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3636B1 - 콘크리트 구조체 설치용 사다리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체 설치용 사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3636B1
KR100843636B1 KR1020060110025A KR20060110025A KR100843636B1 KR 100843636 B1 KR100843636 B1 KR 100843636B1 KR 1020060110025 A KR1020060110025 A KR 1020060110025A KR 20060110025 A KR20060110025 A KR 20060110025A KR 100843636 B1 KR100843636 B1 KR 100843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formwork
magnet
support member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0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1872A (ko
Inventor
남상문
Original Assignee
남상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상문 filed Critical 남상문
Priority to KR1020060110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3636B1/ko
Publication of KR20080041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1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3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3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2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rigidly mounted
    • E06C9/04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rigidly mounted in the form of climbing iron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2Steps or handrails for shaf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8Special construction of longitudinal members, or rungs or other treads
    • E06C7/081Rungs or other treads comprising anti-slip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체 설치용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서, 콘크리트 타설 공간에서 거푸집 판면에 밀착되며 자석수용부를 갖는 거푸집밀착부와, 상기 거푸집밀착부로부터 상기 타설 공간을 향하는 사다리결합부를 갖는 지지부재와; 상기 거푸집밀착부의 자석수용부에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자석과; 상기 자석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거푸집에 마련되는 철재면과; 상기 거푸집 해체 후 상기 사다리결합부에 결합되는 사다리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설치가 편리하고, 시공 공정과 시공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체 설치용 사다리가 제공된다.
콘크리트, 구조체, 맨홀, 사다리, 자석, 지지부재, 매설, 타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체 설치용 사다리{Ladder for concrete structure}
도 1은 종래 콘크리트 구조체 설치용 사다리의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사다리 설치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 설치용 사다리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콘크리트 구조체 설치용 사다리의 설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c는 도 3의 콘크리트 구조체 설치용 사다리의 설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 설치용 사다리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사다리용 지지부재의 설치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다리용 지지부재의 설치 방법을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지부재 11 : 사다리결합부
13 : 거푸집밀착부 13a : 자석수용부
20 : 자석 30 : 사다리본체
50 : 구조체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체 설치용 사다리에 관한 것이다.
맨홀이나 옹벽 등의 각종 콘크리트 구조체 중 작업자의 승강을 필요로 하는 콘트리트 구조체에는 벽체의 상하방향을 따라 사다리가 마련된다.
종래 콘크리트 구조체 설치용 사다리의 일예가 도 1과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콘크리트 구조체 설치용 사다리(101)는 콘크리트 구조체(150)(이하 "구조체"로 함)에 상하 방향으로 다수가 매설되는 지지부재(110)와, 구조체(150)의 외측에서 각 지지부재(110)에 결합되는 사다리본체(130)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부재(110)는 양측에 사다리본체(130)의 삽입 결합을 위한 한 쌍의 사다리결합부(111)와, 양 사다리결합부(111)를 연결하는 연결부(113,11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때, 지지부재(110)의 전방 양 단부에는 후술할 사다리본체(130)의 삽입부(133)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공(111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113,115)는 지지부재(110)의 전후방 양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전방의 연결부(113)에는 나사 등을 이용하여 지지부재(110)를 거푸집(151a 또는 151b)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공(113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중 전방의 연결부(113)는 후술할 사다리 설치 측의 거푸집(151a)의 판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사다리본체(130)는 작업자가 발을 디디는 발디딤부(131)와, 발디딤부(131)의 양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지지부재(110)의 사다리결합부(111)에 삽입 결합되는 삽입부(133)가 일체로 형성된 ⊂자 형상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종래 콘크리트 구조체 설치용 사다리(101)의 시공과정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먼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체(150)의 양측 벽면을 형성하는 양 거푸집(151a,151b)(이하 "제1 및 제2거푸집(151a,151b)"이라 함) 중 사다리(101)가 설치될 벽면을 형성하는 거푸집(151a)(이하 "제1거푸집(151a)"으로 함)의 콘크리트 타설공간 측 판면에 상하 방향으로 지지부재(110)를 결합한다.
