강(異形 棒鋼))에 안정되게 설치됨이 가능하고, 배선용 아웃렛 박스가 이형 철근에 설치된 후에도 콘크리트를 타설하거나 콘크리트를 다지는 압력 내지 충격에 따른 본체부와 커버부 내지 수직이동커버부의 서로 간의 체결의 부실의 유무에 관계 없이 배선용 아웃렛 박스가 이형 철근에 안정되게 설치되어 그 유지가 가능하도록 된 배선용 아웃렛 박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목적을 위한 구성에 더하여, 이형 철근에 체결되는 체결선이 걸려 설치됨이 가능하도록 하는 체결선 걸림부가 구비된 다른 실시예에서는, 배선용 아웃렛 박스가 이형 철근에 설치됨에서 상기 철근 걸이부에 이형 철근이 끼워져 설치됨에 더하여 상기 체결선에 의한 체결이 가능하므로 이형 철근 에 대한 본체부의 설치의 안정성이 극대화되어 배선용 아웃렛 박스가 이형 철근에 더욱 안정되게 설치되어 그 유지가 가능하도록 된 배선용 아웃렛 박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 그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은 도면 1a과, 도면 1b, 도면 1c 내지 도면 7a 및 도면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선, 전화선, TV 안테나 선 등, 전선 배관(電線 配管)의 설치를 위한 허브(11)가 구비되고 아울러 수직이동커버부(20)[본체부(10)에 대한 수직 이동의 커버부임]가 설치됨이 가능하도록 하는 중공부(12)가 구비된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상기 중공부(12)에 끼워져 설치되는 수직이동커버부(20)와, 상기 본체부(10)에 수직이동커버부(20)가 끼워져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10)와 상기 수직이동커버부(20) 사이의 소정의 간격을 탄성력으로 유지함이 가능하도록 하는 탄성체 요철링(凹凸 ring)부(30)로 이루어진 배선용 아웃렛 박스(配線用 outlet box)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를 통상의 이형 철근(異形 鐵筋, 일명, 이형 봉강(異形 棒鋼))(1)[이하, "이형 철근(1)"이라고 함]에 걸어 설치함이 가능하도록 된 철근 걸이부(50)가,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별개(別個)로 형성된 일방(一方)의 철근 걸이부재(部材, member)(51)와 타방(他方)의 철근 걸이부재(部材, member)(52)의 한쌍으로써 이루어져 상기 본체부(10)에 구비된다.
상기 소정의 간격은 상기 일방의 철근 걸이부재(51)와 상기 타방의 철근 걸이부재(52) 사이에, 상기 일방의 철근 걸이부재(51)가 이에 상응하는 이형 철근(1)에 의하여 재질인 통상의 합성수지재의 탄성력에 의한, 탄성 한계 내의, 변형이 탄성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이 변형된 상기 일방의 철근 걸이부재(51)가 상기 타방의 철근 걸이부재(52)에 서로 닿지 아니하는 정도의 간격이다. 상기 소정의 간격은, 상기 일방의 철근 걸이부재(51)의 철근 걸이편(51-1)의 철근 걸이 오목부(51-1-a)에 끼워지는 이형 철근(1)의 길이 방향[즉, 도면 3과, 도면 4a, 도면 4b, 도면 6, 도면 7a, 도면 7b에서의 좌우 방향임]에서, 도면 4a와 도면 4b에서의 표시 "I" 및, 도면 7a와 도면 7b에서의 표시 "I"로 표시된 간격이다. 상기 소정의 간격은, 상기 철근 걸이편(51-1)의 철근 걸이 오목부(51-1-a)에 끼워지는 이형 철근(1)의 길이 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즉, 도면 5에서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의 방향임]에서, 도면 5에서의 표시 "I'"로 표시된 간격이며, 상기 "I"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이 "I'"는 존재하지 아니하거나, 비교적 작은 크기로 존재하는 정도로 가능하다.
상기 일방의 철근 걸이부재(51)는 철근 걸이 오목부(51-1-a)가 형성된 철근 걸이편(51-1)과, 이 철근 걸이편(51-1)과 일체로 형성된 탄성 지지부(51-2)로 이루어지고,
상기 철근 걸이 오목부(51-1-a)는, "콘크리트 벽체 설치용으로서 마디(1-2)와 마디(1-2) 사이가 균일한 간격으로 마디(1-2)가 반복적으로 형성된 통상의" 이형 철근(1)[즉, "이형 봉강"]이 상기 철근 걸이 오목부(51-1-a)에 끼워져 걸림에서 상기 이형 철근(1)의 마디(1-2)의 바깥쪽 원주(圓周)(1-2-c)의 상응하는 부분이 상 기 철근 걸이 오목부(51-1-a)의 원호(圓弧)(51-1-a-c)에 내포되어 닿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철근 걸이편(51-1)은 상기 이형 철근(1)의 마디(1-2)와 이에 인접한 별개(別個)의 마디(1-2)가 함께 내포될 수 있는 정도의 소정의 폭(W)으로 형성되며, 아울러 상기 철근 걸이편(51-1)은 상기 철근 걸이 오목부(51-1-a)에 끼워져 걸리는 이형 철근(1)을 지지함이 가능하도록 하는 두께로 이루어진다.