이때, 지지부재(110)의 결합은 지지부재(110)의 전방 연결부(113)를 제1거푸집(151a)의 타설측 판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제1거푸집(151a)의 외측에서 나사나 피스 등의 체결부재(120)를 관통시켜서 전방 연결부(113)의 체결공(113a)에 체결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지지부재(110)를 결합한 상태에서 제1거푸집(151a)과 제2거푸집(151b) 사이 영역의 콘크리트 타설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소정의 양생기간을 거쳐서 제1 및 제2거푸집(151a,151b)을 해체하면 도 2b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체(150)가 형성되고 그 일측 벽면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지지부재(110)의 삽입공(111a)이 노출된 다.
이 상태에서 각 사다리본체(130)의 삽입부(133)를 각 지지부재(110)의 삽입공(111a)에 결합시키면 콘크리트 구조체(150)의 일벽면에 상하 방향을 따라 사다리가 형성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체 설치용 사다리(101)의 시공이 완료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콘크리트 구조체 설치용 사다리에 있어서는, 지지부재를 제1거푸집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나사나 피스 등 별도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일일이 체결부재를 체결해야 하기 때문에, 지지부재의 설치 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작업공정과 시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콘크리트 타설 양생 후 거푸집의 해체 과정에서도, 체결부재를 해체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공정과 시간이 더욱 증가되어 전체적인 시공 공정과 시공시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가 편리하고, 시공 공정과 시공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체 설치용 사다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콘크리트 구조체 설치용 사다리에 있어서, 콘크리트 타설 공간에서 거푸집 판면에 밀착되며 자석수용부를 갖는 거푸집밀착부와, 상기 거푸집밀착부로부터 상기 타설 공간을 향하는 사다리결합부를 갖는 지지부재와; 상기 거푸집밀착부의 자석수용부에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자석과; 상기 자석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거푸집에 마련되는 철재면과; 상기 거푸집 해체 후 상기 사다리결합부에 결합되는 사다리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설치용 사다리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거푸집은 철재거푸집으로 마련되고, 상기 철재면은 상기 거푸집 자체 판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푸집의 상기 지지부재 설치 측 반대면에서 상기 거푸집을 사이에 두고 상기 자석과 상호 인력 작용하게 마련되는 추가의 자석을 더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거푸집의 상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영역에서 상호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연결부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며, 인접하는 양 지지부재 사이의 상기 연결부에는 절취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 설치용 사다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콘크리트 구조체 설치용 사다리의 설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5a 내지 도 5c는 도 3의 콘크리트 구조체 설치용 사다리의 설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 설치용 사다리(1)는 구조체(50)에 상하 방향으로 매설되어 사다리본체(3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0)와, 지지부재(10)를 철재거푸집에 고정시키는 자석(20)과, 구조체(50)의 외측에서 지지부재(10)에 결합되는 사다리본체(30)를 포함한다.
지지부재(10)는 사다리본체(30)가 결합되는 사다리결합부(11)와, 철재거푸집에 밀착되는 거푸집밀착부(13)를 가지고 있다. 사다리결합부(11)는 상호 이격된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거푸집밀착부(13)는 양 사다리결합부(11)의 전단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사다리결합부(11)의 후측에 양 사다리결합부(11)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지지부(15)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이 지지부재(10)의 견고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그리고, 사다리결합부(11)의 전단부 영역에는 사다리본체(30)의 결합을 위한 결합공(11a)이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거푸집밀착부(13)에는 자석(20)을 수용하는 자석수용부(13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자석수용부(13a)는 경우에 따라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거푸집밀착부(13)의 전면은 철재거푸집의 판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데, 예를 들어 철재거푸집의 판면이 곡면일 경우에는 거푸집밀착부(13)의 전면 역시 이에 대응하는 곡면으로 형성되며, 철재거푸집의 판면이 평면일 경우에는 거푸집밀착부(13)의 전면 역시 평면으로 형성된다. 이는 구조체(50)가 원형의 맨홀 또는 곡면 형태의 옹벽이거나, 사각맨홀 또는 평면적인 옹벽일 경우에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술한 경우 외에도 거푸집밀착부(13)의 형상은 구조체(5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의 상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영역에서 상호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연결부(12)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다수의 지지부재(10)를 철재거푸집에 한번에 부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지부재(10)들과 연결부(12)는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10)에는 작업자가 소정의 힘으로 절취할 수 있는 절취부(14)가 홈이나 공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구조체(50)의 높이에 따라 지지부재(10)의 설치 개수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이러한 지지부재(10)의 형상 및 구조 역시 적어도 하나의 사다리결합 부(11)와 거푸집밀착부(13)를 갖는 범위에서 구조체(50) 및 사다리본체(30)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자석(20)은 지지부재(10)를 철재거푸집의 판면에 부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 자석(20)의 부착력은 콘크리트 타설과정에서 철재거푸집에 대한 지지부재(10)의 부착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는 범위의 부착력을 갖는다. 이때, 자석(20)은 지지부재(10)의 거푸집밀착부(13)에 형성된 자석수용부(13a)에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며, 그 수는 지지부재(10)의 크기나 무게 콘크리트 타설 압력 등을 고려하여 하나의 지지부재(10)에 자석(20)이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자석(20)은 지지부재(10)의 자석수용부(13a)에 마련됨과 동시에, 지지부재(10)가 부착되는 철재거푸집의 반대면에도 자석(20)의 극을 반대로 배치하여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양 자석(20)의 상호 인력을 이용하여 지지부재(10)를 철재거푸집에 보다 강력한 부착시키기 위함이다.
이 경우에는 구조체(50)를 형성하는 거푸집의 재질을 철재거푸집외에도 자력이 통하면서 지지부재(10)의 부착상태가 콘크리트 타설압력에 견디는 범위에서 다양한 재질의 거푸집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10)에 철판(22)을 인써트 사출하여 철재부착면을 형성하고, 자석(20)을 거푸집 반대측면이 나 지지부재(10) 대향면에 마련하여 철판(22)과 자석(20)이 상호 인력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지지부재(10)를 거푸집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거푸집은 자력이 통하는 다양한 재질의 거푸집으로 마련될 수 있다. 물론, 거푸집에 철재부착면을 형성하고 지지부재(10)에 전술한 바와 같이 자석(20)을 마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자석(20)은 거푸집 해체후에 지지부재(10)로부터 분리하여 재활용 가능한 것으로서, 자석(20)이 영구자석으로 마련된다면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으로 자재 재활용 측면과 자재비 절감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사다리본체(30)는 작업자가 발을 디디는 발디딤부(31)와, 지지부재(10)의 사다리결합부(11)에 삽입 결합되는 삽입부(33)를 갖는다.
이 사다리본체(30)는 삽입부(33)가 발디딤부(31)의 양단부로부터 일체로 절곡된 ⊂자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때, 사다리본체(30)는 강도가 우수한 금속봉을 ⊂자로 제작하고, 이 금속봉의 외표면에 부식방지를 위한 플라스틱 피막을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때, 삽입부(33)의 외표면과 이에 대응하는 지지부재(10)의 결합공(11a) 내면에는 사다리본체(30)의 삽입결합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걸림구조(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발디딤부(31)의 외표면에는 사용자의 디딤 발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패턴(미도시)과, 어두운 환경의 구조체(50)에서 사용자가 사다리본체(30)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인식패턴(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미끄럼방지패턴(미도시)은 돌기 형상이나 요철 형상 또는 마찰력이 우수한 고무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인식패턴(미도시)은 랜턴 등의 불빛에 반사되는 반사시트나 형광물질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사다리본체(30)는 전술한 금속봉과 플라스틱 피막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것 외에도 강도와 부식방지가 보장되는 범위에서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다리본체(30) 자체를 별도의 피막이 필요없는 강화플라스틱으로 제작할 수도 있으며, 사다리본체(30)를 금속봉으로 제작한 뒤 외표면에 부식방지용 도료를 페인팅 할 수도 있다. 또한, 사다리본체(30)의 형상은 전술한 ⊂자 형상 외에도 발을 디딜수 있는 형상에 한해서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1)의 설치과정을 살펴본다. 이때, 도면상의 구조체(50)는 콘크리트 맨홀 구조체(50)의 시공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4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 구조체(50)의 내벽을 형성하는 철재 내부거푸집(51a)(이하 "제1거푸집(51a)" 이라 함)을 설치한다.
그런 다음, 자석(20)이 자석수용부(13a)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부재(10)들을 도 5a와 같이, 제1거푸집(51a)의 사다리(1) 설치영역 외측판면(콘크리트 타설 공간측 판면)에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사다리(1) 설치간격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부착한다.