상기 소정의 폭(W)은, 상기 이형 철근(1)의 마디(1-2)와 이에 인접한 별개(別個)의 마디(1-2)가 함께 내포되기에는 폭이 조금 부족하지만 거의 내포되는 정도의 폭(W) 내지, 상기 이형 철근(1)의 마디(1-2)와 이에 인접한 별개(別個)의 마디(1-2)가 함께 내포되고도 폭의 여유가 조금 남는 정도의 폭(W)으로 형성되는 소정의 폭(W)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서, 상기 소정의 폭(W)은 상기 마디(1-2)가 연속된 3개 내지 그 이상 갯수가 내포되는 정도의 폭도 가능하다.
상기 탄성 지지부(51-2)는, 이 탄성 지지부(51-2)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철근 걸이편(51-1)의 상기 철근 걸이 오목부(51-1-a)와 이에 대응하는 타방의 철근 걸이부재(52)의 철근 걸림턱부(52-1)의 철근 걸이 오목부(52-1-a)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부(S)에 상기 이형 철근(1)이 탄성적(彈性的)으로 끼워져 지지됨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타방의 철근 걸이부재(52)는 철근 걸이 오목부(52-1-a)가 형성된 철근 걸림턱부(52-1)로 이루어지고,
상기 철근 걸이 오목부(52-1-a)는 "상기 철근 걸이편(51-1)의 상기 철근 걸이 오목부(51-1-a)와 이에 대응하는 상기 타방의 철근 걸이부재(52)의 철근 걸림턱 부(52-1)의 철근 걸이 오목부(52-1-a)에 의하여 형성되는" 상기 공간부(S)에 상기 이형 철근(1)이 끼워져 걸림에서 이형 철근 본체(1-1)의 원주(圓周)(1-1-c)의 상응하는 부분이 상기 철근 걸이 오목부(52-1-a)의 원호(圓弧)(52-1-a-c)에 내포되어 닿을 수 있도록 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철근 걸림턱부(52-1)는, 상기 공간부(S)에 상기 이형 철근(1)이 끼워져 걸림에서, 상기 이형 철근 본체(1-1)에 닿으며 상기 이형 철근 본체(1-1)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즉, 도면 5에서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의 방향임]으로 이형 철근 본체(1-1)를 지지함이 가능하도록 하는 형상의 평판(平板)으로 형성되어 구비되고,
아울러 상기 철근 걸림턱부(52-1)는, 상기 공간부(S)에 상기 이형 철근(1)이 끼워져 걸림에서, 상기 철근 걸림턱부(52-1)의 측면부(52-1-b)가 이에 닿는 마디(1-2)[즉, 이형 철근(1)의 마디(1-2)]에 걸림에 의하여 상기 이형 철근 본체(1-1)의 길이 방향[즉, 도면 3과, 도면 4a, 도면 4b, 도면 6, 도면 7a, 도면 7b에서의 좌우 방향임]으로 상기 철근 걸림턱부(52-1)가 이동(移動)됨을 막을 수 있도록 하는 형상의 평판(平板)으로 형성된다.
상기 철근 걸림턱부(52-1)의 상기 평판의 두께는, 상기 평판이 상기 이형 철근(1)의 마디(1-2)와 이에 인접하는 별개의 마디(1-2) 사이에 끼워져 걸림이 가능하도록 하는 소정의 두께(t)이다.
상기 소정의 두께(t)는 상기 철근 걸림턱부(52-1)가, 이에 상응하는 이형 철근 본체(1-1)에 닿으며 그 이형 철근(1)의 마디(1-2)와 이에 인접하는 별개의 마디 (1-2) 사이에 끼워져 걸림에서, 마디(1-2)와 이에 인접하는 별개의 마디(1-2) 사이의 간격 보다 얇아서 마디(1-2)와 이에 인접하는 별개의 마디(1-2) 사이에 용이하게 끼워져 걸릴 수 있는 정도의 두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평판의 두께(t)는 철근 걸림턱부(52-1)가 상기 이형 철근 본체(1-1)에 닿아 이 이형 철근 본체(1-1)를 지지함이 가능하도록 하는 두께이다.
상기 철근 걸이편(51-1)의 입구부(51-1-e)와 상기 철근 걸림턱부(52-1)의 입구부(52-1-e)는, 이 입구부(51-1-e)(52-1-e) 사이를 통하여 상기 이형 철근(1)이 상기 공간부(S)에 끼워져 걸림이 가능하도록 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일방의 철근 걸이부재(51)와 상기 타방의 철근 걸이부재(52)의 한쌍으로 이루어진 철근 걸이부(50)는, 상기 본체부(10)의 외부 상측(上側)부(10-1)의 우측(10-1-a)과 좌측(10-1-b)에 대칭되게 형성되어 구비되며, 아울러 상기 본체부(10)의 외부 하측(下側)부(10-2)의 우측(10-2-a)과 좌측(10-2-b)에 대칭되게 형성되어 구비된 배선용 아웃렛 박스(配線用 outlet box)이다.
상기 실시예의 재질은 통상의 합성수지재가 바람직하다.
[이상의 실시예를,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라고 함]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서, 도면 8a와, 도면 8b와, 도면 8c 내지 도면 11과, 도면 4a와, 도면 4b와, 도면 5, 도면 7a, 도면 7b[다만, 도면 4a와, 도면 4b, 도면 7a, 도면 7b는 다른 실시예에 관하여는 체결선 걸림부(61)의 구성이 생략된 도면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 실시예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공간부(S)에 끼워지는 상기 이형 철근(1)에 체결되는 체결선(60)이 걸 려 설치됨이 가능하도록 하는 체결선 걸림부(61)가 상기 일방의 철근 걸이부재(51)의 상기 탄성 지지부(51-2)에 일체로서 형성되어 구비되고,
상기 체결선 걸림부(61)에는 상기 체결선(60)이 끼워져 걸려 설치됨이 가능하도록 하는 체결선 설치용 오목부(61-a)가 형성된 배선용 아웃렛 박스(配線用 outlet box)이다.
상기 체결선(締結線)(60)은 상기 본체부(10)가 이에 상응하는 상기 이형 철근(1)에 설치됨에서 그 설치의 체결을 지지함이 가능하도록 된 철사(鐵絲) 또는 나일론 줄 등의 통상의 체결선이다.
상기 구성의 본 발명의 상기 일 실시예의 작용은, 도면 1a과, 도면 1b, 도면 1c 내지 도면 7a와 도면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은, 상기 본체부(10)의 상기 중공부(12)에 끼워져 설치되는 수직이동커버부(20)는, 상기 탄성체 요철링부(30)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본체부(10)와 상기 수직이동커버부(20)는 그 서로 간의 소정의 간격이 적절히 탄성적으로 유지됨이 가능하다.
상기 본체부(10)를 통상의 이형 철근(1)에 걸어 설치함이 가능하도록 된 철근 걸이부(50)가,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별개(別個)로 형성된 일방(一方)의 철근 걸이부재(51)와 타방(他方)의 철근 걸이부재(52)의 한쌍으로써 이루어져 상기 본체부(10)에 구비되므로,
상기 소정의 간격[즉, 도면4a와 도면 4b에서의 표시 "I" 및, 도면 7a와 도면 7b에서의 표시 "I"로 표시된 간격, 도면 5에서의 표시 "I'"로 표시된 간격]의 존재에 의하여, 상기 공간부(S)에 상기 이형 철근(1)이 끼워짐에서 상기 철근 걸이편(51-1)과 상기 탄성 지지부(51-2)가 그 재질인 통상의 합성수지재의 탄성력의 탄성 한계 내에서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상기 일방의 철근 걸이부재(51)는 그 탄성 한계 내에서 탄성적으로 변형됨에서 상기 타방의 철근 걸이부재(52)와 서로 닿거나 부딪히는 경우가 없으므로, 상기 일방의 철근 걸이부재(51)와 상기 타방의 철근 걸이부재(52)는 서로 간섭되지 아니하여, 상기 이형 철근(1)에 배선용 아웃렛 박스를 설치함에서 상기 일방의 철근 걸이부재(51)의 상기 탄성 지지부(51-2)의 상기 탄성력의 작용이 용이하여 상기 이형 철근(1)에 대한 상기 철근 걸이부(50)의 설치됨이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일방의 철근 걸이부재(51)와 타방의 철근 걸이부재(52)의 한쌍으로 이루어진 철근 걸이부(50)가 상기 본체부(10)에 구비되므로, 상기 이형 철근(1)에 배선용 아웃렛 박스가 설치된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거나 콘크리트를 다지는 압력이나 충격은 상기 본체부(10)와 상기 수직이동커버부(20)의 서로 간의 어긋남 등 체결의 부실의 유무에 관계없이 상기 이형 철근(1)에 대한 상기 철근 걸이부(50)의 설치 상태는 안정적으로 유지됨이 가능하며, 더욱이, 상기 본체부(10)와 상기 수직이동커버부(20)의 서로 간의 간격은 상기 탄성체 요철링부(30)의 탄성력에 의한 적절한 소정의 간격이 탄성적으로 유지됨이 가능함에 따라 콘크리트를 타설하거나 콘크리트를 다지는 압력이나 충격은 거의 상쇄되어, 상기 이형 철근(1)에 대한 상기 철근 걸이부(50)의 설치 상태는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됨이 가능하다.
상기 일방의 철근 걸이부재(51)는 철근 걸이 오목부(51-1-a)가 형성된 철근 걸이편(51-1)과, 이 철근 걸이편(51-1)과 일체로 형성된 탄성 지지부(51-2)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이형 철근(1)에 상기 철근 걸이부(50)를 설치함에서 상기 이형 철근(1)이 상기 철근 걸이 오목부(51-1-a)와 상기 철근 걸이 오목부(52-1-a)에 의하여 형성되는 상기 공간부(S)에 끼워져 걸리기 위하여, 상기 철근 걸이편(51-1)은 그 재질인 통상의 합성수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그 탄성 한계 내에서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아울러 상기 탄성 지지부(51-2)도 그 재질인 통상의 합성수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그 탄성 한계 내에서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상기 철근 걸이편(51-1)의 입구부(51-1-e)와 상기 철근 걸림턱부(52-1)의 입구부(52-1-e)의 사이의 간격은, 도면 5의 화살 표시 P 방향으로 상기 철근 걸이편(51-1)의 입구부(51-1-e)가 도면 5 표시의 철근 걸이편(51-1')의 입구부(51-1-e')로 변형되며 아울러 상기 탄성 지지부(51-2)가 도면 5 표시의 탄성 지지부(51-2')로 변형되어, 상기 입구부(51-1-e)(52-1-e) 사이의 원래의 간격이 상기 입구부(51-1-e')(52-1-e) 사이의 간격으로 넓어져, 상기 입구부(51-1-e')(52-1-e)의 사이를 통하여 상기 이형 철근(1)이 상기 공간부(S)에 탄성적으로 끼워져 걸려 지지됨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이형 철근(1)이 상기 공간부(S)에 끼워지기 위하여 상기 철근 걸이편(51-1)과 상기 탄성 지지부(51-2)는 탄성에 따른 변형이 전체적으로 넓게 분산되므로, 상기 철근 걸이편(51-1)의 변형의 정도가 비교적 적어 그 안정성이 유지됨이 가능하다.