이때, 지지부재(10)는 그 전방의 거푸집밀착부(13)가 제1거푸집(51a)의 판면 에 밀착되는데, 이때, 거푸집밀착부(13)의 자석수용부(13a)에 수용된 자석(20)의 자력에 의해 거푸집밀착부(13)가 철재 제1거푸집(51a)의 판면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이에 의해, 제1거푸집(51a)의 판면에 지지부재(10)를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10)를 보다 견고하게 설치하기 위해서 자석(20)을 지지부재(10)의 거푸집밀착부(13)와 지지부재(10)가 부착되는 제1거푸집(51a)의 반대면에 상호극을 반대로 배치하여 인력이 작용하도록 하여 지지부재(10)를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거푸집(51a)의 재질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자력이 통하면서 지지부재(10)의 부착상태가 콘크리트 타설압력에 견디는 범위에서 목제거푸집이나 합성수지제 거푸집 등 다양한 재질의 거푸집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지지부재(10)의 설치가 완료되면, 제1거푸집(51a)의 외측 둘레에 철재 외부거푸집(51b)(이하 "제2거푸집(51b)" 이라 함)을 설치한다.
그런 다음, 제1거푸집(51a)과 제2거푸집(51b) 사이 영역의 콘크리트 타설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소정의 양생기간을 거쳐서 제1 및 제2거푸집(51a,51b)을 해체하면 도 5b와 같이, 맨홀 구조체(50)가 형성되고 그 내측 벽면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지지부재(10)의 결합공(11a)과 자석(20)이 노출된다. 여기서, 자석(20)은 양 거푸집(51a,51b) 해체후에 지지부재(10)로부터 분리하여 재활용한다.
거푸집(51a,51b)의 해체작업이 완료되면, 도 5c와 같이, 복수의 사다리본체(30)를 삽입부(33)가 각 지지부재(10)의 결합공(11a)에 삽입되도록 결합시키면 맨홀 구조체(50)의 내벽면에 상하 방향을 따라 사다리가 형성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체 설치용 사다리(1)의 시공이 완료된다.
전술한 사다리(1)의 설치과정에서는 사다리(1)가 맨홀 구조체(50)의 내벽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사다리(1)는 맨홀 구조체(50)의 외벽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지지부재(10)는 제2거푸집(51b)의 콘크리트 타설 공간측 판면에 부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1)는 옹벽 등 다양한 콘크리트 구조체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다리용 지지부재의 설치 방법을 나타낸 단면도.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 설치용 사다리(1)는 자석(20)이 전자석으로 마련되어 있다. 이 자석(20)은 지지부재(10)의 자석수용부(13a)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원공급부(21)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스위치 등의 콘트롤러(23)로 ON/OFF함으로써, 자석(20)에 자력이 발생 또는 해제된다.
즉, 지지부재(10)를 철재거푸집에 부착할 때 전원을 ON시켜서 자석(20)에 자력이 발생되도록 하여 지지부재(10)를 철재거푸집에 부착시키고, 구조체(50)의 타설 양생 후 철재거푸집을 해체할 때는 전원을 Off시켜서 자석(20)의 자력을 해제한 후 철재거푸집의 해체와 지지부재(10)로부터 자석(20)의 분리작업을 실행한다.
이는 자석(20)의 강력한 자력에 의해 철재거푸집과 자석(20)의 분리가 용이하지 못하게 되는 것을 고려한 것으로서, 보다 용이하게 철재거푸집과 자석(20) 간 의 분리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 설치용 사다리는 구조체 내에 매설되는 지지부재를 자석을 이용하여 거푸집에 간단하고 견고하게 설치함으로써, 작업공정과 시간이 현격하게 절감된다.
또한, 거푸집의 해체 과정에서도 별다른 지지부재의 해체 공정이 없이 거푸집 해체 후, 자석만 지지부재로부터 간단하게 분리하면 되기 때문에, 작업공정과 시간이 더욱 단축되어 전체적인 시공 공정과 시공시간이 절감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설치가 편리하고, 시공 공정과 시공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체 설치용 사다리가 제공된다.