상기 이형 철근(1)이 상기 공간부(S)에 끼워져 걸린 후에는, 상기 철근 걸이편(51-1)과 상기 탄성 지지부(51-2)는 복원되어, 즉,
상기 철근 걸이편(51-1)의 입구부(51-1-e)와 상기 철근 걸림턱부(52-1)의 입구부(52-1-e)의 사이의 간격은, 도면 5의 화살 표시 Q 방향으로 도면 5 표시의 상기 철근 걸이편(51-1')의 입구부(51-1-e')가 상기 철근 걸이편(51-1)의 입구부(51-1-e)로 복원되며 아울러 도면 5 표시의 탄성 지지부(51-2')가 상기 탄성 지지부(51-2)로 복원되어, 상기 입구부(51-1-e')(52-1-e) 사이의 간격이 원래의 간격인 상기 입구부(51-1-e)(52-1-e) 사이의 간격으로 좁아져 복원되어, 상기 이형 철근(1)이 상기 공간부(S)에 끼워져 걸린 후에는 상기 이형 철근(1)이 상기 입구부(51-1-e)(52-1-e)를 통하여 이탈됨이 방지된다.
상기 철근 걸이 오목부(51-1-a)는 "콘크리트 벽체 설치용으로서 마디(1-2)와 마디(1-2) 사이가 균일한 간격으로 마디(1-2)가 반복적으로 형성된 통상의" 이형 철근(1)이 상기 철근 걸이 오목부(51-1-a)에 끼워져 걸림에서 상기 이형 철근(1)의 마디(1-2)의 바깥쪽 원주(圓周)(1-2-c)의 상응하는 부분이 상기 철근 걸이 오목부(51-1-a)의 원호(圓弧)(51-1-a-c)에 내포되어 닿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아울러 상기 철근 걸이편(51-1)은 상기 이형 철근(1)의 마디(1-2)와 이에 인접한 별개(別個)의 마디(1-2)가 함께 내포될 수 있는 정도의 소정의 폭(W)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이형 철근(1)은 상기 공간부(S)에 끼워져 걸림에서, 상기 철근 걸이 오목부(51-1-a)의 원호(51-1-a-c)에 상기 마디(1-2)의 바깥쪽 원주(1-2-c)의 상응하는 부분이 닿으며, 상기 소정의 폭(W)에 의하여, 그 마디(1-2)는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1개 이상, 대략 2개 정도가 상기 철근 걸이편(51-1)에 내포되므로, 상기 철근 걸이편(51-1)은 상기 이형 철근(1)을 안정적으로 지지함이 가능하다.
상기 탄성 지지부(51-2)는, 이 탄성 지지부(51-2)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철근 걸이편(51-1)의 상기 철근 걸이 오목부(51-1-a)와 이에 대응하는 타방의 철근 걸이부재(52)의 철근 걸림턱부(52-1)의 철근 걸이 오목부(52-1-a)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부(S)에 상기 이형 철근(1)이 탄성적(彈性的)으로 끼워져 지지됨이 가능하게, 상기 탄성 지지부(51-2)는 그 재질인 통상의 합성수지재에 의한 그 탄성 한계 내에서 그 탄성력(彈性力)이 바람직하게 작용함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지므로, 상기 탄성 지지부(51-2)는 상기 철근 걸이편(51-1)과 서로 일체로 이루어져 상기 일방의 철근 걸이부(51)를 전체적으로 탄성적으로 작용함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타방의 철근 걸이부재(52)는 철근 걸이 오목부(52-1-a)가 형성된 상기 평판(平板)의 형상으로 형성된 철근 걸림턱부(52-1)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이형 철근(1)이 상기 공간부(S)에 끼워져 걸림에서, 상기 철근 걸이 오목부(52-1-a)의 원호(52-1-a-c)에 상기 이형 철근 본체(1-1)의 원주(1-1-c)의 상응하는 부분이 닿으며, 상기 이형 철근 본체(1-1)는 상기 철근 걸림턱부(52-1)에 의하여 상기 이형 철근 본체(1-1)의 길이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지지되며, 아울러 상기 철근 걸이턱부(52-1)의 측면부(52-1-b)에 닿는 마디(1-2)에 의하여 상기 이형 철근 본체(1-1)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철근 걸림턱부(52-1)가 이동(移動)됨을 막을 수 있다.
즉, 도면 4a와 도면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철근 걸림턱부(52-1)는, 상기 공간부(S)에 상기 이형 철근(1)이 끼워져 걸림에서 상기 철근 걸림턱부(52-1)의 측면부(52-1-b)가 이에 닿는 경우의 우측의 마디(1-2)[즉, 이형 철근(1)의 마디(1-2)]에 걸림에 의하여 상기 이형 철근 본체(1-1)의 길이 방향으로 우측으로 상 기 철근 걸림턱부(52-1)가 이동(移動)됨을 막을 수 있으므로, 상기 공간부(S)에 상기 이형 철근(1)이 끼워져 걸린 후에는 안정적으로 그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다.
도면 4b와 도면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철근 걸림턱부(52-1)는, 상기 공간부(S)에 상기 이형 철근(1)이 끼워져 걸림에서 상기 철근 걸림턱부(52-1)의 측면부(52-1-b)가 이에 닿는 경우의 좌측의 마디(1-2)[즉, 이형 철근(1)의 마디(1-2)]에 걸림에 의하여 상기 이형 철근 본체(1-1)의 길이 방향으로 좌측으로 상기 철근 걸림턱부(52-1)가 이동(移動)됨을 막을 수 있으므로, 상기 공간부(S)에 상기 이형 철근(1)이 끼워져 걸린 후에는 안정적으로 그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다.
상기 철근 걸림턱부(52-1)의 상기 평판의 두께는, 상기 평판이 상기 이형 철근(1)의 마디(1-2)와 이에 인접하는 별개의 마디(1-2) 사이에 용이하게 끼워져 걸림이 가능하도록 하는 소정의 두께(t)이므로, 상기 철근 걸림턱부(52-1)는 용이하게 이에 상응하는 이형 철근 본체(1-1)에 닿으며 그 이형 철근(1)의 마디(1-2)와 이에 인접하는 별개의 마디(1-2) 사이에 끼워져 걸림이 가능하다.
상기 철근 걸림턱부(52-1)는 상기 이형 철근 본체(1-1)에 닿아 이 이형 철근 본체(1-1)를 지지함이 가능하도록 하는 두께이므로, 상기 안정적으로 그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다.
상기 철근 걸이편(51-1)의 입구부(51-1-e)와 상기 철근 걸림턱부(52-1)의 입구부(52-1-e)는, 이 입구부(51-1-e)(52-1-e)의 사이를 통하여 상기 이형 철근(1)이 상기 공간부(S)에 끼워져 걸림이 가능하도록 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이형 철근(1)은 상기 공간부(S)에 용이하게 끼워져 걸림이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상기 일방의 철근 걸이부재(51)와 상기 타방의 철근 걸이부재(52)의 한쌍으로 이루어진 철근 걸이부(50)는, 상기 본체부(10)의 외부 상측부(10-1)의 우측(10-1-a)과 좌측(10-1-b)에 대칭되게 형성되어 구비되므로,
상기 한쌍으로 이루어진 철근 걸이부(50)는 상기 대칭되게 형성된 구성에 의하여, 상기 본체부(10)의 상기 외부 상측부(10-1)의 우측(10-1-a)의 상기 일방의 철근 걸이부재(51)의 철근 걸이편(51-1) 및 탄성 지지부(51-2)와, 상기 본체부(10)의 상기 외부 상측부(10-1)의 좌측(10-1-b)의 상기 일방의 철근 걸이부재(51)의 철근 걸이편(51-1) 및 탄성 지지부(51-2)가 함께 이에 상응하는 이형 철근(1)의 마디(1-2)에 대하여 작용함이 가능하고, 아울러 이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부(10)의 상기 외부 상측부(10-1)의 우측(10-1-a)의 상기 타방의 철근 걸이부재(52)의 철근 걸림턱부(52-1)와, 상기 본체부(10)의 상기 외부 상측부(10-1)의 좌측(10-1-b)의 상기 타방의 철근 걸이부재(52)의 철근 걸림턱부(52-1)가 함께 이에 상응하는 이형 철근 본체(1-1)에 작용함이 가능하여, 상기 이형 철근(1)에 설치된 상기 본체부(10)의 상기 외부 상측부(10-1)의 우측(10-1-a)과 좌측(10-1-b)이 균형있게 그 설치의 안정성이 확보되어 유지됨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상기 일방의 철근 걸이부재(51)와 상기 타방의 철근 걸이부재(52)의 한쌍으로 이루어진 철근 걸이부(50)는, 상기 본체부(10)의 외부 하측부(10-2)의 우측(10-2-a)과 좌측(10-2-b)에 대칭되게 형성되어 구비되므로,
상기 한쌍으로 이루어진 철근 걸이부(50)는 상기 대칭되게 형성된 구성에 의하여, 상기 본체부(10)의 상기 외부 하측부(10-2)의 우측(10-2-a)의 상기 일방의 철근 걸이부재(51)의 철근 걸이편(51-1) 및 탄성 지지부(51-2)와, 상기 본체부(10)의 상기 외부 하측부(10-2)의 좌측(10-2-b)의 상기 일방의 철근 걸이부재(51)의 철근 걸이편(51-1) 및 탄성 지지부(51-2)가 함께 이에 상응하는 이형 철근(1)의 마디(1-2)에 대하여 작용함이 가능하고, 아울러 이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부(10)의 상기 외부 하측부(10-2)의 우측(10-2-a)의 상기 타방의 철근 걸이부재(52)의 철근 걸림턱부(52-1)와, 상기 본체부(10)의 상기 외부 하측부(10-2)의 좌측(10-2-b)의 상기 타방의 철근 걸이부재(52)의 철근 걸림턱부(52-1)가 함께 이에 상응하는 이형 철근 본체(1-1)에 작용함이 가능하여, 상기 이형 철근(1)에 설치된 상기 본체부(10)의 상기 외부 하측부(10-2)의 우측(10-2-a)과 좌측(10-2-b)이 균형있게 그 설치의 안정성이 확보되어 유지됨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이형 철근(1)에 설치된 상기 본체부(10)는 전체적으로 균형있게 그 안정성이 확보되어 유지됨이 가능하다.