Claims (12)

  1. 콘크리트 구조체 설치용 사다리에 있어서,
    콘크리트 타설 공간에서 거푸집 판면에 밀착되며 자석수용부를 갖는 거푸집밀착부와, 상기 거푸집밀착부로부터 상기 타설 공간을 향하는 사다리결합부를 갖는 지지부재와;
    상기 거푸집밀착부의 자석수용부에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자석과;
    상기 자석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거푸집에 마련되는 철재면과;
    상기 거푸집 해체 후 상기 사다리결합부에 결합되는 사다리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설치용 사다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은 철재거푸집으로 마련되고, 상기 철재면은 상기 거푸집 자체 판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설치용 사다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의 상기 지지부재 설치 측 반대면에서 상기 거푸집을 사이에 두고 상기 자석과 상호 인력 작용하게 마련되는 추가의 자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설치용 사다리.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거푸집의 상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영역에서 상호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연결부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며, 인접하는 양 지지부재 사이의 상기 연결부에는 절취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설치용 사다리.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60110025A 2006-11-08 2006-11-08 콘크리트 구조체 설치용 사다리 KR100843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0025A KR100843636B1 (ko) 2006-11-08 2006-11-08 콘크리트 구조체 설치용 사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0025A KR100843636B1 (ko) 2006-11-08 2006-11-08 콘크리트 구조체 설치용 사다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1872A KR20080041872A (ko) 2008-05-14
KR100843636B1 true KR100843636B1 (ko) 2008-07-03

Family

ID=39648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0025A KR100843636B1 (ko) 2006-11-08 2006-11-08 콘크리트 구조체 설치용 사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36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208Y1 (ko) * 2010-01-29 2010-12-02 박기정 맨홀용 조립식 사다리의 매립 고정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744Y1 (ko) * 2009-07-07 2010-02-12 김필영 맨홀사다리 지지대
KR102168358B1 (ko) * 2018-10-24 2020-10-21 주식회사 에스티 매립식 교량점검 시설물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5125A (ja) * 1992-12-18 1994-07-05 Kunimoto Shokai:Kk 鉄製コンクリート型枠用インサート
KR200354116Y1 (ko) * 2003-12-30 2004-06-23 박덕수 조립식 사다리
JP2005197497A (ja) 2004-01-08 2005-07-21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半導体装置
KR200390924Y1 (ko) * 2005-04-28 2005-07-28 조용우 맨홀용 사다리
JP2006112224A (ja) 2004-09-16 2006-04-27 Tokai Kenshiyou:Kk 鉄筋支持用インサー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5125A (ja) * 1992-12-18 1994-07-05 Kunimoto Shokai:Kk 鉄製コンクリート型枠用インサート
KR200354116Y1 (ko) * 2003-12-30 2004-06-23 박덕수 조립식 사다리
JP2005197497A (ja) 2004-01-08 2005-07-21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半導体装置
JP2006112224A (ja) 2004-09-16 2006-04-27 Tokai Kenshiyou:Kk 鉄筋支持用インサート
KR200390924Y1 (ko) * 2005-04-28 2005-07-28 조용우 맨홀용 사다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208Y1 (ko) * 2010-01-29 2010-12-02 박기정 맨홀용 조립식 사다리의 매립 고정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1872A (ko) 2008-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5467B1 (ko)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KR100843636B1 (ko) 콘크리트 구조체 설치용 사다리
KR101612088B1 (ko) 핀 잠금장치가 구비되는 알루미늄 거푸집
KR20090088106A (ko)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입되는 고정수단
KR101552226B1 (ko) T형 데크플레이트의 중공폼 설치구조
KR101757898B1 (ko) 유로 폼을 이용한 슬래브 시공 구조 및 방법
KR200455039Y1 (ko) 슬라브 매립용 앵커장치
KR200390924Y1 (ko) 맨홀용 사다리
KR100543660B1 (ko) 맨홀의 연결부 보강 콘크리트용 거푸집 및 그 설치 방법
KR100863003B1 (ko) 난간 설치 구조 및 시공 방법
KR200308686Y1 (ko) 철근받침부를 구비한 인써트
KR200403874Y1 (ko) 맨홀용 사다리
KR200281867Y1 (ko) 철근받침대
KR100452977B1 (ko) 슬림플로어 공법을 위한 철근콘크리트보와 바닥판의 결합구조 및 시공방법
KR101415823B1 (ko) 부상방지 격자망 제거식 중공슬래브 시공방법
US20080203269A1 (en) Magnetic step pins assembly and method of installation
KR19990015637U (ko) 계단용 논슬립
KR200234872Y1 (ko) 철근받침대
NL2020580B1 (nl) Mal-deel
KR100642810B1 (ko) 맨홀용 사다리부재
KR200447744Y1 (ko) 맨홀사다리 지지대
KR200361691Y1 (ko) 맨홀용 사다리부재
KR200379650Y1 (ko) 로프 고정장치
KR200431373Y1 (ko) 철근 받침대
KR200340336Y1 (ko) 인서트용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