[이상의 기재는 본 발명의 상기 일 실시예의 작용임]
본 발명의 상기 다른 실시예는, 도면 8a와, 도면 8b와, 도면 8c 내지 도면 11과, 도면 4a와, 도면 4b, 도면 5, 도면 7a, 도면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일 실시예의 작용에 더하여,
상기 공간부(S)에 끼워지는 상기 이형 철근(1)에 체결되는 체결선(60)이 걸려 설치됨이 가능하도록 하는 체결선 걸림부(61)가 상기 일방의 철근 걸이부재(51)의 상기 탄성 지지부(51-2)에 일체로서 형성되어 구비되므로,
상기 이형 철근(1)에 상기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설치된 상기 본체부(10)는 상기 체결선 걸림부(61)에 설치되는 상기 체결선(60)에 의하여 상기 이형 철근(1)에 더욱 안정적으로 설치되어 그 상태가 유지됨이 가능하다.
더욱이 체결선 걸림부(61)는 상기 탄성 지지부(51-2)에 일체로 형성되므로, 상기 체결선 걸림부(61)는 상기 체결선(60)이 가장 짧은 길이로 이에 상응하는 상기 이형 철근(1)에 체결됨이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 체결선(60)이 가장 짧은 길이의 구성이 가능하므로 상기 체결선(60)의 설치에 대한 작업 능률을 극대화함이 가능하고, 그 내구력이 커지게 된다.
또한 더욱이, 상기 체결선 걸림부(61)에는 상기 체결선(60)이 끼워져 걸려 설치됨이 가능하도록 하는 체결선 설치용 오목부(61-a)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선(60)은 안정적으로 상기 체결선 걸림부(61)에 걸려 설치됨이 가능하며, 상기 체결선(60)이 가장 짧게 구성됨에 더욱 효율적이므로, 상기 체결선(60)의 설치에 대한 작업 능률을 극대화함이 가능하고, 그 내구력이 커지게 된다.
상기 구성과 작용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일방의 철근 걸이부재에 의한 탄성력의 구비와, 상기 타방의 철근 걸이부재에 의한 상기 이형 철근 본체에 대한 상기 수직 방향의 지지 및, 상기 타방의 철근 걸이부재에 대한 상기 이형 철근의 상기 길이 방향에서의 마디의 걸림에 의하여,
배선용 아웃렛 박스가 콘크리트 벽체 설치용의 통상의 이형 철근에 안정되게 설치됨이 가능하고, 배선용 아웃렛 박스가 이형 철근에 설치된 후에도 콘크리트를 타설하거나 콘크리트를 다지는 압력 내지 충격에 따른 본체부와 커버부 내지 수직이동커버부의 서로 간의 체결의 부실의 유무에 관계 없이 배선용 아웃렛 박스가 이형 철근에 안정되게 설치되어 그 유지가 가능하다.
더욱이, 이형 철근에 체결되는 체결선이 걸려 설치됨이 가능하도록 하는 상기 체결선 걸림부가 구비된 다른 실시예에서는, 배선용 아웃렛 박스가 이형 철근에 설치됨에서, 상기 철근 걸이부에 이형 철근이 끼워져 설치됨에 더하여, 상기 체결선에 의한 효율적인 체결이 가능하므로 이형 철근에 대한 본체부의 설치의 안정성이 극대화되어 배선용 아웃렛 박스가 이형 철근에 더욱 안정되게 설치되어 그 유지가 가능하다.

Claims (2)

  1. 전선 배관의 설치를 위한 허브(11)가 구비되고 아울러 수직이동커버부(20)가 설치됨이 가능하도록 하는 중공부(12)가 구비된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상기 중공부(12)에 끼워져 설치되는 수직이동커버부(20)와, 상기 본체부(10)에 수직이동커버부(20)가 끼워져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10)와 상기 수직이동커버부(20) 사이의 소정의 간격을 탄성력으로 유지함이 가능하도록 하는 탄성체 요철링부(30)로 이루어진 배선용 아웃렛 박스(配線用 outlet box)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를 이형 철근(異形 鐵筋)(1)에 걸어 설치함이 가능하도록 된 철근 걸이부(50)가,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별개(別個)로 형성된 일방(一方)의 철근 걸이부재(51)와 타방(他方)의 철근 걸이부재(52)의 한쌍으로써 이루어져 상기 본체부(10)에 구비되고,
    상기 일방의 철근 걸이부재(51)는 철근 걸이 오목부(51-1-a)가 형성된 철근 걸이편(51-1)과, 이 철근 걸이편(51-1)과 일체로 형성된 탄성 지지부(51-2)로 이루어지고,
    상기 철근 걸이 오목부(51-1-a)는 이형 철근(1)이 상기 철근 걸이 오목부(51-1-a)에 끼워져 걸림에서 상기 이형 철근(1)의 마디(1-2)의 바깥쪽 원주(1-2-c)의 상응하는 부분이 상기 철근 걸이 오목부(51-1-a)의 원호(51-1-a-c)에 내포되어 닿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철근 걸이편(51-1)은 상기 이형 철근(1)의 마디(1-2)와 이에 인접한 별개(別個)의 마디(1-2)가 함께 내포될 수 있는 정도의 소정의 폭(W)으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 지지부(51-2)는, 이 탄성 지지부(51-2)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철근 걸이편(51-1)의 상기 철근 걸이 오목부(51-1-a)와 이에 대응하는 타방의 철근 걸이부재(52)의 철근 걸림턱부(52-1)의 철근 걸이 오목부(52-1-a)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부(S)에 상기 이형 철근(1)이 탄성적으로 끼워져 지지됨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타방의 철근 걸이부재(52)는 철근 걸이 오목부(52-1-a)가 형성된 철근 걸림턱부(52-1)로 이루어지고,
    상기 철근 걸이 오목부(52-1-a)는 상기 공간부(S)에 상기 이형 철근(1)이 끼워져 걸림에서 이형 철근 본체(1-1)의 원주(1-1-c)의 상응하는 부분이 상기 철근 걸이 오목부(52-1-a)의 원호(52-1-a-c)에 내포되어 닿을 수 있도록 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철근 걸림턱부(52-1)는, 상기 공간부(S)에 상기 이형 철근(1)이 끼워져 걸림에서, 상기 이형 철근 본체(1-1)에 닿으며 상기 이형 철근 본체(1-1)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형 철근 본체(1-1)를 지지함이 가능하도록 하는 형상의 평판(平板)으로 형성되어 구비되고,
    아울러 상기 철근 걸림턱부(52-1)는, 상기 공간부(S)에 상기 이형 철근(1)이 끼워져 걸림에서, 상기 철근 걸림턱부(52-1)의 측면부(52-1-b)가 이에 닿는 마디(1-2)에 걸림에 의하여 상기 이형 철근 본체(1-1)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철근 걸림턱부(52-1)가 이동(移動)됨을 막을 수 있도록 하는 형상의 평판(平板)으로 형성되 며,
    상기 철근 걸림턱부(52-1)의 상기 평판의 두께는, 상기 평판이 상기 이형 철근(1)의 마디(1-2)와 이에 인접하는 별개의 마디(1-2) 사이에 끼워져 걸림이 가능하도록 하는 소정의 두께(t)이며, 아울러 철근 걸림턱부(52-1)가 상기 이형 철근 본체(1-1)에 닿아 이 이형 철근 본체(1-1)를 지지함이 가능하도록 하는 두께이며,
    상기 일방의 철근 걸이부재(51)와 상기 타방의 철근 걸이부재(52)의 한쌍으로 이루어진 상기 철근 걸이부(50)는, 상기 본체부(10)의 외부 상측부(10-1)의 우측(10-1-a)과 좌측(10-1-b)에 대칭되게 형성되어 구비되며, 아울러 상기 본체부(10)의 외부 하측부(10-2)의 우측(10-2-a)과 좌측(10-2-b)에 대칭되게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아웃렛 박스(配線用 outlet box).
  2. 전선 배관의 설치를 위한 허브(11)가 구비되고 아울러 수직이동커버부(20)가 설치됨이 가능하도록 하는 중공부(12)가 구비된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상기 중공부(12)에 끼워져 설치되는 수직이동커버부(20)와, 상기 본체부(10)에 수직이동커버부(20)가 끼워져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10)와 상기 수직이동커버부(20) 사이의 소정의 간격을 탄성력으로 유지함이 가능하도록 하는 탄성체 요철링부(30)로 이루어진 배선용 아웃렛 박스(配線用 outlet box)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를 이형 철근(異形 鐵筋)(1)에 걸어 설치함이 가능하도록 된 철근 걸이부(50)가,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별개(別個)로 형성된 일방(一方)의 철근 걸이부재(51)와 타방(他方)의 철근 걸이부재(52)의 한쌍으로써 이루어져 상기 본체부(10)에 구비되고,
    상기 일방의 철근 걸이부재(51)는 철근 걸이 오목부(51-1-a)가 형성된 철근 걸이편(51-1)과, 이 철근 걸이편(51-1)과 일체로 형성된 탄성 지지부(51-2)로 이루어지고,
    상기 철근 걸이 오목부(51-1-a)는 이형 철근(1)이 상기 철근 걸이 오목부(51-1-a)에 끼워져 걸림에서 상기 이형 철근(1)의 마디(1-2)의 바깥쪽 원주(1-2-c)의 상응하는 부분이 상기 철근 걸이 오목부(51-1-a)의 원호(51-1-a-c)에 내포되어 닿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철근 걸이편(51-1)은 상기 이형 철근(1)의 마디(1-2)와 이에 인접한 별개(別個)의 마디(1-2)가 함께 내포될 수 있는 정도의 소정의 폭(W)으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 지지부(51-2)는, 이 탄성 지지부(51-2)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철근 걸이편(51-1)의 상기 철근 걸이 오목부(51-1-a)와 이에 대응하는 타방의 철근 걸이부재(52)의 철근 걸림턱부(52-1)의 철근 걸이 오목부(52-1-a)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부(S)에 상기 이형 철근(1)이 탄성적으로 끼워져 지지됨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타방의 철근 걸이부재(52)는 철근 걸이 오목부(52-1-a)가 형성된 철근 걸림턱부(52-1)로 이루어지고,
    상기 철근 걸이 오목부(52-1-a)는 상기 공간부(S)에 상기 이형 철근(1)이 끼워져 걸림에서 이형 철근 본체(1-1)의 원주(1-1-c)의 상응하는 부분이 상기 철근 걸이 오목부(52-1-a)의 원호(52-1-a-c)에 내포되어 닿을 수 있도록 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철근 걸림턱부(52-1)는, 상기 공간부(S)에 상기 이형 철근(1)이 끼워져 걸림에서, 상기 이형 철근 본체(1-1)에 닿으며 상기 이형 철근 본체(1-1)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형 철근 본체(1-1)를 지지함이 가능하도록 하는 형상의 평판(平板)으로 형성되어 구비되고,
    아울러 상기 철근 걸림턱부(52-1)는, 상기 공간부(S)에 상기 이형 철근(1)이 끼워져 걸림에서, 상기 철근 걸림턱부(52-1)의 측면부(52-1-b)가 이에 닿는 마디(1-2)에 걸림에 의하여 상기 이형 철근 본체(1-1)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철근 걸림턱부(52-1)가 이동(移動)됨을 막을 수 있도록 하는 형상의 평판(平板)으로 형성되며,
    상기 철근 걸림턱부(52-1)의 상기 평판의 두께는, 상기 평판이 상기 이형 철근(1)의 마디(1-2)와 이에 인접하는 별개의 마디(1-2) 사이에 끼워져 걸림이 가능하도록 하는 소정의 두께(t)이며, 아울러 철근 걸림턱부(52-1)가 상기 이형 철근 본체(1-1)에 닿아 이 이형 철근 본체(1-1)를 지지함이 가능하도록 하는 두께이며,
    상기 일방의 철근 걸이부재(51)와 상기 타방의 철근 걸이부재(52)의 한쌍으로 이루어진 상기 철근 걸이부(50)는, 상기 본체부(10)의 외부 상측부(10-1)의 우측(10-1-a)과 좌측(10-1-b)에 대칭되게 형성되어 구비되며, 아울러 상기 본체부(10)의 외부 하측부(10-2)의 우측(10-2-a)과 좌측(10-2-b)에 대칭되게 형성되어 구비되고,
    상기 공간부(S)에 끼워지는 상기 이형 철근(1)에 체결되는 체결선(60)이 걸 려 설치됨이 가능하도록 하는 체결선 걸림부(61)가 상기 일방의 철근 걸이부재(51)의 상기 탄성 지지부(51-2)에 일체로서 형성되어 구비되고,
    상기 체결선 걸림부(61)에는 상기 체결선(60)이 끼워져 걸려 설치됨이 가능하도록 하는 체결선 설치용 오목부(61-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아웃렛 박스(配線用 outlet box).
KR1020040082867A 2004-10-15 2004-10-15 배선용(配線用) 아웃렛 박스 KR100634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2867A KR100634385B1 (ko) 2004-10-15 2004-10-15 배선용(配線用) 아웃렛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2867A KR100634385B1 (ko) 2004-10-15 2004-10-15 배선용(配線用) 아웃렛 박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9538U Division KR200372444Y1 (ko) 2004-10-19 2004-10-19 배선용(配線用) 아웃렛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3665A true KR20060033665A (ko) 2006-04-19
KR100634385B1 KR100634385B1 (ko) 2006-10-16

Family

ID=37142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2867A KR100634385B1 (ko) 2004-10-15 2004-10-15 배선용(配線用) 아웃렛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43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441Y1 (ko) * 2009-03-02 2009-07-30 청호이엔씨 주식회사 아웃렛박스용 간격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441Y1 (ko) * 2009-03-02 2009-07-30 청호이엔씨 주식회사 아웃렛박스용 간격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4385B1 (ko) 2006-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13406B1 (en) Cable support
US20080000857A1 (en) Modular organizer for crib or playpen
KR200372444Y1 (ko) 배선용(配線用) 아웃렛 박스
KR100634385B1 (ko) 배선용(配線用) 아웃렛 박스
US6817156B2 (en) Device for positioning cast-in U-channels in concrete structure
KR101669151B1 (ko) 공동주택용 조적벽 결속장치
US6572058B1 (en) Multiple cable support bracket
KR200455260Y1 (ko) 파이프 행거
KR20120028762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와 데크플레이트의 합성보
KR20010016085A (ko) 천정용 장식패널
US6386489B1 (en) Cable support
CN210716282U (zh) 中央空调管道吊码
KR100843636B1 (ko) 콘크리트 구조체 설치용 사다리
JP2004225428A (ja) 鉄筋コンクリート壁用スペーサ
KR101129961B1 (ko) 철근 받침대
JP3184692U (ja) 物掛けフック
JP2004183470A (ja) 鉄筋コンクリート施工用スペーサー
KR19990007875U (ko) 천정판 설치용 캐링 채널을 현수시키기 위한 행거 클립
KR200487354Y1 (ko) 조립식 쓰레기 봉투 거치대
KR200231222Y1 (ko) 데크플레이트용 철근 간격 유지구
JP3218227U (ja) 土間コンクリート用スペーサー
KR101106257B1 (ko) 공동주택 전기기구용 매입형 스위치 박스
US6382571B1 (en) Cable support
KR200347114Y1 (ko)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장치
JP3554991B2 (ja) 合成樹脂製型枠用型枠定規の保持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